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7384A - 수소생산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소생산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7384A
KR20200127384A KR1020190051400A KR20190051400A KR20200127384A KR 20200127384 A KR20200127384 A KR 20200127384A KR 1020190051400 A KR1020190051400 A KR 1020190051400A KR 20190051400 A KR20190051400 A KR 20190051400A KR 20200127384 A KR20200127384 A KR 20200127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hydrogen
energy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7795B1 (ko
Inventor
안경관
호아이 부 안 쯔엉
찌 둥 장
호앙 부 다오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51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7795B1/ko
Publication of KR20200127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7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2J3/382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201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65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by electrochemical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40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other energy produc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30The power source being a fuel cel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0Process efficiency
    • Y02P20/133Renewable energy sources, e.g. sun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04S10/123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the energy generation units being or involving renewable energy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4Energy storage uni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소생산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서,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100)에는 조력, 파력, 및 풍력의 복합 발전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여 설정된 전력량 만큼 상기 외부 전력망(G)에 전력을 공급하는 재생 에너지 발전부(110)가 구비된다.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110)로부터 생산된 전력 중 상기 외부 전력망(G)에 공급하고 남은 잉여전력은 에너지 저장부(200)에 충전된다. 수소생산부(300)는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110)로부터 생산된 전력 중 상기 외부 전력망(G)에 공급하고 남은 잉여 전력과 해수를 이용하여 전기분해에 의해 수소연료를 생성한다. 상기 수소연료는 복수 개의 수소저장 탱크(400)에 저장된다. 연료전지부(500)는 상기 수소연료와 산소를 공급받고, 상기 수소연료와 산소의 전기화학적 반응을 통해 전력을 생산한다. 에너지 관리부(600)는 재생 에너지 발전부(110)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설정된 전력만 만큼 외부 전력망(G)에 공급하고, 잉여 전력을 에너지 저장부(200)에 충전시키며, 수소생산부(300) 및 연료전지부(500)에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효율성이 향상된 수소생산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수소생산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HYBRID POWER GENERATION SYSTEM HAVING HYDROGEN GENERATION FUNCTION}
본 발명은 수소생산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풍력, 조력, 파력 발전을 통해 재생 에너지를 생산하고, 에너지 저장부, 수소생산부 및 연료전지부를 통해서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외부 전력망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소생산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 오염과 화석 연료의 부족으로 인해 태양, 바람, 조류 등과 같은 재생 에너지(renewable energy)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들 중 태양광 발전은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빛을 직접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방식으로, 태양전지, 컨버터, 축전지로 구성되며, 산업용 발전 시스템은 물론, 차량, 주거용, 가로등 등과 같이 생활 전반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태양광 발전 방식은 전력 생산량이 일사량에 의존할 수 밖에 없으며, 에너지 밀도가 낮은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풍력과 조력발전은 바람 또는 조류를 이용하여 블레이드를 회전시켜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방식으로, 바람 또는 조류의 세기나 방향에 따라 발전량이 차이가 많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태양광이나 바람 또는 조류와 같이 자연환경을 이용한 발전방식은 부하의 요구에 안정적으로 에너지를 공급하기 어려워 이를 개선하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93671호('발명의 명칭:태양광 및 풍력 하이브리드 발전을 이용한 계통 연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및 풍력 하이브리드 계통 연계 발전 장치)에는 태양광과 풍력을 연계한 발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전장치는 일조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풍력을 이용하고, 바람 세기나 방향이 일정하지 않는 경우에는 태양광을 이용토록 함으로써, 태양광과 풍력을 모두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발전장치는 태양광이나 풍력을 상호 보완적으로 활용할 뿐, 기본적으로 태양광과 풍력에 전적으로 의존할 수밖에 없어, 태양광이나 풍력 둘다 충분히 활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안정적인 발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14802호(2016년 10월 06일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98521호(2011년 12월 26일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자연환경을 이용하여 친환경적으로 전력을 생산하여 외부 전력망에 공급하고, 외부 전력망에 공급하고 남은 잉여 전력은 에너지 저장부에 저장하고, 수소생산부를 통해 수소 형태로 저장하며, 수소 저장량 및 배터리 충전량에 따라 연료전지부가 저장된 수소연료를 사용하여 전력을 외부 전력망에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소생산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생산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에 따르면, 외부 전력망에 전력을 공급하는 수소생산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조력, 파력, 및 풍력의 복합 발전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여 설정된 전력량 만큼 상기 외부 전력망에 전력을 공급하는 재생 에너지 발전부;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로부터 생산된 전력 중 상기 외부 전력망에 공급하고 남은 잉여전력에 의해 충전되는 에너지 저장부;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로부터 생산된 전력 중 상기 외부 전력망에 공급하고 남은 잉여 전력과 해수를 이용하여 전기분해에 의해 수소연료를 생성하는 수소생산부; 상기 수소연료를 전달받아 수소연료를 저장하는 복수 개의 수소저장 탱크; 상기 수소연료와 산소를 공급받고, 상기 수소연료와 산소의 전기화학적 반응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는 연료전지부; 및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 에너지 저장부, 수소생산부, 및 연료전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설정된 전력만 만큼 상기 외부 전력망에 공급하고, 잉여 전력을 상기 에너지 저장부에 충전시키며, 상기 수소생산부 및 연료전지부에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에너지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너지 관리부는,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로부터 상기 외부 전력망에 공급되는 전력량, 상기 에너지 저장부의 충전량, 상기 수소저장 탱크의 수소연료량, 및 상기 연료전지부로 공급되는 수소연료량 및 산소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너지 관리부는,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로부터 생산되어 상기 외부 전력망으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검출하는 전력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전력량이 설정값보다 작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에너지 저장부에 충전시킨 잉여 전력을 상기 외부 전력망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너지 관리부는, 상기 에너지 저장부에 충전된 잉여 전력이 설정값보다 작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수소생산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너지 관리부는, 상기 에너지 저장부에 충전된 잉여 전력이 설정값 보다 작고, 상기 전력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전력량이 설정값보다 작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연료전지부를 구동시켜 상기 외부 전력망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너지 관리부는, 상기 전력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전력량이 설정값보다 크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연료전지부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수소생산부를 구동시키며, 상기 에너지 저장부를 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는, 공기의 유동이 가진 운동 에너지의 공기 역학적 특성인 풍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하는 풍력 발전기; 해수면의 수위 차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하는 조력 발전기; 파랑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하는 파력 발전기; 상기 풍력 발전기, 조력 발전기, 및 파력 발전기와 연결되어 상기 풍력 발전기, 조력 발전기 및 파력 발전기로부터 생성된 전력을 하나로 결합하는 에너지 변환기; 및 상기 에너지 변환기에 연결되어 상기 풍력 발전기, 조력 발전기, 및 파력 발전기에서 생산된 전력을 상기 에너지 관리부 및 베터리 저장부로 공급하도록 전력을 변환하는 컨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료전지부는 상기 수소연료와 전기화학적 반응하는 산소를 외부로부터 공급하는 산소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외부 전력망에 전력을 공급하는 수소생산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을 이용한 발전 방법에 있어서, 재생 에너지 발전부로부터 전력이 생산되는지 판단하는 제1단계;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에서 전력이 생산될 경우 외부 전력망에서 요구되는 전력을 계산하여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에서 생산되는 전력과 상기 외부 전력망에서 요구되는 전력을 비교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에서 생산되는 전력이 상기 외부 전력망에서 요구되는 전력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일정시간 전에는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에서 생산되는 전력이 상기 외부 전력망에서 요구되는 전력보다 컸는지 판단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일정시간 전에는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에서 생산되는 전력이 상기 외부 전력망에서 요구되는 전력보다 컸을 경우 에너지 저장부의 에너지 충전 정도가 설정값보다 큰지 판단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에너지 저장부의 에너지 충전 정도가 설정값보다 클 경우 상기 에너지 저장부에서 에너지 관리부로 전력을 공급하고 남은 전력을 수소 발생부에 공급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에너지 저장부의 에너지 충전 정도가 설정값과 같을 경우 상기 에너지 저장부에서 에너지 관리부로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수소 발생부에 전력 공급은 중단하는 제4-1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에너지 저장부의 에너지 충전 정도가 설정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에너지 저장부의 에너지 충전 정도를 최소설정값과 비교하여 최소설정값보다 클 경우 상기 에너지 저장부에서 상기 에너지 관리부로 전력을 공급하고 최소설정값과 같거나 더 작을 경우 상기 에너지 저장부에서 전력공급을 중단하고 연료전지부에서 상기 에너지 관리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제4-2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동력전달부가 최적화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6단계; 상기 6단계에서 상기 동력전달부가 최적화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연료전지부의 전력을 상기 동력전달부를 최적화하기 위하여 필요한 전력과 비교하는 제7단계; 상기 제7단계에서 상기 연료전지부의 전력이 더 클 경우 상기 연료전지부가 동력변환장치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동력전달부를 최적화하는 제7-1단계; 및 상기 제7단계에서 상기 연료전지부의 전력이 더 크지 않을 경우 상기 에너지 저장부가 동력변환장치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동력전달부를 최적화하는 제7-2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에서 생산되는 전력이 상기 외부 전력망에서 요구되는 전력보다 클 경우 상기 에너지 저장부가 완전히 충전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3-1단계;
상기 제3-1단계에서 상기 에너지 저장부가 완전히 충전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외부 전력망에 공급하고 남은 전력을 상기 에너지 저장부에 공급하여 충전하는 제3-2단계;
상기 제3-1단계에서 상기 에너지 저장부가 완전히 충전된 경우 수소저장 탱크에 수소가 가득찼는지 판단하는 제3-3단계; 및
상기 제3-3단계에서 상기 수소저장 탱크가 가득차지 않은 경우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상기 외부 전력망에 공급하고 남은 전력을 상기 수소 발생부에 공급하여 수소를 생산하고 상기 수소저장 탱크에 수소를 생산된 수소를 저장하는 제3-4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생산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에 따르면, 자연환경을 이용하여 친환경적으로 전력을 생산하여 외부 전력망에 공급하고, 외부 전력망에 공급하고 남은 잉여 전력은 에너지 저장부에 저장하고, 수소생산부를 통해 수소 형태로 저장하며, 수소 저장량 및 배터리 충전량에 따라 연료전지부가 저장된 수소연료를 사용하여 전력을 외부 전력망에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효율성이 향상된 수소생산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생산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에 따르면, 에너지 관리부를 통해 능동적으로 공급하고, 자연환경 및 에너지 저장부의 충전량, 수소저장 탱크의 수소연료 저장량, 연료전지부의 충전량에 따라 능동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효율성이 더욱 향상된 수소생산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생산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생산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부, 수소생산부, 및 연료전지부의 작동 조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생산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생산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의 구성이 개략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생산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100)은 외부 전력망(G)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100)은 크게 재생 에너지 발전부(110), 에너지 저장부(200), 수소생산부(300), 수소저장 탱크(400), 연료전지부(500), 에너지 관리부(60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110)는, 풍력 발전기(120), 파력 발전기(130), 조력 발전기(140), 에너지 변환기(145), 및 컨버터(1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110)는, 여러 재생 에너지를 조합하여 복합적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하이브리드식 발전기에 해당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풍력 발전기(120), 조력 발전기(140)에는 각각 터빈의 요 각도(yaw angle), 피치 각도(pitch angle) 조절을 위한 그리고 관성 조절을 위한 전기 유압 플라이 휠(이하 '동력 전달부'라 칭함)이 구비되어, 공기의 유동이 가진 운동 에너지의 공기 역학적 특성인 풍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하고, 해수면의 수위 차를 이용할 때 상기 동력전달부를 최적화하여 발전효율을 최대화 하여 전력을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파력 발전기(130)는 전기 모터-워터 펌프 클러스터(떠 다니는 부표의 질량을 바꾸는 것, 이하 '동력전달부'라 칭함)이 구비되어, 부유하는 부표를 통해 파도의 병진 운동을 이용할 때 상기 동력전달부를 최적화하여 발전효율을 최대화 하여 전력을 생성한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본발명의 동력전달부의 최적화는 동력전달부에 포함된 전기 유압 플라이 휠의 관성을 조절하거나, 터빈의 회전날개의 회전각도를 조절하거나, 부이의 무게를 파도의 진동주파수와 공진하도록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풍력 발전기(120), 파력 발전기(130), 및 조력 발전기(140)로부터 생성된 총 전력은 에너지 변환기(145)에 의해 결합된다. 즉, 상기 에너지 변환기(145)는 상기 풍력 발전기(120), 파력 발전기(130), 및 조력 발전기(140)의 동력전달부와 연결되며, 각 동력전달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전체 에너지 생산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에너지 변환기(145)는 발전기(미도시)와 상기 발전기와 연결된 유압 모터(미도시)를 구동하여 전기를 생성한다.
상기 에너지 변환기(145)에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어큐뮬레이터는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110)로부터 생산된 전력 중 상기 외부 전력망(G)에 공급하고 남은 잉여전력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에너지 변환기(145)의 발전기와 유압 모터가 안정적으로 작동하고 일정한 속도로 작동하도록 하여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컨버터(150)는 상기 풍력 발전기(120), 파력 발전기(130), 및 조력 발전기(140)에서 생산된 전력을 상기 에너지 저장부(200) 및 에너지 관리부(600)로 공급하도록 전력을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에너지 저장부(200)는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110)로부터 생산된 전력 중 상기 외부 전력망(G)에 공급하고 남은 잉여전력에 의해 충전된다. 상기 에너지 저장부(200)의 충전량은 상기 에너지 관리부(6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잉여전력이란, 상기 외부 전력망(G)에 충분한 전력을 공급하고 남은 전력을 말한다.
한편, 상기 수소생산부(300)는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110)로부터 생산된 전력 중 상기 외부 전력망(G)에 공급하고 남은 잉여 전력과 해수를 이용하여 전기분해에 의해 수소연료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소생산부(300)는, 전기 모터(미도시), 워터 펌프(미도시), 전기 분해 시스템부(310), 필터(미도시), 압축기(3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워터 펌프를 통해 상기 전기 분해 시스템부(310)로 펌핑되는 해수는 전기 분해를 위한 촉매(전해액)다. 상기 전기 분해 시스템부(310)의 음극 측에서 수소 가스가 생성되고 필터를 사용하여 수증기 및 불순물을 제거한다. 그리고 생성된 수소 가스는 상기 압축기(320)에 의해 소정의 고압에 도달할 때까지 압축된 다음, 상기 수소저장 탱크(400)로 공급하여 저장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기 분해 시스템부(310)의 구조는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 속에 해수를 채우고 에노드(+극)와 캐소드(-극)를 삽입하여 전력을 공급해주는 구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소저장 탱크(400)는 상기 수소생산부(300)로부터 생산된 수소연료를 전달받아 저장한다. 상기 수소저장 탱크(400)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소저장 탱크(400)에 저장된 수소연료는 상기 연료전지부(500)에 공급된다.
상기 연료전지부(500)는 상기 수소연료와 산소를 공급받고, 상기 수소연료와 산소의 전기화학적 반응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료전지부(500)는 산소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소공급부는 독립된 블로워(Blower) 또는 압축기 형태 일 수 있다. 즉, 산소공급부는 공기를 외부로부터 직접 공급하는 구조일 수 있으나, 산소를 별도로 제조하여 산소 만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미도시)와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기(미도시) 및 공기를 흡입하는 팬(미도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료전지부(500)는 상기 수소생산부(300)와 산소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수소연료와 산소를 연료로 공급받아 전기분해를 통해 전력을 생산하는 것으로, 상기 에너지 관리부(600)와 연동되어 상기 외부 전력망(G)에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연료전지부(500)의 전기발생 원리를 간단히 설명하자면, 상기 연료전지부(500)에는 수소의 화학에너지를 전기화학적 반응에 의해 전력으로 변환시키는 연료전지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연료전지는 PEM(Polymer Electrolyte Membrane : 고분자 전해질형)연료전지이다. 이와 같은 PEM 연료전지는 전해질로 H(+수소이온)을 전도할 수 있는 나피온(Nafion)이라는 고분자 전해질막을 사용한다. 나피온은 비닐처럼 보이나 내부에는 많은 미세가공을 가지고 있어 수소이온과 양이온을 전도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화학반응은 다음과 같다.
연료극반응 :
Figure pat00001
공기극반응 :
Figure pat00002
전체반응 :
Figure pat00003
이때, 부산물인 물과 열은 배출되고, 상기 연료전자부의 냉각은 주변의 해수를 냉각수로 이용하여 냉각 가능하므로 별도의 냉각시설이 필요하지 않다.
다음으로, 상기 에너지 관리부(600)는 본 발명에서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110)로부터 상기 외부 전력망(G)에 공급되는 전력량, 상기 에너지 저장부(200)의 충전량, 상기 수소저장 탱크(400)의 수소연료량, 및 상기 연료전지부(500)로 공급되는 수소연료량 및 산소량을 제어하여 최적의 발전 시스템을 구성하도록 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에너지 관리부(600)는,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로부터 생산되어 상기 외부 전력망으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검출하는 전력 검출부(미도시) 및 상기 연료전지부(500)가 생산하는 전력을 검출하는 연료전지 검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관리부(600)는 먼저,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110)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적절하게 배분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즉,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110)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설정된 전력만 만큼 외부 전력망(G)에 공급하고, 잉여 전력을 상기 에너지 저장부(200)에 충전시키며, 상기 수소생산부(300)에 공급한다.
이때, 상기 에너지 관리부(600)의 전력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전력량이 설정값보다 작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에너지 저장부(200)에 충전시킨 잉여 전력을 상기 외부 전력망(G)에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에너지 관리부(600)는, 상기 에너지 저장부(200)에 충전된 잉여 전력이 설정값보다 작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수소생산부(30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또한, 상기 에너지 관리부(600)는, 상기 에너지 저장부(200)에 충전된 잉여 전력이 설정값 보다 작고, 상기 전력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전력량이 설정값보다 작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연료전지부(500)를 구동시켜 상기 외부 전력망(G)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여 전력 공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에너지 관리부(600)는, 상기 전력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전력량이 설정값보다 크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연료전지부(500)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수소생산부(300)를 구동시키며, 상기 에너지 저장부(200)를 충전시킨다. 보다 구체적인 작동 조건은 아래의 도 3을 참고로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재생 에너지 발전부(110)로부터 외부 전력망(G)으로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 하면서, 사이클 수명 시간을 보장 하기 위해, 수소 생산 공정의 온/오프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110)와 그 동작 조건의 변화를 가정하면, 가장 아래 그림은 에너지 저장부(220)의 저장 상태를 나타내고, 그 위에는 외부 전력망(Pgrid)에 필요한 전력과 비교된 재생 에너지 발전부(110)로부터 생산된 재생 에너지 전력(PRE)의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110)로부터 생산된 재생 에너지 전력(PRE)이 외부 전력망(Pgrid)에 필요한 전력보다 큰 경우, 우선적으로 에너지 저장부(200)로 저장된다. 상기 에너지 저장부(200)가 완전히 충전되고, 여전히 외부 전력망(Pgrid)에 필요한 전력보다 크고, 상기 수소저장 탱크(400)가 가득 차지 않았을 경우 잉여 전력을 사용하여 수소를 생성한 다음, 상기 수소저장 탱크(400)에 저장한다(수소저장 탱크(400)가 가득 차고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110)로부터 생산된 재생 에너지 전력(PRE)이 외부 전력망(Pgrid)에 필요한 전력보다 여전히 큰 경우 남은 전력은 덤프 부하를 통해 버려지게 된다). 이와 같은 설명은 도 3의 t0에서 t1 까지이다.
도 3에서 t1에서,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110)로부터 생산된 재생 에너지 전력(PRE)이 외부 전력망(Pgrid)에 필요한 전력보다 낮아지는 경우, 상기 에너지 저장부(200)는 상기 에너지 관리부(EMS)(600)를 통해 전력을 방출하기 시작하고, 수소생산부(300)는 상기 에너지 저장부(200)의 초과된 전력으로 계속 가동되어 수소를 계속 생산한다.
이와 같이, 상기 에너지 저장부(200)의 충전 정도(SoC)가 설정 값(SoClow)으로 감소하면, 그림 3의 t2에서와 같이, 전기 분해 시스템부(EL)(310)가 즉시 꺼지나, 상기 에너지 저장부(200)는 그림 3의 t1 에서 t3에서와 같이, 상기 에너지 저장부(200)의 충전 정도(SoC)가 최소설정값(SoCmin)을 충족할 때까지 외부 전력망(Pgrid)에 계속 전력을 공급한다.
그리고 도 3의 t3 에서 t4에서와 같이, 상기 에너지 저장부(200)의 충전 정도(SoC)가 최소설정값(Soc=Socmin)으로 감소하면, 상기 에너지 저장부(200)가 꺼지고, 상기 연료전지부(500)가 구동되어 외부 전력망(Pgrid)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로 들어간다. 이때, 상기 연료전지부(500)는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110)가 외부 전력망(Pgrid)에 전력이 충분히 공급되거나 연료전지부(500)가 완전히 방전될 때까지 작동을 한다.
다음으로, 도 3의 t4에서 t5에서와 같이,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110)로부터 생산된 전력량이 증가하기 시작하면 상기 에너지 저장부(200)를 충전하기 위한 잉여 전력을 방출하고, 상기 에너지 저장부(200)의 충전 정도(SoC)를 증가시킨다.
도 3에 도시된 조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흐름도는 일반적인 작업 조건을 수행한다.
여기서, 재생 에너지 발전부(110)로부터 생산된 재생 에너지 전력(PRE)의 (t) 시점 및 재생 에너지 전력(PRE)의 (t-1) 시점의 재생 에너지 전력(PRE)의 최근 데이터를 외부 전력망(Pgrid) 및 에너지 저장부(200)의 충전 정도(SoC)와 비교함으로써 시스템의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그리고, 수소저장 탱크(400)에 수소연료가 완전히 충전되고, 에너지 변환기(145)의 동력변환장치(Power-take-off mechanism,(PTO)(발전기, 유압모터 등))를 조정할 때 초과 전력의 사용을 고려한다. 이와 같이 모든 구성 요소가 최적의 조건에서 생성되면 초과 전력은 덤프 부하로 보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고로 하여 외부 전력망(G)에 전력을 공급하는 수소생산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을 이용한 발전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재생 에너지 발전부(110)로부터 전력이 생산되는지 판단하는 제1단계를 수행한다(S100).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110)에서 전력이 생산될 경우 외부 전력망(G)에서 요구되는 전력을 계산하여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110)에서 생산되는 전력과 상기 외부 전력망(G)에서 요구되는 전력을 비교하는 제2단계를 수행한다(S210).
이때,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110)에서 생산되는 전력이 상기 외부 전력망(G)에서 요구되는 전력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일정시간 전에는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110)에서 생산되는 전력이 상기 외부 전력망(G)에서 요구되는 전력보다 컸는지 판단하는 제3단계를 수행한다(S300).
또는,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110)에서 생산되는 전력이 상기 외부 전력망(G)에서 요구되는 전력보다 클 경우 상기 에너지 저장부(200)가 완전히 충전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3-1단계를 수행한다(S310).
만약, 상기 제3-1단계에서 상기 에너지 저장부(200)가 완전히 충전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110)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외부 전력망(G)에 공급하고 남은 전력을 상기 에너지 저장부(@00)에 공급하여 충전하는 제3-2단계를 수행한다(S320).
한편, 상기 제3-1단계에서 상기 에너지 저장부(@00)가 완전히 충전된 경우 수소저장 탱크(400)에 수소가 가득찼는지 판단하는 제3-3단계를 수행한다(S330).
만약, 상기 제3-3단계에서 상기 수소저장 탱크(400)가 가득차지 않은 경우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110)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상기 외부 전력망(G)에 공급하고 남은 전력을 상기 수소생산부(300)에 공급하여 수소를 생산하고 상기 수소저장 탱크(400)에 수소를 생산된 수소를 저장하는 제3-4단계를 수행한다(S340).
한편, 상기 제3단계에서 일정시간 전에는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110)에서 생산되는 전력이 상기 외부 전력망(G)에서 요구되는 전력보다 컸을 경우 에너지 저장부(200)의 에너지 충전 정도가 설정값보다 큰지 판단하는 제4단계를 수행한다(S400).
이때,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에너지 저장부(200)의 에너지 충전 정도가 설정값과 같을 경우 상기 에너지 저장부(200)에서 에너지 관리부(600)로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수소생산부(300)에 전력 공급은 중단하는 제4-1단계를 수행한다(S410).
한편,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에너지 저장부(200)의 에너지 충전 정도가 설정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에너지 저장부(@00)의 에너지 충전 정도를 최소설정값과 비교하여 최소설정값보다 클 경우 상기 에너지 저장부(200)에서 상기 에너지 관리부(600)로 전력을 공급하고 최소설정값과 같거나 더 작을 경우 상기 에너지 저장부(@00)에서 전력공급을 중단하고 연료전지부(500)에서 상기 에너지 관리부(600)로 전력을 공급하는 제4-2단계를 수행한다(S420).
한편,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에너지 저장부(200)의 에너지 충전 정도가 설정값보다 클 경우 상기 에너지 저장부(220)에서 에너지 관리부(600)로 전력을 공급하고 남은 전력을 수소 발생부에 공급(S500)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제5단계를 수행한다(S510). 이때, 생산된 수소연료는 수소저장 탱크(400)에 저장된다.
다음으로, 동력전달부가 최적화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6단계를 수행한다(S600).
이때, 상기 6단계에서 상기 동력전달부가 최적화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연료전지부(500)의 전력을 상기 동력전달부를 최적화하기 위하여 필요한 전력과 비교하는 제7단계를 수행한다(S700).
만약, 상기 제7단계에서 상기 연료전지부(500)의 전력이 더 클 경우 상기 연료전지부(500)가 동력변환장치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동력전달부를 최적화하는 제7-1단계를 수행한다(S710).
한편, 상기 제7단계에서 상기 연료전지부(500)의 전력이 더 크지 않을 경우 상기 에너지 저장부(200)가 동력변환장치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동력전달부를 최적화하는 제7-2단계를 수행한다(S720).
이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하면, 자연환경을 이용하여 친환경적으로 전력을 생산하여 외부 전력망(G)에 공급하고, 상기 외부 전력망(G)에 공급하고 남은 잉여 전력은 상기 에너지 저장부(200)에 저장하고, 상기 수소생산부(300)를 통해 수소 형태로 저장하며, 수소 저장량 및 배터리 충전량에 따라 연료전지부(500)가 저장된 수소연료를 사용하여 전력을 외부 전력망(G)에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효율성이 향상된 수소생산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에너지 관리부(600)를 통해 능동적으로 공급하고, 자연환경 및 에너지 저장부(200)의 충전량, 수소저장 탱크(400)의 수소연료 저장량, 연료전지부(500)의 충전량에 따라 능동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효율성이 더욱 향상된 수소생산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 110: 재생 에너지 발전부
120: 풍력 발전기 130: 파력 발전기
140: 조력 발전기 145: 에너지 변환기
150: 컨버터 200: 에너지 저장부
300: 수소생산부 310: 전기 분해 시스템부
320: 압축기 400: 수소저장 탱크
500: 연료전지부 600: 에너지 관리부
G: 외부 전력망

Claims (14)

  1. 외부 전력망에 전력을 공급하는 수소생산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조력, 파력, 및 풍력의 복합 발전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여 설정된 전력량 만큼 상기 외부 전력망에 전력을 공급하는 재생 에너지 발전부;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로부터 생산된 전력 중 상기 외부 전력망에 공급하고 남은 잉여전력에 의해 충전되는 에너지 저장부;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로부터 생산된 전력 중 상기 외부 전력망에 공급하고 남은 잉여 전력과 해수를 이용하여 전기분해에 의해 수소연료를 생성하는 수소생산부;
    상기 수소연료를 전달받아 수소연료를 저장하는 복수 개의 수소저장 탱크;
    상기 수소연료와 산소를 공급받고, 상기 수소연료와 산소의 전기화학적 반응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는 연료전지부; 및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 에너지 저장부, 수소생산부, 및 연료전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설정된 전력만 만큼 상기 외부 전력망에 공급하고, 잉여 전력을 상기 에너지 저장부에 충전시키며, 상기 수소생산부 및 연료전지부에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에너지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생산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관리부는,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로부터 상기 외부 전력망에 공급되는 전력량, 상기 에너지 저장부의 충전량, 상기 수소저장 탱크의 수소연료량, 및 상기 연료전지부로 공급되는 수소연료량 및 산소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생산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관리부는,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로부터 생산되어 상기 외부 전력망으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검출하는 전력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전력량이 설정값보다 작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에너지 저장부에 충전시킨 잉여 전력을 상기 외부 전력망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생산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관리부는,
    상기 에너지 저장부에 충전된 잉여 전력이 설정값보다 작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수소생산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생산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관리부는,
    상기 에너지 저장부에 충전된 잉여 전력이 설정값 보다 작고, 상기 전력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전력량이 설정값보다 작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연료전지부를 구동시켜 상기 외부 전력망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생산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관리부는,
    상기 전력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전력량이 설정값보다 크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연료전지부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수소생산부를 구동시키며, 상기 에너지 저장부를 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생산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는,
    공기의 유동이 가진 운동 에너지의 공기 역학적 특성인 풍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하는 풍력 발전기;
    해수면의 수위 차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하는 조력 발전기;
    파랑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하는 파력 발전기;
    상기 풍력 발전기, 조력 발전기, 및 파력 발전기와 연결되어 상기 풍력 발전기, 조력 발전기 및 파력 발전기로부터 생성된 전력을 하나로 결합하는 에너지 변환기; 및
    상기 에너지 변환기에 연결되어 상기 풍력 발전기, 조력 발전기, 및 파력 발전기에서 생산된 전력을 상기 에너지 관리부 및 에너지 저장부로 공급하도록 전력을 변환하는 컨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생산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생산부는,
    해수로부터 전기분해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전기 분해 시스템부, 및
    상기 전기 분해 시스템부로부터 생산된 수소를 압축하여 수소저장 탱크로 공급하는 압축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생산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부는 상기 수소연료와 전기화학적 반응하는 산소를 외부로부터 공급하는 산소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생산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외부 전력망에 전력을 공급하는 수소생산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을 이용한 발전 방법에 있어서,
    재생 에너지 발전부로부터 전력이 생산되는지 판단하는 제1단계;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에서 전력이 생산될 경우 외부 전력망에서 요구되는 전력을 계산하여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에서 생산되는 전력과 상기 외부 전력망에서 요구되는 전력을 비교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에서 생산되는 전력이 상기 외부 전력망에서 요구되는 전력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일정시간 전에는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에서 생산되는 전력이 상기 외부 전력망에서 요구되는 전력보다 컸는지 판단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일정시간 전에는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에서 생산되는 전력이 상기 외부 전력망에서 요구되는 전력보다 컸을 경우 에너지 저장부의 에너지 충전 정도가 설정값보다 큰지 판단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에너지 저장부의 에너지 충전 정도가 설정값보다 클 경우 상기 에너지 저장부에서 에너지 관리부로 전력을 공급하고 남은 전력을 수소 발생부에 공급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전력망에 전력을 공급하는 수소생산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을 이용한 발전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에너지 저장부의 에너지 충전 정도가 설정값과 같을 경우 상기 에너지 저장부에서 에너지 관리부로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수소 발생부에 전력 공급은 중단하는 제4-1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전력망에 전력을 공급하는 수소생산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을 이용한 발전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에너지 저장부의 에너지 충전 정도가 설정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에너지 저장부의 에너지 충전 정도를 최소설정값과 비교하여 최소설정값보다 클 경우 상기 에너지 저장부에서 상기 에너지 관리부로 전력을 공급하고 최소설정값과 같거나 더 작을 경우 상기 에너지 저장부에서 전력공급을 중단하고 연료전지부에서 상기 에너지 관리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제4-2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전력망에 전력을 공급하는 수소생산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을 이용한 발전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동력전달부가 최적화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6단계;
    상기 5단계에서 상기 동력전달부가 최적화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연료전지부의 전력을 상기 동력전달부를 최적화하기 위하여 필요한 전력과 비교하는 제7단계;
    상기 제6단계에서 상기 연료전지부의 전력이 더 클 경우 상기 연료전지부가 동력변환장치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동력전달부를 최적화하는 제7-1단계; 및
    상기 제6단계에서 상기 연료전지부의 전력이 더 크지 않을 경우 상기 에너지 저장부가 동력변환장치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동력전달부를 최적화하는 제7-2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전력망에 전력을 공급하는 수소생산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을 이용한 발전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에서 생산되는 전력이 상기 외부 전력망에서 요구되는 전력보다 클 경우 상기 에너지 저장부가 완전히 충전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3-1단계;
    상기 제3-1단계에서 상기 에너지 저장부가 완전히 충전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외부 전력망에 공급하고 남은 전력을 상기 에너지 저장부에 공급하여 충전하는 제3-2단계;
    상기 제3-1단계에서 상기 에너지 저장부가 완전히 충전된 경우 수소저장 탱크에 수소가 가득찼는지 판단하는 제3-3단계; 및
    상기 제3-3단계에서 상기 수소저장 탱크가 가득차지 않은 경우 상기 재생 에너지 발전부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상기 외부 전력망에 공급하고 남은 전력을 상기 수소 발생부에 공급하여 수소를 생산하고 상기 수소저장 탱크에 수소를 생산된 수소를 저장하는 제3-4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전력망에 전력을 공급하는 수소생산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을 이용한 발전 방법.
KR1020190051400A 2019-05-02 2019-05-02 수소생산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 KR102227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400A KR102227795B1 (ko) 2019-05-02 2019-05-02 수소생산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400A KR102227795B1 (ko) 2019-05-02 2019-05-02 수소생산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384A true KR20200127384A (ko) 2020-11-11
KR102227795B1 KR102227795B1 (ko) 2021-03-15

Family

ID=73451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400A KR102227795B1 (ko) 2019-05-02 2019-05-02 수소생산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779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54750A (zh) * 2021-03-15 2021-06-29 成都精智艺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清洁氢与可再生能源氢联合生产系统
CN112582645B (zh) * 2020-12-18 2021-11-19 北京理工大学 一种用于混合储能系统的能量管理系统
CN113839403A (zh) * 2021-10-13 2021-12-24 河北建投新能源有限公司 储能制氢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5011970A (zh) * 2022-06-07 2022-09-06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含热管理的集装箱式一体化电氢联产装置及工作方法
KR20220168202A (ko) * 2021-06-15 2022-12-23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고체수소 저장탱크를 구비한 독립형 부유식 해상풍력발전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9389A (ko) * 2007-12-06 2009-06-11 코리아소니케이션 주식회사 신재생 에너지 발생 시스템
KR101098521B1 (ko) 2010-08-27 2011-12-26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전력공급 시스템
KR20130037500A (ko) * 2011-10-06 2013-04-16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연료전지를 이용한 해양시설물의 전력공급 시스템
KR20160114802A (ko) 2015-03-24 2016-10-06 씨아이에스(주)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9389A (ko) * 2007-12-06 2009-06-11 코리아소니케이션 주식회사 신재생 에너지 발생 시스템
KR101098521B1 (ko) 2010-08-27 2011-12-26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전력공급 시스템
KR20130037500A (ko) * 2011-10-06 2013-04-16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연료전지를 이용한 해양시설물의 전력공급 시스템
KR20160114802A (ko) 2015-03-24 2016-10-06 씨아이에스(주)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82645B (zh) * 2020-12-18 2021-11-19 北京理工大学 一种用于混合储能系统的能量管理系统
CN113054750A (zh) * 2021-03-15 2021-06-29 成都精智艺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清洁氢与可再生能源氢联合生产系统
WO2022193349A1 (zh) * 2021-03-15 2022-09-22 成都精智艺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可再生能源电解水和碳捕技术的联合制氢系统
KR20220168202A (ko) * 2021-06-15 2022-12-23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고체수소 저장탱크를 구비한 독립형 부유식 해상풍력발전 시스템
CN113839403A (zh) * 2021-10-13 2021-12-24 河北建投新能源有限公司 储能制氢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3839403B (zh) * 2021-10-13 2024-04-16 河北建投新能源有限公司 储能制氢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5011970A (zh) * 2022-06-07 2022-09-06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含热管理的集装箱式一体化电氢联产装置及工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7795B1 (ko) 202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7795B1 (ko) 수소생산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
KR102241272B1 (ko) 해수 및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한 수소발생 시스템
Dell et al. Energy storage—a key technology for global energy sustainability
CN102116244B (zh) 风光互补发电储能装置
CN103443984B (zh) 基于电能成本运行液流电池系统的方法和系统
KR101829311B1 (ko) 주파수 조정용 친환경 에너지 저장 시스템
JP2019200839A (ja) 発電システム
CN201972859U (zh) 风光互补发电储能装置
Ekoh et al. Optimal sizing of wind-PV-pumped hydro energy storage systems
KR20090059389A (ko) 신재생 에너지 발생 시스템
JP7286071B2 (ja) 水素供給システム及び水素供給方法
JP6802694B2 (ja) 電力供給安定化システムおよび再生エネルギ発電システム
Blanco et al. Hydrogen and renewable energy sources integrated system for greenhouse heating
CN111668860A (zh) 一种风氢耦合发电系统及其控制方法
CN105489971A (zh) 一种复合式铝空气电池系统
CN118202089A (zh) 用于使用被配置为捕获电解产物的动能的发电机来维持电解器中的气体压力的设备和方法
Trifkovic et al. Hierarchical control of a renewable hybrid energy system
CN113832475B (zh) 可再生能源制氢系统
Rahman et al. Mathematical modeling of an oscillation criteria based on second order linear difference equations using fuel cell system for electric vehicle
Jalilzadeh et al. Optimum design of a hybrid Photovoltaic/Fuel Cell energy system for stand-alone applications
KR102048572B1 (ko) 염생 식물 기반 전지와 해수 전지를 이용한 친환경 에너지 생산/저장 시스템
CN114049004B (zh) 一种电氢能源站容量随机规划方法、系统和装置
CN215071813U (zh) 海上风电制氢、储能系统
CN113922397A (zh) 一种风、光、水等分布式能源发电的混合储能系统及方法
KR101511678B1 (ko) 차량용 연료전지 시스템의 운전비용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