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7334A -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적재산권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적재산권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7334A
KR20200127334A KR1020190051257A KR20190051257A KR20200127334A KR 20200127334 A KR20200127334 A KR 20200127334A KR 1020190051257 A KR1020190051257 A KR 1020190051257A KR 20190051257 A KR20190051257 A KR 20190051257A KR 20200127334 A KR20200127334 A KR 20200127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llectual property
blockchain
right holder
rights
block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여표
Original Assignee
윤여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여표 filed Critical 윤여표
Priority to KR1020190051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7334A/ko
Publication of KR20200127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73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7Regula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19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 H04L9/0825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using asymmetric-key encryption or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e.g. key signature or public key certificat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echnology Law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적 재산권 획득 과정과 획득한 재산권의 행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보와 데이터를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일원화되고 효율적인 관리와 재산권의 행사가 가능하도록 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적재산권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적재산권 관리 시스템{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system using block chain}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적재산권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적 재산권 획득 과정과 획득한 재산권의 행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보와 데이터를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일원화되고 효율적인 관리와 재산권의 행사가 가능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적재산권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적 재산권은 근래에 들어 더욱더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지적 재산권 중 저작권 외의 권리들인 특허, 실용, 디자인 및 상표의 경우 기업의 운영, 기술의 개발, 상품의 판매, 서비스의 제공에 있어서 제품, 기술, 서비스 및 기업을 보호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건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로 인해, 최근에는 이러한 지적재산권을 확보하여 이용하는 사례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중요성과 관심에도 불구하고, 지적재산권을 확보하는 절차와 체계는 지적재산권에 대한 요구를 반영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지적 재산권은 개인 또는 기업의 권리와 직결되어 있음에도 지적재산권 내용의 보장, 지적재산권 등록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의 분산, 등록권리의 거래 불편함과 같은 문제들이 존재한다.
일례로 지적재산권 획득을 위한 아이디어의 출원, 심사 및 등록 과정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서류를 관리하기 곤란하며, 재산권자가 이러한 서류를 일괄적으로 접수하여 확인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재산권 획득을 보조하는 대리인 또는 재산권을 보유하는 기업에 의해 별도의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지만, 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한 막대한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94544호(공개일 2002.12.18.) "특허출원 진행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적 재산권 획득 과정과 획득한 재산권의 행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보와 데이터를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일원화되고 효율적인 관리와 재산권의 행사가 가능하도록 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적재산권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적재산권 관리 시스템은 원기술의 권리획득 과정 또는 권리를 획득한 권리화기술의 관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사항들을 블록으로 생성하여 블록체인 추가하는 대리인 시스템; 및
상기 대리인 시스템과 상기 블록체인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상기 권리획득 과정 또는 상기 관리과정에서 권리자에 의해 발생되는 정보를 블록으로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에 추가하는 권리자 단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적재산권 관리 시스템은 지적 재산권 획득 과정과 획득한 재산권의 행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보와 데이터를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일원화되고 효율적인 관리와 재산권의 행사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적재산권 관리 시스템은 지적 재산권 획득 과정과 획득한 재산권의 행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보와 데이터를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각종 정보 또는 문서에 대한 시간적인 순서 및 그 발생한 시간에 대한 인증을 확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적재산권 관리 시스템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관리를 통하여 원기술 또는 권리를 가지게 된 동기부터 권리화에 이르는 과정 및 권리화 이후의 과정을 블록을 통하여 알 수 있게 함으로써, 배경기술 및 각종 서류를 통하여 권리의 확대를 손쉽게 이룰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도 1은 지적재산권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적재산권 관리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적재산권 관리 시스템에서 구성 상호 간의 정보 교환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지적재산권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적재산권 관리 시스템은 권리자 단말(10), 대리인 시스템(20), 특허청 시스템(30) 및 제3자단말(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지적재산권은 특허, 실용신안, 디자인 및 상표와 같은 4대 산업재산권을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지적 재산권에 저작권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특허를 재산권으로 획득하는 과정에서 진행되는 절차와 규칙에 적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러한 가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특허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권리자 단말(10)은 지적 재산권을 소유하는 권리자에 의해 사용되는 단말장치로, 인터넷과 같은 통신 서비스 또는 네트워크에 의해 대리인 시스템(20), 특허청 시스템(30)에 접속 가능하고, 블록체인에 대한 일련의 처리가 가능한 장치를 의미한다. 일례로 권리자 단말(10)은 노트북, 태블릿을 포함하는 개인용 컴퓨터와, 스마트 패드, 스마트 폰과 같은 스마트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권리자 단말(10)은 블록의 검증, 트랜젝션의 생성 및 트랜젝션의 복원과 같은 블록체인의 처리와, 지적 재산권의 권리화 및 권리화 이후의 과정에서 발생되는 절차 메일링(mailing), 인증과 같은 처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처리의 수행, 블록의 검증, 트랜젝션의 확인, 블록의 생성, 메일링과 같은 기능은 권리자 단말(10)에 의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하 "앱"이라 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앱의 구동에 대해 별도의 언급을 생략하고, 권리자 단말(1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을 진행하기로 하며, 이는 이하에서 언급되는 대리인 시스템(20), 특허청 시스템(30) 및 제3자 단말(40)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권리자 단말(10)은 지적 재산권의 권리화, 권리 획득 과정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노드로 동작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권리자 단말(10)은 권리화하고자 하는 기술(이하 "원기술"이라 함)과 관련 블록체인의 첫 블록인 제네시스 블록의 생성자일 수 있다. 이 제네시스 블록에는 원기술에 대한 정보, 원기술의 권리화 진행을 위한 요청과 같은 정보가 기재될 수 있다. 이후, 권리자 단말(10)은 제네시스 블록에 연결되어 생성되는 블록들의 검증과 블록들에 기재된 내용을 확인 또는 사용하는 노드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권리자 단말(10)은 조건에 따라 개방된 블록체인 네트워크 또는 폐쇄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로 동작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정조건이 충족되기 전까지 권리자 단말(10)은 대리인 시스템(20)과 폐쇄된 블록체인인 프라이빗(Private) 네트워크를 구성하거나, 대리인 시스템(20) 및 특허청 시스템(30)과 함께 프라이빗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동작한다. 그리고, 설정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권리자 단말(10)이 포함된 네트워크는 개방형 즉, 퍼블릭 형태의 네트워크로 변경된다. 이 설정조건은 지적 재산권 권리화 과정에 규정되는 비공개 기간일 수도 있고, 권리자 또는 대리인에 의한 선택일 수 있다. 즉, 권리자 또는 대리인이 퍼블릭 전환을 희망하지 않는 경우 폐쇄된 네트워크를 유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라이빗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기간 동안 블록을 전달하는 이웃노드는 대리인 시스템(20) 또는 대리인 시스템(20)과 특허청 시스템(30)으로 한정되고, 퍼블릭 네트워크로 전환되는 경우에 이웃노드 즉, 블록을 전달하는 이웃이 추가되도록 구성된다.
프라이빗 네트워크의 구성은 네트워크 참여를 희망하는 대상에 대한 허가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고, 공개키의 전달여부에 따라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제네시스 블록을 생성함과 동시에 생성되는 공개키를 선택된 노드에게만 전달함으로써 프라이빗 네트워크가 구성되도록 하고, 네트워크 개방시에 참여노드 모두에게 전달하여 네트워크의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잦은 트랜젝션의 생성, 빠른 검증, 원기술의 비공개가 필요한 기간 동안 권리자 단말(10)과 대리인 시스템(20) 또는 권리자 단말(10), 대리인 시스템(20) 및 특허청 시스템(30)으로만 네트워크가 구성되어 처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노드로 참여한 구성은 블록체인을 유지 또는 성장시키기 위한 일련의 행위 검증 및 전파를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반드시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 생략하기로 한다.
권리자 단말(10)은 폐쇄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간 동안, 원기술이 포함된 제네시스 블록을 생성하여 대리인시스템(20)에 전달하거나, 대리인 시스템(20)을 통해 생성되는 제네시스 블록의 트랜젝션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확인을 수행함과 아울러, 이후 절차에 대한 진행을 요청하게 된다. 이를 통해 권리자단말(10)은 대리인시스템(20)과 권리화 진행을 위한 각종 서류의 작성 및 절차를 진행하고 각 단계별로 진행된 결과물을 대리인시스템(20)으로 전달받아 확인을 수행하며, 이를 블록체인의 트랜젝션에 기재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원기술의 심사, 등록, 반려, 소송과 같은 다양한 결과물이 특허청 시스템(30)으로부터 발생되면, 이를 특허청 시스템(30) 또는 대리인 시스템(20)을 경유하여 전달받고, 이를 확인하거나 대응하게 된다. 이를 위해, 권리자단말(10) 또는 대리인 시스템(20)는 권리화 과정의 특정 단계에서 특허청 시스템(30)을 폐쇄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로 참여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권리자 단말(10)은 권리의 이전, 사용권 제공시, 경고장 제공과 같은 권리의 행사와 같은 권리관련 정보가 발행되는 경우 이를 블록에 기록함과 아울러, 권리관련 정보의 적용 대상이 되는 대리인 시스템(20), 특허청 시스템(30) 및 제3자단말(40)과 교류 및 검증을 통해 이를 공증하게 된다. 이러한 권리자 단말(10)과 다른 구성과의 상호 작용은 하기의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대리인 시스템(20)은 지적 재산권의 권리화 과정을 대리하거나, 권리 획득 이후에 발생되는 권리 행사 또는 유지에 대한 절차를 대리하는 업체에 구성되는 시스템이다. 이 대리인 시스템(20)은 특허청 시스템(30)네 접속 가능하고, 블록체인에 대한 일련의 처리가 가능한 장치 또는 장치의 그룹을 의미한다.
이 대리인 시스템(20)은 블록의 검증, 트랜젝션의 생성 및 복원과 같은 블록체인의 처리를 수행한다. 이 대리인 시스템(20)은 권리화 과정 즉, 원기술을 생성하는 아이디어의 초기단계부터 특허청에 의한 권리확정 및 권리화 이후의 과정에서 발생되는 원기술 또는 권리자와 관련된 사항을 블록체인에 기록하여 전파한다.
이를 위해 대리인 시스템(20)도 권리화과정 및 이후 과정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노드로 참여한다. 여기서, 대리인 시스템(20)의 제네시스 블록의 생성자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대리인 시스템(20)은 권리자단말(10)로부터 원기술(아이디어 또는 발명신고서를 포함)이 전달되면, 이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고, 검토결과와 원기술을 포함하는 내용을 트랜젝션을 작성하여 제네시스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대리인 시스템(20)은 권리화 과정 및 이후의 과정에서 발생되는 정보, 서류, 데이터를 블록으로 생성하고 이를 노드에 전파하는 역할을 한다. 권리자 단말(10)의 설명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권리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서류, 자료, 권리자와의 교류 내용과 같은 사항들이 블록체인에 트랜젝션으로 기록된다. 이러한 처리를 위해 대리인 시스템(20)은 특허청 시스템(30) 또는 권리자의 기술을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 또는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대리인 시스템(20)에 의해 구동되는 블록체인 앱과 별도의 프로그램 또는 시스템의 교환을 통해, 별도의 프로그램 또는 시스템에서 생성되는 정보가 블록체인 앱으로 전달되고, 블록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 대리인 시스템(20)은 설정조건에 따라 개방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이거나, 폐쇄된 블록체인의 노드로 동작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설정조건이 충조되기 전까지 대리인 시스템(20)은 권리자 단말(10) 또는 권리자단말(10)과 특허청 시스템(30)과 함께 폐쇄된 블록체인인 프라이빗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동작한다. 그리고, 설정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블록체인의 개방에 따라 개방된 네트워크의 구성원으로 참여하게 된다.
특히, 대리인 시스템(20)은 폐쇄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개방을 위한 설정조건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적용하여 개방형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대리인 시스템(20)은 폐쇄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추가로 참여할 수 있는 노드의 확인 및 참여여부를 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대리인 시스템(20)은 폐쇄된 블록체인에 대한 이웃리스트를 전파하고, 블록이 전달될 수 있는 대상을 제한하는 역할, 참여하는 노드에 대한 허가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 참여, 개방형으로 전환은 권리자 단말(10)에 의해서 수행이 가능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대리인 시스템(2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대리인 시스템(20)은 폐쇄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간 동안, 원기술이 포함된 제네시스 블록에 연결되는 블록을 생성하여 권리자 단말(10)에 전달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제네시스 블록을 생성하는 생성자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대리인 시스템(20)은 권리자 단말(10)과 함께 권리화 진행을 위한 각종 서류의 작성, 절차 진행, 특허청 시스템(30)으로 서류/정보 제출, 특허청 시스템(30)에 대한 응답을 진행하고, 이를 블록체인의 트랜젝션에 기재하여 권리자 단말(10)과 공유하게 된다.
또한, 대리인 시스템(20)은 권리화 과정, 권리화 이후의 결과물들이 특허청 시스템(30)으로부터 발생되면 이를 블록에 기재하여 권리자 단말(10)에 전달할 수 있다.
특허청 시스템(30)은 권리화 과정에서 대리인 시스템(20)에서 제공되는 원기술, 권리화를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원기술을 권리화하기 위한 과정을 진행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대리인 시스템(20) 또는 권리자 단말(10)에 전달한다. 이러한 특허청 시스템(30)은 설정조건에 의해 폐쇄된 네트워크가 구성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로 참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허청 시스템(30)이 네트워크의 노드로 참여하는 경우 권리화 과정 및 권리화 이후에 발생되는 정보는 특허청 시스템(30)이 직접 블록체인의 블록으로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전파할 수 있다. 반면, 노드로 참여하지 못한 경우 특허청 시스템(30)은 대리인 시스템(20)을 통해 권리자 단말(10)에 이러한 정보를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제3자단말(40)은 설정조건에 의해 특정 기술에 대한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개방된 이후에 네트워크에 노드로 참여한다. 이러한 제3자단말(40)은 권리화 과정 또는 권리화된 원기술을 검색한 단말, 이 기술을 인용하거나, 소송등으로 인해 직접 관계가 있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권리자 단말(10)을 통해 원기술을 양도받거나, 원기술에 대한 실시권을 획득한 사용자의 단말을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제3자단말940)은 네트워크에 참여한 이후, 블록에 대한 검증과 전파를 수행하고, 원기술과 관련된 변동사항을 블록으로 생성하여 체인에 부가하게 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지적재산권 관리 시스템은 아이디어 단계에서 권리확보 이후에 발생되는 양도, 소송과 같은 사항뿐만 아니라 권리자, 대리인, 특허청 및 제3자 각각 또는 상호간에 발생되는 사항을 블록체인에 기록하여 관리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원기술인 아이디어의 생성시점과 아이디어 제공자 뿐만 아니라 원기술에 관련된 모든 사항들이 생성시점에 기록되어 유지됨으로써 정확한 시간흐름에 따른 히스토리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블록체인을 통해 이러한 내용들을 기록하여 관리함으로써 원기술로부터 시작된 지적재산권의 내용이 인위적으로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기술과 관련된 모든 내용이 발생시점에 따라 순차적으로 기록되고, 조작이나 변경없이 유지된다. 때문에, 권리의 양도와 같이 제3자가 기술의 내용, 권리범위, 권리화 과정에서 발생된 이슈의 확인을 필요로 하는 경우 기술과 관련된 내용을 일목요연하게 확인하고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적재산권 관리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적재산권 관리 시스템에 의한 지적 재산권 관리 방법은 제네시스블록 생성단계(S10), 설정조건 결정 단계(S20), 권리화 진행 단계(S30), 설정조건충족 판단단계(S40), 블록체인 네트워크 개방단계(S50), 권리 변동사항 수집 단계(S60) 및 블록체인 성장단계(S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네시스블록 생성단계(S10)는 원기술을 포함하는 내용으로 트랜젝션이 생성되고, 원기술 트랜젝션에 의해 제네시스 블록이 생성되는 단계이다. 이 제네시스 블록 생성단계(S10)는 권리자 단말(10)에 의해 수행되지만, 대리인 시스템(20)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대리인 시스템(20)에서 제네시스 블록이 생성되는 경우, 원기술의 전달 및 검토과정이 제네시스 블록의 트랜젝션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제네시스 블록의 생성시 사용된 개인키와 공용키 중 개인키는 추후 권리자 단말(10)에 전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네시스 블록을 생성하는 대상 즉, 권리자 단말(10) 또는 대리인 시스템(20) 중 어느 하나가 개인키를 이용하여 공용키와 제네시스 블록을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제네시스 블록이 대리인 시스템(20)에 의해 생성되더라도 이를 생성하기 위한 개인키는 최종적으로 권리자에게 전달된다. 다만, 대리인 시스템(20)이 권리자와 계약을 유지하여 대리인의 역할을 수행하는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에는 대리인 시스템(20)에 의해 개인키가 관리될 수 있다.
하지만, 대리인과 권리자의 거래 종료, 예를 들어 양도와 같은 권리자 변경과 같은 사항이 발생되는 경우 개인키는 권리자에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대리인과 권리자의 계약 종료, 양도에 의한 권리자 변경의 경우 전달조건을 충족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 전달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개인키는 전달조건이 충족된 시점의 권리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해당 권리자가 사용하는 권리자 단말(10)에 전달된다.
설정조건 결정 단계(S20)는 폐쇄형 네트워크의 개방을 위한 조건인 설정조건을 결정하는 단계이다. 지적재산권은 일정기간 동안 비공개 상태로 권리화가 진행된다. 때문에 블록체인을 통해 정보를 공유하는 동안에도 이러한 비공개에 의한 권리보호가 이루어져야 한다. 때문에, 권리의 보호를 위한 설정조건이 마련된다. 또한, 이와 함께 권리화 과정에서는 블록체인의 불필요한 블록 즉, 임의 블록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빠른 전파 및 검증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노드의 제한이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한시적으로 폐쇄형으로 구성되고, 이후 설정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새로운 노드를 추가하는 개방형으로 변경된다.
이러한 설정조건은 기본적으로 원기술을 획득하고자 하는 재산권 분야에서 지정한 비공개 기간의 도래 여부일 수 있다. 즉, 설정조건이 비공개 기간의 도래 여부로 결정된 경우, 하기의 단계에서 비공개 기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여 네트워크를 개방형으로 변경할지 폐쇄형을 유지할지 결정하게 된다. 사용자가 지정하는 시점의 도래가 설정조건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 비공개 기간이라해도 권리자의 필요에 의해 기술의 공개가 필요할 수 있으며, 공개 이후라도 권리화 과정의 심사, 소송등의 이유로 네트워크의 개방시점을 비공개 기간 경과 이후의 임의 시점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때문에, 설정조건 결정 단계(S20)에 이러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개방을 위한 조건을 설정하게 된다.
권리화 진행 단계(S30)는 원기술에 대해 권리화를 진행하고, 권리화 진행에서 발생되는 각종 정보를 블록으로 생성하여 블록체인에 추가하는 단계이다. 이 권리화 진행 단계(S30)는 하기의 도 3을 통해 설명되는 바와 같이 권리자단말(10)과 대리인시스템(20)에 의해 진행되고, 최종 결과물이 특허청 시스템(30)에 제출된 후 결과물이 최종적으로 권리자단말(10)에 전달되는 과정을 거친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통해 좀 더 상세히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설정조건충족 판단단계(S40)는 권리화가 이루어지는 과정 또는 권리를 획득한 이후의 과정에서 설정조건에 의해 네트워크를 개방해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이다. 이 설정조건 충족 판단단계(S40)는 대리인 시스템(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설정조건을 충족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면, 전 단계인 권리화 진행 단게(S30)을 수행하면서 설정조건이 충족되었는지를 지속적으로 판단하게 된다. 반면에, 설정조건을 충족한 것으로 판단되면, 다음의 블록체인 네트워크 개방단계(S50)가 진행된다.
블록체인 네트워크 개방단계(S50)는 설정조건충족 판단단계(S40)에서 설정조건을 충족한 것으로 판단되면, 노드의 추가가 가능한 상태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변경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이에 대한 권한을 가지는 장치 예를 들어, 대리인 시스템(20)이 노드 참여에 대한 제한을 해제하여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단계이다. 이 네트워크 개방단계(S50)에서 부분적인 개방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참여 제한을 위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관리주체, 예를 들어, 대리인 시스템(20)에 의해 관리되도록 하고, 참여가 허락된 노드만이 블록체인에 참여하게 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또는 블록의 검증을 위해 노드들에 전달되는 공개키를 제한된 노드들 즉, 프라이빗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대상 노드에게만 전달하여 다른 노드의 참여를 제한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개방시에는 무허가에 의한 노드 참여 및 공개키의 전파를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개방형으로 변경할 수 있게 된다.
권리 변동사항 수집 단계(S60)는 개방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들에 의해 권리화 과정 또는 권리를 획득한 기술에 대한 변동사항을 수집하는 단계이다. 즉, 공개된 기술을 타 기술의 심사과정에서 인용하거나, 기술에 대한 증빙자료가 추가되거나, 해외 권리화 진행, 소송, 경고장 발송과 같은 사항들이 발생되면, 이에 대한 자료가 이를 수행하는 주체에 의해 생성 및 수집되는 단계이다.
블록체인 성장단계(S70)는 전술한 권리 변동사항 수집 단계(S60)에서 수집된 정보들이 블록으로 생성되고, 네트워크에 전파되어 검증이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블록체인의 블록들이 추가적으로 결합되는 단계이다. 이러한 블록들은 정보를 수집한 주체들에 의해 수행된다. 또한, 이러한 사항들 중 미리 정해진 형태의 기록으로 남겨져야 하는 경우 노드에 의해 특허청 시스템(30)으로 전달되어 기록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3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적재산권 관리 시스템에서 구성 상호 간의 정보 교환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권리자가 원기술에 대해 권리를 획득하고자 하는 경우 권리자와 특허청과 같은 지적재산권을 처리하는 기관에 직접적으로 신청하고 처리하여 이루어지는 경우도 발생한다. 반면, 전문성으로 요구하는 기술들의 경우 도 3에서와 같이 대리인을 통해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리인을 통해 원기술에 대한 권리를 획득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을 적용하면 권리자가 직접 신청하여 획득하는 과정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A1에서와 같이 권리자가 원기술을 도출하여 이에 대한 권리화 가능성 여부를 대리인에 대해 문의하게 된다. 이에 응답하여 A2와 같이 대리인에 검토가 이루어지면, A3과 같이 대리인 시스템(20)에 의해 권리자 단말(10)로 검토결과가 전달된다. A4와 같이 검토결과를 권리자 단말(10)을 통해 확인하고 이에 대한 진행요청이 대리인 시스템(2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A1 내지 A4에 의해 수행된 내용이 제네시스 블록의 트랜젝션에 포함되어 생성될 수 있다. 제네시스 블록은 A1 내지 A4 단계 중 어느 한 단계에서 발생되어 이전에 교류된 내용을 포함하게 된다. 때문에, 제네시스 블록의 생성 전에 교류되는 내용은 메일링과 같은 다른 수단을 통해 권리자 단말(10)과 대리인 시스템(20) 간에 교류된다.
A4에 의해 A5에서 대리인 시스템(20)에 의해 원기술을 기술화하기 위한 기술문서가 작성되고 A6에서 이에 대한 검토요청이 발생된다. 이때, A4 이후의 단계는 제네시스 블록에 추가되는 블록에 포함되어 전달이 이루어지게 된다. A6에 응답하여 A7에서 검토결과와 제출지시가 추가된 블록이 재추가 되어 대리인 시스템(20)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A8에서 대리인 시스템(20)에 의해 특허청 시스템(30)에 기술문서가 제출되고, 이에 결과가 A9에서 특허청 시스템(30)으로부터 대리인 시스템(20)에 전달된다. 그리고, A10에서 대리인 시스템(20)이 이를 블록체인의 추가 블록으로 생성하여 특허청 시스템(30)으로부터 전달된 제출결과를 권리자 단말(10)에 전달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특허청 시스템(30)이 블록체인의 네트워크 노드로 추가되지 않은 경우, 특허청 시스템(30)과 대리인 시스템(20)은 특허청 시스템(30)에 의해 운영되는 시스템에 의해 제출 및 제출결과의 회신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제출결과에 대한 내용은 대리인 시스템(20)에 의해 블록체인의 블록으로 생성되어 체인에 추가된다.
이 A1 내지 A10은 폐쇄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진다. 즉, 설정조건이 충족되지 않은 기간에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통해 검증 노드가 권리자 단말(10), 대리인 시스템(20)에 한정되고, 추가되더라도 특허청 시스템(30)만 추가된다. 이를 통해, 원기술과 무관한 제3자단말에 의해 블록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러한 블록의 검증 진행으로 소요되는 기간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공개기간의 도래, 권리자에 의한 조건 충족에 따라 노드가 개방되고 제3자단말(40)과 같은 노드가 네트워크에 참여하게 된다.
이러한 제3자단말(40)은 권리화된 기술을 양도받는 양수인일 수 있다. 이를 위해 B1에서와 같이 제3자단말(40)이 권리자단말(10)에 양도를 요청하며, B2와 같이 이에 대한 승인이 이루어지고 양도 절차를 대리인 시스템(20)에 요청하게 된다. 그리고, 대리인 시스템(30)은 B4와 같이 양도를 진행하여 제3자단말(40)에 양도결과를 전달한다. 이때 대리인 시스템(30)은 특허청 시스템(30)에 양도신청을 진행함과 아울러 그 결과를 권리자 단말(10)과 제3자단말(4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되는 모든 사항은 블록체인의 블록으로 추가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완전히 소유권이 이전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B5에서와 같이 제네시스 블록의 생성시 사용된 개인키가 제3자 단말(40)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실제로 블록체인에는 소유권 이전과 같은 사항이 모두 기록되기 때문에 반드시 개인키를 전달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권리의 양도에 따른 모든 정보가 블록체인을 통해 제3자단말(40)에 전달되기 때문에, 이를 생성할 때 사용한 개인키도 제3자단말(40)에 전달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권리자단말
20: 대리인시스템
30: 특허청 시스템
40: 제3자단말

Claims (9)

  1. 원기술의 권리획득 과정 또는 권리를 획득한 권리화기술의 관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사항들을 블록으로 생성하여 블록체인 추가하는 대리인 시스템; 및
    상기 대리인 시스템과 상기 블록체인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상기 권리획득 과정 또는 상기 관리과정에서 권리자에 의해 발생되는 정보를 블록으로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에 추가하는 권리자 단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적재산권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기술이 포함되는 제네시스블록은 상기 대리인 시스템 또는 상기 권리자 단말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적재산권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기술의 공개시점과 같이 미리 정해지는 설정조건이 충족되기 전까지 프라이빗 블록체인으로 운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적재산 관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조건은
    지적재산권별로 정해지는 비공개 기간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기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적재산 관리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네시스 블록을 생성에 사용된 개인키는 권리자와 대리인의 계약 변경 또는 권리자의 변경을 포함하는 전달조건이 충족되면, 상기 전달조건이 충족된 시점의 권리자가 소유한 상기 권리자 단말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적재산 관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제3자단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권리화기술이 상기 제3자단말의 사용자에게 양도되는 경우 상기 개인키가 상기 제3자단말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적재산 관리 시스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허가된 노드만 참여하도록 하거나, 공개키를 미리 선택된 노드에만 제공하여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적재산 관리 시스템.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원기술을 권리획득 과정을 진행하고, 진행의 결과물 및 상기 권리화기술의 유지과정에서 발생되는 변동 사항을 상기 대리인 시스템에 전달하는 특허청 시스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적재산권 관리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상기 권리자단말과 상기 대리인 시스템으로 구성되거나
    상기 권리자단말, 상기 대리인 시스템 및 상기 특허청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적재산 관리 시스템
KR1020190051257A 2019-05-02 2019-05-02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적재산권 관리 시스템 KR202001273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257A KR20200127334A (ko) 2019-05-02 2019-05-02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적재산권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257A KR20200127334A (ko) 2019-05-02 2019-05-02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적재산권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334A true KR20200127334A (ko) 2020-11-11

Family

ID=73451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257A KR20200127334A (ko) 2019-05-02 2019-05-02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적재산권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733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544A (ko) 2001-06-12 2002-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특허 출원 진행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544A (ko) 2001-06-12 2002-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특허 출원 진행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73094B (zh) 基于区块链的数据授权方法及装置
CN108830601B (zh) 基于区块链的智慧城市信息安全使用方法及系统
Tith et al. Application of blockchain to maintaining patient records in electronic health record for enhanced privacy, scalability, and availability
CN110473096A (zh) 基于智能合约的数据授权方法及装置
US9762553B2 (en) Systems and methods of secure data exchange
WO2020103566A1 (zh) 一种区块链存证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CN110457875A (zh) 基于区块链的数据授权方法及装置
JP2023184749A (ja) ブロックチェーンに登録されたデジタルアセットを分配する方法及び自律計算エージェント
CN110462621A (zh) 在区块链网络中管理敏感数据元素
JP2020108044A (ja) トークン管理システムおよびトークン管理方法
CN108804879A (zh) 用于内容和服务共享的方法和系统
CN108846776A (zh) 一种基于区块链技术的数字版权保护方法
CN109863521A (zh) 在区块链网络中的数据隔离
TW202032488A (zh) 基於區塊鏈的地圖應用群眾外包
KR102251161B1 (ko)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스마트 계약을 이용하여 주택 점수를 관리하는 방법
CN109792382A (zh) 使用全局加速节点提高区块交易速度
CN110472974A (zh) 基于区块链智能合约的资产转移方法、装置及系统
Abadi et al. Anylog: a grand unific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CN110458708A (zh) 区块链网络中基于竞争的资产分配方法及装置
CN111478764A (zh) 区块链网络中的数据处理方法、节点及存储介质
Cheng et al. Construction cost management using blockchain and encryption
CN113271366B (zh) 基于区块链和安全计算的数据共享系统
CN110599384A (zh) 组织关系的转移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Xu et al. Model-driven engineering for blockchain applications
Sun et al. Blockchain and homomorphic encryption for digital copyright pro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