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8878A - 해양 오염방지를 위한 선박 오일 레코드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해양 오염방지를 위한 선박 오일 레코드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8878A
KR20200128878A KR1020190052943A KR20190052943A KR20200128878A KR 20200128878 A KR20200128878 A KR 20200128878A KR 1020190052943 A KR1020190052943 A KR 1020190052943A KR 20190052943 A KR20190052943 A KR 20190052943A KR 20200128878 A KR20200128878 A KR 20200128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information
tank
record book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2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피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피에스
Priority to KR1020190052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8878A/ko
Publication of KR20200128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88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선박 오일 레코드북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선박 오일 레코드북 관리 시스템은, 해당 선박의 오일 레코드북에 기입될 관련 재원 정보들이 입력됨에 따라 탱크 오일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연결되며, 상기 탱크 오일 정보를 이용하여 기사 정보를 생성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에 연결되며, 상기 기사 정보를 확인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해양 오염방지를 위한 선박 오일 레코드북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il record book of vessel to prevent maring oil-spill}
본 발명은 선박 오일 레코드 북 관리 기술에 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오일 레코드북(Oil Record Book PartⅠ: Machinery Space Operation)의 자동 기사 생성을 가능하게 하는 선박 오일 레코드북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선박의 법적으로 등록된 각종 탱크의 이송 및 배출 등 모든 데이터를 입력한 후 기사 작성 시 각종 수치 및 문장의 오기(誤記) 없이 안전하게 기사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 오일 레코드북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일 레코드북은 선박 운행에 있어 사용되는 오일(각종 유성분이 섞인 혼합물을 통칭함)들을 관리하는 장부의 역할을 하며, 정확히 기록되지 않는 경우 법적인 처벌을 받을 수 있다. 오일의 분류는 빌지(물이 주를 이룸)와 슬러지(오일이 주를 이룸)로 나뉘며 선박 운행 시 엔진 가동, 냉각기 가동 심지어 청소 등에서 사용되고 처리되는 모든 오일들의 이송 과정을 오일레코드북에 기록해야 한다.
이러한 오일 레코드북의 내용은 선박에서 사용되는 각종 오일들의 저장, 이송, 폐기 등(모두 통칭하여 이송이라 명명함)의 작업이 발생할 때마다 작성되는 기사들로 이뤄져 있다. 그런데, 기사에 사용되는 각종 명칭과 기사의 형태는 정해져 있는 용어와 문장을 정확히 일치하게 작성해야 한다.
현재 실무자들이 책자에 기사들을 수기로 작성하고 있다. 이 때, 실무자의 실수로 인한 오탈자 및 잘못된 값들이 기사에 기입되는 기록 오류도 발생되는 경우 매번 해당 기사들을 정정하는 작업이 추가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록 오류에 대한 분량이 많을 경우 새로 오일 기록부를 작성하는 경우도 있다.
현재 수기로 모든 오일 레코드북을 작성 및 관리하고 있으며, 선박들이 장기간 항해하는 경우 오랜기간 텀을 두고 오일 레코드북의 검수가 진행된다. 또한, 기사의 작성은 실무자들이 일과시간동안 작업한 내역을 일과 후 시간 흐름에 맞도록 기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기사 작성 시 실무자가 오일 탱크들의 작업 당시 잔량의 확인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사 작성 시 작성자만이 기사의 오류를 검토하기 때문에 기록 오류를 미리 방지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또한, 기록 오류가 발견된 경우 정정작업이 이뤄져야 하며, 발견시점이 늦어질수록 정정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적 비용이 늘어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록 오류들의 정정작업 시 원인 분석이 필수인데, 이에 사용되는 자료가 텍스트로만 이뤄진 오일레코드북 뿐이기 때문에 분석 기간이 길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작성되는 기사의 형태가 상황마다 상이함에 따라 실무자는 해당 작업의 기사 형태가 적합한지 확인해야 하며, 별도의 시간을 들여 숙지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1. 한국공개특허번호 제10-2017-0021688호 2. 한국공개특허번호 제10-2003-0059850호 3. 한국공개특허번호 제10-2005-0084506호
본 발명은 위 배경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오일레 코드북의 전산화는 설정되어 있는 양식과 명칭들을 사용하고, 각종 잘못된 값들에 대한 오류 검사를 통해 기사를 생성하기에 앞서 언급한 문제점들을 미리 방지할 수 있는 해양 오염방지를 위한 선박 오일 레코드북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실수로 잘못 입력한 값이 기사로 생성된 경우 수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여 기록 오류 수정에 소요되는 시간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해양 오염방지를 위한 선박 오일 레코드북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제시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오일레 코드북의 전산화는 설정되어 있는 양식과 명칭들을 사용하고, 각종 잘못된 값들에 대한 오류 검사를 통해 기사를 생성하기에 앞서 언급한 문제점들을 미리 방지할 수 있는 해양 오염방지를 위한 선박 오일 레코드북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선박 오일 레코드북 관리 시스템은,
해당 선박의 오일 레코드북에 기입될 관련 재원 정보들이 입력됨에 따라 탱크 오일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연결되며, 상기 탱크 오일 정보를 이용하여 기사 정보를 생성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에 연결되며, 상기 기사 정보를 확인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탱크 기름 정보는 선종, 톤수, 탱크 종류, 및 탱크 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종은 미리 설정되는 개수의 선종으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탱크에 대한 정보는 탱크의 이송 및 변화량 수치를 나타내기 위한 날짜, 작업 코드 및 항목 번호, 및 세부 기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사 정보 중 누락된 기록이 발생하면 상기 누락된 기록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협약 및 관련 법규에 해당하는 기사 정보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사 정보는 상기 탱크의 현재 상태를 수치화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사 정보는 상기 탱크의 현재 상태에서 탱크용량대비 현재 잔량의 레벨(%)이 미리 설정되는 일정 레벨 이상이면 경고 알람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고 알람 정보는 그래픽, 소리, 및 문자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사용자 타입 GUI(Graphic user interface)을 제공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관리자 타입 GUI을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타입 GUI 및 상기 관리자 타입 GUI은 각 권한이 별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기사 정보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입력 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a) 사용자 단말기가 해당 선박의 오일 레코드북에 기입될 관련 재원 정보들이 입력됨에 따라 탱크 오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 관리 서버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연결되며, 상기 탱크 오일 정보를 이용하여 기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관리자 단말기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에 연결되며, 상기 기사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오염방지를 위한 선박 오일 레코드북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사에 사용되는 모든 명칭들과 기사의 형태들은 설정값에 따라 생성되기 때문에 오탈자가 발생할 위험이 없으며, 설정이 잘못된 경우 수정하면 기존 기사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기사의 형태를 초기에 한번 설정해두기 때문에 모든 사용자들이 기사에 사용되는 정확한 문구들의 숙지에 대한 부담감이 없어지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모든 액션을 재원간 관계를 바탕으로 정의하기 때문에 실제 파이프 라인의 구성과 일치하도록 설정된 경우, 비정상적인 이송 기사의 작성은 사전에 차단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입력값의 오류들은 시스템에서 정해진 허용범위를 벗어날 경우 오류로 인식되어 차단되지만, 이 허영범위 내의 입력값들은 오류로 인식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이유로 기록 오류가 발생한 경우 각 탱크들의 잔량 추이를 그래프를 통해 실무자들은 신속히 오류의 원인을 분석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오류 발견 시 위의 방법으로 원인 분석 후 문제가 되는 기사의 입력값을 변경함으로써 오류 정정의 시간적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양 오염방지를 위한 선박 오일 레코드북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박 오일 레코드북 관리 시스템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맘춤형 오일 기록부 서식 설정의 예시를 보여주는 화면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재 잔량 레벨 확인을 구현하는 예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고 알람 발생을 구현하는 예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사 커스트마이징의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협약 및 법규 개정 배포 프로세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 설계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9는 일반적인 오일 기록부 작성의 규칙 자료예시이다.
도 10은 일반적인 실제 오일 기록부 전면부 및 내용에 대한 사진예시이다.
도 11은 일반적인 특정 선박의 폐유 이송 파이프 라인 구조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시큐리티를 사용한 스프링 서버 구조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3은 일반적인 선박 시뮬레이터상 오일 이송 작업의 화면예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양 오염방지를 위한 선박 오일 레코드북 관리를 위한 설정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5 및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양 오염방지를 위한 선박 오일 레코드북 관리에 따른 기사 생성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양 오염방지를 위한 선박 오일 레코드북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양 오염방지를 위한 선박 오일 레코드북 관리 시스템(100)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선박 오일 레코드북 관리 시스템(100)은 사용자(110), 관리 서버(130), 관리자(140) 등으로 구성된다. 물론, 사용자(110), 관리자(140)는 이해를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사용자(110) 및 관리자(140)는 통신 단말기를 통해 관리 서버(130)에 접속한다. 이 경우, 보안을 위해서 아이디, 비밀번호 등의 인증 정보 등을 이용한 인증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110)의 단말기에는 관리 프로그램(120)이 구성되며, 이 관리 프로그램(120)을 위해 소프트웨어,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등이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110)는 해당 선박에 대한 탱크 오일의 잔량 정보(150)을 확인하여 관리 프로그램(120)에 정보를 입력한다. 정보가 입력되면 관리 프로그램(120)은 이송된 정보를 바탕으로 기사를 생성한다. 관리자(140)는 기사 및 선박별 탱크를 확인하기 위해 관리 서버(130)에 접속하여 이를 요청하면, 기사 내용을 관리자(140)측에 전송한다.
도 1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관리 프로그램(120)이 사용자(110)에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관리 프로그램(120)은 관리 서버(130)에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110)는 통신 단말기를 통해 관리 서버(130)에 접속하여 관리 서버(130)에서 제공하는 입력 포맷에 해당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박 오일 레코드북 관리 시스템(100)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선박 오일 레코드북 관리 시스템(100)은, 통신망(210), 관리 서버(130), 사용자 단말기(220), 관리자 단말기(2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망(210)은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공중교환 전화망(PSTN), 공중교환 데이터망(PSDN), 종합정보통신망(ISD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s), 광대역 종합 정보 통신망(BISDN: Broadband ISDN),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대도시 지역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LAN: Wide LAN) 등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무선 통신망인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WiFi(Wireless Fidelity),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망 , 블루투쓰(bluetooth),NFC(Near 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될 수 있다. 또는, 이들 유선 통신망 및 무선 통신망의 조합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20) 및/또는 관리자 단말기(230)은 통신망(210)을 통하여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220) 및/또는 관리자 단말기(230)은 휴대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노트패드 등이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맘춤형 오일 기록부 서식 설정의 예시를 보여주는 화면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맘춤형 오일 기록부 서식 설정을 위한 웹페이지가 구성된다. 이 웹페이지 상에 메인 메뉴(310), 이 메인 메뉴(310)에 속하는 입력창(320), 이 입력창(320)을 통해 입력되는 입력 정보에 대한 세부 사항을 보여주는 세부 정보창(330) 등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맘춤형 오일 기록부 서식은, 선종, 톤수, 탱크종류, 탱크 수에 따른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맘춤형 오일 기록부 서직에 따라 생성되는 탱크 오일 정보는 선종, 톤수, 탱크 종류, 및 탱크 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필수 선종 5종류를 선정하여 기본 서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선박(선명, IMO No, 총톤수) 및 탱크종류의 추가 및/또는 수정을 위한 관리기능이 구현가능하다. 여기서, IMO No.는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Number의 약어이다.
이외에도, 선박의 국제 오일 오염방지 증서(IOPP: INTERNATIONAL OIL POLLUTION PREVENTION CERTIFICATE) 증서상 등재된 탱크의 이송 및 변화량 수치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나타내면 다음 테이블과 같다.
Date Code Item No. Record of operations/signature of officer in charge
15-May-2011 C 12.2 0.5㎥ sludge transferred from E/R sludge tank,
3㎥ retained,
to incinerator sludge tank in tank 2.0㎥.
Sign : 2/E
즉, 위 테이블에는 날짜(Date), 작업 코드(code), 항목 번호(Item No.), 기사(record of operations/signature of officer in charge) 등이 구성될 수 있다. 부연하면, 2012년 5월 15일 기관실 슬러지 탱크에서 0.5㎥의 슬러지를 소각기 슬러지로 이송하였으며 이송 후의 소각기 탱크의 용량은 2 ㎥이었다. 기관실 슬러지 탱크의 잔량은 3.0㎥이었다.
또한, 유성 혼합물을 장치를 통해 선외로 배출시 협약에 따른 필수 기재항목이 생성되도록 개발될 수 있다. 이를 보여주는 테이블은 다음과 같다.
Date Code Item No. Record of operations/signature of officer in charge
25-Aug-2012 D 13 3㎥ bilge water from bilge holding tank,
capacity 36㎥, 7㎥ retained
14 Start : 09:00, Stop : 16:00
15.1 Through 15ppm oil filtering equipment overboard
Position start : 34°25' N, 120°8' E
Position stop : 36°17' N, 128°29' E
signed : 2/E
위 표를 설명하면, IOPP증서 3.3에 등재된 탱크로부터 선저폐수의 배출에 대한 것이다. 부연하면, 2012년 8월 25일 09시부터 16시까지 기관실 빌지 홀딩탱크의 빌지 30㎥를 15ppm 유수분리장치를 통하여 선외로 배출하였다. 배출시작시의 위치는 동경 128도 28분 북위 34도 25분이고 종료시의 위치는 동경 128도 29분, 북위,36도 17분이었다.
또한, 연료유 및 윤활유 수급후 Tank량 및 수급량 입력시 자동으로 날짜, 작업코드, 항목번호 및 기사가 생성되도록 개발될 수 있다. 이를 보여주는 테이블은 다음과 같다.
Date Code Item No. Record of operations/signature of officer in charge
25-Aug-2012 H 26.1 New York, USA
26.2 Start : 08:00, Stop : 14:00
26.3 1,200MT of H.F.O, 3.0% S, bunkered in tanks
500MT added to Bunker ST.BD F.O tank & now containing 800MT
700MT added to PORT F.O Tank now containing 820MT
signed : 2/E
위 표를 설명하면, 2012년 8월 25일 08시부터 14시까지 미국 뉴욕항에서 연료유 수급을 하였다. 수급량은 1,200MT이고 연료유 우현탱크에 500MT을 수급 받아 총량은 800MT이고, 연료유 좌현탱크에 700MT을 수급 받아 총량은 820MT이고 유황함량은 3.0%이었다.
또한, 누락된 기록이 발생했을시 협약 및 관련 법규에 따라 관련 기사가 삽입 생성되도록 개발될 수 있다. 이를 보여주는 테이블은 다음과 같다.
Date Code Item No. Record of operations/signature of officer in charge
25-Aug-2012 I Entry pertaining to an earlier missed operational entry
29-Aug-2012 C 12.2 1.2 ㎥ sludge transferred from F.O sludge tank,
0.3㎥ retained
to waste oil tank, 2.0㎥ retained
Signed : 2/E, Signed : 2/E
위 표를 설명하면, 2012년 8월 29일 오일기록부 작성 중 2012년 8월 25일의 슬러지 이송기록이 누락된 것을 발견하였다. 누락된 기록은 기관실 F.O sludge 1.3㎥을 Waste Oil Tank로 이송하였다. 이송후 F.O Sludge 탱크는 0.3㎥과 Waste Oil Tank는 2.0㎥이 남았다.
또한, 국제오일오염방지 증서상 등재된 각 탱크에 대한 정의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이를 보여주는 테이블은 다음과 같다.
번호 이름 설명
1 Oily Bilge Tank(선저폐수탱크) "유성빌지수"를 배출 또는 이송하기전에 저장해놓은 탱크
2 Sludge Tank(유성잔류물 탱크) 표준배추 연결부 또는 기타 승인된 처리 방법을 통해 슬러지를 직접 폐기할 수 있는 유성잔류물(슬러지)을 저장하는 탱크
...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재 잔량 레벨 확인을 구현하는 예시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웹페이지상 표시되는 각종 탱크 아이콘(410)에서 해당 탱크의 탱크용량대비 현재잔량의 레벨(%)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이 화면상에서 사용자(110)가 다른 탱크를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연하면, 마우스(미도시)를 이용하여 해당 아이콘을 클릭하면 추가할 탱크 리스트가 롤 다운 메뉴 방식으로 화면상에 표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고 알람 발생을 구현하는 예시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에 도시된 탱크 아이콘(410)에서 현재 잔량의 레벨이 미리 설정되는 일정 레벨 이상시 경고 알람(520)이 발생되도록 한 것이다. 경고 알람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그래픽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소리, 문자 등을 조합하여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선박별, 기간별, 탱크 각각의 요소별 수치화 데이터 집계 기능 구현 및/또는 표현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필요에 따라 내용의 구성(기사에 포함될 데이터) 및 순서를 드래그 앤 드롭(Drag& Drop) 방식으로 변경할 수 있는 커스터마이징 기능의 구현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사 커스트마이징의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기사 포맷을 관리자가 임의적으로 설정하는 개념이다. 부연하면, 협약 및 법규 CRUD(Create Read Update Delete) 관리 기능의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협약 및 법규가 개정되어 관리자가 내용을 수정했을 경우 개정에 따른 경고내용 설정 및 알람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설정된 협약 및 법규에 따른 경고내용 화면표시 및 사용자 승인 기능의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설정된 협약 및 법규에 따른 경고내용 화면표시 및 비밀번호 입력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및 승인 기능의 구현이 가능하다.
도 6을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보고서 형식의 기사가 형성되는데, 이 경우,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본 포맷에 따라 데이터가 배치된다. 이러한 기본 포맷에서 관리자가 마우스를 이용하여 드래그 앤 드롭 방식을 통해 양식의 배치 형태를 변경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협약 및 법규 개정 배포 프로세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관리자 소프트웨어 툴 화면(710)에서 해당 협약 및 법규 개정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면, 관리 서버(130)이는 이를 반영하여 사용자 소프트웨어 툴 화면(720)을 사용자(110) 측에게 제공한다. 즉, 사용자 소프트웨어 툴 화면(720)에서 상태 알림을 출력하고 승인을 요청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 설계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맘춤형 오일 기록부 서식 설정을 위한 웹페이지(810)는 관리자 타입 GUI(821), 사용자 타입 GUI(822)의 2가지 타입으로 설계된다. 또한, 국내 사용자 GUI(824) 및 외국인 사용자 GUI(823)의 2가지 타입으로 설계된다. 물론, 내/외국인 사용자와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나의 GUI에서 언어의 설정 기능이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9는 일반적인 오일 기록부 작성의 규칙 자료예시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오일 기록부 작성 규칙교재(910)를 분석함으로써 작성 편의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GUI를 구성한다.
도 10은 일반적인 실제 오일 기록부 전면부 및 내용에 대한 사진예시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한국 해양 수산 연수원에서 사용하는 오일 레코드북 관련 실제 사용 교재(1010)와 실제 사례를 통해 분석한다.
도 11은 일반적인 특정 선박의 폐유 이송 파이프 라인 구조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선박의 종류 및 내부 구성에 따라 효과적인 오일 관리를 위해 실제 사례를 통해 해당 선박들의 정보를 생성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시큐리티를 사용한 스프링 서버 구조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관리자 소프트웨어 툴 화면(710), 서버 구조(1210), 사용자 소프트웨어 툴 화면(720) 상호간에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한 보안을 구현하는 개념이다.
서버 구조(1210)는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모든 선박, 탱크 등의 데이터와 각종 이송 이력 및 기사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영역, 향후 시스템 유지보수 및 수정의 용이성을 위한 REST API(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보안관리를 위한 스프링 보안(Spring Security) 영역,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암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암/복호화를 통해 읽고 쓰기를 수행하는 스프링 부트(Spring Boot)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암호화 알고리즘은 통신속도, 데이터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기간별 데이터 집계를 통한 리뷰로 사용자 및/또는 관리자의 최종 승인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메시지 교환을 통해 부적합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제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3은 일반적인 선박 시뮬레이터상 오일 이송 작업의 화면예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선박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실제 선박과 일치한 환경에서의 오일 이송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시스템상 실증 검증 진행이 가능하다. 부연하면, 사용자(110)는 시뮬레이터에서 오일 이송작업 후 각 탱크의 잔량 정보를 관리 프로그램(120)에 기입하면, 자동으로 기사 생성 및 서버로 데이터 전송이 이뤄진다. 따라서, 시뮬레이터, 관리 프로그램(120) 및 관리 서버(130) 세 곳의 데이터 정합성 검증이 가능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양 오염방지를 위한 선박 오일 레코드북 관리를 위한 설정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오일레코드북에 기입될 관련 재원들이 모두 관리 프로그램(도 1의 120)에 타입을 나눠 정확한 명칭, 용량 등으로 저장된다(단계 S1410,S1420).
이후, 오일의 이송에 대한 모든 액션을 분류화하여 설정하고, 각 액션마다 적절한 기사의 형태를 지정한다(단계 S1430,S1440). 이후, 중복되는 액션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중복되는 액션이 없으면 해당 액션과 실제 재원간 연결한다(단계 S1450,S1460).
이후, 중복되는 연결이 있는지 판단하여, 중복되는 연결이 없으면 액션에 해당하는 기사 형태를 입력한다(단계 S1470,S1480).
도 15 및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양 오염방지를 위한 선박 오일 레코드북 관리에 따른 기사 생성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5 및 16을 참조하면, 이송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송 화면이 출력되고, 이송에 관련딘 탱크들의 잔량 추이 그래프가 출력된다(단계 S1510,S1520,S1530).
이후, 기사 예시 포맷이 출력되며, 이송량 입력 박스가 디스플레이상에 출력되며, 기사에 위치 정보가 사용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1540,S1550,S1560).
판단 결과, 단계 S1560에서 위치 정보가 사용되면 위치 정보 입력 박스가 출력된다(단계 S1561). 이와 달리, 단계 S1560에서 위치 정보가 사용되지 않으면, 기사에 시간 정보가 사용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1570).
판단 결과, 단계 S1570에서 시간 정보가 사용되면 시간 정보 입력 박스가 출력되고, 이송 화면 출력이 완료된다(단계 S1571,S1580).
이와 달리, 단계 S1570에서 시간 정보가 사용되지 않으면, 이송 화면 출력이 완료된다(단계 S1580).
이후, 이송 관련 입력값이 입력되고, 해당 탱크인지를 판단하고, 탱크의 잔량이 정상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1590,S1591,S1593). 판단결과, 단계 S1593에서 탱크의 잔량이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경고 메시지 출력 및 재입력을 요청하고, 단계 S1590 내지 S1593이 다시 진행된다(단계 S1593-1).
이와 달리, 단계 S1593에서 탱크의 잔량이 정상으로 판단되면, 기사에 시간 정보가 사용되는 지를 판단하고, 이송량이 시간당 대비하여 정상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1595,S1597).
판단 결과, 단계 S1597에서 시간당 이송량이 정상이 아니면, 단계 S1593-1 내지 S1597이 다시 진행된다.
이와 달리, 판단 결과, 단계 S1597에서 시간당 이송량이 정상이면, 이송 정보 입력 및 기사 생성이 완료된다(단계 S1599).
따라서, 오일레코드북에서 관리될 오일 탱크들의 현재 상태(용량 대비 잔량)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송의 각 액션마다 필요한 입력값(이송량, 이송시각, 이송위치 등)만을 기입함으로써 기사가 간단하게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세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과 같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코드,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 코드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 블루레이 등과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 코드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반도체 기억 소자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 (명령) 코드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100: 선박 오일 레코드북 관리 시스템
110: 사용자
120: 관리 프로그램
130: 관리 서버
140: 관리자
210: 통신망
220: 사용자 단말기
230: 관리자 단말기

Claims (11)

  1. 해당 선박의 오일 레코드북에 기입될 관련 재원 정보들이 입력됨에 따라 탱크 오일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기(220);
    통신망(210)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220)에 연결되며, 상기 탱크 오일 정보를 이용하여 기사 정보를 생성하는 관리 서버(130); 및
    상기 통신망(210)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130)에 연결되며, 상기 기사 정보를 확인하는 관리자 단말기(2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오염방지를 위한 선박 오일 레코드북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기름 정보는 선종, 톤수, 탱크 종류, 및 탱크 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오염방지를 위한 선박 오일 레코드북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종은 미리 설정되는 개수의 선종으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오염방지를 위한 선박 오일 레코드북 관리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에 대한 정보는 탱크의 이송 및 변화량 수치를 나타내기 위한 날짜, 작업 코드 및 항목 번호, 및 세부 기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오염방지를 위한 선박 오일 레코드북 관리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사 정보 중 누락된 기록이 발생하면 상기 누락된 기록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협약 및 관련 법규에 해당하는 기사 정보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오염방지를 위한 선박 오일 레코드북 관리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사 정보는 상기 탱크의 현재 상태를 수치화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오염방지를 위한 선박 오일 레코드북 관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사 정보는 상기 탱크의 현재 상태에서 탱크용량대비 현재 잔량의 레벨(%)이 미리 설정되는 일정 레벨 이상이면 경고 알람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오염방지를 위한 선박 오일 레코드북 관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알람 정보는 그래픽, 소리, 및 문자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오염방지를 위한 선박 오일 레코드북 관리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13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20)에 사용자 타입 GUI(Graphic user interface)(821)을 제공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230)에 관리자 타입 GUI(822)을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타입 GUI(821) 및 상기 관리자 타입 GUI(822)은 각 권한이 별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오염방지를 위한 선박 오일 레코드북 관리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130)는 상기 기사 정보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입력 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오염방지를 위한 선박 오일 레코드북 관리 시스템.
  11. (a) 사용자 단말기(220)가 해당 선박의 오일 레코드북에 기입될 관련 재원 정보들이 입력됨에 따라 탱크 오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 관리 서버(130)가 통신망(210)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220)에 연결되며, 상기 탱크 오일 정보를 이용하여 기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관리자 단말기(230)가 상기 통신망(210)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130)에 연결되며, 상기 기사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오염방지를 위한 선박 오일 레코드북 관리 방법.
KR1020190052943A 2019-05-07 2019-05-07 해양 오염방지를 위한 선박 오일 레코드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288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943A KR20200128878A (ko) 2019-05-07 2019-05-07 해양 오염방지를 위한 선박 오일 레코드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943A KR20200128878A (ko) 2019-05-07 2019-05-07 해양 오염방지를 위한 선박 오일 레코드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8878A true KR20200128878A (ko) 2020-11-17

Family

ID=73642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2943A KR20200128878A (ko) 2019-05-07 2019-05-07 해양 오염방지를 위한 선박 오일 레코드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88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5743B1 (ko) * 2021-08-10 2022-01-04 대한민국 소노부이 최적 탐색패턴 결정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9850A (ko) 2001-12-29 2003-07-12 에스케이 주식회사 해양오염 방제방법 및 시스템
KR20050084506A (ko) 2002-12-30 2005-08-26 마린 사이버네틱스 에이에스 해양 선박의 제어 시스템을 테스트하기 위한 시스템 및방법
KR20170021688A (ko) 2015-08-18 2017-02-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오염물질 배출정보 및 규제 준수 현황 실시간 분석,기록,감시 장치를 이용한 육해상 통합 관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9850A (ko) 2001-12-29 2003-07-12 에스케이 주식회사 해양오염 방제방법 및 시스템
KR20050084506A (ko) 2002-12-30 2005-08-26 마린 사이버네틱스 에이에스 해양 선박의 제어 시스템을 테스트하기 위한 시스템 및방법
KR20170021688A (ko) 2015-08-18 2017-02-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오염물질 배출정보 및 규제 준수 현황 실시간 분석,기록,감시 장치를 이용한 육해상 통합 관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5743B1 (ko) * 2021-08-10 2022-01-04 대한민국 소노부이 최적 탐색패턴 결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usterhout A philosophy of software design
CN107480551B (zh) 一种文件管理方法及装置
CN101452408B (zh) 在软件应用程序中进行错误报告的系统和方法
US20110078587A1 (en) Method and system for email messaging
Bunn et al. Preventing the next Fukushima
CN102696036B (zh) 确认流水线
US919580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active document scanning
Araiza Electronic discovery in the cloud
Atchison Architecting for scale: High availability for your growing applications
US8875301B2 (en) Software license incompatibility determination
US9971638B2 (en) Identifying defunct nodes in data processing systems
Wheatcraft et al. On the use of attributes to manage requirements
KR20200128878A (ko) 해양 오염방지를 위한 선박 오일 레코드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6451186B (zh) 敏感数据安全防护方法和系统
Tepper Exploring the use of Model-Based Systems Engineering (MBSE) to develop systems architectures in naval ship design
Mancusi Attorneys, E-Discovery, and the Case for 37 (G)
Pemberton et al. Corporate governance paradigms of hazardous industries: Enduring challenges of Britain’s civil nuclear industry
Zaste Another bit bytes the dust: the technological and human challenges of digital preservation
Kealey Discovering Flaws: An Analysis of the Amended Federal Rule of Civil Procedure 37 (e) and Its Impact on the Spoliation of Electronically Stored Evidence
US2023019545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ndering graphs of applications using configuration files
US10708275B2 (en) Page lock for notebook application
Tingle Developing a just culture in the NHS
McCarthy Effective communication in a crisis requires advance planning
Gay A Code of Conduct for Computer Forensic Investigators
Forgie et al. Comments and Recommendations on NEPA Reform for the White House Council on Environmental 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