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5483A - Electrolysis system controlling reactive power and active power for stabilizing input voltage - Google Patents
Electrolysis system controlling reactive power and active power for stabilizing input volta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25483A KR20200125483A KR1020200048438A KR20200048438A KR20200125483A KR 20200125483 A KR20200125483 A KR 20200125483A KR 1020200048438 A KR1020200048438 A KR 1020200048438A KR 20200048438 A KR20200048438 A KR 20200048438A KR 20200125483 A KR20200125483 A KR 2020012548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 voltage
- water electrolysis
- receiving
- hydroge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6—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adjustment of reactive power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2—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8—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30—Reactive power compensa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0—Process efficienc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0—Process efficiency
- Y02P20/133—Renewable energy sources, e.g. sunligh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04S10/123—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the energy generation units being or involving renewable energy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입력전압 안정화를 위한 유효 및 무효전력 조정기능을 갖는 수전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eiving electrolysis system having an effective and reactive power adjustment function for stabilizing an input voltage.
태양광 및 풍력발전으로 대표되는 재생에너지는 시간대별, 계절별 출력 편차가 큰 발전방식이다. 최근 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이 증가하면서 주파수와 전압으로 평가하는 계통전력의 품질을 손상시킬 가능성이 있으며, 그 우려가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Renewable energy, represented by solar and wind power generation, is a power generation method with large output variations by time and season. Recently, as the capacity of renewable energy facilities increase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quality of grid power evaluated by frequency and voltage may be impaired, and that concern is becoming a reality.
수전해 기술은 19세기에 상업화되었으나, 수소 수요처의 부족 및 탄화수소 연료로부터 얻는 수소대비 경제성 부족 등의 이유로 특수 목적으로만 활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고순도 수소의 산업적 수요 증가 및 이산화탄소 감축을 위한 청정에너지원의 필요성 증대로 새로운 기술적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최근 들어 단기적 변동성이 큰 재생에너지를 장기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주목받고 있다.Water electrolysis technology was commercialized in the 19th century, but it was only used for special purposes due to the lack of demand for hydrogen and the lack of economy compared to hydrogen obtained from hydrocarbon fuels. However, due to the increase in industrial demand for high-purity hydrogen and an increase in the need for a clean energy source for carbon dioxide reduction, new technical studies are being conducted, and recently, attention has been drawn to store renewable energy with high short-term volatility in the long term.
수전해장치는 전기화학적 방식을 통해 물을 분해하여 수소와 산소를 얻어내는 장치이며, 전해질의 구성 및 이온의 종류에 따라 알칼리방식, 고분자 전해질막(PEM,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방식, 고체산화물(SO) 방식 등으로 구분된다. 재생에너지의 출력을 수전해장치를 활용해 수소로 변환하고자 하는 기술은 2000년대 중반부터 기술개발이 추진되어 최근에는 MW급 플랜트가 건설되는 초기 상업화 단계에 이르고 있다. A water electrolysis device is a device that decomposes water through an electrochemical method to obtain hydrogen and oxygen.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of the electrolyte and the type of ions, the water electrolysis device is an alkaline method,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PEM) method, and a solid oxide (SO). ), etc. The technology to convert the output of renewable energy into hydrogen using a water electrolysis device has been developed since the mid-2000s, and in recent years, it has reached the initial commercialization stage when an MW-class plant is being built.
수전해장치는 에너지효율 증가를 위해 전극에 촉매가 사용되고 있는데, 알칼리방식과 PEM 방식이 속하는 저온수전해의 경우 역전류 흐름에 의한 촉매손상이 장치의 수명을 단축하는 요소로 지목되고 있다. 재생에너지의 출력을 수전해장치에 직접 활용하기 위해서는 수전해장치와 연계된 계통의 안정화 또한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상기한 이유로 수전해장치는 재생에너지와 독립계통을 구성하기보다는 교류계통에 연결되어 동작되고 있다. In the water electrolysis device, a catalyst is used in the electrode to increase energy efficiency. In the case of low-temperature water electrolysis in which the alkaline method and the PEM method belong, catalyst damage due to reverse current flow is pointed out as a factor that shortens the life of the device. In order to directly utilize the output of renewable energy to the water electrolysis system, stabilization of the system connected to the water electrolysis system is also an important factor. For the above reasons, the water electrolysis device is operated by being connected to an AC system rather than configuring an independent system with renewable energy.
일반적인 교류 전력계통에서 주파수는 유효전력의 발전량에서 부하량을 제외한 수급차로 결정되며, 전압은 선로의 유도저항, 발전기와 부하의 상대적 배치, 정확히는 무효전력의 수급차에 따라 결정된다. In a general AC power system, the frequency is determined by the supply and demand difference excluding the load amount from the generation amount of active power, and the voltage is determined by the induction resistance of the line,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generator and the load, and, more precisely, the supply and demand difference of reactive power.
재생에너지와 연료전지 등을 포함한 신재생에너지는 기존 기력발전 대비 발전원이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계통이 전반적으로 안정적이더라도 지엽적인 계통사고를 발생시킬 위험이 증가하게 되었다. 이는 연계되어 있는 수전해장치의 운전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Renewable energy, including renewable energy and fuel cells, has an increased risk of causing local system accidents even though the system is generally stable because power generation sources are dispersed compared to existing energy generation. This means that the possibility of adversely affecting the operation of the connected water electrolysis device increases.
도 1은 재생에너지 출력변화에 의한 계통전압 및 주파수의 변동을 전압-주파수 그래프 상에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variation of a system voltage and a frequency due to a change in a renewable energy output on a voltage-frequency graph.
표 1은 유, 무효전력의 수급불균형과 전력계통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 것이다.Table 1 compares the supply-demand imbalance of active and reactive power and the effect on the power system.
무효전력이란 교류송배전에서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에 의해 그 누적일률이 0이 되는 전력성분을 의미한다. 코일(리액터)과 콘덴서(커패시터) 등에 전류가 흐를 때, 자체 용량만큼 전류위상을 전압위상에 대해 90도씩 이동시키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전자제품 및 특정 부하가 만드는 무효전력성분은 그 구성 부품이 유도하는 상변화의 백터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Reactive power refers to the power component whose cumulative power becomes zero due to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voltage and current in AC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When current flows in coils (reactors) and capacitors (capacitors), it has the property of shifting the current phase by 90 degrees relative to the voltage phase as much as its own capacity, and the reactive power components made by electronic products and specific loads are induced by their components. It can be expressed as the vector sum of the phase change.
기존 계통과 부하 사이에 있는 재생에너지 출력이 상승할 때, 그 부하량보다 큰 재생에너지 출력은 상위 계통으로 흐르고자 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역조류 흐름은 연계점 인근의 전압을 상승시킨다. 반대로 재생에너지의 출력이 순간적으로 감소하는 경우, 재생에너지가 공급하던 전류분이 상대적으로 먼 거리의 계통에서 공급됨에 따라 전압이 감소하게 된다.When the renewable energy output between the existing system and the load rises, the renewable energy output larger than that load tends to flow to the upper system. This countercurrent flow raises the voltage near the junction. Conversely, when the output of the renewable energy is momentarily decreased, the voltage decreases as the current supplied by the renewable energy is supplied from a relatively distant system.
도 2a는 일반적인 수전해장치에 연결되는 3상 사이리스터 정류기의 회로도이고, 도 2b는 도 2b의 회로의 출력전압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2A is a circuit diagram of a three-phase thyristor rectifier connected to a general water electrolysis device, and FIG. 2B is a diagram showing an output voltage pattern of the circuit of FIG. 2B.
수전해장치는 수소를 생산하기 위해 직류 전력을 요구하므로, 일반적으로 계통에 연결된 수전해장치는 사이리스터 정류에 기반한 전력변환 및 공급장치를 탑재하고 있다. 그러나 사이리스터 정류방식은 1) 입력 교류 전압에 의해 발생하는 직류 출력 전압의 리플을 일정 수준 이상 통제할 수 없으며, 2)입력되는 계통의 전압 또는 계통에 흐르는 무효전력에 대한 제어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3) 수전해장치와 같은 저전압 고전류 기기의 경우, 변압기를 통해 일차 감압을 수행해야 하는데, 이 변압기의 크기가 크고 효율을 높이기 어려운 점도 개선할 요소이다. Since the water electrolysis device requires DC power to produce hydrogen, the water electrolysis device generally connected to the grid is equipped with a power conversion and supply device based on thyristor rectification. However, the thyristor rectification method has disadvantages in that 1) the ripple of the DC output voltage generated by the input AC voltage cannot be controlled over a certain level, and 2) the voltage of the input system or the reactive power flowing through the system cannot be controlled. . In addition, 3) In the case of low-voltage, high-current devices such as water electrolysis devices, primary depressurization must be performed through a transformer, and the size of this transformer is large and it is difficult to increase efficiency.
본 발명은 계통에 연결되어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장치를 포함하는 수전해 시스템에 있어서, 계통으로부터 수전해장치에 연결된 전력변환장치에 스위칭 소자가 활용되어 펄스폭변조(PWM) 제어를 포함한 능동적 변환방식을 적용해 수전해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의 변환효율을 향상하는 한편, 수전해장치에 전력을 전달하는 전력변환장치가 무효전력의 흡수 또는 주입을 담당하여 수전해장치 및 연계된 계통의 안정화를 보조하는 방식을 제안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a water electrolysis system including a water electrolysis device connected to a grid to produce hydrogen, a switching element is utilized in a power conversion device connected to the water electrolysis device from the grid to enable active conversion including pulse width modulation (PWM) control. While applying the method to improve the conversion efficiency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electrolysis unit, the power conversion unit that delivers the power to the electrolysis unit is in charge of absorbing or injecting reactive power to stabilize the electrolysis unit and the connected system. Suggest a way to assis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계통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장치와 연결된 수전해 시스템은, 계통과 연계된 수전단(A)으로부터 교류 전력을 수전하여 수전해장치가 활용가능한 직류로 전환하는 전력변환장치와, 전력변환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물을 분해하여 수소와 산소를 생산하는 수전해장치와, 수전해장치와 전력변환장치의 운전을 제어하는 전력관리장치를 포함하고, 전력관리장치는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전력변환장치의 수전단전압(VE(t)) 및 계통주파수(FG(t))를 수신하고, 수신된 수전단전압(VE(t)) 및 계통주파수(FG(t))에 따라서, 전력변환장치가 계통으로부터 유효전력을 흡수하거나, 계통의 무효전력을 흡수하거나, 계통으로 무효전력을 주입하도록 제어하여, 수전해장치로 계통의 유효전력 및 계통의 무효전력으로 인한 과전압 또는 저전압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수전해장치의 오작동 또는 손상을 방지하는 한편 계통의 전압 및 주파수를 안정화한다. A water electrolysis system connected to a monitoring device for monitoring a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conversion device that receives AC power from a power reception terminal A connected to the system and converts it to a direct current usable by the power reception device, It includes a water electrolysis device that receives power from a power conversion device and decomposes water to produce hydrogen and oxygen, and a power management device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water electrolysis device and the power conversion device, and the power management device provides power from the monitoring device. the number of the front end voltage (V E (t)) and the grid frequency (F G (t)) received and the received number of the front end voltage (V E (t)) of and the grid frequency (F G (t)) of the converter Therefore, the power conversion device is controlled to absorb active power from the system, absorb reactive power of the system, or inject reactive power into the system, and overvoltage or low voltage due to the active power of the system and reactive power of the system to the receiving electrolysis device. By blocking the inflow of this, it prevents malfunction or damage of the water electrolysis device while stabilizing the voltage and frequency of the system.
전력관리장치는, 계통주파수(FG)가 상승할 때 전력변환장치가 계통이 수용하지 못하는 유효전력을 수전해장치에 전달하여 수소로 변환하도록 지시하고, 수전단전압(VE(t))이 상승할 때 전력변환장치가 계통의 무효전력을 흡수하도록 제어하고, 수전단전압(VE(t))이 하강할 때 전력변환장치가 계통으로 무효전력을 주입하도록 제어하여, 수전단전압(VE)을 지정된 범위로 유지하도록 동작함으로써 수전해장치로 계통의 유효전력 및 계통의 무효전력으로 인한 과전압 또는 저전압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When the system frequency (F G ) rises, the power management device instructs the power conversion device to transfer the active power that the system cannot accept to the receiving electrolysis device to convert it into hydrogen, and the receiving end voltage (V E (t)) When this rises, the power converter is controlled to absorb the reactive power of the system, and when the receiving end voltage (V E (t)) falls, the power converter is controlled to inject reactive power into the system. By operating to maintain V E ) within the specified range, it is possible to block the inflow of overvoltage or undervoltage due to the active power of the system and reactive power of the system to the receiving electrolysis device.
전력관리장치는 재생에너지원의 출력전력(PR(t))이 재생에너지원의 소정의 운전기준점전력(PO)보다 높은 경우, 현재 재생에너지 출력전력(PR(t))과 운전기준점전력(P0)의 차이에 일정한 계수(α, 여기에서, α는 1보다 작은 양의 실수값임)를 곱한 값으로 유효전력지령치(PW*(t))를 계산하고, 계산된 유효전력지령치(PW*(t))를 이용하여 전력변환장치를 제어하거나, 재생에너지원의 출력전력(PG(t))이 재생에너지원의 소정의 운전기준점전력(PO)보다 높지 않으면서, 출력상승에 의해 재생에너지 출력(PR(t))이 계통전압(VG(t)) 및 계통전류(IG(t))의 곱으로 나타나는 계통의 전력요구량(PG)보다 높은 경우, (여기에서, β는 소정의 값)에 의하여 유효전력지령치(PW(t)*)를 계산하고, 전력변환장치는 내부의 스위칭 소자의 동작을 통해 유효전력을 흡수하여 운전하는 한편, 계통전압(VG(t)) 및 계통주파수(FG(t))를 안정화할 수 있다. When the output power of the renewable energy source (P R (t)) is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operation reference point power (PO) of the renewable energy source, the current renewable energy output power (P R (t)) and the operation reference point power The active power command value (P W *(t))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difference between (P0) by a constant factor (α, where α is a positive real value less than 1), and the calculated active power command value (P W *(t)) is used to control the power conversion device, or the output power of the renewable energy source (P G (t)) is not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operation reference point power (PO) of the renewable energy source, When the renewable energy output (P R (t)) is higher than the power demand (P G ) of the system represented by the product of the system voltage (V G (t)) and the system current (I G (t)), (Where β is a predetermined value), the active power command value (P W (t) * ) is calculated, and the power converter operates by absorbing active power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internal switching element, while the system voltage (V G (t)) and system frequency (F G (t)) can be stabilized.
전력관리장치는, 수전단전압(VE(t))이 기준치 대비 일정 범위 이상 차이를 보일 때, 재생에너지원의 출력전력(PR), 재생에너지원의 출력전류(IR), 재생에너지원의 출력전압(VR) 및 계통전압(VG)과 계통전류(IG)의 위상차(ΘG)을 기준으로 하여 계통에 주입하거나 흡수할 무효전력지령치(QE*(t))을 계산하고, 계산된 무효전력지령치(QE*(t))에 따라 전력변환장치에 지령하고, 전력변환장치는 내부의 스위칭 소자의 동작을 통해 수전단(A)에서의 무효전력을 흡수하여 수전해장치의 수전단전압(VE(t)) 및 계통전압(VG(t))을 안정화할 수 있다.The power management device is the output power of a renewable energy source (P R ), the output current of a renewable energy source (I R ), and renewable energy when the receiving and receiving voltage (V E (t)) shows a difference over a certain range from the reference value. the output voltage (V R) and the grid voltage (V G) and the grid current (I G) phase reactive power setpoint (Q E * (t)) on the basis of (Θ G) to be injected or absorbed into the grid of the original It is calculated and commanded to the power conversion device according to the calculated reactive power command value (Q E *(t)), and the power conversion device absorbs the reactive power at the receiving end (A)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internal switching element. It is possible to stabilize the receiving end voltage (V E (t)) and system voltage (V G (t)) of the electrolytic device.
일 측면에 따른 수전해 시스템은, 수전해장치에서 생산되는 수소를 저장하는 수소저장장치 및 연료전지 또는 수소의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수소발전장치를 더 포함하고, 전력관리장치는 재생에너지 출력이 급격히 감소하거나 부하가 증가하는 시점에 수소발전장치가 계통과 연계된 지점(B)으로 유효전력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water electrolysis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further includes a hydrogen storage device for storing hydrogen produced by the water electrolysis device, and a fuel cell or a hydrogen power generation device for converting energy of hydrogen into electrical energy, and the power management device outputs renewable energy. The hydrogen generator can be controlled to output active power to the point (B) connected to the system at the time when this sharp decrease or the load increases.
재생에너지원의 유효전력(PR(t))이 계통 발전 최소 전력(PL)보다 작으면(PR(t)<PL), 전력관리장치는 에 의하여 수소발전장치가 발전할 유효전력지령치(PF*(t))를 계산하고, 수소발전장치는 유효전력지령치(PF*(t))에 기초하여 계통으로 유효전력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a는 소정의 계수이다. If the active power of the renewable energy source (P R (t)) is less than the minimum power (P L ) of system power generation (P R (t)<P L ), the power management device Calculates the active power command value (P F *(t)) to be generated by the hydrogen power generation device and controls the hydrogen power generation device to output active power to the system based on the active power command value (P F *(t)). Can be, where a is a predetermined coefficient.
일 측면에 따른 수전해 시스템은, 수전해장치에서 생산되는 수소를 저장하는 수소저장장치 및 연료전지 또는 수소의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수소발전장치를 더 포함하고, 전력관리장치는 계통전압 변동시 수소발전장치가 계통으로 유효전력을 주입하거나, 무효전력을 주입하거나, 무효전력을 흡수하여 수전해장치가 수전하는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water electrolysis system according to one aspect further includes a hydrogen storage device for storing hydrogen produced by the water electrolysis device, and a fuel cell or a hydrogen power generation device for converting energy of hydrogen into electrical energy, and the power management device is a system voltage fluctuation. When the hydrogen power generation device injects active power, injects reactive power into the system, or absorbs reactive power, it can be controlled to maintain a constant voltage received by the receiving electrolysis device.
전력관리장치는, 수전단전압(VE(t))이 소정의 기준치보다 낮아지는 경우 재생에너지 정보 및 계통의 정보를 수집하여 수소발전장치에 출력할 유효전력지령치(PF*(t))및 무효전력지령치(QF*(t))를 계산하고, 유효전력지령치(PF*(t)) 및 무효전력지령치(QF*(t))에 따라 수소발전장치가 운전하도록 지령하고, 수소발전장치는 운전 과정에서 인버터 내부의 스위칭 소자의 동작을 통해 유효전력 및 무효전력을 계통에 주입하여 계통의 전압 및 주파수를 안정화할 수 있다. The power management device collects renewable energy information and system information and outputs the active power command value (P F *(t)) to the hydrogen generator when the receiving voltage (V E (t))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the reactive power command value (Q F *(t)) is calculated, and the hydrogen generator is commanded to operate according to the active power command value (P F *(t)) and the reactive power command value (Q F *(t)), The hydrogen generator can stabilize the voltage and frequency of the system by injecting active and reactive power into the system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switching element inside the inverter during operation.
전력관리장치는 수전해 시스템의 무효전력지령치(Q*(t))를 전력변환장치 및 수소발전장치가 분담하도록 제어하고, 전력관리장치는 무효전력을 배분할 때, 전력변환장치의 용량(QE_Max)와 인버터의 용량(QF_Max) 비율에 따르거나, 유효전력 운전을 하지 않는 쪽을 우선하도록 배분할 수 있다. The power management device controls the reactive power command value (Q*(t)) of the receiving and electrolysis system to be shared by the power conversion device and the hydrogen generator, and the power management device distributes the reactive power, the capacity of the power conversion device (Q E _Max) and the capacity of the inverter (Q F _Max), or it can be allocated to give priority to the one that does not operate active power.
전력변환장치와 수전해장치 사이에 직류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저장장치를 더 포함하고, 전력관리장치는 수전해장치의 운전중 계통사고 발생으로 인해 수전해장치에 전력공급이 불가능할 때 전력관리장치가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t further includes a power storage device that stores DC power between the power conversion device and the receiving electrolysis device, and the power management device is configured to operate the power management device when power supply to the receiving electrolysis device is impossible due to a system accident during operation of the receiving electrolysis device. You can control the system to shut down reliably.
본 발명에 따르면, 계통에 연결되어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장치를 포함하는 수전해 시스템에 있어서, 계통으로부터 수전해장치에 연결된 전력변환장치에 스위칭 소자가 활용되어 펄스폭변조(PWM)제어를 포함한 능동적 변환방식을 적용하여 수전해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의 변환효율을 향상하는 한편, 수전해장치에 전력을 전달하는 전력변환장치가 무효전력의 흡수 또는 주입을 담당하여 수전해장치 및 연계된 계통의 안정화를 보조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water electrolysis system including a water electrolysis device that is connected to a system to produce hydrogen, a switching element is utilized in a power conversion device connected to the water electrolysis device from the system to include pulse width modulation (PWM) control. While the active conversion method is applied to improve the conversion efficiency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receiving electrolysis device, the power conversion device that delivers power to the receiving electrolysis device absorbs or injects reactive power, It can aid in stabilization.
도 1은 재생에너지 출력변화에 의한 계통전압 및 주파수의 변동을 전압-주파수 그래프 상에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일반적인 수전해장치에 연결되는 3상 사이리스터 정류기의 회로도이고, 도 2b는 도 2b의 회로의 출력전압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전력변환 3상 PWM방식 전력변환장치의 회로도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소발전장치 및 전력저장장치가 추가 구비된 수전해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재생에너지 발전소와 교류계통 사이에 수전해 시스템이 연계된 계통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b는 재생에너지가 연결되는 송전선에는 송전선 저항성분에 의한 전압강하(ΔVLR)와 인덕턴스에 의한 전압변동(ΔVLX)이 나타나므로, 재생에너지 출력전압(VR)과 계통연계점의 전압(VP) 사이에 성립되는 관계를 나타내는 벡터도면이고, 도 6c는 수전해 시스템이 수전하는 수전단전압(VE)과 재생에너지 출력전압(VR)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벡터도면이다.
도 7a, 도 7b, 도 7c, 도 7d 및 도 7e는 도 6a, 도 6b 및 도 6c와 유사한 상황에서 수전해 시스템(100)이 운전하는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는 수전해 시스템이 계통으로부터 수전받는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b는 무효전력의 흡수를 통해 수전해장치로 전달하는 유효전력을 유지하는 상황의 전력관계를, 도 8c는 전압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전해 시스템에 수소발전장치가 추가되는 경우의 송전선의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b는 도 9a의 상황에서 무효전력 및 유효전력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c는 도 9a의 상황에서 전압 및 전류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d는 수소발전장치의 유효전력이 최대치일 때 전력변환장치에서 무효전력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무효전력 및 유효전력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해 시스템의 운전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수전해 시스템이 유효전력을 조정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도 10에서 수전해 시스템이 무효전력을 조정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도 11 및 도 12에서 도시된 절차를 거쳐 도출한 지령치를 전력변환장치 및 수소발전장치에 전달하여 수전해 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variation of a system voltage and a frequency due to a change in a renewable energy output on a voltage-frequency graph.
FIG. 2A is a circuit diagram of a three-phase thyristor rectifier connected to a general water electrolysis device, and FIG. 2B is a diagram showing an output voltage pattern of the circuit of FIG. 2B.
3 is a diagram showing a water electrolysi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an exemplary circuit diagram of a power conversion three-phase PWM power conversion device.
5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ater electrolysis system additionally equipped with a hydrogen generator and a power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is a diagram showing a system situation in which a water electrolysis system is connected between a renewable energy power plant and an AC system, and FIG. 6B is a voltage drop (ΔV LR ) due to the resistance component of the transmission line and a voltage due to inductance in a transmission line to which renewable energy is connected. Since the fluctuation (ΔV LX ) appears, it is a vector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established between the renewable energy output voltage (V R ) and the voltage at the grid connection point (V P ), and FIG. 6C is the receiving end voltage received by the receiving electrolysis system. It is a vector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 E ) and the renewable energy output voltage (V R ).
7A, 7B, 7C, 7D, and 7E are views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the
FIG. 8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the receiving and electrolysis system receives power from the system, FIG. 8B is a power relationship in a situation in which active power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and electrolysis device is maintained through absorption of reactive power, and FIG. 8C is a voltage state. It is a figure shown.
9A, 9B, and 9C are diagrams showing the situation of a transmission line when a hydrogen generator is added to the water electrolysis system as shown in FIG. 5, and FIG. 9B is a diagram of reactive power and active power in the situation of FIG. 9A. Fig. 9C is a view showing changes in voltage and current in the situation of Fig. 9A, and Fig. 9D is a reactive power when the power conversion device performs reactive power operation when the active power of the hydrogen generator is at the maximum value. And a diagram showing a change in active power.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algorithm of a water electrolysi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 chart showing in detail a process of adjusting active power by the electrolysis system in FIG. 10.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in detail a process of adjusting reactive power by the receiving electrolysis system in FIG. 10.
13 is a flow chart showing in detail the operation of the water electrolysis system by transferring the command value derived through the procedure shown in FIGS. 11 and 12 to the power conversion device and the hydrogen generato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3 is a diagram showing a water electrolysi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수전해 시스템(100)은 재생에너지원(10) 및 그와 연계되어 있고 인접한 변전소(30) 사이에 설치된다. 이하에서, 변전소(30)는 변전소와 연결된 계통(30)이라고도 한다. The
수전해 시스템(100)은 전력변환장치(110), 수전해장치(120) 및 전력관리 장치(130)를 포함한다. 수전해 시스템(100)은 수소저장장치(140) 및 모니터링 장치(15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수소저장장치(140) 및 모니터링 장치(150)는 실시예에 따라 수전해 시스템(100)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The
전력변환장치(110)는 계통(30)과 연결된 수전단(계통연계점 A이라고도 함)으로부터 계통(30)의 교류전력을 수전하여 수전해장치(120)가 활용가능한 직류로 전환한다. The
수전해장치(120)는 전력변환장치(1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물을 분해하여 수소와 산소를 생산한다. The
전력관리장치(130)는 전력변환장치(110), 수전해장치(120) 및 모니터링 장치(150)를 제어한다. The
모니터링 장치(150)는 전력관리장치(130)와 연결되며, 수전단전압(VE), 수전단전류(IE) 및 계통주파수(FG)를 계측하여 전력관리장치(130)에 전달한다. 계통(30)에서 실제 측정되는 계통전압(VG) 및 계통전류(IG)는 계통(30)에 연결된 계통연계점 A에 대해 모니터링 장치(150)에서 측정한 수전단전압(VE), 수전단전류(IE) 및 계통주파수(FG)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수전단전압(VE) 및 수전단전류(IE)는 전력관리장치(130)가 이용하는 계통(30)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정보이지만, 계통(30)과 연계된 계통연계점 A에서 측정한 정보이므로, 계통(30)에서 실제 측정되는 계통전압(VG) 및 계통전류(IG)와 구별하여 명칭하도록 한다. The
전력관리장치(130)는 모니터링 장치(150)로부터 수전단전압(VE) 및 계통주파수(FG)를 수신하고, 수신된 수전단전압(VE) 및 계통주파수(FG)에 따라서, 전력변환장치(110)가 계통(30)으로부터 유효전력을 흡수하거나, 계통(30)의 무효전력을 흡수하거나, 계통(30)으로 무효전력을 주입하도록 제어하여, 수전해장치(120)로 계통(30)의 유효전력 및 계통(30)의 무효전력으로 인한 과전압 또는 저전압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수전해장치의 오작동 또는 손상을 방지하는 한편 계통의 전압 및 주파수를 안정화한다. The
계통주파수(FG)는 유효전력의 흡수 여부를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system frequency F G may play a role of determining whether active power is absorbed.
전력관리장치(130)는, 계통주파수(FG)가 상승할 때 전력변환장치(110)가 계통이 수용하지 못하는 유효전력을 수전해장치(120)에 전달하여 수소로 변환하도록 지시한다. 또한, 전력관리장치(130)는 계통주파수(FG)가 하강할 때는 전력변환장치(110)의 운전 유효전력을 0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계통 사고의 위험을 회피한다. The
또한, 수전단전압(VE)이 상승할 때 전력관리장치(130)는 전력변환장치(110)가 무효전력을 흡수하도록 제어하고, 수전단전압(VE)이 하강할 때 전력관리장치(130)는 전력변환장치(110)가 무효전력을 주입하도록 제어하여, 수전단전압(VE)을 지정된 범위로 유지하도록 동작함으로써 수전해장치(120)로 계통의 유효전력 및 계통의 무효전력으로 인한 과전압 또는 저전압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Also, the receiving end voltage (V E ) is When rising, the
전력관리장치(130)는 재생에너지원(10)의 출력전력(PR)이 인근 계통의 수용량(PG_MAX)보다 높은 경우, 재생에너지원(10)의 출력전력(PR)과 수전단전압(VE)을 기준으로 하여 전력변환장치(110)가 흡수할 유효전력지령치(PE*(t))을 지정해 전력변환장치(110)에 지령하고, 전력변환장치(110)는 내부의 스위칭 소자의 동작을 통해 유효전력을 흡수하여 운전하는 한편, 수전단전압(VE) 및 계통주파수(FG)를 안정화할 수 있다.
전력관리장치(130)는 재생에너지원(10)의 출력전력(PR(t))이 재생에너지원(10)의 소정의 운전기준점전력(PO)보다 높은 경우, 현재 재생에너지원(10)의 출력전력(PR(t))과 운전기준점전력(P0)의 차이에 일정한 계수(α, 여기에서, α는 1보다 작은 양의 실수값임)를 곱한 값으로 유효전력지령치(PW*(t))를 계산하고, 계산된 유효전력지령치(PW*(t))를 이용하여 전력변환장치(110)를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output power P R (t) of the
또한, 전력관리장치(130)는 재생에너지원(10)의 출력전력(PR(t))이 재생에너지원(10)의 소정의 운전기준점전력(PO)보다 높지 않으면서, 출력상승에 의해 재생에너지원(10)의 출력전력(PR(t))이 계통전압(VG(t)) 및 계통전류(IG(t))의 곱으로 나타나는 계통의 전력요구량(PG)보다 높은 경우(IR(t)>IP(t)), (여기에서, β는 소정의 값)에 의하여 유효전력지령치(PW*(t))를 계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력변환장치(110)는 전력관리장치(130)의 제어에 따라 내부의 스위칭 소자의 동작을 통해 유효전력을 흡수하여 운전하는 한편, 계통의 전압(VE(t)) 및 계통주파수(FG(t))를 안정화한다. In addition, the
전력관리장치(130)는, 수전단전압(VE(t))이 기준치 대비 일정 범위 이상 차이를 보일 때, 재생에너지원(10)의 출력전력(PR), 재생에너지원(10)의 출력전류(IR), 재생에너지원(10)의 출력전압(VR) 및 계통전압(VG)과 계통전류(IG)의 위상차(ΘG)을 기준으로 하여 계통, 즉, 수전단(계통연계점 A)에 주입하거나 흡수할 무효전력지령치(QE*(t))을 계산하고, 계산된 무효전력지령치(QE*(t))에 따라 전력변환장치(110)에 지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력변환장치(110)는 내부의 스위칭 소자의 동작을 통해 수전단에서의 무효전력을 흡수하여 수전해장치(120)의 수전단전압(VE(t))을 안정화하고, 그에 따라 계통전압(VG(t))을 안정화할 수 있다.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 3상 PWM방식 전력변환장치(110)의 회로도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4 is a view showing an exemplary circuit diagram of a power conversion three-phase PWM type
전력변환장치(110)는 필터부(410), 스위칭부(420), DC-Link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410)는 스위칭 동작에 의해 교류계통(30)에 전달되는 반사파를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스위칭부(420)는 전력관리장치(130)가 전달하는 수전단전압지령치(VE*(t)), 수전단전류지령치(IE*(t)) 및 스위칭 패턴에 따라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고 수전해장치(120)가 요구하는 전압 및 전류를 출력한다. DC-Link부(430)는 스위칭 동작 중 일시적으로 변동되는 DC전압을 안정화한다. The
필터부(410), DC-Link부(430)는 커패시터와 리액터 등 수동 소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력관리장치(130)가 지시하는 스위칭 패턴에 따른 전력 조정의 기능은 스위칭부(420)의 동작에 의해 실현된다.The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수전해장치(120)는 수전해 스택과 직류전력 컨버터, 수분 분리기 등 보조장치(도시되지 않음)가 포함된 것으로, 수전해 스택은 알칼리방식이나 양이온전해질막(PEM), 음이온전해질막(AEM), 고체산화물전해질(SOE)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필요한 물이나 열의 공급장치는 여기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Referring back to FIG. 3, the
수소저장장치(140)는 수전해장치(120)로부터 발생하는 수소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기체압축방식(CG), 유기용해방식(LOHC), 고체저장방식, 액화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장치의 용량 증대를 위해 압축기 등 별도의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The
전력관리장치(130)는 전력변환장치(110) 및 수전해장치(120)와 상호 통신하여 전력변환장치(110) 및 수전해장치(120)의 운전을 제어한다. 또한, 전력관리장치(130)는 수소저장장치(140)로부터 현재 수소 저장량 등의 정보를 신호로서 수신하는 한편 모니터링 장치(150)가 전송하는 수전해 시스템(100)의 계통연계점 A에서 측정한 수전단전압(VE) 및 계통주파수(FG)를 수신하여 전력변환장치(110)가 잉여전력 흡수 또는 무효전력 보상운전을 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The
또한, 모니터링 장치(150)는 필요에 따라서 인근의 재생에너지원(10)과 통신하여 재생에너지원(10)의 출력전력(PR), 출력 전압값(VR) 및 전류값(IR)을 전달받아 전력관리장치(130)에 전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소발전장치(160) 및 전력저장장치(170)가 추가 구비된 수전해 시스템(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도 5를 참조하면, 수전해 시스템(100)은 도 3의 수전해 시스템(100)과 비교할 때, 수소저장장치(140)의 수소를 활용하여 발전하고, 그 발전전력을 계통에 반환하는 수소발전장치(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구조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 동일한 동작은 도 3에서의 설명을 참조한다. Referring to FIG. 5, when compared with the
수소발전장치(160)는 연료전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수소 터빈 등 내/외연기관도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수소발전장치(160)로서 연료전지를 채용할 수 있다. The
수소발전장치(160) 내부에 포함되는 인버터(162)는 전력변환장치(110)와 동일하게, 전력관리장치(130)는 수전단전압(VE)의 변동시 일반부하 연계점(B)에 대하여 인버터(162)가 유효전력을 주입하거나 무효전력을 주입하거나 무효전력을 흡수하여 수전해장치(120)가 수전하는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일반부하 연계점(B)은, 수소발전장치(160)가 계통(30)과 연계되는 지점으로, 수소발전장치(160)의 유효전력의 주입, 무효전력의 흡수 또는 무효전력의 주입을 통해 계통전력에 영향을 주는 지점을 나타낸다.The
더 나아가 수소발전장치(160)는 저장된 수소가 충분할 경우, 계통사고상황을 인지하고 발전하여 인접부하(20)에 전력을 공급하는 독립운전기능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Furthermore, the
또한, 수전해 시스템(100) 및 내부 구성요소가 계통 외란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전력변환장치(110)와 수전해장치(120) 사이에 전력저장장치(170)가 포함될 수 있다. 전력저장장치(170)는 수전해장치(120)가 연계된 재생에너지원(10)의 출력변동에 의해 영향받지 않도록 하며, 계통사고가 발생할 때에도 전력변환장치(110) 또는 수전해장치(120)가 운전될 수 있는 최소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전력변환장치(110)는 배터리, 슈퍼커패시터 등 전기화학적 저장장치이거나 플라이휠 등 기계적 저장장치 등 방식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할 수 있다. 전력저장장치(170)는 수전해장치(120)의 운전중 계통사고 발생 등 수전해 시스템(100)에 전력공급이 불가능할 때 전력관리장치(130)의 제어에 따라 수전해 시스템(100)을 안정적으로 종료할 수 있다. In addition, a
수소발전장치(160) 또는 전력저장장치(170)가 포함되는 경우, 전력관리장치(130)는 수소발전장치(160)의 운전상태 및 전력저장장치(170)의 전력저장량 등 현황 정보를 수신하며, 수소발전장치(160)의 출력에 기인한 유효전력과 인버터(162)를 통한 무효전력의 발생량을 지시하고,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hydrogen
전력관리장치(130)는 재생에너지원(10)의 출력전력(PR(t))이 급격히 감소하거나 부하가 증가하는 시점에 수소발전장치(160)가 계통으로 유효전력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전력관리장치(130)는, 수전단전압(VE) 및 계통주파수(FG)가 소정의 기준치보다 낮아지는 경우 재생에너지 정보 및 계통의 정보를 수집하여 수소발전장치(160)에 출력할 유효전력지령치(PF*(t)) 및 무효전력지령치(QF*(t))를 계산하고, 유효전력지령치(PF*(t)) 및 무효전력지령치(QF*(t))에 따라 수소발전장치(160)가 운전하도록 지령하고, 수소발전장치(160)는 운전 과정에서 인버터(162) 내부의 스위칭 소자의 동작을 통해 유효전력 및 무효전력을 계통에 주입하여 계통의 전압 및 주파수를 안정화할 수 있다. The
전력관리장치(130)는 수전해 시스템(100)의 무효전력지령치(Q*(t))를 전력변환장치(110) 및 수소발전장치(160)가 분담하도록 제어하고, 전력관리장치(130)는 무효전력을 배분할 때, 전력변환장치(110)의 용량(QE_Max)와 인버터(162)의 용량(QF_Max) 비율에 따르거나, 유효전력 운전을 하지 않는 쪽을 우선하도록 배분할 수 있다. The
도 6a는 재생에너지원(10)과 교류계통(30) 사이에 수전해 시스템(100)이 연계된 계통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는 재생에너지원(10)의 출력전압(VR)과 일반부하 연계점(B)의 전압(VP)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c는 수전해 시스템(100)이 수전하는 수전단전압(VE)과 재생에너지원(10)의 출력전압(VR)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벡터도면이다. 6A is a diagram showing a system situation in which the
이때, 수전해 시스템(100)은 별도의 운전을 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 재생에너지원(10)이 연결되는 송전선(L)은 재생에너지원(10)에서 수전해 시스템(100) 사이의 제1 송전선(L1) 및 수전해 시스템(100)과 일반부하 연계점(B) 사이의 제2 송전선(L2)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At this time, it is assumed that the
재생에너지원(10)이 연결되는 송전선(L)의 전압변동(ΔVL)에는 송전선(L) 저항성분(RL)에 의한 전압강하(ΔVLR)와 송전선(L) 인덕턴스(XL)에 의한 전압변동(ΔVLX)이 나타난다. 송전 전압이 매우 크고 송전선의 저항값이 작으므로 송전선에 의한 유효전압 강하는 매우 작다. 따라서 재생에너지원(10)의 출력전압(VR)과 일반부하 연계점(B)의 전압(VP) 사이에는 아래 식과 같은 관계가 성립하며, 이를 도 6b에 백터도면으로 도시하였다.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의 수학식 1과 같다.The voltage fluctuation (ΔV L ) of the transmission line L to which the
[수학식 1] [Equation 1]
알려진 바와 같이, 연계된 계통 전체의 전류위상이 동일하다고 할 때, 전압 및 전력은 유효성분과 무효성분이 서로 90도의 위상각 차이를 가지는 백터합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를 복소평면에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유효성분을 실수부에, 무효성분을 허수부에 나타내며, 수식에서 i가 붙은 항목은 무효전력에 관련된 항목이다. 실제 측정값은 제곱평균(Root Mean Square)으로 나타나므로, 유효전력분이 동일하다고 할 때, 무효성분이 존재하는 쪽이 더 크게 나타난다. As is known, when the current phase of the entire connected system is the same, voltage and power can be defined as a vector sum in which the active component and the reactive component have a phase angle difference of 90 degrees from each other, and this can be expressed on a complex plane. At this time, the active component is represented in the real part and the inactive component is represented in the imaginary part, and the item marked with i in the formula is related to reactive power. Since the actual measured value is expressed as a root mean square, when the active power is the same, the presence of the reactive component is larger.
일반부하 연계점(B)의 전압(VP)은 계통연계조건에 의해 일정 범위 내에서 고정되므로, 일반적으로 재생에너지원(10)의 출력전력(PG)이 증가할 때 일반부하 연계점(B)의 전압(VP)보다는 계통(30)에 흐르는 전류(IL)가 비례하여 증가해야 한다. 그러나 계통전류(IL)가 증가하면 송전선 전압강하(ΔVL)도 증가하며, 계통(30)에 전력을 주입하기 위한 재생에너지원(10)의 출력전압(VR)은 일반부하 연계점(B) 전압(VP)보다 높음(VR>VP)이 자명하다. Since the voltage (V P ) of the general load connection point (B) is fixed within a certain range by the grid connection condition, in general, when the output power (P G ) of the
또한, 재생에너지원(10)의 출력전력(PR)은 계통 연계 시점에서 변전소(30)의 출력전압(VG)과 위상이 동등해야 하고, 재생에너지원(10)의 출력전압(VR)의 위상은 송전선 전압변동(VL)을 반영하여야 하므로, 재생에너지원(10)의 유효 출력이 실제 출력보다 낮아지게 된다. In addition, the output power (P R ) of the
상기 서술을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can be expressed as in Equation 2.
[수학식 2] [Equation 2]
재생에너지원(10)과 부하연계지점(B) 사이에 있는 수전해장치(120)는 송전선(L1)에 의한 전압강하량(VL1)이 부하연계지점(B) 에서의 전압강하량(VL= VL1+ VL2)보다 작게 나타나야 하므로, 수전해장치(120)가 수전하는 수전단전압(VE)은 일반부하 연계점(B)의 전압(VP)보다 높아야 한다. In the
상기 설명에 대한 관계식은 아래와 같으며, 도 6c에 백터 도면으로 나타내었다. 이를 식으로 나타내는 다음의 수학식 3과 같다. The relational expression for the description is as follows, and is shown as a vector diagram in FIG. 6C. This is represented by Equation 3 below.
[수학식 3] [Equation 3]
도 7a, 도 7b, 도 7c, 도 7d 및 도 7e는 도 6a, 도 6b 및 도 6c와 유사한 상황에서 수전해 시스템(100)이 운전하는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7A, 7B, 7C, 7D, and 7E are views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the
수전해장치(120)가 수전하는 수전단전압(VE)은 일반적인 수전해장치(120)의 정격전압보다 높은 상태이므로, 대부분의 전력변환장치(110)는 수전해장치(120)에 높은 전압을 인가하게 된다. 도 7b는 도 7a의 상태의 전력관계를 나타내고, 도 7c는 도 7a의 상태의 전압의 상관계를 나타낸다. Since the receiving end voltage (V E ) received by the receiving
더 상세하게 나타내자면, 수전해장치(120)는 통상적인 교류계통 전력(국내의 경우 3상 380V)을 정류한 직류전력을 공급받는 상태를 전제하여 제작되며, 기존에 사용되는 정류장치(도시되지 않음)는 무효전력분(QL)에 관계없이 유효전력분(PW)만 전달하도록 운전된다. 그렇기 때문에, 재생에너지원(10)의 출력 전압(VR)은 선간 전압변동을 포함한 무효분(VLQ)을 포함해야 한다. In more detail, the
도 7c의 선로 전압(VL)은 선로의 저항성분에 대한 전압(VLR)과 리액턴스에 의한 전압(VLQ)으로 나눌 수 있다.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수학식 4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The line voltage V L of FIG. 7C can be divided into a voltage V LR for the resistance component of the line and a voltage V LQ for reactance. If this is expressed as an equation, it can be expressed as in Equation 4.
[수학식 4] [Equation 4]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110)는 수전해장치(120)에 인가되는 유효전력(PE)을 최대화하면서 재생에너지원(10)의 출력전압(VR)과 계통전압(VP)의 위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무효전력 성분(QE)을 주입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무효전력 성분(QE)은 전력변환장치(110)가 주입하는 무효전력 성분이다. The
또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110)는 재생에너지원(10)의 출력전력(PR)이 배전망을 통해 부하(20) 및 계통(30)에 전달되는 동안 발생하는 무효전력(QL)을 흡수 상쇄할 수 있다. 이때 수전해 시스템(100)의 전력변환장치(110)의 무효전력분(QE)은 전력변환장치(110)가 발생시키는 무효성분 전압(VQ)와 수전해 전류(IE)의 곱이자 전류(IE)의 제곱에서 가공 임피던스(XE)를 나눈 값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아래 수학식 5과 같이 전력변환장치(110)의 무효전력 흡수에 의한 전압강하를 도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수학식 5] [Equation 5]
전술한 바와 같이, 전압(VQ)은 전력변환장치(110)의 무효전력 보정에 의한 전압변동이고, 임피던스(XL)는 송전선(L)의 임피던스를 나타내고, 임피던스(XE)는 전력변환장치에서 송전선 L에 의한 무효전력 상쇄를 위해 발생시키는 가공 임피던스이다.As described above, the voltage (V Q ) is the voltage variation due to the reactive power correction of the
도 7d는 전력변환장치(110)의 무효전력 보정 후의 전력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e는 전력변환장치(110)의 무효전력 보정 후의 전압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7D is a diagram showing the power relationship after the reactive power correction of the
도 7e에서, 전압(VP')은 전력변환장치(110)의 무효전력 보정 후의 일반부하 연계점 B의 전압을 나타내고, 수전단전압(VE')는 전력변환장치(110)의 무효전력 보정 후의 수전해 시스템(100)의 수전단전압을 나타내고, 전압(VR')는 전력변환장치(110)의 무효전력 보정 후의 재생에너지원(10)의 출력전압을 나타낸다. In FIG. 7e, voltage (V P ') represents the voltage of the general load connection point B after reactive power correction of the
한편, 수전해장치(120)가 운전중인 상태에서 재생에너지원(10)의 출력이 급감하게 되는 경우, 수전해 시스템(100)은 운전을 유지하기 위해 계통(30)으로부터 수전단전압(VE)을 공급받아야 한다. 이와 같이, 수전해 시스템(100)은 운전을 유지하기 위해 계통(30)으로부터 수전단전압(VE)을 공급받아야 하는 경우에 대하여, 도 8a, 도 8b 및 도 8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output of the
도 8a는 수전해 시스템(100)이 계통으로부터 수전받는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b는 무효전력의 흡수를 통해 수전해장치(120)로 전달하는 유효전력을 유지하는 상황의 전력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c는 전압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8A is a diagram showing a situation in which the receiving and
이때 계통(30)으로부터 전달되는 계통연계점 A의 수전단전압(VE)은 지점 B의 일반부하 연계점 전압(VP)에 비해 낮아지게 된다. 이 과정은 다음과 같이 수학식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receiving end voltage V E of the grid connection point A transmitted from the
[수학식 6] [Equation 6]
여기에서, 전압(ΔVL2R)은 송전선(L2)의 저항성분에 의한 전압강하를 나타내고, 전압(ΔVL2X)은 송전선(L2)의 임피던스성분에 의한 전압강하를 나타낸다. 도 8a에서 도시한 송전선 전압강하(ΔVL2)는 전압(ΔVL2R) 및 전압(ΔVL2X)에 대한 전압강하의 합이다. Here, the voltage (ΔVL 2R ) represents the voltage drop due to the resistance component of the transmission line (L 2 ), and the voltage (ΔVL 2X ) represents the voltage drop due to the impedance component of the transmission line (L 2 ). The power transmission line voltage drop ΔV L2 shown in FIG. 8A is the sum of the voltage drop for the voltage ΔVL 2R and the voltage ΔVL 2X .
전력관리장치(130)는 모니터링 장치(150)가 수전단전압(VE)의 강하를 감지하면, 전력변환장치(110)는 전력관리장치(13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무효전력(QE')을 흡수시켜 계통송전에 의한 전압강하를 상쇄하도록 운전할 수 있다. 도 8b는 전력변환장치(110)가 무효전력(QE')을 흡수시켜 계통송전에 의한 전압강하를 상쇄하도록 운전하는 경우의 전력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이는 다음의 수학식 7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7] [Equation 7]
여기에서, 임피던스(XE2)는 계통(30)으로부터의 수전상황에서 무효전력 흡수를 위해 전력변환장치(110)에서 발생하는 가공 임피던스이며, 무효전력(QE'(t))은 가공 임피던스 및 전류에 의해 전력변환장치(100)가 흡수하는 무효전력을 나타낸다. Here, the impedance (X E2 ) is the processing impedance generated in the
도 8c에서, 전압(VP)는 배전망의 전압으로 일반부하 연계점(B)의 전압이고, 전압(Vw)은 수전해 시스템(100)에 입력되는 교류전압의 유효성분을 나타낸다. 전압(VW)는 일반부하 연계점 B의 전압(VP)과 선간전압강하(VL2)와 무효분 보상전압(VQ')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계통과 수전해 시스템(100)의 전압차(ΔVLR2)는 저항성분만을 포함하는 작은 값으로 나타난다. In FIG. 8C, the voltage V P is the voltage of the distribution network and is the voltage of the general load connection point B, and the voltage Vw indicates the active component of the AC voltage input to the receiving
본 실시예에서는 재생에너지원(10)과 수전해장치(120), 일반부하 연계점(B) 사이에 추가적인 발전원이나 부하가 없으며, 송전선(L)에 의한 전압강하가 충분히 큰 상황을 가정하고 있으나, 실제로 송전선(L)에 의한 전압강하보다 인근의 부하의 동작여부에 의한 전압변동 요소의 비중이 더 크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인근에 이어진 부하 또는 다른 발전원에 의한 전압 변동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전압의 상승 및 하강에 따라 무효전력의 발생 및 흡수를 통해 수전해장치(120)가 사용해야 할 직류전압을 일정 범위 내로 유지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re is no additional power generation source or load between the
도 9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전해 시스템(100)에 수소발전장치(160)가 추가되는 경우의 송전선(L)의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b는 도 9a의 상황에서 무효전력 및 유효전력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c는 도 9a의 상황에서 전압 및 전류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d는 수소발전장치(160)의 유효전력이 최대치일 때 전력변환장치(110)에서 무효전력(QE"(t))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무효전력 및 유효전력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9A is a view showing the situation of the transmission line L when the
도 9a와 같이 수전해 시스템(100)에 수소발전장치(160)가 추가되는 경우, 수소발전장치(160)의 출력은 계통에 전달된다. When the
이때 수소발전장치(160)의 출력 전류를 전류(IF1), 수전해 시스템(100) 연계지점(A)의 전압을 제1 수전단전압(VE1)이라고 가정하자. 계통(30)에서 인출하는 전류가 전류(IF2)로 증가하게 되면 송전선(L2)에서 발생하는 전압강하량도 증가(ΔVL2 → ΔVL2')하므로 일반부하 연계점(B)의 전압(VP)도 전압(VP')으로 변화할 때 전압(VP')이 기준치에 미달할 수 있다(VP' = VE1 - 2ΔVL2' < VP). At this time, it is assumed that the output current of the
이때 수전해 시스템(100)의 전력변환장치(110) 또는 수소발전장치(160)의 인버터(162)는 증가하는 전압 강하를 반영하여 무효전력을 발생시켜 동작한다. At this time, the
도 9b에서 유효전력(PF)은 수소발전장치(160)의 인버터(162)가 계통에 공급하는 유효전력을 나타내고, 무효전력(QF)은 수소발전장치(160)의 인버터(162)가 계통에 공급하는 무효전력을 나타낸다. 도 9b의 좌측 도면은 수소발전장치(160)의 동작 전의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의 관계를 나타내고, 도 9b의 우측 도면은 수소발전장치(160)의 동작 후의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의 관계를 나타낸다. In FIG. 9B, the active power P F represents the active power supplied to the grid by the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소발전장치(160)의 인버터(162)의 무효전력운전에 의해 수전해 시스템(100) 연계지점(A)의 제1 수전단전압(VE1)은 제2 수전단전압(VE2)으로 증가하여 일반부하 연계점(B)의 전압(VP)을 출력 전류(IF, 본 실시예에서는 선간 전류 IL과 같다.) 상승 이전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9c, the first receiving end voltage V E1 at the connection point A of the receiving
도 9c의 상부 도면은 수소발전장치(160)의 인버터(162)의 무효전력운전 전의 전압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c의 하부 도면은 수소발전장치(160)의 인버터(162)의 무효전력운전 후의 전압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c에서, 제1 수전단전압(VE1)은 수소발전장치(160)의 인버터(162)의 무효전력운전 전의 일반부하 연계지점(B)의 전압이고, 제2 수전단전압(VE2)은 수소발전장치(160)의 인버터(162)의 무효전력운전 후의 일반부하 연계지점(B)의 전압을 나타낸다. The upper drawing of FIG. 9C is a diagram showing the voltage relationship before the reactive power operation of the
이때, 전력관리장치(130)의 제어에 따라 수소발전장치(160)의 인버터는 무효전력을 배분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inverter of the
수소발전장치(160)의 인버터(162)는 아래 도 9c와 같이 인버터(162)가 출력하는 전류(I1)에 상응하는 유효전력(PF1)과 무효전력(QF1=0)을 통해 출력(P1, 여기에서, P1=PF1+QF1)을 내고 있다. The
수소발전장치(160)의 인버터(162)가 인출하는 전류(IF1)가 발전 출력 증가에 따라(IF2)로 증가할 때, 일반부하 연계점(B)의 전압(VP)을 유지하기 위한 무효전력도 증가해야 한다. 총 출력(P2)은 P2=QF2+PF2로 나타내고, 총 출력(P2)은 수소발전장치(160)를 기준으로 설계될 인버터(162)의 용량(호의 반지름)을 초과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여기에서, 증가된 전류(I2)에 상응하는 유효전력은 유효전력(PF2)으로 나타내고, 전류(I2)에 상응하는 무효전력은 무효전력(QF2)으로 나타낸다. When the current (I F1 ) drawn by the
이와 같이, 수소발전장치(160)의 인버터(162)가 인출하는 전류(IF1)가 발전 출력 증가에 따라(IF2)로 증가할 때, 일반부하 연계점(B)의 전압(VP)을 유지하기 위한 무효전력도 증가하도록 하기 위하여, 전력관리장치(130)는 전력변환장치(110)가 무효전력(QE")을 계통에 주입하도록 운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전해 시스템(100)의 수소발전장치(160)가 필요 최대의 유효전력 출력(P2')을 내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계통에 주입되는 출력은 인버터(162)의 출력(PF, QF)에 전력변환장치(110)가 주입하는 무효전력(QE")을 합한 값이 된다. 도 9d는 전력관리장치(130)의 제어에 따라, 전력변환장치(110)가 무효전력을 계통에 주입하는 경우의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의 관계를 도시한다. In this way, when the current (I F1 ) drawn by the
도 10은 전력관리장치(130)에 의한 수전해 시스템(100)의 운전 알고리즘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algorithm of the
수전해 시스템(100)은 별도의 통신망을 통해 또는 직접 계통(30)으로부터 계통(30) 관련 데이터를 수신한다(1010). 계통(30) 관련 데이터는 재생에너지원(10)의 출력전력(PR(t)), 재생에너지원(10)의 출력전류(IR(t)), 계통(30)의 전압(VG(t)), 계통(30)의 전류(IR(t)), 계통주파수(FG(t)), 위상각차(ΘG(t))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또한, 전력관리장치(130)는 전력변환장치(110)의 운전에 이용되는 시스템 운전 관련 데이터(모니터링 장치(110)와 계통(30)의 연계지점 A에서 측정되는 수전단전압(VE(t)), 계통연계지점 A에서 측정되는 수전단전류 IE(t), 유효전력 PW(t), 무효전력 QE(t) 등), 수전해장치(120)(수소생산량 HV, 수소압력 HP 등), 수소저장장치(140)(저장압력 Sp 등)에서 시스템(100)의 운전 관련 데이터를 수집한다(1020). In addition, the
이를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모니터링 장치(110)는 연계지점(A) 또는 그 외 용이한 지점에 설치되어 계측된 계통정보, 즉, 계통주파수(FG)와 수전단전압(VE), 수전단전류(IE)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150)는 일정시간 단위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력관리장치(130)에 전달하고, 전력관리장치(130)는 계통정보, 재생에너지정보 및 전력변환장치(110)의 운전데이터 및 수소저장장치(140)의 운전데이터에 기초하여 유효전력을 조정할 수 있다(1030). To this end, 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전력관리장치(130)는 무효전력을 조정할 수 있다(1040).In addition, the
이를 위하여, 전력관리장치(130)는 전력변환장치(110)에 대한 수전단전압지령치(VE*(t)), 수전단전류지령치(IE*(t)) 및 위상지령치(ΘE*(t))를 계산하여 전달할 수 있다(1050). 수전해 시스템(100)에 수소발전장치(160)가 추가된 경우에는 전력변환장치(110)뿐만 아니라 수소발전장치(160)의 인버터(162)에 대한 전압지령치(VF*(t)), 전류지령치(IF*(t)) 및 위상지령치(ΘF*(t))를 계산하여 전달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도 11은 도 10에서 수전해 시스템(100)이 유효전력을 조정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1 is a flow chart showing in detail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active power by the
전력관리장치(130)는 재생에너지 출력패턴에 기반한 수전해 시스템(100)의 운전기준점(P0), 계통요소 및 계통연계기준에 근거한 고전압 및 저전압 기준(VG_High, VG_Low), 위상각의 상한 및 하한(ΘG_High, ΘG_Low), 수전해장치(120)의 운전전력(PE0), 수소의 저장 및 발전을 기준하는 압력(HP_High, HP_Low)은 운전 시점에 지정되어 전력관리장치(130) 내부에 저장되는 값으로 정의한다(1110). The
여기에서, VG(t)는 계통(30)의 실제 전압이고, IG(t)는 계통(30)의 실제 전류이고, FG(t)는 계통주파수이고, PE(t)는 전력변환장치(110)의 유효전력출력이고, PF(t)는 수소발전장치(160)의 유효전력출력이고, IR(t)는 재생에너지원(10)의 출력전류이고, VE(t)는 연계지점(A)에서 측정되는 전압이면서 전력변환장치(110)로 인가되는 전압이고, IE(t)는 연계지점(A)에서 전력변환장치(110)로 인가되는 전류이다.Here, V G (t) is the actual voltage of the
다음의 수학식 8은 전력변환장치(110)가 각 조건(1112, 1130, 1116, 1146)의 조건에 따라 유효전력지령치(PW*(t))를 계산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단계 1112 및 단계 1130은 계통주파수(FG(t))가 정상범위 이상인 경우로, 단계 1112 및 단계 1130은 각각 계통주파수(FG(t))를 계통주파수(FG(t))에 대한 별도의 임계치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대체될 수 있다. Equation 8 below shows how the
[수학식 8][Equation 8]
수전해장치(120)와 전력변환장치(110)의 운전은 외부에서 직접 지시하지 않는 한, 재생에너지원(10)의 출력전력(PR(t))이 재생에너지원(10)의 소정의 운전기준점전력(P0)보다 높은 경우로 정의할 수 있다(PR(t) > P0)(1112). 이때의 운전기준점전력(P0)은 재생에너지원(10)의 평균출력, 연계되는 송전선의 용량,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 또는 송배전사업자와의 계약에 의해 지정되는 소정의 값이다. The operation of the water-receiving
전력변환장치(110)는 수학식 8의 에 의하여 유효전력지령치(PW*(t))를 계산할 수 있다(1114). 여기에서, α는 1보다 작은 양의 실수값으로, 연계된 재생에너지원(10)의 발전패턴에 의해 지정되는 소정의 값이다. 즉, 수전해장치(120)의 유효전력지령치(PW*(t))는 현재 재생에너지원(10)의 출력전력(PR(t))과 운전기준점전력(P0)의 차이에 일정한 계수(α)를 곱한 값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인근 부하 분포 등 필요에 따른 보정항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재생에너지원(10)의 출력전력(PG(t))이 재생에너지원(10)의 소정의 운전기준점전력(PO)보다 높지 않으면서(1112), 출력상승에 의해 재생에너지원(10)의 출력전력(PR(t))이 계통전압(VG) 및 계통전류(IG)의 곱으로 나타나는 계통의 전력요구량(PG)보다 높은 경우(IR(t)>IP(t))(1130), 역조류에 의한 전압상승 및 주파수의 상승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수전해 시스템(100)이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력변환장치(110)는 수학식 8의 에 의하여 유효전력지령치(PW*(t))를 계산할 수 있다(1132). 여기에서, β는 연계 계통의 용량과 수전해 시스템(100)의 용량의 비교 및 사업자 협의를 통해 결정되는 소정의 값이다.In addition, while the output power (P G (t)) of the
또한, 현재 전력변환장치(110) 출력(PE)이 정격 운전전력(PE0) 이상인 경우(PE ≥ PE0)(1116), 유효전력지령치(PW*(t))를 갱신하지 않고 에 따라 유지한다(1134). 또한, 저장된 수소의 압력(HP)이 충분히 높으면(Hp ≥ Hp_High)(1118), 유효전력지령치(PW*(t))를 0으로 결정한다(PW*(t)=0)(1120). In addition, when the
이때 전력변환장치(110)의 출력(PE(t))은 수전해장치(120)의 입력전력(유효전력)과 이전 단계에서 지령된 무효전력의 백터합으로 정의할 수 있다(PE(t)=PW(t)+QE(t-1)). At this time, the output P E (t) of the
수소발전장치(160)가 존재하는 경우(조건 K)(1140), 재생에너지원(10)의 유효전력(PR(t))이 계통 발전 최소 전력(PL)(여기에서 PL은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 계통운영자와의 협의에 의해 결정된 소정의 값이다.)보다 작으면(PR(t)<PL)(1142), 전력관리장치(130)는 단계 1144(에 의하여 수소발전장치(160)가 발전할 유효전력지령치(PF*(t))를 계산할 수 있다(1144). When the
수소발전장치(160)가 존재하는 경우(도 11에서 조건 K를 만족하는 경우)(1140), 저장된 수소의 압력(HP)이 최저 압력(HP_Low)보다 높은 경우에는 단계 1144(에서 계산한 유효전력지령치(PF*(t))를 이용하고(1150), 저장된 수소의 압력(HP)이 최저 압력(HP_Low)보다 낮은 경우에는, 유효전력지령치(PF*(t))를 0으로 한다(1148). When the
[수학식 9][Equation 9]
여기에서, a는 소정의 계수로서, 배전망 운영자와 사전에 정의된 소정의 배수를 나타낸다. Here, a is a predetermined coefficient, representing a distribution network operator and a predetermined multiple defined in advance.
도 10에서, 유효전력을 조정하는 단계(1030)가 종료되면, 무효전력 조정 단계로 진행한다(1040). In FIG. 10, when the
도 12는 도 10에서 수전해 시스템(100)이 무효전력을 조정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2 is a flow chart showing in detail a process of adjusting reactive power by the receiving
도 12를 참조하면, 전력관리장치(130)는 수전단전압(VE(t))과 계통전압의 기준값(VG_High)을 비교한다(1210). Referring to FIG. 12, the
수전해장치(120) 운전시 수전단전압(VE(t))이 계통전압의 기준값(VG_High, 계통 정격과 양의 편차가 소정의 수준인 값(일반적으로 정격 대비 10%인 경우를 말한다)보다 높을 때(VE(t)>VG _High)(1210) 무효 전력의 흡수가 필요하며, 전력관리장치(130)는 재생에너지원(10)의 출력전류(IR), 계통전류(IG) 및 위상각차(ΘG(t))를 수집하고 이전 단계에서 도출한 유효전력지령치(PW*(t), PF*(t))를 확인한 후(1214), 이를 참고하여 전력변환장치(110)에 주입 또는 흡수할 무효전력지령치(QE*(t))를 지정한다(1216). 전력관리장치(130)는 무효전력지령치(QE*(t))와 함께 운전전류지령치(IQ*(t))를 지정할 수도 있다. When the power receiving device 120 is operated, the receiving cut-off voltage (V E (t)) is the standard value of the grid voltage (V G_High , and the deviation between the grid rating and the amount is a predetermined level (generally refers to a case that is 10% of the rating). ) Higher than (V E (t)> V G _High ) (1210), the absorption of reactive power is required, and the
전력변환장치(110)와 인버터(162)에서 유효전력(Pw, PF)과 무효전력(QE,QF)의 총합은 각 장치(110, 162)의 용량을 상회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무효전력의 지령을 도출할 때에는 기존해 도출한 유효전력지령치(PW*(t), PF*(t))를 기반으로 총 수전/발전용량이 각 장치의 용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In the
동작 1216에서, Q*(t)는 수학식 Q*(t)=F(PR, IG, θG, VG)로 계산할 수 있다. Q*(t)는 수전해 시스템(100)이 내는 무효전력지령치(목표치)로서, 전력변환장치(110)의 무효전력(Q_E*(t))과 연료전지 인버터(162)의 무효전력(Q_F*(t))의 합으로 정의한다. In
전력변환장치(110)의 수전단전압(VE)이 기준전압값(VE _Low, 계통 정격과 음의 편차가 소정의 수준인 값으로 일반적으로 정격 대비 10%인 경우를 말한다)보다 낮을 때(VE<VE _Low)(1212), 무효 전력의 발생을 통한 보완이 필요하다. 전력관리장치(130)는 재생에너지원(10)의 출력전류(IR), 계통전류(IG) 및 위상각차(ΘG(t))를 수집하고(1214), 이를 참고하여 전력변환장치(110)에 주입 또는 흡수할 무효전력지령치(QE*(t))와 운전전류지령치(IQ*(t))를 계산한다(1216).When the receiving end voltage (V E ) of the
수전해장치(120)가 운전하지 않을 경우라도, 계통전압을 기준으로 비교하여(VG > VG_High or VG < VG_Low) 무효전력운전을 지시할 수 있으며, 이 때의 출력은 연계된 인근계통구성을 감안하여 보정될 수 있다. Even when the power receiving device 120 is not in operation, it can be compared based on the grid voltage (V G > V G_High or V G <V G_Low ) to instruct reactive power operation, and the output at this time is It can be corr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system configuration.
상기 과정을 통하여 도출된 유효전력지령치(PE*(t)), 무효전력지령치(QE*(t)), 수전단전압지령치(VE*(t)) 및 수전단전류지령치(IE*(t))를 수신한 전력변환장치(110)는 유효전력지령치(PE*(t)), 무효전력지령치(QE*(t)), 수전단전압지령치(VE*(t)) 및 수전단전류지령치(IE*(t))를 준수할 수 있도록 내부의 스위칭 소자에 On/Off 패턴을 전달하고, 스위칭소자의 동작에 의해 무효전력 및 유효전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과정을 일정 주기(Δt) 마다 수행한다. Active power command value (P E *(t)), reactive power command value (Q E *(t)) derived through the above process, receiving end voltage command value (V E *(t)) and receiving end current command value (I E *(t)), the
수소발전장치(160)가 존재하는 경우[이하 조건 K라 한다](1218), 그리고 수소발전장치 인버터(162)의 유효전력(PF(t))이 0보다 큰 경우(PF(t)>0)(1220), 전력관리장치(130)는 운전할 무효전력지령치(Q*(t))를 전력변환장치(110)에 우선 배분하여 무효전력지령치(QE *(t))를 수학식 QE *(t)=Min(Q*(t), QE_Max)로 계산하고, 인버터(162)의 무효전력지령치(QF *(t))를 수학식 QF *(t)=Q*(t)-QF *(t)로 계산할 수 있다(1222). 여기에서, QE_Max는 전력변환장치(110)의 용량(QE_Max)을 나타낸다. When the
수소발전장치(160)가 존재하는 경우[이하 조건 K라 한다](1218), 그리고 수소발전장치(160)의 유효전력(PF(t))이 0인 경우(PF(t)=0)(1220), 전력관리장치(130)는 운전할 무효전력지령치(Q*(t))를 인버터(162)에 우선 배분하여 무효전력지령치(QF *(t))를 수학식 QF *(t)=Min(Q*(t), QF_Max)로 계산하고, 전력변환장치(110)의 무효전력지령치(QE *(t))를 수학식 QE *(t)=Q*(t)-QE *(t)로 계산할 수 있다(1222). 여기에서 QF_Max는 인버터(162)의 용량(QF_Max)을 나타낸다. When the
수소발전장치(160)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1218), 시스템(100)의 무효전력 운전량(Q(t))는 전력변환장치(110)의 무효전력으로 나타나야 하므로 시스템(100)의 전체 무효전력지령치(Q*(t))는 전력변환장치(110)의 무효전력지령치(QE*(t))와 같으며 수학식(QE*(t)=Q*(t))로 결정할 수 있다(1226). If the
참고로, 도 12는 무효전력 운전에 대해서면 도시되어 있으며, 유효전력 운전과 무효전력 운전은 총량을 공유하는 관계일 뿐이며, 수전해장치(120)는 유효전력 운전과 무효전력 운전을 별도로 수행할 수 있다. For reference, FIG. 12 is a diagram for reactive power operation, and active power operation and reactive power operation are only in a relationship that shares the total amount, and the receiving
도 13은 도 11 및 도 12에서 도시된 절차를 거쳐 도출한 지령치를 전력변환장치(110) 및 수소발전장치(160)에 전달하여 수전해 시스템(100)의 동작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3 is a flow chart showing in detail the operation of the
수소발전장치(160)가 존재하는 경우(조건 K)(1310), 전력관리장치(130)는 무효전력 조정 단계에서 주입할 무효전력지령치(Q*(t))를 전력변환장치(110) 및 수소발전장치(160) 내 인버터(162)가 분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전력관리장치(130)는 운전전류지령치(IQ*(t))도 전력변환장치(110) 및 수소발전장치(160) 내 인버터(162)가 분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이는 수학식 Q*(t)=QE(t)+QF(t), IQ*(t)=IQE(t)+IQF(t)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에서, QE(t)는 전력변환장치(110)의 무효전력 출력이고, IQE(t)는 전력변환장치(110)의 운전전류이고, QF(t)는 수소발전장치(160)의 무효전력 출력이고, IQF(t)는 수소발전장치(160)의 운전전류이다. This can be represented by the equation Q*(t)=Q E (t)+Q F (t), I Q *(t)=I QE (t)+I QF (t). Here, Q E (t) is the reactive power output of the power conversion device 110 , I QE (t) is the operating current of the
전력관리장치(130)는 무효전력지령치(Q*(t))를 배분할 때, 전력변환장치(110)의 용량(QE_Max)와 인버터(162)의 용량(QF_Max) 비율에 따르도록 무효전력을 배분할 수 있다. 또는 전력관리장치(130)는 무효전력지령치(Q*(t))를 배분할 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효전력 운전을 하지 않는 쪽을 우선하도록, 유효전력 운전을 하지 않는 쪽에서 무효전력 운전을 우선하도록 배분할 수 있다. The
전력관리장치(130)는 수소발전장치(160)의 유효전력지령치(PH *(t))를 수학식 PH *(t)=PF *(t)+QF *(t)로 계산하고, 전류지령치(IH*(t))를 수학식 IH *(t)=PH(t)/VE(t)로 계산할 수 있다(1312). The
수소발전장치(160)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1310), 전력관리장치(130)는 전력변환장치(110)의 유효전력지령치(PE *(t))를 수학식 PE *(t)=PW *(t)+QE *(t)로 계산하고, 전류지령치(IE *(t))를 수학식 IE *(t)=PE(t)/VE(t)로 계산할 수 있다(1314). When the
이 경우, 전력관리장치(130)는 전력변환장치(110)의 수전단전압지령치(VE *(t))를 수학식 VE *(t)=VG(t)+δ로 계산할 수 있다(1316). 여기에서, δ는 선간전압 강하 등에 의한 전압강하 예측값을 활용한 보정치이다. In this case, the
전력관리장치(1310)는 수소발전장치(160)의 유효전력지령치(PF *(t)), 수소발전장치(160)의 무효전력지령치(QF *(t)), 수소발전장치(160)의 전류지령치(IH *(t)), 전력변환장치(110)의 유효전력지령치(PW *(t)), 전력변환장치(110)의 무효전력지령치(QE *(t)), 전력변환장치(110)의 전류지령치(IE *(t)), 전력변환장치(110)의 수전단전압지령치(VE *(t))를 이용하여 전력변환장치(110) 및 수소발전장치(1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1318). The
소정의 시간 경과후(1320), 전력관리장치(1310)는 동작을 정지하거나(1322), 동작 1030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has elapsed (1320), the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의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디스크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code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des and code segments implementing the above program can be easily inferred by a computer programmer in the art.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isk, and the like. Further,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a computer system connected by a network, and stored and executed as computer-readable codes in a distributed manner.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various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o those described in the claims.
10: 재생에너지원 100: 수전해 시스템
110: 전력변환장치 120: 수전해 장치
130: 전력관리장치 140: 수소저장장치
150: 모니터링 장치 30: 변전소10: renewable energy source 100: water electrolysis system
110: power converter 120: water electrolysis device
130: power management device 140: hydrogen storage device
150: monitoring device 30: substation
Claims (10)
계통과 연계된 수전단(A)으로부터 교류 전력을 수전하여 수전해장치가 활용가능한 직류로 전환하는 전력변환장치;
전력변환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물을 분해하여 수소와 산소를 생산하는 수전해장치; 및
수전해장치와 전력변환장치의 운전을 제어하는 전력관리장치;를 포함하고,
전력관리장치는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전력변환장치의 수전단전압(VE(t)) 및 계통주파수(FG(t))를 수신하고, 수신된 수전단전압(VE(t)) 및 계통주파수(FG(t))에 따라서, 전력변환장치가 계통으로부터 유효전력을 흡수하거나, 계통의 무효전력을 흡수하거나, 계통으로 무효전력을 주입하도록 제어하여, 수전해장치로 계통의 유효전력 및 계통의 무효전력으로 인한 과전압 또는 저전압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수전해장치의 오작동 또는 손상을 방지하는 한편 계통의 전압 및 주파수를 안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해 시스템. As a water electrolysis system connected to a monitoring device that monitors the grid,
A power conversion device that receives AC power from the power reception terminal A connected to the system and converts it into DC that can be utilized by the power reception device;
A water electrolysis device that receives power from a power conversion device and decomposes water to produce hydrogen and oxygen; And
Including; a power management devic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lysis device and the power conversion device,
The power management device receives the receiving and cutting voltage (V E (t)) and the grid frequency (F G (t)) of the power conversion device from the monitoring device, and the received receiving and receiving voltage (V E (t)) and the grid frequency. According to (F G (t)), the power conversion device absorbs active power from the system, absorbs reactive power from the system, or controls the system to inject reactive power into the system. A water electrolysis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voltage and frequency of the system are stabilized while preventing malfunction or damage of the water electrolysis device by blocking the inflow of overvoltage or low voltage due to reactive power of.
전력관리장치는,
계통주파수(FG)가 상승할 때 전력변환장치가 계통이 수용하지 못하는 유효전력을 수전해장치에 전달하여 수소로 변환하도록 지시하고,
수전단전압(VE(t))이 상승할 때 전력변환장치가 계통의 무효전력을 흡수하도록 제어하고,
수전단전압(VE(t))이 하강할 때 전력변환장치가 계통으로 무효전력을 주입하도록 제어하여,
수전단전압(VE)을 지정된 범위로 유지하도록 동작함으로써 수전해장치로 계통의 유효전력 및 계통의 무효전력으로 인한 과전압 또는 저전압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Power management device,
When the grid frequency (F G ) rises, the power conversion device transfers the active power that the system cannot accept to the receiving electrolysis device and instructs it to convert into hydrogen,
When the receiving end voltage (V E (t)) rises, the power conversion device is controlled to absorb the reactive power of the system,
When the receiving end voltage (V E (t)) falls, the power converter is controlled to inject reactive power into the system,
A water electrolysis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blocks the inflow of overvoltage or low voltage due to active power of the system and reactive power of the system to the receiving electrolysis device by operating to maintain the receiving end voltage (V E ) within a specified range.
전력관리장치는 재생에너지원의 출력전력(PR(t))이 재생에너지원의 소정의 운전기준점전력(PO)보다 높은 경우, 현재 재생에너지 출력전력(PR(t))과 운전기준점전력(P0)의 차이에 일정한 계수(α, 여기에서, α는 1보다 작은 양의 실수값임)를 곱한 값으로 유효전력지령치(PW*(t))를 계산하고, 계산된 유효전력지령치(PW*(t))를 이용하여 전력변환장치를 제어하거나,
재생에너지원의 출력전력(PG(t))이 재생에너지원의 소정의 운전기준점전력(PO)보다 높지 않으면서, 출력상승에 의해 재생에너지 출력전력(PR(t))이 계통전압(VG(t)) 및 계통전류(IG(t))의 곱으로 나타나는 계통의 전력요구량(PG)보다 높은 경우, (여기에서, β는 소정의 값)에 의하여 유효전력지령치(PW*(t))를 계산하고,
전력변환장치는 내부의 스위칭 소자의 동작을 통해 유효전력을 흡수하여 운전하는 한편, 계통전압(VG(t)) 및 계통주파수(FG(t))를 안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output power of the renewable energy source (P R (t)) is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operation reference point power (PO) of the renewable energy source, the current renewable energy output power (P R (t)) and the operation reference point power The active power command value (P W *(t))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difference between (P0) by a constant factor (α, where α is a positive real value less than 1), and the calculated active power command value (P W *(t)) to control the power conversion device, or
While the output power (P G (t)) of the renewable energy source is not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operation reference point power (PO) of the renewable energy source, the output power of the renewable energy (P R (t)) becomes the system voltage ( V G (t)) and grid current (I G (t)) higher than the grid's power demand (P G ), (Here, β is a predetermined value) to calculate the active power command value (P W *(t)),
A power conversion device is a water electrolysis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operates by absorbing active power through the operation of an internal switching element while stabilizing the system voltage (V G (t)) and the system frequency (F G (t)). .
전력관리장치는, 수전단전압(VE(t))이 기준치 대비 일정 범위 이상 차이를 보일 때, 재생에너지원의 출력전력(PR), 재생에너지원의 출력전류(IR), 재생에너지원의 출력전압(VR) 및 계통전압(VG)과 계통전류(IG)의 위상차(ΘG)을 기준으로 하여 계통에 주입하거나 계통으로부터 흡수할 무효전력지령치(QE*(t))을 계산하고, 계산된 무효전력지령치(QE*(t))에 따라 전력변환장치에 지령하고,
전력변환장치는 내부의 스위칭 소자의 동작을 통해 수전단(A)에서의 무효전력을 흡수하여 수전해장치의 수전단전압(VE(t)) 및 계통전압(VG(t))을 안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ower management device is the output power of a renewable energy source (P R ), the output current of a renewable energy source (I R ), and renewable energy when the receiving and receiving voltage (V E (t)) shows a difference over a certain range from the reference value. Reactive power command value to be injected into the system or absorbed from the system based on the phase difference (Θ G ) between the original output voltage (V R ) and system voltage (V G ) and system current (I G ) (Q E *(t) ) And command the power conversion device according to the calculated reactive power command value (Q E *(t)),
The power converter stabilizes the receiving end voltage (V E (t)) and the grid voltage (V G (t)) of the receiving electrolytic device by absorbing reactive power at the receiving end (A)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internal switching element. A water electrolysis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수전해장치에서 생산되는 수소를 저장하는 수소저장장치; 및
연료전지 또는 수소의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수소발전장치; 를 더 포함하고,
전력관리장치는 재생에너지 출력이 급격히 감소하거나 부하가 증가하는 시점에 수소발전장치가 계통과 연계된 지점(B)으로 유효전력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 hydrogen storage device for storing hydrogen produced by a water electrolysis device; And
A fuel cell or a hydrogen generator for converting hydrogen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Including more,
The power management device is a water electrolysis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trolling the hydrogen generator to output active power to a point (B) connected to the system at a time when the renewable energy output decreases rapidly or the load increases.
재생에너지원의 유효전력(PR(t))이 계통 발전 최소 전력(PL)보다 작으면(PR(t)<PL), 전력관리장치는 (여기에서, a는 소정의 계수)에 의하여 수소발전장치가 발전할 유효전력지령치(PF*(t))를 계산하고, 수소발전장치는 유효전력지령치(PF*(t))에 기초하여 계통으로 유효전력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If the active power of the renewable energy source (P R (t)) is less than the minimum power (P L ) of system power generation (P R (t)<P L ), the power management device (Here, a is a predetermined coefficient) to calculate the active power command value (P F *(t)) to be generated by the hydrogen power generation device, and the hydrogen power generation device is based on the active power command value (P F *(t)). A water electrolysis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trolling to output active power to the system.
수전해장치에서 생산되는 수소를 저장하는 수소저장장치; 및
연료전지 또는 수소의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수소발전장치; 를 더 포함하고,
전력관리장치는 계통전압 변동시 수소발전장치가 계통으로 유효전력을 주입하거나, 무효전력을 주입하거나, 무효전력을 흡수하여 수전해장치가 수전하는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 hydrogen storage device for storing hydrogen produced by a water electrolysis device; And
A fuel cell or a hydrogen generator for converting hydrogen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Including more,
The power management device is a power receiv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system voltage fluctuates, the hydrogen generator injects active power into the system, injects reactive power, or absorbs reactive power to maintain a constant voltage received by the receiving electrolysis device. Sea system.
전력관리장치는, 수전단전압(VE(t))이 소정의 기준치보다 낮아지는 경우 재생에너지 정보 및 계통의 정보를 수집하여 수소발전장치에 출력할 유효전력지령치(PF*(t))및 무효전력지령치(QF*(t))를 계산하고, 유효전력지령치(PF*(t)) 및 무효전력지령치(QF*(t))에 따라 수소발전장치가 운전하도록 지령하고,
수소발전장치는 운전 과정에서 인버터 내부의 스위칭 소자의 동작을 통해 유효전력 및 무효전력을 계통에 주입하여 계통의 전압 및 주파수를 안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The power management device collects renewable energy information and system information and outputs the active power command value (P F *(t)) to the hydrogen generator when the receiving voltage (V E (t))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the reactive power command value (Q F *(t)) is calculated, and the hydrogen generator is commanded to operate according to the active power command value (P F *(t)) and the reactive power command value (Q F *(t)),
Hydrogen power generation device is a water electrolysis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stabilizes the voltage and frequency of the system by injecting active power and reactive power into the gri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switching element inside the inverter during the operation process.
전력관리장치는 수전해시스템의 무효전력지령치(Q*(t))를 전력변환장치 및 수소발전장치가 분담하도록 제어하고, 전력관리장치는 무효전력을 배분할 때, 전력변환장치의 용량(QE_Max)와 인버터의 용량(QF_Max) 비율에 따르거나, 유효전력 운전을 하지 않는 쪽을 우선하도록 배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The power management device controls the reactive power command value (Q*(t)) of the receiving electrolysis system to be shared by the power conversion device and the hydrogen generator, and the power management device distributes the reactive power, the capacity of the power conversion device (Q E _Max) and the capacity of the inverter (Q F _Max), or distributing priority to the one not to operate active power.
전력변환장치와 수전해장치 사이에 직류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저장장치를 더 포함하고,
전력관리장치는 수전해장치의 운전중 계통사고 발생으로 인해 수전해장치에 전력공급이 불가능할 때 전력관리장치가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종료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ower storage device for storing DC power between the power conversion device and the electrolysis device,
The power management device is a water electrolysis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power supply to the power reception device is impossible due to a system accident during operation of the power reception device, the power management device controls the system to be stably terminat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8552 | 2019-04-25 | ||
KR20190048552 | 2019-04-2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25483A true KR20200125483A (en) | 2020-11-04 |
KR102195169B1 KR102195169B1 (en) | 2020-12-24 |
Family
ID=73571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48438A KR102195169B1 (en) | 2019-04-25 | 2020-04-22 | Electrolysis system controlling reactive power and active power for stabilizing input volta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95169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362215A (en) * | 2022-01-04 | 2022-04-15 | 阳光氢能科技有限公司 | Alternating current electrolysis system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alternating current electrolysis system |
CN114737203A (en) * | 2022-04-24 | 2022-07-12 |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金华供电公司 | Quick frequency modulation response control system based on water electrolysis hydrogen production device |
WO2023282438A1 (en) * | 2021-07-06 | 2023-01-12 | (주)테크윈 | Power management system |
WO2023174529A1 (en) * | 2022-03-16 | 2023-09-21 | Hitachi Energy Switzerland Ag | A system comprising a hydrogen electrolyser unit and an enhanced static compensato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ystem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37226A (en) * | 1999-05-12 | 2006-02-09 | Stuart Energy Systems Corp | Energy distribution network |
JP2016140161A (en) * | 2015-01-26 | 2016-08-04 | 株式会社東芝 | Power suppl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KR20170021606A (en) | 2015-08-18 | 2017-02-2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The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and reactive power compensation method using thereof |
KR20190026379A (en) * | 2017-09-05 | 2019-03-13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Grid-off microgrid system capable of maintaining rated voltage and rated frequency |
-
2020
- 2020-04-22 KR KR1020200048438A patent/KR10219516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37226A (en) * | 1999-05-12 | 2006-02-09 | Stuart Energy Systems Corp | Energy distribution network |
JP2016140161A (en) * | 2015-01-26 | 2016-08-04 | 株式会社東芝 | Power suppl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KR20170021606A (en) | 2015-08-18 | 2017-02-2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The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and reactive power compensation method using thereof |
KR20190026379A (en) * | 2017-09-05 | 2019-03-13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Grid-off microgrid system capable of maintaining rated voltage and rated frequency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282438A1 (en) * | 2021-07-06 | 2023-01-12 | (주)테크윈 | Power management system |
KR20230007671A (en) * | 2021-07-06 | 2023-01-13 | (주) 테크윈 | A power management system |
CN114362215A (en) * | 2022-01-04 | 2022-04-15 | 阳光氢能科技有限公司 | Alternating current electrolysis system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alternating current electrolysis system |
WO2023174529A1 (en) * | 2022-03-16 | 2023-09-21 | Hitachi Energy Switzerland Ag | A system comprising a hydrogen electrolyser unit and an enhanced static compensato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ystem |
CN114737203A (en) * | 2022-04-24 | 2022-07-12 |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金华供电公司 | Quick frequency modulation response control system based on water electrolysis hydrogen production device |
CN114737203B (en) * | 2022-04-24 | 2023-09-26 |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金华供电公司 | Quick frequency modulation response control system based on electrolytic water hydrogen production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95169B1 (en) | 2020-12-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95169B1 (en) | Electrolysis system controlling reactive power and active power for stabilizing input voltage | |
US9841778B2 (en) | Use of distributed generator (DG) inverters as STATCOMs for decreasing line losses | |
US8744635B2 (en) | Power production control method based on power production rate requirement | |
CN104578151B (en) | Large-sized photovoltaic electric station grid connection inverter is idle and voltage control method | |
US11990753B1 (en) | Use of distributed generator (DG) inverters as STATCOMs for decreasing line losses | |
CN108964097B (en) | Pumped storage and renewable energy power generation cooperative operation system and method | |
CN103346577A (en) | Wind power plant AVC reactive power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loss of wind power plant | |
CN114552659A (en) | Multi-energy comprehensive management type energy router containing electricity, hydrogen and energy storage and control method | |
JP2011193685A (en) | Power conditioner | |
CN111628507A (en) | Novel phase modulator and SVG coordinated control method for suppressing transient overvoltage | |
CN201766373U (en) | Power quality control device for distributed photovoltaic power grid | |
CN117117886A (en) | Offshore large-scale wind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Jin et al. | Optimal power distribution method for wind farms to enhance the FRT capability of the LCC-HVDC system under commutation failure | |
Wu et al. | Voltage control of offshore wind farm considering reactive ability of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 |
CN103414214A (en) | Low-voltage ride through and reactive power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synchronous wind turbine generator | |
CN114362237A (en) | Multi-mode flexible direct-current power grid cooperative control method | |
Xue et al. | Reactive Power and AC Voltage Support from Flexible LCC HVDC to Wind Energy Integrated Power System | |
Chowdhury et al. | Role of grid integration of distributed generation in power quality enhancement: A review | |
Dai et al. | Impact of fault ride-through characteristics of large-scale distributed photovoltaic integration on voltage in receiving-end grid | |
Feng et al. | Recovery control for hybrid MTDC systems with offshore wind farms supplying weak grids | |
CN112242699A (en) | Improved self-adaptive active damping control method for isolated direct current microgrid | |
CN113992083B (en) | Reactive power control strategy of auxiliary generator set of energy storage system | |
CN210536295U (en) | Comprehensive transformer substation power regulating system utilizing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technology | |
CN112688353B (en) | High-power direct current charging system | |
Lei et al. | Voltage Coordination Control Strategy for Low Voltage Distribution Networks in Western Rural Areas under Photovoltaic Storage Acces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