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9010A - 병풀추출물을 이용한 탈모예방 에센스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병풀추출물을 이용한 탈모예방 에센스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9010A
KR20200129010A KR1020190053354A KR20190053354A KR20200129010A KR 20200129010 A KR20200129010 A KR 20200129010A KR 1020190053354 A KR1020190053354 A KR 1020190053354A KR 20190053354 A KR20190053354 A KR 20190053354A KR 20200129010 A KR20200129010 A KR 20200129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hair
hair loss
scal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닥터스칼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닥터스칼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닥터스칼프
Priority to KR1020190053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9010A/ko
Publication of KR20200129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0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용 에센스 제조에 관한 것으로, 병풀 추출물을 이용하여 탈모 예방 및 발모 완화용 에센스 제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병풀추출물을 이용한 탈모예방 에센스 제조방법{Methods for manufacturing hair loss prevention essence using byungpool extract}
일반적으로 탈모는 정상적으로 모발이 존재해야 할 부위에 모발이 없는 상태를 말하며, 두피의 성모(굵고 검은
머리털)가 빠지는 것을 의미한다. 성모는 색깔이 없고 굵기가 가는 연모와는 달리, 빠질 경우 미용상 문제를 일
으킬 수 있다. 이런 탈모는 크게 남성호르몬의 과다 분비와 신장기능의 약화 및 혈액순환의 불량으로 인해 발생
하게 된다.
[0003] 즉,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의 대사산물인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이 모낭세포의 안드로겐 수용체와 결합하
여 DNA 복제를 자극하고 모낭세포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게 되면서 탈모가 일어나게 된다.
[0004] 또한 과도한 스트레스와 불규칙한 식습관 등으로 인하여 몸에 열이 많이 발생함에 따라 발생한 열을 식히기 위
해 신장이 작용하게 되는데, 신장의 한계 능력 이상으로 과열이 지속되면서, 신장이 혹사되어 약화된다. 이 결
과 위로 뜨는 열의 특성으로 인해 두피가 계속 과열됨에 따라 두피의 모모세포가 과잉 활성화되어 모근을 퇴화
시키게 되면서 탈모가 발생하게 된다.
[0005] 뿐만 아니라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 지지 않아 두피의 혈류량 감소로 인한 모근부의 신진대사 기능저하로
탈모가 발생하게 된다.
[0006] 이에 따라 탈모 방지 및 모발의 생성을 돕는 조성물이 시판되고 있으나, 사용 시 두피 건조, 홍반 등의 두피 자
극 증상,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 안면부 다모증과 혈관 확장, 즉 항고혈압 작용에 의한 허탈감, 저혈압, 빈맥
등의 부작용을 일으켜 장기 사용에는 부적합하다.
[0007] 또한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다이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 전환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탈모를 방지하는
제제는 그 약효가 유효하지만, 약의 사용을 중지하면 수개월 후 비복용자와 같이 탈모가 다시 진행되는 문제점
이 있었고, 가격이 높고 복용 시 성욕감퇴, 발기부전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탈모 방지 및 예방제들은 사용시 부작용을 [0008] 유발할 수 있고, 가격도 고가이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사용하는데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0009]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약재에서 추출한 추출물과 정제수를 혼합한 탈모
예방과 모발 생성을 돕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제조된 조성물을 적당량 두피에 도포하여 마사지함으로써, 병풀의 성분들이 두피로 열이 모이는 것
을 방지하고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모발과 모근에 신진대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가 있다.
[0012] 뿐만 아니라 모발에 수분이 유지될 수 있도록 보습을 실시하고 두피를 소독함에 따라, 탈모를 방지하며 모발의
생성에 도움을 주고 두피가 청결히 유지될 수 있게 하는 효과 또한 있다.
[0013] 그리고 천연성분으로 구성된 한약재의 추출물과 정제수를 일정 비율로 혼합한 것으로, 성별 및 연령의 제한과
부작용이 없으며 병풀을 성분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종래에 시판되는 제품보다 낮은 가
격으로 제조 및 유통 가능한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병풀과 정제수를 혼합한 모발 생성을 돕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0015] 본 발명의 탈모 예방과 모발 생성을 돕는 조성물의 구성은 하수오추출물 1~5중량%, 인진쑥추출물 10~15중량%,
박하추출물 1~5중량%, 솔잎추출물 1~5중량%, 당귀추출물 1~5중량%, 마추출물 1~5중량%, 인삼추출물 5~10중량%,
감초추출물 1~5중량%, 정제수 70~80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0016] 상기 성분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0017] 하수오는 쌍떡잎식물 마디풀목 마디풀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로써 강장제?강정제?완하제로 사용되며, 게르마
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산소를 인체에 원활하게 전달함에 따라 인체의 저항력을 높일 뿐만 아니라 신장기능을
튼튼하게 함으로써 몸이 뜨거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몸에서 발생한 열이 두피로 방출되는 것을 막아 탈모를 방지
한다. 또한 기존 모발에 윤택을 더하고 색을 검게 하며, 모발의 생성을 돕는다.
[0018] 인진쑥은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에 속하는 쑥의 일종으로 특히 생명력이 가장 강한 것을
인진쑥이라하며 한방에서 약재로 사용된다. 곰팡이와 독소를 제거하는데 탁월한 효능이 있어 두피에 존재하는
비듬, 세균, 노폐물 등을 소독함에 따라 두피를 청결하게 유지하여 피부질환을 예방한다.
[0019] 박하는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 숙근초로 소염과 해열작용을 하며, 멘톨을 함유하고 있어,
도포제(塗布劑)?진통제?흥분제?건위제?구충제 등에 약용하거나 치약?잼?사탕?화장품?담배 등에 청량제나 향료로
쓰인다. 이런 박하를 두피에 사용하면 두피에 청량감을 주고 두피에 모인 열을 해소할 수 있어 탈모를 방지할
수 있다.솔잎은 겉씨식물 구과목 소나무과의 상록침엽 교목에 속하는 소나무의 잎으로 [0020] 각종 페놀화합물, 키닌, 털핀, 비
타민C, 비타민A, 철분 등을 함유하고 있어 혈액안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춘다. 따라서 두피에 쌓인 콜레스테롤을
제거하여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함에 따라 모발이 빠지는 것을 예방하게 된다. 또한 솔잎에는 옥실파르티민산이
포함되어 있어 두피의 노화를 방지하며, 흰 모발이 나는 부위에 다시 검은 모발이 자랄 수 있도록 돕는다.
[0021] 당귀는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산형화목 산형과의 숙근초로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적혈구 생성을 왕성하게 함에
따라 두피 내의 노폐물 제거를 원활히 할 수 있어 탈모를 예방하게 된다.
[0022] 마는 외떡잎식물 백합목 마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로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한다. 이 마에는 사포닌 등의 성
분이 포함되어 있어 매연이나 샴프, 린스 등에 무방비로 노출된 두피를 회복시키고, 칼륨, 칼슘, 단백질, 당질
의 영양소가 풍부하여 갈라진 모발을 복원시키며, 디오스게닌 성분을 통해 모발이 건조해지는 것을 막아 모발이
약해지는 것을 예방한다.
[0023] 인삼은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두릅나무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약용으로 사용되며 주요 성분은 아글리콘 비율에 따
라 프로토파낙사디올과 프로토파낙사트리올로 분류되는 적어도 13종 이상의 진세노사이드(사포닌), 파낙시놀 등
의 증류오일, 유기산 및 에스테르, 스테롤, 질소화합물, 엽산 등의 비타민, 효소 등을 함유하고 있다. 이에 따
라 나타나는 여려가지 효능 중 혈압조절과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를 통해 탈모를 예방한다.
[0024] 감초는 쌍떡잎 식물 장미목 콩과에 속하는 여러해 살이 풀로 뿌리는 단맛이 나서 감미료나 한약재로 사용된다.
포도당이 풍부하고 비타민 C가 많아 모낭 형성을 원활하게 하며, 해독작용이 있어 두피에 비듬 등이 생기는 것
을 예방한다.
[0025] 정제수는 이온 교환법, 역삼투 방식, 자외선 살균법, 활성탄 흡착법 등의 방법으로 정제된 물로써 화장품 제조
에 가장 큰 배합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를 사용하는 목적은 일반적인 물에는 다양한 성분이 포함될 뿐만 아니
라 세균등이 번식할 수 있어서 이러한 것들에 의해 화장품이 별질되거나 부패 또는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
해 사용된다.
[0026] 상기 한약재의 추출물과 정제수를 혼합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하수오, 인진쑥, 박하, 솔잎, 당귀, 마, 인삼,
감초를 각각 2시간동안 80~100℃의 물로 중탕한 후 각각의 추출물을 추출하는 제1단계와; 하수오추출물 1~5중량
%, 인진쑥추출물 10~15중량%, 박하추출물 1~5중량%, 솔잎추출물 1~5중량%, 당귀추출물 1~5중량%, 마추출물 1~5
중량%, 인삼추출물 5~10중량%, 감초추출물 1~5중량%, 정제수 70~80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완성하는 제2단계로
구성된다.
[0027] 상기 단계를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0028] 먼저, 제1단계는 하수오, 인진쑥, 박하, 솔잎, 당귀, 마, 인삼, 감초를 각각 2시간동안 80~100℃의 물로 중탕한
후 각각의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이다.
[0029] 여기서 한약재의 추출물은 중탕한 후 추출하게 되는데, 중탕을 행하는 이유는 한약재 성분을 가열하는 중에 파
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식은 기계장치를 이용하는 방식이나 직접 천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수작업으로 하는 방식이 있는데, 상황에 따라 적합한 방식을 사용하면 된다.
[0030] 그리고, 제2단계는 상기 추출된 하수오추출물 2g, 인진쑥추출물 6g, 박하추출물 1g, 솔잎추출물 1g, 당귀추출물
1g, 마추출물 1g, 인삼추출물 2g, 감초추출물 1g, 정제수 45g를 혼합하여 조성물을 완성하는 단계이다.
[0031] 이때, 추출물이 정제수에 잘 희석되도록 충분히 썩어 주어야 한다. 상기 과정이 완료되면 본 발명의 탈모 예방
과 모발 생성을 돕는 조성물 60g이 완성된다.

Claims (1)

  1. 병풀추출물 1~5중량%, 인진쑥추출물 10~15중량%, 박하추출물 1~5중량%, 솔잎추출물 1~5중량%, 당귀추출물 1~5
    중량%, 마추출물 1~5중량%, 인삼추출물 5~10중량%, 감초추출물 1~5중량%, 정제수 70~80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됨
    을 특징으로 한 탈모 예방과 모발 생성을 돕는 조성물.
KR1020190053354A 2019-05-07 2019-05-07 병풀추출물을 이용한 탈모예방 에센스 제조방법 KR202001290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354A KR20200129010A (ko) 2019-05-07 2019-05-07 병풀추출물을 이용한 탈모예방 에센스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354A KR20200129010A (ko) 2019-05-07 2019-05-07 병풀추출물을 이용한 탈모예방 에센스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010A true KR20200129010A (ko) 2020-11-17

Family

ID=73642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354A KR20200129010A (ko) 2019-05-07 2019-05-07 병풀추출물을 이용한 탈모예방 에센스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90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21975A1 (de) 2020-10-06 2022-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gelschaltung, elektronische Vorrichtung mit der Regelschaltung und Prozessor mit der Regelschalt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21975A1 (de) 2020-10-06 2022-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gelschaltung, elektronische Vorrichtung mit der Regelschaltung und Prozessor mit der Regelschaltu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7198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샴푸 제조방법
KR101478945B1 (ko) 자생 식물 및 천연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샴푸 조성물
KR101373636B1 (ko) 천연물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871343B1 (ko) 탈모 방지 비누의 제조방법
KR100928726B1 (ko) 아토피성 피부 질환 치료용 천연 특수 한방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102533052B1 (ko) 한방 샴푸 조성물
KR101054378B1 (ko) 한방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940050A (zh) 沉香挥发油原液在制备护肤品中的用途
KR101263181B1 (ko) 발모촉진 양모 및 탈모방지용 두피 케어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샴푸
KR20160069953A (ko) 발모촉진용 한방 샴푸 조성물
KR20080002279A (ko) 아토피 증상 개선의 효과가 있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74778B1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251288B1 (ko) 시서스 및 대파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41497A (ko) 황칠나무와 한약재료의 효소 추출물을 이용하는 탈모개선 샴푸의 제조 방법
KR20120076005A (ko) 항균 기능을 갖는 약초비누
KR101261013B1 (ko) 탈모방지 및 발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32215B1 (ko) 삼나무 및 연잎 복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 및 면역증강용 화장료조성물
KR20040001683A (ko) 천연발모제의 제조 방법
CN104707057B (zh) 一种具有祛痘功效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00129010A (ko) 병풀추출물을 이용한 탈모예방 에센스 제조방법
JP2005206466A (ja) シワ改善用皮膚外用剤
KR101926080B1 (ko) 비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누
KR101045410B1 (ko) 올리브유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43530B1 (ko) 솔잎 추출액을 포함한 모발의 생장 촉진용 샴푸 조성물 및 그 방법
KR20120027620A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조성물 그리고 이를 이용한 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