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5684A - Warmer - Google Patents

Warm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5684A
KR20200125684A KR1020207027974A KR20207027974A KR20200125684A KR 20200125684 A KR20200125684 A KR 20200125684A KR 1020207027974 A KR1020207027974 A KR 1020207027974A KR 20207027974 A KR20207027974 A KR 20207027974A KR 20200125684 A KR20200125684 A KR 20200125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less
temperature
air permeability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79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56209B1 (en
Inventor
겐이치 가키누키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9/008015 external-priority patent/WO2019172105A1/en
Publication of KR20200125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56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6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62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 A61F7/03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using oxygen from the air, e.g. pocket-st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02Head or parts thereof
    • A61F2007/0004Eyes or part of the face surrounding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25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 A61F2007/0228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with belt or strap, e.g. with buckle
    • A61F2007/02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with belt or strap, e.g. with buckle with pockets for receiving packs or pou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44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with layers
    • A61F2007/0249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with layers with a layer having low heat transfer cap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66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with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syc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온열구 (50) 는, 피산화성 금속, 탄소 성분 및 물을 함유하는 발열부 (10) 와, 발열부 (10) 를 수용하고, 적어도 일방의 면에 통기성을 갖는 수용체 (20) 를 포함하는 발열체 (100) 를 구비하고, 이하의 조건을 만족한다. 조건 : 실온 20 ℃ 습도 50 % 의 환경 하에 있어서 온도를 측정했을 때, 발열체 (100) 의 발열 개시 후, 수용체 (20) 의 타방의 면측으로서, 발열 영역에 대면하는 위치에 있는 온열구 (50) 의 표면 온도 (℃) 가 최고 온도에 도달한 후, 온열구 (50) 의 표면 온도 (℃) 가 45 ℃ 에 도달할 때까지의 당해 표면 온도의 평균 변화율이, -1.0 ℃/분 이상, -0.5 ℃/분 이하이다.The heating appliance 50 is a heating element including a heat generating portion 10 containing an oxidizable metal, a carbon component, and water, and a receiving portion 10 containing the heat generating portion 10 and having an air permeable container 20 on at least one surface. (100) is provided, and the following conditions are satisfied. Conditions: When the temperature is measured in an environment at room temperature of 20°C and humidity of 50%, after the start of heat generation of the heating element 100, the heating appliance 50 at a position facing the heat generating region as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container 20 After the surface temperature (°C) of reaches the highest temperature, the average rate of change of the surface temperature until the surface temperature (°C) of the heating appliance 50 reaches 45°C is -1.0°C/min or more,- It is 0.5 degreeC/min or less.

Description

온열구Warmer

본 발명은, 온열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appliance.

종래, 철분 등의 피산화성 금속, 염화나트륨 등의 전해질 및 물을 함유하여 구성되고, 피산화성 금속의 산화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반응열을 이용한 온열구가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온열구는, 경량이고, 간편하게 온열 효과나 릴렉스감이 얻어지는 것 등의 이유로부터 널리 선호되어, 다양한 장면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다.BACKGROUND ART [0002] Conventionally, a heating apparatus comprising an oxidizable metal such as iron powder, an electrolyte such as sodium chloride, and water, and using the heat of reaction generated by the oxidation reaction of the oxidizable metal, has been used. Such a heating implement is widely preferred for reasons such as being lightweight and easily obtaining a heating effect and a feeling of relaxation, and is used in various scenes.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눈언저리에 온열 증기를 공급함으로써 α 파의 출현량을 증가시키는 α 파 증강구가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Patent Literature 1 discloses an α-wave enhancing sphere that increases the appearance amount of α-waves by supplying warm steam to the corners of the eyes.

한편, 철분 등의 피산화성 금속의 산화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반응열을 이용하는 경우, 발열이 이상하게 가속되거나 하는 트러블이 발생하지 않도록, 산화 반응을 제어할 필요가 있고,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에는, 이상 발열 등의 트러블을 미연에 방지하는 관점에서, 흡수제의 함유량, 물과 흡수제의 질량비, 물의 배합량을 특정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using the reaction heat generated by the oxidation reaction of a metal to be oxidized such as iron,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oxidation reaction so as not to cause a trouble that the heat generation is abnormally accelerated. For example, in Patent Document 2, From the viewpoint of preventing troubles such as abnormal heat generation in advance, techniques for specifying the content of the absorbent, the mass ratio of the water and the absorbent, and the amount of water are disclosed.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43203호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2-143203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146555호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3-146555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피산화성 금속, 흡수제 및 물을 함유하는 발열부와,A heating part containing an oxidizable metal, an absorbent and water,

상기 발열부를 수용하고, 적어도 일방의 면에 통기성을 갖는 수용체를 포함하는 발열체를 구비하고, 이하의 조건을 만족하는, 온열구를 제공한다.Provided is a heating appliance that accommodates the heating unit, includes a heating element including a receptor having air permeability on at least one surface, and satisfies the following conditions.

조건 : 실온 20 ℃ 습도 50 % 의 환경 하에 있어서 온도를 측정할 때, 상기 발열체의 발열 개시 후, 상기 수용체의 타방의 면측으로서, 발열 영역에 대면하는 위치에 있는 상기 온열구의 표면 온도 (℃) 가 최고 온도에 도달한 후, 상기 온열구의 표면 온도 (℃) 가 45 ℃ 에 도달할 때까지의 당해 표면 온도의 평균 변화율이, -1.0 ℃/분 이상, -0.5 ℃/분 이하이다.Conditions: When measuring the temperature in an environment of room temperature 20°C and humidity 50%, after the heating of the heating element starts, the surface temperature (°C) of the heating appliance at a position facing the heating area as the other side of the container is After reaching the maximum temperature, the average rate of change of the surface temperature until the surface temperature (°C) of the heating appliance reaches 45°C is -1.0°C/min or more and -0.5°C/min or less.

본 발명에 의하면, 잠들기 양호함을 향상시켜, 잠에서 깬 후의 활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온열구를 제공할 수 있다.Advantageous Effects of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eating appliance capable of improving the goodness of falling asleep and improving vitality after waking up.

상기 서술한 목적,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이하에 서술하는 바람직한 실시형태, 및 그것에 부수하는 이하의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해진다.
도 1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의 평면도이다.
도 2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발열체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발열체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발열체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발열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The above-described objects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are further clarified by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the following drawings accompanying them.
1 is a plan view of a heat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eat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eat generating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diagram showing a heating profile obtain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최근, 온열구는, 취침 전에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취침 전에 사용되는 온열구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검토를 실시하고, 온열구에 의한 잠들기 양호함을 개선한다는 특허문헌 1, 2 와는 상이한 새로운 시도를 실시한 결과, 온열구의 발열 프로파일의 차이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감이 상이한 것을 알아내었다. 또한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여, 검토를 진행한 결과, 특허문헌 1, 2 등의 종래 기술과는 상이한 발열 프로파일로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발열 프로파일을 갖는 온열구는, 착용자가 잠드는 것이 크게 개선되어, 잠에서 깬 후의 활력이 향상된다는, 예상 외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아내어, 발명을 완성하였다.In recent years, heating appliances are sometimes used before going to be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ors conducted a review so as to improve the function of a heating appliance used before going to bed, and made a new attempt different from Patent Documents 1 and 2 to improve the good fall asleep by a heating appliance. As a result, the heating profile of the heat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t was found that the obtained effect feeling was different. In addition, based on these findings, as a result of conducting an examination, a heating appliance having a heating profile that satisfies a specific condition as a heating profile different from that of the prior art such as Patent Documents 1 and 2 is greatly improved in that the wearer falls asleep. After waking up, it was found that an unexpected effect of improving vitality was obtained, and the invention was complet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모든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적절히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ddition, in all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explanations are omitted as appropriate.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통기도」는, JIS P8117 에 의해 측정되는 값으로, 일정한 압력 하에 100 ㎖ 의 공기가 6.45 ㎠ 의 면적을 통과하는 시간으로 정의된다. 「통기도」는, 오켄식 (王硏式) 통기도계 혹은 그것에 준한 측정기로 측정할 수 있다. 즉, 통기도가 큰 것은 공기의 통과에 시간이 걸리는 것, 즉 통기성이 낮은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통기도가 작은 것은 통기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In this embodiment, "air permeability" is a value measured according to JIS P8117, and is defined as the time for 100 ml of air to pass through an area of 6.45 cm 2 under a constant pressure. The "air permeability" can be measured with an Oken-type air permeometer or a measuring instrument equivalent thereto. That is, the high air permeability means that it takes time to pass air, that is, the air permeability is low. Conversely, small air permeability means high air permeability.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평량」은, 온열구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단위 면적당의 질량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basis weight" means the mass per unit area when viewed from the plane of the heating appliance.

[온열구][Heating mouth]

먼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 (50) 의 일례에 대해, 도 1 및 도 2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온열구의 평면도, 도 2 는 온열구의 분해 사시도이다.First, an example of the heating implement 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S. 1 and 2. 1 is a plan view of a heating appliance,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eating appliance.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 (50) 는, 이른바 아이 마스크 타입의 것으로, 한 쌍의 발열체 (100) 가, 각각 사용자의 눈이나 눈꺼풀을 덮고, 소정 온도로 가열된 수증기를 눈 및 그 주위에 부여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이다.The heating implement 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of a so-called eye mask type, and a pair of heating elements 100 cover the eyes or eyelids of the user, respectively, and apply water vapor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o the eyes and around them. It is used to do.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온열구 (50) 는, 본체부 (51) 와, 귀가 삽입되는 구멍 (54) 이 형성된 귀걸이부 (52) 를 가지고 있다.As shown in FIG. 1, the heating implement 50 has a body part 51 and an earring part 52 in which a hole 54 into which an ear is inserted is formed.

본체부 (51) 는, 길이 방향 X 와 이것과 직교하는 폭 방향 Y 를 갖는 가로로 긴 형상을 하고 있다. 본체부 (51) 는 예를 들어 대략 타원형을 하고 있다. 귀걸이부 (52) 는 한 쌍으로 사용되고, 각 귀걸이부 (52) 는 본체부 (51) 의 길이 방향 (X 방향) 의 각 단부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온열구 (50) 는, 각 귀걸이부 (52) 를 사용자의 귀에 걸고, 본체부 (51) 에서 사용자의 두 눈을 덮도록 장착된다. 이 사용 상태 아래, 후술하는 발열체 (100) 로부터 발생한 증기 온열이 사용자의 눈에 실시된다. 온열구 (50) 는, 이러한 증기 온열에 의해, 후술하는 쾌적감 및 잠들기 양호함을, 보다 한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 main body 51 has a longitudinal direction X and a transversely elongated shape having a width direction Y orthogonal thereto. The main body 51 has a substantially elliptical shape, for example. The earring portions 52 are used as a pair, and each earring portion 52 is attached to each en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5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direction). The heating implement 50 is attached so that each earring part 52 may be attached to the user's ear, and the body part 51 covers both eyes of the user. Under this use condition, steam heating generated from the heating element 100 to be described later is applied to the user's eyes. The heating implement 50 can further improve the comfort and sleepiness mentioned later by such steam heating.

도 2 에는, 온열구 (50) 의 사용 전의 상태의 분해 사시도가 나타나 있다. 동 도면에 있어서는, 귀걸이부 (52) 는 온열구 (50) 중 최상부에 배치되어 있고, 사용시에는 중앙부를 떼어내고 좌우로 펼쳐, 바깥쪽을 향하여 반전시켜 도 1 상태로 한다.In FIG. 2,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eating appliance 50 in a state before use is shown. In the figure, the earring part 52 is arrange|positioned in the uppermost part of the heating implement 50, and in use, the center part is removed, it spreads to the left and right, and is inverted to the outside, and is set as the state of FIG.

본 실시형태의 온열구 (50) 는, 피산화성 금속, 탄소 성분 및 물을 함유하는 발열부 (10) 와, 발열부 (10) 를 수용하고, 적어도 일방의 면에 통기성을 갖는 수용체 (20) 를 포함하는 발열체 (100) 를 구비하고, 이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다.The heating implement 50 of this embodiment accommodates the heating part 10 containing the metal to be oxidized, a carbon component, and water, and the heating part 10, and the container 20 which has air permeability on at least one surface. It includes the heating element 100 including, and satisfies the following conditions.

조건 : 실온 20 ℃ 습도 50 % 의 환경 하에 있어서 온도를 측정할 때, 발열체 (100) 의 발열 개시 후, 수용체 (20) 의 타방의 면측으로서, 발열 영역에 대면하는 위치에 있는 온열구 (50) 의 표면 온도 (℃) 가 최고 온도에 도달한 후, 온열구 (50) 의 표면 온도 (℃) 가 45 ℃ 에 도달할 때까지의 당해 표면 온도의 평균 변화율이, -1.0 ℃/분 이상, -0.5 ℃/분 이하이다.Conditions: When measuring the temperature in an environment at room temperature of 20°C and humidity of 50%, after the start of heat generation of the heating element 100, the heating implement 50 at a position facing the heat generating region as the other side of the container 20 After the surface temperature (°C) of reaches the highest temperature, the average rate of change of the surface temperature until the surface temperature (°C) of the heating appliance 50 reaches 45°C is -1.0°C/min or more,- It is 0.5 degreeC/min or less.

온열구 (50) 의 발열 개시란, 발열체 (100) 중의 피산화성 금속이 산소와 접하는 것에 의해, 산화 반응을 개시하고, 산화 반응에 수반되는 발열이 개시되는 시점을 말한다. 또, 온열구 (50) 의 표면 온도 (℃) 가 최고 온도란, 온열구 (50) 가 발열 개시 후, 최초로 도달하는 최고 온도이다.The start of heat generation of the heating implement 50 refers to a point in time when an oxidation reaction is started and heat generation accompanying the oxidation reaction starts when the oxidizable metal in the heating element 100 comes into contact with oxygen. In addition, the surface temperature (°C) of the heating implement 50 is the highest temperature, which is the highest temperature that the heating implement 50 first reaches after the start of heat generation.

온열구 (50) 에 있어서, 상기의 조건에 있어서의 평균 변화율은, 종래 기술보다 낮은 것으로, 온열구 (50) 가, 최고 온도부터 특정한 온도까지, 비교적 천천히 강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로써, 최고 온도부터의 급격한 온도 변화가 억제되면서, 보온 상태가 유지되어, 적당히 강온함으로써, 온열구 (50) 의 사용시 전체에 걸쳐 밸런스가 양호한 온열 효과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취침시에 온열구 (50) 를 사용했을 때에, 잠들기 양호함이 향상되게 된다. 이와 같은 온열구 (50) 에 의한 발열 프로파일과, 잠들기 양호함과의 관련성의 구체적인 메커니즘은 분명하지 않지만, 장시간, 예를 들어 10 분 이상, 온열구 (50) 를 착용하여, 눈언저리를 따듯하게 하는 경우에는 일정한 온도를 계속 유지하는 것보다, 완만하게 온도를 낮추는 편이 온쾌감이 보다 지속되어 잠들기가 양호해지는 것이 추측된다. 그리고, 당해 관련성은, 본 발명자가 연구를 거듭한 결과, 처음으로 알아낸 것이다. 또, 잠들기 양호함이란, 입면 (入眠) 이 순조로워, 입면까지의 시간이 짧다고 느끼게 하는 효과를 의도한다. 잠들기가 양호한 것에 의해, 잠이 깊어져, 기상시에는 기분이 상쾌하고, 기상 후 건강하게 활동할 수 있어, 낮동안 의욕적으로 활동하기 쉬워지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In the heating implement 50, the average rate of change in the above-described conditions is lower than that of the prior art, and means that the heating appliance 50 relatively slowly decreases temperature from the highest temperature to a specific temperature. Thereby, while the abrupt temperature change from the highest temperature is suppressed, the heat retention state is maintained, and by appropriately lowering the temperature, it is possible to impart a heat effect with good balance throughout the use of the heating implement 50. As a result, when the heating appliance 50 is used at bedtime, the goodness of falling asleep is improved. The specific mechanism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ting profile by such a heating device 50 and the good sleep is not clear, but for a long time, for example, 10 minutes or longer, wearing the heating device 50 to keep the eyes warm In the case of doing so, it is presumed that lowering the temperature gently rather than continuing to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sustains the warmth and makes falling asleep better. And this relationship was found out for the first time as a result of repeated studies by the present inventors. In addition, good sleep is intended to be an effect of making the elevation feel smooth and the time to the elevation is short. With good sleep, sleep deepens, you feel refreshed when you wake up, and you can be healthy after waking up, and you can expect to be more enthusiastic during the day.

또, 온열구 (50) 의 수용체 (20) 의 타방의 면측의 표면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발열부 (10) 의 발열 반응이나 시트 구성 등 온열구 (50) 전체에서, 잠들기 양호함을 부여하는 데에 최적인 온열 효과를 눈언저리에 부여하기 쉬워진다.In addition, by controlling the surface temperature on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container 20 of the heating appliance 50, it is possible to impart a good fall asleep in the entire heating appliance 50 such as the exothermic reaction of the heating unit 10 and the sheet configuration. It becomes easy to impart the optimal heat effect to the corners of the eyes.

또한, 본 실시형태의 온열구 (50) 에 있어서의 상기의 조건에 대해, 수용체 (20) 의 타방의 면측이란, 후술하는 수용체 제 2 시트 (202) 측이고, 발열 영역이란, 후술하는 발열부 (10) 가 배치된 영역 전체를 의미한다. 즉, 온열구 (50) 에 있어서, 발열 영역에 대면하는 위치란, 평면에서 보았을 때, 발열부 (10) 가 배치된 영역에 대면하는 영역이다. 또, 온열구 (50) 의 표면이란, 온열구 (50) 를 구성하는 시트 중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용체 (20) 의 타방의 면측의 온열구 (50) 의 표면이란, 후술하는 보온 시트 (60) 의 외측의 면이 된다.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above conditions in the heating appliance 5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other side of the container 20 refers to the side of the container second sheet 202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heat-generating region refers to a heat generating part to be described later. (10) means the entire area where is placed. That is, in the heating appliance 50, the position facing the heat generating region is a region facing the region in which the heat generating portion 10 is disposed when viewed in a plan view. 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heating implement 50 is a surface locat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sheets constituting the heating implement 50. In this embodiment, the surface of the heating implement 50 on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container 20 is the outer surface of the thermal insulation sheet 60 to be described later.

이하, 「수용체 (20) 의 타방의 면측으로서, 발열 영역에 대면하는 위치에 있는 온열구 (50) 의 표면 온도 (℃)」를 간단히 「온열구 (50) 의 표면 온도 (℃) 」라고도 한다.Hereinafter, the "surface temperature (°C) of the heating implement 50 at a position facing the heat generating region as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receptor 20" is simply referred to as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heating appliance 50 (°C)". .

또, 상기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발열 프로파일을 구비하는 온열구 (50) 를 얻기 위해서는, 이하의 인자를 적절히 조정하여, 조합하는 것이 중요하다.Moreover, in order to obtain the heating implement 50 provided with the heating profile satisfying the above conditions, it is important to appropriately adjust and combine the following factors.

(1) 발열부 (10) 의 제조 방법, 및 피산화성 금속의 함유량.(1)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heat generating part 10, and the content of the metal to be oxidized.

(2) 수용체 (20) 의 통기도.(2) Air permeability of the receptor 20.

(3) 온열구 (50) 의 구성 재료의 평량.(3) The basis weight of the constituent material of the heating appliance 50.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발열부 (10) 의 제조 방법으로서, 후술하는 도공법을 이용한 경우, 단위 시간당의 도료 (발열 조성물) 의 토출압을 높게 함으로써, 피산화성 금속의 함유량을 많게 할 수 있다. 또한, 토출압을 높게 하면 보형성을 유지할 수 없어, 도포하고자 하는 면에 대해 도료가 비어져 나오기 쉬워지기 때문에, 도료 중에 증점제를 첨가하고, 피산화성 금속을 균일하게 분산시킨 도료를 사용하여, 도공을 실시한다. 이로써, 도포면에서의 보형성을 유지할 수 있어, 발열 특성이 안정적인 발열부 (10) 가 얻어지게 된다. 단, 온열구 (50) 는, 이러한 제조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수용체 (20) 의 통기도에 의해, 발열부 (10) 에 대한 산소 공급량이나, 발열부 (10) 로부터 발생한 증기의 방출량, 증기에 의한 발열 반응에 대한 영향 등을 제어할 수 있고, 피산화성 금속의 함유량 등에 따라 조정된다. 또, 온열구 (50) 를 구성하는 재료의 평량에 의해, 온열구 (50) 의 보온성이 제어되기 때문에, 온열구 (50) 에 있어서, 통기성과의 밸런스를 취하면서, 평량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in the case of using the coating method described later as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heat generating part 10, the content of the metal to be oxidized can be increased by increasing the discharge pressure of the paint (heating composition) per unit time. I can. In addition, if the discharge pressure is increased, it is not possible to maintain the shape retention, and the paint tends to protrude from the surface to be applied. Therefore, a thickener is added to the paint and a paint in which the oxidizable metal is uniformly dispersed is used. Conduct. Thereby,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hape retention on the coated surface, and the heat generating portion 10 having stable heat generating properties can be obtained. However, the heating implement 50 is not limited to such a manufacturing method. In addition, by the air permeability of the receptor 20, the amount of oxygen supplied to the heating part 10, the amount of steam emitted from the heating part 10, the effect on the exothermic reaction by the steam, etc. can be controlled. I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metal content. In addition, since the heat retention of the heating appliance 50 is controlled by the basis weight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heating appliance 50,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basis weight while balancing the air permeability in the heating appliance 50 Do.

또, 온열구 (50) 는, 이하의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잠들기 양호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어, 기상 후의 활력이나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Moreover, by providing the following configuration, the heating implement 50 can further improve the goodness of falling asleep, and can improve vitality and concentration after waking up.

상기의 조건에 있어서, 온열구 (50) 의 표면 온도의 최고 온도가 60 ℃ 이상, 6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conditions, it is preferable that the maximum temperature of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heating appliance 50 is 60°C or higher and 65°C or lower.

60 ℃ 이상으로 함으로써, 눈언저리에 충분한 온열을 부여하여, 보온 시간을 유지하기 쉽게 함과 함께, 천천히 강온시킬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착용자의 쾌적감을 보다 한층 강하게 하여, 잠들기 양호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By setting the temperature to 60°C or higher, sufficient heat is provided to the corners of the eyes, making it easier to maintain the heat retention time, and allowing the temperature to decrease slowly. As a result, the comfort of the wearer is further strengthened, and the goodness of falling asleep can be improved.

한편, 65 ℃ 이하로 함으로써, 과잉된 가열을 억제하고, 온열구 (50) 의 사용시 전체에 걸쳐 밸런스가 양호한 온열 효과가 얻어져 보다 효과적으로 잠들기 양호함을 향상시켜, 기상시의 잠에서 깨는 것이 상쾌하고 활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by setting the temperature to 65°C or less, excessive heating is suppressed, and a heat effect with good balance is obtained throughout the use of the heating appliance 50, thereby improving the good sleep more effectively, and waking up when waking up is refreshing. And improve vitality.

또, 온열구 (50) 는, 수용체 (20) 의 일방의 면 (즉, 수용체 제 1 시트 (201)) 의 통기도 (초/100 ㎖) 와,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곱을 1.4 × 106 이상, 3.1 × 106 미만의 수치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수치는, 온열구 (50) 의 발열 프로파일에 있어서의 후반의 온도 저하도 (지속성) 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In addition, the heating implement 50 includes the air permeability (second/100 ml) of one surface of the container 20 (that is, the container first sheet 201) and the basis weight of the oxidizable metal content (g/m 2 ).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product to be a value of not less than 1.4 × 10 6 and less than 3.1 × 10 6 . This numerical value is considered to be related to the temperature decrease (persistence) in the second half in the heat generating profile of the heating appliance 50.

이러한 수치 범위로 함으로써, 강온 속도를 저하시킬 수 있고, 온열구 (50) 의 사용시 전체에 걸쳐 밸런스가 양호한 온열 효과가 얻어져, 보다 효과적으로 잠들기 양호함과 기상 후의 활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이유로는, 온열구 (50) 의 발열 개시 후, 최고 온도에 도달한 후에 미반응으로 잔존하는 피산화성 금속의 평량이 많을수록, 발열 프로파일의 후반에 있어서 발생하는 증기량이 증가하기 쉬워지고, 또, 수용체 제 1 시트 (201) 의 통기도가 높을수록 통기성이 낮아져, 발생한 증기가 외부로 방출되지 않아, 산화 반응의 감소에 수반되는 온도 저하가 억제되는 것을 들 수 있다. 그 결과, 발열체 (100) 에서 발생한 증기의 외부로의 방출량이, 발열체 (100) 내부를 보온하면서, 눈언저리에 원하는 온도를 부여하는 데에 적절한 양이 되고, 밸런스를 취한 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온열구 (50) 가 최고 온도 도달한 후의, 온열구 (50) 의 표면 온도의 변화율을 원하는 범위로 조정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By setting it as such a numerical range, the temperature-fall rate can be lowered, a heating effect having a good balance throughout the entire use of the heating appliance 50 can be obtained, and the good sleep and vitality after waking up can be improved more effectively. For this reason, the greater the basis weight of the oxidizable metal remaining unreacted after the heating device 50 starts to generate heat and after reaching the maximum temperature, the easier the amount of vapor generated in the second half of the heating profile increases, and The higher the air permeability of the first receptor sheet 201 is, the lower the air permeability, and the generated vapor is not relea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temperature decrease accompanying the reduction of the oxidation reaction is suppressed. As a result, the amount of steam generated by the heating element 100 to the outside becomes an appropriate amount for warming the inside of the heating element 100 and imparting a desired temperature to the corners of the eye, and maintaining a balanced state for a long time. Thus, it is considered that the rate of change of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heating appliance 50 after the heating appliance 50 reaches the maximum temperature can be adjusted within a desired range.

구체적으로는, 온열구 (50) 에 있어서, 수용체 (20) 의 일방의 면 (즉, 수용체 제 1 시트 (201)) 의 통기도 (초/100 ㎖) 와,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곱은, 상기 관점에서, 1.4 × 106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45 × 106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 106 이상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55 × 106 이상으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Specifically, in the heating appliance 50, the air permeability (second/100 ml) of one side of the container 20 (that is, the container first sheet 201) and the basis weight of the oxidizable metal content (g/ The product of m2), from the above viewpoint, is preferably 1.4 × 10 6 or more, more preferably 1.45 × 10 6 or more, even more preferably 1.5 × 10 6 or more, and 1.55 × 10 6 or more. It is particularly preferred to do.

또, 수용체 (20) 의 일방의 면의 통기도 (초/100 ㎖) 와,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곱은, 상기 관점에서, 3.1 × 106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7 × 106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 106 이하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9 × 106 이하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roduct of the air permeability of one side of the container 20 (sec/100 ml) and the basis weight (g/m 2) of the oxidizable metal content is preferably less than 3.1×10 6 from the above viewpoint, and 2.7 × 10 6 or less, and more preferably not more, more preferably to a 2.0 × 10 6 or less, and particularly preferably at most 1.9 × 10 6.

즉, 상기 관점에서, 수용체 (20) 의 일방의 면의 통기도 (초/100 ㎖) 와,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곱을, 1.4 × 106 이상, 3.1 × 106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45 × 106 이상, 2.7 × 106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 106 이상, 2.0 × 106 이하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55 × 106 이상, 1.9 × 106 이하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That is, from the above point of view, the product of the air permeability (second/100 ml) of one side of the receptor 20 and the basis weight of the oxidizable metal content (g/m 2) is 1.4 × 10 6 or more and less than 3.1 × 10 6 Preferably, 1.45 × 10 6 or more, more preferably 2.7 × 10 6 or less, more preferably 1.5 × 10 6 or more and 2.0 × 10 6 or less, and 1.55 × 10 6 or more, 1.9 × 10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o set it to 6 or less.

또, 온열구 (50) 에 있어서, 수용체 (20) 의 일방의 면의 통기도 (초/100 ㎖) 에 대한,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비란, 바꾸어 말하면, 수용체 (20) 의 일방의 면 (수용체 제 1 시트 (201)) 의 통기도 (초/100 ㎖) 의 역수와,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곱이다.In addition, in the heating appliance 50, the ratio of the basis weight (g/m2) of the oxidizable metal content to the air permeability (second/100 ml) of one side of the container 20 is, in other words, the container 20 It is the product of the reciprocal of the air permeability (second/100 ml) of one side of the (receptor first sheet 201) and the basis weight (g/m 2) of the oxidizable metal content.

수용체 (20) 의 일방의 면 (수용체 제 1 시트 (201)) 의 통기도 (초/100 ㎖) 의 역수와,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곱의 하한치는, 0.06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한편, 상한치는, 0.17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limit of the product of the reciprocal of the air permeability (second/100 ml) of one side of the receptor 20 (the first sheet 201 of the receptor) and the basis weight (g/m 2) of the oxidizable metal content is set to 0.06 or more.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limit is 0.17 or less.

또, 수용체 (20) 의 일방의 면 (수용체 제 1 시트 (201)) 의 통기도 (초/100 ㎖) 의 역수와,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곱을, 0.06 이상, 0.17 이하의 수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product of the reciprocal of the air permeability (second/100 ml) of one side of the receptor 20 (the first sheet 201 of the receptor) and the basis weight (g/m 2) of the oxidizable metal content is 0.06 or more and 0.17 or less.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the numerical range of.

당해 수용체 (20) 의 일방의 면 (수용체 제 1 시트 (201)) 의 통기도 (초/100 ㎖) 의 역수와,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곱은, 온열구 (50) 의 발열 프로파일에 있어서의 최고 온도에 관련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즉, 온열구 (50) 의 최고 온도는, 피산화성 금속의 산화 반응 속도에 비례하기 때문에, 산화 반응 속도에 기여하는 인자를 제어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그래서, 수용체 제 1 시트 (201) 의 통기도가 낮을수록, 통기성이 높아져, 산소량이 증가함으로써 산화 반응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또, 피산화성 금속의 함유량이 많을수록, 산화 반응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수용체 제 1 시트 (201) 의 통기도의 역수와,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이 클수록, 산화 반응이 적극적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온열구 (50) 에 있어서, 수용체 (20) 의 일방의 면 (수용체 제 1 시트 (201)) 의 통기도 (초/100 ㎖) 의 역수와,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곱을 소정의 수치로 함으로써, 최고 도달 온도를 바람직한 범위로 제어할 수 있게 되고, 이것에 수반하여, 온열구 (50) 의 표면 온도의 변화율도, 보다 한층 잠드는 것을 양호하게 함에 있어서 최적인 범위를 취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더욱 잠들기 양호함이 효과적으로 향상되어 기상 후의 활력을 향상시키기 쉬워진다.The product of the reciprocal of the air permeability (second/100 ml) of one side of the receptor 20 and the basis weight of the oxidizable metal content (g/m 2) is that of the heating appliance 50 It is thought to be related to the highest temperature in the exothermic profile. That is, since the maximum temperature of the heating appliance 50 is proportional to the oxidation reaction rate of the metal to be oxidized, it is important to control a factor that contributes to the oxidation reaction rate. Therefore, the lower the air permeability of the first receptor sheet 201, the higher the air permeability, and the higher the amount of oxygen, the higher the oxidation reaction rate. Moreover, as the content of the metal to be oxidized increases, the oxidation reaction rate can be increased. In other words, it is considered that the reciprocal of the air permeability of the receptor first sheet 201 and the larger the basis weight of the oxidizable metal content, the more actively the oxidation reaction proceeds. Therefore, in the heating appliance 50, the reciprocal of the air permeability (second/100 ml) of one side of the container 20 (receptor first sheet 201) and the basis weight of the oxidizable metal content (g/m 2) By multiplying by a predetermined valu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maximum attainable temperature to a preferable range, and accordingly, the rate of change of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heating appliance 50 is also an optimum range for making it more favorable to fall asleep. It becomes easy to get drunk. For this reason, better sleepiness is improved effectively, and it becomes easy to improve vitality after waking up.

또한, 온열구 (50) 는, 상기의 조건에 있어서, 온열구 (50) 의 발열 개시 후, 온열구 (50) 의 표면 온도가 35 ℃ 부터 45 ℃ 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이, 1.0 분 이상, 1.5 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under the above-described conditions, the time until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heating appliance 50 reaches from 35°C to 45°C after the start of heat generation of the heating appliance 50 is 1.0 minutes. It is preferable that it is more than 1.5 minutes.

이로써, 발열체 (100) 에 의해, 온열구 (50) 의 사용 개시 후 곧바로 온열 효과가 얻어지게 됨과 함께, 온열구 (50) 의 사용 개시 직후에 있어서의 냉감을 억제하고, 온열구 (50) 의 사용시 전체에 걸쳐 밸런스가 양호한 온열 효과가 얻어져, 보다 효과적으로 잠들기 양호함을 향상시킬 수 있어, 기상 후의 활력도 향상되기 쉬워진다. 이 이유로는, 착용자의 쾌적감을 보다 한층 강하게 하여, 잠드는 것을 양호하게 하는 점에서, 눈언저리에 충분한 온열을 부여할 때까지의 시간이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Thereby, by the heating element 100, the heating effect is obtained immediately after the use of the heating appliance 50 is started, and the feeling of cooling immediately after the start of use of the heating appliance 50 is suppressed, and the heating appliance 50 is During use, a heat effect having a good balance throughout the entire period is obtained,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improve the sleepiness, and the vitality after waking up is also easily improved. The reason for this is that it is considered that it is desirable that the time until sufficient heat is applied to the corners of the eyes is short, from the viewpoint of enhancing the comfort of the wearer and making it more comfortable to fall asleep.

또한, 온열구 (50) 의 표면 온도는, JIS S4100 에 준거한 측정기를 사용하여, 온열구 (50) 의 표면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얻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온열구 (50) 의 가장 외측의 면에 있어서, 수용체 (20) 의 타방의 면측으로서, 발열 영역에 대면하는 영역에, 온도 센서를 설치하여 고정시키고, 발열체 (100) 의 발열 개시 후, 10 초 간격으로 40 분간 온도를 측정한다. 온도 센서의 고정은, 예를 들어 메시제의 쿠션 위에 500 g 의 추 (예를 들어 SUS 제의 개공 플레이트) 를 올림으로써 고정시킨다.In addition,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heating implement 50 is obtained by measuring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heating implement 50 using a measuring device conforming to JIS S4100. Specifically, on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heating appliance 50, as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container 20, a temperature sensor is installed and fixed in the area facing the heating area, and the heating element 100 starts to generate heat. Then, the temperature is measured for 40 minutes at 10 second intervals. The temperature sensor is fixed, for example, by placing a 500 g weight (for example, an SUS-made hole plate) on a mesh cushion.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보온 시트 (60) 의 외측의 면으로서, 온열구 (50) 의 평면에서 보아, 발열부 (10) 가 배치된 영역의 온도이다.In this embodiment, it is the temperature of the area|region where the heat-generating part 10 is arrange|positioned, as seen from the planar view of the heating implement 50 as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sheet 60 mentioned later.

또한, 측정은, 상온 (20 ℃), 상습 (50 %) 환경 하에 있어서 실시한다.In addition, the measurement is carried out in a normal temperature (20° C.), normal humidity (50%) environment.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아이 마스크 타입의 온열구 (50) 로서, 수용체 (20) 의 일방의 면 (수용체 제 1 시트 (201)) 이 통기성을 갖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온열구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온열구는, 예를 들어, 등이나 허리 등의 신체에 적용하는 타입의 온열구여도 되고, 또, 수용체는 양면이 통기성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s the eye mask type heating implement 50, a case where one surface of the receptor 20 (receptor first sheet 201) has air permeability has been described, but the hea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here is not limited to this. The he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 example, a type of heater applied to a body such as a back or a waist, and the container may be one having ventilation on both sides.

수용체의 양면이 통기성을 갖는 경우, 온열구의 사용시에 피부측을 향하는 면이 되는 수용체의 통기도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온열구의 사용시에 피부측을 향하는 면이 되는 수용체의 통기도 (초/100 ㎖) 와,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곱이, 1.4 × 106 이상, 3.1 × 106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온열구의 사용시에 피부측을 향하는 면이 되는 수용체의 통기도 (초/100 ㎖) 의 역수와,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곱을, 0.06 이상, 0.17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both sides of the receptor have air permeability,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air permeability of the receptor, which becomes the surface facing the skin side when using the heater. Specifically, as described above, when the heater is used, the product of the air permeability of the receptor serving as the surface facing the skin side (sec./100 ml) and the basis weight of the oxidizable metal content (g/m 2) is 1.4 × 10 6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it as 3.1 x 10 6 or less.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oduct of the reciprocal of the air permeability (second/100 ml) of the receptor serving as the surface facing the skin side when the heating appliance is used and the basis weight of the oxidizable metal content (g/m 2) is 0.06 or more, 0.17 It is preferable to do the following.

[발열체][Heating element]

온열구 (50) 가 구비하는 발열체 (100) 에 대해 설명한다.The heating element 100 provided in the heating appliance 50 will be described.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한 쌍의 발열체 (100) 가, 온열구 (50) 에 배치되고, 각각의 발열체 (100) 가 사용자의 눈을 덮게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pair of heat generating elements 100 are disposed on the heating appliance 50, and each heat generating element 100 covers the user's eyes.

도 3 은, 본 실시형태의 발열체 (100) 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 도 4 는, 도 3 의 A-A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발열체 (100) 는, 피산화성 금속, 탄소 성분 및 물을 함유하는 발열부 (10) 와, 이 발열부 (10) 를 수용하는 수용체 (20) 를 갖는다.3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heat generating element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oreover,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The heating element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heat generating portion 10 containing an oxidizable metal, a carbon component, and water, and a container 20 containing the heat generating portion 10.

발열체 (100) 를 구성하는 발열부 (10) 에 대해 설명한다.The heating unit 10 constituting the heating element 100 will be described.

발열부 (10) 는, 피산화성 금속, 탄소 성분 및 물을 함유하는 발열 조성물로 형성된다.The heat generating portion 10 is formed of a heat generating composition containing a metal to be oxidized, a carbon component, and water.

구체적으로는, 발열부 (10) 는, 피산화성 금속의 산화 반응에 의해 발열하여 온열 효과를 부여하는 것으로, JIS S4100 에 준거한 측정에 있어서, 발열 온도 30 ℃ 이상 70 ℃ 이하의 성능을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발열부 (10) 는 함유되는 물이 가열됨으로써, 수증기를 발생시킨다는 작용을 가져온다.Specifically, the heat generating part 10 generates heat by an oxidation reaction of an oxidizable metal to provide a heat-heating effect, and has a performance of a heat generating temperature of 30° C. or more and 70° C. or less in measurement according to JIS S4100. Can be used. In addition, the heating unit 10 has an effect of generating water vapor by heating the water contained therein.

피산화성 금속은, 산화 반응열을 발하는 금속으로, 예를 들어, 철, 알루미늄, 아연, 망간, 마그네슘, 및 칼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금속의 분말이나 섬유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취급성, 안전성, 제조 비용, 보존성 및 안정성 면에서 철분이 바람직하다. 철분으로는, 예를 들어, 환원 철분, 및 아토마이즈 철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The metal to be oxidized is a metal that emits heat of oxidation reaction, for example, powder or fiber of one or two or more met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ron, aluminum, zinc, manganese, magnesium, and calcium. Among them, iron powder is preferred in terms of handling properties, safety, manufacturing cost, storage properties and stability. Examples of the iron powder include one type or two or more typ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educed iron powder and atomized iron powder.

피산화성 금속은, 산화 반응이 효율적으로 실시된다는 관점에서, 분말상으로 한 경우의 평균 입경이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이다. 동일한 관점에서, 피산화성 금속의 평균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20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 이하이다.The metal to be oxidized has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preferably 10 µm or more, more preferably 15 µm or more, and still more preferably 20 µm or more when it is made into a powder form from the viewpoint of efficient oxidation reaction. From the same viewpoint,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oxidizable metal is preferably 200 µm or less, more preferably 180 µm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150 µm or less.

또한, 피산화성 금속의 평균 입경은, 분체의 형태에 있어서의 최대 길이의 산술 평균 직경을 말하고, 체에 의한 분급, 동적 광 산란법, 레이저 회절법 등에 의해 측정할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레이저 회절법에 의해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metal to be oxidized refers to the arithmetic average diameter of the maximum length in the form of the powder, and can be measured by sieve classification, dynamic light scattering method, laser diffraction method, etc., but among them, laser diffraction method It is preferable to measure by.

발열부 (10) 중에 있어서의 피산화성 금속의 함유량은, 온열구 (50) 의 표면 온도를 지나치게 뜨거워 지지 않고 온감의 상승에 의한 온쾌감이 가장 얻어지는 원하는 온도로 상승시킬 수 있는 관점, 및 온열구 (50) 의 표면 온도의 변화를 원하는 범위로 하고, 장시간에 걸쳐 착용자에게 쾌적감을 부여하여, 착용자가 잠드는 것을 보다 한층 향상시켜 기상 후의 활력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평량으로 나타내어, 바람직하게는 250 g/㎡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g/㎡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50 g/㎡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370 g/㎡ 이상이다. 또, 동일한 관점에서, 발열부 (10) 중에 있어서의 피산화성 금속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200 g/㎡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0 g/㎡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50 g/㎡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540 g/㎡ 이하이다.The content of the metal to be oxidized in the heating unit 10 is from the viewpoint of being able to increase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heating appliance 50 to a desired temperature at which a feeling of warmth is most obtained by an increase in the warmth, and the heating appliance (50) From the viewpoint of making the change of the surface temperature of (50) a desired range, providing a sense of comfort to the wearer over a long period of time, further improving the wearer's sleep and improving vitality after waking up, expressed as a basis weight, preferably 250 g /M 2 or more, more preferably 300 g/m 2 or more, still more preferably 350 g/m 2 or more, and particularly preferably 370 g/m 2 or more. In addition, from the same viewpoint, the content of the metal to be oxidized in the heat generating portion 10 is preferably 1,200 g/m 2 or less, more preferably 900 g/m 2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650 g/m 2 Or less, and particularly preferably 540 g/m 2 or less.

또한, 발열부 (10) 중의 피산화성 금속의 함유량은, JIS P8128 에 준하는 회분 시험이나, 열중량 측정기로 구할 수 있다. 그 밖에 외부 자장을 인가하면 자화가 발생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진동 시료형 자화 측정 시험 등에 의해 정량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열중량 측정기로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tent of the metal to be oxidized in the heat generating portion 10 can be determined by an ash test according to JIS P8128 or a thermogravimetric measuring instrument. In addition, by using the property that magnetization occurs when an external magnetic field is applied, it can be quantified by a vibration sample type magnetization test. Especially, it is preferable to obtain|require it with a thermogravimetry.

탄소 성분은, 보수능, 산소 공급능, 및 촉매능을 갖는 것이고, 예를 들어, 활성탄, 카본 블랙, 아세틸렌 블랙, 및 흑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습윤시에 산소를 흡착하기 쉬운 점에서, 활성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야자 껍데기탄, 목분탄, 및 피트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미세한 분말상물 또는 소립상물이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발열체 (100) 의 표면 온도를 원하는 온도로 상승시키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목분탄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carbon component has a water-retaining ability, oxygen supply ability, and catalytic ability, and for example, one or two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tivated carbon, carbon black, acetylene black, and graphite can be used. Among them, activated carbon is preferably used because it is easy to adsorb oxygen when wet. Further, one or two or more kinds of fine powders or small particl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alm shell coal, wood flour coal, and pit coal are more preferably used. From the viewpoint of making it easy to raise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heating element 100 to a desired temperature, wood coal is more preferable.

탄소 성분은, 피산화성 금속과 균일하게 혼합되는 관점에서, 평균 입경이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이다. 또, 동일한 관점에서, 탄소 성분의 평균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20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 이하이다.From the viewpoint of uniformly mixing the carbon component with the oxidizable metal,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is preferably 10 µm or more, more preferably 12 µm or more, and still more preferably 15 µm or more. Further, from the same viewpoint,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carbon component is preferably 200 µm or less, more preferably 150 µm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100 µm or less.

또한, 탄소 성분의 평균 입경은, 분체의 형태에 있어서의 최대 길이의 산술 평균 직경을 말하고, 동적 광 산란법, 레이저 회절법 등에 의해 측정할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레이저 회절법에 의해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 성분은 분체상의 형태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분체상 이외의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섬유상의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carbon component refers to the arithmetic average diameter of the maximum length in the form of the powder, and can be measured by dynamic light scattering method, laser diffraction method, etc., but among them, it is preferable to measure by laser diffraction method. Do. It is preferable to use a carbon component in a powder form, but a form other than a powder form may be used, for example, a fibrous form may be used.

발열부 (10) 중에 있어서의 탄소 성분의 함유량은, 피산화성 금속의 함유량 100 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 질량부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질량부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 질량부 이상이다. 또, 발열부 (10) 중에 있어서의 탄소 성분의 함유량은, 발열부 (10) 에 대한 산소 공급이 충분히 얻어지는 관점에서, 피산화성 금속의 함유량 100 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40 질량부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질량부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질량부 이하이다.The content of the carbon component in the heating unit 10 is preferably 1 part by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3 parts by mass or more, and still more preferably 6 parts by mass,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the content of the metal to be oxidized. It's more than a wealth. In addition, the content of the carbon component in the heating unit 10 is preferably 40 parts by mass or les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of the content of the metal to be oxidized from the viewpoint of sufficiently obtaining oxygen supply to the heating unit 10 , More preferably, it is 15 parts by mass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it is 12 parts by mass or less.

또한, 발열부 (10) 중에 있어서의 탄소 성분의 함유량은, 평량으로 나타내어, 바람직하게는 10 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g/㎡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g/㎡ 이상이다. 또, 탄소 성분의 함유량은, 평량으로 나타내어, 바람직하게는 400 g/㎡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 g/㎡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 g/㎡ 이하이다.In addition, the content of the carbon component in the heat generating portion 10 is expressed in basis weight, and is preferably 10 g/m 2 or more, more preferably 20 g/m 2 or more, and still more preferably 25 g/m 2 It is more than ㎡. Further, the content of the carbon component is expressed in basis weight, preferably 400 g/m 2 or less, more preferably 250 g/m 2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120 g/m 2 or less.

발열부 (10) 중의 물의 함유량은, 피산화성 금속의 산화 반응을 양호하게 진행시킴으로써, 신속하게 승온하여 기분 좋은 온감을 부여하는 관점 및, 발열량과 발생 수증기량을 컨트롤하여, 눈언저리에 적절한 온도 변화를 주어 잠드는 것이 개선됨으로써 기상 후의 활력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피산화성 금속 100 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20 질량부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질량부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질량부 이상이다. 발열부 (10) 중의 물의 함유량은, 최고 도달 온도를 일정 온도 이상으로 하는 관점에서, 피산화성 금속 100 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00 질량부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질량부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질량부 이하이다. 발열부 (10) 중의 물은, 피산화성 금속의 산화 반응에 의한 발열에 수반되는 온도 상승에 의해, 그 일부가 수증기가 된다.The content of water in the heating part 10 is the viewpoint of rapidly increasing the temperature and providing a pleasant warm feeling by satisfactorily proceeding the oxidation reaction of the oxidizing metal, and controlling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and the amount of water vapor generated, thereby providing a suitable temperature change at the corners of the eyes.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vitality after waking up by improving falling asleep, it is preferably 20 parts by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30 parts by mass or more, and even more preferably 40 parts by mass or more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of the metal to be oxidized. to be. The content of water in the heating part 10 is preferably 100 parts by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90 parts by mass or les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of the metal to be oxidized, from the viewpoint of making the maximum attainable temperature at a certain temperature or higher, More preferably, it is 80 parts by mass or less. Water in the heat generating portion 10 becomes water vapor due to a temperature increase accompanied by heat generation due to the oxidation reaction of the oxidizable metal.

또한, 온열구 (50) 중에 있어서의 수분의 함유량은, 평량으로 나타내어, 바람직하게는 150 g/㎡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 g/㎡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g/㎡ 이상이다. 또, 수분의 함유량은, 평량으로 나타내어, 바람직하게는 600 g/㎡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 g/㎡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50 g/㎡ 이하이다.In addition, the content of moisture in the heating appliance 50 is expressed in basis weight, preferably 150 g/m 2 or more, more preferably 180 g/m 2 or more, and still more preferably 200 g/m 2 or more. . In addition, the moisture content is expressed in basis weight, preferably 600 g/m 2 or less, more preferably 400 g/m 2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350 g/m 2 or less.

발열부 (10) 중에는, 수분을 유지하고, 피산화성 금속의 산화 반응을 재빠르게 또한 지속적으로 진행시킴으로써, 신속하게 승온하여 기분 좋은 온감을 부여하는 관점 및, 발열량과 발생 수증기량을 컨트롤하고, 눈언저리에 적절한 온도 변화를 주어 잠드는 것이 개선됨으로써 기상 후의 활력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흡수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흡수제로서, 흡수성을 갖는 폴리머, 흡수성을 갖는 분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In the heating part 10, moisture is maintained and the oxidation reaction of the oxidizable metal proceeds rapidly and continuously, so that the temperature rises quickly and provides a pleasant feeling of warmth, and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and the amount of water vapor generated are controlled, and It is possible to contain an absorbent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vitality after waking up by providing an appropriate temperature change to improve falling asleep. As the absorbent, a polymer having water absorption, powder having water absorption, or the like can be used.

흡수성을 갖는 폴리머로는, 자중의 20 배 이상의 액체를 흡수·유지할 수 있는 가교 구조를 갖는 친수성의 폴리머를 들 수 있고, 흡수성을 갖는 분체로는, 버미큘라이트, 톱밥, 실리카 겔, 및 펄프 분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분체를 들 수 있다. 흡수제를 함유시킨 경우의 함유량으로는, 발열부 (10) 중의 물 100 질량부에 대해 2 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한편, 2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water absorbent polymer include a hydrophilic polymer having a crosslinked structure capable of absorbing and maintaining a liquid 20 times or more of its own weight, and the absorbent powder is composed of vermiculite, sawdust, silica gel, and pulp powder. 1 type or 2 or more types of powders selected from the group can be mentioned. The content in the case of containing the water absorbing agent is preferably 2 parts by mass or more, on the other hand, preferably 20 parts by mass or less, and more preferably 15 parts by mass or les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of water in the heat generating unit 10.

발열부 (10) 는, 추가로, 반응 촉진제를 함유할 수 있다. 반응 촉진제를 함유시킴으로써, 피산화성 금속의 산화 반응을 지속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반응 촉진제를 사용함으로써, 산화 반응에 수반하여 피산화성 금속에 형성되는 산화 피막을 파괴하여, 산화 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다. 반응 촉진제에는,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의 황산염, 및 염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재료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도전성, 화학적 안정성, 생산 비용이 우수한 점에서,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염화제1철, 염화제2철 등의 각종 염화물, 및 황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eat generating portion 10 may further contain a reaction accelerator. By containing the reaction accelerator, it is possible to make it easy to sustain the oxidation reaction of the oxidizable metal. Moreover, by using a reaction accelerator, the oxidation film formed on the metal to be oxidized accompanying the oxidation reaction can be destroyed and the oxidation reaction can be accelerated. Examples of the reaction accelerator include one or two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kali metals, alkaline earth metal sulfates, and chlorides. Among them, one or two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arious chlorides such as sodium chloride, potassium chloride, calcium chloride, magnesium chloride, ferrous chloride, ferric chloride, and sodium sulfate in view of excellent conductivity, chemical stability, and production cost. It is preferable to use more than one kind of material.

발열부 (10) 중의 반응 촉진제의 함유량은, 온쾌감이 얻어지는 적절한 온도 영역까지 승온시키는 점, 및 이로써 눈언저리에 장시간에 걸쳐 적절한 온도 변화를 주어 잠드는 것을 보다 한층 개선하여 기상 후의 활력을 향상시키는 점에서, 피산화성 금속의 함유량 100 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 질량부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질량부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 질량부 이상이다.The content of the reaction accelerator in the heating unit 10 is heated up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range where warmth is obtained, and thereby, a suitable temperature change is given to the corners of the eyes over a long period of time to further improve sleep and improve vitality after waking up. Here,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of the oxidizable metal content, it is preferably 1 part by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3 parts by mass or more, and still more preferably 6 parts by mass or more.

또, 동일한 관점에서, 발열부 (10) 중의 반응 촉진제의 함유량은, 피산화성 금속의 함유량 100 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25 질량부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질량부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질량부 이하이다.In addition, from the same viewpoint, the content of the reaction accelerator in the heat generating portion 10 is preferably 25 parts by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20 parts by mass or less, further preferably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the content of the oxidizable metal. It is 15 parts by mass or less.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발열부 (10) 가 시트상인 양태를 나타냈지만, 이 발열부 (10) 는, 분체상이어도 되고, 시트상이어도 된다. 온열구 (50) 의 사용감이 우수한 점에서, 시트상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at generating portion 10 has a sheet shape, but the heat generating portion 10 may be in the form of a powder or a sheet. From the viewpoint of excellent usability of the heating implement 50, it is preferably in the form of a sheet.

시트상의 발열부 (10) 의 제조 방법으로는, 발열 조성물을 습식 초조 (抄造) 하여 이루어지는 것, 발열 조성물을 종이 등의 기재로 협지하여 이루어지는 것, 발열 조성물을 종이 등의 기재에 도포하여 이루어지는 것, 발열 조성물을 프레스 등에 의해 압밀 (壓密) 하여 이루어지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사용감이 우수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점에서, 발열부 (10) 는, 발열 조성물을 습식 초조하여 이루어지는 것, 발열 조성물을 종이 등의 기재에 도포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A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heet-like heat generating part 10, a heat generating composition is wet-formed, a heat generating composition is sandwiched between a substrate such as paper, and a heat generating composition is applied to a substrate such as paper. And what is formed by consolidating the heat generating composition by pressing or the like. Among them,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ing unit 10 is formed by wet-forming the heating composition and coating the heating composition on a substrate such as paper, from the viewpoint of excellent usability and easy production.

발열부 (10) 의 제조 방법으로서, 도공 방법을 채용하는 경우, 도공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다이 코팅, 롤 도포, 스크린 인쇄, 롤 그라비아, 나이프 코팅, 커튼 코터 등등을 사용할 수 있다.In the case of employing a coating method a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heating part 10, the coating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die coating, roll coating, screen printing, roll gravure, knife coating, curtain coater, etc. Can be used.

발열부 (10) 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2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4 ㎜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이다. 한편, 발열부 (10) 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이하이다. 발열부 (10) 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발열 효과를 높이면서, 발열체 (100) 를 사용하기 쉬운 사이즈로 할 수 있다. 또한, 발열부 (10) 의 두께는, 평균 두께를 나타낸다.The thickness of the heat generating portion 10 is preferably 0.2 mm or more, more preferably 0.4 mm or more, and still more preferably 0.5 mm or more. On the other hand, the thickness of the heat generating portion 10 is preferably 5 mm or less, more preferably 3 mm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2 mm or less. By setting the thickness of the heat generating portion 10 in the above range, the heat generating element 100 can be made a size that is easy to use while enhancing the heat generating effect.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heat generating part 10 represents an average thickness.

발열부 (10) 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계면 활성제, 약제, 응집제, 착색제, 지력 증강제, pH 컨트롤제, 및 벌크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heating unit 10 may contain, if necessary, a surfactant, a drug, a flocculant, a colorant, a strength enhancer, a pH control agent, a bulk agent, and the like, as long as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mpaired.

계속해서, 발열체 (100) 를 구성하는 수용체 (20) 에 대해 설명한다.Subsequently, the receptor 20 constituting the heating element 100 will be described.

수용체 (20) 는, 적어도 일방의 면에 통기성을 갖고, 발열부 (10) 를 수용하는 것이다. 수용체 (20) 는, 예를 들어,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장의 시트 (수용체 제 1 시트 (201), 수용체 제 2 시트 (202)) 의 주연부 (203) 를 첩합 (貼合) 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수용체 (20) 는, 일방의 면이 수용체 제 1 시트 (201) 로 구성되고, 타방의 면이 수용체 제 2 시트 (202) 로 구성되어 있다.The container 20 has air permeability on at least one surface and accommodates the heat generating portion 10. Receptor 2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o be constituted by bonding the peripheral portion 203 of two sheets (receptor first sheet 201, receptor second sheet 202) I can. That is, in the container 20, one surface is composed of the container first sheet 201, and the other surface is composed of the container second sheet 202.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용체 제 1 시트 (201) 는 발열부 (10) 보다 사용자의 피부측에 위치되는 것이고, 수용체 제 2 시트 (202) 는 발열부 (10) 보다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먼 측에 위치되는 것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receptor sheet 201 is located on the user's skin side than the heating unit 10, and the second receptor sheet 202 is located on the side farther from the user's skin than the heating unit 10. To be located.

또, 수용체 제 1 시트 (201) 는, 통기성이 우수한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고, 한편, 수용체 제 2 시트 (202) 는, 통기성이 부족한 시트, 즉 난통기성 시트 또는 비통기성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ontainer sheet 201 is a sheet excellent in air permeability, while the second container sheet 202 is preferably a sheet having poor air permeability, that is, a poorly ventilated sheet or a non-ventilated sheet.

구체적으로, 수용체 제 1 시트 (201) 의 통기도는, 잠들기 양호함을 보다 한층 개선하는 데에 있어서 적절한 온도까지, 발열체의 온도를 신속하게 승온하여 지연 없이 재빠르게 기분 좋은 온감을 부여하는 관점, 및 온쾌감이 지속되어 잠들기 양호함을 보다 한층 개선하여, 기상 후의 활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바람직한 온도 변화를 눈언저리에 주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000 초/10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00 초/100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00 초/100 ㎖ 이하이다.Specifically, the air permeability of the first receptor sheet 201 is from the viewpoint of rapidly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element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for further improving the sleepiness and providing a pleasant warmth without delay, and From the point of view of making it easier to give temperature changes around the eyes, which is desirable for improving the sleepiness after awakening by further improving the good sleep by sustaining a feeling of warmth, it is preferably 10,000 seconds/100 ml or less, and more preferably It is 7,000 sec/100 ml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6,000 sec/100 ml or less.

한편, 수용체 제 1 시트 (201) 의 통기도는, 발열부 (10) 중에 있어서의 산화 반응이 지나치게 빠름으로써 지나치게 뜨거워서 온쾌감을 잃지 않고 적절한 속도로 할 필요가 있는 관점, 및 급격한 온도 변화에 의한 온쾌감의 소실을 억제하여, 잠들기 양호함을 보다 한층 개선하여 기상 후의 활력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0 초/100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초/100 ㎖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초/100 ㎖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3,000 초/100 ㎖ 이상이다.On the other hand, the air permeability of the first receptor sheet 201 is from the viewpoint that the oxidation reaction in the heat generating portion 10 is too fast, so that the oxidation reaction in the heat generating portion 10 is too hot, so that it is necessary to set it at an appropriate speed without losing a sense of warmth, and the temperature due to rapid temperature change.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loss of pleasure, further improving sleepiness and improving vitality after waking up, it is preferably 100 sec/100 ml or more, more preferably 500 sec/100 ml or more, and even more preferably Is 1,000 sec/100 ml or more, particularly preferably 3,000 sec/100 ml or more.

수용체 제 1 시트 (201) 로서, 통기성 시트, 부직포와 통기성 시트를 라미네이트한 적층 시트, 편물지와 통기성 시트를 라미네이트한 적층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As the container 1st sheet 201, a breathable sheet, a laminated sheet obtained by laminating a nonwoven fabric and a breathable sheet, a laminated sheet obtained by laminating a knitted paper and a breathable sheet, or the like can be used.

통기성 시트로는, 수지제의 다공질 시트, 또는 통기공을 갖는 수지제의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수지제의 다공질 시트로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 및 열가소성 수지와 상용성이 없는 유기 또는 무기 필러의 용융 혼련물을 필름상으로 성형하여, 1 축 또는 2 축 연신하여 얻어진 것이고, 미세한 다공질 구조를 갖는 것을 들 수 있다. 또, 통기공을 갖는 수지제의 시트로는, 비통기성 시트 또는 난통기성 시트에 바늘 등으로 미세공을 형성한 것, 혹은 전술한 통기성 시트에 추가로 바늘 등으로 미세공을 형성한 것을 들 수 있다.As the air permeable sheet, a resin porous sheet or a resin sheet having air permeability can be used. As the resin, for example, one or two or more of polyethylene, polypropylene, and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can be used. As a resin-made porous sheet, for example, a thermoplastic resin and a melt-kneaded product of an organic or inorganic filler incompatible with a thermoplastic resin are molded into a film, and are obtained by uniaxial or biaxial stretching. What has a structure is mentioned. In addition, as a sheet made of resin having ventilation holes, a non-breathable sheet or a non-breathable sheet in which micropores are formed with a needle or the like, or those in which micropores are formed with a needle, etc. have.

수용체 제 1 시트 (201) 의 두께는, 5 ㎛ 이상 200 ㎛ 이하가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first container sheet 201 is preferably 5 µm or more and 200 µm or less.

한편, 수용체 제 2 시트 (202) 의 통기도는, 발열부 (10) 에서 발생한 수증기를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적용하여, 잠드는 것을 보다 한층 개선하는 관점에서, 수용체 제 1 시트 (201) 보다 통기도가 낮은 것이 바람직하고, 비통기성 시트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용체 제 2 시트 (202) 가 통기성을 갖는 경우에 바람직한 통기도로는,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하게는 10,000 초/100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0 초/100 ㎖ 이상이다.On the other hand, the air permeability of the receptor second sheet 202 is preferably lower than that of the receptor first sheet 201 from the viewpoint of effectively applying water vapor generated in the heat generating portion 10 to the user to further improve sleep.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a non-breathable sheet. When the second container sheet 202 has air permeability, the preferred air permeability is, specifically, preferably 10,000 seconds/100 ml or more, and more preferably 20,000 seconds/100 ml or more.

또, 수용체 제 2 시트 (202) 의 통기도의 상한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수용체 제 2 시트 (202) 가 통기성을 갖는 경우에는, 시트의 입수 용이성이 높은 것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0,000 초/100 ㎖ 이하이다.In addition, the upper limit of the air permeability of the second container sheet 20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when the second container sheet 202 has air permeability, from the viewpoint of high availability of the sheet, etc., preferably It is less than 100,000 seconds/100 ml.

수용체 제 2 시트 (202) 로는, 실질적으로 산소를 투과하지 않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부타디엔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폴리술폰 및 폴리아미드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As the acceptor second sheet 202, a material that does not substantially permeate oxygen can be used, and for example, polyolefin such as polyethylene and polybutadiene, polyvinyl chloride, polyvinylidene chloride, polyester, polyether, polysulfone And one or two or more polyamides may be used.

수용체 제 2 시트 (202) 의 두께는, 5 ㎛ 이상 200 ㎛ 이하가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second container sheet 202 is preferably 5 µm or more and 200 µm or less.

또한,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체 (20) 의 수용체 제 2 시트 (202) 측의 면 상에, 발열체 (100) 를 덮는 보온 시트 (60) 가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발열체 (100) 로부터 발생한 열이 온열구 (50) 의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저감시키면서, 외기의 온도에 의한 온열구 (50) 의 발열 프로파일에 대한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보온 시트 (60) 는, 발열체 (100) 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것이면 된다. 또, 보온 시트 (60) 가 후술하는 주머니체 (53), 특히 주머니체 제 2 시트 (56) 를 겸하고 있어도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on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20 on the side of the container second sheet 202, a heat insulating sheet 60 covering the heat generating element 100 is disposed. Thereby, while reducing the heat generated from the heating element 100 from being released to the outside of the heating appliance 50, it is possible to suppress an influence on the heating profile of the heating appliance 50 due to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The heat retention sheet 60 should just cover at least a part of the heat generating element 100. Moreover, the heat retention sheet 60 may also serve as the bag body 53 mentioned later, especially the bag body 2nd sheet 56.

보온 시트 (60) 의 평량은, 30 g/㎡ 이상이 바람직하고, 40 g/㎡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한편, 경량화 등의 관점에서, 150 g/㎡ 이하가 바람직하고, 140 g/㎡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The basis weight of the thermal insulation sheet 60 is preferably 30 g/m 2 or more, more preferably 40 g/m 2 or more, and from the viewpoint of weight reduction, etc., 150 g/m 2 or less is preferable and 140 g/m 2 or less Is more preferable.

온열구 (50) 에 있어서, 수용체 (20) 의 타방의 면으로부터, 발열부 (10) 와는 반대측의 온열구 (50) 의 최외층까지의 평량의 합계치는, 수용체 제 2 시트 (202) 의 평량과, 주머니체 제 2 시트 (56) 의 평량과, 보온 시트 (60) 의 평량의 합계치가 된다. 당해 평량의 합계치는, 발열체 (100) 로부터 발생한 열이 온열구 (50) 의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저감시키면서, 외기의 온도에 있는 온열구 (50) 의 발열 프로파일에 대한 영향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40 g/㎡ 이상이 바람직하고, 70 g/㎡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당해 평량의 합계치는, 온열구 (50) 의 경량화 등의 관점에서, 300 g/㎡ 이하가 바람직하고, 260 g/㎡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In the heating appliance 50, the total value of the basis weight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container 20 to the outermost layer of the heating appliance 50 on the side opposite to the heating unit 10 is the basis weight of the second container sheet 202 And, it becomes the total value of the basis weight of the bag body 2nd sheet 56 and the basis weight of the thermal insulation sheet 60. The total value of the basis weight is from the viewpoint of reducing the heat generated from the heating element 100 from being released to the outside of the heating appliance 50 and suppressing the influence on the heating profile of the heating appliance 50 at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40 g/m 2 or more is preferable, and 70 g/m 2 or more is more preferable. On the other hand, the total value of the basis weight is preferably 300 g/m 2 or less, more preferably 260 g/m 2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weight reduction of the heating appliance 50.

보온 시트 (60) 의 재료로는, 후술하는 주머니체 제 2 시트 (56) 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As the material of the thermal insulation sheet 60, the same material as the bag body second sheet 56 described later can be used.

[기타][Other]

도 1,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온열구 (50) 는, 발열체 (100) 를 수용하는 주머니체 (53) 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heating implement 50 is provided with a bag body 53 that houses the heat generating body 100.

주머니체 (53) 는, 사용자의 피부면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는 주머니체 제 1 시트 (55) 와, 사용자의 피부면으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는 주머니체 제 2 시트 (56) 를 가지고 있다. 발열체 (100) 를 사이에 끼우도록, 이들 주머니체 제 1 시트 (55) 와 주머니체 제 2 시트 (56) 가 형성된다.The pocket body 53 has a pocket body first sheet 55 located on a side close to the user's skin surface, and a pocket body second sheet 56 located on a side far from the user's skin surface. These bag body 1st sheet 55 and bag body 2nd sheet 56 are formed so that the heating element 100 may be sandwiched.

주머니체 제 1 시트 (55) 와, 주머니체 제 2 시트 (56) 의 각각의 평량은, 내부가 비쳐 보이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이나, 보온성, 유연성, 두께 등의 관점에서 20 g/㎡ 이상이 바람직하고, 40 g/㎡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주머니체 제 1 시트 (55) 및 주머니체 제 2 시트 (56) 의 각각의 평량은, 200 g/㎡ 이하가 바람직하고, 110 g/㎡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The basis weight of each of the bag body first sheet 55 and the bag body second sheet 56 is preferably 20 g/m 2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preventing the inside from being seen through, or from the viewpoint of heat retention, flexibility, thickness, etc. And 40 g/m 2 or more is more preferable. Moreover, the basis weight of each of the bag body first sheet 55 and the bag body second sheet 56 is preferably 200 g/m 2 or less, and more preferably 110 g/m 2 or less.

또, 주머니체 제 1 시트 (55) 는 발생한 수증기를 사용자에게 적용하기 위해, 주머니체 제 2 시트 (56) 는, 발열체 (100) 에 대해 산소를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해서, 모두 통기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apply the generated water vapor to the user, the first sheet 55 of the bag body, and the second sheet 56 of the bag body, preferably have air permeability in order to smoothly supply oxygen to the heating element 100. Do.

구체적으로, 주머니체 제 1 시트 (55) 및 주머니체 제 2 시트 (56) 의 통기도는, 6,000 초/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0 초/10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0 초/10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 초/100 ㎖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air permeability of the bag body first sheet 55 and the bag body second sheet 56 is preferably 6,000 seconds/100 ml or less, more preferably 1,000 seconds/100 ml or less, and 500 seconds/100 ml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below, and it is especially preferable that it is 0 second/100 ml.

주머니체 제 1 시트 (55) 및 주머니체 제 2 시트 (56) 로는, 예를 들어, 부직포를 비롯한 섬유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니들 펀치 부직포, 에어 스루 부직포 및 스펀 본드 부직포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As the bag body 1st sheet 55 and the bag body 2nd sheet 56, fiber sheets including a nonwoven fabric can be used, for example. For example, one type or two or more types selected from needle punch nonwoven fabric, air-through nonwoven fabric, and spun bond nonwoven fabric may be used.

주머니체 제 1 시트 (55) 및 주머니체 제 2 시트 (56) 는 동형이고, 대략 타원형을 하고 있다. 그리고, 주머니체 제 1 시트 (55) 및 주머니체 제 2 시트 (56) 의 외형이 본체부 (51) 의 외형을 이루고 있다. 주머니체 제 1 시트 (55) 및 주머니체 제 2 시트 (56) 는 그것들을 중첩하고, 그것들의 주연부를 적어도 일부 접합하고, 또한 X 방향의 중앙부를 Y 방향을 따라 접합함으로써, 주머니체 (53) 가 된다. 주머니체 제 1 시트 (55) 및 주머니체 제 2 시트 (56) 를 접합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핫멜트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발열체 (100) 는 접착제나 히트시일 등 (도시 생략) 에 의해, 주머니체 (53) 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The bag body 1st sheet 55 and the pocket body 2nd sheet 56 are the same shape, and are substantially elliptical. And the outer shape of the bag body 1st sheet 55 and the pocket body 2nd sheet 56 constitutes the outer shape of the main body part 51. The bag body 1st sheet 55 and the bag body 2nd sheet 56 superimpose them, at least part of their peripheries are joined, and the central part of the X direction is joined along the Y direction, and the bag body 53 Becomes. In order to bond the bag body 1st sheet 55 and the bag body 2nd sheet 56, a hot melt adhesive can be used, for example. In addition, the heat generating body 100 may be fixed to the bag body 53 by an adhesive or heat seal (not shown).

주머니체 (53) 에는, 그 X 방향으로 연장되는 2 개의 장변의 중앙부의 위치에 있어서, 그 장변으로부터 Y 방향을 따라 내방으로 절입된 대략 V 자형의 노치부 (53A, 53B) 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부 (53A, 53B) 는, 절입의 정도가 상이하다. 노치부 (53A) 는, 온열구 (50) 를 장착했을 때에, 사용자의 미간 또는 그 근방에 위치한다. 노치부 (53B) 는, 온열구 (50) 를 장착했을 때에, 사용자의 비량 (鼻粱) 에 위치한다. 통상적으로, 노치부 (53A) 보다 노치부 (53B) 쪽이 절입의 정도가 크게 되어 있다.The bag body 53 is formed with substantially V-shaped notch portions 53A and 53B that are cut inward from the long side along the Y direction at the position of the central portions of the two long sides extending in the X direction. The notch portions 53A and 53B have different degrees of cut. When the heater 50 is attached, the notch portion 53A is located in or near the user's eyebrows. When the notch part 53B is attached to the heating appliance 50, the notch part 53B is located at the user's specific amount. Typically, the notch portion 53B has a greater degree of cut than the notch portion 53A.

도 1,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온열구 (50) 는, 귀걸이부 (52) 를 구비하고 있다. 귀걸이부 (52) 는, 온열구 (50) 를 사용자의 얼굴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heating implement 50 is provided with an earring portion 52. The earring portion 52 is used to fix the heating appliance 50 to the user's face.

온열구 (50) 에 있어서의 귀걸이부 (52) 는, 사용 전의 상태에서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머니체 제 1 시트 (55) 상에 배치되어 있다. 온열구 (50) 를 사용할 때에는, 귀걸이부 (52) 를 바깥쪽을 향하게 하여 반전시켜, 펼친 상태로 한다. 사용 전의 상태, 즉 좌우의 귀걸이부 (52) 가 주머니체 제 1 시트 (55) 상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좌우의 귀걸이부 (52) 에 의해 형성되는 윤곽은, 주머니체 제 1 시트 (55) 의 윤곽과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귀걸이부 (52) 는, 주머니체 (53) 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In the state before use, the earring part 52 in the heating implement 50 is arrange|positioned on the bag body 1st sheet 55 as shown in FIG. When using the heating implement 50, the earring part 52 is turned outward, inverted, and is in an unfolded state. In a state before use,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earring portions 52 are positioned on the pocket body first sheet 55, the outline formed by the left and right earring portions 52 is the first pocket body sheet 55 ) Is almost identical to the outline of. In addition, the earring part 52 can use the same material as the bag body 53.

또,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체 (20) 를, 사용감을 더욱 높이기 위해 질감이 양호한 시트 재료인 부직포제의 제 2 수용체 (40) 에 수용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Further, as shown in Fig. 5, the container 20 may be accommodated in the second container 40 made of a nonwoven fabric, which is a sheet material having good texture, in order to further enhance the usability.

제 2 수용체 (40) 는, 바람직하게는 평량 5 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g/㎡ 이상의 시트에 의해 구성된다. 또, 바람직하게는 200 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g/㎡ 이하의 시트의 주연부를 첩합하여 구성시킬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경량화 등의 관점에서, 평량 20 g/㎡ 이상 120 g/㎡ 이하의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container 40 is preferably constituted by a sheet having a basis weight of 5 g/m 2 or more, more preferably 10 g/m 2 or more. Moreover, it can be formed by bonding the periphery of a sheet of preferably 200 g/m 2 or less, more preferably 120 g/m 2 or less. Especially,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sheet of a basis weight of 20 g/m 2 or more and 120 g/m 2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weight reduction.

이 경우, 수용체 (20) 의 타방의 면으로부터, 발열부 (10) 와는 반대측의 온열구 (50) 의 최외층까지의 평량의 합계치는, 수용체 제 2 시트 (202) 의 평량과, 제 2 수용체 (40) 의 평량과, 주머니체 제 2 시트 (56) 의 평량과, 보온 시트 (60) 의 평량의 합계치가 된다.In this case, the total value of the basis weight from the other side of the container 20 to the outermost layer of the heating appliance 50 on the side opposite to the heating part 10 is the basis weight of the second container sheet 202 and the second container It becomes the total value of the basis weight of (40), the basis weight of the bag body 2nd sheet 56, and the basis weight of the thermal insulation sheet 60.

제 2 수용체 (40) 를 구성하는 시트로는, 부직포, 편물지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sheet constituting the second container 40 include nonwoven fabrics and knitted fabrics.

부직포로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섬유를 사용하여, 에어 스루법, 스펀 본드법, 니들 펀치법, 멜트 블론법, 카드법, 열융착법, 수류 교락법, 및 용제 접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질감이나, 탄력성의 관점에서, 신축성을 갖는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축성을 갖는 부직포로는, 구성 섬유로서 탄성 섬유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나 입체권축성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에어 스루 부직포나 스펀 본드 부직포, 니들 펀치 부직포 등이 보다 바람직하다.As a nonwoven fabric, one or two or more types of fibers are used and manufactured by an air-through method, a spun bond method, a needle punch method, a melt blown method, a card method, a heat fusion method, a water flow interlock method, and a solvent adhesion method. Can be used. Among them, it is preferable to use a nonwoven fabric having elasticity from the viewpoint of texture and elasticity. As a nonwoven fabric having elasticity, a nonwoven fabric containing elastic fibers (e.g., polyurethane, polyester) or three-dimensional crimp fibers as constituent fibers is preferable. For example, an air-through nonwoven fabric, a spun bonded nonwoven fabric, or a needle punch nonwoven fabric Etc. are more preferable.

구체적인 부직포의 재료로는, 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PE (폴리에틸렌), PP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 등을 함유하는 합성 섬유 ; 셀룰로오스, 실크, 코튼, 울 등을 포함하는 천연 섬유 ; 혹은 그것들을 복합한 섬유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As a material for a specific nonwoven fabric, synthetic fibers containing polyester such as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olefins such as PE (polyethylene), PP (polypropylene), and ethylene propylene copolymer, polyamide, polyacrylic, and the like; Natural fibers including cellulose, silk, cotton, and wool; Alternatively, one type or two or more types of fibers obtained by conjugating them may be mentioned.

또한, 본 실시형태의 온열구 (50) 는, 산소에 의해 산화되는 피산화성 금속을 갖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산소 차단 주머니에 봉입되어 보관된다.In addition, since the heating implement 5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n oxidizable metal that is oxidized by oxygen, it is usually enclosed in an oxygen barrier bag and stored.

이상, 도면을 참조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서술했지만, 이것들은 본 발명의 예시이며, 상기 이외의 여러 가지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these ar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onfigurations other than the above can also be adopted.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관해, 본 발명은 추가로 이하의 온열구, 혹은 용도 등을 개시한다.Regarding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discloses the following heating devices or uses.

<1><1>

피산화성 금속, 탄소 성분 및 물을 함유하는 발열부와,A heating part containing an oxidizable metal, a carbon component, and water,

상기 발열부를 수용하고, 적어도 일방의 면에 통기성을 갖는 수용체를 포함하는 발열체를 구비하고, 이하의 조건을 만족하는, 온열구.A heating appliance that accommodates the heating unit, includes a heating element including a receptor having ventilation properties on at least one surface, and satisfies the following conditions.

조건 : 실온 20 ℃ 습도 50 % 의 환경 하에 있어서 온도를 측정했을 때, 상기 발열체의 발열 개시 후, 상기 수용체의 타방의 면측으로서, 발열 영역에 대면하는 위치에 있는 상기 온열구의 표면 온도 (℃) 가 최고 온도에 도달한 후, 상기 온열구의 표면 온도 (℃) 가 45 ℃ 에 도달할 때까지의 당해 표면 온도의 평균 변화율이, -1.0 ℃/분 이상, -0.5 ℃/분 이하이다.Conditions: When the temperature is measured in an environment at room temperature of 20°C and humidity of 50%, after the heating of the heating element starts, the surface temperature (°C) of the heating appliance at a position facing the heating region as the other side of the container is After reaching the maximum temperature, the average rate of change of the surface temperature until the surface temperature (°C) of the heating appliance reaches 45°C is -1.0°C/min or more and -0.5°C/min or less.

<2><2>

상기 조건에 있어서, 상기 최고 온도가 바람직하게는 60 ℃ 이상, 65 ℃ 이하인, <1> 에 기재된 온열구.In the said conditions, the said maximum temperature is preferably 60 degreeC or more and 65 degrees C or less, The heating implement as described in <1>.

<3><3>

상기 조건에 있어서, 상기 온열구의 상기 표면 온도가 35 ℃ 부터 45 ℃ 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이, 바람직하게는 1.0 분 이상, 1.5 분 이하인, <1> 또는 <2> 에 기재된 온열구.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1> or <2> in the above conditions, wherein the time until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heating appliance reaches from 35°C to 45°C is preferably 1.0 minutes or more and 1.5 minutes or less.

<4><4>

상기 수용체의 상기 일방의 면의 통기도 (초/100 ㎖) 와, 상기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곱이, 바람직하게는 1.4 × 106 이상, 3.1 × 106 미만인,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The product of the air permeability of the one side of the receptor (sec/100 ml) and the basis weight (g/m 2) of the oxidizable metal content is preferably 1.4 × 10 6 or more and less than 3.1 × 10 6 , <1> 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any one of to <3>.

<5><5>

상기 수용체의 상기 일방의 면의 통기도 (초/100 ㎖) 에 대한, 상기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비가, 바람직하게는 0.06 이상, 0.17 이하인,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In <1> to <4>, the ratio of the basis weight (g/m2) of the oxidizable metal content to the air permeability (second/100 ml) of the one side of the container is preferably 0.06 or more and 0.17 or less. The heater according to any one.

<6><6>

상기 수용체의 상기 일방의 면의 통기도가, 바람직하게는 100 초/100 ㎖ 이상, 10,000 초/100 ㎖ 이하인,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The heater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5>, wherein the air permeability of one side of the container is preferably 100 seconds/100 ml or more and 10,000 seconds/100 ml or less.

<7><7>

상기 수용체의 상기 일방의 면의 통기도가,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초/100 ㎖ 이상, 7,000 초/100 ㎖ 이하인,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The heater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6>, wherein the air permeability of one side of the container is more preferably 500 sec/100 ml or more and 7,000 sec/100 ml or less.

<8><8>

상기 수용체의 상기 일방의 면의 통기도가,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초/100 ㎖ 이상, 7,000 초/100 ㎖ 이하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The heater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7>, wherein the air permeability of one side of the container is more preferably 1,000 seconds/100 ml or more and 7,000 seconds/100 ml or less.

<9><9>

상기 수용체의 상기 일방의 면의 통기도가,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 초/100 ㎖ 이상, 6,000 초/100 ㎖ 이하인,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8>, wherein the air permeability of one side of the container is more preferably 3,000 seconds/100 ml or more and 6,000 seconds/100 ml or less.

<10><10>

상기 피산화성 금속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열부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단위 면적당, 250 g/㎡ 이상, 1,200 g/㎡ 이하인,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9>, wherein the content of the oxidizable metal is preferably 250 g/m 2 or more and 1,200 g/m 2 or less per unit area when viewed from the top of the heating part.

<11><11>

상기 피산화성 금속의 함유량은, 상기 발열부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단위 면적당, 바람직하게는 350 g/㎡ 이상이고, 650 g/㎡ 이하인,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10>, wherein the content of the oxidizable metal is preferably 350 g/m 2 or more and 650 g/m 2 or less per unit area when viewed from the top of the heating part.

<12><12>

상기 피산화성 금속의 함유량은, 상기 발열부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단위 면적당, 바람직하게는 370 g/㎡ 이상이고, 540 g/㎡ 이하인,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11>, wherein the content of the oxidizable metal is preferably 370 g/m 2 or less and 540 g/m 2 or less per unit area when viewed from the top of the heating part.

<13><13>

상기 수용체의 타방의 면으로부터, 상기 발열부와는 반대측의 상기 온열구의 최외층까지의 평량의 합계가, 바람직하게는 40 g/㎡ 이상, 300 g/㎡ 이하인,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In <1> to <12>, the sum of the basis weight from the other side of the container to the outermost layer of the heating appliance on the side opposite to the heat generating part is preferably 40 g/m 2 or more and 300 g/m 2 or less. The heater according to any one.

<14><14>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체의 타방의 면 상에, 상기 발열체를 덮는 보온재를 구비하는,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Preferably, 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13>, comprising a heat insulating material covering the heating element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ontainer.

<15><15>

상기 수용체의 타방의 면의 통기도가, 바람직하게는 10,000 초/100 ㎖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20,000 초/100 ㎖ 이상인,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The heater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14>, wherein the air permeability of the other side of the container is preferably 10,000 seconds/100 ml or more, and preferably 20,000 seconds/100 ml or more.

<16><16>

상기 수용체의 타방의 면의 통기도가, 바람직하게는 20,000 초/100 ㎖ 이상인,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15>, wherein the air permeability of the other side of the container is preferably 20,000 seconds/100 ml or more.

<17><17>

상기 수용체의 타방의 면이 바람직하게는 비통기성인 <1>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16>, wherein the other surface of the container is preferably non-breathable.

<18><18>

피산화성 금속, 탄소 성분 및 물을 함유하는 발열부와,A heating part containing an oxidizable metal, a carbon component, and water,

상기 발열부를 수용하고, 적어도 일방의 면에 통기성을 갖는 수용체를 포함하는 발열체를 구비하고,And a heating element including a receptor having air permeability on at least one surface thereof and receiving the heating part,

상기 수용체의 통기도 (초/100 ㎖) 와, 상기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곱이, 1.4 × 106 이상, 3.1 × 106 미만인, 온열구.A heating appliance in which a product of the air permeability of the container (sec/100 ml) and the basis weight (g/m 2) of the oxidizable metal content is 1.4×10 6 or more and less than 3.1×10 6

<19><19>

상기 수용체의 통기도 (초/100 ㎖) 에 대한, 상기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비가, 0.06 이상, 0.17 이하인, <18> 에 기재된 온열구.The heating appliance according to <18>, wherein the ratio of the basis weight (g/m 2) of the oxidizable metal content to the air permeability (second/100 ml) of the container is 0.06 or more and 0.17 or less.

<20><20>

상기 피산화성 금속의 함유량이, 상기 발열부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평량이, 250 g/㎡ 이상, 1200 g/㎡ 이하인, <18> 또는 <19> 에 기재된 온열구.The heating appliance according to <18> or <19>, in which the content of the oxidizable metal is 250 g/m 2 or more and 1200 g/m 2 or less, in plan view of the heat generating portion.

<21><21>

상기 수용체의 일방의 면의 통기도가, 바람직하게는 100 초/100 ㎖ 이상, 10,000 초/100 ㎖ 이하인, <18> 내지 <2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The heater according to any one of <18> to <20>, wherein the air permeability of one side of the container is preferably 100 seconds/100 ml or more and 10,000 seconds/100 ml or less.

<22><22>

상기 수용체의 일방의 면의 통기도가, 바람직하게는 500 초/100 ㎖ 이상, 7,000 초/100 ㎖ 이하인, <18> 내지 <2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The heater according to any one of <18> to <21>, wherein the air permeability of one side of the container is preferably 500 sec/100 ml or more and 7,000 sec/100 ml or less.

<23><23>

상기 수용체의 일방의 면의 통기도가, 바람직하게는 1,000 초/100 ㎖ 이상, 7,000 초/100 ㎖ 이하인, <18> 내지 <2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The heater according to any one of <18> to <22>, wherein the air permeability of one side of the container is preferably 1,000 sec/100 ml or more and 7,000 sec/100 ml or less.

<24><24>

상기 수용체의 일방의 면의 통기도가, 바람직하게는 3,000 초/100 ㎖ 이상, 6,000 초/100 ㎖ 이하인, <18> 내지 <2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The heater according to any one of <18> to <23>, wherein the air permeability of one side of the container is preferably 3,000 seconds/100 ml or more and 6,000 seconds/100 ml or less.

<25><25>

상기 수용체의 통기도 (초/100 ㎖) 와, 상기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곱이, 1.45 × 106 이상, 2.7 × 106 이하인, <18> 내지 <2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The product of the air permeability (second/100 ml) of the receptor and the basis weight (g/m2) of the oxidizable metal content is 1.45×10 6 or more and 2.7×10 6 or less, in any one of <18> to <24> Listed heater.

<26><26>

상기 수용체의 통기도 (초/100 ㎖) 와, 상기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곱이, 1.5 × 106 이상, 2.0 × 106 이하인, <18> 내지 <2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The product of the air permeability (second/100 ml) of the receptor and the basis weight (g/m 2) of the oxidizable metal content is 1.5 × 10 6 or more and 2.0 × 10 6 or less, in any one of <18> to <25> Listed heater.

<27><27>

상기 수용체의 통기도 (초/100 ㎖) 와, 상기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곱이, 1.55 × 106 이상, 1.9 × 106 이하인, <18> 내지 <2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The product of the air permeability (second/100 ml) of the receptor and the basis weight (g/m2) of the oxidizable metal content is 1.55×10 6 or more and 1.9×10 6 or less, in any one of <18> to <26> Listed heater.

<28><28>

상기 발열부 중의 수분의 함유량은, 평량으로 나타내어, 바람직하게는 150 g/㎡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 g/㎡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g/㎡ 이상이고, 한편, 600 g/㎡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 g/㎡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50 g/㎡ 이하인, <18> 내지 <2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The content of moisture in the heating part is expressed in basis weight, preferably 150 g/m2 or more, more preferably 180 g/m2 or more, still more preferably 200 g/m2 or more, and 600 g/m2 The heating appliance according to any one of <18> to <27>, which is m 2 or less, more preferably 400 g/m 2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350 g/m 2 or less.

<29><29>

상기 발열부가 흡수제를 함유하고, 상기 흡수제의 함유량은, 발열부 중의 물 100 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2 질량부 이상, 한편, 바람직하게는 20 질량부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질량부 이하인, <18> 내지 <2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The heating portion contains an absorbent, and the content of the absorbent is preferably 2 parts by mass or more, on the other hand, preferably 20 parts by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15 parts by mass,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water in the heating unit The heater according to any one of <18> to <28> which is below.

<30><30>

상기 수용체의 통기성을 갖는 면이, 피부측이 되는, <18> 내지 <2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any one of <18> to <29>, in which the surface of the receptor having air permeability becomes the skin side.

<31><31>

상기 온열구가 수증기를 방출하는 것인, <1> 내지 <3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30>, wherein the heating implement releases water vapor.

<32><32>

피산화성 금속, 탄소 성분 및 물을 함유하는 발열부와,A heating part containing an oxidizable metal, a carbon component, and water,

상기 발열부를 수용하고, 적어도 일방의 면에 통기성을 갖는 수용체를 포함하는 발열체를 구비하고,And a heating element including a receptor having air permeability on at least one surface thereof and receiving the heating part,

상기 수용체의 통기도 (초/100 ㎖) 와, 상기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곱이, 1.4 × 106 이상, 3.1 × 106 미만이고,The product of the air permeability (second/100 ml) of the receptor and the basis weight (g/m 2) of the oxidizable metal content is 1.4×10 6 or more and less than 3.1×10 6 ,

상기 수용체의 통기도 (초/100 ㎖) 에 대한, 상기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비가, 0.06 이상, 0.17 이하이고,The ratio of the basis weight (g/m 2) of the oxidizable metal content to the air permeability (second/100 ml) of the receptor is 0.06 or more and 0.17 or less,

상기 수용체의 일방의 면의 통기도 (초/100 ㎖) 가, 3,000 초/100 ㎖ 이상, 6,000 초/100 ㎖ 이하인, 온열구.The heating implement, wherein the air permeability (second/100 ml) of one side of the receptor is 3,000 seconds/100 ml or more and 6,000 seconds/100 ml or less.

<33><33>

상기 온열구가 아이 마스크 타입인, <1> 내지 <3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32>, wherein the heating implement is an eye mask type.

<34><34>

상기 온열구를 눈에 적용하여, 잠드는 것을 양호하게 하기 위한, <1>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의 사용.The use of 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17>, in order to apply the heating appliance to the eyes and to make falling asleep favorable.

<35><35>

상기 온열구를 눈에 적용하여, 잠드는 것을 양호하게 하기 위한, <18> 내지 <3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의 사용.Use of 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any one of <18> to <33>, in order to apply the heating appliance to the eyes and to make it favorable to fall asleep.

<36><36>

잠드는 것을 양호하게 하는 방법으로서,As a way to improve falling asleep,

<1> 내지 <3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를 눈에 5 분 이상 적용하는 스텝과,The step of applying the heating applianc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33> to the eyes for 5 minutes or more, and

상기 온열구 적용 후, 또는 상기 온열구 적용 중에, 취침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잠드는 것을 양호하게 하는 방법.A method for facilitating falling asleep, comprising the step of going to bed after applying the heater or during application of the heater.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examples.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실시예 및 비교예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이하의 순서에 따라, 도 1 및 표 2 에 나타내는 구성의 온열구를 제작하였다.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procedure, a heating appliance having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s. 1 and 2 was produced.

<발열부의 제작><Manufacture of heating unit>

목재 펄프제의 종이 (20 g/㎡, 이노가미 주식회사 제조) 와 흡수성 폴리머 (폴리아크릴산나트륨, 구상, 평균 입자경 300 ㎛, 50 g/㎡, 아쿠아릭 CA, 주식회사 닛폰 촉매 제조) 와 목재 펄프제의 종이 (30 g/㎡, 이노가미 주식회사 제조) 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폴리머 시트를 기재로 하였다.Wood pulp paper (20 g/㎡, manufactured by Inogami Corporation) and water absorbent polymer (sodium polyacrylate, spherical, average particle diameter 300 μm, 50 g/㎡, Aquaric CA, manufactured by Nippon Catalyst) and wood pulp A polymer sheet obtained by laminating paper (30 g/m2, manufactured by Inogami Corporation) was used as a substrate.

이하의 표 1 에 나타내는 조성의 도료를, 상기의 기재의 편면에, 다이 코팅법으로, 토출압을 조정하면서 도공하여, 시트상 도공물을 제작하였다. 토출압은, 철분의 평량이 표 2 에 나타내는 값이 되도록 조정하였다.A coating material having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1 below was applied to one side of the substrate by a die coating method while adjusting the discharge pressure to produce a sheet-like coating. The discharge pressure was adjusted so that the basis weight of iron powder might be the value shown in Table 2.

그 후, 얻어진 시트상 도공물을 49 ㎜ × 49 ㎜ 의 크기로 재단하고, 도공면 상에, 식염 0.089 g (니혼 약국방 염화나트륨 (오오츠카 제약 주식회사 제조)) 을 균일하게 산포하여, 발열부 (10) 를 제작하였다.Then, the obtained sheet-like coating was cut into a size of 49 mm x 49 mm, and 0.089 g of salt (Nihon Pharmacy's Sodium Chloride (manufactured by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was uniformly dispersed on the coated surface, and the heat generating portion 10 Was produced.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발열체의 제작><Production of heating element>

이하의 순서에 따라, 도 4 에 나타내는 형태의 발열체를 제작하였다.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dure, the heating element of the form shown in FIG. 4 was produced.

표 2 에 나타내는 수용체 제 1 시트와 수용체 제 2 시트를 사용하고, 발열부를 수용체 제 1 시트와 수용체 제 2 시트 사이에 끼워, 주연부에 있어서 접합하여, 발열체를 얻었다.Using the first container sheet and the second container sheet shown in Table 2, the heat generating part was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container sheet and the second container sheet, and bonded at the periphery to obtain a heating element.

발열체는, 후술하는 평가를 실시할 때까지, 산소 차단 주머니에 넣어 보존하였다.The heating element was stored in an oxygen barrier bag until evaluation described later was performed.

<온열구의 제작><Production of heating appliance>

상기에서 얻어진 발열체를 2 개 사용하고, 도 1 에 나타내는 아이 마스크 형상의 온열구를 제작하였다. 주머니체 제 1 시트로서 평량 80 g/㎡ 의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니들 펀치법) 를, 주머니체 제 2 시트로서 평량 71 g/㎡ 의 셀룰로오스/폴리올레핀 복합 섬유 (열융착법), 보온 시트 (60) 로서 평량 30 g/㎡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부직포 (에어 스루법) 를 사용하였다.Using two heating elements obtained above, an eye mask-shaped heating appliance shown in Fig. 1 was produced. A polypropylene nonwoven fabric (needle punching method) having a basis weight of 80 g/m2 as the first sheet of the bag body, and a cellulose/polyolefin composite fiber having a basis weight of 71 g/m2 (thermal fusion method) as a second sheet of the bag body, and a thermal insulation sheet (60) As a basis weight of 30 g/m 2, polyethylene terephthalate nonwoven fabric (air-through method) was used.

얻어진 온열구에 대해, 이하에 나타내는 측정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또, 실시예 4, 비교예 1, 3 에 대해서는, 측정한 발열 프로파일을 도 6 에 나타냈다.About the obtained heating tool, the measurement and evaluation shown below were implement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Moreover, about Example 4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3, the measured heat generation profile was shown in FIG.

또한, 비교예 1 의 온열구는, 종래 기술에 상당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heating appliance of Comparative Example 1 is equivalent to the prior art.

[표면 온도의 측정][Measurement of surface temperature]

실온 20 ℃ 습도 50 % 의 환경 하에 있어서 온도를 측정하였다. JIS S4100 에 준거한 측정기를 사용하여, 온열구의 주머니체 제 1 시트 (사용자의 피부측의 면) 측을 외측으로 하고, 피부측과 반대측 (보온 시트) 의 면으로서 발열부가 배치된 영역에, 온도 센서를 설치하여 고정시켰다.The temperature was measured in an environment at room temperature of 20°C and humidity of 50%. Using a measuring device conforming to JIS S4100, the first sheet (surface of the user's skin) side of the heating appliance is turned to the outside, and the heat-generating part is placed as the surface of the side opposite to the skin (heating sheet). The sensor was installed and fixed.

온도 센서는, 메시재 (폴리에스테르제, 두께 8 밀리의 더블 러셀 생지) 와 SUS 판 (500 g 의 개공 플레이트) 으로 측정면에 고정시켰다.The temperature sensor was fixed to the measurement surface with a mesh material (polyester, double Russell dough having a thickness of 8 mm) and a SUS plate (500 g of open plate).

온열구를 수용한 산소 차단 주머니를 개봉 후, 10 초 간격으로 온도를 측정하여 40 분간 측정을 실시하고, 온도를 측정하였다.After opening the oxygen barrier bag containing the heating appliance, the temperature was measured at intervals of 10 seconds to measure the temperature for 40 minutes, and the temperature was measured.

또한, 얻어진 발열 프로파일로부터, 이하의 수치를 산출하였다.In addition, the following numerical values were calculated from the obtained heat generation profile.

·평균 변화율 (℃/분) : 발열체의 발열 개시 후, 온열구의 표면 온도 (℃) 가 최고 온도에 도달한 후, 발열체의 표면 온도 (℃) 가 45 ℃ 에 도달할 때까지의 당해 표면 온도의 평균 변화율.Average rate of change (℃/min): After the start of heat generation of the heating element, after the surface temperature (℃) of the heating element reaches the maximum temperature,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heating element (℃) reaches 45°C. Average rate of change.

·최고 온도 (℃) : 발열체의 발열 개시 후, 온열구의 표면 온도 (℃) 가 최고 온도에 도달했을 때의 온도.·Maximum temperature (℃):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surface temperature (℃) of the heating appliance reaches the maximum temperature after the heating element starts.

·승온 시간 (분) : 발열체의 발열 개시 후, 온열구의 표면 온도가 35 ℃ 부터 45 ℃ 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Temperature increase time (minutes): The time from the start of heat generation of the heating element until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heating appliance reaches 35 ℃ to 45 ℃.

[평가][evaluation]

숙련된 패널리스트 10 명에게 온열구를 수면 전에 30 분간 적절히 적용하고, 이하의 평가 항목에 대해, 각 기준에 기초하여 평가하여, 얻어진 평가 및 값의 평균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또한, 평가는, 수치가 낮을수록 양호한 것을 나타낸다.Heaters were appropriately applied to 10 experienced panelists for 30 minutes before sleep, and the following evaluation items were evaluated based on each criterion, and the obtained evaluation and the average of the values were evaluat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In addition, evaluation shows that the lower the numerical value, the better.

·쾌적감·Comfort

1 : 매우 기분 좋음1: very pleasant

2 : 기분 좋음2: feel good

3 : 약간 기분 좋음3: Slightly pleasant

4 : 어느 쪽이라고도 할 수 없음4: neither can be called

5 : 약간 불쾌5: slightly offended

6 : 불쾌6: discomfort

7 : 매우 불쾌7: very unpleasant

·잠들기 양호함·Good to fall asleep

1 : 비착용시보다 강하게 잠드는 것이 개선되었다.1: It was improved to fall asleep more strongly than when not wearing it.

2 : 비착용시보다 유의하게 잠드는 것이 개선되었다.2: Significantly improved falling asleep than when not wearing.

3 : 비착용시보다 조금 잠드는 것이 개선된 느낌이 들었다.3: I felt a little better to fall asleep than when I was not wearing it.

4 : 비착용시와 다르지 않았다.4: It was not different from the non-wear.

5 : 비착용시 이상으로 잠들 수 없게 되어 버렸다.5: It became impossible to fall asleep more than when not wearing it.

·기상 후의 잠에서 깨어남·활력·Wake up and vitality after waking up

1 : 비착용시보다 확실하게 잠에서 깨어날 수 있고, 낮동안은 지치지 않고 의욕적으로 활동할 수 있었다.1: I was able to wake up more reliably than when I was not wearing it, and I was able to work enthusiastically without getting tired during the day.

2 : 비착용시와 다르지 않았다.2: It was not different from when not worn.

3 : 비착용시보다 잠에서 깨어나기 힘들고, 낮동안은 지치기 쉽고 의욕이 없었다.3: It is harder to wake up than when you are not wearing it, and during the day you are tired and have no motivation.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2

Claims (11)

피산화성 금속, 탄소 성분 및 물을 함유하는 발열부와,
상기 발열부를 수용하고, 적어도 일방의 면에 통기성을 갖는 수용체를 포함하는 발열체를 구비하고, 이하의 조건을 만족하는, 온열구.
조건 : 실온 20 ℃ 습도 50 % 의 환경 하에 있어서 온도를 측정했을 때, 상기 발열체의 발열 개시 후, 상기 수용체의 타방의 면측으로서, 발열 영역에 대면하는 위치에 있는 상기 온열구의 표면 온도 (℃) 가 최고 온도에 도달한 후, 상기 온열구의 표면 온도 (℃) 가 45 ℃ 에 도달할 때까지의 당해 표면 온도의 평균 변화율이, -1.0 ℃/분 이상, -0.5 ℃/분 이하이다.
A heating part containing an oxidizable metal, a carbon component, and water,
A heating appliance that accommodates the heating unit, includes a heating element including a receptor having ventilation properties on at least one surface, and satisfies the following conditions.
Conditions: When the temperature is measured in an environment at room temperature of 20°C and humidity of 50%, after the heating of the heating element starts, the surface temperature (°C) of the heating appliance at a position facing the heating region as the other side of the container is After reaching the maximum temperature, the average rate of change of the surface temperature until the surface temperature (°C) of the heating appliance reaches 45°C is -1.0°C/min or more and -0.5°C/min or le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에 있어서, 상기 최고 온도가 60 ℃ 이상, 65 ℃ 이하인, 온열구.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above conditions, the maximum temperature is 60°C or higher and 65°C or low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에 있어서, 상기 온열구의 상기 표면 온도가 35 ℃ 부터 45 ℃ 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이, 1.0 분 이상, 1.5 분 이하인, 온열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heating implement in the above conditions, wherein the time until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heating appliance reaches from 35°C to 45°C is 1.0 minutes or more and 1.5 minutes or less.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의 상기 일방의 면의 통기도 (초/100 ㎖) 와, 상기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곱이, 1.4 × 106 이상, 3.1 × 106 미만인, 온열구.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warming tool, wherein a product of the air permeability (second/100 ml) of the one side of the container and the basis weight (g/m 2) of the oxidizable metal content is 1.4 × 10 6 or more and less than 3.1 × 10 6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의 상기 일방의 면의 통기도 (초/100 ㎖) 에 대한, 상기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비가, 0.06 이상, 0.17 이하인, 온열구.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 heating appliance in which a ratio of the basis weight (g/m 2) of the oxidizable metal content to the air permeability (second/100 ml) of the one side of the container is 0.06 or more and 0.17 or less.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의 상기 일방의 면의 통기도가, 100 초/100 ㎖ 이상, 10,000 초/100 ㎖ 이하인, 온열구.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heating implement, wherein the air permeability of one side of the receptor is 100 seconds/100 ml or more and 10,000 seconds/100 ml or less.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산화성 금속의 함유량이, 상기 발열부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단위 면적당, 250 g/㎡ 이상, 1200 g/㎡ 이하인, 온열구.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 heating appliance in which the content of the oxidizable metal is 250 g/m 2 or more and 1200 g/m 2 or less per unit area when viewed from a plan view of the heating part.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의 타방의 면으로부터, 상기 발열부와는 반대측의 상기 온열구의 최외층까지의 평량의 합계가, 40 g/㎡ 이상, 300 g/㎡ 이하인, 온열구.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 heating implement in which the sum of the basis weight from the other side of the container to the outermost layer of the heating implement on the side opposite to the heating part is 40 g/m 2 or more and 300 g/m 2 or less.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의 타방의 면 상에, 상기 발열체를 덮는 보온재를 구비하는, 온열구.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A heating implement provided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covering the heating element on the other side of the container.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의 타방의 면의 통기도가, 10,000 초/100 ㎖ 이상인, 온열구.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The heating implement, wherein the air permeability of the other side of the receptor is 10,000 seconds/100 ml or more.
피산화성 금속, 탄소 성분 및 물을 함유하는 발열부와,
상기 발열부를 수용하고, 적어도 일방의 면에 통기성을 갖는 수용체를 포함하는 발열체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체의 상기 일방의 면의 통기도 (초/100 ㎖) 와, 상기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곱이, 1.4 × 106 이상, 3.1 × 106 미만이고,
상기 수용체의 상기 일방의 면의 통기도 (초/100 ㎖) 에 대한, 상기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비가, 0.06 이상, 0.17 이하이고,
상기 수용체의 상기 일방의 면의 통기도가, 100 초/100 ㎖ 이상, 10,000 초/100 ㎖ 이하이고, 이하의 조건을 만족하는, 온열구.
조건 : 실온 20 ℃ 습도 50 % 의 환경 하에 있어서 온도를 측정했을 때, 상기 발열체의 발열 개시 후, 상기 수용체의 타방의 면측으로서, 발열 영역에 대면하는 위치에 있는 상기 온열구의 표면 온도 (℃) 가 최고 온도에 도달한 후, 상기 온열구의 표면 온도 (℃) 가 45 ℃ 에 도달할 때까지의 당해 표면 온도의 평균 변화율이, -1.0 ℃/분 이상, -0.5 ℃/분 이하이다.
A heating part containing an oxidizable metal, a carbon component, and water,
It includes a heating element that accommodates the heating unit and includes a receptor having breathability on at least one surface,
The product of the air permeability (sec/100 ml) of the one side of the receptor and the basis weight (g/m 2) of the oxidizable metal content is 1.4×10 6 or more and less than 3.1×10 6 ,
The ratio of the basis weight (g/m2) of the oxidizable metal content to the air permeability (second/100 ml) of one side of the receptor is 0.06 or more and 0.17 or less,
The heating implement, wherein the air permeability of one side of the receptor is 100 seconds/100 ml or more and 10,000 seconds/100 ml or less, and satisfies the following conditions.
Conditions: When the temperature is measured in an environment at room temperature of 20°C and humidity of 50%, after the heating of the heating element starts, the surface temperature (°C) of the heating appliance at a position facing the heating region as the other side of the container is After reaching the maximum temperature, the average rate of change of the surface temperature until the surface temperature (°C) of the heating appliance reaches 45°C is -1.0°C/min or more and -0.5°C/min or less.
KR1020207027974A 2018-03-08 2019-03-01 hot air balloon KR10245620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41784 2018-03-08
JP2018041784 2018-03-08
JPJP-P-2018-157426 2018-08-24
JP2018157426A JP7181025B2 (en) 2018-03-08 2018-08-24 heating tool
PCT/JP2019/008015 WO2019172105A1 (en) 2018-03-08 2019-03-01 Heating applia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684A true KR20200125684A (en) 2020-11-04
KR102456209B1 KR102456209B1 (en) 2022-10-18

Family

ID=67992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7974A KR102456209B1 (en) 2018-03-08 2019-03-01 hot air balloon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181025B2 (en)
KR (1) KR102456209B1 (en)
CN (1) CN111836603B (en)
TW (1) TW201940140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21215089A1 (en) * 2020-04-24 2021-10-28
CN111789709B (en) * 2020-08-20 2022-05-06 河南省超亚医药器械有限公司 Eye hot compress treatment patch suitable for meibomian gland dysfunction type xerophthalmia
CN112263379A (en) * 2020-10-27 2021-01-26 孙茜 Traditional chinese medical science nursing is with medicine hot compress device
CN113292972B (en) * 2021-07-23 2021-12-07 天津富勤科技股份有限公司 Compression molding spontaneous heating bod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3203A (en) 2000-11-09 2002-05-21 Kao Corp alpha WAVE AUGMENTING APPARATUS
JP2013146555A (en) 2011-12-21 2013-08-01 Kao Corp Heating element, and warming tool using the same
KR20150013733A (en) * 2012-06-07 2015-02-05 카오카부시키가이샤 Heating element and warming tool provided with sam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1855B2 (en) * 1999-10-07 2004-04-26 花王株式会社 Eye pillow
EP3034053B1 (en) * 2005-03-04 2019-04-24 Kao Corporation Moist heating device
JP2006348437A (en) * 2005-06-17 2006-12-28 Kao Corp Wear to be mounted on body
EP2002813B1 (en) * 2006-03-31 2018-07-18 Kao Corporation Water vapor generator
CA2583440C (en) * 2006-03-31 2012-01-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feedback signal upon urination
JP5074126B2 (en) * 2007-08-10 2012-11-14 花王株式会社 Steam heating equipment
JP5284700B2 (en) * 2007-11-09 2013-09-11 花王株式会社 Heating tool
WO2013094746A1 (en) * 2011-12-21 2013-06-27 花王株式会社 Steam heating implement
JP6602522B2 (en) * 2012-01-31 2019-11-06 桐灰化学株式会社 Heating tool
JP5840554B2 (en) 2012-03-30 2016-01-06 花王株式会社 Heating equipment
CN102774102A (en) * 2012-07-19 2012-11-14 上海暖友实业有限公司 Micro-ventilating membrane with air permeability changed with temperature and application for micro-ventilating membrane
CN103190984B (en) * 2013-04-11 2015-03-04 天津富勤科技有限公司 Steam heat eye mask
KR102243601B1 (en) * 2013-06-10 2021-04-22 카오카부시키가이샤 Heating implement
JP6263027B2 (en) 2013-12-27 2018-01-17 花王株式会社 Heating equipment
CN203736375U (en) * 2014-02-21 2014-07-30 浙江越韩科技透气材料有限公司 Disposable self-heating patch with controllable heating rate
SG11201700905YA (en) * 2014-08-06 2017-03-30 Handy Technology Zhuhai Ltd Self-heating insulating film and face mask and eye mask manufactured therefrom
JP6396760B2 (en) 2014-10-31 2018-09-26 花王株式会社 Sleep quality improvement tool
CN204293349U (en) * 2014-12-12 2015-04-29 中国人民解放军第三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Steam medical eyeshield
JP6767190B2 (en) * 2016-07-28 2020-10-14 花王株式会社 Hea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3203A (en) 2000-11-09 2002-05-21 Kao Corp alpha WAVE AUGMENTING APPARATUS
JP2013146555A (en) 2011-12-21 2013-08-01 Kao Corp Heating element, and warming tool using the same
KR20150013733A (en) * 2012-06-07 2015-02-05 카오카부시키가이샤 Heating element and warming tool provided with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81025B2 (en) 2022-11-30
JP2019155055A (en) 2019-09-19
TW201940140A (en) 2019-10-16
CN111836603B (en) 2022-06-21
CN111836603A (en) 2020-10-27
KR102456209B1 (en) 202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6209B1 (en) hot air balloon
KR101649806B1 (en) Vapor heating implement
KR102072369B1 (en) Heat imp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05021673A (en) Heating implement
JP4740143B2 (en) Warming body
KR20180017050A (en) Steam heating mask
WO2004098470A1 (en) Warming tool
KR102182158B1 (en) Steam heating tool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2011136060A (en) Nasal region heating implement for mask
JP4675114B2 (en) Heating tool
JP3992693B2 (en) Heating equipment
JP2017170114A (en) Hyperthermia tool
JP2017070356A (en) Steam generator and hyperthermia tool
WO2021215089A1 (en) Heating implement
WO2019172105A1 (en) Heating appliance
WO2019131480A1 (en) Mask
JP2001000230A (en) Warming appliance
KR20200118102A (en) Mask
WO2021214989A1 (en) Heating implement
JP2005111180A (en) Heating compact
JP4420914B2 (en) Heating equipment
KR20230121929A (en) heating bulb
JP2022089420A (en) Warmer
JP2013123610A (en) Thermal instrument
JP2017169600A (en) Dry eye improvement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