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2941A -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2941A
KR20200122941A KR1020190046373A KR20190046373A KR20200122941A KR 20200122941 A KR20200122941 A KR 20200122941A KR 1020190046373 A KR1020190046373 A KR 1020190046373A KR 20190046373 A KR20190046373 A KR 20190046373A KR 20200122941 A KR20200122941 A KR 20200122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lter
power
ai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상
김동운
박봉균
윤유술
이철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6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2941A/ko
Publication of KR20200122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9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24F3/16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F24F2003/1639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반경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하여 토출하는 제1송풍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송풍유닛에는, 제1흡입부가 형성되는 제1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의 하측에 제공되는 베이스; 상기 제1케이스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토출부; 상기 제1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고, 공기를 유동시키는 제1팬; 상기 제1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필터 프레임; 및 상기 제1필터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흡입부로부터 상기 제1토출부를 향해 유동되는 공기를 필터링 하는 제1필터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제1필터 프레임에는, 무선 전원을 송신하는 제1전원 송신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필터부재에는, 상기 제1전원 송신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무선 전원을 수신하는 제1전원 수신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 청정기{Air 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장치로서 이해된다. 일례로, 공기 청정기에는, 외부의 공기를 공기 청정기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송풍장치 및 공기 중 먼지나 세균 등을 필터링 할 수 있는 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 청정기는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실내공간을 정화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공기 청정기는 주변의 공기는 정화될 수 있는 반면, 상기 공기 청정기로부터 멀리 떨어진 공간의 공기는 정화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아래와 같은 선행문헌을 개시한 바 있다.
1. 공개번호 (공개일자): KR10-2017-0101093 (2017년 9월 5일)
2. 발명의 명칭: 공기 청정기
상기 선행문헌에 의하면, 공기 청정기로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용량을 개선한 공기 청정기가 개시된다. 또한, 상기 공기 청정기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다양한 방향으로 토출되고, 먼 거리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 청정기가 개시된다.
그러나 선행문헌에 의하면, 공기 청정기로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용량이 증가되기에 필터부재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이 증가되고,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필터링 하는 필터부재의 수명이 급속하게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급속하게 수명이 감소된 필터부재를 교체해야 하기에 필터부재의 교체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은 필터부재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크기 배제 메커니즘에 의해 필터부재에 필터링 되기에, 다수의 이물질이 필터부재에 흡착되면 필터부재의 효율이 급격하게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필터부재의 작동 유효 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필터부재에 흡착된 이물질에 의해 필터부재의 효율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필터부재의 청소가 용이하도록 하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필터부재를 작동하기 위한 전원 공급 구조를 개선하여 필터부재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공기 청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유동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재의 일부를 전기 집진 필터로 구성하여, 필터부재에 흡착되는 이물질이 필터부재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필터부재의 작동 유효 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전원의 공급 여부에 따라 필터부재의 일부가 작동되도록 하여, 필터부재에 흡착된 이물질을 분리할 수 있고, 필터부재에 흡착된 이물질이 분리되기에 필터부재의 청소가 용이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필터부재의 일부를 작동시키기 위해 공급되어야 하는 전원을 무선 전원 공급 방식으로 구성하여, 필터부재가 결합 및 분리 시 전원의 공급 여부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필터부재의 일부로부터 분리되는 이물질이 저장될 수 있는 이물 저장 공간을 구성하여, 필터부재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저장될 수 있고, 저장된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무선 전원 공급 방식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여, 전원의 공급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송풍유닛과 제2송풍유닛으로 무선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제1송풍유닛과 제2송풍유닛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터부재의 작동 유효 시간이 증가되어 장시간 공기 청정기를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터부재에 흡착된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기에 사용자의 편리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터부재의 결합 및 분리 여부에 따라 필터부재의 작동 여부가 조절될 수 있기에 공기 청정기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터부재로부터 분리되는 이물질을 일 공간에 저장하고, 저장된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터부재를 작동하기 위한 전원을 간접적 접촉 방식인 무선 선원 공급 방식으로 공급하여, 직접적 전원 공급 방식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II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송풍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부재의 하측에 구비되는 부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도 8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10은 도 8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 프레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팬하우징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부재가 장착공간에 설치 및 분리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필터부재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필터부재의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부재로 전원이 공급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송신부 및 전원 수신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9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서의 공기유동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타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타 실시 예에 따른 필터부재로 전원이 공급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에는,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장치(100,200) 및 상기 송풍장치(100,200)에서 발생된 공기유동의 토출방향을 전환시키는 유동 조절장치(300)가 포함된다. 상기 송풍장치(100,200)에는, 제1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1송풍장치(100) 및 제2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2송풍장치(200)가 포함된다.
상기 제1송풍장치(100)와 제2송풍장치(200)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송풍장치(200)는 상기 제1송풍장치(1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공기유동은,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하부측에 존재하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유동을 형성하며, 상기 제2공기유동은,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상부측에 존재하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유동을 형성한다.
상기 제1,2송풍장치(100,200)는, 청정공간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점에서, 각각 "제1공기청정 모듈(100)", 제2공기청정모듈(200)"이라 이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송풍장치(100)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점에서 "하부 공기청정 모듈" 또는 "하부 모듈"이라 이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송풍장치(200)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점에서, "상부 공기청정 모듈" 또는 "상부 모듈"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청정기(10)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1,201)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101,201)에는, 상기 제1송풍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101)가 포함된다. 상기 제1케이스(101)는 원통형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케이스(101)의 상부는 하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케이스(101)는 끝부분이 잘린 원뿔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케이스(101)에는, 걸림장치가 구비되는 제1분리부(101a)를 통하여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는 2개의 파트가 포함된다.
상기 제1케이스(101)에는, 반경 방향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제1흡입부(102)가 형성된다. 상기 제1흡입부(102)는 상기 제1케이스(101)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공을 포함한다. 상기 제1흡입부(102)는 다수 개가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제1흡입부(102)는, 상기 제1케이스(101)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서라도 공기 흡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케이스(101)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고르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케이스(101)의 내부중심을 지나는 상하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360도 방향에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케이스(101)가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흡입부(102)가 상기 제1케이스(101)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 형성됨으로써, 공기의 흡입량이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공기 청정기의 케이스와 같이, 모서리부를 가지는 육면체 형상을 회피함으로써, 흡입되는 공기에 대한 유동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상기 제1흡입부(102)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제1케이스(101)의 외주면으로부터 대략 반경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방향을 정의한다. 도 1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축 방향이라 이름하고, 가로 방향으로 반경 방향으로 이름한다. 상기 축 방향은, 후술할 제1팬(160) 및 제2팬(260)의 중심축 방향, 즉 팬의 모터축 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경 방향은 상기 축 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원주 방향이란, 상기 축 방향을 중심으로 하고 상기 반경 방향의 거리를 회전반경으로 하여 회전할 때 형성되는 가상의 원 방향으로서 이해된다.
상기 제1송풍장치(100)에는, 상기 제1케이스(101)의 하측에 제공되며 지면에 놓여지는 베이스(2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베이스(20)는, 상기 제1케이스(101)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케이스(101)와 상기 베이스(20)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베이스흡입부(103)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흡입부(103)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베이스(20)의 상측에 구비되는 흡입그릴(110, 도 2 참조)의 흡입구(112)를 통하여 상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송풍장치(100)에는, 복수의 흡입부(102,103)가 포함된다. 실내공간의 하부에 존재하는 공기는 상기 복수의 흡입부(102,103)를 통하여 상기 제1송풍장치(100)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의 흡입량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제1송풍장치(100)의 상부에는, 제1토출부(105)가 형성된다. 상기 제1토출부(105)는, 상기 제1송풍장치(100)에 구비되는 제1토출가이드 장치(190, 도 2 참조)의 제1토출그릴(195)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토출가이드 장치(190)는 상기 제1송풍장치(100)의 상단부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제1토출부(105)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상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1,201)에는, 상기 제2송풍장치(2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2케이스(201)가 포함된다. 상기 제2케이스(201)는 원통형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케이스(201)의 상부는 하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케이스(201)는 끝부분이 잘린 원뿔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케이스(201)에는, 걸림장치가 구비되는 제2분리부(201a)를 통하여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는 2개의 파트가 포함된다. 상기 제2케이스(201)는, 상기 제1케이스(101)와 마찬가지로 개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자세한 설명은, 상기 제1케이스(101)에 관한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제2케이스(201)의 하단부 직경은, 상기 제1케이스(101)의 상단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101,201)의 전체적인 형상 관점에서, 케이스(101,201)의 하부 단면적은 상부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공기 청정기(10)는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2케이스(201)에는, 반경 방향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제2흡입부(202)가 형성된다. 상기 제2흡입부(202)는 상기 제2케이스(201)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공을 포함한다. 상기 제2흡입부(202)는 다수 개가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제2흡입부(202)는, 상기 제2케이스(201)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서라도 공기 흡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케이스(201)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고르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2케이스(201)의 내부중심을 지나는 상하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360도 방향에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케이스(201)가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흡입부(202)가 상기 제2케이스(201)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 형성됨으로써, 공기의 흡입량이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공기 청정기의 케이스와 같이, 모서리부를 가지는 육면체 형상을 회피함으로써, 흡입되는 공기에 대한 유동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상기 제2흡입부(202)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제2케이스(201)의 외주면으로부터 대략 반경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청정기(10)에는, 상기 제1송풍장치(100)와 상기 제2송풍장치(200)의 사이에 구비되는 구획장치(400)가 포함된다. 상기 구획장치(400)에는, 상기 제1송풍장치(100)에서 발생되는 공기유동과, 상기 제2송풍장치(200)에서 발생되는 공기유동을 분리 또는 차단하기 위한 구획판(430)이 포함된다. 상기 구획판(430)에 의하여, 상기 제1,2송풍장치(100,200)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는 상기 제2송풍장치(20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 유동을 기준으로, 상기 제2송풍장치(200)의 공기유로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공기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2송풍장치(20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공기유로를 경유하며, 제2토출부(30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2토출부(305)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상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는 움직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는, 누워있는 상태(제1위치)에 있거나, 경사지게 세워진 상태(제2위치)에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상부에는, 공기 청정기(10)의 운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와 함께 움직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송풍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송풍장치(100)에는, 베이스(20) 및 상기 베이스(20)의 상측에 배치되는 흡입그릴(110)이 포함된다.
상기 베이스(20)에는, 지면에 놓여지며 상기 흡입그릴(110)을 지지하는 그릴지지부(21a)를 가지는 베이스본체(21)가 포함된다. 상기 그릴지지부(21a)는 대략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흡입그릴(110)의 하부돌출부(116)는 상기 그릴지지부(21a)의 내측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본체(21)와 상기 흡입그릴(110)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20)와 상기 흡입그릴(110)의 사이에는, 공기의 흡입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흡입부(103)가 형성된다.
상기 제1송풍장치(100)에는, 상기 흡입그릴(110)의 상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레버장치(142)가 구비된다. 상기 레버장치(142)는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버본체(143)의 외주면에는, 핸들(144)이 구비된다.
상기 레버장치(142)의 상측에는, 상기 제1필터부재(120)를 지지하는 지지장치(140)가 제공된다. 상기 레버장치(142)는 상기 지지장치(140)의 하면을 지지한다. 상기 지지장치(140)는 하부 프레임(131)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부재(120)의 하측을 지지하며, 다수의 제1필터지지부(135)는 상기 지지장치(140)의 둘레를 따라 배열된다.
상기 지지장치(140)의 상측에는, 상기 제1흡입부(102) 또는 상기 베이스흡입부(10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 중 이물을 필터링 하기 위한 제1필터부재(120)가 구비된다. 상기 제1필터부재(120)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필터부재(120)의 외주면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부재(1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 중 미세먼지와 같은 불순물이 걸러질 수 있다.
상기 제1필터부재(120)가 원통형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제1필터부재(120)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서나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다. 따라서, 공기의 필터링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필터부재(120)에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상의 필터부를 가지는 필터본체(121,125) 및 상기 필터본체(121,125)의 상단부에 개구되어 형성되는 필터공(122)이 포함된다. 상기 필터본체(121,125)에는, 제1필터부(121) 및 제2필터부(125)가 포함된다 (도 7 참조).
상기 제1필터부재에는, 상기 필터본체(121,125)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는 필터손잡이(120a)가 더 포함된다. 공기는 상기 필터본체(121,125)의 외주면을 통하여 상기 필터본체(121,125)의 내측으로 유입되며, 상기 필터공(122)을 통하여 상기 제1필터부재(12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송풍장치(100)에는, 상기 제1필터부재(120)의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제1필터프레임(130)이 더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제1필터프레임(130)에는, 상기 제1필터프레임(130)의 하부를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131) 및 상기 제1필터프레임(130)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 프레임(132)이 포함된다.
상기 하부 프레임(131)은 상기 제1필터부재(120)의 하부를 둘러싸도록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프레임(131)에는, 상기 제1케이스(101)의 걸림돌기(미도시)가 결합되는 걸림부(131b)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131b)는 제1필터지지부(135)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132)은 상기 제1필터부재(120)의 상부를 둘러싸도록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132)은 상기 하부 프레임(131)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상기 상부 프레임(132)의 링 형상의 내부 공간은 프레임개구부(132a)를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개구부(132a)는 상기 제1필터부재(120)의 필터공(122)에 연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개구부(132a)는 상기 제1필터프레임(130)을 통과하는 공기유로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제1필터부재(120)의 필터공(122)을 통하여 배출된 공기는 상기 프레임개구부(132a)를 통하여 제1팬하우징(15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필터부재(120)는 제1팬(160)의 흡입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132)의 상부는 제1팬하우징(15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팬하우징(150)의 하부에는, 상기 제1팬하우징(150)의 내부로 공기의 유입을 가이드 하는 제1팬유입부(156)가 형성된다. 상기 제1팬유입부(156)에는, 상기 프레임개구부(132a)와 연통하는 팬 유입공(156a)이 형성된다.
달리 말하면, 상기 제1팬하우징(150)는 상기 상부 프레임(132)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팬 유입공(156a)과 상기 프레임개구부(132a)는 상하 방향으로 정렬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프레임개구부(132a)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팬 유입공(156a)을 통하여 상기 제1팬하우징(15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제1팬하우징(150)의 외측으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팬유입부(156)에는 그릴이 제공되어, 상기 제1필터부재(120)가 분리되었을 때, 사용자가 상기 제1팬하우징(150)의 내부로 손가락등을 집어 넣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프레임(130)에는, 상기 하부 프레임(131)으로부터 상기 상부 프레임(132)을 향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필터지지부(135)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1필터지지부(135)에 의하여, 상기 제1,2프레임(131,132)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지지부(135)는 다수 개가 제공되며, 상기 다수 개의 제1필터지지부(135)는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131,132)의 테두리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131,132) 및 상기 다수의 제1필터지지부(135)에 의하여, 상기 제1필터부재(120)의 장착공간(130a)이 정의된다.
한편, 상기 제1필터지지부(135)의 외측에는, 프레임커버(136)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커버(136)는, 상기 제1필터지지부(135)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필터지지부(135)와 상기 프레임커버(136)의 사이에는, 전선이 위치하는 전선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선은 팬모터(165,265,335), PCB 장치(5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600)등을 연결하는 전기선을 포함한다.
상기 제1필터프레임(130)에는, 센서장치(137)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장치(137)에는, 공기 중 먼지의 양을 감지하는 먼지센서(137a) 및 공기 중 가스의 양을 감지하는 가스센서(137b)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장치(137)에는, 상기 먼지센서(137a) 및 가스센서(137b)를 차폐하는 센서커버(137c)가 더 포함된다.
상기 먼지센서(137a) 및 가스센서(137b)는 상기 제1필터프레임(130)의 상부 프레임(132)에 지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132)에는, 상기 센서장치(137)가 설치될 수 있는 센서장착부(13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장착부(138)는 상기 상부 프레임(132)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송풍장치(100)에는, 공기 중 냄새입자를 제거하거나 살균하기 위한 이오나이저(158)가 더 포함된다. 상기 이오나이저(158)는 상기 제1팬하우징(150)에 결합되며, 상기 제1팬하우징(15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에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센서장치(137)와 상기 이오나이저(158)는 후술할 제2송풍장치(200)에도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센서장치(137)와 상기 이오나이저(158)는 상기 제1송풍장치(100) 및 제2송풍장치(200) 중 하나의 송풍장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팬(160)은 상기 제1팬유입부(156)의 상측에 놓여지며, 상기 제1팬하우징(150)의 하우징공간부(150a)에 수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팬(160)에는, 축 방향으로 공기를 유입하여 반경 방향 상측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원심팬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제1팬(160)에는, 원심팬 모터인 제1팬모터(165)의 회전축(165a)이 결합되는 허브(161)와, 상기 허브(161)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쉬라우드(162) 및 상기 허브(161)와 상기 쉬라우드(162)의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블레이드(163)가 포함된다. 상기 제1팬모터(165)는 상기 제1팬(16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송풍장치(100)에는, 상기 제1팬(16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팬(160)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1에어가이드장치(17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1에어가이드 장치(170)에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외벽(171) 및 상기 외벽(171)의 내측에 위치되며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내벽(172)이 포함된다. 상기 외벽(171)은 상기 내벽(172)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외벽(171)의 내주면과, 상기 내벽(172)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제1공기유로(172a)가 형성된다.
상기 제1에어가이드 장치(170)에는, 상기 제1공기유로(172a)에 배치되는 가이드 리브(175)가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 리브(175)는 상기 내벽(172)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외벽(171)의 내주면으로 연장된다. 상기 가이드 리브(175)는 다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가이드 리브(175)는 상기 제1팬(160)을 거쳐 상기 제1에어가이드 장치(170)의 제1공기유로(172a)로 유입된 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가이드 리브(175)는, 상기 외벽(171) 및 내벽(172)의 하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 리브(175)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공기가 상방으로 경사지게 유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상기 제1에어가이드 장치(170)에는, 상기 내벽(172)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팬모터(165)를 수용하는 모터 수용부(173)가 더 포함된다. 상기 모터 수용부(173)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보울(bowl)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모터 수용부(173)의 형상은, 상기 허브(161)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수용부(173)는 상기 허브(161)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싱기 제1팬모터(165)는 상기 모터 수용부(173)의 상측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팬모터(165)의 회전축(165a)은 상기 제1팬모터(165)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모터 수용부(173)의 저면부을 관통하여 상기 허브(161)의 축 결합부(161a)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팬모터(165)의 상측에는 모터결합부(166)가 구비되며, 상기 모터결합부(166)는 상기 제1팬모터(165)를 상기 제1에어가이드 장치(170)에 고정되도록 가이드 한다.
상기 제1송풍장치(100)에는, 상기 제1에어가이드 장치(170)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1에어가이드 장치(170)를 통과한 공기를 제1토출가이드 장치(190)로 가이드 하는 제2에어가이드 장치(18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2에어가이드 장치(180)에는, 대략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제1가이드벽(181) 및 상기 제1가이드벽(181)의 내측에 위치되며 대략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제2가이드벽(182)이 포함된다.
상기 제1가이드벽(181)은 상기 제2가이드벽(182)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가이드벽(181)의 내주면과 상기 제2가이드벽(182)의 외주면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제2공기유로가 형성된다.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제2가이드벽(182)의 내측에는, 공기 청정기(10)의 운전을 제어하는 PCB 장치(5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송풍장치(200)에는, 제2필터부재(220), 제2필터프레임(230), 제2팬하우징(250), 제2팬(260) 및 제2팬모터(265)가 포함된다. 이들 구성은, 제1송풍장치(100)에 구비되는 제1필터부재(120), 제1필터프레임(130), 제1팬하우징(150), 제1팬(160) 및 제1팬모터(165)들과 유사하므로, 이들에 관한 설명은 제1송풍장치(100)에 관한 설명을 원용한다.
그리고, 상기 제2송풍장치(200)에는, 상기 제2송풍장치(200)의 제2필터부재(220)를 지지하는 레버 지지장치(56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레버 지지장치(560)의 상측에는, 제1송풍장치(100)에 구비되는 지지장치(140) 및 레버장치(14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들 지지장치(140) 및 레버장치(142)에 관한 설명은, 제2송풍장치(2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2송풍장치(200)에는, 상기 제2팬(26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2팬(260)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3에어가이드 장치(27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3에어가이드 장치(270)는 상기 제1에어가이드 장치(170)의 구성과 유사하므로, 상기 제1에어가이드 장치(170)의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제2송풍장치(200)에는, 상기 제3에어가이드 장치(27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3에어가이드 장치(270)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2토출가이드 장치(280)가 구비된다.
상기 제2토출가이드 장치(280)의 상측에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가 움직임 가능하게 제공된다.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에는, 제3팬(330)이 포함된다. 상기 제3팬(330)은, 상기 제3에어가이드 장치(270)를 통과한 공기가 공기 청정기(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상기 제3팬(330)에는, 제3팬모터(335)가 결합될 수 있다.
제3팬(330)에는, 축류팬이 포함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3팬(330)은 상기 제3에어가이드 장치(270)를 통과하여 축 방향으로 유입된 공기를 축 방향으로 배출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제3팬(330)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3팬(330)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2토출부(30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청정기(10)에는, 상기 제1송풍장치(100)의 제1토출부(105)와 함께 상기 제2토출부(305)가 구비되므로, 토출 풍량이 개선되고 다양한 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효과가 나타난다.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상면에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운전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팬모터(165) 및 제2팬모터(265)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세로 방향을 기준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팬모터(265) 및 상기 제3팬모터(335)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세로 방향을 기준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팬(160)과, 제2팬(260) 및 제3팬(330)은 동일한 축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에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좌우방향으로의 회전 및 상하방향으로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회전가이드 장치가 더 포함된다. 상기 좌우방향으로의 회전을 "제1방향 회전", 상기 상하방향으로의 회전을 "제2방향 회전"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 장치에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제1방향 회전을 가이드 하기 위한 제1가이드 기구 및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제2방향 회전을 가이드 하기 위한 제2가이드 기구가 포함된다.
상기 제1가이드 기구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기어모터(363) 및 상기 제1기어모터(363)에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는 제1기어(360)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제1기어모터(363)에는, 회전각도의 제어가 용이한 스텝 모터(step motor)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 기구에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제2방향 회전을 가이드 하는 회전가이드 부재(370)가 포함된다.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에는, 랙(374)이 포함된다.
상기 제2가이드 기구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기어모터(367) 및 상기 제2기어모터(367)에 결합되는 제2기어(365)가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기어모터(367)에는, 스텝 모터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기어모터(367)가 구동하면, 상기 제2기어(365)와 상기 제2랙(374)의 연동에 의하여,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움직임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는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의 움직임에 따라, 제2방향 회전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가 제2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제2위치"에 있을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가 누워져 있는 위치를 "제1위치"라 이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부재의 하측에 구비되는 부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송풍장치(100)에는, 베이스(20), 흡입그릴(110), 레버장치(142) 및 지지장치(140)가 포함된다.
상기 베이스(20)에는, 대략 원판 형상의 베이스 본체(21)가 포함된다. 상기 베이스 본체(21)에는, 상기 흡입그릴(110)의 하부돌출부(116)를 지지하는 그릴지지부(21a)가 포함된다. 상기 하부돌출부(116)는 상기 흡입그릴(110)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그릴지지부(21a)의 내측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0)에는, 상기 흡입그릴(110)에 체결되는 그릴체결부(23)가 더 포함된다. 상기 그릴체결부(23)는 소정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흡입그릴(110)의 베이스체결부(111b)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그릴체결부(23)는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그릴체결부(23)는 상기 베이스 본체(21)의 테두리부에 4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0)에는, 상기 지지장치(140)에 결합되는 지지결합부(22)가 더 포함된다. 상기 지지결합부(22)는 상기 베이스 본체(21)의 대략 중앙부에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체결부재(25)가 결합된다. 상기 지지결합부(22)와 체결부재(25)는 상기 지지장치(140)의 부재삽입부(141a)를 지지하며, 상기 지지장치(140)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지지장치(140)는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25)는, 상기 지지장치(140)가 설정거리만큼 상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더 이상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지지장치(140)가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제1필터부재(120)는 상기 장착공간(130a)에 결합된 상태(제1필터위치)에 있게 된다. 반면에, 상기 지지장치(140)가 하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제1필터부재(120)는 상기 장착공간(130a)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해제 상태(제2필터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흡입그릴(110)은 상기 베이스(20)의 상측에 고정된다. 상세히, 상기 흡입그릴(110)에는, 대략 링 형상의 그릴본체(111) 및 상기 그릴본체(111)의 외측에 구비되는 테두리부(111a)가 포함된다. 상기 테두리부(111a)에는, 상기 베이스 흡입부(10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그릴흡입부(112)가 구비된다. 상기 그릴흡입부(112)는 상기 테두리부(111a)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그릴흡입부(112)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필터부재(120)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부재(120)는 원통형으로 구비되며, 공기를 필터링 하는 필터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그릴흡입부(112)을 통과한 공기는 원통형인 제1필터부재(120)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그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1케이스(101)는 상기 그릴흡입부(112)의 상부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그릴흡입부(112)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1흡입부(102)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와 함께 상기 제1필터부재(120)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110)에는, 상기 레버장치(142)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돌기(113a)가 더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113a)는 상기 그릴본체(11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레버장치(142)의 돌기관통부(145)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버장치(142)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113a)는 상기 돌기관통부(145)의 내부에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돌기관통부(145)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110)에는, 상기 레버장치(142)의 저면을 지지하는 레버지지부(113b)가 더 포함된다. 상기 레버지지부(113b)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버장치(142)는 상기 레버지지부(113b)에 안착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110)에는, 상기 그릴본체(111)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레버장치(142)의 장착위치를 가이드 하는 홈부(115)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그릴(110)의 상측에 상기 레버장치(142)가 장착될 때, 상기 레버장치(142)의 핸들(144)은 상기 홈부(115)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이 때 상기 레버장치(142)는 "장착 기준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레버장치(142)에는, 대략 링 형상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레버본체(143)가 포함된다.
상기 레버장치(142)에는, 상기 레버본체(143)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필터부재(120)의 상방 또는 하방으로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이동 가이드부(143a)가 더 포함된다. 상기 이동 가이드부(143a)는, 상기 레버본체(143)의 상면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점점 더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 가이드부(143a)에는, 원주 방향으로 점점 더 돌출되는 경사면(146)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동 가이드부(143a)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 가이드부(143a)는 4개가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이동 가이드부(143a)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레버장치(142)에는, 상기 흡입그릴(110)의 가이드 돌기(113a)가 삽입되는 돌기관통부(145)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관통부(145)는 상기 레버본체(143)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관통부(145)는 상기 레버본체(143)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의 곡률에 대응하여,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관통부(145)는 서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레버본체(143)의 원주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돌기관통부(145)는 상기 가이드 돌기(113a)의 수에 대응하는 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돌기관통부(145)는 원주 방향으로 4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113a)는 상기 레버본체(143)의 하측에서부터 상기 돌기관통부(145)를 관통하여 상기 레버본체(143)의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장치(142)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113a)는 상기 돌기관통부(145)의 내부에서 이동될 수 있다.
상세히, 돌기관통부(145)에는, 제1단부(147a) 및 제2단부(147b)가 포함된다. 상기 돌기관통부(145)는, 상기 제1단부(147a)로부터 상기 제2단부(147b)까지 연장되는 관통공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레버장치(142)가 "필터 해제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이드 돌기(113a)는 상기 돌기관통부(145)의 제1단부(147a)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필터 해제위치"라 함은, 상기 지지장치(140)가 하방으로 내려오도록 가이드 하는 위치로서, 상기 제1필터부재(120)가 상기 장착공간(130a)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위치인 것으로 이해된다.
반면에, 상기 레버장치(142)가 "필터 장착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이드 돌기(113a)는 상기 돌기관통부(145)의 제2단부(147b)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필터 장착위치"라 함은, 상기 지지장치(140)가 상방으로 올라가도록 가이드 하는 위치로서, 상기 제1필터부재(120)가 상기 장착공간(130a)에 결합된 위치인 것으로 이해된다.
상기 레버장치(142)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113a)는 상기 제1단부(147a)로부터 상기 제2단부(147b)까지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 돌기(113a)는 상기 흡입그릴(110)에 고정된 구성이나, 상기 레버장치(142)가 회전할 때 상기 돌기관통부(145)의 내부에서 상대적인 움직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레버장치(142)에는, 상기 레버본체(143)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지지판(143b)이 더 포함된다. 상기 지지판(143b)은 상기 지지장치(14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43b)은 상기 레버본체(143)의 양측에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버장치(142)의 외주면에는, 상기 레버장치(142)의 회전을 위하여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한 핸들(144)이 더 포함된다. 사용자는 상기 핸들(144)을 조작하여, 상기 레버장치(142)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장치(140)는 상기 레버장치(142)의 상측에 움직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레버장치(142)가 회전할 때, 상기 지지장치(140)는 상기 레버장치(142)와 간섭되어 상방 또는 하방으로의 움직임을 수행한다.
상기 지지장치(140)가 상방으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지지장치(140)는 상기 제1필터부재(120)를 밀어 올려 상기 제1필터부재(120)가 상기 제1필터프레임(130)에 지지된 상태에 있게 한다. 반면에, 상기 지지장치(140)가 하방으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지지장치(140)는 상기 제1필터부재(120)를 하방으로 내려오게 하여 상기 제1필터부재(120)가 상기 제1필터프레임(130)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위치에 있게 한다.
상기 지지장치(140)에는, 대략 원판 형상의 지지본체(140a)가 포함된다. 상기 지지본체(140a)에는, 상기 제1필터부재(120)를 지지하는 필터지지면을 가진다. 상기 지지장치(140)에는, 상기 지지본체(140a)의 대략 중앙부에 구비되며 상기 체결부재(25)가 삽입되는 부재삽입부(141a)가 포함된다. 상기 부재삽입부(141a)는 상하 관통되는 관통공으로서 이해된다.
상기 체결부재(25)는 상기 지지장치(140)의 상측에서 상기 부재삽입부(141a)로 삽입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20)의 지지결합부(2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25)에 의하여, 상기 지지장치(140)는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상기 베이스(20), 흡입그릴(120) 및 레버장치(142)에 대하여, 중심이 맞춰진 상태에서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체결부재(25)에는, 스크류(screw)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지지장치(140)에는, 상기 이동 가이드부(143a)와 접촉하는 지지 돌출부(141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돌출부는 상기 지지본체(140a)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이동 가이드부(143a)에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 돌출부(141b)의 형상은 상기 이동 가이드부(143a)의 형상에 대응되며, 원주 방향으로 점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경사면이 포함된다.
상기 이동 가이드부(143a)가 점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방향과, 상기 지지 돌출부(141b)가 점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이동 가이드부(143a)가 점점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방향이 반시계방향이라면, 상기 지지 돌출부(141b)가 점점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방향은 시계방향일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이동 가이드부(143a)가 점점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방향이 시계방향이라면, 상기 지지 돌출부(141b)가 점점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방향은 반시계방향일 수 있다.
상기 레버장치(142)가 회전 과정에서, 상기 이동 가이드부(143a)와 상기 지지 돌출부(141b)는 간섭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지지장치(140)는 상방 또는 하방으로의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레버장치(142)가 일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지지 돌출부(141b)의 하부와 상기 이동 가이드부(143a)의 상부가 맞닿으면, 상기 지지장치(140)는 상방으로 들어올려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장치(140)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1필터부재(120)는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송풍장치(100)에 결합된 상태에 있게 된다.
반면에, 상기 레버장치(142)가 회전하여 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지지 돌출부(141b)의 상부와 상기 이동 가이드부(143a)의 하부가 맞닿거나 상기 지지 돌출부와 이동 가이드부(113)의 간섭이 해제되면, 상기 지지장치(140)는 하방으로 내려온다. 그리고, 상기 지지장치(140)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1필터부재(120)는 상기 제1송풍장치(100)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해제 상태)에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8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필터부재(120)에는, 제1필터부(121) 및 제2필터부(125)가 포함된다. 상기 제2필터부(125)는 상기 제1필터부(121)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부(121)는 공기 중 미세먼지나 바이러스와 같은 이물질을 필터링 하는 "이물제거 필터"로서 이해된다. 일례로, 상기 제1필터부(121)는, 헤파필터(HEPA FILTER), 전기집진필터(ELECTROSTATIC PRECIPITATOR FILTER)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필터부(121)는 전기집진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기집진필터는 전기의 작용으로 이물질의 입자를 제거하는 필터로 이해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필터부(121)는 중공의 원통형상을 가지는 제1필터본체(121a) 및 상기 제1필터본체(121a)를 지지하는 고정프레임(122a,122b)이 포함된다. 상기 제1필터본체(121a)는 이물을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면을 제공한다.
상기 고정프레임(122a,122b)에는, 상기 제1필터본체(121a)의 상부를 지지하는 제1고정프레임(122a) 및 상기 제1필터본체(121a)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고정프레임(122b)이 포함된다.
상기 제1고정프레임(122a)에는, 상기 제1필터본체(121a)의 상부 외주면을 지지하는 제1외면지지부(122c) 및 상기 제1필터본체(121a)의 상부 내주면을 지지하는 제1내면지지부(122d)가 포함된다. 즉, 상기 제1고정프레임(122a)은, 상기 제1외면지지부(122c) 및 상기 제1내면지지부(122d)에 의하여, 상기 제1필터본체(121a)의 상면, 상부 외주면 및 상부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프레임(122b)에는, 상기 제1필터본체(121a)의 하부 외주면을 지지하는 제1외면지지부(122c) 및 상기 제1필터본체(121a)의 하부 내주면을 지지하는 제1내면지지부(122d)가 포함된다. 즉, 상기 제2고정프레임(122b)은, 상기 제1외면지지부(122c) 및 상기 제1내면지지부(122d)에 의하여, 상기 제1필터본체(121a)의 하면, 하부 외주면 및 하부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2고정프레임(122a,122b)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1필터부(121)는 원통형의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부(121)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필터 손잡이(120a)가 더 포함된다. 상기 필터 손잡이(120a)는 상기 제1고정프레임(122a) 및 제2고정프레임(122b)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프레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손잡이(120a)는 상기 제1고정프레임(122a) 또는 상기 제2고정프레임(122b)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필터부(125)는 공기 냄새입자를 필터링 하는 "탈취필터"로서 이해된다. 상세히, 상기 제2필터부(125)는 중공의 원통형상을 가지는 제2필터본체(125a) 및 상기 제2필터본체(125a)를 지지하는 고정프레임(126a,126b)이 포함된다. 상기 제2필터본체(125a)는 이물을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면을 제공한다.
상기 고정프레임(126a,126b)에는, 상기 제2필터본체(125a)의 상부를 지지하는 제3고정프레임(126a) 및 상기 제2필터본체(125a)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4고정프레임(126b)이 포함된다.
상기 제3고정프레임(126a)에는, 상기 제2필터본체(125a)의 상부 외주면을 지지하는 제2외면지지부(126c) 및 상기 제2필터본체(121a)의 상부 내주면을 지지하는 제2내면지지부(126d)가 포함된다. 즉, 상기 제3고정프레임(126a)은, 상기 제2외면지지부(126c) 및 상기 제2내면지지부(126d)에 의하여, 상기 제2필터본체(125a)의 상면, 상부 외주면 및 상부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고정프레임(126a)에는, 상기 제1고정프레임(122a)의 상측에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턱(126e)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2필터부(125)가 상기 제1필터부(121)의 내측에 삽입되면 상기 걸림턱(126e)은 상기 제1고정프레임(122a)의 상면에 지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제2필터부(125)는 상기 제1필터부(121)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4고정프레임(126b)에는, 상기 제2필터본체(125a)의 하부 외주면을 지지하는 제2외면지지부(126c) 및 상기 제2필터본체(125a)의 하부 내주면을 지지하는 제2내면지지부(126d)가 포함된다. 즉, 상기 제4고정프레임(126b)은, 상기 제2외면지지부(126c) 및 상기 제2내면지지부(126d)에 의하여, 상기 제2필터본체(125a)의 하면, 하부 외주면 및 하부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 3,4 고정프레임(126a,126b)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2필터부(125)는 원통형의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프레임(122b)에는, 상기 제4고정프레임(126b)의 하측을 지지하는 프레임지지부(126e)가 더 포함된다. 즉, 상기 제2고정프레임(122b)은 상기 제1필터부(121)의 하측에서부터 상기 제2필터부(125)의 하측까지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필터부(125)의 하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상기 프레임지지부(126e)를 형성한다. 이에 의하여, 상기 제2필터부(125)는 상기 제1필터부(121)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고정프레임(122b)에는 이물저장공간(122f)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물저장공간(122f)은 상기 제1외면지지부(122c)와 상기 제1내면지지부(122d)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물저장공간(122f)은 상기 제1필터부재(120)에서 필터링된 이물질 중 중력에 의해 낙하되는 이물질이 저장되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필터부재(120)는 전기집진필터로 제공되기에, 상기 제1필터부재(120)로부터 낙하되는 이물질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전기집진필터는 전원이 인가되면 이물질을 포집하는 흡입력이 발생되고, 전원이 미 인가되면 이물질을 포집하는 흡입력이 감소되기 때문이다. 상기 이물저장공간(122f)에 저장된 이물질은 상기 제1필터부재(120)로부터 상기 제2고정프레임(122b)을 분리한 후 제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이물저장공간(122f)이라 칭하고 있으나, 이물질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기에 "이물 저장부"로 칭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부(102) 또는 상기 베이스흡입부(103)를 통하여 상기 제1필터부재(120)의 외주면측으로 유동한 공기는 상기 제1필터부(121) 및 상기 제2필터부(125)를 차례로 통과하면서 정화될 수 있다.
상기 제2필터부(125)의 상부에는, 상기 필터공(122)이 형성된다. 상기 제1필터부재(12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필터공(122)을 통하여 상방으로 유동하며, 상기 제1팬(160)으로 유입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 프레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팬하우징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필터 프레임(130)에는, 상기 제1필터프레임(130)의 하부를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131)과, 상기 제1필터프레임(130)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 프레임(132) 및 상기 하부 프레임(131)으로부터 상기 상부 프레임(132)을 향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필터지지부(135)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1필터지지부(135)는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지지부(135)는 상기 제1필터부재(120)의 외면을 지지하는 점에서 "지지 프레임"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131,132) 및 상기 다수의 제1필터지지부(135)에 의하여, 상기 제1필터부재(120)가 위치되는 장착공간(130a)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하부 프레임(131)은 상기 제1필터부재(120)의 하부를 둘러싸도록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131)에는, 상기 하부 프레임(131)의 적어도 일부분이 절개된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절개부(131a)가 포함된다. 상기 프레임절개부(131a)는 상기 레버장치(142)의 핸들(144)이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핸들(144)의 회전 경로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프레임절개부(131a)는 상기 핸들(144)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 프레임(131)에는, 프레임체결부(131c)가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체결부(131c)는, 소정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20)의 그릴체결부(23) 및 상기 흡입그릴(110)의 베이스체결부(111b)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132)은 상기 제1필터부재(120)의 상부를 둘러싸도록 링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부 프레임(131)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프레임(132)의 링 형상의 내부 공간은 프레임개구부(132a)를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개구부(132a)는 상기 제1필터부재(120)의 필터공(122)에 연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132)에는, 프레임 내벽(133) 및 상기 프레임 내벽(133)을 둘러싸는 프레임 외벽(134)이 포함된다. 상기 프레임 내벽(133) 및 상기 프레임 외벽(134)은 각각,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공(132a)은 상기 프레임 내벽(133)의 내측 공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외벽(134)의 내주면은 상기 프레임 내벽(133)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132)에는, 상기 프레임 외벽(134)의 하부로부터 상기 프레임 내벽(133)의 하부로 연장되는 벽 연결부(134a)가 더 포함된다.
상기 프레임 외벽(134)의 내주면과, 상기 프레임 내벽(133)의 외주면 및 상기 벽 연결부(134a)가 이루는 공간에는, 상기 제1팬하우징(150)의 적어도 일부분이 위치하는 하우징삽입부(134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벽 연결부(134a)에는, 상기 제1팬하우징(150)과 결합되는 하우징결합부(134c)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결합부(134c)는 상기 벽 연결부(134a)의 양측에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소정의 체결부재는 상기 하우징결합부(134c) 및 상기 제1팬하우징(150)의 프레임결합부(151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132)에는, 상기 프레임 내벽(133)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팬하우징(150)을 지지하는 하우징안착부(133a)가 더 포함된다. 상기 하우징 안착부(133a)의 내측 공간은 상기 프레임개구부(132a)를 형성한다.
상기 상부 프레임(132)의 상부는 제1팬하우징(15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팬하우징(150)은, 상기 제1필터부재(120)의 출구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팬하우징(150)에는, 제1팬(160)이 수용되는 하우징공간부(150a)를 형성하는 하우징 본체(151,152,153)가 포함된다. 상기 하우징본체(151,152,153)는 상기 제1필터프레임(13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본체(151,152,153)는, 그 직경이 달라지도록, 단차지게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 본체(151,152,153)에는, 설정된 제1직경을 가지며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는 제1본체(151)가 포함된다. 상기 제1본체(151)는 상기 하우징 본체(151,152,153)의 상부를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 본체(151,152,153)에는, 설정된 제2직경을 가지며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는 제2본체(152)가 포함된다. 상기 제2본체(152)는 상기 하우징 본체(151,152,153)의 중간부를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 본체(151,152,153)에는, 설정된 제3직경을 가지며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는 제3본체(153)가 포함된다. 상기 제3본체(153)는 상기 하우징 본체(151,152,153)의 하부를 형성한다. 본 실시 예에서, 설정된 제1직경은 제2,3직경보다 크게 설정되고, 제2직경은 제3직경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본체(151,152,153)에는, 하우징절개부(154a,154b)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절개부(154a,154b)는 상기 제3본체(153)의 적어도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하우징절개부(154a,154b)는 상기 제3본체(153)의 하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절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절개부(154a,154b)에는, 상기 제1필터지지부(135)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1필터지지부(135)를 지지하는 제1절개부(154a)가 포함된다. 상기 제1절개부(154a)에는, 상기 제1필터지지부(135) 또는 프레임커버(136)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절개부(154a,154b)에는, 상기 센서 장착부(138)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센서 장착부(138)를 지지하는 제2절개부(154b)가 포함된다. 상기 제2절개부(154b)에는, 상기 센서 장착부(138)가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절개부(154b)의 상측에는, 상기 센서 장착부(138)에 의하여 지지되는 센서지지부(155)가 포함된다. 상기 센서 장착부(138)와 상기 센서지지부(155)에 의하여, 상기 센서장치(137)가 설치되는 설치 공간부가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3본체(153)는 상기 상부 프레임(132)에 형성되는 하우징삽입부(134b)에 삽입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제3본체(153)는 상기 하우징삽입부(134b)에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절개부(154a,154b)는 상기 제1필터프레임(135) 및 상기 센서 장착부(138)의 상부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1필터프레임(130)과 상기 제1팬 하우징(150)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제1필터지지부(135)는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131,132)의 테두리부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제1필터부재(120)의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다수 개의 제1필터지지부(135)는 상기 제1필터 프레임(130)의 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필터 프레임(130)의 전방부에는 상기 제1필터부재(120)가 인출 또는 인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인입부(130b)가 형성된다.
방향을 정의한다. 상기 제1필터부재(120)가 인출되는 방향을 제1필터 프레임(130)의 "전방"이라 하고, 상기 제1필터부재(120)가 인입되는 방향을 제1필터 프레임(130)의 "후방"이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131)의 형상을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절개부(131a)는 상기 하부 프레임(131)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필터 프레임(130)에는 후술할 전원 송신부(7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전원 송신부(700)는 상부 프레임(132), 하부 프레임(131) 및 제1필터지지부(135)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송신부(700)는 상기 제1필터 프레임(130)에 지지되는 제1필터부재(120)로 무선 전원을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송신부(700)에서 송신되는 무선 전원에 의해 상기 제1필터부재(120)가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부재(120)에는 상기 전원 송신부(700)에서 송신되는 무선 전원을 수신하기 위한 전원 수신부(71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부재(120)에 포함되는 전원 수신부(710)는 상기 제1필터 프레임(130)에 제공되는 전원 송신부(700)와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필터 프레임(130)에 상기 제1필터부재(120)가 고정되면, 상기 전원 송신부(700)와 상기 전원 수신부(710)가 서로 마주하여, 무선 전원이 송수신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부재가 장착공간에 설치 및 분리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필터 프레임(130)에 형성되는 장착공간(130a)에는, 상기 제1필터부재(12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장착공간(130a)은 상기 제1필터부재(120)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통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부재(120)는 장착과정에서, 상기 장착공간을 향하여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인입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1필터부재(120)는 분리 과정에서, 상기 장착공간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인출될 수 있다.
상세히, 도 13은 상기 제1필터부재(120)가 분리된 상태에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 때, 상기 레버장치(142)의 핸들(144)은 상기 제1필터부재(120)의 해제위치, 일례로 상기 프레임절개부(131a)의 일측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의 핸들(144)의 위치를 "제1위치" 또는 "해제 위치"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핸들(144)이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지지장치(140)는 하방으로 내려온 상태에 있다. 따라서, 상기 장착공간(130a)은 상기 제1필터부재(120)가 인입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큰 공간을 형성한다.
도 13의 상태에서, 상기 제1필터부재(120)는 상기 인입부(130b)를 통하여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장착공간(130a)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144)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지지장치(140)가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핸들(144)은, 도 13 및 도 14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지지장치(140)가 상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필터부재(120)는 상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1필터 프레임(130)의 상부, 즉 상기 상부 프레임(132)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필터부재(120)는 결합 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제1필터부재(120)가 상기 장착공간(130a)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144)을 타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지지장치(140)가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핸들(144)은, 도 14 및 도 15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지지장치(140)가 하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필터부재(120)는 상기 장착공간(130a)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위치에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필터 프레임(130)에는 전원 송신부(70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송신부(700)는 상기 제1필터 프레임(130)에 포함되는 상부 프레임(132), 하부 프레임(131), 제1필터지지부(135)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전원 송신부(700)는 상기 상부 프레임(132)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 송신부(700)는 상기 상부 프레임(132)의 벽 연결부(134a) 또는 하우징안착부(133a)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부재(120)에는 전원 수신부(71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수신부(710)는 상기 제1필터부재(120)가 상부 프레임(132)에 밀착되면, 상기 전원 송신부(700)와 상기 전원 수신부(710)는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송신부(700)와 상기 전원 수신부(710)가 서로 마주하면, 상기 전원 송신부(700)로부터 상기 전원 수신부(710)로 무선 전원이 송수신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수신부(710)는 상기 전원 송신부(700)를 마주하는 상기 제1필터부재(12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 수신부(710)는 상기 제1필터부재(12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수신부(710)는 상기 고정프레임(122a,122b)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부재(120)가 상기 제1필터 프레임(130)의 결합 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전원 송신부(700)와 상기 전원 수신부(710)가 마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필터부재(120)가 상기 제1필터 프레임(130)의 해제 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전원 송신부(700)와 상기 전원 수신부(710)가 서로 마주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필터부재(120)의 결합 위치 또는 해제 위치에 따라 무선 전원의 공급 여부가 변화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필터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필터부재의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필터부재(120)의 일부는 전원이 인가되어 작동되는 전기집진필터로 제공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필터부재(120)의 제1필터부(121)는 상기 전기집진필터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부재(120)의 제2필터부(125)는 탈취필터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부(121)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대전하는 방전 전극부(121b)와, 대전된 이물질이 집진되는 집진 전극부(121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전 전극부(121b)와 상기 집진 전극부(121c)는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전 전극부(121b)와 상기 집진 전극부(121c)는 일정한 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방전 전극부(121b)와 상기 집진 전극부(121c)의 사이 공간으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방전 전극부(121b)와 상기 집진 전극부(121c)는 서로 교번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집진 전극부(121c)의 사이에 상기 방전 전극부(121b)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집진 전극부(121c)와 상기 방전 전극부(121b)는 상기 제1필터부(121)의 원주 방향으로 교번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전 전극부(121b) 및 상기 집진 전극부(121c)는 상기 전원 수신부(710)에서 수신된 무선 전원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방전 전극부(121b)와 상기 집진 전극부(121c)에는 고전압의 전극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방전 전극부(121b)에 고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방전 전극부(121b)에 의해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대전될 수 있다. 상기 방전 전극부(121b)에 의해 대전된 이물질은 상기 집진 전극부(121c)에 포집될 수 있다. 상기 집진 전극부(121c)는 상기 방전 전극부(121b)에 의해 대전된 이물질을 흡착할 수 있는 고전압의 전극이 인가될 수 있다.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은 서로 이웃하는 방전 전극부(121b)와 집진 전극부(121c)의 사이 공간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방전 전극부(121b)와 상기 집진 전극부(121c)에는 상기 전원 수신부(710)로 수신된 무선 전원에 의해 고전압의 전극이 인가될 수 있다.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은 상기 방전 전극부(121b)에 의해 대전될 수 있다. 상기 방전 전극부(121b)에 의해 대전된 이물질은 상기 집진 전극부(121c)에 흡착될 수 있다. 상기 집진 전극부(121c)에 인가되는 고전압의 전극에 의해 대전된 이물질은 상기 집진 전극부(121c)를 향하는 방향으로 인력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집진 전극부(121c)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흡착하여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필터링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전 전극부(121b)와 상기 집진 전극부(121c)는 상기 전원 수신부(710)로부터 무선 전원을 미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방전 전극부(121b)와 상기 집진 전극부(121c)에 무선 전원이 미 공급되면, 상기 방전 전극부(121b)와 상기 집진 전극부(121c)에는 고전압의 전극이 미 인가될 수 있다. 상기 방전 전극부(121b)와 상기 집진 전극부(121c)에 고전압의 전극이 미 인가되면, 상기 집진 전극부(121c)에 흡착된 이물질은 상기 집진 전극부(121c)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집진 전극부(121c)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은 상기 이물저장공간(122f)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부(121)에 의해 이물질이 필터링된 공기는 상기 제2필터부(125)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2필터부(125)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에 포함된 냄새 입자는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제2필터부(125)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필터공(122)을 통과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부재로 전원이 공급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송신부 및 전원 수신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송풍장치(100)에는 공기로부터 이물을 필터링하는 제1필터부재(120)와, 상기 제1필터부재(120)를 지지하는 제1필터 프레임(13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부재(120)는 상기 제1필터 프레임(130)으로부터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제1송풍장치(100)에 구비되는 구성과 상기 제1필터부재(120)에 구비되는 구성을 구분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송풍장치(100)에 구비되는 구성이라 칭하고 있으나, 상기 제1필터부재(120)를 지지하는 제1필터 프레임(130)에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송풍장치(100)(또는 제1필터 프레임(130))에 제공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1송풍장치(100)는 제1제어부(10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100a)는 상기 제1송풍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100a)는 전기집진필터로 제공되는 제1필터부(12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100a)는 후술할 전원 송신부(7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100a)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원 송신부(700)에서 무선 전원이 송신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100a)는 후술할 전원 발진기(100c)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100a)는 상기 PCB 장치(500)의 메인 PCB(511)로 이해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제1제어부(100a)는 상기 PCB 장치(500)와 별도의 구성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송풍장치(100)는 전원 공급부(10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00b)는 상기 제1제어부(100a)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00b)는 후술할 전원 송신부(700)에서 송신될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00b)는 상기 PCB 장치(500)의 전원 공급부(520)로 이해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전원 공급부(100b)는 상기 PCB 장치(500)의 전원 공급부(5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전원 송신부(700)로 전원을 전달하는 구성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송풍장치(100)는 전원 송신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송신부(700)는 상기 제1필터 프레임(13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 송신부(700)는 상기 제1필터 프레임(130)의 상부 프레임(132), 하부 프레임(131), 제1필터지지부(135)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송신부(700)는 상기 제1필터부재(120)의 제1필터부(121)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송신부(700)는 무선 전원을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송신부(700)는 무선 전력 전달 방식에 따라 구성이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 송신부(700)는 코일, 안테나, 공진기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전원 송신부(700)는 자기 유도 방식 또는 자기 공진 방식에 의해 무선 전원을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1송풍장치(100)는 전원 발진기(100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발진기(100c)는 상기 전원 송신부(700)에서 송신되는 무선 전원의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대, 상기 전원 발진기(100c)에 의해 조절되는 주파수는 상기 전원 수신부(710)에서 수신할 수 있는 무선 전원의 공진 주파수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전원 발진기(100c)에 의해 특정 주파수로 조절된 무선 전원이 상기 전원 송신부(700)에서 송신될 수 있다. 상기 전원 발진기(100c)는 상기 제1제어부(100a)에 의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전원 발진기(100c)라 칭하고 있으나, 전원 증폭기, 전원 공진기 등으로 칭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필터부재(120)에 제공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1필터부재(120)는 제2제어부(12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부(120a)는 상기 제1필터부재(12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제어부(120a)는 전기집진필터로 제공되는 제1필터부(12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부(120a)는 후술할 전원 수신부(7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부(120a)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원 수신부(710)로 수신된 무선 전원은 상기 제1필터부재(120)에서 소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부(120a)는 후술할 전원 정류기(120b)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부재(120)는 전원 수신부(7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수신부(710)는 상기 전원 송신부(700)에서 송신되는 무선 전원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수신부(710)는 상기 전원 송신부(700)와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수신부(710)는 상기 제2제어부(120a)에 의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수신부(710)로 수신된 무선 전원은 후술할 전원 정류기(120b)에 의해 정류된 후 상기 제1필터부재(120)에서 소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필터부재(120)에 포함되는 제1필터부(121)에서 소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수신부(710)는 무선 전력 전달 방식에 따라 구성이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 수신부(710)는 코일, 안테나, 공진기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전원 수신부(710)는 상기 전원 송신부(700)에서 송신되는 무선 전원을 수신할 수 있는 자기 유도 방식 또는 자기 공진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부재(120)는 전원 정류기(12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정류기(120b)는 상기 전원 수신부(710)로 수신된 무선 전원의 주파수를 상기 제1필터부재(120)에서 소비되는 전원의 주파수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정류기(120b)에 의해 조절된 전원은 상기 제1필터부재(120)에 포함되는 구성들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정류기(120b)는 상기 제2제어부(120a)에 의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본 실기 예에서 상기 전원 정류기(120b)라 칭하고 있으나, 전원 조절기, 전원 변환기 등으로 칭할 수도 있다.
상기 제1필터부재(120)는 전기집진필터로 제공되는 제1필터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부재(120)는 탈취필터로 제공되는 제2필터부(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부(121)는 상기 전원 수신부(710)로 수신된 전원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부(121)는 전원이 인가되면, 집진 전극부(121c)와 방전 전극부(121b)에 고전압의 전원이 각각 인가될 수 있다. 상기 방전 전극부(121b)에 고전압의 전원이 인가되면,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대전할 수 있다. 상기 집진 전극부(121c)에 고전압의 전원이 인가되면, 정전기력이 발생되어 대전된 이물질이 흡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필터부(121)는 상기 제2제어부(120a)에 의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제어부(120a)에 의해 상기 제1필터부(121)의 온/오프 작동이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부(120a)는 상기 제1필터부(121)의 집진 전극부(121c) 및 방전 전극부(121b)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송풍장치(100)와 상기 제1필터부재(120)에는 통신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송풍장치(100)와 상기 제1필터부재(120)가 서로 다수의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송풍장치(100)와 상기 제1필터부재(120)는 상기 통신부에서 송수신되는 다수의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송풍장치(100)와 상기 제1필터부재(120)는 상기 통신부에 의해 서로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서로 연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송풍장치(200)의 구성은 상기 제1송풍장치(100)의 구성과 동일하고, 상기 제2필터부재(220)의 구성은 상기 제1필터부재(120)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송풍장치(200)와 상기 제2필터부재(220)의 설명은 상기 제1송풍장치(100)와 상기 제1필터부재(120)의 설명으로 갈음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 전원 송신부(700)와 상기 전원 수신부(71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송신부(700)는 무선 전원을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수신부(710)는 상기 전원 송신부(700)에서 송신된 무선 전원을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전원 송신부(700) 및 전원 수신부(710)는 자기 유도 방식 또는 자기 공진 방식으로 무선 전원을 송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 송신부(700)와 상기 전원 수신부(710)는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전원 송신부(700)에서 송신된 무선 전원은 상기 전원 수신부(710)로 수신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무선 전원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원 송신부(700) 및 전원 수신부(710)의 구조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전원 송신부(700)와 상기 전원 수신부(710)는 코일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 송신부(700)는 1차측 코일로 정의되고, 상기 전원 수신부(710)는 2차측 코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1차측 코일인 전원 송신부(700)에서 송신된 무선 전원이 2차측 코일인 전원 수신부(710)로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송신부(700)는 제1코일(702)과 제1코일 지지부(7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코일(702)은 특정 형상으로 권취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코일(702)은 원형으로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제1코일 지지부(701)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코일(702)은 상기 제1코일 지지부(701)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송풍장치(100) 또는 제1필터 프레임(13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코일 지지부(701)에는 상기 제1코일(702)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송신부(700)에는 제1단자(703)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단자(703)는 원형으로 권취된 제1코일(702)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단자(703)는 상기 전원 송신부(700)와 상기 제1제어부(100a)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단자(703)를 통해 상기 제1코일(702)로 전기가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송신부(700)의 제1코일(702)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제1코일(702)에서 전자기장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제1코일(702)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장은 후술할 전원 수신부(710)의 제2코일(712)에서 기전력이 유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코일(712)에 기전력이 유도되면 상기 제2코일(712)에서 전류의 흐름이 발생되어 상기 전원 수신부(710)로 전원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수신부(710)는 제2코일(712)과 제2코일 지지부(7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코일(712)은 특정 형상으로 권취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코일(712)은 원형으로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제2코일 지지부(711)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2코일(712)은 상기 제2코일 지지부(711)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필터부재(12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코일 지지부(711)에는 상기 제2코일(712)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수신부(710)에는 제2단자(713)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단자(713)는 원형으로 권취된 제2코일(712)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2단자(713)는 상기 전원 수신부(710)와 상기 제2제어부(120a)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단자(713)를 통해 상기 제2제어부(120a)로 전기가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수신부(710)의 제2코일(712)은 상기 제1코일(702)에서 발생된 전자기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2코일(712)에 전자기장이 인가되면, 상기 제2코일(712)에서 기전력이 유도될 수 있다. 상기 제2코일(712)에 기전력이 유도되면, 상기 전원 수신부(710)에서 전류의 흐름이 발생되고, 상기 제2전원 수신부(710)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수신부(710)가 상기 전원 송신부(700)로부터 멀어지면, 상기 전원 송신부(700)에서 발생된 전자기장이 상기 전원 수신부(710)에 미 수신되어 전원 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수신부(710)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제1필터부(121)의 작동은 중단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서의 공기유동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의 유동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1송풍장치(100)의 구동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설명한다. 제1팬(160)이 구동하면, 제1흡입부(102) 및 베이스흡입부(103)를 통하여 실내공기가 제1케이스(101)의 내부로 흡입된다. 흡입된 공기는 제1필터부재(120)를 통과하며, 이 과정에서 공기 중 이물이 필터링 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흡입부(102)의 하부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내측 반경 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제1필터부재(120)를 통과한다. 그리고, 상기 제1흡입부(102)의 상부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제1케이스(101)와 제1팬하우징(150)의 사이에 형성되는 하우징 흡입유로를 따라 하방으로 유동하며, 상기 제1필터부재(120)의 외주면측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1필터부재(120)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흡입부(103)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제1필터부재(120)의 외주면측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1필터부재(120)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제1흡입부(102) 및 베이스흡입부(10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제1필터부재(1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는 제1필터부재(120)의 반경 방향으로 유동하여 필터링 된 후, 상방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1필터부재(120)는 상기 전원 수신부(710)로 상기 전원 송신부(700)의 무선 전원이 수신되면 작동할 수 있다. 상세히,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필터부재(120)에는 전기집진필터로 제공되는 제1필터부(121)와, 탈취필터로 제공되는 제2필터부(125)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부(121)는 상기 전원 수신부(710)에서 수신되는 무선 전원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부(121)가 작동되면,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대전되어 상기 제1필터부(121)에 흡착될 수 있다. 이물질이 필터링된 공기는 상기 제2필터부(125)를 통과한 후 냄새 입자가 제거된 후 상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부재(120)를 통과한 공기는 제1팬(160)을 통과하면서 반경 방향 상측으로 유동하며, 제1,2에어가이드 장치(170,180)를 통과하면서 안정적인 상방 유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1,2에어가이드 장치(170,180)를 통과한 공기는 제1토출가이드 장치(190)를 지나며, 제1토출부(105)를 통하여 상방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1토출부(105)를 통하여 배출된 공기는 상기 제1토출가이드 장치(190)의 상측에 위치한 구획판(430)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제2팬(260)이 구동하면, 제2흡입부(202)를 통하여 실내공기가 제2케이스(201)의 내부로 흡입된다. 흡입된 공기는 제2필터부재(220)를 통과하며, 이 과정에서 공기 중 이물이 필터링 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흡입부(202)의 하부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내측 반경 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제2필터부재(220)를 통과한다. 그리고, 상기 제2흡입부(202)의 상부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제2케이스(201)와 제2팬하우징(250)의 사이에 형성되는 하우징 흡입유로를 따라 하방으로 유동하며, 상기 제2필터부재(220)의 외주면측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2필터부재(220)를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공기가 제2필터부재(2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는 제2필터부재(220)의 반경 방향으로 흡입하여 필터링 된 후, 상방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2필터부재(220)는 상기 전원 수신부(810)로 상기 전원 송신부(800)의 무선 전원이 수신되면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2필터부재(220)의 구성은 상기 제1필터부재(120)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2필터부재(220)를 통과한 공기는 제2팬(260)을 통과하면서 반경 방향 상측으로 유동하며, 제3에어가이드 장치(270) 및 제2토출가이드 장치(280)를 통과하면서 안정적인 상방 유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3에어가이드 장치(270) 및 제2토출가이드 장치(280)를 통과한 공기는 유동 조절장치(300)를 경유하여 제2토출부(305)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가 도 20과 같이 누워져 있는 제1위치에 있으면,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방으로 유동된다. 반면에,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가 도 21과 같이 세워져 있는 제2위치에 있으면,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에서 배출된 공기는 전방 상측을 향하여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에 의하여, 공기 청정기(1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풍량은 증가되고, 공기 청정기(10)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까지 정화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타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단면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타 실시 예에 따른 필터부재로 전원이 공급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타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일부 구성이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타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그렇기에, 본 발명의 타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구성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구성의 설명으로 갈음할 수 있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는 제1송풍유닛(100)과 제2송풍유닛(200)으로 무선 전원을 송신하는 전원 송신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는 제1송풍유닛(100) 및 제2송풍유닛(200)으로 무선 전원을 송신하는 전원 송신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청정기(10)는 상기 전원 송신부(900)에서 송신되는 무선 전원을 수신하기 위한 전원 수신부(910,9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수신부(910,920)는 일측 전원 수신부(910) 및 타측 전원 수신부(9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송풍유닛(100)에는 상기 전원 송신부(900)에서 송신되는 무선 전원을 수신하기 위한 일측 전원 수신부(91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송풍유닛(200)에는 상기 전원 송신부(900)에서 송신되는 무선 전원을 수신하기 위한 타측 전원 수신부(92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전원 수신부(910)는 상기 제1송풍유닛(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전원 수신부(920)는 상기 제2송풍유닛(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전원 수신부(910)로 수신되는 무선 전원에 의해 상기 제1송풍유닛(100)의 제1필터부재(120)가 작동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필터부재(120)에는 전기집진필터로 제공되는 제1필터부가 포함되며, 상기 일측 전원 수신부(910)로 수신된 무선 전원으로 상기 제1필터부가 작동할 수 있다. 상기 타측 전원 수신부(920)로 수신되는 무선 전원에 의해 상기 제2송풍유닛(200)의 제2필터부재(220)가 작동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필터부재(220)에는 전기집진필터로 제공되는 제2필터부가 포함되며, 상기 타측 전원 수신부(920)로 수신된 무선 전원으로 상기 제2필터부가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부재(120)에 포함되는 제1필터부를 "제1전기집진필터"라 칭할 수 있다. 상기 제2필터부재(220)에 포함되는 제2필터부를 "제2전기집진필터"라 칭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송신부(900), 일측 전원 수신부(910), 및 타측 전원 수신부(920)는 제1에어가이드 장치(170), 제2에어가이드 장치(180), 제1토출가이드 장치(190), 레버 지지장치(560) 중 적어도 하나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가이드 장치(170), 제2에어가이드 장치(180), 제1토출가이드 장치(190) 및 상기 레버 지지장치(560)의 내측에는 전장 공간(59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장 공간(590)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에어가이드 장치(170), 상기 제2에어가이드 장치(180), 상기 제1토출가이드 장치(190), 및 상기 레버 지지장치(560)의 대략 중앙부에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가이드 장치(170), 상기 제2에어가이드 장치(180), 상기 제1토출가이드 장치(190), 및 상기 레버 지지장치(560)에 제공되는 공간부가 서로 연통되어 상기 전장 공간(59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장 공간(590)에는 PCB 장치(50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PCB 장치(500)에는 메인 PCB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PCB 장치(500)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CB 장치(500)는 상기 전원 송신부(9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 송신부(900)는 상기 PCB 장치(50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설명에서 상기 전원 송신부(900)는 상기 제1송풍유닛(100)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전원 송신부(900)는 상기 제2송풍유닛(200)에 고정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전원 송신부(900)는 자기 공진 방식으로 무선 전원을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 송신부(900)는 공진 주파수로 진동하는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송신부(90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은 일정한 거리로 이격된 일측 전원 수신부(910) 및 타측 전원 수신부(92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전원 수신부(910) 및 타측 전원 수신부(920)는 상기 전원 송신부(900)에서 생성된 공진 주파수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공진 주파수로 진동하는 자기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일측 전원 수신부(910) 및 타측 전원 수신부(920)에 자기장이 수신되면, 상기 일측 전원 수신부(910) 및 타측 전원 수신부(920)에서 전류의 흐름이 발생되고, 상기 일측 전원 수신부(910) 및 타측 전원 수신부(920)에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일측 전원 수신부(910)는 상기 전장 공간(590)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전원 수신부(920)는 상기 전장 공간(590)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전원 수신부(910)와 상기 타측 전원 수신부(920)는 상기 전원 송신부(900)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일측 전원 수신부(910)는 상기 전원 송신부(900)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전원 수신부(920)는 상기 전원 송신부(900)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장 공간(590)에서 상기 전원 송신부(900)에서 송신되는 자기장은 상기 일측 전원 수신부(910) 및 타측 전원 수신부(92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장 공간(590)은 상기 전원 송신부(900)에서 송신된 자기장이 상기 일측 전원 수신부(910) 및 타측 전원 수신부(920)로 전달되도록 하는 공진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일측 전원 수신부(910)는 상기 제1전기집진필터(1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전원 수신부(920)는 상기 제2전기집진필터(2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전원 수신부(910)로 무선 전원이 수신되는 여부에 따라 상기 제1전기집진필터(121)의 작동 여부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전원 수신부(920)로 무선 전원이 수신되는 여부에 따라 상기 제2전기집진필터(221)의 작동 여부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전장 공간(590)에는 상기 일측 전원 수신부(910)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915) 및 상기 타측 전원 수신부(920)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925)가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지지부(915)는 상기 전장 공간(590)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에어가이드 장치(170), 제2에어가이드 장치(180) 중 어느 하나의 내측으로부터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925)는 상기 전장 공간(590)의 나머지 일부를 형성하는 제1토출가이드 장치(190), 레버 지지장치(560) 중 어느 하나의 내측으로부터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915)는 상기 전장 공간(590)에서 상기 일측 전원 수신부(910)가 상기 전원 송신부(900)의 일면과 마주하게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925)는 상기 전장 공간(590)에서 상기 타측 전원 수신부(920)가 상기 전원 송신부(900)의 타면과 마주하게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측 전원 수신부(910)로 수신된 무선 전원을 상기 제1필터부재(120)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1송풍유닛(100)에는 제1전원 송신부 및 제1전원 수신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전원 수신부(920)로 수신된 무선 전원을 상기 제2필터부재(220)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2송풍유닛(200)에는 제2전원 송신부 및 제2전원 수신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 송신부와 상기 제2전원 송신부는 제1송풍유닛(100) 및 제2송풍유닛(20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 수신부와 상기 제2전원 수신부는 상기 제1필터부재(120)와 제2필터부재(220)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일측 전원 수신부(910)로 수신된 전원을 제1전원 송신부를 통해 송신되고, 상기 제1전원 송신부에서 송신된 무선 전원은 상기 제1필터부재(120)에 제공되는 제1전원 수신부에서 수신하여 상기 제1전기집진필터(121)를 작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타측 전원 수신부(920)로 수신된 전원은 제2전원 송신부를 통해 송신되고, 상기 제2전원 송신부에서 송신된 무선 전원은 상기 제2필터부재(220)에 제공되는 제2전원 수신부에서 수신하여 상기 제2전기집진필터(221)를 작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 송신부(900)는 제3전원 송신부(900)라 칭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전원 송신부(900)에 의해 제1송풍유닛(100)의 제1전기집진필터(121)와 제2송풍유닛(200)의 제2전기집진필터(221)를 작동시킬 수 있기에, 상기 제1전기집진필터(121) 및 상기 제2전기집진필터(221)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고, 공기 청정기(10)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송풍유닛(100)을 독립적으로 사용 중 상기 제2송풍유닛(200)을 상기 제1송풍유닛(100)에 결합하는 동작으로 상기 제2송풍유닛(200)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송풍유닛(100)과 상기 제2송풍유닛(2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구조가 간소화되어, 상기 제1송풍유닛(100)과 상기 제2송풍유닛(200)의 조립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10: 공기 청정기 20: 베이스
100: 제1송풍장치 110: 흡입그릴
120: 제1필터부재 130 제1필터프레임
140: 지지장치 150: 제1팬하우징
160: 제1팬 170: 제1에어가이드 장치
180: 제2에어가이드 장치 190: 제1토출가이드 장치
200: 제2송풍장치 210: 레버 지지장치
260: 제2팬 270: 제3에어가이드 장치
280: 제2토출가이드 장치 300: 유동전환 장치
400: 구획장치 430: 구획판
500: PCB 장치 700: 전원 송신부
710: 전원 수신부

Claims (16)

  1. 반경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하여 토출하는 제1송풍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송풍유닛에는,
    제1흡입부가 형성되는 제1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의 하측에 제공되는 베이스;
    상기 제1케이스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토출부;
    상기 제1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고, 공기를 유동시키는 제1팬;
    상기 제1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필터 프레임; 및
    상기 제1필터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흡입부로부터 상기 제1토출부를 향해 유동되는 공기를 필터링 하는 제1필터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제1필터 프레임에는, 무선 전원을 송신하는 제1전원 송신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필터부재에는, 상기 제1전원 송신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무선 전원을 수신하는 제1전원 수신부가 구비되는 공기 청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부재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흡입부로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제1필터부;
    상기 제1필터부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필터부를 통과한 공기를 필터링하는 제2필터부; 및
    상기 제1필터부 및 상기 제2필터부를 지지하는 고정 프레임이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부는, 전기 집진 필터로 제공되는 공기 청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 수신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구비되는 공기 청정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에는,
    상기 제1필터부 및 제2필터부의 상부를 지지하는 제1고정 프레임; 및
    상기 제1필터부 및 제2필터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고정 프레임이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 수신부는, 상기 제1고정 프레임, 상기 제2고정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공기 청정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 프레임에는,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 프레임;
    하부를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지지 프레임이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 송신부는, 상기 제1전원 수신부를 마주하는 상기 상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공기 청정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송풍유닛에는,
    상기 제1전원 송신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제1전원 송신부에서 송신되는 무선 전원의 주파수를 조절하기 위한 제1전원 발진기; 및
    상기 제1전원 송신부 및 제1전원 발진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가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부재에는,
    상기 제1전원 수신부로 수신되는 무선 전원을 정류하기 위한 제1전원 정류기; 및
    상기 제1전원 수신부 및 상기 제1전원 정류기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1필터부재에 포함되는 전기집진필터를 작동시키는 제2제어부가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 프레임에는, 상기 제1필터부로부터 분리되는 이물질이 저장되는 이물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공기 청정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송풍유닛의 상측에 배치되고, 반경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며,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하여 토출하는 제2송풍유닛을 더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송풍유닛에는,
    제2흡입부가 형성되는 제2케이스;
    상기 제2케이스의 하측에 제공되는 구획판;
    상기 제2케이스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토출부;
    상기 제2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고, 공기를 유동시키는 제2팬;
    상기 제2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필터 프레임; 및
    상기 제2필터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2흡입부로부터 상기 제2토출부를 향해 유동되는 공기를 필터링 하는 제2필터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제2필터 프레임에는, 무선 전원을 송신하는 제2전원 송신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필터부재에는, 상기 제2전원 송신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무선 전원을 수신하는 제2전원 수신부가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터부재에는, 전기 집진 필터로 제공되는 제3필터부가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송풍유닛 및 상기 제2송풍유닛의 사이에는 전장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전장 공간에는,
    상기 제1송풍유닛 및 상기 제2송풍유닛 중 어느 하나로 무선 전원을 송신하기 위한 제3전원 송신부;
    상기 제3전원 송신부에서 송신되는 무선 전원을 수신하여 상기 제1송풍유닛으로 전달하는 일측 전원 수신부; 및
    상기 제3전원 송신부에서 송신되는 무선 전원을 수신하여 상기 제2송풍유닛으로 전달하는 타측 전원 수신부가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전원 수신부로 수신된 전원은 상기 제1전원 송신부로 전달되고,
    상기 타측 전원 수신부로 수신된 전원은 상기 제2전원 송신부로 전달되는 공기 청정기.
KR1020190046373A 2019-04-19 2019-04-19 공기 청정기 KR202001229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373A KR20200122941A (ko) 2019-04-19 2019-04-19 공기 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373A KR20200122941A (ko) 2019-04-19 2019-04-19 공기 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941A true KR20200122941A (ko) 2020-10-28

Family

ID=73018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373A KR20200122941A (ko) 2019-04-19 2019-04-19 공기 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294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5537B1 (ko) 공기 청정기
CN111853992B (zh) 空气清洁器
EP2452604B1 (en)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101653481B1 (ko) 진공 청소기 및 집진장치
KR100476423B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CN107101450A (zh) 用于冰箱的空气净化装置
EP3257566B1 (en) Air cleaner
KR101913470B1 (ko) 공기 청정기
CN111853993B (zh) 空气清洁器
EP3005923B1 (en)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KR101861012B1 (ko) 공기 청정기
KR20200127456A (ko) 공기청정기
KR20180040903A (ko) 공기 청정기
KR20200122941A (ko) 공기 청정기
KR102204546B1 (ko) 공기 청정기
KR20200128997A (ko) 공기 청정기
KR102247458B1 (ko) 공기 청정기
US11964225B2 (en) Air cleaner
KR101972416B1 (ko) 공기 청정기
KR101902069B1 (ko) 공기 청정기
JP2014014452A (ja) 電気掃除機
CN218684103U (zh) 一种双腔式尘杯结构
CN216147985U (zh) 尘桶、集尘站及扫地机器人系统
KR20070000754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KR20230089403A (ko)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