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7585A -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7585A
KR20200127585A KR1020190052001A KR20190052001A KR20200127585A KR 20200127585 A KR20200127585 A KR 20200127585A KR 1020190052001 A KR1020190052001 A KR 1020190052001A KR 20190052001 A KR20190052001 A KR 20190052001A KR 20200127585 A KR20200127585 A KR 20200127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ember
air
unit
heat exchanger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20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용호
김경훈
송우석
심재형
윤준호
이동규
조민기
김도훈
김진백
이기섭
한동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2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7585A/en
Priority to PCT/KR2020/005522 priority patent/WO2020226314A1/en
Priority to US16/864,839 priority patent/US20200348030A1/en
Publication of KR20200127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758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2Centrifugal or rad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3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having two or more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1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for guiding air around a cur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ir conditioner comprises: a housing having a first accommodation unit and a second accommodation unit, which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 heat exchanger which is placed in the first accommodation unit to be extend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econd accommodation unit, and exchanges heat with a refrigerant transferred from an outdoor unit; a first air blower unit and a second air blower unit which are placed in the second accommodation unit in the direction of extending the heat exchanger, and introduce air into the second accommodation unit and discharge the introduced air to the first accommodation unit; and a guide member which is placed in the first accommodation unit to be extended from the second accommodation unit between the first air blower unit and the second air blower unit towards the heat exchanger, and has a guide surface for guiding a flow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accommodation unit to the first accommodation unit by the first air blower unit and the second air blower unit. The air conditioner is able to make the environment pleasant for a user.

Description

공기조화기 {AIR CONDITIONER}Air conditione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사용 공간 내의 공기의 여러 속성을 조정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덕트형 실내기 내부에서의 공기 흐름의 제어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that adjusts various properties of air in a used space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ucture for controlling air flow inside a duct-type indoor unit.

공기조화기는 사용 공간의 요구에 따라서, 온도, 습도, 청정도, 기류 등의 속성을 조절하도록 마련된 장치를 지칭한다. 공기조화기는 기본적으로 기류를 형성하는 송풍기를 구비하고, 송풍기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의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함으로써, 사용 공간의 환경을 사용자에게 있어서 쾌적한 상태로 바꾼다. 공기조화기는 조절하는 공기의 속성에 따라서 구분되는 바, 그 예시로는 공기의 냉각을 위한 에어컨, 공기의 습도를 낮추기 위한 제습기, 공기의 청정도를 높이기 위한 공기청정기 등이 있다.An air conditioner refers to a device provided to adjust properties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cleanliness, and airflow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of the space used. The air conditioner basically includes a blower that forms an airflow, and changes at least one of the attributes of the air circulated by the blower to change the environment of the used space to a comfortable state for the user. Air conditioner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the air to be controlled, examples of which include an air conditioner for cooling air, a dehumidifier for lowering the humidity of the air, and an air purifier for increasing the cleanliness of the air.

이 중에서 에어컨은 기화열에 의한 냉각 원리를 사용하여, 실내의 온도를 낮춘다. 액체가 기체로 기화할 때는 열을 흡수하고 기체가 액체로 응축할 때는 열을 방출하는데, 기화할 때 흡수하는 열이 기화열이다. 에어컨은 압축기로 압력을 크게 변화시켜 기체 상태였던 냉각제를 액체로 응축한 후, 압력을 낮춰서 증발기 안에서 액체 상태의 냉각제를 다시 증기로 기화시키며, 기화되는 냉각제에 의해 열을 흡수함으로써 주위의 온도를 낮춘다. 에어컨에 의한 냉각은 많은 기화열을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는 간단한 냉각 사이클을 통해 수행되며, 이러한 방식은 냉장고에도 적용될 수 있다. 자연현상에서 열은 원래 높은 온도에서 낮은 온도로 이동하지만, 에어컨의 냉각 사이클을 통해서 반대 방향인 낮은 온도의 실내에서 높은 온도의 실외로 옮겨간다. 이를 위해, 에어컨은 찬 바람을 방출하는 실내기와, 더운 바람을 방출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유사한 원리에 따라서, 냉장고도 마찬가지로 열이 낮은 온도의 기기 안에서 높은 온도의 기기 밖으로 옮겨간다.Among them, the air conditioner lowers the indoor temperature by using the principle of cooling by heat of vaporization. When a liquid vaporizes into a gas, it absorbs heat, and when a gas condenses into a liquid, it releases heat, and the heat absorbed when vaporizing is the heat of vaporization. The air conditioner changes the pressure with a compressor to condense the gaseous coolant into liquid, and then lowers the pressure to vaporize the liquid coolant back to vapor in the evaporator, and lowers the ambient temperature by absorbing heat by the vaporized coolant. . Cooling by the air conditioner is performed through a simple cooling cycle that can efficiently obtain a lot of vaporization heat, and this method can also be applied to a refrigerator. In natural phenomena, heat is originally transferred from a high temperature to a low temperature, but through the cooling cycle of the air conditioner, it is transferred from a low temperature indoor to a high temperature outdoor. To this end,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n indoor unit that emits cold wind and an outdoor unit that emits hot wind. Following a similar principle, a refrigerator is likewise transferred from a low-temperature appliance to a high-temperature appliance.

에어컨의 실내기는 설치 위치에 따라서 다양한 모델이 있다. 예를 들면, 실내기는 실내의 바닥면에 설치하는 스탠드형 모델, 벽에 거치시키는 벽걸이형 모델, 천정에 설치하는 천정형 모델이 있다. 천정형 모델 중에는 천정의 상측, 즉 천정 내부에 매립되어 사용되는 덕트(duct)형 실내기가 있다. 덕트형 실내기는 천정에 마련된 공기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며, 냉각시킨 공기를 하나 이상의 덕트를 통해 하나 이상의 장소로 송풍시킨다. 덕트형 실내기는 통상적으로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는 천정 내에 설치되므로 미관상 유리하며, 덕트를 통해 복수의 장소에 냉각된 공기를 보낼 수 있으므로 여러 장소에서의 동시 냉각이 가능하다.There are various models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For example, an indoor unit includes a stand-type model installed on the floor of an indoor, a wall-mounted model mounted on a wall, and a ceiling-type model installed on a ceiling. Among the ceiling-type models, there is a duct-type indoor unit used by being buried above the ceiling, that is, inside the ceiling. The duct-type indoor unit cools air sucked through an air inlet provided on the ceiling, and blows the cooled air to one or more places through one or more ducts. The duct-type indoor unit is usually installed in a ceiling that is not visible to the user, so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aesthetics, and since cooled air can be sent to a plurality of places through a duct, simultaneous cooling in several places is possible.

그런데, 덕트형 실내기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덕트의 수가 상대적으로 많아지거나 또는 덕트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지면, 덕트형 실내기에 가해지는 부하인 기외정압(External Static Pressure) 또는 덕트 워크(Duct Work)가 증가한다. 기외정압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면, 공기가 덕트형 실내기 내부에서 열교환기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기외정압으로 인해 재순환 유동이 증가한다. 재순환 유동의 증가는 냉각 손실에 직결되므로, 덕트형 실내기에서 재순환 유동을 줄이기 위한 구조가 요구된다.However, when the number of ducts from which air is discharged from the duct-type indoor unit increases or the length of the duct is relatively long, the load applied to the duct-type indoor unit, External Static Pressure or Duct Work Increases. When the external static pressure is relatively high, the recirculation flow increases due to the external static pressure while air moves from the inside of the duct-type indoor unit to the heat exchanger. Since an increase in recirculation flow is directly connected to cooling loss, a structure for reducing recirculation flow in a duct-type indoor unit is requir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호 구획된 제1수용부 및 제2수용부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제2수용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제1수용부에 마련되며, 실외기로부터 전달되는 냉매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제2수용부에 상기 열교환기의 연장 방향을 따라 마련되며, 상기 제2수용부로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1수용부로 각각 토출시키는 제1송풍유닛 및 제2송풍유닛과, 상기 제1송풍유닛 및 상기 제2송풍유닛 사이의 상기 제2수용부로부터 상기 열교환기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상기 제1수용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송풍유닛 또는 상기 제2송풍유닛에 의해 상기 제2수용부로부터 상기 제1수용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안내면을 가지는 안내부재를 포함한다.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first accommodation unit so as to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housing having a first receiving unit and a second receiving unit partitioned from each other and the second receiving unit, and transmitted from the outdoor unit. A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a refrigerant, and a first blower provided in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heat exchanger, and introducing air into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and discharging the introduced air to the first receiving portion respectively It is provided i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so as to extend toward the heat exchanger from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between the unit and the second blowing unit and the first blowing unit and the second blowing unit, and the first blowing unit or the first And a guide member having a guide surface for guiding the flow of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receiving unit to the first receiving unit by the two blowing unit.

또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제2수용부 측의 폭이 상기 열교환기 측의 폭보다 넓게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member may have a width at a sid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that is wider than a width at a side of the heat exchanger.

또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제1수용부를 상기 제1송풍유닛 및 상기 제2송풍유닛에 각각 대응하는 2개의 영역으로 격리시키며, 상기 2개의 영역에 대향하도록 양측에 각기 마련된 한 쌍의 상기 안내면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member separates the first receiving portion into two region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first air blowing unit and the second air blowing unit, and a pair of guide surfaces respectively provided on both sides to face the two regions. Can have

또한, 상기 안내면은, 라운드하게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surface may have a shape bent round.

또한, 상기 안내부재는, 선단 부분에 상기 열교환기를 향해 일정한 폭을 가지고 상기 열교환기의 판면을 따라서 연장된 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fin extending along a plat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with a predetermined width toward the heat exchanger at a tip portion.

또한, 상기 안내부재를 마주보는 상기 제1수용부의 양쪽 측벽 중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며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도록 마련된 하나 이상의 측방안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side guide members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both side walls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facing the guide member and provided to guide the flow of air.

또한, 상기 측방안내부재의 폭은 상기 열교환기에 근접할수록 작아지게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dth of the side guide member may be provided to become smaller as it approaches the heat exchanger.

또한, 상기 제1송풍유닛 및 상기 제2송풍유닛은 각각 시로코팬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blowing unit and the second blowing unit may include a sirocco fan.

또한,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설치면에 대하여 상측의 모서리가 하측의 모서리보다 상기 제2수용부로부터 멀리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t exchanger may be provided such that an upper edge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of the air conditioner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than a lower edge.

또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설치면에 대하여 상측 연장 길이가 하측 연장 길이보다 길게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member may have an upper extension length longer than a lower extension length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of the air conditioner.

또한, 상기 안내면 상에 요철 패턴이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an uneven pattern may be provided on the guide surface.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는 덕트형 실내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may include a duct-type indoor unit.

도 1은 에어컨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실내기가 설치되는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실내기에 흡입덕트 및 배출덕트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실내기의 흡입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실내기의 배출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송풍유닛의 외부 사시도이다.
도 7은 실내기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실내기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실내기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안내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실내기에 안내부재가 적용된 경우 및 적용되지 않은 경우의 정압 성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2는 실내기에 안내부재가 적용된 경우 및 적용되지 않은 경우의 송풍 소음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3은 안내부재의 안내면이 나타난 실내기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3개의 송풍유닛을 포함하는 실내기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안내부재를 포함하지 않는 실내기에서 측정된 유속의 분포를 컬러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6은 안내부재를 포함하지 않는 실내기에서 측정된 유속의 분포를 컬러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7은 소정 볼륨을 가진 안내부재가 실내기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안내부재를 위에서 본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소정 볼륨을 가진 안내부재가 실내기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안내부재를 위에서 본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0의 안내부재가 핀을 포함하는 모습의 평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10의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실내기에서 측정된 유속의 분포를 컬러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6은 도 18의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실내기에서 측정된 유속의 분포를 컬러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7은 실내기의 전방수용부 양측단에 각기 측방안내부재가 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er.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orm in which an indoor unit is installed.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ction duct and an exhaust duct are combined in an indoor unit.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ction side of the indoor unit.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scharge side of the indoor unit.
6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blowing unit.
7 is a perspective view of main parts of the indoor unit.
8 is a side view of the indoor unit of FIG. 7.
9 is a plan view of the indoor unit of FIG. 7.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guide member.
11 is a graph comparing the static pressure performance when a guide member is applied and not applied to an indoor unit.
12 is a graph comparing blowing noise when a guide member is applied and not applied to an indoor unit.
13 is a side view of the indoor unit in which the guide surface of the guide member is shown.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including three blowing units.
15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distribution of the flow velocity measured in an indoor unit not including a guide member in color.
16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distribution of flow velocity measured in an indoor unit not including a guide member in color.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uiding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installed in an indoor unit.
18 is a plan view showing the guiding member of FIG. 17 viewed from above.
19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18.
2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uiding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installed in the indoor unit.
FIG. 21 is a plan view showing the guiding member of FIG. 20 viewed from above.
22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20.
23 is a plan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guide member of FIG. 20 includes a pin.
24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23.
FIG. 25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distribution of flow velocity measured in the indoor unit including the guide member of FIG. 10 in color.
FIG. 26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distribution of flow velocity measured in the indoor unit including the guide member of FIG. 18 in color.
27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side guide members are disposed at both side ends of the front receiving portion of the indoor unit.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상호 배타적인 구성이 아니며, 하나의 장치 내에서 복수 개의 실시예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실시예의 조합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함에 있어서 임의로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ach drawing are not mutually exclusive configurations unless otherwise specified, and a plurality of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and implemented in one device. Combinations of such a plurality of embodiments may be arbitrarily selected and appli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implemen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만일, 실시예에서 제1구성요소, 제2구성요소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있다면, 이러한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바, 이들 구성요소는 용어에 의해 그 의미가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해당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If, in the embodiment, there is a term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a first component, a second component, etc., these terms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and the term distinguishes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s used in order to, the meaning of these components is not limited by terms. The terms used in the examples are applied to describe the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복수의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라는 표현이 나오는 경우에, 본 표현은 복수의 구성요소 전체 뿐만 아니라, 복수의 구성요소 중 나머지를 배제한 각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 모두를 지칭한다.In addition, when the expression "at least one" appears among a plurality of element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expression means not only all of the plurality of elements, but also one or each of the plurality of elements excluding the rest. Refers to all combinations of.

도 1은 에어컨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er.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에어컨으로 구현된다. 에어컨(1)은 건물의 실내와 같이 온도를 조정하고자 하는 환경의 제1장소에 설치하는 실내기(10)와, 건물의 실외와 같이 상기한 환경 이외의 제2장소에 설치하는 실외기(20)를 포함한다. 실내기(10) 및 실외기(20) 사이에서 냉매가 순환 이동하며, 실내기(10) 및 실외기(20)는 에너지에 의해 각기 냉매의 상태를 조정함으로써 제1장소에서의 온도를 조정한다. 냉매의 순환은, 실내기(10) 내부의 배관, 실외기(20) 내부의 배관, 그리고 실내기(10) 및 실외기(20) 사이를 연결하는 외부 배관들이 상호 연통되게 마련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실내기(10) 및 실외기(20) 각각의 대수는 1:1, 1:N, N:1, N:N (N은 자연수) 등 다양한 방식으로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1,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s an air conditioner. The air conditioner 1 includes an indoor unit 10 installed in a first place in an environment in which temperature is to be adjusted, such as indoors of a building, and an outdoor unit 20 installed in a second place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environment, such as outdoors of a building. Include. The refrigerant circulates between the indoor unit 10 and the outdoor unit 20, and the indoor unit 10 and the outdoor unit 20 adjust the temperature in the first place by adjusting the state of the refrigerant respectively by energy. The refrigerant is circulated by providing a pipe inside the indoor unit 10, a pipe inside the outdoor unit 20, and external pipes connecting the indoor unit 10 and the outdoor unit 20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Each of the indoor unit 10 and the outdoor unit 20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in various ways such as 1:1, 1:N, N:1, and N:N (N is a natural number).

에어컨(1)은 기본적으로 기화열에 의한 냉각을 이용한다. 냉매는 액체에서 기체로 기화할 때에는 열을 흡수하고, 반대로 기체에서 액체로 응축할 때에는 열을 방출한다. 냉매가 기화할 때 흡수하는 열이 기화열이다. 에어컨(1)은 냉매가 액체 및 기체 사이를 변화하는 상변화를 이용하므로, 에어컨(1)에 사용되는 냉매는 기화점이 낮고 기화열이 큰 것이 사용된다. 또한, 에어컨(1)의 실내외 배관이 주로 금속으로 마련되는 바, 냉매는 배관에 사용되는 금속을 부식시키지 않을 특성이 요구된다. 또한, 냉매가 겨울에 얼게 되면 곤란하므로, 사용 지역에 따라서는 저온에서도 액상으로 존재할 수 있는 냉매가 요구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basically uses cooling by heat of vaporization. Refrigerant absorbs heat when vaporized from liquid to gas, and releases heat when condensing from gas to liquid. The heat absorbed when the refrigerant vaporizes is the heat of vaporization. Since the air conditioner 1 uses a phase change in which the refrigerant changes between liquid and gas, the refrigerant used in the air conditioner 1 has a low evaporation point and a high evaporation heat. In addition, since the indoor and outdoor piping of the air conditioner 1 is mainly made of metal, the refrigerant is required to have a characteristic that does not corrode the metal used in the piping. In addition, since it is difficult when the refrigerant is frozen in winter, a refrigerant that can exist in a liquid state even at a low temperature may be required depending on the use area.

에어컨(1)은 실내 열교환기(110)와, 제1팽창밸브(expansion valve)(120)와, 실외 열교환기(130)와, 압축기(compressor)(140)와, 제2팽창밸브(150)와, 축압기(accumulator)(160)와, 포웨이밸브(four-way valve)(170)와, 서비스밸브(180)를 포함한다. 이상의 구성요소들은 실내기(10) 및 실외기(20)로 각각의 설치위치가 구분된다. 실내기(10)는 실내 열교환기(110), 제1팽창밸브(120)를 포함하며, 실외기(20)는 실외 열교환기(130), 압축기(140), 제2팽창밸브(150), 축압기(160), 포웨이밸브(170), 서비스밸브(180)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구성요소들 사이는 다양한 경로를 형성하는 배관들이 설치됨으로써, 냉매가 구성요소들 사이를 이동하도록 한다.The air conditioner 1 includes an indoor heat exchanger 110, a first expansion valve 120, an outdoor heat exchanger 130, a compressor 140, and a second expansion valve 150. And, it includes an accumulator 160, a four-way valve 170, and a service valve 180. Each of the above components is divided into an indoor unit 10 and an outdoor unit 20, respectively. The indoor unit 10 includes an indoor heat exchanger 110 and a first expansion valve 120, and the outdoor unit 20 includes an outdoor heat exchanger 130, a compressor 140, a second expansion valve 150, and an accumulator. (160), a four-way valve 170, and a service valve (180). In addition, pipes forming various paths are installed between these components, so that the refrigerant moves between the components.

또한, 에어컨(1)은 에어컨(1)의 상기한 구성요소들을 비롯한 구조들의 동작을 제어하고 지시하기 위한 컨트롤러(controller) 또는 프로세서(processor)(190)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90)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된 CPU,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칩셋(chipset), SOC(system-on-chip) 등의 하드웨어 회로로 구현되며, 실내기(10) 또는 실외기(20)에 설치되거나, 또는 실내기(10) 및 실외기(20)가 각기 설치되거나, 실내기(10) 및 실외기(20)의 외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1 includes a controller or processor 190 for controlling and instructing the operation of structures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of the air conditioner 1. At least one processor 190 is implemented as a hardware circuit such as a CPU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a micro-processor, a chipset, a system-on-chip (SOC), and the indoor unit 10 or The outdoor unit 20 may be installed, or the indoor unit 10 and the outdoor unit 20 may be installed respectively, or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indoor unit 10 and the outdoor unit 20.

이하, 각 구성요소들에 관해 간략히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component will be briefly described.

실내 열교환기(110)는 냉매 및 대기 사이에 열에 관한 상호작용을 수행되게 함으로써, 냉매의 상변화와 이에 따른 주위 환경의 온도의 조정을 수행한다. 실내 열교환기(110)는 에어컨(1)이 냉방모드 시에 증발기(evaporator)로 동작하고, 난방모드 시에 응축기(condenser)로 동작한다. 실내 열교환기(110)는 냉방모드 시에 냉매를 증발시켜 흡열반응을 일으킴으로써, 냉매가 기상으로 변화하고 주위 환경의 온도가 내려가도록 한다. 실내 열교환기(110)는 난방모드 시에 고온 및 고압의 냉매를 응축시켜 발열반응을 일으킴으로써, 냉매가 액상으로 변화하고 주위 환경의 온도가 올라가도록 한다.The indoor heat exchanger 110 performs a heat-related interaction between the refrigerant and the atmosphere, thereby adjusting the phase change of the refrigerant and the temperatur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ccordingly. The indoor heat exchanger 110 operates as an evaporator when the air conditioner 1 is in the cooling mode, and operates as a condenser in the heating mode. The indoor heat exchanger 110 causes an endothermic reaction by evaporating the refrigerant in the cooling mode, so that the refrigerant changes to the gas phase and the temperatur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decreases. The indoor heat exchanger 110 causes an exothermic reaction by condensing the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refrigerant in the heating mode, so that the refrigerant changes to a liquid state and the temperatur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creases.

제1팽창밸브(120)는 냉방모드에서 실외 열교환기(130)에 의해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켜 실내 열교환기(110)로 전달한다. 제1팽창밸브(120)는 직경이 상대적으로 줄어든 경로로 냉매를 통과시켜 냉매의 압력을 낮춤으로써, 차후 냉매의 증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expansion valve 120 expands the refrigerant condensed by the outdoor heat exchanger 130 in the cooling mode and transfers it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110. The first expansion valve 120 reduces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by passing the refrigerant through a path whose diameter is relatively reduced, so that the evaporation of the refrigerant can be easily performed later.

실외 열교환기(130)는 기본적인 동작 방식이 실내 열교환기(110)와 유사하다. 다만, 실외 열교환기(130)는 각 모드 시에 실내 열교환기(110)와 반대로 동작한다. 즉, 실외 열교환기(130)는 냉방모드 시에 응축기로 동작하고, 난방모드 시에 증발기로 동작한다. 실외 열교환기(130)는 냉방모드 시에 실내 열교환기(110)에서 흡수된 열을 방출시킴으로써 실내의 온도를 내리는 역할을 수행하며, 난방모드 시에는 그 반대의 역할을 수행한다.The outdoor heat exchanger 130 has a basic operation method similar to that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10. However, the outdoor heat exchanger 130 operates opposite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110 in each mode. That is, the outdoor heat exchanger 130 operates as a condenser in the cooling mode and operates as an evaporator in the heating mode. The outdoor heat exchanger 130 serves to lower the indoor temperature by releasing heat absorbed from the indoor heat exchanger 110 in the cooling mode, and the opposite role in the heating mode.

압축기(140)는 각 모드 별로 증발기의 역할을 수행하는 실내 열교환기(110) 또는 실외 열교환기(130)로부터 전달되는 기상의 차가운 냉매를 압축시켜, 냉매를 고온 및 고압의 기상으로 조정한다. 압축기(140)가 냉매를 압축시킴으로써, 높은 온도에서 액상으로의 상변화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압축기(140)는 저압의 냉매를 흡입하여 고압의 냉매를 배출함으로써, 냉매가 에어컨(1) 내에서 순환 사이클을 형성하도록 이동하는 힘을 부여한다.The compressor 140 compresses the gaseous cold refrigerant delivered from the indoor heat exchanger 110 or the outdoor heat exchanger 130, which serves as an evaporator for each mode, and adjusts the refrigerant to a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gaseous phase. When the compressor 140 compresses the refrigerant, a phase change from a high temperature to a liquid phase can be easily performed. In addition, the compressor 140 absorbs the low-pressure refrigerant and discharges the high-pressure refrigerant, thereby imparting a force to move the refrigerant to form a circulation cycle in the air conditioner 1.

제2팽창밸브(150)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기능의 측면에서는 제1팽창밸브(120)와 동일하다. 제2팽창밸브(150)는 난방모드에서 실내 열교환기(110)에 의해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켜 실외 열교환기(130)로 전달한다.The second expansion valve 150 is the same as the first expansion valve 120 in terms of the function of expanding the refrigerant. The second expansion valve 150 expands the refrigerant condensed by the indoor heat exchanger 110 in the heating mode and transfers it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130.

축압기(160)는 유입되는 냉매 중에서 기상의 냉매만이 압축기(140)로 전달되도록 한다. 증발된 냉매는 경우에 따라서 완전 증발이 일어나지 못하고 일부 액상을 포함하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축압기(160)는 액상 냉매가 압축기(140)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The accumulator 160 allows only gaseous refrigerant among the incoming refrigerants to be transferred to the compressor 140. In some cases, the evaporated refrigerant may not completely evaporate and contain some liquid phases. The accumulator 160 blocks the liquid refrigerant from flowing into the compressor 140.

포웨이밸브(170)는 냉방모드 및 난방모드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실외기(20) 내에서 냉매의 경로를 전환한다. 포웨이밸브(170)는 현재 모드에 대응하여 냉매의 이동을 조정함으로써, 모드 별로 실내 열교환기(110) 및 실외 열교환기(130)의 동작이 전환되도록 한다.The four-way valve 170 switches the path of the refrigerant in the outdoor unit 20 in response to one of a cooling mode and a heating mode. The four-way valve 170 adjusts the movement of the refrigerant in response to the current mode,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10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130 is switched for each mode.

서비스밸브(180)는 에어컨(1) 전체의 배관을 통한 냉매의 순환 사이클에, 관리자가 진공상태 조정 및 냉매 보충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 밸브이다. 사용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사이클 내의 냉매가 부족하게 되어 냉난방 효율이 저하되는 경우에, 서비스밸브(180)를 통해 추가적인 냉매가 보충될 수 있다.The service valve 180 is a valve provided to allow the administrator to adjust the vacuum state and supplement the refrigerant in the circulation cycle of the refrigerant through the entire pipe of the air conditioner 1. When the cooling and heating efficiency decreases due to insufficient refrigerant in the cycle as the use time elapses, additional refrigerant may be supplemented through the service valve 180.

본 실시예에서는 실내기(10)가 덕트형 실내기로 구현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10)의 설치 형태 및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In this embodiment, the indoor unit 10 is implemented as a duct-type indoor unit. Hereinafter, the installation form and structure of the indoor uni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2는 실내기가 설치되는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orm in which an indoor unit is installed.

도 3은 실내기에 흡입덕트 및 배출덕트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ction duct and an exhaust duct are combined in an indoor unit.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환경은 천정(210)의 하측에 있는 하부공간(220)과, 천정(210)의 상측에 있는 상부공간(230)으로 구분된다. 통상적으로 하부공간(220)은 사용자가 있는 방, 거실 등으로서 실내기(10)가 공기를 냉난방시키고자 하는 공간이다. 상부공간(230)은 단층건물의 경우에 지붕의 바로 아래에 위치한 공간으로서, 천정(210) 때문에 하부공간(220)에 있는 사용자에게는 보이지 않는 공간이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indoor environment is divided into a lower space 220 located under the ceiling 210 and an upper space 230 located above the ceiling 210. Typically, the lower space 220 is a room in which a user is located, a living room, etc., and is a space in which the indoor unit 10 wants to cool and heat air. The upper space 230 is a space located directly under the roof in the case of a single-story building, and is a space invisible to the user in the lower space 220 due to the ceiling 210.

도면 상에서 나타나는 방향 X, Y, Z는 상호 직교하는 방향이다. X 방향은 실내기의 좌우방향이다. Y 방향은 실내기의 전후방향이며, 공기가 흐르는 주요 방향이다. Z 방향은 실내기의 상하방향이다.Directions X, Y, and Z appearing in the drawing are directions orthogonal to each other. The X direction is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indoor unit. The Y direction is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indoor unit, and is the main direction through which air flows. The Z direction is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indoor unit.

실내기(10)는 상부공간(230)에 설치된다. 실내기(10)의 일측은 천정(210)에 관통형성된 공기흡입구(211)와 연통되며, 실내기(10)의 타측은 천정(210)에 관통형성되며 공기흡입구(211)로부터 이격된 공기배출구(212)와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흡입구(211)가 평행하게 배치되고 공기배출구(212)가 수직하게 배치된 것으로 표현하고 있지만, 이는 한 가지의 형태일 뿐이다. 공기흡입구(211) 및 공기배출구(212)의 배치 형태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실내기(10)의 후방 및 전방은 개방되며, 흡입덕트(30) 및 배출덕트(40)가 각각 결합된다.The indoor unit 10 is installed in the upper space 230. One side of the indoor unit 1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intake 211 penetrating through the ceiling 210, and the other side of the indoor unit 10 is penetrating through the ceiling 210, and an air outlet 212 separated from the air intake 211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ir intake port 211 is arranged in parallel and the air outlet port 212 is expressed as being vertically arranged, but this is only one type. The arrangement of the air inlet 211 and the air outlet 212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The rear and front of the indoor unit 10 are opened, and the suction duct 30 and the discharge duct 40 are respectively coupled.

실내기(10) 및 공기흡입구(211) 사이에는 흡입덕트(30)가 설치된다. 흡입덕트(30)는 공기흡입구(211)에 흡입되는 하부공간(220)의 공기를 실내기(10) 내부로 안내한다. 반면, 실내기(10) 및 공기배출구(212) 사이에는 배출덕트(40)가 설치된다. 배출덕트(40)는 실내기(10)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 예를 들면 냉각된 공기를 공기배출구(212)로 안내함으로써, 냉각된 공기가 하부공간(220)으로 배출되게 한다.A suction duct 30 is installed between the indoor unit 10 and the air intake 211. The suction duct 30 guides the air in the lower space 220 sucked through the air inlet 211 into the indoor unit 10. On the other hand, an exhaust duct 40 is installed between the indoor unit 10 and the air outlet 212. The exhaust duct 40 guides the air heat-exchanged inside the indoor unit 10, for example, the cooled air to the air outlet 212 so that the cooled air is discharged to the lower space 220.

공기배출구(212)를 통해 배출되는 냉각된 공기는 하부공간(220)을 냉각시킨다. 하부공간(220)을 순환하는 공기는 공기흡입구(211)를 통해 흡입덕트(30)로 흡입된다. 흡입덕트(30)를 흐르는 공기는 실내기(10)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은 순환 방식에 따라서, 실내기(10)는 하부공간(220)을 냉각시킬 수 있다.The cooled air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 212 cools the lower space 220. Air circulating through the lower space 220 is sucked into the suction duct 30 through the air inlet 211. Air flowing through the suction duct 30 is introduced into the indoor unit 10. According to such a circulation method, the indoor unit 10 may cool the lower space 220.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덕트(40) 및 공기배출구(212)의 세트가 하나인 것처럼 표현하고 있지만, 배출덕트(40) 및 공기배출구(212)의 세트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일 수 있다. 공기배출구(212)가 상호 이격된 복수의 위치에 있는 경우에, 실내기(10)로부터 복수의 배출덕트(40)가 각 공기배출구(212)에 연결됨으로써, 실내기(10)는 여러 장소를 함께 냉각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xhaust duct 40 and the air outlet 212 are expressed as one set, but the exhaust duct 40 and the air outlet 212 may be one or more sets. When the air outlets 212 are in a plurality of loca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plurality of exhaust ducts 40 from the indoor unit 10 are connected to each air outlet 212, so that the indoor unit 10 cools several places together. I can make it.

이하, 실내기(10)의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indoor unit 10 will be described.

도 4는 실내기의 흡입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ction side of the indoor unit.

도 5는 실내기의 배출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scharge side of the indoor unit.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10)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진 메인하우징(310)과, 메인하우징(310)의 흡입측 또는 후방에 배치된 복수의 송풍유닛(320)과, 메인하우징(310)의 배출측 또는 전방에 배치된 실내 열교환기(110)와, 복수의 송풍유닛(320)에 근접하게 배치된 모터(330)를 포함한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실내 열교환기(110)를 간단히 열교환기(110)라고 지칭한다.4 and 5, the indoor unit 10 includes a main housing 310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 plurality of blowing units 320 disposed on the suction side or rear of the main housing 310, and An indoor heat exchanger 110 disposed on the discharge side or in front of the housing 310 and a motor 330 disposed adjacent to the plurality of blowing units 320 are includ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indoor heat exchanger 110 is simply referred to as a heat exchanger 110.

메인하우징(310)은 후방 판면에 형성된 후방개구(311)와, 전방 판면에 형성된 전방개구(312)를 가진다. 후방개구(311)는 실내기(10) 외부로부터의 공기가 실내기(10)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개구이다. 전방개구(312)는 실내기(10) 내부의 공기가 실내기(10)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개구이다. 메인하우징(310)은 공기가 흐르는 주요 방향인 Y 방향을 따라서 흡입측 영역(또는 후방영역) 및 배출측 영역(또는 전방영역)으로 편의상 나눌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배출측 영역 및 흡입측 영역은, 각각 제1수용부 및 제2수용부라고도 한다. 메인하우징(310)의 흡입측 영역에는 송풍유닛(320)이 배치되고, 메인하우징(310)의 배출측 영역에는 열교환기(110)가 배치된다.The main housing 310 has a rear opening 311 formed on a rear plate surface and a front opening 312 formed on a front plate surface. The rear opening 311 is an opening through which air from the outside of the indoor unit 10 flows into the indoor unit 10. The front opening 312 is an opening through which air inside the indoor unit 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indoor unit 10. The main housing 310 may be conveniently divided into a suction side area (or a rear area) and a discharge side area (or a front area) along the Y direction, which is the main direction through which air flows. The discharge-side region and the suction-side reg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also referred to as a first receiving portion and a second receiving portion, respectively. The blowing unit 320 is disposed in the suction side area of the main housing 310, and the heat exchanger 110 is disposed in the discharge side area of the main housing 310.

송풍유닛(320)은 열교환기(110)를 향한 송풍을 수행한다. 송풍유닛(320)은 후방개구(311)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기(110)로 보내도록 모터(330)에 의해 내부의 팬을 구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의 송풍유닛(320)은 X 방향을 따라서 평행하게 배치된 두 개의 단위 유닛을 포함하지만,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송풍유닛(320)의 셋 이상의 단위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송풍유닛(320)은 다양한 종류의 팬 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원심팬 또는 시로코팬(Sirocco Fan)으로 구현된다.The blowing unit 320 blows air toward the heat exchanger 110. The blowing unit 320 sucks air through the rear opening 311 and drives the internal fan by the motor 330 to send the sucked air to the heat exchanger 11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lowing unit 320 includes two unit units arranged in parallel along the X direction, but may include three or more unit units of the blowing unit 320 depending on a design method. In addition, the blowing unit 320 may be implemented as various types of fan units, and in this embodiment, it is implemented as a centrifugal fan or a Sirocco fan.

송풍유닛(320)이 시로코팬으로 구현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10)는 덕트형 실내기로 구현됨으로써, 전방개구(312)를 통해 복수의 배출덕트가 접속되며, 복수의 위치로 냉각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덕트형 실내기의 풍량에 관련된 패러미터로는 정압이 있는데, 실내기(10)에 접속된 배출덕트의 총 길이가 길고 배출덕트의 수가 많을수록 실내기(10)에 걸리는 부하가 높아진다. 이러한 높은 부하를 감당하기 위해서, 실내기(10)는 높은 정압성능의 송풍유닛(320)을 필요로 한다. 다양한 종류의 팬 유닛 중에서 시로코팬은 부하가 높아도 적정 수준의 풍량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는 시로코팬이 정압성능이 상대적으로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실내기(10)가 덕트형 실내기인 경우에 송풍유닛(320)은 시로코팬으로 구현된다. 또한, 송풍유닛(320)이 시로코팬으로 구현되면, 상대적으로 소음도 저감된다.The reason why the blowing unit 320 is implemented as a sirocco fan is as follows. The indoor uni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mplemented as a duct-type indoor unit, so that a plurality of discharge ducts are connected through the front opening 312, and cooling air may be discharged to a plurality of positions. As a parameter related to the air volume of the duct-type indoor unit, there is a positive pressure. As the total length of the exhaust ducts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10 is longer and the number of exhaust ducts increases, the load applied to the indoor unit 10 increases. In order to handle such a high load, the indoor unit 10 requires a blowing unit 320 with high static pressure performance. Among various types of fan units, the sirocco fan can maintain an appropriate level of air volume even when the load is high, which means that the sirocco fan has relatively excellent static pressure performance. From this point of view, when the indoor unit 10 is a duct-type indoor unit, the blowing unit 320 is implemented as a sirocco fan. In addition, when the blowing unit 320 is implemented as a sirocco fan, noise is relatively reduced.

열교환기(110)는 냉매에 의한 열교환에 의해, 열교환기(110)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정한다. 열교환기(110)는 냉매가 통과하는 파이프와, 파이프로부터 연장된 핀(fin)을 포함한다. 파이프 및 핀은 모두 열전도율이 우수한 금속 재질을 포함한다. 공기가 열교환기(110)의 파이프 및 핀 사이를 지나가면서, 파이프 및 핀에 대해 공기의 열 이동이 발생한다. 열교환기(110)를 지나면서 열교환이 수행된 공기는, 전방개구(312)를 통해 메인하우징(310) 외부로 배출된다.The heat exchanger 110 adjusts the temperature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110 by heat exchange by a refrigerant. The heat exchanger 110 includes a pipe through which a refrigerant passes and a fin extending from the pipe. Both pipes and fins are made of metal materials with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As the air passes between the pipes and fins of the heat exchanger 110, heat transfer of air occurs with respect to the pipes and fins. Air that has undergone heat exchange while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1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housing 310 through the front opening 312.

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110)는 Z 방향에 평행하도록 기립된 상태가 아니라, Z 방향 축선으로부터 상측이 소정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된다. 이는 공기와 접촉하는 열교환기(110)의 면적을 높이기 위한 설계이다.The heat exchanger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in a state in which it is erected parallel to the Z direction, but is disposed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side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axis in the Z direction. This is a design to increase the area of the heat exchanger 110 in contact with air.

이하, 송풍유닛(320)에 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blowing unit 320 will be described.

도 6은 송풍유닛의 외부 사시도이다.6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blowing unit.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유닛(320)은 송풍유닛하우징(321)과, 송풍유닛하우징(321)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원심팬(324)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6, the blowing unit 320 includes a blowing unit housing 321 and a centrifugal fan 324 rotatably accommodated in the blowing unit housing 321.

송풍유닛하우징(321)은 X 방향 또는 -X 방향의 일측면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관통된 송풍유닛흡입구(322)와, Y 방향의 일측면에 공기가 배출되도록 관통된 송풍유닛배출구(323)를 포함한다. 즉, 송풍유닛(320)은 공기의 흡입방향 및 공기의 배출방향이 서로 실질적으로 직교하게 마련되며, 이는 원심팬(324)이 구조적으로 시로코팬이라는 특성에 따른다.The blowing unit housing 321 includes a blowing unit inlet 322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into one side in the X direction or -X direction, and a blowing unit outlet 323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in one side in the Y direction. Include. That is, the blowing unit 320 is provided in which the intake direction of air and the discharge direction of air are substantially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this depends on the characteristic that the centrifugal fan 324 is structurally a sirocco fan.

원심팬(324)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블레이드(325)와, 복수의 블레이드(325)를 지지하는 팬프레임(326)을 포함한다. X 방향을 따라서 평행하게 연장된 복수의 블레이드(325)는 Y-Z 평면 상에서 회전축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를 가지게 배치된다. 복수의 블레이드(325)는 원통형의 팬프레임(326)에 결합되며, 이 팬프레임(326)이 송풍유닛하우징(321) 및 모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팬프레임(326)이 회전함으로써 복수의 블레이드(325)가 회전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공기는 원심팬(324)의 회전축 방향으로 송풍유닛흡입구(322)를 통해 송풍유닛하우징(321)에 유입되고, 회전하는 원심팬(324)에 의해 형성된 원심력에 의해 원심팬(324)의 반경방향으로 송풍유닛배출구(323)를 통해 배출된다.The centrifugal fan 324 includes a plurality of blades 325 arranged in parallel about a rotation axis, and a fan frame 326 that supports the plurality of blades 325. A plurality of blades 325 extending in parallel along the X direction are disposed to have substantially the same distance from the rotation axis on the Y-Z plane. The plurality of blades 325 are coupled to the cylindrical fan frame 326, and the fan frame 326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lowing unit housing 321 and the motor. As the fan frame 326 rotates by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the plurality of blades 325 rotate. With this structure, air is introduced into the blowing unit housing 321 through the blowing unit inlet 322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centrifugal fan 324, and is generated by the centrifugal force formed by the rotating centrifugal fan 324. It is discharged through the blowing unit outlet 323 in the radial direction of 324.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전체적인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indo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7은 실내기의 요부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main parts of the indoor unit.

도 8은 도 7의 실내기의 측면도이다.8 is a side view of the indoor unit of FIG. 7.

도 9는 도 7의 실내기의 평면도이다.9 is a plan view of the indoor unit of FIG. 7.

도 7,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400)는 메인하우징(410), 후방개구(411), 전방개구(412), 송풍유닛(420), 열교환기(430)를 포함한다.7, 8 and 9, the indoor unit 400 includes a main housing 410, a rear opening 411, a front opening 412, a blowing unit 420, a heat exchanger 430 do.

메인하우징(410)은 후방의 흡입측수용부 또는 후방수용부(413) 및 전방의 배출측수용부 또는 전방수용부(414)로 구분될 수 있다. 후방수용부(413) 및 전방수용부(414)는 편의상 구분된 것에 불과하며, 다른 표현으로 제1수용부 및 제2수용부로 대체될 수도 있다. 후방수용부(413)에는 송풍유닛(420)이 배치되며, 전방수용부(414)에는 열교환기(430)가 배치된다. 후방개구(411)를 통해 메인하우징(410)의 후방수용부(413)로 유입되는 공기는 송풍유닛(420)으로 유입된다. 송풍유닛(420)에 유입된 공기는 송풍유닛(420)의 원심력에 의해 메인하우징(410)의 전방수용부(414)에 배치된 열교환기(430)로 송풍된다. 송풍되는 공기는 열교환기(430)에 의해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전방개구(412)를 통해 메인하우징(410) 외부로 배출된다.The main housing 410 may be divided into a rear suction side receiving part or rear receiving part 413 and a front discharge side receiving part or front receiving part 414. The rear accommodating portion 413 and the front accommodating portion 414 are only separated for convenience, and may be replaced with a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nd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in other expressions. A blowing unit 420 is disposed in the rear receiving part 413, and a heat exchanger 430 is disposed in the front receiving part 414. Air flowing into the rear receiving portion 413 of the main housing 410 through the rear opening 411 is introduced into the blowing unit 420. Air introduced into the blowing unit 420 is blown to the heat exchanger 430 disposed in the front receiving portion 414 of the main housing 410 by the centrifugal force of the blowing unit 420. The blown air is heat-exchanged by the heat exchanger 430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housing 410 through the front opening 412.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송풍유닛(420)은 Y 방향을 따라서 소정 거리를 두고 병렬적으로 배치된 제1송풍유닛(421) 및 제2송풍유닛(422)을 포함한다. 제1송풍유닛(421) 및 제2송풍유닛(422)은 공기의 배출방향이 모두 Y 방향을 따른다.In addition, the blowing unit 4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blowing unit 421 and a second blowing unit 422 arranged in parallel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Y direction. In the first blowing unit 421 and the second blowing unit 422, both of the air discharge directions follow the Y direction.

열교환기(430)는 거시적으로 볼 때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지만, 실질적인 구조는 냉매가 통과하는 파이프와 이로부터 연장된 핀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열교환기(430)는 후방수용부(413)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편, 상측 에지가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메인하우징(410)에 수용된다.The heat exchanger 430 macroscopically has a plate shape, but the practical structure has a structure including a pip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passes and a fin extending therefrom. The heat exchanger 430 extend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ear accommodating part 413 and is accommodated in the main housing 410 with the upper edge inclined forward.

즉, 열교환기(430)의 상측 에지 및 송풍유닛(420) 사이의 거리를 d1, 열교환기(430)의 하측 에지 및 송풍유닛(420) 사이의 거리를 d2라고 할 때, d1>d2를 만족한다. 또는, d1은 열교환기(430)의 상측 에지 및 후방수용부(413) 사이의 거리이고, d2는 열교환기(430)의 하측 에지 및 후방수용부(413) 사이의 거리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열교환기(430)가 배치됨으로써, 공기의 열교환 면적을 상대적으로 높일 수 있다. d1<d2의 경우에도 공기의 열교환 면적을 상대적으로 높일 수 있지만, 중력의 작용 때문에 공기의 흐름이 하강하는 것이 자연스럽다는 점을 고려하면 d1>d2가 바람직하다.That is, when d1 is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edge of the heat exchanger 430 and the blowing unit 420, and d2 is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edge of the heat exchanger 430 and the blowing unit 420, d1>d2 is satisfied. do. Alternatively, d1 may be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edge and the rear receiving portion 413 of the heat exchanger 430, and d2 may be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edge and the rear receiving portion 413 of the heat exchanger 430. By arranging the heat exchanger 430 in this way, the heat exchange area of air can be relatively increased. In the case of d1<d2, the heat exchange area of air can be relatively increased, but d1>d2 is preferable considering that it is natural for the flow of air to fall due to the action of gravity.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400)는 제1송풍유닛(421) 및 제2송풍유닛(422) 사이의 후방수용부(413)로부터 열교환기(430)를 향해 연장되어 전방수용부(414)에 마련된 안내부재(440)를 포함한다. 안내부재(440)는, 제1송풍유닛(421) 및 제2송풍유닛(422)에 의해 후방수용부(413)로부터 전방수용부(414)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안내면(441)을 가진다.Here, the indoor unit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xtends toward the heat exchanger 430 from the rear receiving portion 413 between the first blowing unit 421 and the second blowing unit 422 to the front receiving unit 414 It includes a guide member 440 provided in ). The guide member 440 is a guide surface 441 for guiding the flow of air discharged from the rear receiving part 413 to the front receiving part 414 by the first blowing unit 421 and the second blowing unit 422 Have.

비교를 위해 실내기(400)가 안내부재(440)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를 고려한다. 이 경우에, 기외정압에 의해 전방수용부(414)에서 재순환 유동이 발생하며, 특히 기외정압이 증가할수록 재순환에 의한 유동 손실은 더 커진다. 구체적으로는, 제1송풍유닛(421) 및 제2송풍유닛(422) 사이에 위치하는 전방수용부(414)의 일 영역을 편의상 중간영역이라고 지칭한다. 이 중간영역에서, 제1송풍유닛(421)으로부터의 공기 흐름과 제2송풍유닛(422)으로부터의 공기 흐름이 혼합된다. 이러한 혼합으로 인해 유동 손실이 발생하고, 실내기(40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이 감소하게 된다.For comparison, consider the case where the indoor unit 400 does not include the guide member 440. In this case, a recirculation flow occurs in the front receiving portion 414 due to the external static pressure, and in particular, as the external static pressure increases, the flow loss due to recirculation increases. Specifically, an area of the front receiving portion 414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blowing unit 421 and the second blowing unit 422 is referred to as an intermediate area for convenience. In this intermediate region, the air flow from the first blowing unit 421 and the air flow from the second blowing unit 422 are mixed. Flow loss occurs due to such mixing, and the flow rate of air discharged from the indoor unit 400 decreases.

이에 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안내부재(440)는 전방수용부(414)를, 제1송풍유닛(421)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열교환기(430)에 이르는 제1유로와 제2송풍유닛(422)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열교환기(430)에 이르는 제2유로로 구획한다. 이로써, 실내기(400)가 안내부재(440)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의 중간영역에서 복수의 공기 흐름의 혼합에 의한 난류 또는 와류를 방지하고, 제1송풍유닛(421)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및 제2송풍유닛(422)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각기 열교환기(430)에 도달하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안내부재(440)는 디바이더(divider)라고 지칭할 수도 있다.In contrast, the guide member 4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front receiving portion 414, and the first flow path and the second air flow uni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air blowing unit 421) reach the heat exchanger 430 ( The air discharged from 422 is divided into a second flow path leading to the heat exchanger 430. Accordingly, turbulence or vortex flow due to mixing of a plurality of air flows is prevented in an intermediate region when the indoor unit 400 does not include the guide member 440,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blowing unit 421 and the second Air discharged from the blowing unit 422 reaches each heat exchanger 430. In this respect, the guide member 440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divider.

또한, 실내기(400)가 안내부재(440)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중간영역에서 발생하는 유속 저하를, 안내부재(440)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indoor unit 400 does not include the guide member 440, a decrease in the flow velocity occurring in the intermediate region can be prevented by the guide member 440.

도 10은 안내부재의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guide member.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재(440)는 후방모서리(442), 전방모서리(443), 하측모서리(444), 상측모서리(445)에 의해 둘러싸인 안내면(441)을 포함한다. 후방모서리(442)는 실질적으로 기립되어 있으며, 송풍유닛이 배치된 메인하우징의 후방수용부를 마주한다. 다만, 열교환기가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구조 상, 전방모서리(443), 하측모서리(444), 상측모서리(445)는 열교환기의 구조에 대응하는 형태 또는 길이를 가진다.As shown in FIG. 10, the guide member 440 includes a rear edge 442, a front edge 443, a lower edge 444, and a guide surface 441 surrounded by an upper edge 445. The rear edge 442 is substantially erected and faces the rear receiving portion of the main housing in which the blowing unit is disposed. However, due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heat exchanger is arranged inclined forward, the front edge 443, the lower edge 444, and the upper edge 445 have a shape or length corresponding to the structure of the heat exchanger.

전방모서리(443)는 열교환기의 판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므로, 상측이 전방으로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진 형태를 가진다. 전방모서리(443)는 열교환기의 판면에 접촉할 수도 있고, 소정 거리 이격될 수도 있다. 하측모서리(444)는 메인하우징의 하측 판면에 마주한다. 상측모서리(445)는 하측모서리(444)와 평행하게 연장되며, 메인하우징의 상측 판면에 마주한다. 열교환기의 하측 모서리가 송풍유닛에 근접하고 열교환기의 상측 모서리가 송풍유닛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구조 상, 하측모서리(444)의 길이는 상측모서리(445)의 길이보다 짧다.Since the front edge 443 extend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plat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the upper side has a shape inclined for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The front edge 443 may contact the plat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or may be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lower edge 444 faces the lower plate surface of the main housing. The upper edge 445 extends parallel to the lower edge 444 and faces the upper plate surface of the main housing. Since the lower edge of the heat exchanger is close to the blowing unit and the upper edge of the heat exchanger is separated from the blowing unit, the length of the lower edge 444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upper edge 445.

안내면(441)은 평평한 판면을 가질 수도 있지만,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소정의 요철 패턴이 형성된 판면을 가질 수도 있다. 이에 관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guide surface 441 may have a flat plate surface, but may have a plate surface on which a predetermined uneven pattern is formed depending on a design method. A description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이하, 안내부재(440)가 적용된 실내기의 성능 향상에 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indoor unit to which the guide member 440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도 11은 실내기에 안내부재가 적용된 경우 및 적용되지 않은 경우의 정압 성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11 is a graph comparing the static pressure performance when a guide member is applied and not applied to an indoor unit.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외정압을 기준으로, 실내기에 안내부재가 적용된 경우 및 실내기에 안내부재가 적용되지 않은 경우 각각에 대해 계측된 공기의 유량이 비교될 수 있다. 본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유량, 세로축은 기외정압이며, 커브 C1은 안내부재가 없는 케이스이고, 커브 C2는 안내부재가 있는 케이스이다. 본 그래프는 단순히 C1 및 C2의 결과 비교를 위한 것이므로, 구체적인 실험 결과의 수치는 생략한다.As shown in FIG. 11, based on the external static pressure, the measured air flow rates for each of the case where the guide member is applied to the indoor unit and the case where the guide member is not applied to the indoor unit may be compared. In this graph, the horizontal axis is the flow rate and the vertical axis is the external static pressure, the curve C1 is the case without the guide member, and the curve C2 is the case with the guide member. Since this graph is for simply comparing the results of C1 and C2, the numerical values of the specific experimental results are omitted.

기외정압이 낮은 경우, 즉 실내기에 대한 부하가 낮은 경우는, 실내기가 냉각시켜야 할 장소의 용량이 상대적으로 적고, 실내기로부터 냉각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덕트의 수가 적고, 배출덕트의 총 길이가 짧은 경우이다. 반면, 기외정압이 높은 경우, 즉 실내기에 대한 부하가 높은 경우는, 실내기가 냉각시켜야 할 장소의 용량이 상대적으로 많고, 실내기로부터 냉각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덕트의 수가 많고, 배출덕트의 총 길이가 긴 경우이다.When the external static pressure is low, that is, when the load on the indoor unit is low, the capacity of the place where the indoor unit should be cooled is relatively small, the number of exhaust ducts from which cooling air is discharged from the indoor unit is small, and the total length of the exhaust duct is short to be. On the other hand, when the external static pressure is high, that is, when the load on the indoor unit is high, the capacity of the place where the indoor unit should be cooled is relatively large, the number of exhaust ducts discharged from the indoor unit is large, and the total length of the exhaust duct is This is a long case.

본 그래프에 따르면, 동일한 기외정압일 때 C2에서의 유량이 C1에서의 유량보다 높게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는 기외정압이 높은 경우가 낮은 경우에 비해 유량의 차이가 보다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유량 확보의 측면에서 볼 때, 본 실시예에 따른 안내부재가 기외정압이 높은 경우에서 보다 유리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According to this graph, the flow rate at C2 is higher than the flow rate at C1 at the same external static pressure. These results can be seen that the difference in flow rate is larger in the case where the external static pressure is high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external static pressure is low. This means that in terms of securing the flow rate, the guide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cts more advantageously in the case where the external static pressure is high.

도 12는 실내기에 안내부재가 적용된 경우 및 적용되지 않은 경우의 송풍 소음을 비교한 그래프이다.12 is a graph comparing blowing noise when a guide member is applied and not applied to an indoor unit.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 소음을 기준으로, 실내기에 안내부재가 적용된 경우 및 적용되지 않은 경우 각각에 대해 계측된 공기의 유량이 비교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의 유량은 정압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및 정압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로 구분되어 계측되었다. 커브 C3는 정압이 낮은 경우에 안내부재가 적용되지 않은 케이스, 커브 C4는 커브 C3와 동일한 정압 하에서 안내부재가 적용된 케이스이다. 한편, 커브 C5는 정압이 높은 경우에 안내부재가 적용되지 않은 케이스, 커브 C6는 커브 C5와 동일한 정압 하에서 안내부재가 적용된 케이스이다.As shown in FIG. 12, based on the blowing noise, the flow rate of air measured for each of the case where the guide member is applied and not applied to the indoor unit may be compared. Here, the flow rate of air was measured by being classified into a case where the static pressure was relatively low and a case where the static pressure was relatively high. Curve C3 is a case in which the guide member is not applied when the static pressure is low, and curve C4 is a case in which the guide member is applied under the same static pressure as the curve C3. On the other hand, curve C5 is a case in which the guide member is not applied when the static pressure is high, and curve C6 is a case in which the guide member is applied under the same static pressure as the curve C5.

본 그래프에 따르면, 동일한 송풍 소음 하에서 C4에서의 유량이 C3에서의 유량보다 높고, C6에서의 유량이 C5에서의 유량보다 높다. 그런데, 동일한 송풍 소음 하에서 C6 및 C5 사이의 유량 차이가 C4 및 C3 사이의 유량 차이보다 크다. 이는, 정숙 측면에서 볼 때, 본 실시예에 따른 안내부재가 기외정압이 높은 경우에서 보다 유리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According to this graph, under the same blowing noise, the flow rate at C4 is higher than the flow rate at C3, and the flow rate at C6 is higher than the flow rate at C5. By the way, the flow rate difference between C6 and C5 is greater than the flow rate difference between C4 and C3 under the same blowing noise. This means that, in terms of quietness, the guide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cts more advantageously when the external static pressure is high.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실내기는, 안내부재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유량 확보 및 정숙 측면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효과는 기외정압이 높은 경우에서 보다 현저하게 나타난다.As described above, the indoor unit including the guide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xhibits an excellent effect in terms of securing flow rate and quietness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guide member is not included. In addition, this effect appears more remarkably when the external static pressure is high.

이하, 안내부재의 다양한 설계 변경 실시예들에 관해 설명한다.Hereinafter, various design changes of the guide member will be described.

도 13은 안내부재의 안내면이 나타난 실내기의 측면도이다.13 is a side view of the indoor unit in which the guide surface of the guide member is shown.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500)는 그 내부가 후방수용부 및 전방수용부로 구분되는 메인하우징(510), 후방수용부에 배치되는 송풍유닛(520), 전방수용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530), 전방수용부에 배치되는 안내부재(540)를 포함한다. 실내기(500)의 기본적인 구조는 앞선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의 안내부재(540)는 앞선 실시예에서의 평평한 안내면이 아닌, 소정의 요철 패턴이 형성된 안내면(541)을 가진다. 안내면(541) 상에 형성된 요철 패턴은, 하나 이상의 홈을 포함하는 딤플(dimple) 형상, 복수의 볼록한 돌출부를 포함하는 엠보싱(embossing) 형상 등으로 구현된다.13, the indoor unit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ain housing 510 whose interior is divided into a rear receiving unit and a front receiving unit, a blowing unit 520 disposed in the rear receiving unit, and a front receiving unit. It includes a heat exchanger 530 disposed in the part, and a guide member 540 disposed in the front receiving part. Since the basic structure of the indoor unit 50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previous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However, the guide member 540 in this embodiment has a guide surface 541 in which a predetermined uneven pattern is formed, not a flat guide surface in the previous embodiment. The uneven pattern formed on the guide surface 541 is implemented in a dimple shape including one or more grooves, an embossing shape including a plurality of convex protrusions, and the like.

이와 같이 요철 형상의 안내면(541)을 가진 안내부재(540)는, 평평한 안내면의 경우에 비해 박리 지연 효과가 향상된다. 송풍유닛(52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안내면(541)을 따라서 열교환기(530)로 송풍될 때, 안내면(541)에 붙어서 이동하게 된다. 안내면(541)에 붙어서 이동하는 공기의 유속은 안내면(541)에 붙지 않고 이동하는 공기의 유속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르다. 따라서, 일단 공기가 안내면(541)에 붙어서 이동한다면, 이 공기가 가능하면 안내면(541)으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유속 측면에서 유리하다. 박리 지연 효과는 안내면(541)에 붙은 공기가 안내면(541)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해하는 효과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내면(541)은 박리 지연 효과를 상대적으로 향상시키는 구조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guide member 540 having the concave-convex guide surface 541 has an improved separation delay effect compared to the case of a flat guide surface. Whe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ing unit 520 is blown to the heat exchanger 530 along the guide surface 541, it is attached to the guide surface 541 and moves. The flow rate of air moving while attached to the guide surface 541 i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the flow rate of air moving without being attached to the guide surface 541. Therefore, once the air adheres to the guide surface 541 and moves,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flow rate to prevent the air from falling from the guide surface 541 if possible. The peeling delay effect is an effect of preventing air adhered to the guide surface 541 from falling from the guide surface 541. The guide surface 54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tructure that relatively improves the peeling delay effect.

한편, 앞선 실시예들에서는 2개의 송풍유닛을 포함하는 실내기에 관해 설명하였으며, 이 경우에 안내부재는 2개의 송풍유닛 사이에 배치되므로 1개가 실내기에 적용된다. 그러나, 송풍유닛의 개수는 3개 이상이 될 수 있으며, 송풍유닛의 개수에 대응하여 안내부재의 적용 개수도 결정된다. 이하, 송풍유닛이 3개인 실내기에 관해 설명한다.Meanwhile, in the foregoing embodiments, an indoor unit including two blowing units has been described. In this case, since the guide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two blowing units, one is applied to the indoor unit. However, the number of blowing units may be three or more, and the number of applied guide members is also determin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blowing units. Hereinafter, an indoor unit having three blowing units will be described.

도 14는 3개의 송풍유닛을 포함하는 실내기의 사시도이다.1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including three blowing units.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600)는 메인하우징(610)과, 복수의 송풍유닛(621, 622, 623)과, 열교환기(630)와, 복수의 안내부재(641, 64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구성요소들은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동일 명칭의 구성요소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As shown in FIG. 14, the indoor unit 600 includes a main housing 610, a plurality of blowing units 621, 622, 623, a heat exchanger 630, and a plurality of guide members 641, 642. Include. Components in the present embodiment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s as components of the same name described in the previous embodiment,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복수의 송풍유닛(621, 622, 623)은 메인하우징(610)의 후방수용부에, 열교환기(630)에 마주하도록 평행하게 배치된 제1송풍유닛(621), 제2송풍유닛(622), 제3송풍유닛(623)을 포함한다. 열교환기(630) 측에서 볼 때 복수의 송풍유닛(621, 622, 623)은 병렬적으로 배치되며, 제1송풍유닛(621) 및 제2송풍유닛(622)이 상호 인접하고, 제2송풍유닛(622) 및 제3송풍유닛(623)이 상호 인접하게 배치된다.The plurality of blowing units 621, 622, 623 are arranged in parallel to face the heat exchanger 630 in the rear receiving part of the main housing 610, the first blowing unit 621, the second blowing unit 622 , And a third blowing unit 623. When viewed from the heat exchanger 630 side, the plurality of blowing units 621, 622, 623 are arranged in parallel, the first blowing unit 621 and the second blowing unit 622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blowing The unit 622 and the third blowing unit 623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복수의 안내부재(641, 642)는 제1안내부재(641) 및 제2안내부재(642)를 포함한다. 제1안내부재(641)는 제1송풍유닛(621) 및 제2송풍유닛(622) 사이의 후방수용부로부터 열교환기(630)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전방수용부에 마련되며, 제1송풍유닛(621) 및 제2송풍유닛(622)에 의해 후방수용부로부터 전방수용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안내면을 가진다. 또한, 제2안내부재(642)는 제2송풍유닛(622) 및 제3송풍유닛(623) 사이의 전방수용부로부터 열교환기(630)를 향하여 연장되며, 제2송풍유닛(622) 및 제3송풍유닛(623)에 의해 후방수용부로부터 전방수용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안내면을 가진다. 복수의 안내부재(641, 642)에 의한 효과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The plurality of guide members 641 and 642 include a first guide member 641 and a second guide member 642. The first guide member 641 is provided in the front receiving portion so as to extend toward the heat exchanger 630 from the rear receiv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blowing unit 621 and the second blowing unit 622, and the first blowing unit ( 621) and has a guide surface for guiding the flow of air discharged from the rear receiving portion to the front receiving portion by the second blowing unit 622. In addition, the second guide member 642 extends toward the heat exchanger 630 from the front receiving portion between the second blowing unit 622 and the third blowing unit 623, the second blowing unit 622 and the second It has a guide surface for guiding the flow of air discharged from the rear receiving portion to the front receiving portion by the three-air blowing unit 623. The effect of the plurality of guide members 641 and 642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described in the previous embodiment.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송풍유닛(621, 622, 623)이 세 개인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송풍유닛(621, 622, 623)의 개수가 넷 이상인 경우에도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송풍유닛(621, 622, 623)의 개수가 N이라고 할 때, 안내부재(641, 642)의 개수는 (N-1)이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plurality of blowing units 621, 622, and 623 are three has been described, but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even when the number of blowing units 621, 622, 623 is four or more. When the number of blowing units 621, 622, 623 is N, the number of guide members 641, 642 is (N-1).

이하, 본 실시예와 같이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실내기와, 안내부재를 포함하지 않는 실내기에서 측정된 유속의 차이에 기반한 본 실시예의 효과에 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ff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low velocity measured in the indoor unit including the guide member and the indoor unit not including the guide member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15는 안내부재를 포함하지 않는 실내기에서 측정된 유속의 분포를 컬러로 나타낸 예시도이다.15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distribution of the flow velocity measured in an indoor unit not including a guide member in color.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송풍유닛(651), 제2송풍유닛(652), 제3송풍유닛(653)을 포함하는 실내기에서, 각 영역 별 유속을 계측하여 컬러 분포도로 나타낼 수 있다. 본 컬러 분포도에서 상측 분포도는 실내기를 위에서 보았을 때에 송풍유닛(651, 652, 653)의 토출구를 중심으로 한 단면의 모습을 나타내며, 하측 분포도는 열교환기의 단면의 모습을 나타낸다. 본 컬러 분포도에서 유속이 빠를수록 적색에 가까운 컬러를 나타내며, 유속이 느릴수록 청색에 가까운 컬러를 나타낸다.As shown in FIG. 15, in the indoor unit including the first blowing unit 651, the second blowing unit 652, and the third blowing unit 653, the flow velocity for each area can be measured and displayed as a color distribution chart. . In this color distribution diagram, the upper distribution diagram shows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centered on the discharge ports of the blowing units 651, 652, 653 when viewed from the top of the indoor unit, and the lower distribution diagram shows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heat exchanger. In this color distribution diagram, the faster the flow rate, the closer to the red color is, and the lower the flow rate, the closer to blue.

안내부재를 포함하지 않는 실내기의 경우에, 각 송풍유닛(651, 652, 653)이 공기를 배출하는 직선상의 영역은 적색을 나타낸다. 그러나, 각 송풍유닛(651, 652, 653) 사이의 중간영역 A1 및 A2는 하늘색 내지 청색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A1 및 A2에서 유속의 큰 저하가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In the case of an indoor unit that does not include a guide member, a linear area in which air is discharged from each of the blowing units 651, 652, 653 is red. However, since the intermediate regions A1 and A2 between each of the blowing units 651, 652, and 653 exhibit light blue to blue, it can be seen that a large decrease in flow velocity occurs in A1 and A2.

도 16은 안내부재를 포함하지 않는 실내기에서 측정된 유속의 분포를 컬러로 나타낸 예시도이다.16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distribution of flow velocity measured in an indoor unit not including a guide member in color.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는 제1송풍유닛(621), 제2송풍유닛(622), 제3송풍유닛(623)과, 각 중간영역에 배치되는 제1안내부재(641) 및 제2안내부재(642)를 포함한다. 본 컬러 분포도에 관한 기본적인 설명은 앞선 도면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As shown in FIG. 16, the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blowing unit 621, a second blowing unit 622, a third blowing unit 623, and a first guide member disposed in each intermediate area. It includes 641 and a second guide member 642. The basic description of this color distribution diagram is the same as the previous drawings, and thus will be omitted.

제1안내부재(641) 및 제2안내부재(642) 주변에서 청색 내지 하늘색의 영역이 나타나기는 하지만 그 면적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었으며, 특히 열교환기에서 중간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청색 내지 하늘색의 영역이 많이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중간영역에서의 유속이 상대적으로 상승했음을 의미한다. 중간영역에 배치되는 제1안내부재(641) 및 제2안내부재(642)에 의해 각 송풍유닛(621, 622, 623) 별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의 혼합으로 인한 난류 또는 와류가 차단되며, 그 결과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요인이 상당히 해소되었다는 것이 본 컬러 분포도에서 나타난다.Although a blue to light blue area appears around the first guide member 641 and the second guide member 642, the area has been relatively reduced. In particular, the blue to light blue area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iddle area of the heat exchanger It can be seen that this has decreased a lot. This means that the flow velocity in the intermediate region has risen relatively. Turbulent flow or vortex flow due to mixing of the flow of air discharged from each blowing unit 621, 622, 623 is blocked by the first guide member 641 and the second guide member 642 disposed in the intermediate area, As a result, it is shown in this color distribution that the factors that obstruct the air flow are significantly resolved.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는 안내부재의 폭이 변화없이 일정하게 연장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다. 여기서, 안내부재의 연장방향은 공기가 흐르는 방향(Y 방향)이며, 안내부재의 폭은 안내부재의 연장방향에 대한 가로방향(X 방향)의 길이를 나타낸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의 구현 방식이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 바, 안내부재를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게 설계한 실시예에 관해 이하 설명한다.Meanwhile, in the previous embodiment, a case where the width of the guide member is constantly extended without change has been described. Here,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member is the direction in which air flows (Y direction), and the width of the guide member represents the length in the transverse direction (X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member. However, since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an embodiment in which the guide member is designed differently from the previou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도 17은 소정 볼륨을 가진 안내부재가 실내기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uiding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installed in the indoor unit.

도 18은 도 17의 안내부재를 위에서 본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18 is a plan view showing the guiding member of FIG. 17 viewed from above.

도 19는 도 18의 사시도이다.19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18.

도 17,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700)는 메인하우징(710), 복수의 송풍유닛(720), 열교환기(730), 안내부재(740)를 포함한다. 메인하우징(710), 복수의 송풍유닛(720), 열교환기(730)는 앞선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17, 18, and 19, the indoor unit 700 includes a main housing 710, a plurality of blowing units 720, a heat exchanger 730, and a guide member 740. The main housing 710, the plurality of blowing units 720, and the heat exchanger 730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described in the previous embodiments.

본 실시예에서의 안내부재(740)는 앞선 실시예에서의 안내부재와 달리,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볼륨을 가진다. 앞선 실시예에서의 안내부재는 메인하우징의 전방수용부의 중간영역에 배치됨으로써 유로를 구획하는 역할 및 공기를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비해 본 실시예에서의 안내부재(740)는 상기한 두 역할 중에서 공기를 안내하는 역할을 보다 강화시킨다.The guide member 740 in this embodiment has a relatively wide volume, unlike the guide member in the previous embodiment. The guide member in the previous embodiment is disposed in an intermediate region of the front receiving portion of the main housing to partition the flow path and guide air. In contrast, the guide member 740 in this embodiment further strengthens the role of guiding air among the two roles described above.

안내부재(740)는 안내부재(740)의 본체를 형성하는 안내부재본체(741)를 포함한다. 열교환기(730)의 상측 에지 및 송풍유닛(720) 사이의 거리가 열교환기(730)의 하측 에지 및 송풍유닛(720) 사이의 거리보다 긴 구조 상, 안내부재본체(741)의 하면은 안내부재본체(741)의 상면보다 좁은 면적을 가진다. 안내부재본체(741)는 송풍유닛(720)에 마주하는 일면인 안내부재후방면(742)과, 열교환기(730)에 마주하는 일면인 안내부재선단면(744)과, 안내부재후방면(742) 및 안내부재선단면(744) 사이에 배치된 한 쌍의 안내부재측면(743)을 가진다. 실질적으로 이 한 쌍의 안내부재측면(743)을 따라서 공기의 흐름이 안내된다.The guide member 740 includes a guide member body 741 forming the body of the guide member 740. Due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edge of the heat exchanger 730 and the blowing unit 720 is lon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edge of the heat exchanger 730 and the blowing unit 720, the lower surface of the guide member body 741 is guided. It has a smaller area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member body 741. The guide member body 741 has a guide member rear surface 742 that is one surface facing the blowing unit 720, a guide member front end surface 744 that is one surface facing the heat exchanger 730, and the guide member rear surface ( It has a pair of guiding member side surfaces 743 disposed between the 742 and the leading end surface 744 of the guiding member. The flow of air is guided substantially along the pair of guide member side surfaces 743.

송풍유닛(720)으로부터의 공기가 열교환기(730)로 전달되는 주요 방향은 Y 방향이고, Y 방향의 가로방향인 X 방향의 길이를 편의상 폭이라고 지칭한다. 이 경우에 안내부재후방면(742)의 폭 w1 및 안내부재선단면(744)의 폭 w2의 관계는 w1>w2가 된다. 이 때문에, 안내부재본체(741)의 좌우 양측에 있는 안내부재측면(743) 사이의 이격 거리는 Y 방향으로 갈수록 전체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안내부재측면(743)은 안내부재선단면(744)에 근접하는 위치에서 라운드하게 절곡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특정한 한 가지로 안내부재측면(743)의 형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안내부재측면(743)은 위에서 보았을 때 절곡되지 않고 실질적인 직선을 형성할 수도 있다.The main direction in which air from the blowing unit 720 is transferred to the heat exchanger 730 is in the Y direction, and the length in the X direction, which is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Y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width for convenience. In this ca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idth w1 of the guide member rear surface 742 and the width w2 of the guide member tip end surface 744 is w1>w2. For this reaso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guide member side surfaces 743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guide member body 741 decreases as a whole in the Y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guide member side surface 743 has a shape that is bent roundly at a position close to the guide member front end surface 744, but the shape of the guide member side surface 743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one. . For example, the guide member side surface 743 may form a substantially straight line without being bent when viewed from above.

이와 같이 안내부재본체(741)가 소정 볼륨을 가지도록 마련되면, 송풍유닛(72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안내부재측면(743)에 도달하는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아지고, 공기는 안내부재측면(743)을 타고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공기는 소정 벽면을 타고 이동하는 것이 벽면을 타지 않고 이동하는 것보다 속도가 빠른데, 이를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라고 지칭한다. 코안다 효과에 따르면, 벽면이나 천장면에 접근하여 분출된 기류는 그 면에 부착되어 흐르는 경향을 가진다. 이 경우에 자유 분류에 비해 기류의 속도의 감쇠가 작고 도달 거리가 길어진다. 즉, 본 실시예의 안내부재(740)는 코안도 효과를 향상시키는 구조를 가진다.In this way, when the guide member body 741 is provided to have a predetermined volume, the distance through which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ing unit 720 reaches the guide member side surface 743 is relatively short, and the air is transferred to the guide member side surface 743 ) To be able to move. Air moving along a certain wall is faster than moving without riding the wall, which is referred to as the Coanda effect. According to the Coanda effect, the airflow ejected by approaching a wall or ceiling surface has a tendency to adhere to the surface and flow. In this case, the attenuation of the velocity of the airflow is small compared to the free classification, and the reach is long. That is, the guide member 74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tructure to improve the nose and nose effect.

안내부재측면(743)의 후방이 송풍유닛(720)의 토출구에 근접하도록 안내부재후방면(742)의 폭 w1이 마련됨으로써, 공기가 안내부재측면(743)에 빨리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안내부재선단면(744)의 폭 w2가 w1보다 작게 마련됨으로써, 안내부재측면(743)을 타고 이동하는 공기가, 열교환기(730) 전체 영역에서 복수의 송풍유닛(720) 사이의 중간영역에 해당하는 영역에 용이하게 도달하도록 안내한다. 이로써, 열교환기(730) 전체적으로 볼 때 공기가 고르게 전달될 수 있게 된다.The width w1 of the guide member rear surface 742 is provided so that the rear of the guide member side surface 743 is close to the discharge port of the blowing unit 720, so that air can quickly reach the guide member side surface 743. In addition, since the width w2 of the guide member front end surface 744 is provided smaller than w1, the air moving along the guide member side surface 743 is intermediate between the plurality of blowing units 720 in the entire area of the heat exchanger 730. It guides you to easily reach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area. As a result, air can be transmitted evenly when viewed as a whole of the heat exchanger 730.

한편, 안내부재(740)는 안내부재선단면(744) 상에서 열교환기(730)를 향해 돌출된 핀(745)을 추가적으로 가질 수도 있다. 핀(745)은 한 쌍의 안내부재측면(743)을 타고 이동하는 공기의 두 흐름이 안내부재선단면(744) 및 열교환기(730) 사이에서 와류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안내부재선단면(744)이 열교환기(730)에 매우 근접해 있거나, 또는 안내부재선단면(744) 및 열교환기(730) 사이에서 발생하는 와류의 영향이 크지 않다고 한다면, 안내부재(740)는 핀(745)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Meanwhile, the guide member 740 may additionally have a pin 745 protruding toward the heat exchanger 730 on the guide member tip end surface 744. The fin 745 ha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two flows of air moving along the pair of guide member side surfaces 743 from causing a vortex between the guide member tip end surface 744 and the heat exchanger 730. If the guide member tip end surface 744 is very close to the heat exchanger 730, or the influence of the vortex occurring between the guide member tip end surface 744 and the heat exchanger 730 is not large, the guide member 740 It may not include pins 745.

도 20은 소정 볼륨을 가진 안내부재가 실내기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2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uiding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installed in the indoor unit.

도 21은 도 20의 안내부재를 위에서 본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FIG. 21 is a plan view showing the guiding member of FIG. 20 viewed from above.

도 22는 도 20의 사시도이다.22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20.

도 20,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800)는 메인하우징(810), 복수의 송풍유닛(820), 열교환기(830), 안내부재(840)를 포함한다. 메인하우징(810), 복수의 송풍유닛(820), 열교환기(830)는 앞선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As shown in FIGS. 20, 21 and 22, the indoor unit 800 includes a main housing 810, a plurality of blowing units 820, a heat exchanger 830, and a guide member 840. The main housing 810, the plurality of blowing units 820, and the heat exchanger 830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described in the previous embodiments.

본 실시예에 따른 안내부재(840)는 안내부재(840)의 본체를 형성하는 안내부재본체(841)를 포함한다. 안내부재본체(841)는 송풍유닛(820)에 마주하는 일면인 안내부재후방면(842)과, 열교환기(830)에 마주하는 일면인 안내부재선단면(844)과, 안내부재후방면(842) 및 안내부재선단면(844) 사이에 배치된 한 쌍의 안내부재측면(843)을 가진다.The guide member 8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guide member body 841 forming the body of the guide member 840. The guide member main body 841 has a guide member rear surface 842 that is one surface facing the blowing unit 820, a guide member front end surface 844 that is one surface facing the heat exchanger 830, and the guide member rear surface ( 842) and a pair of guide member side surfaces 843 disposed between the guide member front end surface 844.

안내부재후방면(842)의 폭 w3 및 안내부재선단면(844)의 폭 w4의 관계는 w3>w4가 됨으로써, 안내부재본체(841)의 좌우 양측에 있는 안내부재측면(843) 사이의 이격 거리는 Y 방향으로 갈수록 전체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앞선 실시예에서의 안내부재측면(743, 도 18, 도 19 참조)은 안내부재선단면(844)에 근접하는 위치에서 완만한 곡률을 가지고 꺾이는 형상인 것에 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안내부재측면(843)은 안내부재후방면(842) 및 안내부재선단면(844) 사이에서 절곡되는 형상을 가진다.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idth w3 of the guide member rear surface 842 and the width w4 of the guide member front end surface 844 is w3>w4,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guide member side surfaces 843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guide member body 841 As the distance goes in the Y direction, the overall decreases. The guide member side surface 743 (see FIGS. 18 and 19) in the previous embodiment has a shape that is bent with a gentle curvature at a position close to the guide member front end surface 844, whereas the guide member side su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843 has a shape that is bent between the guide member rear surface 842 and the guide member front end surface 844.

도 23은 도 20의 안내부재가 핀을 포함하는 모습의 평면도이다.23 is a plan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guide member of FIG. 20 includes a pin.

도 24는 도 23의 사시도이다.24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23.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재(940)는 안내부재(940)의 본체를 형성하는 안내부재본체(941)를 포함한다. 안내부재본체(941)는 송풍유닛에 마주하는 일면인 안내부재후방면(942)과, 열교환기에 마주하는 일면인 안내부재선단면(944)과, 안내부재후방면(942) 및 안내부재선단면(944) 사이에 배치된 한 쌍의 안내부재측면(943)을 가진다. 본 실시예의 안내부재(940)는 기본적으로 앞선 실시예의 안내부재(840, 도 21, 도 22 참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되, 추가적으로 핀(945)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23 and 24, the guide member 940 includes a guide member body 941 forming the body of the guide member 940. The guide member body 941 includes a guide member rear surface 942, which is one surface facing the blowing unit, a guide member front end surface 944, which is one surface facing the heat exchanger, and a guide member rear surface 942 and a guide member front end surface. It has a pair of guide member side surfaces 943 disposed between 944. The guide member 940 of this embodiment basically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guide member 840 (see FIGS. 21 and 22) of the previous embodiment, but additionally includes a pin 945.

핀(945)은 안내부재선단면(944) 상에서 열교환기를 향해 돌출되며, 열교환기의 판면을 따라서 연장된다. 핀(945)은 한 쌍의 안내부재측면(943)을 타고 이동하는 공기의 두 흐름이 안내부재선단면(944) 및 열교환기 사이에서 와류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fins 945 protrude toward the heat exchanger on the guide member front end surface 944 and extend along the plat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The fins 945 have an effect of preventing the two flows of air moving along the pair of guide member side surfaces 943 from generating eddy currents between the guide member front end surface 944 and the heat exchanger.

이하, 안내부재가 도 10과 같은 형태인 경우 및 도 18과 같은 형태인 경우 각각에서 나타내는 유속의 실험결과에 관해 설명한다.Hereinafter, when the guide member has the shape as shown in FIG. 10 and the shape shown in FIG. 18,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flow velocity shown in each of the cases will be described.

도 25는 도 10의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실내기에서 측정된 유속의 분포를 컬러로 나타낸 예시도이다.FIG. 25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distribution of flow velocity measured in the indoor unit including the guide member of FIG. 10 in color.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송풍유닛(1110)과, 열교환기(1120)와, 안내부재(1130)를 포함하는 실내기(1100)에서, 열교환기(1120) 표면에서의 각 영역 별 유속을 계측하여 컬러 분포도로 나타낼 수 있다. 본 실내기(1100)의 모습은 실내기(1100)의 후방에서 실내기(1100)를 투시한 모습이다. 안내부재(1130)는 복수의 송풍유닛(1110) 사이의 중간영역(A3)에 배치된다. 본 컬러 분포도에서 유속이 빠를수록 적색에 가까운 컬러를 나타내며, 유속이 느릴수록 청색에 가까운 컬러를 나타낸다.As shown in FIG. 25, in the indoor unit 1100 including a plurality of blowing units 1110, a heat exchanger 1120, and a guide member 1130, the flow velocity of each region on th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1120 Can be measured and expressed as a color distribution plot. This indoor unit 1100 is viewed through the indoor unit 1100 from the rear of the indoor unit 1100. The guide member 1130 is disposed in the intermediate region A3 between the plurality of blowing units 1110. In this color distribution diagram, the faster the flow rate, the closer to the red color, and the lower the flow rate, the closer to blue.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안내부재(1130)를 포함하는 실내기(1100)의 경우에, 송풍유닛(1110)이 배치된 영역에서 적색이 많이 나타나는 것에 비해, 중간영역(A3)에서 청색, 녹색 및 노란색이 많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즉, 중간영역(A3)에서의 유속이 중간영역(A3)이 아닌 영역에서의 유속에 비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는 점이 본 컬러 분포도에서 나타난다.In the case of the indoor unit 1100 including the guide member 1130 having a relatively narrow width, blue, green, and yellow colors appear in the middle area A3, compared to a large amount of red in the area where the blowing unit 1110 is disposed. It can be seen that a lot appears. That is, it is shown in this color distribution that the flow velocity in the intermediate region A3 is relatively lower than the flow velocity in the region other than the intermediate region A3.

도 26은 도 18의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실내기에서 측정된 유속의 분포를 컬러로 나타낸 예시도이다.2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in color, distribution of flow velocity measured in an indoor unit including a guide member of FIG. 18.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송풍유닛(1210)과, 열교환기(1220)와, 안내부재(1230)를 포함하는 실내기(1200)에서, 열교환기(1220) 표면에서의 각 영역 별 유속을 계측하여 컬러 분포도로 나타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안내부재(1230)는 앞선 실시예에서의 안내부재(1130, 도 18 참조)에 비해 넓은 폭을 가진다.As shown in FIG. 26, in the indoor unit 1200 including a plurality of blowing units 1210, a heat exchanger 1220, and a guide member 1230, the flow velocity of each region on th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1220 Can be measured and expressed as a color distribution plot. The guide member 1230 in this embodiment has a wider width compared to the guide member 1130 (see FIG. 18) in the previous embodiment.

본 실시예의 결과를 앞선 실시예의 결과와 비교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중간영역(A4)에서 나타나는 청색, 녹색, 노란색의 영역이 상대적으로 적고, 적색의 영역이 늘어났음을 알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볼륨이 큰 안내부재(1230)를 적용함으로써, 중간영역(A4)에 대응하는 열교환기(1220)의 영역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유속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앞선 실시예의 경우는 실내기의 폭 또는 내부공간이 상대적으로 좁은 경우에 유효할 수 있으므로, 실내기의 설계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Comparing the results of this embodiment with the results of the previous embodiment, it can be seen that in this embodiment, the blue, green, and yellow areas appearing in the middle area A4 are relatively small, and the red areas are increased. That is, by applying the guide member 1230 having a relatively large volume, the flow velocity of air blown to the region of the heat exchanger 1220 corresponding to the intermediate region A4 can be improved. However, the above embodiment may be effective when the width or internal space of the indoor unit is relatively narrow, and thus may be selectively applied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indoor unit.

한편, 코안다 효과를 이용할 수 있도록 소정 볼륨을 가진 안내부재는, 반드시 복수의 송풍유닛 사이의 중간영역에만 배치되는 경우만 있는 것은 아니다. 이하, 안내부재가 중간영역 이외의 위치에 배치되는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the guide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so as to utilize the Coanda effect is not necessarily disposed only in an intermediate region between the plurality of blowing units. Hereinafter, an embodiment in which the guide member is disposed at a position other than the intermediate region will be described.

도 27은 실내기의 전방수용부 양측단에 각기 측방안내부재가 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27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side guide members are disposed at both side ends of the front receiving portion of the indoor unit.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1300)는 메인하우징(1310)과, 복수의 송풍유닛(1321, 1322)과, 열교환기(1340)와, 안내부재(1340)를 포함한다. 안내부재(1340)는 전방수용부에서 복수의 송풍유닛(1321, 1322) 사이의 중간영역에 배치된다. 즉, 도면 상에서 후방수용부의 좌측에 제1송풍유닛(1321)이 배치되고, 우측에 제2송풍유닛(1322)에 배치될 때, 안내부재(1340)는 전방수용부에서 제1송풍유닛(1321)의 우측 및 제2송풍유닛(1322)의 좌측에 배치된다. 이상의 구성에 관해서는 앞선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As shown in FIG. 27, the indoor unit 1300 includes a main housing 1310, a plurality of blowing units 1321 and 1322, a heat exchanger 1340, and a guide member 1340. The guide member 1340 is disposed in an intermediate region between the plurality of blowing units 1321 and 1322 in the front receiving portion. That is, in the drawing, when the first blowing unit 1321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rear receiving part and the second blowing unit 1322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the guide member 1340 is the first blowing unit 1321 in the front receiving part. ) And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second blowing unit 1322. The above configura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1300)는 전방수용부 양측의 최외곽 영역에 각각 설치되며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게 마련된 하나 이상의 측방안내부재(1351, 1352)를 더 포함한다. 즉, 메인하우징(1310)에서 전방수용부 좌측 측벽에 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제1측방안내부재(1351), 또는 전방수용부 우측 측벽에 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제2측방안내부재(1352)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측방안내부재(1351, 1352)는 메인하우징(13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별개의 부재로서 메인하우징(1310) 내에 결합될 수도 있다.Here, the indoor unit 1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one or more lateral guide members 1351 and 1352 which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outermost regions on both sides of the front receiving part and provided to guide the flow of air. That is, the first side guide member 1351 extending along the direction of air movement from the main housing 1310 to the left side wall of the front receiving part, or the second side guide extending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air at the right side wall of the front receiving part A member 1352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The side guide members 1351 and 135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housing 1310, or may be coupled into the main housing 1310 as separate members.

각 측방안내부재(1351, 1352)는 송풍유닛(1321, 1322)에 근접한 후방부의 폭이 열교환기(1340)에 근접한 전방부의 폭보다 넓게 마련된다. 또는, 측방안내부재(1351, 1352)의 폭은 열교환기(1340)에 근접할수록 작아진다. 즉, 측방안내부재(1351, 1352)가 결합된 전방수용부의 측면 및 측방안내부재(1351, 1352)에서 공기에 접하는 측면 사이의 이격 거리는, 열교환기(1340)에 가까워질수록 작아진다. 따라서, 송풍유닛(1321, 1322)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유로는 열교환기(1340)에 근접할수록 넓어진다.Each side guide member 1351, 1352 is provided with a width of the rear portion close to the blowing units 1321, 1322 is wider than the width of the front portion close to the heat exchanger 1340. Alternatively, the width of the side guide members 1351 and 1352 decreases as it approaches the heat exchanger 1340. That i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ide surfaces of the front receiving portions to which the side guide members 1351 and 1352 are coupled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side guide members 1351 and 1352 in contact with air decreases as the heat exchanger 1340 approaches. Accordingly, the flow path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ing units 1321 and 1322 becomes wider as it approaches the heat exchanger 1340.

각 송풍유닛(1321, 1322)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측방안내부재(1351, 1352)에 접하면, 코안다 효과에 따라서 측방안내부재(1351, 1352)에 붙어서 이동한다. 이로써, 전방수용부 좌우 양단에서의 유속이 향상된다.When the air discharged from each of the blowing units 1321 and 1322 contacts the side guide members 1351 and 1352, the air is attached to the side guide members 1351 and 1352 according to the Coanda effect and moves. As a result, the flow velocity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front receiving portion is improved.

400 : 실내기
421, 422 : 송풍유닛
430 : 열교환기
440 : 안내부재
400: indoor unit
421, 422: blowing unit
430: heat exchanger
440: guide member

Claims (12)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호 구획된 제1수용부 및 제2수용부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제2수용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제1수용부에 마련되며, 실외기로부터 전달되는 냉매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제2수용부에 상기 열교환기의 연장 방향을 따라 마련되며, 상기 제2수용부로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1수용부로 각각 토출시키는 제1송풍유닛 및 제2송풍유닛과,
상기 제1송풍유닛 및 상기 제2송풍유닛 사이의 상기 제2수용부로부터 상기 열교환기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상기 제1수용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송풍유닛 또는 상기 제2송풍유닛에 의해 상기 제2수용부로부터 상기 제1수용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안내면을 가지는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In the air conditioner,
A housing having a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nd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partitioned from each other,
A heat exchanger provided in the first receiving unit so as to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econd receiving unit and configured to heat exchange the refrigerant delivered from the outdoor unit;
A first blowing unit and a second blowing unit provided in the second receiving unit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heat exchanger, introducing air into the second receiving unit and discharging the introduced air to the first receiving unit, respectively; ,
It is provided i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so as to extend toward the heat exchanger from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blowing unit and the second blowing unit, the second by the first blowing unit or the second blowing unit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guide member having a guide surface for guiding a flow of air discharged from the receiving portion to the first receiv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제2수용부 측의 폭이 상기 열교환기 측의 폭보다 넓게 마련된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guide member is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width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is wider than that of the heat exchang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제1수용부를 상기 제1송풍유닛 및 상기 제2송풍유닛에 각각 대응하는 2개의 영역으로 격리시키며, 상기 2개의 영역에 대향하도록 양측에 각기 마련된 한 쌍의 상기 안내면을 가지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guide member isolating the first receiving portion into two region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first air blowing unit and the second air blowing unit, and has a pair of guide surfaces respectively provided on both sides to face the two regions. Air conditio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면은, 라운드하게 절곡된 형상을 가진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guide surface is an air conditioner having a roundly bent shap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선단 부분에 상기 열교환기를 향해 일정한 폭을 가지고 상기 열교환기의 판면을 따라서 연장된 핀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guide member further comprises a fin extending along a plat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with a predetermined width toward the heat exchanger at a tip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를 마주보는 상기 제1수용부의 양쪽 측벽 중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며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도록 마련된 하나 이상의 측방안내부재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1,
An air conditioner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side guide member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both side walls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facing the guide member and configured to guide the flow of ai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안내부재의 폭은 상기 열교환기에 근접할수록 작아지게 마련된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6,
An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width of the side guide member becomes smaller as it approaches the heat exchang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송풍유닛 및 상기 제2송풍유닛은 각각 시로코팬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1,
Each of the first blowing unit and the second blowing unit includes a sirocco fa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설치면에 대하여 상측의 모서리가 하측의 모서리보다 상기 제2수용부로부터 멀리 이격되게 마련된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t exchanger is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n upper edge with respect to an installation surface of the air conditioner is provided farther from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than a lower edg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설치면에 대하여 상측 연장 길이가 하측 연장 길이보다 길게 마련된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9,
The guide member is an air conditioner having an upper extension length longer than a lower extension length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of the air conditio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면 상에 요철 패턴이 마련된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1,
An air conditioner provided with an uneven pattern on the guide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덕트형 실내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air conditioner is an air conditioner including a duct-type indoor unit.
KR1020190052001A 2019-05-03 2019-05-03 Air conditioner KR20200127585A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001A KR20200127585A (en) 2019-05-03 2019-05-03 Air conditioner
PCT/KR2020/005522 WO2020226314A1 (en) 2019-05-03 2020-04-27 Air conditioner
US16/864,839 US20200348030A1 (en) 2019-05-03 2020-05-01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001A KR20200127585A (en) 2019-05-03 2019-05-03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585A true KR20200127585A (en) 2020-11-11

Family

ID=73017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2001A KR20200127585A (en) 2019-05-03 2019-05-03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348030A1 (en)
KR (1) KR20200127585A (en)
WO (1) WO2020226314A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894Y2 (en) * 1987-09-17 1995-05-01 三洋電機株式会社 Heat exchange unit
KR20010001969U (en) * 1999-06-30 2001-01-26 윤종용 air outflow control apparatus of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CN100529643C (en) * 2005-03-26 2009-08-19 富准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Rotating wheel type complete heat-exchanging apparatus
WO2018078850A1 (en) * 2016-10-31 2018-05-03 三菱電機株式会社 Indoor machine and air conditioner
KR20180111270A (en) * 2017-03-31 2018-10-11 황용학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26314A1 (en) 2020-11-12
US20200348030A1 (en) 2020-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1649B1 (en) Air conditioner
EP2835587B1 (en) Heat exchanger for air-conditioning device and air-conditioning device
JP2004116859A (en) Air conditioner
KR100702323B1 (en) Ceiling-type air conditioning apparatus having auxiliary outlet
US20120118535A1 (en) Chilled Beam Air Conditioning System
CN214094711U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CN109210619A (en) A kind of air conditioner room unit and air-conditioning system
WO2015035678A1 (en) Hybrid refrigeration full fresh air-conditioning unit
KR20200127585A (en) Air conditioner
CN214148148U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214949390U (en) Indoor machine of air conditioner
CN211650516U (en) Window type air conditioner
CN213395603U (en) Machine and air conditioner in ceiling type air conditioning
CN112212408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200125550A (en) Air Conditioner
CN214949401U (en) Indoor machine of air conditioner
KR101420744B1 (en) Air Handling Unit
JP2001330309A (en) Air conditioner
JP7229392B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216011047U (en) Air conditioner
JP3726797B2 (en) Integrated air conditioner for ceiling installation
JP7396589B2 (en) air conditioner
CN215765390U (en) Heat exchange device, fan coil and air conditioner
WO2021103302A1 (en) Window-type air conditioner
KR20030089006A (en) The condenser&#39;s cooling system of an air-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