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3762A - 청소기의 노즐 - Google Patents

청소기의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3762A
KR20200123762A KR1020200137103A KR20200137103A KR20200123762A KR 20200123762 A KR20200123762 A KR 20200123762A KR 1020200137103 A KR1020200137103 A KR 1020200137103A KR 20200137103 A KR20200137103 A KR 20200137103A KR 20200123762 A KR20200123762 A KR 20200123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water
flow path
cleaner
bottom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7112B1 (ko
Inventor
김진호
신진혁
양인규
류경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123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3762A/ko
Priority to KR1020210137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29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20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combined with vacuum cleaning devices
    • A47L11/201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combined with vacuum cleaning devices with supply of clea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20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combined with vacuum cleaning devices
    • A47L11/2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combined with vacuum cleaning devices having separate drive for the cleaning brushes
    • A47L11/2025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combined with vacuum cleaning devices having separate drive for the cleaning brushes the tools being disc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2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의 노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청소기의 노즐은, 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유동하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유로와, 상기 제 1 유로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유로를 포함하는 흡입 유로를 구비하는 노즐 하우징; 상기 노즐 하우징에 장착되며, 상기 걸레로 공급되기 위한 물을 저장하는 물 탱크; 상기 노즐 하우징의 하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며, 각각이 걸레가 부착될 수 있는 회전판을 구비하는 제 1 회전 청소부 및 제 2 회전 청소부; 상기 노즐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회전 청소부를 구동하기 위한 제 1 구동 모터를 구비하는 제 1 구동 장치; 상기 노즐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회전 청소부를 구동하기 위한 제 2 구동 모터를 구비하는 제 2 구동 장치; 및 상기 노즐 하우징의 바닥벽에 구비되며, 상기 물 탱크의 물을 상기 각 회전 청소부로 공급하기 위한 물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청소기의 노즐{Nozzle for cleaner}
본 명세서는 청소기의 노즐에 관한 것이다.
청소기는 청소 대상 영역의 먼지나 이물을 흡입하거나 닦아 청소를 수행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수동 청소기와,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자동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수동 청소기는, 청소기의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 타입의 청소기, 업라이트 타입의 청소기, 핸디형 청소기, 스틱형 청소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청소기는 노즐을 이용하여 바닥면을 청소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노즐은 공기와 먼지를 흡입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노즐의 종류에 따라서, 노즐에 걸레가 부착되어 걸레로 바닥을 청소할 수 있다.
선행문헌1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05244호에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조립체가 개시된다.
선행문헌1의 흡입구 조립체는, 흡입구가 마련된 흡입구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구 본체는, 전방의 제1흡입로와, 후방의 제2흡입로와, 제1흡입로와 제2흡입로 사이에 형성되는 가이드 통로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 본체의 하단에는 걸레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흡입부 본체의 내측에는 걸레를 구동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부가 마련된다.
상기 회전구동부는, 하나의 회전모터와, 하나의 회전모터의 동력을 걸레가 부착되는 복수의 회전체로 전달하기 위한 기어 들을 포함한다.
그런데, 선행문헌1에 의하면, 하나의 회전모터를 이용하여 좌우 양측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회전체를 회전시키므로, 만약, 회전모터 고장나거나 오작동하는 경우, 한 쌍의 회전체 전부가 회전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하나의 회전모터를 이용하여 한 쌍의 회전체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회전모터가 흡입구 본체의 중앙부에 위치되므로, 회전모터와 간섭되지 않기 위한 흡입로를 설계하여야 해서, 흡입로의 길이가 길어지고 흡입로를 형성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한 단점이 있다.
또한, 선행문헌1에는 걸레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구조가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물을 머금은 걸레를 이용하여 청소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걸레로 물을 직접 공급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선행문헌1의 경우, 회전모터가 흡입구 본체의 중앙부에 위치되므로, 흡입로를 흡입구 본체의 중앙부에 형성하기 어렵고, 만약, 흡입로를 흡입구 본체의 중앙부에 형성하는 경우 흡입구 본체의 높이가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흡입구 본체의 높이가 증가되는 경우, 가구 밑이나 좁은 틈새를 흡입구 본체가 진입하기 어려워 청소 가능한 영역이 줄어들고, 흡입구 본체의 사이즈가 전체적으로 커지게 되어 사용자의 조작 시 불편함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가령, 사용자가 흡입구 본체를 직진시키고자 하였으나, 편심되어 이동될 경우, 흡입구 본체의 무게에 의해서 편심량이 더욱 증가하여 사용자가 편심을 극복하고 흡입구 본체를 다시 원래의 직진 경로로 이동시키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편, 선행문헌2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96646호에는 스팀 청소기가 개시된다.
선행문헌2에 개시된 스팀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와, 청소기 본체에 연결되는 핸들과, 물통과, 스팀발생부와, 스팀분사부, 스팀 공급경로, 걸레 회전유닛 및 핸들을 청소기 본체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는 핸들각도 조절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걸레 회전유닛은 청소기 본체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스팀분사부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하부 몸체에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스팀분사부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분사구가 형성된다.
그런데, 선행문헌2에 개시된 스팀 청소기에 의하면, 걸레 회전유닛의 하측에 부착된 걸레로 스팀이 공급되므로, 걸레를 이용하여 바닥면을 닦을 수 있으나, 바닥면의 먼지를 흡입하여 먼지를 제거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스팀분사부의 청소기 본체의 하부 몸체에서 돌출되므로, 하부 몸체와 걸레 회전유닛 상면 사이로 장애물이 인입된 경우 장애물에 의해서 스팀분사부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선행문헌1의 구조에 선행문헌2의 구조를 조합하는 경우, 선행문헌1의 걸레로 스팀을 공급하는 구성이 도출될 수 있으나, 스팀분사부의 원주 방향으로 복수의 분사구가 구비되므로, 복수의 분사구 중 일부 분사부에서 배출된 스팀이 걸레로 공급되지 않고, 흡입유로로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물 배출구에서 배출된 물이 흡입 유로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청소기의 노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이 회전판의 물 통과홀을 통과하기 전에 회전판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되는 청소기의 노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판을 통과한 물이 회전판과 걸레 사이 틈새로 새어나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청소기의 노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 배출구에서 배출된 물이 구동 장치의 전달축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되는 청소기의 노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 배출구에서 배출된 물이 회전판에 부딪혀 노즐 본체의 바닥으로 튀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는 청소기의 노즐을 제공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청소기의 노즐은, 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유동하며, 흡입 유로를 구비하는 노즐 하우징과, 상기 노즐 하우징에 장착되며, 상기 걸레로 공급되기 위한 물을 저장하는 물 탱크와, 상기 노즐 하우징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걸레가 부착되는 회전판을 구비하는 회전 청소부와, 상기 회전 청소부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노즐 하우징의 바닥벽에는 상기 물 탱크의 물을 상기 회전 청소부로 공급하기 위한 물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회전판은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물 통과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유로의 중심선과 상기 회전판의 회전 중심 간의 수평 거리 보다 상기 제 2 유로의 중심선과 상기 물 배출구 간의 수평 거리가 길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흡입 유로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유로와, 상기 제 1 유로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청소부는, 상기 노즐 하우징의 하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며, 각각이 걸레가 부착될 수 있는 회전판을 구비하는 제 1 회전 청소부 및 제 2 회전 청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노즐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회전 청소부를 구동하기 위한 제 1 구동 모터를 구비하는 제 1 구동 장치; 상기 노즐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회전 청소부를 구동하기 위한 제 2 구동 모터를 구비하는 제 2 구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유로의 중심선과 상기 각 회전판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선을 연결선이라고 할 때, 상기 물 배출구는 상기 연결선을 기준으로 상기 구동 모터의 축선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유로의 중심선과 상기 물 배출구 간의 거리는 상기 제 1 유로의 중심선과 상기 회전판의 회전 중심 간의 거리 보다 짧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회전판은, 링 형태의 외측 바디와, 상기 외측 바디의 내측 영역에서 상기 외측 바디의 내주면과 이격되는 내측 바디와, 상기 내측 바디와 상기 외측 바디를 연결하는 연결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 바디의 상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링 형태의 물 차단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물 차단 리브의 내측 영역에 상기 복수의 물 통과홀이 위치되어, 상기 회전판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유동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리브의 양측에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됨에 따라서, 상기 연결 리브로 낙하된 물이 인접하는 물 통과홀로 쉽게 유동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노즐 하우징의 바닥에는 링 형태의 바닥 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바닥 리브의 중심은 상기 물 차단 리브의 중심과 일치한다. 상기 바닥 리브의 직경은 상기 물 차단 리브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어, 바닥 리브가 상기 회전판으로 낙하된 물이 반경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추가로 제한할 수 있다.
상기 회전판은, 상기 외측 리브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물 통과홀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접촉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 리브는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 하우징의 바닥에는 돌출 슬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 바디의 바닥에는 상기 돌출 슬리브가 수용되는 함몰된 형태의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바디의 중앙부에는 상기 구동 장치와의 결합을 위한 축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 슬리브는 상기 축 결합부를 둘러쌀 수 있다.
상기 노즐 하우징의 바닥에는, 상기 물 배출구가 위치하기 위하여 상방으로 함몰된 형태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상기 물 배출구가 통과하기 위한 홀이 형성되며, 상기 물 배출구는 상기 노즐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홀을 관통하여 상기 홈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물 배출구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노즐 하우징 바닥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물 배출구의 하면은 상기 노즐 하우징의 바닥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노즐 하우징의 바닥에는 상기 물 배출구가 통과하기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물 배출구는 상기 홀을 관통하여 상기 노즐 하우징의 바닥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물 배출구의 하면은 상기 회전판의 상면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노즐은, 핸디형 청소기, 핸디형 청소기에 연결된 연장관 또는 캐니스터 타입의 청소의 연장관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노즐은, 상기 노즐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 유로의 공기를 청소기로 안내하며, 청소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하여 전원 수급 단자를 구비하는 연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관은 상기 노즐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유로의 중심선과 회전판의 회전 중심 간의 수평 거리 보다 상기 제 2 유로의 중심선과 상기 물 배출구 간의 수평 거리가 길게 형성됨에 따라서, 물 배출구에서 배출된 물이 흡입 유로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판 상측의 물 차단 리브에 의해서 물이 회전판의 물 통과홀을 통과하기 전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판의 하측에 걸레와의 접촉을 위한 접촉 리브가 구비됨에 따라서, 회전판을 통과한 물이 회전판과 걸레 사이 틈새로 새어나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노즐 하우징에서 돌출된 돌출 슬리브가 전달축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돌출 슬리브가 회전판에 형성되는 홈부에 수용되므로, 물 배출구에서 배출된 물이 구동 장치의 전달축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물 배출구의 단부가 노즐 하우징의 바닥 보다 낮게 위치되므로, 물 배출구의 단부와 회전판 간의 간격이 줄어들어, 물 배출구에서 배출된 물이 회전판과 부딪히더라도 노즐 하우징의 바닥으로 튀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노즐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노즐의 저면도.
도 4는 도 1의 청소기의 노즐을 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도 1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즐의 분해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 탱크의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1은 도 8의 C-C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2는 도 8의 D-D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3은 도 8의 E-E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즐 커버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즐 커버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6은 노즐 커버에서 조작부, 제 1 결합부 및 지지 바디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7은 도 14의 F-F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8은 도 17에서 제 1 결합부가 노즐 커버에 결합된 상태에서 G-G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9는 조작부를 눌러 제 1 결합부와 제 2 결합부가 해제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즐 커버에서 밸브 조작부 및 실러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즐 베이스에 유로 형성부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즐 베이스를 하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기판에 설치된 복수의 스위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를 하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26은 모터 하우징과 구동 모터의 회전 방지를 위한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동 모터에 동력 전달부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동 모터에 동력 전달부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판의 회전 방향과 구동 모터의 축선의 연장 방향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즐 베이스에 구동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즐 베이스에 구동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즐 커버의 구동부 커버의 구조 및 회전판의 회전 중심과 구동 모터의 배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판을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판을 하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 탱크의 물을 회전 청소부로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 유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 탱크 내의 밸브를 보여주는 도면.
도 37은 물 탱크가 노즐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에서 밸브가 배출구를 개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판과 분사 노즐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3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즐 본체에서 분사 노즐의 물 배출구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 탱크에서 회전 청소부로 물이 공급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개념도.
도 4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관이 분리된 청소기의 노즐을 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2는 도 41의 'A' 영역 단면도.
도 43은 도 42의 가스켓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노즐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노즐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청소기의 노즐을 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노즐(1)(이하 "노즐"이라 함)은, 노즐 본체(10)와, 상기 노즐 본체(10)에 움직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관(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노즐(1)은, 일 예로 핸디형 청소기에 연결되거나 캐니스터 타입의 청소기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핸디형 청소기는 사용자가 청소기에 구비되는 핸들을 직접 파지한 상태에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청소기이다. 일반적으로, 핸디형 청소기의 경우, 청소기 본체가 바닥면에 대해서 소정 높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서 이동될 수 있다.
캐니스터 타입의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가 바닥면에 놓이고, 청소기 본체에 흡입호스, 핸들 및 연장관이 연결되고, 연장관에 노즐이 연결되어 핸들을 파지한 상태에서 노즐을 이용하여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청소기이다.
본 실시 예의 상기 노즐(1)은 핸디형 청소기, 핸디형 청소기에 연결되는 연장관 또는 청소기의 연장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핸디형 청소기, 또는 청소기에 연결된 연장관에서 연결됨에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노즐(1)을 이용하여 바닥면을 청소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노즐(1)이 연결되는 청소기는 멀티 싸이클론 방식으로 공기 중의 먼지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노즐(1)은 자체적으로 배터리를 구비하여 전원을 내부의 전력 소비부로 공급하거나, 청소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노즐(1)이 청소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기 위해서, 상기 노즐(1)은 전원 수급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청소기의 연장관 또는 핸디형 청소기 자체는 전원 공급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전원 수급 단자는 상기 연결관(5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관(50)이 상기 청소기의 연장관이나 청소기에 연결되면 상기 전원 공급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수급 단자와 상기 전원 공급 닫자가 연결되면 상기 노즐(1)이 상기 청소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노즐(1)이 연결되는 청소기는 흡입 모터를 포함하므로, 상기 흡입 모터에 의해서 발생되는 흡입력이 상기 노즐(1)로 작용하여 상기 노즐(1)에서 바닥면의 이물질과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노즐(1)은 바닥면의 이물질과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청소기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연결관(50)은 상기 노즐 본체(10)의 후측 중앙부에 연결되며, 흡입된 공기를 상기 청소기로 안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노즐(1)에서 상기 연결관(50)이 연결되는 부분이 상기 노즐(1)의 뒷쪽이고, 상기 연결관(50)의 반대편 부분이 상기 노즐(1)의 앞쪽이다.
또는, 도 3을 기준으로 상측 부분이 상기 노즐(1)의 앞쪽이고 하측 부분이 상기 노즐(1)의 뒷쪽이다.
상기 노즐(1)은, 상기 노즐 본체(1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 청소부(40, 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한 쌍의 회전 청소부(40, 41)가 좌우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회전 청소부(40, 41)는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노즐(1)은 제 1 회전 청소부(40)와, 제 2 회전 청소부(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회전 청소부(40, 41)는, 걸레(402, 4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레(402, 404)는 일 예로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레(402, 402)는, 제 1 걸레(402)와 제 2 걸레(4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 본체(10)는, 외형을 형성하는 노즐 하우징(nozzle housing: 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 하우징(100)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 유로(112, 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 유로(112, 114)는 상기 노즐 하우징(100)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유로(112)와, 상기 제 1 유로(112)와 연통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유로(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유로(112)는 일 예로 상기 노즐 하우징(100)의 하면 전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유로(114)는 상기 제 1 유로(112)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2 유로(114)는 상기 제 1 유로(112)의 중앙부에서 상기 연결관(50)을 향하여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유로(112)의 중심선(A1)은 좌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유로(114)의 중심선(A2)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유로(112)의 중심선(A1)과 교차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 2 유로(114)의 중심선(A2)은 수평하지 않고 전후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2 유로(114)의 중심선(A2)을 상기 흡입 유로의 전후 방향 중심선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제 2 유로(114)의 중심선(A2)은 일 예로 상기 노즐 본체(10)를 좌우 이등분하는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청소부(40, 41)가 상기 노즐 본체(10)의 하측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걸레(402, 404)의 일부는 상기 노즐(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노즐(1)의 직하방에 위치되는 바닥면 뿐만 아니라 상기 노즐(1)의 외측에 위치되는 바닥면도 청소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걸레(402, 404)는 상기 노즐(1)의 양측방으로 돌출될 뿐만 아니라 후방으로도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청소부(40, 41)는 일 예로 상기 노즐 본체(10)의 하측에서 상기 제 1 유로(112)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노즐(1)을 전진시키며 청소할 때, 상기 제 1 유로(112)에 의해서 바닥면의 이물질과 공기가 흡입된 후에 상기 걸레(402, 404)에 의해서 바닥면이 닦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회전 청소부(40)의 제 1 회전 중심(C1)(일 예로 회전판(420)의 회전 중심)과 상기 제 2 회전 청소부(41)의 제 2 회전 중심(C2)(일 예로 회전판(440)의 회전 중심)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 1 회전 중심(C1)과 상기 제 2 회전 중심(C2) 사이 영역에 상기 제 2 유로(114)의 중심선(A2)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노즐 본체(10)(연장부(129)를 제외함)의 전후 길이(L1)를 이등분하는 중심축(Y)은 상기 각 회전 청소부(40, 41)의 회전 중심(C1, C2) 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각 회전 청소부(40, 41)의 회전 중심(C1, C2)은 상기 노즐 본체(10)의 전후 길이(L1)를 이등분하는 중심축(Y) 보다 상기 노즐 본체(10)의 전단부에서 멀게 위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회전 청소부(40, 41)가 상기 제 1 유로(114)를 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중심축(Y)과 상기 각 회전 청소부(40, 41)의 회전 중심(C1, C2) 간의 전후 수평 거리(L3)는 0 보다 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청소부(40, 41)의 회전 중심(C1, C2) 간의 거리(L2)는 상기 각 걸레(402, 404)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걸레(402, 404) 들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간섭됨에 따른 상호 마찰을 줄이고, 간섭되는 부분 만큼 청소 가능한 면적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걸레(402, 404)의 지름은 상기 노즐 본체(10)의 좌우 폭의 절반 보다 0.6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걸레(402, 404)가 상기 노즐 본체(10)와 마주보는 바닥의 청소 면적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상기 노즐 본체(10)와 마주보지 않는 바닥의 청소 면적도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1)을 이용한 청소 시, 적은 이동량으로도 걸레(402, 404)에 의한 청소 면적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레(402, 404)는 테두리부에서 중심을 향하여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봉제선(405)이 구비될 수 있다. 즉, 걸레(402, 404)는 복수의 섬유 재질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복수의 섬유 재질 들이 봉제선(405)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레(402, 404)에서 상기 봉제선(405) 부분의 직경 보다 후술할 회전판(420, 440)의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420, 440)의 직경은 상기 걸레(402, 404)의 외경 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회전판(420, 440)이 걸레(402, 404) 중 봉제선(405)의 외측에 위치되는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레(402, 404) 간의 거리를 줄일 수 있으면서 상기 걸레(402, 404)의 테두리 부분 눌림에 의한 변형에 의해서 걸레(402, 404) 간에 상호 마찰하거나 걸레(402, 404) 간에 상하 중첩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노즐 하우징(100)은, 노즐 베이스(nozzle base: 110)와, 상기 노즐 베이스(110)의 상측에 결합되는 노즐 커버(nozzle cover: 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 베이스(110)는 상기 제 1 유로(112)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노즐 하우징(100)은 상기 노즐 베이스(110)와 함께 상기 제 2 유로(114)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 형성부(150)는 상기 노즐 베이스(110)의 상측 중앙부에 결합될 수 있고, 단부는 상기 연결관(5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로 형성부(150)의 배치에 의해서 상기 제 2 유로(114)가 전후 방향으로 대략 직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 2 유로(114)의 길이가 최소화될 수 있어, 상기 노즐(1)에서의 유로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유로 형성부(150)의 앞쪽 부분은 상기 제 1 유로(112)의 상측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유로 형성부(150)는 전단부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로 형성부(150)는 앞쪽 부분의 높이가 뒷쪽 부분에 비하여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유로 형성부(150)의 앞쪽 부분의 높이가 낮으므로, 상기 노즐(1) 전체 높이 중에서 앞쪽 부분의 높이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노즐(1)의 높이가 낮을수록 가구나 의자 등의 하측의 좁은 공간에 인입되어 청소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진다.
상기 노즐 베이스(110)는 상기 연결관(50)을 지지하기 위한 연장부(12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29)는 상기 노즐 베이스(110)의 중앙부 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50)은, 상기 유로 형성부(150)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 1 연결관(510)과, 상기 제 1 연결관(5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연결관(520)과, 상기 제 1 연결관(510)과 상기 제 2 연결관(520)을 연통시키는 안내관(5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관(510)이 상기 연장부(129)에 안착될 수 있고, 상기 제 2 연결관(520)이 청소기의 연장관 또는 호스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노즐 베이스(110)의 하측에는 상기 노즐(1)의 원활한 이동을 위한 복수의 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노즐 베이스(110)에서 상기 제 1 유로(112)의 후방에 제 1 롤러(124) 및 제 2 롤러(126)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롤러(124) 및 상기 제 2 롤러(126)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유로(112)의 후방에 상기 제 1 롤러(124) 및 제 2 롤러(126)를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제 1 유로(112)를 상기 노즐 베이스(110)의 전단부에 최대한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어, 상기 노즐(1)을 이용하여 청소할 수 있는 영역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노즐 베이스(110)의 전단부에서 상기 제 1 유로(112) 까지의 거리가 길수록 청소 과정에서 상기 제 1 유로(112)의 전방으로 흡입력이 작용하지 않는 면적이 증가되므로, 청소가 이루어지지 않는 영역이 증가된다.
반면,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노즐 베이스(110)의 전단부에서 상기 제 1 유로(112) 까지의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어, 청소 가능 영역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유로(112)의 후방에 상기 제 1 롤러(124) 및 제 2 롤러(126)를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제 1 유로(112)의 좌우 길이를 최대화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유로(112)의 양단부와 상기 노즐 베이스(110)의 양 측단부 간의 거리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롤러(124)는 상기 제 1 유로(112)와 상기 제 1 걸레(402) 사이에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롤러(126)는 상기 제 1 유로(112)와 상기 제 2 걸레(404) 사이에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롤러(124) 및 상기 제 2 롤러(126)는 각각 샤프트(12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125)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노즐 베이스(110)의 하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125)와 상기 노즐 베이스(110)의 전단부 간의 거리는 상기 각 걸레(402, 404)(또는 후술할 회전판)와 상기 노즐 베이스(110)의 전단부 간의 최소 거리 보다 길다.
일 예로 상기 제 1 롤러(124)의 샤프트(125)와 상기 제 2 롤러(126)의 샤프트(125) 사이에 상기 각 회전 청소부(40, 41)(걸레 및/또는 회전판)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면, 상기 회전 청소부(40, 41)를 상기 제 1 유로(112)에 최대한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어, 상기 노즐(1)이 위치하는 바닥면 중에서 상기 회전 청소부(40, 41)에 의해서 청소되는 면적이 증가될 수 있어, 바닥 청소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롤러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노즐(1)을 3점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롤러는, 상기 노즐 베이스(110)의 연장부(129)에 구비되는 제 3 롤러(129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롤러(129a)는 상기 걸레(402, 404)와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상기 걸레(402, 404)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걸레(402, 404)가 바닥면에 놓인 상태에서는 상기 걸레(402, 404)가 눌려 바닥면과 밀착되므로, 걸레(402, 404)와 바닥면 간의 마찰력이 증가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복수의 롤러가 상기 노즐 베이스(110)의 하측에 결합되므로, 상기 복수의 롤러에 의해서 상기 노즐(1)이 이동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걸레(402, 404)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노즐 본체(10)는, 물 탱크(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200)는 상기 노즐 하우징(10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200)가 상기 노즐 하우징(10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물 탱크(200)의 물이 상기 각 걸레(402, 404)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200)는, 상기 노즐 하우징(10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노즐(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물 탱크(200)의 상측벽 전체가 상기 노즐(1)의 상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물 탱크(200)가 장착된 것 또는 노즐 하우징(100)에서 상기 물 탱크(200)가 분리된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노즐 본체(10)는, 상기 물 탱크(200)가 상기 노즐 하우징(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물 탱크(200)를 분리하기 위하여 조작하는 조작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00)는 일 예로 상기 노즐 하우징(10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즐 하우징(100)에는 상기 물 탱크(200)와의 결합을 위한 제 1 결합부(310)가 구비되고, 상기 물 탱크(200)에는 상기 제 1 결합부(310)와의 결합을 위한 제 2 결합부(25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00)는 상기 노즐 하우징(100)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부(310)는 상기 조작부(300)의 하측에서 상기 조작부(300)의 조작력을 받아 움직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결합부(310)는 전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조작부(300) 및 상기 제 1 결합부(310) 각각은 서로 접촉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 들에 의해서 상기 조작부(300)가 하강할 때, 상기 제 1 결합부(310)는 수평 이동(일 예로 전후 방향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부(310)는 상기 제 2 결합부(254)와 결합되기 위한 후크(312)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결합부(254)는 상기 후크(312)가 삽입되기 위한 홈(25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부(310)가 상기 제 2 결합부(254)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 1 결합부(310)는 제 2 탄성부재(314)에 의해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탄성부재(314)에 의해서 상기 후크(312)가 상기 홈(256)에 삽입된 상태가 되고, 상기 조작부(300)를 하방으로 가압하면, 상기 후크(312)가 상기 홈(256)에서 빠지게 된다. 상기 후크(312)가 상기 홈(256)에서 빠진 상태에서는 상기 물 탱크(200)를 상기 노즐 하우징(100)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노즐(1)은 상기 후크(312)가 상기 홈(256)에서 빠진 상태에서 상기 물 탱크(200)의 제 2 결합부(254)를 상승시키기 위한 지지 바디(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바디(320)가 상기 제 2 결합부(254)를 상승시키는 동작은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조작부(300)는 일 예로 상기 제 2 유로(114)의 직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조작부(300)는 상기 제 2 유로(114)의 중심선(A2)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300)는 상기 노즐(1)에서 중앙부에 위치되므로, 사용자가 쉽게 상기 조작부(300)를 인식하고, 상기 조작부(300)를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노즐 본체(10)는, 상기 물 탱크(200)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조절부(180)는 상기 노즐 하우징(100)의 후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180)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으며, 상기 조절부(180)에 의해서 상기 물 탱크(200)에서 물이 배출되도록 하거나 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조절부(180)에 의해서 상기 물 탱크(200)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절부(180)를 조작함에 따라서, 상기 물 탱크(200)에서 단위 시간 당 제 1 양 만큼 물이 배출되도록 하거나, 단위 시간 당 제 1 양 보다 많은 제 2 양 만큼 물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180)는 상기 노즐 하우징(10)에 좌우 방향으로 피봇되도록 구비되거나, 상하 방향으로 피봇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절부(180)가 도 4와 같이 중립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물 배출량은 0이고, 상기 조절부(180)의 왼쪽을 푸시하여 상기 조절부(180)가 좌측으로 피봇되도록 하면 상기 물 탱크(200)에서 단위 시간 당 제 1 양 만큼 물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180)의 오른쪽을 푸시하여 상기 조절부(180)가 우측으로 피봇되도록 하면 상기 물 탱크(200)에서 단위 시간 당 제 2 양 만큼 물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180)의 조작 감지를 위한 구성은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 탱크의 사시도이다.
도 3,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노즐 본체(10)는, 상기 각 회전 청소부(40, 41)를 개별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복수의 구동 장치(170, 1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구동 장치(170, 171)는 상기 제 1 회전 청소부(40)를 구동하기 위한 제 1 구동 장치(170)와, 상기 제 2 회전 청소부(41)를 구동하기 위한 제 2 구동 장치(1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구동 장치(170, 171)가 개별적으로 동작하므로, 상기 복수의 구동 장치(170, 171) 중 일부가 고장나더라도 다른 일부의 구동 장치에 의해서 일부 회전 청소부의 회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 제 1 구동 장치(170)와 상기 제 2 구동 장치(171)는 상기 노즐 본체(10)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각 구동 장치(70, 171)는, 상기 제 1 유로(112)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구동 장치(170)와 상기 제 2 구동 장치(171)의 사이에 상기 제 2 유로(114)가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유로(114)의 중심선(A2)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구동 장치(170)과 상기 제 2 구동 장치(171)가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구동 장치(170, 171)가 구비되더라도 상기 제 2 유로(114)가 영향을 받지 않게 되어 상기 제 2 유로(114)의 길이가 최소화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 2 유로(114)의 양측에 각각 상기 제 1 구동 장치(170)와 상기 제 2 구동 장치(171)가 배치되므로, 상기 노즐(1)에서 좌우로 무게가 균일하게 분배되므로, 무게 중심이 상기 노즐(1)의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구동 장치(170, 171)는 상기 노즐 본체(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복수의 구동 장치(170, 171)는 상기 노즐 베이스(110)의 상측에 안착되고, 상기 노즐 커버(130)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구동 장치(170, 171)는 상기 노즐 베이스(110)와 상기 노즐 커버(13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각 회전 청소부(40, 41)는 상기 각 구동 장치(170, 17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회전판(420, 4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판(420, 440)은, 상기 제 1 구동 장치(170)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걸레(402)가 부착되는 제 1 회전판(420)과, 상기 제 2 구동 장치(171)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걸레(404)가 부착되는 제 2 회전판(4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판(420, 440)은,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면에 상기 걸레(402, 404)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420, 440)은 상기 노즐 베이스(110)의 하측에서 상기 각 구동 장치(170, 171)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판(420, 440)은 상기 노즐 하우징(100)의 외측에서 상기 구동 장치(170, 171)에 연결될 수 있다.
<물 탱크>
도 10은 도 8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8의 C-C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8의 D-D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8의 E-E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물 탱크(200)는, 상기 노즐 하우징(100)의 상측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물 탱크(200)는, 상기 노즐 커버(130)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200)가 상기 노즐 커버(130)의 상측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물 탱크(200)의 상측벽이 상기 노즐(1)의 상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물 탱크(200)는 상기 노즐 커버(130)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200)는, 제 1 바디(210)와, 상기 제 1 바디(210)와 결합되어 상기 제 1 바디(210)와 함께 물이 저장되는 챔버를 정의하는 제 2 바디(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바디(250)는 상기 제 1 바디(21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바디(250)가 실질적으로 상기 노즐 커버(130)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노즐(1)의 상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제 2 바디(250)의 상면벽 전체가 상기 노즐(1)의 상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챔버는, 상기 제 1 구동 장치(170)의 상방에 위치되는 제 1 챔버(222)와, 상기 제 2 구동 장치(171)의 상방에 위치되는 제 2 챔버(224)와, 상기 제 1 챔버(222)와 상기 제 2 챔버(224)를 연통시키는 연결 챔버(2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210)는 상기 챔버의 바닥벽과 측벽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바디(250)는 상기 챔버의 상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2 바디(250)의 일부도 상기 챔버의 상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물 탱크(200)에 의해서 상기 노즐(1)의 높이가 증가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도 저장되는 물의 양이 증가되도록, 상기 연결 챔버(226)의 체적은 상기 제 1 챔버(222) 및 제 2 챔버(224)의 체적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200)는, 앞쪽의 높이가 낮고 뒷쪽의 높이가 높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200)의 상면은 앞쪽에서 뒷쪽으로 갈수록 상향 라운드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연결 챔버(226)는 상기 물 탱크(200)에서 앞쪽 부분에서 양측으로 배치되는 제 1 챔버(222) 및 제 2 챔버(224)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 챔버(226)는 상기 물 탱크(200)의 앞쪽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200)는 제 1 바닥벽(213a)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바디(210)가 상기 제 1 바닥벽(213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닥벽(213a)은 상기 물 탱크(200)에서 가장 낮게 위치되는 벽이다.
상기 제 1 바닥벽(213a)은 수평한 벽이며, 후술할 상기 노즐 커버(130)의 바닥벽(131a)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닥벽(213a)은 상기 물 탱크(200)에서 가장 전단부에 위치되는 바닥벽이다.
상기 제 1 바닥벽(213a)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좌우 벽(214a)과, 상기 좌우 벽(214a)의 양단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전후 벽(214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우 벽(214a)의 좌우 길이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 1 바디(210)의 좌우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각 전후 벽(214b)의 좌우 방향 폭은, 상기 좌우 벽(214a)의 전후 방향 폭 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전후 벽(214b)의 좌우 방향 폭은 상기 좌우 벽(214a)과 인접한 부분에서 가장 크고, 상기 좌우 벽(214a)에서 멀어질 수록 줄어들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좌우 벽(214a)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물 탱크(200)의 물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216)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한 쌍의 좌우 벽(214a) 중 어느 하나의 벽과 상기 전후 벽(214b)의 경계 부분에 상기 배출구(21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216)는 밸브(230)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밸브(230)는 상기 물 탱크(2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밸브(230)는 외력에 의해서 동작될 수 있으며,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상기 밸브(230)는 상기 배출구(216)를 닫은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물 탱크(200)를 상기 노즐 본체(10)에서 분리시킨 상태에서 물이 상기 배출구(216)를 통해 상기 물 탱크(200)에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물 탱크(200)는 단일의 배출구(2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200)가 단일의 배출구(216)를 구비하는 이유는, 물 누설이 될 수 있는 부분의 개수를 줄이기 위함이다.
즉, 상기 노즐(1) 내에는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부품(제어 기판, 구동 모터 등)이 존재하며, 이러한 부품은 물과의 접촉이 완전히 차단되어야 한다. 상기 부품과 물의 접촉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상기 물 탱크(200)에서 물이 배출되는 부분에서의 누수를 최소화시켜야 한다.
상기 물 탱크(200)에서 배출구(216)의 개수가 증가될수록 누수 방지를 위한 구조가 추가로 필요하므로 구조가 복잡해지며, 설령 누수 방지를 위한 구조가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누수를 완전하게 방지시키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기 물 탱크(200)에서 배출구(216)의 개수가 증가될수록, 상기 배출구(216)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230)의 개수도 증가된다. 이는, 부품의 개수가 증가되는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상기 밸브(230)에 의해서 상기 물 탱크(200) 내의 물 저장을 위한 챔버의 체적이 줄어드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물 탱크(200)는 앞쪽 보다 뒷쪽의 높이가 높으므로, 상기 물 탱크(200) 내의 물이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216)는 상기 제 1 바디(210)에 가장 낮게 위치되는 상기 제 1 바닥벽(213a)에 형성된다.
상기 제 1 바디(210)는, 상기 제 1 바닥벽(213a)과 다른 높에 위치되는 제 2 바닥(213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바닥벽(213b)은 상기 제 1 바닥벽(213a)의 후방에 위치되는 벽이며 상기 제 1 바닥벽(213a) 보다 높게 위치된다. 즉, 상기 제 1 바닥벽(213b)과 상기 제 2 바닥벽(213b)은 H2 만큼 높이차를 가진다.
상기 제 2 바닥벽(213b)은 수평한 벽이거나 상방으로 라운드지는 곡선벽일 수 있다.
상기 제 2 바닥벽(213b)은 상기 구동 장치(170, 171)의 직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바닥벽(213b)이 상기 제 1 바닥벽(213a) 보다 높게 위치되므로, 상기 제 2 바닥벽(213b)이 구동 장치(170, 171)와 간섭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 바닥벽(213b)이 상기 제 1 바닥벽(213a) 보다 높게 위치되므로, 상기 제 2 바닥벽(213b)과 상기 제 1 바닥벽(213a) 간에 수위차가 존재하므로, 상기 제 2 바닥벽(213b) 측의 물이 상기 제 1 바닥벽(213a) 측으로 원활히 유동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2 바닥벽(213b)의 일부 또는 전부가 바닥벽 중에서 높이가 가장 높다.
상기 제 2 바닥벽(213b)은 일 예로 전후 폭 보다 좌우 폭이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210)는, 상기 제 1 바닥벽(213a) 및 제 2 바닥벽(213b)과 다른 높에 위치되는 제 3 바닥벽(213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바닥벽(213c)은 상기 제 1 바닥벽(213a) 보다 높게 위치되고, 상기 제 2 바닥벽(213b) 보다는 낮게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 3 바닥벽(213c)과 상기 제 1 바닥벽(213a)의 높이는 H2 보다 작은 H1 만큼 차이가 있다.
상기 제 3 바닥벽(213c)은 상기 제 2 바닥벽(213a)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바닥벽(213c)의 일부는 상기 제 1 바디(210)의 최후단에 위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3 바닥벽(213c)이 상기 제 2 바닥벽(213b) 보다 낮게 위치됨에 따라서, 주변 구조물과의 간섭이 없으면서도 물 탱크(200)에서의 물 저장 용량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210)는, 상기 제 2 바닥벽(213b)의 테두리에서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제 4 바닥벽(213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4 바닥벽(213d)은 상기 제 2 바닥벽(213b)을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제 4 바닥벽(213d)은 일 예로 하측으로 라운드지면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210)는, 상기 제 4 바닥벽(213d)의 둘레에서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제 5 바닥벽(213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바닥벽(213b)에서 상기 제 4 바닥벽(213d) 및 제 5 바닥벽(213e)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진다.
상기 제 5 바닥벽(213e)은 상기 제 4 바닥벽(213d)과 상기 제 2 바닥벽(213e)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5 바닥벽(213)은 상기 제 4 바닥벽(213d)과 상기 제 1 바닥벽(213a)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바닥벽(213b), 제 4 바닥벽(213d) 및 제 5 바닥벽(213e)에 의해서 상기 제 1 바디(210)의 바닥벽의 일부는 상방으로 함몰된 형태의 수용 공간(232, 233)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232, 233)에는 상기 구동 장치(170, 171)가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바디(210)의 바닥벽 일부는 상기 각 구동 장치의 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210)는, 상기 각 전후 벽(214b)의 후측에 위치되며, 상기 각 전후 벽(214b) 보다 높게 위치되는 제 6 바닥벽(213f)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6 바닥벽(213f)은 상기 제 3 바닥벽(213c)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바닥벽(213c)은 연결벽(215g)에 의해서 상기 제 6 바닥벽(213f)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3 바닥벽(213c)이 상기 제 2 바닥벽(213c) 보다 낮으면서 상기 제 2 바닥벽(213c)의 후측에 위치되더라도, 상기 제 2 바닥벽(213f) 상의 물은 상기 연결벽(215g)에 의해서 상기 제 6 바닥벽(213f)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 6 바닥벽(213f)의 물이 상기 제 1 바닥벽(213a)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닥벽(213a) 중에서 상기 좌우 벽(214a)과 상기 제 2 바디(250)가 연결 유로(226)를 정의한다.
이와 같이 가장 낮게 위치되는 상기 제 1 바닥벽(213a)이 상기 연결 유로(226)를 형성하므로, 상기 제 1 챔버(222) 및 상기 제 2 챔버(224)의 물이 균일하게 상기 배출구(216)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210)는, 상기 제 1 바닥벽(213a) 중에서 전후 벽(214a)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1 측벽(215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측벽(215a)은 상기 제 1 바디(210)의 전면벽일 수 있다.
상기 제 1 측벽(215a)은 상기 전후 벽(214a)의 전단에서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210)는, 상기 제 1 바닥벽(213a) 중에서 상기 좌우 벽(214b)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2 측벽(215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제 2 측벽(215b)은 상기 제 1 측벽(215a)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측벽(215a)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증가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 2 측벽(215b)은 좌측 벽과 우측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좌측 벽이 상기 제 1 챔버(222)를 형성하고, 상기 우측 벽이 상기 제 2 챔버(224)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 2 측벽(215b) 중 하나 이상에 물을 주입하기 위한 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는 상기 한 쌍의 제 2 측벽(215b) 각각에 유입구가 형성되는 것이 도시된다.
예를 들어, 상기 좌측 벽에 상기 제 1 챔버(222)로 물을 주입하기 위한 제 1 유입구(211)가 형성되고, 상기 우측 벽에 상기 제 2 챔버(224)로 물을 주입하기 위한 제 2 유입구(2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제 2 측벽(215b)은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215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함몰부(215e)에 상기 각 유입구(211, 2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유입구(211)는 제 1 유입구 커버(240)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고, 상기 제 2 유입구(212)는 제 2 유입구 커버(242)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각 유입구 커버(240, 242)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 커버(240, 242)는 상기 함몰부(215e)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유입구(211, 212)를 커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입구 커버(240, 242)의 크기는 상기 함몰부(215e)의 크기 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함몰부(215e)의 일부가 상기 유입구 커버(240, 242)에 의해서 커버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유입구 커버(240, 242)에 의해서 미커버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공간(215f)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간(215f)으로 손가락을 삽입한 후에 상기 유입구 커버(240, 242)를 당겨 상기 유입구 커버(240, 242)가 상기 유입구(211, 212)를 개방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물 탱크(200)의 양측에 각각 유입구가 구비되므로, 두 개의 유입구 중 어느 하나를 개방시켜 쉽게 물을 상기 물 탱크(200)로 유입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공간(215f)의 크기가 확보되도록, 상기 공간(215f)과 상기 제 1 측벽(215a) 사이에 상기 유입구 커버(240, 242)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210)는, 상기 제 3 바닥벽(213c)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3 측벽(215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바디(210)는, 상기 제 3 측벽(215c)의 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3 바닥벽(213c), 제 4 바닥벽(213d) 및 제 5 바닥벽(213e)과 연결되는 전후 연장 벽(215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210)에서 상기 전후 연장 벽(215d)은 한 쌍이 구비되며,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한 쌍의 전후 연장 벽(215d)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기 물 탱크(200)가 상기 노즐 하우징(100)에 안착되면, 상기 연결관(50)이 상기 한 쌍의 전후 연장벽(215d)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전후 연장벽(215d)은 상기 제 1 바닥벽(213a) 보다 높게 위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챔버는, 상기 제 1 바디(210)와 상기 제 2 바디(250)에 의해서 형성되며, 상기 제 2 바닥벽(213b)과 상기 제 2 바디(250)는 이격되어 물이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바닥벽(213b)과 상기 제 2 바디(250)는 H3 만큼 높이차가 있다.
상기 제 1 바닥벽(213a)과 상기 제 2 바디(250)는 H4 만큼 높이차가 있다. 이때, 상기 H4는 H3 보다 크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물 탱크(200)의 높이(또는 전체 두께)를 줄이면서도 물 저장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 1 바디(210)는, 상기 조작부(300) 및 상기 결합부(310, 254) 들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제 1 슬롯(2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슬롯(218)은 상기 제 1 바디(210)의 중앙 후단부가 전방을 향하여 함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전후 연장벽(215d)이 상기 제 1 슬롯(218)의 일부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 2 바디(250)는 상기 조작부(300)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제 2 슬롯(2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슬롯(252)은 상기 제 2 바디(230)의 중앙 후단부가 전방을 향하여 함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바디(250)는 상기 제 1 바디(21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바디(210)의 제 1 슬롯(218)의 일부를 커버하는 슬롯 커버(2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슬롯(252)의 전후 길이가 상기 제 1 슬롯(218)의 전후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된다.
상기 제 2 결합부(254)는 상기 슬롯 커버(253)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결합부(254)는 상기 제 1 슬롯(218)이 형성하는 공간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 탱크(200) 전체적인 형상을 볼 때, 상기 물 탱크(200)는 좌우 길이가 전후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물 탱크(200)에서 상기 슬롯 들(218, 252)이 위치되는 중앙부 부분에서 전후 길이가 양측의 전후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된다.
상기 물 탱크(200)는 상기 슬롯(218, 252)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적인 형태를 가진다.
상기 물 탱크(200)는, 상기 물 탱크(200)의 제 2 결합부(254)가 상기 제 1 결합부(310)와 결합되기 전에 상기 노즐 커버(130)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 리브(235, 2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리브(235, 236)는, 상기 물 탱크(200)의 제 2 결합부(254)가 상기 제 1 결합부(310)와 결합되기 전에 상기 노즐 커버(130)에서의 상기 물 탱크(200)의 결합 위치를 안내하는 역할도 한다.
일 예로 복수의 결합 리브(235, 236)가 상기 제 1 바디(110)에서 돌출되며, 좌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복수의 결합 리브(235, 236)는 상기 제 1 바디(210)의 제 1 측벽(215a)에서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좌우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노즐 본체(10) 내부에 상기 각 구동 장치(170, 171)가 구비되므로, 상기 각 구동 장치(170, 171)에 의해서 상기 노즐 본체(10)의 일부는 상기 제 2 유로(114)의 양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노즐 본체(10)에서 돌출되는 부분이 상기 물 탱크(200)의 한 쌍의 수용 공간(232, 233)에 위치된다. 상기 한 쌍의 수용 공간(232, 233)은 상기 제 1 슬롯(218)에 의해서 좌우로 구분될 수 있다.
<노즐 커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즐 커버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즐 커버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노즐 커버(130)는, 바닥벽(131a)과, 상기 바닥벽(131a)의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둘레벽(131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 커버(130)는, 상기 각 구동 장치(170, 171)의 상측을 커버하는 구동부 커버(132, 1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구동부 커버(132, 134)는 상기 노즐 커버(130)의 바닥벽(131a)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부분이다. 상기 구동부 커버(132, 134)는 상기 둘레벽(131b)과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 커버(132, 134)와 상기 둘레벽(131b)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 상기 물 탱크(200)가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 탱크(200)의 저장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면서 상기 물 탱크(200)가 상기 노즐 커버(13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물 탱크(200)에 의해서 상기 노즐(1)의 높이가 증가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각 구동부 커버(132, 134)는 상기 노즐 베이스(110)에 설치된 각 구동 장치(170, 171)와 간섭되지 않고 상기 구동 장치(170, 171)의 상측을 둘러쌀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부 커버(132, 134)는 상기 노즐 베이스(110)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각 구동부 커버(132, 134)는 상기 물 탱크(200)가 상기 노즐 커버(130)에 장착되면, 상기 물 탱크(200)의 각 수용 공간(232, 233)에 수용됨으로써, 구성 요소 들간의 간섭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물 탱크(200)에서 상기 제 1 챔버(222) 및 제 2 챔버(224)는 상기 각 구동부 커버(132, 134)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챔버(222) 및 상기 제 2 챔버(224)의 체적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200)의 제 1 바디(210)는 상기 노즐 커버(130)에서 상기 구동부 커버(132, 134) 보다 낮은 부분에도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200)에 의한 높이 증가가 최소화되도록, 상기 물 탱크(200)의 바닥벽의 적어도 일부는 후술할 구동 모터의 축선(A3, A4)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물 탱크(200)의 제 1 바닥벽(213a)은 후술할 구동 모터의 축선(A3, A4) 보다 낮게 위치된다.
상기 노즐 커버(130)는 상기 유로 형성부(150)를 커버하는 유로 커버(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 커버(136)는 상기 구동부 커버(132, 134) 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물 탱크(200)의 제 1 슬롯(218)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노즐 커버(136)도 상기 노즐 커버(130)의 바닥벽(131a)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물 탱크(200)의 물 저장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물 탱크(200)의 일부는 상기 유로 커버(136)의 양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 탱크(200)가 상기 제 2 유로(114)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면서도 물 탱크(200)의 물 저장 용량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1)의 이동 과정에서 상기 물 탱크(200)가 상기 노즐(1) 주변의 구조물 들과 충돌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물 탱크(200)의 전부는 상기 노즐 하우징(100)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물 탱크(200)는 상기 노즐 하우징(100)의 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상기 물 탱크(200)의 제 1 바닥벽(213a)은 상기 노즐 커버(130)의 바닥벽(131a)에 안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물 탱크(200)의 슬롯 커버(253)는 상기 유로 커버(136)의 직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슬롯 커버(253)는 상기 유로 커버(136)와 접촉하거나 상기 유로 커버(136)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200)가 상기 노즐 커버(130)에 안착되면, 상기 슬롯 커버(253)는 상기 조작부(300)의 전방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물 탱크(200)가 상기 노즐 커버(130)에 안착되면, 상기 제 1 바디(210)는 상기 노즐 커버(130)의 둘레벽(132b)에 의해서 둘러싸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 탱크(200)가 상기 노즐 커버(130)에 안착되면, 상기 물 탱크(200) 양측의 유입구 커버가 상기 노즐 커버(130)의 둘레벽(132b)에 의해서 커버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노즐 커버(130)는 상기 물 탱크(200)에 구비된 결합 리브(235, 236)가 삽입되는 리브 삽입홀(141, 14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브 삽입홀(141, 142) 들도 상기 노즐 커버(130)에서 좌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 리브(235, 236)가 상기 리브 삽입홀(141, 14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물 탱크(200)의 중앙 또는 후측 부분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 1 결합부(310)에 상기 제 2 결합부(254)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노즐 커버(130)에는, 상기 물 탱크(200) 내의 밸브(230)를 동작시킬 수 있고, 물이 유동할 수 있는 밸브 조작부(144)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밸브 조작부(144)는 상기 노즐 커버(13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고, 일부가 상기 노즐 커버(130)를 관통하여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측으로 돌출된 상기 밸브 조작부(144)는 상기 물 탱크(200)가 상기 노즐 커버(100)에 안착되면, 상기 물 탱크(200)의 배출구(216)를 관통하여 상기 물 탱크(20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즉, 상기 밸브 조작부(144)는 상기 물 탱크(200)의 배출구(216)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밸브 조작부(144)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노즐 커버(130)에는 상기 물 탱크(200)에서 배출되는 물이 상기 밸브 조작부(144)의 주변에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러(14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러(143)는 일 예로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노즐 커버(130)의 상측에서 상기 노즐 커버(1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노즐 커버(130)에는 상기 물 탱크(200)에서 물이 배출을 제어하기 위한 워터 펌프(27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워터 펌프(270)는 펌프 모터(28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노즐 커버(130)의 하측에는 상기 워터 펌프(270)가 설치되기 위한 펌프 설치리브(14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즐 커버(130)에 상기 워터 펌프(270) 및 상기 펌프 모터(280)가 설치되므로, 설령 상기 노즐 베이스(110)로 물이 낙하되더라도 상기 펌프 모터(280)가 물과 접촉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워터 펌프(270)는, 내부의 밸브체가 작동하면서 팽창 또는 축소되어 입구와 출구를 연통시키도록 작동하는 펌프로서, 공지의 구조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워터 펌프(270) 내의 밸브체가 상기 펌프 모터(280)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펌프 모터(280)가 작동하는 중에는 지속적으로 및 안정적으로 상기 물 탱크(200)의 물이 상기 회전 청소부(40, 41)로 공급될 수 있다.
상술한 상기 조절부(180)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펌프 모터(280)의 작동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절부(180)에 의해서 상기 펌프 모터(280)의 온/ 오프가 선택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조절부(180)에 의해서 상기 펌프 모터(280)의 출력(또는 회전 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노즐 커버(130)는 상기 노즐 베이스(110)와 결합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체결 보스(1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 커버(130)에는, 후술할 상기 회전 청소부(40, 41)로 물을 분사하기 위한 분사 노즐(149)이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한 쌍의 분사 노즐(149)이 좌우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노즐 커버(13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노즐 커버(130)에는 상기 분사 노즐(149)이 설치되기 위한 노즐 설치 보스(149c)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분사 노즐(149)은 스크류에 의해서 상기 노즐 설치 보스(149c)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분사 노즐(149)은 후술할 분지관이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149a)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와 제 1 결합부 및 지지 바디의 구조 및 동작 설명>
도 16은 노즐 커버에서 조작부, 제 1 결합부 및 지지 바디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4의 F-F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에서 제 1 결합부가 노즐 커버에 결합된 상태에서 G-G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19는 조작부를 눌러 제 1 결합부와 제 2 결합부가 해제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조작부(300)는, 상기 유로 커버(136)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유로 커버(136)는 상기 조작부(300)를 지지 및 수용하기 위함 함몰된 형태의 조작부 수용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00)의 양측에는 상기 조작부(300)를 상기 유로 커버(136)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 후크(30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00)는 상기 조작부 수용부(137)의 상측에서 상기 조작부 수용부(137)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 수용부(137)의 바닥벽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슬롯(137b)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 후크(302)는 상기 슬롯(137b)을 관통하여 상기 조작부 수용부(137)의 바닥벽의 하면에 걸릴 수 있다.
상기 결합 후크(302)가 상기 조작부 수용부(137)의 바닥벽에 걸리면, 상기 조작부(300)가 상기 유로 커버(136)의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00)는 제 1 탄성 부재(306)에 의해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00)를 조작할 때, 상기 조작부(300)가 어느 한 쪽으로 치우지지 않도록, 복수의 제 1 탄성 부재(306)가 상기 조작부(300)를 지지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복수의 제 1 탄성 부재(306)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00)는 상기 각 제 1 탄성부재(306)가 결합되기 위한 제 1 결합 돌출부(3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 돌출부(304)는 상기 조작부(30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 돌출부(304)의 돌출 길이는 상기 결합 후크(302)의 돌출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탄성부재(306)는 일 예로 코일 스프링일 수 있으며, 상기 제 1 탄성부재(306)의 상측이 상기 제 1 결합 돌출부(304)에 수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1 결합 돌출부(304)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의 리브일 수 있다.
상기 조작부 수용부(137)의 바닥벽에는 상기 제 1 탄성 부재(306)가 결합되는 제 2 결합 돌출부(137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 돌출부(137a)는 상기 조작부 수용부(137)의 바닥벽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탄성 부재(306)가 상기 제 2 결합 돌출부(137a)의 둘레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제 1 탄성 부재(306)가 상기 조작부 수용부(137)의 바닥벽에 안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탄성 부재(306)가 형성하는 공간에 상기 제 2 결합 돌출부(137a)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 돌출부(137a)의 외경은 상기 제 1 결합 돌출부(304)의 내경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300)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결합 돌출부(137a)와 상기 제 1 결합 돌출부(324)가 충돌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부(310)는 상기 조작부 수용부(137)의 슬롯(137b) 상에 위치되고, 양측단부가 상기 조작부 수용부(137)의 바닥벽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부(310)는 후크(312)를 포함하고, 양측에 상기 조작부 수용부(137)의 바닥벽이 결합되는 결합 레일(3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레일(316)의 일부는 상기 조작부 수용부(137)의 바닥벽 상면에 안착될 수 있고, 상기 결합 레일(316)의 다른 일부는 상기 수용부(137)의 바닥벽 하면에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 레일(316)에 의해서 상기 제 1 결합부(310)가 상기 조작부 수용부(137)의 바닥벽에 결합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부(3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탄성 부재(314)에 의해서 탄성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탄성 부재(314)는 상기 후크(312)의 반대편에서 상기 제 1 결합부(31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유로 커버(136)는 상기 제 2 결합부(254)가 수용되는 결합부 수용부(136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 수용부(136a)는 상기 조작부 수용부(137)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유로 커버(136)는 상기 결합부 수용부(136a)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지지 바디(320)를 수용하는 바디 수용부(1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결합부(254)가 상기 결합부 수용부(136a)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결합부(254)는 상기 지지 바디(320)의 직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바디(320)는 상기 바디 수용부(138)에 결합되기 위한 한 쌍의 결합 후크(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 수용부(138)에는 상기 각 결합 후크(322)가 결합되는 후크 결합 슬롯(138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바디(320)의 결합 후크(322)가 상기 후크 결합 슬롯(138a)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 바디(320)는 상하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크 결합 슬롯(138a)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바디(320)는 제 3 탄성 부재(324)에 의해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바디(320)를 지지하는 상기 제 3 탄성 부재(324)는 상기 제 1 결합부(310)와 상기 제 2 결합부(254)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결합부(254)가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탄성력을 상기 제 2 결합부(254)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부(310)가 상기 제 2 결합부(254)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결합부(254)는 상기 지지 바디(320)를 가압하고, 상기 제 3 탄성 부재(324)는 수축되어 탄성력을 축적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물 탱크(200)를 분리하기 위해서 상기 조작부(300)를 하방으로 가압하면, 상기 조작부(300)의 하방 이동력이 상기 제 1 결합부(310)로 전달되어 상기 제 1 결합부(310)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제 1 결합부(310)는 상기 제 2 결합부(254)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 1 결합부(310)의 후크(312)가 상기 제 2 결합부(254)의 홈(256)에서 빠지게 되어 상기 제 1 결합부(310)와 상기 제 2 결합부(254)의 결합이 해제된다.
그러면, 상기 제 3 탄성 부재(324)를 가압하는 힘이 제거되어 상기 제 3 탄성 부재(324)의 탄성 복원력이 상기 지지 바디(320)로 전달되어 상기 지지 바디(320)가 상기 지지 바디(320) 상에 놓여진 상기 제 2 결합부(254)를 상승시킨다.
그러면, 상기 물 탱크(200)에서 상기 제 2 결합부(254) 부분이 상기 노즐 커버(130)의 상방으로 들어올려진다. 따라서, 상기 물 탱크(200)과 상기 노즐 커버(130) 간에 간격이 존재하게 되어 사용자가 쉽게 상기 물 탱크(200)를 파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 2 결합부(254)가 소정 높이로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300)를 가압하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제 1 결합부(310)는 상기 제 2 탄성 부재(314)에 의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 1 결합부(310)의 후크는 상기 결합부 수용부(136a)로 돌출되고, 상기 지지 바디(320)의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2 결합부(254)의 하단은 상기 제 1 결합부(310)의 후크(312) 상에 위치하게 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즐 커버에서 밸브 조작부 및 실러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노즐 커버(130)는 상기 물 탱크(200)의 배출구(216)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물 통과 개구(1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 커버(130)의 바닥벽(131a)의 상측에서 실러(143)가 상기 바닥벽(131a)에 결합되고, 상기 바닥벽(131a)의 하측에서 상기 밸브 조작부(144)가 상기 바닥벽(131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러(143)는, 상기 물 통과 개구(145)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홀(143a)을 포함할 수 있다. 물은 상기 홀(143a)을 통과한 후에 상기 물 통과 개구(145)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실러(143)는, 상기 홀(143a) 주변에 형성되며 상기 노즐 커버(130)의 바닥벽(131a)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 돌기(143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 커버(130)의 바닥벽(131a)에는 상기 결합 돌기(143b)가 결합되기 위한 돌기 홀(145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 조작부(144)의 둘레는 상기 밸브 조작부(144)의 결합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돌기(144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즐 커버(130)의 바닥벽(131a)의 하면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144b)가 위치될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가이드 리브(145b, 145c)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밸브 조작부(144)에는 상기 물 탱크(200)에서 배출되는 물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 부재(147)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200)에서 물이 배출되면, 상기 흡수 부재(147)가 일차적으로 물을 흡수하고, 상기 물 탱크(200)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이 증가되면 상기 흡수 부재(147)가 흡수한 물이 후술할 물 공급 유로를 통해 상기 걸레(402, 404)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흡수 부재(147)는 일 예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가압부(144a)가 관통하기 위한 가압부 홀(147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수 부재(147)가 상기 밸브 조작부(144)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밸브 조작부(144)가 상기 노즐 커버(130)에 결합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밸브 조작부(144)는 융착 방식에 의해서 상기 노즐 커버(130)에 결합거나, 접착제에 의해서 상기 노즐 커버(1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흡수 부재(147)는 상기 물 탱크(200)에서 배출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노즐 베이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즐 베이스에 유로 형성부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즐 베이스를 하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노즐 베이스(110)는, 상기 각 구동 장치(170, 171)에서 상기 각 회전판(420, 440)에 연결되는 전달 축(후술함)이 관통하기 위한 한 쌍의 축 관통홀(116, 1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 베이스(110)에는 상기 각 구동 장치(170, 171)에 구비되는 슬리브(도 24의 174참조)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116a)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116a)에 상기 축 관통홀(116, 11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116a)은 일 예로 원형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노즐 베이스(110)에서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116a)의 바닥에 상기 축 관통홀(116, 11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장치(170, 171)에 구비되는 슬리브(도 24의 174참조)가 안착홈(116a)에 안착됨에 따라서 상기 노즐(1)의 이동 과정 또는 상기 구동 장치(170, 171)의 작동 과정에서 상기 구동 장치(170, 171)의 수평 방향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노즐 베이스(110)의 하면에서 상기 안착홈(116a)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출 슬리브(116a)가 구비된다. 상기 돌출 슬리브(116a)는 실질적으로 상기 안착홈(116a)이 하방으로 함몰됨에 따라서 상기 노즐 베이스(110)의 하면이 하방으로 돌출되면서 형성되는 부분이다.
상기 노즐 베이스(110)에 상기 유로 형성부(15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유로 형성부(150)의 양측에 각 축 관통홀(116, 118)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노즐 베이스(110)에는, 상기 각 구동 장치(170, 17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기판(115)(또는 제 1 기판)이 설치되기 위한 기판 설치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기판 설치부(120)는 상기 노즐 베이스(110)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후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 설치부(120)의 후크는 상기 제어 기판(115)의 상면에 걸려, 상기 제어 기판(115)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상기 제어 기판(115)은 수평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 기판(115)은 상기 노즐 베이스(110)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는, 상기 노즐 베이스(110)의 바닥으로 물이 낙하되더라도 물이 상기 제어 기판(116)과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노즐 베이스(110)에는 상기 제어 기판(115)을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 돌기(120a)가 구비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기판 설치부(120)는 상기 노즐 베이스(110)에서 상기 유로 형성부(150)의 일측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어 기판(115)은 상기 조절부(180)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 기판(115)에 설치되는 스위치(후술함)가 상기 조절부(180)의 조작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 기판(115)은 상기 제 2 유로(114)를 기준으로 상기 밸브 조작부(144)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이는 설령 상기 밸브 조작부(144)에서 누수가 발생되더라도 물이 상기 제어 기판(115) 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노즐 베이스(110)는 상기 각 구동 장치(170, 171)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 리브(122)와, 상기 각 구동 장치(170, 171)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용 보스(117, 117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리브(122)는 상기 노즐 베이스(110)에서 돌출되며 1회 이상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각 구동 장치(170, 171)를 상기 노즐 베이스(110)의 바닥에서 이격시킬 수 있다.
또는 이격된 복수의 지지 리브(122)가 상기 노즐 베이스(110)에서 돌출되어 상기 각 구동 장치(170, 171)를 상기 노즐 베이스(110)의 바닥에서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 노즐 베이스(110)의 바닥으로 물이 낙하되더라도 상기 지지 리브(122)에 의해서 상기 구동 장치(170, 171)가 상기 노즐 베이스(110)의 바닥에서 이격되어 물이 상기 구동 장치(170, 171) 측으로 유동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장치(170, 171)의 슬리브(도 24의 174참조)가 상기 안착홈(116a)에 안착되므로, 상기 노즐 베이스(110)의 바닥으로 물이 낙하되더라도 물이 상기 슬리브(도 24의 174참조)에 의해서 상기 구동 장치(170, 171) 내부로 인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 베이스(110)는, 상기 각 분사 노즐(149)이 관통하기 위한 노즐 홀(1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 커버(130)에 결합된 분사 노즐(149)의 일부는 상기 노즐 커버(130)가 상기 노즐 베이스(110)에 결합되면 상기 노즐 홀(119)을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 베이스(110)는 상기 각 구동 장치(170, 171)의 구조물과의 간섭 방지를 위한 회피홀(121a)과, 상기 유로 형성부(150)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 보스(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로 형성부(150)를 관통한 체결부재가 상기 구동 장치(170, 171)의 일부를 관통한 후에 상기 체결 보스(121)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회피홀(121a)에 상기 각 구동 장치(170, 171)의 일부가 위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 회피홀(121a)로 물이 유동하는 것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지지 리브(122)가 상기 회피홀(121a) 주변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지지 리브(122)가 형성하는 영역 내에 상기 회피홀(121a)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노즐 베이스(110)의 하측에 상기 회전 청소부(40, 41)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유로(112)가 상기 노즐(1)이 놓이는 바닥면과 최대한 가까워지도록 상기 노즐 베이스(110)의 하면에는 상방으로 함몰된 판 수용부(1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판 수용부(111)에 의해서 상기 회전 청소부(40, 41)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노즐(1)의 높이가 증가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판 수용부(111)에 상기 회전 청소부(40, 41)가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청소부(40, 41)가 상기 구동 장치(170, 171)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노즐 베이스(110)는 상기 축 관통홀(116, 118)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바닥 리브(111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닥 리브(111a)는 일 예로 상기 판 수용부(111)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 리브(111a)가 형성하는 영역 내에 상기 축 관통홀(116, 118) 및 노즐 홀(119), 회피홀(121a)이 위치될 수 있다.
<복수의 스위치의 설치 위치>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기판에 설치된 복수의 스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노즐 베이스(11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 기판(115)이 설치된다. 상기 제어 기판(115)의 상면에는 상기 조절부(180)의 조작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스위치(128a, 128b)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스위치(128a, 128b)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스위치(128a, 128b)는 상기 조절부(180)의 제 1 위치를 감지하는 제 1 스위치(128a)와, 상기 조절부(180)의 제 2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제 2 스위치(128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조절부(180)가 좌측으로 피봇되어 제 1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조절부(180)가 상기 제 1 스위치(128a)의 접점을 가압하게 되어 상기 제 1 스위치(128a)가 온된다. 이 경우, 상기 펌프 모터(280)가 제 1 출력으로 작동하여 상기 물 탱크(200)에서 단위 시간 당 제 1 양 만큼 물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180)가 우측으로 피봇되어 제 2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조절부(180)가 상기 제 2 스위치(128b)의 접점을 가압하게 되어 상기 제 2 스위치(128b)가 온된다.
이 경우, 상기 펌프 모터(280)가 상기 제 1 출력 보다 큰 제 2 출력으로 작동하여 상기 물 탱크(200)에서 단위 시간 당 제 2 양 만큼 물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펌프 모터(280)는 상기 제어 기판(115)에 설치되는 컨트롤러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펌프 모터(280)의 듀티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펌프 모터(280)가 N초 온된 후에 M 초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200)에서 물 배출을 위하여 상기 펌프 모터(280)는 온/오프를 반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 탱크(200)에서의 물 배출량이 가변되도록, 상기 조절부(180)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펌프 모터(280)의 온 시간이 유지된 상태에서 오프 시간이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물 탱크(200)에서의 물 배출량 증가를 위하여,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펌프 모터(280)를 N초 온시킨 후 M보다 작은 P초 만큼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어느 경우든, 상기 펌프 모터(280)의 온 시간 보다 오프 시간이 길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180)가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의 중립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조절부(180)가 상기 제 1 스위치(128a) 및 제 2 스위치(128b)의 접점을 가압하지 않게 되어 상기 펌프 모터(280)가 정지하게 된다.
<구동 장치>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를 하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6은 모터 하우징과 구동 모터의 회전 방지를 위한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동 모터에 동력 전달부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3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구동 장치(170)와, 상기 제 2 구동 장치(171)는 좌우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 및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 장치(170)는, 제 1 구동 모터(182)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구동 장치(171)는 제 2 구동 모터(18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구동 모터(182, 184)에는 각 구동 모터(182, 184)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피씨비(350)(또는 제 2 기판)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모터 피씨비(350)는 상기 제어 기판(115)과 연결되어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모터 피씨비(350)는 일 예로 세워진 상태로 상기 구동 모터(182, 184)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노즐 베이스(11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모터 피씨비(350)에는 구동 모터의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성능 개선을 위한 상기 한 쌍의 저항(352, 35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저항(352, 354) 중 일 저항은 구동 모터의 (+) 단자와 연결되고, 다른 한 저항은 구동 모터의 (-)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저항(352, 354)에 의해서 구동 모터의 출력의 변동(Fluctuation)이 줄어들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저항(352, 354)은 일 예로 상기 모터 피씨비(350)에서 좌우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각 구동 모터(182, 184)의 전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노즐(1)이 바닥면에 놓인 상태에서는 상기 걸레(402, 402)와 바닥면의 마찰력이 상기 각 구동 모터(182, 184)에 부하로 작용하므로, 상기 각 구동 모터(182, 184)의 전류는 제 1 기준값 이상일 수 있다.
반면, 상기 노즐(1)이 바닥면에서 들어올려지면 상기 걸레(402, 402)와 바닥면의 마찰력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상기 각 구동 모터(182, 184)의 전류는 상기 제 1 기준값 미만 일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는, 감지되는 각 구동 모터(182, 184)의 전류가 상기 제 1 기준값 미만이고, 제 1 기준값 미만인 것으로 감지된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이 되면, 상기 펌프 모터(280)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컨트롤러는, 감지되는 각 구동 모터(182, 184)의 전류가 상기 제 1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펌프 모터(280)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감지되는 각 구동 모터(182, 184)의 전류가 상기 제 1 기준값 미만이고, 제 1 기준값 미만인 것으로 감지된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이 되면, 상기 각 구동 모터(182, 184)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컨트롤러는, 감지되는 각 구동 모터(182, 184)의 전류가 상기 제 1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각 구동 모터(182, 184)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감지되는 각 구동 모터(184, 184)의 전류가 상기 제 1 기준값 이상이 되면, 상기 펌프 모터(280) 및 상기 각 구동 모터(182, 184)를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노즐(1)에서 상기 노즐(1)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는 상기 연결관(50)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노즐(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청소부(40, 41), 회전 청소부(40, 41)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170, 171), 펌프 모터(28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관(50)으로 전원이 공급되기만 하면 상기 구동 장치(170, 171) 및 상기 펌프 모터(280)가 작동하여 회전 청소부(40, 41)가 회전되어 바닥을 청소할 수 있고, 물 탱크(200)에서 물이 상기 회전 청소부(40, 41)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던 청소기에 본 실시 예의 노즐(1)을 연결하면, 상기 노즐(1)을 이용하여 바닥 청소를 할 수 있으므로, 기존 청소기의 추가적인 액세사리로 본 노즐(1)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각 구동 장치(170, 171)는 모터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 하우징 내부에 상기 구동 모터(182, 184) 및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부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모터 하우징은, 일 예로 제 1 하우징(172)과, 상기 제 1 하우징(172)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 2 하우징(17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 하우징에 상기 각 구동 모터(182, 184)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각 구동 모터(182, 184)의 축선은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각 구동 모터(182, 184)의 축선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모터 하우징에 설치되면, 상기 구동 장치(170, 171)가 컴팩트해질 수 있다. 즉, 상기 구동 장치(170, 171)의 높이가 줄어들 수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172)에는 상기 동력 전달부 중에서 상기 각 회전판(420, 440)과 체결되기 위한 전달 축(190)이 관통하기 위한 축 홀(175)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전달 축(190)의 일부는 상기 모터 하우징의 하측을 관통하여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전달 축(190)이 상기 회전판(420, 440)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대 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전달 축(190)의 수평 단면은 비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172, 173)에서 상기 축 홀(175)의 둘레에는 슬리브(17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174)는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172, 173)의 하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174)는 일 예로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원형 형태의 상기 안착홈(116a)에 상기 슬리브(174)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182, 184)는 상기 제 1 하우징(172)에 안착되고, 이 상태에서 모터 고정부(183)에 의해서 상기 제 1 하우징(17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182, 184)는 대략적으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 모터(182, 184)의 축선이 실질적으로 수평을 이루는 상태(구동 모터(182, 184)가 눕혀진 상태)에서 상기 구동 모터(182, 184)가 상기 제 1 하우징(172)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모터 고정부(183)는 대략적으로 단면이 반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하우징(172)에 안착된 상기 구동 모터(182, 184)의 상측부를 감쌀 수 있다.
상기 모터 고정부(183)는 일 예로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제 1 하우징(17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하우징(173)은 상기 구동 모터(182, 184)의 일부를 커버하는 모터 커버(173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 커버(173a)는, 일 예로 상기 모터 고정부(183)의 외측에서 상기 모터 고정부(183)를 둘러쌀 수 있도록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모터 커버(173a)는 상기 제 2 하우징(173)의 일부가 상방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182, 184)의 작동 과정에서 상기 모터 커버(173a)와 상기 모터 고정부(183) 간의 상대 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모터 커버(173a)에서 상기 모터 고정부(183)를 바라보는 면에는 회전 방지 리브(173a, 173b)가 형성되고, 상기 모터 고정부(183)에는 상기 회전 방지 리브(173a, 173b)가 수용되는 리브 수용 슬롯(183a)이 형성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회전 방지 리브(173a, 173b)의 폭과 상기 리브 수용 슬롯(183a)의 폭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모터 커버(173a)에서 복수의 회전 방지 리브(173a, 173b)가 상기 구동 모터(182, 184)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회전 방지 리브(173a, 173b)가 상기 리브 수용 슬롯(183a)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 모터(182, 184)의 원주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회전 방지 리브(173a, 173b)의 최대 폭은 상기 리브 수용 슬롯(183a)의 폭과 동일하거나 다소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각 구동 모터(182, 184)의 축에 연결되는 구동 기어(185)와, 상기 구동 기어(185)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복수의 전달 기어(186, 187, 188, 18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182, 184)의 축선(A3, A4)이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면, 상기 회전판(420, 440)의 중심 선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 기어(185)는 일 예로 스파이럴 베벨 기어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달 기어(186, 187, 188, 189)는 상기 구동 기어(185)와 맞물리는 제 1 전달 기어(18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달 기어(186)는 회전 중심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달 기어(186)가 상기 구동 기어(185)와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제 1 전달 기어(186)는 스파이럴 베벨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달 기어(186)는 2단 기어로서 상기 스파이럴 베벨 기어의 하측에 위치되는 헬리컬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달 기어(186, 187, 188, 189)는 상기 제 1 전달 기어(186)와 맞물리는 제 2 전달 기어(18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달 기어(187)는 2단 헬리컬 기어일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전달 기어는 상하로 배열되는 두 개의 헬리컬 기어를 포함하고, 상부의 헬리컬 기어는 상기 제 2 전달 기어(187)의 헬리컬 기어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달 기어(186, 187, 188, 189)는 상기 제 2 전달 기어(187)와 맞물리는 제 3 전달 기어(18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전달 기어(188)도 2단 헬리컬 기어일 수 있다. 즉, 상기 제 3 전달 기어(188)는 상하로 배열되는 두 개의 헬리컬 기어를 포함하고, 상부의 헬리컬 기어는 상기 제 2 전달 기어(187)의 하부의 헬리컬 기어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달 기어(186, 187, 188, 189)는 상기 제 3 전달 기어(188)의 하부 헬리컬 기어와 맞물리는 제 4 전달 기어(18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4 전달 기어(189)는 헬리컬 기어일 수 있다.
상기 제 4 전달 기어(189)에는 상기 전달 축(190)이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4 전달 기어(189)는 상기 동력 전달부의 출력 단이다.
상기 전달 축(190)은 상기 제 4 전달 기어(189)를 관통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달 축(190)은 상기 제 4 전달 기어(189)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4 전달 기어(189)를 관통한 상기 전달 축(190)의 상단에는 상부 베어링(191)이 결합되고, 상기 제 4 전달 기어(189)의 하측에서 상기 전달 축(190)에 하부 베어링(191a)이 결합된다.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동 모터에 동력 전달부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이전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동력 전달부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8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동력 전달부는, 상기 구동 모터(182, 184)의 축에 연결되는 구동 기어(6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기어(610)는, 웜 기어일 수 있다. 상기 구동 기어(610)의 회전축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구동 기어(610)는 상기 구동 기어(610)의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므로,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상기 구동 기어(610)에는 베어링(64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184, 184)를 지지하는 제 1 하우징(600)은, 상기 구동 모터(182, 184)를 지지하는 모터 지지부(602)와 상기 베어링(640)을 지지하는 베어링 지지부(6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구동 기어(610)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판(420, 440)으로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전달 기어(620, 624, 6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달 기어(620, 624, 628)는, 상기 구동 기어(610)와 맞물리는 제 1 전달 기어(6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달 기어(620)는 상기 구동 기어(610)와 맞물리기 위하여 상부 웜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구동 기어(610)와 상기 제 2 전달 기어(620)가 웜 기어 형태로 서로 맞물리므로 상기 구동 기어(610)의 회전력이 상기 제 2 전달 기어(620)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마찰에 의해서 소음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 1 전달 기어(620)는 2단 기어로서 상기 상부 웜 기어의 하측에 위치되는 헬리컬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달 기어(62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샤프트(62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샤프트(622)는 상기 제 1 하우징(60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전달 기어(620)는 고정된 상기 제 1 샤프트(622)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전달 기어(620)가 상기 제 1 샤프트(622)에 대해서 회전되도록 구성되므로, 베어링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상기 복수의 전달 기어(620, 624, 628)는, 상기 제 1 전달 기어(620)와 맞물리는 제 2 전달 기어(6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달 기어(624)는 일 예로 헬리컬 기어이다.
상기 제 2 전달 기어(624)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샤프트(62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샤프트(626)는 상기 제 1 하우징(60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전달 기어(624)는 고정된 상기 제 2 샤프트(626)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 2 전달 기어(624)가 상기 제 2 샤프트(626)에 대해서 회전되도록 구성되므로, 베어링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상기 복수의 전달 기어(620, 624, 628)는, 상기 제 2 전달 기어(624)와 맞물리는 제 3 전달 기어(6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전달 기어(628)는 일 예로 헬리컬 기어이다.
상기 제 3 전달 기어(628)는 상기 회전판(420, 440)에 연결되는 전달 축(63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달 축(630)은 상기 제 3 전달 기어(628)와 연결되어 상기 제 3 전달 기어(628)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전달 축(63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상기 전달 축(630)에는 베어링(632)이 결합될 수 있다.
<노즐 베이스에서의 구동 장치의 배치>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판의 회전 방향과 구동 모터의 축선의 연장 방향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즐 베이스에 구동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즐 베이스에 구동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다만, 도 30에서는 모터 하우징 중 제 2 하우징이 제거된 상태가 도시된다.
도 29 내지 도 31을 참조하면, 상기 노즐(1)에서 좌우로 배열되는 제 1 회전판(420)과 상기 제 2 회전판(440)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각 회전판(420, 440)에서 상기 제 2 유로(114)의 중심선(A2)과 가장 인접한 부분이 상기 제 1 유로(112) 측으로 갈수록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각 구동 모터(182, 184)의 축선(A3, A3)은 상기 회전판(420, 440)의 접선과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실질적으로 나란하다는 것"는 나란하지 않더라도 두 개의 선이 이루는 각도가 5도 이내인 것을 의미한다.
상기 각 구동 모터(182, 184)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에 의한 진동 및 상기 회전 청소부(40, 41)가 회전되면서 발생되는 바닥면과의 마찰에 의한 진동을 고려할 때, 상기 각 구동 모터(182, 184)는, 상기 제 2 유로(114)의 중심선(A2)에 대해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 구동 모터(182, 184)는 상기 각 회전판(420, 440)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 구동 모터(182, 184)는, 상기 회전판(420, 440)의 회전 중심(C1, C2)과 상기 회전판(420, 440)의 외주면 사이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각 구동 모터(184, 184)의 전부가 상기 회전판(420, 440)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즐(1) 전체에서 진동 밸런스가 최대화대도록 상기 각 구동 모터(182, 184)는 상기 노즐(1)에서 상기 제 2 유로(114)의 중심선(A2)에 최대한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0과 같이 상기 구동 모터(182, 184)의 축선(A3, A4)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 모터(182, 184)의 축선(A3, A4)은, 상기 제 2 유로(114)의 중심선(A2)과 실질적으로 나란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182, 184)는 상기 축선(A3, A4)의 연장 방향으로 이격되는 전단부(182a)와 후단부(18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단부(182a)가 상기 후단부(182b) 보다 상기 제 1 유로(112)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4 전달 기어(189)의 회전 중심(실질적으로 회전 청소부의 회전 중심임)이 상기 전단부(182a)와 상기 후단부(182b) 사이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4 전달 기어(189)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구동 모터(182, 184)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182, 184)는 상기 전단부(182a)와 상기 후단부(182b)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면을 포함하고, 연결면의 최외곽선(182c)이 상기 제 4 전달 기어(189)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각 구동 모터(182, 184)의 축선(A3, A4)은 상기 전달 기어 들의 회전 시의 궤적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장치(170, 171)의 배치에 의하면, 상기 각 구동 장치(170, 171)의 무게가 상기 노즐(1)의 좌우로 균등하게 배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구동 모터(182)의 축선(A3)과 상기 제 2 구동 모터(184)의 축선(A4)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서, 상기 각 구동 모터(182, 184)에 의해서 상기 노즐(1)의 높이가 증가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구동 모터(182)의 축선(A3)과 상기 제 2 구동 모터(184)의 축선(A4)을 연결하는 가상선(A5)은 상기 제 2 유로(114)를 통과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각 구동 모터(182, 184)가 상기 노즐(1)에서 뒷쪽에 가깝게 위치시켰기 때문이고, 이에 따라 상기 각 구동 모터(182, 184)에 의한 상기 노즐(1)의 높이 증가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구동 장치(170, 171)에 의해서 상기 노즐(1)의 높이가 증가되는 것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각 구동 모터(182, 184)의 축에 상기 구동 기어(185)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 기어(185)는 상기 구동 모터(182, 184)와 상기 제 1 유로(11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구동 장치(170, 171) 중에서 상하 길이가 가장 긴 구동 모터(182, 184)가 상기 노즐 본체(10) 내에서 후측에 최대한 가깝게 위치되므로, 상기 노즐(1)의 전단부 측의 높이가 증가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장치(170, 171)는 상기 노즐(1)에서 뒷쪽에 가깝게 위치되고, 상기 물 탱크(200)가 상기 구동 장치(170, 171)의 상방에 위치되므로, 상기 물 탱크(200) 내부의 물 및 상기 구동 장치(170, 171)의 무게에 의해서 상기 노즐(1)의 무게 중심이 상기 노즐(1)의 뒷쪽으로 쏠릴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물 탱크(200)의 연결 챔버(도 6의 226참조)는 상기 노즐(1)의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유로(112)와 상기 구동 장치(170, 17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회전판(420, 440)의 회전 중심(C1, C2)은 상기 전달 축(190)의 회전 중심과 일치한다.
상기 회전판(420, 440)의 회전 중심(C1, C2) 사이 영역에 상기 구동 모터(182, 184)의 축선(A3, A4)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판(420, 440)의 회전 중심(C1, C2) 사이 영역에 상기 각 구동 모터(182, 184)가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구동 모터(182, 184)는 상기 제 1 회전 중심(C1)과 상기 제 2 회전 중심(C2)을 연결하는 가상선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노즐 커버의 구동부 커버와, 회전판의 회전 중심 및 모터의 배치 관계>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즐 커버의 구동부 커버의 구조 및 회전판의 회전 중심과 구동 모터의 배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 및 도 32를 참조하면, 상기 노즐 커버(130)의 한 쌍의 구동부 커버(132, 134)는, 좌우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며, 상방으로 볼록한 형태를 가진다.
상기 각 구동부 커버(132, 134)는, 상기 노즐 커버(130)의 바닥벽(130a)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1 돌출면(135a)과, 상기 제 1 돌출면(135a) 보다 높게 위치되며 상기 제 1 돌출면(135a)과 다른 곡률을 가지는 제 2 돌출면(135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돌출면(135a)과 상기 제 2 돌출면(135b)은 직접 연결되거나 제 3 돌출면(135c)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3 돌출면(135c)은 상기 제 1 돌출면(135a) 및 상기 제 2 돌출면(135b) 각각과 다른 곡률로 형성된다. 상기 제 3 돌출면(135c)은 상기 제 1 돌출면(135a) 보다는 높게 위치되고, 상기 제 2 돌출면(135b) 보다는 낮게 위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2 돌출면(135b)은 상기 물 탱크(200)의 제 2 바닥벽(213b)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돌출면(135b)은 상기 물 탱크(200)의 제 2 바닥벽(213b)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돌출면(135b)은 상기 구동부 커버(132, 134)에서 가장 높게 위치되는 면이다.
상기 제 2 돌출면(135b)은 일 예로 전후 길이(폭) 보다 좌우 길이(폭)이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2 돌출면(135b)의 길이 방향은 길이가 긴 좌우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제 2 돌출면(135b)의 길이 방향은 상기 구동 모터(182, 184)의 축선(A3, A4)의 연장 방향과 교차된다.
상기 구동부 커버(132, 134)의 중심(C3)(일 예로 곡률의 중심)은 상기 제 2 돌출면(135b)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돌출면(135b)의 중심(C4)은 상기 구동부 커버(132, 134)의 중심(C3)과 편심을 이룬다.
일 예로, 상기 제 2 돌출면(135b)의 중심(C4)은 상기 구동부 커버(132, 134)의 중심(C3)에서 상기 제 2 유로(114)의 중심선(A2)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편심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돌출면(135b)의 중심(C4)과 상기 제 2 유로(114)의 중심선(A2) 사이에 상기 구동부 커버(132, 134)의 중심(C3)이 위치된다.
또한, 상기 회전판(420, 440)의 회전 중심(C1, C2)은 상기 제 2 돌출면(135b)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420, 440)의 회전 중심(C1, C2)은 상기 구동부 커버(132, 134)의 중심(C3)과 편심을 이룬다.
일 예로, 상기 회전판(420, 440)의 회전 중심(C1, C2)은 상기 구동부 커버(132, 134)의 중심(C3)에서 상기 제 2 유로(114)의 중심선(A2)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편심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420, 440)의 회전 중심(C1, C2)과 상기 제 2 유로(114)의 중심선(A2) 사이에 상기 구동부 커버(132, 134)의 중심(C3)이 위치된다.
이때, 상기 회전판(420, 440)의 회전 중심(C1, C2)은 상기 제 2 돌출면(135b)의 중심(C4)과 일치하거나 상기 제 2 돌출면(135b)의 중심(C4)과 전후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182, 184)의 축선(A3, A4)과 상기 제 2 돌출면(135b)의 중심(C4) 사이에 상기 구동부 커버(132, 134)의 중심(C3)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182, 184)의 축선(A3, A4)과 상기 회전판(420, 440)의 회전 중심(C1, C2) 사이에 상기 구동부 커버(132, 134)의 중심(C3)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노즐 커버(130)(또는 노즐 본체 또는 노즐 하우징)의 전후 방향 길이를 이등분하는 중심축(Y)은 상기 제 2 돌출면(135b)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노즐 커버(130)의 전후 방향 길이를 이등분하는 중심축(Y)은 상기 제 2 돌출면(135b)의 중심(C4) 보다 상기 노즐 커버(130)의 전단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회전판>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판을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판을 하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3 및 도 34를 참조하면, 상기 각 회전판(420, 440)은, 회전 과정에서 상호 간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회전판(420, 440)는, 원형 링 형태의 외측 바디(420a)와, 상기 외측 바디(420a)의 중앙 영역에 위치되며 상기 외측 바디(420a)의 내주면과 이격되는 내측 바디(420b)와, 상기 내측 바디(420b)의 외주면과 상기 외측 바디(420a)의 내주면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리브(4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바디(420b)의 높이는 상기 외측 바디(420a)의 높이 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바디(420b)의 상면은 상기 외측 바디(420a)의 상면(420c)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각 회전판(420, 440)의 중앙부에는 상기 전달 축(190)이 결합되기 위한 축 결합부(421)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내측 바디(420b)의 중앙부에 상기 축 결합부(4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축 결합부(421)는 상기 내측 바디(420b)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면은 상기 외측 바디(420a)의 상면(420c)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전달 축(190)이 상기 축 결합부(42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축 결합부(421)에는 상기 전달 축(190)이 삽입되기 위한 축 수용홈(4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달 축(190)이 상기 축 결합부(42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판(420, 440)의 하측에서 체결부재가 상기 축 결합부(421)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전달 축(19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420, 440)은 상기 축 결합부(421)에서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물 통과홀(42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회전판(420, 440)의 하측에 걸레(402, 404)가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판(420, 440)이 회전되므로, 물이 상기 회전판(420, 440)을 통과하여 상기 걸레(402, 404)로 원활히 공급되도록, 상기 복수의 물 통과홀(424)은 상기 축 결합부(421)를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물 통과홀(424)은 복수의 연결 리브(425)에 의해서 구획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연결 리브(425)는, 상기 회전판(420, 440)의 상면(420c)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각 연결 리브(425)는 상기 외측 바디(420a)의 상면(420c)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물이 상기 연결 리브(425)에 낙하된 경우 물이 인접하는 물 통과홀(424)로 원활히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 리브(425)의 양측은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은 평면이거나 라운드진 면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 리브(425)의 수직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 리브(425)의 폭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증가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결 리브(425)에서 상기 외측 바디(420a)의 내주면과 연결되는 부분 및 상기 내측 바디(420b)의 외주면과 연결되는 부분은 수평 방향으로 라운드지며 전체 길이(회전판의 반경 방향으로 길이) 중에서 최대 폭을 가진다.
상기 내측 바디(420b)에는 상기 노즐 베이스(110)의 돌출 슬리브(116b)가 위치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홈부(421a)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 슬리브(116b)는 상기 홈부(421a)에 안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돌출 슬리브(116b)의 하면은 상기 상기 홈부(421a)의 바닥과 이격되되, 상기 내측 바디(420b)의 상면 보다는 낮게 된다.
상기 돌출 슬리브(116a)는 상기 축 결합부(421)를 둘러싼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420, 440)으로 낙하된 물이 상기 돌출 슬리브(116a)에 의해서 상기 축 결합부(421) 측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420, 440)이 회전 동작하므로, 상기 회전판(420, 440)에 원심력이 작용한다. 상기 회전판(420, 440)으로 분사된 물이 상기 원심력에 의해서 상기 회전판(420, 440)에서 상기 물 통과홀(424)을 통과하지 못한 상태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420, 440)의 상면에서 상기 물 통과홀(424)의 반경 방향 외측에는 물 차단 리브(426)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물 차단 리브(426)는 상기 외측 바디(420a)의 상면(420c)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물 차단 리브(426)는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 차단 리브(426)의 내측 영역에 상기 복수의 물 통과홀(424)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물 차단 리브(426)는 일 예로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 차단 리브(426)의 중심은 상기 노즐 베이스(110)에 형성되는 바닥 리브(111a)의 중심과 일치할 수 있다.
상기 노즐 베이스(110)의 상기 바닥 리브(111a)의 직경은 상기 물 차단 리브(426)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도 39참조). 따라서, 두 개의 리브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므로, 물 차단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판(420, 440)의 하면(420d)에는 상기 걸레(402, 404)가 부착되기 위한 부착수단(도 38의 428a 참조)이 설치되는 설치홈(428)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외측 바디(420a)의 하면에 상기 설치홈(42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착수단(도 38의 428a 참조)은 일 예로 벨크로(velcro)일 수 있다.
상기 회전판(420, 440)의 회전 중심(C1, C2)을 기준으로 복수의 설치홈(428)이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420, 440)의 하면(420b)에는 복수의 부착수단(도 38의 428a 참조)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설치홈(428)은 상기 회전판(420, 440)의 회전 중심(C1, C2)을 기준으로 상기 물 통과홀(424) 보다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회전판(420, 440)의 회전 중심(C1, C2)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상기 물 통과홀(424), 상기 설치홈(428)이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설치홈(428)은 일 예로 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설치홈(428)의 호의 길이는 인접하는 두 개의 설치홈 간의 간격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인접하는 두 개의 설치홈 사이 영역에 복수의 물 통과홀 중 일 통과홀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420, 440)의 하면(420b)에는 상기 걸레(402, 404)가 상기 부착수단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걸레(402, 404)와 접촉하는 접촉 리브(4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촉 리브(430)는 상기 회전판(420, 440)의 하면(420d)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접촉 리브(430)는 상기 외측 바디(420a)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접촉 리브(430)는 상기 물 통과홀(424)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접촉 리브(430)는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레(402, 404)는 일 예로 섬유 재질로서 자체적인 형태 변형이 가능하므로, 상기 걸레(402, 404)가 상기 부착수단에 의해서 상기 회전판(420, 440)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걸레(402, 404)와 상기 회전판(420, 440)의 하면(420d) 사이에 갭이 존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걸레(402, 404)와 상기 회전판(420, 440)의 하면(420d) 사이에 존재하는 갭이 크면, 물이 상기 물 통과홀(424)을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걸레(402, 404)로 흡수되지 못하고, 상기 회전판(420, 440)의 하면(420d)과 상기 걸레(402, 404)의 상면 사이 갭을 통해 외부로 유동하게 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걸레(402, 404)가 상기 회전판(420, 440)에 결합되면, 상기 접촉 리브(430)가 상기 걸레(402, 404)와 접촉될 수 있고, 상기 노즐(1)을 바닥면에 놓으면, 상기 노즐(1)의 하중에 의해서 상기 접촉 리브(430)가 상기 걸레(402, 404)를 가압한다.
따라서, 상기 접촉 리브(430)에 의해서 상기 회전판(420, 440)의 하면(420d)과 상기 걸레(402, 404)의 상면 사이에 갭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물 통과홀(424)을 통과한 물이 상기 걸레(402, 404)로 원활히 공급될 수 있다.
<물 공급 유로>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 탱크의 물을 회전 청소부로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 유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 탱크 내의 밸브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7은 물 탱크가 노즐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에서 밸브가 배출구를 개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판과 분사 노즐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즐 본체에서 분사 노즐의 물 배출구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 탱크에서 회전 청소부로 물이 공급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5 내지 도 40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물 공급 유로는, 상기 밸브 조작부(144)에 연결되는 제 1 공급관(282)과, 상기 제 1 공급관(282)에 연결되는 워터 펌프(270)와, 상기 워터 펌프(270)에 연결되는 제 2 공급관(28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워터 펌프(270)는, 상기 제 1 공급관(282)이 연결되는 제 1 연결 포트(272)와, 상기 제 2 공급관(284)이 연결되는 제 2 연결 포트(27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워터 펌프(270)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연결 포트(272)는 입구이고, 상기 제 2 연결 포트(274)는 출구이다.
또한, 상기 물 공급 유로는, 상기 제 2 공급관(284)이 연결되는 커넥터(2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285)는 제 1 연결부(285a), 제 2 연결부(285b) 및 제 3 연결부(285c)가 T자 형태로 배열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부(285a)에는 상기 제 2 공급관(284)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물 공급 유로는, 상기 제 2 연결부(285b)에 연결되는 제 1 분지관(286)과, 상기 제 3 연결부(285b)에 연결되는 제 2 분지관(28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분지관(286)을 유동한 물은 제 1 회전 청소부(40)로 공급될 수 있고, 상기 제 2 분지관(287)을 유동한 제 2 회전 청소부(41)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각 분지관(286, 287)의 길이가 동일하도록 상기 커넥터(285)는 상기 노즐 본체(10)의 중앙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커넥터(285)는 상기 유로 커버(136)의 하측 및 상기 유로 형성부(150)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넥터(285)는 상기 제 2 유로(114)의 직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285)에서 상기 각 분지관(286, 287)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양의 물이 분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워터 펌프(270)는 상기 물 공급 유로 상의 일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최소 개수의 워터 펌프(270)를 이용하여 상기 물 탱크(200)에서의 물 배출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워터 펌프(270)는 상기 밸브 조작부(144)와 상기 커넥터(285)의 제 1 연결부(285a)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워터 펌프(270)는 상기 밸브 조작부(144)가 설치된 부분과 가깝게 위치된 상태로 상기 노즐 커버(130)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노즐 본체(10)에서 상기 제 2 유로(114)의 중심선(A2)을 기준으로 양측방 중 일 측방에 상기 밸브 조작부(144) 및 상기 워터 펌프(27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공급관(282)의 길이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물 공급 유로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상기 각 분지관(286)은 상기 분사 노즐(149)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분사 노즐(149)도 본 발명의 물 공급 유로를 형성한다.
상기 분사 노즐(149)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분지관(186, 184)과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149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 노즐(149)은, 물 배출구(149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배출구(149b)는 상기 노즐 홀(119)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된다. 즉, 상기 물 배출구(149b)는 상기 노즐 하우징(100)의 외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물 배출구(149b)가 상기 노즐 하우징(100)의 외측에 위치되면, 상기 물 배출구(149b)를 통해 분사된 물이 상기 노즐 하우징(100) 내부로 인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노즐 베이스(110)의 바닥에는 상방으로 함몰된 홈(119a)이 형성되고, 상기 물 배출구(149b)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노즐 홀(119)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홈(119a)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홈(119a)에 상기 노즐 홀(11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 배출구(149b)가 상기 홈(119a)에서 상기 회전판(420, 440)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물 배출구(149b)의 하면은 상기 노즐 베이스(110)의 하면 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물 배출구(149b)는 상기 노즐 베이스(11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물 배출구(149b)의 하면은 상기 외측 바디(420a)의 상면(420c)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물 배출구(149b)의 단부와 상기 노즐 베이스(110)의 하면과의 거리(L4)(또는 상기 노즐 베이스(110)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물 배출구(149b) 까지의 돌출 길이는 대략 2mm 내외 일 수 있다.
상기 물 배출구(149b)의 단부와 상기 회전판(420, 440)의 상면(420c)과의 거리(L5)는 상기 물 배출구(149b)의 단부와 상기 노즐 베이스(110)의 하면과의 거리(L4) 보다 길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물 배출구(149b)의 단부와 상기 회전판(420, 440)의 상면과의 거리(L5)는 대략 3mm 내외 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물 배출구(149b)가 상기 노즐 베이스(110)의 하면 보다 낮게 위치되면서 상기 회전판(420, 440)의 상면(420c) 보다는 높게 위치되므로, 상기 물 배출구(149b)가 회전판(420, 440)의 회전 과정에서 회전판과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물 배출구(149b)에서 분사되는 물은 상기 회전판(420, 440)의 물 통과홀(424)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회전판(420, 440)은 회전 동작하므로, 상기 물 배출구(149b)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물 통과홀(424)을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회전판(420, 440)과 부딪힐 가능성도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물 배출구(149b)가 상기 노즐 베이스(110)의 하면 보다 낮게 위치되므로, 상기 물 배출구(149b)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회전판(420, 440)의 상면(420c)과 부딪히더라도 물이 상기 걸레(402, 404)으로 이동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420, 440)의 상면(420c)과 부딪힌 물이 상기 노즐 베이스(110)의 하면 측으로 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420, 440)의 중심에서 상기 물 통과홀(424)의 최소 반경은 R2이고, 상기 회전판(420, 440)의 중심에서 상기 물 통과홀(424)의 최대 반경은 R3이다.
상기 회전판(420, 440)의 중심에서 상기 물 배출구(149b)의 중심까지의 반경은 R4이다. 이때, R4는 R2 보다 크고 R3 보다 작다.
상기 R3과 R2의 차이인 D1은 상기 물 배출구(149b)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R3과 R2의 차이인 D1은 상기 물 통과홀(424)의 최소 폭(W1) 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회전판(420, 440)의 외경은 R1이라고 할 때, 상기 R3는 R1의 절반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회전 중심(C1)과 상기 제 1 유로(112)의 중심선(A1)을 수직하게 연결하는 선을 제 1 연결선(A6)이라고 하고, 상기 제 2 회전 중심(C2)과 상기 제 1 유로(112)의 축선(A1)을 수직하게 연결하는 선을 제 2 연결선(A7)이라고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회전 청소부(40, 41)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한 쌍의 물 배출구(149b) 사이 영역에 상기 제 1 연결선(A6)과 상기 제 2 연결선(A7)이 위치된다.
즉, 상기 물 배출구(149b)와 상기 제 2 유로(114)의 중심선(A2) 까지의 수평 거리(D3)는 상기 각 회전판(420, 440)의 회전 중심(C1, C2)과 상기 제 2 유로(114)의 중심선(A2) 까지의 수평 거리(D2) 보다 길다.
이는, 상기 제 2 유로(114)가 상기 노즐(1)의 중앙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상기 회전판(420, 440)의 회전 과정에서 물이 상기 제 2 유로(114)를 통해 상기 노즐(1) 내부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물 배출구(149b)와 상기 제 1 유로(112)의 중심선(A1) 간의 수평 거리는 상기 각 회전 중심(C1, C2)과 상기 제 1 유로(112)의 중심선(A1) 간의 수평 거리 보다 짧다.
상기 물 배출구(149b)는, 상기 연결선(A6, A7)을 기준으로 상기 구동 모터(182, 184)의 축선(A3, A4)의 반대편에 위치된다.
한편, 상기 밸브(230)는, 가동부(234)와, 개폐부(238) 및 고정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32)는, 상기 제 1 바디(210)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용 리브(217)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32)에는 상기 가동부(234)가 관통하기 위한 개구(23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32)는 상기 고정용 리브(217)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동부(234)가 상기 고정부(232)의 상방으로 일정 높이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상기 가동부(234)는 일부가 상기 개구(232a)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가동부(234)가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물이 개구(232a)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가동부(234)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개폐부(238)가 결합되는 제 1 연장부(234a)와,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개구(232a)를 관통하는 하부 연장부(23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동부(234)는 탄성 부재(236)에 의해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263)는 일 예로 코일 스프링으로서 일단은 상기 고정부(232)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가동부(234)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236)는 상기 가동부(234)가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힘을 상기 가동부(234)로 제공한다.
상기 개폐부(238)는 상기 가동부(234)의 상하 이동에 의해서 상기 배출구(216)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개폐부(238)의 적어도 일부의 직경은 상기 배출구(216)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개폐부(238)가 상기 배출구(216)를 막을 수 있다.
상기 개폐부(238)가 상기 배출구(216)을 막은 상태에서 물의 누설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개폐부(238)는 일 예로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부(234)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상기 탄성 부재(236)의 탄성력이 상기 가동부(234)로 작용하여 상기 개폐부(238)가 상기 배출구(216)를 막은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가동부(234)는, 상기 물 탱크(200)가 상기 노즐 본체(10)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밸브 조작부(144)에 의해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밸브 조작부(14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노즐 커버(130)의 하측에서 상기 노즐 커버(130)에 결합된다.
상기 밸브 조작부(144)는 상기 물 통과 개구(145)를 통과하는 가압부(144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144a)는 상기 노즐 커버(130)의 물 통과 개구(145)를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노즐 커버(130)의 바닥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밸브 조작부(144)는 상기 노즐 커버(130)의 바닥과 함께, 물 공급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밸브 조작부(144)의 일측에는 상기 제 1 공급관(282)이 연결되기 위한 연결관(144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144a)가 상기 물 통과 개구(145)를 통과한 상태에서 물이 원활히 유동되도록 상기 물 통과 개구(145)의 직경은 상기 가압부(144a)의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200)가 상기 노즐 본체(10)에 장착되면, 상기 가압부(144a)가 상기 물 탱크(200)의 배출구(216) 내부로 인입된다. 상기 가압부(144a)가 상기 물 탱크(200)의 배출구(216)로 인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압부(144a)가 상기 가동부(234)를 가압한다.
그러면, 상기 가동부(234)가 상승하게 되고, 상기 가동부(234)에 결합된 상기 개폐부(238)가 상기 가동부(234)와 함께 상승하여 상기 배출구(216)와 이격되어 배출구(216)을 개방시킨다.
그러면, 상기 물 탱크(200) 내부의 물이 상기 배출구(216)를 통해 배출되어 상기 물 통과 개구(145)를 통해 상기 밸브 조작부(144) 내의 흡수 부재(147)로 흡수된다. 상기 흡수 부재(147)에서 머금은 물이 상기 연결관(144c)에 연결된 제 1 공급관(282)으로 공급된다.
상기 제 1 공급관(282)로 공급된 물은 상기 워터 펌프(270) 내부로 인입된 후에 상기 제 2 공급관(284)으로 유동된다. 상기 제 2 공급관(284)으로 유동된 물은 상기 커넥터(285)에 의해서 상기 제 1 분지관(286) 및 제 2 분지관(287)으로 유동된다. 상기 각 분지관(286, 287)으로 유동된 물은 상기 분사 노즐(149)에서 상기 회전 청소부(40, 41)를 향해 분사된다.
상기 분사 노즐(149)에서 분사된 물은 상기 회전판(420, 440)의 물 통과홀(424)을 통과한 후에 상기 걸레(402, 404)로 공급된다. 상기 걸레(402, 404)로 공급된 물을 흡수한 상태로 회전되면서 바닥을 닦게 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물 탱크(200)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흡수 부재(147)를 지난 후에 상기 제 1 공급관(282)으로 지나므로, 상기 흡수 부재(147)가 상기 워터 펌프(270)의 펌핑력에 의해서 발생된 압력을 흡수하므로, 물이 급작스럽게 상기 커넥터(285)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 경우, 상기 제 1 분지관(286)과 상기 제 2 분지관(287) 중 어느 한 쪽으로 수압이 집중되어 물이 어느 한 분지관으로 집중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관이 분리된 청소기의 노즐을 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2은 도 41의 'A' 영역 단면도이다. 도 43은 도 42의 가스켓의 사시도이다.
도 41 내지 도 43을 참조하면, 상기 물 탱크(200)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공기홀(219)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물 탱크(200)에 하나의 공기홀(219)이 형성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상기 공기홀(219)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기홀(219)은 상기 물 탱크(200)의 일측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공기홀(219)은 상기 물 탱크(200)에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전후 연장벽(215b) 중 어느 한 벽에 형성될 수 있다.
기 한 쌍의 전후 연장벽(215b)은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 상기 연결관(50)이 위치되어도 상기 공기홀(219)이 형성된 전후 연장벽(215b)의 일부가 상기 연결관(50)과 이격되므로, 공기가 상기 공기홀(219)로 원활히 공급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공기홀(219)에는 가스켓(290)이 압입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290)은 외부 공기를 상기 물 탱크(200) 내부 공간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290)은 외측의 공기는 상기 물 탱크(200) 내측으로 유입시키는 반면, 상기 물 탱크(200)의 물은 외측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단속한다는 점에서 체크밸브라고 칭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290)은 외력에 의해서 형상이 변형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스켓(290)은 폴리 에틸렌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을 아니다.
상기 가스켓(290)은 일 예로 원통형의 몸통(29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통(293)은 그 일측 단부가 상기 공기홀(219)을 관통하여 상기 물 탱크(200)의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통(293)의 타측 단부는 물 탱크(20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몸통(293)의 외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실링돌기(294, 295)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 돌기(294,295)의 외경은 상기 공기홀(219)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실링 돌기(294,295)가 형성되면, 상기 몸통(293)과 공기홀(219) 사이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링 돌기(294,295)가 복수 개가 형성된 경우, 그 중 일부는 상기 물 탱크(20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몸통(293)의 타측 단부에는 몸통(293) 및 실링 돌기(294,295) 보다 외경이 확장된 형태의 플랜지(29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292)는 상기 공기홀(219) 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상기 플랜지(292)에 의해 상기 가스켓(290) 전체가 물 탱크(200)의 내측으로 진입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가스켓(290)에는 중심부에 공기가 유동하는 공기 유로(291)가 형성되고, 그 타측 단부에는 칼집을 낸 형태의 슬릿(297)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스켓(290)의 타측 단부는 상기 물 탱크(200) 내에서 물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물의 압력에 의해서 상기 가스켓(29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슬릿(297)이 막히도록 상기 가스켓(290)은 일 지점에서 타측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들게 형성되어, 외측에 경사면(296)을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슬릿(297)을 중심으로, 양측에 경사면(296)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물 탱크(200) 내압이 낮아지지 않은 상태(물이 배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가스켓(29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경사면(296)으로 수압이 작용하여 가스켓(290)의 타측 단부는 내측으로 오므라들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슬릿(297)이 막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물 탱크(200) 내부의 물이 상기 슬릿(297)을 통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슬릿(297)이 상기 물 탱크(200)의 수압에 의해서 막힌 상태가 되므로, 상기 가스켓(29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공기가 상기 슬릿(297)을 통해 상기 물 탱크(200)의 내부로 공급되지 않는다.
반면, 물 탱크(200) 내압이 낮아지는 상태(물이 배출되는 상태)에서는 가스켓(290)을 통해서, 외부 공기가 물 탱크(200)로 공급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펌프 모터(280)가 작동하면, 워터 펌프(270)에 의해, 상기 물 탱크(200)의 물이 상기 배출구(216)를 통해서 배출된다. 상기 물 탱크(200)의 내압이 순간적으로 낮아지게 된다.
상기 가스켓(290)의 경사면(296)에 가해진 압력 또한 낮아지면서, 가스켓(290)의 타측 단부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슬릿(297)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슬릿(297)이 개방되면 외기가 상기 슬릿(297)을 통해 상기 물 탱크(200)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슬릿(297)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슬릿(297) 주변의 물의 표면 장력 및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힘이 상기 물 탱크(200) 내의 수압보다 크게 되어, 물이 상기 슬릿(297)을 통해 상기 물 탱크(200)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워터 펌프(270)가 작동하지 않을 때, 상기 물 탱크(200)의 물이 상기 가스켓(29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워터 펌프(270)가 작동한 상태에서는 상기 가스켓(290)의 슬릿(297)을 통해 공기가 상기 물 탱크(200)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상기 물 탱크(200)의 물이 상기 걸레(402,404)로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1: 노즐 10: 노즐 본체
20: 연결관 40, 41: 회전 청소부
100: 노즐 하우징 149: 분사 노즐
200: 물 탱크
270: 워터 펌프 280: 펌프 모터
282: 제 1 공급관 284: 제 2 공급관
285: 커넥터 286: 제 1 분지관
287: 제 2 분지관
402, 404: 걸레 420, 440: 회전판

Claims (23)

  1. 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유동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로를 포함하는 흡입유로를 구비하는 노즐하우징;
    상기 노즐 하우징에 장착되며, 걸레로 공급되기 위한 물을 저장하는 물 탱크;
    상기 노즐 하우징의 하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며, 각각이 상기 걸레가 부착될 수 있는 회전판을 구비하는 제1회전청소부 및 제2회전청소부;
    상기 노즐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2 회전 청소부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구동장치; 및
    상기 노즐 하우징의 바닥벽에 구비되며, 상기 물 탱크의 물을 상기 각 회전 청소부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판의 회전중심과 이격되는 물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에는, 물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물이 통과하는 물 통과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로는 상기 물 배출구보다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물 배출구의 하면은, 상기 회전판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청소기의 노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배출구의 하면은, 상기 노즐 하우징의 바닥벽의 하면보다 낮게 위치되는 청소기의 노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 배출구의 하면은, 상기 회전판의 상면보다 높게 위치되는 청소기의 노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물 배출구의 하면과 상기 회전판의 상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물 배출구의 하면과 상기 노즐 하우징의 바닥벽의 하면 사이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는 청소기의 노즐.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로는, 상기 회전판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물 통과홀보다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되는 청소기의 노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물 차단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물 배출구 및 상기 물 통과홀은 상기 물 차단 리브의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되는 청소기의 노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링 형태의 외측 바디; 및
    상기 외측 바디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외측 바디의 내주면과 이격되는 내측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물 차단 리브는, 상기 외측 바디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청소기의 노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물 배출구의 하면은, 상기 외측 바디의 상면보다 높게 위치되는 청소기의 노즐.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하우징의 바닥벽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바닥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 리브의 중심은 상기 물 차단 리브의 중심과 일치되는 청소기의 노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리브의 직경은, 상기 물 차단 리브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청소기의 노즐.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과 상기 회전판의 회전중심 간의 수평 거리보다, 상기 중심선과 상기 물 배출구 간의 수평 거리가 긴 청소기의 노즐.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하우징의 바닥벽에는, 상기 물 배출구가 관통되기 위한 홀이 형성되며,
    상기 물 배출구는 상기 홀을 관통하여 상기 노즐 하우징의 바닥벽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청소기의 노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하우징의 바닥벽에는, 상기 물 배출구가 위치하기 위하여 상방으로 함몰된 홈이 형성되고,
    상기 물 배출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홀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홈 내에 위치되는 청소기의 노즐.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 청소부의 회전판의 회전중심과 상기 제 2 회전 청소부의 회전판의 회전중심은, 각각 상기 중심선의 양 측에 위치되는 청소기의 노즐.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유로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로는, 제1유로와 연통되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유로인 청소기의 노즐.
  16. 제 15 항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제1유로의 중심선과 상기 물 배출구 사이의 수평 거리는, 상기 제1유로의 중심선과 상기 회전판의 회전 중심 사이의 수평 거리보다 짧게 형성되는 청소기의 노즐.
  1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에는, 상기 회전중심을 둘러싸며 상기 구동장치와의 결합을 위한 축 결합부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노즐 하우징의 바닥벽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축 결합부를 둘러싸도록 결합되는 돌출 슬리브가 구비되는 청소기의 노즐.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물 배출구 및 상기 물 통과홀은 상기 돌출 슬리브보다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되는 청소기의 노즐.
  19. 제 4 항, 제 8 항, 제 13 항, 제 16항,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 통과홀은 상기 회전판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복수 개가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청소기의 노즐.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통과홀은 상기 회전판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복수 개가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회전판의 회전중심에서 상기 물 통과홀 사이의 최소반경(R2)은, 상기 회전판의 회전중심에서 상기 물 배출구의 중심까지의 반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청소기의 노즐.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회전 중심에서 상기 물 통과홀 사이의 최대반경(R3)은, 상기 회전판의 회전중심에서 상기 물 배출구의 중심까지의 반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청소기의 노즐.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반경(R3)과 상기 최소반경(R2)의 차이는, 상기 물 배출구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청소기의 노즐.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반경(R3)과 상기 최소반경(R2)의 차이는, 상기 물 통과홀의 원주 방향 최소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청소기의 노즐.
KR1020200137103A 2018-04-30 2020-10-21 청소기의 노즐 KR102317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402A KR102422950B1 (ko) 2018-04-30 2021-10-15 청소기의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50085 2018-04-30
KR1020180050085 2018-04-30
KR1020190044986A KR102170834B1 (ko) 2018-04-30 2019-04-17 청소기의 노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986A Division KR102170834B1 (ko) 2018-04-30 2019-04-17 청소기의 노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7402A Division KR102422950B1 (ko) 2018-04-30 2021-10-15 청소기의 노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762A true KR20200123762A (ko) 2020-10-30
KR102317112B1 KR102317112B1 (ko) 2021-10-22

Family

ID=6857921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986A KR102170834B1 (ko) 2018-04-30 2019-04-17 청소기의 노즐
KR1020200137103A KR102317112B1 (ko) 2018-04-30 2020-10-21 청소기의 노즐
KR1020210137402A KR102422950B1 (ko) 2018-04-30 2021-10-15 청소기의 노즐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986A KR102170834B1 (ko) 2018-04-30 2019-04-17 청소기의 노즐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7402A KR102422950B1 (ko) 2018-04-30 2021-10-15 청소기의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1708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1470A (ko) * 2020-03-30 2021-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
CN113647865A (zh) * 2021-07-28 2021-11-16 深圳市银星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清洁机器人以及清洁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4652A (ko) * 2003-07-30 2005-02-07 한경희 진공 청소 기능을 갖는 스팀 청소기
KR100582285B1 (ko) * 2004-10-11 2006-05-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물걸레 청소기
KR101595727B1 (ko) * 2015-06-16 2016-02-19 김종란 회전식 물걸레 진공청소기
KR20180008248A (ko) * 2016-07-14 2018-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515B1 (ko) * 2000-03-28 2003-10-0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걸레 및 이를 채용한 진공청소기의 회전형걸레 구동장치
KR200195057Y1 (ko) * 2000-03-30 2000-09-01 김종빈 물걸레 자동 청소기
KR101655684B1 (ko) * 2015-06-15 2016-09-07 김인기 물걸레 및 스팀 겸용 청소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4652A (ko) * 2003-07-30 2005-02-07 한경희 진공 청소 기능을 갖는 스팀 청소기
KR100582285B1 (ko) * 2004-10-11 2006-05-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물걸레 청소기
KR101595727B1 (ko) * 2015-06-16 2016-02-19 김종란 회전식 물걸레 진공청소기
KR20180008248A (ko) * 2016-07-14 2018-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5938A (ko) 2019-11-07
KR102170834B1 (ko) 2020-10-28
KR20210128969A (ko) 2021-10-27
KR102317112B1 (ko) 2021-10-22
KR102422950B1 (ko) 2022-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9205B1 (ko) 청소기의 노즐
KR102359249B1 (ko) 청소기의 노즐
KR102373575B1 (ko) 청소기
TWI846588B (zh) 用於清掃機的吸嘴
KR102422950B1 (ko) 청소기의 노즐
KR20240136272A (ko) 청소기의 노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