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9881A -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역화폐 교환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역화폐 교환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9881A
KR20200129881A KR1020190054942A KR20190054942A KR20200129881A KR 20200129881 A KR20200129881 A KR 20200129881A KR 1020190054942 A KR1020190054942 A KR 1020190054942A KR 20190054942 A KR20190054942 A KR 20190054942A KR 20200129881 A KR20200129881 A KR 20200129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hange
local currency
exchanged
server
lo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선태
Original Assignee
정선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태 filed Critical 정선태
Priority to KR1020190054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9881A/ko
Publication of KR20200129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8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06Q20/0658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e-cash managed loc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3Solvency checks
    • G06Q20/4033Local solvency che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역화폐 교환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개인별 또는 가맹점별로 클라우드 서버와 접속을 위해 부여한 노드를 통해 디바이스와 접속하되, 디바이스로부터 교환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전자계약에 따라 생성한 블록을 다수의 노드에 분산시켜 hash값만 저장하고, 교환을 요청한 지역화폐의 유효성 인증을 통해 교환요청과 대응하는 지역화폐를 교환하며, 교환한 지역화폐 및 거래내역을 분산된 노드 중에 어느 하나와 접속된 별도의 저장소에 보관하는 교환결제서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교환결제거래소를 통해 사용자간 또는 사용자와 상점간의 지역화폐 교환 요청에 따른 교환결제를 대행함으로써, 특정 지역에서 구매한 지역화폐를 타 지역의 지역화폐로 교환하여 사용이 가능하고, 개인 또는 가맹점과 교환결제거래소간의 지역화폐 교환거래시 마다 거래당사자간의 전자계약를 통해 블록을 생성하여 각 노드(분산 공유 원장)에 저장하되, 각 노드에는 Hash값만 저장하고 실제 거래내역은 별도의 저장소에 보관하여hash값이 일치할 때만 열람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지역화폐의 구매, 교환 또는 결제 중에 어느 하나에 대한 거래내역의 진위성 증명 및 위/변조 방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역화폐 교환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exchange-paying local currency using block chain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역화폐 교환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환결제거래소가 사용자간 또는 사용자와 상점간의 지역화폐 교환 요청에 따른 교환결제를 대행하되, 다수의 블록으로 분할한 거래내역을 클라우드 시스템에 분산 저장하는 블록체인 기법을 이용하여 거래내역에 대한 진위를 증명하고 위변조를 방지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역화폐는 지역사회 구성원들 간 합의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화폐로 특정 지역 내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무엇보다 해당 지역 내에서만 거래되기 때문에 자금이 외부로 나가는 것을 막고 지역 소비를 활성화 하는데 있어서도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지역화폐는 골목 상권이나 영세상가 등등 소규모 점포에서 사용이 되었을 경우, 소상공인 및 자영업자의 소득을 늘릴 수 있음과 동시에 상인들은 카드 수수료를 따로 부담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긍정적이고, 무엇보다 관광객들에게 상품권 형식의 지역화폐를 판매한다면 외부로부터 자금이 유입되어 지역 경제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지역화폐는 말 그대로 특정 지역내 위치한 상점에서만 소비할 수 있기 때문에 주로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지역민이 구매하여 이용하거나, 관광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이유로 타 지역에서 특정 지역을 방문할 경우, 지역화폐를 구입해서 방문한 지역에서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방문한 특정 지역에서 사용하고 남은 지역화폐는 해당 지역으로 재방문 해야지만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부분 사용되지 못하고 폐기되고 있다.
또한, 지역화폐 사용시 부득불 거스름돈이 발생하기 마련이고 거스름돈 교환 과정의 불편함으로 인해 당초 좋은 취지에도 불구하고, 지역화폐 사용을 기피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출원인은 교환결제거래소를 통해 사용자간 또는 사용자와 상점간의 지역화폐 교환 요청에 따른 교환결제를 대행함으로써, 특정 지역에서 구매한 지역화폐를 타 지역의 지역화폐로 교환하여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37166호(2018.03.09.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교환결제거래소를 통해 사용자간 또는 사용자와 상점간의 지역화폐 교환 요청에 따른 교환결제를 대행함으로써, 특정 지역에서 구매한 지역화폐를 타 지역의 지역화폐로 교환하여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인 또는 가맹점과 교환결제거래소간의 지역화폐 교환거래시 마다 거래당사자간의 전자계약를 통해 블록을 생성하여 각 노드(분산 공유 원장)에 저장하되, 각 노드에는 Hash값만 저장하고 실제 거래내역은 별도의 저장소에 보관하여hash값이 일치할 때만 열람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지역화폐의 구매, 교환 또는 결제 중에 어느 하나에 대한 거래내역의 진위성 증명 및 위/변조 방지를 가능하게 하는데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역화폐 교환결제 시스템으로서, 개인별 또는 가맹점별로 클라우드 서버와 접속을 위해 부여한 노드를 통해 디바이스와 접속하되, 디바이스로부터 교환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전자계약에 따라 생성한 블록을 다수의 노드에 분산시켜 hash값만 저장하고, 교환을 요청한 지역화폐의 유효성 인증을 통해 교환요청과 대응하는 지역화폐를 교환하며, 교환한 지역화폐 및 거래내역을 분산된 노드 중에 어느 하나와 접속된 별도의 저장소에 보관하는 교환결제서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디바이스는 지역화폐 교환 이후, 전자계약시 생성한 블록의 hash값과 분산된 노드에 저장된 hash값이 일치하는 경우, 교환한 지역화폐 및 거래내역을 열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교환결제서버는, 가입된 개인 또는 가맹점별로 부여된 노드를 통해 접속되는 디바이스의 계정을 관리하되, 각 계정별 거래내역의 hash값을 다수의 노드에 분산하여 저장하고, 계정별 거래내역을 분산된 노드 중에 어느 하나와 접속된 별도의 저장소에 저장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교환결제서버는, 교환요청에 따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지역화폐 식별데이터를 지역화폐 인증서버로 전송하여 진위 인증을 수행토록 하고, 진위 인증된 지역화폐들을 교환가능 Pool에 저장하며, 교환가능 Pool 내에서 교환할 지역화폐를 교환받을 지역화폐로 교환하여 거래내역을 생성하는 교환결제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교환결제서버는, 지역화폐 식별데이터를 발행처로 전송하여 확인한 진위여부 결과를 상기 교환결제 관리서버로 피드백하되, 발행처로부터 수신한 지역화폐 발행내역, 진위여부 결과 및 지역화폐 이용내역을 블록으로 분할해 다수의 노드로 분산시켜 hash값만 저장하며, 지역화폐 발행내역, 진위여부 결과 및 지역화폐 이용내역을 분산된 노드 중에 어느 하나와 접속된 별도의 저장소에 저장하는 지역화폐 인증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역화폐 교환결제 방법은, 교환결제서버가 디바이스로부터 교환요청을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a) 단계; (a) 단계의 판단결과, 교환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교환결제서버가 전자계약에 따라 생성한 블록을 다수의 노드에 분산시켜 hash값만 저장하는 (b) 단계; 교환결제서버가 교환요청과 대응하는 지역화폐의 유효성 인증 여부를 판단하는 (c) 단계; (c) 단계의 판단결과, 유효성이 인증된 경우, 교환결제서버가 교환요청과 대응하는 지역화폐를 교환하는 (d) 단계; 및 교환결제서버가 교환한 지역화폐 및 거래내역을 분산된 노드 중에 어느 하나와 접속된 별도의 저장소에 보관하는 (e)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c) 단계 이후, 교환결제서버가 진위 인증된 지역화폐들을 교환가능 Pool에 저장하는 (d-1) 단계; 교환결제서버가 교환가능 Pool 내에 교환할 지역화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d-2) 단계; (d-2) 단계의 판단결과, 교환가능 Pool 내에 교환받을 지역화폐가 존재하는 경우, 교환결제서버가 교환할 지역화폐를 교환받을 지역화폐로 교환하는 (d-3) 단계; 및 교환결제서버가 지역화폐 교환에 따른 거래내역을 생성하는 (d-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2) 단계 이후, (d-2) 단계의 판단결과, 교환받을 지역화폐가 교환가능 Pool에 없는 경우, 교환결제서버가 지역화폐 인증서버를 경유해 접속한 발행처와 접속하는 (d-5) 단계; 교환결제서버가 요청한 교환받을 지역화폐를 생성 또는 구입하는 (d-6) 단계; 및 교환결제서버가 발행처와의 지역화폐 교환에 따른 거래내역을 생성하는 (d-7)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교환결제거래소를 통해 사용자간 또는 사용자와 상점간의 지역화폐 교환 요청에 따른 교환결제를 대행함으로써, 특정 지역에서 구매한 지역화폐를 타 지역의 지역화폐로 교환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개인 또는 가맹점과 교환결제거래소간의 지역화폐 교환거래시 마다 거래당사자간의 전자계약를 통해 블록을 생성하여 각 노드(분산 공유 원장)에 저장하되, 각 노드에는 Hash값만 저장하고 실제 거래내역은 별도의 저장소에 보관하여hash값이 일치할 때만 열람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지역화폐의 구매, 교환 또는 결제 중에 어느 하나에 대한 거래내역의 진위성 증명 및 위/변조 방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역화폐 교환결제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역화폐 교환결제 시스템의 클라우드 서버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역화폐 교환결제 시스템의 교환결제 관리서버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역화폐 교환결제 시스템의 지역화폐 인증서버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역화폐 교환결제 시스템의 사용자 디바이스간의 지역화폐 교환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역화폐 교환결제 시스템의 사용자 디바이스와 상점 디바이스간의 지역화폐 교환을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역화폐 교환결제 시스템의 클라우드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역화폐 교환결제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역화폐 교환결제 방법의 제S400단계의 세부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역화폐 교환결제 방법의 제S404단계 이후 또 다른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그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역화폐 교환결제 시스템(S)은, 개인별 또는 가맹점별로 클라우드 서버와 접속을 위해 부여한 노드를 통해 디바이스(10)와 접속하되, 디바이스(10)로부터 발행처(20)에 의해 기 발행된 지역화폐에 대한 교환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전자계약에 따라 생성한 블록을 다수의 노드에 분산시켜 hash값만 저장하고, 교환을 요청한 지역화폐의 유효성 인증을 통해 교환요청과 대응하는 지역화폐를 교환하며, 교환한 지역화폐 및 거래내역을 분산된 노드 중에 어느 하나와 접속된 별도의 저장소에 보관하는 교환결제서버(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디바이스(10)는 지역화폐 교환 이후, 전자계약시 생성한 블록의 hash값과 분산된 노드에 저장된 hash값이 일치하는 경우, 교환한 지역화폐 및 거래내역을 열람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그 구체적인 언급을 생략하겠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는 개인 계정과 연동되는 단말기 또는 가맹점과 연동되는 단말기를 포함하며, 단말기는 스마트폰, PC 또는 POS단말기 중에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교환결제서버(100)의 클라우드 서버(102)는 가입된 개인 또는 가맹점별로 부여된 노드를 통해 접속되는 디바이스(10)의 계정을 관리하되, 각 계정별 거래내역의 hash값을 다수의 노드에 분산하여 저장하고, 계정별 거래내역을 분산된 노드 중에 어느 하나와 접속된 별도의 저장소에 저장한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102)는 개인 또는 가맹점 각각의 지역화폐 발행 및 교환을 위한 앱, SDK 및 블록체인 거래인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며, 부여된 노드를 통해 접속된 디바이스(10)로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다운로드를 제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교환결제서버(100)의 교환결제 관리서버(104)는 교환요청에 따라 디바이스(10)로부터 수신한 지역화폐 식별데이터를 지역화폐 인증서버(106)로 전송하여 진위 인증을 수행토록 하고, 진위 인증된 지역화폐들을 교환가능 Pool에 저장하며, 교환가능 Pool 내에서 교환할 지역화폐를 교환받을 지역화폐로 교환하여 거래내역을 생성한다.
또한, 교환결제 관리서버(104)는 지역화폐를 교환에 따른 거래내역을 블록으로 분할해 다수의 노드로 분산시켜 hash값만 저장하고, 교환한 지역화폐 및 거래내역을 분산된 노드 중에 어느 하나와 접속된 별도의 저장소에 저장한다.
이때, 교환할 지역화폐가 지류인 경우, 교환결제 관리서버(104)가 디바이스(10)로부터 지역화폐에 인쇄된 QR코드로부터 리딩한 지역화폐 식별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교환할 지역화폐를 상점에 제시하는 경우, 상점 디바이스(12)가 사용자 디바이스(14)에 노출된 지역화폐 식별데이터를 리딩하고, 교환결제 관리서버(104)가 상점 디바이스(12)로부터 지역화폐 식별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사용자 디바이스(14)는 기 발행받은 지역화폐 식별데이터를 전자지갑의 일종인 월렛(wallet) 형태로 저장된다.
또한, 교환결제 관리서버(104)는 교환할 지역화폐가 교환가능 Pool에 없는 경우, 지역화폐 인증서버(106)를 경유해 접속한 발행처(20)로부터 교환받을 지역화폐를 생성 또는 구입하여 거래내역을 생성한다. 이때, 발행처(20)는 지역화폐를 발행하는 주체로 각 자치단체별로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교환결제 관리서버(104)는 지역화폐 교환에 따른 결제/수수료를 처리하되, 교환할 지역화폐에서 수수료를 차감하여 교환받을 지역화폐로 교환하거나 별도의 방법으로 수수료를 수취한다.
그리고, 교환결제 관리서버(104)는 지역화폐 교환, 발행 또는 결제에 대한 제반 거래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고, 블록체인 거래인증 데이터의 마스터 관리기능(교환/결제 관련 body 보관)을 수행한다.
이때, 상점 디바이스(12)는 사용자 디바이스(14)로부터 교환결제 관리서버(104)에 의해 진위여부가 확인된 지역화폐 식별데이터를 리딩하고, 상점 디바이스(12) 와 사용자 디바이스(14)간에 교환요청에 따른 상호 확인을 거친 후에만 거래가 완료되도록 구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역화폐 인증서버(106)는 교환결제 서버(104)로부터 수신한 지역화폐 식별데이터를 발행처(20)로 전송하여 확인한 진위여부 결과를 피드백 한다. 이때, 진위여부 확인을 위한 지역화폐 식별데이터 전송은 오픈 API 등의 전송 수단을 활용한다.
또한, 지역화폐 인증서버(106)는 발행처(20)로부터 수신한 지역화폐 발행내역, 진위여부 결과 및 지역화폐 이용내역을 블록으로 분할해 다수의 노드로 분산시켜 hash값만 저장하며, 지역화폐 발행내역, 진위여부 결과 및 지역화폐 이용내역을 분산된 노드 중에 어느 하나와 접속된 별도의 저장소에 저장한다.
그리고, 지역화폐 인증서버(106)는 발행처(20)와 접속되어 지역화폐 구입이력, 및 지역화폐 교환에 따른 거래내역를 저장 및 관리하고, 블록체인 거래인증 데이터의 마스터 관리기능(교환/결제 관련 body 보관)을 수행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역화폐 교환결제 시스템의 사용자 디바이스간의 지역화폐 교환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6은 사용자 디바이스와 상점 디바이스간의 지역화폐 교환을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7은 도 2와 대응되는 블록체인 기법을 적용한 클라우드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처럼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교환결제거래소를 통해 사용자간 또는 사용자와 상점간의 지역화폐 교환 요청에 따른 교환결제를 대행함으로써, 특정 지역에서 구매한 지역화폐를 타 지역의 지역화폐로 교환하여 사용이 가능하고, 개인 또는 가맹점과 교환결제거래소간의 지역화폐 교환거래시 마다 거래당사자간의 전자계약를 통해 블록을 생성하여 각 노드(분산 공유 원장)에 저장하되, 각 노드에는 Hash값만 저장하고 실제 거래내역은 별도의 저장소에 보관하여hash값이 일치할 때만 열람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지역화폐의 구매, 교환 또는 결제 중에 어느 하나에 대한 거래내역의 진위성 증명 및 위/변조 방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역화폐 교환결제 방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교환결제서버(100)가 디바이스(10)로부터 교환요청을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0).
제S100단계의 판단결과, 교환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교환결제서버(100)가 전자계약에 따라 생성한 블록을 다수의 노드에 분산시켜 hash값만 저장한다(S200).
이어서, 교환결제서버(100)가 교환요청과 대응하는 지역화폐의 유효성 인증 여부를 판단한다(S300).
제S300단계의 판단결과, 유효성이 인증된 경우, 교환결제서버(100)가 교환요청과 대응하는 지역화폐를 교환한다(S400).
그리고, 교환결제서버(100)가 교환한 지역화폐 및 거래내역을 분산된 노드 중에 어느 하나와 접속된 별도의 저장소에 보관한다(S500).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역화폐 교환결제 방법의 제S400단계의 세부과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제S300단계 이후, 교환결제서버(100)가 진위 인증된 지역화폐들을 교환가능 Pool에 저장한다(S402).
이어서, 교환결제서버(100)가 교환가능 Pool 내에 교환할 지역화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04).
제S404단계의 판단결과, 교환받을 지역화폐가 존재하는 경우, 교환결제서버(100)가 교환할 지역화폐를 교환받을 지역화폐로 교환한다(S406).
그리고, 교환결제서버(100)가 지역화폐 교환에 따른 거래내역을 생성한다(S408).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역화폐 교환결제 방법의 제S404단계 이후 또 다른 과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제S404단계의 판단결과, 교환받을 지역화폐가 교환가능 Pool에 없는 경우, 교환결제서버(100)가 지역화폐 인증서버(106)를 경유해 접속한 발행처(20)와 접속한다(S410).
이어서, 교환결제서버(100)가 교환결제서버가 요청한 교환받을 지역화폐를 생성 또는 구입한다(S412).
그리고, 교환결제서버(100)가 발행처(20)와의 지역화폐 교환에 따른 거래내역을 생성한다(S414).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S: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역화폐 교환결제 시스템
10: 디바이스
12: 상점 디바이스
14: 사용자 디바이스
100: 교환결제서버
102: 클라우드 서버
104: 교환결제 관리서버
106: 지역화폐 인증서버

Claims (8)

  1. 개인별 또는 가맹점별로 클라우드 서버와 접속을 위해 부여한 노드를 통해 디바이스와 접속하되,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교환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전자계약에 따라 생성한 블록을 다수의 노드에 분산시켜 hash값만 저장하고, 교환을 요청한 지역화폐의 유효성 인증을 통해 교환요청과 대응하는 지역화폐를 교환하며, 교환한 지역화폐 및 거래내역을 분산된 노드 중에 어느 하나와 접속된 별도의 저장소에 보관하는 교환결제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역화폐 교환결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지역화폐 교환 이후, 전자계약시 생성한 블록의 hash값과 분산된 노드에 저장된 hash값이 일치하는 경우, 교환한 지역화폐 및 거래내역을 열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역화폐 교환결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결제서버는,
    가입된 개인 또는 가맹점별로 부여된 노드를 통해 접속되는 디바이스의 계정을 관리하되, 각 계정별 거래내역의 hash값을 다수의 노드에 분산하여 저장하고, 계정별 거래내역을 분산된 노드 중에 어느 하나와 접속된 별도의 저장소에 저장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역화폐 교환결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결제서버는,
    교환요청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지역화폐 식별데이터를 지역화폐 인증서버로 전송하여 진위 인증을 수행토록 하고, 진위 인증된 지역화폐들을 교환가능 Pool에 저장하며, 교환가능 Pool 내에서 교환할 지역화폐를 교환받을 지역화폐로 교환하여 거래내역을 생성하는 교환결제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역화폐 교환결제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결제서버는,
    상기 지역화폐 식별데이터를 발행처로 전송하여 확인한 진위여부 결과를 상기 교환결제 관리서버로 피드백하되,
    상기 발행처로부터 수신한 지역화폐 발행내역, 진위여부 결과 및 지역화폐 이용내역을 블록으로 분할해 다수의 노드로 분산시켜 hash값만 저장하며, 지역화폐 발행내역, 진위여부 결과 및 지역화폐 이용내역을 분산된 노드 중에 어느 하나와 접속된 별도의 저장소에 저장하는 지역화폐 인증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역화폐 교환결제 시스템.
  6. (a) 교환결제서버가 디바이스로부터 교환요청을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판단결과, 교환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교환결제서버가 전자계약에 따라 생성한 블록을 다수의 노드에 분산시켜 hash값만 저장하는 단계;
    (c) 교환결제서버가 교환요청과 대응하는 지역화폐의 유효성 인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의 판단결과, 유효성이 인증된 경우, 교환결제서버가 교환요청과 대응하는 지역화폐를 교환하는 단계; 및
    (e) 교환결제서버가 교환한 지역화폐 및 거래내역을 분산된 노드 중에 어느 하나와 접속된 별도의 저장소에 보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역화폐 교환결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
    (d-1) 교환결제서버가 진위 인증된 지역화폐들을 교환가능 Pool에 저장하는 단계;
    (d-2) 교환결제서버가 교환가능 Pool 내에 교환할 지역화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3) 상기 (d-2) 단계의 판단결과, 교환가능 Pool 내에 교환받을 지역화폐가 존재하는 경우, 교환결제서버가 교환할 지역화폐를 교환받을 지역화폐로 교환하는 단계; 및
    (d-4) 교환결제서버가 지역화폐 교환에 따른 거래내역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역화폐 교환결제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2) 단계 이후,
    (d-5) 상기 (d-2) 단계의 판단결과, 교환받을 지역화폐가 교환가능 Pool에 없는 경우, 교환결제서버가 지역화폐 인증서버를 경유해 접속한 발행처와 접속하는 단계;
    (d-6) 교환결제서버가 요청한 교환받을 지역화폐를 생성 또는 구입하는 하는 단계; 및
    (d-7) 교환결제서버가 발행처와의 지역화폐 교환에 따른 거래내역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역화폐 교환결제 시스템.
KR1020190054942A 2019-05-10 2019-05-10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역화폐 교환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298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942A KR20200129881A (ko) 2019-05-10 2019-05-10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역화폐 교환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942A KR20200129881A (ko) 2019-05-10 2019-05-10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역화폐 교환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881A true KR20200129881A (ko) 2020-11-18

Family

ID=73697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942A KR20200129881A (ko) 2019-05-10 2019-05-10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역화폐 교환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988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311B1 (ko) 2021-01-06 2021-12-23 박문찬 지역화폐사용자 및 재무전문가 상호간 스마트상담 매칭 플랫폼 시스템
CN113886499A (zh) * 2021-10-19 2022-01-04 赛维森(广州)医疗科技服务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病理数据分享方法、分享系统及计算设备
JP2024003940A (ja) * 2022-06-28 2024-01-16 Kddi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166B1 (ko) 2016-10-26 2018-03-09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 내의 블록별로 발란스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여 통화를 발행 및 지급 결제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한 서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166B1 (ko) 2016-10-26 2018-03-09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 내의 블록별로 발란스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여 통화를 발행 및 지급 결제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한 서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311B1 (ko) 2021-01-06 2021-12-23 박문찬 지역화폐사용자 및 재무전문가 상호간 스마트상담 매칭 플랫폼 시스템
CN113886499A (zh) * 2021-10-19 2022-01-04 赛维森(广州)医疗科技服务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病理数据分享方法、分享系统及计算设备
JP2024003940A (ja) * 2022-06-28 2024-01-16 Kddi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4166B2 (en) Securely modifying exchange items in an exchange item marketplace network
US11062366B2 (en) Securely processing exchange items in a data communication system
US11164228B2 (en) Method and medium for determining exchange item compliance in an exchange item marketplace network
US8733637B1 (en) Merchant gift card system and method
WO2018060951A1 (en) A system for trading in a contract-free manner
US20140337206A1 (en) Electronic Currency System
JP6775590B2 (ja) 安全な電子取引を促進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TWI646478B (zh) 匯款系統及方法
US11823179B1 (en) Pay with points virtual card
US20170213198A1 (en) Account and server free possession and transfer of entangled electronic money
KR102249864B1 (ko)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여신거래 서버 및 방법
KR20200129881A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역화폐 교환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10334794A1 (en) Resolving a parameter error associated with a primary blockchain
JP2018088076A (ja) 決済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決済方法、プログラム
US20240054524A1 (en) Pay with points virtual card
JP2008243199A (ja) 安全なネット取引方法
US2019017202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centralized Digital Currency Issuance, Secure Transfer and De-Issuance
US20160092942A1 (en)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s for integrating philanthropy and volunteering
CN110599344A (zh) 基于区块链的基金交易数据处理方法及装置
AU2018300622A1 (en) Payment system and method
US20240104560A1 (en) Digitization of payment cards for web 3.0 and metaverse transactions
WO2020247773A1 (en) Sustained off-line digital payment and viral loyalty money
WO2019011628A1 (en) SYSTEM AND METHOD OF PAY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