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9400A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 및 청소방법과 누수감지시스템 - Google Patents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 및 청소방법과 누수감지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29400A KR20200129400A KR1020190053733A KR20190053733A KR20200129400A KR 20200129400 A KR20200129400 A KR 20200129400A KR 1020190053733 A KR1020190053733 A KR 1020190053733A KR 20190053733 A KR20190053733 A KR 20190053733A KR 20200129400 A KR20200129400 A KR 202001294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slab
- bridge
- cleaning
- expansion join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3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슬래브 사이의 끝단에 고정되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고정대 내부에 날개부가 배치되는 배수판과, 상기 개구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부 탈착부와, 상기 개구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 탈착부와, 상기 상부 탈착부에 상기 슬래브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상부덮개와, 상기 하부 탈착부에 상기 슬래브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하부덮개와, 상기 상부덮개의 하부에 설치되는 방수패드 및 상기 상부덮개의 측부에 설치되는 청소대차를 이용하여 상기 배수판 및 상기 방수패드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고, 상기 배수판에 쌓이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수판 하부에 누수되는 것을 교량의 외부에서 감지하여 보수비용을 절감하고 슬래브의 폭방향으로 용이하게 슬라이딩 탈착 가능한 하부덮개를 설치하여 배수판의 시공을 용이하게 하고, 슬래브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배수판에 쌓인 물질을 밀어낼 수 있는 청소대차를 설치하여 배수판의 청소를 용이하게 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 및 청소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에는 대기의 온도 변화에 따른 교량 상부구조의 팽창 및 수축에 대응하기 위하여 슬래브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거리마다 유간을 형성하고 상기 유간에는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여 교량 하부로 오염물질이 유입되지 않게 한다.
이러한 신축이음장치에 관련된 기술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36732호' 및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87937호'에 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36732호'의 교량 신축이음장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 내측에 설치되는 방수패킹과, 상기 방수패킹의 하부에 밀착되는 물받이와, 상기 물받이의 하부를 지지하고 상기 지지대에 걸쳐 고정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 내측에 설치되는 물받이 이동롤러 및 지지대 이동롤러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방수패킹 및 상기 물받이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하므로, 상기 방수패킹을 교체하고 싶은 경우 상기 받침대를 제거하여 상기 방수패킹과 상기 물받이 사이의 간격을 벌린 후 상기 방수패킹을 제거하여야 한다. 이 때 상기 방수패킹과 상기 지지대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하므로, 상기 방수패킹을 빼고 끼는 데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87937호'의 교량용 수밀형 신축이음장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의 내부에 걸쳐지는 배수판과, 상기 고정대의 상부 내측에 설치되는 분리형 덮개와, 상기 분리형 덮개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배수판의 상면을 누르는 방수패드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배수판과 상기 방수패드 사이 및 상기 방수패드와 상기 분리형 덮개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하므로, 상기 배수판만 교체하고 싶은 경우에도 상기 방수패드로 인해 상기 배수판, 상기 방수패드 그리고 상기 분리형 덮개까지 한 번에 제거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방수패드만 교체하고 싶을 때도 마찬가지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36732호' 및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87937호'에는 상기 물받이 또는 상기 배수판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장치가 설치되어있지 않아, 청소 작업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비가 올 때 신축이음부 하부에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각각의 신축이음부의 교량하부로 내려가 누수 여부를 확인하는데 인건비가 상당히 들어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하부에 누수홈통에 설치하고 누수감지기를 설치하여 무선으로 누수여부를 검사하여 보수를 할 수 있고, 또한 고정대에 슬래브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탈착 가능한 덮개를 배수판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하여, 상기 배수판의 교체 및 상기 상부덮개에 설치되는 방수패드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고, 상기 상부덮개에는,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청소판을 포함하고 슬래브의 길이방향으로 전체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청소대차를 설치하여 상기 배수판에 쌓인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 및 청소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슬래브 사이의 끝단에 설치되며 교량신축이음장치 하부에 떨어져서 누수포집 물홈통이 설치되고 누수포집 물홈통에 누수감지센서를 설치하고 누수감지센서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에서 검출된 데이터가 교량위의 설치된 경광등 및 데이터통신 모뎀으로 연결되어 교량관리실 컴퓨터나, 관리자 핸드폰으로 송신하는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슬래브사이의 끝단에 고정되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고정대 내부에 날개부가 배치되는 배수판과, 상기 개구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부 탈착부와, 상기 개구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 탈착부와, 상기 상부 탈착부에 상기 슬래브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상부덮개과, 상기 하부 탈착부에 상기 슬래브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하부덮개 및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상부덮개와 상기 하부덮개 사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배수판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탈착부는 상기 상부덮개의 상측을 끼울 수 있는 레일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탈착부는 상부로 돌출된 바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덮개의 하측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배수판은 배수부와, 상기 배수부의 양측에 형성되는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하부덮개의 상면에 접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양단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의 일단은 상기 지지부의 일단보다 안쪽으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이탈방지부의 일단과 상기 지지부의 일단 사이에는 결합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판은 슬래브의 폭방향으로 상기 결합용홈 내에서 다른 상기 배수판과 서로 겹쳐져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덮개 측부에 상기 슬래브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청소대차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청소대차에는 하부의 형상이 상기 배수판의 내측면의 형상을 따라 형성되는 청소판이 설치되고, 상기 청소대차에는 상기 배수판의 외부에서 상기 청소대차를 상기 슬래브의 폭방향으로 당길 수 있는 와이어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청소대차는 상기 청소판의 양면을 지지하는 고정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청소판은 상기 고정판에 대해 높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고정판에는 높이조절부가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부에는 상기 청소판의 외측면을 가압할 수 있는 높이조절볼트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청소대차는 제1수평부와, 상기 슬래브의 길이 방향으로 일부가 상기 제1수평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수평부와 겹쳐질 수 있게 형성되는 제2수평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수평부에는 상기 제1수평부와 상기 제2수평부가 겹치는 부분에 폭조절부가 형성되고, 상기 폭조절부에는 상기 제2수평부의 외측면을 가압할 수 있는 폭조절볼트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상부덮개의 하부에는 상기 배수판의 상면에 밀착되는 방수패드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덮개의 상면 및 하면에는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은 고정대가 설치된 제1슬래브와 제2슬래브가 준비되는 (a)단계와, 하부에 방수패드가 결합된 상부덮개를 고정대의 상부에 슬래브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하는 (b)단계와, 교량의 유간의 상부가 개방되어 있을 때는 배수판을 위에서 아래로 넣은 후 고정대 내부에 삽입하고, 교량의 유간의 상부가 막혀있을 때는 배수판을 슬래브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고정대 내부에 삽입하는 (c)단계와, 배수판을 위로 들어올리며, 고정대의 하부에 하부덮개를 슬래브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하는 (d)단계와, 고정대에서 하부덮개를 슬래브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철거하는 (e)단계와, 고정대에서 배수판 또는 상부덮개를 슬래브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철거하는 (f)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청소방법은 폭조절볼트를 이용하여 교량의 유간의 폭에 맞춰 청소대차의 전체폭을 조절하는 (a)단계와, 높이조절볼트를 이용하여 배수판에 쌓인 이물질의 높이에 맞춰 청소대차의 청소판의 상하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b)단계와, 청소대차에 연결된 와이어를 이용하여 청소대차를 슬래브의 폭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c)단계와, 배수판의 이물질의 양이 기준치 이하가 될 때까지 (b)~(c) 단계를 반복하는 (d)단계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 및 청소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고정대에 슬래브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탈착 가능한 하부덮개로 인해, 하부덮개를 제거한 후 배수판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고정대에 슬래브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탈착 가능한 상부덮개로 인해, 상부덮개를 방수패드가 결합된 채로 제거한 후 방수패드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상부덮개에 설치되고 와이어를 이용해 슬래브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청소대차로 인해, 배수판에 쌓인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청소대차에 서로 겹칠 수 있는 제1,2수평부를 형성함으로써, 청소대차가 슬래브의 길이방향으로 길이조정되어 슬래브의 유간 폭이 기온 등에 의해 변하더라도 청소대차가 변한 길이에 대응가능하다.
청소대차에 설치되는 청소판의 높이방향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배수판에 쌓인 이물질을 여러 차례에 걸쳐 제거할 수 있으므로 청소시 청소판 및 청소대차에 걸리는 부하가 적어진다.
청소대차의 폭 및 청소판의 높이방향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아이볼트로 표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손쉽게 폭 및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하부덮개의 상면 및 하면에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설치함으로써, 하부덮개가 보다 용이하게 제거 및 설치될 수 있다.
방수패드의 하부를 쉽게 휘어져 배수판에 밀착되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방수패드와 배수판이 효과적으로 밀착되므로 방수 효과가 향상된다.
배수판의 양 끝이 상부를 향하게 형성됨으로써, 이물질이 방수패드를 넘어 고정대 내측으로 유입되더라도 배수판에 의해 가로막히게 되므로 방수 효과가 향상된다.
배수판의 상부 내측면 및 하부 외측면에 아이볼트가 설치될 수 있는 너트를 형성하고, 아이볼트에 와이어를 설치함으로써, 배수판을 중심축 방향으로 접어 유간의 위에서 아래로 배수판을 삽입할 수도 있고, 배수판을 슬래브의 폭방향으로 잡아당겨 빼낼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청소 기능이 결합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청소 기능이 결합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청소 기능이 결합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부분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청소 기능이 결합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청소대차의 정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청소 기능이 결합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청소대차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청소 기능이 결합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청소대차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청소 기능이 결합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배수판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청소 기능이 결합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배수판의 연결부의 정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누수감지를 검사하는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청소 기능이 결합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청소 기능이 결합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부분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청소 기능이 결합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청소대차의 정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청소 기능이 결합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청소대차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청소 기능이 결합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청소대차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청소 기능이 결합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배수판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청소 기능이 결합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배수판의 연결부의 정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누수감지를 검사하는 공정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좌우방향은 슬래브의 길이방향이고, 전후방향은 슬래브의 폭방향이고, 상하방향은 슬래브의 높이방향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좌우 슬래브(10) 사이의 끝단에 고정되며, 일측에 개구부(150)가 형성되는 고정대(100)와, 고정대(100)의 개구부(150)를 통해 고정대(100) 내측에 날개부(420)가 배치되는 배수판(400)과, 개구부(150)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부 탈착부와, 개구부(150)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 탈착부와, 상기 상부 탈착부에 상기 슬래브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설치되는 상부덮개(200)와, 상기 하부 탈착부에 상기 슬래브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설치되는 하부덮개(300)와, 상부덮개(200)의 하부에 설치되고 배수판(400)의 상면에 밀착되는 방수패드(250)와, 상기상부덮개(200)의 측부에 설치되는 청소대차(500)를 포함한다.
교량의 유간의 좌우에는 각각 슬래브(10)가 형성되고, 유간의 상부에는 핑거 플레이트(11)가 설치된다.
고정대(100)는 좌우 슬래브(10)에 각각 설치된다.
고정대(100)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좌측에 설치되는 고정대(100)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측에 설치되는 고정대(100)는 좌측에 설치되는 고정대(100)와 대칭되게 형성된다.
고정대(100)는 도 3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고정대(100)는 상판(110)과, 상판(110)의 좌측에 연결되어 아랫방향으로 형성되는 측면판(120)과, 측면판(120)의 하부에 연결되어 우측으로 형성되는 하판(130)을 포함한다.
즉, 고정대(100)의 우측은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개방된 공간에 개구부(150)가 형성된다.
상판(110)의 우측에는 상기 상부 탈착부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 탈착부는 상부덮개 가이드돌기(111)와, 상부덮개 가이드돌기(111) 사이에 형성되는 상부덮개 삽입홈(112)을 포함한다.
상부덮개 가이드돌기(111)는 아랫방향으로 돌출되게 레일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부덮개 가이드돌기(111)는 ㄴ자 형태의 판이 좌우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고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부덮개 가이드돌기(111)와 상부덮개 가이드돌기(111) 사이에는 상부덮개 전후방향 및 하부의 일부가 개방되게 상부덮개 삽입홈(112)이 형성된다.
측면판(120)의 중앙에는 고정볼트 삽입부(121)가 형성된다.
고정볼트 삽입부(121)에는 고정볼트(12)가 삽입되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10)를 형성할 때 고정대(10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하판(130)의 우측에는 상기 하부 탈착부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 탈착부는 하부덮개 가이드돌기(131)로 구성된다.
하부덮개 가이드돌기(131)는 윗방향으로 돌출되는 바의 형태로 형성된다. 하부덮개 가이드돌기(131)는 하판(130)의 우측단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하부덮개 가이드돌기(131)는 하부덮개 가이드돌기(131)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부덮개(300)가 좌우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빠지지 않도록 충분히 길게 형성된다.
상부덮개(200)는 도 3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상부덮개(200)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덮개 수직부(201)와, 상부덮개 수직부(201)의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상부덮개 지지부(202)와, 상부덮개 수직부(201)의 하부에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상부덮개 지지부(203)를 포함한다.
제1상부덮개 지지부(202)에는 상부로 돌출되게 상부덮개 돌기(211)가 형성된다. 상부덮개 돌기(211)의 하부에는 전후방향과 좌측 또는 우측방향이 개방되게 상부덮개 가이드홈(212)이 형성된다.
상부덮개 돌기(211) 상부의 좌우방향 폭은 고정대(100)의 상부덮개 삽입홈(112)의 좌우방향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부덮개 돌기(211) 하부의 좌우방향 폭은 고정대(100)의 상부덮개 가이드돌기(111) 사이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부덮개 가이드홈(212)의 상하방향 폭은 고정대(100)의 상부덮개 가이드돌기(111)의 양단의 상하방향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부덮개 돌기(211)는 고정대(100)의 상부덮개 삽입홈(112)에 삽입되고, 상부덮개 가이드홈(212)에는 고정대(100)의 상부덮개 가이드돌기(111)가 삽입되어, 상부덮개(200)는 고정대(10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해진다. 또한 고정대(100) 및 상부덮개(200)의 형상에 의해 상부덮개(200)가 고정대(100)에서 전후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부덮개 수직부(201)의 상부 및 하부에는 우측방향으로 돌출되게 청소대차 가이드돌기(221)가 형성된다. 청소대차 가이드돌기(221)는 우측부가 상부덮개 수직부(201)의중심을 향해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 및 하부의 청소대차 가이드돌기(221) 사이에는 청소대차 삽입홈(222)이 전후방향 및 우측 일부가 개방되게 형성된다.
제2상부덮개 지지부(203)의 우측 및 좌측에는 아랫방향으로 돌출되게 방수패드 가이드돌기(231)가 형성된다. 방수패드 가이드돌기(231)는 하부가 제2상부덮개 지지부(203)의 중심을 향해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좌측 및 우측의 방수패드 가이드돌기(231) 사이에는 방수패드 삽입홈(232)이 전후방향 및 하부 일부가 개방되게 형성된다.
방수패드(250)는 도 3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방수패드(250)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방수패드(250)는 고무 재질로 형성된다.
방수패드(250)는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는 방수패드 지지부(251)와, 방수패드 지지부(251)의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방수패드 돌기(252)와, 방수패드 지지부(251)의 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연장날개부(254)를 포함한다.
방수패드 돌기(252)의 하부에는 전후방향과 좌측 또는 우측방향이 개방되게 방수패드 가이드홈(253)이 형성된다.
연장날개부(254)는 좌측과 우측 각각에 형성된다. 연장날개부(254)의 하부는 방수패드 지지부(251)의 양단을 향해 휘어지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연장날개부(254)가 배수판(400)의 상면에 밀착될 때,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하부덮개(300)는 도 3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하부덮개(300)는 하부덮개 가이드부(301)와, 하부덮개 가이드부(301) 상부에 위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하부덮개 수직부(302)를 포함한다.
하부덮개 가이드부(301)는 고정대(100)의 하부덮개 가이드돌기(131)의 좌측 및 우측을 감쌀 수 있게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개방된 공간에 고정대 삽입홈(303)이 형성된다.
고정대 삽입홈(303)의 좌우방향 폭은 고정대(100)의 하부덮개 가이드돌기(131)의 좌우방향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고정대 삽입홈(303)의 상하방향 폭은 고정대(100)의 하부덮개 가이드돌기(131)의 상하방향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고정대 삽입홈(303)에는 고정대(100)의 하부덮개 가이드돌기(131)가 삽입되어, 하부덮개(300)는 고정대(10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해진다. 또한 고정대(100) 및 하부덮개(300)의 형상에 의해 하부덮개(300)가 고정대(100)에서 전후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하부덮개 수직부(302)는 하부덮개(300)를 삽입했을 때, 배수판(400)이 방수패드(250)와 밀착될 수 있도록 충분히 길게 형성된다.
하부덮개 가이드부(301)의 하면 및 하부덮개 수직부(302)의 상면에는 마찰계수가 적은 슬라이딩 플레이트(310)가 설치된다. 이로 인해 하부덮개(300)를 고정대(100)에 슬라이딩시켜 설치 및 해체하기 용이해진다.
배수판(400)은 도 7 내지 도 8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배수판(400)은 교량에서 떨어진 이물질(20)이 쌓이는 배수부(410)와, 배수부(410)의 양측에 형성되고 고정대(100) 내측에 설치되는 날개부(420)를 포함한다.
배수부(410)는 v자 형태로 형성되는 제1경사부(411)와, 제1경사부(411)의 양측에 형성되고 제1경사부(411)의 경사보다 경사가 급하게 형성되는 제2경사부(412)를 포함한다.
제1경사부(411)의 외측면과 제2경사부(412)의 내측면에는 너트(430)가 형성된다.
이러한 배수부(410)의 형태로 인해, 제2경사부(412)에 형성된 너트(430)에 아이볼트를 결합한 후 상기 아이볼트에 와이어를 끼워 배수판(400)을 오므릴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35246호'에 제시되어 있다.
또한 제1경사부(411) 또는 제2경사부(412)에 설치된 너트(430)에아이볼트를 결합한 후 상기 아이볼트에 와이어를 끼워 배수판(400)을 고정대(10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쉽게 수월하게 제거할 수 있다.
날개부(420)는 하부덮개(300)의 상면에 접하는 지지부(421)와, 지지부(421)의 양단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이탈방지부(422)를 포함한다.
지지부(421)는 하부덮개(300) 및 방수패드(250)에 의해 수평하게 지지된다.
설치 후 이탈방지부(422)의 좌측 또는 우측은 상부덮개(200)에 가로막힌다. 즉 이탈방지부(422)로 인해 배수판(400)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이탈방지부(422)의 형상으로 인해 이물질(20)이 방수패드(250)를 넘어 고정대(100) 안쪽으로 유입되더라도 이물질(20)이 고정대(100)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즉, 방수 효과가 향상된다.
일반적으로 1개의 배수판(400)의 전후방향 길이는 교량의 폭보다 짧기 때문에, 여러 개의 배수판(400)을 효과적으로 연결할 필요가 있다.
이탈방지부(422)의 전후방향 길이는 지지부(421)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이탈방지부(422)의 일단은 지지부(421)의 일단보다 안쪽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즉, 이탈방지부(422)의 일단과 지지부(421)의 일단 사이에는 결합용홈(441)이 형성된다.
배수판(400)의 일측에 형성되는 이러한 결합용홈(441)으로 인해 서로 다른 배수판(400)의 양단을 서로 겹치는 것이 가능하다.
이탈방지부(422) 전방 및 후방의 외측면에는 가이드 플레이트(440)가 이탈방지부(422)보다 아래로 돌출되게 결합된다. 가이드 플레이트(440)는 스팟 용접을 통해 이탈방지부(422)에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배수판(400)의 연결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배수판(400)을 제1배수판(400)와 제2배수판(400')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의 상단에 도시된 그림과 같이, 제1배수판(400)의 일측과 제2배수판(400')의 타측을 마주보게 배치한다. 즉, 마주보는 두 측 중 제1배수판(400)에만 결합용홈(441)이 형성된다.
그 다음 제2배수판(400')의 지지부(421')는 제1배수판(400)의 지지부(421)위에 걸친 후, 제1배수판(400)의 가이드 플레이트(440)에 제2배수판(400')의 가이드플레이트(440')가 닿을 때까지 제1배수판(400)과 제2배수판(400')을 서로 겹친다. 즉, 제2배수판(400')의 지지부(421') 및 가이드 플레이트(440')의 일부는 제1배수판(400)의 결합용홈(441)에 삽입된다.
그러면 도 8의 하단에 도시된 그림과 같이 제2배수판(400')이 제1배수판(400) 위에 올라타 겹쳐진 상태가 된다.
가이드 플레이트(440)로 인해 제1배수판(400) 및 제2배수판(400')은 가이드 플레이트(440,440')가 서로 맞닿을 때까지만 겹쳐질 수 있다. 그 이상 겹쳐지게 되면 제2배수판(400')의 가이드 플레이트(440')가 제1배수판(400) 위에 올라타게 되어, 제1배수판(400)과 제2배수판(400')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므로 서로 결합할 수 없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1배수판(400)과 제2배수판(400')을 결합볼트(451)를이용하여 결합한다. 제2배수판(400')의 하부를 감싸는 제1배수판(400)의 테두리(452)에 실리콘을 사용하여, 제1배수판(400)과 제2배수판(40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한다.
이하에서는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고정대(100)가 설치된 좌우 슬래브(10)가 필요하다.
그 후 상부덮개(200)의 상부덮개 돌기(211)를 고정대(100)의 상부덮개 삽입홈(112)에 끼운 다음 상부덮개(200)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고정대(100)에 결합한다.
방수패드(250)는 상부덮개(200)를 고정대(100)에 설치하기 전에 결합하는 것이 좋다.
그러면, 방수패드(250)를 여러 방향에서 잡아당겨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교량 내부에 설치된 상부덮개(200)에 방수패드(250)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결합하는 것보다 수월하게 방수패드(250)를 상부덮개(200)에 결합할 수 있다.
상부덮개(200)가 설치된 상태에서 교량의 유간의 상부가 개방되어 있을 때는 제2경사부(412)의 내측면에 설치된 너트(430)를 이용하여 배수판(400)을 오므린 후 교량의 위에서 아래로 넣은 후 배수판(400)을 다시 원상복귀시켜 고정대(100)의 내부에 삽입한다.
이와 반대로 교량의 유간의 상부가 핑거 플레이트(11) 등에 의해 막혀있을 때는 배수판(400)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고정대(100)의 내부에 삽입한다.
배수판(400)을 삽입했을 때 배수판(400)은 고정대(100)의 하부덮개 가이드돌기(131) 상면에 올려지게 된다.
그 후 하부덮개(300)의 고정대 삽입홈(303)에 고정대(100)의 하부덮개 가이드돌기(131)를 끼워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하부덮개(300)를 고정대(100)에 결합한다. 하부덮개(300)의 상면 및 하면에는 슬라이딩 플레이트(31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배수판(400) 및 고정대(100)와 하부덮개(300) 사이의 마찰력은 최소화 되어 작업이 수월해진다.
이 때 하부덮개(300)는 배수판(400)을 들어올리면서 슬라이딩 되고, 이로 인해 하부덮개(300)가 설치되면 배수판(400)은 하부덮개(300)의 상면에 올려져 배수판(400)의 상면에는 방수패드(250)가 밀착된다.
배수판(400)은 전후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고 위로만 들어올려져 방수패드(250)에 밀착되므로, 방수패드(250)와배수판(400)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한 방수패드(250) 혹은 배수판(400) 설치의 어려움이 최소화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배수판(400) 또는 방수패드(250)의 교체가 필요할 경우 철거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하부덮개(300)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고정대(100)에서 철거한다. 그러면 방수패드(250)와 배수판(400) 사이에 틈이 생겨 상부덮개(200) 또는 배수판(400)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킬 때 적용하는 마찰력이 줄어들게 된다.
이 상태에서 배수판(400) 또는 상부덮개(200)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고정대(100)에서 철거 후 교체한다. 방수패드(250)의 경우 철거된 상부덮개(200)에서 교체한다.
이하에서는 청소대차(5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청소대차(500)는 도 4 내지 도 6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청소대차(500)는 넓은 면이 좌우방향을 향하는 2개의 사각판이 서로 마주보고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510)와, 본체(510)의 전방 및 후방에 형성되는 제1,2수평부(521,522)와, 본체(51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제1,2고정판(531,532)과, 제1,2고정판(531,532) 사이에 설치되는 제1,2청소판(541,542)과, 본체(51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부덮개(200)에 설치되는 롤러부(560)를 포함한다.
제1수평부(521)와 제2수평부(522)는 사각파이프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수평부(521)의 내측 폭은 제2수평부(522)의 외측 폭과 유사하거나 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1수평부(521)의 일측은 본체(510)의 좌측 내측면에 연결되고, 제2수평부(522)의 일측은 본체(510)의 우측 내측면에 연결된다. 제1수평부(521)와 제2수평부(522)가 서로 반대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1수평부(521)와 제2수평부(522)는 좌우방향으로 같은 선상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제2수평부(522)의 타측은 제1수평부(521)의 타측 내부에 삽입된다.
제1수평부(521)의 타측에는 폭조절너트(523)가 형성된다. 제1수평부(521)에는 폭조절너트(523)의내경에 맞게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는 홈이 형성된다.
폭조절너트(523)는 사용자가 폭조절너트(523)에 결합되는 폭조절볼트(524)를조작하기 용이하게 청소대차(5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형성된다.
폭조절볼트(524)는 아이볼트로 구비된다.
사용자는 폭조절볼트(524)가 일정 이상 풀려있는 상태에서 제1수평부(521)와 제2수평부(522)가 겹쳐지는 정도를 조절하여 청소대차(500)의 좌우방향 폭을 조절할 수 있다. 그 후 폭조절볼트(524)를 조이면, 폭조절볼트(524)가 제1수평부(521) 내측에 삽입된 제2수평부(522)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제1수평부(521)에 대한 제2수평부(522)의 위치가 고정된다.
제1고정판(531)과 제2고정판(532)은 넓은 면이 전후방향을 향하는 사각판의 형태로 형성된다.
제1고정판(531)과 제2고정판(532)은 상하방향에 대해 사선으로 설치된다.
제2고정판(532)의 좌우방향 폭은 제1고정판(531)보다 좌우방향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2고정판(532)은 2개의 제1고정판(531) 사이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후술할 제1,2청소판(541,542)이 제1고정판(531)과 제2고정판(532)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서도, 제2고정판(532)의 우측단과 본체(510)의 좌측 내측면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어 청소대차(500)의 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제1고정판(531) 중 하나는 본체(510)의 좌측 내측면에 연결되고, 나머지 제1고정판(531)은 본체(510)의 우측 내측면에 연결된다.
제2고정판(532)은 본체(510)의 좌측 또는 우측 내측면에 결합된다.
제1고정판(531)의 외측면에는 높이조절너트(533)가 형성된다. 제1고정판(531)에는 높이조절너트(533)의 내경에 맞게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는 홈이 형성된다.
높이조절볼트(534)는 아이볼트로 구비된다.
제1청소판(541)과 제2청소판(542)은 하부가 배수판의 내측면의 형상을 따라 형성되는 판의 형태로 형성된다.
제1청소판(541)은 제2고정판(532)과 제2고정판(532)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1고정판(531) 사이에 배치되고, 제2청소판(542)은 제2고정판(532)과 제2고정판(532)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1고정판(531) 사이에 배치된다.
그로 인해, 제1,2청소판(541,542)도 상하방향에 대해 사선으로 배치된다. 제1,2청소판(541,542)과 배수판(400)이 둔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배수판(400)에 쌓인 이물질(20)을 밀어서 제거하면 이물질(20)이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된다.
사용자는 높이조절볼트(534)가 일정 이상 풀려있는 상태에서 제1청소판(541) 및 제2청소판(542)의 높이를 조절한다. 이 때 제1,2청소판(541,542)의 높이는 배수판(400)에 쌓인 이물질(20)의 높이에 따라 조절한다. 그 후 높이조절볼트(534)를 조이면, 높이조절볼트(534)가 제1,2청소판(541,542)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제1,2청소판(541,542)의 높이가 고정된다.
청소대차(500)의 전방 및 후방에는 와이어(550)가설치되어, 와이어(550)를 이용하여 청소대차(5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롤러부(560)는 청소대차(500) 하부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된다.
롤러부(560)는 롤러축(561)과, 롤러축(561)의 일측에 형성되는 롤러가이드부(562)와, 롤러축(561)의 타측에 결합되는 롤러너트(564)를 포함한다.
롤러축(561)은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된다.
롤러가이드부(562)는 2개의 원판으로 형성된다.
롤러가이드부(562)의 지름은 롤러축(561)의 지름보다 크고, 상부덮개(200)의 청소대차 삽입홈(222)의 높이방향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롤러가이드부(562)와 롤러가이드부(562) 사이에는 상부덮개 삽입홈(563)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에 형성되는 롤러가이드부(562)는 상부덮개(200)의 청소대차 삽입홈(222)에 설치되고, 상부덮개 삽입홈(563)에는 청소대차 가이드돌기(221)가 삽입되어, 청소대차(500)는 상부덮개(200)에 설치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청소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청소대차(500)는 평상시에 교량의 내부에 배치된다. 다만, 청소대차(500)에 연결된 와이어(550)가 교량의 측면에서 잡아당길 수 있게 되어있기 때문에, 와이어(550)를 잡아당겨 청소대차(500)를 교량의 측면까지 끌어당길 수 있다.
이 때 제1,2청소판(541,542)과 배수판(400)이 예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끌어당기도록 한다.
청소대차(500)가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위치에 놓이면 폭조절볼트(524)를 이용하여 청소대차(500)의 폭을 조절한다.
그 후 높이조절볼트(534)를 이용하여 배수판(400)에 쌓인 이물질(20)의 높이에 맞게 제1,2청소판(541,542)의 높이를 조절한다.
일정 높이의 이물질(20)을 제거할 수 있도록 제1,2청소판(541,542)의 높이가 조절되면 교량의 반대편에서 와이어(550)를 잡아당겨 이물질(20)을 제거한다.
이 상태에서 높이조절을 하지 않고 와이어(550)를 잡아당겨 반대편으로 청소대차(500)를옮긴 후 높이조절볼트(534)를 이용하여 제1,2청소판(541,542)의 높이를 조절한다.
상술한 과정을 이물질(20)의 양이 기준치 이하가 될 때까지 반복한다.
이물질(20)이 어느 정도 제거되면, 제1,2청소판(541,542)의 높이를 원래대로 높인 다음 청소대차(500)를 교량의 내부에 배치한다.
다수의 누수감지센서(602)는 교량의 슬래브 유간에 설치되는 신축이음장치 하부에 설치되는 누수포집 물홈통에 설치되며 제어부(603)는 접근이 용이한 위치에 설치되며 누수감지 경광등(604)과 데이터 통신모뎀(605)은 교량 상부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데이터 통신모뎀에서 교량관리실 컴퓨터(606) 및 각각의 지정된 관리인에게 휴대폰으로 송신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슬래브 11: 핑거 플레이트
12: 고정볼트 20: 이물질
100: 고정대 110: 상판
111: 상부덮개 가이드돌기 112: 상부덮개 삽입홈
120: 측면판 121: 고정볼트 삽입부
130: 하판 131: 하부덮개 가이드돌기
200: 상부덮개 201: 상부덮개 수직부
202: 제1상부덮개 지지부 203: 제2상부덮개 지지부
211: 상부덮개 돌기 212: 상부덮개 가이드홈
221: 청소대차 가이드돌기 222: 청소대차 삽입홈
231: 방수패드 가이드돌기 232: 방수패드 삽입홈
250: 방수패드 251: 방수패드 지지부
252: 방수패드 돌기 253: 방수패드 가이드홈
254: 연장날개부
300: 하부덮개 301: 하부덮개 가이드부
302: 하부덮개 수직부 303: 고정대 삽입홈
310: 슬라이딩 플레이트
400: 배수판 410: 배수부
411: 제1경사부 412: 제2경사부
420: 날개부 421: 지지부
422: 이탈방지부 430: 너트
440: 가이드 플레이트 441: 결합용홈
451: 결합볼트 452: 테두리부
500: 청소대차 510: 본체
521: 제1수평부 522: 제2수평부
523: 폭조절너트 524: 폭조절볼트
531: 제1고정판 532: 제2고정판
533: 높이조절너트 534: 높이조절볼트
541: 제1청소판 542: 제2청소판
550: 와이어 560: 롤러부
561: 롤러축 562: 롤러가이드부
563: 상부덮개 삽입홈 564: 롤러너트
601: 누수포집 물홈통 602: 누수감지 센서
603: 제어부 604: 누수감지경광등
605: 데이터 통신 모뎀
606: 교량관리실 컴퓨터 및 관리자 핸드폰
12: 고정볼트 20: 이물질
100: 고정대 110: 상판
111: 상부덮개 가이드돌기 112: 상부덮개 삽입홈
120: 측면판 121: 고정볼트 삽입부
130: 하판 131: 하부덮개 가이드돌기
200: 상부덮개 201: 상부덮개 수직부
202: 제1상부덮개 지지부 203: 제2상부덮개 지지부
211: 상부덮개 돌기 212: 상부덮개 가이드홈
221: 청소대차 가이드돌기 222: 청소대차 삽입홈
231: 방수패드 가이드돌기 232: 방수패드 삽입홈
250: 방수패드 251: 방수패드 지지부
252: 방수패드 돌기 253: 방수패드 가이드홈
254: 연장날개부
300: 하부덮개 301: 하부덮개 가이드부
302: 하부덮개 수직부 303: 고정대 삽입홈
310: 슬라이딩 플레이트
400: 배수판 410: 배수부
411: 제1경사부 412: 제2경사부
420: 날개부 421: 지지부
422: 이탈방지부 430: 너트
440: 가이드 플레이트 441: 결합용홈
451: 결합볼트 452: 테두리부
500: 청소대차 510: 본체
521: 제1수평부 522: 제2수평부
523: 폭조절너트 524: 폭조절볼트
531: 제1고정판 532: 제2고정판
533: 높이조절너트 534: 높이조절볼트
541: 제1청소판 542: 제2청소판
550: 와이어 560: 롤러부
561: 롤러축 562: 롤러가이드부
563: 상부덮개 삽입홈 564: 롤러너트
601: 누수포집 물홈통 602: 누수감지 센서
603: 제어부 604: 누수감지경광등
605: 데이터 통신 모뎀
606: 교량관리실 컴퓨터 및 관리자 핸드폰
Claims (12)
- 교량의 슬래브와 슬래브 사이 유간에 설치되는 신축이음장치 하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누수포집 물홈통(601)과 각각 다수으 누수감지센서(602)와 누수감지센서를 제어하는 제어부(603)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슬래브 사이의 끝단에 고정되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고정대;
상기 고정대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고정대 내부에 날개부가 배치되는 배수판;
상기 개구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부 탈착부;
상기 개구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 탈착부;
상기 상부 탈착부에 상기 슬래브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상부덮개; 및
상기 하부 탈착부에 상기 슬래브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하부덮개;를 포함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 탈착부는 상기 상부덮개의 상측을 끼울 수 있는 레일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탈착부는 상부로 돌출된 바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덮개의 하측에 끼워지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하부덮개의 상면에 접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양단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의 일단은 상기 지지부의 일단보다 안쪽으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이탈방지부의 일단과 상기 지지부의 일단 사이에는 결합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판은 다른 상기 배수판과 슬래브의 폭방향으로 상기 결합용홈 내에서 서로 겹쳐져서 연결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 측부에 상기 슬래브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청소대차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청소대차에는 하부의 형상이 상기 배수판의 내측면의 형상을 따라 형성되는 청소판이 설치되고,
상기 청소대차에는 상기 배수판의 외부에서 상기 청소대차를 상기 슬래브의 폭방향으로 당길 수 있는 와이어가 설치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청소대차는 상기 청소판의 양면을 지지하는 고정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청소판은 상기 고정판에 대해 높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고정판에는 높이조절부가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부에는 상기 청소판의 외측면을 가압할 수 있는 높이조절볼트가 삽입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청소대차는 제1수평부와, 상기 슬래브의 길이 방향으로 일부가 상기 제1수평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수평부와 겹쳐질 수 있게 형성되는 제2수평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수평부에는 상기 제1수평부와 상기 제2수평부가 겹치는 부분에 폭조절부가 형성되고,
상기 폭조절부에는 상기 제2수평부의 외측면을 가압할 수 있는 폭조절볼트가 삽입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의 하부에는 상기 배수판의 상면에 밀착되는 방수패드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덮개의 상면 및 하면에는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설치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a) 고정대가 설치된 제1슬래브와 제2슬래브가 준비되는 단계;
(b) 하부에 방수패드가 결합된 상부덮개를 고정대의 상부에 슬래브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하는 단계;
(c) 교량의 유간의 상부가 개방되어 있을 때는 배수판을 위에서 아래로 넣은 후 고정대 내부에 삽입하고, 교량의 유간의 상부가 막혀있을 때는 배수판을 슬래브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고정대 내부에 삽입하는 단계;
(d) 배수판을 위로 들어올리며, 고정대의 하부에 하부덮개를 슬래브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하는 단계;
(e) 고정대에서 하부덮개를 슬래브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철거하는 단계;
(f) 고정대에서 배수판 또는 상부덮개를 슬래브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철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시공방법. - (a) 폭조절볼트를 이용하여 교량의 유간의 폭에 맞춰 청소대차의 전체폭을 조절하는 단계;
(b) 높이조절볼트를 이용하여 배수판에 쌓인 이물질의 높이에 맞춰 청소대차의 청소판의 상하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
(c) 청소대차에 연결된 와이어를 이용하여 청소대차를 슬래브의 폭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단계;
(d) 배수판의 이물질의 양이 기준치 이하가 될 때까지 (b)~(c)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청소방법. - 청구항1에 있어서 누수감지경광등(604)를 설치하는 신축이음장치
- 청구항1에 있어서 제어부에서 누수감지된 데이터를 교량관리실 컴퓨터(606) 또는 관리자 핸드폰(606)으로 무선 송신하는 데이터 통신모뎀(605)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3733A KR20200129400A (ko) | 2019-05-08 | 2019-05-08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 및 청소방법과 누수감지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3733A KR20200129400A (ko) | 2019-05-08 | 2019-05-08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 및 청소방법과 누수감지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29400A true KR20200129400A (ko) | 2020-11-18 |
Family
ID=73697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53733A KR20200129400A (ko) | 2019-05-08 | 2019-05-08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 및 청소방법과 누수감지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129400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695687A (zh) * | 2020-12-28 | 2021-04-23 | 武汉理工大学 | 一种仿临时减速带设计桥梁伸缩缝清洗装置 |
CN113062482A (zh) * | 2021-03-24 | 2021-07-02 | 机械工业第九设计研究院有限公司 | 一种大型钢结构工业厂房的伸缩缝结构 |
KR102623228B1 (ko) * | 2022-07-22 | 2024-01-10 | 삼우엠텍(주) |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및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이물질 및 누수를 감지하는 유지보수 시스템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36732B1 (ko) | 2015-09-18 | 2016-07-07 | 삼우엠텍(주) |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
KR101887937B1 (ko) | 2017-11-21 | 2018-09-10 | 삼우엠텍(주) | 교량용 수밀형 신축이음장치 |
-
2019
- 2019-05-08 KR KR1020190053733A patent/KR2020012940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36732B1 (ko) | 2015-09-18 | 2016-07-07 | 삼우엠텍(주) |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
KR101887937B1 (ko) | 2017-11-21 | 2018-09-10 | 삼우엠텍(주) | 교량용 수밀형 신축이음장치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695687A (zh) * | 2020-12-28 | 2021-04-23 | 武汉理工大学 | 一种仿临时减速带设计桥梁伸缩缝清洗装置 |
CN113062482A (zh) * | 2021-03-24 | 2021-07-02 | 机械工业第九设计研究院有限公司 | 一种大型钢结构工业厂房的伸缩缝结构 |
KR102623228B1 (ko) * | 2022-07-22 | 2024-01-10 | 삼우엠텍(주) |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및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이물질 및 누수를 감지하는 유지보수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00129400A (ko)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 및 청소방법과 누수감지시스템 | |
KR100922599B1 (ko) | 교체가 가능한 교량의 매립형 누수방지장치 | |
KR101636732B1 (ko) |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2079744B1 (ko)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 및 청소방법 | |
JPH08500162A (ja) | 複数壁の封鎖溝を形成する装置 | |
US20040040901A1 (en) | Continuous roll basin insert | |
US20050204648A1 (en) | Flashing adaptable to different shapes of roof | |
KR101102576B1 (ko) | 맨홀용 협잡물 수거장치 | |
KR101755181B1 (ko) | 측배수 유공관을 갖는 교량의 배수장치 | |
KR102623228B1 (ko) |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및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이물질 및 누수를 감지하는 유지보수 시스템 | |
CN104481087A (zh) | 一种轻便稳固易排水的雨棚 | |
US20130195549A1 (en) | Inclined manhole cover riser assembly | |
KR101599823B1 (ko) | 교량의 매립형 신축이음장치 | |
KR101866628B1 (ko) | 교량 신축이음부의 배수판 이물질 제거장치 | |
KR101467920B1 (ko) | 신축구조 물받이가 구비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
US5078539A (en) | Bendable raising structure for manhole cover with predetermined weak spot | |
JPH04153102A (ja) | 廃棄物積替施設 | |
KR200300282Y1 (ko) | 맨홀용 여과기구 | |
KR100500720B1 (ko) | 교좌장치의 부식방지 및 유지관리를 위한 시설관리장치 | |
KR101233316B1 (ko) | 수로관 | |
KR200292772Y1 (ko) | 교좌장치의 부식방지 및 유지관리를 위한 시설관리장치 | |
CN216179944U (zh) | 一种地源热泵管道施工用固定装置 | |
KR102589413B1 (ko) | 맨홀 내 디바이스 설치 보조 장치 | |
KR101491405B1 (ko) | 단계별 신설 시공 또는 확장되는 고가교량의 배수로 설치구조 | |
KR20120039149A (ko) | 교량 이음부 누수방지용 보수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