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6982A - 차량 모듈의 전기 및/또는 전자부품의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모듈의 전기 및/또는 전자부품의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6982A
KR20200126982A KR1020207024938A KR20207024938A KR20200126982A KR 20200126982 A KR20200126982 A KR 20200126982A KR 1020207024938 A KR1020207024938 A KR 1020207024938A KR 20207024938 A KR20207024938 A KR 20207024938A KR 20200126982 A KR20200126982 A KR 20200126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us node
node
current
add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4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티안 슈밋츠
Original Assignee
엘모스 세미콘두크터르 아크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18104858.0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8104858A1/d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18104850.5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8104850A1/d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18104866.1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8104866B3/d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18104847.5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8104847A1/d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18104871.8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8104871A1/d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18104855.6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8104855A1/d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18104865.3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8104865B3/d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18104868.8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8104868A1/d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18104852.1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8104852A1/d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18104862.9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8104862A1/d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18104864.5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8104864B3/de
Application filed by 엘모스 세미콘두크터르 아크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엘모스 세미콘두크터르 아크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200126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9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04L12/40045Details regarding the feeding of energy to the node from the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058Isochronous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13Management of data rate on the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169Flexible bus arrangements
    • H04L12/40176Flexible bus arrangements involving redundancy
    • H04L12/40182Flexible bus arrangements involving redundancy by us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3Bus networks with centralised control, e.g. polling
    • H04L61/203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38Address allocation for local use, e.g. in LAN or USB networks, or in a controller area network [CA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8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data-bus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67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 H04L2012/40273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the transportation system being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포함하는 버스 노드(BK1 내지 BKn)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는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와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를 구비한다. 개별 버스 노드(BKj)는 차동 인터페이스(IFj), 어드레스 감지장치(ADRj) 및 버스 노드 어드레스 레지스터(BKADRj)를 구비한다. 커뮤니케이션 버스(DB)는 적어도 첫 번째 차동 논리 상태(z1)와 두 번째 차동 논리 상태(z2)에 놓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IFj)는 데이터를 커뮤니케이션 버스를 통해 수신 및/또는 이러한 커뮤니케이션 버스를 통해 수신하기 위해, 커뮤니케이션 버스(DB)와 연결되어 있다. 버스 마스터(ECU)는 이러한 버스 마스터로부터 전송될 데이터를 비트 시퀀스로서 비트-스트림-패킷(BP)(영문 표기: Frame, BP)으로 전송한다. 버스 마스터(ECU)로부터 전송된 비트-스트림-패킷(BP)은 데이터 정보(DATA)를 구비한다. 데이터 정보(DATA)는 어드레스 정보(ADRD)와 이용 정보(INFO)를 포함하며, 어드레스 감지장치(ADR1 내지 ADRn)는 비트-스트림-패킷(BP)의 어드레스 정보(ADRD)를 평가하고, 이어서 어드레스 정보(ADRD)의 내용이 버스 노드 어드레스 레지스터(BKADRj)의 내용과 일치할 경우, 버스 노드(BKj)를 통해 획득한 이용 정보(INFO)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버스 노드(BKj)는 자동 주소지정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하며, 이것은 버스 노드 어드레스 레지스터(BAKDRj)를 논리 버스 노드 어드레스로 채우기 위한 것으로서, 이때 논리 버스 노드 어드레스는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 내에서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물리적 위치와 일치한다. 클럭 동기화 정보도 전송된다. 주소지정 모드는 버스 마스터(ECU)의 신호를 통해 개시된다.

Description

차량 모듈의 전기 및/또는 전자부품의 제어 방법 및 장치
본 출원은 10 2018 104 847.5(2018.3.2), 10 2018 104 850.5(2018.3.2), 10 2018 104 852.1(2018.3.2), 10 2018 104 855.6(2018.3.2), 10 2018 104 858.0(2018.3.2), 10 2018 104 862.9(2018.3.2), 10 2018 104 864.5(2018.3.2), 10 2018 104 865.3(2018.3.2), 10 2018 104 866.1(2018.3.2), 10 2018 104 868.8(2018.3.2), 10 2018 104 871.8(2018.3.2)로 독일 우선권 주장된 것으로서, 우선권 출원된 내용은 본 특허 출원의 대상과 관련된다.
본 발명은 차량-모듈의 전기 및/또는 전자부품, 특히 실내 등(inside light) 및/또는 차량의 후미 등 모듈(tail light module) 모듈과 같은 실외 등(outside light)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전기 및/또는 전자부품, 특히 실내 등 및/또는 차량의 후미 등 모듈과 같은 실외 등을 포함하는 차량-모듈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 차량-모듈의 전기 및/또는 전자부품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데이지-체인(daisy-chain)을 통해 자동 모듈 주소지정(module addressing)하는 그러한 차량 모듈,
- 차량-모듈의 전기 및/또는 전자부품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검증을 통해 자동 모듈 주소지정하는 그러한 차량-모듈,
- 차량-모듈의 전기 및/또는 전자부품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차동 버스(differential bus)에의 버스-션트-저항(bus-shunt-resistance)을 통해 자동 모듈 주소지정하는 그러한 차량-모듈,
- 차량-모듈의 전기 및/또는 전자부품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또는 차동 버스-션트-저항을 통해 자동 모듈 주소지정하는 그러한 차량-모듈,
- 차량-모듈의 전기 및/또는 전자부품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차단-라인(interrupt-line)을 통해 자동 모듈 주소지정하는 그러한 차량-모듈,
- 차량-모듈의 전기 및/또는 전자부품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자동 모듈 주소지정과 버스-션트-연결 스위치를 포함하는 그러한 차량-모듈,
- 차량-모듈의 전기 및/또는 전자부품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클럭 동기화(clock synchronization) 및 주소지정 모드 신호 송신(addressing mode signalling)을 통해 자동 모듈 주소지정하는 그러한 차량-모듈,
- 차량-모듈의 전기 및/또는 전자부품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클럭 동기화를 통해 자동 모듈 주소지정하는 그러한 차량-모듈,
- 차량-모듈의 전기 및/또는 전자부품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자동 모듈 주소지정하는 그러한 차량-모듈,
- 차량-모듈의 전기 및/또는 전자부품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버스-션트-저항을 통해 자동 모듈 주소지정하는 그러한 차량-모듈,
- 차량-모듈의 전기 및/또는 전자부품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공통 모드 전원(common-mode current source) 또는 차동 모드 전원(normal-mode current source)를 통해 자동 모듈 주소지정하는 그러한 차량-모듈에 관한 것이다.
차량-모듈의 전기 및 전자부품, 예를 들어 다양한 라이트 모듈(light module)은 점점 더 복잡해 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 "라이트(light)" 분야에서 예컨대, "와이핑 방향 지시등(wiping turn signal light)" 또는 소위 "coming home"-애플리케이션과 같은 동적 기능(dynamic function)을 사용하는 추세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때, 차량의 개별 실외 등 및 실내 등 기능을 각각 복수의 LED 또는 OLED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한 상황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한 차량-라이트 모듈(light module)에 제공된 다수의 광원(light source)이 상이한 방식으로 제어됨으로써, 동적 작용(dynamic effect)이 비교적 하드웨어에 적합한 단순한 방식과 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차량-모듈의 다수의 부품, 예를 들어 개별 라이트 기능에 할당된 후미 등 모듈의 다수의 LED 또는 OLED는 바람직하게는 커뮤니케이션 버스(communication bus)를 통해 모듈의 제어 장치(control unit)에 연결되거나, 또는 커뮤니케이션 버스를 통해 상기 제어 장치와 통신을 위해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어 장치는 라이트 모듈의 특히, LED-드라이버(driver)를 제공하기 위해 변압기(voltage transformer)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송속도 및 인성(toughness)과 관련하여,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 시스템의 가치가 입증되었다. 이때, 정보 신호(information signal)는 제어 장치와 관련기기 사이에서 두 개의 버스 라인(bus line)의 전압 편차로서 전송되며, 이로 인해 더욱 높은 신호 보안 및 더욱 빠른 전송 속도 및 낮은 고장 빈도가 달성된다. 그러한 2선식-버스 라인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문제는 그러한 2선식-버스 시스템과 이러한 버스 시스템의 관련기기를 위한 하드웨어 비용이 만만치 않다는 것이다. 특히, 비용과 관련하여 관련기기가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작동하는 클럭 센서(clock sensor), 즉 서로 동시에 작동하는 그러한 클럭 센서를 구비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차량 정비소에서 라이트 모듈을 장착 및 연결할 때, 그러한 라이트 모듈의 물리적 위치가 확정되어야 하고, 논리 어드레스(logical address)로 변환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라이트 모듈을 위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bus node address)의 사전 프로그래밍 없이 동일한 종류의 라이트 모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로써 생산 공정에서 오류 가능성 및 물류(logistic)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NN: "High-Brightness LED Matrix Manager for Automotive Headlight Systems", 1. February 2016 (2016-02-01), Page 1-53, XP055348745, Dallas, Texas (인터넷 주소: URL:http://www.ti.com/lit/ds/symlink/tps92661-q1.pdf am 2017-02-23)은 차량-헤드라이트-제어 장치를 공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제어 장치의 버스는 차동 신호(differential signal)가 제공되지 않은 두 개의 라인을 구비한다.
MONAL GIRADKAR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daptive Front Light System of Vehicle Using FPGA Based LIN Controller", EMERGING TRENDS IN ENGINEERING AND TECHNOLOGY (ICETET), 2011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EEE, 18. November 2011 (2011-11-18), Page 258-261, XP032087461, DOI: 10.1109/ICETET.2011.67; ISBN: 978-1-4577-1847-2는 CAN-버스를 위한 비트-타이밍-로직(bit-timing-logic)을 공지하고 있다.
FPGA에 기반을 둔 LIN-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적응형 차량-헤드라이트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는 GUO JINYAN ET AL: "The design and realization of CAN bit timing logic", MICROELECTRONICS AND ELECTRONIS (PRIMEASIA), 2010 ASIA PACIFIC CONFERENCE ON POSTGRADUATE RESEARCH IN, IEEE, PISCATAWAY, NJ, USA, 22. September 2010 (2010-09-22), Page 333-337, XP031777603, ISBN: 978-1-4244-6735-8에 공지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ZENG WEIYING ET AL: "In-Vehicle Networks Outlook: Achievements and Challenges", IEEE COMMUNICATIONS SURVEYS & TUTORIALS, Bd. 18, Nr. 3, 27. Februar 2016 (2016-02-27), Page 1552-1571, XP011620858, DOI: 10.1109/COMST.2016.2521642; [발견일: 2016-08-19]은 차량-커뮤니케이션 시스템에 대한 개요를 제공하고 있다.
DE-A-10 2016 125 290 및 DE-A-10 2017 100 718은 JTAG-프로토콜을 사용하여 LED-체인을 주소지정 및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공지하고 있다. 이때, 클럭 신호(clock signal)가 다단계 신호(multilevel signal)를 통해 데이터와 함께 전송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기존의 프로토콜로 회귀하려는 시장의 욕구가 존재한다. 이때, DE-A-10 2016 125 290 및 DE-A-10 2017 100 718의 기술적 사상에서 공지하고 있는 것처럼 클럭 신호의 전송을 억제하기 위해, 버스 노드(bus node)는 매우 정확하게 동기화되어야 한다. 이것은 CAN-프로토콜에서 예컨대, 복잡한 타이밍-동기화(timing synchronization)를 통해 해결되지만, 일반적으로 매우 복잡한 버스 노드가 제공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모듈의 전기 및/또는 전자부품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하드웨어 비용이 감소 된 그러한 차량-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 범위는 일차적으로 청구항의 대상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청구항과 이러한 청구항을 전체적인 맥락에서 상세하게 기술한다.
색인 j와 n은 각각 양의 정수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전기 및/또는 전자 버스 노드(bus node), 특히 차량-모듈의 전기 또는 전자부품에 해당하는 전기 및/또는 전자 버스 노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며, 이때 상기 장치는,
-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
- 1보다 큰 양의 정수 n을 포함하는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
- 버스 마스터(ECU)를 구비하며,
- 이때,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는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 및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를 구비하고,
-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개별 버스 노드는,
- 차동 직렬 인터페이스(IFj),
- 마이크로 컨트롤러(μCj),
- 클럭 센서(CLKGj),
- 탐지장치(ATj) 및,
- 어드레스 감지장치(ADRj) 및 버스 노드 어드레스 레지스터(BKADRj)를 구비하며,
-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버스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체(LEDj) 및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공급장치(EVj)를 포함하는 발광체-버스 노드이며,
- 적어도 하나의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적어도 하나의 발광체(LED)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공급장치(EVj)가 제공되며,
-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는 적어도 첫 번째 차동 논리 상태(z1) 및 두 번째 논리 상태(z2)에 놓일 수 있으며,
- 데이터를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통해 전송 및/또는 이러한 커뮤니케이션 버스를 통해 수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발광체-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직렬 인터페이스(IFj)는 각각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와 연결되어 있으며,
- 버스 마스터(ECU)는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를 위한 제어 명령어를 외부로부터 획득하며,
- 상기 버스 마스터(ECU)는 이러한 제어 명령어를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통해 버스 노드(BK1 내지 BKn)로 전송될 비트 스트림(bitstream)으로 변환하며,
- 상기 버스 마스터(ECU)는 버스 마스터(ECU)를 통해 전송될 비트 스트림의 비트를 이러한 버스 마스터(ECU)에 의해 제공된 클럭(CLK)에 따라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통해 전송하며,
- 상기 버스 마스터(ECU)는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의해 생성된 비트 스트림을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통해 수신하며,
- 각각의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클럭 센서(CLKGj)는 탐지신호(CLKAj)를 각각의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서 생성하며,
- 이러한 버스 노드(BKj) 내에서 국부적 비트 스트림을 획득하기 위해, 개별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탐지장치(ATj)는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탐지신호(CLKAj)에 따라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통해 전송된 비트 스트림을 탐지하며,
- 상기 버스 마스터(ECU)는 전송될 비트 스트림을 비트 시퀀스로서 비트-스트림-패킷(BP)으로 전송하며,
- 버스 마스터(ECU)도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 가운데 하나의 버스 노드도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지 못할 경우, 상기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는 첫 번째 차동 논리 상태(z1) 또는 세 번째 논리 상태(z3)를 점유하며,
- 상기 비트-스트림-패킷(BP)은 동일한 시간 길이(tB)를 갖는 비트-스트림-패킷(BP)의 m 싱글 비트, 즉 양의 정수 m을 포함하는 그러한 m 싱글 비트의 시간 순서를 구비하며, 시간 길이(tB)는 비트-스트림-패킷(BP) 내에서 +/-(0.4/m)*tB의 계수 이하만큼 변하며,
- 상기 버스 마스터(ECU)로부터 전송된 비트-스트림-패킷(B)의 적어도 일부는 다음의 내용, 즉,
-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에서 두 번째 차동 논리 상태(z2)를 포함하는 각각의 비트-스트림-패킷(BP)의 m 비트의 i-1≤m/3을 포함하는 양의 정수 i를 포함하는 i 비트 형태의 스타트 신호(START)를 구비하고,
- 양의 정수 k를 포함하는 k 비트로 구성된 동기화 신호(SYNC), 즉,
- 버스 노드(BKj)의 클럭 센서(CLKGj)의 탐지신호(CLKAj)를 버스 마스터(ECU)의 클럭(CLK) 위상(phase)으로 위상 동기화하기 위해, 또는
- 버스 노드(BKj)의 클럭 센서(CLKGj)의 탐지신호(CLKAj)를 버스 마스터(ECU)의 클럭(CLK) 위상(phase)으로 위상 동기화 및 버스 노드(BKj)의 클럭 센서(CLKGj)의 탐지신호(CLKAj)를 버스 마스터(ECU)의 클럭(CLK)의 주파수로 주파수 동기화하기 위한 그러한 동기화 신호를 구비하며,
- 각각의 비트-스트림-패킷(BP)의 m 비트의 m-i-k 비트의 잔여 비트로 구성된 데이터 정보(DATA)를 구비하며,
- 상기 데이터 정보(DATA)는 어드레스 정보(ADRD), 이용 정보(INFO) 및 테스트 정보(CHKD)를 포함하며,
- 어드레스 정보(ADRD)의 논리 내용이 버스 노드(BKj)의 버스 노드 어드레스 레지스터(BKADRj)의 내용과 일치할 경우, 이용 정보(INFO)의 적어도 일부는 버스 노드(BKj)의 에너지 공급장치(EVj)를 통해 발광체(LEDj)에 에너지 공급하는 것을 이러한 조명 정보에 따라 제어하기 위한 조명 정보(ILD)를 포함하며,
-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어드레스 감지장치(ADRj)는 비트-스트림-패킷(BP)의 어드레스 정보(ADRD)를 평가하고, 어드레스 정보(ADRD)의 내용이 버스 노드(BKj)의 버스 노드 어드레스 레지스터(BKj)의 내용과 일치할 경우, 비로소 획득된 이용 정보(INFO)를 사용할 수 있으며,
- 적어도 하나의 그러한 버스 노드(BKj)는 자동 주소지정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하며, 이것은 버스 노드 어드레스 레지스터(BAKDRj)에 버스 노드 어드레스, 즉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 내에서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 가운데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물리적 위치와 일치하는 그러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변형된 실시 형태에 따라, 마찬가지로 상기 장치는,
-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를 구비하고,
-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에 연결된 복수의 부품, 및
- 부품을 위해 외부로부터 제어 명령어를 획득하고, 이러한 제어 명령어를 상기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를 통해 부품으로 전송될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 및 상기 부품으로부터 생성된 비트 스트림을 수신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며,
- 이때, 각각의 부품은 상기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를 통해 전송된 비트 스트림을 탐지하기 위한 탐지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비동기식(asynchronous), 디지털, 직렬 인터페이스, 마이크로 컨트롤러 및 클럭 센서를 구비하며,
-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비트 스트림은 부품의 클럭 센서를 클럭(clock)으로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화 정보를 구비하며, 이때 동기화 정보와 함께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를 통해 비트 스트림 가운데 하나의 비트를 전송하고,
- 각각의 부품은 이러한 부품의 물리적 위치와 상관관계에 있는 논리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하나 또는 복수의 자동 주소지정 방법을 통해 식별 및 이용하기 위해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복수의 전기 및/또는 전자부품, 특히 차량의 후미 등 모듈과 같은 실내 등 및/또는 실외 등을 구비한 차량-모듈이 제공되며, 이때 상기 차량-모듈은,
-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를 구비하며,
- 이때, 상기 부품은 상기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에 연결되어 있고,
- 부품을 위해 외부로부터 제어 명령어를 획득하고, 이러한 제어 명령어를 상기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를 통해 부품으로 전송될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 및 상기 부품으로부터 생성된 비트 스트림을 수신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며,
- 각각의 부품은 상기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를 통해 전송된 비트 스트림을 탐지하기 위한 탐지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비동기식, 디지털, 직렬 인터페이스, 마이크로 컨트롤러 및 클럭 센서를 구비하며,
-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비트 스트림은 부품의 클럭 센서를 클럭으로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화 정보를 구비하며, 이때 동기화 정보와 함께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를 통해 비트 스트림 가운데 하나의 비트를 전송하고,
- 정상 작동 전에, 상기 부품은 정상 상태를 주소지정 상태로 전환하고, 버스 노드의 체인에서 버스 노드의 물리적 위치의 영향을 받는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을 실행하며, 이어서 다시 주소지정 상태를 종료시킨다.
제안된 접근 방식에 따라, 자동 주소지정 가능한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의 장점은 비동기식, 디지털, 직렬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때의 장점과 연관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개별 관련기기 및 개별 부품이 상기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와 연결된다. 소위, 범용 비동기 송수신기(UART)를 사용함으로써, 그러한 디지털 직렬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비트 스트림은 버스 관련기기(각각의 버스 노드)의 클럭 센서를 위한 동기화 정보를 포함해야 한다. 그러한 동기화 정보(예를 들어, 동기화 비트)는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를 통해, 예컨대 비트 스트림을 재현하는 데이터 프레임의 헤더(header)에 용이하게 내장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의 프로토콜은 부품, 예를 들어 싱글 와이어 버스에 의해 공지된 그러한 부품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부품의 관련기기는 표준화된, 그리고 저렴한 비용의 UART를 구비한다.
특히, 본 발명은 500 kBit/s에 이르는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갖는 라이트(light)와 관련하여 예를 들어, 후미 등과 실내 등을 위한 LED가 설치된 보드 사이를 2선식-케이블을 연결함으로써 특히 데이터를 확실하게 고속 전송하기 위한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범위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차동 고속-2선식-버스 시스템을 통한 균형있는 전송은 단순한 직렬 프로토콜의 전송 및 복잡한 하드웨어-디지털을 간소화하기 위해 이용된다.
직렬 양 방향 차동 데이터 버스 시스템의 전기 및/또는 전자 버스 노드를 제어하기 위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와 관련하여, 상기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는, 단순하게 표현하면, 직렬 양 방향 싱글 와이어-커뮤니케이션 버스에 따라 작동된다. 이때, 본 발명의 본질적 특징 가운데 하나는 모든 버스 노드에서 생성된 탐지신호의 위상 동기화 및 주파수 동기화가 대응하는 비트의 전송을 통해 실시된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약간 부정확하게 작동하는 클럭 센서가 버스 노드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클럭 센서는 복수의 비트로 구성된 데이터 워드(data word) 시작 전 또는 시작과 동시에 동기화 정보를 통해 비트 전송의 위상과 클럭으로 동기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방식으로 위상 동기화뿐 아니라, 주파수 동기화도 달성된다. 그러한 방식으로 작동하는 버스 노드는 바람직하게는 전형적인 UARTS(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를 구비할 수 있다.
일반적인 의미에서 주파수 동기화는 개별 버스 노드가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를 통해 전송된 비트를 오버 샘플링(over sampling)을 통해 탐지하는 것을 기점으로 할 경우, 또 다른 방식과 방법으로 실시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버스 노드에 사용된 오버 샘플링, 즉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를 통해 전송된 비트의 그러한 오버 샘플링을 조정하여 주파수 동기화를 보장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것은 비트의 논리 상태를 통해 결정되고, 하나 또는 복수의 비트 워드가 비트를 통해 평가되는 그러한 개별 비트의 하나 또는 복수의 탐지 지점이 시간상 상이하게 선택됨으로써 실시되며, 따라서 버스 노드의 클럭 주파수를 버스 마스터의 클럭으로 동기화하지 않고도 이러한 탐지 지점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비트 워드를 판독하는 시간에 항상 비트의 중앙에 놓이거나, 또는 복수의 비트 워드가 그러한 시간에 비트의 중앙에 놓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버스 시스템 내에서 주소지정 될 버스 노드의 어드레스를 전송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사용된 주소지정 방법과 관련하여, 다양한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와 관련하여, 서로 다른 방법을 공지하고 있는 특허 출원이 본 출원의 대상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으며, 서로 다른 방법을 공지하고 있는 특허 출원은 다음과 같다:
EP 17 210 851.6(2017.12.28)
EP 17 210 861.5(2017.12.28)
EP 17 210 869.8(2017.12.28)
EP 18 196 807.4(2018.9.26)
EP 18 196 888.4(2018.9.26)
EP 18 196 942.9(2018.9.26)
US 16/137,561(2018.9.21)
US 16/137,562(2018.9.21)
US 16/137,563(2018.9.21)
CN 201811126141.2(2018.9.26)
CN 201811126184.0(2018.9.26)
CN 201811126287.7(2018.9.26)
DE 10 2018 118 380.1(2018.7.30)
전술한 설명과 다음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데이터 버스 시스템 내에서 주소지정 될 버스 노드의 위치를 식별하는 것과 관련하여 개별 버스 노드의 높이로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를 지나 흐르는 전류가 측정된다. 이와 관련하여, 특히 버스-션트-저항이 전류 측정 수단을 위한 예로서 설명될 수 있다. 전술한 것을 달성하기 위해, 여기서 강조될 수 있는 것은 전류 측정 수단으로서 버스-션트-저항이 유일한 가능성이 아니라는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에게 알려진 또 다른 전류 측정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또 다른 장치와 방법이 제공되며, 이것은 개별 독립 청구항 1, 2, 4, 14, 15, 24, 26, 28, 29, 33, 47, 60과 75의 대상이다. 전술한 청구항의 각각의 방법과 장치의 개별 실시 형태는 이러한 청구항과 연관된 종속항의 대상이다.
다음의 텍스트 설명에서 단축어는 도면부호와 달리 꺾쇠 괄호 "[]"로 표시되고, 첨부된 단축어 리스트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면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도면에 포함된 도면부호는 다음의 텍스트 설명에서 단축어와 달리 둥근 괄호 "()"로 표시되고, 첨부된 도면부호 리스트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면부호가 도면 설명 이외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다른 곳에 적용되더라도, 명칭은 항상 도면부호와 함께 설명된다.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실시 형태는 아래의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된다. 이것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차량의 후미 등 모듈(BLM)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예를 들어 선행 기술에 공지된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도시하고 있고,
도 3은 버스 마스터(ECU)로부터 전송된 비트-스트림-패킷(BP)의 바람직한 구조를 도시하고 있고,
도 4는 개별 버스 노드((BK1) 내지 [BKn]) 마다 제1 버스-션트-저항(R2)이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 삽입된 데이터 버스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고,
도 5는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1)에 삽입된 제1 버스-션트-저항(R2)과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2)에 삽입된 제2 버스-션트-저항(R2')을 포함하는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도 4에 기초하여 도시하고 있고,
도 6은 도 5와 유사하지만 버스-마스터(ECU) 방향에서 바라볼 때, 개별 버스 노드(BKj)가 주소지정 상태로 존재하는 주소지정 위상의 제1 버스-션트-저항(R2) 뒤쪽으로 각각의 제1 주소지정 전원((Iq1) 내지 [Iqn])이 제1 주소지정 전류를 공급하는 차이를 도시하고 있고,
도 7은 n=3 버스 노드(BK1 내지 BK3)를 포함하는 데이터 버스 시스템의 실시 예에서 제1 버스 노드(BK1)의 출력 전류(i1), 제2 버스 노드(BK2)의 출력 전류(i2) 및 제3 버스 노드(BK3)의 출력 전류(i3) 흐름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8은 제1 버스 노드(BK1)의 출력 전류(i1), 제2 버스 노드(BK2)의 출력 전류(i2) 및 제3 버스 노드(BK3)의 출력 전류(i3)의 흐름을 도시하고 있고,
도 9는 제1 버스 노드(BK1)의 출력 전류(i1), 제2 버스 노드(BK2)의 출력 전류(i2) 및 제3 버스 노드(BK3)의 출력 전류(i3)의 흐름을 도시하고 있고,
도 10은 버스 노드(BKj)의 내부 신호(ds1, ds3)의 타당성을 테스트하는 제1 탐지장치(DET)가 제공된 버스 노드(BKj)의 제어 회로를 도시하고 있고,
도 11은 해당 버스 노드(BKj)에서 제2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2 주소지정 전류의 공급 지점 위치를 재선정하기 위해 제2 탐지장치(DET')를 구비하는 j 번째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고,
도 12는 버스 노드(BKj)의 해당 제2 버스-션트-저항(R2')을 정상 작동 상태, 즉 버스 노드(BKj)의 정상 상태에서 버스 노드(BKj) 마다 제공된 제2 버스-션트-연결 스위치(S4')를 통해 연결하고, 이러한 제2 버스-션트-연결 스위치(S4')를 주소지정 상태에서만 개방하는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1, BK2, BK3)를 도시하고 있고,
도 13은 차단-라인을 통해 자동 주소지정하는 데이터 버스 시스템을 도 2에 기초하여 도시하고 있고,
도 14는 차단-라인을 통해 여기서 설명된 바람직한 어드레스 전송 방법의 기본적인 과정을 도시하고 있고,
도 15는 0보다 큰 양의 정수 n을 포함하는 n 버스 노드((BK1), (BK2)......(BK3)......[BKn-1], [BKn]) 및 버스 노드를 포함하는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때 버스 마스터에서 전원 공급 케이블(Vbat)을 통해 전기 에너지가 버스 노드에 공급되고, 커뮤니케이션 버스(DB)는 버스 마스터(ECU)에 연결되고, 개별 버스 노드((BK1), (BK2)......[BKn -1], [BKn])는 커뮤니케이션 버스(DB)에 연결되며,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개별 버스 노드(BKj)에 할당된 개별 측정 저항(Rmj)은 버스 노드((BK1) 내지 [BKn]) 내에서 전원 공급 케이블(Vbat)에 삽입되어 있으며,
도 16은 발광체(LED1 내지 LEDn)를 포함하는 도 15를 도시하고 있고,
도 17은 해당 버스 노드(BKj)의 제2 주소지정 전원(Iq'j)이 전원 공급 케이블(Vbat)을 통해 자동 주소지정 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도 15에 기초하여 도시하고 있고,
도 18은 복수의 자동 주소지정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장치를 도시하고 있고, 이때 도 18은 도 17, 도 13, 도 6 및 도 5의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9는 도 18에 따른 장치에 대응하여 연결 스위치(S4)를 포함하는 장치를 도시하고 있고,
도 20은 버스 노드(BKj) 마다 제공된 제4 멀티플렉서(X4)를 이러한 버스 노드(BKj) 내의 제어 장치와 변환할 수 있고, 버스 노드(BKj) 마다 제공된 또 다른 제4 멀티플렉서(X4')를 이러한 버스 노드(BKj) 내의 제어 장치와 변환할 수 있으며, 이러한 버스 노드(BKj) 내의 제어 장치는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또 다른 제2 차동 증폭기(D2')의 두 개의 입력부를 치환할 수 있는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21은 회전된 버스 노드(BK2)를 포함하는 도 20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차량의 후미 등 모듈(BLM)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후미 등 모듈(BLM)은 버스 마스터(ECU) 및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구비한다. 상기 직렬 양 방향 및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는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와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로 구성된다. 상기 버스 마스터(ECU)의 TXD-케이블 및 RXD-케이블은 상기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작동을 위해 신호 레벨(signal level)을 변환시키는 레벨 변환기(TR)에 연결된다. 상기 버스 마스터(ECU)는 예를 들어 후미 등, 방향 지시등, 후방 안개등의 기능, 동적 효과 등등 및/또는 디지털 버스에 대한 정보를 위해 서로 다른 제어 명령어를 외부로부터 획득한다. 상기 버스 마스터(ECU)는 이러한 명령어를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하며, 상기 비트 스트림은 특히 대응하는 데이터 프레임(비트-스트림-패킷(BP))의 동기화 필드(synchronization field)의 비트를 구비한다. 상기 레벨 변환기(level converter)와 버스 마스터(ECU)는 다음에서 장치로서 설명되며, 함께 버스 마스터(ECU)료 표현된다.
다양한 부품 및 버스 노드((BK1) 내지 (BK2))에 해당하는 관련기기는 상기 커뮤니케이션 버스(DB)에 연결된다. 제1 및 제2 버스 노드((BK1), (BK2))는 예를 들어 점멸 등을 실행하기 위해, 제3 버스 노드(BK3)는 후미 등을 실행하기 위해, 제4 및 제6 버스 노드(BK4), (BK6)는 브레이크 등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그리고 제5 버스 노드(BK5)는 후진 등을 실행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각각의 관련기기 또는 이러한 각각의 부품은 개별 LED-드라이버에 의해 제어되는 다수의 LED(LED1 내지 LED6)를 구비한다.
또한, 개별 버스 노드에는 UART 형태의 디지털 인터페이스(IF1 내지 IF6)가 제공된다. 또한, 개별 버스 노드는 필요에 따라, 마이크로 컨트롤러([μC1] 내지 [μC6]) 및 또한 클럭 센서([CLKG1] 내지 [CLKG6])를 구비하며, 이것은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메시지를 비트 스트림의 비트 전송과 동시에 판독하고, 또 다른 관련기기 및 버스 마스터(ECU)를 통해 판독과 동시에 그러한 비트 스트림을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 상에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부품 및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관련기기 측면에서 탐지 지점의 동적 조절되는 대신, 고정된 탐지 지점이 사용됨으로써, 차량-모듈의 부품을 본 발명에 따라 제어하는 하드웨어가 간소화될 수 있다. 후자는 일반적으로 더 복잡하다. 관련기기마다 클럭 획득은 비트 스트림의 동기화 정보의 판독을 통해 실시되며, 이러한 동기화 정보는 바람직하게는 비트 스트림 개시를 위해 전송된다.
도 2는 예컨대 선행 기술에 공지된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도시하고 있다.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는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 및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로 구성된다.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는 상기 버스 마스터(ECU)를 복수의 버스 노드((BK1) 내지 [BKn])와 연결한다.
도 3
도 3에서 버스 마스터(ECU)는 제1 드라이버[TRa]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드라이버로 인해 버스 마스터는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를 첫 번째 상태(Z1) 또는 두 번째 상태(Z2) 또는 제3 상태(Z3)로 제공할 수 있다.
CAN-드라이버로서 제1 드라이버는 허용된 세 가지 상태 가운데 바람직하게는 두 가지 상태를 점유할 수 있다: 첫 번째 상태에서, 상기 제1 드라이버는 첫 번째 논리 레벨(Z1)을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 배치한다. 두 번째 상태에서, 제1 드라이버는 세 번째 논리 레벨(Z3)을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 배치한다. 또한, 버스 마스터(ECU)의 제1 드라이버는 데이터 버스 시스템과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주소지정 상태에서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제공된 제1 주소지정 전원((Iq1) 내지 [Iqn])의 제1 주소지정 전류와 버스 노드의 제1 정전류를 위한 첫 번째 전류 싱크(current sink)로서 작동한다. 바람직하게는, 해당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제공된 제2 드라이버[TRb]가 두 번째 상태(Z2)를 점유할 경우, 버스 노드((BK1) 내지 [BKn]) 및 버스 마스터(ECU)의 제1 드라이버는 첫 번째 상태(Z1)를 점유한다. 이로 인해, 신호가 제1 차동 레벨(z1)로 인해 차동적(differential)으로 영향을 받는다. 바람직하게는, 해당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제공된 제2 드라이버(TRb)가 세 번째 상태(Z3)를 점유할 경우, 버스 노드((BK1) 내지 [BKn]) 및 버스 마스터(ECU)의 제1 드라이버는 세 번째 상태(Z3)를 점유한다. 이로 인해, 신호가 제3 차동 레벨(z3)로 인해 차동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RS485-드라이버로서 상기 제1 드라이버는 허용된 두 가지 상태 가운데 바람직하게는 두 가지 상태를 점유할 수 있다: 첫 번째 상태에서, 제1 드라이버는 첫 번째 논리 레벨(Z1)을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 배치한다. 두 번째 상태에서, 제1 드라이버는 두 번째 논리 레벨(Z2)을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 배치한다. 또한, 상기 버스 마스터(ECU)의 제1 드라이버는 데이터 버스 시스템과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주소지정 상태에서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제공된 제1 주소지정 전원((Iq1) 내지 [Iqn])의 제1 주소지정 전류와 버스 노드의 제1 정전류를 위한 첫 번째 전류 싱크로서 작동한다. 바람직하게는, 해당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제공된 제2 드라이버[TRb]가 두 번째 상태(Z2)를 점유할 경우, 버스 노드((BK1) 내지 [BKn]) 및 버스 마스터(ECU)의 제1 드라이버는 첫 번째 상태(Z1)를 점유한다. 이로 인해, 신호가 제1 차동 레벨(z1)로 인해 차동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바람직하게는, 해당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제공된 제2 드라이버[TRb]가 첫 번째 상태(Z1)를 점유할 경우, 버스 노드((BK1) 내지 [BKn]) 및 버스 마스터(ECU)의 제1 드라이버는 두 번째 상태(Z2)를 점유한다. 이로 인해, 신호가 제2 차동 레벨(Z2)로 인해 차동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또한, 제1 드라이버는 일반적으로 또 다른 버스 노드((BK1) 내지 [BKn]) 및 버스 마스터(ECU)의 제1 드라이버를 통해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 동시에 접속할 경우, 탐지 및 버스 충돌을 억제하기 위한 분할 장치를 구비한다.
CAN-드라이버로서 제2 드라이버는 바람직하게는 허용된 세 가지 상태 가운데 두 가지 상태를 차지할 수 있다: 첫 번째 상태에서, 제2 드라이버는 두 번째 논리 레벨(Z2)을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에 배치한다. 두 번째 상태에서, 제2 드라이버는 세 번째 논리 레벨(Z3)을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에 배치한다. 또한, 버스 마스터(ECU)의 제2 드라이버는 데이터 버스 시스템과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주소지정 상태에서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제공된 제2 주소지정 전원((Iq'1) 내지 [Iq'n])의 제2 주소지정 전류와 버스 노드의 제2 정전류를 위한 두 번째 전류 싱크로서 작동한다. 바람직하게는, 해당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제공된 제1 드라이버[TRa]가 첫 번째 상태(Z1)를 점유할 경우, 버스 노드((BK1) 내지 [BKn]) 및 버스 마스터(ECU)의 제2 드라이버는 두 번째 상태(Z2)를 점유한다. 이로 인해, 신호가 제1 차동 레벨(z1)로 인해 차동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바람직하게는, 해당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제공된 제1 드라이버(TRa)가 세 번째 상태(Z3)를 점유할 경우, 버스 노드((BK1) 내지 [BKn]) 및 버스 마스터(ECU)의 제2 드라이버는 세 번째 상태(Z3)를 점유한다. 이로 인해, 신호가 제3 차동 레벨(z3)로 인해 차동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RS485-드라이버로서 제2 드라이버는 바람직하게는 허용된 세 가지 상태 가운데 두 가지 상태를 차지할 수 있다: 첫 번째 상태에서, 제2 드라이버는 두 번째 논리 레벨(Z2)을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 배치한다. 두 번째 상태에서, 제2 드라이버는 첫 번째 논리 레벨(Z1)을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에 배치한다. 또한, 버스 마스터(ECU)의 제2 드라이버는 데이터 버스 시스템과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주소지정 상태에서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제공된 제2 주소지정 전원((Iq'1) 내지 [Iq'n])의 제2 주소지정 전류와 버스 노드의 제2 정전류를 위한 두 번째 전류 싱크로서 작동한다. 바람직하게는, 해당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제공된 제1 드라이버[TRa]가 첫 번째 상태(Z1)를 점유할 경우, 버스 노드((BK1) 내지 [BKn]) 및 버스 마스터(ECU)의 제2 드라이버는 두 번째 상태(Z2)를 점유한다. 이로 인해, 신호가 제1 차동 레벨(Z1)로 인해 차동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바람직하게는, 해당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제공된 제1 드라이버(TRa)가 두 번째 상태(Z2)를 점유할 경우, 버스 노드((BK1) 내지 [BKn]) 및 버스 마스터(ECU)의 제2 드라이버는 첫 번째 상태(Z1)를 점유한다. 이로 인해, 신호가 제2 차동 레벨(Z2)로 인해 차동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또한, 제1 드라이버는 일반적으로 또 다른 버스 노드((BK1) 내지 [BKn]) 및 버스 마스터(ECU)의 제1 드라이버를 통해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 동시에 접속할 경우, 탐지 및 버스 충돌을 억제하기 위한 분할 장치를 구비한다.
도 2
도 2에서 버스 노드((BK1) 내지 [BKn]) 가운데 각각의 버스 노드 및 버스 마스터(ECU)는 바람직하게는 수신기(Rec)를 구비한다. 각각의 수신기(Rec)는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비트-스트림-패킷(BP)에 포함된 데이터(DATA)를 추출하고, 이러한 데이터를 오류 정보와 함께 상기 수신기(Rec)의 출력부(out)를 통해 출력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수신기(Rec)는 비트-스트림-패킷(BP)의 데이터 정보(DATA) 내에서 테스트 정보(CHKD)가 수신기(Rec)를 통해 오류 없이 수신되는지 검사한다. 비트-스트림-패킷(BP)이 수신기(Rec)를 통해 오류 없이 수신되지 않았다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신기(Rec)는 이것을 신호로 보낸다. 수신기 출력부(out)에 있는 실제 이용 회로는 도 2에 개선된 개관을 위해 도시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이용 회로는 수신기(Rec)를 통해 수신된 정보(out)를 처리하고, 버스 노드((BK1) 내지 [BKn]) 및 버스 마스터(ECU)의 각각의 전송 과정을 위한 드라이버[TRa, TRb]를 제어한다.
상기 데이터 버스 시스템은 공통의 전원 공급 케이블(Vbat)과 도 2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공통의 접지[GND]를 구비한다.
주의해야 할 것은, 도 2는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직렬 배열에도 데이터 버스의 성좌-구조(star structure)를 구비한다는 것이다. 도 2에서 제3 버스 노드(BK3)는 개선된 개관을 위해 생략된다.
실시 형태에서, 특히 차량-모듈 내의 전기 및/또는 전자부품, 실내 등 및/또는 예컨대 차량의 후미 등과 같은 실외 등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장치는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를 포함하는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구비한다. 이때, 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버스 마스터(ECU)를 구비한다. 상기 직렬 양 방향 차동 커뮤니케이션 버스(DB)는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 및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로 구성된다. 상기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 가운데 개별 버스 노드(BKj)는 직렬 양 방향 차동 커뮤니케이션 버스(DB)에 적합한 차동 직렬 인터페이스[IFj]를 구비한다. 상기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 가운데 개별 버스 노드(BKj)는 바람직하게는 클럭 센서[CLKGj], 탐지장치[ATj], 어드레스 감지장치[ADRj] 및 버스 노드 어드레스 레지스터[BKADRj]를 구비한다. 전술한 직렬 양 방향 차동 커뮤니케이션 버스(DB)는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커뮤니케이션 버스가 적어도 첫 번째 논리 상태(High, Z1) 및 두 번째 논리 상태(Low, Z2) 및 경우에 따라, 세 번째 논리 상태(Idle, Z3)에 놓일 수 있도록 제공된다.
먼저, 고속 CAN-프로토콜[HS-CAN]의 레벨이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첫 번째로서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이를 위해, 개별 버스 노드(BKj)의 전송기(TXa, TXb)에서 상기 직렬 양 방향 차동 커뮤니케이션 버스(DB)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각의 전송기(TXa, TXb)에 제공된 하이-임피던스(high impedance) 전압 분배기를 통해 세 번째 논리 상태(Idle Z3)에 대응하는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와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 사이의 소멸하는 차동 전압 편차로 고정된다. 상기 각각의 전송기(TXa, TXb)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제어 시, 직렬 양 방향 차동 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는 제1 드라이버[TRa]를 통해 첫 번째 논리 상태(High, Z1)에 제공되고, 직렬 양 방향 차동 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는 제2 드라이버(TRb)를 통해 두 번째 논리 상태(Low, Z2)에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도 3의 하단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드라이버[TRa, TRb]의 스위치가 차단될 경우(IDLE), 직렬 양 방향 차동 커뮤니케이션 버스(DB)는 다시 세 번째 논리 상태(Idle, Z3)를 점유한다.
두 번째로서, RS484의 레벨이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두 번째로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이를 위해, 개별 버스 노드(BKj)의 전송기(TXa, TXb)에서 상기 직렬 양 방향 차동 커뮤니케이션 버스(DB)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각의 전송기(TXa, TXb)에 제공된 하이-임피던스(high impedance) 전압 분배기를 통해 바람직하게는 세 번째 논리 상태(Idle Z3)에 대응하는 차동 전압 편차로 고정된다. 상기 각각의 전송기(TXa, TXb)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하프 브리지(half bridge)를 포함하며, 이러한 하프 브리지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제어됨으로써 직렬 양 방향 차동 커뮤니케이션 버스(DB)가 첫 번째 논리 상태(High, Z1)와 두 번째 논리 상태(Low, Z2)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프 브리지가 차단될 경우(IDLE), 직렬 양 방향 차동 커뮤니케이션 버스(DB)는 다시 세 번째 논리 상태(Idle, Z3)를 점유한다.
도 3
도 3에서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버스 노드(BKj)의 직렬 인터페이스(IFj)는 각각 직렬 양 방향 차동 커뮤니케이션 버스(DB)와 연결되며, 이것은 이러한 직렬 양 방향 차동 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 및/또는 이러한 직렬 양 방향 차동 커뮤니케이션 버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으로 각각의 버스 노드(BKj)에 제공된 전술한 전송기(TXa, TXb) 및 수신기(Rec)를 포함한다. 비트-패킷(BP)으로 구성된 버스 노드((BK1) 내지 [BKn]) 내에서 클럭 추출 및 데이터 추출은 개선된 개관을 위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며, 그 이유는 클럭 추출 및 데이터 추출은 선행 기술을 참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버스 마스터(ECU)는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를 위한 제어 명령어를 외부로부터 획득하고, 이러한 제어 명령어를 직렬 양 방향 차동 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통해 버스 노드((BK1) 내지 [BKn])로 전송될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상기 버스 마스터(ECU)는 버스 마스터(ECU)를 통해 전송될 비트 스트림의 비트를 그러한 버스 마스터(ECU) 내의 클럭(CLK)에 따라 직렬 양 방향 차동 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통해 전송한다. 상기 버스 마스터(ECU)는 생성된 비트 스트림을 직렬 양 방향 차동 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통해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반대 방향으로 수신한다. 상기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개별 버스 노드(BKj) 내의 클럭 센서[CLKGj]는 이러한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개별 버스 노드(BKj) 내에서 각각의 탐지신호[CLKAj]를 생성한다. 상기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 가운데 이러한 개별 버스 노드(BKj)의 탐지장치[ATj]는 직렬 양 방향 차동 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통해 전송된 비트 스트림을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탐지신호[CLKAj]에 따라 탐지한다. 이때, 버스 마스터(ECU)의 비트 스트림이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제공될 뿐만 아니라, 또 다른 버스 노드((BK1) 내지 [BlKn])의 비트 스트림도 상기 버스 마스터(ECU) 또는 또 다른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해당 버스 노드(BKj)가 직렬 양 방향 차동 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신호로부터, 즉 수신기(Rec)의 출력 신호 또는 이러한 수신기로부터 파생된 신호의 탐지를 통해 수신기(Rec)의 출력부로부터 이러한 버스 노드(BKj) 내의 국부적 비트 스트림을 추출한다. 상기 버스 마스터(ECU)는 비트 시퀀스로서 전송될 비트 스트림을 비트-스트림-패킷(영문 표기: 프레임(Frame), BP)으로 전송한다. 또한, 버스 노드는 바람직하게는 비트 시퀀스로서 전송될 비트 스트림을 비트-스트림-패킷(영문 표기: 프레임, BP)으로 전송하며, 이때 상기 비트-스트림-패킷의 구성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스 마스터(ECU)의 구성에 대응한다. 개선된 개관을 위해, 여기서 버스 마스터(ECU)의 비트-스트림-패킷(영문 표기 프레임, BP)만 논의된다. 전술한 것에 대응하여 상기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비트-스트림-패킷(BP)에도 적용된다.
전술한 것처럼, 이러한 구성은 상기 버스 마스터(ECU)도 상기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 가운데 하나의 버스 노드도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지 못할 경우, 상기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가 첫 번째 논리 상태(Z1)(도 3에서 파선으로 표시됨) 또는 세 번째 논리 상태(Z3) - 바람직하게는 - 를 점유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버스 마스터(ECU)에 의해 전송된 비트-스트림-패킷(BP)의 전술한 바람직한 구조는 도 3을 통해 설명된다. (Vdiff )로 표기된 신호는 직렬 양 방향 차동 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차동 레벨, 즉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와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 사이의 전압 편차를 나타낸다.
HS-CAN으로 표기된 그래프는 CAN-드라이버[TRa, TRb]가 사용될 경우, 대응하는 싱글 레벨(single level) 및 차동 레벨(differential level)을 나타낸다.
RS485로 표기된 그래프는 RS485-드라이버[TRa, TRb]가 사용될 경우, 대응하는 싱글 레벨 및 차동 레벨을 나타낸다.
HA-CAN 도면에서 드라이버[TRa, TRb]는 세 개의 전압 레벨을 제공하지만, 이 경우 단지 두 개의 차동 전압 레벨만 제공한다.
RS485-도면에서 드라이버(TRa, TRb)는 두 개의 전압 레벨 및 단지 두 개의 차동 전압 레벨만 제공한다.
상기 버스 마스터(ECU)로부터 전송된 비트-스트림-패킷(BP)의 적어도 일부는 아래의 내용, 즉:
1.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두 번째 차동 논리 상태(z2)를 포함하는 각각의 비트-스트림-패킷(BP)의 m 비트의 i-1≤m/3을 포함하는 양의 정수 i를 갖는 i 비트 형태의 스타트 신호(START)를 포함하고,
2. 버스 노드(BKj)의 클럭 센서[CLKGj]의 탐지신호[CLKAj]를 버스 마스터(ECU)의 클럭(CLK)으로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화 정보(SYNC)를 포함하며,
3. 각각의 비트-스트림-패킷(BP)의 m 비트의 m-i-k 비트의 잔여 비트로 구성된 각각의 비트-스트림-패킷(BP)의 m 비트의 k<i 및 k<m/3을 포함하는 k 비트 형태의 데이터 정보(DATA)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데이터 정보(DATA)는 어드레스 정보(ADRD) 및 이용 정보(INFO)를 포함한다.
상기 버스 노드((BK1) 내지 [BKn]) 및 경우에 따라, 버스 마스터(ECU)의 어드레스 감지장치([Adr1] 내지 [Adrn])는 비트-스트림-패킷(BP)의 어드레스 정보(ADRD)를 평가한다. 상기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어드레스 감지장치([Adr1] 내지 [Adrn])는 어드레스 정보(ADRD)의 내용이 버스 노드(BKj)의 버스 노드 어드레스 레지스터[BKADRj]의 내용과 일치할 경우에만, 비로소 포함된 이용 정보(INFO)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버스 노드(BKj)는 장치, 즉 버스 노드 어드레스 레지스터[BAKDRj]를 논리 버스 노드 어드레스로 채우기 위해, 2선식 데이터 버스의 자동 주소지정 방법을 실행하는 그러한 장치를 구비하며, 이때 상기 버스 노드 어드레스는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 내의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물리적 위치와 대응한다. 전술한 것은 선행 기술이 해결하지 못한 결정적인 진보에 해당한다.
방법의 간소화와 관련하여, 상기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개별 버스 노드(BKj)는 마이크로 컨트롤러[μCj]를 구비하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전술한 목적 가운데 몇 가지 목적, 예컨대 개별 버스 노드(BKj)의 어드레스 감지장치[ADRj] 및/또는 개별 버스 노드(BKj)의 탐지장치[ATj]의 목적을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적어도 하나의 버스 노드(BKj)가 적어도 하나의 발광체[LEDj] 및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공급장치[EVj]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버스 노드(BKj)의 에너지 공급장치[EVj]는 상기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버스 노드(BKj)의 적어도 하나의 발광체[LEDj]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제공된다.
전술한 것처럼, 상기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개별 버스 노드(BKj)의 클럭 센서[CLKGj]는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개별 버스 노드(BKj) 내에서 탐지신호[CLKAj]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는,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개별 버스 노드(BKj)의 탐지장치[ATj]는 다시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통해 전송된 비트 스트림을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탐지신호[CLKAj]에 따라 탐지하며, 이것은 이러한 버스 노드(BKj) 내에서 국부적 비트 스트림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비트-스트림-패킷(BP)은 양의 정수 m을 포함하는 동일한 시간 길이(tB)의 m 싱글 비트의 시간 순서로 구성되며, 이때 양의 정수의 시간 길이(tB)는 비트-스트림-패킷(BP) 내에서 +/-(0.4/m)*tB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0.2/m)*tB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0.1/m)*tB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0.05/m)*tB의 계수 미만으로 변한다. 상기 버스 마스터(ECU)로부터 전송된 비트-스트림-패킷(BP)의 적어도 일부는 바람직하게는 다음과 같은 내용(도 3 참조), 즉:
1.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두 번째 차동 논리 상태(z2)를 포함하는 i-1≤m/3을 포함하는 양의 정수 i를 갖는 i 비트 형태의 스타트 신호(START)를 포함하고,
2. 버스 노드(BKj)의 클럭 센서[CLKGj]의 탐지신호(CLKAj)를 버스 마스터(ECU)의 클럭(CLK)의 위상으로 위상 동기화 및 버스 노드(BKj)의 클럭 센서[CLKGj]의 탐지신호(CLKAj)를 버스 마스터(ECU)의 클럭(CLK) 주파수로 주파수 동기화하기 위해, 특히 k<i 및 k<m/3을 포함하는 양의 정수 k를 갖는 k-비트로 구성된 동기화 정보(SYNC)를 포함하고,
3. 각각의 비트-스트림-패킷(BP)의 m 비트의 m-i-k 비트의 잔여 비트로 구성된 데이터 정보(DATA)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데이터 정보(DATA)는 어드레스 정보(ADRD), 이용 정보(INFO) 및 테스트 정보(CHKD)를 포함한다.
이때, 이용 정보(INFO)의 적어도 일부는 버스 노드(BKj)의 발광체[LEDj]에 이러한 에너지 공급장치[EVj]를 통해 에너지 공급하는 것을 조명 정보에 따라 조절하기 위한 조명 정보(ILD)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에너지 공급장치[EVj] 내에서 조명 레지스터는 수신된 조명 정보(ILD)에 따른 값으로 기록되며, 이때 색채와 같은 방사 특성, 연결된 발광체[LEDj]의 색 온도 및 밝기가 결정된다. 이러한 데이터를 해당 버스 노드(BKj)가 수용하도록, 어드레스 정보(ADRD)의 논리 내용이 버스 노드(BKj)의 버스 노드 어드레스 레지스터[BKADRj]의 내용과 일치해야 한다. 만약 그러한 내용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데이터 정보(DATA)는 무시된다. 수신된 데이터 정보(DATA)의 무결성 테스트가 수신에 오류가 있었다는 사실을 마찬가지로 수신된 테스트 데이터(CHKD)를 통해 확인된다면, 이것도 동일한 경우에 해당한다. 개별 버스 노드(BKj)의 각각의 어드레스 감지장치[ADRj]는 수신된 비트-스트림-패킷(BP)의 어드레스 정보(ADRD)를 각각 평가하고, 수신된 어드레스 정보(ADRD)의 내용이 버스 노드(BKj)의 버스 노드 어드레스 레지스터[BKADRj]의 내용과 일치하고, 오류가 없을 경우에 비로소 포함된 이용 정보(INFO)를 버스 노드(BKj)의 나머지 버스 노드 장치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선행 기술과 달리, 양 방향, 직렬 그리고 차동 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위해 자동 주소지정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버스 노드((BK1) 내지 [BKn])는 장치를 구비한다. 그러한 자동 주소지정 방법의 결과로서 이러한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버스 노드 어드레스 레지스터[BAKDRj]는 논리 버스 노드 어드레스로 채워지고, 상기 논리 버스 노드 어드레스는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 내의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물리적 위치에 대응한다.
전술한 테스트가 계속해서 이용될 수 있다. 장치의 첫 번째 변형된 실시 형태에서, 상기 버스 마스터(ECU) 및/또는 버스 노드((BK1) 내지 [BKn])는 장치를 구비하며, 이것은 하나 또는 복수의 버스 노드(BKj)와 관련하여 부정확하게 진행된 클럭 센서[CLKGj]를 테스트 정보(CHKD)의 평가에 따라 유추해 내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서, 서로 다른 자동 주소지정 방법의 실시 예 및 또 다른 변형된 실시 형태가 설명되며, 이것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해당 버스 노드의 자체 주소지정 전류가 통과할 수 없는 버스-션트-저항을 포함하는 버스 노드의 비대칭 자동 주소지정.
도 4
도 4에서 버스 노드((BK1) 내지 [BKn])가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에 있는 데이터 시스템 내에서 상기 버스 노드의 물리적 위치를 독립적으로 확정하고, 그러한 위치에 기반을 둔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논리 어드레스가 물리적 어드레스와 일치한다. 전술한 것은 동일한 종류로 구성된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경우, 한 종류의 버스 노드만 제조되어야 하며, 이로 인해 오류 가능성이 억제되고, 물류 문제가 개선되는 장점이 제공된다. 그러한 자동 주소지정을 실행하기 위해, 자동 주소지정 장치를 설치하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것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제공된 제1 버스-션트-저항(R2)이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 삽입된다. 제2 차동 증폭기(D2)는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를 흐르는 첫 번째 전류를 제1 션트-저항(R2)을 통해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를 흐르는 첫 번째 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2 차동 증폭기(D2)의 출력부는 제3 비교 측정기(D3)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3 비교 측정기는 제2 차동 증폭기(D2)의 출력 값을 제1 기준 값(Ref)과 비교한다. 상기 비교 측정기의 작용과 관련하여, 이것은 제1 버스-션트-저항(R2)을 흐르는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의 첫 번째 전류를 제1 기준 전류[Iref]와 비교하는 것에 대응한다. 버스 노드((BK1) 내지 [BKn])를 포함하는 데이터 버스 시스템은 특수 버스-신호를 수단으로 하는 버스 마스터(ECU)를 통해 주소지정 상태 및 정상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주소지정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자동 주소지정 방법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버스 시스템이 주소지정 상태일 경우, 자동 주소지정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버스 노드((BK1) 내지 [BKn])도 버스 노드의 대응하는 주소지정 상태에 놓일 수 있다. 개별 버스 노드(BKj)의 제1 주소지정 전원(Iqj)(1≤j≤n을 갖는)은 정상 상태에서 스위치 차단되거나, 또는 또 다른 기능, 예컨대 발광체[LEDj]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개별 버스 노드(BKj)의 제1 주소지정 전원(Iqj)(1≤j≤n을 갖는)은 주소지정 상태에서 스위치 차단되며, 이것은 개별 버스 노드(BKj)가 제1 버스-션트-저항(R2)을 지나 흐르는 첫 번째 전류를 이러한 제1 장치(R2, D2, D3)를 통해 탐지할 경우에 해당하며, 이때 첫 번째 전류는 제1 기준 전류[IRef]에 대응하여 임계 값을 초과한다. 도 4의 실시 예에서, 버스 노드(BKj)의 제1 주소지정 전원(Iqj)은 버스 마스터(ECU)에서 바라볼 때,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 있는 개별 버스 노드(BKj)의 제1 버스-션트-저항(R2) 앞쪽으로 상기 전원의 제1 주소지정 전류를 공급하며, 이것은 이러한 임계 값 미만의 첫 번째 전류만 제1 버스-션트-저항(R2)을 지나 버스 마스터(ECU) 방향으로 흐른다는 사실을 상기 버스 노드(BKj)가 전술한 제1 장치(R2, D2, D3)를 통해 확인할 경우에 해당한다. 이것은 제1 주소지정 전류의 이러한 공급 지점에서 버스 노드(BKj)의 자체 테스트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접속 과정 시 버스 마스터(ECU)의 제1 드라이버[TRa]에 과부하(overload)를 초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주소지정 전원((Iq1) 내지 [Iqn])의 제1 주소지정 전류는 상기 제1 드라이버[TRa]가 아직 수용할 수 있는 최대 전류 값의 n 번째 부분으로 제한되어야 한다. 이것은 전술한 제1 버스-션트-저항(R2)의 저항값을 이러한 저항값 이하로 제한하며, 그렇지 않으면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제1 장치(R2, D2, D3)로 탐지하기 위해 상기 버스 노드(BKj)의 제1 버스-션트-저항(R2)의 전압감소 레벨이 너무 작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원래 억제되어야 할 전자기 조사에 대해 민감성이 증가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와 도 4에 도시된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 사이의 비대칭은 마찬가지로 억제되어야 할 동상간접(common mode interference) 전압을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차동 신호로 결합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주소지정 상태의 상기 버스 노드(BKj)가 주소지정 상태를 점유하고 난 후, 정해진 일정 대기 시간 이후에 이러한 버스 노드의 제1 주소지정 전원(Iqj)이 아직 차단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확인할 경우, 상기 버스 노드가 아직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가 제공되지 않은 마지막 버스 노드(BKj)에 해당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버스 노드는 버스 마스터(ECU)에 의해 제공된 전송될 버스 노드어드레스를 새로운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로서 채택한다. 왜냐하면, 상기 버스 노드가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구비하기 때문에, 상기 버스 노드가 이러한 버스 노드의 주소지정 전원(Iqj)을 차단하고, 이어서 데이터 버스 시스템의 주소지정 상태를 종료하기 전에 버스 노드의 주소지정 전원에 접속하지 않고도 상기 버스 노드는 데이터 버스 시스템의 주소지정 상태가 종료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다음 초기화 시퀀스의 다음 버스 노드로서 상기 버스 노드의 주소지정 전원(Iqj)이 아직 차단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확인한 버스 노드는 상기 버스 마스터(ECU)에 의해 제공된 전송될 다음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이러한 버스 노드의 타당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로서 즉각적으로 채택한다. 이것은 데이터 버스 시스템의 모든 버스 노드((BK1) 내지 [BKn])가 이러한 방식으로 타당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획득할 때까지 계속해서 진행된다. 그런 다음, 버스 마스터는 일반적으로 데이터 버스 시스템과 이러한 데이터 버스 시스템의 버스 노드((BK1) 내지 [BKn])를 다시 정상 상태로 전환하며,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가 유지된다. 주소지정 상태를 정상 상태로 전환할 때,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의 이러한 권장된 유지는 바람직하게는 전체 출원서에 적용된다.
해당 버스 노드의 자체 주소지정 전류가 통과할 수 없는 버스-션트-저항을 포함하는 버스 노드의 대칭 자동 주소지정.
도 5
전술한 것처럼, 자동 주소지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대칭 문제에 해당한다. 그 이유는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 커뮤니케이션 버스(DB)로서 차동 버스(differential bus)가 제공되기 때문에, 전술한 동상간섭에 대해 접촉 지점을 제공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두 개의 싱글 와이어 버스(DBa 및 DBb)는 가능하면 대칭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버스 시스템은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1)와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2)로 구성된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위해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1)에 삽입된 제1 버스-션트-저항(R2) 및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2)에 삽입된 제2 버스-션트-저항(R2')을 포함하는 버스 노드(BKj)를 구비해야 한다. 도 4에 기반을 둔 대응하는 제안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버스 노드((BK1) 내지 [BKn]) 가운데 개별 버스 노드(BKj)의 두 개의 버스-션트-저항(R2, R2')은 바람직하게 일체형으로 내장되어 있고, 개별 버스 노드(BKj) 내에서 상대적으로 10% 미만 및/또는 5% 미만 및/또는 더 바람직하게는 2% 미만 및/또는 더 바람직하게는 1% 미만 및/또는 더 바람직하게는 0.5% 미만의 저항값 편차와 일치된 형태로 제조된다.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서 제1 버스-션트-저항(R2)을 지나 흐르는 첫 번째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제1 장치(R2, D2, D3)에 대해 추가로,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에서 제2 버스-션트-저항(R2')을 지나 흐르는 두 번째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제2 장치(R2', D2', D3')가 각각의 버스 노드(BKj)에 제공된다.
예를 들어, 각각의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제2 버스-션트-저항(R2')이 상기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에 삽입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제2 차동 증폭기(D2')는 해당 버스 노드(BKj)의 제2 션트-저항(R2')을 통해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를 지나 흐르는 두 번째 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를 지나 흐르는 두 번째 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제2 차동 증폭기(D2')의 출력부는 또 다른 제3 비교 측정기(D3')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3 비교 측정기는 또 다른 제2 차동 증폭기(D2')의 출력 값을 또 다른 기준 값(Ref')과 비교하며, 이때 이러한 기준 값은 일반적으로 전술한 기준 값(Ref)과 동일하다. 상기 비교 측정기의 작용과 관련하여, 전술한 것은 제2 버스-션트-저항(R2')을 지나 흐르는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의 두 번째 전류를 제2 기준 전류[I'ref]와 비교하는 것에 대응하며, 이때 제2 기준 전류는 일반적으로 전술한 제1 기준 전류[Iref]와 동일하게 선택된다. 개별 버스 노드(BKj)의 제2 주소지정 전원(Iq')(1≤j≤n을 갖는)이 차단되며, 이것은 개별 버스 노드(BKj)가 제2 버스-션트-저항(R2')을 지나 흐르는 첫 번째 전류, 즉 제1 기준 전류[IRef]에 대응하여 임계값을 초과하는 그러한 첫 번째 전류를 이러한 제2 장치(R2', D2', D3')를 통해 탐지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도 5의 실시 예에서, 버스 노드(BKj)의 각각의 제2 주소지정 전원(Iq'j)은 버스 마스터(ECU) 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에 있는 개별 버스 노드(BKj)의 제2 버스-션트-저항(R2') 앞쪽으로 마찬가지로 제2 주소지정 전류를 공급하며, 이것은 임계값 미만의 두 번째 전류만 제2 버스-션트-저항(R2')을 지나 버스 마스터(ECU) 방향으로 흐른다는 사실을 상기 버스 노드(BKj)가 전술한 제2 장치(R2', D2', D3')를 통해 확인할 경우에 해당한다. 이것은 전술한 것처럼 버스 노드(BKj)의 자체 테스트를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접속 과정 시 버스 마스터(ECU)의 제2 드라이버[TRb]에 과부하를 초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2 주소지정 전원((Iq'1) 내지 [Iq'n])의 제2 주소지정 전류는 상기 제2 드라이버[TRb]가 아직 수용할 수 있는 최대 전류 값의 n 번째 부분으로 제한되어야 한다. 이것은 전술한 제2 버스-션트-저항값(R2')의 저항값을 이러한 저항값 이하로 제한하며, 그렇지 않으면 제2 장치(R2', D2', D3')로 탐지하기 위해 상기 버스 노드(BKj)의 제2 버스-션트-저항(R2')의 전압감소 레벨이 너무 작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원래 억제되어야 할 전자기 조사에 대해 민감성이 증가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도 5에 도시된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와 도 5에 도시된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 사이의 대칭은 동상간섭 전압을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차동 신호로 결합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하며, 이것은 본 발명의 장점으로 작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스 노드(BKj)의 두 개의 주소지정 전원(Iqj, Iq'j)은 항상 차단되며, 이것은 임계값을 초과하는 첫 번째 전류가 제1 버스-션트-저항(R2)을 지나 버스 마스터(ECU) 방향으로 흐른다는 사실을 상기 버스 노드(BKj)가 전술한 제1 장치(R2, D2, D3)를 통해 확인할 경우, 또는 이러한 임계값을 초과하는 두 번째 전류만 제2 버스-션트-저항(R2')을 지나 버스 마스터(ECU) 방향으로 흐른다는 사실을 상기 버스 노드가 전술한 제2 장치(R2', D2', D3')를 통해 확인할 경우에 해당한다.
해당 버스 노드의 자체 주소지정 전류에 의해 통과 되는 버스-션트-저항을 포함하는 버스 노드의 대칭 자동 주소지정(도 6 참조).
도 6
도 6은 도 5에 기반을 둔 또 다른 제안을 도시하고 있다. 도 5와 결정적인 차이는 각각의 제1 주소지정 전원((Iq1) 내지 [Iqn])이 버스-마스터(ECU) 방향에서 바라볼 때, 개별 버스 노드(BKj)가 주소지정 상태에 있는 주소지정 위상에서 제1 버스-션트-저항(R2)의 뒤쪽으로 제1 주소지정 전류를 공급한다는 것이며, 이것은 개별 버스 노드(BKj)가 제1 버스-션트-저항(R2)을 지나 흐르는 첫 번째 전류의 전류 값, 즉 정해진 제1 기준 전류 값[Iref] 보다 작은 그러한 전류 값을 제1 장치(R2, D2, D3)를 통해 확인할 경우에 해당한다. 제3 비교 측정기(D3)는 바람직하게는 제3 차동 증폭기(D3)에 해당한다. 도 5의 제안과 달리, 제1 버스-션트-저항(R2)을 지나 흐르는 첫 번째 전류가 정해진 제1 기준 전류[Iref]에 대응할 때까지, 개별 버스 노드(BKj)의 각각의 제1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1 주소지정 전류가 재조정된다. 전술한 것과 유사하게, 도 5와 달리 각각의 제2 주소지정 전원((Iq'1) 내지 [Iq'n])은 버스-마스터(ECU) 방향에서 바라볼 때, 마찬가지로 개별 버스 노드(BKj)가 주소지정 상태에 있는 주소지정 위상에서 대응하는 제2 버스-션트-저항(R2')의 뒤쪽으로 제2 주소지정 전류를 공급하며, 이것은 개별 버스 노드(BKj)가 제2 버스-션트-저항(R2)을 지나 흐르는 두 번째 전류의 전류 값, 즉 정해진 제2 기준 전류 값[I'ref] 보다 작은, 바람직하게는 제1 기준 전류 값[Iref]과 동일한 그러한 전류 값을 제2 장치(R2', D2', D3')를 통해 확인할 경우에 해당한다. 또 다른 제3 비교 측정기(D3')는 바람직하게는 또 다른 제3 차동 증폭기(D3')에 해당한다. 도 5의 제안과 달리, 제2 버스-션트-저항(R2')을 지나 흐르는 두 번째 전류가 정해진 제2 기준 전류[I'ref]에 대응할 때까지, 개별 버스 노드(BKj)의 각각의 제2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1 주소지정 전류가 재조정된다.
당연히, 도 6의 구성에서 주소지정 전원((Iq1) 내지 [Iqn], (Iq'1) 내지 [Iq'n])을 제어하는 대신 스위치 연결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에서 버스 노드(BKj)의 버스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 제1 주소지정 전원(Iqj)이 상기 버스 노스(BKj)에 제공되며, 이때 버스 노스(BKj)의 제1 버스-션트-저항(R2)을 지나 흐르는 제1 전체 전류(ij)가 미리 정해진 또는 계산된 또는 정해진 대로 제1 전체 전류[Iref]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1 주소지정 전원은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로 제1 주소지정 전류를 제어된 상태로 추가로 공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주소지정 전류가 제1 버스-션트-저항(R2)을 통과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에서 버스 노드(BKj)의 버스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 제2 주소지정 전원(Iq'j)이 개별 노드(BKj)에 제공되며, 이때 버스 노스(BKj)의 제2 버스-션트-저항(R2')을 지나 흐르는 제2 전체 전류(ij)가 미리 정해진 또는 계산된 또는 정해진 대로 제2 전체 전류[I'ref]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2 주소지정 전원은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로 제2 주소지정 전류를 제어된 상태로 추가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2 주소지정 전류는 제2 버스-션트-저항(R2')을 통과한다. 대칭과 관련하여 바람직한 것은 일치하는 두 개의 주소지정 전원(Iqj, Iq'j)이 실시되는 것이다. 또한, 대칭을 달성하기 위해, 측정된, 그리고 제어된 제어 회로의 모든 부품이 이러한 두 개의 주소지정 전원(Iqj, Iq'j)에 일치하도록 실시되어야 한다.
도 7 내지 도 9
도 7 내지 도 9는 제어의 바람직한 특성을 도시하고 있다. 제어는 예를 들어 제1 주소지정 전원((Iq1) 내지 [Iqn])의 실시 예에서 설명되고 있지만, 제2 주소지정 전원([Iq'1] 내지 [Iq'n])에도 유사한 방식으로 해당한다. 가로 좌표와 세로 좌표의 단위는 임의 단위(arbitrary unit)를 위한 [an] 플레이스 홀더(placeholder)로서 표기된다.
상기 버스 노드(Bkj)의 제1 주소지정 전원(Iqj)을 위한 제어 특성(control characteristic)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제1 필터(F) 또는 제1 제어기를 통해 생성되며, 상기 제1 필터 또는 제1 제어기는 제3 차동 증폭기(D3)의 출력 신호로부터 첫 번째 제어 신호[rwj]를 생성하며, 이러한 첫 번째 제어 신호에 의해 해당 버스 노드(BKj)의 제1 주소지정 전원(Iqj)이 제어 된다. 상기 버스 노드(Bkj)의 제2 주소지정 전원(Iq'j)을 위한 제어 특성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제2 필터(F') 또는 제2 제어기를 통해 생성되며, 상기 제2 필터 또는 제2 제어기는 또 다른 제3 차동 증폭기(D3')의 출력 신호로부터 두 번째 제어 신호[rw'j]를 생성하며, 이러한 두 번째 제어 신호에 의해 해당 버스 노드(BKj)의 제2 주소지정 전원(Iq'j)이 제어 된다.
도 7
도 7은 예를 들어, n=3 버스 노드(BK1 내지 BK3)를 포함하는 데이터 버스 시스템(I1_intern)에 제공된 제1 버스 노드(BK1), 제2 버스 노드(BK2)의 출력 전류(i2) 및 제3 버스 노드(BK3)의 출력 전류(i3)의 진행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7은 제1 버스 노드의(BK1) 제1 주소지정 전원(Iq1)의 제1 주소지정 전류(I1_intern), 제2 버스 노드(BK2)의 제1 주소지정 전원(Iq2)의 제1 주소지정 전류(I2_intern) 및 제3 버스 노드(BK3)의 제1 주소지정 전원(Iq3)의 제1 주소지정 전류(I3_intern)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제1 주소지정 전원의 제1 주소지정 전류의 상향 제어 및 제1 주소지정 전원의 제1 주소지정 전류의 하향 제어의 시간 상수는 대략 동일하다. 오버 슈트(overshoot)가 발생한다. 여기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제1 버스 노드(BK1)의 제1 주소지정 전원(Iq1)의 제1 주소지정 전류(I1_intern)와 제2 버스 노드(BK2)의 제1 주소지정 전원(Iq2)의 제1 주소지정 전류(I2_intern)는 이러한 제1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의 제어기에 의해 하향 제어되는 반면, 제3 버스 노드(BK3)의 제1 주소지정 전원(Iq3)의 제1 주소지정 전류(I3_intern)는 기준 값[Iref]으로 제어된다. 정착 시간(settling time)은 제1 주소지정 전원(Iq1 내지 Iq3)의 제1 주소지정 전류의 상향 제어를 위한 첫 번째 시간 상수[τ1]를 통해 결정된다.
도 8
도 8은 제1 버스 노드(BK1)의 출력 전류(i1), 제2 버스 노드(BK2)의 출력 전류(i2) 및 제3 버스 노드(BK3)의 출력 전류(i3)의 진행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8은 제1 버스 노드(BK1)의 제1 주소지정 전원(Iq1)의 전류(I1_intern), 제2 버스 노드(BK2)의 제1 주소지정 전원(Iq2)의 전류(I2_intern) 및 제3 버스 노드(BL3)의 제1 주소지정 전원(Iq3)의 전류(I3_intern)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제1 주소지정 전원의 제1 주소지정 전류의 상향 제어를 위한 첫 번째 시간 상수[τ1]는 제1 주소지정 전원의 제1 주소지정 전류의 하향 제어를 위한 두 번째 시간 상수[τ2] 만큼 대략 10배 길다. 최소의 오버 슈트가 발생한다.
도 9
도 9는 제1 버스 노드(BK1)의 출력 전류(i1), 제2 버스 노드(BK2)의 출력 전류(i2), 제3 버스 노드(BK3)의 출력 전류(i3)의 진행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9는 제1 버스 노드(BK1)의 제1 주소지정 전원(Iq1)의 제1 주소지정 전류(I1_intern), 제2 버스 노드(BK2)의 제1 주소지정 전원(Iq2)의 제1 주소지정 전류(I2_intern) 및 제3 버스 노드(BK3)의 제1 주소지정 전원(Iq3)의 제1 주소지정 전류(I3_intern)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제1 주소지정 전원의 제1 주소지정 전류의 상향 제어를 위한 첫 번째 시간 상수[τ1]는 제1 주소지정 전원의 제1 주소지정 전류의 하향 제어를 위한 두 번째 시간 상수[τ2] 만큰 대략 100배 길다. 오버 슈트는 발생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스 노드(BKj)는 제1 버스-션트-저항(R2)을 지나 흐르는 전류를 탐지하기 위한 제1 장치(R2, D2) 및/또는 제2 버스-션트-저항(R2')을 지나 흐르는 전류를 탐지하기 위한 제2 장치(R2', D2')를 포함한다.
두 개의 주소지정 전원(Iqj, Iq'j)의 제1 및 제2 주소지정 전류가 버스 마스터(ECU) 방향에서 바라볼 때, 항상 버스-션트-저항(R2, R2') 뒤쪽으로 공급되도록 데이터 버스 시스템이 구성될 경우, 제1 버스-션트-저항(R2) 및/또는 제2 버스-션트-저항(R2')을 지나 흐르는 탐지된 전류는 각각 자체 테스트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완전한 대칭 상태일 경우, 예를 들어 두 개의 버스-션트-저항(R2, R2')의 두 전압감소는 바람직하게는 균일해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납땜 불량이 쉽게 탐지될 수 있다.
도 10
도 10은 오류 식별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스 노드(BKj)에 제1 탐지장치(DET)가 제공되는 것이며, 상기 탐지장치는 버스 노드(BKj)의 내부 신호(ds1, ds3)의 타당성을 테스트한다. 내부 신호는 바람직하게는 버스 노드(BKj) 내의 제어 신호에 해당한다. 버스 대칭의 경우, 예를 들어 이러한 신호의 대칭이 테스트 될 수 있다. 또한, 개별 채널의 테스트도 가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아직 공개되지 않은 독일 특허 출원 DE 10 2017 122 365.7을 참고할 수 있으며, 이것은 본 출원의 공개 공보의 전체에 해당한다.
도 10은 그러한 탐지 원리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버스 노드(BKj)의 제어 회로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j는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버스-체인의 위치를 위해 양수, 정수, 자연수의 형태로 제공된다. j 번째 버스 노드(BKj)는,
- 첫 번째로, 버스 출력부로 버스 입력부의 치환(transposition)을 감지할 수 있고,
- 두 번째로, 이 경우 예를 들어 대책으로서,
- 회로에 따라, 자동 주소지정이 가능하도록 제어된 제1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1 주소지정 전류를 위한 공급 지점을 제1 버스-션트-저항(R2) 앞쪽 또는 뒤쪽으로 위치 선정할 수 있으며,
- 회로에 따라, 자동 주소지정이 가능하도록 제어된 제2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2 주소지정 전류를 위한 공급 지점을 제2 버스-션트-저항(R2')의 앞쪽 또는 뒤쪽으로 위치 선정할 수 있다.
도 10은 해당 버스 노드(BKj)의 제1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1 주소지정 전류의 공급 지점과 관련한 위치 재선정의 실시 예만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것은 해당 버스 노드(BKj)의 제1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1 주소지정 전류의 공급 지점과 관련한 위치 재선정에도 적용된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j 번째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는 해당 버스 노드(BKj)에 제공된 제1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1 주소지정 전류의 공급 지점과 관련한 위치 재선정을 위한 제1 탐지장치(DET)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탐지장치는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를 위한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버스-출력부로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를 위한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버스-입력부의 치환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컨대 제1 탐지장치(DET)가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내부 신호의 타당성을 테스트한다.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내부 신호가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를 위한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버스-출력부로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를 위한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버스-입력부의 치환을 확실하게 추론할 경우, 상기 제1 탐지장치(EDT)가 예컨대 서로 다른 조치, 즉:
a. 이용자에게 오류 신호 송신;
b. 진단 조회(Broadcast-Message)에 대한 반응 또는 차단-라인을 통해 버스 마스터(ECU)에 오류 신호 송신;
c. 미리 결정된 오류 어드레스를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로 사용;
d. 오류를 무효화(neutralization)시키기 위해 내부 위상(topology)을 재구성;
e. 예컨대 오류를 무효화시키기 위해 전원과 같은 내부 분할 장치를 재매개 변수화(re-parameterization)하는 조치를 잠재적으로 취할 수 있다.
또 다른 조치도 고려해 볼 수 있다.
도 10의 실시 예는 오류를 무효화시키기 위한 내부 위상의 재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0에서 예를 들어 제1 탐지장치(DET)는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제어된 제1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1 주소지정 전류를 위한 공급 지점을 예를 들어 제1 아날로그 디-멀티플렉서(X3)를 통해 변경시키고, 제2 차동 증폭기(D2)의 입력부 또는 출력부의 양극성을 양극성 신호(pol)를 통해 치환할 수 있다.
도 11
개선된 개관을 위해,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를 위한 아날로그 장치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어, 도 1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j 번째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는 해당 버스 노드(BKj)의 제2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2 주소지정 전류의 공급 지점 위치를 재선정하기 위해, 제2 탐지장치(EDT')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탐지장치는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를 위한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버스-출력부로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를 위한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버스-입력부의 치환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컨대 제2 탐지장치(DET')가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또 다른 내부 신호의 타당성을 테스트한다.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내부 신호가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를 위한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버스-출력부로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를 위한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버스-입력부의 치환을 확실하게 추론할 경우, 상기 제2 탐지장치(EDT')가 예컨대 서로 다른 조치, 즉:
a. 이용자에게 오류 신호 송신;
b. 진단 조회(동보 통신 메시지(Broadcast-Message))에 대한 반응 또는 차단-라인을 통해 버스 마스터(ECU)에 오류 신호 송신;
c. 오류 어드레스를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로 사용;
d. 오류를 무효화시키기 위해 내부 위상(topology)을 재 구성;
e. 예컨대 오류를 무효화시키기 위해 전원과 같은 내부 분할 장치를 재-매개 변수화 하는 조치를 잠재적으로 취할 수 있다.
또 다른 조치도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오류를 무효화시키기 위한 내부 위상의 재구성이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탐지장치(DET')는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제어된 제2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2 주소지정 전류를 위한 공급 지점을 예를 들어 제2 아날로그 디-멀티플렉서(X3')를 통해 변화시키고, 또 다른 제2 차동 증폭기(D2')의 입력부 또는 출력부의 양극성을 제2 양극성 신호(pol')를 통해 치환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의 전술한 실시 예에 대해 선택적으로, 예컨대 오류를 무효화시키기 위한 전원과 같은 내부 분할 장치의 재-매개 변수화가 가능하며, 이것은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제1 주소지정 전원(Iqj)과 제1 멀티플렉서(X3) 대신,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제1 주소지정 전원[Iqj1]과 예를 들어,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또 다른 제1 주소지정 전원[Iqj2]이 사용될 경우에 해당하며, 이때 상기 또 다른 제1 주소지정 전원 가운데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제1 주소지정 전원[Iqj1]은 이러한 전원의 제1 주소지정 전류를 제1 버스-션트-저항(R2) 앞쪽으로 공급하고,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또 다른 제1 주소지정 전원[Iqj2]은 이러한 전원의 또 다른 제1 주소지정 전류를 제1 버스-션트-저항(R2)의 뒤쪽으로 공급한다. 이 경우, 제1 탐지장치(DET)는 두 개의 제1 주소지정 전원([Iqj1], [Iqj2]) 가운데 하나의 주소지정 전원의 제1 주소지정 전류를 0으로 설정하기 때문에,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제1 주소지정 전원(Iqj)과 제1 디-멀티플렉서(X3)에 의한 전환이 결합할 때처럼 동일한 효과가 달성된다.
상기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제2 주소지정 전원(Iq'j)과 또 다른 제2 멀티플렉서(X3') 대신,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제2 주소지정 전원[Iq'j1]과 예를 들어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또 다른 제2 주소지정 전원[Iq'j2]이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를 위해 사용되며, 이때, 또 다른 제2 주소지정 전원 가운데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제2 주소지정 전원[Iq'j1]은 이러한 전원의 제2 주소지정 전류를 제2 버스-션트-저항(R2') 앞쪽으로 공급하고,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또 다른 제2 주소지정 전원[Iq'j2]은 이러한 전원의 또 다른 제2 주소지정 전류를 제2 버스-션트-저항(R2') 뒤쪽으로 공급한다. 이 경우, 제2 탐지장치(DET')는 두 개의 제2 주소지정 전원([Iq'j1], [Iq'j2]) 가운데 하나의 주소지정 전원의 제2 주소지정 전류를 0으로 설정하기 때문에,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제2 주소지정 전원(Iq'j)과 또 다른 제2 디-멀티플렉서(X3')에 의한 전환이 결합할 때처럼 동일한 효과가 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탐지장치(DET)는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첫 번째 제어 신호(rwj)의 첫 번째 제어 값이 제1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1 주소지정 전류를 최대화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적합하게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첫 번째 제어 신호(rwj)의 첫 번째 제어 값을 열 번째 임계값(Ref10)과 비교를 통해 실시될 수 있다. 제1 자동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1 주소지정 전류의 유도가 첫 번째 제어 신호(rwj)의 첫 번째 제어 값에 따라 양(positive)일 경우, 이것은 첫 번째 제어 신호(rwj)의 첫 번째 제어 값이 열 번째 임계값(Ref10)을 초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1 탐지장치(DET)가 제2 차동 증폭기(D2)의 출력부(ds2)를 열한 번째 임계값(Ref11)과 동시에 비교할 수 있다. 제2 탐지장치(DET)의 출력부(ds2)의 값이 열한 번째 임계값(Ref11) 미만일 경우, 제1 탐지장치(DET)는 제1 버스-션트-저항(R2)의 음의 전압감소 또는 제1 버스-션트-저항(R2)의 거의 0에 가까운 전압감소를 추론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는 불법이며, 그 이유는 제1 자동 주소지정 전원(Iqj)이 양의 제1 주소지정 전류, 즉 정확한 조립시 제1 버스-션트-저항(R2)을 지나 흘러야 하는 그러한 제1 주소지정 전류를 공급하지만, 확실한 것은 그러한 일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탐지장치(DET')는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두 번째 제어 신호(rw'j)의 두 번째 제어 값이 제2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2 주소지정 전류를 최대화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적합하게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두 번째 제어 신호(rw'j)의 두 번째 제어 값을 또 다른 열 번째 임계값(Ref10')과 비교를 통해 실시될 수 있다. 제2 자동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2 주소지정 전류의 유도가 두 번째 제어 신호(rw'j)의 두 번째 제어 값에 따라 양일 경우, 이것은 두 번째 제어 신호(rw'j)의 두 번째 제어 값이 또 다른 열 번째 임계값(Ref10')을 초과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때 또 다른 열 번째 임계값은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열 번째 임계값(Ref10)과 동일하다. 또한, 제2 탐지장치(DET')가 또 다른 제2 차동 증폭기(D2')의 또 다른 출력부(ds2')를 또 다른 열한 번째 임계값(Ref11')과 동시에 비교할 수 있다. 또 다른 열한 번째 임계값(Ref11')은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열한 번째 임계값(Ref11)과 동일하다. 또 다른 제2 차동 증폭기(D2')의 또 다른 출력부(ds2')의 값이 또 다른 열한 번째 임계값(Ref11) 미만일 경우, 상기 제2 탐지장치(DET')는 제2 버스-션트-저항(R2')의 음의 전압감소 또는 제2 버스-션트-저항(R2')의 거의 0에 가까운 전압감소를 추론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는 불법이며, 그 이유는 제2 자동 주소지정 전원(Iq'j)이 양의 제2 주소지정 전류, 즉 정확한 조립시 제2 버스-션트-저항(R2')을 지나 흘러야 하는 그러한 제2 주소지정 전류를 공급하지만, 확실한 것은 그러한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탐지장치(DET) 및 제2 탐지장치(DET')는 하나의 유닛을 형성한다.
전술한 것처럼, 버스 방향의 전환은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탐지장치(DET, DET')가 버스 연결부 치환을 감지할 경우에 비로소 실시된다.
상기 탐지장치(DET, DET')는 예를 들어, 각각의 오류 신호(er, er')를 지나 버스 노드의 내부 컴퓨터(internal computer) 또는 적합한 제어 장치로 감지된 오류를 송신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탐지장치(DET, DET')가 버스 노드(BKj) 내에서 타당한 내부 신호를 확인하지 못할 경우, 정해진 조치를 개시 및 그러한 조치를 취하기 위해, 버스 노드(BKj) 또는 버스 노드(BKj)의 분할 장치(DET, DET')가 테스트 결과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스 노드(BKj)는 입력부와 출력부의 치환을 출발점으로 삼는다. 이것을 조정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스 노드(BKj)가 제1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1 주소지정 전류의 공급 지점을 변화시킬 수 있는 제1 분할 장치(X3)를 구비 및/또는 상기 버스 노드(BKj)가 제2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2 주소지정 전류의 공급 지점을 변화시킬 수 있는 제2 분할 장치(X3')를 구비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와 제1 버스-션트-저항(R2)의 제어를 위한 변경은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와 제2 버스-션트-저항(R2')의 제어를 위한 아날로그 변경에 대해 동시에 실시될 수 있다. 전술한 디-멀티플럭스(X3, X3')를 통해 주소지정 전원(iqj 및 iq'j)의 공급 지점을 전환하는 대신, 두 개의 서로 다른 제1 주소지정 전원을 개별 주소지정 전원(Iqj) 대신 사용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으며, 디-멀티플럭스(X3)에 의한 전환은 이러한 두 개의 제1 주소지정 전원 사이의 전환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그러한 버스 노드(BKj)는 제1 주소지정 전원(Iqj) 대신, 제1 주소지정 전원 및 또 다른 제1 주소지정 전원을 구비할 수 있으며, 제1 주소지정 전원이 전류를 공급할 경우, 상기 제1 주소지정 전원은 제1 버스-션트-저항(R2)의 제1 연결부와 연결된 노드에 이러한 주소지정 전원의 제1 주소지정 전류를 공급하며, 또 다른 제1 주소지정 전원이 전류를 공급할 경우, 상기 또 다른 제1 주소지정 전원은 제1 버스-션트-저항(R2)의 제2 연결부와 연결된 노드에 이러한 주소지정 전원의 제1 주소지정 전류를 공급한다.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제1 주소지정 전원은 자체 테스트를 보장하기 위해, 발생한 전체 주소지정 전류가 제1 버스-션트-저항(R2)을 통과하도록 이러한 주소지정 전원의 주소지정 전류를 공급한다. 또한, 선행 기술과 달리, 상기 버스 노드(BKj)는 제2 주소지정 전원 대신, 제2 주소지정 전원 및 또 다른 제2 주소지정 전원을 구비하며, 제2 주소지정 전원이 전류를 공급할 경우, 상기 제2 주소지정 전원은 제2 버스-션트-저항(R2)의 제1 연결부와 연결된 노드에 이러한 주소지정 전원의 주소지정 전류를 공급하며, 또 다른 제2 주소지정 전원이 전류를 공급할 경우, 상기 또 다른 제2 주소지정 전원은 제2 버스-션트-저항(R2)의 제2 연결부와 연결된 노드에 이러한 주소지정 전원의 주소지정 전류를 공급한다. 또한, 이러한 두 개의 주소지정 전원은 바람직하게는 자체 테스트를 보장하기 위해, 주소지정 전류가 제2 버스-션트-저항(R2')을 통과하도록 이러한 주소지정 전원의 주소지정 전류를 공급한다.
복수의 버스 노드가 데이터 버스에 상호 연결될 경우, 버스 전체 전류의 오버 슈트로 인해 위험한 과전류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장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1 주소지정 전원(Iqj)이 제1 주소지정 전류를 첫 번째 시간 상수[τ1]로 증가시키고, 첫 번째 시간 상수[τ1] 보다 작은 두 번째 시간 상수[τ2]로 감소시키는 경우 및/또는 제2 주소지정 전원(Iq'j)이 제2 주소지정 전류를 세 번째 시간 상수[τ3]로 증가시키고, 세 번째 시간 상수[τ3] 보다 작은 네 번째 시간 상수[τ4]로 감소시키는 경우가 바람직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바람직하게는, 세 번째 시간 상수[τ3]와 첫 번째 시간 상수[τ1]는 동일한 수치로 선택되며, 이것은 버스 대칭을 역동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동일한 이유에서, 바람직하게는 네 번째 시간 상수[τ4]와 두 번째 시간 상수[τ2]는 동일한 수치로 선택되며, 이것도 버스 대칭을 역동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 7 내지 도 9가 다시 한 번 참고될 수 있다.
정상 작동 시 버스 저항 감소
도 12
여기서, 도 12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상기 버스-션트-저항(R2, R2')이 싱글 와이어 버스(DBa, DBb) 및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특성을 악화시킨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개별 버스 노드(BKj)가 버스 노드(BKj)의 해당 제1 버스-션트-저항(R2)을 정상 작동, 즉 버스 노드(BKj)의 정상 상태에서 제1 버스-션트-연결 스위치(S4)와 연결하고, 이러한 제1 버스-션트-연결 스위치(S4)를 단지 주소지정 상태에서만 개방하고, 단지 주소지정 상태에서만 제1 버스-션트-저항(R2)이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따라서, 버스-대칭의 장애를 억제하기 위해, 마찬가지로 개별 버스 노드(BKj)가 버스 노드(BKj)의 해당 제2 버스-션트-저항(R2')을 정상 작동, 즉 버스 노드(BKj)의 정상 상태에서 제2 버스-션트-연결 스위치(S4')와 연결하고, 이러한 제2 버스-션트-연결 스위치(S4')를 단지 주소지정 상태에서만 개방하고, 단지 주소지정 상태에서만 제2 버스-션트-저항(R2')이 작동하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전술한 버스 노드(BKj)로서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버스 노드에 버스 어드레스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버스 노드(BKj)가 제공된다. 이때,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버스 노드((BK1), (BK2), (BK3) ...... [BKn -1], [BKn])에 버스 어드레스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은 개별 버스 노드((BK1), (BK2), (BK3) ...... [BKn -1], [BKn])에 있는 제1 버스-션트-저항(R2) 및 제2 버스-션트-저항(R2')을 통해 전송 시간, 즉 버스 노드((BK1) 내지 [BKn])가 주소지정 상태에 놓여 있는 그러한 전송 시간에 실행되며, 이러한 방법이 선행 기술과 본질적으로 차이를 갖는다. 전송 시간에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버스 노드((BK1), (BK2), (BK3) ...... [BKn-1], [BKn])에 버스 어드레스를 전송하는 방법을 실행하고 난 후에, 버스 노드가 다시 한 번 작동, 즉 정상 상태에 놓여 있는 작동 시간이 뒤를 이어 제공된다. 이로써, 선행 기술과 달리, 상기 버스 노드(BKj)는 바람직하게는 그러한 제1 버스-션트-저항(R2)과 그러한 제2 버스-션트-저항(R2')을 통해 특징 된다. 바람직하게는, 개별 버스 노드(BKj)에 제1 버스-션트-연결 스위치(S4)가 제공되며, 제1 버스-션트-연결 스위치는 전송 시간에 버스 어드레스를 버스 노드(BKj)에 전송하기 전에 개방되고, 전송 시간에 버스 어드레스를 버스 노드에 전송하고 난 후에 폐쇄되며, 작동 시간에 폐쇄된다. 이와 유사하게, 대칭으로 인해 버스 노드(BKj)에 바람직하게는 제2 버스-션트-연결 스위치(S4')가 제공되며, 전송 시간에 버스 어드레스를 버스 노드(BKj)에 전송하기 전에 개방되고, 전송 시간에 버스 어드레스를 버스 노드(BKj)에 전송하고 난 후에 폐쇄되며, 작동 시간에 폐쇄된다. 이러한 버스-션트-연결 스위치(S4, S4')는 버스 저항을 상당히 감소시키고, 전자기 방사(irradiation)에 대한 민감성을 감소시킨다. 즉, 상기 버스-션트-연결 스위치는 EMV 거동을 향상시킨다.
차동 대칭 공통 모드(common mode) 및 차동 모드(differential mode)에 기반을 둔 자동 주소지정.
상기 버스 노드(BKj)의 제1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1 주소지정 전류 및 버스 노드(BKj)의 제2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2 주소지정 전류 대신, 두 개의 출력부를 포함하는 버스 노드(BKj)의 공통 모드 전원[GLIqj]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상기 두 개의 출력부는 동일한 부호를 갖는 직렬 양 방향 차동 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와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로 수치에 맞는 동일한 공통 모드 전류를 공급한다. 이러한 두 개의 출력부 가운데 제1 출력부는 제1 주소지정 전원(Iqj)에 대응한다. 제2 출력부는 제2 주소지정 전원(Iq'j)에 대응한다. 제1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1 주소지정 전류는 제2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2 주소지정 전류에 대해 수치상 동일하다. 하나의 공통 모드 주소지정 전원[GLIqj] 사용은 하나의 제어 구간만 필요한 장점이 있다.
상기 버스 노드(BKj)의 제1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1 주소지정 전류 및 버스 노드(BKj)의 제2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2 주소지정 전류 대신, 두 개의 출력부를 포함하는 버스 노드(BKj)의 차동 모드 전원[GGIqj]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상기 두 개의 출력부는 서로 다른 부호를 갖는 직렬 양 방향 차동 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와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로 수치에 맞는 동일한 차동 모드 전류를 공급한다. 이러한 두 개의 출력부 가운데 제1 출력부는 제1 주소지정 전원(Iqj)에 대응한다. 또한, 제2 출력부는 제2 주소지정 전원(Iq'j)에 대응한다. 제1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1 주소지정 전류는 제2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2 주소지정 전류에 대해 부호가 동일하지 않다. 하나의 차동 모드 주소지정 전원[GLIqj] 사용은 하나의 제어 구간만 필요한 장점이 있다.
공통 모드 주소지정 전원과 차동 모드 주소지정 전원을 사용하는 결합 된 해결 방안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전술한 것에 대응하여, 버스 마스터(ECU)를 포함하는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위한 버스 노드(BKj)가 제공되며, 상기 버스 마스터에서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는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1)와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2)를 포함한다.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1)에 삽입된 제1 버스-션트-저항(R2)과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2)에 삽입된 제2 버스-션트-저항(R2')은 상기 버스 노드(BKj)의 일부이다. 또한, 상기 버스 노드(BKj)는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에서 버스 노드(BKj)의 버스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차동 제1 공통 모드 주소지정 전원[GLIqj]을 포함한다. 버스 노드(BKj)의 제1 버스-션트-저항(R2)을 지나 흐르는 제1 전체 전류(ij)가 미리 정해진 또는 계산된 또는 정해진 대로 제1 전체 전류[Iref]에 대응하도록 상기 차동 제1 공통 모드 주소지정 전원[GLIqj]은 제1 공통 모드 주소지정 전류를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로 제어된 상태로 추가로 공급할 수 있다. 동시에, 차동 제1 공통 모드 주소지정 전원[GLIqj]은 수치 및 부호에 적합한 동일한 제2 공통 모드 주소지정 전류를 제1 차동 모드 주소지정 전류의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갖는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로 다시 한 번 제어된 상태로 추가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버스 노드(BKj)의 제2 버스-션트-저항(R2')을 지나 흐르는 제2 전체 전류(i'j)는 미리 정해진 또는 계산된 또는 정해진 대로 제1 전체 전류[Iref]에 대응한다. 상기 버스 노드(BKj)의 공통 모드 주소지정 전원[GLIqj]의 제1 공통 모드 주소지정 전류는 버스 마스터(ECU) 방향으로 버스 노드(BKj)의 제1 버스-션트-저항(R2)를 통과한다. 버스 노드(BKj)의 공통 모드 주소지정 전원[GLIqj]의 제2 공통 모드 주소지정 전류는 버스 마스터(ECU) 방향으로 버스 노드(BKj)의 제2 버스-션트-저항(R2')을 통과한다.
공통 모드 제어에 대해 보완적으로, 차동 모드 제어도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버스 마스터(ECU)를 포함하는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위한 버스 노드(BKj)가 제공되며, 상기 버스 마스터에서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는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1) 및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2)를 포함하며, 제1 버스-션트-저항(R2)은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1)에 삽입되어 있고, 제2 버스-션트-저항(R2')은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2)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버스 노드(BKj)는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에서 버스 노드(BKj)의 버스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차동 제1 차동 모드 주소지정 전원[GGIqj]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차동 제1 공통 모드 주소지정 전원은 상기 버스 노드(BKj)의 제1 버스-션트-저항(R2)을 지나 흐르는 제1 전체 전류(ij)가 미리 정해진 또는 계산된 또는 정해진 대로 제1 전체 전류[Iref]에 대응하도록 제1 차동 모드 주소지정 전류를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로 제어된 상태로 추가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버스 노드(BKj)의 차동 모드 주소지정 전원[GGIqj]은 수치에 적합한 동일한 제2 차동 주소지정 전류를 제1 차동 모드 주소지정 전류의 부호에 대해 반대되는 부호를 갖는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로 다시 한 번 제어된 상태로 추가로 공급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버스 노드(BKj)의 제2 버스-션트-저항(R2')을 지나 흐르는 제2 전체 전류(i'j)는 미리 정해진 또는 계산된 또는 정해진 대로 제1 전체 전류[Iref]에 대응한다. 상기 버스 노드(BKj)의 차동 모드 주소지정 전원[GGIqj]의 제1 차동 모드 주소지정 전류는 버스 마스터(ECU) 방향으로 버스 노드(BKj)의 제1 버스-션트-저항(R2)를 통과한다. 버스 노드(BKj)의 차동 모드 주소지정 전원[GGIqj]의 제2 차동 모드 주소지정 전류는 버스 마스터(ECU) 방향으로 버스 노드(BKj)의 제2 버스-션트-저항(R2')을 통과한다.
제어를 위해, 상기 버스 노드(BKj)는 바람직하게는 제1 버스-션트-저항(R2)을 지나 흐르는 전류를 탐지하기 위한 제1 장치(R2, D2) 및/또는 제2 버스-션트-저항(R2')을 지나 흐르는 전류를 탐지하기 위한 제2 장치(R2', D2')를 구비한다.
전술한 것처럼, 각각의 버스-션트-저항(R2, R2')의 전압감소를 측정하기 위한 능력이 자체 테스트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버스-션트-저항(R2)을 지나 흐르는 탐지된 전류를 자체 테스트를 위해 이용 및/또는 제2 버스-션트-저항(R2')을 지나 흐르는 탐지된 전류가 자체 테스트를 위해 이용되는 버스 노드(BKj)가 제공된다. 이때, 버스-션트-저항의 탐지된 전압감소는 예상 값과 비교된다. 측정된 전압이 미리 정해진 값 초과로 예상 값과 편차가 발생할 경우,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서 신호 송신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공된 버스 노드(BKj)는 적어도 하나의 탐지장치(DET)를 포함하며, 상기 탐지장치는 버스 노드(BKj)의 내부 신호(ds1, ds3)의 타당성을 테스트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탐지장치(DET)가 버스 노드(BKj) 내에서 타당한 내부 신호를 확인하지 못할 경우, 상기 버스 노드(BKj) 또는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분할 장치(DET)가 조치를 취한다. 미리 정해진 오류가 확인될 경우, 버스 노드(BKj)의 제1 분할 장치(X3) 및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제2 분할 장치(X3')를 통해 공통 모드 주소지정 전원[GLIqj]의 제1 공통 모드 주소지정 전류의 공급 지점이 변경되도록 버스 노드(BKj)의 제1 분할 장치(X3) 및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제2 분할 장치(X3')를 통해 가능한 조치가 취해질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오류 확인시, 버스 노드의 제1 분할 장치(X3) 및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제2 분할 장치(X3')를 통해 제1 차동 모드 주소지정 전원[GGIqj]의 제1 차동 모드 주소지정 전류의 공급 지점이 변경되도록 버스 노드(BKj) 및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제2 분할 장치(X3')가 또 다른 가능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정해진 시간 상수를 통해 주소지정 전류를 제어하는 것이 권장되고 있다. 따라서, 공통 모드 주소지정 전원[GLIqj]은 공통 모드 주소지정 전류를 첫 번째 시간 상수[τ1]로 증가시키고, 이러한 첫 번째 시간 상수[τ1] 보다 작은 두 번째 시간 상수[τ2]로 감소시키는 버스 노드(BKj)가 제공된다.
따라서, 이와 유사하게 차동 주소지정 전원[GGIqj]이 차동 주소지정 전류를 첫 번째 시간 상수[τ1]로 증가시키고, 이러한 첫 번째 시간 상수[τ1] 보다 작은 두 번째 시간 상수[τ2]로 감소키시는 버스 노드(BKj)가 제공된다.
차단-라인을 통한 자동 주소지정
도 13
도 13은 도 2에 기반을 두고 있다. 전술한 주소지정 방법과 함께, 전술한 버스 노드, 즉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포함하는 데이터 버스 시스템을 위해 제공된 그러한 버스 노드(BKj)는 또 다른 자동 주소지정 방법(도 13 참조)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해당 버스 노드(BKj)는 데이터 버스 시스템의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논리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제공된다. 대응하는 데이터 버스 시스템은 어드레스 입력부(Adri0)를 포함하는 버스 마스터(ECU)를 구비한다. 상기 데이터 버스 시스템은 양의 정수에 n을 갖는 이러한 버스 노드(BKj)를 포함하는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를 재차 구비해야 한다. 데이터 전송을 위해, 상기 버스 노드(BKj)는 데이터 라인 섹션((DB1) 내지 [DBn]) 또는 이러한 데이터 라인 섹션((DB1) 내지 [DBn])과 또 다른 버스 노드((BK2) 내지 [BKn])로 구성된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통해 버스 마스터(ECU)와 연결된다. 데이터 버스 시스템 내에서 이러한 데이터 버스 시스템의 버스 마스터(ECU)의 어드레스 입력부(Adri0)를 기점으로 하는 라인[L1 내지 Ln]은 이러한 라인이 이러한 버스 노드(BKj) 자체를 포함하는 개별 버스 노드((BK1) 내지 [BKn])를 통해 n 라인 섹션[L1 내지 Ln]으로 분할되도록 이러한 버스 노드(BKj) 자체를 포함하는 데이터 버스 시스템의 모든 버스 노드((BK1) 내지 [BKn])를 지나간다. 개별 버스 노드(BKj)는 어드레스 입력부[Adrij] 및 이러한 버스 노드(BKj)에 속하는 어드레스 출력부[Adroj]를 포함한다. 개별 버스 노드가 n 번째 버스 노드[BKn]가 아닐 경우, 1≤j≤n-1에 해당하는 개별 버스 노드(BKj)는 (j+1) 번째 버스 노드[BKj + 1]에서 j 번째 버스 노드(BKj)에 이르는 후속하는 버스 노드[BKj + 1]에 속하는 (j+1) 번째 라인 섹션[Lj + 1]을 통해 1≤j≤n-1에 해당하는 후속하는 버스 노드[BKj + 1]의 어드레스 출력부[Adro (j+1)]를 상기 버스 노드의 어드레스 입력부[Adrij]와 연결하기 위해 제공된다. 개별 버스 노드가 제1 버스 노드(BK1)가 아닐 경우, 개별 버스 노드(BKj)는 j 번째 버스 노드(BKj)에서 (j-1) 번째 버스 노드[BKj - 1]에 이르는 버스 노드(BKj) 속하는 j 번째 라인 섹션[Lj]을 통해 2≤j≤n에 해당하는 선행하는 버스 노드[BKj - 1]의 어드레스 입력부[Adri (j-1)]를 상기 버스 노드의 어드레스 출력부[Adroj]와 연결하기 위해 제공된다. 제1 버스 노드(BK1)는 상기 버스 노드(BKj)에 속하는 라인 섹션[L1]을 통해 버스 마스터(ECU)의 어드레스 입력부(Adri0)를 포함하는 (j=1) 상기 제1 버스 노드의 어드레스 출력부(Adro1)와 연결된다. 버스 노드의 버스 노드 어드레스 레지스터[BKADRj]에 있는 버스 노드(BKj)의 버스 노드 어드레스는 본 공개 공보의 전체에서 유효하거나, 또는 유효하지 않을 수 있다. 버스 노드의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설정하고 이러한 버스 노드의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유효하거나, 또는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만드는 장치와 방법이 본 발명에 따른 버스 노드에 제공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버스 마스터(ECU)의 비트-패킷(BP)의 특별한 데이터 내용(DATA)일 수 있으며, 상기 버스 마스터(ECU)는 이러한 특별한 데이터 내용을 통해 개별 버스 노드 또는 복수의 버스 노드 또는 모든 버스 노드((BK1) 내지 [BKn])를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만들고, 어드레스가 버스 노드 어드레스 레지스터에놓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스 노드(BKj)는 주소지정 상태 및 주소지정 상태와 구분되는 첫 번째 작동 상태(또는 정상 상태)를 점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버스 노드(BKj)는 바람직하게는 버스 마스터(ECU)의 명령어에 따라 주소지정 상태와 두 번째 작동 상태 사이를 변경시키는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버스 노드는 장치를 구비하며, 이것은 상기 버스 노드가 주소지정 상태에 놓여 있고, 이러한 버스 노드의 버스 노드 어드레스가 유효하지 않을 경우, 선행하는 버스 노드[BKj - 1]의 어드레스 입력부[Adri (j-1)]의 논리 상태를 오버 라이팅(overwriting)을 통해 첫 번째 논리값으로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버스 노드가 주소지정 상태에 놓여 있고, 이러한 버스 노드의 버스 노드 어드레스가 유효하지 않을 경우, 선행하는 버스 마스터(ECU)의 어드레스 입력부(Adri0)의 논리 상태를 오버 라이팅을 통해 첫 번째 논리값으로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버스 노드(BKj)는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두 번째 논리값이 첫 번째 논리값을 포함하는 후속하는 버스 노드[BKj + 1]를 통해 오버 라이팅 되지 않을 경우, 주소지정 상태에서 버스 노드의 어드레스 입력부[Adrij]의 논리 상태를 두 번째 논리값으로 설정하기 위한 장치 및 상기 버스 노드가 주소지정 상태에 놓여 있고, 이러한 버스 노드의 어드레스 입력부[Adrij]가 두 번째 논리값을 구비할 경우, 버스 마스터(ECU)를 통해 신호 송신된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앞으로 이러한 버스 노드의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로서 채택하고, 이 경우 앞으로 이러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유효한 것"으로 표시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제안의 개선과 관련하여, 두 번째 작동 상태에서 버스 노드(BKj)의 어드레스 입력부[Adrij]가 후속하는 버스 노드[BKj - 1]의 차단 신호의 입력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차단-라인이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버스 노드의 자동 주소지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두 번째 작동 상태에서 상기 버스 노드(BKj)의 어드레스 출력부[Adroj]는 후속하는 버스 노드[BKj -1] 및/또는 버스 노드(BKj)의 차단 신호의 출력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4
도 14는 여기서 설명된 바람직한 전송 방법의 기본적인 진행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어드레스 전송 방법이 스타트 되고 난 후에(START), 상기 버스-마스터(BM)는 첫 번째 방법 단계(1)에서 바람직하게는 첫 번째 동보 통신 명령어(brocast command)를 통해 바람직하게는 버스 노드 또는 바람직하게는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전체 수량 또는 적어도 일부에 이러한 버스 노드에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전송하는 그러한 방법이 개시되는 것을 신호 송신한다. 전술한 것은 한편, 모든 이러한 버스 노드((BK1) 내지 [BKn])가 경우에 따라 이러한 버스 노드에 존재하는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만들거나, 또는 삭제하는 바람직한 결과를 초래한다. 도 13에 도시되어 있듯이, 주소지정이 모든 버스 노드를 지나는 차단-라인[L1 내지 Ln]을 통해 실시될 경우, 바람직하게는 제안의 버전에서 이러한 차단-라인[L1 내지 Ln]은 주소지정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기능을 상실하고, 버스 노드((BK1) 내지 [BKn]) 간의 전술한 점대점 접속(point-to-point connection) 및 제1 LED-버스 노드(BK1)와 버스-마스터(BM) 간의 점대점 접속으로 분할된다. 두 번째 방법 단계(2)에서, 버스 마스터(ECU)는 버스 노드 어드레스가 전송될 수 있고, 어떤 논리 버스 노드 어드레스가 전송될 것인지를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전달한다. 이러한 방법 단계에서, 예를 들어 더 나은 개관을 위해, 그리고 임의적인 j 번째 버스 노드(BKj), 즉 이러한 버스 노드의 어드레스 입력부[Adrij]가 두 번째 논리값을 구비하는 그러한 버스 노드가 상기 버스-마스터(BM)로부터 제공된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채택하고, 상기 버스 노드가 선행한 버스 노드[BKj - 1]의 어드레스 입력부[Adri(j-1)]를 더는 첫 번째 논리값으로 오버 라이팅 하는 것이 아니라, 선행한 버스 노드[BKj - 1]의 어드레스 입력부[Adri (j-1)]의 두 번째 논리값을 허용하도록 상기 버스 노드가 어드레스 출력부[Adroj]를 설정한다. 이러한 두 번째 논리값은 바람직하게는 선행한 버스 노드[BKj -1] 자체를 통해 이러한 버스 노드의 어드레스 입력부[Adri (j-1)]에 형성된다. 또 다른 세 번째 단계(3)에서, 상기 버스 마스터(ECU)는 이러한 버스 마스터의 어드레스 입력부(Adri0)의 논리값이 첫 번째 논리값에 대응하는지를 테스트한다. 전술한 논리값이 대응하지 않을 경우(N), 상기 버스 마스터(ECU)는 두 번째 방법 단계(2)를 반복한다. 전술한 논리값이 이러한 논리값에 대응할 경우(Y), 상기 버스 마스터(ECU)는 네 번째 방법 단계(4)의 실행을 거쳐 방법을 종료한다. 경우에 따라, 상기 버스 마스터는 사전에 정확한 전송을 테스트한다. 바람직하게는, 모든 버스 어드레스를 성공적으로 전송한 경우 상기 버스 마스터(ECU)는 버스 노드 어드레스가 전송되었다는 메시지를 모든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전송한다. 이로 인해, 상기 버스 노드((BK1) 내지 [BKn])가 다시 주소지정 상태를 출발점으로 삼게 되며, 이때 첫 번째 방법 단계(1)에서 실행된 주소지정 상태로부터 다른 작동 상태, 바람직하게는 정상 작동 상태 또는 정상 상태로 전환된다. 특히, 이러한 네 번째 방법 단계(4)를 실행하고 난 후, 버스 노드((BK1) 내지 [BKn])는 점대점 접속을 위해 경우에 따라 사용된 차단-라인을 다시 차단-라인으로서 사용한다. 이로 인해, 제안된 방법이 종료된다(ENDE).
버스-션트-저항을 통한 대칭 자동 주소지정 방법
대칭 방법을 통한 데이터 버스 시스템의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주소지정을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버스 시스템의 버스 노드((BK1) 내지 [BKn])를 주소지정 하기 위한 자동 주소지정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데이터 버스 시스템은 버스 마스터(ECU), 상기 버스 마스터(ECU)를 기점으로 하는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 및 이러한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와 연결된 주소지정 가능한 복수의 버스 노드((BK1) 내지 [BKn])를 포함한다.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는 전술한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와 전술한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로 구성된다. 버스 노드((BK1) 내지 [BKn]) 가운데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개별 버스 노드(BKj)에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가 없기 때문에, 식별을 위해 제1 주소지정 전류를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로 공급하고, 제2 주소지정 전류를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로 공급한다. 이러한 주소지정 전류의 전체는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지나 상기 버스 마스터(ECU) 방향으로 흐른다.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개별 버스 노드(BKj)는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를 지나 흐르는 첫 번째 전류 및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를 지나 흐르는 두 번째 전류를 탐지한다. 첫 번째 전류를 탐지하기 않거나, 또는 확정 가능한 첫 번째 임계값보다 작은 첫 번째 전류만 탐지하며, 동시에 두 번째 전류를 탐지하기 않거나, 또는 확정 가능한 또 다른 첫 번째 임계값보다 작은 두 번째 전류만 탐지하는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그러한 버스 노드(BKj)만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버스 노드로서 식별된다. 주소지정을 위해 식별된 버스 노드에 어드레스가 지정되며, 이로 인해 이러한 버스 노드는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획득할 수 있다. 전술한 단계는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전체 버스 노드가 주소지정 될 때까지, 마지막으로 어드레스 된 버스 노드 없이 실시된다. 바람직하게는, 첫 번째 임계값은 또 다른 첫 번째 임계값과 동일하며, 상기 버스 노드 내에서 제1 주소지정 전류 값은 이러한 버스 노드 내에서 제2 주소지정 전류 값과 동일하다.
주소지정 된, 즉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가 제공된 버스 노드와 함께,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가 없는 주소지정 되지 않은 버스 노드도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에 연결될 수 있다. 주소지정 되지 않은 버스 노드는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 제1 정전류를 공급하고,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에 제2 정전류를 공급한다.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개별 버스 노드는 주소지정 전류를 공급하기 전에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를 지나 흐르는 제1 정전류 및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를 지나 흐르는 제2 정전류를 탐지한다. 유효하지 않은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버스 노드만 제1 주소지정 전류를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 공급하고, 제2 주소지정 전류를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에 공급한다. 이전의 전류 탐지와 달리,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전체 버스 노드를 지나 흐르는 주소지정 전류를 공급할 경우, 첫 번째 전류 또는 두 번째 전류의 전류 편차를 탐지하기 않거나, 또는 확정 가능한 두 번째 임계값보다 작은 제1 또는 두 번째 전류의 전류 편차만 탐지하는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그러한 버스 노드만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버스 노드로서 식별된다. 주소지정을 위해 식별된 버스 노드에 어드레스가 지정되며, 이로 인해 이러한 버스 노드가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획득할 수 있다. 전술한 단계는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버스 노드가 주소지정 될 때까지 마지막으로 주소지정 된 버스 노드 없이 실시된다. 바람직하게는, 두 번째 임계값은 첫 번째 임계값 또는 또 다른 첫 번째 임계값과 동일하다.
상기 방법의 또 다른 변형된 실시 형태에 따라, 주소지정 가능한 개별 버스 노드는 0일 수 있는 제1 정전류를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 공급하고, 0일 수 있는 제2 정전류를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에 공급할 수 있다.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 없는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개별 버스 노드는 제1 정전류를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 공급하고, 제2 정전류를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에 공급한다.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개별 버스 노드는 정전류 공급으로 인해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를 지나 흐르는 첫 번째 전류 및 정전류 공급으로 인해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를 지나 흐르는 두 번째 전류를 탐지한다. 이때,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어떤 버스 노드가 확정 가능한 세 번째 임계값을 초과하는 첫 번째 전류를 탐지하고,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어떤 버스 노드가 확정 가능한 또 다른 세 번째 임계값을 초과하는 두 번째 전류를 탐지하는지 식별된다. 정전류를 공급할 때, 세 번째 임계값보다 작거나, 또는 세 번째 임계값과 동일한 첫 번째 전류를 탐지하는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그러한 버스 노드만 제1 주소지정 전류를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 공급하고, 정전류를 공급할 때, 또 다른 세 번째 임계값보다 작거나, 또는 또 다른 세 번째 임계값과 동일한 두 번째 전류를 탐지하는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그러한 버스 노드만 바람직하게는 제2 주소지정 전류를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에 공급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정전류를 공급할 때, 세 번째 임계값보다 작거나, 또는 세 번째 임계값과 동일한 첫 번째 전류를 탐지하고, 동시에 정전류를 공급할 때, 또 다른 세 번째 임계값보다 작거나, 또는 또 다른 세 번째 임계값과 동일한 두 번째 전류를 탐지하는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그러한 버스 노드만 제1 주소지정 전류를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 공급하고, 제2 주소지정 전류를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에 공급하는 것이다.
주소지정 전류를 공급하는,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이러한 버스 노드의 그룹(group)으로부터, 첫 번째 전류를 탐지하지 않거나, 또는 확정 가능한 네 번째 임계값보다 작은 첫 번째 전류만 탐지하고, 두 번째 전류를 탐지하지 않거나, 또는 확정 가능한 또 다른 네 번째 임계값보다 작은 두 번째 전류만 탐지하는 그러한 버스 노드만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버스 노드로서 식별된다. 주소지정을 위해 식별된 버스 노드에 어드레스가 지정된다. 전술한 단계는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전체 버스 노드가 주소지정 될 때까지 마지막으로 주소지정 된 버스 노드 없이 실시된다. 바람직하게는, 제3 및/또는 네 번째 임계값 및/또는 또 다른 제3 및/또는 또 다른 네 번째 임계값과 첫 번째 임계값은 동일하다.
상기 방법의 변형된 실시 형태에 따라, 주소지정 가능한 버스 노드와 함께 주소지정 될 수 없는 버스 노드도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에 연결될 수 있다. 주소지정 될 수 없는 그러한 버스 노드는 제1 정전류를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 공급하고, 제2 정전류를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에 공급한다. 제1 주소지정 전류를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 공급하기 전에, 아직 주소지정 될 수 없는 전체 버스 노드의 정전류 공급으로 인해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서 흐르는 첫 번째 전류를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개별 버스 노드가 첫 번째 전류 탐지를 통해 식별한다. 제2 주소지정 전류를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에 공급하기 전에, 아직 주소지정 될 수 없는 전체 버스 노드의 정전류 공급으로 인해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에서 흐르는 두 번째 전류를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개별 버스 노드가 두 번째 전류 탐지를 통해 식별한다. 이어서, 주소지정 가능한 개별 버스 노드는 제1 정전류를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 공급하고, 제2 정전류를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에 공급한다. 이때,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어떤 버스 노드가 확정 가능한 다섯 번째 임계값을 초과하는 첫 번째 전류를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서 탐지 및/또는 확정 가능한 또 다른 다섯 번째 임계값을 초과하는 두 번째 전류를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에서 탐지하는지 식별된다. 제1 정전류를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 공급할 때, 다섯 번째 임계값보다 작거나, 또는 다섯 번째 임계값과 동일한 첫 번째 전류를 탐지하는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그러한 버스 노드만 제1 주소지정 전류를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 공급한다. 제2 정전류를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에 공급할 때, 또 다른 다섯 번째 임계값보다 작거나, 또는 또 다른 다섯 번째 임계값과 동일한 두 번째 전류를 탐지하는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그러한 버스 노드만 제2 주소지정 전류를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에 공급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제1 정전류를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 공급할 때, 다섯 번째 임계값보다 작거나, 또는 다섯 번째 임계값과 동일한 첫 번째 전류를 탐지하고, 동시에 제2 정전류를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에 공급할 때, 또 다른 다섯 번째 임계값보다 작거나, 또는 또 다른 다섯 번째 임계값과 동일한 두 번째 전류를 탐지하는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그러한 버스 노드만 제1 주소지정 전류를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 및 제2 주소지정 전류를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에 공급하는 것이다.
주소지정 전류를 공급하는,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이러한 버스 노드의 그룹으로부터, 첫 번째 전류 탐지와 달리, 첫 번째 전류의 전류 편차를 탐지하지 않거나, 또는 확정 가능한 여섯 번째 임계값보다 작은 첫 번째 전류의 전류 편차만 탐지하고, 첫 번째 전류 탐지와 달리, 두 번째 전류의 전류 편차를 탐지하기 않거나, 또는 확정 가능한 또 다른 여섯 번째 임계값보다 작은 두 번째 전류의 전류 편차만 탐지하는 그러한 버스 노드만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버스 노드로서 식별된다. 주소지정을 위해 식별된 버스 노드에 어드레스가 지정된다. 전술한 단계는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전체 버스 노드가 주소지정 될 때까지 마지막으로 주소지정 된 버스 노드 없이 실시된다. 다섯 번째 임계값 및/또는 여섯 번째 임계값 및/또는 또 다른 다섯 번째 임계값 및/또는 또 다른 여섯 번째 임계값 및/또는 첫 번째 임계값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하다.
바람직하게는, 첫 번째 전류 탐지는 주소지정 가능한 버스 노드에 지정된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의 제1 버스-션트-저항(R2)을 통해 버스 노드에서 실시되고, 두 번째 전류 탐지는 바람직하게는 주소지정 가능한 버스 노드에 지정된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의 제2 버스-션트-저항(R2')을 통해 버스 노드에서 실시된다. 주소지정 가능한 버스 노드에 지정된 제1 버스-션트-저항(R2)은 바람직하게는 주소지정 가능한 버스 노드에 지정된 각각의 제2 버스-션트-저항(R2')에 적어도 수치 면에서 대응한다. 전체 제1 버스-션트-저항(R2)은 바람직하게는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서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를 따라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전체 제2 버스-션트-저항(R2')은 바람직하게는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에서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를 따라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전류 탐지 대신, 버스 노드에서 전압 탐지도 실시될 수 있다.
어드레스 지정은 일반적으로 버스 노드 식별 전에 동일한 각각의 어드레스가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전체 버스 노드에 전송되고, 이어지는 식별된 버스 노드만 이러한 어드레스를 버스 노드의 버스 노드 어드레스로서 채택함으로써 식별된 버스 노드에 어드레스 전송을 통해 실시된다.
바람직하게는, 버스 노드의 첫 번째 식별 이후 어드레스 지정 및/또는 버스 노드 식별 이후에 버스 노드 어드레스 검증이 실시된다.
버스 노드의 식별 검증은 예를 들어, 버스 노드의 재식별 및/또는 다른 싱글 와이어 버스를 통한 버스 노드의 식별 및 첫 번째 식별과 두 번째 식별의 비교를 통해 실시될 수 있다.
관련기기의 식별 검증은 또 다른 자동 주소지정 방법을 통해 관련기기의 재검증 및 첫 번째 식별과 두 번째 식별의 비교를 통해 실시될 수 있다. 이때, 발생한 오류는 신호로 송신된다.
버스-션트-저항을 통한 비대칭 자동 주소지정 방법
상기 데이터 버스 시스템은 버스 마스터(ECU), 상기 버스 마스터(ECU)를 출발점으로 삼는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 및 이러한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에 연결된 주소지정 가능한 복수의 버스 노드((BK1) 내지 [BKn])를 포함한다.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는 전술한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와 전술한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로 구성된다. 전술한 첫 번째 자동 주소지정 방법에서, 식별을 위해 버스 노드((BK1) 내지 [BKn]) 가운데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버스 노드(BKj)는 싱글 와이어 버스(DBa, DBb)의 적어도 하나의 싱글 와이어 버스에 주소지정 전류를 공급한다.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개별 버스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싱글 와이어 버스, 즉 다음에서 주소지정-싱글 와이어 버스로 표기될 그러한 싱글 와이어 버스에 주소지정 전류를 공급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주소지정 전류가 두 개의 싱글 와이어 버스(DBa, DBb)에 공급되는 것이다.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또 다른 모든 버스 노드는 이러한 버스 노드의 각각의 주소지정 전류를 마찬가지로 주소지정-싱글 와이어 버스에 공급한다. 이때, 전체 주소지정 전류는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지나 상기 버스 마스터(ECU) 방향으로 흐른다.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개별 버스 노드(BKj)는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주소지정-싱글 와이어 버스를 지나 흐르는 전류를 탐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탐지는 상기 버스-션트-저항(R2, R2')을 통해 실시된다. 전류를 탐지하지 않거나, 또는 확정 가능한 첫 번째 임계값보다 작은 전류만 탐지하는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그러한 버스 노드(BKj)만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버스 노드로서 식별된다. 주소지정을 위해 식별된 버스 노드에 어드레스가 지정되며, 이로 인해 이러한 버스 노드가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획득한다. 이러한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스 마스터(DCU)를 통해 결정된다. 전술한 단계는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전체 버스 노드가 주소지정 될 때까지, 마지막으로 주소지정 된 버스 노드 없이, 즉 또 다른 초기화 시퀀스 없이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주소지정 된 버스 노드와 함께, 주소지정 되지 않은 하나 또는 복수의 버스 노드, 즉 주소지정-싱글 와이어 버스에 정전류를 공급하는 그러한 버스 노드도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방법이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관련하여, 주소지정 전류 공급 전에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개별 버스 노드가 주소지정-싱글 와이어 버스를 지나 흐르는 정전류를 탐지해야 한다. 단지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버스 노드만 주소지정 전류를 주소지정-싱글 와이어 버스에 공급할 수 있다. 이전의 전류 탐지와 달리,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전체 버스 노드를 지나 흐르는 주소지정 전류를 공급할 때, 전류 편차를 탐지하지 않거나, 또는 확정 가능한 두 번째 임계값보다 작은 전류 편차만 탐지하는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그러한 버스 노드만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버스 노드로서 식별된다. 주소지정을 위해 식별된 버스 노드에 어드레스가 지정되며, 이로 인해 이러한 버스 노드가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획득할 수 있다. 전술한 단계는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전체 버스 노드가 주소지정 될 때까지 마지막으로 주소지정 된 각각의 버스 노드 없이 실시된다. 바람직하게는, 두 번째 임계값은 첫 번째 임계값과 동일하다.
또한, 주소지정 가능한 개별 버스 노드가 주소지정-싱글 와이어 버스에 정전류를 공급하고,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개별 버스 노드가 정전류를 주소지정-싱글 와이어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전술한 방법과 유사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정전류 공급으로 인해 주소지정-싱글 와이어 버스를 지나 흐르는 전류를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개별 버스 노드가 다시 탐지한다. 상기 버스 노드(BKj) 내에서 회로는 확정 가능한 세 번째 임계값을 초과하는 전류를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어떤 버스 노드가 탐지하는지 식별한다. 정전류를 공급할 때, 세 번째 임계값보다 작거나, 또는 세 번째 임계값과 동일한 전류를 탐지하는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그러한 버스 노드만 주소지정 전류를 주소지정-싱글 와이어 버스에 공급한다. 주소지정 전류를 공급하는,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이러한 버스 노드의 그룹으로부터, 전류를 탐지하기 않거나, 또는 확정 가능한 네 번째 임계값보다 작은 전류만 탐지하는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그러한 버스 노드만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버스 노드로서 식별된다. 주소지정을 위해 식별된 버스 노드에 어드레스가 지정되며, 이로 인해, 이러한 버스 노드가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획득할 수 있다. 전술한 단계는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전체 버스 노드가 주소지정 될 때까지 마지막으로 주소지정 된 개별 버스 노드 없이 실시된다. 바람직하게는, 제3 및/또는 네 번째 임계값은 첫 번째 임계값과 동일하다.
주소지정 가능한 버스 노드와 함께, 주소지정-싱글 와이어 버스에 정전류를 공급하는 주소지정 될 수 없는 적어도 하나의 버스 노드도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에 재차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재차 적합하게 변경된다: 주소지정 전류를 공급하기 전에, 주소지정 될 수 없는 전체 버스 노드의 정전류 공급으로 인해 주소지정-싱글 와이어 버스에서 흐르는 전류를 첫 번째 전류 탐지를 통해 식별한다. 이어서, 주소지정 가능한 개별 버스 노드가 정전류를 주소지정-싱글 와이어 버스에 공급한다. 이때, 확정 가능한 다섯 번째 임계값을 초과하는 전류를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어떤 버스 노드가 탐지하는지 식별된다. 정전류를 공급할 때, 다섯 번째 임계값보다 작거나, 또는 다섯 번째 임계값과 동일한 전류를 탐지하는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그러한 버스 노드만 주소지정 전류를 주소지정-싱글 와이어 버스에 공급한다. 주소지정 전류를 공급하는,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이러한 버스 노드의 그룹으로부터, 첫 번째 전류 탐지와 달리, 전류 편차를 탐지하기 않거나, 확정 가능한 여섯 번째 임계값보다 작은 전류 편차만 탐지하는 그러한 버스 노드만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버스 노드로서 식별된다. 주소지정을 위해 식별된 버스 노드에 어드레스가 지정되며, 이로 인해 이러한 버스 노드가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획득할 수 있다. 전술한 단계는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전체 버스 노드가 주소지정 될 때까지 마지막으로 주소지정 된 개별 버스 노드 없이 실시된다. 바람직하게는, 다섯 번째 임계값 및/또는 여섯 번째 임계값은 첫 번째 임계값과 동일하다.
버스 노드에서 전류 탐지는 바람직하게는 주소지정 가능한 버스 노드에 지정된 주소지정-싱글 와이어 버스의 션트-저항을 통해 실시되며, 주소지정 가능한 관련기기에 지정된 또 다른 버스-션트-저항은 바람직하게는 또 다른 싱글 와이어 버스에 배열되지만, 반드시 전술한 것에 배열되지 않으며, 이때 상기 또 다른 버스-션트-저항은 주소지정-싱글 와이어 버스의 션트-저항에 대응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버스-션트-저항(R2, R2')은 두 개의 싱글 와이어 버스(DBa, DBb)에서 서로 일치한다. 주소지정-싱글 와이어 버스에서 전체 션트-저항은 주소지정-싱글 와이어 버스를 따라 바람직하게는 직렬로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또 다른 싱글 와이어 버스에서 전체 션트-저항은 또 다른 이러한 싱글 와이어 버스를 따라 바람직하게는 직렬로 연결된다.
버스 노드에서 전류 탐지 대신 전압 탐지가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된 형태에 따라, 어드레스의 지정이 식별된 버스 노드에 어드레스를 전송함으로써 실시되거나, 또는 버스 노드 식별 전에 각각 동일한 어드레스가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전체 버스 노드에 전송되고, 이어서 식별된 버스 노드만 이러한 어드레스를 버스 노드 어드레스로서 채택함으로써 실시된다.
제안된 방법의 또 다른 변형된 형태에 따라, 어드레스의 지정은 버스 노드의 첫 번째 식별 이후에 실시되거나, 또는 버스 노드 어드레스의 검증은 버스 노드의 식별 이후에 실시되도록 제공된다.
제안된 방법의 또 다른 변형된 형태에 따라, 버스 노드의 식별 검증은 버스 노드의 재식별 및/또는 또 다른 싱글 와이어 버스를 통한 버스 노드의 식별 및 첫 번째 식별과 두 번째 식별의 비교를 통해 실시된다.
제안된 방법의 변형된 형태에 따라, 관련기기의 식별 검증은 또 다른 자동 주소지정 방법을 통해 관련기기의 재식별 및 첫 번째 식별과 두 번째 식별의 비교를 통해 실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버스 노드 및/또는 버스 마스터가 오류를 신호 송신한다.
자체 테스트 능력과 주소지정 전류 제어를 포함하는 버스-션트-저항을 통한 대칭 자동 주소지정 방법.
또한, 데이터 버스 시스템 내에서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전송하기 위해 자체 테스트 가능한 자동 주소지정 방법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데이터 버스 시스템은 0보다 큰 양의 정수 n을 포함하는 n 버스 노드((BK1), (BK2), (BK3) ...... [BKn -1], [BKn])의 체인 및 버스 마스터(ECU)를 포함하는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구비한다. 이러한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는 상기 버스 마스터(ECU)와 연결되어 있다. 개별 버스 노드((BK2), (BK3) ...... [BKn -1], [BKn])는 이러한 버스 노드가 제1 버스 노드가 아닐 경우, 선행하는 버스 노드((BK1), (BK2), (BK3) ...... [BKn -1])를 구비하고, 개별 버스 노드((BK2), (BK3) ...... [BKn -1], [BKn])는 이러한 버스 노드가 제1 버스 노드(BK1)가 아닐 경우,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연결 섹션을 수단으로 하는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통해 선행하는 버스 노드((BK1), (BK2), (BK3) ...... [BKn -1])와 연결된다. 이러한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는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와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로 구성된다. 제1 버스 노드(BK1)는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연결 섹션을 수단으로 하는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통해 버스 마스터(ECU)와 연결된다. 개별 버스 노드((BK2), (BK3) ...... [BKn -1], [BKn])는 이러한 버스 노드가 제1 버스 노드(BK1)가 아닐 경우, 이러한 버스 노드((BK2), (BK3) ...... [BKn -1], [BKn])와 선행하는 버스 노드((BK1), (BK3) ...... [BKn -1], [BKn -1]) 사이의 연결 섹션의 일부에 해당하는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의 섹션(DB1)을 통해 버스 노드((BK1), (BK2), (BK3) ......[BKn-1])에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i2), (i3) ... [i(n-1)], [in])를 전송한다. 개별 버스 노드((BK2), (BK3) ...... [BKn -1], [BKn])는 이러한 버스 노드가 제1 버스 노드(BK1)가 아닐 경우, 이러한 버스 노드((BK2), (BK3) ...... [BKn -1], [BKn])와 이러한 버스 노드의 선행하는 버스 노드((BK1), (BK3) ...... [BKn -1], [BKn-1]) 사이의 연결 섹션의 일부에 해당하는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의 섹션(DB2)을 통해 선행하는 버스 노드((BK1), (BK2), (BK3) ...... [BKn -1])에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i'2), (i'3), ... [i'( n-1)], [i'n])를 전송한다. 제1 버스 노드(BK1)는 제1 버스 노드(BK1)와 버스 마스터(ECU) 사이의 연결 섹션의 일부에 해당하는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의 섹션(DB2)을 통해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i2)를 버스 마스터(ECU)로 전송한다. 상기 버스 마스터(ECU)는 제1 버스 노드(BK1)와 버스 마스터(ECU) 사이의 연결 섹션의 일부에 해당하는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의 섹션(DB1)을 통해 후속하는 제1 버스 노드(BK1)로부터 제1 버스 노드 입력 전류(i1)를 수신한다. 상기 버스 마스터(ECU)는 제1 버스 노드(BK1)와 버스 마스터(ECU) 사이의 연결 섹션 일부에 해당하는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의 섹션(DB2)을 통해 후속하는 제1 버스 노드(BK1)로부터 제2 버스 노드 입력 전류(i'1)를 수신한다. 개별 버스 노드((BK1), (BK2) ...... [BKn -1])는 이러한 버스 노드가 마지막 버스 노드[BKn]가 아닐 경우, 이러한 버스 노드((BK2), (BK3) ...... [BKn -1], [BKn])와 선행하는 버스 노드((BK1), (BK3) ...... [BKn-1], [BKn -1]) 사이의 연결 섹션의 일부에 해당하는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의 섹션(DB1)을 통해 후속하는 버스 노드((BK2), (BK3) ...... [BKn -1], [BKn])로부터 제1 버스 노드 입력 전류((i2), (i3) ... i(n-1)], [in])를 수신한다. 개별 버스 노드((BK1), (BK2) ...... [BKn -1])는 이러한 버스 노드가 마지막 버스 노드[BKn]가 아닐 경우, 이러한 버스 노드((BK2), (BK3) ...... [BKn -1], [BKn])와 선행하는 버스 노드((BK1), (BK3) ...... [BKn -1], [BKn -1]) 사이의 연결 섹션의 일부에 해당하는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의 섹션을 통해 후속하는 버스 노드((BK2), (BK3) ...... [BKn-1], [BKn])로부터 제2 버스 노드 입력 전류((i2), (i3) ... [i(n-1)], [in])를 수신한다. 이러한 방법은 전술한 두 개의 싱글 와이어 버스(DBa 및 DBb)와 달리, 주소지정 전류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첫 번째로서, 최대 주소지정 전류[Iamax]가 결정된다. n 버스 노드((BK1), (BK2) ...... [BKn -1], [BKn])의 모든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가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구비할 때까지, 아직 유효하지 않은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구비한 n 버스 노드((BK1), (BK2) ...... [BKn -1], [BKn])의 모든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를 위한 초기화 시퀀스가 실행되며, 이러한 초기화 시퀀스는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 n 버스 노드((BK1), (BK2) ...... [BKn -1], [BKn])의 모든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에 전송될 버스 어드레스의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 n 버스 노드((BK1), (BK2) ...... [BKn -1], [BKn])의 모든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의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 즉 다음에서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로 표기될 그러한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의 개별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때 전술한 실행은 아래의 단계:
-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를 통해 버스 마스터(ECU)로부터 전술한 자동 주소지정 명령어를 수신하는 단계;
-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를 통해 버스 마스터(ECU)로부터 전송될 버스 어드레스를 수신하는 단계;
-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를 통해 버스 마스터(ECU)로부터 전송될 버스 어드레스를 전송하기 위해 스타트 신호를 수신 및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를 통해 타이머(timer)를 스타트시키는 단계;
-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와 선행하는 (j-1) 번째 버스 노드[BKj -1] 사이의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연결 섹션의 일부에 해당하는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의 섹션(DB1)을 통해 후속하는 버스 노드([BKj+1], [BKj+2] ... [BKn -1], [BKn])로부터 수신된 제1 버스 입력 전류[i(j+1)]를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1 버스 출력 전류[ij]의 일부로서 공급하는 단계;
-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와 선행하는 (j-1) 번째 버스 노드[BKj -1] 사이의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연결 섹션의 일부에 해당하는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의 섹션(DB2)을 통해 후속하는 버스 노드([BKj+1], [BKj + 2] ...)로부터 수신된 제2 버스 입력 전류[i'( j+1)]를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2 버스 출력 전류[i'j]의 일부로서 공급하는 단계;
-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첫 번째 값을 제1 측정 장치(R2, D2, D3)를 통해 측정하는 단계;
-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두 번째 값을 제2 측정 장치(R2', D2', D3')를 통해 측정하는 단계;
-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측정된 첫 번째 값으로부터 제어를 위한 제1 장치(F)를 통해 첫 번째 제어 신호(rwj)를 생성하는 단계;
-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측정된 두 번째 값으로부터 제어를 위한 제2 장치(F')를 통해 두 번째 제어 신호(rw'j)를 생성하는 단계;
- 제어된 제1 자동 주소지정 전원의 제1 주소지정 전류가 제1 버스 출력 전류(ij)에 해당하는 그러한 제어된 제1 자동 주소지정 전원(Iqj)을 수단으로 하는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를 통해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를 생성된 첫 번째 제어 신호(rwj)에 따라 정해진 제1 전체 전류 값[Iref]으로 조정하는 단계, 이때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어된 제1 자동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1 주소지정 전류는 첫 번째 시간 상수[τ1]로 증가되며,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어된 제1 자동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1 주소지정 전류는 두 번째 시간 상수[τ2]로 감소 되고, 이때 두 번째 시간 상수[τ2]는 첫 번째 시간 상수[τ1] 보다 작으며;
- 제어된 제2 자동 주소지정 전원의 제2 주소지정 전류가 제2 버스 출력 전류(i'j)에 해당하는 그러한 제어된 제2 자동 주소지정 전원(Iq'j)을 수단으로 하는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를 통해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를 생성된 두 번째 제어 신호(rw'j)에 따라 정해진 제2 전체 전류 값[I'ref]으로 제어하는 단계, 이때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어된 제2 자동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2 주소지정 전류는 세 번째 시간 상수[τ3]로 증가 되며,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어된 제2 자동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2 주소지정 전류는 네 번째 시간 상수[τ4]로 감소 되고, 이때 네 번째 시간 상수[τ4]는 세 번째 시간 상수[τ3]보다 작으며;
-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첫 번째 제어 신호(rwj)의 첫 번째 제어 값[rj]을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첫 번째 임계값[SWj]과 비교하는 단계;
-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두 번째 제어 신호(rw'j)의 두 번째 제어 값[r'j]을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두 번째 임계값[SW'j]과 비교하는 단계;
-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1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어를 타이머 스타트 이후 첫 번째 시점(t1)으로 동결(freeze)하는 단계;
-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2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어를 타이머 스타트 이후 두 번째 시점(t2)으로 동결하는 단계;
- 타이머가 스타트하고 나서 최소 시간이 경과 하고, 첫 번째 제어 값[rj]을 첫 번째 임계값[SWj]과 비교할 경우,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1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1 주소지정 전류가 수치에 적합하게 전류 임계값을 초과 및/또는 두 번째 제어 값[r'j]을 두 번째 임계값[SW'j]과 비교할 경우,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2 주소지정 전원(Iq'j)의 두 번째 주소지정 전류가 수치에 적합하게 전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을 버스 마스터(ECU)로부터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로서 전송된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채택하는 단계 및 자동 주소지정 능력 없는 버스 노드로서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를 첫 번째 시점(t1)과 두 번째 시점(t2) 이후, 세 번째 시점(t3)에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로서 전송될 버스 노드 어드레스로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로 인해 이러한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는 다음 통지가 있을 때까지 아래의 초기화 시퀀스에 참여하지 않고,
- 버스 마스터(ECU)를 통해 어드레스의 성공적인 전송 테스트;
- 경우에 따라, 전송된 마지막 버스 노드 어드레스의 유효성을 삭제함으로써,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가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 없는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와 같은 상태가 되며;
- 모든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가 유효한 버스 노드를 획득했는지 테스트;
- 모든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가 유효한 버스 노드를 획득하지 못했을 경우, 또 다른 초기화 시퀀스를 실행하는 그러한 초기화 시퀀스에 관여하지 않는다.
이러한 기본적인 방법은 전송된 버스 노드 어드레스 채택 이후 또는 채택과 동시에 추가 단계로 보완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개별 버스 노드(BKj)의 유효하지 않은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주소지정 상태를 개별 버스 노드(BKj)의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주소지정 상태로 변경 또는 정상 상태로 변경할 때, 제1 버스-션트-연결 스위치(S4)를 통한 제1 버스-션트-저항(R2)의 연결 및/또는 제2 버스-션트-연결 스위치(S4')를 통해 제2 버스-션트-저항(R2')의 연결을 포함한다. 이러한 과정은 작동시(어드레스 전송 이후의 정상 상태) 버스 저항이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자동 주소지정 작동(주소지정 상태)으로 전환될 경우, 버스-션트-저항(R2, R2')의 연결은 다시 취소된다. 상기 방법은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버스 노드 어드레스가 유효하지 않을 경우, 제1 버스-션트-연결 스위치(S4)의 개방 및/또는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2 버스 노드 어드레스가 유효하지 않을 경우, 제2 버스-션트-연결 스위치(S4')의 개방을 포함한다.
그 밖에, 세 번째 시간 상수[τ3]는 바람직하게는 첫 번째 시간 상수[τ1] 및 두 번째 시간 상수[τ2]보다 작은 10 초과의 계수만큼 선택된다. 세 번째 시간 상수(τ3)는 바람직하게는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 내에서 방법의 변형된 형태에 따라, 제1 측정 장치(R2, D2, D3)에 의해 측정된 첫 번째 값, 즉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그러한 첫 번째 값 및/또는 제2 측정 장치(R2', D2', D3')에 의해 측정된 두 번째 값, 즉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그러한 두 번째 값의 영향을 받는다.
바람직하게는,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 내에서 첫 번째 시간 상수[τ1]는 제1 측정 장치(R2, D1, D3)에 의해 측정된 첫 번째 값, 즉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그러한 첫 번째 값 및/또는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 내에서 두 번째 시간 상수[τ2]는 제2 측정 장치(R2', D1', D3')에 의해 측정된 두 번째 값, 즉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그러한 두 번째 값의 영향을 받는다.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 내에서 첫 번째 시간 상수[τ1]는 이러한 첫 번째 시간 상수[τ1]가 임계값 미만에서 첫 번째 값 및 이러한 임계값 초과에서 두 번째 값을 갖도록 제1 측정 장치(R2, D2, D3)에 의해 측정된 값, 즉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그러한 값 및/또는 두 번째 시간 상수[τ2]가 임계값 미만에서 세 번째 값 및 이러한 임계값 초과에서 네 번째 값을 갖도록 제2 측정 장치(R2', D2', D3')에 의해 측정된 값, 즉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그러한 값의 영향을 받는다.
중요한 것은 여기서 공지된 기술로 인해 자체 테스트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측정된 첫 번째 값 및/또는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측정된 두 번째 값의 타당성을 테스트하는 것이며, 경우에 따라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측정된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첫 번째 값 및/또는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측정된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두 번째 값 또는 전술한 것의 결합이 타당하지 않을 경우, 조치를 취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측정된 제1 버스 노드의 출력 전류(ij)의 첫 번째 값이 타당하지 않을 경우, 제1 주소지정 전류(ij)의 공급 지점을 새롭게 결정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것과 유사하게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측정된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첫 번째 값 및/또는 측정된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두 번째 값 및/또는 전술한 것의 결합이 타당하지 않을 경우에도 제1 주소지정 전류(ij)의 공급 지점과 제2 주소지정 전류(i'j)의 공급 지점을 새롭게 결정하는 것이다.
변형된 실시 형태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측정된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첫 번째 값 및/또는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측정된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두 번째 값 또는 전술한 것의 결합이 타당하지 않을 경우, 이것은 요청에 따라, 직렬 양 방향 차동 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오류가 버스 마스터(ECU)를 통해 신호 송신된다.
상기 방법의 변형된 실시 형태에 따라,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첫 번째 값을 제1 측정 장치(R2, D1, D3)를 통해 측정하기 위한 단계의 실행은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측정된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첫 번째 값이 타당할 경우,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첫 번째 값을 제1 측정 장치(R2, D1, D3)를 통해 측정 및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측정된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첫 번째 값이 타당하지 않을 경우,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첫 번째 값을 제1 부호로 전환된 제2 부호를 갖는 제1 측정 장치(R2, D1, D3)를 통해 측정하는 것이다.
또 다른 싱글 와이어 버스와 관련된 방법의 변형된 실시 형태에 따라,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두 번째 값을 제2 측정 장치(R2', D1', D3')를 통해 측정하기 위한 단계의 실행은 다음과 같이 실시된다: 상기 단계는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측정된 두 번째 값이 타당할 경우,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두 번째 값을 제1 부호를 갖는 제2 측정 장치(R2', D1', D3')를 통해 측정 및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측정된 두 번째 값이 타당하지 않을 경우,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두 번째 값을 제1 부호로 전환된 제2 부호를 갖는 제2 측정 장치(R1', D1', D3')를 통해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의 또 다른 변형된 실시 형태에 따라,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두 번째 값을 제2 측정 장치(R2', D1', D3')를 통해 추가로 측정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된다: 이러한 단계는 첫 번째 단계로서,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사전에 측정된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첫 번째 전류가 타당하고,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사전에 측정된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두 번째 전류가 타당할 경우,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두 번째 값을 제2 측정 장치(R2', D1', D3')를 통해 측정하는 단계 및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사전에 측정된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첫 번째 전류가 타당하지 않고,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사전에 측정된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두 번째 전류가 타당하지 않을 경우,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두 번째 값을 제1 부호로 전환된 제2 부호를 갖는 제2 측정 장치(R2', D1', D3')를 통해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공보의 의미에서 타당하다는 것은 두 개의 값이 구조상의 이유로 반드시 동일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유사한 결과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한 서로 다른 두 가지 테스트의 결과일 경우, 이러한 두 개의 값이 서로 유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유사성은 결과의 표준 수치 편차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적을 경우를 의미한다. 본 공보의 의미에서 타당하지 않다는 것은 두 개의 값이 구조상의 이유로 반드시 동일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유사한 결과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한 서로 다른 두 가지 테스트의 결과일 경우, 이러한 두 개의 값이 서로 유사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러한 변형된 형태는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첫 번째 값을 제1 측정 장치(R2, D1, D3)를 통해 측정하기 위한 단계의 실행을 포함하며, 이러한 단계는 다음과 같이 실시된다: 상기 단계는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사전에 측정된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첫 번째 값이 타당하고,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사전에 측정된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두 번째 값이 타당할 경우,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첫 번째 값을 제1 부호를 갖는 제1 측정 장치(R2, D1, D3)를 통해 측정하는 단계 및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사전에 측정된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첫 번째 값이 타당하지 않을 경우, 또는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사전에 측정된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두 번째 값이 타당하지 않을 경우,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첫 번째 값을 제1 부호로 전환된 제2 부호를 갖는 제1 측정 장치(R2, D1, D3)를 통해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타당성을 포함하는 상기 방법의 변형된 실시 형태는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측정된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첫 번째 값이 타당하지 않을 경우, 또는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측정된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두 번째 값이 타당하지 않을 경우,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로서 오류 어드레스의 사용을 포함한다.
차단-라인을 통한 자동 주소지정 방법
어드레스를 전송하기 위해 전술한 버스-션트-저항(R2, R2')을 통해 지원되는 방법과 함께 자동 주소지정 방법은 차단-라인을 통해 다음과 같이 실시된다:
이때,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포함하는 데이터 버스 시스템의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논리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에서 데이터 버스 시스템은 어드레스 입력부(Adri0)와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양의 정수에 해당하는 n을 포함하는)를 구비한다. 개별 n 버스 노드((BK2) 내지 [BKn])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데이터 라인 섹션(DB1 내지 DBn) 또는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통해 상기 버스 마스터(ECU)와 연결된다. 여기서 자동 주소지정 정보를 신호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차단-라인에 해당하는 라인은 상기 버스 마스터(ECU)의 어드레스 입력부(Adri0)를 기점으로 하여 상기 라인이 개별 버스 노드((BK1) 내지 [BKn])를 지나 n 라인 섹션[L1 내지 Ln]으로 분할되도록 모든 버스 노드((BK1) 내지 [BKn])를 지나 제공된다. 개별 버스 노드, 즉 더 나은 개관을 위해 다음에서 1≤j≤n을 포함하는 j 번째 버스 노드(BKj)로 표기되는 그러한 개별 버스 노드는 이러한 j 번째 버스 노드(BKj)에 속하는 어드레스 입력부[Adrij] 및 이러한 j 번째 버스 노드(BKj)에 속하는 어드레스 출력부[Adroj]를 구비한다. 전술한 어드레스 입력부와 출력부는 자동 주소지정 정보를 자극하고, 이러한 자동 주소지정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입력부 및 출력부로서 사용된다. 상기 버스 노드가 n 번째 버스 노드[BKn]가 아닐 경우, 개별 버스 노드(BKj)의 어드레스 입력부[Adrij](1≤j≤n-1을 포함하는)는 후속하는 버스 노드[BKj + 1]에 속하는 (j+1) 번째 라인 섹션[Lj + 1]을 통해 1≤j≤n-1을 갖는 후속하는 버스 노드[BKj + 1]의 어드레스 출력부[Adro (j+1)]와 연결된다. 2≤j≤n을 포함하는 개별 버스 노드(BKj)의 어드레스 출력부[Adroj]는 버스 노드(BKj)에 속하는 j 번째 라인 섹션[Lj]을 통해 2≤j≤n을 포함하는 선행한 버스 노드[BKj - 1]의 어드레스 입력부(Adri (j-1))와 연결된다. 제1 버스 노드(BK1)의 어드레스 출력부(Adro1)는 제1 버스 노드(BK1)에 속하는 라인 섹션(L1)을 통해 버스 마스터(ECU)의 어드레스 입력부(Adri0)와 연결된다. 개별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개별 버스 노드 어드레스는 유효하거나, 또는 유효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의 첫 번째 단계로서,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모든 버스 노드 어드레스 또는 개별 버스 노드 어드레스의 적어도 일부를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만들고, 버스 노드((BK1) 내지 [BlKn])의 적어도 이러한 일부를 예를 들어, 정상 상태로부터 주소지정 상태로 전환하는 것이다. 전술한 것의 첫 번째 목적은 정해진 시작 상태를 형성하는 것이다. 전술한 것의 두 번째 목적은 모든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서 어드레스 전송을 시작하기 위한 것이다. 버스 노드가 주소지정 상태에 존재하는 한, 전술한 라인은 정상 기능을 위해, 예를 들어, 차단-요구-라인(interrupt request line)으로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자동 주소지정 기능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다.
주소지정 상태가 존속하는 동안, 첫 번째 단계로서 이러한 버스 마스터(ECU)의 이러한 어드레스 입력부(Adri0)의 레벨이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제1 버스 노드(BK1)의 어드레스 출력부(Adro1)를 통해 오버 라이팅 되지 않을 경우, 버스 마스터(ECU)의 어드레스 입력부(Adri0)의 레벨이 두 번째 논리값으로 설정된다. 특징적인 것은 어드레스 입력부(Adri0)를 포함하는 버스 마스터(ECU)뿐만 아니라, 어드레스 입력부((Adri1) 내지 [Adrin])를 포함하는 버스 노드((BK1) 내지 [BKn -1])도 후속하는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어드레스 출력부((Adro1) 내지 [Adron])를 통해 오버 라이팅 될 수 있다는 것이며, 그 이유는 전술한 것이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어드레스 입력부((Adri1) 내지 [Adrin])에서 대응하는 작동 단계(driving stage)보다 낮은 임피던스(low impedance)가 제공되기 때문이다. 단지 마지막 버스 노드[BKn]의 어드레스 입력부[Adrin]만 후속하는 또 다른 버스 노드와 연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마지막 버스 노드[BKn]에서 마지막 버스 노드[BKn]의 어드레스 입력부[Adrin] 내의 작동 단계가 어드레스 입력부[Adrin]의 논리 상태를 결정한다. 이로 인해, 마지막 버스 노드는 아직 유효하지 않은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구비하지 않은 버스 노드가 버스 노드 열에서 마지막 버스 노드라는 사실을 감지할 수 있고, 따라서 버스 노드가 어떤 방식으로든 항상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구비하지 않을 경우, 마지막 버스 노드는 상기 버스 마스터로부터 제공된 어드레스를 유효한 새로운 버스 노드 어드레스로서 채택할 수 있다. 상기 버스 노드가 이러한 방식으로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획득하고, 이러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구비하기 때문에, 이러한 버스 노드(BKj)는 이러한 버스 노드의 어드레스 출력부[Adroj]를 차단하며, 이로 인해 선행한 버스 노드[BKj - 1]의 선행한 어드레스 입력부[Adri (j-1)]의 작동 단계가 더는 버스 노드(BKj)의 어드레스 출력부[Adroj]를 통해 오버 라이팅 되지 않으며, 이어서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버스 노드의 열에서 선행한 버스 노드[BKj - 1]가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 없는 마지막 버스 노드로서 감지될 수 있고, 선행한 버스 노드[BKj - 1]의 다음 초기화 시퀀스에서 버스 마스터(ECU)로부터 제공된 새로 전송될 새로운 버스 노드 어드레스가 동일한 방식으로 이러한 버스 노드의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로서 채택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선행하는 버스 노드[BKj - 1]가 후속하는 초기화 과정에서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획득하고, 이어서 이러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구비하기 때문에, 선행하는 이러한 버스 노드[BKj - 1]는 이러한 버스 노드의 어드레스 출력부[Adro(j-1)]를 차단하며, 이로 인해 다음다음으로 선행하는 버스 노드[BKj - 1]의 다 다음다음으로 선행하는 어드레스 입력부[Adri (j-2)]의 작동 단계가 선행하는 버스 노드[BKj-1]의 어드레스 출력부[Adro (j-1)]를 통해 더는 오버 라이팅 되지 않으며, 이어서 다음다음으로 선행하는 버스 노드[BKj - 2]가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버스 노드의 열에서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 없는 마지막 버스 노드로서 감지될 수 있고, 다음다음으로 선행하는 초기화 과정에서 다음다음으로 선행하는 버스 노드[BKj - 2]는 버스 마스터(ECU)로부터 제공된 새로 전송될 새로운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동일한 방식으로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로서 채택할 수 있다.
전술한 것은 버스 노드마다 계속해서 실시된다. 따라서, 주소지정 상태가 존속하는 동안, 이러한 각각의 버스 노드(BKj)의 버스 노드 어드레스가 유효하지 않고, 이러한 각각의 버스 노드(BKj)의 어드레스 입력부[Adrij]의 레벨이 첫 번째 논리 값을 구비할 경우, 제1 버스 노드(BK1)가 제외된 상태에서 버스 노드((BK2) 내지 [BKn]) 가운데 개별 버스 노드(BKj)에서 개별 버스 노드(BKj)에 선행하는 버스 노드[BKj-1]의 어드레스 입력부[Adri (j-1)]의 레벨이 첫 번째 논리 레벨을 포함하는 이러한 개별 버스 노드(BKj)를 통해 오버 라이팅 되고,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이러한 어드레스 입력부[Adrij]의 레벨이 경우에 따라, 개별 버스 노드(BKj)에 후속하는 버스 노드((BK3) 내지 [BKn]) 가운데 버스 노드[BKj + 1]의 어드레스 출력부[Adro (j+1)]를 통해 오버 라이팅 되지 않을 경우,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어드레스 입력부[Adrij]의 레벨이 두 번째 논리값으로 설정된다. 마찬가지로, 제1 버스 노드(BK1)에서 주소지정 상태가 존속하는 동안, 제1 버스 노드(BK1)의 버스 노드 어드레스가 유효하지 않고, 이러한 제1 버스 노드(BK1)의 어드레스 입력부(Adro1)의 레벨이 첫 번째 논리값을 구비할 경우, 버스 마스터(ECU)의 어드레스 입력부(Adri0)의 레벨이 첫 번째 논리 레벨을 포함하는 제1 버스 노드(BK1)를 통해 오버 라이팅 되며, 이러한 제1 버스 노드(BK1)의 이러한 어드레스 입력부(Adri1)의 레벨이 버스 노드((BK2) 내지 [BKn]) 가운데 제1 버스 노드(BK1)에 후속하는 버스 노드(BK2)의 출력부(Adro2)를 통해 오버 라이팅 되지 않을 경우, 이러한 제1 버스 노드(BK1)의 어드레스 입력부(Adri1)의 레벨이 두 번째 논리값으로 설정된다. 또한, 주소지정 상태가 존속하는 동안, 버스 마스터(ECU)를 통해 버스 노드 어드레스가 모든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신호 송신되고, 버스 노드((BK1) 내지 [BKn]) 가운데 버스 노드 어드레스가 유효하지 않고, 어드레스 입력부[Adrij]가 두 번째 논리값을 구비하는 버스 노드(BKj)를 통해 신호 송신된 버스 노드 어드레스가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로서 채택되며, 상기 버스 마스터(ECU)의 어드레스 입력부(Adri0)가 두 번째 논리값을 구비할 때까지, 즉 오버 라이팅 되지 않을 때까지 버스 마스터(ECU)를 통한 신호 송신이 반복된다. 이로써, 이러한 주소지정은 상기 버스 마스터(ECU)가 주소지정 되지 않은 버스 노드의 체인에서 마지막이 될 때까지 반복된다. 따라서, 버스 마스터(ECU)의 어드레스 입력부(Adri0)가 두 번째 논리값을 구비할 경우, 상기 버스 노드((BK1) 내지 [BKn])는 주소지정 상태와 다른 두 번째 작동 상태 - 일반적으로 정상 상태로 전환된다.
전술한 것처럼, 두 번째 작동 상태에서 라인[L1 내지 Ln]이 차단-라인으로서 사용될 경우 이것은 몇 가지 경우에서 유용할 수 있다.
전원 공급 케이블에서 버스-션트-저항을 통한 자동 주소지정 방법
도 15
마지막 단계로서, 커뮤니케이션 버스, 특히 0보다 큰 양의 정수 n을 갖는 n 버스 노드((BK1), (BK2), (BK3), ...... [BKn -1], [BKn])를 포함하는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 및 버스 마스터(ECU)를 포함하는 데이터 버스 시스템 내에서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전송하기 위한 자동 주소지정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에서 전원 공급 케이블(Vbat)을 통해 전기 에너지가 버스 노드에 공급되며, 커뮤니케이션 버스(DB)는 버스 마스터(ECU)와 연결되어 있으며, 개별 버스 노드((BK1), (BK2), ...... [BKn -1], [BKn])는 커뮤니케이션 버스(DB)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방법에서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개별 버스 노드(BKj)에 지정된 측정 저항[Rmj]은 버스 노드((BK1) 내지 [BKn]) 내에서 전원 공급 케이블(Vbat)에 삽입된다. 이러한 경우가 도 15에 대응한다. 이로써, 여기서 제안된 데이터 버스 시스템은 n 측정 저항((Rm1) 내지 [Rmn])을 구비한다. 버스 노드((BK1) 내지 [BlKn])의 측정 저항((Rm1) 내지 [Rmn])은 전원 공급 케이블(Vbat)을 n 전원 공급 라인 섹션으로 분할한다.
도 16
특히, 복수의 발광체 그룹((LED1) 내지 [LEDn])(도 16 참조)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버스 시스템의 경우, 전원 공급 케이블(Vbat)을 통해 많은 양의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전류 손실을 억제하기 위해 측정 저항((Rm1) 내지 [Rmn])은 바람직하게는 낮은 임피던스로 선택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해진 측정 저항((Rm1) 내지 [Rmn]) 대신, 단지 도체 트랙 협착부 또는 미리 정해진, 그리고 동일한 재료와 측정 저항((Rm1) 내지 [Rmn])으로서 0°Ω/m 편차의 비-트택 저항(specific track resistance)을 갖는 동일한 길이, 너비 및 두께의 모든 버스 노드를 위한 케이블 피스(cable piece)만 사용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것은 측정 저항((Rm1) 내지 [Rmn])을 구현하기 위한 실시 예일 뿐이다. 또 다른 구현, 예컨대 후막 기술(thick film technology)과 같은 것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상기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개별 버스 노드(BKj)는 주소지정 전원(Iqj)을 구비한다. 그러한 주소지정 전원(Iqj)으로서 버스 노드의 정상 상태에서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 또는 또 다른 발광체[LEDj]를 위한 전원으로서 사용되는 전원도 사용될 수 있다.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개별 버스 노드(BKj)는 바람직하게는 버스 노드((BK1) 내지 [BKn]) 가운데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측정 저항[Rmj]을 통해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D2), (D3), [Rmj])를 구비할 수 있다. 버스 노드(BKj)의 제2 차동 증폭기(2)는 해당 버스 노드(BKj)의 개별 측정 저항[Rmj]의 전압감소를 측정한다. 제3 차동 증폭기(D3)는 제2 차동 증폭기(D2)의 출력 신호 값을 감산을 통해 제1 기준 값(Ref)과 비교한다. 상기 버스 노드(BKj)의 제3 차동 증폭기(D3)는 이러한 비교의 결과에 따라, 버스 노드(BKj)의 제어기 또는 필터(F)와 함께 특별히 이러한 버스 노드(BKj)를 위한 제어 신호(rwj)를 생성한다. 버스 노드(BKj)가 버스 마스터(ECU)를 통해 사전에 정상 상태로부터 주소지정 상태로 전환되었을 경우, 해당 버스 노드(BKj)의 주소지정 전원(Iqj)의 주소지정 전류가 어떤 값을 갖는지는 이러한 제어 신호(rwj)의 값에 따라 좌우된다. 버스 노드가 정상 상태에 있을 경우, 일반적으로 주소지정 전원(Iqj)이 차단되며, 이것은 주소지정 전원이 이러한 정상 상태에서 다른 목적을 위해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정상 상태에서 소비자, 예컨대 발광체 및/또는 LED[LEDj]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원을 버스 노드(BKj)의 주소지정 상태에서 버스 노드(BKj)의 주소지정 전원(Iqj)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것은 도 16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16은 발광체((LED1) 내지 [LEDn])를 제외하고, 도 15와 차이가 없다. 상기 버스 마스터(ECU)의 명령어로 인해, 해당 버스 노드(BKj)가 주소지정 상태로 전환되며, 이로 인해, 버스 노드의 주소지정 전원(Iqj)이 접속 된다. 상기 버스 노드의 주소지정 전원(Iqj)의 이러한 접속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드 노드가 일반적으로 버스 노드 어드레스 레지스터[BKADR]에 저장된 유효하지 않은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구비하고, 대응하는 깃발로 "유효한" 또는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표시될 경우에만 비로소 상기 버스 노드(BKj)를 통해 실시된다. 이러한 깃발은 일반적으로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버스 노드의 버스 노드 어드레스가 유효하지 않을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스 노드(BKj)는 이러한 자동 주소지정 시퀀스가 상기 버스 마스터(ECU)에 의해 시작될 경우, 자동 주소지정 시퀀스에 참여한다. 이것은 또 다른 자동 주소지정 방법에도 적용된다. 이 경우,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개별 버스 노드(BKj)의 주소지정 전원(Iqj)은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측정 저항[Rmj] 연결부 쪽의 전원 공급 케이블(Vbat)의 전원 공급장치(SUP) 방향으로 주소지정 전류를 공급하며, 이때 상기 버스 노드는 전원 공급 케이블(Vbat)을 따라 전원 공급장치(SUP)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다. 전원 공급장치(SUP)로부터 약간 떨어져 있는 버스 노드((BK1) 내지 [BKj-1])는 개별 측정 저항(Rm1 내지 Rmj - 1)의 추가 전압감소를 이러한 버스 노드의 개별 측정 장치((Rm1) 내지 [Rmj -1], (D2), (D3))를 통해 측정하고, 이러한 버스 노드의 주소지정 전원((Iq1) 내지 [Iqj -1])을 하향 조정하거나, 또는 방법 실행에 따라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이러한 주소지정 상태에서 상기 주소지정 전원을 차단한다. 이러한 셧-다운(shutdown)은 예를 들어 개별 버스 노드(BKj)의 개별 제어 신호(rwj)의 임계값 비교를 통해 감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버스 노드가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 없는 버스 노드 열에서 마지막 버스 노드가 아니거나, 또는 이러한 버스 노드가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 없는 버스 노드 열에서 마지막 버스 노드라는 것을 상기 버스 노드(BKj)가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버스 노드는 상기 버스 마스터로부터 제공된 전송될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이러한 버스 노드의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로서 채택한다. 이로 인해, 이러한 버스 노드 - j 번째 버스 노드(BKj) 점유하에 - 가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구비하고, 주소지정 방법이 진행되는 동안 이러한 버스 노드의 주소지정 전원(Iqj)을 차단한다. 일반적으로, 본 공개 공보에서 주소지정 방법은 항상 버스 마스터(ECU)의 명령어를 통해 종료되며, 이때 이러한 명령어는 바람직하게는 모든 버스 노드((BK1) 내지 [BKn])가 일반적으로 주소지정 상태를 종료시키고, 예를 들어 정상 상태가 되도록 유발시키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전원 공급 케이블(Vbat)을 따라 전압감소를 통해 주소지정 하기 위해 제공된 방법은 아래의 구체적인 단계, 즉:
- 다음에서 송전선-주소지정 상태로 표현되는 주소지정 상태를 모든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신호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로 인해 이러한 버스 노드가 전원 공급 케이블(Vbat)을 통해 자동 주소지정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주소지정 상태를 점유하고;
- 경우에 따라, 버스 노드의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만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버스 노드 또는 버스 노드의 일부, 바람직하게는 모든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 n 버스 노드((BK1), (BK2) ...... [BKn -1], [BKn])의 모든 버스 노드가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구비할 때까지, 아직 유효하지 않은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구비하는 n 버스 노드((BK1), (BK2), ...... [BKn -1], [BKn])의 개별 버스 노드(BKj)를 위한 초기화 시퀀스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초기화 시퀀스는 아래의 단계, 즉:
- 전송될 버스 어드레스를 n 버스 노드((BK1), (BK2) ...... [BKn -1], [BKn])의 모든 버스 노드에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일반적으로, 주소지정 상태를 점유하거나, 또는 경우에 따라 유지하기 위해, 버스 마스터(ECU)의 명령어가 버스 노드에 이러한 신호가 송신됨);
- 다음에서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구비하지 않은 해당 버스 노드(BKj)로 표현되는 n 버스 노드((BK1), (BK2) ...... [BKn -1], [BKn]) 가운데 버스 노드의 개별 버스 노드(BKj)를 위해 아래의 단계를 동시에 실행하며, 이때 이러한 단계의 실행은 다음과 같다:
- 해당 버스 노드(BKj)를 통해 버스 마스터(ECU)로부터 전술한 자동 주소지정 명령어를 수신하는 단계;
- 해당 버스 노드(BKj)를 통해 버스 마스터(ECU)로부터 전송될 버스 어드레스를 수신하는 단계;
- 해당 버스 노드(BKj)를 통해 버스 마스터(ECU)로부터 전송될 버스 어드레스를 전송하기 위해 스타트 신호를 수신 및 해당 버스 노드(BKj)를 통해 t0=Os인 스타트 시점을 위해 타이머를 스타트시키는 단계;
- 해당 버스 노드(BKj)의 측정 저항(Rmj)에 대한 전압감소를 기본 전압 값[Vm0]으로서 측정 장치([Rmj], (D2), (D3))를 통해 측정하는 단계;
- 이때, 스타트 시점[t0] 이후 네 번째 시점[t4]을 위해: 해당 버스 노드(BKj)의 주소지정 전원(Iqj)의 접속 및 해당 버스 노드(BKj)의 측정 저항[Rmj]의 전압감소를 측정 장치((D2), (D3), [Rmj]) 및/또는 버스 노드(BKj)의 제어 장치(F)를 통해 생성된 제어 신호(rwj) 사용에 의한 측정 저항[Rmj]의 전압감소에 따라, 주소지정 전원(Iqj)을 통해 전체 목표 전압 값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때 전체 목표 전압 값은 이전에 측정된 기본 전압 값[Vm0]을 더한 목표 전압 값에 대응하며, 해당 버스 노드(BKj)의 자동 주소지정 전원(Iqj)의 주소지정 전류는 첫 번째 시간 상수[τ1]를 통해 증가하고, 해당 버스 노드(BKj)의 자동 주소지정 전원(Iqj)의 자동 주소지정 전원은 두 번째 시간 상수[τ2]를 통해 감소하며(여기서 두 번째 시간 상수[τ2]와 비교시 첫 번째 시간 상수[τ1]에 대한 수치상 비율에 대해 설명되지 않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 스타트 시점[t0] 및 네 번째 시점[t4] 이후 다섯 번째 시점[t5]을 위해: 제어 신호(rwj) 또는 이러한 제어 신호로부터 파생된 신호 값 측정 및 이러한 값을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 이러한 값의 수치가 임계값 이상으로 제공되고, 버스 노드를 통해 늦어도 주소지정 상태 종료 시 주소지정 전원(Iqj)이 차단될 경우, 버스 노드(BKj)의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로서 전송될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버스 노드(BKj)에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전송하고 난 후, 상기 버스 마스터(ECU)를 통해 성공적인 어드레스 전송을 테스트하는 것이다. 이러한 테스트에서 오류가 발생할 경우, 예를 들어 복수의 버스 노드가 버스 노드 충돌을 알릴 경우, 전송된 마지막 버스 노드 어드레스의 유효성을 삭제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로 인해 해당 버스 노드(BKj)가 다시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 없는 버스 노드(BKj)와 같은 상태가 된다.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획득해야 하는 모든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모든 버스 노드 어드레스가 전송되고 난 후,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획득해야 하는 모든 버스 노드((BK1) 내지 [BKn])가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획득했는지 테스트 될 수 있다. 모든 버스 노드가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획득했다면, 모든 버스 노드가 주소지정 상태를 종료해야 하고, 또 다른 상태, 바람직하게는 정상 상태를 점유해야 하는 것을 상기 버스 마스터(ECU)가 바람직하게는 모든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신호 송신한다. 정상 상태에서 상기 버스 노드((BK1) 내지 [BlKn])는 이러한 버스 노드의 주소지정 전원((Iq1) 내지 [Iqn])을 차단하거나, 또는 상기 버스 노드는 이러한 작동 상태, 즉 정상 상태에서 이러한 주소지정 전원((Iq1) 내지 [Iqn])을 위해 기능 하도록 제공된다.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획득해야 하는 모든 버스 노드((BK1) 내지 [BKn])가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획득했다면, 또 다른 초기화 시퀀스를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본적으로, 두 번째 시간 상수[τ2]가 10보다 큰 계수만큼 첫 번째 시간 상수[τ1]보다 작을 경우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 내에서 첫 번째 시간 상수[τ1]가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측정 저항[Rmj]에 대한 전압감소 값, 즉 측정 장치([Rmj], (D2), (D3))에 의해 측정된 그러한 값의 영향 및/또는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 내에서 두 번째 시간 상수[τ2]가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측정 저항[Rmj]에 대한 전압감소 값, 즉 측정 장치([Rmj], (D2), (D3))에 의해 측정된 그러한 값의 영향을 받는 것이다. 전술한 것은 해당 버스 노드(BKj)의 측정 저항[Rmj]에 대한 전압감소의 신속한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도 17
도 17에서 해당 버스 노드(BKj)의 제2 주소지정 전원(Iq'j)은 전원 공급 케이블(Vbat)로 자동 주소지정 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제2 측정 장치(D2', D3')가 추가로 제1 측정 장치((Rm1) 내지 [Rmn], (D2), (D3))를 위해서도 사용된다. 이러한 중복된 구성은 테스트 목적 및 감시 목적을 위해 이용될 수 있으며, 그 이유는 두 개의 분기(branch)를 위해 제공된 개별 자동 주소지정 진행 과정이 동일한 결과를 도출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을 경우, 바람직하게는 제공된 버스 노드 어드레스가 채택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특별히 예약 및 미리 정해진 오류 어드레스가 채택된다. 상기 버스 마스터(ECU)가 이러한 버스 마스터의 데이터 버스 프로토콜을 통해 이러한 오류 어드레스에 반응할 경우, 오류가 발생한 버스 노드가 버스 마스터(ECU)에 응답하며, 버스 노드에서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는 응답하지 않는다. 테스트는 예를 들어, 버스 노드(BKj)의 첫 번째 제어 신호(rwj)의 값과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두 번째 제어 신호(rw'j)의 값 사이의 편차가 형성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이러한 편차의 수치가 미리 정해진 한계 값을 초과할 경우, 회로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회로는 정확하게 기능 하지 않는다. 버스 마스터(ECU)로부터 제공된 전송될 버스 노드 어드레스가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로서 채택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전술한 것이 식별 및 사용될 수 있다. 그 대신, 미리 정해진 오류 어드레스가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로서 채택되며, 버스 마스터(ECU)를 통한 이러한 어드레스의 반응이 버스 마스터를 통해 테스트 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자동 주소지정 방법의 동시 사용
도 18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자동 주소지정 방법을 서로 다른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그 이유는 개별 방법이 중복된 구성을 통해 올바른 식별을 성공적으로 입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두 가지 자동 주소지정 방법 이상을 사용할 때, 오류-작동-특성(fail-operational-characteristic)이 달성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자동 주소지정은 성공적으로 실시될 수 있지만, 신호 송신될 수 있는 오류가 감지된다. 이것은 안전한 사용하는 것과 관련하여 잠재적으로 특히 중요하다. 도 18은 그러한 장치를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장치는 복수의 자동 주소지정 방법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며, 이와 함께 높은 안전성을 보장한다. 도 18은 도 17, 도 13, 도 6 및 도 5의 결합 된 형태이다.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서 개별 버스 노드(BKj)의 제1 멀티플렉서(X1)와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제2 멀티플렉서(X2)가 사용되며, 이것은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제2 차동 증폭기(R2)의 입력부를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제1 버스-션트-저항(R2) 또는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측정 저항[Rmj]에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서 개별 버스 노드(BKj)의 또 다른 제1 멀티플렉서(X1')와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또 다른 제2 멀티플렉서(X2')가 사용되며, 이것은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또 다른 제2 차동 증폭기(R2')의 입력부를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제2 버스-션트-저항(R2') 또는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측정 저항[Rmj]에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것에 대응하여,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제1 주소지정 전원(Iqj)은 접지(GND)와 연결되든지, 또는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제3 디-멀티플렉서(X3)를 통해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와 연결된다. 이때,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제3 디-멀티플렉서(X3)는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제1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1 주소지정 전류가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제1 버스-션트-저항(R2)의 앞쪽 또는 뒤쪽으로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 공급되는지 확인한다. 전술한 것과 유사하게,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제2 주소지정 전원(Iq'j)은 접지(GND)에 연결되든지, 또는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또 다른 제3 멀티플렉서(X3')를 통해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에 연결된다. 이때,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또 다른 제3 멀티플렉서(X3')도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제2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2 주소지정 전류가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제2 버스-션트-저항(R2') 앞쪽 또는 뒤쪽으로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에 공급되는지 확인한다.
낮은 임피던스 정상 작동
도 19
중요한 것은 상기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주소지정 상태에서만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와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에 있는 버스-션트-저항(R2, R2')이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중요한 것은 모든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서 바람직하게는 개별 버스 노드(BKj)에 있는 제1 연결 스위치(S4)를 통해 제1 버스-션트-저항(R2)이 단락(short-circuit)되고, 이러한 버스 노드(BKj)에 있는 제2 연결 스위치(S4')를 통해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제2 버스-션트-저항(R2')이 단락되도록, 주소지정 상태가 종료되는 것이다. 이것은 도 19에 도시되어 있다.
당연히, 이러한 과정은 버스 노드(BKj)의 측정 저항[Rmj]을 위해 고려해 볼 수도 있다. 대응하는 스위치는 일반적으로 많은 칩-표면을 구비하도록 요구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전원 공급 케이블의 전압감소가 이미 충분하기 때문에, 이 경우 전원 공급 케이블(Vbat)에 전용 측정 저항[Rmj]이 삽입되는 것이 아니라, 전원 공급 케이블(Vbat)의 라인 섹션이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측정 저항[Rmj]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치환 감지
도 20
도 20은 상기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실시 예에 따른 개별 버스 노드(BKj)의 제4 멀티플렉서(X4)를 추가로 도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버스 노드(BKj) 내에서 제어 장치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제2 차동 증폭기(D2)의 두 개의 입력부를 상기 제4 멀티플렉서를 통해 치환할 수 있다. 또한, 도 20은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실시 예에 따른 개별 버스 노드(BKj)의 또 다른 제4 멀티플렉서(X4')를 추가로 도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버스 노드(BKj) 내에서 제어 장치는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또 다른 제2 차동 증폭기(D2')의 두 개의 입력부를 상기 또 다른 제4 멀티플렉서를 통해 치환할 수 있다.
도 21
전술한 것은 상기에서 설명된 오류 발생의 경우를 도 21을 통해 설명될 수 있다: 제2 버스 노드(BK2)는 치환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초기화 과정의 개시에서 실행되는 자체 테스트에서 제2 버스 노드(BK2)의 제어 장치를 통해 매우 쉽게 확인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버스 노드가 그러한 자체 테스트를 실행해야 하는 것을 상기 버스 마스터(ECU)가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신호 송신한다. 예를 들어, 접속 단계에서 또 다른 스타트 시나리오가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주소지정 전류가 제1 버스-션트-저항(R2)을 지나 흘러야 할 경우, 버스 노드의 제1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1 주소지정 전류가 버스 노드의 제1 버스-션트-저항(R2)을 지나 흐르는지, 그리고 제2 주소지정 전류가 제2 버스-션트-저항(r2')을 지나 흘러야 할 경우, 버스 노드의 제2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2 주소지정 전류가 버스 노드의 제2 버스-션트-저항(R')을 지나 흐르는지를 상기 버스 노드(BKj)가 이러한 버스 노드의 측정 장치(R2, R2', D2, D2', D3, D3', Iqj, Iq'j, X1, X1', X2, X2', X3, X3')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것이 정확하게 역 순으로 진행될 경우, 상기 버스 노드의 제어 장치가 대응하는 측정 결과에 따라 전술한 것을 변환할 수 있고, 한편,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제4 멀티플렉서(X4) 및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제3 멀티플렉서(X3)를 통해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제2 차동 증폭기(D2)의 입력부를 치환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제1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1 주소지정 전류를 위한 공급 지점을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제1 버스-션트-저항(R2)의 다른 쪽 면에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버스 노드의 제어 장치는 한편,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또 다른 제4 멀티플렉서(X4')와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또 다른 제3 멀티플렉서(X3')를 통해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또 다른 제2 차동 증폭기(D2')의 입력부를 마찬가지로 치환할 수 있고, 다른 한편,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제2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2 주소지정 전류를 위한 공급 지점을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제2 버스-션트-저항(R2')의 다른 쪽 면에 배치할 수 있다. 자동 주소지정 방법은 다시 전술한 버스-션트-저항(R2, R2')을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더 나은 개관을 위해 더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제1 주소지정 전원(Iqj)의 공급 지점을 도시되어 있지 않은 제5 멀티플렉서(X5)를 통해 측정 저항(Rmj)의 또 다른 면에 있는 전원 공급 케이블(Vbat)로 위치 변경할 수도 있다. 이것은 제1 주소지정 전원(Iqj)이 정상 상태에서 너무 많은 전류를 공급하지 않을 경우에만 의미가 있다. 이것은 정확하게 버스 노드(BKj)의 정상 상태에서 제1 주소지정 전원(Iqj)이 예를 들어, 버스 노드의 발광체(LEDj)의 에너지원으로 제공될 경우에 해당한다. 이 경우, 도시되어 있지 않은 제5 멀티플렉서(X5)의 트랜지스터(transistor)가 너무 크고 너무 비쌀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버스 노드(BKj)의 제2 주소지정 전원(Iq'j)의 공급 지점을 도시되어 있지 않은 또 다른 제5 멀티플렉서(X5')를 통해 측정 저항(Rmj)의 다른 쪽 면에 있는 전원 공급 케이블(Vbat)로 위치 변경할 수도 있다. 여기서, 똑같은 사상이 적용된다.
마찬가지로, 도 21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그러한 변환이 버스 노드(BKj)의 제어 장치를 통해 예컨대 전술한 방식으로 확인되었다면, 해당 버스 노드(BKj)(예를 들어, 제2 버스 노드(BK2))에 있는 어드레스 입력부(Adrij)의 입력부도 두 개의 멀티플렉서(X6, X7)를 통해 해당 버스 노드(BKj)에 있는 어드레스 출력부(Adroj)의 출력부로 변환될 수 있다는 사실도 도시되지 않았다.
이것은 플러그 치환을 통해 버스 노드의 삽입을 보정(compensation) 하기 위한 조치의 실시 예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개별 실시 형태는 개별 청구항 그룹 가운데 하나 또는 복수의 그룹 및/또는 개별 특징 그룹 또는 청구항의 개별 특징 그룹의 임의 결합에 따른 하나 또는 복수의 특징을 갖는다.
단축어 목록
ADR1 제1 버스 노드(BK1)의 어드레스 감지장치;
ADR2 제2 버스 노드(BK2)의 어드레스 감지장치;
ADR3 제3 버스 노드(BK3)의 어드레스 감지장치;
ADR4 제4 버스 노드(BK4)의 어드레스 감지장치;
ADR5 제5 버스 노드(BK5)의 어드레스 감지장치;
ADR6 제6 버스 노드(BK6)의 어드레스 감지장치;
ADRj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어드레스 감지장치;
ADRn n 번째 버스 노드[BKn]의 어드레스 감지장치;
Adri (j-1) (j-1) 번째 버스 노드[BK(j-1)]의 어드레스 입력부;
Adrij j 번째 너브 노드(BKj)의 어드레스 입력부;
Adri (j+1) (j+1) 번째 버스 노드[BK(j+1)]의 어드레스 입력부;
Adrin n 번째 버스 노드[BKn]의 어드레스 입력부;
Adro (j-1) (j-1) 번째 버스 노드[BK(j-1)]의 어드레스 출력부;
Adroj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어드레스 출력부;
Adro (j+1) (j+1) 번째 버스 노드[BK(j+1)]의 어드레스 출력부;
Adron n 번째 버스 노드[BKn]의 어드레스 출력부;
AT1 제1 버스 노드(BK1)의 탐지장치;
AT2 제2 버스 노드(BK2)의 탐지장치;
AT3 제3 버스 노드(BK3)의 탐지장치;
AT4 제4 버스 노드(BK4)의 탐지장치;
AT5 제5 버스 노드(BK5)의 탐지장치;
AT6 제6 버스 노드(BK6)의 탐지장치;
ATj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탐지장치;
ATn n 번째 버스 노드[BKn]의 탐지장치;
au 영문 표기: "arbitrary units", 임의 단위;
BKADR1 제1 버스 노드(BK1)의 버스 노드 어드레스 레지스터;
BKADR2 제2 버스 노드(BK2)의 버스 노드 어드레스 레지스터;
BKADR3 제3 버스 노드(BK3)의 버스 노드 어드레스 레지스터;
BKADR4 제4 버스 노드(BK4)의 버스 노드 어드레스 레지스터;
BKADR5 제5 버스 노드(BK5)의 버스 노드 어드레스 레지스터;
BKADR6 제6 버스 노드(BK6)의 버스 노드 어드레스 레지스터;
BKADRj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버스 노드 어드레스 레지스터;
BKADRn n 번째 버스 노드[BKn]의 버스 노드 어드레스 레지스터;
BKj - 2 (j-2) 번째 버스 노드;
BKj - 1 (j-1) 번째 버스 노드;
BKj + 1 (j+1) 번째 버스 노드;
BKj + 2 (j+2) 번째 버스 노드;
BKn - 2 (n-2) 번째 버스 노드;
BKn - 1 (n-1) 번째 버스 노드;
BKn n 번째 버스 노드;
BLM 후미 등 모듈
CLKA1 제1 버스 노드(BK1) 내의 탐지신호;
CLKA2 제2 버스 노드(BK2) 내의 탐지신호;
CLKA3 제3 버스 노드(BK3) 내의 탐지신호;
CLKA4 제4 버스 노드(BK4) 내의 탐지신호;
CLKA5 제5 버스 노드(BK5) 내의 탐지신호;
CLKA6 제6 버스 노드(BK6) 내의 탐지신호;
CLKAj j 번째 버스 노드[BKj] 내의 탐지신호;
CLKAn n 번째 버스 노드[BKn] 내의 탐지신호;
CLKG1 제1 버스 노드(BK1)의 클럭 센서;
CLKG2 제2 버스 노드(BK2)의 클럭 센서;
CLKG3 제3 버스 노드(BK3)의 클럭 센서;
CLKG4 제4 버스 노드(BK4)의 클럭 센서;
CLKG5 제5 버스 노드(BK5)의 클럭 센서;
CLKG6 제6 버스 노드(BK6)의 클럭 센서;
CLKGj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클럭 센서;
CLKGn n 번째 버스 노드[BKn]의 클럭 센서;
DBj j 번째 버스 노드(BKj)와 (j-1) 번째 버스 노드[BKj -1] 사이의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의 j 번째 양 방향 차동 데이터 라인 섹션. j 번째 양 방향 차동 데이터 라인 섹션은 각각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와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의 대응하는 섹션을 포함한다;
DBn n 번째 버스 노드[BKn]와 (n-1) 번째 버스 노드[BKn -1] 사이의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의 n 번째 양 방향 차동 데이터 라인 섹션. n 번째 양 방향 차동 데이터 라인 섹션은 각각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와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의 대응하는 섹션을 포함한다;
EV1 제1 버스 노드(BK1)의 제1 발광체(LED1)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제공된 제1 버스 노드(BK1)의 에너지 공급장치;
EV2 제2 버스 노드(BK2)의 제2 발광체(LED2)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제공된 제2 버스 노드(BK2)의 에너지 공급장치;
EV3 제3 버스 노드(BK3)의 제3 발광체(LED3)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제공된 제3 버스 노드(BK3)의 에너지 공급장치;
EV4 제4 버스 노드(BK4)의 제4 발광체[LED4]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제공된 제4 버스 노드(BK4)의 에너지 공급장치;
EV5 제5 버스 노드(BK5)의 제5 발광체[LED5]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제공된 제5 버스 노드(BK5)의 에너지 공급장치;
EV6 제6 버스 노드(BK6)의 제6 발광체[LED6]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제공된 제6 버스 노드(BK6)의 에너지 공급장치;
EVj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j 번째 발광체[LEDj]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제공된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에너지 공급장치;
EVn n 번째 버스 노드[BKn]의 n 번째 발광체[LEDn]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제공된 n 번째 버스 노드[BKn]의 에너지 공급장치;
GGIqj 차동 모드 전원;
GLIqj 버스 노드(BKj)의 공통 모드 주소지정 전원;
GND 접지로 표현되는 제2 전원 공급 케이블(Vbat 에 대한 보완);
HS-CAN 고속 CAN-프로토콜;
Iamax 최대 주소지정 전류;
Iqj1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제1 주소지정 전원[Iqj1]을 제1 주소지정 전원으로 분할할 때, 제1 버스-션트-저항(R2) 앞쪽으로 공급되는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제1 주소지정 전원 및 제1 버스-션트-저항(R2) 뒤쪽으로 공급되는 또 다른 제1 주소지정 전원;
Iqj2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제1 주소지정 전원[Iqj1]을 제1 주소지정 전원으로 분할할 때, 제1 버스-션트-저항(R2) 앞쪽으로 공급되는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또 다른 제1 주소지정 전원 및 제1 버스-션트-저항(R2) 뒤쪽으로 공급되는 제1 주소지정 전원;
Iq'j1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제2 주소지정 전원[Iq'j1]을 제2 주소지정 전원으로 분할할 때, 제2 버스-션트-저항(R2') 앞쪽으로 공급되는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제2 주소지정 전원 및 제2 버스-션트-저항(R2') 뒤쪽으로 공급되는 또 다른 제2 주소지정 전원;
Iq'j2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제2 주소지정 전원[Iq'j1]을 제2 주소지정 전원으로 분할할 때, 제2 버스-션트-저항(R2') 앞쪽으로 공급되는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또 다른 제2 주소지정 전원 및 제2 버스-션트-저항(R2') 뒤쪽으로 공급되는 또 다른 제2 주소지정 전원;
Iref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를 위해 버스 노드(BKj) 내에서 정해진 제1 전체 전류 값. 제1 전체 전류 값은 모든 버스 노드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동일해야 한다. 하지만, 제1 전체 전류 값은 버스 노드마다 변동될 수도 있다;
I'ref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를 위해 버스 노드(BKj) 내에서 정해진 제2 전체 전류 값. 제2 전체 전류 값은 모든 버스 노드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동일해야 한다. 하지만, 제2 전체 전류 값은 버스 노드마다 변동될 수도 있다;
L1 내지 Ln 라인 섹션[L1 내지 Ln]으로 구성된 케이블;
L4 제4 버스 노드[BK4]로부터 제3 버스 노드(BK3)에 이르는 제4 라인 섹션;
Lj - 1 (j-1) 번째 버스 노드[BKj - 1]로부터 (j-2) 번째 버스 노드[BKj - 2]에 이르는 (j-1) 번째 라인 섹션;
Lj j 번째 버스 노드(BKj)로부터 (j-1) 번째 버스 노드[BKj - 1]에 이르는 j 번째 라인 섹션;
Lj + 1 (j+1) 번째 버스 노드[BKj + 1]로부터 j 번째 버스 노드(BKj)에 이르는 (j+1) 번째 라인 섹션;
Ln - 1 (n-1) 번째 버스 노드[BKn - 1]로부터 (n-2) 번째 버스 노드[BKn - 2]에 이르는 (n-1) 번째 라인 섹션;
Ln n 번째 버스 노드[BKn]로부터 (n-1) 번째 버스 노드[BKn - 1]에 이르는 n 번째 라인 섹션;
LEDj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발광체. 발광체 그룹과 연결부가 함께 포함되어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의 직렬연결 및 병렬연결일 수 있다.)
LEDn n 번째 버스 노드[BKn]의 발광체. 발광체 그룹과 연결부가 함께 포함되어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의 직렬연결 및 병렬연결일 수 있다.)
μC1 제1 버스 노드(BK1)의 마이크로 컨트롤러;
μC2 제2 버스 노드(BK2)의 마이크로 컨트롤러;
μC3 제3 버스 노드(BK3)의 마이크로 컨트롤러;
μC4 제4 버스 노드(BK4)의 마이크로 컨트롤러;
μC5 제5 버스 노드(BK5)의 마이크로 컨트롤러;
μC6 제6 버스 노드(BK6)의 마이크로 컨트롤러;
μCj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마이크로 컨트롤러;
μCn n 번째 버스 노드[BKn]의 마이크로 컨트롤러;
rwn n 번째 버스 노드[BKn]의 첫 번째 제어 신호. n 번째 버스 노드[BKn]의 첫 번째 제어 신호는 장치, 바람직하게는 n 번째 버스 노드[BKn]의 제3 비교 측정기(D3)와 함께 유닛을 형성할 수 있는 n 번째 버스 노드[BKn]의 제1 필터(F)를 통해 n 번째 버스 노드[BKn]의 제3 비교 측정기(D3)의 출력 신호로부터 형성되고, n 번째 버스 노드[BKn]의 제1 자동 주소지정 전원[Iqn]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rw'n n 번째 버스 노드[BKn]의 두 번째 제어 신호. n 번째 버스 노드[BKn]의 두 번째 제어 신호는 장치, 바람직하게는 n 번째 버스 노드[BKn]의 대응하는 제3 비교 측정기(D3')와 함께 유닛을 형성할 수 있는 n 번째 버스 노드[BKn]의 제2 필터(F')를 통해 n 번째 버스 노드[BKn]의 대응하는 제3 비교 측정기(D3')의 출력부 신호로부터 형성되고, n 번째 버스 노드[BKn]의 제2 자동 주소지정 전원[Iq'n]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SUP 전원 공급장치;
SW1 어드레스 데이터가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로서 채택되어야 하는지 결정하기 위해 제1 버스 노드(BK1)의 첫 번째 제어 값(r1)과 비교하기 위한 첫 번째 임계값;
SW'1 어드레스 데이터가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로서 채택되어야 하는지 결정하기 위해 제1 버스 노드(BK1)의 두 번째 제어 값(r'1)과 비교하기 위한 두 번째 임계값;
SW2 어드레스 데이터가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로서 채택되어야 하는지 결정하기 위해 제2 버스 노드(BK2)의 첫 번째 제어 값(r2)과 비교하기 위한 첫 번째 임계값;
SW'2 어드레스 데이터가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로서 채택되어야 하는지 결정하기 위해 제2 버스 노드(BK2)의 두 번째 제어 값(r'2)과 비교하기 위한 두 번째 임계값;
SW3 어드레스 데이터가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로서 채택되어야 하는지 결정하기 위해 제3 버스 노드(BK3)의 첫 번째 제어 값(r3)과 비교하기 위한 첫 번째 임계값;
SW'3 어드레스 데이터가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로서 채택되어야 하는지 결정하기 위해 제3 버스 노드(BK3)의 두 번째 제어 값('r3)과 비교하기 위한 두 번째 임계값;
SWj 어드레스 데이터가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로서 채택되어야 하는지 결정하기 위해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첫 번째 제어 값(rj)과 비교하기 위한 첫 번째 임계값;
SW'j 어드레스 데이터가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로서 채택되어야 하는지 결정하기 위해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두 번째 제어 값(r'j)과 비교하기 위한 두 번째 임계값;
SWn 어드레스 데이터가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로서 채택되어야 하는지 결정하기 위해 n 번째 버스 노드(BKn)의 첫 번째 제어 값(rn)과 비교하기 위한 첫 번째 임계값;
SW'n 어드레스 데이터가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로서 채택되어야 하는지 결정하기 위해 n 번째 버스 노드(BKn)의 두 번째 제어 값(r'n)과 비교하기 위한 두 번째 임계값;
τ1 해당 버스 노드(BKj)의 제어된 제1 자동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1 주소지정 전류를 증가시키는 첫 번째 시간 상수;
τ2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어된 제1 자동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1 주소지정 전류를 감소시키는 두 번째 시간 상수;
τ3 해당 버스 노드(BKj)의 제어된 제2 자동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2 주소지정 전류를 증가시키는 세 번째 시간 상수;
τ4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어된 제2 자동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2 주소지정 전류를 감소시키는 네 번째 시간 상수;
τref 장치에 적합하게, 더는 정해지지 않은 시간 기준 값;
t 시간
t1 타이머가 스타트하고 난 후,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1 자동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어가 동결되는 첫 번째 시점;
t2 타이머가 스타트하고 난 후,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2 자동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어가 동결되는 두 번째 시점;
t3 정해진 조건하에서,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로서 전송될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버스 마스터(ECU)로부터 채택되는 세 번째 시점;
TR 드라이버
TRa 버스 마스터(ECU) 또는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제공된 제1 드라이버.
바람직하게는, 드라이버는 CAN-드라이버 또는 RS485-드라이버로서 제공된다.
CAN-드라이버로서 제1 드라이버는 허용된 세 가지 상태 가운데 바람직하게는 두 가지 상태를 점유할 수 있다: 첫 번째 상태에서, 상기 제1 드라이버는 첫 번째 논리 레벨(Z1)을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 배치한다. 두 번째 상태에서, 제1 드라이버는 세 번째 논리 레벨(Z3)을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 배치한다. 또한, 버스 마스터(ECU)의 제1 드라이버는 데이터 버스 시스템과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주소지정 상태에서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제공된 제1 주소지정 전원((Iq1) 내지 [Iqn])의 제1 주소지정 전류와 버스 노드의 제1 정전류를 위한 첫 번째 전류 싱크(current sink)로서 작동한다. 바람직하게는, 해당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제공된 제2 드라이버[TRb]가 두 번째 상태(Z2)를 점유할 경우, 버스 노드((BK1) 내지 [BKn]) 및 버스 마스터(ECU)의 제1 드라이버는 첫 번째 상태(Z1)를 점유한다. 이로 인해, 신호가 제1 차동 레벨(z1)로 인해 차동적(differential)으로 영향을 받는다. 바람직하게는, 해당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제공된 제2 드라이버(TRb)가 세 번째 상태(Z3)를 점유할 경우, 버스 노드((BK1) 내지 [BKn]) 및 버스 마스터(ECU)의 제1 드라이버는 세 번째 상태(Z3)를 점유한다. 이로 인해, 신호가 제3 차동 레벨(z3)로 인해 차동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RS485-드라이버로서 상기 제1 드라이버는 허용된 두 가지 상태 가운데 바람직하게는 두 가지 상태를 점유할 수 있다: 첫 번째 상태에서, 제1 드라이버는 첫 번째 논리 레벨(Z1)을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 배치한다. 두 번째 상태에서, 제1 드라이버는 두 번째 논리 레벨(Z2)을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 배치한다. 또한, 상기 버스 마스터(ECU)의 제1 드라이버는 데이터 버스 시스템과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주소지정 상태에서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제공된 제1 주소지정 전원((Iq1) 내지 [Iqn])의 제1 주소지정 전류와 버스 노드의 제1 정전류를 위한 첫 번째 전류 싱크로서 작동한다. 바람직하게는, 해당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제공된 제2 드라이버[TRb]가 두 번째 상태(Z2)를 점유할 경우, 버스 노드((BK1) 내지 [BKn]) 및 버스 마스터(ECU)의 제1 드라이버는 첫 번째 상태(Z1)를 점유한다. 이로 인해, 신호가 제1 차동 레벨(z1)로 인해 차동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바람직하게는, 해당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제공된 제2 드라이버[TRb]가 첫 번째 상태(Z1)를 점유할 경우, 버스 노드((BK1) 내지 [BKn]) 및 버스 마스터(ECU)의 제1 드라이버는 두 번째 상태(Z2)를 점유한다. 이로 인해, 신호가 제2 차동 레벨(Z2)로 인해 차동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또한, 제1 드라이버는 일반적으로 또 다른 버스 노드((BK1) 내지 [BKn]) 및 버스 마스터(ECU)의 제1 드라이버를 통해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 동시에 접속할 경우, 탐지 및 버스 충돌을 억제하기 위한 분할 장치를 구비한다.
TRb 버스 마스터(ECU) 또는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제공된 제2 드라이버.
바람직하게는, 제2 드라이버는 CAN-드라이버 또는 RS485-드라이버로서 제공된다.
CAN-드라이버로서 제2 드라이버는 바람직하게는 허용된 세 가지 상태 가운데 두 가지 상태를 차지할 수 있다: 첫 번째 상태에서, 제2 드라이버는 두 번째 논리 레벨(Z2)을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에 배치한다. 두 번째 상태에서, 제2 드라이버는 세 번째 논리 레벨(Z3)을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에 배치한다. 또한, 버스 마스터(ECU)의 제2 드라이버는 데이터 버스 시스템과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주소지정 상태에서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제공된 제2 주소지정 전원((Iq'1) 내지 [Iq'n])의 제2 주소지정 전류와 버스 노드의 제2 정전류를 위한 두 번째 전류 싱크로서 작동한다. 바람직하게는, 해당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제공된 제1 드라이버[TRa]가 첫 번째 상태(Z1)를 점유할 경우, 버스 노드((BK1) 내지 [BKn]) 및 버스 마스터(ECU)의 제2 드라이버는 두 번째 상태(Z2)를 점유한다. 이로 인해, 신호가 제1 차동 레벨(z1)로 인해 차동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바람직하게는, 해당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제공된 제1 드라이버(TRa)가 세 번째 상태(Z3)를 점유할 경우, 버스 노드((BK1) 내지 [BKn]) 및 버스 마스터(ECU)의 제2 드라이버는 세 번째 상태(Z3)를 점유한다. 이로 인해, 신호가 제3 차동 레벨(z3)로 인해 차동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RS485-드라이버로서 제2 드라이버는 바람직하게는 허용된 세 가지 상태 가운데 두 가지 상태를 차지할 수 있다: 첫 번째 상태에서, 제2 드라이버는 두 번째 논리 레벨(Z2)을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 배치한다. 두 번째 상태에서, 제2 드라이버는 첫 번째 논리 레벨(Z1)을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에 배치한다. 또한, 버스 마스터(ECU)의 제2 드라이버는 데이터 버스 시스템과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주소지정 상태에서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제공된 제2 주소지정 전원((Iq'1) 내지 [Iq'n])의 제2 주소지정 전류와 버스 노드의 제2 정전류를 위한 두 번째 전류 싱크로서 작동한다. 바람직하게는, 해당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제공된 제1 드라이버[TRa]가 첫 번째 상태(Z1)를 점유할 경우, 버스 노드((BK1) 내지 [BKn]) 및 버스 마스터(ECU)의 제2 드라이버는 두 번째 상태(Z2)를 점유한다. 이로 인해, 신호가 제1 차동 레벨(Z1)로 인해 차동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바람직하게는, 해당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제공된 제1 드라이버(TRa)가 두 번째 상태(Z2)를 점유할 경우, 버스 노드((BK1) 내지 [BKn]) 및 버스 마스터(ECU)의 제2 드라이버는 첫 번째 상태(Z1)를 점유한다. 이로 인해, 신호가 제2 차동 레벨(Z2)로 인해 차동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또한, 제1 드라이버는 일반적으로 또 다른 버스 노드((BK1) 내지 [BKn]) 및 버스 마스터(ECU)의 제1 드라이버를 통해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 동시에 접속할 경우, 탐지 및 버스 충돌을 억제하기 위한 분할 장치를 구비한다.
UART 범용 비동기 송수신기;
Vm0 기본 전압 값;
X5 버스 노드(BKj)에 제공된 측정 저항[Rmj]의 연결부 치환을 위한 멀티플렉서;
X6 버스 노드(BKj)에 제공된 어드레스 입력부[Adrij] 및 어드레스 출력부[Adroj]의 연결부를 치환하기 위한 제1 멀티플렉서;
X7 버스 노드(BKj)에 제공된 어드레스 입력부[Adrij] 및 어드레스 출력부[Adroj]의 연결부를 치환하기 위한 제2 멀티플렉서;
ADRD 비트-스트림-패킷(BP)의 데이터 정보(DATA) 내의 어드레스 정보;
Adrio 버스 마스터(ECU)의 어드레스 입력부;
Adri1 제1 버스 노드(BK1)의 어드레스 입력부;
Adri2 제2 버스 노드(BK2)의 어드레스 입력부;
Adri3 제3 버스 노드(BK3)의 어드레스 입력부;
Adro1 제1 버스 노드(BK1)의 어드레스 출력부;
Adro2 제2 버스 노드(BK2)의 어드레스 출력부;
Adro3 제3 버스 노드(BK3)의 어드레스 출력부;
BK1 제1 버스 노드;
BK2 제2 버스 노드;
BK3 제3 버스 노드;
BK4 제4 버스 노드;
BK5 제5 버스 노드;
BK6 제6 버스 노드;
BKj 명령어가 버스 노드(BK1, BK2 ...... BKn -1, BKn)의 개별 버스 노드를 통해 작동될 경우, 본 공보에서 해당 버스 노드로서 표현되는 j 번째 버스 노드;
BP 데이터 패킷으로도 표현되는 비트-스트림-패킷(영문 표기: 프레임(frame));
CHKD 비트-스트림-패킷(BP)의 데이터 정보(DATA) 내의 테스트 정보. 바람직하게는, CRC-검사합산 및/또는 패리티-비트(parity-bit) 등등이 제공될 수 있다.
CLK 버스 마스터(ECU) 내의 클럭;
CLKAj j 번째 버스 노드(BKj) 내의 탐지신호;
D2 해당 버스 노드(BKj) 내에서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를 흐르는 첫 번째 전류를 제1 버스-션트-저항(R2)을 통해 측정하거나, 또는 전원 공급 케이블(Vbat)을 흐르는 전류를 측정 저항[Rmj]을 통해 측정하기 위한 제2 차동 증폭기. 제2 차동 증폭기는 더 나은 개관을 위해 개별 버스 노드를 위한 색인이 제공되지 않는다.
D2' 해당 버스 노드(BKj) 내에서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를 흐르는 두 번째 전류를 제2 버스-션트-저항(R2')을 통해 측정하거나, 또는 전원 공급 케이블(Vbat)을 흐르는 전류를 측정 저항[Rmj]을 통해 측정하기 위한 제2 차동 증폭기. 제2 차동 증폭기는 더 나은 개관을 위해 개별 버스 노드를 위한 색인이 제공되지 않는다.
D3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를 흐르는 전류를 제1 버스-션트-저항(R2)을 통해 측정하거나, 또는 전원 공급 케이블을 흐르는 전류를 측정 저항[Rmj]을 통해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2 차동 증폭기(D2)의 출력부를 해당 버스 노드(BKj) 내의 임계값(Ref)과 비교하기 위한 제3 비교 측정기 또는 제3 차동 증폭기. 제3 비교 측정기와 제3 차동 증폭기는 더 나은 개관을 위해 개별 버스 노드(BKj)를 위한 색인이 제공되지 않는다.
D3'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를 흐르는 전류를 제2 버스-션트-저항(R2')을 통해 측정하거나, 또는 전원 공급 케이블을 흐르는 전류를 측정 저항[Rmj]을 통해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2 차동 증폭기(D2')의 출력부를 해당 버스 노드(BKj) 내의 또 다른 임계값(Ref')과 비교하기 위한 제3 비교 측정기 또는 제3 차동 증폭기. 제3 비교 측정기와 제3 차동 증폭기는 더 나은 개관을 위해 개별 버스 노드(BKj)를 위한 색인이 제공되지 않는다.
DATA 비트-스트림-패킷 내의 데이터 정보;
DB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
DBa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의 제1 싱글 와이어 버스;
DBb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의 제2 싱글 와이어 버스;
DB1 제1 버스 노드(BK1)와 버스 마스터(ECU) 사이의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의 양 방향 차동 제1 데이터 라인 섹션. 양 방향 차동 제1 데이터 라인 섹션은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와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의 대응하는 섹션을 포함한다.
DB2 제2 버스 노드(BK2)와 제1 버스 노드(BK1) 사이의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의 양 방향 차동 제2 데이터 라인 섹션. 양 방향 차동 제2 데이터 라인 섹션은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와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의 대응하는 섹션을 포함한다.
DB3 제3 버스 노드(BK3)와 제2 버스 노드(BK2) 사이의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의 양 방향 차동 제3 데이터 라인 섹션. 양 방향 차동 제3 데이터 라인 섹션은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와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의 대응하는 섹션을 포함한다.
DET 버스 노드(BKj) 내의 제1 탐지장치;
DET' 버스 노드(BKj) 내의 제2 탐지장치;
ds2 제2 차동 증폭기(D2)의 출력부. 버스 노드(BKj) 내의 내부 신호가 제공된다.
ds2' 또 다른 제2 차동 증폭기(D2')의 출력부. 버스 노드(BKj) 내의 내부 신호가 제공된다.
ds3 버스 노드(BKj) 내의 내부 신호;
ds3' 버스 노드(BKj) 내의 또 다른 내부 신호;
ECU 제어 장치로도 표현되는 버스 마스터;
er 제1 탐지장치(DET)의 제1 오류 신호;
er' 제2 탐지장치(DET')의 제2 오류 신호;
F 제1 필터;
F' 제2 필터;
i1 제1 버스 노드(BK1)와 버스 마스터(ECU) 사이의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연결 섹션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1)의 섹션을 통해 제1 버스 노드(BK1)가 버스 마스터(ECU)로 전송하고, 이러한 버스 마스터가 제1 버스 마스터 입력 전류로서 수신하는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
i'1 제1 버스 노드(BK1)와 버스 마스터(ECU) 사이의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연결 섹션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2)의 섹션을 통해 제1 버스 노드(BK1)가 버스 마스터(ECU)로 전송하고, 이러한 버스 마스터가 제2 버스 마스터 입력 전류로서 수신하는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
i2 제2 버스 노드(BK1)와 제1 버스 노드(BK1) 사이의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연결 섹션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1)의 섹션을 통해 제2 버스 노드(BK2)가 제1 버스 노드(BK1)로 전송하고, 이러한 제1 버스 노드(BK1)가 제1 버스 노드 입력 전류로서 수신하는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
i'2 제2 버스 노드(BK1)와 제1 버스 노드(BK1) 사이의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연결 섹션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2)의 섹션을 통해 제2 버스 노드(BK2)가 제1 버스 노드(BK1)로 전송하고, 이러한 제1 버스 노드(BK1)가 제2 버스 노드 입력 전류로서 수신하는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
i3 제3 버스 노드(BK3)와 제2 버스 노드(BK2) 사이의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연결 섹션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1)의 섹션을 통해 제3 버스 노드(BK3)가 제2 버스 노드(BK2)로 전송하고, 이러한 제2 버스 노드(BK2)가 제1 버스 노드 입력 전류로서 수신하는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
i'3 제3 버스 노드(BK3)와 제2 버스 노드(BK2) 사이의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연결 섹션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2)의 섹션을 통해 제3 버스 노드(BK3)가 제2 버스 노드(BK2)로 전송하고, 이러한 제2 버스 노드(BK2)가 제2 버스 노드 입력 전류로서 수신하는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
ij j 번째 버스 노드(BKj)와 (j-1) 번째 버스 노드[BKj -1] 사이의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연결 섹션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1)의 섹션을 통해 j 번째 버스 노드(BKj)가 (j-1) 번째 버스 노드[BKj-1]로 전송하고, 이러한 (j-1) 번째 버스 노드[BKj - 1]가 제1 버스 노드 입력 전류로서 수신하는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
i'j j 번째 버스 노드(BKj)와 (j-1) 번째 버스 노드[BKj -1] 사이의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연결 섹션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2)의 섹션을 통해 j 번째 버스 노드(BKj)가 (j-1) 번째 버스 노드[BKj-1]로 전송하고, 이러한 (j-1) 번째 버스 노드[BKj - 1]가 제2 버스 노드 입력 전류로서 수신하는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
ij + 1 (j+1) 번째 버스 노드[BKj + 1]와 j 번째 버스 노드(BKj) 사이의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연결 섹션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1)의 섹션을 통해 (j+1) 번째 버스 노드[BKj + 1]가 j 번째 버스 노드(BKj)로 전송하고, 이러한 j 번째 버스 노드(BKj)가 제1 버스 노드 입력 전류로서 수신하는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
i'j + 1 (j+1) 번째 버스 노드[BKj + 1]와 j 번째 버스 노드(BKj) 사이의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연결 섹션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2)의 섹션을 통해 (j+1) 번째 버스 노드[BKj + 1]가 j 번째 버스 노드(BKj)로 전송하고, 이러한 j 번째 버스 노드(BKj)가 제2 버스 노드 입력 전류로서 수신하는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
in- 1 (n-1) 번째 버스 노드[BKn - 1]와 (n-2) 번째 버스 노드[BKn -2] 사이의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연결 섹션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1)의 섹션을 통해 (n-1) 번째 버스 노드[BKn - 1]가 (n-2) 번째 버스 노드[BKn - 2]로 전송하고, 이러한 (n-2) 번째 버스 노드[BKn - 2]가 제1 버스 노드 입력 전류로서 수신하는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
i'n - 1 (n-1) 번째 버스 노드[BKn - 1]와 (n-2) 번째 버스 노드[BKn -2] 사이의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연결 섹션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2)의 섹션을 통해 (n-1) 번째 버스 노드[BKn - 1]가 (n-2) 번째 버스 노드[BKn - 2]로 전송하고, 이러한 (n-2) 번째 버스 노드[BKn - 2]가 제2 버스 노드 입력 전류로서 수신하는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
in n 번째 버스 노드[BKn]와 (n-1) 번째 버스 노드[BKn -1] 사이의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연결 섹션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1)의 섹션을 통해 n 번째 버스 노드[BKn]가 (n-1) 번째 버스 노드[BKn-1]로 전송하고, 이러한 (n-1) 번째 버스 노드[BKn - 1]가 제1 버스 노드 입력 전류로서 수신하는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
i'n n 번째 버스 노드[BKn]와 (n-1) 번째 버스 노드[BKn -1] 사이의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연결 섹션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2)의 섹션을 통해 n 번째 버스 노드[BKn]가 (n-1) 번째 버스 노드[BKn - 1]로 전송하고, 이러한 (n-1) 번째 버스 노드[BKn - 1]가 제2 버스 노드 입력 전류로서 수신하는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
IF1 제1 버스 노드(BK1)의 차동 직렬 인터페이스;
IF2 제2 버스 노드(BK2)의 차동 직렬 인터페이스;
IF3 제3 버스 노드(BK3)의 차동 직렬 인터페이스;
IF4 제4 버스 노드(BK4)의 차동 직렬 인터페이스;
IF5 제5 버스 노드(BK5)의 차동 직렬 인터페이스;
IF6 제6 버스 노드(BK6)의 차동 직렬 인터페이스;
IF(j-1) (j-1) 번째 버스 노드[BKj - 1]의 차동 직렬 인터페이스;
IFj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차동 직렬 인터페이스;
IF(j+1) (j+1) 번째 버스 노드[BKj + 1]의 차동 직렬 인터페이스;
IF(n-1) (n-1) 번째 버스 노드[BKn - 1]의 차동 직렬 인터페이스;
IFn n 번째 버스 노드[BKn]의 차동 직렬 인터페이스;
ILD 조명 정보에 따라, 버스 노드(BKj)의 발광체(LEDj)에 에너지 공급을 버스 노드(BKj)의 에너지 공급장치(EVj)를 통해 제어하기 위한 조명 정보;
INFO 비트-스트림-패킷(BP)의 데이터 정보(DATA) 내의 이용 정보. 바람직하게는, 개별 버스 노드(BKj)를 위한 조명 정보가 제공된다;
Iq1 제1 버스 노드(BK1)의 제1 주소지정 전원;
Iq'1 제1 버스 노드(BK1)의 제2 주소지정 전원;
Iq2 제2 버스 노드(BK2)의 제1 주소지정 전원;
Iq2' 제2 버스 노드(BK2)의 제2 주소지정 전원;
Iq3 제3 버스 노드(BK3)의 제1 주소지정 전원;
Iq3' 제3 버스 노드(BK3)의 제2 주소지정 전원;
Iqj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제1 주소지정 전원;
Iqj'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제2 주소지정 전원;
Iqn n 번째 버스 노드[BKn]의 제1 주소지정 전원;
Iqn' n 번째 버스 노드[BKn]의 제2 주소지정 전원;
L1 제1 버스 노드(BK1)로부터 버스 마스터(ECU)에 이르는 제1 라인 섹션;
L2 제2 버스 노드(BK2)로부터 제1 버스 노드(BK1)에 이르는 제2 라인 섹션;
L3 제3 버스 노드(BK3)로부터 제2 버스 노드(BK2)에 이르는 제3 라인 섹션;
μC 마이크로 컨트롤러;
LED1 제1 버스 노드(BK1)의 발광체. 발광체 그룹과 연결부가 함께 포함되어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의 직렬연결 및 병렬연결일 수 있다.)
LED2 제2 버스 노드(BK2)의 발광체. 발광체 그룹과 연결부가 함께 포함되어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의 직렬연결 및 병렬연결일 수 있다.)
LED3 제3 버스 노드(BK3)의 발광체. 발광체 그룹과 연결부가 함께 포함되어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의 직렬연결 및 병렬연결일 수 있다.)
LED4 제4 버스 노드(BK4)의 발광체. 발광체 그룹과 연결부가 함께 포함되어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의 직렬연결 및 병렬연결일 수 있다.)
LED5 제5 버스 노드(BK5)의 발광체. 발광체 그룹과 연결부가 함께 포함되어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의 직렬연결 및 병렬연결일 수 있다.)
LED6 제6 버스 노드(BK6)의 발광체. 발광체 그룹과 연결부가 함께 포함되어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의 직렬연결 및 병렬연결일 수 있다.)
pol 바람직하게는, 멀티플렉서(X4)를 제어하는 제1 양극성 신호;
pol' 바람직하게는, 또 다른 멀티플렉서(X4')를 제어하는 제2 양극성 신호;
R2 해당 버스 노드(BKj) 내에서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를 지나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제1 션트-저항. 여기서, 제1 션트-저항은 버스 노드(BKj)의 일부분에 해당한다. 제1 션트-저항은 바람직하게는 자동 주소지정 가능한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모든 버스 노드에 존재한다. 제1 션트-저항은 더 나은 개관을 위해 개별 버스 노드(BKj)를 위한 색인이 제공되지 않는다.
R2' 해당 버스 노드(BKj) 내에서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를 지나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제2 션트-저항. 여기서, 제2 션트-저항은 버스 노드(BKj)의 일부분에 해당한다. 제2 션트-저항은 바람직하게는 자동 주소지정 가능한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모든 버스 노드에 존재한다. 제2 션트-저항은 더 나은 개관을 위해 개별 버스 노드(BKj)를 위한 색인이 제공되지 않는다.
Rec 수신기. 개별 버스 노드((BK1) 내지 [BKn])와 버스 마스터(ECU)는 바람직하게는 수신기를 구비한다. 수신기는 비트-스트림-패킷(BP)에 포함된 데이터(DATA)를 추출하고, 이러한 데이터를 바람직하게는 오류 정보와 함께 출력부(out)를 통해 출력한다. 일반적으로, 수신기는 비트-스트림-패킷(BP)의 데이터 정보(DATA) 내의 테스트 정보(CHKD)가 오류 없이 수신되는지 테스트한다. 비트-스트림-패킷(BP)이 오류 없이 수신되지 않을 경우, 이것은 수신기에 의해 신호 송신된다.
Ref10 열 번째 임계값;
Ref10' 또 다른 열 번째 임계값;
Ref11 열 한번 째 임계값;
Ref11' 또 다른 열 한번 째 임계값;
Rm1 제1 버스 노드(BK1)를 위한 전원 공급 케이블의 측정 저항;
Rm2 제2 버스 노드(BK2)를 위한 전원 공급 케이블의 측정 저항;
Rm3 제3 버스 노드(BK3)를 위한 전원 공급 케이블의 측정 저항;
Rmj j 번째 버스 노드(BKj)를 위한 전원 공급 케이블의 측정 저항;
Rmn n 번째 버스 노드(BKn)를 위한 전원 공급 케이블의 측정 저항;
rw1 제1 버스 노드(BK1)의 첫 번째 제어 신호. 제1 버스 노드(BK1)의 첫 번째 제어 신호는 장치, 바람직하게는 제1 버스 노드(BK1)의 제3 비교 측정기(D3)와 함께 유닛을 형성할 수 있는 제1 버스 노드(BK1)의 제1 필터(F)를 통해 제1 버스 노드(BK1)의 제3 비교 측정기(D3)의 출력 신호로부터 형성되고, 제1 버스 노드(BK1)의 제1 자동 주소지정 전원(Iq1)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rw'1 제1 버스 노드(BK1)의 두 번째 제어 신호. 제1 버스 노드(BK1)의 두 번째 제어 신호는 장치, 바람직하게는 제1 버스 노드(BK1)의 대응하는 제3 비교 측정기(D3')와 함께 유닛을 형성할 수 있는 제1 버스 노드(BK1)의 제2 필터(F')를 통해 제1 버스 노드(BK1)의 대응하는 제3 비교 측정기(D3')의 출력 신호로부터 형성되고, 제1 버스 노드(BK1)의 제2 자동 주소지정 전원(Iq'1)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rw2 제2 버스 노드(BK2)의 첫 번째 제어 신호. 제2 버스 노드(BK2)의 첫 번째 제어 신호는 장치, 바람직하게는 제2 버스 노드(BK2)의 제3 비교 측정기(D3)와 함께 유닛을 형성할 수 있는 제2 버스 노드(BK2)의 제1 필터(F)를 통해 제2 버스 노드(BK2)의 제2 비교 측정기(D3)의 출력 신호로부터 형성되고, 제2 버스 노드(BK2)의 제1 자동 주소지정 전원(Iq2)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rw'2 제2 버스 노드(BK2)의 두 번째 제어 신호. 제2 버스 노드(BK2)의 두 번째 제어 신호는 장치, 바람직하게는 제2 버스 노드(BK2)의 대응하는 제3 비교 측정기(D3')와 함께 유닛을 형성할 수 있는 제2 버스 노드(BK2)의 제2 필터(F')를 통해 제2 버스 노드(BK2)의 대응하는 제3 비교 측정기(D3')의 출력 신호로부터 형성되고, 제2 버스 노드(BK2)의 제2 자동 주소지정 전원(Iq'2)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rw3 제3 버스 노드(BK3)의 첫 번째 제어 신호. 제3 버스 노드(BK3)의 첫 번째 제어 신호는 장치, 바람직하게는 제3 버스 노드(BK3)의 제3 비교 측정기(D3)와 함께 유닛을 형성할 수 있는 제3 버스 노드(BK3)의 제1 필터(F)를 통해 제3 버스 노드(BK3)의 제3 비교 측정기(D3)의 출력부 신호로부터 형성되고, 제3 버스 노드(BK3)의 제1 자동 주소지정 전원(Iq3)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rw'3 제3 버스 노드(BK3)의 두 번째 제어 신호. 제3 버스 노드(BK3)의 두 번째 제어 신호는 장치, 바람직하게는 제3 버스 노드(BK3)의 대응하는 제3 비교 측정기(D3')와 함께 유닛을 형성할 수 있는 제3 버스 노드(BK3)의 제2 필터(F)를 통해 제3 버스 노드(BK3)의 대응하는 제3 비교 측정기(D3')의 출력부 신호로부터 형성되고, 제3 버스 노드(BK3)의 제2 자동 주소지정 전원(Iq'3)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rwj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첫 번째 제어 신호.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첫 번째 제어 신호는 장치, 바람직하게는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제3 비교 측정기(D3)와 함께 유닛을 형성할 수 있는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제1 필터(F)를 통해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제3 비교 측정기(D3)의 출력부 신호로부터 형성되고,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제1 자동 주소지정 전원(Iqj)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rw'j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두 번째 제어 신호.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제2제어 신호는 장치, 바람직하게는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대응하는 제3 비교 측정기(D3')와 함께 유닛을 형성할 수 있는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제2 필터(F)를 통해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대응하는 제3 비교 측정기(D3')의 출력부 신호로부터 형성되고, j 번째 버스 노드(BKj)의 제2 자동 주소지정 전원(Iq'j)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S4 버스 노드(BKj) 내에 제공된 제1 션트-저항(R2)을 연결하기 위한 - 제1 버스-션트-연결 스위치로도 표현됨 - 제1 연결 스위치. 제1 연결 스위치는 작업 범위에서 스위치 기능을 할 경우, 트랜지스터 및/또는 서로 다른 전자부품 및 그 밖의 부품의 복잡한 회로로서 실시될 수도 있다;
S4' 버스 노드(BKj) 내에 제공된 제2 션트-저항(R2')을 연결하기 위한 - 제2 버스-션트-연결 스위치로도 표현됨 - 제2 연결 스위치. 제2 연결 스위치는 작업 범위에서 스위치 기능을 할 경우, 트랜지스터 및/또는 서로 다른 전자부품 및 그 밖의 부품의 복잡한 회로로서 실시될 수도 있다;
START 스타트 신호;
SYNC 동기화 정보;
tB 비트-스트림-패킷(BP) 내의 싱글 비트 길이;
TXa 제1 드라이버[TRa]를 포함하는 전송기;
TXb 제2 드라이버[TRb]를 포함하는 전송기;
Vbat 전원 공급 케이블;
X1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를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제2 차동 증폭기(D2)의 제1 입력부를 버스 마스터(ECU)의 또 다른 면에 있는 제1 션트-저항(R2)의 제1 연결부 또는 선택적으로 해당 버스 노드(BKj) 내에 제공된 전원 공급 케이블에 있는 측정 저항[Rmj]의 제2 연결부와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를 통해 연결하기 위한 제1 멀티플렉서;
X1'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를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제2 비교 측정기(D2')의 제1 입력부를 버스 마스터(ECU)의 또 다른 면에 있는 제2 션트-저항(R2')의 제1 연결부 또는 선택적으로 해당 버스 노드(BKj) 내에 제공된 전원 공급 케이블에 있는 측정 저항[Rmj]의 제2 연결부와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를 통해 연결하기 위한 제2 멀티플렉서;
X2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를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제2 차동 증폭기(D2)의 제2 입력부를 버스 마스터(ECU)의 반대쪽 면에 있는 제1 션트-저항(R2)의 제2 연결부 또는 해당 버스 노드(BKj) 내에 제공된 전원 공급 케이블에 있는 측정 저항[Rmj]의 제1 연결부와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를 통해 연결하기 위한 제1 멀티플렉서;
X2'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를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제2 비교 측정기(D2')의 제2 입력부를 버스 마스터(ECU)의 반대쪽 면에 있는 제2 션트-저항(R2')의 제2 연결부 또는 해당 버스 노드(BKj) 내에 제공된 전원 공급 케이블에 있는 측정 저항[Rmj]의 제1 연결부와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를 통해 연결하기 위한 제2 멀티플렉서;
X3 버스 노드(BKj)의 제1 주소지정 전원(Iqj)의 연결부를 제1 션트-저항(R2)의 제1 연결부 또는 제1 버스-션트-저항(R2)의 제2 연결부 또는 해당 버스 노드(BKj) 내의 접지와 연결하기 위한 제1 멀티플렉서;
X3' 버스 노드(BKj)의 제2 주소지정 전원(Iq'j)의 연결부를 제2 션트-저항(R2')의 제1 연결부 또는 제2 션트-저항(R2')의 제2 연결부 또는 해당 버스 노드(BKj) 내의 접지와 연결하기 위한 제2 멀티플렉서;
X4 버스 노드(BKj)에 제공된 제2 차동 증폭기(D2)의 입력부를 치환하기 위한 제1 멀티플렉서;
X4' 버스 노드(BKj)에 제공된 또 다른 제2 차동 증폭기(D2')의 입력부를 치환하기 위한 제2 멀티플렉서;
Z1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 또는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가 존재할 수 있는 첫 번째 논리 상태. 첫 번째 논리 상태는 본 공보에서 High로도 표현된다.
z1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가 존재할 수 있는 첫 번째 차동 상태. 첫 번째 차동 상태는 본 공보에서 High로도 표현된다.
Z2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 또는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가 존재할 수 있는 두 번째 논리 상태. 두 번째 논리 상태는 본 공보에서 Low로도 표현된다.
z2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가 존재할 수 있는 두 번째 차동 상태. 두 번째 차동 상태는 본 공보에서 Low로도 표현된다.
Z3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 또는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가 존재할 수 있는 세 번째 논리 상태. 세 번째 논리 상태는 본 공보에서 Idle로도 표현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 또는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의 대응하는 물리적 레벨이 공통의 중간 값만큼의 값을 반드시 갖는 것은 아니다.
z3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가 존재할 수 있는 세 번째 차동 상태. 세 번째 차동 상태는 본 공보에서 Idle로도 표현된다. 바람직하게는, 대응하는 차동 물리적 레벨이 0만큼의 값을 반드시 갖는 것은 아니다.

Claims (76)

  1. 전기 및/또는 전자 버스 노드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
    - 1보다 큰 양의 정수 n을 포함하는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
    - 버스 마스터(ECU)를 포함하며,
    - 이때,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는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 및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를 구비하고,
    -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개별 버스 노드는,
    - 차동 직렬 인터페이스(IFj),
    - 마이크로 컨트롤러(μCj),
    - 클럭 센서(CLKGj),
    - 탐지장치(ATj) 및
    - 어드레스 감지장치(ADRj) 및 버스 노드 어드레스 레지스터(BKADRj)를 구비하며,
    -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버스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체(LEDj) 및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공급장치(EVj)를 포함하는 발광체-버스 노드이며,
    - 적어도 하나의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공급장치(EVj)는 적어도 하나의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체(LED)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제공되며,
    -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는 적어도 첫 번째 차동 논리 상태(z1) 및 두 번째 차동 논리 상태(z2)에 놓일 수 있으며,
    -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 및/또는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발광체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제공된 직렬 인터페이스(IFj)는 상기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와 연결되어 있으며,
    - 버스 마스터(ECU)는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를 위한 제어 명령어를 외부로부터 획득하며,
    - 상기 버스 마스터(ECU)는 제어 명령어를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통해 버스 노드(BK1 내지 BKn)로 전송될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하고,
    - 상기 버스 마스터(ECU)는 버스 마스터(ECU)를 통해 전송될 비트 스트림의 비트를 버스 마스터(ECU)에 의해 제공된 클럭(CLK)에 따라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통해 전송하며,
    - 상기 버스 마스터(ECU)는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의해 생성된 비트 스트림을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통해 수신하며,
    - 개별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클럭 센서(CLKGj)는 각각의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서 탐지신호(CLKAj)를 생성하며,
    - 버스 노드(BKj) 내에서 국부 비트 스트림을 획득하기 위해, 개별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제공된 탐지장치(ATj)는 버스 노드(BKj)의 탐지신호(CLKAj)에 따라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통해 전송된 비트 스트림을 탐지하며,
    - 상기 버스 마스터(ECU)는 전송될 비트 스트림을 비트 시퀀스로서 비트-스트림-패킷(BP)으로 전송하며,
    - 버스 마스터(ECU)도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 가운데 하나의 버스 노드도 데이터를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통해 전송하지 못할 경우, 상기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는 첫 번째 차동 논리 상태(z1) 또는 세 번째 차동 논리 상태(z3)를 점유하며,
    - 상기 비트-스트림-패킷(BP)은 동일한 시간 길이(tB)를 갖는 비트-스트림-패킷(BP)의 m 싱글 비트, 즉 양의 정수에 해당하는 m을 포함하는 m 싱글 비트의 시간 순서를 포함하며, 이때 시간 길이(tB)는 비트-스트림-패킷(BP) 내에서 +/-(0.4/m)*tB의 계수 미만으로 변하며,
    - 상기 버스 마스터(ECU)로부터 전송된 비트-스트림-패킷(B)의 적어도 일부는 다음의 내용, 즉,
    -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에서 두 번째 차동 논리 상태(z2)를 포함하는 각각의 비트-스트림-패킷(BP)의 m 비트의 i-1≤/3을 포함하는 양의 정수 i를 갖는 i 비트 형태의 스타트 신호(START)를 포함하고,
    - 양의 정수 k를 갖는 k 비트로 구성된 동기화 정보(SYNC)를 포함하며, 이때 동기화 정보는,
    - 버스 노드(BKj)에 제공된 클럭 센서(CLKGj)의 탐지신호(CLKAj)를 버스 마스터(ECU)의 클럭(CLK) 위상(phase)으로 위상 동기화하기 위해, 또는
    - 버스 노드(BKj)에 제공된 클럭 센서(CLKGj)의 탐지신호(CLKAj)를 버스 마스터(ECU)의 클럭(CLK) 위상(phase)으로 위상 동기화 및 버스 노드(BKj)에 제공된 클럭 센서(CLKGj)의 탐지신호(CLKAj)를 버스 마스터(ECU)의 클럭(CLK) 주파수로 주파수 동기화하기 위해 제공되며,
    - 개별 비트-스트림-패킷(BP)의 m 비트의 m-i-k 비트의 잔여 비트로 구성된 데이터 정보(DATA)를 포함하며,
    - 어드레스 정보(ADRD), 이용 정보(INFO) 및 테스트 정보(CHKD)를 구비한 데이터 정보(DATA)를 포함하며,
    - 어드레스 정보(ADRD)의 논리 내용이 버스 노드(BKj)의 버스 노드 어드레스 레지스터(BKADRj)의 내용과 일치할 경우, 이용 정보(INFO)의 적어도 일부는 버스 노드(BKj)에 제공된 에너지 공급장치(EVj)를 통해 상기 버스 노드(BKj)의 발광체(LEDj)에 조명 정보에 따라 공급되는 에너지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 정보(ILD)를 구비하는 내용을 포함하며,
    -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제공된 어드레스 감지장치(ADRj)는 비트-스트림-패킷(BP)의 어드레스 정보(ADRD)를 평가하고, 이어서 어드레스 정보(ADRD)의 내용이 버스 노드(BKj)의 버스 노드 어드레스 레지스터(BKADRj)의 내용과 일치할 경우에, 비로소 포함된 이용 정보(INFO)를 상기 어드레스 감지장치가 사용할 수 있으며,
    - 적어도 하나의 버스 노드(BKj)는 자동 주소지정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하며, 이때 자동 주소지정 방법은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 내에서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 가운데 n 버스 노드(BKj)의 물리적 위치와 일치하는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버스 노드 어드레스 레지스터(BAKDRj)에 제공하기 위한 장치.
  2.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1) 및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2)와 싱글 와이어 버스와 연결된 버스 마스터(ECU)를 구비하는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위한 버스 노드로서, 상기 버스 노드는,
    -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1)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는 제1 버스-션트-저항(R2), 및
    -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2)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는 제2 버스-션트-저항(R2'),
    -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에서 버스 노드(BKj)의 버스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차동 제1 공통 모드 주소지정 전원(GLIqj)을 구비하며,
    - 이때, 상기 차동 제1 공통 모드 주소지정 전원(GLIqj)은,
    -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 제1 공통 모드 주소지정 국부 전류를 제어된 상태로 공급할 수 있으며, 이때 제1 전체 전류(ij)는 버스 노드(BKj)에 제공된 제1 버스-션트-저항(R2)을 통해 미리 정해진 제1 전체 전류 값(Iref)으로 제어되고,
    - 제1 공통 모드 주소지정 전류에 대해 동일한 수치, 또는 서로 다른 수치의 제2 공통 모드 주소지정 국부 전류를 동일한 부호를 갖는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에 제1 차동 모드 주소지정 전류의 경우처럼 제어된 상태로 공급할 수 있으며, 이때 제2 전체 전류(i'j)는 버스 노드(BKj)에 제공된 제2 버스-션트-저항(R2')을 통해 미리 정해진 제1 전체 전류 값(Iref)으로 제어되며,
    - 버스 노드(BKj)의 공통 모드 주소지정 전원(GLIqj)의 제1 공통 모드 주소지정 국부 전류는 버스 마스터(ECU) 방향으로 상기 버스 노드(BKj)에 제공된 제1 버스-션트-저항(R2)을 통과하며,
    - 버스 노드(BKj)의 공통 모드 주소지정 전원(GLIqj)의 제2 공통 모드 주소지정 국부 전류는 버스 마스터(ECU) 방향으로 버스 노드(BKj)에 제공된 제2 버스-션트-저항(R2')을 통과하는 버스 노드.
  3. 제2항에 있어서,
    두 개의 제1 및 제2 공통 모드 주소지정 국부 전류 가운데 하나의 공통 모드 주소지정 국부 전류는 0일 수 있거나, 또는 일반적으로 0과 동일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노드.
  4.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1) 및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2)를 구비하는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 버스 마스터(ECU),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1)에 삽입된 제1 버스-션트-저항(R2),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2)에 삽입된 제2 버스-션트-저항(R2') 및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에서 버스 노드(BKj)의 버스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차동 모드 주소지정 전원(GGIqj)을 포함하는 데이터 버스 시스템을 위한 버스 노드로서,
    - 차동 모드 주소지정 전원(GGIqj)은,
    - 제1 차동 모드 주소지정 국부 전류를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 제어된 상태로 공급할 수 있으며, 제1 전체 전류(ij)는 버스 노드(BKj)의 제1 버스-션트-저항(R2)을 통해 제어되며,
    - 제1 차동 모드 주소지정 전류에 대해 동일한 수치의 제2 차동 모드 주소지정 국부 전류를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 즉 제1 차동 모드 주소지정 국부 전류의 부호에 대해 역 순의 부호를 갖는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에 제어된 상태로 공급할 수 있으며, 이때 제2 전체 전류(i'j)는 버스 노드(BKj)에 제공된 제2 버스-션트-저항(R2')을 통해 미리 정해진 제1 전체 전류(Iref)로 제어되며,
    - 버스 노드(BKj)의 차동 모드 주소지정 전원(GGIqj)의 제1 차동 모드 주소지정 국부 전류는 버스 마스터(ECU) 방향으로 버스 노드(BKj)의 제1 버스-션트-저항(R2)을 통과하며,
    - 버스 노드(BKj)의 차동 모드 주소지정 전원(GGIqj)의 제2 차동 모드 주소지정 국부 전류는 버스 마스터(ECU) 방향으로 버스 노드(BKj)의 제2 버스-션트-저항(R2')을 통과하는 버스 노드(BKj).
  5. 제4항에 있어서,
    두 개의 제1 및 제2 차동 모드 주소지정 국부 전류 가운데 하나의 차동 모드 주소지정 국부 전류는 0일 수 있거나, 또는 일반적으로 0과 동일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노드.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제1 버스-션트-저항(R2)을 통해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제1 장치(R2, D2) 및/또는
    - 제2 버스-션트-저항(R2')을 통해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제2 장치(R2', D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노드.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제1 버스-션트-저항(R2)을 통해 측정된 전류는 자체 테스트를 위해 사용 및/또는
    - 제2 버스-션트-저항(R2')을 통해 측정된 전류는 자체 테스트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노드.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탐지장치(DET)는 버스 노드(BKj)의 내부 신호(ds1, ds3)의 타당성을 테스트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노드.
  9. 제8항에 있어서,
    버스 노드(BKj) 또는 버스 노드(BKj)에 제공된 분할 장치(DET)는 탐지 장치(DET)가 버스 노드(BKj)의 내부 신호를 타당한 것으로 확인하지 못할 경우, 조치를 취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노드.
  10. 제2항 또는 제2항과 제3항 또는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 즉 제2항을 인용하는 한 항에 있어서,
    버스 노드(BKj)는 제1 분할 장치(X3) 및 제2 분할 장치(X3')를 구비하며, 상기 분할 장치를 통해 공통 모드 주소지정 전원(GLIqj)의 제1 공통 모드 주소지정 국부 전류의 공급 지점이 제1 버스-션트-저항(R2)의 양측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1)로 전환될 수 있고, 공통 모드 주소지정 전원(GLIqj)의 제2 공통 모드 주소지정 국부 전류의 공급 지점은 제2 버스-션트-저항(R2')의 양측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2)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노드.
  11. 제4항 또는 제4항과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 즉 제4항을 인용하는 한 항에 있어서,
    버스 노드(BKj)는 제1 분할 장치(X3) 및 제2 분할 장치(X3')를 구비하며, 분할 장치는 차동 모드 주소지정 전원(GLIqj)의 제1 차동 모드 주소지정 전류의 공급 지점을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노드.
  12. 제2항 또는 제2항과 제3항 또는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 즉 제2항을 인용하는 한 항에 있어서,
    공통 모드 주소지정 전원(GLIqj)은 첫 번째 시간 상수[τ1]를 통해 공통 모드 주소지정 전류를 증가시키고, 첫 번째 시간 상수[τ1]보다 작은 두 번째 시간 상수[τ2]로 감소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노드.
  13. 제4항 또는 제4항과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 즉 제4항을 인용하는 한 항에 있어서,
    차동 모드 주소지정 전원(GGIqj)은 첫 번째 시간 상수[τ1]를 통해 차동 모드 주소지정 전류를 증가시키고, 첫 번째 시간 상수[τ1]보다 작은 두 번째 시간 상수[τ2]로 감소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노드.
  14.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1) 및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2)와 싱글 와이어 버스에 연결된 버스 마스터(ECU)를 구비하는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위한 버스 노드로서, 상기 버스 노드는,
    -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1)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는 제1 버스-션트-저항(R2)을 포함하고,
    -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2)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는 제2 버스-션트-저항(R2')을 포함하고,
    -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에서 버스 노드(BKj)의 버스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 제1 주소지정 전류를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 제어된 상태로 공급할 수 있는 제1 주소지정 전원(Iqj)을 포함하며, 이때, 제1 전체 전류(ij)는 제1 버스-션트-저항(R2)을 통해 미리 정해진 제1 전체 전류 값(Iref)으로 제어될 수 있고,
    - 버스 노드(BKj)에 제공된 제1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1 주소지정 전류는 버스 노드(BKj)의 제1 버스-션트-저항(R2)을 통과하는 버스 노드.
  15.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1) 및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2)와 싱글 와이어 버스에 연결된 버스 마스터(ECU)를 구비하는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위한 버스 노드로서, 상기 버스 노드는,
    -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1)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는 제1 버스-션트-저항(R2)을 포함하고,
    -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2)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는 제2 버스-션트-저항(R2')을 포함하며,
    -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에서 버스 노드(BKj)의 버스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 제1 주소지정 전류를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 제어된 상태로 공급할 수 있는 제1 주소지정 전원(Iqj)을 포함하며, 이때 제1 전체 전류(ij)는 버스 노드(BKj)의 제1 버스-션트-저항(R2)을 통해 미리 정해진 제1 전체 전류 값(Iref)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에서 버스 노드(BKj)의 버스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 제2 주소지정 전류를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에 제어된 상태로 공급할 수 있는 제2 주소지정 전원(Iq'j)을 포함하며, 이때 제2 전체 전류(ij)는 버스 노드(BKj)의 제2 버스-션트-저항(R2')을 통해 미리 정해진 제2 전체 전류 값(I'ref)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 버스 노드(BKj)에 제공된 제1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1 주소지정 전류는 버스 노드(BKj)의 제1 버스-션트-저항(R2)을 통과하며,
    - 버스 노드(BKj)에 제공된 제2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2 주소지정 전류는 버스 노드(BKj)의 제2 버스-션트-저항(R2')을 통과하는 버스 노드.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 전류를 제1 버스-션트-저항(R2)을 통해 탐지하기 위해, 버스 노드(BKj)는 제1 장치(R2, D2)를 구비 및/또는
    - 전류를 제2 버스-션트-저항(R2')을 통해 탐지하기 위해, 버스 노드(BKj)가 제2 장치(R2', D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노드.
  17. 제16항에 있어서,
    - 제1 버스-션트-저항(R2)을 통해 탐지된 전류는 자체 테스트를 위해 사용 및/또는
    - 제2 버스-션트-저항(R2')을 통해 탐지된 전류는 자체 테스트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노드.
  18. 제1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탐지장치(DET)는 버스 노드(BKj)의 내부 신호(ds1, ds3)의 타당성을 테스트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노드.
  19. 제18항에 있어서,
    버스 노드(BKj) 또는 버스 노드(BKj)의 분할 장치(DET)는 탐지장치(DET)가 버스 노드(BKj)의 내부 신호를 타당한 것으로 확인하지 못할 경우, 조치를 취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노드.
  20. 제14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복수의 항에 있어서,
    - 버스 노드(BKj)는 제1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1 주소지정 전류의 공급 지점을 변경시킬 수 있는 제1 분할 장치(X3) 및/또는
    - 버스 노드(BKj)는 제2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2 주소지정 전류의 공급 지점을 변경시킬 수 있는 제2 분할 장치(X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노드.
  21. 제14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복수의 항에 있어서,
    - 제1 주소지정 전원(Iqj)은 제1 국부 주소지정 전원(Iqj1) 및 또 다른 제1 국부 주소지정 전원(Iqj2)을 구비하고,
    - 제1 국부 주소지정 전원(Iqj1)은 제1 버스-션트-저항(R2)의 제1 연결부와 연결된 노드에 전류를 공급하며,
    - 또 다른 제1 국부 주소지정 전원(Iqj1)은 제1 버스-션트-저항(R2)의 제2 연결부와 연결된 노드에 전류를 공급하며,
    - 두 개의 제1 국부 주소지정 전원(Iqj1, Iqj2)의 전류는 제1 버스-션트-저항(R2)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노드.
  22. 제14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복수의 항에 있어서,
    - 제2 주소지정 전원(Iq'j)은 제2 국부 주소지정 전원(Iq'j1) 및 또 다른 제2 국부 주소지정 전원(Iq'j2)을 구비하고,
    - 제2 국부 주소지정 전원(Iq'j1)은 제2 버스-션트-저항(R2')의 제1 연결부와 연결된 노드에 전류를 공급하며,
    - 또 다른 제2 국부 주소지정 전원(Iq'j1)은 제2 버스-션트-저항(R2')의 제2 연결부와 연결된 노드에 전류를 공급하며,
    - 두 개의 제2 국부 주소지정 전원(Iq'j1, Iq'j2)의 전류는 제2 버스-션트-저항(R2')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노드.
  23. 제14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복수의 항에 있어서,
    - 제1 주소지정 전원(Iqj)은 첫 번째 시간 상수[τ1]를 통해 제1 주소지정 전류를 증가시키고, 첫 번째 시간 상수[τ1]보다 작은 두 번째 시간 상수[τ2]로 감소 및/또는
    - 제2 주소지정 전원(Iq'j)은 세 번째 시간 상수[τ3]를 통해 제2 주소지정 전류를 증가시키고, 세 번째 시간 상수[τ3]보다 작은 네 번째 시간 상수[τ4]로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노드.
  24. 특히 차량-모듈 내에서, 예를 들어 실내등 및/또는 차량의 후미 등 내에서 실외 등과 같은 전기 및/또는 전자 버스 노드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
    - 1보다 큰 양의 정수 n을 포함하는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
    - 버스 마스터(ECU)를 구비하며,
    - 이때, 직렬 양 방향 차동 커뮤니케이션 버스(DB)는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 및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를 구비하고,
    -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개별 버스 노드는 차동 직렬 인터페이스(IFj), 어드레스 감지장치(ADRj) 및 버스 노드 어드레스 레지스터(BKADRj)를 구비하고,
    -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는 적어도 첫 번째 차동 논리 상태(z1) 및 두 번째 차동 논리 상태(z2)에 존재할 수 있으며,
    -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개별 버스 노드에 제공된 개별 직렬 인터페이스(IFj)는 데이터를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통해 송신 및/또는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를 통해 수신하기 위해,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와 연결되어 있으며,
    - 버스 마스터(ECU)는 버스 마스터에 의해 전송될 데이터를 비트 시퀀스로서 비트-스트림-패킷(BP)으로 전송하며,
    - 버스 마스터(ECU)에 의해 전송된 비트-스트림-패킷(BP)의 적어도 일부는 어드레스 정보(ADRD) 및 이용 정보(INFO)를 포함하는 데이터 정보(DATA)를 구비하며,
    -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어드레스 감지장치(ADR1 내지 ADRn)는 비트-스트림-패킷(BP)의 어드레스 정보(ADRD)를 평가하고, 이어서 어드레스 정보(ADRD)의 내용이 버스 노드(BKj)의 버스 노드 어드레스 레지스터(BKADRj)의 내용과 일치할 경우, 즉 어드레스 정보(ADRD)가 버스 노드 어드레스 레지스터(BAKDRj)의 내용과 일치하든지, 또는 어드레스의 그룹, 즉 그룹 가운데 하나의 그룹이 버스 노드 어드레스 레지스터(BAKDRj)의 내용과 일치하는 그룹을 어드레스 정보(ADRD)가 포함할 경우에만, 비로소 개별 어드레스 감지장치(ADRj)의 개별 버스 노드(BKj)를 통해 획득된 이용 정보(INFO)가 사용될 수 있으며,
    - 적어도 하나의 버스 노드(BKj)는 자동 주소지정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하며, 이것은 버스 노드 어드레스 레지스터(BAKDRj)에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때 상기 버스 노드 어드레스는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 내에서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 가운데 버스 노드(BKj)의 물리적 위치와 대응, 즉 어드레스 정보(ADRD)가 버스 노드 어드레스 레지스터(BAKDRj)의 내용과 일치하든지, 또는 어드레스의 그룹, 즉 그룹 가운데 하나의 그룹이 버스 노드 어드레스 레지스터(BAKDRj)의 내용과 일치하는 그룹을 어드레스 정보(ADRD)가 포함하는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마스터(ECU) 및/또는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장치가 제공되며, 이것은 테스트 정보(CHKD) 평가를 토대로 부정확하게 작동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버스 노드(BKj)에 제공된 클럭 센서(CLKGj)를 추론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특히 차량-모듈 내에서, 예를 들어 실내등 및/또는 차량의 후미 등 내에서 실외 등과 같은 전기 및/또는 전자 버스 노드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
    - 1보다 큰 양의 정수 n을 포함하는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
    - 버스 마스터(ECU)를 구비하며,
    - 이때, 직렬 양 방향 차동 커뮤니케이션 버스(DB)는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 및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를 구비하고,
    -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 개별 버스 노드는,
    - 차동 직렬 인터페이스(IFj),
    - 마이크로 컨트롤러(μCj),
    - 클럭 센서(CLKGj),
    - 탐지장치(ATj) 및,
    - 어드레스 감지장치(ADRj) 및 버스 노드 어드레스 레지스터(BKADRj)를 구비하며,
    -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는 적어도 첫 번째 차동 논리 상태(z1) 및 두 번째 차동 논리 상태(z2)에 존재할 수 있으며,
    -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개별 버스 노드에 제공된 직렬 인터페이스(IFj)는 데이터를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통해 송신 및/또는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를 통해 수신하기 위해,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와 연결되어 있으며,
    - 버스 마스터(ECU)는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 )를 위한 제어 명령어를 외부로부터 획득하며,
    - 버스 마스터(ECU)는 제어 명령어를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통해 버스 노드(BK1 내지 BKn)로 전송될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시키며,
    - 버스 마스터(ECU)는 상기 버스 마스터(ECU)에 의해 미리 정해진 클럭(CLK)에 따라 버스 마스터(ECU)를 통해 전송될 비트 스트림의 비트를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통해 전송하며,
    - 버스 마스터(ECU)는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의해 생성된 비트 스트림을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통해 수신하며,
    -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개별 버스 노드(BKj)에 제공된 클럭 센서(CLKGj)는 탐지신호(CLKAj)를 생성하며,
    - 해당 버스 노드(BKj)에서 국부 비트 스트림을 획득하기 위해,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개별 버스 노드에 제공된 탐지장치(ATj)는 해당 버스 노드(BKj)에 제공된 클럭 센서(CLKGj)의 탐지신호(CLKAj)에 따라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통해 전송된 비트 스트림을 탐지하며,
    - 버스 마스터(ECU)는 전송될 비트 스트림을 비트 시퀀스로서 비트-스트림-패킷(BP)으로 전송하며,
    - 버스 마스터(ECU)에 의해 전송된 비트-스트림-패킷(BP)의 적어도 일부는 아래의 내용, 즉,
    - i+k 비트의 수신 그룹의 k 비트로 저장된 초기화 정보(SYNC), 즉 버스 노드(BKj)의 클럭 센서(CLKGj)의 탐지신호(CLKAj)를 버스 마스터(ECU)의 클럭(CLK)으로 초기화하기 위한 초기화 정보를 포함하고,
    - 개별 비트-스트림-패킷(BP)의 m 비트의 잔여 m-i-k 비트에 있는 데이터 정보(DATA)를 구비하며, 이때 데이터 정보(DATA)는 어드레스 정보(ADRD) 및 이용 정보(INFO)를 구비하는 내용을 포함하며,
    -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어드레스 감지장치(ADR1 내지 ADRn)는 비트-스트림-패킷(BP)의 어드레스 정보(ADRD)를 평가하고, 이어서 어드레스 정보(ADRD)의 내용이 버스 노드(BKj)에 제공된 버스 노드 어드레스 레지스터(BKADRj)의 내용과 일치할 경우, 즉 어드레스 정보(ADRD)가 버스 노드 어드레스 레지스터(BAKDRj)의 내용과 일치하든지, 또는 어드레스의 그룹, 즉 그룹 가운데 하나의 그룹이 버스 노드 어드레스 레지스터(BAKDRj)의 내용과 일치하는 그룹을 어드레스 정보(ADRD)가 포함할 경우에만 비로소 개별 버스 노드(BKj)를 통해 획득된 이용 정보(INFO)가 사용될 수 있으며,
    - 적어도 하나의 버스 노드(BKj)는 자동 주소지정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하며, 이것은 버스 노드 어드레스 레지스터(BAKDRj)에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때 상기 버스 노드 어드레스는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 내에서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버스 노드(BKj)의 물리적 위치에 대응, 즉 어드레스 정보(ADRD)가 버스 노드 어드레스 레지스터(BAKDRj)의 내용과 일치하든지, 또는 어드레스의 그룹, 즉 그룹 가운데 하나의 그룹이 버스 노드 어드레스 레지스터(BAKDRj)의 내용과 일치하는 그룹을 어드레스 정보(ADRD)가 포함하는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마스터(ECU) 및/또는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장치가 제공되며, 이것은 테스트 정보(CHKD)의 평가를 토대로 부정확하게 작동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버스 노드(BKj)에 제공된 클럭 센서(CLKGj)를 추론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버스 노드에 버스 어드레스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버스 노드로서, 이때 버스 노드(BK1, BK2, BK3 ...... BKn -1, BKn)에 제공된 버스-션트-저항(R2, R2')을 통해 버스 노드의 버스 어드레스를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버스 노드(BK1), (BK2), (BK3) ...... [BKn -1], [BKn])에 전송 시간에 맞게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버스 노드로서, 상기 버스 어드레스를 버스 노드(BK1), (BK2), (BK3) ...... [BKn -1], [BKn])에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실행하고 난 후, 작동 시간이 그 뒤를 이어 제공되며, 이때 상기 버스 노드는,
    - 제1 버스-션트-저항(R2) 및 제2 버스-션트-저항(R2')을 포함하고,
    - 버스 노드에 버스 어드레스를 전송 시간에 맞게 전송하기 전에는 개방되고, 버스 노드에 버스 어드레스를 나머지 전송 시간 및 작동 시간에 맞게 전송하고 난 후에는 폐쇄되는 제1 버스-션트-연결 스위치(S4)를 포함하며,
    - 버스 노드에 버스 어드레스를 전송 시간에 맞게 전송하기 전에는 개방되고, 버스 노드에 버스 어드레스를 나머지 전송 시간 및 작동 시간에 맞게 전송하고 난 후에는 폐쇄되는 제2 버스-션트-연결 스위치(S4')를 포함하는 버스 노드.
  29. 데이터 버스 시스템의 버스 노드에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전송하는 방법을 위한 버스 노드로서, 이때 상기 데이터 버스 시스템은,
    -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포함하고,
    - 어드레스 입력부(Adri0)를 포함하는 버스 마스터(ECU) 및,
    - 양의 정수 n을 포함하는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를 포함하며,
    - 이때, 버스 노드(BKj)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데이터 라인 섹션(DB1 내지 DBn) 또는 데이터 라인 섹션(DB1 내지 DBn)으로 구성된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와 또 다른 버스 노드(BK2 내지 BKn)를 통해 버스 마스터(ECU)에 연결될 수 있으며, 또한 데이터 버스 시스템은,
    - 추가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추가 라인은 데이터 버스 시스템에 제공된 버스 마스터(ECU)의 어드레스 입력부(Adri0)를 기점으로 하여 상기 데이터 버스 시스템의 모든 버스 노드(BK1 내지 BKn)를 지나며, 상기 추가 라인은 버스 노드(BK1 내지 BKn)를 통해 n 라인 섹션(L1 내지 Ln)으로 분할되며,
    - 개별 버스 노드(BKj)는 버스 노드에 속하는 어드레스 입력부(Adrij)와 버스 노드(BKj)에 속하는 어드레스 출력부(Adroj)를 구비하고,
    - 버스 마스터(ECU)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서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에 연결된 마지막 버스 노드(BKn)를 제외하고, 개별 버스 노드(BKj)의 어드레스 입력부(Adrij)는 후속하는 버스 노드(BKj + 1)에 지정된 라인 섹션(Lj + 1)을 통해 후속하는 버스 노드(BKj + 1)의 어드레스 출력부(Adro (j+1))와 연결되도록 제공되며,
    - 버스 마스터(ECU)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있는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에 연결된 제1 버스 노드(BK1)를 제외하고, 개별 버스 노드(BKj)의 어드레스 출력부(Adroj)는 버스 노드(BKj)에 지정된 라인 섹션(Lj)을 통해 선행하는 버스 노드(BKj -1)의 어드레스 입력부(Adri (j-1))와 연결되도록 제공되며,
    - 제1 버스 노드(BKj)의 어드레스 출력부(Adroj)는 버스 노드(BKj)에 지정된 라인 섹션(L1)을 통해 버스 마스터(ECU)의 어드레스 입력부(Adri0)와 연결되도록 제공되며,
    - 버스 노드(BKj)의 버스 노드 어드레스는 유효하거나, 또는 유효하지 않을 수 있으며,
    -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설정하고, 버스 노드의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유효하거나, 또는 유효하지 않게 만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상기 버스 노드에 제공되며,
    - 버스 노드(BKj)는 주소지정 상태 및 주소지정 상태와 다른 두 번째 작동 상태를 점유할 수 있고, 버스 노드(BKj)는 주소지정 상태와 두 번째 작동 상태 사이를 버스 마스터(ECU)의 명령어에 따라 변경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하며,
    - 버스 노드(BKj)는 버스 노드가 주소지정 상태에 놓이고, 버스 노드의 버스 노드 어드레스가 유효하지 않을 경우, 선행하는 버스 노드(BKj - 1)의 어드레스 입력부(Adri (j-1))의 논리 상태를 오버 라이팅을 통해 첫 번째 논리값으로 설정하거나, 또는 버스 노드가 주소지정 상태에 놓이고, 버스 노드의 버스 노드 어드레스가 유효하지 않을 경우, 선행하는 버스 노드(BKj)의 어드레스 입력부(Adri0)의 논리 상태를 오버 라이팅을 통해 첫 번째 논리값으로 설정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하며,
    - 버스 노드(BKj)는 첫 번째 논리값이 후속하는 버스 노드(BKj + 1)를 통해 오버 라이팅 되지 않을 경우, 주소지정 상태에서 버스 노드의 어드레스 입력부(Adrij)의 논리 상태를 두 번째 논리값으로 설정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하며,
    - 버스 노드는 버스 노드의 버스 노드 어드레스가 유효하기 않고, 버스 노드가 주소지정 상태에 놓일 경우, 그리고 버스 노드의 어드레스 입력부(Adrij)가 두 번째 논리값을 구비할 경우, 버스 마스터(ECU)를 통해 신호 송신된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장차 버스 노드의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로서 채택하고, 이 경우 장차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유효한 것으로 표시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하는 버스 노드.
  30. 제29항에 있어서,
    버스 노드(BKj)의 어드레스 입력부(Adrij)가 두 번째 작동 상태에서 다음 버스 노드(BKj - 1)의 차단-신호의 입력부로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노드.
  31.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버스 노드(BKj)의 어드레스 출력부(Adroj)가 두 번째 작동 상태에서 후속하는 버스 노드(BKj -1) 및/또는 버스 노드(BKj) 자체의 차단-신호의 출력부로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노드.
  32. 제29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복수의 항에 있어서,
    버스 노드(BKj)는 때때로 동일한 데이터 라인을 포함하는 복수의 또 다른 버스 노드(BK1 내지 BKn)와 연결하기 위해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노드.
  33.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와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를 구비하는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기점으로 하는 버스 마스터(ECU) 및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에 연결되어 있는 주소지정 가능한 복수의 버스 노드(BK1 내지 BKn)를 포함하는 데이터 버스 시스템의 버스 노드를 주소지정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이때, 버스 노드(BK1 내지 BKn) 가운데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개별 버스 노드(BKj)는 제1 주소지정 전류를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 공급하고,
    - 버스 노드(BK1 내지 BKn) 가운데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개별 버스 노드(BKj)는 제2 주소지정 전류를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에 공급하며,
    - 전체 주소지정 전류는 버스 마스터(ECU) 방향으로 흐르며,
    -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개별 버스 노드(BKj)는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를 흐르는 첫 번째 전류를 탐지하고,
    -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개별 버스 노드(BKj)는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를 흐르는 두 번째 전류를 탐지하며,
    - 첫 번째 전류를 탐지하지 않거나, 또는 수치상 확정 가능한 첫 번째 임계값보다 작은 첫 번째 전류만 탐지하고, 동시에 두 번째 전류를 탐지하지 않거나, 또는 수치상 확정 가능한 또 다른 첫 번째 임계값보다 작은 두 번째 전류만 탐지하는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버스 노드(BKj)만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버스 노드로서 식별되며,
    - 주소지정을 위해 식별된 버스 노드에 어드레스가 유효한 버스 노드 어드레스로서 지정되며,
    - 전술한 단계는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전체 버스 노드가 주소지정 될 때까지, 마지막으로 주소지정 된 버스 노드 없이 실시되는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첫 번째 임계값은 또 다른 첫 번째 임계값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5. 제33항 또는 제34항에 있어서,
    - 유효하거나, 또는 일시적인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주소지정 된 버스 노드와 함께 유효하거나, 또는 일시적인 버스 노드 어드레스 없는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버스 노드는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에 연결되며,
    -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버스 노드는 제1 정전류를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 공급하고, 제2 정전류를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에 공급하며,
    -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개별 버스 노드는 주소지정 전류를 공급하기 전에,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를 흐르는 제1 정전류 및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를 흐르는 제2 정전류를 탐지하며,
    -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버스 노드만 제1 주소지정 전류를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 공급하고, 제2 주소지정 전류를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에 공급하며,
    - 이전의 전류 탐지와 달리,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전체 버스 노드를 흐르는 주소지정 전류를 공급할 때, 첫 번째 전류 또는 두 번째 전류의 전류 편차를 탐지하지 않거나, 또는 확정 가능한 두 번째 임계값 보다 작은 첫 번째 전류 또는 두 번째 전류의 전류 편차만 탐지하는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버스 노드만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버스 노드로서 식별되며,
    - 주소지정을 위해 식별된 버스 노드에 어드레스가 유효하거나, 또는 일시적인 버스 노드 어드레스로서 지정되며,
    - 전술한 단계는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전체 버스 노드가 주소지정 될 때까지, 마지막으로 주소지정 된 버스 노드 없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두 번째 임계값은 첫 번째 임계값 또는 또 다른 첫 번째 임계값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7. 제33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복수의 항에 있어서,
    - 주소지정 가능한 개별 버스 노드는 0일 수 있는 제1 정전류를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 공급하고,
    - 주소지정 가능한 개별 버스 노드는 0일 수 있는 제2 정전류를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에 공급하며,
    -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개별 버스 노드는 제1 정전류를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 공급하고, 제2 정전류를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에 공급하며,
    -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버스 노드는 정전류 공급으로 인해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를 흐르는 첫 번째 전류와 정전류 공급으로 인해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를 흐르는 두 번째 전류를 탐지하며,
    -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버스 노드 가운데 어떤 버스 노드가 확정 가능한 세 번째 임계값을 초과하는 첫 번째 전류를 탐지하는지 측정되고,
    -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버스 노드 가운데 어떤 버스 노드가 확정 가능한 또 다른 세 번째 임계값을 초과하는 두 번째 전류를 탐지하는지 측정되며,
    - 정전류를 공급할 때, 세 번째 임계값보다 작거나, 또는 세 번째 임계값과 동일한 첫 번째 전류를 탐지하는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버스 노드만 제1 주소지정 전류를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 공급하고,
    - 정전류를 공급할 때, 또 다른 세 번째 임계값보다 작거나, 또는 또 다른 세 번째 임계값과 동일한 두 번째 전류를 탐지하는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버스 노드만 제2 주소지정 전류를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에 공급하며,
    - 주소지정 전류를 공급하는,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버스 노드의 그룹으로부터 단지 버스 노드, 즉 첫 번째 전류를 탐지하지 않거나, 또는 확정 가능한 네 번째 임계값보다 작은 첫 번째 전류만 탐지하고, 두 번째 전류를 탐지하기 않거나, 또는 확정 가능한 또 다른 네 번째 임계값보다 작은 두 번째 전류만 탐지하는 버스 노드만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버스 노드로서 식별되며,
    - 주소지정을 위해 식별된 버스 노드에 어드레스가 유효하거나, 또는 일시적인 버스 노드 어드레스로서 지정되며,
    - 전술한 단계는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전체 버스 노드가 주소지정 될 때까지, 마지막으로 주소지정 된 버스 노드 없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세 번째 및/또는 네 번째 임계값 및/또는 또 다른 세 번째 및/또는 또 다른 네 번째 임계값은 첫 번째 임계값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9. 제33항 내지 제38항 가운데 어느 한 항 또는 복수의 항에 있어서,
    - 주소지정 가능한 버스 노드와 함께 확정된 버스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주소지정 불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버스 노드, 즉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 제1 정전류를 공급하고,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에 제2 정전류를 공급하는 버스 노드는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에 연결되며,
    - 제1 주소지정 전류를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 공급하기 전에, 주소지정 가능한 버스 노드 가운데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개별 버스 노드는 주소지정 불가능한 전체 버스 노드의 정전류 공급으로 인해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 흐르는 첫 번째 전류를 첫 번째 전류 탐지를 통해 측정하고,
    - 제2 주소지정 전류를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에 공급하기 전에, 주소지정 가능한 버스 노드 가운데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개별 버스 노드는 주소지정 불가능한 전체 버스 노드의 정전류 공급으로 인해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에 흐르는 두 번째 전류를 두 번째 전류 탐지를 통해 측정하며,
    - 이어서, 주소지정 가능한 개별 버스 노드는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 제1 정전류를 공급하고,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에 제2 정전류를 공급하며,
    - 주소지정 가능한 버스 노드 가운데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버스 노드의 어떤 버스 노드가 확정 가능한 다섯 번째 임계값을 초과하는 첫 번째 전류를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서 탐지하는지 측정되고,
    - 주소지정 가능한 버스 노드 가운데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버스 노드의 어떤 버스 노드가 확정 가능한 또 다른 다섯 번째 임계값을 초과하는 두 번째 전류를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에서 탐지하는지 측정되며,
    - 제1 정전류를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 공급할 때, 다섯 번째 임계값보다 작거나, 또는 다섯 번째 임계값과 동일한 첫 번째 전류를 탐지하는 주소지정 가능한 버스 노드 가운데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버스 노드만 제1 주소지정 전류를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 공급하고,
    - 제2 정전류를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에 공급할 때, 또 다른 다섯 번째 임계값 보다 작거나, 또는 또 다른 다섯 번째 임계값과 동일한 두 번째 전류를 탐지하는 주소지정 가능한 버스 노드 가운데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버스 노드만 제2 주소지정 전류를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에 공급하며,
    - 주소지정 전류를 공급하는,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버스 노드의 그룹으로부터 단지 버스 노드, 즉 첫 번째 전류 탐지와 달리, 첫 번째 전류의 전류 편차를 탐지하지 않거나, 또는 확정 가능한 여섯 번째 임계값보다 작은 첫 번째 전류의 전류 편차만 탐지하고, 첫 번째 전류 탐지와 달리, 두 번째 전류의 전류 편차를 탐지하지 않거나, 또는 확정 가능한 또 다른 여섯 번째 임계값보다 작은 두 번째 전류의 전류 편차만 탐지하는 버스 노드만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버스 노드로서 식별되며,
    - 주소지정을 위해 식별된 버스 노드에 어드레스가 유효하거나, 또는 일시적인 버스 노드 어드레스로서 지정되며,
    - 전술한 단계는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전체 버스 노드가 주소지정 될 때까지, 마지막으로 주소지정 된 버스 노드 없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다섯 번째 임계값 및/또는 여섯 번째 임계값 및/또는 또 다른 다섯 번째 임계값 및/또는 또 다른 여섯 번째 임계값은 첫 번째 임계값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1. 제33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복수의 항에 있어서,
    - 버스 노드에서 첫 번째 전류 탐지는 주소지정 가능한 버스 노드에 지정된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의 제1 버스-션트-저항(R2)을 통해 실시되고,
    - 버스 노드에서 두 번째 전류 탐지는 주소지정 가능한 버스 노드에 지정된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의 제2 버스-션트-저항(R2')을 통해 실시되며,
    - 주소지정 가능한 버스 노드에 지정된 제1 버스-션트-저항(R2)은 주소지정 가능한 개별 버스 노드에 지정된 제2 버스-션트-저항(R2')과 동일하거나, 또는 일반적으로 서로 90% 또는 80% 또는 70% 또는 60% 또는 50% 또는 40% 또는 30% 또는 20% 또는 10% 또는 5% 미만만큼 편차를 갖는 정도로 동일하며,
    - 전체 제1 버스-션트-저항(R2)은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에서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 전체 제2 버스-션트-저항(R2')은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에서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2. 제33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복수의 항에 있어서,
    전류 탐지는 전압 탐지를 바탕으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3. 제33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복수의 항에 있어서,
    어드레스 지정은 식별된 버스 노드에 어드레스를 전송함으로써, 즉
    - 버스 노드 식별 전에,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전체 버스 노드에 동일한 버스 노드가 전송되고,
    - 이어서, 식별된 버스 노드만 어드레스를 유효하거나, 또는 일시적인 버스 노드 어드레스로서 지정함으로써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4. 제33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복수의 항에 있어서,
    - 어드레스 지정은 버스 노드의 첫 번째 식별 이후에 실시되거나, 또는
    - 버스 노드 어드레스의 검증은 버스 노드의 식별 이후에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5. 제33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복수의 항에 있어서,
    버스 노드의 식별과 관련한 검증은 또 다른 제1 주소지정 전류 및/도는 제2 주소지정 전류 및/또는 단지 제1 주소지정 전류 또는 단지 제2 주소지정 전류 또는 또 다른 제1 주소지정 전류 또는 또 다른 제2 주소지정 전류를 포함하는 버스 노드를 다시 한번 식별 및/또는 또 다른 싱글 와이어 버스를 통해 버스 노드를 식별 및 첫 번째 식별과 두 번째 식별을 비교함으로써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6. 제33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복수의 항에 있어서,
    관련기기의 식별과 관련한 검증은 또 다른 자동 주소지정 방법을 통해 관련기기의 재검증 및 첫 번째 식별과 두 번째 식별의 비교를 통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7.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와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b)를 구비하는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기점으로 하는 버스 마스터(ECU) 및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에 연결된 주소지정 가능한 복수의 버스 노드(BK1 내지 BKn)를 포함하는 데이터 버스 시스템의 버스 노드를 주소지정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에서,
    - 버스 노드((BK1 내지 BKn) 가운데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개별 버스 노드(BKj)는 다음에서 주소지정-싱글 와이어 버스로 표현되는 싱글 와이어 버스(DBa, DBb)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싱글 와이어 버스에 주소지정 전류를 공급하고,
    - 마찬가지로,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또 다른 모든 버스 노드도 주소지정 전류를 주소지정-싱글 와이어 버스에 공급하며,
    - 전체 주소지정 전류는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지나 버스 마스터(ECU) 방향으로 흐르며,
    - 주소지정 가능한 버스 노드 가운데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개별 버스 노드(BKj)는 주소지정-싱글 와이어 버스를 흐르는 전류를 탐지하며,
    - 주소지정 가능한 버스 노드 가운데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개별 버스 노드, 즉 전류를 탐지하지 않거나, 또는 확정 가능한 첫 번째 임계값보다 수치가 작은 전류만 탐지하는 버스 노드(BKj)만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버스 노드로서 식별되고,
    - 주소지정을 위해 식별된 버스 노드에 어드레스가 유효하거나, 또는 일시적인 버스 노드 어드레스로서 지정되며,
    - 전술한 단계는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전체 버스 노드가 주소지정 될 때까지, 마지막으로 주소지정 된 버스 노드 없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8. 제47항에 있어서,
    - 주소지정 된 버스 노드와 함께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버스 노드는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에 연결되어 있고,
    -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개별 버스 노드는 주소지정-싱글 와이어 버스에 정전류를 공급하고,
    -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개별 버스 노드는 주소지정 전류를 공급하기 전에, 주소지정-싱글 와이어 버스에 흐르는 정전류를 탐지하며,
    -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개별 버스 노드만 버스 노드의 주소지정 전류를 주소지정-싱글 와이어 버스에 공급하고,
    - 주소지정 가능한 버스 노드 가운데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버스 노드, 즉 이전의 전류 탐지와 달리,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전체 버스 노드를 지나 흐르는 주소지정 전류를 공급할 때, 전류 편차를 탐지하지 않거나, 또는 수치상 확정 가능한 두 번째 임계값보다 작은 전류 편차만 탐지하는 버스 노드만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버스 노드로서 식별되며,
    - 주소지정을 위해 식별된 버스 노드에 어드레스가 유효하거나, 또는 일시적인 버스 노드 어드레스로서 지정되며,
    - 전술한 단계는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전체 버스 노드가 주소지정 될 때까지, 마지막으로 주소지정 된 버스 노드 없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9. 제48항에 있어서,
    두 번째 임계값은 첫 번째 임계값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0. 제47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복수의 항에 있어서,
    - 주소지정 가능한 개별 버스 노드는 주소지정-싱글 와이어 버스에 정전류를 공급하고,
    -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개별 버스 노드는 정전류 공급으로 인해 주소지정-싱글 와이어 버스를 흐르는 전류를 탐지하고,
    -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버스 노드 가운데 어떤 버스 노드가 수치상 확정 가능한 세 번째 임계값을 초과하는 전류를 탐지하는지 측정되며,
    -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버스 노드, 즉 정전류를 공급할 때, 수치상 세 번째 임계값보다 작거나, 또는 세 번째 임계값과 동일한 전류를 탐지하는 버스 노드만 주소지정 전류를 주소지정-싱글 와이어 버스에 공급하며,
    - 주소지정 전류를 공급하는,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버스 노드의 그룹으로부터 단지 버스 노드, 즉 전류를 탐지하지 않거나, 또는 수치상 확정 가능한 네 번째 임계값보다 작은 전류만 탐지하는 버스 노드만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버스 노드로서 식별되고,
    - 주소지정을 위해 식별된 버스 노드에 어드레스가 유효하거나, 또는 일시적인 버스 노드 어드레스로서 지정되며,
    - 전술한 단계는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전체 버스 노드가 주소지정 될 때까지, 마지막으로 주소지정 된 버스 노드 없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1. 제50항에 있어서,
    세 번째 및/또는 네 번째 임계값은 첫 번째 임계값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2. 제47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복수의 항에 있어서,
    - 주소지정 가능한 버스 노드와 함께 확정된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주소지정 불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버스 노드, 즉 주소지정-싱글 와이어 버스에 정전류를 공급하는 버스 노드도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에 연결되며,
    - 주소지정 전류를 공급하기 전에,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개별 버스 노드는 주소지정 불가능한 전체 버스 노드의 정전류 공급으로 인해 주소지정-싱글 와이어 버스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고,
    - 이어서, 주소지정 가능한 개별 버스 노드는 주소지정-싱글 와이어 버스에 정전류를 공급하며,
    -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버스 노드 가운데 어떤 버스 노드가 확정 가능한 다섯 번째 임계값을 초과하는 전류를 탐지하는지 측정되며,
    -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버스 노드, 즉 정전류를 공급할 때, 수치상 다섯 번째 임계값보다 작거나, 또는 다섯 번째 임계값과 동일한 전류를 탐지하는 버스 노드만 주소지정 전류를 버스에 공급하며,
    - 주소지정 전류를 공급하는,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버스 노드의 그룹으로부터 단지 버스 노드, 즉 첫 번째 전류 탐지와 달리 전류 편차를 탐지하기 않거나, 또는 확정 가능한 여섯 번째 임계값보다 작은 전류 편차만 탐지하는 버스 노드만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버스 노드로서 식별되며,
    - 주소지정을 위해 식별된 버스 노드에 어드레스가 유효하거나, 또는 일시적인 버스 노드 어드레스로서 지정되며,
    - 전술한 단계는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전체 버스 노드가 주소지정 될 때까지, 마지막으로 주소지정 된 버스 노드 없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3. 제52항에 있어서,
    다섯 번째 임계값 및/또는 여섯 번째 임계값은 첫 번째 임계값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4. 제47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복수의 항에 있어서,
    - 버스 노드에서 전류 탐지는 주소지정 가능한 버스 노드에 지정된 션트-저항(R2, R2')을 통해 주소지정-싱글 와이어 버스에서 실시되며,
    - 주소지정-싱글 와이어 버스가 아닌 또 다른 싱글 와이어 버스에 주소지정 가능한 버스 노드에 지정된 또 다른 션트-저항이 배열되어 있으며, 이때 또 다른 션트-저항은 주소지정-싱글 와이어 버스에 있는 션트-저항과 동일하거나, 또는 일반적으로 서로 90% 또는 80% 또는 70% 또는 60% 또는 50% 또는 40% 또는 30% 또는 20% 또는 10% 또는 5% 미만만큼 편차를 갖는 정도로 동일하며,
    - 전체 션트-저항은 주소지정-싱글 와이어 버스에서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 전체 션트-저항은 또 다른 싱글 와이어 버스에서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5. 제54항에 있어서,
    전류 탐지는 전압 탐지를 토대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6. 제47항 내지 제55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복수의 항에 있어서,
    어드레스 지정은 식별된 버스 노드에 어드레스를 전송함으로써, 또는,
    - 버스 노드 식별 전에 아직 주소지정 되지 않은 전체 버스 노드에 동일한 버스 노드가 전송되고,
    - 이어서, 식별된 버스 노드만 어드레스를 버스 노드의 버스 노드 어드레스로서 지정함으로써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7. 제47항 내지 제55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복수의 항에 있어서,
    - 어드레스 지정은 버스 노드의 첫 번째 식별 이후에 실시, 또는
    - 버스 노드 어드레스 검증은 버스 노드의 식별 이후에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8. 제57항에 있어서,
    버스 노드의 식별과 관련한 검증은 버스 노드를 다시 한번 식별 및/또는 또 다른 싱글 와이어 버스를 통해 버스 노드의 식별 및 첫 번째 식별과 두 번째 식별의 비교를 통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9. 제57항 또는 제58항에 있어서,
    관련기기의 식별과 관련한 검증은 또 다른 자동 주소지정 방법을 통해 관련기기를 다시 한번 검증 및 첫 번째 식별과 두 번째 식별의 비교를 통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0. 데이터 버스 시스템 내에서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전송하기 위한 자동 주소지정 방법으로서, 데이터 버스 시스템은,
    - 0보다 큰 양의 정수 n을 포함하는 n 버스 노드(BK1, BK2, BK3 ...... BKn -1, BKn)의 체인으로서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
    -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를 기점으로 하는 버스 마스터(ECU)를 포함하며,
    - 이때, 버스 마스터(ECU)에 가까운 제1 버스 노드를 제외하고, 개별 버스 노드(BK2, BK3 ...... BKn -1, BKn)는 버스 마스터(ECU) 방향으로 인접해 있고, 선행하는 버스 노드(BK1, BK2, BK3 ...... BKn - 1)를 구비하며,
    - 제1 버스 노드를 제외하고, 개별 버스 노드(BK2, BK3 ...... BKn -1, BKn)는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연결 섹션을 통해 전술한 선행하는 버스 노드(BK1, BK2, BK3 ...... BKn - 1)와 연결되며,
    - 제1 버스 노드(BK1)는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연결 섹션을 통해 버스 마스터(ECU)와 연결되며,
    - 제1 버스 노드를 제외하고, 개별 버스 노드(BK2, BK3 ...... BKn -1, BKn)는 버스 노드(BK2, BK3 ...... BKn -1, BKn)와 버스 노드의 선행하는 버스 노드(BK1, BK3 ...... BKn -1, BKn -1) 사이의 연결 섹션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제1 싱글 와이어 버스의 섹션을 통해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i2, i3 ...... i(n-1), in)를 버스 노드의 선행하는 버스 노드(BK1, BK2, BK3 ...... BKn-1)로 전송하고,
    - 제1 버스 노드를 제외하고, 개별 버스 노드(BK2, BK3 ...... BKn -1, BKn)는 버스 노드(BK2, BK3 ...... BKn -1, BKn)와 버스 노드의 선행하는 버스 노드(BK1, BK3, ...... BKn -1, BKn -1) 사이의 연결 섹션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제2 싱글 와이어 버스의 섹션을 통해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i'2, i'3 ...... i'( n-1), i'n)를 버스 노드의 선행하는 버스 노드(BK1, BK2, BK3 ...... BKn-1)로 전송하며,
    - 제1 버스 노드(BK1)는 제1 버스 노드(BK1)와 버스 마스터(ECU) 사이의 연결 섹션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제1 싱글 와이어 버스의 섹션을 통해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i1)를 버스 마스터(ECU)에 전송하고,
    - 제1 버스 노드(BK1)는 제1 버스 노드(BK1)와 버스 마스터(ECU) 사이의 연결 섹션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2)의 섹션을 통해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i1)를 버스 마스터(ECU)에 전송하며,
    - 버스 마스터(ECU)는 제1 버스 노드(BK1)와 버스 마스터(ECU) 사이의 연결 섹션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1)의 섹션을 통해 제1 버스 노드 입력 전류(i1)를 버스 노드에 후속하는 제1 버스 노드(BK1)로부터 수신하고,
    - 버스 마스터(ECU)는 제1 버스 노드(BK1)와 버스 마스터(ECU) 사이의 연결 섹션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2)의 섹션을 통해 제2 버스 노드 입력 전류(i'1)를 버스 노드에 후속하는 제1 버스 노드(BK1)로부터 수신하며,
    - 개별 버스 노드(BK1, BK2 ...... BKn - 1)는 버스 노드(BK2, BK3 ...... BKn -1, BKn)와 선행하는 버스 노드(BK1, BK3, ...... BKn -1, BKn -1) 사이의 연결 섹션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1)의 섹션을 통해 제1 버스 노드 입력 전류(i2, i3 ...... i(n-1), in)를 버스 노드에 후속하는 버스 노드(BK2, BK3 ...... BKn -1, BKn)로부터 수신하고,
    - 개별 버스 노드(BK1, BK2 ...... BKn - 1)는 버스 노드(BK2, BK3 ...... BKn -1, BKn)와 선행하는 버스 노드(BK1, BK3 ...... BKn -1, BKn -1) 사이의 연결 섹션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2)의 섹션을 통해 제2 버스 노드 입력 전류(i2, i3 ...... i(n-1), in)를 버스 노드에 후속하는 버스 노드(BK2, BK3 ...... BKn -1, BKn)로부터 수신하며,
    또한, 데이터 버스 시스템은 아래의 단계,
    - 최대 주소지정 전류(Iamax)를 결정하는 단계, 즉,
    - n 버스 노드(BK1, BK2 ...... BKn -1, BKn) 가운데 유효하지 않거나, 또는 일시적인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구비하는 주소지정 가능한 개별 버스 노드를 위해, 그리고 n 버스 노드(BK1, BK2 ...... BKn -1, BKn) 가운데 주소지정 가능한 모든 버스 노드가 유효하거나, 또는 일시적인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구비할 때까지, 초기화 시퀀스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때 초기화 시퀀스는 아래의 단계,
    - n 버스 노드((BK1), (BK2) ...... [BKn -1], [BKn])의 모든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에 전송될 버스 어드레스의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 다음에서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로 표현되는 n 버스 노드((BK1), (BK2) ...... [BKn -1], [BKn])의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의 개별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를 실행하기 위해, 아래의 단계, 즉,
    -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를 통해 상기 버스 마스터(ECU)로부터 전술한 자동 주소지정 명령어를 수신하는 단계;
    -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를 통해 상기 버스 마스터(ECU)로부터 전송될 버스 어드레스를 수신하는 단계;
    -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를 통해 상기 버스 마스터(ECU)로부터 전송될 버스 어드레스를 전송하기 위한 스타트 신호 수신 단계 및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를 통해 타이머를 스타트하는 단계;
    -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와 선행하는 (j-1) 번째 버스 노드(BKj -1) 사이의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연결 섹션의 일부에 해당하는 제1 싱글 와이어 버스(DBa)의 섹션(DB1)을 통해 후속하는 버스 노드((BKj +1, BKj + 2 ... BKn -1, BKn))로부터 수신된 제1 버스 입력 전류(i(j+1))를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1 버스 출력 전류(ij)의 일부로서 공급하는 단계;
    -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와 선행하는 (j-1) 번째 버스 노드(BKj -1) 사이의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연결 섹션의 일부에 해당하는 제2 싱글 와이어 버스(DB2)의 섹션을 통해 후속하는 버스 노드(BKj+1, BKj + 2 ...)로부터 수신된 제2 버스 입력 전류(i'( j+1))를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2 버스 출력 전류(i'j)의 일부로서 공급하는 단계;
    -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첫 번째 값을 제1 측정 장치(R2, D2, D3)를 통해 측정하는 단계;
    -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두 번째 값을 제2 측정 장치(R2', D2', D3')를 통해 측정하는 단계;
    -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측정된 첫 번째 값으로부터 제어를 위한 제1 장치(F)를 통해 첫 번째 제어 신호(rwj)를 생성하는 단계;
    -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측정된 두 번째 값으로부터 제어를 위한 제2 장치(F')를 통해 두 번째 제어 신호(rw'j)를 생성하는 단계;
    - 제어된 제1 자동 주소지정 전원의 제1 주소지정 전류가 제1 버스 출력 전류(ij)의 양에 해당하는 제어된 제1 자동 주소지정 전원(Iqj)을 통해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를 흐르는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를 생성된 첫 번째 제어 신호(rwj)에 따라 미리 정해진 첫 번째 전류 값[Iref]으로 조정하는 단계;
    -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어된 제1 자동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1 주소지정 전류는 첫 번째 시간 상수[τ1]로 증가 되고,
    -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어된 제1 자동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1 주소지정 전류는 두 번째 시간 상수[τ2]로 감소되며,
    - 두 번째 시간 상수[τ2]는 첫 번째 시간 상수[τ1]보다 작으며,
    - 제어된 제2 자동 주소지정 전원의 제2 주소지정 전류는 제2 버스 출력 전류(i'j)의 양에 해당하는 제어된 제2 자동 주소지정 전원(Iq'j)을 통해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를 흐르는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를 생성된 두 번째 제어 신호(rw'j)에 따라 미리 정해진 두 번째 전체 전류 값[I'ref]으로 조정하는 단계,
    - 이때,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어된 제2 자동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2 주소지정 전류는 세 번째 시간 상수[τ3]로 증가 되고,
    -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어된 제2 자동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2 주소지정 전류는 네 번째 시간 상수[τ4]로 감소되며,
    - 네 번째 시간 상수[τ4]는 세 번째 시간 상수[τ3]보다 작으며,
    -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첫 번째 임계값(SWj)과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첫 번째 제어 신호(rwj)의 첫 번째 제어 값(rj)을 비교하는 단계,
    -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두 번째 임계값(SW'j)과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두 번째 제어 신호(rw'j)의 두 번째 제어 값(r'j)을 비교하는 단계,
    - 타이머 스타트 이후,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1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어를 첫 번째 시점(t1)으로 동결하는 단계,
    - 타이머 스타트 이후,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2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어를 두 번째 시점(t2)으로 동결하는 단계,
    - 타이머가 스타트하고 나서 최소 시간이 경과 할 경우, 그리고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1 자동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1 주소지정 전류가 수치상 전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을 첫 번째 임계값(SWj)과 첫 번째 제어 값(rj)을 비교 및/또는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2 자동 주소지정 전원(Iq'j)의 제2 주소지정 전류가 수치상 전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을 두 번째 임계값(SW'j)과 두 번째 제어 값(r'j)을 비교할 경우,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유효하거나, 일시적인 버스 노드 어드레스로서 버스 마스터(ECU)로부터 전송될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채택 및 첫 번째 시점(t1)과 두 번째 시점(t2) 이후 세 번째 시점(t3)에 주소지정 능력 없는 버스 노드로서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를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버스 노드 어드레스로서 전송될 버스 노드 어드레스로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로 인해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는 다음 통지가 있을 때까지 다음의 초기화 시퀀스에 참여하지 않고,
    - 버스 마스터(ECU)를 통한 성공적인 어드레스 전송 테스트;
    - 경우에 따라, 전송된 마지막 버스 노드 어드레스의 유효성을 삭제함으로써,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가 다시 유효하거나, 일시적인 버스 노드 어드레스 없는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와 같은 상태로 되며,
    - 모드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가 유효하거나, 또는 일시적인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획득하는지 테스트 되며,
    - 모드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가 유효하거나, 또는 일시적인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획득하지 못할 경우, 또 다른 초기화 시퀀스를 실행하는 자동 주소지정 방법.
  61. 제60항에 있어서,
    전송될 버스 노드 어드레스 채택 이후 또는 채택과 동시에 실시되는 아래의 단계, 즉
    - 제1 버스-션트-저항(R2)을 제1 버스-션트-연결 스위치(S4)를 통해 연결 및/또는
    - 제2 버스-션트-저항(R2')을 제2 버스-션트-연결 스위치(S4')를 통해 연결하는 단계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2. 제61항에 있어서,
    -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버스 노드 어드레스가 유효하지 않거나, 또는 일시적이지 않을 경우, 제1 버스-션트-연결 스위치(S4)를 개방 및/또는
    -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버스 노드 어드레스가 유효하지 않거나, 또는 일시적이지 않을 경우, 제2 버스-션트-연결 스위치(S4')를 개방하는 단계가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3. 제60항 내지 제62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복수의 항에 있어서,
    - 세 번째 시간 상수(τ3)는 첫 번째 시간 상수(τ1)보다 10보다 큰 계수만큼 작고,
    - 네 번째 시간 상수(τ4)는 두 번째 시간 상수(τ2)보다 10보다 큰 계수만큼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4. 제60항 내지 제63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복수의 항에 있어서,
    - 세 번째 시간 상수(τ3)는 제1 측정 장치(R2, D2, D3)를 통해 측정된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1 버드 노드 출력 전류(ij)의 첫 번째 값에 따라, 및/또는
    - 네 번째 시간 상수(τ4)는 제2 측정 장치(R2', D2', D3')를 통해 측정된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2 버드 노드 출력 전류(i'j)의 두 번째 값에 따라 좌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5. 제60항 내지 제64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복수의 항에 있어서,
    - 첫 번째 시간 상수(τ1)는 제1 측정 장치(R2, D2, D3)를 통해 측정된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1 버드 노드 출력 전류(ij)의 첫 번째 값에 따라, 및/또는
    - 두 번째 시간 상수(τ2)는 제2 측정 장치(R2', D2', D3')를 통해 측정된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2 버드 노드 출력 전류(i'j)의 두 번째 값에 따라 좌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6. 제60항 내지 제65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복수의 항에 있어서,
    - 첫 번째 시간 상수(τ1)는 첫 번째 시간 상수(τ1)의 값이 임계값 미만일 때 첫 번째 값을 채택하고, 임계값 초과일 때 두 번째 값을 채택하도록 제1 측정 장치(R2, D2, D3)를 통해 측정된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1 버드 노드 출력 전류(ij)의 값에 따라 좌우 및/또는
    - 두 번째 시간 상수(τ2)는 두 번째 시간 상수(τ2)의 값이 임계값 미만일 때 세 번째 값을 채택하고, 임계값 초과일 때 네 번째 값을 채택하도록 제2 측정 장치(R2', D2', D3')를 통해 측정된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2 버드 노드 출력 전류(i'j)의 값에 따라 좌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7. 제60항 내지 제66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복수의 항에 있어서,
    -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측정된 첫 번째 값의 타당성을 테스트하고,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측정된 첫 번째 값이 타당하지 않을 경우 조치, 및/또는
    -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측정된 두 번째 값의 타당성을 테스트하고,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측정된 두 번째 값이 타당하지 않을 경우 조치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8. 제67항에 있어서,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측정된 첫 번째 값이 타당하지 않을 경우, 제1 주소지정 전류(ij)의 공급 지점을 새로 결정하는 추가 단계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9. 제67항 또는 제68항에 있어서,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측정된 첫 번째 값과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측정된 두 번째 값이 타당하지 않을 경우, 제1 주소지정 전류(ij)의 공급 지점과 제2 주소지정 전류(i'j)의 공급 지점을 새로 결정하는 추가 단계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0. 제67항 내지 제69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복수의 항에 있어서,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측정된 첫 번째 값 및/또는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측정된 두 번째 값이 타당하지 않을 경우/전술한 것들이 타당하지 않을 경우, 요청에 따라,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오류를 버스 마스터(ECU)를 통해 신호 송신하는 추가 단계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1. 제67항 내지 제70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복수의 항에 있어서,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에 제공된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첫 번째 값을 제1 측정 장치(R2, D1, D3)를 통해 측정하는 단계를 실시하기 위한 추가 단계, 즉,
    -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측정된 첫 번째 값이 타당할 경우,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첫 번째 값을 제1 부호를 갖는 제1 측정 장치(R2, D1, D3)를 통해 측정, 및
    -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측정된 첫 번째 값이 타당하지 않을 경우,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첫 번째 값을 제2 부호를 갖는 제1 측정 장치(R2, D1, D3)를 통해 측정하는 추가 단계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2. 제67항 내지 제70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복수의 항에 있어서,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두 번째 값을 제2 측정 장치(R2', D1', D3')를 통해 측정하는 단계를 실시하기 위한 추가 단계, 즉,
    -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측정된 두 번째 값이 타당할 경우,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두 번째 값을 제1 부호를 갖는 제2 측정 장치(R2', D1', D3')를 통해 측정, 및
    -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측정된 두 번째 값이 타당하지 않을 경우,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두 번째 값을 제1 부호로 변환된 제2 부호를 갖는 제2 측정 장치(R2', D1', D3')를 통해 측정하는 추가 단계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3. 제67항 내지 제70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복수의 항에 있어서,
    -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두 번째 값을 제2 측정 장치(D2', D1', D3')를 통해 측정하는 단계의 실행은,
    -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사전에 측정된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첫 번째 값이 타당할 뿐만 아니라,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사전에 측정된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두 번째 값도 타당할 경우,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두 번째 값을 제1 부호를 갖는 제2 측정 장치(R2', D1', D3')를 통해 측정, 및
    -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사전에 측정된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첫 번째 값뿐만 아니라,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사전에 측정된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두 번째 값도 타당하지 않을 경우,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두 번째 값을 제1 부호로 변환되는 제2 부호를 갖는 제2 측정 장치(R2', D1', D3')를 통해 측정하는 단계 실행, 및
    -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첫 번째 값을 제1 측정 장치(D2, D1, D3)를 통해 측정하는 단계의 실행은,
    -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사전에 측정된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첫 번째 값이 타당할 뿐만 아니라,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사전에 측정된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두 번째 값도 타당할 경우,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첫 번째 값을 제1 부호를 갖는 제1 측정 장치(R2, D1, D3)를 통해 측정, 및
    -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사전에 측정된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첫 번째 값뿐만 아니라,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사전에 측정된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두 번째 값도 타당하지 않을 경우,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첫 번째 값을 제1 부호로 변환되는 제2 부호를 갖는 제1 측정 장치(R2, D1, D3)를 통해 측정하는 단계 실행을 위해 추가 단계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4. 제67항 내지 제73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복수의 항에 있어서,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드 노드(BKj)의 측정된 제1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첫 번째 값뿐만 아니라,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측정된 제2 버스 노드 출력 전류(i'j)의 두 번째 값도 타당하지 않을 경우, 해당 자동 주소지정 버스 노드(BKj)의 유효하거나, 또는 일시적인 버스 노드 어드레스로서 오류 어드레스를 사용하는 추가 단계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5. 데이터 버스 시스템의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논리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버스 시스템은,
    - 직렬 양 방향 차동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
    - 어드레스 입력부(Adri0)를 포함하는 버스 마스터(ECU), 및
    - 양의 정수 n에 해당하는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를 구비하며,
    - 이때, 버스 마스터(ECU)에 가까운 제1 버스 노드는 제1 버스 노드이고, 버스 마스터(ECU)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버스 노드가 마지막 버스 노드이며, n 버스 노드(BK1 내지 BKn) 가운데 개별 버스 노느는 2선식-커뮤니케이션 버스(DB)의 데이터 라인 섹션(DB1 내지 DBn)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위한 버스 마스터(ECU)와 연결되며,
    - 버스 마스터(ECU)의 어드레스 입력부(Adri0)를 기점으로 하는 추가 라인은 모든 버스 노드(BK1 내지 BKn)를 지나며, 이때 모든 버스 노드는 개별 버스 노드(BK1 내지 BKn)를 통해 n 라인 섹션(L1 내지 Ln)으로 분할되고,
    - 개별 버스 노드, 즉 다음에서 더 나은 개관을 위해 각각 1≤j≤n에 해당하는 j 번째 버스 노드(BKj)로 표현되는 개별 버스 노드는 j 번째 버스 노드(BKj)에 지정된 어드레스 입력부(Adrij)와 j 번째 버스 노드(BKj)에 지정된 어드레스 출력부(Adroj)를 구비하며,
    - 마지막 버스 노드를 제외하고, 개별 버스 노드(BKj)의 어드레스 입력부(Adrij)는 후속하는 버스 노드(BKj + 1)에 지정된 추가 라인의 라인 섹션(Lj + 1)을 통해 후속하는 버스 노드(BKj+1)의 어드레스 출력부(Adro(j+1))와 연결되며,
    - 개별 버스 노드(BKj)의 어드레스 출력부(AOj)는 버스 노드(BKj)에 지정된 라인 섹션(Lj)을 통해 선행하는 버스 노드(BKj - 1)의 어드레스 입력부(Adri (j-1))와 연결되며,
    - 제1 버스 노드(BK1)의 어드레스 출력부(Adro1)는 버스 노드(BK1)에 지정된 라인 섹션(L1)을 통해 버스 마스터(ECU)의 어드레스 입력부(Adri0)와 연결되며,
    - 개별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개별 버스 노드 어드레스는 유효하거나, 또는 일시적이거나 또는 유효하지 않거나, 또는 일시적이지 아닐 수 있으며,
    또한, 데이터 버스 시스템은 아래의 단계,
    -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개별 버스 노드 어드레스의 전체 또는 적어도 일부를 유효하지 않게 만드는 것과, 버스 노드(BK1 내지 BKn)의 적어도 일부를 주소지정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 버스 마스터(ECU)의 어드레스 입력부(Adri0)의 레벨이 버스 노드(BK1 내지 BKn) 가운데 제1 버스 노드(BK1)의 어드레스 출력부(Adro1)를 통해 오버 라이팅 되지 않을 경우, 주소지정 상태가 존속하는 동안 버스 마스터(ECU)의 어드레스 입력부(Adri0)의 레벨을 두 번째 논리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 제1 버스 노드가 제외된 상태에서, 개별 버스 노드(BK2 내지 BKn)에서 주소지정 상태가 존속하는 동안,
    - 개별 버스 노드(BKj)의 버스 노드 어드레스가 유효하지 않거나, 또는 일시적이지 않을 경우, 개별 버스 노드(BKj)에 선행하는 버스 노드(BKj - 1)에 제공된 어드레스 입력부(Adri (j-1))의 레벨을 첫 번째 논리 레벨을 포함하는 개별 버스 노드(BKj)를 통해 오버 라이팅 하고, 개별 버스 노드(BKj)에 제공된 어드레스 입력부(Adrij)의 레벨은 첫 번째 논리값을 구비하며,
    - 버스 노드(BKj)에 제공된 어드레스 입력부(Adrij)의 레벨이 버스 노드(BK3 내지 BKn) 가운데 경우에 따라 개별 버스 노드(BKj)에 후속하는 버스 노드(BKj+1)의 어드레스 출력부(Adro (j+1))를 통해 오버 라이팅 되지 않을 경우, 버스 노드(BKj)에 제공된 어드레스 입력부(Adrij)의 레벨을 두 번째 논리값으로 설정하며,
    - 제1 버스 노드(BK1)에서 주소지정 상태가 존속하는 동안,
    - 제1 버스 노드(BK1)의 버스 노드 어드레스가 유효하지 않거나, 또는 일시적이지 않을 경우, 버스 마스터(ECU)의 어드레스 입력부(Adri0)의 레벨을 첫 번째 논리값을 포함하는 제1 버스 노드(BK1)를 통해 오버 라이팅 하고, 제1 버스 노드(BK1)에 제공된 어드레스 입력부(Adro1)의 레벨이 첫 번째 논리값을 구비하며,
    - 제1 버스 노드(BK1)에 제공된 어드레스 입력부(Adri1)의 레벨이 버스 노드(BK2 내지 BKn) 가운데 제1 버스 노드(BK1)에 후속하는 버스 노드(BK2)의 어드레스 출력부(Adro2)를 통해 오버 라이팅 되지 않을 경우, 제1 버스 노드(BK1)에 제공된 어드레스 입력부(Adri1)의 레벨을 두 번째 논리값으로 설정하며,
    - 주소지정 상태가 존속하는 동안,
    - 버스 마스터(ECU)를 통해 모든 버스 노드(BK1 내지 BKn)에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신호 송신하고, 신호 송신된 버스 노드 어드레스를 버스 노드(BK1 내지 BKn) 가운데 버스 노드, 즉 버스 노드의 버스 노드 어드레스가 유효하지 않거나, 또는 일시적이지 않고, 버스 노드의 어드레스 입력부(Adrij)가 두 번째 논리값을 구비하는 버스 노드(BKj)를 통해 유효하거나, 또는 일시적인 버스 노드 어드레스로서 채택하며,
    - 버스 마스터(ECU)의 어드레스 입력부(Adri0)가 두 번째 논리값을 구비할 때까지, 버스 마스터(ECU)를 통해 신호 송신을 반복하여 실시되며,
    - 버스 마스터(ECU)의 어드레스 입력부(Adri0)가 두 번째 논리값을 구비할 경우, 주소지정 상태와 다른 두 번째 작동 상태로 버스 노드(BK1 내지 BKn)가 전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6. 제75항에 있어서,
    두 번째 작동 상태에서 차단-라인으로서 라인(L1 내지 Ln)이 사용되는 단계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207024938A 2018-03-02 2019-02-27 차량 모듈의 전기 및/또는 전자부품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001269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104847.5 2018-03-02
DE102018104850.5A DE102018104850A1 (de) 2018-03-02 2018-03-02 Vorrichtung zur Ansteuerung elektrischer und/oder elektronischer Komponenten eines Kfz-Moduls und ein derartiges Kfz-Modul mit automatischer Moduladressierung mit Verifikation
DE102018104871.8 2018-03-02
DE102018104866.1A DE102018104866B3 (de) 2018-03-02 2018-03-02 Vorrichtung zur Ansteuerung elektrischer und/oder elektronischer Komponenten eines Kfz-Moduls und ein derartiges Kfz-Modul mit automatischer Moduladressierung
DE102018104865.3 2018-03-02
DE102018104847.5A DE102018104847A1 (de) 2018-03-02 2018-03-02 Verfahren zur Ansteuerung elektrischer und/oder elektronischer Komponenten eines Kfz-Moduls und ein derartiges Kfz-Modul mit automatischer Moduladressierung mittels Daisy-Chain
DE102018104871.8A DE102018104871A1 (de) 2018-03-02 2018-03-02 Vorrichtung zur Ansteuerung elektrischer und/oder elektronischer Komponenten eines Kfz-Moduls und ein derartiges Kfz-Modul mit automatischer Moduladressierung mittels Gleichtakt- oder Gegentaktstromquellen
DE102018104858.0A DE102018104858A1 (de) 2018-03-02 2018-03-02 Vorrichtung zur Ansteuerung elektrischer und/oder elektronischer Komponenten eines Kfz-Moduls und ein derartiges Kfz-Modul mit automatischer Moduladressierung über eine Interruptleitung
DE102018104855.6A DE102018104855A1 (de) 2018-03-02 2018-03-02 Verfahren zur Ansteuerung elektrischer und/oder elektronischer Komponenten eines Kfz-Moduls und ein derartiges Kfz-Modul mit automatischer Moduladressierung mittels differenziellen Bus-Shunt-Widerständen
DE102018104865.3A DE102018104865B3 (de) 2018-03-02 2018-03-02 Vorrichtung zur Ansteuerung elektrischer und/oder elektronischer Komponenten eines Kfz-Moduls und ein derartiges Kfz-Modul mit automatischer Moduladressierung mit Taktsynchronisation
DE102018104862.9 2018-03-02
DE102018104858.0 2018-03-02
DE102018104868.8 2018-03-02
DE102018104864.5 2018-03-02
DE102018104850.5 2018-03-02
DE102018104866.1 2018-03-02
DE102018104868.8A DE102018104868A1 (de) 2018-03-02 2018-03-02 Vorrichtung zur Ansteuerung elektrischer und/oder elektronischer Komponenten eines Kfz-Moduls und ein derartiges Kfz-Modul mit automatischer Moduladressierung mittels eines Bus-Shunt-Widerstands
DE102018104852.1A DE102018104852A1 (de) 2018-03-02 2018-03-02 Verfahren zur Ansteuerung elektrischer und/oder elektronischer Komponenten eines Kfz-Moduls und ein derartiges Kfz-Modul mit automatischer Moduladressierung mittels Bus-Shunt-Widerständen in einem differenziellen Bus
DE102018104862.9A DE102018104862A1 (de) 2018-03-02 2018-03-02 Vorrichtung zur Ansteuerung elektrischer und/oder elektronischer Komponenten eines Kfz-Moduls und ein derartiges Kfz-Modul mit automatischer Moduladressierung und Bus-Shunt-Überbrückungsschaltern
DE102018104852.1 2018-03-02
DE102018104864.5A DE102018104864B3 (de) 2018-03-02 2018-03-02 Vorrichtung zur Ansteuerung elektrischer und/oder elektronischer Komponenten eines Kfz-Moduls und ein derartiges Kfz-Modul mit automatischer Moduladressierung mit Taktsynchronisation und Adressierungsmodussignalisierung
DE102018104855.6 2018-03-02
PCT/EP2019/054879 WO2019166500A1 (de) 2018-03-02 2019-02-27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nsteuerung elektrischer und/oder elektronischer komponenten eines kfz-modu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982A true KR20200126982A (ko) 2020-11-09

Family

ID=65628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4938A KR20200126982A (ko) 2018-03-02 2019-02-27 차량 모듈의 전기 및/또는 전자부품의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3) EP3759872A1 (ko)
KR (1) KR20200126982A (ko)
CN (1) CN111801913B (ko)
WO (1) WO20191665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200802A1 (de) * 2020-01-23 2021-07-29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Sende-/Empfangseinrichtung und Kommunikationssteuereinrichtung für eine Teilnehmerstation eines seriellen Bussystems und Verfahren zur Kommunikation in einem seriellen Bussystem
US11603038B2 (en) 2020-06-18 2023-03-14 Custom Dynamics Llc Smart rear lighting system
CN114301732B (zh) * 2022-03-08 2022-06-10 深圳市驰普科达科技有限公司 实现总线通讯的电路、总线通讯系统及电源储能装置
CN115150222B (zh) * 2022-09-02 2022-12-16 上海泰矽微电子有限公司 一种lin总线自动分配节点地址的方法、系统及soc
CN116866108B (zh) * 2023-07-31 2024-03-12 苏州纳芯微电子股份有限公司 总线通信方法、通信系统控制方法和通信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56631B4 (de) * 2002-12-03 2005-07-14 Elmos Semiconductor Ag Verfarhen zur Adressierung der Teilnehmer eines Bussystems
DE102008003082A1 (de) * 2008-01-03 2009-07-09 Robert Bosch Gmbh Steuergerät und Verfahren zur Ansteuerung von Personenschutzmitteln, sowie Sensor zur Ausgabe von einem unfallrelevanten Signal
DE102011015327B4 (de) * 2011-03-28 2023-04-27 Sew-Eurodrive Gmbh & Co Kg Umrichteranordnun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Umrichteranordn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Umrichteranordnung
GB2527534A (en) * 2014-06-24 2015-12-30 Eaton Ind Netherlands Bv Selective circuit breaker
DE102014223122A1 (de) * 2014-11-12 2016-05-12 Leoni Bordnetz-Systeme Gmbh Kommunikationssystem zur Ansteuerung von mehreren Teilnehmern insbesondere in einem Kraftfahrzeug sowie Datenbus für ein solches Kommunikationssystem
DE102015222504A1 (de) * 2015-11-16 2017-05-1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5223253A1 (de) * 2015-11-25 2017-06-01 Minimax Gmbh & Co. Kg Verfahren zum Bestimmen von Schwellenwerten einer Zustandsüberwachungseinheit für eine Brandmelder- und/oder Löschsteuerzentrale sowie Zustandsüberwachungseinheit und System damit
DE102016100847B3 (de) * 2016-01-19 2017-03-16 Elmos Semiconductor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Initialisierung eines Eindrahtlichtsteuerbusses
DE102016123400B3 (de) 2016-01-19 2017-04-06 Elmos Semiconductor Aktiengesellschaft Eindrahtlichtsteuerbus mit mehreren Pegeln
DE102017122365B3 (de) 2017-09-26 2018-07-19 Elmos Semiconductor Aktiengesellschaft Selbsttestfähiges Bussystem und Verwendung dieser Selbsttestfähigkeit zur Vergabe von Busknotenadressen
DE102018104850A1 (de) 2018-03-02 2019-09-05 Elmos Semiconductor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Ansteuerung elektrischer und/oder elektronischer Komponenten eines Kfz-Moduls und ein derartiges Kfz-Modul mit automatischer Moduladressierung mit Verifikation
DE102018104868A1 (de) 2018-03-02 2019-09-05 Elmos Semiconductor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Ansteuerung elektrischer und/oder elektronischer Komponenten eines Kfz-Moduls und ein derartiges Kfz-Modul mit automatischer Moduladressierung mittels eines Bus-Shunt-Widerstands
DE102018104858A1 (de) 2018-03-02 2019-09-05 Elmos Semiconductor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Ansteuerung elektrischer und/oder elektronischer Komponenten eines Kfz-Moduls und ein derartiges Kfz-Modul mit automatischer Moduladressierung über eine Interruptleitung
DE102018104864B3 (de) 2018-03-02 2019-05-16 Elmos Semiconductor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Ansteuerung elektrischer und/oder elektronischer Komponenten eines Kfz-Moduls und ein derartiges Kfz-Modul mit automatischer Moduladressierung mit Taktsynchronisation und Adressierungsmodussignalisierung
DE102018104852A1 (de) 2018-03-02 2019-09-05 Elmos Semiconductor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Ansteuerung elektrischer und/oder elektronischer Komponenten eines Kfz-Moduls und ein derartiges Kfz-Modul mit automatischer Moduladressierung mittels Bus-Shunt-Widerständen in einem differenziellen Bus
DE102018104855A1 (de) 2018-03-02 2019-09-05 Elmos Semiconductor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Ansteuerung elektrischer und/oder elektronischer Komponenten eines Kfz-Moduls und ein derartiges Kfz-Modul mit automatischer Moduladressierung mittels differenziellen Bus-Shunt-Widerständen
DE102018104865B3 (de) 2018-03-02 2019-06-27 Elmos Semiconductor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Ansteuerung elektrischer und/oder elektronischer Komponenten eines Kfz-Moduls und ein derartiges Kfz-Modul mit automatischer Moduladressierung mit Taktsynchronisation
DE102018104866B3 (de) 2018-03-02 2019-06-27 Elmos Semiconductor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Ansteuerung elektrischer und/oder elektronischer Komponenten eines Kfz-Moduls und ein derartiges Kfz-Modul mit automatischer Moduladressierung
DE102018104862A1 (de) 2018-03-02 2019-09-05 Elmos Semiconductor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Ansteuerung elektrischer und/oder elektronischer Komponenten eines Kfz-Moduls und ein derartiges Kfz-Modul mit automatischer Moduladressierung und Bus-Shunt-Überbrückungsschaltern
DE102018104847A1 (de) 2018-03-02 2019-09-05 Elmos Semiconductor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Ansteuerung elektrischer und/oder elektronischer Komponenten eines Kfz-Moduls und ein derartiges Kfz-Modul mit automatischer Moduladressierung mittels Daisy-Chain
DE102018104871A1 (de) 2018-03-02 2019-09-05 Elmos Semiconductor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Ansteuerung elektrischer und/oder elektronischer Komponenten eines Kfz-Moduls und ein derartiges Kfz-Modul mit automatischer Moduladressierung mittels Gleichtakt- oder Gegentaktstromquell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66500A1 (de) 2019-09-06
EP3759872A1 (de) 2021-01-06
CN111801913B (zh) 2022-09-27
EP3886372B1 (de) 2024-05-01
EP3886371A1 (de) 2021-09-29
CN111801913A (zh) 2020-10-20
EP3886372A1 (de) 202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26982A (ko) 차량 모듈의 전기 및/또는 전자부품의 제어 방법 및 장치
US7091876B2 (en) Method for addressing the users of a bus system by means of identification flows
EP2717547B1 (en) Method for addressing the participants of a bus system
US9672181B2 (en) System and method to address devices connected to a bus system
CN104199796B (zh) Iic通信方法以及实现iic通信的嵌入式系统
KR102298187B1 (ko) 디에스아이 프로토콜 기반 자동차 내 센서 장치 작동 방법
US20120257655A1 (en) Configuration of bus transceiver
CN101631058A (zh) 用于检测数据线上的故障的方法
AU2017418296B2 (en) Nested serial network configuration for array of serially connected light heads
CN109862128A (zh) 用于通过总线节点馈入寻址电流的方法和总线节点
CN109871345A (zh) 用于控制串行数据总线系统的方法及总线节点
KR20200028014A (ko) Can 버스 시스템용 송수신 장치 및 can 송수신 장치를 이용해서 단락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
US20090316836A1 (en) Single-wire, serial, daisy-chain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DE102018104865B3 (de) Vorrichtung zur Ansteuerung elektrischer und/oder elektronischer Komponenten eines Kfz-Moduls und ein derartiges Kfz-Modul mit automatischer Moduladressierung mit Taktsynchronisation
KR102001568B1 (ko) 자동차 내부의 다수의 참여자를 구동 제어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 및 이러한 통신 시스템을 위한 데이터 버스
CN105611666A (zh) 用于控制灯具的控制装置和灯具
DE102018104866B3 (de) Vorrichtung zur Ansteuerung elektrischer und/oder elektronischer Komponenten eines Kfz-Moduls und ein derartiges Kfz-Modul mit automatischer Moduladressierung
DE102018104852A1 (de) Verfahren zur Ansteuerung elektrischer und/oder elektronischer Komponenten eines Kfz-Moduls und ein derartiges Kfz-Modul mit automatischer Moduladressierung mittels Bus-Shunt-Widerständen in einem differenziellen Bus
DE102018104864B3 (de) Vorrichtung zur Ansteuerung elektrischer und/oder elektronischer Komponenten eines Kfz-Moduls und ein derartiges Kfz-Modul mit automatischer Moduladressierung mit Taktsynchronisation und Adressierungsmodussignalisierung
US10838384B2 (en) Device for use in a configurable network
CN111555946A (zh) 总线系统的用户站和在总线系统中的数据传输的方法
CN115086278B (zh) 一种lin总线系统及其从机自动寻址的方法
DE102018104850A1 (de) Vorrichtung zur Ansteuerung elektrischer und/oder elektronischer Komponenten eines Kfz-Moduls und ein derartiges Kfz-Modul mit automatischer Moduladressierung mit Verifikation
DE102018104872A1 (de) Verfahren zur Ansteuerung elektrischer und/oder elektronischer Komponenten eines Kfz-Moduls und ein derartiges Kfz-Modul mit automatischer Moduladressierung über Powerline
RU2402805C1 (ru) Расширитель интерфейса &#34;канал общего пользования&#34;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