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1840A - 품질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탱크 장치 - Google Patents

품질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탱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1840A
KR20200121840A KR1020207026562A KR20207026562A KR20200121840A KR 20200121840 A KR20200121840 A KR 20200121840A KR 1020207026562 A KR1020207026562 A KR 1020207026562A KR 20207026562 A KR20207026562 A KR 20207026562A KR 20200121840 A KR20200121840 A KR 20200121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sonic
reflector
ultrasonic transducer
signal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6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코 리플러
베른트 쇼이펠레
슈테판 클렝에
프랑크 바흐후버
안드레 게얼라흐
라이놀트 바인만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121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18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2Analysing fluids
    • G01N29/024Analysing fluids by measuring propagation velocity or propagation time of acoust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02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the analysed material
    • G01N2291/022Liqu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04Wave modes and trajectories
    • G01N2291/045External reflections, e.g. on re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를 저장하는 탱크(2) 내에 배치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테스트 유닛(7)을 가진, 액체, 특히 배기가스 후처리제의 품질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9)에 관한 것으로, 이 테스트 유닛은 초음파 신호를 방출 및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초음파 변환기(10); 그리고 방출된 초음파 신호를 하나 이상의 초음파 변환기(10)로 반사하기 위한 2개 이상의 초음파 반사기 표면(11, 12, 14)을 구비한다. 2개 이상의 초음파 반사기 표면(11, 12, 14)이 초음파 변환기(10)에 대해 상이한 거리를 두고, 일체형으로 형성된 공통의 캐리어 요소(13) 상에 직접 형성되거나 배치되는 구성이 제안된다.

Description

품질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탱크 장치
본 발명은, 액체를 저장하는 탱크 내에 배치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테스트 유닛을 가진, 액체, 특히 배기가스 후처리제의 품질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테스트 유닛은 초음파 신호를 방출 및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초음파 변환기와, 방출된 초음파 신호를 하나 이상의 초음파 변환기로 역반사하기 위한 2개 이상의 초음파 반사기 표면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액체, 특히 배기가스 후처리제를 저장 및 제공하기 위한 탱크 및 액체의 품질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를 가진 탱크 장치, 특히 자동차의 배기가스 후처리 시스템을 위한 환원제 탱크 장치와도 관련이 있으며, 이 장치는 탱크 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테스트 유닛을 구비한다.
서두에 언급한 유형의 장치 및 탱크 장치는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연소 기관을 가진 자동차의 배기가스 배출에 대해 점점 더 엄격해지는 법규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특히 디젤 엔진의 경우, 배기가스 내 질소 산화물(NOx)을 환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암모니아를 사용하여 질소 산화물을 질소로 선택적으로 환원하는 배기가스 후처리 시스템이 사용된다. 이 경우, 특히 소위 선택적 촉매 환원(SCR =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이 특별히 효율적인 것으로서 입증되었다. 선택적 촉매 환원에서는 SCR 촉매 컨버터의 상류에서 배기가스 라인 내로 도입되는 요소 수용액이 환원제로서 사용된다. 요소 수용액은 촉매 컨버터 상류에서 그리고/또는 촉매 컨버터 내에서 암모니아를 생성하며, 이 촉매 컨버터는 궁극적으로 SCR 촉매 컨버터의 도움으로 배기가스 내에서 질소 산화물의 바람직한 감소를 유도한다.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의 안전한 작동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환원제가 탱크 내에 충분한 양과 품질로 제공되어야 한다. 특히 액체 중 환원제의 농도가 너무 낮음으로써 나타나는 지나치게 낮은 품질에서는, 배기가스 후처리 시스템의 효율이 확연하게 감소한다. 요소 함량이 지나치게 높거나 요소의 농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는, 지나치게 많이 형성된 암모니아가 배기가스 내의 질소 산화물과 반응하지 않고, 암모니아가 방출된다. 그렇기 때문에, 환원제 대신 물에 의한 탱크의 과도한 재충전을 검출하기 위해서도, 환원제의, 특히 환원제 내 요소 함량의 품질 또는 농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종래 기술에는, 초음파 신호를 사용하여 무접촉 방식으로 환원제의 품질 또는 농도를 모니터링하는 여러 장치들이 이미 공지되어 있다. 이로써, 예를 들어 공개 특허 공보 US 2016/041024 A호는 서두에 언급된 유형의 장치를 개시한다. 이 장치는, 동시에 송신기이면서 수신기인 초음파 변환기로서 압전 음향 변환기를 구비한다. 초음파 변환기가 먼저 탱크 내에 존재하는 액체 내로 초음파 신호를 방출하며, 이 경우 초음파 신호는 초음파 반사기에 의해 초음파 변환기로 역반사되어 다시 액체를 통과한다. 이때 측정된 방출과 수신 사이의 초음파 신호 전파 시간과, 공지된 것으로서 가정되는 전파 경로의 길이로부터, 액체의 음속 및 이로써 액체 중 환원제의 농도가 검출된다. 하지만, 온도에서 기인하는, 기계적으로 기인하는 그리고 노후화에서 기인하는, 시스템 내에 사용된 재료의 변화로 인해, 실제 측정 구간의 변동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측정 결과가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경을 고려하기 위해, 공개 특허 공보 DE 10 2015 212 622 A1호에서는, 반사기의 열적 변형을 물리적으로 모델링하고, 측정된 전파 시간을 온도 의존적 보정 계수를 이용하여 평가할 때 이와 같은 반사기의 열적 변형을 고려하는 것이 제안된다.
공개 특허 공보 DE 10 2013 219 643 A1호로부터, 열 및 노후화에서 기인하며 테스트 유닛의 정확도에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측정 구간의 변화를 줄이기 위해 2개의 반사기를 제공하는 점도 공지되어 있다. 여기서 반사기는 각각 반사기 실린더로서 형성되며, 이 반사기 실린더의 외부 표면이 반사기 표면을 형성함으로써, 개별 반사기 표면이 별도의 캐리어 요소 상에 배치되고, 이때 반사기 실린더는 별도의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고정되거나 보유된다. 이 경우, 농도 결정은 초음파 신호의 전파 시간 측정에 기반하지 않고, 음향 변환기로부터 상이한 거리에 배치된 2개 반사기 실린더 사이에서 측정된 전파 시간 차이의 평가에 기반한다. 공개 특허 공보 DE 10 2011 086 774 A1호로부터도 품질을 결정하기 위한 또 다른 장치가 공지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반사기가 음향 변환기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배치된다.
청구항 1의 특징부들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고 테스트 유닛의 측정 정확도를 훨씬 개선한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2개 이상의 반사기 표면의 바람직한 배열 및 디자인에 의해, 특히 측정 매질 내의 온도 및/또는 주변 온도가 변하는 경우에도, 측정 정확도가 최적화되고, 정확한 측정 결과를 제공한다. 이 경우, 제조 공차 및/또는 조립 공차에 의해 그리고 재료에서 기인하는 노후화 효과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기계 응력도 바람직한 장치에 의해 고려된다. 본 발명은, 반사기 기하 구조에 의해 공지된, 두 음향 전파 경로 간의 전파 거리 차이를 갖는 2개의 음향 전파 경로를 이용한다는 사상에 기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테스트 유닛은 이를 위해 2개 이상의 초음파 반사기 표면을 구비하며, 이들 초음파 반사기 표면은 초음파 변환기에 대해 상이한 거리를 두고, 일체형으로 형성된 공통의 캐리어 요소 상에 직접 형성되거나 배치된다. 이로써, 캐리어 요소 및 2개 이상의 초음파 반사기 표면으로 이루어진 반사기 유닛 또는 반사기 부품은, 탱크 외부에서의 제조 또는 예비 조립 시 이미 반사기 표면들 상호간의 배열이 사전 설정되어 있는 구성 유닛을 형성한다. 상이한 열 팽창 계수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캐리어 요소로 인해, 초음파 신호의 전파 시간 차이를 측정할 때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거나, 단지 또 하나의 하위 역할을 할 뿐이다. 캐리어 요소의 재료는 바람직하게, 주어진 작동 온도 범위에 걸쳐 가급적 적은 열팽창을 갖도록 선택된다. 열팽창의 나머지 영향은, 바람직한 구성을 통해 시스템적으로 보정될 수 있다. 또한, 차이 측정 원리의 바람직한 사용에 의해, 조립 시 위치 공차 또는 정렬 공차의 영향이 최소화된다. 초음파 변환기와 개별 초음파 반사기 표면 사이의 절대 거리는 전파 속도의 계산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알아야 할 필요가 없고, 사용 영역에서 일정할 필요도 없다. 본질적인 측정 구간은, 일체형으로 형성된 캐리어 요소를 갖는 반사기 부품만으로 결정된다. 캐리어 요소는 예를 들어 스탬핑 공정 또는 변형 공정 또는 압출 가공과 같은 비용 효율적인 제조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이로 인해, 대량 생산 시에도 비용 효율적인 제조가 가능하다. 이 경우, 반사기 부품의 디자인은 2개의 초음파 반사기 표면이 제공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2개 이상의 초음파 반사기 표면이 캐리어 요소 상에 형성되거나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개선예에 따르면, 초음파 반사기 표면은 초음파 신호를 직접 초음파 변환기로 역반사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직접적인 역반사를 보장하기 위해, 초음파 반사기 표면이 초음파 변환기와 마주 놓이도록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로 인해, 검출될 전파 시간 차이가 초음파 변환기를 향하는 방향으로 초음파 반사기 표면들 상호 간의 거리로부터 직접 도출되는, 테스트 유닛의 매우 간단한 구성이 도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바람직하게, 초음파 반사기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초음파 신호가 초음파 변환기로 역반사되기 전에 초음파 신호를 한 번 이상 편향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초음파 신호가 초음파 반사기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바로 초음파 변환기로 역반사되지 않고, 먼저 하나 이상의 또 다른 반사면으로, 특히 하나 이상의 또 다른 초음파 반사기로 지향되거나 반사되며, 상기 또 다른 초음파 반사기로부터 초음파 신호가 초음파 변환기로 되돌아가거나 역반사된다. 다중 편향에 의해, 역반사된 초음파 신호들의 전파 시간 차이가 증가한다. 2개의 역반사된 초음파 신호의 전파 시간 차이는, 적어도 2개의 초음파 신호가 상호 시간상 명확하게 분리될 수 있을 정도로 커야 한다. 더 긴 전파 시간 차이는, 더 긴 전파 거리 차이로 인해 매질 특성화의 정확도까지도 증가시킨다. 전술된 바람직한 구성에 의해서, 전파 거리 차이의 증가가 간단하게 실현된다. 본 경우에는 2개의 초음파 신호가 초음파 변환기로 역반사된다고 가정되는 한편, 예를 들어 3개 이상의 초음파 반사기가 초음파 변환기와 마주 놓여 있고, 방출된 초음파 신호가 상이한 방식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초음파 변환기로 역반사됨으로써, 2개 이상의 초음파 신호를 역반사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사기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는 곡률을 갖거나 휘어지며, 특히 오목하거나 볼록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초음파 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가 개선된다. 초음파 반사기 표면의 곡률에 따라 음장 집속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관련 초음파 반사기 표면은 예를 들어 포물면(paraboloid), 구형 쉘 섹션 또는 원통형 쉘 섹션의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반사기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가 바람직하게 초음파 변환기 옆에 그리고 초음파 신호의 전파 방향으로 초음파 변환기에 대해 오프셋되어, 초음파 반사기 표면들 중 다른 하나와 마주 놓이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하나의 초음파 반사기 표면은 초음파 변환기 옆에 놓이되, 전파 방향으로 초음파 변환기에 대해 오프셋되어 놓임으로써, 신호가 한 편으로는 2개의 초음파 반사기 표면 사이에서, 그리고 다른 한 편으로는 초음파 변환기와 다른 초음파 반사기 표면 사이에서, 동일한 전파 시간을 갖지 않게 되며, 그 결과 수신된 초음파 신호의 평가가 명확하게 가능해지고, 특히 다중 반사들이 서로 양호하게 분리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하나의 초음파 변환기가 검출된 신호를 역으로 상기 다른 초음파 변환기로 반사하고, 이어서 그 다른 초음파 변환기는 수회 반사된 초음파 신호를 역으로 상기 하나의 초음파 변환기로 반사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초음파 변환기에 의해 검출된 2개의 초음파 신호 사이에서 특히 큰 전파 시간 차이가 나타난다.
더욱이, 바람직하게 일측의 또는 타측의 초음파 반사기 표면은 곡선 반사 표면을 갖는 한편, 특히 타측의 또는 일측의 초음파 반사기 표면은 직선의 또는 평탄한 표면을 갖는다. 이 경우, 곡률의 선택은, 특히 초음파 변환기가 발산 초음파를 방출하는지 아니면 평면파(plane wave)를 방출하는지에 따라 행해진다. 초음파 변환기가 초음파 신호로서 발산파(divergent wave)를 방출하면, 마주 놓여 있는 초음파 반사기 표면은 바람직하게, 역반사된 초음파가 평평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역반사된 초음파 신호의 일부분은 초음파 변환기에 충돌하고, 다른 부분은 그 옆에 놓여 있는 초음파 반사기에 충돌하는 상황에 도달한다. 초음파 변환기에 충돌하는 부분은 제1 에코로서 검출된다. 다른 부분은, 초음파 변환기에 마주 놓여 있는 초음파 반사기 표면에서 역으로 반사되고, 그곳에서 다시 곡면 반사기 표면에 충돌하며, 재반사되어 역으로 초음파 변환기로 지향되고, 이곳에서 제2 에코로서 수신된다. 그와 달리, 초음파 변환기가 평면파를 초음파 신호로서 방출하면, 초음파 변환기에 마주 놓여 있는 초음파 반사기는 목적에 부합하게, 역반사된 초음파 신호 또는 역반사된 파가 구부러져서 초음파 변환기에 충돌할 뿐만 아니라, 그 옆에 높여 있는 초음파 반사기에도 충돌하도록, 구부러지거나 평탄하게 형성된다.
더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캐리어 요소가 반사기가 없는 영역에 하나 이상의 리세스를 구비하는 구성이 제안된다. 이로 인해 캐리어 요소의 중량이 감소하고, 초음파 신호를 반사할 수 있는 표면의 수도 줄어든다. 이로 인해 간섭 신호 및 신호 잡음이 바람직하게 감소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개선예에 따르면, 초음파 반사기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가 캐리어 요소 상의 코팅으로서 구성된다. 이로 인해, 캐리어 요소 상에서의 개별 초음파 반사기 표면의 매우 간단하고 정확한 위치 결정이 보장된다. 개별 초음파 반사기를 위한 재료로서는 특히, 금속, 세라믹 또는 높은 음향 임피던스를 갖는 여타의 재료가 선호된다. 부식성 매질/유체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필요에 따라 표면 코팅을 갖는 또 다른 금속이 사용된다. 또한, 충전된 플라스틱도 공지되어 있으며, 이 경우 플라스틱으로서는 예를 들어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가 제공된다. 특히, 개별 초음파 반사기 표면은 부가적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이로 인해, 캐리어 요소 상에서의 개별 초음파 반사기 표면의 고정밀 배열이 도출된다. 이로 인해 캐리어 요소의 일체형 구성과 함께, 품질 결정의 수행 시 매우 높은 정밀도가 도출된다.
바람직하게, 초음파 반사기 표면은, 초음파 신호가 초음파 반사기 표면들 중 하나 이상의 표면에서 여러 번 반사되도록 배치된다. 다중 반사에 의해, 개선된 신호 평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예를 들어 초음파 신호의 전파 거리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바람직하게 제어 장치를 구비하며, 이 제어 장치는, 초음파 반사기 표면에 의해 역반사된 초음파 신호의 전파 시간 차이에 따라 액체의 질량 농도를 결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초음파 신호로서 버스트 신호를 생성 및 수신하기 위해, 테스트 유닛, 특히 초음파 변환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버스트 신호의 주파수 범위는 0.5㎒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이다. 더 높은 주파수는 초음파 필드의 더 나은 공간 번들링(bundling)을 가능하게 하고, 전파 시간의 더 정확한 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전파 매질 내에서의 음향 에너지의 흡수도 증가한다. 제어 장치는 또한, 품질 결정을 실행하기 위해, 초음파 변환기에 의해 수신된 초음파 신호 또는 에코를 평가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제어 장치는, 수신 신호(에코)의 전압 진폭의 간단한 임계값 결정을 이용해서; 또는 영점 검출을 통해서; 또는 포락 곡선 결정 이후, 또는 상관 방법의 사용 이후, 또는 시간 신호로부터 전파 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다른 공지된 방법의 사용 이후에 최대 진폭 도달의 결정을 통해서; 초음파 변환기, 특히 압전 세라믹의 전기 여기와 수신된 에코 사이의 전파 시간의 결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청구항 11의 특징들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탱크 장치는, 상기 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이미 언급한 장점들이 도출된다.
또 다른 장점들 그리고 바람직한 특징들과 특징 조합들은, 특히 상기 설명 및 청구범위를 참조한다. 이하에서는 도면부를 토대로 본 발명이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바람직한 탱크 장치의 간소화된 측면도이다.
도 2는 탱크 장치의 바람직한 테스트 유닛의 제1 실시예의 간소화된 측면도이다.
도 3은 테스트 유닛의 제2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4는 테스트 유닛의 제3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5는 테스트 유닛의 제4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6은 테스트 유닛의 제5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7은 테스트 유닛의 제6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8은 테스트 유닛의 제7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9는 테스트 유닛의 제8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1은, 자동차의 배기가스 후처리 시스템을 위한 바람직한 탱크 장치(1)를 간소화된 도면으로 보여준다. 탱크 장치(1)는, 액체 배기가스 후처리제, 특히 환원제(3)가 저장되어 있는 탱크(2)를 구비한다. 탱크(2) 내에는 제거 모듈(4)이 배치되며, 이때 제거 모듈(4)은 특히 탱크(2)의 바닥에 위치한다. 제거 모듈은 이송 장치(5)를 지지하며, 이송 장치에 의해 탱크(2)로부터 환원제가 흡입되어 라인(6)에 의해 예를 들어 계량공급 밸브 또는 분사 밸브로 이송될 수 있다. 제거 모듈(4)은 또한, 특히 이송 장치(5) 상류에 연결된 필터를 더 구비하고, 경우에 따라 동결된 배기가스 후처리제를 해동시키기 위해 선택적으로 가열 장치를 구비한다. 환원제는, 특히 자동차의 내연 기관의 배기가스와 함께 질소 산화물을 환원시키도록 상호 작용하는 암모니아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요소 수용액이다. 액체 내 요소의 농도를 결정하기 위해, 본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제거 모듈(4)에 할당된 테스트 유닛(7)이 존재한다. 대안적으로, 테스트 유닛(7)은 탱크(2) 내에 별도로 존재한다. 테스트 유닛(7)은 제어 장치(8)와 함께, 탱크(2) 내에 존재하는 액체의 품질을 농도 결정을 통해 결정하기 위한 장치(9)를 형성한다.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해서, 이하에서 테스트 유닛(7)의 상이한 실시예들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테스트 유닛(7)이 각각 초음파 변환기 및 2개 이상의 초음파 반사기 표면을 구비하고, 이 경우 초음파 반사기 표면들은 일체형으로 형성된 캐리어 요소 상에 배열되거나 구성된다는 공통점이 있다.
도 2는, 테스트 유닛(7)의 제1 실시예를 간소화된 도면으로 보여준다. 이미 앞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테스트 유닛(7)은, 제어 장치(8)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특히 압전 세라믹 초음파 변환기로서 구성된 초음파 변환기(10)를 구비한다. 2개의 초음파 반사기 표면(11, 12)이 초음파 변환기와 마주 놓이도록 배치되며, 이들 초음파 반사기 표면은 일체형으로 형성된 공통의 캐리어 요소(13) 상에 배열된다.
원칙적으로, 유체 특성을 결정하기 위해 초음파 변환기를 사용하는 방식은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 경우, 측정 원리는, 초음파 변환기와 수신기 사이의 전파 거리를 알고 있을 때, 액체 매질 내에서의 전파 시간 측정을 기반으로 한다. 이렇게 결정된, 유체 내에서의 음향 신호의 전파 속도 및 경우에 따라 예를 들어 유체 온도와 같은 또 다른 검출된 측정 변수를 통해, 상이한 매질 특성이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초음파 변환기는 예를 들어 탱크 내에 있는 요소 수용액의 질량 농도를 결정하고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된다. 초음파 변환기는 전기 신호를 음파로 변환하고, 이 음파를 유체 내로 또는 탱크(2) 내에 있는 액체 내로 방사한다. 수신기는, 이 수신기에 충돌하고 초음파 변환기에 의해 방출되는 초음파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며, 이 전기 신호는 추후 평가될 수 있다. 공지된 초음파 변환기는 송신기로서뿐만 아니라 수신기로서도 이용되며, 음향과 전기 신호 간의 변환을 위해 압전 효과를 이용한다. 소위 펄스 에코 모드에서는, 초음파 변환기(10)에 의해 방사된 음파를 공지된 전파 경로를 통해 다시 초음파 변환기로 역반사하는 하나 이상의 반사기가 요구된다. 이 경우 고려되어야 할 점은, 초음파 변환기(10)의 스윙-인 거동 및 스윙-아웃 거동(swing-in and swing-out behaviour)이다. 이와 같은 거동은 측정 구간의 예정된 최소 길이를 유도하며, 이로써 역산란된 에코(역반사된 초음파 신호)의 수신 시 방출 신호와 수신 신호 간에 명확한 분리가 가능할 정도로, 초음파 신호의 송신 시 발생하는 초음파 변환기(10)의 기계 진동이 감쇠된다.
도 2에 도시된 테스트 유닛(7)의 바람직한 디자인에 의해, 초음파 변환기(10)에 대한 반사기 표면들의 거리로부터 산출되는 것이 아니라, 반사기 표면들(11, 12) 상호간의 거리로부터 산출되는 측정 구간(ΔL)이 도출된다.
2개의 초음파 반사기 표면(11, 12)은 초음파 변환기(10)에 마주 놓이도록 배열된다. 이때, 캐리어 요소(13)는 단차부 형태로 형성되며, 이 경우 반사기 표면(11)은 제1 단에 놓이고, 반사기 표면(12)은 제2 단에 놓인다. 이때, 제2 단은, 반사기 표면(11)을 갖는 제1 단보다 초음파 변환기(10)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다. 이로써, 개별 초음파 반사기 표면(11, 12)과 초음파 변환기(10) 사이에 상이한 전파 거리(L1 및 L2)가 나타나고, 이들 전파 거리의 차이로부터 측정 구간(ΔL = L2 - L1)이 도출된다. 따라서, 측정 구간은 일체형 캐리어 요소(13)에 의해 결정된다. 초음파 신호(cF)의 전파 속도는, 이제 전파 시간 차이(Δt) 및 전파 거리 차이(ΔL)로부터 cF = ΔL / Δt로 계산된다.
따라서, 초음파 변환기(10)와 초음파 반사기 표면(11, 12) 사이의 절대 거리는 계산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인지되어야 하거나 일정해야 할 필요도 없다. 캐리어 요소(13)가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제공된 작동 온도 범위에 걸쳐 열팽창이 거의 나타나지 않거나 약간만 나타나는데, 이 열 팽창은 추후 2개의 초음파 반사기 표면(11, 12)에 유사하게 작용한다. 초음파 변환기(10)에 의해 수신된 두 에코의 전파 시간 차이 또는 역반사된 초음파 신호들의 전파 시간 차이는, 적어도 2개의 초음파 신호가 서로 시간상 명확하게 분리될 정도로 크다. 이 경우, 더 긴 전파 거리 차이로 인한 더 긴 전파 시간 차이가 매질 특성화의 정확도를 높인다. 더 나아가, 2개 이상의 전파 경로도 구현될 수 있고, 이로써 2개 이상의 에코는, 더 아래에서 상세히 언급되는 바와 같이, 평가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 따르면, 반사기(11, 12)는, 평면 초음파 반사기 표면(11, 12)으로서 또는 평평한/평탄한 반사 표면을 갖는 초음파 반사기 표면(11, 12)으로서 구성된다. 특히, 역반사된 초음파 신호의 가급적 높은 신호 진폭에 도달하기 위해, 적합한 반사기 재료가 선택된다. 더 나아가, 개별 초음파 반사기 표면(11, 12)의 반사기 기하구조의 곡선 형상에 의해, 초음파 변환기(11)로의 번들링된 역반사가 수행될 수 있다.
반사기 재료의 선택 시, 개별 초음파 반사기 표면(11, 12)의 음향 임피던스(ZR)가 가급적 높게 선택된다. 매질의 음향 임피던스는, 매질의 비(匕) 밀도(specific density)와 매질 내에서의 음향 전파 속도의 곱으로부터 도출된다. 액체로부터 개별 초음파 반사기(11, 12) 상으로의 평면파의 입사를 가정하면, 진폭 반사율(R)은 탱크(2) 내 액체의 음향 임피던스(ZF) 및 개별 초음파 반사기 표면(11, 12)의 음향 임피던스(ZR)로부터, R = (ZR - ZF) / (ZR + ZF)로 도출된다.
특성화될 유체의 주어진 음향 임피던스(ZF)의 경우, 반사기의 임피던스(ZR)가 유체의 임피던스(ZF)보다 훨씬 더 크면(ZR >> ZF), 높은 역산란이 도출된다. 반사기 재료로서는 특히, 금속, 세라믹 또는 여타의 높은 음향 임피던스를 갖는 재료가 사용된다. 부식성 액체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특히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필요에 따라 보호를 위해 표면 코팅을 갖는 또 다른 금속이 사용된다. 추가적인 대안은, 예를 들어 금속 또는 세라믹 분말로 충전된,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와 같은 충전된 플라스틱이다. 개별 초음파 반사기(11, 12)는 바람직하게 부가적인 제조 방법에 의해 캐리어 요소(13) 상에 직접 제조된다.
도 3은, 전파 시간 차이가 다중 반사에 의해 증가하는 점에서 선행 실시예와 구별되는 테스트 유닛(7)의 제2 실시예를 보여준다. 선행 실시예와 달리, 제2 반사기 표면(12)이 평행하지 않고, 초음파 변환기(10)에 대해 그리고 이로써 초음파 반사기 표면(11)에 대해서도 비스듬하게 정렬됨으로써, 초음파 신호가 반사기 표면(12)으로부터 비스듬하게 역반사된다. 여기서는 캐리어 요소(13) 상에 제3 반사기 표면(14)이 배치되며, 파선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가 반사기 표면(12)에 의해 상기 제3 반사기 표면으로 반사된다. 초음파 반사기 표면(14)은, 이 표면이 반사된 초음파 신호를 다시 초음파 변환기(10)로 역반사하도록 배치된다. 이로 인해, 초음파 반사기 표면(12)으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 신호의 전파 시간이 연장되고, 측정이 최적화된다. 본 경우에는, 제3 초음파 반사기 표면(14)도 평면 반사기 표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캐리어 유닛(13) 내에 복수의 리세스(15)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제2 실시예와 구별되는 테스트 유닛(7)의 제3 실시예를 보여준다. 리세스(15)는 각각 캐리어 요소(13)의 반사기 없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한 편으로는 중량 감소의 목적으로 이용되고, 다른 한 편으로는 초음파 신호의 원하는 전파 경로의 부분이 아닌 캐리어 요소의 면에서 간섭성 역반사를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된다. 특히, 반사 및 기계적 안정성을 위해 필요한 캐리어 요소의 면만 높은 음향 임피던스를 갖는 재료로 제조되며, 캐리어 요소의 또 다른 영역은 더 낮은 음향 임피던스를 갖는 재료,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특히, 캐리어 요소는 앞에서 이미 논했듯이 전체적으로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반사기 표면들(11, 12 및 14)은 높은 임피던스를 갖는 재료로 형성된다.
도 5는, 다중 편향된 전파 경로가 훨씬 더 긴 경로 구간을 갖는다는 점에서 선행 실시예와 구별되는 테스트 유닛(7)의 제4 실시예를 보여준다. 이를 위해, 도 5의 실시예에 따라, 제1 반사기(11)가 초음파 변환기(10)에 더 가까이 배치된다. 이를 위해, 반사기(11)는 캐리어 요소(13)의 더 앞쪽에 위치한 표면상에 배치된다. 더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 제2 초음파 반사기(12)는, 제3 초음파 반사기 표면(14) 및 초음파 변환기(10)로의 초음파 신호의 집속된 역반사를 달성하기 위해, 평탄하지 않게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초음파 반사기(12)의 곡률은 특히 포물면 형상, 구형 섹션 형상, 또는 원통형 섹션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6은, 특히 캐리어 요소(13)가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점에서 도 2의 실시예와 구별되는 테스트 유닛(7)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보여주며, 이 경우 상기 캐리어 요소는 직경(D1)을 갖는 제1 섹션(16) 및 직경(D2)을 갖는 제2 섹션(17)을 가지며, 이 경우 직경(D1)이 직경(D2)보다 훨씬 더 크기 때문에, 한 편으로는 섹션(16)에서 반사기(12)가 환형 반사기 표면으로서 도출되고, 다른 한 편으로는 반사기(11)가 섹션(17)의 단부면에서 환형 반사기 표면으로서 도출된다. 이로 인해, 비용 효율적이면서 설치 공간 절약적으로 실현된 회전 대칭형 반사기 부품이 도출된다.
도 7은, 반사기 표면(12)에서 다중 반사가 일어난다는 점에서 도 5의 실시예와 구별되는 테스트 유닛(7)의 제6 실시예를 보여준다. 여기서는, 반사기 표면(12)으로부터 반사기 표면(14)으로 반사되었거나 지향된 초음파 신호가 반사기 표면(14)으로부터 역으로 반사기 표면(12)으로 지향되고, 그곳으로부터 초음파 변환기(10)로 역반사되도록, 제2 반사기 표면(12)과 제3 반사기 표면(14)이 상호 배열되어 있다. 이를 위해, 특히 평탄한 반사기 표면(12 및 14)을 통과하는 α = 45°의 각도가 제공된다.
도 8은, 제2 반사기(12)가 초음파 변환기(10) 옆에, 그리고 초음파 신호의 전파 방향으로 초음파 변환기(10)에 대해 오프셋되어 배치된 점에서 선행 실시예들과 구별되는 테스트 유닛(7)의 제7 실시예를 보여준다. 특히, 초음파 변환기(10)는 반사기(12) 내부에 놓이며, 이로써 반사기는 적어도 2개의 측면에서 초음파 변환기(10)를 둘러싼다. 반사기 표면(11)은 지금까지와 같이 초음파 변환기(10)와 마주 놓여 있지만, 실질적으로 반사기 표면(12)의 면적에 상응하는 면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초음파 변환기(10)는, 도 8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발산 초음파를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방출된 초음파 신호는 초음파 반사기 표면(11)에 충돌하고, 이 반사기 표면은 다시 자체적으로, 상기 반사기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초음파가 파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평면파로서 초음파 변환기(10) 및 반사기 표면(12)으로 역반사되도록 선택된 곡률을 갖는다. 이들 파동은 초음파 변환기(10)에 의해 제1 에코로서 검출된다. 이들 파동은 나아가 초음파 반사기 표면(12)에 충돌하기 때문에, 이곳에서 역으로 반사기 표면(11)으로 반사되고, 이곳으로부터 제2 에코로서 초음파 변환기(10)로 역반사된다.
도 9는, 초음파 변환기(10)가 실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평탄한 초음파 신호 또는 파동을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점에서 도 8의 실시예와 구별되는 제8 실시예를 보여준다. 제1 반사기 표면(11)의 곡률에 의해, 제1 에코로서 초음파 변환기(10)에 충돌할 뿐만 아니라, 제2 초음파 반사기 표면(12)으로부터 역으로 제1 반사기 표면(11)으로 반사되도록 하기 위해 제2 초음파 반사기 표면(12)에도 충돌하는 발산 초음파가 역반사되며, 이 경우 제1 반사기 표면(11)은 다시 이 발산 초음파를 제2 에코로서 역으로 초음파 변환기(10)로 반사한다. 이때, 반사기 표면(11)의 곡률은, 발산파가 초음파 변환기(10)의 방향으로 역반사되도록 선택된다. 빔 확장에 의해 상기 파동의 일부분이, 본 실시예에 따라 마찬가지로 곡면으로 형성된 제2 반사기 표면(12)에도 충돌함에 따라 파동 집속이 수행되며, 이러한 파동 집속에 의해 초음파 신호가 반사기 표면(12)으로부터 반사기 표면(11)으로 집속되어 역반사됨으로써, 파동이 다시 곡선의 반사기 표면(11)에 충돌하게 된다.

Claims (11)

  1. 액체를 저장하는 탱크(2) 내에 배치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테스트 유닛(7)을 구비한, 액체, 특히 배기가스 후처리제의 품질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9)로서, 상기 테스트 유닛이 초음파 신호를 방출 및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초음파 변환기(10)와, 방출된 초음파 신호를 하나 이상의 초음파 변환기(10)로 반사하기 위한 2개 이상의 초음파 반사기 표면(11, 12, 14)을 구비하는, 품질 결정 장치(9)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초음파 반사기 표면(11, 12, 14)이 초음파 변환기(10)에 대해 상이한 거리를 두고, 일체형으로 형성된 공통의 캐리어 요소(13) 상에 직접 형성되거나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질 결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초음파 반사기 표면(11, 12)이 초음파 신호를 직접 초음파 변환기(10)로 역반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질 결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초음파 반사기 표면(12, 14) 중 적어도 하나는, 초음파 신호가 초음파 변환기(10)로 역반사되기 전에 초음파 신호를 한 번 이상 편향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질 결정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초음파 반사기 표면(11, 12) 중 적어도 하나가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질 결정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초음파 반사기 표면(11, 12, 14) 중 적어도 하나가 초음파 변환기(10) 옆에 그리고 특히 초음파 신호의 전파 방향으로 초음파 변환기(10)에 대해 오프셋되어, 초음파 반사기 표면들 중 다른 하나의 초음파 반사기 표면(11)과 마주 놓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질 결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일측의 그리고/또는 타측의 초음파 반사기 표면(11, 12)이 곡선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질 결정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캐리어 요소(13)는 반사기가 없는 영역에 하나 이상의 리세스(1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질 결정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초음파 반사기 표면들(11, 12, 14) 중 적어도 하나가 캐리어 요소(13) 상의 코팅으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질 결정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초음파 반사기 표면(11, 12, 14)은, 초음파 신호가 초음파 반사기 표면(11, 12, 14) 중 하나 이상의 표면에서 여러 번 반사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질 결정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초음파 반사기 표면(11, 12, 14)에 의해 역반사된 초음파 신호들의 전파 시간 차이에 따라 액체 내 질량 농도를 결정하려는 목적으로, 초음파 신호로서 하나 이상의 버스트 신호를 생성 및 수신하기 위해, 테스트 유닛(7), 특히 초음파 변환기(1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장치(8)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질 결정 장치.
  11. 액체(3), 특히 배기가스 후처리제를 저장 및 제공하기 위한 탱크, 및 액체의 품질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9)를 가진 탱크 장치(1), 특히 자동차의 배기가스 후처리 시스템을 위한 환원제 탱크 장치로서, 상기 장치(9)가 탱크(2) 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테스트 유닛(7)을 구비한, 탱크 장치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9)의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장치(1).
KR1020207026562A 2018-02-21 2019-01-23 품질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탱크 장치 KR202001218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202587.8A DE102018202587A1 (de) 2018-02-21 2018-02-21 Vorrichtung zur Qualitätsbestimmung, Tankvorrichtung
DE102018202587.8 2018-02-21
PCT/EP2019/051545 WO2019162021A1 (de) 2018-02-21 2019-01-23 Vorrichtung zur qualitätsbestimmung, tankvorr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840A true KR20200121840A (ko) 2020-10-26

Family

ID=65228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6562A KR20200121840A (ko) 2018-02-21 2019-01-23 품질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탱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756000A1 (ko)
KR (1) KR20200121840A (ko)
CN (1) CN112005109B (ko)
DE (1) DE102018202587A1 (ko)
WO (1) WO20191620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8026B1 (ko) * 2023-07-28 2024-01-23 주식회사 인디시스템 멀티검사가 가능한 초음파 검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220344A1 (de) * 2019-12-20 2021-06-24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Ermittlung einer Konzentration einer Flüssigkeit
DE102020212219A1 (de) 2020-09-28 2022-03-31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Sensoreinrichtung, Sensoreinrichtung
DE102020212220A1 (de) 2020-09-28 2022-03-31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Sensoreinrichtung zur Bestimmung einer Stoffeigenschaft, Medientank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1184A (ja) * 1994-05-19 1995-11-28 Suzuki Motor Corp 超音波伝播時間測定用のセンサ及びこれを用いた超音波伝播時間測定方法
JP3381747B2 (ja) * 1994-12-09 2003-03-04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溶液濃度の測定方法および測定装置
WO2008101339A1 (en) * 2007-02-21 2008-08-28 Sensotech Inc. Fluid level measuring method and system therefor
JP5552447B2 (ja) * 2011-01-25 2014-07-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超音波計測方法、及び超音波計測装置
DE102011086774A1 (de) 2011-11-22 2013-05-23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gleichzeitigen Füllstandsbestimmung und Qualitätsbestimmung einer Reduktionsmittellösung
CN103487506A (zh) * 2012-06-12 2014-01-01 北京大学深圳研究生院 一种便携式液体食品质量超声波检测仪与方法
US8919194B2 (en) * 2012-09-05 2014-12-30 Simmonds Precision Products, Inc. Liquid level gauging system with bubble shedding reflectors
DE102013218001B4 (de) * 2013-09-09 2015-04-02 Continental Automotive Gmbh Ultraschallsensor mit Umlenkelement
DE102013219643A1 (de) * 2013-09-27 2015-04-02 Continental Automotive Gmbh Ultraschallsensor
DE102014210080A1 (de) * 2014-05-27 2015-12-03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orrichtung zum Bestimmen einer Höhe einer Fluidoberfläche in einem Fluidbehälter
DE102014213233A1 (de) * 2014-07-08 2016-01-1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orrichtung zum Bestimmung einer Schallgeschwindigkeit eines Schallsignals in einem Fluid
US20160041024A1 (en) 2014-08-11 2016-02-11 Ssi Technologies, Inc. Through-wall tank ultrasonic transducer
DE102015212622A1 (de) 2015-07-07 2017-01-1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orrigieren eines Qualitätssignals eines in einem Reagenzmittel-Dosiersystem eingesetzten Ultraschall-Qualitätssensors, Steuergerät-Programm und Steuergerät-Programmprodukt
DE202017104156U1 (de) * 2017-07-12 2017-08-02 Elkamet Kunststofftechnik Gmbh Vorrichtung zum Messen der Konzentration eines Reduktionsmitte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8026B1 (ko) * 2023-07-28 2024-01-23 주식회사 인디시스템 멀티검사가 가능한 초음파 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005109B (zh) 2024-05-14
EP3756000A1 (de) 2020-12-30
WO2019162021A1 (de) 2019-08-29
CN112005109A (zh) 2020-11-27
DE102018202587A1 (de) 2019-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21840A (ko) 품질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탱크 장치
KR101606763B1 (ko) 액체 첨가제용 충전 레벨 센서를 구비한 전달 유닛
JP4107685B2 (ja) 超音波バッファ/導波管
US7252015B2 (en) Ultrasonic flow meter including guide elements
US5383369A (en) Device for measuring the velocity of a fluid
US6626049B1 (en) Clamp-on steam/gas flow meter
US7905143B2 (en) Ultrasonic fuel level monitoring system incorporating an acoustic lens
JP6192816B2 (ja) 超音波センサを備えた液体タンク
EP2122389A1 (en) Fluid level measuring method and system therefor
US7077012B2 (en) Wedge and wedge unit for use in ultrasonic doppler flow meter
JP2007517207A (ja) 交差式の送信および受信素子を有する超音波流れセンサ
EP1030176A2 (en) Gas concentration sensor
CN110714816B (zh) 尿素浓度传感器反射器
EP1020723A2 (en) Gas concentration sensor
KR20120107940A (ko) 유체에 사용하기 위한 초음파 유량 센서
Seckel et al. Physics of 3d ultrasonic sensors
US20200400481A1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a Level and/or Quality of a Fluid in a Fluid Container
JP2002296133A (ja) パイプ内圧測定装置およびパイプ内圧測定方法
JP2004132978A (ja) 超音波発生装置、超音波発生装置を用いた音速測定装置、音速測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0480651C (zh) 确定物体背面温度的方法及测量设备
JP2001013238A (ja) 物体検知装置及びその動作確認装置
Klambauer et al. Evaluation of an Ultrasonic Phased Array Flow Sensor for Harsh Environment
CN113008979A (zh) 用于确定液体的浓度的方法
CN114280142A (zh) 用于确定材料特性的传感器装置,介质箱
CN116804651A (zh) 一种基于单周波尿素全浓度覆盖的超声品质传感技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