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2042A - 효과적인 흡연부스 담배연기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효과적인 흡연부스 담배연기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2042A
KR20200122042A KR1020190044808A KR20190044808A KR20200122042A KR 20200122042 A KR20200122042 A KR 20200122042A KR 1020190044808 A KR1020190044808 A KR 1020190044808A KR 20190044808 A KR20190044808 A KR 20190044808A KR 20200122042 A KR20200122042 A KR 20200122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ing booth
air
cigarette smoke
smoke
tobacco sm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4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용
Original Assignee
조현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용 filed Critical 조현용
Priority to KR1020190044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2042A/ko
Publication of KR20200122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0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2001/1294Booths for smo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2Tobacco sm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2Cleaning ducts o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연부스에서 피운 담배연기 그리고 담배연기에 함유된 악취 및 인체 유해성분을 흡입 제거하고, 그 담배연기, 악취, 인체 유해성분이 제거된 정화된 공기를 다시 흡연부스로 재공급하여 흡연부스를 항상 청정하게 관리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효과적인 흡연부스 담배연기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흡연부스의 담배연기가 흡입되는 흡입부(110)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흡입부로부터 흡입돼 들어온 담배연기와 그 담배연기에 함유된 악취 및 인체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필터(120)가 설치되며, 상기 필터를 통과한 정화된 공기를 저장하는 공기저장부(130)가 마련되고, 그 공기저장부에는 적어도 1곳 이상에 상기 공기저장부의 정화된 공기를 흡연부스로 배출하는 배출수단(140)을 설치하여 된 담배연기정화수단(100); 상기 공기저장부의 정화된 일부 공기를 흡입하여 흡연부스의 하부로 공급하도록 하부에 공기배출구멍(210)이 형성되고, 그 공기배출구멍이 형성된 하단은 흡연부스의 지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단은 흡입 팬(220)이 설치된 상태로 상기 공기저장부에 위치되게 설치하여 된 공기배출파이프(200);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효과적인 흡연부스 담배연기 관리장치{Effective Smoking Booth Cigarette Smoke Management Device}
본 발명은 흡연부스에서 피운 담배연기 그리고 담배연기에 함유된 악취 및 인체 유해성분을 흡입 제거하고, 그 담배연기, 악취, 인체 유해성분이 제거된 정화된 공기를 다시 흡연부스로 재공급하여 흡연부스를 항상 청정하게 관리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효과적인 흡연부스 담배연기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 사무실, 식당 등과 같은 여러 사람이 모이는 건물에는 일측 구석진 장소에 칸막이를 설치하여 흡연자를 위한 별도의 흡연부스를 마련하고, 그 흡연부스 내에서 흡연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흡연자를 위한 흡연부스에는 담배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풍기가 설치되어 흡연부스 내에서 발생하는 담배연기를 실외로 배출하도록 하고 있으며, 좀더 고급스런 흡연부스의 경우에는 흡연부스 내부에 공기청정기를 설치하여 담배연기를 제거하게 하는 것도 있다.
한편 상기 흡연 시 발생하는 담배 연기에는 타르나 니코틴 등의 여러 종류의 유해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들이 인체에 흡수되는 경우에 질병을 유발하는 등, 흡연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최근에는 비흡연자의 간접 흡연 또한, 건강에 나쁘다는 연구 결과에 따라 흡연 장소를 제한하고 있음은 물론, 건물 전체를 금연 장소로 지정하거나, 건물의 실내 또는 실외의 일부 공간을 흡연부스로 지정하여 비흡연자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노력을 하고 있으나 상기 흡연부스 주변의 담배연기 노출 및 악취는 피할 수 없고, 건물의 청결한 관리 및 간접 흡연으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없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0140136호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는 흡연을 위한 내부 공간을 가지는 본체의 일측에 흡연자의 출입을 위한 도어가 설치되고, 본체의 상부에 환기구가 형성된다.
환기구에는 환기 팬이 설치되고, 본체 내에서 발생하는 담배 연기는 환기구와 환기 팬에 의해 본체 외부로 배출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흡연실에 따르면, 담배 연기의 유해 성분이 대기 중으로 모두 배출되므로, 흡연실 주변의 공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근본적으로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도 1과 같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6781가 제공되어 있으며, 그 구성을 살펴보면, 벽과 출입문을 가지고, 내부에 흡연 공간을 형성하는 흡연부스에 설치되는 것으로, 공기의 유동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흡연부스에 덕트(10)가 마련되고, 상기 흡연부스 내부의 공기를 상기 덕트로 강제 유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덕트에 하나 이상의 흡입팬이 설치되며, 상기 덕트의 유동로 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플라즈마부(20)가 설치되고, 상기 덕트의 유동로 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후처리부(30)를 설치하되, 상기 후처리부는, 금속 필터, 포토 플라즈마 램프, 헤파 필터로 이루어진다.
또 도 2와 같은 특허공개번호 제10-2013-0106522호의 흡연부스 공기정화장치가 제공되어 있고, 그 구성을 살펴보면, 산소와 혼합된 탈취개스를 발생하는 탈취제발생기(50)와, 상기 탈취제발생기(50)로부터 발생된 탈취개스를 유입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탈취개스 유입관(60)과, 상기 흡연부스의 외벽에 설치고정되어 상기 탈취제발생기(50)로부터 발생된 탈취개스를 상기 탈취개스 유입관(60)을 통해 유입하여 흡연공간내부로 분사하는 탈취개스 분사관(70)과, 상기 흡연부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탈취개스 분사관(70)으로부터 분사된 탈취개스와 담배연기를 흡입하여 연기제거 및 유해성분을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제연부(8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흡연부스의 담배연기 정화장치의 개량 보완한 것으로, 흡연부스 내에서 발생되는 담배연기 및 그 담배연기에 함유된 악취와 인체 유해성분을 필터를 통하여 제거한 후 정화된 공기를 다시 흡연부스로 재공급하여 흡연부스를 쾌적하게 관리할 수 있음은 물론, 담배연기가 흡연부스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대기오염을 방지함과 동시에 타인에게 담배의 악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한 효과적인 흡연부스 담배연기 관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구성은, 흡연부스에서 피운 담배연기와 그 담배연기에 함유된 악취 및 인체 유해성분을 제거하고, 그 담배연기, 악취, 인체 유해성분이 제거된 공기를 다시 흡연부스로 재공급하는 효과적인 흡연부스 담배연기 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효과적인 흡연부스 담배연기 관리장치는, 흡연부스의 담배연기가 흡입되는 흡입부(110)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흡입부로부터 흡입되 들어온 담배연기와 그 담배연기에 함유된 악취 및 인체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필터(120)가 설치되며, 상기 필터를 통과한 정화된 공기를 저장하는 공기저장부(130)가 마련되고, 그 공기저장부의 적어도 1곳 이상에 상기 공기저장부의 정화된 공기를 흡연부스로 배출하는 배출수단(140)을 설치하여 된 담배연기정화수단(100);
상기 공기저장부의 정화된 일부 공기를 흡입하여 흡연부스의 하부로 공급하도록 하부에 공기배출구멍(210)이 형성되고, 그 공기배출구멍이 형성된 하단은 흡연부스의 지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단은 흡입 팬(220)이 설치된 상태로 상기 공기저장부에 위치되게 설치하여 된 공기배출파이프(20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배출수단(140)은, 상기 공기저장부의 정화된 공기를 흡연부스로 배출하는 배출구(141)와, 그 배출구로 상기 공기저장부의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 팬(142)으로 구성되고, 상기 공기배출파이프(200)의 공기배출구멍(210) 상부에는 재떨이(400)가 설치되며, 상기 흡연부스에는 담배연기감지센서(S)가 설치되고, 그 담배연기감지센서에서 담배연기가 감지되면 상기 배출수단(140)과 흡입 팬(220)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공기배출파이프(200)의 외부에는 공기배출파이프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담배연기흡입파이프(300)를 설치하되, 그 담배연기흡입파이프에는 흡연부스의 담배연기를 흡입하도록 다수의 담배연기흡입구멍(310)이 형성되고, 상단은 상기 담배연기흡입구멍을 통하여 흡입된 담배연기를 담배연기정화수단으로 공급하도록 담배연기정화수단과 상호 연결설치된다.
또 상기 담배연기흡입파이프(300)에는 재떨이(400)가 설치되고, 상기 담배연기흡입파이프(300)의 내주 면에는 필터(F)가 설치되며, 상기 담배연기흡입파이프(300)는, 상기 공기배출파이프(200)의 외주 면과 상기 담배연기흡입파이프(300)를 세척할 수 있도록 양분가능하게 형성된다.
또 상기 공기배출파이프(200)의 상단에는, 복수 개의 연장파이프(230)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각 연장파이프의 선단에는 상기 담배연기정화수단(100)을 설치하되, 상기 각 연장파이프의 선단은 흡입 팬(220)이 설치된 상태로 상기 담배연기정화수단의 공기저장부에 위치되게 설치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효과적인 흡연부스 담배연기 관리장치는, 상기 목적에서 설명하였듯이 흡연부스 내에서 발생되는 담배연기 및 그 담배연기에 함유된 악취와 인체 유해성분을 필터를 통하여 제거한 후 정화된 공기를 다시 흡연부스로 재공급하여 흡연부스를 쾌적하게 관리할 수 있음은 물론, 담배연기가 흡연부스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대기오염을 방지함과 동시에 타인에게 담배의 악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흡연부스 공기정화장치 제1실시 예의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흡연부스 공기정화장치 제2실시 예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 예의 흡연부스 담배연기 관리장치에 의한 흡연부스 공기순환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 예의 흡연부스 담배연기 관리장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 예의 흡연부스 담배연기 관리장치에 의한 흡연부스 공기순환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 예의 흡연부스 담배연기 관리장치에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 예의 흡연부스 담배연기 관리장치에 의한 흡연부스 공기순환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 예의 흡연부스 담배연기 관리장치에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흡연부스 담배연기 관리장치에서 담배연기흡입파이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효과적인 흡연부스 담배연기 관리장치 제어 블록도.
본 발명에 따른 효과적인 흡연부스 담배연기 관리장치는, 흡연부스에서 피운 담배연기 그리고 담배연기에 함유된 악취 및 인체 유해성분(이하 '담배연기'라 총칭함)을 흡입 제거하고, 그 담배연기 제거된 정화된 공기를 다시 흡연부스로 공급하여 흡연부스를 쾌적하게 관리할 수 있음은 물론, 담배연기가 흡연부스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대기오염을 방지함과 동시에 타인에게 담배의 악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흡연부스 담배연기 관리장치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연부스에서 피운 담배연기를 제거하고, 그 담배연기가 제거된 공기를 다시 흡연부스로 재공급하는 효과적인 흡연부스 담배연기 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효과적인 흡연부스 담배연기 관리장치는, 흡연부스의 담배연기가 흡입되는 흡입부(110)가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흡입부로부터 흡입되 들어온 담배연기를 제거하는 필터(120)가 설치되며, 상기 필터를 통과한 정화된 공기를 저장하는 공기저장부(130)가 마련되고, 그 공기저장부에는 적어도 1곳 이상에 상기 공기저장부의 정화된 공기를 흡연부스로 배출하는 배출수단(140)을 설치하여 된 담배연기정화수단(100);
상기 공기저장부의 정화된 일부 공기를 흡입하여 흡연부스의 하부로 공급하도록 하부에 공기배출구멍(210)이 형성되고, 그 공기배출구멍이 형성된 하단은 흡연부스의 지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단은 흡입 팬(220)이 설치된 상태로 상기 공기저장부에 위치되게 설치하여 된 공기배출파이프(200);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효과적인 흡연부스 담배연기 관리장치는, 흡연부스에서 흡연이 이루어져 담배연기가 발생하면 배출수단(140)의 구성인 배출 팬(142)이 작동되어 배출구(141)로 공기저장부(130)의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공기저장부(130)에서는 흡입력이 발생하게 되고 그 흡입력은 필터(120)를 통하여 흡입부(110)로 흡입력이 발생 되면서 흡연부스의 담배연기를 도 3과 같이 흡입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공기저장부(130)의 흡입력 발생은, 상기 공기배출파이프(200)의 선단에 설치된 흡입 팬(220)에 의해서도 발생 되므로 상기 흡입부(110)로의 담배연기 흡입력은 강력하게 발생 되고 그에 따라 흡입부(110)로 흡입돼 들어오는 담배연기가 필터(120)를 통과하며 제거된다.
상기 필터(120)의 일실시 예는, 담배연기가 흡입돼 들어오는 입구에 플라즈마를 발생하여 담배연기를 제거하기위한 플라즈마 발생기(121)와, 그 플라즈마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플라즈마에 의해 연기가 제거된 공기를 통과시켜 담배냄새를 제거하는 활성탄필터(122)와, 상기 활성탄필터로부터 담배냄새가 제거된 공기를 통과시켜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헤파필터(123)로 구성된다.
상기 필터(120)는 통상의 필터이며 그 필터를 형성하는 플라즈마 발생기(121), 활성탄필터(122), 헤파필터(123)는 순차적으로 배열하거나 또는 그 순서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은 필터(120) 외에도 다양한 구조의 담배연기를 제거하는 필터들이 이미 개발되어 제공되어 있는바, 본 발명은 상기 다양한 형태의 필터 중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공기저장부(130)의 정화된 공기 배출은, 상기 배출수단(140)에 의한 흡연부스(B) 상부와 흡입 팬(220)에 의한 공기배출파이프(200)의 하부에 형성된 공기배출구멍(210)을 통한 흡연부스(B)의 상부 및 하부로 동시에 배출된다.
단 상기 공기저장부(130)의 정화된 공기를 흡연부스(B)의 상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141)와 배출 팬(142)으로 구성되는 배출수단(140)은, 적어도 1곳 이상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정화된 공기를 흡연부스(B)에 골고루 공급되어 분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공기배출파이프(200)의 하부에 형성된 공기배출구멍(210)을 통한 흡연부스(B) 하부로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이유는, 흡연부스(B)에서 흡연하며 발생되는 담배연기를 상부로 유도하여 흡입부(110)로 신속하게 흡입 유도함으로써 흡연부스(B)에서의 담배연기 정체시간을 최소화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공기배출파이프(200)의 상단에 흡입 팬(220)을 설치한 이유는, 공기저장부(130)의 정화된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배출파이프(200)의 하부에 형성된 공기배출구멍(210)으로 원활하게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담배연기정화수단(100)의 흡입부(110)를 통하여 담배연기가 흡입되고, 또 담배연기정화수단(100)의 배출수단(140)과 공기배출파이프(200)의 하부에 형성된 공기배출구멍(210)으로 공기저장부(130)의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킴으로 흡연부스(B)의 공기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연부스 하부에서 상부로 순환되는 형태를 이룸으로 흡연부스에서 흡연하는 사람에게 담배연기의 악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흡연부스를 청정하게 관리할 수 있고, 또 흡연부스에서 발생되는 담배연기를 제거하여 재사용함으로 흡연부스 외부로 담배연기가 누기 되지 않아 비흡연자에게 악 영향을 끼치지 않음과 동시에 대기오염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 담배연기정화수단(100)은 흡연부스(B)의 천장에 설치되는 것으로 흡연부스의 천장이 담배연기정화수단(100)을 매립할 수 있는 곳이면 매립설치하고, 매립설치할 수 없는 곳이면 노출되게 설치한다.
또한 상기 공기배출파이프(200)의 공기배출구멍(210) 상부에는 피운 담배를 끄거나 또는 담배꽁초를 버리도록 하는 재떨이(400)가 설치됨으로 흡연부스에는 별도의 재떨이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고, 상기 재떨이(400)의 설치 높이는 사람의 허리 높이와 준하는 높이로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공기배출파이프(200)의 외부에 공기배출파이프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담배연기흡입파이프(300)를 설치하되, 그 담배연기흡입파이프(300)에는 흡연부스의 담배연기를 흡입하도록 다수의 담배연기흡입구멍(310)이 형성되고, 상단은 상기 담배연기흡입구멍을 통하여 흡입된 담배연기를 담배연기정화수단(100)의 필터(120)로 공급하도록 담배연기정화수단(100)의 하부와 상호 연통되게 연결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공기배출파이프(200)의 외부에 공기배출파이프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담배연기흡입파이프(300)를 설치하는 이유는, 흡연부스(B)에서 발생 되는 담배연기를 더욱 효율적으로 흡입하도록 하기위함으로써, 상기 담배연기흡입파이프(300)에는 다수의 담배연기흡입구멍(310)이 형성되어 있음으로 상기 담배연기흡입구멍(310)으로 담배연기가 바로 흡입된다.
상기 담배연기흡입구멍(310)으로 담배연기를 흡입하는 흡입력은, 배출수단(140)의 작동과 함께 공기저장부(130)에 발생 되는 흡입력이 필터(120)를 통하여 공기배출파이프(200)와 담배연기흡입파이프(300)의 사이로 영향을 미쳐 상기 담배연기흡입구멍(310)으로 담배연기가 흡입됨은 물론, 흡입부(110)로도 흡입력이 발생 되어 흡연부스(B)의 담배연기가 상기 담배연기흡입구멍(310) 및 흡입부(110)에서 동시에 흡입됨으로 흡연부스(B)의 담배연기를 더욱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흡입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공기배출파이프(200)의 상단에 설치된 흡입 팬(220)에서도 공기저장부(130)의 공기를 흡입하여 흡연부스(B)의 하부에 위치한 공기배출구멍(210)으로 배출시킴으로 흡연부스(B)의 담배연기 제거는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담배연기흡입파이프(300)의 내주 면에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담배연기흡입구멍(310)으로 흡입돼 들어오는 이물질 또는 유해성분 등을 걸러주는 필터(F)가 상기 담배연기흡입파이프(300)의 내주 면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상기 담배연기흡입파이프(300)는, 공기배출파이프(200)의 외주 면과 상기 담배연기흡입파이프(300)를 세척할 수 있도록 양분되게 형성시킴으로써, 주기적으로 상기 담배연기흡입파이프(300)를 양분하여 공기배출파이프(200)의 외주 면은 물론, 담배연기흡입파이프(300)를 세척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배연기흡입파이프(300)를 양분되게 하는 구성은, 일실시 예로 담배연기흡입파이프(300)의 길이방향으로 반원형의 2개 파이프 단부에 자석(M)을 설치하여 그 자석(M)을 상호 결합시키거나 또는 이격시키는 방법으로 담배연기흡입파이프(300)를 형성하거나 또는 양분하게 할 수도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이고, 그 외에도 담배연기흡입파이프(300)가 양분된 후 상호 결합 될 수 있는 구조면 모두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흡연부스(B)에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담배연기감지센서(S)를 설치하여 흡연부스에 담배연기가 발생 되면 상기 담배연기감지센서(S)에서 감지하여 제어부(C)를 통하여 배출수단(140)과 흡입 팬(220)을 작동시키도록 할 수도 있고, 또 상기 배출수단(140)과 흡입 팬(220)의 작동을 수동 온/오프 스위치를 통하여 인위적으로 작동 및 정지시키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공기배출파이프(200)의 상단에 복수 개의 연장파이프(230)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각 연장파이프(230)의 선단은 상기 담배연기정화수단(100)과 연결설치하되, 상기 각 연장파이프(230)의 선단은 흡입 팬(220)이 설치된 상태로 상기 담배연기정화수단(100)의 공기저장부(130)에 위치되게 설치하여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공기배출파이프(200)의 상단에 복수 개의 연장파이프(230)를 연결 설치하고, 상기 각 연장파이프(230)의 선단에 상기 담배연기정화수단(100)을 설치하게 되면 흡연부스(B)의 복수 곳에서 담배연기를 흡입하게 되므로 흡연부스의 담배연기를 신속하게 흡입 제거하고 그 담배연기가 제거된 정화된 공기를 흡연부스의 다수곳(담배연기정화수단(100)의 배출수단(140) 및 공기배출파이프(200)의 공기배출공(210))에서 재공급함으로써 흡연부스(B)를 쾌적하게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재떨이(400)를 담배연기흡입파이프(300)에 설치하는 이유는, 담배 재를 용이하게 떨 수 있도록 함은물론, 상기 재떨이(400)는 담배꽁초 등이 모아져 악취가 심하게 발생함으로 그 악취를 담배연기흡입구멍(310)을 통하여 흡입하여 흡연부스의 악취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흡연부스 담배연기 관리장치에서 상기 담배연기흡입파이프(300)에 형성된 담배연기흡입구멍(310)은, 재떨이(400)의 상부에서 담배연기정화수단(100)의 하부 사이 구간에 형성되는데, 그 이유는, 사람이 흡연하면서 내뿜는 담배연기 배출 구역은 대략 천장에 설치된 담배연기정화수단(100)과 재떨이(400)의 상부구간 사이임으로 상기 담배연기흡입구멍(310)은 물론, 담배연기정화수단(100)의 흡입부(110)에서 담배연기를 용이하게 흡입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공기배출파이프(200)에 형성된 공기배출구멍(210)은 재떨이(400)의 하부에 위치되게 형성시키는데, 그 이유는, 상기 재떨이(400)가 공기배출구멍(210)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공기배출구멍(210)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재떨이(400)의 재가 비산 되고 또 재떨이의 악취가 확산되기 때문에 그를 방지하기 위하여 공기배출구멍(210)이 재떨이(40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공기배출구멍(210)을 재떨이(400)의 하부에 위치하게 하는 또 다른 이유는, 정화된 공기를 흡연부스의 하부로 공급함으로써 그 하부로 공급되는 정화된 공기가 흡연부스의 연기를 상부로 밀어 올려 흡입부(110)로 용이하게 흡입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재떨이(400)는, 박스형태의 재떨이 본체(410)에 피우던 담배를 끄는 부재가 담겨진 서랍 또는 용기(420)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하여 재떨이(400)의 재 또는 담배꽁초를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흡연부스 담배연기 관리장치 구성에서 배출 팬(142), 흡입팬(220), 담배연기감지센서(S)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연부스에 설치되는 제어부(C)에 의해 제어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흡연부스 담배연기 관리장치는, 상기 효과에서 설명하였듯이 흡연부스 내에서 발생되는 담배연기를 필터를 통하여 제거한 후 정화된 공기를 다시 흡연부스로 재공급하여 흡연부스를 쾌적하게 관리할 수 있음은 물론, 담배연기가 흡연부스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대기오염을 방지함과 동시에 타인에게 담배의 악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의 흡연부스 담배연기 관리장치는, 천장에 위치하는 담배연기정화수단의 흡입부와 담배연기흡입파이프에 형성된 담배연기흡입구멍을 통하여 담배연기가 흡입되고, 또 담배연기정화수단의 배출수단과 공기배출파이프의 하부에 형성된 공기배출구멍으로 공기저장부의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킴으로 흡연부스의 공기는 하부에서 상부로 순환되는 형태를 이룸으로 흡연부스에서 흡연하는 사람에게 담배연기의 악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흡연부스를 청정하게 관리할 수 있고, 또 흡연부스에서 발생되는 담배연기를 제거하여 재사용함으로 담배연기가 흡연부스 외부로 누기 되지 않아 비흡연자에게 악 영향을 끼치지 않음과 동시에 대기오염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100 : 담배연기정화수단 110 : 흡입부
120 : 필터 121 : 플라즈마 발생기 122 : 활성탄필터
123 : 헤파필터
130 : 공기저장부 140 : 배출수단
141 : 배출구 142 : 배출 팬
200 : 공기배출파이프 210 : 공기배출구멍
220 : 흡입 팬 230 : 연장파이프
300 : 담배연기흡입파이프 310 : 담배연기흡입구멍
400 : 재떨이 410 : 본체
420 : 서랍 또는 용기 B : 흡연부스
C : 제어부 F : 필터
M : 자석 S : 담배연기감지센서

Claims (9)

  1. 흡연부스에서 피운 담배연기와 그 담배연기에 함유된 악취 및 인체 유해성분을 제거하고, 그 담배연기, 악취, 인체 유해성분이 제거된 공기를 다시 흡연부스로 재공급하는 효과적인 흡연부스 담배연기 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효과적인 흡연부스 담배연기 관리장치는, 흡연부스의 담배연기가 흡입되는 흡입부(110)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흡입부로부터 흡입돼 들어온 담배연기와 그 담배연기에 함유된 악취 및 인체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필터(120)가 설치되며, 상기 필터를 통과한 정화된 공기를 저장하는 공기저장부(130)가 마련되고, 그 공기저장부에는 적어도 1곳 이상에 상기 공기저장부의 정화된 공기를 흡연부스로 배출하는 배출수단(140)을 설치하여 된 담배연기정화수단(100);
    상기 공기저장부의 정화된 일부 공기를 흡입하여 흡연부스의 하부로 공급하도록 하부에 공기배출구멍(210)이 형성되고, 그 공기배출구멍이 형성된 하단은 흡연부스의 지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단은 흡입 팬(220)이 설치된 상태로 상기 공기저장부에 위치되게 설치하여 된 공기배출파이프(2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과적인 흡연부스 담배연기 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140)은, 상기 공기저장부의 정화된 공기를 흡연부스로 배출하는 배출구(141)와, 그 배출구로 상기 공기저장부의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 팬(14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과적인 흡연부스 담배연기 관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파이프(200)의 공기배출구멍(210) 상부에는 재떨이(4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과적인 흡연부스 담배연기 관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연부스(B)에는 담배연기감지센서(S)가 설치되고, 그 담배연기감지센서에서 담배연기가 감지되면 상기 배출수단(140)과 흡입 팬(220)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과적인 흡연부스 담배연기 관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파이프(200)의 외부에는 공기배출파이프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담배연기흡입파이프(300)를 설치하되, 그 담배연기흡입파이프에는 흡연부스의 담배연기를 흡입하도록 다수의 담배연기흡입구멍(310)이 형성되고, 상단은 상기 담배연기흡입구멍을 통하여 흡입된 담배연기를 담배연기정화수단으로 공급하도록 담배연기정화수단과 상호 연결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과적인 흡연부스 담배연기 관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담배연기흡입파이프(300)에는 재떨이(4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과적인 흡연부스 담배연기 관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담배연기흡입파이프(300)의 내주 면에는 필터(F)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과적인 흡연부스 담배연기 관리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담배연기흡입파이프(300)는, 상기 공기배출파이프(200)의 외주 면과 상기 담배연기흡입파이프(300)를 세척할 수 있도록 양분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과적인 흡연부스 담배연기 관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파이프(200)의 상단에는, 복수 개의 연장파이프(230)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각 연장파이프의 선단에는 상기 담배연기정화수단(100)을 설치하되, 상기 각 연장파이프의 선단은 흡입 팬(220)이 설치된 상태로 상기 담배연기정화수단의 공기저장부에 위치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과적인 흡연부스 담배연기 관리장치.
KR1020190044808A 2019-04-17 2019-04-17 효과적인 흡연부스 담배연기 관리장치 KR202001220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808A KR20200122042A (ko) 2019-04-17 2019-04-17 효과적인 흡연부스 담배연기 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808A KR20200122042A (ko) 2019-04-17 2019-04-17 효과적인 흡연부스 담배연기 관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042A true KR20200122042A (ko) 2020-10-27

Family

ID=73136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808A KR20200122042A (ko) 2019-04-17 2019-04-17 효과적인 흡연부스 담배연기 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204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67271A (ko) 열 교환형 환기시스템을 구비한 흡연부스
KR101898674B1 (ko) 데미스터 필터를 이용한 흡연시 배출되는 연기, 니코틴, 타르, 유해세균을 제거하는 개인용 이동식 흡연장치
KR20150095491A (ko) 흡연부스 및 그 제어방법
KR101366604B1 (ko) 담배 연기 악취 분해 및 먼지 제거장치
KR101309017B1 (ko) 정화처리형 흡연부스
KR20200089349A (ko) 다기능 흡연시설용 제연 정화시스템
KR20200136680A (ko) 흡연부스
KR20200122042A (ko) 효과적인 흡연부스 담배연기 관리장치
KR101530362B1 (ko) 흡연부스의 담배연기 관리장치
KR101917621B1 (ko) 탁상용 흡연 정화장치
KR20130106522A (ko) 흡연부스의 공기정화장치
KR20150095490A (ko) 흡연부스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95492A (ko) 흡연의 위험을 경고하는 흡연부스용 정화장치
KR20160010162A (ko) 흡연부스 피톤치드 시스템
KR101667253B1 (ko) 담배 냄새 정화 기능을 갖는 흡연부스용 담배 재떨이
CN113739334A (zh) 一手烟与二手烟纯化净化设备及方法
JP3077975U (ja) パーティションルーム
JP2019113300A (ja) 脱臭機能付喫煙室
KR101765037B1 (ko) 담배연기 정화 배출장치
JP2018023770A (ja) 遊技施設排煙システム
KR20150095488A (ko) 흡연부스용 재떨이
KR101678609B1 (ko) 공기 정화 부스
KR20160069186A (ko) 흡연부스 정화 및 담배 냄새 정화 기능을 갖는 흡연부스.
JP4419052B2 (ja) 清浄機能付ユニット型喫煙室
JP6559451B2 (ja) 喫煙空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