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3899A - A Wireless Authenticating Type of a Device for Locking a Door - Google Patents

A Wireless Authenticating Type of a Device for Locking a Do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3899A
KR20200123899A KR1020190046818A KR20190046818A KR20200123899A KR 20200123899 A KR20200123899 A KR 20200123899A KR 1020190046818 A KR1020190046818 A KR 1020190046818A KR 20190046818 A KR20190046818 A KR 20190046818A KR 20200123899 A KR20200123899 A KR 20200123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ever
locking device
couple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8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79073B1 (en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6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073B1/en
Priority to PCT/KR2019/004935 priority patent/WO2020218637A1/en
Publication of KR20200123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38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0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2Casings of latch-bolt or deadbolt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1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07C9/0091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safes, strong-rooms, vaults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944Details of construction or manufa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5Output elements of actuators
    • E05B2047/0016Output elements of actuators with linearly reciprocating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7Feeding
    • E05B2047/0058Feeding by batte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84Key or electric means; Emergency relea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1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 G07C2009/00825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remotely by lines or wireless commun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king device using a wireless authentication method. The locking device using a wireless authentication method comprises: an accommodation housing (11) disposed inside a door and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therein; a main body (12) fixed to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housing (11) and having at least one coupling part formed therein; a lever casing (17) coupled to the at least one coupling part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by a driving means (15), and having a lever (171) disposed therein; and control units (18a, 18b) that control the operation of a driving means (15) based on an authentication code transmitted wirelessly from the outside.

Description

무선 인증 방식의 잠금 기기{A Wireless Authenticating Type of a Device for Locking a Door}A Wireless Authenticating Type of a Device for Locking a Door}

본 발명은 무선 인증 방식의 잠금 기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도어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도어 외부에서 인증 신호를 전송하여 개폐가 가능한 무선 인증 방식의 잠금 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authentication type lock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wireless authentication type locking devic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by transmitting an authentication signal from the outside of the door while installed inside the door.

잠금 기기 또는 개폐 장치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고, 금고 또는 캐비닛과 같은 보관 수단의 잠금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감금 기기는 도어 또는 보관 수단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고, 무선으로 인증 코드를 전송하여 잠금 해제가 되는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작동되는 잠금 기기가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특허공개번호 10-2015-0142126은 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의 보안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공개번호 10-2017-0100173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금고, 캐비닛 또는 이와 유사한 개인용 보관함의 경우 구조적으로 간단하면서 접근이 어렵고 이와 동시에 우수한 보안성을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잠금 기기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The locking device 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an be operated manually or automatically, and can be used as a locking means for storage means such as safes or cabinets. Such a confinement device may be installed in various locations of a door or storage means, and may be operated in a manner that unlocks by transmitting an authentication code wirelessly. And locking devices that operate in this way are known in the art.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42126 discloses a security system for a digital door lock using a wireless telephone. In additio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00173 discloses a door lock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afes, cabinets or similar personal storage boxes are advantageous in that they are structurally simple and difficult to access, and at the same time have excellent security. However, the prior art does not disclose a locking device having such a structure.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object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선행기술 1: 특허공개번호 10-2015-0142126(주식회사 코맥스, 2015.12,22. 공개)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Prior Art 1: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42126 (Commax Co., Ltd., published on December 22, 2015) Security system and method for door lock using wireless telephone 선행기술 2: 특허공개번호 10-2017-0100173((주)우주일렉트로닉스, 2017.09.04. 공개)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Prior Art 2: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00173 (Wooju Electronics Co., Ltd., published on September 4, 2017) Door lock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 안쪽에 설치되어 무선 통신 방식으로 작동이 되면서 구조적으로 간단한 무선 인증 방식의 잠금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ucturally simple locking device of a wireless authentication method while being installed inside a door and operated by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무선 인증 방식의 잠금 기기는 도어의 안쪽에 배치되면서 수용 공간이 형성된 수용 하우징; 수용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면서 적어도 하나의 결합 부위가 형성된 메인 몸체; 적어도 하나의 결합 부위에 구동 수단에 의하여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내부에 레버가 배치된 레버 케이싱; 및 외부에서 무선으로 전송되는 인증 코드에 기초하여 구동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reless authentication type locking device includes: an accommodation housing disposed inside a door and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A main body fixed to the interior of the receiving housing and having at least one coupling portion formed therein; A lever casing coupled to at least one coupling portion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by a driving means and having a lever disposed therein;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eans based on the authentication code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레버에 결합되는 체결 유닛을 포함하고, 체결 유닛은 도어의 안쪽 면에 고정되는 데드 록 모듈에 포함된다.According to another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ncludes a fastening unit coupled to the lever, the fastening unit is included in a dead lock module that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스위치 기능을 가지는 렌즈 유닛을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ens unit having a switch function is further included.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증 방식의 잠금 기기는 예를 들어 금고 내부 또는 캐비닛의 내부와 같이 도어의 안쪽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인지되지 않고, 이로 인하여 접근 제한성이 우수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잠금 기기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이와 유사한 개인용 전자기기에 설치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인증 코드가 전송되어 작동되는 것에 의하여 보안성이 우수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잠금 기기는 개인용 금고, 캐비닛 또는 이와 유사한 개인 물품 또는 귀중품이 보관을 위한 보관 수단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임의 접근이 제한되는 다양한 잠금 도어에 적용될 수 있다.The locking device of the wireless authent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side a door such as, for example, inside a safe or inside a cabinet and is not recognized from the outside, thereby having an advantage in that access restriction is excellent. Th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excellent security by being operated by transmitting an authentication code by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smart phone or a program installed in a personal electronic device similar thereto. Th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vantageously applied to a storage means for storing personal safes, cabinets or similar personal items or valuabl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various locking doors in which random access is restric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증 방식의 잠금 기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 기기에 결합되는 메인 몸체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 기기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 기기의 외부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 기기에 결합되는 데드 록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 기기가 작동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n embodiment of a wireless authentication method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n embodiment of the main body coupled to th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n embodiment of the operation structure of th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n embodiment of an external structure of a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n embodiment of a dead lock module coupled to th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n embodiment of a process of operating th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In the follow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embodiments are for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different drawings have similar functions, so if they are not necessary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they will not be described repeatedly, and well-known components will be briefly described or omit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excluded from the embodiment 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증 방식의 잠금 기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1 shows an embodiment of a wireless authentication method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인증 방식의 잠금 기기는 도어의 안쪽에 배치되면서 수용 공간이 형성된 수용 하우징(11); 수용 하우징(11)의 내부에 고정되면서 적어도 하나의 결합 부위가 형성된 메인 몸체(12); 적어도 하나의 결합 부위에 구동 수단(15)에 의하여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내부에 레버(171)가 배치된 레버 케이싱(17); 및 외부에서 무선으로 전송되는 인증 코드에 기초하여 구동 수단(15)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18a, 18b)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wireless authentication type locking device includes an accommodation housing 11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while being disposed inside a door; A main body 12 fixed to the interior of the receiving housing 11 and having at least one coupling portion formed therein; A lever casing 17 coupled to at least one coupling portion so as to move up and down by a driving means 15, and having a lever 171 disposed therein; And control units 18a and 18b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eans 15 based on the authentication code transmitted wirelessly from the outside.

잠금 기기는 예를 들어 금고 또는 캐비닛과 같은 보관 수단의 바닥 면 또는 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 잠금 기기에 결합되는 체결 수단이 도어에 설치될 수 있다. 체결 수단이 잠금 기기에 결합되어 잠금 상태가 되면 도어가 열리지 않는 잠금 상태가 될 수 있다. 도어가 개방 가능한 상태로 되기 위하여 외부의 전자기기로부터 인증 코드가 전송되어 잠금 기기에서 수신될 수 있다. 잠금 기기는 인증 코드를 확인하여 개폐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체결 수단의 결합이 해제되어 도어가 열릴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잠금 기기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locking device can be installed on the floor or wall of a storage means such as a safe or cabinet, for example. Fastening means coupled to the locking device may be installed on the door. When the fastening means is coupled to the locking device and is locked, the door may be locked. In order to open the door, an authentication code may be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received by the locking device. The locking device may determine whether to open or close by checking the authentication code, and accordingly, the coupling of the fastening means may be released and the door may be opened. Locking or unlocking of the locking device may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and is not limit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presented.

수용 하우징(11)은 전체적으로 양쪽 면이 열린 사각형 단면을 가진 튜브 형상이 되면서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 하우징(11)은 보관 공간의 내부 또는 도어의 안쪽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보관 공간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우징 홀더(13)에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 홀더(13)는 홀더 몸체(131); 및 홀더 몸체(131)에 형성된 제한 탭(13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홀더 몸체(131)는 전체적으로 판 형상이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고정 볼트와 같은 고정 수단(B1, B2)에 의하여 보관 공간의 바닥 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한 탭(132)은 홀더 몸체(131)의 중앙 부분을 따라 형성된 결합 홈으로부터 연장되는 사각 판 형상이 될 수 있고, 결합 홈의 경계 부분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탄성에 의하여 유동될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수용 하우징(11)의 아래쪽 면에 결합 홈과 체결되는 결합 돌기가 형성될 수 있고, 수용 하우징(11)을 하우징 홀더(13)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시키기 위하여 제한 탭(132)을 눌러 아래쪽으로 이동시킨 후 결합 돌기를 결합 홈에 결합시킬 수 있다. 결합된 이후 제한 탭(132)이 탄성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면 제한 탭(132)에 형성된 계단 면에 의하여 수용 하우징(11)이 하우징 홀더(13)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수용 하우징(11)은 다양한 방법으로 보관 공간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receiving housing 11 may have a tube shap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with both sides open as a whole, and a receiving space may be formed therein. The receiving housing 11 may be disposed inside the storage space or inside the door, and may be coupled to a housing holder 13 detachably coupled to the storage space, for example. The housing holder 13 includes a holder body 131; And a limiting tab 132 formed on the holder body 131. The holder body 131 may have a plate shape as a whole, and may be fixed to the bottom of the storage space by fixing means B1 and B2 such as fixing bolts. The limiting tab 132 may be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extending from the coupling groove formed alo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holder body 131, and has a structure capable of elastically flow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based on the boundary portion of the coupling groove. Can be made. A coupling protrusion that is fastened to the coupling groove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housing 11, and moves downward by pressing the limiting tab 132 in order to detachably couple the accommodation housing 11 to the housing holder 13 After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can be joined to the coupling groove. After being coupled, when the limiting tab 132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due to elasticity, the receiving housing 11 may be stably coupled to and fixed to the housing holder 13 by a stepped surface formed on the limiting tab 132. The receiving housing 11 may be fixed to the inside of the storage space in various ways, and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

수용 하우징(11)의 내부에 메인 몸체(12)가 고정될 수 있고, 메인 몸체(12)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 부위가 형성되어 잠금 기기의 작동을 위한 다양한 수단이 배치될 수 있다. 수용 하우징(11)의 앞쪽에 전면 커버(14)가 결합되어 수용 하우징(11)의 앞쪽 부분을 밀폐시킬 수 있고, 전면 커버(14)에 잠금 홀(141)이 형성될 수 있다. 잠금 홀(141)을 통하여 도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폐 수단에 고정된 체결 유닛이 잠금 기기의 내부로 유도되어 잠금 또는 잠금 해제가 될 수 있다. 메인 몸체(12)의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수용 공간에 레버 케이싱(17)이 배치될 수 있다. 레버 케이싱(17)은 전체적으로 박스 형상이 되면서 한쪽 면이 열린 형상이 될 수 있다. 레버 케이싱(17)의 내부에 레버(171)가 배치되고, 레버(171)는 사각 판 형상의 베이스(171a) 및 베이스(171a)로부터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끝 부분에 걸림 훅이 형성된 레버 부재(17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레버(171)는 제1, 2 탄성유닛(172a, 172b)와 함께 레버 케이싱(17)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2 탄성 유닛(172a, 172b)에 의하여 탄성 지지가 되어 레버 케이싱(17) 내부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 수단(15)에 의하여 레버 케이싱(17) 또는 레버(171)가 아래쪽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후 구동 수단(15)의 작동 또는 탄성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다. 레버 케이싱(17)의 위쪽 면에 레버 부재(171b)의 위쪽 부분이 돌출되는 이동 홀(174)이 형성될 수 있고, 레버 케이싱(17)의 열린 면의 한쪽 가장자리에 맞물림 부분(17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맞물림 부분(173)에 구동 수단(15)의 축에 결합된 스퍼 기어와 같은 전달 유닛(151)이 맞물릴 수 있다. 맞물림 부분(173)과 전달 유닛(151)과 랙 기어 및 피니언과 유사한 기능을 할 수 있다. 구동 유닛(15)의 작동은 제1 또는 제2 제어 유닛(18a, 18b)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제1, 2 제어 유닛(18a, 18b)은 각각 전자 기판의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수용 하우징(11)의 한쪽 측면 및 위쪽 면에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2 제어 유닛(118a, 18b)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외부의 전자기기로부터 전송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거나, 필요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몸체(12)에 배터리와 같은 전력 공급 수단이 배치될 수 있고, 연결 전극(191, 192)에 의하여 제1, 2 제어 유닛(18a, 18b) 또는 구동 수단(15)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수용 하우징(11)의 한쪽 측면에 설치되는 제1 제어 유닛(18a)에 전기적 연결을 설정하는 커넥터(181) 및 다양한 작동 상태를 알리는 경보 유닛(182)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수용 하우징(11)의 위쪽 면에 설치되는 제2 제어 유닛(18b)에 의하여 수용 하우징(11)의 천정 면에 결합되는 렌즈 유닛(19)의 상태를 탐지하여 구동 유닛(15)을 작동시킬 수 있다. 수용 하우징(11)의 천정 면에 양쪽 가장자리에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된 결합 홈이 형성될 수 있고, 결합 홈에 렌즈 유닛(19)이 결합될 수 있다. 렌즈 유닛(19)은 수용 하우징(11)의 천정 면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가 상하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 홈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렌즈 유닛(19)는 전체적으로 사각 판 형상이 되면서 적어도 일부가 투명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소재로 만들어져 수용 하우징(11)의 내부로부터 광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렌즈 유닛(19)은 축광 물질 또는 발광 물질을 포함하여 어두운 곳에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보관 공간 내부의 어두운 부분을 비추면 수용 하우징(11)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추가로 렌즈 유닛(19)은 도어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스위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개 또는 고양이와 같은 애완동물이 보관 공간의 내부에 갇힐 수 있고, 어린이가 특별한 보관 공간의 내부에 갇힐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애완동물이 렌즈 유닛(19)의 위쪽에 위치하거나, 어린이가 렌즈 유닛(19)을 누르게 되면 제2 제어 유닛(18b)에 의하여 경보 유닛(182)이 작동될 수 있다. 또는 렌즈 유닛(19)의 이동이 탐지되어 구동 수단(15)이 작동되어 잠금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잠금 상태의 해제에 따라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도록 설정될 수 있고, 이후 렌즈 유닛(19)이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 간 후 도어가 열리고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도어가 닫히고 잠금 상태가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렌즈 유닛(19)은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main body 12 may be fixed inside the receiving housing 11, and at least one coupling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main body 12, so that various means for operating the locking device may be disposed. The front cover 14 may be coupled to the front of the receiving housing 11 to seal the front portion of the receiving housing 11, and a locking hole 141 may be formed in the front cover 14. The fastening unit fixed to the door or similar opening and closing means through the locking hole 141 may be guided into the interior of the locking device to be locked or unlocked. An accommodation space may be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2, and a lever casing 17 may be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The lever casing 17 may have a box shape as a whole and have one side open. A lever 171 is disposed inside the lever casing 17, and the lever 171 extends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base 171a and the base 171a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and a locking hook is formed at the end. It may be made of a member 171b. The lever 171 may be disposed inside the lever casing 17 together with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units 172a and 172b. It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units 172a and 172b and may be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lever casing 17. And the lever casing 17 or the lever 171 may be moved downward by the driving means 15 including a motor, and then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operation or elasticity of the driving means 15. . A moving hole 174 through which the upper part of the lever member 171b protrudes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ver casing 17, and an engaging part 173 is formed at one edge of the open surface of the lever casing 17 Can be. In addition, a transmission unit 151 such as a spur gear coupled to the shaft of the driving means 15 may be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173. The engaging portion 173 and the transmission unit 151 may function similar to the rack gear and pinion. The operation of the drive unit 15 can be controlled by the first or second control units 18a, 18b.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units 18a and 18b may each have a structure of an electronic substrate, and may be disposed on one side and an upper side of the receiving housing 11,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units 118a and 18b may include a microprocessor, and may also include a communication chip capable of receiving a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or transmitting necessary information. A power supply means such as a battery may be disposed on the main body 12,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units 18a and 18b or the driving means 15 by the connection electrodes 191 and 192. . A connector 181 for establishing an electrical connection to the first control unit 18a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housing 11 and an alarm unit 182 notifying various operating states may be coupled. In addition, by detecting the state of the lens unit 19 coupled to the ceiling surface of the receiving housing 11 by the second control unit 18b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housing 11, the driving unit 15 can be operated. I can. Engaging grooves with sliding guides formed at both edges of the ceiling surface of the receiving housing 11 may be formed, and the lens unit 19 may be coupled to the engaging groove. The lens unit 19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in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lens unit 19 can mov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ceiling surface of the receiving housing 11. The lens unit 19 may have a rectangular plate shape as a whole,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lens unit 19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transparent polycarbonate so that light may be emitted from the inside of the receiving housing 11 to the outside. Alternatively, the lens unit 19 may include a photoluminescent material or a light-emitting material to emit light in a dark place. Accordingly, when the dark part of the storage space is illuminated, the location of the accommodation housing 11 can be displayed. In addition, the lens unit 19 may have a switch function to release the door lock state. For example, pets, such as dogs or cats, can be trapped inside the storage space, and children can be trapped inside the special storage space. In this case, when a pet is positioned above the lens unit 19 or a child presses the lens unit 19, the alarm unit 182 may be operated by the second control unit 18b. Alternatively, the movement of the lens unit 19 may be detected and the driving means 15 may be operated to release the locked state. In addition, the door may be set to open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release of the locked state, and after the lens unit 19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the door is opened, and when a certain period of time elapses, the door is closed and set to be locked. have. The lens unit 19 may have various functions and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

잠금 기기는 배터리와 같은 이동성 전원 또는 외부 전력 공급원과 같은 고정된 전원의 전력 공급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또는 배터리가 비상 전력 공급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메인 몸체(12)에 배터리 수용 부분이 형성될 수 있고, 배터리 수용 부분에 배터리 도어(16)가 설치될 수 있다. 배터리 도어(16)는 수용 하우징(11)의 뒤쪽 면에 힌지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구조에 의하여 배터리 수용 부분을 개폐시킬 수 있다. 수용 하우징(11)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 부위를 가진 메인 몸체(12)를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잠금 기기의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제조 고정이 간단해지도록 한다. 메인 몸체(12)는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The locking device may be operated by power supply of a mobile power source such as a battery or a fixed power source such as an external power source. Alternatively, the battery can be used for emergency power supply. A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main body 12, and a battery door 16 may be installed at the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The battery door 16 may be opened and cl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ceiving housing 11 in a hinge mann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battery receiving portion may be opened and closed by various structures. By coupling the main body 12 having at least one coupling portion to the inside of the receiving housing 11 so as to be detachable, the durability of the locking device is improved while manufacturing and fixing are simplified. The main body 12 can be made in various structure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 기기에 결합되는 메인 몸체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2 shows an embodiment of the main body coupled to th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메인 몸체(12)는 결합 부위를 형성하는 다수 개의 구획 공간을 포함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사각박스 형상이 되면서 내부에 레버 케이싱이 수용되는 레버 작동 구획(21); 레버 작동 구획(21)의 앞쪽 면에 형성되어 레버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체결 유닛의 이동을 유도하는 유도 구획(23); 구동 수단이 배치되는 구동 구획(24); 및 배터리가 수용되는 배터리 구획(25)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몸체(12)는 수용 하우징의 볼트 또는 스크루와 같은 고정 수단에 의하여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홈 및 돌기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서로 다른 결합 부위는 경계 벽 또는 이와 유사한 구획 분리 수단에 의하여 분리될 수 있고, 각각의 구획 공간에 그에 적합한 작동 요소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버 작동 구획(21)에 레버 케이싱이 수용되어 구동 수단과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main body 12 may include a plurality of partition spaces forming a coupling portion, and a lever operation partition 21 having a rectangular box shape as a whole and receiving a lever casing therein; An induction section 23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ever operating section 21 to induce movement of a fastening unit coupled or separated from the lever; A drive section 24 in which drive means are arranged; And a battery compartment 25 in which a battery is accommodated. The main body 12 may be coupled to a groove and a protrusion structure that is detachably coupled by a fixing means such as a bolt or a screw of the housing housing. The different bonding sites may be separated by a boundary wall or similar partition separation means, and an actuating element suitable therefor may be arranged in each partition space. For example, the lever casing may be accommodated in the lever operating section 21 to be connected to the driving mean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 기기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3 shows an embodiment of the operation structure of th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수용 하우징은 하우징 홀더(13)에 결합될 수 있고, 하우징 홀더(13)는 보관 공간의 바닥 면 또는 다른 벽면에 고정될 수 있다. 레버 케이싱(17)의 내부에 레버(171)가 배치될 수 있고, 레버(171)의 레버 부재가 제1 탄성 유닛(172a)에 삽입될 수 있다. 레버 부재는 레버 케이싱(17)의 위쪽 면에 형성된 이동 홀(174)을 관통하여 끝 부분이 유도 블록(23)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레버(171)의 아래쪽에 제2 탄성 유닛(172b)이 배치될 수 있고, 제1, 2 탄성 유닛(172a, 172b)은 각각 코일 스프링 또는 이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레버 케이싱(17)의 한쪽 자장자리에 형성된 맞물림 부분(173)에 구동 수단에 연결된 전달 유닛(151)이 맞물릴 수 있다. 모터와 같은 구동 수단의 작동에 의하여 스퍼 기어와 같은 전달 유닛(151)이 회전되면서 레버(171)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잠금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이후 도어가 열리면 다시 탄성에 의하여 레버(171)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갈 수 있다. 레버(171)의 상하 이동에 따른 잠금 또는 잠금 해제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3, the receiving housing may be coupled to the housing holder 13, and the housing holder 13 may be fixed to a bottom surface or another wall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The lever 171 may be disposed inside the lever casing 17, and the lever member of the lever 171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elastic unit 172a. The lever member may be disposed so that the end portion thereof is positioned inside the guide block 23 through the movable hole 174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ver casing 17. The second elastic unit 172b may be disposed under the lever 171, and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units 172a and 172b may each have a coil spring or a similar structure. The transmission unit 151 connected to the driving means may be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173 formed on one magnetic edge of the lever casing 17. As the transmission unit 151 such as a spur gear is rotated by an operation of a driving means such as a motor, the lever 171 may be moved downward, and thereby the locked state may be released. Thereafter, when the door is opened, the lever 171 may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by elasticity again. Locking or unlocking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lever 171 may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and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 기기의 외부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4 shows an embodiment of an external structure of a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수용 하우징(11)은 전체적으로 가장자리가 곡면으로 처리된 박스 형상이 될 수 있고, 하우징 홀더(13)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 홀더(13)는 보호 공간 또는 보호 공간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보호 공간 또는 보호 공간의 바닥 면 또는 벽면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수용 하우징(11)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제한 탭(132)을 통하여 하우징 홀더(13)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전면 커버(14)에 잠금 홀(141)이 형성될 수 있고, 잠금 홀(141)은 위에서 설명된 유도 구획과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 홀더(13) 또는 수용 하우징(11)은 다양한 형상을 가지면서 도어의 안쪽 부분 또는 도어의 연결된 부분에 설치된 체결 유닛이 잠금 홀(141)은 통하여 레버(171)에 접근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receiving housing 11 may have a box shape with a curved edge as a whole, and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holder 13. The housing holder 13 may be fixed to the protective space or the interior of the protective space, for example, may be fixed to the protective space or the bottom or wall surface of the protective space. In addition, the receiving housing 11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holder 13 through the limiting tab 132 in a sliding manner. A locking hole 141 may be formed in the front cover 14, and the locking hole 141 may be connected to the induction section described above. The housing holder 13 or the accommodating housing 11 may have various shapes and may be installed such that a fastening unit installed at an inner portion of the door or a connected portion of the door is accessible to the lever 171 through the locking hole 141. .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 기기에 결합되는 데드 록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5 shows an embodiment of a dead lock module coupled to th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잠금 기기는 레버(171)에 결합되는 체결 유닛(51)을 포함하고, 체결 유닛(51)은 도어의 안쪽 면에 고정되는 데드 록 모듈(50)에 포함된다. 데드 록 모듈(50)은 도어의 안쪽 면에 고정 볼트(FB1, FB2) 또는 이와 유사한 고정 수단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데드 록 모듈(50)은 도어와 같은 보관 공간의 밀폐 수단에 결합되는 사각 판 형상의 고정 베이스(52); 고정 베이스(52)와 일체로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면서 막대 형상으로 연장되는 체결 유닛(51); 체결 유닛(51)이 내부에 수용되는 체결 홀더(54); 및 체결 홀더(54)를 고정 베이스(52)에 결합시키는 균형 유닛(53)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 유닛(51)의 앞쪽에 레버의 끝 부분과 결합하여 잠금 상태가 되거나, 분리되어 잠금 해제 상태가 되는 적어도 하나의 훅 돌기(511, 51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훅 돌기(511, 512)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단계적으로 잠금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체결 홀더(54)는 체결 유닛(51)을 수용하여 체결 유닛(51)의 파손 또는 변형을 방지하면서 잠금 또는 잠금 해제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홀더(54)는 전체적으로 사각 단면을 가진 터널 형상이 되면서 마주보는 앞면 및 뒷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연장 슬릿(54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장 슬릿(541)을 통하여 훅 돌기(511, 512)가 체결 홀더(54)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 구조에 의하여 외부 충격과 같은 의도되지 않은 원인에 의하여 잠금 해제가 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데드 록 모듈(50)은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5, the locking device includes a fastening unit 51 coupled to a lever 171, and the fastening unit 51 is included in a dead lock module 50 fix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door. The dead lock module 50 may b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by fixing bolts FB1 and FB2 or similar fixing means. The deadlock module 50 includes a square plate-shaped fixed base 52 coupled to a sealing means of a storage space such as a door; A fastening unit 51 extending in a rod shape while being formed integrally or separable with the fixed base 52; A fastening holder 54 in which the fastening unit 51 is accommodated; And it may include a balance unit 53 for coupling the fastening holder 54 to the fixed base 52. At least one hook protrusion 511 and 512 may be formed at the front of the fastening unit 51 to enter a locked state by engaging with the end of the lever or to be separated and unlocked. For example, two hook protrusions 511 and 512 are formed in succession so that the lock can be released in stages. The fastening holder 54 may accommodate the fastening unit 51 to prevent damage or deformation of the fastening unit 51 while locking or unlocking is stably performed. For example, the fastening holder 54 may have a tunnel shape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 as a whole, and an extension slit 541 form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may be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facing each other. In addition, the hook protrusions 511 and 512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fastening holder 54 through the extension slit 541. Due to such a coupling structure, unlocking may be prevented due to an unintended cause such as an external shock. The deadlock module 50 may be made in various structures and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 기기가 작동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6 shows an embodiment of a process of operating th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잠금 기기의 작동을 위하여 스마트폰 또는 이와 유사한 휴대용 전자기기(61)로부터 잠금 기기로 인증 코드(AC)가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61)에 개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고, 개폐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인증 코드(AC)가 잠금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보관 공간의 내부에 고정된 잠금 기기에 인증 유닛(62)이 설치될 수 있고, 인증 유닛(62)은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된 제어 유닛에 설치될 수 있다. 인증 유닛(62)에 의하여 인증 코드가 확인되고, 확인 결과가 승인 메시지(AM)로 전자기기(61)로 전송될 수다. 또는 승인 메시지(AM)는 도어에 설치될 수 있는 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다. 도어가 잠긴 상태에서 체결 유닛(51)은 잠금 홀(141)을 통하여 수용 하우징(11)의 내부로 삽입되어 레버와 결합된 상태가 된다. 인증 유닛(62)에 의하여 인증이 되면, 체결 유닛(51)과 레버의 결합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 도어가 열릴 수 있는 상태가 되고, 도어가 열리면서 체결 유닛(51)이 잠금 홀(141)을 통하여 잠금 하우징(1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후 도어가 잠기면서 다시 체결 유닛(51)이 잠금 홀(141)로 삽입이 되면서 레버와 결합되어 잠금 상태가 될 수 있다. 잠금 기기의 잠금 해제 승인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6, an authentication code (AC) may be transmitted from a smart phone 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61 similar thereto to the locking device in order to operate the locking device. For example, an opening/closing application may be installed in the electronic device 61, and an authentication code (AC) may be transmitted to the locking device by the opening/closing application. The authentication unit 62 may be installed in the locking device fixed inside the storage space, and the authentication unit 62 may be installed in the control unit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authentication code is confirmed by the authentication unit 62, and the confirmation result may be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device 61 as an approval message (AM). Alternatively, the approval message AM may be displayed on a screen that may be installed on the door. When the door is locked, the fastening unit 51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housing 11 through the locking hole 141 to be coupled with the lever. When authentication is performed by the authentication unit 62, the coupling state of the fastening unit 51 and the lever may be released. When the locked state is released as described above, the door is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can be opened, and when the door is opened, the fastening unit 51 may be separated from the lock housing 11 through the locking hole 141. Thereafter, while the door is locked, the fastening unit 51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 141 again, and is coupled to the lever to become a locked state. The unlocking approval of the locked device may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and is not limit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 presented.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증 방식의 잠금 기기는 예를 들어 금고 내부 또는 캐비닛의 내부와 같이 도어의 안쪽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인지되지 않고, 이로 인하여 접근 제한성이 우수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잠금 기기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이와 유사한 개인용 전자기기에 설치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인증 코드가 전송되어 작동되는 것에 의하여 보안성이 우수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잠금 기기는 개인용 금고, 캐비닛 또는 이와 유사한 개인 물품 또는 귀중품이 보관을 위한 보관 수단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임의 접근이 제한되는 다양한 잠금 도어에 적용될 수 있다.The locking device of the wireless authent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side a door such as, for example, inside a safe or inside a cabinet and is not recognized from the outside, thereby having an advantage in that access restriction is excellent. Th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excellent security by being operated by transmitting an authentication code by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smart phone or a program installed in a personal electronic device similar thereto. Th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vantageously applied to a storage means for storing personal safes, cabinets or similar personal items or valuabl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various locking doors in which random access is restricted.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is field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invention, but is limited by the claims appended below.

11: 수용 하우징 12: 메인 몸체
13: 하우징 홀더 14: 전면 커버
15: 구동 수단 16: 배터리 도어
17: 레버 케이싱 18a, 18b: 제어 유닛
19: 렌즈 유닛
50: 데드 록 모듈 51: 체결 유닛
131: 홀더 몸체 132: 제한 탭
141: 잠금 홀
151: 전달 유닛 171: 레버
173: 맞물림 부분 174: 이동 홀
11: receiving housing 12: main body
13: housing holder 14: front cover
15: drive means 16: battery door
17: lever casing 18a, 18b: control unit
19: lens unit
50: dead lock module 51: fastening unit
131: holder body 132: limit tab
141: lock hole
151: transmission unit 171: lever
173: engaging portion 174: moving hole

Claims (3)

도어의 안쪽에 배치되면서 수용 공간이 형성된 수용 하우징(11);
수용 하우징(11)의 내부에 고정되면서 적어도 하나의 결합 부위가 형성된 메인 몸체(12);
적어도 하나의 결합 부위에 구동 수단(15)에 의하여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내부에 레버(171)가 배치된 레버 케이싱(17); 및
외부에서 무선으로 전송되는 인증 코드에 기초하여 구동 수단(15)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18a, 18b)을 포함하는 무선 인증 방식의 잠금 기기.
An accommodation housing 11 disposed inside the door and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A main body 12 fixed inside the receiving housing 11 and having at least one coupling portion formed therein;
A lever casing 17 coupled to at least one coupling portion so as to move up and down by a driving means 15, and having a lever 171 disposed therein; And
Locking device of a wireless authentication method comprising a control unit (18a, 18b)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eans (15) based on the authentication code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청구항 1에 있어서, 레버(171)에 결합되는 체결 유닛(51)을 포함하고, 체결 유닛(51)은 도어의 안쪽 면에 고정되는 데드 록 모듈(50)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증 방식의 잠금 기기.The wireless authentication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omprising a fastening unit 51 coupled to the lever 171, wherein the fastening unit 51 is included in a deadlock module 50 fix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door. Lock of the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스위치 기능을 가지는 렌즈 유닛(19)을 더 포함하는 무선 인증 방식의 잠금 기기.Th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ens unit (19) having a switch function.
KR1020190046818A 2019-04-22 2019-04-22 A Wireless Authenticating Type of a Device for Locking a Door KR1021790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818A KR102179073B1 (en) 2019-04-22 2019-04-22 A Wireless Authenticating Type of a Device for Locking a Door
PCT/KR2019/004935 WO2020218637A1 (en) 2019-04-22 2019-04-24 Locking device using wireless authentication sche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818A KR102179073B1 (en) 2019-04-22 2019-04-22 A Wireless Authenticating Type of a Device for Locking a Do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899A true KR20200123899A (en) 2020-11-02
KR102179073B1 KR102179073B1 (en) 2020-11-17

Family

ID=72941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818A KR102179073B1 (en) 2019-04-22 2019-04-22 A Wireless Authenticating Type of a Device for Locking a Doo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79073B1 (en)
WO (1) WO2020218637A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3957A (en) * 2001-03-28 2002-10-03 Honda Lock Mfg Co Ltd Steering lock device for vehicle
JP2010106446A (en) * 2008-10-28 2010-05-13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Load receiving device
JP2014120232A (en) * 2012-12-13 2014-06-30 Tokai Rika Co Ltd Lock device
KR20150142126A (en) 2014-06-10 2015-12-22 주식회사 코맥스 Security system of door lock using a cordless phone and method thereof
KR20170100173A (en) 2016-02-25 2017-09-04 (주)우주일렉트로닉스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oor lock device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US20180066453A1 (en) * 2016-09-06 2018-03-08 Ellenby Technologies, Inc. Electronic lock for safe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5326B2 (en) * 1993-02-25 2003-03-10 美和ロック株式会社 Detachable device
KR100273091B1 (en) * 1997-10-14 2000-12-01 김성기 Electronic doorlock
JP2001123719A (en) * 1999-10-29 2001-05-08 Alpha Corp Lock device for door
JP2008261155A (en) * 2007-04-12 2008-10-30 Omron Corp Electronic lock and game machine
KR101165272B1 (en) * 2010-04-26 2012-07-20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A locking device of home-bar doo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3957A (en) * 2001-03-28 2002-10-03 Honda Lock Mfg Co Ltd Steering lock device for vehicle
JP2010106446A (en) * 2008-10-28 2010-05-13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Load receiving device
JP2014120232A (en) * 2012-12-13 2014-06-30 Tokai Rika Co Ltd Lock device
KR20150142126A (en) 2014-06-10 2015-12-22 주식회사 코맥스 Security system of door lock using a cordless phone and method thereof
KR20170100173A (en) 2016-02-25 2017-09-04 (주)우주일렉트로닉스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oor lock device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US20180066453A1 (en) * 2016-09-06 2018-03-08 Ellenby Technologies, Inc. Electronic lock for saf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18637A1 (en) 2020-10-29
KR102179073B1 (en) 202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90274B (en) Device in the door lock case
JP2004510902A (en) Electronic locking system
KR20160111025A (en) Security device for integration into a security system
EP2034116B1 (en) Switching device control system
US20190048621A1 (en) Electromagnetic cabinet lock
CN101918661A (en) Latch actuator and latch using same
KR101615455B1 (en) Apparatus for tool storage
KR102179073B1 (en) A Wireless Authenticating Type of a Device for Locking a Door
EP1863987B1 (en) A key box for locked storage of coded access items - such as access cards and keys
KR100991848B1 (en) Digital door lock with key-holder
CN216110174U (en) Buckle structure of electronic lock
KR102275749B1 (en) The electronic locking device
CN114402114B (en) Storage device for keys
RU2105856C1 (en) Lock for doors, primarily for doors of armored vehicles
US7709756B2 (en) Safety switch
KR101043933B1 (en) Door Locking Device
KR100455462B1 (en) Electronic controlling mailbox for multi-residences
KR200166893Y1 (en) Digital door lock
JP6756274B2 (en) Security device attachment / detachment status determination switch
KR101700387B1 (en) An Electric Type of Locking Device Having A Structure of Sliding Open and Shut
CN210598457U (en) Improved cabinet lock
JP4565266B2 (en) Fixtures
US20220172528A1 (en) Electronic door lock
JP4950578B2 (en) Electronic lock storage and electronic lock storage system
KR200393165Y1 (en) Electromagnetically Controlled Door Lock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