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4870A - 다초점 영상 재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초점 영상 재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4870A
KR20200124870A KR1020190048267A KR20190048267A KR20200124870A KR 20200124870 A KR20200124870 A KR 20200124870A KR 1020190048267 A KR1020190048267 A KR 1020190048267A KR 20190048267 A KR20190048267 A KR 20190048267A KR 20200124870 A KR20200124870 A KR 20200124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background
camera
us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철
조재민
Original Assignee
강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철 filed Critical 강성철
Priority to KR1020190048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4870A/ko
Publication of KR20200124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870A/ko
Priority to KR1020200189495A priority patent/KR102334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6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 H04N13/383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for tracking with gaze detection, i.e. detecting the lines of sight of the viewer's ey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89Recording image signals; Reproducing recorded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43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three or more 2D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5Computational photography systems, e.g. light-field imaging systems
    • H04N23/958Computational photography systems, e.g. light-field imaging systems for extended depth of field imaging
    • H04N23/959Computational photography systems, e.g. light-field imaging systems for extended depth of field imaging by adjusting depth of field during image capture, e.g. maximising or setting range based on scene characteristics
    • H04N5/2321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다초점 영상 재생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초점 영상 재생 장치는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하는 아이트래킹 센서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중에서 소정의 기준에 따라 대표영상을 선택하고, 상기 아이트래킹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카메라 중 하나 또는) 상기 각각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중 하나를 재생영상으로 선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대표영상을 먼저 출력하고, 상기 재생영상이 선택되면 순차적으로 상기 재생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부는 각각의 카메라가 서로 다른 배경 또는 객체를 특정하고, 특정된 배경 또는 객체에 초점을 맞추어 촬영한다.

Description

다초점 영상 재생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MULTI-FOCUSED IMA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시선에 적합한 초점의 영상을 제공하는 다초점 영상 재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동영상의 재생은 단일 초점을 둔 영상만을 이용한다. 가수들의 공연 영상을 제공하는 경우 여러 대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된 영상을 제공하지만, 특정 각도에서 촬영된 영상은 단일 초점으로 촬영된 한가지 영상만을 제공한다.
그러나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사용자 별로 다양한 객체에 초점을 두고 영상을 시청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인원으로 구성된 그룹가수가 공연을 하는 영상의 경우에 시청자에 따라 관심있게 바라보는 가수가 다를 수 있는데, 바라보는 대상에 따라 사용자 별로 초점이 다른 영상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초점이 다른 영상을 제공하는 선행 기술(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33531호,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2014.03.19. 참조)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초점 거리를 달리하는 멀티 포커싱 이미지를 얻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가해진 객체에 대해 최대 선명도를 갖는 영상을 이미지를 제공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사용자가 손을 이용한 터치를 통해 초점을 변경한다는 점에서 반응 속도가 늦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목적은 좀 더 편리하고 빠르게 반응할 수 있는 다초점 영상 재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초점 영상 재생 장치는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하는 아이트래킹 센서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중에서 소정의 기준에 따라 대표영상을 선택하고, 상기 아이트래킹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카메라 중 하나 또는) 상기 각각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중 하나를 재생영상으로 선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대표영상을 먼저 출력하고, 상기 재생영상이 선택되면 순차적으로 상기 재생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부는 각각의 카메라가 서로 다른 배경 또는 객체를 특정하고, 특정된 배경 또는 객체에 초점을 맞추어 촬영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촬영부는 각각의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모든 영상에서 배경과 객체 각각을 식별하는 식별부; 식별된 배경 및 객체에 대하여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순위 설정부; 및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각각의 카메라로 배경 또는 객체를 할당하는 할당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카메라는 할당된 배경 또는 객체에 초점을 맞추어 촬영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순위 설정부는 배경 또는 객체의 움직임 정도를 기초로 순위를 설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트래킹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배경 또는 객체를 분석하고,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배경 또는 객체에 초점을 맞추어 촬영한 카메라의 영상을 재생영상으로 선택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촬영부는 각각의 카메라별로 영상이 저장되는 영상 저장부를 포함하되, 저장되는 영상은 배경 또는 객체의 선명도에 관한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트래킹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객체를 분석하고,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객체의 선명도에 관한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저장 영상을 선택한다.
바람직하게는, 영상 저장부에 각각의 카메라 별로 저장되는 영상은 시간적으로 동기화되어 저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재생시간을 동기화하여 영상을 출력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초점 영상 재생 방법은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하는 단계; 소정의 기준에 따라 복수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중에서 대표영상을 선택하고, 상기 사용자 시선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중 하나를 재생영상으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대표영상을 먼저 출력하고, 상기 재생영상이 선택되면 순차적으로 상기 재생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는 각각의 카메라가 서로 다른 배경 또는 객체를 특정하고, 특정된 배경 또는 객체에 초점을 맞추어 촬영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는 각각의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모든 영상에서 배경과 객체 각각을 식별하는 단계; 식별된 배경 및 객체에 대하여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각각의 카메라로 배경 또는 객체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각의 카메라는 할당된 배경 또는 객체에 초점을 맞추어 촬영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표영상 및 재생영상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시선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배경 또는 객체를 분석하고,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배경 또는 객체에 초점을 맞추어 촬영한 카메라의 영상을 재생영상으로 선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초점 영상 재생 장치 및 방법은 사람의 시선을 감지하고, 사람의 시선에 적합한 초점이 형성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다른 영상을 제공하는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초점 영상 재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초점 영상 재생 장치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촬영부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초점 영상 재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초점 영상 재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대표영상 및 재생영상을 선택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초점 영상 재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다초점 영상 재생 장치(100)는 촬영부(110), 아이트래킹 센서부(120), 제어부(130) 및 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한다.
촬영부(110)는 복수의 카메라로 구성된다. 복수의 카메라는 다양한 방향을 향할 수 있지만, 모두 같은 방향을 향할 수도 있다. 모두 같은 방향을 향하더라도 각각의 카메라가 서로 다른 배경 또는 객체를 특정하고, 특정된 배경 또는 객체에 초점을 맞추어 촬영함으로써 다초점 영상 즉, 초점 거리가 서로 다른 복수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은 동영상과 정지영상(스틸샷)을 포함한다.
다초점 영상 재생 장치(100)는 스마트폰일 수도 있는데, 스마트폰인 경우 복수의 카메라는 스마트폰 뒷면에 위치하여 모두 같은 방향을 향할 수도 있다.
아이트래킹 센서부(120)는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한다.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바라보는 영상의 객체가 무엇인지 분석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중에서 소정의 기준에 따라 대표영상을 선택하고, 아이트래킹 센서부(12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카메라 중 하나 또는) 각각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중 하나를 재생영상으로 선택한다. 제어부(130)가 선택하는 영상은 카메라에서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을 선택하거나 촬영되어 저장된 영상을 선택할 수도 있다.
대표영상을 선택하는 소정의 기준은 복수의 카메라 중 하나의 영상을 무작위로 선택하거나 특정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대표영상으로 선택할 것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시간적으로 동기화되어 저장된 모든 동영상 중 특정 재생시간대에 움직임이 가장 큰 객체에 초점을 두어 촬영한 영상을 대표영상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여기서 특정 재생시간대는 동영상의 재생이 시작되는 시간대 즉, 동영상의 첫 부분이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재생영상은 아이트래킹 센서부(12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시선을 두고 있는 객체를 분석하고, 해당 객체에 초점을 두고 촬영한 영상을 재생영상으로 선택한다.
디스플레이부(140)는 대표영상을 먼저 출력하고, 재생영상이 선택되면 순차적으로 재생영상을 출력한다.
다초점 영상 재생 장치(100)가 작동을 시작하면 디스플레이부(140)는 먼저 대표영상을 재생함과 동시에 아이트래킹 센서부(120)는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바라보는 객체를 분석한다. 그리하여 사용자가 바라보는 객체가 분석되면 그때부터 사용자가 바라보는 객체를 촬영한 영상을 출력하고, 사용자가 시선이 옮겨질 때 마다 옮겨지는 객체를 촬영한 영상을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초점 영상 재생 장치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다초점 영상 재생 장치(100)가 다초점 영상을 촬영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다초점 영상 재생 장치(100)의 촬영부(110)는 4개의 카메라(1, 2, 3, 4)로 구성되어 있다. 카메라 1 내지 카메라 3은 각각 객체 1 내지 객체 3에 초점을 두고 영상을 촬영하고 카메라 4는 배경을 촬영함으로 다초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3b 및 도 3c는 사용자가 다초점 영상 재생 장치(100)에서 다초점 영상이 재생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재생되는 영상에서 객체 2를 주시하면 아이트래킹 센서부(120)에서 이러한 점을 감지하게 되고, 제어부(130)에서는 객체 2를 초점으로 하여 촬영한 카메라 2의 영상을 선택하여 재생되도록 한다.
그리고 아이트래킹 센서부(120)에서 사용자의 시선이 객체 1로 옮겨간 것을 감지하면 제어부에서는 객체 1을 초점으로 하여 촬영한 카메라 1의 영상을 선택하여 재생되도록 한다.
도 4는 도 2의 촬영부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촬영부(110)는 식별부(112), 순위 설정부(114) 및 할당부(116)를 포함한다.
식별부(112)는 각각의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모든 영상에서 배경과 적어도 하나의 객체 각각을 구별하고 식별한다.
하나의 영상에는 다수의 객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무대에서 공연을 하는 세 명의 그룹가수를 촬영하는 경우, 영상에서 각각의 가수를 촬영하는 경우에 각각의 가수를 식별하고, 배경을 식별할 수 있다.
순위 설정부(114)는 식별된 배경 및 객체에 대하여 우선 순위를 설정한다.
앞의 예에서 그룹가수에 3명과 배경에 대하여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우선 순위의 설정은 카메라로부터 거리에 따라 설정하거나, 시간적으로 동기화되어 저장된 모든 동영상 중 특정 재생시간대에 움직임의 정도에 기초하여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도 있다. 또는 화면 터치 등과 같이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할당부(116)는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각각의 카메라로 배경 또는 객체를 할당한다. 여기서 각각의 카메라는 할당된 배경 또는 객체에 초점을 맞추어 촬영한다.
만약 하나의 영상 재생 장치(100)에 포함된 카메라의 성능이 제각기 다른 경우에는 어느 카메라에 어떤 객체를 할당할 것인지는 중요한 문제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 가수 중에서 가장 인기가 있는 가수에게 높은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성능이 좋고 해상도가 뛰어난 카메라를 배정할 수 있고 배경과 같은 중요성이 떨어지는 경우에는 낮은 우선순위를 배정하여 성능 또는 해상도가 가장 떨어지는 카메라에 할당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초점 영상 재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초점 영상 재생 장치(100)는 촬영부(110), 아이트래킹 센서부(120), 제어부(130) 및 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하되 촬영부(110)는 영상 저장부(118)를 포함한다. 여기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영상 저장부(118)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영상 저장부(118)는 촬영부(110)에 포함되고, 각각의 카메라 별로 촬영된 영상이 저장된다. 또한 저장된 영상에는 배경 또는 객체의 선명도에 관한 메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선명도에 관한 정보는 시간에 동기화 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재생시간대의 해당 객체의 선명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아이트래킹 센서부(12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객체를 분석하고,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객체의 선명도에 관한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저장 영상을 선택한다.
그리고 저장되는 영상은 시간적으로 동기화되어 저장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40)는 동기화된 시간에 기초하여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초점 영상 재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610에서는, 촬영부(110)에서,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한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620에서는, 아이트래킹 센서부(120)에서,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한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630에서는, 제어부(130)에서, 소정의 기준에 따라 복수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중에서 대표영상을 선택하고, 사용자 시선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각각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중 하나를 재생영상으로 선택한다.
여기서 대표영상 및 재생영상을 선택하는 단계의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시선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배경 또는 객체를 분석하고,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배경 또는 객체에 초점을 맞추어 촬영한 카메라의 영상을 재생영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640에서는, 디스플레이부(140)에서, 대표영상을 먼저 출력하고, 재생영상이 선택되면 순차적으로 재생영상을 출력한다.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는, 각각의 카메라가 서로 다른 배경 또는 객체를 특정하고, 특정된 배경 또는 객체에 초점을 맞추어 촬영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대표영상 및 재생영상을 선택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는,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710에서는, 식별부(112)에서, 각각의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모든 영상에서 배경과 객체 각각을 식별한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720에서는, 순위 설정부(114)에서, 식별된 배경 및 객체에 대하여 우선 순위를 설정한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730에서는, 할당부(116)에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각각의 카메라로 배경 또는 객체를 할당한다.
여기서 각각의 카메라는 할당된 배경 또는 객체에 초점을 맞추어 촬영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하는 아이트래킹 센서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중에서 소정의 기준에 따라 대표영상을 선택하고, 상기 아이트래킹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카메라 중 하나 또는) 상기 각각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중 하나를 재생영상으로 선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대표영상을 먼저 출력하고, 상기 재생영상이 선택되면 순차적으로 상기 재생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부는
    각각의 카메라가 서로 다른 배경 또는 객체를 특정하고, 특정된 배경 또는 객체에 초점을 맞추어 촬영하는 다초점 영상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각각의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모든 영상에서 배경과 객체 각각을 식별하는 식별부;
    식별된 배경 및 객체에 대하여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순위 설정부; 및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각각의 카메라로 배경 또는 객체를 할당하는 할당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카메라는 할당된 배경 또는 객체에 초점을 맞추어 촬영하는 다초점 영상 재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순위 설정부는
    배경 또는 객체의 움직임 정도를 기초로 순위를 설정하는 다초점 영상 재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트래킹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배경 또는 객체를 분석하고,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배경 또는 객체에 초점을 맞추어 촬영한 카메라의 영상을 재생영상으로 선택하는 다초점 영상 재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각각의 카메라별로 영상이 저장되는 영상 저장부를 포함하되, 저장되는 영상은 배경 또는 객체의 선명도에 관한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트래킹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객체를 분석하고,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객체의 선명도에 관한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저장 영상을 선택하는 다초점 영상 재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영상 저장부에 각각의 카메라 별로 저장되는 영상은 시간적으로 동기화되어 저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재생시간을 동기화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다초점 영상 재생 장치.
  7.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하는 단계;
    소정의 기준에 따라 복수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중에서 대표영상을 선택하고, 상기 사용자 시선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중 하나를 재생영상으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대표영상을 먼저 출력하고, 상기 재생영상이 선택되면 순차적으로 상기 재생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는
    각각의 카메라가 서로 다른 배경 또는 객체를 특정하고, 특정된 배경 또는 객체에 초점을 맞추어 촬영하는 다초점 영상 재생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는
    각각의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모든 영상에서 배경과 객체 각각을 식별하는 단계;
    식별된 배경 및 객체에 대하여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각각의 카메라로 배경 또는 객체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각의 카메라는 할당된 배경 또는 객체에 초점을 맞추어 촬영하는 다초점 영상 재생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영상 및 재생영상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시선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배경 또는 객체를 분석하고,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배경 또는 객체에 초점을 맞추어 촬영한 카메라의 영상을 재생영상으로 선택하는 다초점 영상 재생 방법.
KR1020190048267A 2019-04-25 2019-04-25 다초점 영상 재생 장치 및 방법 KR2020012487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267A KR20200124870A (ko) 2019-04-25 2019-04-25 다초점 영상 재생 장치 및 방법
KR1020200189495A KR102334503B1 (ko) 2019-04-25 2020-12-31 다초점 영상 재생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267A KR20200124870A (ko) 2019-04-25 2019-04-25 다초점 영상 재생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9495A Division KR102334503B1 (ko) 2019-04-25 2020-12-31 다초점 영상 재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870A true KR20200124870A (ko) 2020-11-04

Family

ID=73571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267A KR20200124870A (ko) 2019-04-25 2019-04-25 다초점 영상 재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48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56530B2 (en) 2020-04-17 2024-04-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multi-camera, and photographing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56530B2 (en) 2020-04-17 2024-04-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multi-camera, and photographing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96341B2 (ja) 映像音響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12165590B (zh) 视频的录制实现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8665345B2 (en) Video summary including a feature of interest
JP5685732B2 (ja) 映像抽出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080144890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JP5456023B2 (ja) 画像撮影装置、画像撮影方法、プログラム、及び集積回路
KR101558659B1 (ko)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150141059A (ko) 동영상의 썸네일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JP2008028951A (ja) 撮像装置、撮像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14050022A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0245856A (ja) 映像編集装置
KR20200124870A (ko) 다초점 영상 재생 장치 및 방법
KR102334503B1 (ko) 다초점 영상 재생 장치 및 방법
KR102299565B1 (ko) 실시간 방송 영상에서 실시간으로 인물 객체를 인식하고 영상 처리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JP2008199330A (ja) 動画像管理装置
JP2014107775A (ja) 電子カメラ
JP2011119936A (ja) 撮影装置及び再生方法
KR20220053876A (ko) 다초점 영상 재생 장치 및 방법
JP6761230B2 (ja)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撮像装置
JP2014220598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4636024B2 (ja) 撮像装置
JP2011119934A (ja) 画像撮影装置及び画像撮影方法
JP5293422B2 (ja) 画像特定装置及び画像特定プログラム
WO2024062971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13225876A (ja) 画像特定装置及び画像特定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