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1804A - 가열 가능한 유체 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조립체 - Google Patents

가열 가능한 유체 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1804A
KR20200121804A KR1020207023346A KR20207023346A KR20200121804A KR 20200121804 A KR20200121804 A KR 20200121804A KR 1020207023346 A KR1020207023346 A KR 1020207023346A KR 20207023346 A KR20207023346 A KR 20207023346A KR 20200121804 A KR20200121804 A KR 20200121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line
electrical
coupling portion
interfac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3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7977B1 (ko
Inventor
안드레아스 밴쉬
마르틴 작세
다니엘 해거
오이겐 하인리히스
마르코 이젠부르크
요쳄-안드레아스 헤스
발데마르 빌름스
루카스 뢰리크
Original Assignee
보스 오토모티브 게임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 오토모티브 게임베하 filed Critical 보스 오토모티브 게임베하
Publication of KR20200121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1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3/0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Cool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5Ohmic-resistance heating
    • F16L53/38Ohmic-resistance heating using elongate electric heating elements, e.g. wires or ribb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1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realising electrical conduction between the two pipe ends of the joint or between part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05Electrical coupling combined with fluidic coup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부(3)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부(4)를 갖는, 가열 가능한 유체 라인(2a, 2b, 2c)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조립체(1)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서 제1 결합부(3) 및 제2 결합부(4)는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제1 결합부(3) 및 제2 결합부(4)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제1 유체 라인(2a, 2b), 적어도 하나의 제1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7a, 7b),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기 전도체(8a, 8b)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기 인터페이스(9a, 9b)를 포함한다. 제1 결합부(3) 및/또는 제2 결합부(4)가 적어도 하나의 유체 라인 디바이더(divider)(10)를 포함하고, 제2 결합부(4)가 적어도 하나의 제2 유체 라인(2c)을 포함함으로써, 특히 다중 라인 시스템을 위한 맞춤 및 조립 작업량이 감소된다.

Description

가열 가능한 유체 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조립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부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부를 갖는, 가열 가능한 유체 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는 예를 들어 서로 조립함으로써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제1 유체 라인, 적어도 하나의 제1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기 전도체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기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가열 가능한 유체 라인은 상이한 형태로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자동차의 유체 분배 시스템에 사용된다. 유체는 예를 들어 윈드 스크린 와셔 시스템용 물 또는 배기가스-SCR-촉매(SCR = 선택적 촉매 환원)(Selective Catalytic Reduction)에서 질소 산화물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요소 수용액일 수 있다. 액체는 주변 온도가 낮을 때 동결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펌프 또는 유체 라인과 같은 유체 운반 요소는 동결을 방지하거나 또는 이미 냉동된 유체를 다시 해동하기 위해 가열된다. 이를 위해, 가열 가능한 구성 요소는 유체 시스템 내부에서 유체 라인을 통해 연결되고, 여기서 전기적으로 또한 가열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연결 조립체는, 특히 다중 라인 시스템에서 많은 맞춤 및 조립 작업량이 발생된다는 단점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맞춤 및 조립 작업량이 감소되는, 특히 다중 라인 시스템을 위한 연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제1 결합부 및/또는 적어도 제2 결합부가 특히 유체 흐름을 분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체 라인 디바이더(divider)를 포함하며, 제2 결합부는 제2 유체 라인을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연결 조립체는 가열 가능한 유체 라인을 연결하기 위해, 예를 들어 유체 라인의 적어도 2개의 섹션을 연결하고, 동시에 전기 전도체, 특히 가열 전도체 또는 전기 전도체의 적어도 2개의 섹션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연결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부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부를 포함한다.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제1 유체 라인, 적어도 하나의 제1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기 전도체, 특히 가열 전도체,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기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는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여기서 조립할 때, 적어도 제1 결합부의 제1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와 제2 결합부의 제1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 및 제1 결합부의 제1 전기 인터페이스와 제2 결합부의 제1 전기 인터페이스는 동시에 연결된다.
연결 조립체는 제1 결합부 및/또는 제2 결합부가 유체 라인에서 안내되는 유체 흐름을 분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체 라인 디바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유체 라인 디바이더는 제1 결합부 또는 제2 결합부 내에 배치된다. 유체 라인 디바이더는 제1 결합부의 제1 유체 라인 또는 제2 결합부의 제1 유체 라인의 유체 흐름을 적어도 2개의 유체 흐름으로 분할한다. 유체 흐름을 분할함으로써, 서로에 대해 독립적인 적어도 2개의 탭핑 지점(tapping point), 예를 들어 촉매 변환기 또는 SCR 시스템의 2개의 촉매 변환기에 대해 2개의 상이한 지점이 공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결합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유체 라인을 포함하고, 이러한 제2 유체 라인이 유체 흐름을 제2 탭핑 지점으로 안내할 수 있는 동안, 제2 결합부의 제1 유체 라인은 유체 흐름을 제1 탭핑 지점으로 안내하는 것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유체 라인 디바이더는 제1 결합부 또는 제2 결합부의 적어도 제1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제공된다. 유체 라인 디바이더는 바람직하게는 제1 및/또는 제2 결합부의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다.
제1 결합부의 제1 전기 전도체는 제1 유체 라인을 제1 결합부의 제1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까지 가열하기 위해, 제1 유체 라인을 따라 가열 전도체로서 코일로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결합부의 제1 전도체는 적어도 제1 결합부의 제1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 주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권취된다. 유체 라인 디바이더가 제1 결합부 내에 배치되는 한, 제1 전도체는 바람직하게는 또한 유체 라인 디바이더 주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권취된다.
제2 결합부의 제1 전기 전도체는 적어도 제2 결합부의 제1 유체 라인을 가열하기 위해, 적어도 제2 결합부의 제1 유체 라인 주위에 바람직하게는 가열 전도체로서 코일로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 결합부의 제1 전도체는 적어도 제2 결합부의 제1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 주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권취된다. 유체 라인 디바이더가 제2 결합부 내에 배치되는 한, 제1 전도체는 바람직하게는 또한 유체 라인 디바이더 주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권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조립체는 단일 플러그인 작동으로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 사이에 전기 및 유체 연결이 동시에 확립된다는 이점을 포함한다.
또한, 유체 라인으로 안내되는 유체 흐름은 유체 라인 디바이더에 의해 적어도 2개의 별도의 탭핑 지점으로의 분할이 수행된다.
연결 조립체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결합부의 제2 유체 라인은 유체 라인 디바이더에 연결되고, 바람직하게는 제2 유체 라인은 제2 전기 전도체, 특히 가열 전도체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유체 라인 디바이더는 제2 결합부 내에 배치되고, 제2 결합부의 제2 유체 라인은 바람직하게는 유체 밀봉식으로 또는 일체형으로 유체 라인 디바이더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유체 라인 디바이더는 제2 결합부의 제1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를 형성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2 유체 라인이 제2 전기 전도체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제2 전기 전도체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바람직하게는 2개의 코일로 제2 유체 라인 주위에 가열 전도체로서 배치되므로, 제2 유체 라인이 가열될 수 있다. 2개의 코일에서, 하나의 코일은 진행 방향 안내되고, 다른 코일은 복귀 방향 안내되어 유체 라인 주위에 권취되므로, 전도체는 유체 라인의 일 단부에서 2개의 전기 극과 접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결합부의 제1 전기 전도체는 제1 유체 라인 주위에 또한 권취되어, 2개의 전기 전도체가 제2 결합부의 2개의 전기 극과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연결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는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가 각각 제2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제공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유체 라인 디바이더는 제1 결합부 내에 배치된다. 유체 라인은 결과적으로 제1 결합부에서 분할되므로, 각각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에는 제2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가 요구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제2 결합부에서 제1 유체 라인 및 제2 유체 라인은 제1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 또는 제2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에 직접 연결된다.
제1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 또는 제2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는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및 소켓의 대응하는 쌍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 또는 제1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 및 제2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 상의 플러그 및 소켓은 각각 쌍으로 교환되어,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의 연결은 단지 사전 결정된 방향으로만 수행될 수 있는 것이 제공된다. 유체 라인 디바이더가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의 일 부분을 형성하는 한, 이는 바람직하게는 소켓으로서 형성된다.
연결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는 각각 제2 전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된다. 제2 전기 인터페이스는 특히,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가 조립될 때, 기존의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와 제1 전기 인터페이스가 시간적으로 동시에 접촉된다. 제2 전기 인터페이스는 - 그 구성에 따라 - 예를 들어 - 제1 전기 인터페이스가 제1 극과 접촉하는 동안 - 제2 극과 접촉하는데 사용되거나 또는 전기 전도체를 제1 및 제2 극과 접촉시키는데 사용된다.
연결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는 제1 결합부 및/또는 제2 결합부의 제1 전기 인터페이스 및/또는 제2 전기 인터페이스가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점을 포함하고, 특히 2개의 전기 인터페이스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점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접점을 포함하는 것을 제공한다.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의 구성에 따라, 제1 전기 인터페이스 및 제2 전기 인터페이스는 하나의 극과 접촉하기 위한 단지 하나의 접점 또는 각각 2개의 극과 접촉하기 위한 2개의 접점으로 설계된다. 구체적인 구성은 유체 라인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전기 전도체의 유형 및 회로에 의존한다.
제2 결합부의 제1 유체 라인 및 제2 유체 라인의 전기 전도체, 특히 가열 전도체는 바람직하게는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다. 그러나 전기 전도체의 회로에 따라, 개별 섹션의 직렬-병렬 연결이 또한 생성될 수도 있다. 모든 회로 및 공급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존재한다는 것이 명백히 강조된다.
특히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결합부 및/또는 제2 결합부의 제1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 및/또는 제2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 및/또는 제1 전기 인터페이스 및/또는 제2 전기 인터페이스의 중심축은 특히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가 조립된 상태에서 공통 평면에 배치되는 것이 제공됨으로써, 연결 조립체에 필요한 구조 공간이 감소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4개의 인터페이스는 모두 공통 평면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예를 들어 연결 조립체가 가능한 한 편평한 구조인 것이 보장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의 제1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 또는 복수의 제1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 및 제1 전기 인터페이스 또는 복수의 제1 전기 인터페이스는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의 플러그 축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되는 것이 제공된다. 플러그 축은 여기서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를 따라 연결을 위해 조립되는 축이다. 가능한 경우, 제2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 또는 제2 전기 인터페이스는 또한 각각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축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된다.
특히 연결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결합부의 전기 전도체가 가열 전도체로서 제2 결합부의 제1 유체 라인을 따라 특히 2개의 코일로, 바람직하게는 제2 결합부의 하우징으로부터 시작하여 진행하고 복귀하는 코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안내되어, 제2 결합부의 제1 전기 전도체가 제2 결합부 내의 유체 라인의 제1 단부에서 2개의 단부 또는 극과 접촉될 수 있음으로써, 조립 작업량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부의 제2 전기 전도체가 제공되는데, 이는 제2 결합부의 제2 유체 라인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안내되고, 바람직하게는 2개의 코일로, 즉 진행 및 복귀 코일로 유체 라인에서 안내되므로, 제2 전도체도 또한 제1 유체 라인의 제1 단부에서 제2 결합부 내의 2개의 단부와 접촉될 수 있다.
제1 전기 전도체 및 제2 전기 전도체는 예를 들어 제1 접점 및 제2 접점으로 형성된 제2 결합부의 제1 전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촉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전기 전도체는 바람직하게는 직렬로 연결되는데, 즉 제1 전기 전도체가 제1 유체 라인을 따라 제1 진행 코일로 안내되고, 제1 유체 라인을 따라 제2 복귀 코일로 제2 결합부로 다시 안내되고, 그곳에서 제2 전도체와 접촉되고, 이러한 제2 전도체는 제2 유체 라인을 따라 제1 진행 코일로, 그리고 제2 유체 라인을 따라 제2 복귀 코일로 다시 제2 결합부를 향해 안내되고, 그곳에서 제2 접점과 연결된다. 따라서, 제2 결합부에는 제1 전도체 및 제2 전도체가 2개의 접점으로 형성된 제1 전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결합부의 제1 인터페이스가 이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제2 결합부로의 전기 공급은 제1 결합부의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행된다.
이에 대해 대안적으로, 제1 전기 전도체 및 제2 전기 전도체는 제1 접점으로 형성된 제2 결합부의 제1 전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촉될 수 있고, 제1 접점으로 형성된 제2 결합부의 제2 전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 각각 제1 극과 - 접촉될 수 있는 것이 제공된다. 따라서, 전기 인터페이스의 각각은 전기 전도체, 특히 가열 전도체에 대해 단지 하나의 극에만 접촉한다. 이 경우, 제1 전도체 및 제2 전도체는 직렬로 연결되고,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와 같이, 코일은 각각 유체 라인을 따라 진행 및 복귀 코일로 안내된다. 이 경우, 제1 전도체의 진행 코일은 제1 전기 인터페이스와 접촉되고, 제2 전도체의 복귀 코일은 제2 전기 인터페이스와 접촉된다. 제1 결합부는 각각 하나의 극에 접촉하기 위한 2개의 전기 인터페이스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또한, 대안적으로 제1 전도체는 제1 접점 및 제2 접점으로 형성된 제2 결합부의 제1 전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촉될 수 있고, 제2 전도체는 제1 접점 및 제2 접점으로 형성된 제2 결합부의 제2 전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촉될 수 있는 것이 제공된다. 이 경우, 제1 전도체 및 제2 전도체는 어떤 경우에든 제2 결합부에서 서로 병렬로 연결되고, 서로에 대해 독립적으로 안내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제1 전기 인터페이스 및 제2 전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간적으로 동시에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의 제2 전기 인터페이스와 제1 결합부의 제2 전기 인터페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접점은 제1 결합부에서 서로 연결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를 통해,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가 연결될 때 제1 전도체 및 제2 전도체는 직렬로 연결된다. 제1 결합부의 전기 전도체의 각각의 제2 접점에는 제1 결합부의 제1 전기 전도체의 제1 극 및 제2 극이 접촉되고, 이를 통해 바람직하게는 전기 공급이 수행된다.
연결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결합부의 제1 전기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기 접점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기 접점을 포함하고, 제1 결합부의 제2 전기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기 접점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기 접점을 포함하고, 제1 전기 인터페이스의 제1 접점의 제1 결합부에서 제2 전기 인터페이스의 제1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를 통해, 서로 나란히 존재하는 2개의 전기 인터페이스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제2 결합부의 제1 전도체와 제2 결합부의 제2 전도체를, 둘 모두가 제2 결합부에서는 병렬로 연결되더라도, 제1 전기 인터페이스와 제2 전기 인터페이스 사이의 접점이 제1 결합부에서 서로 연결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하는 것이 보장된다.
제1 전기 인터페이스 및 제2 전기 인터페이스의 각각의 제2 접점은 각각 제1 결합부의 제1 전도체의 극에 연결되므로, 이를 통해 바람직하게는 공급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제2 결합부는 이에 대응하여, 제1 전기 접점 및 제2 전기 접점을 갖는 제1 전기 인터페이스 및 제1 전기 접점 및 제2 전기 접점을 갖는 제2 전기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제2 결합부의 제1 인터페이스 및 제2 전기 인터페이스의 전기 접점은 각각의 유체 라인에서 전기 전도체, 특히 가열 전도체에 각각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조립체의 가변성은 바람직하게는 제2 결합부가 적어도 2개의 하우징부, 즉 제1 유체 라인, 제1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 및 제1 전기 인터페이스를 갖는 제1 하우징부 및 제2 유체 라인, 제2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 및 제2 전기 인터페이스를 갖는 제2 하우징부를 포함함으로써 증가된다. 제1 하우징부 및 제2 하우징부는 제2 결합부를 함께 형성한다. 기본적으로, 각각의 하우징부는 제1 결합부에 별도로 연결될 수 있다. 유체 라인 디바이더는 제2 결합부의 제1 하우징부 또는 제2 하우징부에 배치되는 것이 또한 제공된다. 이 경우, 제1 하우징부 및 제2 하우징부 사이에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인터페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가 형성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제1 하우징부의 제1 전기 인터페이스 및 제2 하우징부의 제2 전기 인터페이스는 2개의 접점 또는 하나의 접점을 각각 갖는다.
특히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부 및 제2 하우징부가 서로 형상 맞춤 로킹 방식, 마찰 결합 로킹 방식 또는 형상 결합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고, 특히 서로 래칭 가능하고(latchable), 재밍 가능하거나(jammable) 또는 나사 결합 가능하다는 점에서 연결 조립체의 조립이 단순화될 수 있다. 제1 하우징부와 제2 하우징부는, 예를 들어 제1 결합부에 연결되기 전에 서로 연결되거나, 또는 제1 결합부에 서로 독립적으로 연결되고, 제1 결합부에 연결될 때 마찬가지로 서로 연결된다.
연결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부 및 제2 하우징부는 각각 전기 교차 연결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교차 연결 인터페이스에 의해, 제1 하우징부의 제1 전기 전도체와 제2 하우징부의 제2 전기 전도체 사이의 전기 연결이 확립될 수 있으므로, 제1 전기 전도체 및 제2 전기 전도체는 직렬 연결되는 경우가 제공될 때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제2 결합부의 제1 전기 인터페이스 및 제2 결합부의 제2 전기 인터페이스가 각각 단지 하나의 단일 접점만을 포함하여, 각각 하나의 극이 전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각 접촉될 수 있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이 경우, 2개의 전기 전도체, 특히 가열 전도체는, 제1 전도체가 제1 전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촉되고, 제1 전기 전도체가 제2 결합부의 제1 유체 라인을 따라 진행 및 복귀 코일로 안내되고, 교차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전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기 전도체는 마찬가지로 제2 유체 라인을 따라 진행 및 복귀 코일을 통해 배치되어, 이 경우 제2 결합부의 제2 전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촉될 수 있음으로써 접촉된다. 교차 연결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플러그 소켓 조합으로 형성된다.
연결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 라인 디바이더는 T 형상, h 형상 또는 Y 형상을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때 유리한 것으로 또한 입증되었다. 이러한 형상은 컴팩트한 디자인과 단순한 제조 가능성도 또한 보장되기 때문에, 유체 전도체에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연결 조립체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는 제2 결합부의 제1 전기 인터페이스 및 제2 결합부의 제2 전기 인터페이스가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의 일 측면 상에 배치되는 것을 제공한다. 특히, 제2 결합부의 제1 전기 인터페이스 및 제2 전기 인터페이스 및 제2 결합부의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는 공통의 가상 평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 결합부의 제1 전기 인터페이스 및 제2 결합부의 제2 전기 인터페이스는 제2 결합부의 제2 유체 라인의 반대쪽 측면 상에 배치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1 결합부의 제1 전기 인터페이스 및 제1 결합부의 제2 전기 인터페이스가 제1 결합부의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의 일 측면 상에 배치되는 것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의 제1 전기 인터페이스 및 제2 전기 인터페이스 및 제1 결합부의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는 공통 평면에 배치된다.
전술한 실시예는 특히 제2 결합부에 90°분기부를 갖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기 인터페이스가 더 이상 분기부와 하우징 에지 사이에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가, 특히 제2 결합부에서, 하우징 에지에 더 가까이 이동될 수 있다는 이점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제2 결합부는 보다 컴팩트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입부에 언급된 과제는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제1 또는 제2 결합부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또한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는 다음의 도면 설명 및 종속 청구항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연결 조립체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노출된 측면도로 도시한다.
도 2는 연결 조립체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노출된 측면도로 도시한다.
도 3은 연결 조립체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노출된 측면도로 도시한다.
도 4는 연결 조립체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노출된 측면도로 도시한다.
도 5는 연결 조립체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노출된 측면도로 도시한다.
도 6은 연결 조립체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노출된 측면도로 도시한다.
도 7은 전기 회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은 전기 회로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9는 전기 회로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전기 회로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연결 조립체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노출된 측면도로 도시한다.
도면의 상이한 도면에서, 동일한 부품에는 항상 동일한 참조 부호가 제공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 및 여기서 설명된 특징 조합의 모든 또는 복수의 특징들에 제한되지는 않고, 오히려 각각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각각의 개별적인 부분 특징이 또한 이와 관련하여 설명된 모든 다른 부분 특징들과는 별도로 그 자체로, 그리고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임의의 특징들과의 조합도 또한 본 발명의 주제에 중요하다는 것이 청구된다.
도 1, 도 2, 도 3 및 도 11은 제1 결합부(3) 및 제2 결합부(4)를 갖는 가열 가능한 유체 라인(2a, 2b, 2c)을 위한 연결 조립체(1)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각각 부분적으로 노출된 측면도로 도시한다. 제1 결합부(3) 및 제2 결합부(4)는 각각 하우징(5, 6)을 포함한다. 제1 결합부(3) 및 제2 결합부(4)가 플러그 축(A)에 평행하게 서로를 향해 이동되고 형상 맞춤 로킹 방식으로 래칭됨으로써, 제1 결합부(3) 및 제2 결합부(4)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 도 2, 도 3 및 도 11은 제1 결합부(3) 및 제2 결합부(4)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다. 제1 결합부(3) 및 제2 결합부(4)는 각각 제1 유체 라인(2a, 2b), 적어도 하나의 제1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7a, 7b),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기 전도체(8a, 8b)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기 인터페이스(9a, 9b)를 포함한다. 제2 결합부(4)는 제2 결합부(4)의 제2 전기 전도체(8c)에 의해 둘러싸인 제2 유체 라인(2c)을 더 포함한다.
명확성을 위해, 전기 전도체(8a, 8b, 8c)의 실질적인 프로파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되어 있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았다. 도 11에는 전기 전도체(8a, 8b, 8c)가 도시되지 않았다.
도 1, 도 2, 도 3 및 도 11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결합부(4)는 유체 흐름을 분할하기 위한 유체 라인 디바이더(10)를 포함한다. 도 1에 따르면, 유체 라인 디바이더(10)는 T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2에 따르면, 유체 라인 디바이더(10)는 h 형상 또는 포크 형상이고, 도 3에 따르면 마찬가지로 T 형상이지만, 그러나 도 1과 비교하여 중앙에 배치된 공급 라인 및 상이한 회전 배향을 갖는다. 도 11에 따르면, 유체 라인 디바이더(10)는 마찬가지로 T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유체 라인 디바이더(10)는 제2 결합부(4)의 제1 유체 라인(2b) 및 제2 결합부(4)의 제2 유체 라인(2c) 모두에 연결된다. 유체 라인 디바이더(10)는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7b)의 일 부분을 형성한다.
도 2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유체 라인 디바이더(10)는 제1 전기 인터페이스(9a, 9b) 및 유체 라인(2a, 2b, 2c)과 완전히 공통 평면에 위치하도록 설계된다.
도 3 및 도 11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유체 라인 디바이더(10)는 제2 결합부(4)의 제1 유체 라인(2b) 및 제2 결합부(4)의 제2 유체 라인(2c)가 서로에 대해 대략 90°의 각도로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도 4는 제1 결합부(3) 및 제2 결합부(4)를 갖는 연결 조립체(1)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각각의 결합부(3, 4)는 하우징(5, 6)을 포함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유체 라인 디바이더(10)는 실질적으로 제1 유체 라인(2a)의 중심 연결부를 갖는 포크 형상 또는 h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결합부(3)에 배치된다. 유체 라인 디바이더(10)는 여기서 제1 결합부(3)의 제1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7a) 및 제2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7c)를 또한 형성한다. 또한, 제2 결합부(4)는 제1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7b) 및 제2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7d)를 포함하며, 이들은 각각 제1 유체 라인(2b) 또는 제2 유체 라인(2c)에 직접 고정 방식으로 연결된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11의 예시적인 실시예뿐만 아니라, 도 4의 예시적인 실시예도 또한 각각 제1 전기 인터페이스(9a, 9b) 외에 추가적으로 제2 전기 인터페이스(9c, 9d)를 제1 결합부(3) 및 제2 결합부(4)에 포함한다. 전기 인터페이스(9a, 9b, 9c, 9d)의 각각은 도 1 내지 도 4 및 도 11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접점(11a, 11b)을 포함하므로, 각각 하나의 극이 접촉될 수 있다.
도 11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결합부(4)의 전기 인터페이스(9b, 9d)는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7b)의 일 측면 상에, 바람직하게는 평면에 배치되고, 특히 결합부(4)의 제2 유체 라인(2c)에 반대되는 측면 상에 배치되는 것이 또한 제공된다. 특히, 제1 결합부(3)의 전기 인터페이스(9a, 9b)도 또한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7a)의 일 측면 상에, 특히 조립된 상태에서 제2 결합부(4)의 제2 유체 라인(2c)에 반대되는 측면 상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7b)가 하우징(6)의 외부 에지에 더 가깝게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제2 결합부(4)는 보다 컴팩트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전기 인터페이스(9d)가 - 예를 들어 도 3에서와 같이 - 그들 사이에 배치되지 않기 때문이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11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결합부(4)의 제1 전기 전도체(8b) 및 제2 결합부(4)의 제2 전기 전도체(8c)는 직렬로 연결된다. (극의) 전기 공급은 제1 결합부(3)의 제1 전도체(8a), 즉 제1 전기 인터페이스(9a) 및 그곳에 위치된 제1 접점(11a)(도 4 참조), 및 제2 결합부(4)의 제1 전기 인터페이스(9b)를 통해 수행되고, 이 때 제2 결합부(4)의 제1 전기 전도체(8b)는 제2 결합부(4)의 제1 유체 라인(2b) 주위에서 진행 및 복귀 코일로 배치되고, 이 경우 - 복귀 코일로부터 시작하여 - 제2 유체 라인(2c)을 따라 2개의 코일들로 진행 방향 및 복귀 방향으로 안내되는 제2 전도체(8c)의 진행 코일과 접촉될 수 있고, 이 경우 제2 결합부(4)의 제2 전기 인터페이스(9d) 및 제1 결합부(3)의 제2 전기 인터페이스(9c)의 제1 접점(11b)(도 4 참조)을 통해 제1 결합부(3)의 제1 전도체(8a)의 제2 코일과 접촉될 수 있다.
도 5는 하우징(5)을 갖는 제1 결합부(3) 및 서로 연결될 수 있는 2개의 별도의 하우징부(6a, 6b)를 포함하는 제2 결합부(4)를 갖는 연결 조립체(1)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2 결합부(4)의 제1 하우징부(6a)는 제1 유체 라인(2b), 제1 전기 전도체(8b), 제1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7b), 및 제1 전기 인터페이스(9b)를 포함한다. 제2 하우징부(6b)는 제2 유체 라인(2c), 제2 전기 전도체(8c), 및 제2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7d) 및 제2 전기 인터페이스(9d)를 포함한다.
도 5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결합부(3)는 제1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7a) 및 제2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7c)를 갖는 유체 라인 디바이더(10)를 포함한다. 제1 결합부(3)의 제1 전기 인터페이스(9a)는 제1 전기 접점(11a) 및 제2 전기 접점(11b)을 포함한다. 제1 결합부(3)의 제2 전기 인터페이스(9c)는 마찬가지로 제1 전기 접점(11c) 및 제2 전기 접점(11d)을 포함한다. 제2 결합부(4)의 제1 전기 인터페이스(9b) 및 제2 전기 인터페이스(9d)는 마찬가지로 각각 2개의 접점(11e, 11f, 11g, 11h)(도 9에는 단지 예시로서 도시됨)을 포함한다. 도 5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전기 회로는 도 9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전기 인터페이스(9a, 9b) 및 제2 전기 인터페이스(9c, 9d)는 각각 2개의 접점(11a 내지 11h)을 포함하기 때문에(도 9 참조), 제2 결합부(4)의 제1 하우징부(6a)의 제1 전기 전도체(8b)는 제2 결합부(4)의 제1 전기 인터페이스(9b) 및 제1 결합부(3)의 제1 전기 인터페이스(9a)를 통해서만 접촉된다. 마찬가지로, 제2 결합부(4)의 제2 하우징부(6b)의 제2 전기 전도체(8c)는 제2 결합부(4)의 제2 전기 인터페이스(9d) 또는 제1 결합부(3)의 제2 전기 인터페이스(9c)를 통해서만 접촉된다. 제1 결합부(3)에서, 제2 전기 인터페이스(9c)의 제1 접점(11a) 및 제1 접점(11b)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므로, 제2 결합부(4)의 제1 전도체(8b) 및 제2 전도체(8c)는 접촉 후, 즉 제1 결합부(3)를 제2 결합부(4)와 연결한 후, 제2 결합부에서 병렬로 연결되지만, 그러나 제2 결합부(4)의 제1 전기 전도체(8b) 및 제2 결합부(4)의 제2 전기 전도체(8c)는 직렬로 연결된다.
도 1 내지 도 5 및 도 11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체 라인(2a, 2b, 2c) 또는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7a, 7b, 7c, 7d) 또는 유체 라인 디바이더(10) 상에 권선 영역(12)이 제공되고, 여기서 관련된 전기 전도체(8a, 8b, 8c)는 대응하는 섹션들의 가열을 구현하기 위해 와인딩된다(명확성을 위해 도시되지 않음).
도 6은 도 4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결합부(3)가 형성된 연결 조립체(1)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결합부(4)는 다시, 제1 하우징부(6a) 및 제2 하우징부(6b)로 형성된다. 각각의 하우징부(6a, 6b)는 제2 결합부(4)의 제1 전기 전도체(8b)를 제2 결합부(4)의 제2 전기 전도체(8c)와 직렬로 연결하기 위해, 소켓-커넥터 조합으로서 서로 연결될 수 있는 전기 교차 연결 인터페이스(13a, 13b)를 포함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전기 회로는 도 7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 교차 커넥터(13a, 13b)를 제외하고 - 특히 제2 결합부(4)의 제1 전도체(8b) 및 제2 전도체(8c)의 진행 및 복귀 코일과 관련하여 도 1 내지 도 4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응한다. 제2 결합부(4)의 제1 전기 인터페이스(9b) 및 제2 결합부(4)의 제2 전기 인터페이스(9d)는 -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와 같이 - 각각 단지 하나의 접점만을 포함한다. 제1 하우징부(6a) 및 제2 하우징부(6b)는 래칭 요소(14)를 포함하므로, 제1 하우징부(6a) 및 제2 하우징부(6b)는 형상 맞춤 로킹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기 회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공급부(E), 예를 들어 자동차의 온보드 네트워크로부터 시작하여, 제1 결합부(3)의 제1 전기 전도체(8a)는 진행 방향 안내 코일 및 복귀 방향 안내 코일로 제1 결합부(3)의 제1 전기 인터페이스(9a) 및 제2 전기 인터페이스(9b)와 연결된다. 제2 결합부(4)의 제1 전기 전도체(8b)는 또한 진행 방향 안내 및 복귀 방향 안내 코일로 배치되고, 여기서 진행 방향 안내 코일은 제2 결합부(4)의 제1 전기 인터페이스(9b)와 접촉되고, 복귀 방향 안내 코일은 교차 연결 인터페이스(13a)와 접촉된다. 마찬가지로, 제2 전기 전도체(8c)의 진행 방향 안내 코일은 교차 연결 인터페이스(13b)에 연결되고, 제2 결합부(4)의 제2 전기 전도체(8c)의 복귀 방향 안내 코일은 제2 전기 인터페이스(9d)에 연결된다.
도 8은 도 1 내지 도 4 및 도 11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기 회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공급부(E), 예를 들어 자동차의 온보드 네트워크로부터 시작하여, 제1 결합부(3)의 제1 전기 전도체(8a)는 제1 결합부(3)의 제1 전기 인터페이스(9a)와 제2 전기 인터페이스(9c) 사이의 진행 방향 안내 코일 및 복귀 방향 안내 코일로 형성된다. 제2 결합부(4)의 제1 전도체(8b)는 그 진행 방향 안내 코일이 제1 전기 인터페이스(9b)에 연결되고, 그 복귀 방향 안내 코일이 제2 전기 전도체(8c)의 진행 방향 안내 코일과 직접 연결되며, 여기서 제2 전도체(8c)의 복귀 방향 안내 코일은 제2 결합부(4)의 제2 전기 인터페이스(9d)와 연결된다. 전기 인터페이스(9a, 9b, 9c, 9d)의 각각은 극에 접촉하기 위한 단일 접점만을 포함한다.
도 9는 도 5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기 회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 결합부(3)의 제1 전기 전도체(8a)는 제1 결합부(3)의 제1 전기 인터페이스(9a)의 제2 접점(11b)에 전력을 공급한다. 제2 결합부(4)의 제1 전기 전도체(8b)의 진행 및 복귀 코일은 제2 전기 인터페이스(9b)를 통해 제1 접점(11e) 및 제2 접점(11f)에 연결된다. 제2 결합부(4)의 제2 전기 전도체(8c) 또는 그 진행 및 복귀 코일은 제2 전기 인터페이스(9d)에서 제1 접점(11g) 및 제2 접점(11h)에 연결된다. 제1 결합부(3)의 제1 전기 인터페이스(9a)의 제1 전기 접점(11a)은 제1 결합부(3) 내에서 제1 결합부(3)의 제2 전기 인터페이스(9c)의 제1 접점(11c)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접촉된 상태에서, 제2 결합부(4)의 제1 전기 전도체(8b) 및 제2 결합부(4)의 제2 전기 전도체(8c)는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된다.
도 10은 전기 회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공급부(E), 예를 들어 자동차의 온보드 네트워크로부터 시작하여, 제1 결합부(3)의 제1 전기 전도체(8a)는 진행 방향 안내 코일 및 복귀 방향 안내 코일이 제1 결합부(3)의 제1 전기 인터페이스(9a) 및 제2 전기 인터페이스(9b)와 연결된다. 제2 결합부(4)의 제1 전기 전도체(8b)는 마찬가지로 진행 방향 안내 및 복귀 방향 안내 코일로 배치되고, 여기서 진행 방향 안내 코일은 제2 결합부(4)의 제1 전기 인터페이스(9b)에 연결되고, 제2 결합부(4)의 제2 전기 전도체(8c)의 진행 방향 안내 코일과 병렬로 연결된다. 제2 결합부(4)의 제2 전기 전도체(8c)의 복귀 방향 안내 코일은 제1 전기 전도체(8b)의 복귀 방향 안내 코일과 병렬로 연결되고, 제2 전기 인터페이스(9d)에 연결된다. 제2 결합부(4)는 제1 하우징부(6a) 및 제2 하우징부(6b)를 포함한다.
특히, 도 1, 도 3 및 도 11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결합 요소(4)의 제2 유체 라인(2c)은 다른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7e, 7f)를 통해 유체 라인 디바이더(10)에 연결된다.
또한, 특히 도 11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 도 11에 도시되지 않은 - 전기 전도체(8c)를 연결하기 위해 다른 전기 인터페이스(9e, 9f)가 제2 결합부(4) 상에 제공된다.
본 발명은 도시되고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의미에서 동일한 효과를 갖는 모든 실시예들을 또한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모든 특징들의 조합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각각의 개별 부분 특징은 또한 모든 다른 부분 특징들과는 별도로, 그 자체로 본 발명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 명백히 강조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지금까지 청구항 제1항에 정의된 특징들의 조합으로 또한 더 제한되지는 않고, 전체적으로 개시된 모든 개별 특징들의 특정 특징들의 각각의 임의의 다른 조합에 의해 정의될 수도 있다. 이는 원칙적으로 청구항 제1항의 각각의 개별 특징들이 실질적으로 생략되거나 또는 본 출원의 다른 곳에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개별 특징으로 대체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1 : 연결 조립체
2a, b, c : 유체 라인
3 : 제1 결합부
4 : 제2 결합부
5 : 하우징
6 : 하우징
6a, 6b : 하우징부
7a, b, c, d, e, f :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
8a, b, c : 전기 전도체
9a, b, c, d, e, f : 전기 인터페이스
10 : 유체 라인 디바이더
11a, b, c, d, e, f, g, h : 9a, 9b, 9c 또는 9d 내의 접점
12 : 권선 영역
13a, 13b : 교차 연결 인터페이스
14 : 래칭 요소
E : 공급부
A : 플러그 축

Claims (15)

  1.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부(3)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부(4)를 갖는, 가열 가능한 유체 라인(2a, 2b, 2c)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조립체(1)로서, 상기 제1 결합부(3)와 상기 제2 결합부(4)는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1 결합부(3) 및 상기 제2 결합부(4)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제1 유체 라인(2a, 2b), 적어도 하나의 제1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7a, 7b),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기 전도체(8a, 8b)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기 인터페이스(9a, 9b)를 포함하는, 연결 조립체(1)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3) 및 상기 제2 결합부(4)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 라인 디바이더(divider)(10)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결합부(4)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유체 라인(2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4)의 상기 제2 유체 라인(2c)은 상기 유체 라인 디바이더(10)와 연결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결합부(4)는 제2 전기 전도체(8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3) 및 상기 제2 결합부(4)는 제2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7c, 7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립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3) 및 상기 제2 결합부(4)는 각각 제2 전기 인터페이스(9c, 9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립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3) 및/또는 상기 제2 결합부(4)의 상기 제1 전기 인터페이스(9a, 9b) 및/또는 상기 제2 전기 인터페이스(9c, 9d)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점(11a)을 포함하고, 특히 각각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점(11a, 11c, 11e, 11g)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접점(11b, 11d, 11f, 11h)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립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7a, 7b) 및/또는 상기 제2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7c, 7d) 및/또는 상기 제1 전기 인터페이스(9a, 9b) 및/또는 상기 제2 전기 인터페이스(9c, 9d)의 중심축은 공통 평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립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7a, 7b) 및 상기 제1 전기 인터페이스(9a, 9b), 특히 또한 상기 제2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7c, 7d) 및 상기 제2 전기 인터페이스(9c, 9d)도 상기 제1 결합부(3) 및 상기 제2 결합부(4)의 플러그 축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립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4)의 상기 제1 전기 전도체(8b)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2 결합부(4)의 상기 제1 유체 라인(2b)을 따라 안내되고,
    상기 제2 결합부(4)의 제2 전기 전도체(8c)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2 결합부(4)의 상기 제2 유체 라인(2c)을 따라 안내되고,
    상기 제1 전도체(8b) 및 상기 제2 전도체(8c)는 제1 접점(11e) 및 제2 접점(11f)으로 형성된 상기 제2 결합부(4)의 제1 전기 인터페이스(9b)를 통해 접촉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제1 전도체(8b) 및 상기 제2 전도체(8c)는 제1 접점(11e)으로 형성된 상기 제2 결합부(4)의 제1 전기 인터페이스(9b)를 통해, 그리고 제1 접점(g)으로 형성된 상기 제2 결합부(4)의 제2 전기 인터페이스(9d)를 통해 접촉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제1 전도체(8b)는 제1 접점(11e) 및 제2 접점(11f)으로 형성된 상기 제2 결합부(4)의 제1 전기 인터페이스(9b)를 통해 접촉될 수 있고, 상기 제2 전도체(8c)는 제1 접점(11g) 및 제2 접점(11h)으로 형성된 상기 제2 결합부(4)의 제2 전기 인터페이스(9d)를 통해 접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립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3)의 상기 제1 전기 인터페이스(9a)는 제1 전기 접점(11a) 및 제2 전기 접점(11b)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3)의 상기 제2 전기 인터페이스(9c)는 제1 전기 접점(11c) 및 제2 전기 접점(11d)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3)에서 상기 제1 전기 인터페이스(9a)의 상기 제1 접점(11a)은 상기 제2 전기 인터페이스(9c)의 상기 제1 접점(11c)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립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4)는 적어도 2개의 하우징부(6a, 6b)를 포함하고, 특히 제1 하우징부(6a)는 상기 제1 유체 라인(2b), 상기 제1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7b) 및 상기 제1 전기 인터페이스(9b)를 포함하고, 제2 하우징부(6b)는 상기 제2 유체 라인(2c), 제2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7d) 및 제2 전기 인터페이스(9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부(6a) 및 상기 제2 하우징부(6b)는 서로 형상 맞춤 로킹 방식, 마찰 결합 로킹 방식 및/또는 형상 결합 방식으로 연결 가능하고, 특히 서로 래칭 가능하고(latchable), 재밍 가능하고(jammable) 그리고/또는 나사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립체.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부(6a) 및 상기 제2 하우징부(6b)는 각각 전기 교차 연결 인터페이스(13a, 13b)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교차 연결 인터페이스(13a, 13b)에 의해, 상기 제1 하우징부(6a)의 상기 제1 전기 전도체(8b)와 상기 제2 하우징부(6b)의 제2 전기 전도체(8c) 사이의 전기 연결이 확립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2 결합부(4)의 상기 제1 전기 전도체(8b) 및 상기 제2 전기 전도체(8c)는 직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립체.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라인 디바이더(10)는 T 형상, h 형상 또는 Y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립체.
  14. 제4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4)의 상기 제1 전기 인터페이스(9b) 및 상기 제2 결합부(4)의 상기 제2 전기 인터페이스(9d)는 상기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7b)의 일 측면 상에 배치되고, 특히 상기 전기 인터페이스(9b, 9d) 및 상기 유체 라인 인터페이스(7b)는 일 평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립체.
  15. 특히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결 조립체(1)용 결합부(3, 4)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적어도 한 항 또는 복수의 항의 특징부의 특징 내용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
KR1020207023346A 2018-02-16 2019-02-15 가열 가능한 유체 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조립체 KR1024679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103571.3A DE102018103571A1 (de) 2018-02-16 2018-02-16 Verbindungsanordnung zum Verbinden von beheizbaren Fluidleitungen
DE102018103571.3 2018-02-16
PCT/EP2019/053860 WO2019158713A1 (de) 2018-02-16 2019-02-15 Verbindungsanordnung zum verbinden von beheizbaren fluidleitung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804A true KR20200121804A (ko) 2020-10-26
KR102467977B1 KR102467977B1 (ko) 2022-11-16

Family

ID=65443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3346A KR102467977B1 (ko) 2018-02-16 2019-02-15 가열 가능한 유체 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140577A1 (ko)
EP (1) EP3752762A1 (ko)
KR (1) KR102467977B1 (ko)
CN (1) CN111712665B (ko)
DE (1) DE102018103571A1 (ko)
WO (1) WO20191587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76243B2 (de) 2016-07-28 2021-11-10 TI Automotive (Fuldabrück) GmbH Kraftfahrzeug-fluidleitu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900869U1 (de) * 1989-01-26 1989-03-09 REHAU AG + Co, 8673 Rehau Wärmeisoliertes Verbindungs- oder Verteilerstück für beheizbare Schläuche
KR20130139324A (ko) * 2010-12-08 2013-12-20 보스 오토모티브 게임베하 가열 가능한 유체 라인, 그 용도, 및 그 제조 방법
JP2014501876A (ja) * 2010-12-22 2014-01-23 フォス・アウトモーティヴ・ゲー・エム・ベー・ハー 既製媒体導管ならびにscr触媒システムでのその使用
EP3276243A1 (de) * 2016-07-28 2018-01-31 TI Automotive (Fuldabrück) GmbH Kraftfahrzeug-fluidleitung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3541A (en) * 1970-08-06 1972-06-27 Amp Inc Composite electrical and fluid or air connector
US4089101A (en) * 1973-11-14 1978-05-16 Balon Albert J Method of forming a fluid seal between a tube and fitting
DE8704903U1 (de) * 1987-04-02 1987-05-27 REHAU AG + Co, 8673 Rehau Verbindungsstück für beheizbare Schläuche
JP3349484B2 (ja) * 1999-11-09 2002-11-25 住友電装株式会社 ジョイント部の外れ検知システム
US6464520B2 (en) * 2000-11-16 2002-10-15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SE528060C2 (sv) * 2004-02-25 2006-08-22 Volvo Lastvagnar Ab Elektriskt uppvärmningsbart kablage
US20060196448A1 (en) * 2005-02-21 2006-09-07 International Resistive Company, Inc. System, method and tube assembly for heating automotive fluids
US7165571B1 (en) * 2005-06-08 2007-01-23 Mirko Buzdum Dual pneumatic quick-disconnect coupler adapter
DE102005057780A1 (de) * 2005-12-02 2007-06-06 Dbk David + Baader Gmbh Fluidkupplungsanordnung mit elektrischer Steckverbinderanordnung
PL2363627T3 (pl) * 2007-04-26 2018-10-31 Voss Automotive Gmbh Złączka przewodu mediów
DE202009003807U1 (de) * 2009-03-20 2010-08-12 Voss Automotive Gmbh Elektrisches Heizsystem für ein Fluid-Leitungssystem
DE202009012230U1 (de) * 2009-06-23 2010-11-04 Voss Automotive Gmbh Elektrisch beheizbare Medienleitung sowie Leitungsverbinder
DE202009012431U1 (de) * 2009-09-15 2011-02-10 A. Raymond Et Cie S.C.S. Verbindungseinrichtung für eine Scheibenwischeranlage
DE102010032189A1 (de) * 2010-07-23 2012-01-26 Voss Automotive Gmbh Beheizbare Medienleit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FR2976538B1 (fr) * 2011-06-17 2013-07-26 Valeo Systemes Dessuyage Support de connecteurs et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liquide lave-glace pour balais d'essuie-glace de vehicule automobile
FR2984261B1 (fr) * 2011-12-19 2014-02-28 Valeo Systemes Dessuyage Interface hydraulique chauffante pour un systeme d'approvisionnement et/ou de distribution en liquide lave glace de vehicule automobile
FR2984256B1 (fr) * 2011-12-19 2016-09-02 Valeo Systemes Dessuyage Composant plastique et thermoconducteur d'un systeme d'approvisionnement et/ou de distribution en liquide lave glace de vehicule automobile
DE102013105131A1 (de) * 2013-05-17 2014-11-20 Dbk David + Baader Gmbh Blowby-Einrichtung
DE102014102362A1 (de) * 2014-02-24 2015-08-27 Norma Germany Gmbh Verbinder für eine Fluidleitung
CN205101744U (zh) * 2015-10-22 2016-03-23 芜湖美的厨卫电器制造有限公司 三通连接组件和具有其的电燃热水器组合装置
DE202017101274U1 (de) * 2017-03-06 2017-03-24 TI Automotive (Fuldabrück) GmbH Verbindungsaggregat
EP3382255B1 (de) * 2017-03-29 2019-07-03 TI Automotive (Fuldabrück) GmbH Rohrleitung umfassend einen verbinder sowie verfahren zum betrieb dieser rohrleitung
DE102018117056A1 (de) * 2018-07-13 2020-01-16 Voss Automotive Gmbh Verbindungsanordnung, insbesondere zum Durchführen von wässrigen Harnstofflösunge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900869U1 (de) * 1989-01-26 1989-03-09 REHAU AG + Co, 8673 Rehau Wärmeisoliertes Verbindungs- oder Verteilerstück für beheizbare Schläuche
KR20130139324A (ko) * 2010-12-08 2013-12-20 보스 오토모티브 게임베하 가열 가능한 유체 라인, 그 용도, 및 그 제조 방법
JP2014501876A (ja) * 2010-12-22 2014-01-23 フォス・アウトモーティヴ・ゲー・エム・ベー・ハー 既製媒体導管ならびにscr触媒システムでのその使用
EP3276243A1 (de) * 2016-07-28 2018-01-31 TI Automotive (Fuldabrück) GmbH Kraftfahrzeug-fluidleitung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 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8103571A1 (de) 2019-08-22
KR102467977B1 (ko) 2022-11-16
US20210140577A1 (en) 2021-05-13
CN111712665B (zh) 2023-02-03
EP3752762A1 (de) 2020-12-23
CN111712665A (zh) 2020-09-25
WO2019158713A1 (de) 2019-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24849B1 (en) Heated connector assembly
US8827754B2 (en) Connector terminal
US20190074620A1 (en) Plug connector part with a cooled contact element
JP2018163876A (ja) 自動車充電プラグコネクタ
KR101404499B1 (ko) 배선 시스템
US20130333772A1 (en) Fabricated media line and use in an scr catalyst system
US6773314B2 (en) Semi-permanent connection between a bus bar and a connector contact
US20180331448A1 (en) Contact element and multiple contact assembly
KR101234338B1 (ko) 인터락 기능을 가진 레버타입 커넥터
KR102076247B1 (ko) 전기 단자
EP3653436A1 (en) Lighting device for vehicles
KR20200121804A (ko) 가열 가능한 유체 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조립체
EP2606537B1 (en) Connector device and connector assembly for vehicle electrical power supply or transmission in a vehicle
US7329131B1 (en) Electrical track and connector assembly
CN103261772A (zh) 用于介质传导的可电加热软管的可加热连接装置
JP5354573B2 (ja) 電気クロスコネクタ
JP4720574B2 (ja) Plc信号結合装置
SK286963B6 (sk) Spojovacia jednotka najmä na vinutia statora elektromotora
US20200243996A1 (en) Electrical plug contact for high-current applications and electrical connector system for high-current applications
JP2014072195A (ja) 差し込みコネクタ
US20240072501A1 (en) Carrier rail, and carrier rail system having carrier rails
JP2021065061A5 (ko)
US20040235333A1 (en) Plug connector with additional contact device in particular for data transfer
TWM509452U (zh) 插接器
CN103794894A (zh) 一种组合式连接器接触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