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2025A -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 및 이를 이용한 수목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 및 이를 이용한 수목관리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22025A KR20200122025A KR1020190044761A KR20190044761A KR20200122025A KR 20200122025 A KR20200122025 A KR 20200122025A KR 1020190044761 A KR1020190044761 A KR 1020190044761A KR 20190044761 A KR20190044761 A KR 20190044761A KR 20200122025 A KR20200122025 A KR 2020012202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ee
- display means
- management
- smart device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0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5000008331 Pinus X rigitae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8
- 241000018646 Pinus brutia Species 0.000 description 28
- 235000011613 Pinus brut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6
- 241000244206 Nemat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7
- 241000607479 Yersinia pestis Specie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958 fumi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372 labe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897 system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8000000291 Nematode infection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835 investi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0507 AID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405 Pinus densiflo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670 Pinus densiflo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941 Rangifer tarand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33 burial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29 gnaw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86 mic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09F3/206—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specially adapted for marking or identifying pl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 및 이를 이용한 수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로는 산림관리 등을 목적으로 수목의 생장상황을 측정 및 관찰하기 위해 수목의 상태를 식별하여 정보를 취득하거나, 병해충에 감염된 것으로 의심되는 수목 즉 감염의심목 등에 대한 식별, 시료채취 등을 함에 있어 스마트폰 등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관리대상 수목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식별하여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와 이를 이용한 수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관리대상 수목의 나무줄기를 두를 수 있는 띠로서, 스마트기기로 인식 가능한 정보로서 고유코드를 포함하고 있는 제1표시수단, 상기 띠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수목크기가 연속적으로 표시되는 제2표시수단 및 상기 띠를 상기 나무줄기에 둘러싸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띠를 상기 나무줄기에 둘러싸서 고정시킬 때, 상기 제2표시수단에 표시되는 복수의 수목크기 중 하나가 상기 관리대상 수목의 수목크기로 특정되어 상기 제1표시수단과 함께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 및 이를 이용한 수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로는 산림관리 등을 목적으로 수목의 생장상황을 측정 및 관찰하기 위해 수목의 상태를 식별하여 정보를 취득하거나, 병해충에 감염된 것으로 의심되는 수목 즉 감염의심목 등에 대한 식별, 시료채취 등을 함에 있어 스마트폰 등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관리대상 수목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식별하여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와 이를 이용한 수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림은 국토의 많은 부분을 이루는 귀중한 자산이므로 국민의 행복한 삶을 위하여 사회,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그 기능이 조화롭고 알맞게 발휘될 수 있도록 경영 및 관리되어야 한다. 특히 산림은 생태환경적인 건전성을 유지하면서, 다양한 기능이 최적 발휘되도록 보전되고 관리되어야 한다. 산림이 건전하게 보전되기 위해서는 수목들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수목에 대한 관리는 살아있는 생명체를 다루기 때문에 수목의 생장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면서 병충해 등에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는 매우 까다로우면서도 중요한 관리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목관리는 식재된 수목이 계획한 장소에서 목적에 맞도록, 주변과 어우러지면서 건강하게 자라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이와 더불어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안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도 있다. 그리고 식재된 수목의 아름다움을 유지함으로써 경관을 향상시켜 인간에게 편안함과 휴식을 주기 위한 것이다. 수목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는 수목의 생장현황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며, 관찰결과에 따라 필요한 조치들이 적기에 이루어져야 한다. 수목관리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병충해에 대한 예방 및 사후조치이다. 일단 수목이 병충해에 감염되면 주변 수목으로 번져나가 산림자원에 심각한 피해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산림의 피해로 인한 2차 피해, 예를 들어 산사태 등의 재난까지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우리나라 산림에는 여러 가지 수종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침엽수림이 전체 수목의 40%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검역 및 확산예방을 위한 방제활동이 매우 중요하다. 소나무재선충이란 크기 1mm 내외의 실 같은 선충으로서 매개충(솔수염하늘소, 북방수염하늘소)의 몸 안에 서식하다가 새순을 갉아 먹을 때 상처부위를 통하여 소나무에 침입하는 해충이다. 소나무 안으로 침입한 소나무재선충은 빠르게 증식하여 수분, 양분의 이동통로를 막아 소나무를 죽게 한다. 소나무재선충병은 치료약이 없어 일단 감염되면 감염목은 100% 말라 죽기 때문에 일명 '소나무 에이즈'라고도 불리운다. 감염된 소나무류는 당해년도에 80%, 이듬해에 20%가 고사하게 된다. 소나무재선충 병에 감염되는 수종은 소나무류인 소나무, 해송, 잣나무, 섬잣나무 등이다. 일단 소나무재선충에 감염된 소나무는 치료가 안 되고, 주변 수목에 대한 감염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발견되는 즉시 벌채하여 비닐(타포린)을 씌운 후 약제로 훈증하여 목질내부에 있는 솔수염하늘소 유충을 죽이거나, 벌채 후 소각 또는 1.5cm 이하의 크기로 분쇄함으로써 유충을 죽이는 방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어떤 방법을 사용하든지 감염목에 대한 벌채가 필수적으로 수행된다.
소나무재선충의 감염목을 조기에 발견하여 벌채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예찰활동을 통하여 감염의심목을 발견해내고, 감염의심목에 대한 시료를 채취하여 검경(현미경검사)하며, 검경결과에 따라 감염목으로 판정되면 해당 감염목들에 대하여 벌채계획을 수립하여 벌채한 뒤 훈증, 파쇄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관리활동에 있어서는, 병해충의 확산예방과 효율적인 방제를 위하여 모든 기록들이 체계적으로 기록되고 관리되어야 한다.
소나무재선충 구제활동과 관련되는 현재의 업무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일 먼저 수행되어야 하는 활동은, 감염의심목을 조기발견하고 감염여부를 신속하게 검경하기 위한 예찰활동인데, 예찰활동은 월 1회 이상 주기적으로 수행하며, 예찰 중 감염 의심목이 발견되면 신속히 신고함으로써 산림에 대하여 소나무재선충 발생지와 미발생지로 구분하게 된다. 예찰활동 중 감염의심목이 발견되는 경우에는 감염의심목에 대하여 가슴높이 부위에 마킹테이프를 둘러 표시한 후 감염의심목과 관련되는 필요정보를 취득하여 작성하며, 감염의심목 정보는 예찰, 신고 및 진단대장에 따라 ‘산림병해충통합관리시스템’에 등록하게 된다. 이 때 포함되어야 하는 정보는 일련번호, GPS좌표, 수목종류, 가슴높이지름, 조사일, 조사자 등이 된다. 그리고 감염의심목들에 대한 시료를 채취하는 데, 이는 감염의심목이 재선충병에 감염된 것이 확실한지 여부를 검경하기 위함이다. 감염의심목의 시료는 벌도하여 채취하게 되는데, 시료는 시료봉투에 넣고 시료봉투의 겉면에는 취득정보에 대하여 기입하게 되고, 시료채취 정보 또한 ‘산림병해충통합관리시스템’에 등록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일련번호, 채취장소, GPS좌표, 채취일자, 채취자, 연락처 등의 정보가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채취한 시료를 대상으로 병해충 발생 여부를 검경하게 되는데, 신규발생지 경우 국립산림과학원에 검경 요청하게 되며, 검경결과 정보 또한 ‘산림병해충통합관리시스템’에 등록하게 된다. 그리고 검경결과 감염목으로 판정되면 해당 수목에 대하여 피해고사목 방제처리를 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방제계획 수립하고, 방제계획에 따라 방제대상지에 대한 전수조사를 하게 된다. 방제대상목은 빨간색 페인트로 표시한 후 표식라벨 부착하고, 작업 방법에 따라 파쇄, 소각, 매몰, 그물망피복, 훈증처리 등을 하며, 그 과정에서 취득한 정보들을 작성하게 되는데, 이에 포함되는 정보로는 일련번호, 작업일, 작업자, GPS좌표 등이 있다.
이와 같이 예찰에서 시작하여 감염의심목 발견, 시료채취 및 검경을 거쳐 마지막에 방제처리를 위한 조치로 이어지는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관리활동은 일련의 체계적인 활동으로서 많은 관계자들이 참여하게 되며, 그 과정에서 발생되어 취득되는 각각의 정보들은 정보시스템 내부에 축적하여 활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의 작업방식은, 예찰과정에서 감염의심목 발견 후부터 시작되는 각각의 업무단계를 진행함에 있어 모든 정보의 취득 및 작성을 수기로 하고 있으며, 수기로 작성된 각각의 정보자료들을 각각 따로 관리되다가 필요에 따라 ‘산림병해충통합관리시스템’에 재입력하여 관리하고 있다는데, 문제점이 있다. 즉 감염의심목이나 고사목에 부착하는 마킹테이프나 표식라벨 또는 시료채취용 봉투의 표기는 모두 수기로 작성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각 업무단계별 취득한 정보는 전산화 작업이 명확하지 않아 정보 유실의 우려가 있다. 그리고 각 업무단계별로 부여하여 관리되는 일련번호들은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정보관리가 취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소나무재선충 구제과정이나 수목관리를 체계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첫 단계인 예찰활동에서 부터 마지막 단계인 방제조치까지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에서 취득되거나 작성되어야 하는 정보들을 자동적으로 취득하여 자동 기록되도록 함과 동시에 일관성 있는 정보로 생성되어 체계적으로 관리될 뿐만 아니라 업무담당자들 간에 실시간으로 공유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시스템 및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장치 또는 도구에 대한 기술개발의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감염의심목 발견단계에서 부터 감염의심목에 대한 정보취득과 식별을 자동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며, 이와 같은 기술이 개발된다면 소나무재선충 구제과정 뿐만 아니라 다른 병충해 관리나 기타 일반적인 수목의 생장관리에서 유용하게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 및 이를 이용한 수목관리 시스템의 목적은, 관리대상 수목과 관련되는 모든 정보를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취득함과 동시에 관리대상 수목임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수목관리용 식별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리대상 수목과 관련되는 정보에는 관리대상 수목의 크기, 수종, 고유번호, 위치, 조사일시, 조사자 등의 정보가 포함되도록 하고, 이와 같은 정보들은 수목관리용 식별띠의 일정부분을 스마트기기로 한번만 촬영하면 스마트기기에서 한꺼번에 모두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리대상 수목의 고유번호와 시료채취를 위한 시료봉투의 고유번호를 서로 일치시키기 위하여 시료봉투에 부여될 고유번호를 자신의 고유번호와 동일하게 부여할 수 있는 수목관리용 식별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리대상 수목에 부착했을 때 관리대상수목의 크기가 자동으로 측정되어 고유번호 및 수종에 관한 정보와 함께 제시될 수 있는 수목관리용 식별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목관리용 식별띠를 이용하여 관리대상 수목에 대한 모든 정보를 취득하여 관리서버에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하는 등 수목관리용 식별띠를 이용하여 관리대상 수목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수목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리대상 수목 또는 채취된 시료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하여 수목관리용 식별띠를 스마트기기로 스캔하는 경우, 수목관리시스템에서 상기 관리대상 수목 또는 시료에 대한 정보를 스마트기기에 제공해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예찰, 감염의심목 정보, 시료채취 정보, 검경결과, 벌채계획, 방제처리결과 등 산림 방제활동에 관련되는 일련의 활동들에 관한 정보가 등록되고 관리될 수 있는 수목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관리대상 수목의 나무줄기를 두를 수 있는 띠로서, - 스마트기기로 인식 가능한 정보로서 고유코드를 포함하고 있는 제1표시수단; - 상기 띠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수목크기가 연속적으로 표시되는 제2표시수단; 및 - 상기 띠를 상기 나무줄기에 둘러싸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띠를 상기 나무줄기에 둘러싸서 고정시킬 때, 상기 제2표시수단에 표시되는 복수의 수목크기 중 하나가 상기 관리대상 수목의 수목크기로 특정되어 상기 제1표시수단과 함께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띠를 상기 나무줄기에 둘러싸서 고정시킬 때, 상기 복수의 수목크기 중 상기 제1표시수단 바로 옆에 표시되는 수목크기가 상기 관리대상 수목의 수목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로 하거나, 상기 띠를 상기 나무줄기에 둘러싸서 고정시킬 때, 상기 복수의 수목크기 중 하나가 상기 관리대상 수목의 수목크기로 특정되어 표시되는 표시창; 을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창은 상기 제1표시수단 옆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제1표시수단과 동일한 내용을 포함하는 제3표시수단;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표시수단은 상기 띠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상기 제1표시수단에서, 상기 스마트기기로 인식 가능한 정보에는 수목종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제1표시수단은 숫자, 문자, 기호, 바코드, 이차원바코드, 큐알코드, 삼차원바코드, RFID 또는 NFC로 이루어진 태그이며, 상기 제2표시수단은 숫자, 문자 또는 기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를 이용한 수목관리 시스템은, 수목관리용 식별띠, 스마트기기, 수목관리 서버 및 수목정보DB를 포함하는 수목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수목관리용 식별띠는, - 관리대상 수목의 나무줄기를 두를 수 있는 띠로서 - 상기 스마트기기로 인식 가능한 정보로서 고유코드를 포함하고 있는 제1표시수단; - 상기 띠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수목크기가 연속적으로 표시되는 제2표시수단; 및 - 상기 띠를 상기 나무줄기에 둘러싸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며, - 상기 띠를 상기 나무줄기에 둘러싸서 고정시킬 때, 상기 제2표시수단에 표시되는 복수의 수목크기 중 하나가 상기 관리대상 수목의 수목크기로 특정되어 상기 제1표시수단과 함께 표시되며; 상기 스마트기기는, - 상기 제1표시수단이 상기 관리대상 수목의 수목크기와 함께 촬영되는 경우, 상기 고유코드 및 상기 관리대상 수목의 수목크기를 식별한 후 상기 고유코드, 상기 관리대상 수목의 수목크기, 촬영지에 대한 GPS좌표, 촬영일시 및 담당자정보를 포함하는 수목관리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수목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며; 상기 수목관리 서버는, - 상기 수목관리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목정보DB에 저장하고 - 상기 스마트기기 또는 단말기로부터 정보제공 요청 시 상기 수목정보DB에 저장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 및 이를 이용한 수목관리 시스템은, 스마트기기로 인식가능한 제1표시수단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관리대상 수목에 대한 고유번호를 스마트기기에서 자동으로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목크기를 측정할 수 있는 제2표시수단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식별띠를 관리대상 수목의 나무줄기에 한 바퀴 둘러서 부착하였을 때 식별띠 종단의 겹쳐지는 부위 근처에 관리대상 수목의 수목크기가 특정되어 자동으로 나타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제1표시수단은 식별띠의 일단부에 표시되며, 식별띠를 관리대상 수목의 나무줄기에 둘러싸서 고정시킬 때, 제2표시수단에 표시되는 복수의 수목크기 중 하나가 관리대상 수목의 수목크기로 특정되어 제1표시수단과 함께 표시되기 때문에, 스마트기기로 스캔 또는 촬영하게 되면 제1표시수단에 포함된 고유번호와 관리대상 수목의 수목크기를 한꺼번에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1표시수단에는 수목종류에 관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수목관리용 식별띠를 스마트기기로 촬영하게 되면 제1표시수단에 포함된 관리대상 수목의 고유번호, 제2표시수단에 의하여 표시되는 관리대상 수목의 수목크기는 물론 수목의 종류까지 한꺼번에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목관리용 식별띠를 나무줄기에 둘러싸서 고정시킬 때, 복수의 수목크기 중 하나가 관리대상 수목의 수목크기로 특정되어 표시되는 표시창을 구비할 수 있고, 그 표시창은 제1표시수단 옆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복수의 수목크기 중 표시창에 포함된 수목크기를 관리대상 수목의 수목크기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기기에서 관리대상 수목의 수목크기를 빠르고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제1표시수단과 동일한 내용을 포함하며, 수목관리용 식별띠로 부터 분리 가능한 제3표시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대상 수목에 대한 시료를 채취하는 경우, 제3표시수단을 분리하여 시료봉투에 붙일 수 있으므로, 제1표시수단과 동일한 고유코드를 시료봉투에 부여할 수 있게 되어 관리대상 수목에 대한 정보에 일관성 있는 고유코드를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수목관리용 식별띠로부터 관리대상 수목의 수목크기와 제1표시수단이 함께 촬영되는 경우, 관리대상 수목의 고유코드 및 수목크기를 식별한 후 고유코드, 관리대상 수목의 수목크기, 촬영지에 대한 GPS좌표, 촬영일시 및 담당자정보를 포함하는 수목관리정보를 생성하여 수목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스마트기기와, 수목관리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수목정보DB에 저장하고 스마트기기 또는 단말기로부터 정보제공 요청 시 수목정보DB에 저장된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수목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때문에 수목관리용 식별띠를 이용하여 관리대상 수목들을 체계적이고 일관성 있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관리대상 수목에 대한 수목관리정보가 수목관리시스템에 저장되어 등록되거나 시료가 채취되어 시료채취정보가 등록된 이후, 관계자들이 관리대상 수목 또는 채취된 시료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하여 수목관리용 식별띠를 스마트기기로 스캔하는 경우, 수목관리시스템에서 상기 관리대상 수목 또는 시료에 대한 현재상태(예를 들어, 검경결과 감염목 판정) 등의 정보를 스마트기기에 제공해 줄 수 있으므로 병충해관리를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 및 이를 이용한 수목관리 시스템은, 관리대상 수목에 대한 정보를 스마트기기로 일괄 인식하여 서버로 보내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대상 수목과 관련되는 정보를 수기로 작성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수기작성에 따른 업무효율 저하와 오류발생을 최소화 시킬 수 있으며,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모든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가능하기 때문에 소나무재선충 감염의심목의 검경 및 감염목 확인 등이 효율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예찰, 감염의심목 정보, 시료채취 정보, 검경결과, 벌채계획, 방제처리결과 등 산림 방제활동에 관련되는 일련의 활동들에 관한 정보가 일관되고 체계적으로 등록되고 관리될 수 있는 수목관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를 관리대상 수목의 나무줄기에 둘러싸서 부착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 중 구분선을 가지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 중 표시창을 가지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 중 다른 위치에 표시창을 가지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 중 제3표시수단을 가지는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를 이용한 수목관리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를 관리대상 수목의 나무줄기에 둘러싸서 부착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 중 구분선을 가지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 중 표시창을 가지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 중 다른 위치에 표시창을 가지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 중 제3표시수단을 가지는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를 이용한 수목관리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이하에서 상술한 목적과 특징이 분명해지도록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한 공지기술 중 이미 그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그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 예들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다양한 부가적 실시 예들을 가질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특정한 실시 예들이 도면에 표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실시 예들을 특정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들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 가운데 “제1”“제2”“첫째”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이 실시 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100)의 일 실시예로서 도 1(a)는 앞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1(b)는 뒷면 즉 관리대상 수목(10)의 나무줄기에 부착되는 면에 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100)를 관리대상 수목(10)의 나무줄기에 둘러싸서 부착한 모습을 도시한 것인데, 도 2(a)는 수목관리용 식별띠(100)가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나무줄기에 부착된 모습이며, 도 2(b)는 나무줄기에 부착된 식별띠(100)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2(c)는 나무줄기에 부착된 식별띠(100) 중에서 스마트기기의 카메라로 촬영되어야 하는 부분을 다시 재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100)는 관리대상 수목(10)의 나무줄기에 둘러싸서 표시하는 식별띠(100)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수목관리용 식별띠(10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나무줄기 중 사람의 가슴높이 쯤 되는 곳에 한 바퀴 둘러 감싸서, 육안으로 쉽게 눈에 띄게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수목관리용 식별띠(100)는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나무줄기를 두를 수 있는 띠(101)로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표시수단(110), 제2표시수단(120) 및 고정수단(140)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띠(101)는 외부에 노출되어 부착되는 것이므로, 비, 바람, 추위, 더위 및 햇빛 등 수시로 변하는 가혹한 기후조건에도 견딜 수 있도록 내구성 강한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에 인쇄되어 표시되는 각종 정보는 시간이 지나더라도 훼손 또는 변색되지 않는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단순한 종이 재질로 하는 것 보다는 합성수지 성분 등이 포함되어 내구성과 유연성을 동시에 가지는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이성분으로 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표면에는 비닐코팅이 되도록 하여 쉽게 훼손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제1표시수단(110)은, 관리대상 수목(10)에 부여될 고유코드를 포함하되 상기 고유코드는 스마트기기로 인식 가능한 정보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스마트기기는 스마트폰 및 태블릿PC 등과 같이 무선통신망에 연결이 가능하고, 카메라 등을 통하여 화면 인식이 가능하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가능한 휴대용단말장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RFID, NFC 또는 BLE 등의 근거리 통신기능까지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표시수단(110)을 QR코드로 함으로써, 스마트기기의 카메라 등을 통하여 상기 QR코드를 인식시키게 되면 상기 고유코드를 비롯하여 상기 제1표시수단(110)에 저장된 정보가 식별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러나 QR코드가 아니더라도 바코드, 2차원바코드 또는 3차원바코드 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RFID, NFC 또는 BLE 등의 근거리무선통신용 태그를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스마트기기는 OCR기능을 탑재하고 있기 때문에 문자나 숫자 또는 기호까지 직접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기 제1표시수단(110)을 문자나 숫자 또는 기호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원활한 인식과 인식속도, 인식오류 예방, 제작비용 등을 감안할 때 QR코드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제1표시수단(110)을 QR코드로 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바코드, 2차원바코드 또는 3차원바코드 등으로 하거나, 문자, 숫자, 기호 등으로 하는 경우에도 QR코드로 하는 경우에 준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RFID, NFC 또는 BLE 등의 근거리무선통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해당 근거리무선통신 관련 태깅방법에 따라 인식시키도록 하면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표시수단(110)은 상기 띠(101)의 양방향 종단 중 일단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수목관리용 식별띠(100)를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나무줄기에 둘러서 부착했을 때 상기 제2표시수단(120)에 표시되는 복수의 수목크기 중 하나가 상기 제1표시수단(110) 옆에 나타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1표시수단(110)에는 수목종류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1표시수단(110)에 상기 수목종류가 더 포함되는 경우, 상기 띠(101)의 표면에 상기 수목종류를 사람이 직접 식별할 수 있도록 문자, 기호 또는 숫자 등으로 별도 표시되도록 하거나 상기 띠(101)의 색상을 달리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수목관리용 식별띠(100) 별로 수목종류가 구분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띠(101)의 색상도 달리 하면서 상기 띠(101)의 표면상에 수목종류(150)가 문자로 표시되게 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1표시수단(110)에 수목종류(150)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수목관리용 식별띠(100)는 수목종류별로 제작하도록 하고, 업무담당자들로 하여금 각각의 수목종류별로 수목관리용 식별띠(100)를 소지하고 다니다가, 관리대상 수목(10)에 상기 수목관리용 식별띠(100)를 부착하고자 할 때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수목종류(150)에 해당하는 것으로 부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표시수단(120)은, 도 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띠(10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수목크기가 연속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복수의 수목크기는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나무줄기 중 사람가슴높이의 직경을 측정하기 위한 숫자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을 관리하는 관리기관의 정책에 따라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나무줄기에 대한 지름이 아니라 둘레 또는 반경 등을 측정하기 위한 숫자로 표시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1(a)에 도시된 사례에서, 상기 제2표시수단(120)에 16.1 부터 17.2까지 0.1cm 단위로 연속적으로 표시된 상기 복수의 수목크기는 지름을 표시한 것이다. 상기 제2표시수단(120)에 연속적으로 표시된 상기 복수의 수목크기는, 도 2(b)에서 보듯이 상기 띠(101)가 상기 관리대상 수목의 나무줄기(10)를 한 바퀴 돌아서 감쌌을 때 상기 띠(101)가 이어지는 경계부분(102)에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수목크기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b)에서는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나무줄기 직경이 16.8cm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2표시수단(120)은 상기 경계부분(102) 옆에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나무줄기 크기가 표시되는 일종의 측정수단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수목크기는 숫자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스마트기기에서 인식 가능한 기호나 부호 또는 문자로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복수의 수목크기를 스마트기기로 인식하여 식별할 수 있어야 하므로 눈금은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나 줄자처럼 눈금이 들어가게 되면 스마트기기로 인식하여 식별하는데 방해가 되고 이로 인하여 인식오류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스마트기기로 상기 수목관리용 식별띠(100)를 인식시킬 때는, 상기 수목관리용 식별띠(100) 중 상기 띠(101)가 이어지는 경계부분(102)을 중심으로 그 좌우 주변이 스마트기기의 카메라로 촬영되어 인식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스마트기기에 필수적으로 인식되어야 하는 촬영영역에는 상기 경계부분(102)에 가장 근접한 하나의 숫자 즉, 상기 복수의 수목크기 중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수목크기로 특정되는 크기가 포함되어야 하며(도 2의 사례에서 16.8), 이와 더불어 상기 제1표시수단(110)도 같이 한꺼번에 포함될 수 있는 범위가 필수적인 촬영영역으로 설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2(b) 및 도 2(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마트기기로 인식시키기 위한 촬영 시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하는 촬영영역(180)에는 상기 제1표시수단(110)이 촬영되는 제1표시영역(181)과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수목크기가 나타나는 크기영역(182)이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스마트기기에 포함되는 수목관리용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상기 수목관리용 식별띠(100) 촬영 시, 촬영자의 촬영화면상에 상기 제1표시영역(181)이 식별되어 구분되도록 표시하고, 제1표시수단(110)의 옆에 있는, 상기 경계부분(102)에 가장 인접한 숫자 즉 상기 크기영역(182)도 구분되어 표시되도록 한 후, 상기 제1표시영역(181)과 상기 크기영역(182)이 같이 포함되어 촬영되도록, 상기 촬영화면상에서 상기 촬영자를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촬영된 사진에서는, 상기 제1표시영역(181)에서 QR코드를 인식하여 고유코드 및/또는 수목종류를 식별해내고, 상기 크기영역(182)에 있는 숫자를 OCR기능을 이용하여 읽어 들인 후 그 크기를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수목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는 경우 스마트기기로 상기 수목관리용 식별띠(100) 전체가 포함되어 촬영되거나, 상기 제2표시수단(120)에 연속적으로 표시된 다른 숫자가 더 포함되어 촬영된다 하더라도, 상기 제1표시영역(181)과 상기 크기영역(182)이 포함되어 촬영된 경우라면 얼마든지 상기 제1식별코드와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수목크기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1(b)에서 보듯이 상기 고정수단(140)은 상기 띠(101)를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나무줄기에 둘러쌌을 때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다. 따라서 상기 띠(101)에서 상기 제1표시수단(110) 쪽 뒷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고정수단(140)은, 상기 띠(101)의 뒷면에 일정폭과 일정길이를 가지도록 접착제를 도포한 후 보호필름을 덮어 놓는 방법으로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나무줄기에 부착 할 때 상기 보호필름을 제거하고 부착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겠지만, 접착제 이외의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고정수단(140)으로서 상기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제1표시수단(110)의 뒤쪽 일부에만 도포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상기 수목관리용 식별띠(100)가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나무줄기에 보다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띠(10)의 뒷면 전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100) 중 구분선(103)을 가지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a)는 앞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3(b)는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나무줄기에 둘렀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에서 보듯이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표시수단(110)쪽의 상기 띠(101)의 종단 쪽 앞면에 구분선(103)이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마트기기로 상기 촬영영역(180)을 촬영할 때, 상기 수목관리용 식별띠(100) 중 상기 띠(101)가 이어지는 상기 경계부분(102)이 분명하게 식별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상기 구분선(103)를 포함하게 되면, 스마트기기로 상기 촬영영역(180)로 촬영할 때 상기 크기영역(182)의 식별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분선(103)은 상기 띠(101)의 색상과 구분될 수 있는 색으로 상기 띠(101)의 폭 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폭을 가진 바 형태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100)에서 표시창(160)을 가지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a)는 상기 수목관리용 식별띠(100)의 앞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4(b)는 상기 수목관리용 식별띠(100)를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나무줄기에 둘렀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에서 보듯이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표시수단(110)과 상기 띠(101)의 종단 사이에 표시창(160)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창(160)은 상기 띠(101)에 장방형의 구멍을 내어 만든 투시창으로서 상기 제2표시수단(120)에 표시되는 상기 복수의 나무크기 중 하나만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상기 표시창(160)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목관리용 식별띠(100)를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나무줄기에 둘렀을 때,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수목크기에 해당하는 숫자가 특정되어 상기 표시창(160)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촬영영역(180) 중 상기 크기영역(182)에는 상기 표시창(160)이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상기 표시창(160)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창(160)에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수목크기로 특정되는 숫자가 표시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스마트기기로 상기 수목관리용 식별띠(100)를 인식시킬 때 크기를 표시하는 숫자 등을 정확하게 인식함으로써 인식률을 높일 수 있으며, 인식속도 또한 빨라질 뿐만 아니라, 육안으로 식별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경우 상기 표시창(160)은 상기 띠(101)의 상기 경계부분(102)과 일정거리를 두도록 하여 상기 표시창(160)과 상기 경계부분(102) 사이에 공백부분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이렇게 하게 되면 상기 복수의 수목크기 중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수목크기가 아닌 숫자들은 상기 촬영영역(180)에서 멀리 떨어지게 되므로, 상기 촬영영역(180)이 쉽게 구별되고, 인식해야 할 부분이 명확해 지고 이로 인하여 인식률이 높아지고 인식속도가 빨라질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 때 상기 표시창(160) 테두리를 진하게 하는 것도 바람직한데, 이렇게 하는 경우 스마트기기에서 상기 크기영역(182)의 인식과 크기에 대한 식별이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육안식별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표시창(160)의 위치를 도 5처럼 하는 것도 바람직한데, 도 5는 상기 표시창(160)을 상기 제1표시수단(110)과 상기 경계부분(102) 사이가 아니라 그 반대쪽으로 오게 하는 경우이다. 상기 표시창(160)이 도 5와 같이 위치하게 하는 경우에도, 상기 수목관리용 식별띠(100)를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나무줄기에 둘렀을 때,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수목크기로 특정되는 숫자가 상기 표시창(160)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표시수단(110)과 상기 경계부분(102) 사이에는 도 5에서 보는 것처럼 일정거리를 두도록 하여 상기 제1표시수단(110)과 상기 경계부분(102) 사이에 공백부분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이렇게 하게 되면 상기 복수의 수목크기 중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수목크기가 아닌 숫자들은 상기 촬영영역(180)에서 멀리 떨어지게 되므로, 상기 촬영영역(180)이 쉽게 구별되고, 인식해야 할 부분이 명확해 지고 이로 인하여 인식률이 높아지고 인식속도가 빨라질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1표시수단(110), 상기 제2표시수단(120) 및 상기 고정수단(140)외에 제3표시수단(130)을 더 포함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창(160) 또는 구분선(103)을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제3표시수단(130)은 상기 제1표시수단(110)과 동일한 내용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제1표시수단(110)을 QR코드로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표시수단(110)과 동일한 QR코드를 상기 제3표시수단(130)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표시수단(130)은 상기 띠(101)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띠(101)로부터 분리된 상기 제3표시수단(130)은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에 대한 시료를 담을 수 있는 시료봉투(200) 위에 부착가능하게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렇게 본 발명에 의한 수목관리용 식별띠(100)에 상기 제3표시수단(130)을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제1표시수단(110)에 포함되는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에 대한 고유코드 및 수목종류와 똑같은 내용을 가진 상기 제3표시수단(130)을 상기 시료봉투(200)에 붙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시료봉투(200)가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에서 채취한 시료라는 것을 명확히 할 수 있으므로, 시료봉투(200)의 관리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오 기재 또는 오입력 등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목관리용 식별띠(100)를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나무줄기에 부착하여 스마트기기로 촬영하여 촬영된 정보가 수목관리시스템에 등록된 뒤에는, 상기 시료봉투(200)에 부착된 상기 제3표시수단(130)을 스마트기기 또는 PC등에 연결된 스캐너로 인식시키면 동일한 고유코드를 가지는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에 관한 정보 즉 수목종류, 가슴높이지름, GPS위치, 조사일시, 조사자 등이 스마트기기 또는 PC의 화면에 표시되게 할 수 있으므로, 시료채취 과정에서 채취된 시료에 대한 정보를 일일이 입력하지 않더라도 많은 정보들이 상기 시료봉투(200)에 링크시켜 보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를 이용한 수목관리시스템(20)에 대한 구성도를 보여준다. 상기 수목관리시스템(20)은 위에서 설명한 바 있는 상기 수목관리용 식별띠(100)를 이용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수목관리용 식별띠(100), 상기 스마트기기(300), 수목관리 서버(400) 및 수목정보DB(500)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 상기 수목관리용 식별띠(100)는 위에서 상술한 바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스마트기기(300)는,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패드, 태블릿PC 등과 같이 무선통신망에 연결이 가능하고, 카메라 등을 통하여 화면 인식이 가능하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장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카메라 대신 QR코드 스캐너 또는 바코드스캐너 등이 포함되어 있는 스마트기기도 가능하며, 카메라 또는 스캐너와 함께 RFID, NFC 또는 BLE 등의 근거리 통신기능까지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스마트기기(300)는,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수목크기와 상기 제1표시수단(110)이 함께 스캔되거나 촬영되는 경우, 상기 고유코드 및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수목크기를 식별한 후 상기 고유코드, 상기 관리대상 수목(10)의 수목크기, 촬영지에 대한 GPS좌표, 촬영일시 및 담당자정보를 포함하는 수목관리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목관리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수목관리 서버(400)에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도록 한다. 상기 수목관리 서버(400)는, 상기 수목관리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목정보DB(500)에 저장하고 상기 스마트기기 또는 단말기(600)로부터 정보제공 요청 시 상기 수목정보DB(500)에 저장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100)를 이용한 수목관리시스템(20)을 이용하여 소나무재선충 방제관련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먼저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예찰활동과정에서, 소나무재선충 감염의심목(10)이 발견될 때 예찰업무 담당자는 상기 감염의심목(10)의 나무줄기 중 가슴높이 부위에 상기 수목관리용 식별띠(100)를 부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수목관리용 식별띠(100)를 수목의 종류별로 가지고 다니다가, 상기 감염의심목(10)의 수종에 맞는 수목관리용 식별띠(100)를 선택하여 부착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자신의 스마트폰(300)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하여 상기 수목관리용 식별띠(100) 중 상기 촬영영역(180)이 포함된 사진을 촬영하게 되면 상기 스마트폰(300)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상기 촬영영역(180)을 구분하고 분석하여 상기 감염의심목(10)에 부여되는 고유코드와 수목종류를 식별해 내고, 상기 스마트폰(300)에 포함되어 있는 GPS수신수단을 이용하여 촬영지에 대한 GPS좌표를 측정하고, 상기 고유코드, 상기 수목크기, 상기 GPS좌표, 촬영날짜 및 상기 스마트폰(300)의 사용자정보를 포함하는 수목관리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수목관리 서버(400)에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감염의심목(10)에 대한 시료를 채취한 뒤 채취한 시료를 시료봉투(200)에 담게 되는 경우, 상기 수목관리용 식별띠(100)에 부착되어 있던 상기 제3표시수단(130)을 떼어서 상기 시료봉투(200)에는 붙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마트폰(300)으로부터 상기 수목관리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수목관리 서버(400)는 상기 수목관리정보가 포함된 감염의심목 신고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수목관리정보와 함께 상기 수목정보DB(500)에 저장하고, 필요한 경우 업무관련자에 대하여 상기 신고정보와 상기 수목관리정보를 전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시료봉투(200)를 전달받은 검경담당자는 상기 시료봉투(200)에 포함된 상기 제3표시수단(130)을 PC(600)등에 연결된 QR코드 스캐너로 스캔하거나 스마트기기(300)를 이용하여 촬영함으로서 상기 시료봉투(200)에 담긴 시료를 채취한 감염의심목(10)에 대한 정보를 상기 수목관리 서버(400)로 부터 제공받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검경담당자가 상기 감염의심목(10)을 감염목으로 판정하거나 또는 감염목이 아닌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에는 그 결과가 상기 검경담장자의 PC(600) 등을 통하여 상기 수목관리 서버(400)에 입력되도록 하여 상기 수목관리정보에 검경결과까지 포함되도록 하여 상기 수목정보DB(500)에 저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목관리정보에 검경결과까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수목관리 서버(400)는 상기 검경결과가 포함된 상기 수목관리정보를 방제계획 담당자 또는 관계 업무담당자에게 전달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제계획 담당자가 방제계획을 수립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목관리 서버(400)에 접속하여 상기 방제계획과 관련되는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고, 상기 수목관리 서버(400)는 상기 수목관리정보에 상기 방제계획과 관련되는 정보까지 포함하도록 하여 상기 수목정보DB(500)에 저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제계획에 따라 방제대상지에 대한 전수조사, 방제대상목에 대한 파쇄, 소각, 매몰, 훈증처리 등을 수행하는 경우 방제담당자들이 상기 수목관리 서버(400)에 접속하여 방제결과를 입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목관리 서버(400)는 상기 수목관리정보에 상기 방제계획 수행과 관련되는 정보까지 포함하여 상기 수목정보DB(500)에 저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제계획 수행과정에서 훈증더미에 부착하는 경고스티커 등에는 상기 제1표시수단(110)과 동일한 QR코드가 인쇄되어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소나무재선충 구제활동과 관련되는 각각의 업무담당자들이 자신의 PC(600)나 스마트기기(300)로 상기 수목관리 서버(400)에 접속하여 소나무재선충 구제업무 관련으로 수목관리정보를 요청하게 되면 상기 수목관리 서버(400)는 상기 수목정보DB(500)에 저장되어 있는 수목관리정보를 찾아서 제공하게 되며, 이 때 상기 수목관리정보에는 상기 검경정보, 상기 방제계획과 관련되는 정보, 상기 방제계획의 수행정보 등이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목정보DB(500)에 포함된 GPS좌표 정보등을 활용하여 소나무재선충에 감염된 수목의 발생 분포도를 점묘도, 히트맵 등으로 나타내거나 지도와 함께 표시될 수 있도록 하고, 지역별로 분포지역을 한눈에 파악 할 수 있도록 하는 지도정보를 생성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술한 여러 가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관리대상 수목 또는 감염의심목
100 수목관리용 식별띠
101 띠 110 제1표시수단
120 제2표시수단 130 제3표시수단
140 고정수단 150 수목종류
160 표시창 180 촬영역역
181 제1표시영역 182 크기영역
200 시료봉투
300 스마트기기 또는 스마트폰
400 수목관리 서버
500 수목정보DB
600 PC 또는 단말기
100 수목관리용 식별띠
101 띠 110 제1표시수단
120 제2표시수단 130 제3표시수단
140 고정수단 150 수목종류
160 표시창 180 촬영역역
181 제1표시영역 182 크기영역
200 시료봉투
300 스마트기기 또는 스마트폰
400 수목관리 서버
500 수목정보DB
600 PC 또는 단말기
Claims (7)
- 관리대상 수목의 나무줄기를 두를 수 있는 띠로서,
- 스마트기기로 인식 가능한 정보로서 고유코드를 포함하고 있는 제1표시수단;
- 상기 띠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수목크기가 연속적으로 표시되는 제2표시수단; 및
- 상기 띠를 상기 나무줄기에 둘러싸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띠를 상기 나무줄기에 둘러싸서 고정시킬 때, 상기 제2표시수단에 표시되는 복수의 수목크기 중 하나가 상기 관리대상 수목의 수목크기로 특정되어 상기 제1표시수단과 함께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띠를 상기 나무줄기에 둘러싸서 고정시킬 때, 상기 복수의 수목크기 중 상기 제1표시수단 바로 옆에 표시되는 수목크기가 상기 관리대상 수목의 수목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띠를 상기 나무줄기에 둘러싸서 고정시킬 때, 상기 복수의 수목크기 중 하나가 상기 관리대상 수목의 수목크기로 특정되어 표시되는 표시창; 을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창은 상기 제1표시수단 옆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시수단과 동일한 내용을 포함하는 제3표시수단;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표시수단은 상기 띠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시수단에서, 상기 스마트기기로 인식 가능한 정보에는 수목종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시수단은 숫자, 문자, 기호, 바코드, 이차원바코드, 큐알코드, 삼차원바코드, RFID 또는 NFC로 이루어진 태그이며,
상기 제2표시수단은 숫자, 문자 또는 기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 - 수목관리용 식별띠, 스마트기기, 수목관리 서버 및 수목정보DB를 포함하는 수목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수목관리용 식별띠는,
- 관리대상 수목의 나무줄기를 두를 수 있는 띠로서
- 상기 스마트기기로 인식 가능한 정보로서 고유코드를 포함하고 있는 제1표시수단;
- 상기 띠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수목크기가 연속적으로 표시되는 제2표시수단; 및
- 상기 띠를 상기 나무줄기에 둘러싸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며,
- 상기 띠를 상기 나무줄기에 둘러싸서 고정시킬 때, 상기 제2표시수단에 표시되는 복수의 수목크기 중 하나가 상기 관리대상 수목의 수목크기로 특정되어 상기 제1표시수단과 함께 표시되며;
상기 스마트기기는,
- 상기 제1표시수단이 상기 관리대상 수목의 수목크기와 함께 촬영되는 경우, 상기 고유코드 및 상기 관리대상 수목의 수목크기를 식별한 후 상기 고유코드, 상기 관리대상 수목의 수목크기, 촬영지에 대한 GPS좌표, 촬영일시 및 담당자정보를 포함하는 수목관리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수목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며;
상기 수목관리 서버는,
- 상기 수목관리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목정보DB에 저장하고
- 상기 스마트기기 또는 단말기로부터 정보제공 요청 시 상기 수목정보DB에 저장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를 이용한 수목관리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4761A KR102196358B1 (ko) | 2019-04-17 | 2019-04-17 |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 및 이를 이용한 수목관리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4761A KR102196358B1 (ko) | 2019-04-17 | 2019-04-17 |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 및 이를 이용한 수목관리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22025A true KR20200122025A (ko) | 2020-10-27 |
KR102196358B1 KR102196358B1 (ko) | 2020-12-29 |
Family
ID=73136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44761A KR102196358B1 (ko) | 2019-04-17 | 2019-04-17 |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 및 이를 이용한 수목관리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9635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433838A (zh) * | 2023-03-31 | 2023-07-14 | 广州市城市规划勘测设计研究院 | 一种三维树木符号动态生成方法、装置、终端及介质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52541B1 (ko) * | 2021-04-23 | 2024-03-29 | 주식회사 이콘비즈 | 나무 활력도 진단 장치, 서버, 단말 및 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05030A (ja) * | 2005-09-16 | 2007-04-26 | Ekomu:Kk | 樹木管理装置、樹木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樹木管理方法 |
KR101523582B1 (ko) * | 2013-11-20 | 2015-05-28 | 김수환 | 나무 생장량 측정장치 |
-
2019
- 2019-04-17 KR KR1020190044761A patent/KR10219635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05030A (ja) * | 2005-09-16 | 2007-04-26 | Ekomu:Kk | 樹木管理装置、樹木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樹木管理方法 |
KR101523582B1 (ko) * | 2013-11-20 | 2015-05-28 | 김수환 | 나무 생장량 측정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433838A (zh) * | 2023-03-31 | 2023-07-14 | 广州市城市规划勘测设计研究院 | 一种三维树木符号动态生成方法、装置、终端及介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96358B1 (ko) | 2020-12-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035837B2 (en) | Methods and systems for analyzing a field | |
US11933788B1 (en) | Spore state discrimination | |
JP5510833B2 (ja) |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 |
KR102196358B1 (ko) |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 및 이를 이용한 수목관리 시스템 | |
CN206192923U (zh) | 一种基于云计算的x射线违禁品检测系统 | |
CN108140118A (zh) | 用于识别至少一株种植在耕地上的植物的方法和信息系统 | |
KR102222918B1 (ko) | 수목관리용 IoT 밴드 및 이를 이용한 수목관리 시스템 | |
ES2908475T3 (es) | Control de organismos nocivos | |
CN115841630A (zh) | 部署生物哨兵到农田并远程监测作物中生物和非生物胁迫的方法 | |
KR20220020863A (ko) | 전자 지도상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피해목을 조사하고 방제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 |
CN110956096B (zh) | 一种林业感染疫木清除管理方法及系统 | |
Doan | An efficient system for real-time mobile smart device-based insect detection | |
Green et al. | Plantation Loblolly pine seedling counts with unmanned aerial vehicle imagery: a case study | |
JP5621880B2 (ja) | 観測管理システム並びに観測装置 | |
Backoulou et al. | Using Multispectral Imagery to Compare the Spatial Pattern of Injury to Wheat Caused by Russian Wheat Aphid1 and Greenbug1 | |
JP2015133994A (ja) | 観測装置及び観測管理システム | |
WO2019215009A1 (de) | Bekämpfung von nematoden | |
KR102422963B1 (ko) | 스마트기기와 수목관리용 IoT밴드를 이용한 방제업무 관리방법 및 시스템 | |
Hagler et al. | A labor‐saving marking and sampling technique for mark‐release‐recapture research | |
Potter et al. | Processing the wildlife crime scene and evidence of forensic importance | |
Wallace et al. | Preliminary estimate of a Gray Treefrog (Hyla versicolor) population at a protected site in New Brunswick using photo identification and community science | |
Dahanayake et al. | Smart tea leaves disease analyser: Mobile based disease detecting and solutions providing system | |
KR20180133610A (ko) | 특용 과수용 병해충 통합 예측 시스템을 위한 병해충 이미지 수집방법 | |
Kiktev et al. | Apple Fruits Monitoring Diseases on the Tree Crown Using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 |
Guleria et al. | Designing Assembled System for Plantdisease Diagnosis Using IoT and Androi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