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7237A - Coke dry fire extinguishing system - Google Patents

Coke dry fire extinguish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7237A
KR20200127237A KR1020207028404A KR20207028404A KR20200127237A KR 20200127237 A KR20200127237 A KR 20200127237A KR 1020207028404 A KR1020207028404 A KR 1020207028404A KR 20207028404 A KR20207028404 A KR 20207028404A KR 20200127237 A KR20200127237 A KR 20200127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e
coke
pressure
partition member
fire extingu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84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마사시 모리타
요스케 와타나베
마사에이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폴워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폴워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폴워스
Publication of KR20200127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723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39/00Cooling or quenching coke
    • C10B39/02Dry cooling outside the ov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ke Industry (AREA)

Abstract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는, 벽부(3a)에 의해 위요된 냉각실을 가지는 냉각탑(3)과, 냉각탑에 설치되고, 냉각실 내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와, 냉각탑의 벽부 중, 가스 공급부보다 연직 방향의 위쪽에 형성되고, 냉각실로 개구되는 소연도(13)와, 소연도에 설치되고, 소연도를, 상단 플루(13c1), 및 상단 플루보다 냉각탑의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하단 플루(13c2)로 구획하는 칸막이 부재(100)와, 적어도 하단 플루의 압력을 검지하는 압력 검지부(200)를 구비한다. The coke dry fire extinguishing facility includes a cooling tower 3 having a cooling chamber required by a wall 3a, a gas supply unit installed in the cooling tower and supplying gas into the cooling chamber, and a vertical direction than the gas supply unit among the walls of the cooling tower. The small flue 13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opened to the cooling chamber, the small flue installed in the small flue, the upper flue 13c 1 , and the lower flue 13c located outside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ooling tower than the upper flue It includes a partition member 100 divided by 2 ), and a pressure detection unit 200 that detects at least the pressure of the lower flue.

Description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Coke dry fire extinguishing system

본 개시는,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coke dry quenching facility)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coke dry quenching facility.

종래,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가 알려져 있다.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는, 코크스 노(爐; furnace)로부터 압출(押出)되는 코크스를 소화, 냉각시킨다.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는, 냉각탑을 구비하고 있다. 냉각탑은, 예비실, 및 예비실의 아래쪽에 연속하는 냉각실이 내부에 형성된다. 코크스[적열(赤熱) 코크스]는, 냉각탑의 정상부(頂部)로부터 예비실에 장입(裝入)된다. 코크스(적열 코크스)는, 예비실로부터 냉각실로 이동한다. 냉각실에는, 하부로부터 불활성 가스가 공급된다. 불활성 가스와의 열교환에 의해, 코크스가 소화, 냉각된다. Conventionally, coke dry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is known. The coke dry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extinguishes and cools coke extruded from a coke furnace. The coke dry fire extinguishing facility is equipped with a cooling tower. The cooling tower is provided with a spare chamber and a cooling chamber continuous below the spare chamber. Coke (red-heated coke) is charged into the spare chamber from the top of the cooling tower. Coke (red heat coke) moves from the spare chamber to the cooling chamber. Inert gas is supplied to the cooling chamber from the bottom. Coke is extinguished and cooled by heat exchange with an inert gas.

냉각탑에는, 냉각실으로 개구되는 소연도(小煙道)가 주위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불활성 가스는, 코크스를 소화, 냉각하면서 냉각실을 상승한다. 불활성 가스는, 소연도로부터 냉각실의 외부로 배출된다. In the cooling tower, a plurality of small flues that open to the cooling chamber ar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inert gas raises the cooling chamber while extinguishing and cooling coke. The inert gas is discharged from the small flue to the outside of the cooling chamber.

특허문헌 1,2에는, 소연도에 칸막이 부재(partitioning member)가 설치된, 이른바 2단 플루(flue) 타입의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가 개시되어 있다. 2단 플루 타입의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에서는, 칸막이 부재에 의해, 소연도에 상단(上段) 플루와 하단(下段) 플루가 형성된다. Patent Documents 1 and 2 disclose a so-called two-stage flue type coke dry fire extinguishing system in which a partitioning member is provided in a small flue. In a two-stage flue type coke dry fire extinguishing facility, upper flue and lower flue are formed in a small flue by a partition member.

소연도에는, 가스류에 가압되어, 냉각실의 개구의 상단(上端)으로부터 코크스가 침입한다. 한편, 냉각실 내를 하강하는 코크스에 끌려가, 소연도 내에 침입한 코크스가 냉각실으로 돌아온다. 이와 같이, 소연도에는, 코크스의 흐름이 생긴다. 소연도가 복수의 플루에 구획되는 2단 플루 타입에서는, 칸막이 부재이 설치되지 않는 싱글 플루 타입에 비하여, 소연도 내에 침입하는 코크스의 총량이 저감된다. 그러므로, 2단 플루 타입에서는, 싱글 플루 타입에 비하여, 통풍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e small flue, it is pressurized by a gas flow, and coke enters from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of the cooling chamber. On the other hand, the inside of the cooling chamber is dragged by the coke that descends, and the coke that has penetrated into the small flue returns to the cooling chamber. In this way, the flow of coke occurs in the small flue. In the two-stage flue type in which the small flu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flues, the total amount of coke penetrating into the small flue is reduced compared to the single flue type in which the partition member is not provided. Therefore, in the two-stage flue type, the ventilation ability can be improved compared to the single flue type.

일본 특허 제4137676호 공보Japanese Patent No. 4137676 일본 공개특허 제2016―23230호 공보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6-23230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에서는, 소연도에 대한 코크스의 침입과 탈출이 연속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이 때, 소연도에 침입하는 코크스(이하, 「침입 코크스」라고 함)의 양과, 소연도로부터 탈출하는 코크스(이하, 「탈출 코크스」라고 함)의 양과의 밸런스가 무너져, 침입 코크스의 양이 탈출 코크스의 양을 크게 상회하면, 통상 조업이 불가능하게 된다. In the coke dry fire extinguishing system, intrusion and escape of coke into the small flue are continuously performed. At this time, the balance between the amount of coke entering the small flue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trusion coke'') and the amount of coke escaping from the small flue (hereinafter referred to as ``escape coke'') is broken, and the amount of invading coke is broken. If the amount of escape coke is greatly exceeded, normal operation becomes impossible.

그러므로, 일반적인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에 있어서는, 소연도의 코크스의 양을 감시 가능하도록, 원환(圓環) 연도(煙道) 천정부(ceiling portion)의 점검구로부터, 소연도를 육안으로 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2단 플루 타입의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에서는, 칸막이 부재에 의해 소연도의 육안이 방해되어, 소연도에서의 코크스의 양의 감시가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Therefore, in a general coke dry fire extinguishing facility, it is constructed so that the small flue can be seen with the naked eye from the inspection port of the ceiling portion of the toroidal flue so that the amount of coke in the small flue can be monitored. have. 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two-stage flue type coke dry fire extinguishing facility, there is a fear that the visual inspection of the small flue is obstructed by the partition member, making it difficult to monitor the amount of coke in the small flue.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는, 소연도에서의 위험한 코크스의 양을 용이하게 감시할 수 있는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disclosure aims to provide a coke dry fire extinguishing facility capable of easily monitoring the amount of dangerous coke in a small flue.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태양(態樣)에 관한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는, 벽부에 의해 위요된 냉각실을 가지는 냉각탑과, 냉각탑에 설치되고, 냉각실 내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와, 냉각탑의 벽부 중, 가스 공급부보다 연직(沿直) 방향의 위쪽에 형성되고, 냉각실로 개구되는 소연도와, 소연도에 설치되고, 소연도를, 연직 방향으로 복수의 플루로 구획하는 칸막이 부재와, 적어도, 복수의 플루 중 연직 방향의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최하단 플루의 압력을 검지하는 압력 검지부를 구비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a coke dry fire extinguishing facility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oling tower having a cooling chamber required by a wall, and a gas supply unit installed in the cooling tower and supplying gas into the cooling chamber. Wow, of the wall of the cooling tower, a partition member formed above the gas supply 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provided in the small flue opening to the cooling chamber and the small flue, and partitioning the small flue into a plurality of flu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t least, a pressur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pressure of a lowermost flu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plurality of flues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압력 검지부는, 최하단 플루의 압력을 검지하는 하부 검지부와, 하부 검지부보다 연직 방향의 위쪽의 압력을 검지하는 상부 검지부와, 하부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압력과, 상부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압력과의 차압(差壓)을 도출하는 차압 도출부(導出部)를 포함해도 된다. In addition, the pressure detection unit includes a lower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pressure of the lowermost flue, an upper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 pressure vertically above the lower detection unit, the pressure detected by the lower detection unit, and the pressure detected by the upper detection unit. You may include a differential pressure derivation part for deriving the differential pressure of.

또한, 상부 검지부는, 칸막이 부재의 상단보다 연직 방향의 위쪽의 압력을 검지해도 된다. Further, the upper detection unit may detect a pressure above the upper end of the partition member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차압 도출부에 의해 도출된 차압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으로 되면 소정의 통지를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해도 된다. In addition, a control unit may be provided that provides a predetermined notification when the differential pressure derived by the differential pressure derivation unit exceeds a preset threshold value.

또한, 압력 검지부는, 복수의 상이한 소연도에 설치되어도 된다. In addition, the pressure detection unit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different small flues.

본 개시에 의하면, 소연도에서의 위험한 코크스의 양을 용이하게 감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possible to easily monitor the amount of dangerous coke in a small flue.

도 1은,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3는, 칸막이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선 단면도이다.
도 5는, 칸막이 부재의 4방향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칸막이 부재의 장착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VII―VII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로부터 칸막이 부재를 분리해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침입 코크스의 양이 증가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의 제어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은, 제1 변형예의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2 변형예의 칸막이 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는, 제3 변형예의 칸막이 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4 변형예의 칸막이 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figure explaining the coke dry fire extinguishing system.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in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ition member.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IV in FIG. 3.
5 is a plan view of the partition member in four directions.
6: is a figure explaining the attachment state of a partition member.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VII in FIG. 6.
Fig. 8 shows a state in which the partition member has been removed from Fig. 7.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amount of intrusive coke is increased.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trol process of a coke dry fire extinguishing facility.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ke dry fire extinguishing system according to a first modification.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rtition member of a second modified example.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rtition member of a third modified example.
14: is a figure explaining the partition member of 4th modification.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치수, 재료, 그 외에 구체적인 수치 등은,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본 개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지는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또한 본 개시에 직접 관계가 없는 요소는 도시를 생략한다. 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imensions, materials, and other specific numerical values shown in these embodiments are only examples for facilitating understanding, and do not limit the present disclosure, except in the case of special limita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elements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so that redundant descriptions are omitted, and element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are omitted.

도 1은,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1)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1)는, 냉각탑(3)을 구비한다. 냉각탑(3)은, 환형(環形)으로 형성되는 벽부(3a)를 구비한다. 냉각탑(3)에는, 벽부(3a)에 의해 위요된 예비실(5) 및 냉각실(7)이 설치된다. 예비실(5)은, 벽부(3a)의 정상부에 형성되는 투입구(5a)를 구비한다. 투입구(5a)로부터 냉각탑(3) 내에 코크스가 장입된다. 냉각실(7)은, 예비실(5)에 연속하는 공간이며, 예비실(5)의 아래쪽에 설치된다. 냉각실(7)의 바닥부에는, 벽부(3a)를 관통하는 가스 공급구(7a)(가스 공급부)가 형성된다. 가스 공급구(7a)로부터 냉각탑(3) 내에, 예를 들면, 질소 등의 불활성 가스를 주로 하는 순환 가스가 공급된다. 또한, 냉각실(7)의 바닥부에는, 가스 분배 기구(機構)(9)가 설치되어 있다. 가스 분배 기구(9)는, 가스 공급구(7a)로부터 냉각탑(3) 내에 공급된 순환 가스를 분류(分流)시킨다. 1: is a figure explaining the coke dry type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1.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in FIG. 1. As shown in FIG. 1, the coke dry fire extinguishing facility 1 includes a cooling tower 3. The cooling tower 3 includes a wall portion 3a formed in an annular shape. The cooling tower 3 is provided with a preliminary chamber 5 and a cooling chamber 7 forged by a wall portion 3a. The spare chamber 5 is provided with an inlet 5a formed at the top of the wall 3a. Coke is charged into the cooling tower 3 from the inlet 5a. The cooling chamber 7 is a space continuous to the spare chamber 5 and is provided below the spare chamber 5. A gas supply port 7a (gas supply part) penetrating the wall 3a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ooling chamber 7. A circulation gas mainly composed of an inert gas such as nitrogen is supplied into the cooling tower 3 from the gas supply port 7a. Further, a gas distribution mechanism 9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cooling chamber 7. The gas distribution mechanism 9 divides the circulating gas supplied into the cooling tower 3 from the gas supply port 7a.

벽부(3a) 중, 예비실(5)을 위요(圍繞) 형성하는 부분에는, 환형 연도(煙道)(11)가 형성된다. 환형 연도(11)는, 벽부(3a)의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공(環形孔)이다. 또한, 벽부(3a)에는, 냉각실(7)에 개구부(13a)를 개구시킨 복수의 소연도(13)가 설치된다. 소연도(13)는, 벽부(3a) 중, 가스 공급구(7a) 및 가스 분배 기구(9)보다 연직 방향의 위쪽에 위치한다. 소연도(13)는, 냉각탑(3)의 주위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 형성된다. 소연도(13)는, 환형 연도(11)와 냉각실(7)을 연통시킨다. 즉, 소연도(13)는, 냉각실(7)와 환형 연도(11)를 연결하는 통로이다. 순환 가스는, 소연도(13)를 통해 냉각실(7)로부터 환형 연도(11)로 배출된다. An annular flue 11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wall portion 3a that substantially forms the spare chamber 5. The annular flue 11 is an annular hole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wall portion 3a. Further, in the wall portion 3a, a plurality of small flue furnaces 13 having an opening 13a opened in the cooling chamber 7 are provided. The small flue 13 is located vertically above the gas supply port 7a and the gas distribution mechanism 9 among the wall portions 3a. The small flue 13 is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oling tower 3 and is formed in plurality. The small flue 13 makes the annular flue 11 and the cooling chamber 7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at is, the small flue 13 is a passage connecting the cooling chamber 7 and the annular flue 11. The circulating gas is discharged from the cooling chamber 7 to the annular flue 11 through the small flue 13.

본 실시형태에서는, 벽부(3a) 중, 환형 연도(11)와 예비실(5)을 구획하는 부분을 내측 벽부(3b)라고 한다. 즉, 벽부(3a) 중, 환형 연도(11)의 직경 방향 내측이 내측 벽부(3b)로 된다. 따라서, 소연도(13)의 냉각실(7) 측의 개구부(13a)는, 내측 벽부(3b)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비실(5)은, 소연도(13)의 개구부(13a)보다 위쪽의 공간이다. 개구부(13a)는, 냉각실(7)로 개구되어 있다. 즉, 소연도(13)의 개구부(13a)의 상단 부분이, 예비실(5)과 냉각실(7)과의 경계로 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ortion of the wall portion 3a that divides the annular flue 11 and the spare chamber 5 is referred to as an inner wall portion 3b. That is, among the wall portions 3a, the inner side of the annular flue 11 in the radial direction becomes the inner wall portion 3b. Accordingly, the opening 13a on the side of the cooling chamber 7 of the small flue 13 is positioned below the inner wall portion 3b. In this embodiment, the spare chamber 5 is a space above the opening 13a of the small flue 13. The opening 13a is opened to the cooling chamber 7. That is,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opening 13a of the small flue 13 becomes a boundary between the spare chamber 5 and the cooling chamber 7.

냉각실(7)의 내경(內徑)은, 예비실(5)의 내경보다 크다. 환언하면, 벽부(3a) 중, 냉각실(7)을 위요하는 부위의 내경은, 내측 벽부(3b)의 내경보다 크다. 벽부(3a)의 내주면(內周面)에는, 내측 벽부(3b)의 하단(下端)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내경이 점증(漸增)하는 경사면(3c)이 형성된다. 경사면(3c)에는, 소연도(13)의 개구부(13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소연도(13)의 개구부(13a)는, 연직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내측 벽부(3b)의 내주면에는, 냉각탑(3)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기가 형성되어도 된다. The inner diameter of the cooling chamber 7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pare chamber 5. In other words, among the wall portions 3a, the inner diameter of the portion for the cooling chamber 7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inner wall portion 3b.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ll portion 3a, an inclined surface 3c whose inner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inner wall portion 3b is formed. An opening 13a of the small flue 13 is 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 3c. Therefore, the opening 13a of the small flue 13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Further,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wall portion 3b, a protrusion protruding inwar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ooling tower 3 may be formed.

벽부(3a)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형 연도(11)의 환형 바닥부(11a)가 형성된다. 환형 바닥부(11a)는 환형으로 연장되어 있고, 소연도(13)의 상부 개구(13b)가 환형 바닥부(11a)로 개구되어 있다. 환형 바닥부(11a)에는, 복수의 공기 공급구(15)가 설치되어 있다. 공기 공급구(15)는, 인접하는 상부 개구(13b)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복수의 공기 공급구(15)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분기관(17)이 접속되어 있다. 복수의 분기관(17)은, 주배관(19)을 통해 팬(fan)(21)에 접속되어 있다. 주배관(19)은, 분기관(17)을 통하여, 공기 공급구(15)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한다. 그리고, 분기관(17)에는, 연소용 공기의 유량(流量)을 조정하는 유량 조정 밸브(23)가 설치되어 있다. 주배관(19)에는, 제어 밸브(25)가 설치되어 있다. In the wall part 3a, as shown in FIG. 2, the annular bottom part 11a of the annular flue 11 is formed. The annular bottom portion 11a extends in an annular shape, and an upper opening 13b of the small flue 13 is opened by the annular bottom portion 11a. A plurality of air supply ports 15 are provided in the annular bottom 11a. The air supply port 15 is located between the adjacent upper openings 13b. Branch pipes 17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air supply ports 15 as shown in FIG. 1. The plurality of branch pipes 17 are connected to a fan 21 through a main pipe 19. The main pipe 19 supplies combustion air to the air supply port 15 through the branch pipe 17. The branch pipe 17 is provided with a flow rate adjustment valve 23 that adjusts the flow rate of the combustion air. A control valve 25 is provided in the main pipe 19.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1)는, 중력 침강식(沈降式)의 제진기(除塵器)(31)를 구비하고 있다. 제진기(31)는, 냉각탑(3)에 접속된 제진 벽부(31a)를 가지고 있다. 제진 벽부(31a) 내에는, 연도(33)가 형성되어 있다. 제진 벽부(31a)는, 냉각탑(3)의 벽부(3a)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제진 벽부(31a)는, 벽부(3a)로부터 냉각탑(3)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벽부(3a) 중, 환형 연도(11)를 위요하는 부위에는, 주위 방향의 일부에 걸쳐 환형 연도(11)를 벽부(3a)의 외부로 개구시키는 연통구(連通口)(3d)가 형성되어 있다. 제진 벽부(31a)는, 연통구(3d)의 주위를 덮도록, 벽부(3a)의 외주면으로부터 냉각탑(3)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로써, 제진 벽부(31a) 내에 형성되는 연도(33)는, 연통구(3d)를 통해 환형 연도(11)와 연통되게 된다. The coke dry fire extinguishing system 1 is equipped with a gravity settling type vibration damper 31. The vibration isolator 31 has a vibration isolation wall portion 31a connected to the cooling tower 3. A flue 33 is formed in the vibration isolation wall 31a. The vibration isolation wall portion 31a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wall portion 3a of the cooling tower 3. The vibration suppression wall portion 31a extends from the wall portion 3a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ooling tower 3. That is, in the portion of the wall portion 3a that requires the annular flue 11, a communication port 3d for opening the annular flue 11 to the outside of the wall 3a over a part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provided. Is formed. The vibration isolation wall portion 31a extends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ooling tower 3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all portion 3a so as to cover the periphery of the communication port 3d. Thereby, the flue 33 formed in the vibration isolation wall 31a is communicated with the annular flue 11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3d.

제진 벽부(31a)는, 냉각탑(3)으로부터 이격될수록 아래쪽으로 경사진 테이퍼부(31b)를 구비한다. 따라서, 연도(33)는, 냉각탑(3)으로부터 이격될수록 단면적(斷面績)이 커지게 된다. 또한, 연도(33)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제진 벽부(31a)에는, 탈출구(31c)가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부(31b)의 하류측의 단부(端部)는, 탈출구(31c)에 접속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냉각탑(3)으로부터 연도(33)로 배출되는 순환 가스에는 분진(粉塵)이 포함되어 있다. 순환 가스 중의 분진은, 연도(33)를 유통(流通)하는 과정에서 중력에 의해 순환 가스로부터 분리되고, 탈출구(31c)로부터 시스템 밖으로 배출된다. The vibration-isolating wall portion 31a includes a tapered portion 31b inclined downward as spaced apart from the cooling tower 3. Accordingly,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ue 33 increases as it is spaced apart from the cooling tower 3. Further, in the vibration-isolating wall portion 31a constitu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flue 33, an escape port 31c is formed. The end of the tapered portion 31b on the downstream side is connected to the escape port 31c. Although described in detail later, dust is contained in the circulation gas discharged from the cooling tower 3 to the flue 33. Dust in the circulating gas is separated from the circulating gas by gravity in the course of flowing through the flue 33 and discharged from the system through the escape port 31c.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1)는, 보일러(41)를 구비한다. 보일러(41)는, 제진기(31)의 후단(後段)에 설치된다. 보일러(41)는, 제진기(31)를 통과한 순환 가스로부터 코크스의 현열(顯熱)을 열회수한다. 보일러(41)는, 제진 벽부(31a)에 연속하는 보일러 벽부(41a)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는, 보일러 벽부(41a)는, 제진 벽부(31a)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보일러 벽부(41a) 내에는, 증기를 생성하는 보일러 튜브의 일부인 스크린관(43)이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관(43)은, 순환 가스가 통과할 수 있도록, 간극을 두고 병렬로 배열되어 있다. 보일러 벽부(41a) 내에는, 내부를 열매체가 유통하는 열교환 배관(45)이 설치되어 있다. 열교환 배관(45)의 내부를 유통하는 열매체와, 보일러 벽부(41a) 내를 유통하는 순환 가스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이 행해지고, 코크스의 현열이 열 회수된다. The coke dry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1 is provided with a boiler 41. The boiler 41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vibration damper 31. The boiler 41 heat-recovers sensible heat of coke from the circulating gas that has passed through the vibration damper 31. The boiler 41 is provided with the boiler wall part 41a continuing to the vibration suppression wall part 31a. Here, the boiler wall part 41a is comprised integrally with the vibration suppression wall part 31a. In the boiler wall part 41a, a screen tube 43 which is a part of the boiler tube generating steam is provided. The screen pipes 43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a gap so that circulating gas can pass. In the boiler wall part 41a, a heat exchange pipe 45 through which a heat medium flows is provided. Heat exchange is performed between the heat medium flowing inside the heat exchange pipe 45 and the circulating gas flowing inside the boiler wall portion 41a, and sensible heat of coke is heat recovered.

보일러(41)에는, 순환 덕트(duct)(47)가 접속되어 있다. 순환 덕트(47)는, 보일러 벽부(41a) 중, 열교환 배관(45)보다 순환 가스의 유통 방향의 하류측에 접속된다. 순환 덕트(47)에는, 순환 블로워(blower)(51)의 흡입측이 접속되어 있다. 이 순환 블로워(51)의 토출측은, 냉각탑(3)의 가스 공급구(7a)에 접속되어 있다. 보일러(41)를 통과한 순환 가스는, 순환 블로워(51)에 의해 냉각탑(3)에 송풍된다. A circulation duct 47 is connected to the boiler 41. The circulation duct 47 is connected to the downstream side in the circulation direction of the circulation gas from the heat exchange pipe 45 among the boiler wall portions 41a. A suction side of a circulation blower 51 is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duct 47. The discharge side of the circulation blower 51 is connected to the gas supply port 7a of the cooling tower 3. The circulation gas passing through the boiler 41 is blown by the circulation blower 51 to the cooling tower 3.

상기한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1)에 의하면, 투입구(5a)로부터 냉각탑(3) 내에 코크스(적열 코크스)가 장입된다. 냉각탑(3) 내에서는, 예비실(5) 및 냉각실(7)에 코크스가 충전되어 있다. 냉각탑(3) 내에는, 순환 블로워(51)에 의해, 가스 공급구(7a) 및 가스 분배 기구(9)를 통하여, 순환 가스가 공급된다. 순환 가스는, 냉각실(7) 내를 상승하는 과정에서 코크스를 냉각시킨다. 순환 가스에 의해 냉각된 코크스는, 냉각실(7)의 하부로부터 잘라내지고. 냉각실(7)로부터 잘라내어진 코크스의 양에 따라, 투입구(5a)로부터 새롭게 냉각탑(3) 내에 코크스가 장입된다. According to the coke dry fire extinguishing system 1 described above, coke (red heat coke) is charged into the cooling tower 3 from the inlet 5a. In the cooling tower 3, the spare chamber 5 and the cooling chamber 7 are filled with coke. Circulating gas is supplied into the cooling tower 3 through a gas supply port 7a and a gas distribution mechanism 9 by a circulation blower 51. The circulating gas cools the coke in the process of raising the inside of the cooling chamber 7. The coke cooled by the circulating gas is cut out from the lower part of the cooling chamber 7. Coke is newly charged into the cooling tower 3 from the inlet 5a according to the amount of coke cut out from the cooling chamber 7.

코크스를 냉각한 순환 가스는, 소연도(13)를 통해 환형 연도(11)로 배출된다. 이 때, 환형 연도(11)의 환형 바닥부(11a)에 설치된 공기 공급구(15)로부터, 연소용 공기가 공급된다. 연소용 공기는, 소연도(13)를 통과한 직후의 고온의 순환 가스와 혼합된다. 연소용 공기는, 혼합 가스 중에 포함되는 가연성(可燃性) 가스(수소, 일산화탄소)를 연소시킨다. 순환 가스는, 환형 연도(11)로부터 제진기(31)로 안내된다. 순환 가스는, 연도(33)를 유통하는 과정에서, 중력 침강에 의해 분진이 분리된다. 순환 가스로부터 분리된 분진은, 탈출구(31c)로부터 시스템 밖으로 배출된다. The circulation gas obtained by cooling the coke is discharged to the annular flue 11 through the small flue 13. At this time, air for combustion is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port 15 provided in the annular bottom portion 11a of the annular flue 11. The combustion air is mixed with the high-temperature circulating gas immediately after passing through the small flue 13. The combustion air burns combustible gases (hydrogen, carbon monoxide) contained in the mixed gas. The circulating gas is guided from the annular flue 11 to the vibration damper 31. In the course of circulating the circulating gas in the flue 33, dust is separated by gravity sedimentation. The dust separated from the circulating gas is discharged out of the system through the escape port 31c.

분진이 분리된 순환 가스는, 보일러(41)로 안내된다. 순환 가스는, 스크린관(43) 및 열교환 배관(45)에 의해, 코크스의 현열이 열 회수된다. 열회수에 의해 냉각된 순환 가스는, 순환 덕트(47)를 통해 순환 블로워(51)에 의해 흡입된다. 순환 블로워(51)에 흡입된 순환 가스는, 재차, 가스 공급구(7a)로부터 냉각탑(3) 내로 공급되게 된다. The circulating gas from which the dust is separated is guided to the boiler 41. As for the circulating gas, sensible heat of coke is heat recovered by the screen pipe 43 and the heat exchange pipe 45. The circulation gas cooled by heat recovery is sucked in by the circulation blower 51 through the circulation duct 47. The circulating gas sucked into the circulation blower 51 is again supplied from the gas supply port 7a into the cooling tower 3.

여기서, 소연도(13)에는, 칸막이 부재(100)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1)는, 칸막이 부재(100)에 의해 소연도(13)가 복수의 플루(통로)에 칸막이 된 다단(多段) 플루 타입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연도(13)가, 칸막이 부재(100)에 의해 2개의 플루(통로)로 칸막이 된 2단 플루 타입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 a partition member 100 is provided in the small flue 13. The coke dry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stituted of a multi-stage flue type in which the small flue 13 is partitioned by a partition member 100 in a plurality of flues (passages). In this embodiment, a two-stage flue type in which the small flue 13 is partitioned by two flues (passages) by the partition member 100 will be described.

도 3은, 칸막이 부재(10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선 단면도이다. 도 5는, 칸막이 부재(100)의 4방향의 평면도이다. 칸막이 부재(100)는, 평판(flat plate) 형상의 본체부(102)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에 나타낸 x방향을 본체부(102)의 폭 방향이라고 하고, 도 3에 나타낸 y방향을 본체부(102)의 길이 방향이라고 한다. 본체부(102)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제(예를 들면, 스테인레스강)의 판재(104)에 내화물이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다.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artition member 100.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IV in FIG. 3. 5 is a plan view of the partition member 100 in four directions. The partition member 100 is provided with the main body part 102 of a flat plate shape. Hereinafter, the x direction shown in FIG. 3 is referred to as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02, and the y direction shown in FIG. 3 is referred to as the length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02. As shown in FIG. 4, the main body part 102 is comprised by laminating refractory materials on a plate material 104 made of metal (for example, stainless steel).

구체적으로는, 판재(104)는, 평판 형상의 평면부(104a)와, 한 쌍의 측면부(104b)를 포함한다. 측면부(104b)는, 평면부(104a)의 폭 방향의 양단에 설치되어 있다. 측면부(104b)는, 평판 형상의 양단을 대략 90° 굴곡시킨 단면(斷面) 형상이다. 한 쌍의 측면부(104b)는, 본체부(102)의 폭 방향으로 대향한다. 평면부(104a) 및 측면부(104b)는, 길이 방향으로 같은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평면부(104a)와 측면부(104b)가 별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평면부(104a)와 측면부(104b)는, 1개의 부재를 굴곡시켜 성형되어도 된다. Specifically, the plate member 104 includes a flat planar portion 104a and a pair of side surfaces 104b. The side surfaces 104b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lat surface 104a in the width direction. The side surface 104b has a cross-sectional shape in which both ends of the flat plate shape are bent by approximately 90°. The pair of side surfaces 104b face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2. The planar portion 104a and the side surface portion 104b extend by the sam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 this embodiment, the planar portion 104a and the side surface portion 104b are constituted by separate member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lat portion 104a and the side portion 104b may be formed by bending one member.

판재(104)는, 평면부(104a)의 표면측 및 이면측(裏面側)에, 측면부(104b)를 대략 90°의 각도로 돌출시킨 단면 형상이다. 평면부(104a)의 표면측에는, 평면부(104a) 및 측면부(104b)에 위요된 부분에, 내화물로 구성되는 내화물층(耐火物層)(106)(도 4에 크로스 해칭으로 나타냄)이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본체부(102)는, 판재(104)에 내화물이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내화물층(106)은, 내화물을 분쇄한 골재에 결합재가 배합된 부정형 내화물[캐스터블(castable) 내화물, 내화 콘크리트]로 구성되어 있다. The plate member 104 has a cross-sectional shape in which the side surface portion 104b protrudes at an angle of approximately 90° to the front side and the back side of the flat portion 104a. On the surface side of the flat portion 104a, a refractory layer 106 (represented by cross hatching in Fig. 4) made of refractory material is formed in the portion important for the flat portion 104a and the side portion 104b. Has been. In other words, the main body portion 102 is formed by laminating refractory materials on the plate material 104. Here, the refractory layer 106 is composed of an irregular refractory material (castable refractory material, refractory concrete) in which a binder is mixed with an aggregate obtained by pulverizing the refractory material.

판재(104)에는, 복수의 보강 부재(108)가 설치되어 있다. 보강 부재(108)는, 캐스터블 앵커나 앵커 볼트 등의 봉 부재(bar member)로 구성된다. 보강 부재(108)는, 금속제이다. 보강 부재(108)는, 예를 들면, v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단, 보강 부재(108)는, U자 형상, J자 형상, 또는 L자 형상 등, v자 형상과 다른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보강 부재(108)는, 판재(104)에 용접된다. 단, 보강 부재(108)는, 판재(104)에 체결되어도 되고, 판재(104)에 끼워맞추어져도 된다. 복수의 보강 부재(108)는, 본체부(102)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복수의 보강 부재(108)는, 본체부(102)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즉, 복수의 보강 부재(108)는, 본체부(102)에 격자형 또는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된다. 보강 부재(108)는, v자 형상부가 내화물층(106) 내에 매설된다. 환언하면, 보강 부재(108)의 V자 형상부는, 부정형 내화물에 피복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보강 부재(108)는, 내화물층(106) 내에 배치된다. The plate member 104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inforcing members 108. The reinforcing member 108 is formed of a bar member such as a castable anchor or an anchor bolt. The reinforcing member 108 is made of metal. The reinforcing member 108 is formed in a v-shape, for example. However, the reinforcing member 108 may have a shape different from a v shape, such as a U shape, a J shape, or an L shape. The reinforcing member 108 is welded to the plate member 104. However, the reinforcing member 108 may be fastened to the plate member 104 or may be fitted to the plate member 104.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members 108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02.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members 108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02. That is,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members 108 are arranged on the main body 102 in a grid or zigzag shape. In the reinforcing member 108, a v-shaped portion is embedded in the refractory layer 106. In other words, the V-shaped portion of the reinforcing member 108 is covered with an irregular refractory material. In this way, the reinforcing member 108 is disposed in the refractory layer 106.

평면부(104a)를 경계로 하여 내화물층(106)과 반대측, 즉 판재(104)의 배면측에는, 내화물층(11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내화물층(110)은, 정형 내화물(내화 연와 또는 내화 단열 벽돌)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칸막이 부재(100)의 본체부(102)는, 판재(104)의 표면측에 내화물층(106)이 적층되고, 판재(104)의 배면측에 내화물층(110)이 적층되어 있다. 환언하면, 본체부(102)는, 판재(104)가 내화물층(106), (110)으로 피복되어 있다. A refractory layer 110 is form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refractory layer 106 with the flat portion 104a as a boundary, that is, on the back side of the plate material 104. Here, the refractory layer 110 is comprised of a fixed-type refractory material (fireproof lead or fireproof heat insulating brick). In this way, in the main body portion 102 of the partition member 100, the refractory layer 106 is laminated on the surface side of the plate material 104, and the refractory material layer 110 is laminated on the back side of the plate material 104. . In other words, the body portion 102 is covered with the plate material 104 with the refractory layers 106 and 110.

그리고, 여기서는, 내화물층(106)이 부정형 내화물로 구성되고, 내화물층(110)이 정형 내화물로 구성되는 것으로 하였다. 즉, 본체부(102)에 설치되는 내화물에는, 부정형 내화물이 포함되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예를 들면, 내화물층(106), (110)의 양쪽이 부정형 내화물 또는 정형 내화물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내화물층(106)이 정형 내화물로 구성되고, 내화물층(110)이 부정형 내화물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내화물층(106), (110) 중 어느 한쪽만이 설치되어도 된다. In this case, the refractory layer 106 is made of an irregular refractory, and the refractory layer 110 is made of a fixed refractory. That is, it was assumed that the refractory material provided in the body portion 102 contains an irregular refractory material. However, for example, both of the refractory layers 106 and 110 may be made of amorphous refractory or a fixed refractory. Further, the refractory layer 106 may be formed of a fixed refractory material, and the refractory layer 110 may be formed of an irregular refractory material. Further, only one of the refractory layers 106 and 110 may be provided.

칸막이 부재(100)는,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02)의 폭 방향의 양 측면에 설치된 한 쌍의 걸림부(120)를 구비한다. 한 쌍의 걸림부(120)는, 본체부(102)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걸림부(120)는, 본체부(102)의 길이 방향의 일단(一端)(상단)에 설치되고, 본체부(102)의 배면측으로 돌출한다. 걸림부(120) 중, 본체부(102)보다 배면측으로 돌출하는 바닥부(120a)는, 칸막이 부재(100)가 소연도(13)에 장착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냉각탑(3)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걸림부(120)는, 바닥부(120a)로부터 연직 방향으로 돌출하는 끼워맞춤부(122)를 구비한다. 끼워맞춤부(122)는, 바닥부(120a) 중, 본체부(102)로부터 이격되는 측으로 연속되어 있다. The partition member 100 includes a pair of locking portions 120 provid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main body 102 in the width direction, as shown in FIGS. 3 and 5. The pair of locking portions 1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02. The locking portion 120 is provided at one end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10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rotrudes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2. Among the locking portions 120, the bottom portion 120a protruding toward the rear side of the body portion 102 i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iameter of the cooling tower 3) in a state in which the partition member 100 is attached to the small flue 13 Direction]. The locking portion 120 includes a fitting portion 122 protruding from the bottom portion 120a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tting part 122 continues to the sid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part 102 among the bottom part 120a.

그리고, 걸림부(120)는, 부정형 내화물로 구성되어도 되고, 정형 내화물로 구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본체부(102)의 내화물층(106)을 연장시켜 걸림부(120)[끼워맞춤부(122)]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본체부(102)의 내화물층(110)을 연장시켜 걸림부(120)[끼워맞춤부(122)]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본체부(102)의 판재(104)를 폭 방향으로 돌출시키고, 판재(104)의 돌출부 상을 내화물로 피복하여 걸림부(120)를 구성해도 된다. In addition, the locking portion 120 may be formed of an irregular refractory material or may be formed of a fixed refractory material. For example, the refractory layer 106 of the body portion 102 may be extended to form a locking portion 120 (fitting portion 122). Further, the refractory layer 110 of the body portion 102 may be extended to form a locking portion 120 (fitting portion 122). Further, the plate member 104 of the body portion 102 may be protrud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projection portion of the plate member 104 may be covered with a refractory material to constitute the locking portion 120.

또한, 칸막이 부재(10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02)의 배면측에 각부(130)를 구비한다. 각부(130)는, 본체부(102)의 배면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돌출한다. 각부(130)는, 본체부(102)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의 중앙 근방에 위치한다. 각부(130)의 폭 방향의 길이는, 본체부(102)의 폭 방향의 길이보다 짧다. 또한, 각부(130)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본체부(102)의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 짧다. 각부(130)는, 본체부(102)의 길이 방향의 하단보다 연직 방향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각부(130)가, 본체부(102)의 배면측에 설치되는 내화물층(110)과 같은 정형 내화물로 구성되어 있다. 단, 각부(13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금속, 내화물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도 된다. In addition, the partition member 100 is provided with the leg part 130 on the back side of the main body part 102, as shown in FIG. Each portion 130 protrudes substantially at a right angle with respect to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2. Each part 130 is located near the center of the body part 102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length direction. The length of each part 130 in the width direction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body part 102 in the width direction. In addition, the length of each part 1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body part 10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leg portion 130 is provided above the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10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Here, each portion 130 is made of a shaped refractory material such as the refractory layer 110 provided on the back side of the body portion 102. However, the material of each portion 13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made of any one of metal, refractory material, and combinations thereof.

도 6은, 칸막이 부재(100)의 장착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VII―VII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로부터 칸막이 부재(100)를 분리해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소연도(13)는, 벽부(3a)의 주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복수 설치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소연도(13)를 위요하는 벽부(3a) 중, 내측 벽부(3b)에 대하여 냉각탑(3)의 직경 방향에 대향하는 부분을 외측 벽부(3e)로 하여 설명한다. 내측 벽부(3b) 및 외측 벽부(3e)를 연결하는 부분을 접속 벽부(3f)(도 8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artition member 100 is attached.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VII in FIG. 6. FIG. 8 shows a state in which the partition member 100 has been removed from FIG. 7. As described above, the small flue 13 is provided in plural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wall portion 3a. Hereinafter, a portion of the wall portions 3a for the small flue 13 that faces the inner wall portion 3b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ooling tower 3 will be described as the outer wall portion 3e. A portion connecting the inner wall portion 3b and the outer wall portion 3e will be described as the connecting wall portion 3f (see Fig. 8).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연도(13)는, 하측 통로(13c)와, 상측 통로(13d)를 구비한다. 하측 통로(13c)는, 개구부(13a)로부터 경사 위쪽을 향해 연장된다. 상측 통로(13d)는, 하측 통로(13c)의 위쪽으로 연속되고, 연직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상측 통로(13d)는, 상기한 환형 연도(11)의 환형 바닥부(11a)로 개구되는 상부 개구(13b)(도 2 참조)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6, the small flue 13 includes a lower passage 13c and an upper passage 13d. The lower passage 13c extends diagonally upward from the opening 13a. The upper passage 13d continues upward of the lower passage 13c and extend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he upper passage 13d includes an upper opening 13b (see Fig. 2) that opens to the annular bottom 11a of the annular flue 11 described above.

소연도(13)를 위요하는 벽부(3a)[접속 벽부(3f)]에는, 지지 벽부(3g)가 설치된다. 도 6에 있어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지지 벽부(3g)를 검은 색으로 나타내고 있다. 지지 벽부(3g)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부(3a) 중, 주위 방향에 대향하는 대향면에 설치된다. 즉, 소연도(13)에는, 2개의 지지 벽부(3g)가 주위 방향으로 이격되어 대향 배치되어 있다. 지지 벽부(3g)는, 벽부(3a)로부터 소연도(13) 내을 향해 돌출한다. 지지 벽부(3g)는, 수평부(3g1) 및 경사부(3g2)를 구비한다. 수평부(3g1)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연도(13)의 개구부(13a)보다 연직 방향의 위쪽에 위치한다. 수평부(3g1)는, 상측 통로(13d) 내에 위치하고 있다. 수평부(3g1)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경사부(3g2)는, 수평부(3g1)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하측 통로(13c) 내에 위치하고 있다. 경사부(3g2)는, 하단 측이 상단측보다 직경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The supporting wall portion 3g is provided in the wall portion 3a (connecting wall portion 3f) for the small flue 13. In Fig. 6,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the support wall portion 3g is shown in black. As shown in Fig. 8, the support wall portion 3g is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wall portion 3a that faces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at is, in the small flue 13, two support wall portions 3g are arranged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supporting wall portion 3g protrudes from the wall portion 3a toward the inside of the small flue 13. The support wall portion 3g includes a horizontal portion 3g 1 and an inclined portion 3g 2 . The horizontal part 3g 1 is positioned above the opening 13a of the small flue 13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6. The horizontal part 3g 1 is located in the upper passage 13d. The horizontal portion 3g 1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inclined portion 3g 2 extends downward from the horizontal portion 3g 1 and is located in the lower passage 13c. The inclined portion 3g 2 is incli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ower end side is located radially inside the upper end side.

지지 벽부(3g)에는, 칸막이 부재(100)가 탑재된다. 구체적으로는, 수평부(3g1) 상에, 칸막이 부재(100)의 바닥부(120a)가 탑재된다. 또한, 경사부(3g2) 상에, 본체부(102)의 폭 방향의 양 측면이 탑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체부(102)의 폭 방향의 양 측면에는, 금속제의 판재로 이루어지는 측면부(104b)가 설치되어 있다(도 4 참조). 경사부(3g2)에는, 측면부(104b)가 탑재되게 된다. The partition member 100 is mounted on the support wall portion 3g. Specifically, the bottom portion 120a of the partition member 100 is mounted on the horizontal portion 3g 1 . Further, on the inclined portion 3g 2 , both side surfaces of the body portion 102 in the width direction are mounted. As described above, side surfaces 104b made of a metal plate are provid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body portion 102 in the width direction (see Fig. 4). The side portion 104b is mounted on the inclined portion 3g 2 .

끼워맞춤부(122)는, 수평부(3g1)보다 연직 방향의 아래쪽으로 돌출한다. 본체부(102)의 배면과 끼워맞춤부(122)에 의해, 수평부(3g1)가 협지된다. 이로써, 칸막이 부재(100)의 탈락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칸막이 부재(100)는, 지지 벽부(3g)에 의해, 소연도(13) 내에 유지된다. 칸막이 부재(100)가 소연도(13) 내에 유지된 상태에서는, 각부(130)의 돌출 방향의 선단 부분이 벽부(3a)에 접촉한다. 단, 칸막이 부재(100)가 소연도(13) 내에 유지된 상태에서, 각부(130)의 돌출 방향의 선단 부분과 벽부(3a)와의 사이에 근소한 간극이 형성되어도 된다. The fitting portion 122 protrudes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horizontal portion 3g 1 . The horizontal portion 3g 1 is pinched by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2 and the fitting portion 122. Thus, the partition member 100 is prevented from falling off. In this way, the partition member 100 is held in the small flue 13 by the support wall portion 3g. In the state where the partition member 100 is held in the small flue 13, the tip portion of the leg portion 130 in the protruding direction contacts the wall portion 3a. However, in the state where the partition member 100 is held in the small flue 13, a small gap may be formed betwee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leg portion 130 in the protruding direction and the wall portion 3a.

칸막이 부재(100)에 의해, 소연도(13)는, 하측 통로(13c)가 2개의 플루로 구획된다. 즉, 소연도(13)의 하측 통로(13c)는, 상단 플루(13c1)과, 하단 플루(13c2)로 구획된다. 하단 플루(13c2)는, 상단 플루(13c1)보다 연직 방향의 아래쪽{냉각탑(3)의 벽부(3a) 측[냉각탑(3)의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여기서는, 하단 플루(13c2)가, 복수의 플루 중 연직 방향의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최하단 플루로 된다. 칸막이 부재(100)의 본체부(102)는, 표면이 상단 플루(13c1)에 접하고, 이면(back surface)이 하단 플루(13c2)에 면한다. 따라서, 칸막이 부재(100)의 본체부(102)는, 판재(104)의 상단 플루(13c1) 측의 면에 내화물층(106)(부정형 내화물)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칸막이 부재(100)의 본체부(102)는, 판재(104)의 하단 플루(13c2) 측의 면에 내화물층(110)(정형 내화물)이 형성되게 된다. 칸막이 부재(100)의 각부(130)는, 하단 플루(13c2)에 설치된다. 각부(130)는, 하단 플루(13c2)에 면하는 본체부(102)의 이면으로부터 벽부(3a)를 향해 연장되게 된다. By the partition member 100, in the small flue 13, the lower passage 13c is divided into two flutes. That is, the lower passage 13c of the small flue 13 is divided into an upper flue 13c 1 and a lower flue 13c 2 . The lower flue 13c 2 is located vertically below the upper flue 13c 1 (on the side of the wall 3a of the cooling tower 3 (outside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ooling tower 3)). Here, the lower flue 13c 2 is the lowest flu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plurality of flu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main body portion 102 of the partition member 100 has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upper flue 13c 1 , and a back surface thereof with the lower flue 13c 2 . Accordingly, in the main body portion 102 of the partition member 100, a refractory layer 106 (amorphous refractory material)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late member 104 on the upper end flue 13c 1 side. Further, in the main body portion 102 of the partition member 100, a refractory layer 110 (standard refractory material)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late member 104 on the lower side flue 13c 2 side. Each part 130 of the partition member 100 is installed in the lower flue 13c 2 . Each part 130 is extended toward the wall part 3a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102 facing the lower flue 13c 2 .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연도(13)에는, 개구부(13a)로부터 코크스가 침입한다. 소연도(13)에 침입한 침입 코크스는, 칸막이 부재(100)에 접촉한다. 즉, 칸막이 부재(100)는, 고온 분위기에 노출된 상태로 침입 코크스가 접촉하고, 가루 코크스가 충돌한다. 그러므로, 칸막이 부재(100)는, 코크스에 의해 손모되기 쉬운 상태에 놓여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칸막이 부재(100)는, 금속제의 판재(104)에 내화물이 적층된 본체부(102)를 가지고 있으므로, 내열성(耐熱性) 및 내마모성(wear resistance)이 높다. 따라서, 칸막이 부재(100)의 내용 연수가 길어져, 유지보수의 빈도를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장입 코크스 온도 등의 운전 조건에 따라, 통과 가스의 온도, 유속(流速; flow rate), 가스 중의 가루 코크스가 변경된다. 그러므로, 칸막이 부재(100)의 재질은, 플랜트마다 결정하면 된다. As shown in Fig. 6, coke enters the small flue 13 from the opening 13a. The penetrating coke that has penetrated into the small flue 13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artition member 100. That is, in the partition member 100, the invading coke contacts and the powder coke collides while being exposed to a high-temperature atmosphere. Therefore, the partition member 100 is placed in a state where it is likely to be worn out by coke. The partition member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body portion 102 in which a refractory material is laminated on a metal plate 104, and therefore has high heat resistance and wear resistance. Accordingly, the useful life of the partition member 100 is increased, and the frequency of maintenance can be reduced. Then, the temperature of the passing gas, the flow rate, and the powdery coke in the gas are changed according to operating conditions such as charged coke temperature. Therefore, the material of the partition member 100 may be determined for each plant.

칸막이 부재(100)의 본체부(102)에는, 상단 플루(13c1) 측으로부터 코크스의 하중이 작용한다. 본체부(102)는, 보강 부재(108)에 의해, 판재(104)와 내화물층(106)이 일체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칸막이 부재(100)는, 코크스의 하중에도 충분히 견디는 것이 가능하다. 상단 플루(13c1) 측으로부터 작용하는 코크스의 하중에 의해, 본체부(102)는, 냉각탑(3)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압압(押壓)된다. 본체부(102)의 배면측에는, 각부(13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코크스의 하중은, 각부(130)를 통해 벽부(3a)에 작용한다. 또한, 본체부(102)의 폭 방향의 양단은, 지지 벽부(3g)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코크스의 하중은, 벽부(3a)에 의해 받게 되도록 되어, 칸막이 부재(100)의 크리프(creep) 강도가 향상된다. A load of coke acts on the main body portion 102 of the partition member 100 from the upper end flue 13c 1 side. In the body portion 102, the plate material 104 and the refractory layer 106 are integrated by a reinforcing member 108. Therefore, the partition member 100 can withstand the load of coke sufficiently. The body portion 102 is pressed radially outward of the cooling tower 3 by the load of coke acting from the upper end flue 13c 1 side. Legs 130 are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2. Accordingly, the load of coke acts on the wall portion 3a through the leg portion 130. In addition,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102 in the width direction are supported by the support wall portion 3g. Accordingly, the load of coke is received by the wall portion 3a, and the creep strength of the partition member 100 is improved.

칸막이 부재(100)는, 지지 벽부(3g)에 탑재하는 것만으로 되므로, 교환 작업이 용이하며,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1)의 가동율(稼動率)을 높일 수 있다. Since the partition member 100 only needs to be mounted on the support wall portion 3g, the replacement work is easy, and the operation rate of the coke dry fire extinguishing system 1 can be increased.

하단 플루(13c2)에서의 침입 코크스의 높이는, 상단 플루(13c1)에서의 침입 코크스의 높이보다 낮다. 각부(130)는, 통상 조업 시의 하단 플루(13c2)에서의 침입 코크스의 높이 위치보다 위쪽에 설치되어 있다. 즉, 각부(130)는, 본체부(102)의 하단보다 위쪽에 설치됨으로써 코크스와의 접촉이 회피되고, 통풍 능력에도 악영향이 주어지지 않는다. 한편, 각부(130)는, 그 일부 또는 전체가, 본체부(102) 중, 상단 플루(13c1)에서의 침입 코크스의 높이보다 낮은 범위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부(130)는, 본체부(102)의 중앙 근방으로부터 하단 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각부(130)에 의해, 상단 플루(13c1) 측으로부터 본체부(102)에 작용하는 침입 코크스의 하중이, 냉각탑(3)의 벽부(3a)에 작용하기 쉽다. 단, 각부(130)의 배치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height of the penetrating coke in the lower flue 13c 2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penetrating coke in the upper flue 13c 1 . Each part 130 is provided above the height position of the penetration coke in the lower end flue 13c 2 during normal operation. That is, since each portion 130 is installed above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102, contact with coke is avoided, and the ventilation ability is not adversely affected. On the other hand, the leg part 130 is provided in a rang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penetration coke in the upper end flue 13c 1 of the main body part 102 in part or the whole. In this way, the leg portion 130 extends from the vicinity of the center of the main body portion 102 toward the lower end side. By the leg portion 130, the load of the intrusive coke acting on the main body portion 102 from the upper end flue 13c 1 side tends to act on the wall portion 3a of the cooling tower 3. However, the arrangement or shape of each part 130 is not limited thereto.

그리고,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1)의 조업 중에는, 소연도(13)에 대한 코크스의 침입과 탈출이 연속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이 때, 소연도(13)에 대한 침입 코크스의 양과, 소연도(13)로부터의 탈출 코크스의 양과의 밸런스가 무너지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침입 코크스의 양이 탈출 코크스의 양을 크게 상회하면, 통상 조업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소연도(13)의 코크스의 양을 상시 감시할 필요가 있다. An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oke dry fire extinguishing system 1, the intrusion and escape of coke into the small flue 13 are continuously performed. At this time, the balance between the amount of invading coke into the small flue 13 and the amount of escape coke from the small flue 13 may be broken. And, if the amount of intrusion coke greatly exceeds the amount of escape coke, normal operation becomes impossibl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tantly monitor the amount of coke in the small flue 13.

그런데, 칸막이 부재(100)가 설치되면, 소연도(13)의 시인성(視認性)이 저하하고, 소연도(13)에서의 코크스의 양의 감시가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침입 코크스의 양이 한도를 초과한 것을 알지 못하고 방치하면, 침입 코크스의 양이 멋대로 증가하여, 불가역(不可逆) 상태에 도달한다. 그러므로, 소연도(13) 내의 침입 코크스의 양을 상시 감시하고, 침입 코크스의 양을 아는 수단이 중요해진다. By the way, when the partition member 100 is provided, the visibility of the small flue 13 decreases, and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monitoring of the amount of coke in the small flue 13 becomes difficult. If it is left without knowing that the amount of intrusive coke exceeds the limit, the amount of intrusive coke increases at will and reaches an irreversible state. Therefore, a means of constantly monitoring the amount of intrusive coke in the small flue 13 and knowing the amount of intrusive coke becomes important.

본 실시형태의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1)는, 소연도(13)에서의 코크스의 양을 추정하기 위한 압력 검지부(200)를 구비한다. 압력 검지부(200)는, 하부 검지부(200a), 상부 검지부(200b) 및 차압(差壓) 도출부(導出部)(200c)를 구비한다. 하부 검지부(200a)는, 일단이 하단 플루(13c2)로 개구되고, 타단이 차압 도출부(200c)에 접속되는 배관을 포함한다. 하부 검지부(200a)는, 하단 플루(13c2)의 압력을 검지한다. 상부 검지부(200b)는, 일단이 상측 통로(13d)로 개구되고, 타단이 차압 도출부(200c)에 접속되는 배관을 포함한다. 상부 검지부(200b)는, 소연도(13) 중, 하부 검지부(200a), 보다 엄밀하게는, 칸막이 부재(100)의 상단보다 연직 방향의 위쪽[여기서는 상측 통로(13d)]의 압력을 검지한다. 차압 도출부(200c)는, 하부 검지부(200a)에 의해 검지된 압력과, 상부 검지부(200b)에 의해 검지된 압력과의 차압을 도출한다. The coke dry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pressure detection unit 200 for estimating the amount of coke in the small flue 13. The pressure detection part 200 includes a lower detection part 200a, an upper detection part 200b, and a differential pressure lead-out part 200c. The lower detection part 200a includes a pipe whose one end is opened by the lower end flue 13c 2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differential pressure derivation part 200c. The lower detection part 200a detects the pressure of the lower flue 13c 2 . The upper detection part 200b includes a pipe whose one end is opened to the upper passage 13d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differential pressure derivation part 200c. The upper detection part 200b detects the pressure of the lower detection part 200a in the small flue 13, more precisely, in the vertical direction above the upper end of the partition member 100 (here, the upper passage 13d). . The differential pressure derivation unit 200c derives a pressure differential between the pressure detected by the lower detection unit 200a and the pressure detected by the upper detection unit 200b.

본 실시형태에서는, 압력 검지부(200)는, 복수의 상이한 소연도(13)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각탑(3)의 주위 방향으로 이격되어 4개의 압력 검지부(200)가 설치된다. 이들 압력 검지부(200)는, 냉각탑(3) 중, 제진기(31)의 연도(33)와 연통되는 연통구(3d)의 근방에 배치되는 1개의 압력 검지부(200)를 제외하고, 주위 방향으로 대략 90°의 위상을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pressure detection unit 200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different small flues 13.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four pressure detection units 200 are provided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oling tower 3. These pressure detection units 200 ar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except for one pressure detection unit 200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communication port 3d that communicates with the flue 33 of the vibration damper 31 of the cooling tower 3. They are arranged with a phase shift of approximately 90°.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검지부(200a)는,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1)의 통상 조업에 있어서, 하단 플루(13c2) 중 코크스가 침입할 수 있는 위치보다 위쪽의 압력을 검지한다. 따라서, 소연도(13)에서의 침입 코크스의 양이 적정 범위 내이면, 하부 검지부(200a)가 검지하는 압력과, 상부 검지부(200b)가 검지하는 압력과의 차이는 작다. As shown in FIG. 6, in the normal operation of the coke dry fire extinguishing system 1, the lower detection part 200a detects the pressure above the position in which coke can penetrate among the lower flue 13c 2 . Therefore, when the amount of intrusion coke in the small flue 13 is within an appropriate rang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ssure detected by the lower detection unit 200a and the pressure detected by the upper detection unit 200b is small.

도 9는, 침입 코크스의 양이 증가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소연도(13)에 대한 침입 코크스의 양과, 소연도(13)로부터의 탈출 코크스의 양과의 밸런스가 무너져,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단 플루(13c1) 내의 침입 코크스의 양이 증가한다. 이 경우, 상단 플루(13c1) 내의 침입 코크스는, 칸막이 부재(100)를 타고넘어 하단 플루(13c2)에 위쪽으로부터 침입한다. 그 결과, 하단 플루(13c2)의 침입 코크스의 양이 증가한다. 이 때, 하단 플루(13c2)에 있어서, 침입 코크스가 하부 검지부(200a)를 막으면, 하부 검지부(200a)가 검지하는 압력이 높아진다.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amount of intrusive coke is increased. The balance between the amount of infiltrating coke into the small flue 13 and the amount of escape coke from the small flue 13 is broken, and as shown in Fig. 9, the amount of invading coke in the upper flue 13c 1 increases. In this case, the penetrating coke in the upper flute 13c 1 crosses the partition member 100 and penetrates the lower flue 13c 2 from above. As a result, the amount of invading coke of the lower flue 13c 2 increases. At this time, in the lower end flue 13c 2 , when the intrusion coke blocks the lower detecting portion 200a, the pressure detected by the lower detecting portion 200a increases.

그 결과, 하부 검지부(200a)가 검지하는 압력과, 상부 검지부(200b)가 검지하는 압력과의 차이가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하단 플루(13c2)와 상측 통로(13d)와의 차압은, 소연도(13)에서의 코크스의 양과 상관성(비례 관계)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하단 플루(13c2)와 상측 통로(13d)와의 차압에 의해, 소연도(13)에서의 침입 코크스의 양을 추정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ssure detected by the lower detection unit 200a and the pressure detected by the upper detection unit 200b increases. In this way, the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the lower flue 13c 2 and the upper passage 13d has a correlation (proportional relationship) with the amount of coke in the small flue 13. Therefore, the amount of invading coke in the small flue 13 can be estimated by the pressure differential between the lower flue 13c 2 and the upper passage 13d.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1)는, 제어부(202) 및 통지부(204)를 구비한다. 제어부(202)는, 차압 도출부(200c)에 의해 도출된 차압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정하는 판정 처리를 행한다. 통지부(204)는, 경보가 출력되는 스피커나 표시부 등으로 구성된다. 제어부(202)는, 판정 처리에 의해 차압이 임계값 이상인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 통지부(204)로부터 경보를 출력한다. The coke dry fire extinguishing facility 1 includes a control unit 202 and a notification unit 204. The control unit 202 performs determination processing to determine whether the differential pressure derived by the differential pressure derivation unit 200c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The notification unit 204 is constituted by a speaker or a display unit to which an alarm is output. The control unit 202 outputs an alarm from the notification unit 204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processing that the differential pressur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도 10은,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1)의 제어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제어부(202)는, 도 10에 나타낸 처리를 소정 시간에 걸쳐 반복하여 행한다. 제어부(202)는, 압력 검지부(200)[차압 도출부(200c)]로부터 차압을 취득한다(S1). 제어부(202)는, 취득한 차압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정하는 판정 처리를 행한다(S2). 그리고, 차압이 임계값 이상인 것으로 판정한 경우(S3의 YES), 제어부(202)는, 통지부(204)로부터 경보를 출력하여 소정의 통지를 개시한다(S4). 한편, 차압은 임계값 이상이 아닌 것으로 판정한 경우(S3의 NO), 제어부(202)는, 모든 압력 검지부(200)에 대하여 판정 처리가 종료되었는지를 판정한다(S5). 그리고, 모든 압력 검지부(200)에 대하여 판정 처리가 종료하고 있으면(S5의 YES), 상기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모든 압력 검지부(200)에 대하여 판정 처리가 종료하고 있지 않으면(S5의 NO), 판정 처리가 행해지고 있지 않은 압력 검지부(200)에 대하여, 상기한 처리를 반복하여 행한다.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trol process of the coke dry fire extinguishing system 1. The control unit 202 repeatedly performs the processing shown in Fig. 10 ov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control unit 202 acquires a differential pressure from the pressure detection unit 200 (differential pressure derivation unit 200c) (S1). The control unit 202 performs a determination proces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obtained differential pressur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S2). The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ifferential pressur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YES in S3), the control unit 202 outputs an alarm from the notification unit 204 to start a predetermined notification (S4).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ifferential pressure is not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NO in S3), the control unit 202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determination process has ended for all the pressure detection units 200 (S5). Then, if the determination processing for all the pressure detection units 200 is ended (YES in S5), the processing is ended. In addition, if the determination processing has not been completed for all the pressure sensing units 200 (NO in S5), the above-described processing is repeatedly performed for the pressure sensing unit 200 in which the determination processing has not been performed.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1)에 의하면, 하단 플루(13c2)와 상측 통로(13d)와의 차압에 의해, 소연도(13)의 침입 코크스의 양이 특정된다. 따라서, 소연도(13)에서의 침입 코크스의 양을, 양호한 정밀도로, 또한 용이하게 감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ke dry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1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amount of intrusion coke in the small flue 13 is specified by the pressure differential between the lower flue 13c 2 and the upper passage 13d. Therefore, it becomes possible to monitor the amount of infiltrating coke in the small flue 13 with good precision and ease.

도 11은, 제1 변형예의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1A)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1 변형예의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1A)는, 소연도(13)에 2개의 칸막이 부재(100)가 설치되는 점이 상기 실시형태와는 상위하다. 따라서, 여기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상기 실시형태와는 상위한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1A)는, 소연도(13) 내에 2개의 지지 벽부(3g)를 구비한다. 2개의 지지 벽부(3g)는, 연직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2개의 지지 벽부(3g)에는, 각각 칸막이 부재(100)가 탑재되어 있다. 2개의 칸막이 부재(100)는, 연직 방향으로 이격되어 소연도(13) 내에 배치되어 있다.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ke dry fire extinguishing facility 1A of the first modification. The coke dry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1A of the first modification is different from the above embodiment in that the small flue 13 is provided with two partition members 100. Accordingly,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in the above embodiment is omitted here, and differences from the abov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e coke dry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1A is provided with two support wall portions 3g in the small flue 13. The two support wall portions 3g ar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A partition member 100 is mounted on the two support wall portions 3g, respectively. The two partition members 100 are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re arranged in the small flue 13.

소연도(13)의 하측 통로(13c)는, 2개의 칸막이 부재(100)에 의해, 상단 플루(13c1), 하단 플루(13c2) 및 중단(中段) 플루(13c3)의 3개의 플루(통로)로 구획된다. 상단 플루(13c1)는, 하단 플루(13c2) 및 중단 플루(13c3)보다 연직 방향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하단 플루(13c2)는, 3개의 플루 중에서 가장 연직 방향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즉,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1A)에 있어서, 하단 플루(13c2)는, 복수의 플루 중, 연직 방향의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최하단 플루로 된다. The lower passage (13c) of the small flue (13) is, by means of two partition members (100), three flues of upper flue (13c 1 ), lower flue (13c 2 ), and middle flue (13c 3 ). It is divided into (passage). The upper flue (13c 1 ) is located above the lower flue (13c 2 ) and the middle flue (13c 3 )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ower flue (13c 2 )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vertical direction among the three flues. That is, in the coke dry fire extinguishing facility 1A, the lower end flue 13c 2 is the lowermost flu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plurality of flues in the vertical direction.

중단 플루(13c3)는, 상단 플루(13c1) 및 하단 플루(13c2)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즉, 중단 플루(13c3)는, 2개의 칸막이 부재(100)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Stop flu (13c 3) is located between the top of the Flu (13c 1) and the bottom of flu (13c 2). That is, the middle flue 13c 3 is located between the two partition members 100.

연직 방향의 위쪽에 설치되고 칸막이 부재(100)의 각부(130)는, 돌출 방향의 선단측의 면이, 연직 방향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칸막이 부재(100)의 본체부(102)의 표면에 접촉한다. 이로써, 상대적으로 연직 방향의 위쪽에 위치하는 칸막이 부재(100)에 작용하는 침입 코크스의 하중을, 상대적으로 연직 방향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칸막이 부재(100)를 통하여, 벽부(3a)가 받게 된다. 그리고, 중단 플루(13c3)와 상단 플루(13c1)를 구획하는 칸막이 부재(100)의 각부(130) 중 적어도 일부는, 상단 플루(13c1)에서의 침입 코크스의 높이보다 낮은 범위에 설치된다. 또한, 중단 플루(13c3)과 하단 플루(13c2)를 구획하는 칸막이 부재(100)의 각부(130) 중 적어도 일부는, 중단 플루(13c3)에서의 침입 코크스의 높이보다 낮은 범위에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침입 코크스의 하중이, 냉각탑(3)의 벽부(3a)에 작용하기 쉽다. 단, 각부(130)의 배치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leg portion 130 of the partition member 100 is installed above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urface on the tip side in the protruding direction contacts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102 of the partition member 100 installed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do. Thereby, the load of the intrusive coke acting on the partition member 100 positioned relatively up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received by the wall portion 3a through the partition member 100 positioned relatively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at least some of the corner portions 130 of the partition member 100 that divides the middle flue 13c3 and the upper flue 13c 1 are installed in a rang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intrusion coke in the upper flue 13c 1 . In addition, at least some of the corners 130 of the partition member 100 that divides the middle flue 13c3 and the lower flue 13c 2 are installed in a rang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intrusion coke in the middle flue 13c3 . Thereby, the load of the intrusion coke easily acts on the wall portion 3a of the cooling tower 3. However, the arrangement or shape of each part 130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1A)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하부 검지부(200a)는, 복수의 플루 중 연직 방향의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하단 플루(13c2)(최하단 플루)의 압력을 검지한다. In addition, in the coke dry fire extinguishing facility 1A, as in the above embodiment, the lower detection unit 200a controls the pressure of the lower flue 13c 2 (lowest flu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plurality of flues in the vertical direction. Detect.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변형예의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1A)에 의하면, 하측 통로(13c)가 3개의 플루로 구획된다. 이로써, 더욱 통풍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ke dry fire extinguishing facility 1A of the first modification, the lower passage 13c is divided into three flutes. Thereby, the ventilation 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도 12는, 제2 변형예의 칸막이 부재(100A)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2 변형예의 칸막이 부재(100A)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재(104)의 배면측에 내화물층(110)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점이 상기 실시형태와는 상위하다. 즉, 칸막이 부재(100A)는, 평면부(104a)의 배면측이 노출되어 있다. 환언하면, 칸막이 부재(100A)는, 본체부(102)의 가장 배면측(상대적으로 연직 방향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플루에 면하는 측)에 판재(104)가 설치되어 있다.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rtition member 100A of a second modification. The partition member 100A of the second modification is different from the above embodiment in that the refractory layer 110 is not formed on the back side of the plate member 104 as shown in FIG. 12. That is, as for the partition member 100A, the back side of the flat part 104a is exposed. In other words, the partition member 100A is provided with a plate member 104 on the rearmost side of the main body 102 (the side facing the flue located relatively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체부(102)에는, 침입 코크스의 하중이 작용한다. 그러므로, 본체부(102)에는, 폭 방향의 중앙측이 배면측으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휨 응력이 작용한다. 칸막이 부재(100A)는, 휨 응력이 상대적으로 커지게 되는 배면측에 판재(104)가 설치된다. 여기서, 판재(104)의 배면측{즉, 하단 플루(13c2) 측[도 6 참조]}은, 판재(104)의 표면측{즉, 상단 플루(13c1) 측[도 6 참조]}에 비해 비교적 저온이다. 그러므로, 제2 변형예의 판재(104)의 배면측에는, 상기 실시형태의 내화물층(110)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로써, 제2 변형예의 칸막이 부재(100A)는, 상기 실시형태의 칸막이 부재(100)보다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는, 판재(104)의 표면측에, 부정형 내화물로 구성되는 내화물층(106)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판재(104)의 표면측에, 정형 내화물로 구성되는 내화물층(110)이 형성되어도 된다. The load of the intrusion coke acts on the main body 102. Therefore, a bending stress acts on the body portion 102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en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protrudes toward the rear surface side. In the partition member 100A, a plate member 104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side where the bending stress becomes relatively large. Here, the back side of the plate 104 (that is, the lower flute 13c 2 side (see Fig. 6)) is the surface side of the plate 104 (ie, the upper flute 13c 1 ) side [see Fig. 6]} It is relatively low temperature compared to. Therefore, the refractory layer 110 of the above embodiment is not formed on the back side of the plate material 104 of the second modification. Thereby, the partition member 100A of the second modification can be lighter than that of the partition member 100 of the above embodiment. And here, on the surface side of the plate material 104, the refractory layer 106 made of an irregular refractory material is form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refractory layer 110 made of a shaped refractory material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side of the plate material 104.

도 13는, 제3 변형예의 칸막이 부재(100B)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3 변형예의 칸막이 부재(100B)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재(104)의 표면측 및 배면측의 양쪽에 내화물층(10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판재(104)의 표면측 및 배면측의 양쪽에 보강 부재(108)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판재(104)의 표면측 및 배면측의 양쪽에 설치되는 내화물층(106)에는, 모두 보강 부재(10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칸막이 부재(100B)는, 본체부(102)[판재(104) 및 내화물층(106)]의 폭 방향의 중앙측이 양단 측에 비하여, 표면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되어 있다.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rtition member 100B of a third modified example. In the partition member 100B of the third modified example, as shown in FIG. 13, a refractory layer 106 is formed on both the front side and the back side of the plate member 104. Further, reinforcing members 108 are provided on both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plate member 104. Accordingly, reinforcing members 108 are provided in both the refractory layers 106 provided on both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plate 104. In addition, the partition member 100B is curved so that the cen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2 (plate material 104 and the refractory layer 106) protrudes toward the front side compared to both ends.

그리고, 여기서는, 판재(104)의 표면측 및 배면측의 양쪽에, 부정형 내화물로 구성되는 내화물층(106)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판재(104)의 표면측 및 배면측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정형 내화물로 구성되는 내화물층(110)이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본체부(102)[판재(104) 및 내화물층(106)]는, 폭 방향의 중앙측이 양단 측에 비하여, 배면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되어도 된다. And, here, a refractory layer 106 made of an irregular refractory material is formed on both the front side and the back side of the plate material 104.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refractory layer 110 made of a shaped refractory material may be formed on either or both of the front side and the back side of the plate material 104. In addition, the body portion 102 (plate material 104 and refractory layer 106) may be curved so that the cen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protrudes toward the rear side compared to the both end sides.

도 14는, 제4 변형예의 칸막이 부재(100C)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4 변형예의 칸막이 부재(100C)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재(104)의 표면측에 내화물층(10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칸막이 부재(100C)는, 본체부(102)[판재(104) 및 내화물층(106)]의 폭 방향의 중앙측이 양단 측에 비하여, 표면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되어 있다. 그리고, 여기서는, 판재(104)의 표면측에, 부정형 내화물로 구성되는 내화물층(106)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판재(104)의 표면측에, 정형 내화물로 구성되는 내화물층(110)이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본체부(102)[판재(104) 및 내화물층(106)]는, 폭 방향의 중앙측이 양단 측에 비하여, 배면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되어도 된다.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rtition member 100C according to a fourth modification. In the partition member 100C of the fourth modified example, a refractory layer 106 is formed on the surface side of the plate member 104 as shown in FIG. 14. And the partition member 100C is curved so that the cen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part 102 (plate material 104 and the refractory layer 106) may protrude toward the surface side compared with both end sides. And here, on the surface side of the plate material 104, the refractory layer 106 made of an irregular refractory material is form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refractory layer 110 made of a shaped refractory material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side of the plate material 104. In addition, the body portion 102 (plate material 104 and refractory layer 106) may be curved so that the cen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protrudes toward the rear side compared to the both end sides.

그리고, 상기한 제2 변형예 내지 제4 변형예의 칸막이 부재(100A), (100B), (100C)는, 실시형태의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1), 및 제1 변형예의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1A)의 양쪽에 적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artition members 100A, 100B, and 100C of the above-described second to fourth modifications are the coke dry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1 of the embodiment, and the coke dry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1A of the first modification. ) Can be applied to both sides.

또한, 상기 실시형태 및 제1 변형예에서는, 압력 검지부(200)가, 하부 검지부(200a), 상부 검지부(200b) 및 차압 도출부(200c)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압력 검지부(200)는, 예를 들면, 하부 검지부(200a)만을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하부 검지부(200a)가 검지하는 압력에 의해, 침입 코크스의 양을 추정하면 된다. 어느 것으로 해도, 압력 검지부(200)는, 적어도 하단 플루(13c2)의 압력을 검지하면 된다. 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first modification, it is assumed that the pressure detecting unit 200 includes a lower detecting unit 200a, an upper detecting unit 200b, and a differential pressure deriving unit 200c. However, the pressure detection part 200 may be provided with only the lower detection part 200a, for example. In this case, the amount of intrusion coke may be estimated based on the pressure detected by the lower detection unit 200a. In either case, the pressure detection unit 200 may detect at least the pressure of the lower end flue 13c 2 .

또한, 상기 실시형태 및 제1 변형예에서는, 상부 검지부(200b)가, 칸막이 부재(100)의 상단보다 연직 방향의 위쪽의 압력, 즉 상측 통로(13d)의 압력을 검지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부 검지부(200b)는, 하부 검지부(200a)보다 상방에서 있으면, 예를 들면, 상단 플루(13c1)의 압력을 검지해도 되고, 하단 플루(13c2)의 압력을 검지해도 된다. 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first modified example, the case where the upper detection unit 200b detects the pressure in the vertical direction above the upper end of the partition member 100, that is, the pressure in the upper passage 13d has been described. . However, if the upper detection part 200b is above the lower detection part 200a, for example, the pressure of the upper flue 13c 1 may be detected, or the pressure of the lower flue 13c 2 may be detected.

또한, 상기 실시형태 및 제1 변형예에서는, 압력 검지부(200)가 복수의 상이한 소연도(13)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압력 검지부(200)는 1개만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압력 검지부(200)는, 냉각탑(3)의 주위 방향의 어느 위치에 설치되어도 된다. 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first modified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pressure detection unit 200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different small flues 13, but only one pressure detection unit 200 may be provided. Further, the pressure detection unit 200 may be provided at any posi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oling tower 3.

또한, 상기 실시형태 및 제1 변형예에서는, 차압이 임계값 이상으로 되었을 경우에, 제어부(202)가 통지부(204)로부터 경보를 출력(소정의 통지)하는 것으로 했다. 그러나, 제어부(202)는, 경보의 출력 대신에, 또는 경보의 출력에 더하여,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1)의 조업을 정지시키는 등, 운전 조건을 변경시켜도 된다. 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first modified example, when the differential pressure become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control unit 202 outputs an alarm (a predetermined notification) from the notification unit 204. However, the control unit 202 may change the operating conditions, such as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coke dry fire extinguishing system 1 instead of or in addition to the alarm output.

또한, 상기 실시형태 및 제1 변형예에서는, 복수의 압력 검지부(200) 중, 어느 하나의 압력 검지부(200)에 있어서 차압이 임계값 이상으로 되었을 경우에, 제어부(202)가 경보를 출력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2 이상의 압력 검지부(200)에 있어서 차압이 임계값 이상으로 되었을 경우에 경보를 출력해도 된다. 이와 같이하면, 오보를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and the first modification, when the differential pressure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pressure detection units 200 become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control unit 202 outputs an alarm. It was decided. However, you may output an alarm when the differential pressure becomes more than a threshold value in the two or more pressure detection parts 200.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revent misinformation.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하측 통로(13c)가 2개의 플루로 칸막이되고, 상기 제1 변형예에서는, 하측 통로(13c)가 3개의 플루로 구획되지만, 하측 통로(13c)는, 4개 이상의 플루로 칸막이되어도 된다. Further, in the above embodiment, the lower passage 13c is partitioned with two flutes, and in the first modified example, the lower passage 13c is partitioned with three flutes, but the lower passage 13c is divided into four or more flutes. It may be partitioned with flue.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당업자이면,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범주에 있어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이를 수 있는 것은 명백하고,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하게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As described abov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n the scope describ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or corrections can be reached, and it is obviously understood that these also belong to the technical scope.

[산업 상의 이용 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본 개시는,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에 이용할 수 있다.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used for coke dry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1: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 3: 냉각탑, 3a: 벽부, 7: 냉각실, 7a: 가스 공급구, 가스 공급부, 13: 소연도, 13c1: 상단 플루, 13c2: 하단 플루, 100: 칸막이 부재, 200: 압력 검지부, 200a: 하부 검지부, 200b: 상부 검지부, 200c: 차압 도출부, 202: 제어부1: coke dry fire extinguishing plant, 3: cooling tower, 3a: wall, 7: cooling chamber, 7a: gas supply port, gas supply, 13: small flue, 13c 1 : upper flue, 13c 2 : lower flue, 100: partition member , 200: pressure detection unit, 200a: lower detection unit, 200b: upper detection unit, 200c: differential pressure derivation unit, 202: control unit

Claims (5)

벽부에 의해 위요(圍繞)된 냉각실을 구비하는 냉각탑;
상기 냉각탑에 설치되고, 상기 냉각실 내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
상기 냉각탑의 상기 벽부 중, 상기 가스 공급부보다 연직(沿直) 방향의 위쪽에 형성되고, 상기 냉각실로 개구되는 소연도(小煙道);
상기 소연도에 설치되고, 상기 소연도를 연직 방향으로 복수의 플루(flue)로 구획하는 칸막이 부재; 및
적어도, 복수의 상기 플루 중 연직 방향의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최하단 플루의 압력을 검지하는 압력 검지부;
를 포함하는,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
A cooling tower having a cooling chamber enclosed by a wall portion;
A gas supply unit installed in the cooling tower and supplying gas into the cooling chamber;
A small flue formed above the gas supply 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wall part of the cooling tower and opened to the cooling chamber;
A partition member installed in the small flue and partitioning the small flue into a plurality of flue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t least, a pressur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pressure of the lowermost flue loc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flues;
Including, coke dry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검지부는,
상기 최하단 플루의 압력을 검지하는 하부 검지부;
상기 하부 검지부보다 연직 방향의 위쪽의 압력을 검지하는 상부 검지부; 및
상기 하부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압력과 상기 상부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압력과의 차압(差壓)을 도출하는 차압 도출부(導出部);를 구비하는,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
The method of claim 1,
The pressure detection unit,
A lower detection unit detecting the pressure of the lowermost flue;
An upper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pressure above the lower detection unit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coke dry fire extinguishing system comprising: a differential pressure derivation unit for deriving a pressure differential between the pressure detected by the lower detecting unit and the pressure detected by the upper detecting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검지부는, 상기 칸막이 부재의 상단(上端)보다 연직 방향의 위쪽의 압력을 검지하는,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
The method of claim 2,
The upper detection unit detects a pressure above an upper end of the partition member in a vertical direction.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압 도출부에 의해 도출(導出)된 차압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으로 되면 소정의 통지를 행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A coke dry fire extinguishing facility,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giving a predetermined notification when the differential pressure derived by the differential pressure derivation unit exceeds a preset threshold valu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검지부는, 복수의 상이한 상기 소연도에 설치되는,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pressure detection unit i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different small flue furnaces, coke dry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KR1020207028404A 2018-05-18 2019-05-17 Coke dry fire extinguishing system KR20200127237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96026 2018-05-18
JP2018096026 2018-05-18
PCT/JP2019/019718 WO2019221282A1 (en) 2018-05-18 2019-05-17 Coke dry quenching facil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237A true KR20200127237A (en) 2020-11-10

Family

ID=68540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8404A KR20200127237A (en) 2018-05-18 2019-05-17 Coke dry fire extinguishing system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19221282A1 (en)
KR (1) KR20200127237A (en)
CN (1) CN111989385A (en)
TW (1) TWI683001B (en)
WO (1) WO2019221282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71775A1 (en) 2020-09-29 2022-04-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Separator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37676B2 (en) 2003-03-19 2008-08-20 新日鉄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Coke dry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gas outlet flue structure
JP2016023230A (en) 2014-07-18 2016-02-08 新日鉄住金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Coke dry quenching equipment and gas outlet flue part structur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8780A (en) * 1982-02-10 1983-08-1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Air flow rate controlling apparatus in coke dry quenching apparatus
JPS59105076A (en) * 1982-12-07 1984-06-1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Charging of red-hot coke into dry process coke quencher
JPS6354032U (en) * 1986-09-25 1988-04-11
JPH0768524B2 (en) * 1988-09-01 1995-07-26 新日本製鐵株式会社 Coke dry fire extinguisher cooling tower gas outlet flue
SU1624014A1 (en) * 1989-01-09 1991-01-30 Днепропетровский химико-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им.Ф.Э.Дзержинского Pressure control device for coke dry quenching plant
WO2010044137A1 (en) * 2008-10-14 2010-04-22 新日鉄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Coke dry quenching equipment
CN102186947B (en) * 2008-10-14 2014-09-03 新日铁住金工程技术株式会社 Coke dry type extinguishing facility, and coke dry type extinguishing method
KR101199950B1 (en) * 2011-04-22 2012-11-09 주식회사 포스코 Coke dry quenching plan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5202751B1 (en) * 2012-09-13 2013-06-05 新日鉄住金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Coke dry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JP5562477B1 (en) * 2013-08-01 2014-07-30 新日鉄住金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Coke dry fire extinguishing device and coke dry fire extinguishing method
CN204079879U (en) * 2014-07-28 2015-01-07 辽宁以太工程技术开发有限公司 Dryly put out annular air channel hydraulic push rod setting device
JP6617870B2 (en) * 2015-08-06 2019-12-11 株式会社Ihi Coke dry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37676B2 (en) 2003-03-19 2008-08-20 新日鉄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Coke dry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gas outlet flue structure
JP2016023230A (en) 2014-07-18 2016-02-08 新日鉄住金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Coke dry quenching equipment and gas outlet flue part structure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71775A1 (en) 2020-09-29 2022-04-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Separator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989385A (en) 2020-11-24
TWI683001B (en) 2020-01-21
WO2019221282A1 (en) 2019-11-21
TW202003865A (en) 2020-01-16
JPWO2019221282A1 (en) 2021-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13395B (en) Porous medium premixing burner
US7077069B2 (en) U-type slag-tap firing boil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boiler
KR20200127237A (en) Coke dry fire extinguishing system
KR19990017156U (en) Hot Air Valve Leakage Measuring Device
KR20110033133A (en) Sealing device
JP2012500957A (en) Back ventilation type fire wall especially for incinerator
KR20200127236A (en) Coke dry fire extinguishing system
CN111602004B (en) Fluidized bed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JP2016153715A (en) Economizer, composite boiler and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CN106017091A (en) Anti-explosion safe industrial furnace
Ferguson et al. Electric Arc Furnace (EAF) Explosions: A Deadly but Preventable Problem
WO1986000392A1 (en) Purging process
JP4779400B2 (en) Reducing gas injection controller for blast furnace
JPH07331245A (en) Method for repairing columnar part of suction zone in coke dry quenching equipment and upper structure of opening for suction zone
EP3642370B1 (en) Process fluid injection into shaft furnace with injector status test
JP5438486B2 (en) Coke dry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CN202229606U (en) Layered slicing stacking-assembly type smoke cover
KR100424814B1 (en) A method of judging a inactivity index and flowage at the lower part of blast furnace
JP4497004B2 (en) Monitoring and pressure control method for converter bottom blowing tuyere
CN219083790U (en) Whole-process anti-adhesion flue
RU2772842C2 (en) Injection of technological fluid into shaft furnace with checking current state of injector
KR101149228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channeling in blast furnace and method thereof
KR20010059375A (en) furnace wall deposition and hearth temperature control system of furnace hearth bottom in a blast furnace
JP4110174B2 (en) Melting furnace and molten metal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0603133B1 (en) A method for intercepting reverse-fire and a reverse of slag in the blast furnace tuye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