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7291A - 반려동물 헬스케어를 위한 웨어러블 led 장치 - Google Patents

반려동물 헬스케어를 위한 웨어러블 led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7291A
KR20200127291A KR1020190051117A KR20190051117A KR20200127291A KR 20200127291 A KR20200127291 A KR 20200127291A KR 1020190051117 A KR1020190051117 A KR 1020190051117A KR 20190051117 A KR20190051117 A KR 20190051117A KR 20200127291 A KR20200127291 A KR 20200127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ompanion animal
led
wearable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미
Original Assignee
박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선미 filed Critical 박선미
Priority to KR1020190051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7291A/ko
Publication of KR20200127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72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6Leads or collars, e.g. for dogs with light-emitting or ornament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7/00Devices or methods for introducing solid, liquid, or gaseous remedies or other materials into or onto the bodies of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62Visible light
    • A61N2005/0663Coloured ligh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반려동물 헬스케어를 위한 웨어러블 LED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반려동물을 감싸서 고정할 수 있는 하네스와, 하네스에 탈착 가능한 LED 모듈을 포함한다. 하네스는, 양 끝에 고정 수단을 구비하여 고정 수단을 체결한 경우 반려동물의 일부를 고리모양으로 둘러 덮을 수 있는 제1 벨트와, 제1 벨트의 한쪽 면에 설치되어 LED 모듈을 수납할 수 있는 내부 포켓을 포함한다. LED 모듈은 휘어질 수 있는 플렉서블 기판과, 플렉서블 기판위에 설치되어 외부로 빛을 방출할 수 있는 LED 광원을 구비한 복수개의 광원부와, 플렉서블 기판을 덮어 보호하되 광원부가 위치한 곳에 구멍을 구비하여 LED 광원의 빛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으며 외부와 직접 닿지 않도록 간격을 형성할 수 있는 외피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LED 모듈을 반려동물에 안정적으로 착용시켜 치료할 수 있으며 치료 중에도 반려동물의 활동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반려동물 헬스케어를 위한 웨어러블 LED 장치{HEALTHCARE SYSTEM WITH WEARABLE LED DEVICE FOR COMPANION ANIMAL}
본 발명은 반려동물 헬스케어를 위한 웨어러블 LED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려동물에 LED 광을 조사할 수 있는 LED 모듈과 이를 반려동물의 몸에 감쌀 수 있도록 하는 제1 벨트를 포함하여, 반려동물이 자유롭게 이동하여도 고정된 위치에 LED 광을 조사할 수 있는 반려동물 헬스케어를 위한 웨어러블 LED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 들어서면서 점점 공동체 보다는 개인적인 사생활이 중요하게 되었고, 최근에는 경제적 이유 등으로 자녀의 수가 감소하고 심지어 결혼하지 않고 지내는 사람들도 증가하고 있다. 그 결과, 가구당 인구수가 적어지고 1인 가구도 많이 증가하였다.
예로부터 개, 고양이, 앵무새 등의 애완동물(pet) 또는 반려동물(companion animal)은 인간들과 가까이 지내왔다. 개인화와 가구당 인구수가 줄어드는 것에 따라 최근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애완동물을 가족으로 생각하는 문화가 확산되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최근 각종 반려동물 용품의 판매 증가뿐만 아니라 반려동물의 복지에도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 실내에서 생활하는 반려동물이 많아짐에 따라 면역력 저하와 미끄러운 바닥 생활로 슬개골 탈구 등 어린 반려동물에게도 연령대와 상관없이 다양한 질환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반려동물의 의식주 관리와 병원치료 등 관리가 철저해짐에 따라 노령동물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노령 반려동물의 증가와 면역력 저하로 다양한 질환에 노출된 반려동물들의 병원 방문 횟수도 증가하고 이에 따라 펫보험도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아직 반려동물은 인간의 수명보다 매우 짧은 경우가 대부분이며, 수의학 및 각종 동물 치료 장치도 아직 인간을 치료하는 의술 및 장치보다 미흡한 것이 실정이다. 또한, 반려동물의 치료비는 공공보험의 적용대상이 아니어서, 개별 보험을 들지 않은 경우 반려동물에게 상처나 병이 발생하는 경우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에게 상당한 부담이 되는 경우가 많다.
반려 동물의 상처, 통증, 피부개선, 재활치료를 위해서는 약물치료 뿐만 아니라 물리치료와 광학적인 치료도 동시에 활용되고 있다. 특히 레이저(laser) 또는 LED 광을 이용하는 광학적 치료는 사용방법이 비교적 간단하여 향후 많은 활용이 예상되고 있다.
현재 동물병원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레이저(laser) 치료기는 강한 레이저 빛을 이용하기 때문에 전문가의 조작이 필요하다. 치료하는 동안 반려동물도 보안경 착용이 필요하고 반려동물을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므로 반려동물에게 큰 스트레스를 주게 된다. 장비가 비싸므로 치료비용이 고가인 단점이 있다.
동물병원에서 사용하는 장치로 근적외선을 이용한 치료기가 있다. 근적외선을 방출하는 LED 광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반려동물의 피부와 인체의 피부는 특성이 다르므로 인체용으로 제작된 장비를 사용할 수 없으며, 반려동물용 장비를 사용하게 된다.
최근에는 가정에서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비들도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반려동물에 장착할 수 없는 장비는 반려동물의 환부에 빛이 조사되도록 사람이 손으로 쬐어주어야 하고, 면적이 좁아서 오랜 시간 사용하는데, 반려동물의 움직임에 제약을 가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반려동물에 장착하는 LED 광 조사 시스템의 경우, 인체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반려동물에 비해 제품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반려동물의 몸에 무리를 줄 수 있고, 반려동물의 활동에 따라 벗겨지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59950호 “반려동물 케어 램프”에는 근적외선을 조사하여 반려동물의 상처 치유의 시간을 단축시키며, 세균 및 바이러스 등을 살균하고, 반려동물에서 배출되는 특유의 냄새를 탈취하여 반려동물뿐만 아니라 사람의 위생을 보다 청결히 관리할 수 있는 반려동물 케어 램프가 개시된다. 종래 소켓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반려동물 케어 램프를 제공하여 이동 설치가 가능하며, 반려동물을 구속시키지 않고도 자연스러운 상처의 치유를 촉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려동물의 면역력을 증진시키고, 반려동물에서 배출되는 특유의 냄새를 탈취할 수 있다. 다만, 치료하는 동안 반려동물이 하우징 내부에 갖혀 있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8182호 “반려동물용 엘이디광 피부조사기”에는 반려동물의 피부병 예방 및 치료와 함께 탈모 예방 기능, 안마/브러쉬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피부 개선기가 개시된다. 피부병 예방을 위해 체계적인 피부개선기 조사를 실시하여 면역력 증대, 피부 재생력 증대, 표피 존재 병원균(진드기, 바이러스 등) 제거를 통해 피부병을 예방 및 치료하며 이를 통해 반려동물과의 정기적인 접촉을 유도하고 반려동물과의 유대관계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이 장치는 사람이 들고서 반려동물에게 접촉을 시켜 주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10952호 “근적외선을 이용한 헬스 케어 복대”에는 LED 모듈에서 발광된 근적외선을 치료나 건강관리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근적외선을 이용한 헬스 케어 복대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특히 근적외선을 발광하는 LED 모듈의 탈부착이 자유롭고, LED 모듈을 장시간 사용하여도 특성이 쉽게 저하되지 않고,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LED 스트링이 각각 독립적으로 점멸되므로 증상별 선택 제어가 가능하며, 사용 편리성이 뛰어나다. 다만, 반려동물의 행동을 고려하지 않아서 반려동물에 적용하기에는 적당하지 않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59950호 “반려동물 케어 램프”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8182호 “반려동물용 엘이디광 피부조사기” 등록특허공보 제10-1210952호 “근적외선을 이용한 헬스 케어 복대”
본 발명의 목적은, 반려동물의 치료 및 통증 완화를 위한 웨어러블 LED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려동물의 움직임에 구속이 없어 자유로운 활동과 이동이 가능한 웨어러블 LED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려동물에게 적당한 온도의 LED 광을 조사하는 웨어러블 LED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하나의 양태에 따르면, 반려동물 헬스케어를 위한 웨어러블 LED 장치는, 반려동물을 감싸서 고정할 수 있는 하네스; 및 상기 하네스에 탈착 가능한 LED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하네스는, 양 끝에 고정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고정 수단을 체결한 경우 반려동물의 일부를 고리모양으로 둘러 덮을 수 있는 제1 벨트; 및 상기 제1 벨트의 한쪽 면에 설치되어 상기 LED 모듈을 수납할 수 있는 내부 포켓;을 포함한다.
상기 LED 모듈은, 휘어질 수 있는 플렉서블 기판; 상기 플렉서블 기판 위에 설치되어 외부로 빛을 방출할 수 있는 LED 광원을 구비한 복수개의 광원부; 및 상기 플렉서블 기판을 덮어 보호하되, 상기 광원부가 위치한 곳에 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LED 광원의 빛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으며 외부와 직접 닿지 않도록 간격을 형성할 수 있는 외피층;을 포함한다.
상기 LED 모듈은, 외부 전원과 연결될 수 있는 USB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의 LED 광원은, 파장이 다른 복수개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의 LED 광원은, 적색 LED와 근적외선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ED 모듈은, 설정된 온도 이상이 되는 경우 외부로부터의 전류를 차단하여 반려동물의 저온화상을 방지하는 온도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부는 바이메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부는, 상기 LED 모듈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상기 LED 모듈의 장축에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네스는, 상기 제1 벨트보다 폭이 좁고, ‘Y’자 형태로 형성되고, 양 끝에 고정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고정 수단을 체결한 경우 반려동물의 일부를 고리모양으로 둘러 덮을 수 있는 제2 벨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네스는, 상기 제1 벨트와 상기 제2 벨트의 중앙부에 각각 연결되고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네스는, 상기 제1 벨트의 고정수단이 있는 양쪽 끝부분에 상기 제1 벨트의 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고정 가능한 제3 벨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포켓은, 상기 LED 모듈의 광이 반려동물에게 비추어질 수 있는 망사형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네스는, 상기 제1 벨트의 내부 포켓이 설치된 반대 면에 설치되는 외부 포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네스는, 상기 제1 벨트의 내부 포켓의 주위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미끄럼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끄럼 방지 부재는, 실리콘 재질의 원형일 수 있다.
상기 미끄럼 방지 부재는, 상기 LED 모듈이 상기 내부 포켓 밖으로 나오지 않도록 상기 망사형 구조물의 개봉부에 끼워질 수 있는 단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미끄럼 방지 부재는, 높이가 상기 LED 모듈 두께의 1.5 내지 3.0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헬스케어를 위한 웨어러블 LED 장치는, 반려동물의 치료에 적당한 파장의 LED 광을 반려동물의 일부에 고정하여 조사할 수 있어서, 반려동물의 치료 및 통증 완화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헬스케어를 위한 웨어러블 LED 장치는, 플렉서블 PCB와 반려동물의 여러 부위에 고정가능한 벨트를 포함하여, 반려동물의 이동의 자유를 구속하지 않은 채 반려동물의 일부에 LED 광을 안정적이며 지속적으로 조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헬스케어를 위한 웨어러블 LED 장치는, 인체와 다른 온도 조건을 가진 반려동물이 저온 화상을 입지 않도록 자동적으로 온도를 조절하여 반려동물의 안전한 치료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헬스케어를 위한 웨어러블 LED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헬스케어를 위한 웨어러블 LED 장치 중 LED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헬스케어를 위한 웨어러블 LED 장치 중 LED 모듈의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헬스케어를 위한 웨어러블 LED 장치가 제2 벨트를 더 포함하는 경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헬스케어를 위한 웨어러블 LED 장치가 제2 벨트를 더 포함하는 경우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헬스케어를 위한 웨어러블 LED 장치가 제3 벨트를 더 포함하는 경우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헬스케어를 위한 웨어러블 LED 장치가 미끄럼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경우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헬스케어를 위한 웨어러블 LED 장치를 반려동물의 허리 부위에 착용시킨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헬스케어를 위한 웨어러블 LED 장치를 반려동물의 대퇴부에 착용시킨 사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 및 후술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LED를 광선을 이용한 라이트 테라피(Light Therapy)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에 있는 광 수용체 시토크롬 씨 옥시다제(cytochrome c oxidase; CCO)가 특정 파장의 빛을 받아 신진대사가 활성화 되고 세포의 회복을 가속화하여 피부개선 및 통증감소 등의 효과가 있다고 각종 연구 논문에서 확인되고 있다.
LED를 광선을 이용한 라이트 테라피(Light Therapy)는 저출력 레이저치료(Low-level laser therapy; LLLT)와 동일한 치유 파장을 훨씬 부드럽게 전달한다. 조직에 손상을 줄만큼 강한 광선이 아닌 신체 반응을 자극하여 치료하기에 충분한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 LED는 레이저(LLLT)에 비해 비용이 적게 들고 성능이 유사한 LED 광원을 이용한 홈 헬스케어를 할 수 있어 경제적 비용의 부담을 해소할 수 있고 일상에서도 꾸준히 건강관리를 할 수 있어 반려동물의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다.
LED 광선을 이용한 라이트 테라피(Light Therapy)는 통증이 없고 부작용이 없어 가정에서 충분히 사용할 수 있어 반려동물 헬스케어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동물을 위한 라이트 테라피는 종래 기술처럼 기구 안에 구속하거나 동물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있지만, 웨어러블 LED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구속 없이 자유로운 활동과 이동을 하면서도 헬스케어가 가능하다. 즉, 다수개의 LED 광원의 조사를 통해 반려동물의 세포 재생 촉진, 피부 개선, 재활치료 등 헬스케어를 병원이 아닌 일상생활을 하면서도 가능해 착용하는 반려동물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다수개의 LED 광원을 포함한 LED 모듈을 반려동물의 신체구조에 맞게 설계한 하네스에 결합하여 의류처럼 착용하면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어, 착용한 반려동물의 움직임과 상관없이 LED 광원의 빛을 반려동물의 피부표면에 일률적으로 비출 수 있어서 광원의 조사 효율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LED 모듈은 플렉서블 피씨비(Flexible PCB)와 초박형 LED 칩을 적용하여 약 2mm 이하의 얇은 두께로 제작할 수 있어서 착용하는 동물의 몸의 굴곡에 맞게 휘어질 수 있다. 즉, 착용감이 우수하며 중량이 가벼워서 소형 동물에서 대형 동물은 물론 노령 동물도 착용 후 자유로운 활동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LED 모듈과 하네스 벨트는 얇고 가볍워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이 휴대하기 편리하여 반려동물과 동행하는 모임 또는 여행 등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LED 모듈은 하네스 벨트와 착탈이 가능하도록 제작하여, 하네스 벨트와 LED 모듈을 별도로 세척할 수 있어서 유지 보수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LED 모듈은 방수기능을 포함할 수 있어서 외부의 오염으로부터 간단히 세척이 가능하도록 제작할 수 있다.
보조 배터리 등을 하네스 벨트 주머니에 넣어 LED 디바이스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착용하는 동물의 체구에 따라 보조 배터리 크기를 선택할 수 있어서 반려동물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헬스케어를 위한 웨어러블 LED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헬스케어를 위한 웨어러블 LED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반려동물 헬스케어를 위한 웨어러블 LED 장치(100)는 하네스(200)와, 하네스에 장착 가능한 LED 모듈(300)을 포함한다.
하네스(200)는 제1 벨트(210)와 제1 벨트의 한 면에 부착된 내부 포켓(220)을 포함한다. 내부 포켓(220)에 LED 모듈(300)이 삽입된 상태로 하네스의 제1 벨트(210)를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일부를 감싸서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내부 포켓이 부착된 면이 반려동물에 닿도록 제1 벨트를 감싸면 LED 모듈의 빛이 반려동물에게 조사될 수 있다.
제1 벨트(210)는 양 끝에 제1 벨트 고정 수단(213, 217)을 구비한다. 제1 벨트를 반려동물에게 두른 후 고정 수단을 체결하면, 제1 벨트가 반려동물의 일부를 고리모양으로 둘러 덮은 채 고정될 수 있다. 제1 벨트 고정 수단(213, 217)으로는 벨크로, 단추, 클립, 버클, 후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제1 벨트를 고리모양으로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고정수단을 사용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내부 포켓(220)은 제1 벨트의 한쪽 면에 설치되며, LED 모듈(300)을 수납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진다. 내부 포켓(220)은 LED 모듈(300)의 광이 반려동물에게 비추어질 수 있도록 망사형 구조물을 포함한다.
LED 모듈(300)은 하네스(200)에 탈착 가능하며, 반려동물에게 LED의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하네스의 내부 포켓(220)에 장착된다. LED 모듈(300)은 플렉서블 기판(310), 복수개의 광원부(320), 외피층(330)을 포함한다.
플렉서블 기판(310)은 휘어질 수 있는 필름 등에 배선이 형성된 것을 사용하여, 반려동물을 감싸서 고정할 때 LED 모듈(300)이 원활히 휘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복수개의 광원부(320)는 플렉서블 기판(310) 위에 설치되어 외부로 빛을 방출할 수 있는 LED 광원(325)을 구비한다. 광원부의 LED 광원(325)은 파장이 다른 복수개의 LED를 쌍으로 포함할 수 있다.
외피층(330)은 플렉서블 기판(310)을 덮어 보호하되, 광원부(320)가 위치한 곳에 구멍(335)을 구비하여 LED 광원(325)의 빛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한다. 외피층(330)은 LED 광원(325)이 외부와 직접 닿지 않도록 간격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헬스케어를 위한 웨어러블 LED 장치 중 LED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외피층(330)에 구멍(335)이 있으며, 구멍(335)안에는 광원부(320)가 있다.
광원부(320)에는 2개의 LED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광원부(320)의 LED 광원(325)은 파장이 다른 복수개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광원부의 LED 광원은 적색 LED와 근적외선 LED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색(630㎚-650㎚) LED와 근적외선(Near Infrared Ray, 830㎚-850㎚) LED를 포함하여 반려동물의 상처를 치유를 촉진하고 통증완화 등 재활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LED 모듈(300)은 외부 전원(400)과 연결될 수 있는 USB 연결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USB 연결부(340)를 통해서 LED 모듈로 전력이 공급된다.
LED 모듈(300)은 설정된 온도 이상이 되는 경우 외부로부터의 전류를 차단하여 반려동물의 저온화상을 방지하는 온도조절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반려동물의 경우 인체보다 털이 많은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인체보다 낮은 온도에서 저온화상을 입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반려동물의 경우 고통이나 불편을 말로 표현하지 못하므로, 온도의 자동제어가 더욱 필요하다.
온도조절부(350)로는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자동으로 전류를 차단시키는 바이메탈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정교한 제어를 위해서는 온도 센서와 마이컴을 별도로 포함하여 온도와 시간을 컨트롤할 수도 있다.
온도조절부(350) 또는 온도조절부의 온도센서는 반려동물의 온도가 가장 높아지는 LED 모듈(300)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ED 모듈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온도조절부 또는 온도조절부의 온도센서는 그 장축이 플렉서블 기판(310)의 장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려동물에 제1 벨트를 감쌀 때, 내부 포켓에 있는 LED 모듈이 장축 방향으로 휘어지므로, 온도조절부가 LED 모듈의 장축 방향에 수직으로 설치되어야 LED 모듈이 휘어지는 방향의 저항을 줄일 수 있어서, LED 모듈과 제1 벨트가 부드럽게 휘어질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기판(310)의 회로 배선을 나타낸다. 플렉서블 기판(310)에 광원부(320)의 LED 광원(325)이 쌍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플렉서블 기판에도 USB 연결부와 온도조절부를 위한 배선이 준비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헬스케어를 위한 웨어러블 LED 장치 중 LED 모듈의 사진이다.
도 3(a)는 LED 모듈(300)의 평면 사진이다. 외피층(330), 광원부(320), 온도조절부(350), USB 연결부(340)를 확인할 수 있다.
USB 연결부(340)는 USB 케이블을 포함하여 USB 케이블이 연결 가능한 보조 배터리 등의 외부기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 플렉서블 기판의 배선을 통해서 광원부(320)로 전원이 공급되어, 광원부의 LED로부터 적외선 및 근적외선이 방사된다. 외피층(330)은 플렉서블 기판의 배선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온도조절부(350)로 바이메탈이 사용되었고, LED 모듈의 중앙부에 LED 모듈의 장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설치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b)는 LED 모듈(300)에 외부 전원(400)을 연결하여 광원부로부터 빛이 나오는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USB 연결부(340)의 USB 케이블에 외부 전원(400)인 보조 배터리가 연결되어 LED 모듈로부터 LED광이 방사되고 있다. 플렉서블 기판으로 구성되어 LED 모듈(300)을 둥글게 말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중앙의 바이메탈부가 LED 모듈의 장축과 수직으로 설치되어서 LED 모듈이 말리는데 지장을 주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헬스케어를 위한 웨어러블 LED 장치가 제2 벨트를 더 포함하는 경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웨어러블 LED 장치(100)를 내부 포켓이 포함된 면에서 본 평면도이다. 하네스(200a)는 제2 벨트(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네스(200a)는 제1 벨트(210)와 제2 벨트(240) 사이에 길이조절 연결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벨트(240)의 폭은 제1 벨트의 폭보다 좁게 만들어질 수 있다. 제2 벨트의 모양은 ‘Y’자 형태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제2 벨트는 양 끝에 제2 벨트 고정 수단(243, 247)을 구비한다. 제2 벨트 고정 수단(243, 247)을 맞붙여 체결한 경우 반려동물의 일부를 고리모양의 제2 벨트로 둘러 덮을 수 있다.
제2 벨트가 ‘Y’자 형태이므로, 제2 벨트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제2 벨트 양 끝을 맞붙일 때, 반려동물의 목 부위에 부착하기 쉽다. 제2 벨트 고정수단을 이용해 부착된 제2 벨트는 타원형 고리 형태를 가지게 되어, 원형 고리보다 반려동물의 목에 가해지는 힘을 용이하게 분산할 수 있다. 또한, 제2 벨트를 고정시킬 때 안에 형성되는 타원형 구멍의 크기 조절이 쉬워서 다양한 크기의 반려동물의 목에 손쉽게 부착할 수 있다.
제1 벨트를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허리에 LED 광을 조사하는 경우, 반려동물의 이동에 의해 제1 벨트가 회전하거나 미끄러져서 벗겨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활동이 왕성한 반려동물의 경우, 제1 벨트에 제2 벨트를 연결하고, 제2 벨트를 반려동물의 목부위에 고정하는 경우, 제1 벨트가 회전하거나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정확한 위치에 장시간 LED 광의 조사를 할 수 있다.
길이조절 연결부(230)는 제1 벨트(210)와 제2 벨트(240)를 연결한다. 길이조절 연결부는 제1 벨트 및 제2 벨트의 중앙부에 각각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조절 연결부는 그 길이를 조절하여, 양쪽에 연결된 제1 벨트와 제2 벨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제1 벨트를 반려동물의 허리에 감싸는 경우, 제2 벨트는 반려동물의 목에 두를 수 있다. 제1 벨트를 반려동물의 대퇴부에 감싸는 경우, 길이조절 연결부를 늘려서 제2 벨트가 반려동물의 목에 둘러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길이조절 연결부(230)를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반려동물 또는 반려동물의 다양한 위치에 LED 광을 안정적으로 조사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헬스케어를 위한 웨어러블 LED 장치가 제2 벨트를 더 포함하는 경우의 저면도이다.
도 5는 웨어러블 LED 장치(100)를 내부 포켓이 포함된 면의 반대쪽에서 본 저면도이다. 하네스(200b)는 외부 포켓(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포켓(250)은 제1 벨트(210)의 내부 포켓(220)이 설치된 반대 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 포켓(250)에는 보조 배터리, 건전지 팩 등 이동이 가능한 외부 전원(400)을 보관할 수 있다. 이동식 전원장치를 사용하면, 반려동물이 자유롭게 이동하면서도 LED 모듈(3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어서 유용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헬스케어를 위한 웨어러블 LED 장치가 제3 벨트를 더 포함하는 경우의 평면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LED 장치(100)의 하네스(200)는 직선형 제3 벨트(260, 2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LED 장치(100)의 하네스(200)는 고리형 제3 벨트(265, 2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직선형 또는 고리형 제3 벨트는 제1 벨트의 양 끝쪽, 제1 벨트 고정 수단(213, 217)이 있는 부분에 위치한다.
직선형 제3 벨트(260, 261)의 장축은 제1 벨트(210)의 장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다. 직선형 제3 벨트는 양 끝에 제3 벨트 고정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직선형 제3 벨트를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일부를 감싸고 제3 벨트 고정수단으로 고정하여, 제3 벨트의 장착을 보다 안정하게 할 수 있다.
고리형 제3 벨트(265, 266)도 감긴 방향이 제1 벨트가 감기는 방향과 수직이 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고리형 제3 벨트의 경우 고리의 크기가 늘어날 수 있도록 고무밴드 등 탄성을 가진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벨트를 고리형으로 고정시켜 착용할 수 없는 부위의 경우, 제3 벨트를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다른 부위를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의 대퇴부에 제1 벨트를 고정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제3 벨트를 반려동물의 다리부위에 고정시키면 제1 벨트틀 고리형이 아닌 말안장 형으로 착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3 벨트에 의해 제1 벨트의 흘러내림과 유동이 방지되므로, 제1 벨트 내의 LED 모듈이 효과적으로 반려동물의 대퇴부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3 벨트와 제2 벨트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 더욱 안정적인 착용을 보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헬스케어를 위한 웨어러블 LED 장치가 미끄럼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경우의 평면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LED 장치(100)의 하네스(200)는 복수개의 미끄럼 방지 부재(270, 2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미끄럼 방지 부재(270, 271)는 제1 벨트(210)의 내부 포켓(220) 주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끄럼 방지 부재(270, 271)는 하네스 특히 제1 벨트가 반려동물의 일부로부터 미끄러지지않도록 실리콘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b)를 참조하면, 미끄럼 방지 부재(275, 276)는 LED 모듈(300)이 내부 포켓(220) 밖으로 나오지 않도록 망사형 구조물의 개봉부에 끼워질 수 있는 단추 형태로 제1 벨트에 부착될 수 있다.
미끄럼 방지 부재(270, 271, 275, 276)는 원형, 타원형, 도너츠형, 삼각형, 사각형, 별모양, 하트모양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 미끄럼 방지 부재는 제1 벨트가 반려동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는 역할 뿐만 아니라, LED 모듈의 빛이 반려동물에게 잘 조사되며 통풍이 잘되어 일정한 온도가 유지되도록 간격을 유지하는 역할도 한다. 따라서, 미끄럼 방지 부재의 높이는 LED 모듈(300) 두께의 1.0배 내지 3.0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LED 모듈의 두께가 2mm인 경우, 미끄럼 방지 부재는 2mm 내지 6mm로 설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헬스케어를 위한 웨어러블 LED 장치를 반려동물의 허리 부위에 착용시킨 사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반려동물이 착용한 웨어러블 LED 장치(100)는 제1 벨트와 제2 벨트(240)를 포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벨트의 외부에 외부 포켓(250)이 있고, 그 안에 외부 전원(400)으로 보조배터리가 연결되어 있다. 미끄럼 방지 부재에 의해 제1 벨트와 반려동물 사이에 공간이 확보되므로, 제1 벨트의 주변으로는 LED 모듈의 빛이 새어 나와서 붉은 색으로 보이는 부분(500)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제1 벨트(210)는 반려동물의 허리 부분을 감싸도록 고정되어 있고, 제1 벨트와 연결된 제2 벨트(240)는 반려동물의 목 부분을 감싸도록 고정되어 있다. 제2 벨트(240)는 ‘Y’자 형태로 구성되어, 반려동물의 목 둘레 사이즈에 무관하게 간단히 반려동물에게 제2 벨트를 고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헬스케어를 위한 웨어러블 LED 장치를 반려동물의 대퇴부에 착용시킨 사진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제1 벨트(210)가 반려동물의 엉덩이, 대퇴부, 허벅지 부위를 감싸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이 경우 제1 벨트(210)는 말안장 모양으로 반려동물에 씌워진다. 반려동물의 이동에 따라 제1 벨트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제2 벨트(240)를 목 부위에 감을 수 있으며, 제1 벨트와 제2 벨트 사이의 간격이 도 8보다 커지므로, 길이조절 연결부(230)를 제1 벨트와 제2 벨트 사이에 부착하여,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제1 벨트(210)가 반려동물을 고리형으로 감싸지 못하고 말안장 모양으로 씌워져 있고, 제1 벨트에 부착된 고리형 제3 벨트(265, 266)가 반려동물의 다리 부위를 감싸도록 고정되어 있다. 제3 벨트를 다리에 고정함으로써 제1 벨트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사진에서 미끄럼 방지 부재(271)가 도너츠형상으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헬스케어를 위한 웨어러블 LED 장치는, 반려동물이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치료가 가능하고, 반려동물의 다양한 부위에 장착이 가능하여, 가정에서 간단히 반려동물의 LED 치료가 가능하다.
100 : 웨어러블 LED 장치
200 : 하네스
210 : 제1 벨트
213, 217 : 제1 벨트 고정 수단
220 : 내부 포켓
230 : 길이조절 연결부
240 : 제2 벨트
243, 247 : 제2 벨트 고정 수단
250 : 외부 포켓
260, 261 : 직선형 제3 벨트
265, 266 : 고리형 제3 벨트
270, 271, 275, 276 : 복수개의 미끄럼 방지 부재
300 : LED 모듈
310 : 플렉서블 기판
320 : 복수개의 광원부
325 : LED 광원
330 : 외피층
335 : 광원부 구멍
340 : USB 연결부
350 : 온도조절부
400 : 외부 전원

Claims (10)

  1. 반려동물 헬스케어를 위한 웨어러블 LED 장치에 있어서,
    반려동물을 감싸서 고정할 수 있는 하네스; 및
    상기 하네스에 탈착 가능한 LED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하네스는,
    양 끝에 고정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고정 수단을 체결한 경우 반려동물의 일부를 고리모양으로 둘러 덮을 수 있는 제1 벨트; 및
    상기 제1 벨트의 한쪽 면에 설치되어 상기 LED 모듈을 수납할 수 있는 내부 포켓;을 포함하고,
    상기 LED 모듈은,
    휘어질 수 있는 플렉서블 기판;
    상기 플렉서블 기판 위에 설치되어 외부로 빛을 방출할 수 있는 LED 광원을 구비한 복수개의 광원부; 및
    상기 플렉서블 기판을 덮어 보호하되, 상기 광원부가 위치한 곳에 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LED 광원의 빛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으며 외부와 직접 닿지 않도록 간격을 형성할 수 있는 외피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LED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 모듈은, 외부 전원과 연결될 수 있는 USB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LED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의 LED 광원은, 파장이 다른 복수개의 LE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LED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의 LED 광원은, 적색 LED와 근적외선 LE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LED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 모듈은, 설정된 온도 이상이 되는 경우 외부로부터의 전류를 차단하여 반려동물의 저온화상을 방지하는 온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LED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네스는,
    상기 제1 벨트보다 폭이 좁고, 양 끝에 고정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고정 수단을 체결한 경우 반려동물의 일부를 고리모양으로 둘러 덮을 수 있는 제2 벨트;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LED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네스는,
    상기 제1 벨트와 상기 제2 벨트의 중앙부에 각각 연결되고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LED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포켓은, 상기 LED 모듈의 광이 반려동물에게 비추어질 수 있는 망사형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LED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네스는, 상기 제1 벨트의 내부 포켓이 설치된 반대 면에 설치되는 외부 포켓;을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LED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네스는, 상기 제1 벨트의 내부 포켓의 주위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미끄럼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LED 장치.
KR1020190051117A 2019-05-01 2019-05-01 반려동물 헬스케어를 위한 웨어러블 led 장치 KR202001272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117A KR20200127291A (ko) 2019-05-01 2019-05-01 반려동물 헬스케어를 위한 웨어러블 led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117A KR20200127291A (ko) 2019-05-01 2019-05-01 반려동물 헬스케어를 위한 웨어러블 led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291A true KR20200127291A (ko) 2020-11-11

Family

ID=73451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117A KR20200127291A (ko) 2019-05-01 2019-05-01 반려동물 헬스케어를 위한 웨어러블 led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7291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950B1 (ko) 2010-12-17 2011-08-26 (주)블루앤 반려동물 케어 램프
KR101210952B1 (ko) 2012-05-23 2012-12-11 케이디지전자 주식회사 근적외선을 이용한 헬스 케어 복대
KR20130028182A (ko) 2011-08-12 2013-03-19 문성모 반려동물용 엘이디광 피부조사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950B1 (ko) 2010-12-17 2011-08-26 (주)블루앤 반려동물 케어 램프
KR20130028182A (ko) 2011-08-12 2013-03-19 문성모 반려동물용 엘이디광 피부조사기
KR101210952B1 (ko) 2012-05-23 2012-12-11 케이디지전자 주식회사 근적외선을 이용한 헬스 케어 복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2555B2 (en) Light therapy bandage system
CN106413810B (zh) 用于脑的非侵入式神经刺激治疗的系统和装置
US20150112411A1 (en) High powered light emitting diode photobiology compositions, methods and systems
KR100987729B1 (ko) 엘이디를 이용한 비염치료기
US20220126113A1 (en) Portable rechargeable led red light cavity healing devices
US6358272B1 (en) Therapy apparatus with laser irradiation device
US6811563B2 (en) Portable light delivery apparatus and methods for delivering light to the human body
US20160256706A1 (en) Wearable Apparatus for Low Level Light Therapy Employing Semiconductor Light Sources
US8246666B2 (en) Phototherapy garment
US20160263395A1 (en) Modular Low-Level Light Therapy System Employing Semiconductor Light Sources
US20150038886A1 (en) Delivery of audio and tactile stimulation therapy for animals and humans
JP7453496B2 (ja) 動物用治療器、光治療器、および人間以外の動物の治療方法
WO2014030856A1 (ko) 피부치료용 광 조사기
CN212592697U (zh) 一种美容眼罩
US20190224496A1 (en) Wireless sensor system, for use in a phototherapy system, capable of harvesting energy
WO2019070116A1 (en) INTELLIGENT SYSTEM FOR AUTOMATED DIAGNOSIS AND TREATMENT OF NEONATAL JAG
EP3801754A1 (en) Apparatus for biophotonic tissue treatments
KR102044535B1 (ko) 휴대용 광복합 무좀 치료기
KR20200127291A (ko) 반려동물 헬스케어를 위한 웨어러블 led 장치
KR20180107074A (ko) 피부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컴팩트 uvb 광치료장치
RU20369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тотерапии новорожденного ребенка
KR20220094418A (ko) 반려동물용 웨어러블 led 장치
US6755820B1 (en) Laser probe for medical treatment
EP3673954A1 (en) Device and method for inducing improvement of cerebral circulation
US20230264040A1 (en) Light therap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