KR20200130067A - 비상탈출장치 - Google Patents

비상탈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0067A
KR20200130067A KR1020190158027A KR20190158027A KR20200130067A KR 20200130067 A KR20200130067 A KR 20200130067A KR 1020190158027 A KR1020190158027 A KR 1020190158027A KR 20190158027 A KR20190158027 A KR 20190158027A KR 20200130067 A KR20200130067 A KR 20200130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late
rotating frame
frame par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8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평욱
Original Assignee
김평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평욱 filed Critical 김평욱
Publication of KR20200130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00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A62B1/04Single parts, e.g. faste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공간활용성이 높고, 어린이나 노약자도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탈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벽에 근접하는 접힘상태와, 상기 외벽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외벽과의 사이에 수직이동공간을 형성하는 펼침상태 간을 절첩가능하게 설치되는 외벽프레임부와, 상기 건물의 바닥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바닥에 수직하게 배치된 대기상태와 상기 수직이동공간의 축선에 가로방향으로 ?또賤? 회동상태 간을 동작하는 회동프레임부와, 상기 외벽프레임부와 상기 회동프레임부를 작동하는 조작유니트와, 상기 회동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이동공간을 따라 승강 가능한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을 승강구동하는 완강기를 포함하는 승강유니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상탈출장치{DEVICE FOR EMERGENCY ESCAPE}
본 발명은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와 같은 고층건물에서 화재발생 시 비상탈출을 위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기존의 비상탈출장치는 주로 베란다에 설치되어 건물의 외벽을 따라 사다리나 계단과 같은 비상탈출로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비상탈출장치는 건물 내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공간 활용성을 저하시키거나 사다리나 계단 등으로 비상탈출로를 제공하고 있어 어린이나 노약자에게는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고, 어린이나 노약자도 쉽게 비상탈출 할 수 있는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탈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벽에 근접하는 접힘상태와, 상기 외벽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외벽과의 사이에 수직이동공간을 형성하는 펼침상태 간을 절첩가능하게 설치되는 외벽프레임부와, 상기 건물의 바닥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바닥에 수직하게 배치된 대기상태와 상기 수직이동공간의 축선에 가로방향으로 눕혀진 회동상태 간을 동작하는 회동프레임부와, 상기 외벽프레임부와 상기 회동프레임부를 작동하는 조작유니트와, 상기 회동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이동공간을 따라 승강 가능한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을 지지하는 완강기를 포함하는 승강유니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이동공간을 따라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회동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이동가능한 승강안내부재와, 상기 가이드레일과 상기 승강안내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판에 탑승하는 사용자의 중량에 따라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한 상기 승강안내부재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하강속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통해 승강판을 안정적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강속도조절부는 상기 승강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탄성부재와, 상기 승강안내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레일을 향해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접촉해 있는 판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가압마찰부재와, 일단이 상기 승강판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가압마찰부재와 연결된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승강판의 하강거리가 클수록 상기 판스프링부재가 상기 가이드레일을 가압하는 힘을 증가시키는 것을 통해 승강판에 탑승하는 사용자의 숫자에 따라 승강판의 하강속도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벽프레임부의 말단에는 상기 외벽프레임부의 회동상태에서 외벽판 방향으로 돌출된 판스프링 형태의 펼침보조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펼침보조부재는 상기 회동프레임부가 회동될 때 상기 외벽판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회동프레임부가 회동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거나 상기 외벽프레임부가 완벽하게 펼쳐지도록 하여 펼침보조부재를 통해 외벽프레임부를 완벽하게 펼치거나 회동프레임부의 회동상태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상탈출장치는 상기 건물의 층별로 설치되며, 상기 승강판은 상기 건물의 층별로 서로 반대방향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회동프레임부에 설치되고, 타측이 하층에 설치된 상기 조작유니트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프레임부의 회동에 의해 하층에 설치된 상기 조작유니트를 작동시켜 하층의 상기 외벽프레임부와 상기 회동프레임부를 동작시키는 연동와이어를 통해 현재층의 조작유니트의 작동을 통해 하층의 비상탈출장치의 외벽프레임부와 회동프레임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장치는 건물의 공간활용성이 높고, 어린이나 노약자도 쉽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도면에서 외벽프레임부가 펼쳐지고, 회동프레임부가 회동되어 눕혀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조작손잡이가 대기상태일 때를 나타낸다.
도 4는 조작손잡이가 작동상태일 때를 나타낸다.
도 5의 (a) 내지 (c)는 회동프레임부가 회동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6은 승강유니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a)와 (b)는 승강판 고정부의 작동을 나타낸다.
도 8은 하강속도조절부를 나타낸다.
도 9의 (a)와 (b)는 하강속도조절부의 작동을 나타낸다.
도 10는 복수의 비상탈출장치가 건물에 설치되어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장치는 크게 외벽프레임부(100), 회동프레임부(200), 조작유니트(400) 및 승강유니트(300)로 이루어진다.
외벽프레임부(100)는 아파트와 같은 건물의 외벽에 대응되며, 건물의 외벽과 근접하게 접혀있는 접힘상태와 접힘상태로부터 펼쳐져 외벽의 외부로 소정 간격 돌출하며 외벽과의 사이 공간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수직이동공간을 형성하는 펼침상태 간을 절첩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2는 도 1의 도면에서 외벽프레임부(100)가 펼쳐지고, 회동프레임부(200)가 회동되어 눕혀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프레임부(100)는 건물의 외벽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외벽판(110)과, 외벽판(110)과 건물의 외벽을 연결하며 절첩가능한 한 쌍의 수평프레임(120)과, 외벽판(110)과 수평프레임(120)을 지지하는 수직프레임(130) 및 수평프레임(120)에서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140)을 가진다. 이러한 외벽판(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힘상태로 대기하게 되고, 비상탈출시에는 외벽판펼침부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프레임(120)이 펼쳐지며 펼침상태로 전환된다.
외벽판(110)은 건물의 외벽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준비된다.
수직프레임(130)과 수평프레임(120)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장치를 사람들이 사용할 때 사람의 무게를 견딜 수 있는 견고한 재질과 구조를 갖는다.
가이드레일(140)은 수평프레임(120)이나 수직프레임(130)에 고정되어 수직이동공간의 축선을 따라 연장되어 한 쌍으로 준비된다.
외벽판펼침부는 외벽판(110)이 펼쳐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고 있는 펼침스프링(101)과, 일측이 외벽판(110)에 고정되고 타측에 고리부(103)를 형성하여 후술할 조작유니트(400)에 고정되어 외벽프레임부(100)가 접힘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와이어(102)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고리부(103)와 조작유니트(400)의 고정이 해제되면 펼침스프링(101)에 의해 외벽판(110)은 건물의 외부로 밀리며 외벽프레임부(100)는 펼침상태로 전환되게 된다.
회동프레임부(200)는 건물의 바닥(a)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a)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대기상태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이동공간의 축선에 가로방향으로 눕혀진 회동상태 간을 동작한다.
회동프레임부(200)는 대기상태에서는 건물과 대략적으로 수직인 상태로 대기하여 회동프레임부(200)가 눕혀졌을 때에 상응하는 공간으로 인해 건물의 공간활용성이 저하되는 것을 차단하고, 회동상태에서는 외벽판펼침부가 펼쳐지며 생성된 수직이동공간의 축선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어 비상탈출을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회동프레임부(200)는 회동프레임작동유니트에 의해 대기상태와 회동상태 간을 동작하며, 지지프레임(210), 대기발판(220), 승강안내부재(230), 승강유니트(300), 완강기(310)를 포함한다.
지지프레임(210)은 회동프레임부(200)의 외곽영역에 배치되며 견고한 재질로 준비되어 승강유니트(300)와 대기발판(220) 등을 지지하게 된다.
대기발판(220)은 지지프레임(210)에 결합되며, 수직이동공간 면적의 약 절반정도를 차지하며 승강유니트(300)는 다른 한 쪽에 배치된다. 이러한 대기발판(220)과 승강유니트(300)의 승강판(320)은 도시된 상태에서는 수직이동공간의 약 절반정도를 차지하고 있지만, 이들의 면적비율은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장치는 건물의 층별로 설치되는데, 이때 대기발판(220)과 승강유니트(3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층별로 서로 반대방향에 지그재그로 설치된다.
완강기(310)는 승강유니트(300)가 배치되는 쪽의 지지프레임(210)에 고정되며 내측으로부터 인출된 와이어가 승강유니트(300)에 결합되어 지지한다. 즉, 완강기(310)는 승강유니트(300)가 안정적으로 승강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게 된다.
승강안내부재(230)는 승강유니트(300)에 설치되며 내측으로 가이드레일(140)의 통과를 허용하는 가이드부(231)와, 회동프레임부(200)가 회동상태로 전환될 때 가이드레일(140)과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측에 형성된 확관부(232)와, 가이드부(231)의 내측에 가이드레일(140)이 삽입된 상태에서 승강유니트(300)가 하강운동할 때 가이드레일(140)과 수평프레임(120)의 연결부위에 의한 간섭을 피하기 위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절취되어 형성된 절취부(233)를 갖는다. 이러한 승강안내부재(230)와 가이드레일(140)은 승강안내부재(230)의 가이드부(231)가 가이드레일(140)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수직승강운동할 수 있게 되어 승강유니트(300)가 승강운동하는 도중 진동이나 축 틀어짐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승강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회동프레임작동유니트는 회동프레임부(200)를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의 영역에 설치되어 회동프레임부(200)가 가로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작동스프링(203)과, 일단이 회동프레임부(200)에 접촉되어 회동프레임부(200)를 수직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부(201)와, 일단이 고정부(201)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후술하게 될 조작유니트(400)에 고정되는 와이어(202)를 포함한다.
이러한 회동프레임작동유니트의 동작은 후술하게 될 조작유니트(400)를 통해 와이어(202)를 당기면 와이어(202)는 고정부(201)의 타단을 당기게 되고 이로 인해 고정부(201)의 일단이 회동프레임부(200)와의 접촉이 해제되며 회동프레임부(200)을 고정해제하게 된다. 이때, 회동프레임부(200)는 작동스프링(203)의 탄성력에 의해 소정간격 회동하며 그 후에는 회동프레임부(200) 자체 무게에 의해 가로방향의 회동상태로 전환된다.
도 3은 조작손잡이(410)가 대기상태일 때를 나타내고, 도 4는 조작손잡이(410)가 작동상태일 때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유니트(400)는 외벽프레임부(100)와 회동프레임부(200)의 측방영역에 형성되어 이들을 작동시킨다.
조작유니트(400)는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회동축(401)과 회동축(401)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조작손잡이(410)와 복수의 작동돌기로 구성된다.
조작손잡이(4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손잡이(410)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대기상태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작손잡이(410)를 파지한 후 회동조작하여 수직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회동된 작동상태 간을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회동축(401)에는 조작손잡이(410)가 대기상태에 있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402)가 설치된다. 따라서, 조작손잡이(41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탄성부재(610)에 의해 조작손잡이(410)는 항상 수직상태로 배치되는 대기상태를 유지하게된다. 이때, 탄성부재(610)는 토션스프링으로 준비될 수 있다.
작동돌기들은 외벽판펼침부의 와이어(102)의 말단에 형성된 고리부(103)의 고리영역에 삽입되는 외벽판작동돌기(420)와, 회동프레임작동유니트의 고정부(201)와 연결된 와이어(202)와 결합되는 회동프레임작동돌기(430) 및 후술하게 될 연동구동부의 연동와이어(901)와 결합되는 연동돌기(440)로 구성된다.
외벽판작동돌기(4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상태의 조작손잡이(410)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고리부(103)의 고리영역에 삽입되어 고리부(103)를 위치고정시킨다. 이때, 고리부(103)와 결합된 와이어(102)의 타단은 외벽판(110)에 고정되며, 펼침스프링(101)의 작용에 의해 팽팽하게 지지된 상태이다. 따라서, 손잡이를 회전시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판작동돌기(420)가 고리부(103)의 고리영역을 이탈하게 되면 펼침스프링(101)의 작용에 의해 외벽판(110)이 밀리며 외벽프레임부(100)가 펼침상태로 전환된다.
회동프레임작동돌기(4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손잡이(410)가 대기상태에 있을 때 회동축(401)의 하측으로부터 고정부(201)가 형성된 영역으로 소정간격 경사진 상태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회동프레임작동돌기(430)의 말단은 고정부(201)의 타단과 결합된 와이어(202)와 연결된다. 따라서, 조작손잡이(410)를 대기상태에서 작동상태로 회전시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프레임작동돌기(430)의 말단이 와이어(202)를 회동축(401)의 축선을 중심으로 도시된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당기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고정부(201)는 후방으로 후퇴되어 회동프레임부(200)의 고정을 해제하게 된다. 이때, 회동프레임부(200)는 작동스프링(203)에 의해 회동을 시작한 후 자중에 의해 가로상태로 눕혀지며 회동상태로 전환된다.
도 5의 (a) 내지 (c)는 회동프레임부(200)가 회동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5의 (a)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유니트(400)를 작동시키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프레임부(200)가 회동을 시작한다. 이때, 외벽프레임부(100)에는 회동프레임부(200)의 회동곡선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펼침가이드(150)가 형성되고, 회동프레임부(200)의 측면에는 펼침가이드(150)에 삽입되어 펼침가이드(150)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펼침보조돌기(25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펼침가이드(150)와 펼침보조돌기(250)는 회동프레임부(200)가 정확한 회동을 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즉, 수평프레임(120)이 완벽하게 펼쳐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펼침보조돌기(250)가 펼침가이드(150)에 삽입되며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프레임(120)을 완벽하게 펼치게 되고 또한 안정적인 회동프레임부(200)의 회동동작을 보조하게 된다.
위와 같이, 회동동작으로 인해 회동프레임부(200)의 한 쌍의 승강안내부재(230)는 외벽프레임부(100)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40)과 결합하게 된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승강안내부재(230)는 회동프레임부(200)의 회동반경에 간섭되지 않도록 한쪽방향으로 확관되어 형성된 확관부(232)를 가지며 이로 인해 회동프레임부(200)가 회동하는 과정에서 가이드레일(140)과 승강안내부재(230)의 간섭이 방지된다. 물론, 펼침가이드(150)와 펼침보조돌기(250)로 인해 정확한 회동이 안내되기도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회동프레임부(200)의 말단에는 회동된 상태에서 외벽판(110)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펼침보조부재(240)를 가진다. 펼침보조부재(240)는 일종의 판스프링의 부재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펼침보조부재(240)는 외벽판(110)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지며, 회동프레임부(200)가 회동되어 말단이 외벽판(110)의 영역과 접촉하는 시점에서 회동프레임부(200)의 말단과 외벽판(110)의 내측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급격하게 회동프레임부(200)가 회동되며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거나, 미쳐 외벽프레임부(100)가 완벽하게 펼쳐지지 않았을 때 탄성력을 통해 완벽하게 펼쳐질 수 있도록 보조한다.
도 6은 승강유니트(3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승강유니트(300)는 회동프레임부(200)에 설치되어 수직이동공간을 따라 승강 가능한 승강판(320)과, 승강판(320)을 지지프레임(210)에 대해 천천히 하강시키거나, 상승복귀시키는 완강기(310)와, 승강판(320)을 외벽프레임부(100)에 고정 및 이탈시키는 승강판고정부를 포함한다.
승강판(320)은 회동프레임부(200)의 바닥면의 약 절반정도를 차지하며, 다수의 사용자가 탑승하여도 문제가 없는 견고한 구조로 준비된다.
완강기(310)는 회동프레임부(200)에 설치되는 완강기본체와 완강기줄로 이루어진다. 완강기줄은 일단이 승강판(320)에 결합되고 타단이 완강기본체 내부에 수용된다. 완강기본체는 완강기줄을 이용하여 승강판(320)을 회동프레임부(200)로부터 하부로 천천히 하강시키고, 하강 한 후 완강기본체 내부에 탄성에 의해 완강기줄을 되감는 장치를 통해 원래위치로 상승복귀시킨다.
승강판고정부는 승강판(320)에 형성되는 조작핸들부(510)와, 승강판(320)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도록 결합되는 고정기둥(520)과, 고정기둥(520)으로부터 내측으로 출몰가능하게 형성되어 지지프레임(210)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블록(530)로 구성된다. 고정블록(530)는 승강판(320)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돌출되어 지지프레임(210)에 고정되는 것으로 승강판(320)이 지지프레임(210)에 지지되도록 하고 조작핸들부(510)를 조작하면 돌출이 해제되어 승강판(320)을 지지프레임(210)으로부터 이탈시켜 하강가능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조작핸들부(510)는 사용자가 의자(b)나 승강판(320)에 위치한 후 사용자 측으로 당기는 것으로 고정블록(530)를 조작하여 승강판(320)이 하강운동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조작핸들부(510)는 승강판(320)에 대해 수직한 대기상태를 유지하도록 스프링과 같은 별도의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고정기둥(520)은 승강판(320)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말단에는 고정블록(530)이 출몰가능하게 설치된다. 고정기둥(5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판(320)의 양 측 영역에 다수 개 설치가능하다.
고정블록(530)은 고정기둥(520)의 말단으로부터 승강판(320) 방향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프링(521)에 의해 항상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준비된다. 고정블록(530)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했을 때 지지프레임(210)의 상면과 접촉하여 승강판(320)이 지지프레임(2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퇴출했을 때 지지프레임(210)과의 접촉이 해제되어 승강판(320)이 하강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고정블록(530)는 내측에 스프링(521)을 개재하고 있고, 말단에는 와이어(511)가 결합된다. 이 와이어(511)는 조작핸들부(510)와 연동된다.
즉,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작핸들부(510)를 내측으로 당겨 회동시키게 되면 조작핸들부(510)의 말단에 결합된 와이어(511)가 스프링(521)의 탄성력을 이기며 고정블록(530)를 당기게 되고 이로 인해 고정블록(530)이 지지프레임(210)에 승강판(320)을 고정시키는 것을 해제하게 된다.
이러한 고정블록(530)는 상측면은 곡면으로 이루어져 승강판(320)이 다시 상승하여 지지프레임(210)에 고정될 때는 지지프레임(210)의 하면이 고정블록(530)의 상측면의 곡면을 누르며 고정블록(530)이 다시 고정기둥(520)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고정블록(530)이 지지프레임(210)의 상측으로 이동한 후에는 다시 스프링(521)에 의해 고정블록(530)이 돌출하며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판(320)이 지지프레임(210)에 고정된다.
도 8은 하강속도조절부를 나타낸다. 하강속도조절부는 가이드레일(140)과 승강안내부재(230)의 사이에 설치되어 승강판(320)에 탑승하는 사용자의 중량에 따라 가이드레일(140)에 대한 승강안내부재(230)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승강판(320)이 내려가는 속도를 조절하는 장치이다.
하강속도조절부는 승강판(320)의 하부에 설치된 다수의 탄성부재(610)와, 승강판(320)과 결합된 와이어(601)와, 승강안내부재(230)의 내부에 설치된 가압부재(620)와, 와이어(601)와 연동되며 승강안내부재(230)의 내부에 설치된 가압마찰부재로 구성된다.
승강판(320)의 하부에는 다수의 탄성부재(610)가 설치된다. 탄성부재(6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판(3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승강판(320)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610)는 승강판(320)에 탑승하는 사용자의 무게에 대응하여 승강판(320)의 하강거리를 조절하게 된다. 즉, 사람이 많이 탑승할수록 승강판(320)이 하강되는 거리가 증가된다.
와이어(601)는 승강판(320)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가압마찰부재의 상측에 형성된 통과공을 관통하여 하측에 고정된다. 와이어(601)는 승강판(320)이 하방 이동하면 가압마찰부재의 하측을 상측으로 당기며 이동시키게 된다.
가압부재(620)는 승강안내부재(230)의 내부에 위치하며 판스프링의 형태를 가진다. 가압부재(620)는 가이드레일(140)의 측면에 부분적으로 접촉하여 가이드레일(140)의 측면을 향해 탄성력을 가하게 된다.
가압마찰부재는 가압부재(620)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되, 가압부재(620)와 구분되어 설치된다. 가압마찰부재는 가이드부(231)의 상측에 고정되는 상측부와, 가이드부(231)의 내측에 가이드부(231)를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측부 및 상측부와 하측부를 연결하며 가이드레일(140)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는 판스프링부재(621)로 구성된다. 이러한 가압마찰부재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승강판(320)에 탑승하지 않았을 때는 가압부재(620)와 가압마찰부재의 형상이 유사하지만, 사용자가 승강판(320)에 탑승했을 때는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마찰부재의 하측부가 상측부를 향해 당겨지며 이동하며 판스프링부재(621)의 굴곡량이 증가하여 판스프링부재(621)가 가이드레일(140)을 가압하는 힘과 면적이 증가한다. 따라서, 판스프링부재(621)가 가이드레일(140)의 측방을 가압하는 힘이 증가하여 가이드레일(140)과 승강안내부재(230) 사이에 마찰력이 증가하게 된다.
와이어(601)는 이러한 가압마찰부재의 상측부를 관통하여 하측부에 결합되며, 와이어(601)가 당겨지는 것에 의해 하측부는 상측부로 승강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판스프링부재(621)의 굴곡이 증가하게 된다. 즉, 승강판(320)에 탑승자가 많을수록 판스프링부재(621)가 가이드레일(140)을 가압하는 힘과 면적이 증가하여 승강안내부재(230)가 가이드레일(140)을 따라 하강하는 속도가 감소하게 되며, 이로인해 승강판(320)의 안정적인 하강이동이 가능해진다.
도 10은 복수의 비상탈출장치가 건물에 설치되어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장치는 건물의 층마다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판(320)과 승강판(320)을 승강구동하기 위한 구성들은 회동프레임부(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층별로 반대방향에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한 층에서 승강판(320)을 이용하여 아래층으로 이동하게 되고, 아래층에서 반대 방향에 대기하고 있는 승강판(320)으로 이동한 후 다시 그 아래층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반복이동을 통해 지상으로 탈출하게 된다.
한편, 비상탈출장치가 건물의 층마다 설치되는 경우, 조작유니트(400)가 작동되어 회동프레임부(200)가 회동하는 힘을 이용하여 하부의 조작유니트(400)를 작동시키는 연동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동구동부는 일단이 상층의 회동프레임부(200)와 결합되고 타측이 조작손잡이(410)에 형성되는 연동돌기(440)에 고정되는 연동와이어(901a, 901b)로 구성될 수 있다.
연동와이어(901a, 901b)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층에 걸쳐 설치된다. 즉, 연동와이어(901a)의 일측은 현재 층의 회동프레임부(200)의 측면에 결합되고, 타측는 아래 층의 조작손잡이(410)의 연동돌기(440)에 결합된다. 도 3과 도 4의 조작손잡이(410)의 연동돌기(440)에 결합된 연동와이어(901b)는 일측이 상측의 회동프레임부(200)의 측면에 결합되었을 것이것이도, 타측은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층의 조작손잡이(410)의 연동돌기(440)에 결합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층의 조작손잡이(410)를 작동시켜 회동프레임부(200)가 회동하면 상층의 연동와이어가 현재 층의 연동돌기(440)를 잡아당기며 조작손잡이(410)를 회동축(401)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게 되어 현재 층의 외벽판펼침부와 회동프레임작동유니트를 동작시키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현재 층의 조작손잡이(410)를 회전시켜 현재 층의 회동프레임부(200)가 회동하게 되면 이로 인해 현재 층의 연동와이어(901a)가 당겨져 아래 층의 연동돌기(440)가 아래층의 회동축(40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아래 층의 외벽판펼침부와 회동프레임작동유니트가 동작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그 아래층에도 마찬가지로 연속적으로 작용된다. 즉, 사용자가 특정 층의 조작손잡이(410)를 회전시켜 특정 층의 회동프레임부(200)가 회동하게 되면, 그 아래층들의 외벽프레임부(100)와 회동프레임부(200)들이 모두 동작하게 된다.
이는, 외부에서 바라봤을 때 외벽프레임부(100)들이 펼쳐진 것을 통해 어느 층에서 긴급 상황이 발생했는지 용이하게 파악하게 해주는 효과를 가지며, 간단한 구성으로 연속적인 외벽프레임부(100)와 회동프레임부(200)의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비상탈출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10은 도시 상 가장 위쪽에 설치된 조작유니트가 작동하여 아래층들의 외벽프레임부와 회동프레임부가 펼쳐진 상태에서, 중간층의 승강판이 하층으로 하강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상측의 승강판은 중간층으로 하강한 후 다시 상측으로 복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화재와 같은 재난 발생 시 사용자는 조작유니트(400)의 조작손잡이(410)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외벽프레임부(100)와 회동프레임부(200)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회동프레임부(200)가 눕혀지는 과정에서 하층의 조작유니트(400)가 작동하여 하층의 외벽프레임부(100)와 회동프레임부(200)도 작동한다.
그 후, 사용자는 회동프레임부(200)의 승강판(320)으로 이동하여 의자(b)에 착석한 후 조작핸들부(510)를 통해 승강판(320)을 지지프레임(210)으로부터 고정해제시켜 아래 층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때, 승강판(320)은 완강기(310)와 완강기줄에 의해 천천히 하강하게 되며, 승강안내부재(230)가 가이드레일(140)을 따라 하강하므로 안정적으로 하강이동할 수 있고, 하강속도조절부로 인해 사용자의 무게에 따라 하강속도가 조절된다.
아래 층에 도착한 사용자는 반대편에 마련된 승강판(320)으로 이동하여 의자(b)에 착석한 후 다시 조작핸들부(510)를 통해 승강판(320)을 다음 층으로 하강시키며 비상탈출을 실시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들은 체인의 형태로 준비될 수 있으며, 도르래를 통해 설치위치나 이동하는 방향 및 연장된 방향들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장치는 사용자가 조작유니트(400)의 조작손잡이(410)를 회전시키는 것에 연동되어 비상상황을 알리는 경보기유니트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또는 조작손잡이(410)와 연동되어 건물 내의 화재경보시스템이 비상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조작손잡이(410)를 회전시키는 것에 연동되어 인근의 파출소나 소방서의 작동유무를 알려 비상상황을 알리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레일(140)은 하부의 영역이 상부의 영역에 비해 직경이 큰 확관레일부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확관레일부로 인해 승강판(320)이 하강 하였을 때 확관레일부의 표면이 가이드부(231) 내에 있는 가압부재(620) 또는 판스프링부재(621)과 접촉하여 이들의 상대적인 마찰력의 증가를 통해 승강판(320)이 가이드레일(140)의 하부영역인 확관레일부와 인접하거나, 확관레일부를 통과할 때 승강판(320)의 하강속도를 낮추어 보다 안정적으로 하강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a : 건물바닥 b : 의자
100 : 외벽프레임부 101 : 펼침스프링
102 : 와이어 103 : 고리부
110 : 외벽판 120 : 수평프레임
130 : 수직프레임 140 : 가이드레일
150 : 펼침가이드 200 : 회동프레임부
201 : 고정부 202 : 와이어
203 : 작동스프링 210 : 지지프레임
220 : 대기발판 230 : 승강안내부재
231 : 가이드부 232 : 확관부
233 : 절취부 240 : 펼침보조부재
250 : 펼침보조돌기 300 : 승강유니트
310 : 완강기 320 : 승강판
400 : 조작유니트 401 : 회동축
402 : 탄성부재 410 : 조작손잡이
420 : 외벽판작동돌기 430 : 회동프레임작동돌기
440 : 연동돌기 510 : 조작핸들부
511 : 와이어 520 : 고정기둥
521 : 스프링 530 : 고정블록
601 : 와이어 610 : 탄성부재
620 : 가압부재 621 : 판스프링부재
901, 901a, 901b : 연동와이어

Claims (5)

  1.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탈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벽에 근접하는 접힘상태와, 상기 외벽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외벽과의 사이에 수직이동공간을 형성하는 펼침상태 간을 절첩가능하게 설치되는 외벽프레임부와,
    상기 건물의 바닥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바닥에 수직하게 배치된 대기상태와 상기 수직이동공간의 축선에 가로방향으로 눕혀진 회동상태 간을 동작하는 회동프레임부와,
    상기 외벽프레임부와 상기 회동프레임부를 작동하는 조작유니트와,
    상기 회동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이동공간을 따라 승강 가능한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을 지지하는 완강기를 포함하는 승강유니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동공간을 따라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회동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이동가능한 승강안내부재와,
    상기 가이드레일과 상기 승강안내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판에 탑승하는 사용자의 중량에 따라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한 상기 승강안내부재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하강속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속도조절부는 상기 승강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탄성부재와, 상기 승강안내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레일을 향해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접촉해 있는 판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가압마찰부재와, 일단이 상기 승강판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가압마찰부재와 연결된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승강판의 하강거리가 클수록 상기 판스프링부재가 상기 가이드레일을 가압하는 힘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프레임부의 말단에는 상기 외벽프레임부의 회동상태에서 외벽판 방향으로 돌출된 판스프링 형태의 펼침보조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펼침보조부재는 상기 회동프레임부가 회동될 때 상기 외벽판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회동프레임부가 회동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거나 상기 외벽프레임부가 완벽하게 펼쳐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탈출장치는 상기 건물의 층별로 설치되며,
    상기 승강판은 상기 건물의 층별로 서로 반대방향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회동프레임부에 설치되고, 타측이 하층에 설치된 상기 조작유니트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프레임부의 회동에 의해 하층에 설치된 상기 조작유니트를 작동시켜 하층의 상기 외벽프레임부와 상기 회동프레임부를 동작시키는 연동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KR1020190158027A 2019-05-10 2019-12-02 비상탈출장치 KR202001300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170 2019-05-10
KR20190055170 2019-05-1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900A Division KR102053083B1 (ko) 2019-05-10 2019-06-25 비상탈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0067A true KR20200130067A (ko) 2020-11-18

Family

ID=6883695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900A KR102053083B1 (ko) 2019-05-10 2019-06-25 비상탈출장치
KR1020190158027A KR20200130067A (ko) 2019-05-10 2019-12-02 비상탈출장치
KR1020190158028A KR20200130068A (ko) 2019-05-10 2019-12-02 비상탈출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900A KR102053083B1 (ko) 2019-05-10 2019-06-25 비상탈출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028A KR20200130068A (ko) 2019-05-10 2019-12-02 비상탈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0530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898B1 (ko) * 2020-03-09 2020-10-26 나판주 안전 비상탈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7891U (ja) * 2004-09-24 2005-04-07 恣意 陳 ビル避難用設備
KR200450338Y1 (ko) * 2008-03-07 2010-09-24 양해완 고층건물용 비상탈출장치
KR101131484B1 (ko) * 2010-05-19 2012-03-30 노석종 긴급대피용 피난장치
KR101975737B1 (ko) * 2019-01-17 2019-05-07 김주미 고층 건물에서 갤러리창을 이용한 화재 피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3083B1 (ko) 2019-12-06
KR20200130068A (ko) 202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5487B1 (ko) 피난용 사다리
KR102119351B1 (ko) 무동력 비상탈출장치
KR102263950B1 (ko) 실린더 및 움직 도르래를 이용한 안전 피난 장치
KR20200130067A (ko) 비상탈출장치
US20040118635A1 (en) Apparatus for evacuating people from a high building in emergency
KR102264809B1 (ko) 발코니 방식 건물 대피 구조물
KR102560658B1 (ko) 포설용 말비계탑승장치
JP2005305076A (ja) 火災避難用昇降装置
KR20220046319A (ko) 컨틸레버 방식 건물 대피 구조물
KR20080086319A (ko) 안테나 사다리
KR102371649B1 (ko) 이동식 수직 리프트
KR20130006134A (ko) 피난자에 대응하여 동작이 가능한 윈치 및 그를 갖는 피난용 사다리
JP2019042158A (ja) 避難装置
US5025891A (en) Escape for a building
KR102169897B1 (ko) 재난 대피장치
KR100992596B1 (ko) 상부 개방형 복층 승강기
KR101420407B1 (ko) 비상탈출장치용 안전사다리
KR102169895B1 (ko) 안전 피난장치
CN105879247B (zh) 一种高楼救援系统
KR102109587B1 (ko) 접이식 피난 기구
JPH0240240Y2 (ko)
KR20070087319A (ko) 비상 승강장치
KR102374667B1 (ko) 링크형 무동력 비상탈출장치
KR102333917B1 (ko) 자동확장 손잡이를 구비하는 실린더 및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안전 피난 장치
KR102495835B1 (ko) 무게추 내장형 비상탈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