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9485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대기의 덕팅에 의한 간섭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대기의 덕팅에 의한 간섭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9485A
KR20200129485A KR1020190053955A KR20190053955A KR20200129485A KR 20200129485 A KR20200129485 A KR 20200129485A KR 1020190053955 A KR1020190053955 A KR 1020190053955A KR 20190053955 A KR20190053955 A KR 20190053955A KR 20200129485 A KR20200129485 A KR 20200129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sequence
symbols
interferen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세준
양하영
이주현
하길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3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9485A/ko
Priority to US15/929,530 priority patent/US11190280B2/en
Priority to PCT/KR2020/006044 priority patent/WO2020226440A1/en
Priority to EP20801470.4A priority patent/EP3903429B1/en
Publication of KR20200129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4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5/00Suppression or limitation of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4Co-operative use of antennas of several sites, e.g. in co-ordinated multipoint or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43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H04B7/265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for structure of frame, bur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기의 덕팅 현상에 따른 원방 간섭의 검출 및 제어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대기의 덕팅(ducting)에 의한 간섭 제어를 수행하는 제1 기지국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으로부터 시퀀스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시퀀스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시퀀스에 기반하여,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한 채널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채널의 추정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응되는 방향의 빔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대기의 덕팅에 의한 간섭 제어 방법 및 장치{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NTERFERENCE BY ATMOSPHERIC DUC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대기의 덕팅 현상에 따른 원방 간섭의 검출 및 제어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한편, 사업자(operator)에 의하여 복수의 기지국 간 동기화된 시간 분할(synchronized time division) 통신 기법이 적용되어도, 특정 지역 조건이나 날씨 조건 하에서, 예를 들면 높은 지대와 같이 공기 밀도가 낮은 경우, 일 기지국의 하향링크 신호가 멀리 떨어진(remote) 기지국에 대한 상향링크 신호의 간섭으로 작용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대기의 덕팅 현상(atmosphere ducting phenomenon)이라고 하는데, 이와 같은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간섭을 어떻게 제어해야 하는지가 문제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기지국에 대한 상향링크에 영향을 미치는 대기의 덕팅 현상에 따른 간섭을 측정 및 검출할 수 있는 시그널링 및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간섭의 검출 및 제어 동작을 셀 운용에 적용하는 방법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대기의 덕팅(ducting)에 의한 간섭 제어를 수행하는 제1 기지국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으로부터 시퀀스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시퀀스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시퀀스에 기반하여,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한 채널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채널의 추정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응되는 방향의 빔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대기의 덕팅(ducting)에 의한 간섭 제어를 수행하는 제1 기지국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으로부터 시퀀스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시퀀스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식별하며, 상기 시퀀스에 기반하여,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한 채널을 추정하고, 상기 채널의 추정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응되는 방향의 빔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 기지국에 대한 상향링크 신호에 간섭을 일으키는 기지국을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원방 간섭(대기의 덕팅 현상에 따른 간섭)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대기의 덕팅 현상에 따른 기지국 간 간섭 현상의 일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기지국의 원방 간섭의 측정 및 송수신 제어 동작을 간략하게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기지국이 victim 기지국인 경우 원방 간섭의 검출 및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제1 기지국의 수신 빔 제어 동작을 간략하게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기지국이 interfere 기지국인 경우 victim 기지국에 대한 빔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제1 기지국의 송신 빔 제어 동작을 간략하게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연접된 2개의 시퀀스에 대응되는 심볼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연접된 3개의 시퀀스에 대응되는 심볼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연접된 14개의 시퀀스에 대응되는 심볼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일반적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시퀀스들이 전송될 수 있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반 CP가 적용되는 0번 서브프레임에서의 시퀀스 전송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반 CP가 적용되는 5번 서브프레임에서의 시퀀스 전송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반 CP가 적용되는 special 서브프레임에서의 시퀀스 전송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확장 CP가 적용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의 시퀀스 전송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확장 CP가 적용되는 5번 서브프레임에서의 시퀀스 전송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확장 CP가 적용되는 special 서브프레임에서의 시퀀스 전송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기지국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앙 서버 및 기지국들 간의 관계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 및 채널형태를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에도 본 발명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약간의 변형으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의 성능 저하 여부를 감지하고 판단하는 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대기의 덕팅 현상에 따른 기지국 간 간섭 현상의 일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대기의 덕팅 현상이 발생되면,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은 간섭을 미치는 간섭(interfere) 기지국(110)으로, 또 다른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은 간섭 기지국(110)으로부터 간섭을 받는 희생(victim) 기지국(120)이 될 수 있다. 사업자에 의하여 interfere 기지국(110) 기지국과 victim 기지국(120)이 동일한 TDD(Time Division Duplex)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interfere 기지국(110)의 신호(1a)가, 대기의 덕팅 현상으로 멀리(remote) 위치하고 있는 victim 기지국(120)의 신호(1b)에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어, interfere 기지국(110)의 하나의 라디오 프레임에 해당하는 신호가 도 1에 도시된 신호 1a와 같고, victim 기지국(120)의 하나의 라디오 프레임에 해당하는 신호가 도 1에 도시된 신호 1b와 같은 경우, interfere 기지국(110)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은, victim 기지국(120)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에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이는, 대기의 덕팅 현상으로 인하여, 신호 1a가 원거리를 이동함에 따라 time domain 상으로 지연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호 1a의 첫 번째 및 두 번째 서브프레임은, 신호 1b의 세 번째 서브프레임에 간섭을 일으킬 수 있고, 신호 1a의 여섯 번째 및 일곱 번째 서브프레임은, 신호 1b의 여덟 번째 서브프레임에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기존의 LTE 시스템에서는 이와 같은 대기의 덕팅 현상으로 인한 원방 간섭을 검출할 신호가 존재하지 않았다. 즉, 원방 간섭의 경우, 어떤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간섭 하는지를 확인하여, 해당 기지국의 송수신 동작을 제어하여야 하는데, 이와 같은 간섭을 검출할 신호가 없어, 해당 기지국의 송수신 동작의 제어가 원활하게 수행되지 못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대기의 덕팅 현상에 의하여 발생하는 원방 간섭을 검출하여, 셀 운용에 적용할 수 있는 프레임 워크(frame-work)을 제공하고, 사업자들이 이를 통해 원방 간섭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기의 덕팅 현상에 의한 간섭의 검출 및 제어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대기의 덕팅 현상에 따른 간섭 및 원방 간섭의 용어를 혼용하여 기재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원방 간섭을 검출하기 위한 별도의 신호가 없었으며, 간섭 상황을 제어하기 위하여 간섭을 일으키는 interfere 기지국을 확인할 수도 없었던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각 기지국을 식별할 수 있는 특정 시퀀스를 이용하여, 원방 간섭을 검출하는 실시예를 제안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기지국의 원방 간섭의 측정 및 송수신 제어 동작을 간략하게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기지국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으로부터 시퀀스를 수신할 수 있다(S210).
여기에서, 제1 기지국은 원방 간섭을 일으키는 interfere 기지국일 수도 있고, 원방 간섭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victim 기지국일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은, 원방 간섭을 일으키는 interfere 기지국일 수도 있고, 원방 간섭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victim 기지국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원방 간섭 검출을 위한 신호로써 각 기지국을 식별할 수 있는 시퀀스를 이용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이 전송하는 시퀀스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식별할 수 있는 각각의 cell ID(Identification)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방 간섭 검출을 위한 시퀀스를 생성 및 전송하는 방법은 도 7 내지 도 16에서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기지국은, 수신된 시퀀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 각각을 식별할 수 있다(S220).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시퀀스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의 하향링크의 waveform으로 전송되기 때문에, 제1 기지국에서 시퀀스로부터 cell ID를 검출하는 검출기는, 하향링크(Downlink, DL)의 수신기 구조 따라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기지국의 검출기는, 상향링크(Uplink, UL) 수신기 구조에서 필요한 7.5kHz shift 기능 등이 생략될 수 있고, DFT-s-OFDM(Discrete Fourier Transform - Spread -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waveform이 아닌 OFDM waveform으로 시퀀스를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일 예로, NR(New Radio)의 경우, UL/DL waveform이 CP OFDM(Cyclic Prefix based OFDM)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제1 기지국의 검출기는 UL의 기지국의 수신기 구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기지국은, 수신된 시퀀스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 각각에 대한 채널을 추정할 수 있다(S230).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기지국은, 채널 추정 결과에 기반하여,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응되는 방향의 빔을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240).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시퀀스에 대한 채널 추정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기지국은, 제1 기지국을 기준으로 어느 방향으로, 어느 위치에서 원방 간섭이 발생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기지국은, 채널 추정 결과 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이 시퀀스에 기반하여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한 정보를 활용하여 원방 간섭에 대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한 위치, 제1 기지국으로부터의 방향 및 거리 등에 대한 정보가 제1 기지국에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중앙 관리 서버로부터 획득된다면, 제1 기지국은, 해당 정보 및 채널 추정 결과를 모두 활용하여 원방 간섭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방 간섭 상황이 파악되면, 관련 제2 기지국에 대응되는 방향의 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빔 제어 동작은, 제1 기지국이 interfere 기지국인지 victim 기지국인지에 따라 동작이 상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는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하, 도 2와 중복되는 동작에 대하여는 해당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기지국이 victim 기지국인 경우 원방 간섭의 검출 및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4는 제1 기지국의 수신 빔 제어 동작을 간략하게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시퀀스를 수신(S301)하고, 시퀀스로부터 검출된 셀 ID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각각 식별할 수 있다(S302).
예를 들어, 제1 기지국은, 원방 간섭을 일으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으로부터 시퀀스를 수신하고, 수신된 시퀀스로부터, 상기 시퀀스를 전송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 각각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기지국은, 각 cell ID별 대응되는 제2 기지국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거나, 중앙 관리 서버로부터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제1 기지국은, 수신된 시퀀스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 각각에 대한 채널을 추정할 수 있다(S303).
그리고, 채널 추정 결과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기지국은, 제1 기지국의 상향링크 신호에 원방 간섭을 일으키는 제2 기지국의 위치, 방향 및 거리 등을 확인할 수 있다(S304).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기지국은, 채널 추정 결과에 기반하여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 중 어떤 제2 기지국이 원방 간섭을 일으키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기지국은, 식별된 제2 기지국 각각에 대응되는 방향의 채널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식별된 제2 기지국 각각에 대응되는 채널 상태에 따라, 원방 간섭을 일으키는 제2 기지국이 제1 기지국을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 위치하였는지, 제1 기지국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졌는지 등에 대하여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방 간섭을 일으키는 제2 기지국이 확인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기지국은, 수신빔에 대한 널링(nulling)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305).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기지국은, 확인된 결과에 기반하여, 원방 간섭을 일으키는 제2 기지국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빔이 수신되지 않도록 수신빔들의 빔 형상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nulling 동작을 수행하는 대표적인 수신 빔포밍 알고리즘의 일 예로, zero-forcing 알고리즘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기지국(420)은, 원방 간섭을 일으키는 제2 기지국들(410)이 위치한 방향이나 거리 등이 확인되면, 식별된 제2 기지국들(410)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범위 만큼은 수신 빔이 형성되지 않고, 나머지 각도 범위 만큼 수신 빔이 형성되도록 빔 nulling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기지국이 interfere 기지국인 경우 victim 기지국에 대한 빔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제1 기지국의 송신 빔 제어 동작을 간략하게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시퀀스를 수신(S401)하고, 시퀀스로부터 검출된 셀 ID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각각 식별할 수 있다(S402).
예를 들어, 제1 기지국은, 원방 간섭을 일으킬 수 있는 기지국으로, 원방 간섭의 영향을 받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으로부터 시퀀스를 수신하고, 수신된 시퀀스로부터, 상기 시퀀스를 전송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 각각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기지국은, 각 cell ID별 대응되는 제2 기지국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거나, 중앙 관리 서버로부터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제1 기지국은, 수신된 시퀀스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 각각에 대한 채널을 추정할 수 있다(S403).
그리고, 채널 추정 결과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기지국은, 제1 기지국의 하향링크 신호에 의해 원방 간섭을 받는 제2 기지국의 위치, 방향 및 거리 등을 확인할 수 있다(S404).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기지국은, 채널 추정 결과에 기반하여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 중 어떤 제2 기지국이 제1 기지국으로부터 원방 간섭의 영향을 받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기지국은, 식별된 제2 기지국 각각에 대응되는 방향의 채널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식별된 제2 기지국 각각에 대응되는 채널 상태에 따라, 원방 간섭을 받는 제2 기지국이, 제1 기지국을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 위치하였는지, 제1 기지국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졌는지 등에 대하여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방 간섭을 받는 제2 기지국이 확인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기지국은, 송신빔에 대한 널링(nulling) 동작 및 특정 시간대 송신빔의 온오프(on/off)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405).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기지국은, 확인된 결과에 기반하여, 원방 간섭을 받는 제2 기지국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빔이 송신되지 않도록 송신빔들의 빔 형상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nulling 동작을 수행하는 대표적인 송신 빔포밍 알고리즘의 일 예는, 수신 빔포밍 알고리즘과 마찬기지로, zero-forcing 알고리즘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기지국(610)은, 원방 간섭을 받는 제2 기지국(610)이 위치한 방향이나 거리 등이 확인되면, 식별된 제2 기지국(610)에 대응되는 방향의 소정의 각도 범위 만큼 송신 빔이 형성되지 않도록 빔 nulling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기지국(610)은, 제1 기지국(610)이 동작하는 빈도가 낮은 특정 시간대에, 송신 빔을 전송하지 않도록 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지국(610)이 새벽 시간대와 같이, 사용 빈도율이 낮은 시간대에는, 송신빔의 오프 동작을 수행하고, 나머지 시간 대에는, 송신빔을 온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은, 송신빔을 널링하거나 온오프하는 것과 같이 독립적인 동작으로 기재하였으나, 두 가지 동작은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지국은, 특정 시간대에는 송신 빔을 오프하고, 특정 시간대 이외의 시간대에는, 원방 간섭의 영향을 받는 제2 기지국과 대응되는 방향의 송신 빔을 널링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원방 간섭의 검출 및 간섭 제어 동작에 있어, 기지국의 셀 ID로부터 생성된 시퀀스를 이용함으로써, 간섭과 관련된 기지국들을 식별할 수 있으며, 채널 추정을 통하여 각 기지국이 일으키는 간섭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순히, 간섭과 관련된 기지국들에 의한 평균적인 간섭 결과를 확인하는 정도에 그치지 않고, 간섭과 관련된 기지국들의 위치나 거리 및 방향들을, 각 기지국 별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인 간섭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방 간섭 검출에 이용되는 시퀀스를 생성하는 방법과 전송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다루고 있는 대기의 덕팅 현상에 따른 원방 간섭은, 일 기지국이, 멀리 위치한 다른 기지국의 하향링크 신호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경우이며, 이는 interfere 기지국과 victim 기지국 간의 거리가 얼마나 되는지에 따라 그 영향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거리를 모두 커버할 수 있을만큼, 즉, delay spread에 강인한 시퀀스를 전송할 필요가 있다. 또한, interfere 기지국과 victim 기지국 간의 거리가 수십에서 수백 킬로미터 정도 되므로, 이를 모두 커버하기 위해서는 긴 순환 전치(Cyclic Prefix, CP)의 특성을 갖는 시퀀스로 전송되어야 한다.
기존 LTE framework에서는 CP의 길이가 규격적으로 정해져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규격 이외의 long CP를 갖도록 시퀀스를 디자인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시퀀스는, 순환 이동(cyclic shift) 특성을 이용하여 시퀀스 각각에 대응되는 심볼들을 연접하는 방식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연접된 2개의 시퀀스에 대응되는 심볼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순환 전치(cyclic prefix)는, 다중 경로에 의한 심볼들 간의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신호에 대응되는 심볼의 뒷 부분 일부를 복사하여, 심볼의 앞 부분에 삽입할 수 있다. 도 7에서, 하나의 시퀀스에 대응되는 심볼이 70으로 표시된 부분과 같이 구성되면, 해당 심볼의 후단 일부인 T2(71) 부분은, cyclic shift되어, 해당 심볼의 앞부분에 순환 전치로써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퀀스는, 2개의 시퀀스 각각에 대응되는 심볼들을 연접하여, 원방 간섭 검출을 위한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를 수행하고 나서 순환 전치를 붙이기 이전, 2개의 시퀀스에 대응되는 심볼들 중 두 번째 심볼을 T1만큼 순환 이동함으로써, 2개의 시퀀스에 대응되는 2개의 OFDM 심볼을 연접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2개의 시퀀스에 대응되는 심볼들을 연접함에 있어, 하나의 시퀀스에 대응되는 심볼(70) 후단의 제1 부분(71)은 순환 이동하여 첫 번째 심볼의 순환 전치(cyclic prefix)로 구성하고, 심볼(70) 전단의 제2 부분(72)은 순환 이동하여 두 번째 심볼의 순환 후치(cyclic postfix)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 각 심볼 타입(type A#1, type A#2)을 기준으로 T1 및 T2 부분(73)의 long CP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1 및 T2 부분은, 약 10μs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delay spread가 커지더라도, 해당 시퀀스를 수신하는 기지국은 연접된 심볼의 어느 부분에 대하여 디코딩을 시도하여도 간섭에 영향을 받지 않은 부분을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퀀스는, delay spread의 강화를 위하여, 많은 심볼들을 연접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연접된 3개의 시퀀스에 대응되는 심볼들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연접된 14개의 시퀀스에 대응되는 심볼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3개의 시퀀스에 대응되는 심볼들을 연접함에 있어, 하나의 시퀀스에 대응되는 심볼(80a) 후단의 제1 부분(81a, T3)은 순환 이동하여 첫 번째 심볼의 순환 전치(cyclic prefix)로 구성하고, 심볼(80a) 전단의 제2 부분(82a, T1+T2)은 순환 이동하여 세 번째 심볼의 순환 후치(cyclic postfix)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 각 심볼 타입(type B#1, type B#2, type B#3)을 기준으로 T1+T2+T3 부분(83a)의 long CP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1+T2+T3 부분은, 약 15μs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8b를 참조하면, 14개의 시퀀스에 대응되는 심볼들을 연접함에 있어, 하나의 시퀀스에 대응되는 심볼(80b) 후단의 제1 부분(81b, T14)은 순환 이동하여 첫 번째 심볼의 순환 전치(cyclic prefix)로 구성하고, 심볼(80b) 전단의 제2 부분(82b, T1+T2+…+T13)은 순환 이동하여 연접된 심볼들의 마지막 심볼에 대한 순환 후치(cyclic postfix)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 각 심볼 타입(type N#1, type N#2, …, type N#14)을 기준으로 T1+T2+…+T14 부분(83b)의 long CP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1개의 심볼이 모두 CP로 사용되는 long CP 시퀀스가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접되는 심볼들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마지막 심볼에 삽입되는 순환 후치(하나의 시퀀스에 대응되는 심볼의 전단 일부, 상기 도면들의 설명에서는 제2 부분에 해당)의 길이가 길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도면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delay spread가 발생하더라도 long CP의 시퀀스가 형성되도록 시퀀스들을 연접하기 때문에, 멀리 떨어진 기지국으로부터 시퀀스를 수신한 기지국은, 연접된 시퀀스들에 대응되는 심볼들 중 어느 부분에 대하여 디코딩을 시도한다 하더라도 간섭에 영향을 받지 않은 부분에 대한 검출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이후, 도 9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생성된 시퀀스를 시간 주파수 자원 상에서 전송하는 예시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하나의 전송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을 기준으로, 시퀀스들이 전송되는 자원의 위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일반적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시퀀스들이 전송될 수 있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퀀스는, CRS(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 및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가 매핑되는 심볼들을 제외한 심볼들에 매핑되어 전송될 수 있다. 도 9에서 가로축은 시간 도메인으로, 분할된 하나의 칸이 하나의 심볼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주파수 도메인으로, 분할된 하나의 칸이 복수 개의 RB(Resource Block)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는, 2, 3, 5, 6, 8, 9, 10, 12, 13 번째 심볼에서 시퀀스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시퀀스 전송이 가능한 심볼들에서 전송되는 시퀀스들은, 해당 시퀀스들에 대응되는 연접 심볼들의 길이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 TTI 내에서도, 2nd 및 3rd 심볼에는 도 7에 도시된 type A#1 및 type A#2의 심볼들이 연접된 상태로 매핑될 수 있고, 8th, 9th 및 10th 심볼에는 도 8a의 type B#1, type B#2 및 type B#3의 심볼들이 연접된 상태로 매핑될 수 있다.
또한, 2nd, 3rd, 4th, 5th, 6th, 8th, 9th, 12th 및 13th 의 9개의 심볼에 대하여, 도 8b에서 설명하였던 type N#1, type #2, type #4, type #5, type #7, type #8, type #9, type type #11 및 type #12 를 매핑하여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9에서, 주파수 도메인을 기준으로, 가운데 칸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퀀스가 매핑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운데 칸에 대응되는 주파수 영역은, 중심 주파수를 포함하는 약 6RB의 대역폭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하향링크 동기를 위한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는 구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간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퀀스를 매핑하지 않음으로써, 통신 규격을 변경하지 않고도, 즉, 현 통신 규격 상에서도 원방 간섭 제어 동작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이와 달리, 중심 주파수를 포함하는 상기 6RB의 주파수 영역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퀀스를 매핑하여 전송함으로써, 원방 간섭 제어 동작을 보다 강화하는 실시예 또한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6RB 이외의 주파수 영역에서, PDCCH 또는 CRS가 전송되는 심볼(시간 영역)에서도 해당 시퀀스를 매핑하여 전송하는 실시예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DL framework에서, CP의 type, subframe의 type 별로 시퀀스들이 전송 가능한 심볼을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6에서는, 여러 개의 시퀀스 신호를 주파수 분할 다중화(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할당할 수 있으며, 또한 간섭 특성을 강인하게 하기 위하여, 1개의 시퀀스를 주파수 분할 다중화 없이 전체 wideband에 할당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10은 일반 CP가 적용되는 0번 서브프레임에서의 시퀀스 전송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퀀스는, 0번 서브프레임에서, CRS, PDCCH , PBCH 및 SSS가 매핑되는 심볼들을 제외한 심볼들에 매핑되어 전송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퀀스는 PBCH 및 SSS가 전송되는 주파수 영역에서는 매핑되지 않는다.
CRS 및 PDCCH가 전송되지 않는 심볼들 중에서,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2nd, 3rd, 5th, 6th 및 12th 심볼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퀀스가 매핑될 수 있다. 이 경우, PBCH가 매핑된 주파수 영역과 인접한 주파수 영역을 포함하는 심볼들(예를 들어, 7th 내지 11th의 심볼들)에 대해서는 시퀀스를 매핑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 두 번째 및 세 번째 심볼에는, 2개의 시퀀스에 대응되는 심볼들이 연접되어 매핑될 수 있고, 다섯 번째, 여섯 번째 및 열두 번째의 심볼에는, 3개의 시퀀스에 대응되는 심볼들이 연접되어 매핑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1은 일반 CP가 적용되는 5번 서브프레임에서의 시퀀스 전송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퀀스는, 5번 서브프레임에서, CRS, PDCCH 및 SSS가 매핑되는 심볼들을 제외한 심볼들에 매핑되어 전송될 수 있다. CRS 및 PDCCH가 전송되지 않는 심볼들 중에서,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nd, 3rd, 5th, 6th, 8th, 9th 및 10th 심볼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퀀스가 매핑될 수 있다. 이 경우, SSS가 매핑된 주파수 영역과 인접한 주파수 영역을 포함하는 심볼(13 번째 심볼)에 대해서는 시퀀스를 매핑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2는 일반 CP가 적용되는 special 서브프레임에서의 시퀀스 전송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퀀스는, special 서브프레임에서, CRS, PDCCH 및 PSS가 매핑되는 심볼들을 제외한 심볼들에 매핑되어 전송될 수 있다. CRS 및 PDCCH가 전송되지 않는 심볼들 중에서,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rd, 5th, 6th, 8th 및 9th 심볼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퀀스가 매핑될 수 있다. 이 경우, PSS가 매핑된 주파수 영역과 인접한 주파수 영역에서, PSS가 매핑된 심볼과 동일한 심볼(2nd 심볼)에 대해서는 시퀀스를 매핑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3은 확장 CP가 적용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의 시퀀스 전송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퀀스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CRS 및 PDCCH가 매핑되는 심볼들을 제외한 심볼들에 매핑되어 전송될 수 있다.
CRS 및 PDCCH가 전송되지 않는 심볼들 중에서,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nd, 4th, 5th, 7th, 8th, 10th 및 11th 심볼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퀀스가 매핑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중심 주파수를 포함하는 주파수 영역 부분을 제외하고는 해당 서브프레임 내의 모든 자원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퀀스가 매핑될 수 있다.
도 14는 확장 CP가 적용되는 0번 서브프레임에서의 시퀀스 전송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퀀스는, 0번 서브프레임에서, CRS, PDCCH, PBCH 및 SSS가 매핑되는 심볼들을 제외한 심볼들에 매핑되어 전송될 수 있다. CRS 및 PDCCH가 전송되지 않는 심볼들 중에서,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nd, 4th, 5th, 7th, 8th 및 10th 심볼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퀀스가 매핑될 수 있다. 이 경우, PBCH 및 SSS가 매핑된 주파수 영역에 대해서는 시퀀스를 매핑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SSS가 매핑된 주파수 영역과 인접한 주파수 영역에서, SSS가 매핑된 심볼과 동일한 심볼에는, 시퀀스가 매핑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5는 확장 CP가 적용되는 5번 서브프레임에서의 시퀀스 전송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퀀스는, 5번 서브프레임에서, CRS, PDCCH 및 SSS가 매핑되는 심볼들을 제외한 심볼들에 매핑되어 전송될 수 있다. CRS 및 PDCCH가 전송되지 않는 심볼들 중에서,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nd, 4th, 5th, 7th, 8th 및 10th 심볼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퀀스가 매핑될 수 있다. 이 경우도 도 14와 마찬가지로, SSS가 매핑된 주파수 영역과 인접한 주파수 영역에서, SSS가 매핑된 심볼과 동일한 심볼에는, 시퀀스가 매핑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6은 확장 CP가 적용되는 special 서브프레임에서의 시퀀스 전송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퀀스는, special 서브프레임에서, CRS, PDCCH 및 PSS가 매핑되는 심볼들을 제외한 심볼들에 매핑되어 전송될 수 있다. CRS 및 PDCCH가 전송되지 않는 심볼들 중에서,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4th, 5th, 7th 및 8th 심볼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퀀스가 매핑될 수 있다. 이 경우, PSS가 매핑된 주파수 영역과 인접한 주파수 영역에서, PSS가 매핑된 심볼과 동일한 심볼(2nd 심볼)에 대해서는 시퀀스를 매핑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도면들에서는, 중심 주파수를 포함하는 약 6RB의 대역폭에 대응되는 구간으로, 하향링크 동기를 위한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는 구간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퀀스를 전송하지 않는 실시 예들에 대하여만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 주파수 영역에서도 시퀀스를 매핑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기지국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은, 송수신부(1710), 제어부(1720) 및 저장부(1730)를 포함할 수 있다.여기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은, interfere 기지국 및 victim 기지국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기지국의 송수신부(171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엔티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송수신부(1710)는, 외부 장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방 간섭 검출을 위한 시퀀스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7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720)는, 송수신부(1710)가 원방 간섭 검출을 위한 시퀀스를 다른 기지국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시퀀스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17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720)는, 송수신부(1710)가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시퀀스를 수신한 경우, 해당 시퀀스로부터 검출된 셀 ID를 이용하여 상기 다른 기지국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시퀀스를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한 뒤, 채널 추정 결과에 기반하여, 원방 간섭과 관련된 방향에 대응되는 송신빔 또는 수신빔을 제어하도록 상기 송수신부(171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1730)는, 상기 기지국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1730)는, 각 기지국에 대응되는 셀 ID에 대한 정보, 각 기지국의 위치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고, 상기 기지국이 interfere 기지국일 경우, 해당 기지국이 동작하지 않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앙 서버 및 기지국들 간의 관계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방 간섭 검출 및 제어 동작은, 각 기지국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별도의 중앙 서버(Remote Interference Management, RIM 서버)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앙 서버는, 각 기지국과 연결되어, 각 기지국의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된 중앙 서버(1803)는, 제1 기지국(1801) 및 제2 기지국(1802) 중 어떤 기지국이 interfere 기지국으로, 또는 victim 기지국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이 시퀀스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앙 서버(1803)는, 시퀀스를 전송한 기지국으로부터 해당 시퀀스를 수신한 기지국에 대하여, 시퀀스의 검출 및 채널 추정 결과를 보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중앙 서버(1803)는, 제1 기지국(1801)이 시퀀스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제2 기지국(1802)이 상기 시퀀스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서버(1803)는, 제2 기지국(1802)으로부터, 상기 시퀀스에 의한 검출 및 채널 추정 결과를 보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앙 서버(1803)는, 제1 기지국(1801)이 interfere 기지국이고, 제2 기지국(1802)이 victim 기지국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중앙 서버(1803)는, 상기 확인 결과에 기반하여, 제1 기지국(1801) 및 제2 기지국(1802) 중 적어도 하나의 빔 형성 동작을 제어하는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중앙 서버(1803)는, 제1 기지국(1801)으로, 제2 기지국(1802)에 대응되는 방향의 송신빔을 널링하도록, 또는 해당 송신빔을 전송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서버(1803)는, 제2 기지국(1802)으로, 제` 기지국(180`)에 대응되는 방향의 수신빔을 널링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중앙 서버를 이용한 제어를 수행하기 때문에, 단순히 일부 기지국들 상호간 만의 간섭 동작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관련 기지국들 전체의 동작에 따른 데이터 수집하고, 이를 전체 기지국들의 상황에 적용할 수 있어, 보다 적절한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20)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대기의 덕팅(ducting)에 의한 간섭 제어를 수행하는 제1 기지국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으로부터 시퀀스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시퀀스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시퀀스에 기반하여,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한 채널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채널의 추정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응되는 방향의 빔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기지국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시퀀스로부터, 셀 아이디(ID)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셀 ID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기지국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는, 하나의 전송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내의 적어도 2개의 심볼에서, 적어도 2개가 수신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시퀀스들은 서로 연접되어 상기 적어도 2개의 심볼에 매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기지국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하나의 시퀀스에 대응되는 심볼 후단의 제1 부분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심볼 중 첫 번째 심볼에 대한 순환 전치(cyclic prefix)로 구성되고,
    상기 하나의 시퀀스에 대응되는 심볼 전단의 제2 부분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심볼 중 마지막 심볼에 대한 순환 후치(cyclic postfix)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기지국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의 길이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심볼의 개수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기지국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TTI는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시퀀스는, 상기 서브프레임 내에서 기준 신호 및 제어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심볼에서 매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기지국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이 간섭을 일으키는 기지국이면 상기 빔 제어 단계는, 송신 빔에 대한 널링(nulling)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기지국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빔 제어 단계는 특정 시간대에 송신 빔에 대한 온오프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기지국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이 간섭을 받는 기지국이면 상기 빔 제어 단계는, 수신 빔에 대한 널링(nulling)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기지국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한 상기 채널 추정 결과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채널 추정 결과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의 위치, 방향 및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채널 추정 결과에 기반하여, 빔 제어를 위한 명령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기지국 방법.
  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대기의 덕팅(ducting)에 의한 간섭 제어를 수행하는 제1 기지국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으로부터 시퀀스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시퀀스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식별하며, 상기 시퀀스에 기반하여,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한 채널을 추정하고, 상기 채널의 추정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응되는 방향의 빔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기지국.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퀀스로부터, 셀 아이디(ID)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셀 ID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기지국.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는, 하나의 전송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내의 적어도 2개의 심볼에서, 적어도 2개가 수신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시퀀스들은 서로 연접되어 상기 적어도 2개의 심볼에 매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기지국.
  14. 제13항에 있어서,
    하나의 시퀀스에 대응되는 심볼 후단의 제1 부분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심볼 중 첫 번째 심볼에 대한 순환 전치(cyclic prefix)로 구성되고,
    상기 하나의 시퀀스에 대응되는 심볼 전단의 제2 부분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심볼 중 마지막 심볼에 대한 순환 후치(cyclic postfix)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기지국.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의 길이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심볼의 개수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기지국.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TTI는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시퀀스는, 상기 서브프레임 내에서 기준 신호 및 제어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심볼에서 매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기지국.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이 간섭을 일으키는 기지국이면, 상기 제어부는, 송신 빔에 대한 널링(nulling)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기지국.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특정 시간대에 송신 빔에 대한 온오프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기지국.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이 간섭을 받는 기지국이면 상기 제어부는, 수신 빔에 대한 널링(nulling)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기지국.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한 상기 채널 추정 결과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채널 추정 결과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의 위치, 방향 및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채널 추정 결과에 기반하여, 빔 제어를 위한 명령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기지국.


KR1020190053955A 2019-05-08 2019-05-0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대기의 덕팅에 의한 간섭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0012948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955A KR20200129485A (ko) 2019-05-08 2019-05-0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대기의 덕팅에 의한 간섭 제어 방법 및 장치
US15/929,530 US11190280B2 (en) 2019-05-08 2020-05-07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nterference due to atmospheric duct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KR2020/006044 WO2020226440A1 (en) 2019-05-08 2020-05-07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nterference due to atmospheric duct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0801470.4A EP3903429B1 (en) 2019-05-08 2020-05-07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nterference due to atmospheric duct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955A KR20200129485A (ko) 2019-05-08 2019-05-0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대기의 덕팅에 의한 간섭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485A true KR20200129485A (ko) 2020-11-18

Family

ID=73046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955A KR20200129485A (ko) 2019-05-08 2019-05-0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대기의 덕팅에 의한 간섭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90280B2 (ko)
EP (1) EP3903429B1 (ko)
KR (1) KR20200129485A (ko)
WO (1) WO2020226440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04760B1 (en) 1999-06-11 2001-10-16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reducing the effect of atmospheric ducting on wireless transmissions
US9571205B1 (en) 2008-11-05 2017-02-14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Systems approach to interference cancellation
CN103314539B (zh) 2011-01-03 2015-11-25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上行链路控制信息的方法及其设备
CN102217361B (zh) * 2011-05-31 2014-09-17 华为技术有限公司 基站间干扰检测方法及基站
US9344125B2 (en) 2012-05-21 2016-05-17 L-3 Communications Corporation Remote interference cancellation for communications systems
US9544037B2 (en) * 2014-02-07 2017-01-1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erence cancellation
KR102109606B1 (ko) 2015-07-16 2020-05-1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빔포밍 기반 무선 백홀 형성 방법, 이를 위한 장치
US10034181B1 (en) * 2016-06-29 2018-07-24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Dynamic mitigation of tropospheric ducting and refraction based interference events with dynamic antenna tilt
US10848294B2 (en) * 2018-05-02 2020-11-24 Qualcomm Incorporated Management of remote interference in time division duplexing networks
US11296851B2 (en) * 2018-09-28 2022-04-05 Qualcomm Incorporated Remote interference management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03429B1 (en) 2024-03-06
WO2020226440A1 (en) 2020-11-12
US20200358537A1 (en) 2020-11-12
US11190280B2 (en) 2021-11-30
EP3903429A1 (en) 2021-11-03
EP3903429A4 (en) 202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13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tion of CSI-RS transmission overhea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27281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ptrs 운영 및 지시에 관한 장치 및 방법
US106872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PTRS in next generation communication system
CN110547004B (zh) 用于定位信号的发送的装置、系统和方法
KR102625132B1 (ko) 밀리미터 웨이브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645317B1 (ko) mmWave 시스템을 위한 beamforming 기반 송수신 동작 방식 및 장치
KR20180122958A (ko) 다운링크/업링크(dl/ul) 간 빔 연계 방법 및 장치
KR102580213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210134979A (ko) 5g 신무선 상향링크 위치결정 참조 신호를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
CN111837353B (zh)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和接收定位参考信号的方法和装置
KR20190059956A (ko) 안테나 빔 관리 방법 및 관련 장치
KR100965664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셀간 간섭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201800702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6636280A (zh) 用于预测波束管理的方法和设备
JP2012170070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チャンネル推定方法及び装置
US1072098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communication system
CN111972012A (zh) 无线通信系统中的同步方法和装置
KR2019012111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개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50121171A (ko) 산발적인 기계형 액세스를 위한 암시적 어드레싱
CN114208326A (zh) 基于分组的prs资源映射和配置
KR2021005539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형식 cg의 전송시점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12948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대기의 덕팅에 의한 간섭 제어 방법 및 장치
US113688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PTRS in next generation communication system
CN107113752B (zh) 一种指示同步信号周期的方法及装置
CN116711225A (zh) 用于多个上行链路或下行链路信道和参考信号的波束指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