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4474A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4474A
KR20200124474A KR1020190047823A KR20190047823A KR20200124474A KR 20200124474 A KR20200124474 A KR 20200124474A KR 1020190047823 A KR1020190047823 A KR 1020190047823A KR 20190047823 A KR20190047823 A KR 20190047823A KR 20200124474 A KR20200124474 A KR 20200124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arm
cam
inclined surfac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8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주재영
이정재
김종수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7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4474A/en
Publication of KR20200124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47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57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means connecting the initiating means, e.g. control lever, to the damper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2001/00707Details of pivots of damper do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onditioning device for a vehicle comprises: an air conditioning case in which a passage through which air can move is formed; a door for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passage; and a driving part for rotating the door, wherein a discharge structure for removing foreign matters can be provided in a cam-arm coupling structure. Accordingly, the air conditioning device for a vehicle can prevent the accumulation of foreign matters by having an inclined surface provided as a structure for discharging foreign matters on each of a cam and an arm.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IR CONDITIONER FOR VEHICLE}

실시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공조케이스 내부의 공기 통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도어를 구동하기 위한 캠 및 암에 이물질이 적체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embodiment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 vehicle including a cam for driving a door for adjusting an opening degree of an air passage inside an air conditioning case and a structure for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accumulating on the arm.

자동차는 실내의 공기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공조장치를 갖추고 있다. 상기 공조장치는 겨울철에는 온기를 발생시켜 차량의 실내를 따뜻하게 유지시키고, 여름철에는 냉기를 발생시켜 차량의 실내를 시원하게 유지시킨다. 여기서, 차량용 공조장치는 냉매를 순환시키도록 압축기, 응축기, 리시버 드라이어, 팽창밸브, 증발기 및 이를 연결하는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Automobiles are equipped with an air conditioning system to control the air temperature in the room. The air conditioner generates warmth in winter to keep the interior of the vehicle warm, and generates cold air in summer to keep the interior of the vehicle cool. Here, the vehicle air conditioner may include a compressor, a condenser, a receiver dryer, an expansion valve, an evaporator, and a pipe connecting the same to circulate the refrigerant.

그리고, 차량용 공조장치는 블로어 유닛(Blower Unit)에 의해 차량 실내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냉매가 흐르는 증발기 또는 차량 엔진의 냉각수가 흐르는 히터코어(Heater Core)에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열 교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열 교환된 공기는 차량 실내의 각 부위와 연통된 벤트(Vent)를 통하여 냉기 또는 온기로 차량 실내의 여러 방향으로 분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량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may selectively pass external air introduced into the vehicle interior by a blower unit through an evaporator through which refrigerant flows or a heater core through which coolant of the vehicle engine flows to exchange heat. . In addition, the heat-exchanged air may be distributed in various directions of the vehicle interior as cold or warm air through vents in communication with each part of the vehicle interior. Accordingly, the vehicle air conditioner can cool or heat the interior of the vehicle.

여기서, 상기 차량용 공조장치는 상기 블로어 유닛을 통해 유입된 공기의 풍량 및 풍향을 조절하여 각 부위의 벤트로 토출되게 하는 도어(Door) 및 상기 도어가 내부에 배치된 공조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조케이스 내부에 열 교환을 위해 상기 증발기가 배치될 수 있다. Here, the vehicle air conditioner may include a door that adjusts the air volume and direction of air introduced through the blower unit to be discharged to the vents of each portion, and an air conditioning case in which the door is disposed. In this case, the evaporator may be disposed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to exchange heat.

즉, 차량의 실내로 온도가 조절된 공기가 공급되도록 형성된 공조케이스에는 상기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도어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는 상기 공조케이스에 배치되는 캠, 암 및 레버에 의해 회동하면서 상기 공기의 이동량을 조절할 수 있다. That is, in an air conditioning case formed to supply air whose temperature is adjusted 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 door for adjusting the opening of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moves may be disposed. In addition, the door may adjust the amount of air movement while being rotated by a cam, an arm, and a lever disposed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여기서, 상기 캠과 상기 레버의 결합 구조 및 상기 레버와 상기 암의 결합 구조의 경우 홈과 돌기를 이용하여 상호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홈에는 그리스와 같은 윤활부재가 도포되어 상기 돌기의 이동을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게 한다. Here, in the case of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cam and the lever and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lever and the arm, the grooves and the protrusions may be used for mutual coupling, and a lubricating member such as grease is applied to the groove to facilitate movement of the protrusions. To be able to guide you.

그러나, 상기 윤활부재는 상기 홈 내부에 이물질이 퇴적되게 한다. 특히, 상기 이물질은 홈의 단부측에 퇴적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캠의 회전시, 상기 이물질에 의해 상기 캠, 레버 또는 암이 최대 회전각으로 회동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도어의 개도 조절에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개도 조절 문제는 상기 차량용 공조장치의 효율을 감소시킨다.However, the lubricating member causes foreign matter to be deposited in the groove. In particular, the foreign matter may be deposited on the end side of the groove. Accordingly, when the cam is rotated, a problem occurs in that the cam, the lever, or the arm cannot rotate at the maximum rotation angle due to the foreign material, causing a problem in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door. In addition, such a problem of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reduces the efficiency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실시예는 캠과 암의 결합 구조상에서 이물질이 탈락되는 배출구조를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한다. The embodiment provides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 vehicle having a discharge structure in which foreign matters are removed from a combination structure of a cam and an arm.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herein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내부에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 공조케이스; 상기 통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를 회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캠; 및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암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이물질이 배출되게 형성된 배출구조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해 상기 과제는 달성된다. An air conditioning case in which a passage through which air can move is formed; A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comprising a door for adjusting an opening of the passage and a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door, wherein the driving unit includes a cam provided with a guide unit; And an arm including a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guide part, wherein the guide part is achieved by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 vehicle including a discharge structure formed to discharge foreign substances.

여기서, 상기 암은 상기 캠의 가이드부와 결합하는 제1 암과, 상기 제1 암에 결합하는 제2 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암은 상기 캠의 가이드부에 배치되는 제1 돌기와 상기 제2 암의 가이드부에 배치되는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암의 가이드부는 이물질이 배출되게 형성된 배출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arm includes a first arm coupled to the guide portion of the cam, and a second arm coupled to the first arm, wherein the first arm includes a first protrusion disposed on the guide portion of the cam and the first arm. 2 It may include a second protrusion disposed on the guide portion of the arm, and the guide portion of the second arm may include a discharge structure formed to discharge foreign substances.

그리고, 상기 캠의 가이드부는 캠 바디에 오목하게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홈으로 제공되며, 상기 홈은 상기 배출구조로 제공되는 제1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경사면은 상기 제1 돌기의 축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제1 경사각(θ1)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uide portion of the cam is provided as a groove formed concavely in the cam body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the groove includes a first inclined surface provided as the discharge structure, and the first inclined surface is an axis of the first protrusion It may be formed at a first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θ1 based on the direction.

그리고, 상기 제1 암은 상기 제1 돌기의 외주면에 돌출된 제3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캠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1 돌기가 상기 제1 경사면과 접촉되는 최대 회전각 위치(P1)로 이동시, 상기 제3 돌기의 단부는 상기 제1 경사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탈락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arm further includes a third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first protrusion reaches a maximum rotation angle position P1 in contact with the first inclined surface by the rotation of the cam. When moving, the end of the third protrusion may remove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그리고, 상기 제3 돌기는 상기 제1 돌기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암의 제1 결합부를 축으로 하는 상기 제1 암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홈에서 회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ird protrusion is formed in a spiral shap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first protrusion moves along the groove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arm arou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arm. While doing it, it can rotate in the said groove.

한편, 상기 캠은 상기 홈과 연통되게 상기 캠 바디에 형성되는 보조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am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hole formed in the cam body to communicate with the groove.

또한,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홈의 저면과 소정의 갭(G)으로 이격되게 상기 홈에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protrusion may be disposed in the groov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by a predetermined gap G.

한편, 상기 제2 암의 가이드부는 상기 제2 암의 제2 바디에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홀로 제공되며, 상기 홀은 상기 배출구조로 제공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제2 돌기의 축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제2 경사각(θ3)으로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guide portion of the second arm is provided as a hol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second body of the second arm, the hole includes a second inclined surface provided as the discharge structure,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is the It may be formed at a second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θ3 based o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econd protrusion.

여기서, 상기 제1 암은 상기 제2 돌기의 외주면에 돌출된 제4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캠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2 돌기가 상기 제2 경사면과 접촉되는 최대 회전각 위치(P2)로 이동시, 상기 제4 돌기는 상기 제2 경사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탈락시킬 수 있다. Here, the first arm further includes a fourth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reaches a maximum rotation angle position P2 in contact with the second inclined surface by the rotation of the cam. During movement, the fourth protrusion may remove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second inclined surface.

그리고, 상기 제4 돌기는 상기 제2 돌기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암의 제1 결합부를 축으로 하는 상기 제1 암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홀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홀에서 회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urth protrusion is formed in a spiral shap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moves along the hole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arm with the first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arm as an axis. While doing it, you can rotate in the hall.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캠과 암 각각에 이물질의 배출구조로 제공되는 경사면을 구비하여 이물질의 퇴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사면에 의해 상기 이물질은 자중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prevent the accumulation of foreign matter by having an inclined surface provided as a structure for discharging foreign matter on each of the cam and the arm. In this case, the foreign matter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its own weight by the inclined surface.

또한, 제1 암의 돌기의 선형 이동에 따른 상기 제1 암의 돌기와 이물질의 부딪힘을 통해 경사면에 퇴적된 이물질의 탈락을 유도한다. In addition, the foreign matter deposited on the inclined surface is induced by colliding with the protrusion of the first arm according to the linear movement of the protrusion of the first arm.

나아가, 상기 돌기의 외주면에 추가적으로 형성된 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경사면에 고착된 이물질의 균열을 유도함으로써, 상기 이물질의 탈락을 촉진시킬 수 있다. Further, by providing a protrusion additionally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sion to induce cracking of the foreign substance fixed to the inclined surface, it is possible to promote the detachment of the foreign substance.

실시예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various and beneficial advantages and effects of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may be more easily understood in the course of describing specific embodiments of the embodiments.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은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와 구동부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선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B-B선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1 암을 나타내는 변형예이고,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1 암을 나타내는 또 다른 변형예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diagram showing an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a door and a driving unit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iving unit of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iving unit of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front view showing a driving unit of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ine AA of FIG. 5,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5,
8 is a modified example showing the first arm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9 is another modified example showing the first arm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illustrate and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in the drawings, as various changes may be made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ovided.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second and first,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similarly,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구성요소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상기 두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in the case where one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in "on or under" of another component, the top (top) or bottom (bottom) (on or under) includes both of the two components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or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being indirectly formed between the two components. In addition, when expressed as'on or under', it may include not only an upward direction but also a downward direction based on one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es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은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와 구동부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a door and a driving unit of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는 냉매를 순환시키도록 압축기, 응축기, 리시버 드라이어, 팽창밸브, 증발기 및 이를 연결하는 파이프를 구비하여 차량 실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The vehicle air condition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compressor, a condenser, a receiver dryer, an expansion valve, an evaporator, and a pipe connecting the same to circulate a refrigerant to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vehicle interior.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차량용 공조장치(1)는 내부에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0), 상기 통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도어(20) 및 상기 도어(20)를 회동시키는 구동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1 and 2, the vehicle air conditioner 1 includes an air conditioning case 10 in which a passage through which air can move is formed, a door 20 for adjusting the opening of the passage, and the door 20 It may include a driving unit 30 to rotate.

그리고, 구동부(30)는 캠(100) 및 상기 캠(100)의 회동에 연동하는 암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암은 상기 캠(100)의 회동에 연동하는 제1 암(200) 및 상기 제1 암(200)의 회동에 연동하는 제2 암(300)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도어(20)는 캠(100), 제1 암(200) 및 제2 암(300)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공기의 이동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 암(200)은 레버라 불릴 수 있고, 상기 제1 암(200)이 레버라 명명될 때, 상기 제2 암(300)은 암이라 불릴 수 있다. Further, the driving unit 30 may include a cam 100 and an arm interlocking with the rotation of the cam 100. Here, the arm may include a first arm 200 linked to the rotation of the cam 100 and a second arm 300 linked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arm 200. Accordingly, the door 20 may adjust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air while rotating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cam 100, the first arm 200 and the second arm 300. The first arm 200 may be referred to as a lever, and when the first arm 200 is referred to as a lever, the second arm 300 may be referred to as an arm.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차량용 공조장치(1)는 복수 개의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도어(20) 중 일부는 상기 캠(10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동하게 상기 캠(1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도어(20) 중 다른 일부는 상기 제2 암(300)의 회동에 연동하여 회동하게 상기 제2 암(3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1 and 2, the vehicl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plurality of doors 20, and some of the plurality of doors 20 are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cam 100. It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am 100. In addition, another part of the plurality of doors 2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arm 300 to rotate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second arm 300.

한편,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는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 조절을 위해 상기 증발기(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the evaporator (not shown) may be disposed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10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air flowing in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선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B-B선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iving unit of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iving unit of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a driving unit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5,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5.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30)는 중심(C)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동하는 캠(100), 상기 캠(100)의 회동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제1 암(200) 및 상기 제1 암(200)의 회동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제2 암(3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심(C)은 상기 캠(100)의 회전 중심일 수 있다. 3 to 7, the driving unit 30 includes a cam 100 that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C, and a first arm 200 that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cam 100. ) And a second arm 300 that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first arm 200. Here, the center C may be a rotation center of the cam 100.

캠(100)은 캠 바디(110) 및 캠 바디(110)에 형성된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캠 바디(110)에 형성된 가이드부는 제1 가이드부라 불릴 수 있다. The cam 100 may include a cam body 110 and a guide portion formed on the cam body 110. Here, the guide portion formed on the cam body 110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guide portion.

캠 바디(110)는 중심(C)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공조케이스(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캠 바디(110)와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캠(10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The cam body 11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10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C. In addition, the cam body 110 and the first guide portion may form the outer shape of the cam 100.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제1 암(200)의 일측과 결합되며, 캠 바디(110)의 회동에 의한 제1 암(200)의 회동을 안내할 수 있다. The first guide part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arm 200 and may guide the rotation of the first arm 200 by rotation of the cam body 110.

또한, 상기 제1 가이드부에는 도어(20)의 일측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캠 바디(110)의 회동량이 조절됨에 따라, 상기 제1 가이드부는 도어(20)의 회동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도어(20)의 개수 및 제1 암(200)과의 결합을 고려하여 캠 바디(110)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one side of the door 2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guide part. Accordingly, as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cam body 110 is adjusted, the first guide part enables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door 20 to be adjusted. Here, a plurality of the first guide units may be formed on the cam body 110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doors 20 and coupling with the first arm 200.

한편,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캠(100)의 회전에 대한 최대 회전각의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암(200)의 일측이 이동되게 안내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암(200)은 상기 최대 회전각의 범위 내에서 연동되어 회동할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guide part may guide one side of the first arm 200 to be moved within a range of a maximum rotation angle for rotation of the cam 100. Accordingly, the first arm 200 may rotate and interlock within the range of the maximum rotation angle.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캠 바디(110)에 오목하게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비선형으로 형성된 홈(120)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홈(120)은 중심(C)을 기준으로 소정의 반경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홈(120)에는 제1 암(200)의 제1 돌기(220)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1 돌기(220)의 최대 이동량은 상기 홈(120)의 길이에 의해 제한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캠(100)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1 돌기(220)는 상기 캠(100)의 최대 회전각의 범위 내에서 이동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4, the first guide portion may be provided as a groove 120 formed in a nonlinear shape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concave in the cam body 110. Here, the groove 120 may be disposed on a predetermined radius with respect to the center C. In addition, the first protrusion 220 of the first arm 200 may be disposed in the groove 120 to be movable. Accordingly, since the maximum amount of movement of the first protrusion 220 may be limited by the length of the groove 120, the first protrusion 220 is rotated by the cam 100 ), it moves within the range of the maximum rotation angle.

따라서, 캠(100)이 회동하게 되면, 이에 연동하여 제1 암(200) 및 제2 암(300)이 회동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1 돌기(22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암(200)은 상기 최대 회전각 내에서 연동하여 회동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cam 100 rotates, the first arm 200 and the second arm 300 may rotate in connection with this. For example, by the movement of the first protrusion 220, the first arm 200 may rotate in conjunction within the maximum rotation angle.

다만, 상기 홈(120)에는 그리스와 같은 윤활부재가 도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윤활부재에 의해 이물질이 상기 홈(120)에 퇴적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캠(100)의 회전시, 상기 홈(120)에 퇴적된 이물질에 의해 상기 제1 암(200)이 최대 회전각으로 회동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However, a lubricating member such as grease may be applied to the groove 120. In addition, foreign substances may be deposited in the groove 120 by the lubricating member. Accordingly, when the cam 100 rotates, the first arm 200 may not rotate at the maximum rotation angle due to foreign matter deposited in the groove 120.

이에, 상기 제1 가이드부에는 이물질이 자중 등에 의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가이드부에 형성된 배출구조는 제1 배출구조라 불릴 수 있다. Accordingly, a discharge structure may be formed in the first guide part so that foreign matters may be discharged by their own weight. Here, the discharge structure formed in the first guide portion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discharge structure.

상기 제1 배출구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가이드부의 일측에 형성된 제1 경사면(121)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소정의 제1 경사각(θ1)을 갖도록 형성된 제1 경사면(12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경사각(θ1)은 제1 암(200)의 제1 돌기(220)의 축(C1)과 상기 제1 경사면(121)이 이루는 예각일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1 경사면(121)은 상기 홈(120)의 저면(122)과 둔각의 경사각(θ2)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discharge structure, as shown in FIG. 6, may be provided as a first inclined surface 121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guide part. That is, the first guide portion may include a first inclined surface 121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first inclination angle θ1. Here, the first inclination angle θ1 may be an acute angle formed by the axis C1 of the first protrusion 220 of the first arm 200 and the first inclined surface 121. Accordingly, the first inclined surface 121 may be formed to have an obtuse inclination angle θ2 with the bottom surface 122 of the groove 120.

따라서, 상기 제1 경사면(121)의 제1 경사각(θ1)에 의해 소정의 질량을 갖는 상기 이물질은 우선적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1 경사면(121)에 상기 이물질이 퇴적되더라도, 상기 제1 돌기(220)는 상기 이물질과 부딪쳐 상기 이물질을 상기 제1 경사면(121)에서 용이하게 탈락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1 경사면(121)에 의해 상기 이물질은 외부로 안내되어 배출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oreign matter having a predetermined mass may be preferenti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first inclination angle θ1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121. Nevertheless, even if the foreign material is deposited on the first inclined surface 121, the first protrusion 220 collides with the foreign material and can easily drop the foreign material off the first inclined surface 121. Accordingly, the foreign matter may be guided to the outside and discharged by the first inclined surface 121.

한편, 제1 암(200)의 제1 돌기(220)는 상기 홈(120)의 저면(122)과 소정의 갭(G)으로 이격되게 상기 홈(120)에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갭(G)은 제1 돌기(220)와 상기 저면(122)의 접촉에 의한 이동 간섭을 최소화하면서도 상기 제1 경사면(121)에 퇴적된 이물질과 제1 돌기(220)의 단부가 부딪쳐 상기 이물질의 탈락에 대한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제1 돌기(220)의 단부는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protrusion 220 of the first arm 200 may be disposed in the groove 12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122 of the groove 120 by a predetermined gap G. Accordingly, the gap G minimizes the movement interference caused by the contact between the first protrusion 220 and the bottom surface 122, while the foreign matter deposited on the first inclined surface 121 and the end of the first protrusion 220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ffect on the dropping of the foreign matter by colliding. In this case, the end of the first protrusion 220 may be rounded.

즉, 상기 갭(G)에 의해 제1 암(200)의 제1 돌기(220)가 제1 경사면(121)과 접촉되는 상기 최대 회전각 위치(P1)의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1 돌기(220)의 단부는 상기 제1 경사면(121)에 부착된 이물질과 더욱 용이하게 부딪쳐 상기 이물질을 외부로 안내할 수 있다. That is, the range of the maximum rotational angle position P1 in which the first protrusion 220 of the first arm 200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inclined surface 121 may be increased by the gap G. Accordingly, the end of the first protrusion 220 may more easily collide with the foreign material attached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121 to guide the foreign material to the outside.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120)과 외부가 연통되게 상기 캠 바디(110)에는 상기 제1 암(200)의 제1 돌기(220)의 축 방향(돌출 방향)으로 보조 홀(130)이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보조 홀(130)을 통해 상기 이물질은 상기 홈(120)의 내부에 쌓이지 않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보조 홀(130)은 제1 경사면(121)과 함께 상기 이물질이 상기 홈(120)에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the cam body 110 is assisted in the axial direction (projection direction) of the first protrusion 220 of the first arm 200 so that the groove 120 and the outsid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Holes 130 may be formed. Accordingly, since the foreign matte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without being accumulated in the groove 120 through the auxiliary hole 130, the auxiliary hole 130 is the first inclined surface 121 and the foreign matter It is possible to prevent accumulation in the groove 120.

제1 암(200)은 제1 바디(210), 제1 바디(210)에서 상기 캠(100)을 향해 돌출된 제1 돌기(220), 제1 바디(210)에서 상기 제2 암(300)을 향해 돌출된 제2 돌기(230) 및 상기 공조케이스(10)와 결합하는 제1 결합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바디(210), 제1 돌기(220), 제2 돌기(230) 및 제1 결합부(24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돌기(220)와 제2 돌기(230)는 이격되어 제1 바디(210)에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arm 200 includes a first body 210, a first protrusion 220 protruding from the first body 210 toward the cam 100, and the second arm 300 from the first body 210. A second protrusion 230 protruding toward) and a first coupling part 240 coupled to the air conditioning case 10 may be included. Here, the first body 210, the first protrusion 220, the second protrusion 230, and the first coupling part 240 may be integrally formed. Further, the first protrusion 220 and the second protrusion 230 may be spaced apart and formed on the first body 210.

제1 바디(210)는 제1 결합부(240)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공조케이스(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돌기(220)는 캠(100)의 상기 제1 가이드부와 결합되어 안내되기 때문에, 제1 바디(210)는 캠 바디(110)의 회동에 연동되어 회동할 수 있다. The first body 21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10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coupling part 240. In addition, since the first protrusion 220 is guided by being coupled to the first guide portion of the cam 100, the first body 210 may rotate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cam body 110.

제1 돌기(220)는 제1 바디(210)의 일측에서 캠(100)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캠(100)의 가이드부로 제공되는 홈(120)에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돌기(220)는 캠(100)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1 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최대 회전각의 범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The first protrusion 220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cam 100 from one side of the first body 210, and a part of the first protrusion 220 may be disposed in a groove 120 provided as a guide portion of the cam 100. In this case, the first protrusion 220 may be guided by the first guide portion by the rotation of the cam 100 and may move within the range of the maximum rotation angle.

제2 돌기(230)는 제1 바디(210)의 타측에서 제2 암(300)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 암(300)의 제2 가이드부로 제공되는 홀(320)에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돌기(230)는 제1 돌기(220)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제1 바디(210)의 타측에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돌기(230)는 제1 바디(210)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2 가이드부를 안내하여 상기 최대 회전각의 범위 내에서 제2 암(300)을 회동시킬 수 있다. The second protrusion 230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second arm 300 from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ody 210, and a part of the hole 320 provided as the second guide portion of the second arm 300 Can be placed. Here, the second protrusion 230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ody 21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first protrusion 220. In this case, the second protrusion 230 may guide the second guide part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body 210 to rotate the second arm 300 within the range of the maximum rotation angle.

제1 결합부(240)는 공조케이스(10)를 향해 돌출되게 제1 바디(21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결합부(240)는 후크 구조를 이용하여 공조케이스(10)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coupling part 240 may be formed on the first body 210 to protrude toward the air conditioning case 10. In this case, the first coupling part 240 may be rotatably disposed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0 using a hook structure.

제2 암(300)은 제1 암(200)의 회동에 연동하여 회동할 수 있다. The second arm 300 may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first arm 200.

제2 암(300)은 제2 바디(310) 및 제2 바디(310)에 형성된 상기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암(300)의 회동에 연동하여 도어(20)가 회동하도록 제2 암(300)은 도어(20)의 일측이 결합되는 제2 결합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암(300)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제1 암(200)의 제2 돌기(230)와 결합하고, 타측인 제2 결합부(330)는 도어(20)와 결합되어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제2 암(300)은 제1 암(200)의 회동에 연동하여 회동할 수 있다. The second arm 300 may include a second body 310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formed on the second body 310. In addition, the second arm 300 may include a second coupling portion 330 to which one side of the door 20 is coupled so that the door 20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second arm 300. Here, the second guide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arm 300 is coupled to the second protrusion 230 of the first arm 20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330, which is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door 20 Since it is supported and supported, the second arm 300 may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first arm 200.

제2 바디(310)는 제1 암(200)의 제2 돌기(230)와 상기 제2 가이드부의 결합을 이용하여 제1 암(200)의 회동에 연동하여 회동할 수 있다. 이때, 제2 결합부(330)는 제2 바디(310)의 회동의 기준이 될 수 있다. The second body 310 may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first arm 200 by using a combination of the second protrusion 230 of the first arm 200 and the second guide part. In this case, the second coupling part 330 may be a reference for rotation of the second body 310.

캠(100)의 회전에 대한 최대 회전각의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암(200)의 제2 돌기(230)가 회동될 때,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제2 돌기(230)의 회동에 연동되어 제2 바디(310)를 회동시킨다. When the second protrusion 230 of the first arm 200 rotates within the range of the maximum rotation angle for the rotation of the cam 100, the second guide portion is interlocked with the rotation of the second protrusion 230 The second body 310 is rotated.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제2 바디(310)에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선형으로 형성된 홀(320)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홀(320)은 제2 바디(310)를 관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320)에는 제2 돌기(230)의 일부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3 to 5, the second guide portion may be provided as a hole 320 formed in a linear shape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second body 310. In this case, the hole 320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second body 310. In addition, a part of the second protrusion 230 may be disposed in the hole 320 to be movable.

따라서, 캠(100)이 회동하게 되면, 이에 연동하여 제1 암(200) 및 제2 암(300)이 회동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제2 돌기(230)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2 암(300)이 최대 회전각으로 회동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cam 100 rotates, the first arm 200 and the second arm 300 rotate in connection with this, and thus the second arm 300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protrusion 230. ) Can rotate at the maximum rotation angle.

한편, 상기 제2 돌기(230)의 최대 이동량은 상기 홀(320)의 길이에 의해 제한될 수도 있기 때문에, 상기 홀(320)의 길이는 상기 캠(100)의 최대 회전각의 범위를 제한하는 제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maximum movement amount of the second protrusion 230 may be limited by the length of the hole 320, the length of the hole 320 limits the range of the maximum rotation angle of the cam 100 It can also act as a limiting factor.

또한, 상기 홀(320)에는 그리스와 같은 윤활부재가 도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윤활부재에 의해 이물질이 상기 홀(320)의 단부측에 퇴적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캠(100)의 회전시, 상기 이물질에 의해 상기 제2 암(300)이 최대 회전각으로 회동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In addition, a lubricating member such as grease may be applied to the hole 320. In addition, foreign substances may be deposited on the end side of the hole 320 by the lubricating member. Accordingly, when the cam 100 rotates, the second arm 300 may not rotate at the maximum rotation angle due to the foreign material.

따라서, 상기 제2 가이드부에는 이물질이 자중 등에 의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가이드부에 형성된 배출구조는 제2 배출구조라 불릴 수 있다. Accordingly, a discharge structure may be formed in the second guide part so that foreign substances may be discharged by their own weight. Here, the discharge structure formed in the second guide portion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discharge structure.

상기 제2 배출구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가이드부의 일측에 형성된 제2 경사면(321)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소정의 제2 경사각(θ3)으로 형성된 제2 경사면(32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경사각(θ3)은 제1 암(200)의 제2 돌기(230)의 축(C2)과 상기 제2 경사면(321)이 이루는 예각일 수 있다. The second discharge structure may be provided as a second inclined surface 321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guide part, as shown in FIG. 7. That is, the second guide portion may include a second inclined surface 321 formed at a predetermined second inclined angle θ3. Here, the second inclination angle θ3 may be an acute angle formed by the axis C2 of the second protrusion 230 of the first arm 200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21.

따라서, 상기 제2 경사면(321)에 의해 상기 이물질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 경사면(321)에 상기 이물질이 퇴적되더라도 상기 제2 돌기(230)가 상기 이물질과 부딪쳐 상기 이물질을 상기 제2 경사면(321)에서 용이하게 탈락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2 경사면(321)에 의해 상기 이물질은 외부로 안내되어 배출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oreign matter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21. Further, even if the foreign material is deposited o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21, the second protrusion 230 collides with the foreign material, so that the foreign material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21. Accordingly, the foreign matter may be guided to the outside by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21 and discharged.

예컨데, 제1 암(200)의 제2 돌기(230)는 제2 경사면(321)과 접촉되는 상기 최대 회전각 위치(P2)까지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이물질이 상기 제2 경사면(321)에 우선적으로 퇴적되더라도 상기 제2 경사면(321)의 제2 경사각(θ3)에 의해 상기 이물질은 외부로 배출되거나 또는 제2 돌기(230)와 부딪쳐 외부로 안내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cond protrusion 230 of the first arm 200 can move to the maximum rotational angle position P2 in contact with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21, and the foreign matter is preferentially applied to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21 Even if it is deposited, the foreign material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due to the second inclination angle θ3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21 or may collide with the second protrusion 230 and guided to the outside.

제2 결합부(330)는 제2 바디(310)에 홈 또는 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결합부(330)에는 도어(20)의 일측이 결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암(300)의 회동시 도어(20) 또한 회동하게 된다. The second coupling part 33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groove or a hole in the second body 310. In addition, one side of the door 2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portion 330. Accordingly, when the second arm 300 is rotated, the door 20 is also rotated.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1 암을 나타내는 변형예이고,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1 암을 나타내는 또 다른 변형예이다. 8 is a modified example showing the first arm of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FIG. 9 is another modified example showing the first arm of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상기 제1 암(200)의 제1 돌기(220)와 제2 돌기(230)는 경사면(121, 321)에 퇴적된 이물질과 부딪혀 상기 이물질을 탈락시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이물질이 경사면(121, 321)에 고착된 경우 고착된 이물질에 의해 돌기(220, 230)가 상기 최대 회전각 위치(P1, P2)에 이동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The first protrusion 220 and the second protrusion 230 of the first arm 200 collide with the foreign material deposited on the inclined surfaces 121 and 321 to eliminate the foreign material. Nevertheless, when the foreign material is fixed to the inclined surfaces 121 and 321, the protrusions 220 and 230 may not move to the maximum rotational angle positions P1 and P2 due to the fixed foreign material.

따라서, 제1 암(200)의 변형예는 제1 돌기(220)와 제2 돌기(230)에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돌기를 이용하여 경사면(121, 321)에 고착된 이물질에 균열을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암(200)의 변형예는 상술 된 제1 암(200)을 대신하여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ly, a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arm 200 may induce a crack in a foreign material fixed to the inclined surfaces 121 and 321 by using the protrusions additionally formed on the first protrusion 220 and the second protrusion 230. . Here, a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arm 200 may be disposed in place of the first arm 200 described above.

도 8을 참조하면, 변형예에 따른 제1 암(200a)은 제1 돌기(220)의 외주면에 돌출된 제3 돌기(250)와 제2 돌기(230)의 외주면에 돌출된 제4 돌기(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first arm 200a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includes a third protrusion 250 protruding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220 and a fourth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protrusion 230 ( 260) may be further included.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돌기(250)는 제1 돌기(220)의 돌출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4 돌기(260)는 제2 돌기(230)의 돌출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a plurality of the third protrusions 25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first protrusion 220 and may be disposed in plural. Further, the fourth protrusion 26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second protrusion 230 and may be disposed in plurality.

그리고, 상기 제3 돌기(250)는 제1 돌기(220)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게 제1 돌기(220)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4 돌기(260)는 제2 돌기(230)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게 제2 돌기(230)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경 방향이라 함은 제1 돌기(220)의 축(C1) 또는 제2 돌기(230)의 축(C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ird protrusion 250 may be formed on the first protrusion 220 to protrud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irst protrusion 220. In addition, the fourth protrusion 260 may be formed on the second protrusion 230 to protrud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econd protrusion 230. Here, the radial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s C1 of the first protrusion 220 or the axis C2 of the second protrusion 230.

상기 캠(100)의 회동시, 제1 돌기(220)는 상기 홈(120)을 따라 선형 이동하여 상기 홈(120)에 고착된 이물질에 부딪힐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돌기(220)에 형성된 제3 돌기(250)는 상기 이물질에 제1 돌기(220)보다 먼저 부딪혀 상기 이물질의 균열을 유도함으로써, 상기 이물질의 탈락을 촉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결합부(240)를 축으로 하는 제1 암(200)의 회동에 의해 제1 돌기(220)는 상기 홈(120)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홈(120)에서 상대적으로 회동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이물질에 부딪히는 제3 돌기(250)가 상기 이물질을 파고들면서 상기 이물질의 균열을 더욱 촉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경사면(121)에 제1 돌기(220)의 단부가 접촉되는 상기 최대 회전각 위치(P1)까지 제1 돌기(22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제3 돌기(250)의 반경 방향에 대한 돌출 높이는 조절될 수 있다. When the cam 100 is rotated, the first protrusion 220 may linearly move along the groove 120 to collide with a foreign substance fixed to the groove 120. Accordingly, the third protrusion 250 formed on the first protrusion 220 collides with the foreign material before the first protrusion 220 and induces a crack of the foreign material, thereby promoting the fall of the foreign material. Here,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arm 200 having the first coupling part 240 as an axis, the first protrusion 220 moves along the groove 120 and relatively rotates in the groove 120. I can. Accordingly, the third protrusion 250 hitting the foreign material while rotating penetrates the foreign material, thereby further promoting cracking of the foreign material. At this tim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hird protrusion 250 so that the first protrusion 220 can move to the maximum rotational angle position P1 where the end of the first protrusion 220 contacts the first inclined surface 121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can be adjusted.

또한, 상기 제1 암(200)의 회동시, 제2 돌기(230)는 상기 홀(320)을 따라 선형 이동하여 상기 제2 암(300)을 회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돌기(230)는 상기 홀(320)에 고착된 이물질에 부딪힐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돌기(230)에 형성된 제4 돌기(260)는 상기 이물질에 제2 돌기(230)보다 먼저 부딪혀 상기 이물질의 균열을 유도함으로써, 상기 이물질의 탈락을 촉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결합부(240)를 축으로 하는 제1 암(200)의 회동에 의해 제2 돌기(230)는 상기 홀(320)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홀(320)에서 상대적으로 회동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이물질에 부딪히는 제4 돌기(260)가 상기 이물질을 파고들면서 상기 이물질의 균열을 더욱 촉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경사면(321)의 일측에 제2 돌기(230)가 접촉되는 상기 최대 회전각 위치(P2)까지 제2 돌기(23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제4 돌기(260)의 반경 방향에 대한 돌출 높이는 조절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first arm 200 is rotated, the second protrusion 230 may linearly move along the hole 320 to rotate the second arm 300. In this case, the second protrusion 230 may collide with the foreign material adhered to the hole 320. Accordingly, the fourth protrusion 260 formed on the second protrusion 230 collides with the foreign material before the second protrusion 230 and induces a crack of the foreign material, thereby promoting the fall of the foreign material. Here,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arm 200 having the first coupling part 240 as an axis, the second protrusion 230 moves along the hole 320 and relatively rotates in the hole 320. I can. Accordingly, the fourth protrusion 260 hitting the foreign material while rotating penetrates the foreign material, thereby further promoting cracking of the foreign material. At this tim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ourth protrusion 260 so that the second protrusion 230 can move to the maximum rotational angle position P2 where the second protrusion 230 contacts one side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21.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can be adjusted.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변형예에 따른 제1 암(200b)은 제1 돌기(220)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돌출된 제3 돌기(250a)와 제2 돌기(230)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돌출된 제4 돌기(26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8과 도 9를 비교해 볼 때, 상기 제1 암(200b)의 제3 돌기(250a)와 제4 돌기(260a)가 나선형으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상기 제1 암(200a)과 차이가 있다. Referring to FIG. 9, the first arm 200b according to another modified example spirally protrudes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ird protrusion 250a and the second protrusion 230 that helically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220 The fourth protrusion 260a may be further included. That is, when comparing FIGS. 8 and 9, the difference from the first arm 200a is that the third protrusion 250a and the fourth protrusion 260a of the first arm 200b are formed in a spiral shape. have.

제3 돌기(250a)와 제4 돌기(260a)가 나선형으로 형성된 경우, 제3 돌기(250a)와 제4 돌기(260a)가 회전을 통해 상기 이물질을 파고들 때, 상기 이물질에 축 방향으로 하중을 더욱 인가하게 된다. 그에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3 돌기(250a)와 제4 돌기(260a)는 상기 이물질의 균열을 더욱 촉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축 방향이라 함은 제1 돌기(220) 또는 제2 돌기(230)의 돌출 방향일 수 있다. When the third protrusion 250a and the fourth protrusion 260a are formed in a spiral shape, when the third protrusion 250a and the fourth protrusion 260a penetrate the foreign material through rotation, a load on the foreign material in the axial direction Is applied more. Accordingly, the third protrusion 250a and the fourth protrusion 260a formed in a spiral shape may further promote cracking of the foreign material. Here, the axial direction may be a protruding direction of the first protrusion 220 or the second protrusion 230.

종합해보면, 차량에 설치되는 상기 차량용 공조장치(1)는 이물질의 배출구조로 제공되는 경사면(121, 321)을 이용하여 이물질의 퇴적을 방지할 수 있다. In summary, the vehicle air conditioner 1 installed in the vehicle can prevent the accumulation of foreign substances by using the inclined surfaces 121 and 321 provided as a discharge structure for foreign substances.

또한, 제1 암(200)에 형성된 제1 돌기(220)와 제2 돌기(230)의 선형 이동을 이용하여 경사면(121, 321)에 퇴적되는 이물질을 탈락시킨 후, 상기 경사면(121, 321)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afte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deposited on the inclined surfaces 121 and 321 by using the linear movement of the first protrusion 220 and the second protrusion 230 formed on the first arm 200, the inclined surfaces 121 and 321 ) Can be easily discharged.

나아가, 제1 암(200a, 200b)에 형성된 돌기(250, 250a, 260, 260a)의 이동 및 회전을 이용하여 경사면(121, 321)에 퇴적되는 이물질을 탈락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 중 일부의 돌기(250a, 260a)는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경사면(121, 321)에 퇴적되는 이물질을 탈락을 더욱 촉진시킬 수 있다.Further, by using the movement and rotation of the protrusions 250, 250a, 260, and 260a formed on the first arms 200a and 200b, foreign matter deposited on the inclined surfaces 121 and 321 may be promoted to fall off. At this time, since some of the protrusions 250a and 260a may be formed in a spiral shape, foreign matter deposited on the inclined surfaces 121 and 321 may be further promoted to fall off.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수정과 변경에 관계된 차이점들을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variously modify and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change it. And, the differences related to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 차량용 공조장치 10: 공조케이스
20: 도어 30: 구동부
100: 캡
110: 캠 바디 120: 홈
121: 제1 경사면
200: 제1 암
210: 제1 바디 220: 제1 돌기
230: 제2 돌기
250, 250a: 제3 돌기
260, 260a: 제4 돌기
300: 제2 암
310: 제2 바디 320: 홀
321: 제2 경사면
1: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10: air conditioning case
20: door 30: driving unit
100: cap
110: cam body 120: groove
121: first slope
200: first arm
210: first body 220: first protrusion
230: second protrusion
250, 250a: third protrusion
260, 260a: 4th protrusion
300: second arm
310: second body 320: hole
321: second slope

Claims (10)

내부에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 공조케이스; 상기 통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를 회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캠; 및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암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이물질이 배출되게 형성된 배출구조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An air conditioning case in which a passage through which air can move is formed; In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comprising a door for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passage and a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door,
The driving part
A cam formed with a guide portion; And
It includes an arm including a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guide portion,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including a discharge structure formed to discharge foreign substances in the guide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상기 캠의 가이드부와 결합하는 제1 암과, 상기 제1 암에 결합하는 제2 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암은 상기 캠의 가이드부에 배치되는 제1 돌기와 상기 제2 암의 가이드부에 배치되는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암의 가이드부는 이물질이 배출되게 형성된 배출구조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rm includes a first arm coupled to the guide portion of the cam, and a second arm coupled to the first arm,
The first arm includes a first protrusion disposed in a guide portion of the cam and a second protrusion disposed in a guide portion of the second arm,
A vehicle air conditioner including a discharge structure formed to discharg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guide portion of the second ar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의 가이드부는 캠 바디에 오목하게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홈으로 제공되며,
상기 홈은 상기 배출구조로 제공되는 제1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경사면은 상기 제1 돌기의 축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제1 경사각(θ1)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guide portion of the cam is provided as a groove concavely formed in the cam body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The groove includes a first inclined surface provided as the discharge structure,
The first inclined surface is formed at a first inclination angle θ1 based o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protrus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암은 상기 제1 돌기의 외주면에 돌출된 제3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캠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1 돌기가 상기 제1 경사면과 접촉되는 최대 회전각 위치(P1)로 이동시, 상기 제3 돌기의 단부는 상기 제1 경사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탈락시키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arm further includes a third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When the first protrusion moves to the maximum rotational angle position (P1) in contact with the first inclined surface by the rotation of the cam, the end of the third protrusion removes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돌기는 상기 제1 돌기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암의 제1 결합부를 축으로 하는 상기 제1 암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홈에서 회동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third protrusion is formed in a spiral shap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rotates in the groove while the first protrusion moves along the groove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arm using the first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arm as an axi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상기 홈과 연통되게 상기 캠 바디에 형성되는 보조 홀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cam further comprises an auxiliary hole formed in the cam body to communicate with the groov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홈의 저면과 소정의 갭(G)으로 이격되게 상기 홈에 배치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protrusion is disposed in the groov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by a predetermined gap (G).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암의 가이드부는 상기 제2 암의 제2 바디에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홀로 제공되며,
상기 홀은 상기 배출구조로 제공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제2 돌기의 축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제2 경사각(θ3)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6,
The guide portion of the second arm is provided as a hol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second body of the second arm,
The hole includes a second inclined surface provided as the discharge structure,
The second inclined surface is formed with a second inclined angle θ3 based o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econd protrus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암은 상기 제2 돌기의 외주면에 돌출된 제4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캠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2 돌기가 상기 제2 경사면과 접촉되는 최대 회전각 위치(P2)로 이동시, 상기 제4 돌기는 상기 제2 경사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탈락시키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arm further includes a fourth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protrusion,
When the second protrusion moves to the maximum rotational angle position P2 contacting the second inclined surface by rotation of the cam, the fourth protrusion removes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second inclined surfa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돌기는 상기 제2 돌기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암의 제1 결합부를 축으로 하는 상기 제1 암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홀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홀에서 회동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fourth protrusion is formed in a spiral shap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protrusio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rotates in the hole while the second protrusion moves along the hole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arm using the first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arm as an axis.
KR1020190047823A 2019-04-24 2019-04-24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20012447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823A KR20200124474A (en) 2019-04-24 2019-04-24 Air conditioner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823A KR20200124474A (en) 2019-04-24 2019-04-24 Air conditioner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474A true KR20200124474A (en) 2020-11-03

Family

ID=73197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823A KR20200124474A (en) 2019-04-24 2019-04-24 Air conditioner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447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53214B2 (e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with a movable fan housing assembly
US10746456B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nd blade unit applied to same
US20140220875A1 (en) Floor pan for connecting a roof-mounted cooling device to the roof of a switchgear cabinet
US20060005958A1 (en) Air conditioning unit for vehicle use
US8398468B2 (en) Air conditioning device for car
CN107421017B (en) Shell assembly of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control method,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CN107650617B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200124474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10967701B2 (en) Air conditioner
US20170282682A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CN113819696A (en) Refrigerator and defrosting control method thereof
US20180313551A1 (en) Air conditioner
KR20200045164A (en) Humidifier with cooling and heating function
KR101429996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2592457B1 (en) Door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0932627B1 (en) Combined structure of cam and actuator for vehicle air conditioner
US11230160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2651360B1 (en) Door driving apparatus for air conditioner in vehicle
KR101282855B1 (en) Air conditioning device for vehicles
CN212108695U (en) Vertical air conditioner
KR20200037535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298445B1 (en) Assembly Structure of Center Pivot Door for Air Conditioning System of Vehicle
KR102133382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2555062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CN212319861U (en) Vertical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