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1256A - 클라이언트 기반 트래픽 조절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클라이언트 기반 트래픽 조절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1256A
KR20200121256A KR1020200098604A KR20200098604A KR20200121256A KR 20200121256 A KR20200121256 A KR 20200121256A KR 1020200098604 A KR1020200098604 A KR 1020200098604A KR 20200098604 A KR20200098604 A KR 20200098604A KR 20200121256 A KR20200121256 A KR 20200121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ype
terminal
transmission
traf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8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8617B1 (ko
Inventor
이용희
윤병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디언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디언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디언이엔지
Publication of KR20200121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1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클라이언트 기반 트래픽 조절 장치 및 트래픽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단말에 구비되는 트래픽 조절 장치는 유선 통신과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서 수신되는 데이터의 타입을 구분하고, 상기 데이터의 타입과 미리 설정된 전송 조건을 기반으로 트래픽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클라이언트 기반 트래픽 조절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OLLING TRANFFIC BASED ON CLIENT}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client) 측에서 트래픽(traffic)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에서 트래픽 제어는 여러 가지 이유로 제공 업자 측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제공 업자 측에서 트래픽을 제어하는 경우, 통신망의 품질을 관리하기 위해서 사전 망 연동 시험 인증 절차를 통해 제품의 모든 통신 시나리오와 예외 발생 케이스를 검토하는 등 많은 비용, 인력, 시간 등이 소비된다.
한편, 일부 IoT(Inter of Things) 전용망(예를 들어, LoRa(Long Range), NB(NarrowBand)-IoT, Sigfox, Wi-SUN(Wireless Smart Utility Network), PRMA(Packet Reservation Multiple Access) 등의 통신 기술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는 통신을 시도하는 행위 자체가 통신망의 품질을 낮추는 일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트래픽과 함께 통신망의 품질을 근본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은 사용자 측에서 트래픽을 제어하여 필요한 양 이상으로는 통신 자체를 시도하지 않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클라이언트 측에서 망 품질 저하 및 비용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트래픽 조절 장치 및 트래픽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기존 제품을 손쉽게 IoT 무선 통신 제품화할 수 있는 트래픽 조절 장치 및 트래픽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단말 측에 구비되는 트래픽 조절 장치는 유선 통신과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서 수신되는 데이터의 타입을 구분하고, 상기 데이터의 타입과 미리 설정된 전송 조건을 기반으로 트래픽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통신 모듈 및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제2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클라이언트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상기 제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게 데이터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데이터의 길이, 데이터의 형태, 데이터에서 특정 위치의 값, 데이터의 요청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의 타입을 구분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의 전송 주기, 타입, 전송 형태 및 전송 제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전송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에 대해 기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로 갱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단말 측에 구비되는 트래픽 조절 장치에 의한 트래픽 제어 방법은 상기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데이터의 타입을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의 타입을 기초로 미리 설정된 전송 조건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라이언트측에서 트래픽을 제한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트래픽 제어가 가능하고, 예상치 못한 오동작, 잘못된 통신 시나리오 추가 도입 등에 따른 망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트래픽 예측, 변경 등에 있어서 효율적인 중앙 관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망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제품을 손쉽게 IoT 무선 통신 제품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조절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조절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100, 110, 12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기지국(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100, 110, 120)은 센서(sensor), 클라이언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라이언트는 유선 통신만 가능한 기존의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100, 110, 120)은 클라이언트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데이터를 트래픽 조절 장치(200)로 전송하거나 클라이언트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단말(100, 110, 120)은 트래픽 조절 장치(220)와 유선 통신 및/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100)에는 무선 통신 모듈만 구비되어 있고, 제2 단말(110) 및 제N 단말(120)에는 유선 통신 모듈만 구비되어 있는 경우, 트래픽 조절 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100)로부터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 단말(110) 및 제N 단말(120)로부터는 유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각 단말(100, 110, 120)은 별도의 데이터 요청이 없이도 일정 주기로 또는 이벤트 발생 시 트래픽 조절 장치(100)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트래픽 조절 장치(100)의 요청이 있는 경우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트래픽 조절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100, 110, 120)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데이터의 타입을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트래픽 조절 장치(200)는 미리 설정된 전송 조건에 따라 데이터가 무선망을 통해 기지국(300)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클라이언트 측에서 트래픽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조절 장치(2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조절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트래픽 조절 장치(200)는 제1 통신 모듈(210), 제2 통신 모듈(220), 프로세서(230) 및 메모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 모듈(210)은 단말과의 통신을 위한 것으로, 일 예로 유선 통신 모듈(212)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214)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212)은 단말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유선을 통해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일 예로, 유선 통신 모듈(212)은 ADC, USART(Universal Synchronuous/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RS232, RS422, RS485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214)은 단말로부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무선 통신 모듈(214)은 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214)은 일 예로, Wifi(Wireless Fidelity), NFC(Near Nield Commnucation),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등의 무선 통신 기술에 기반하여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통신 모듈(220)은 트래픽 조절 장치(200)와 기지국 간의 통신을 위한 것으로, 유선 통신 모듈(222) 및 무선 통신 모듈(224)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212)은 ADC, USART, RS232, RS422, RS485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224)은 일 예로, LoRa(Long Range), NB(NarrowBand)-IoT, Sigfox, Wi-SUN(Wireless Smart Utility Network), PRMA(Packet Reservation Multiple Access) 등의 무선 통신 기술에 기반하여 LPWAN(Low-Power Wide Area Network)의 IoT(Internet of Things) 전용망 등을 통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에는 일 예로 트래픽 조절 장치(200)가 서로 다른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내부망 및 외부망에 각각 접하도록 구성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트래픽 조절 장치(200)는 동일한 통신 기술로 내부망 및 외부망에 접속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트래픽 조절 장치(200)는 하나의 통신 모듈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트래픽 조절 장치(200)는 게이트웨이(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기지국(300)에 연결되거나 게이트웨이에 구비될 수 있다. 트래픽 조절 장치(200)가 게이트웨이와 연결되는 경우, 트래픽 조절장치(200)는 유선 통신 모듈을 통해 게이트웨이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트래픽 조절 장치(200)가 기지국(300) 간에 게이트웨이가 존재하는 않는 경우 또는 트래픽 조절 장치(200)가 게이트웨이로 구현된 경우, 트래픽 조절 장치(200)는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기지국(300)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세트,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제1 통신 모듈(210)을 통해서 수신되는 데이터의 타입을 구분하고, 상기 데이터의 타입과 미리 설정된 전송 조건을 기반으로 트래픽을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240)는 제1 통신 모듈(210)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각 데이터별 전송 조건에 대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일 예로 디스크 드라이브,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트래픽 조절 장치(200)는 트래픽 조절장치(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모듈은 배터리 전원, 어댑터 전원 등의 입력을 위한 전원 입력 모듈 및 3.3V, 5V, 110V, 220V 등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상황과 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프로세서(230)는 제1 통신 모듈(210)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의 타입을 분류 또는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의 타입은 트래픽 조절 장치(200)에 연결된 장치의 특성에 따라 바뀔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230)는 데이터를 한 가지 타입으로 분류 또는 구분하거나, N가지 타입으로 분류 또는 구분할 있다. 이를 위하여 메모리(240)에는 활용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30)는 데이터의 길이, 데이터의 형태, 데이터에서 특정 위치의 값 등으로 데이터의 타입을 구분 또는 분류할 수 있다.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요청하여 가져오는 경우, 프로세서는(230)는 데이터의 요청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을 기초로 데이터를 구분할 수 있다.
일 예로 데이터 요청에 있어서 유선 통신 모듈(212)이 ADC로 구성되는 경우, 입력되는 데이터의 종류가 1개이므로 별도 요청이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유선 통신 모듈(212)이 UART, RS232, RS422, RS485 등으로 구성되는 경우, 데이터가 자동으로 들어오는 형태라면 데이터 요청은 필요하지 않으나, 데이터의 타입 분류는 필요하다(예를 들어, 일정 시간 단위로 계속 수신되는 데이터, 이벤트 발생 시 수신되는 데이터 등에 대한 분류). 그러나 데이터가 수동으로 들어오는 형태라면 요청 방법(프로토콜)이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1개 이상의 요청 방법이 존재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기본적으로 데이터를 타입 별로 관리하고, 필요한 경우 분석하여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분석하여 관리한다는 의미는 프로토콜을 해석하여 관리한다는 의미일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타입에 여러 개의 데이터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A 타입의 데이터에 데이터가 a, b, c 로 존재하면 프로세서(230)는 이를 각각 별도로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데이터를 마지막으로 수신한 데이터(최신 데이터), 샘플링된 데이터(샘플링 주기(단위: 시간, 횟수 등) 설정 가능) 및 전체 데이터로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는 원본 데이터, 평균 데이터, 분산 데이터 등으로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미리 설정된 데이터 관리 방법에 따라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자동 및/또는 수동(요청)으로 얻어서 관리할 수 있다. 수동으로 관리하는 경우, 프로세서(230)는 각 단말에 대해 미리 설정된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데이터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30)는 특정 타입의 데이터가 발생하는 경우, 즉 단말로부터 특정 타입의 데이터(예를 들어, 초저지연 전송이 필요한 데이터)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30)는 데이터 관리 중에 미리 설정된 전송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전송 조건은 일 예로, A타입 데이터에 존재하는 a의 값이 90 이상인 경우, B타입 데이터가 500 이하인 경우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230)는 기준 값과의 비교(동일, 상이, 이상, 초과, 이하, 미만 등)를 통해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설정된 이벤트 각각에는 ID(IDentifier)가 할당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전송 정보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230)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전송 주기에 대한 정보, 데이터 타입에 대한 정보, 데이터의 전송 형태에 대한 정보 및 전송 제한 정보로 기반으로 데이터 전송 세트(set)를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전송 주기에 대한 정보는 즉시(이벤트 발생 시) 전송 및 반복(일정 간격[시간, 횟수 등]) 전송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데이터 전송 세트에는 SET ID가 존재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세트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같은 데이터 타입도 다음과 같이 그 외의 전송 정보의 형태가 다른 전송 세트가 존재할 수 있다.
EX>> 1) 1분에 1번씩 전송 / 2) A 데이터의 / 3) 최신 데이터로
EX>> 1) 5분에 1번씩 전송 / 2) A 데이터의 / 3) 1분단위 평균 데이터로 5개
즉시 전송 이벤트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전송 제한이 있을 수 있다.
EX>> 1) A 이벤트 발생시 즉시 / 2) EVENT ID + SET ID / 3) 전체 데이터 / 4) 1분에 1개(확인이 필요한 정도 안에서 가능한 최소로 -> 트래픽 제한 필요)
EX>> 1) A 데이터의 / 2) 특정 데이터(프로토콜로 해석된 이후의 특정 필드)가 / 3) 변경되었을 경우 / 4) 즉시 전송
프로세서(230)는 데이터 전송 시 트래픽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N초(분, 시, 일, 월, 연 등) 당 M 바이트(byte) 혹은 L 회로 전송을 제한할 수 있다. 이 때 전송 주기는 데이터의 타입에 따라 별도로 설정 가능하므로, 다양한 주기 설정이 가능하다. 이 때 전송되는 데이터는 설정된 형태에 따를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30)는 데이터 전송 관리를 통해 제한되는 기본적인 트래픽 제한 이외에도 추가적으로 전체적인 트래픽을 제한할 수 있다. 이는 데이터 전송 관리 시의 데이터 전송 트래픽 제어와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전송 세트에는 중요도(우선순위)가 존재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230)는 이를 토대로 전체적인 트래픽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중요도 값이 높을수록 전송 우선순위가 높은 규칙으로 볼 때, 전체적인 트래픽 제어에 있어서 중요도 '5'를 기준으로 트래픽을 제한하는 경우에 있어서, 일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전송 세트의 중요도가 '1' 이면 프로세서(230)는 일정 기간 해당 전송 세트의 전송을 제한할 수 있다. 반면, 긴급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전송 세트의 중요도가 10 이면, 프로세서(230)에 의해 전체적인 트래픽이 제한되는 상황에서도 긴급 데이터는 전체 트래픽 제어와 무관하게 즉시 송수신될 수 있다.
프로세서(230)의 데이터 관리 및 트래픽 제어를 위해 메모리(240)에는 설정 정보(또는 프로그램)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설정 정보는 직접(유선) 설정되거나 원격(무선)으로 설정될 수 있다. 직접 설정되는 경우, 설정 정보는 트래픽 조절 장치(200)의 생산 과정에서 저장되거나, 연결 예정인 타 제품에 따라 저장되거나, 타 제품에 연결한 이후 저장될 수 있다. 무선으로 설정되는 경우, 설정 정보는 무선 통신 모듈(224)을 통해 어떤 상황에서든 원격으로 메모리(240)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데이터 타입 설정, 데이터 요청 설정, 데이터 관리 설정, 이벤트 설정, 데이터 전송 설정 등과 같은 각종 설정 내용을 확인 및 수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30)는 각각 필요한 사항들을 한번에 진행할 수도 있고, 별도로 진행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조절 장치가 트래픽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트래픽 조절 장치는 트래픽 장치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310). 상기 단말에 유선 통신 모듈만이 구비되는 경우, 트래픽 조절 장치는 상기 단말과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이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이벤트 발생 시 데이터를 전송하는 타입인 경우, 트래픽 조절 장치는 별도의 데이터 요청 없이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또는 데이터 수신에 사용된 프로토콜을 분석하여 상기 데이터의 길이, 상기 데이터의 형태, 상기 데이터에서 특정 위치의 값 등을 기반으로 해당 데이터의 타입을 구분할 수 있다(S320). 그러나 상기 단말이 데이터를 요청해야 전송하는 타입인 경우, 트래픽 조절 장치는 기 설정된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데이터 전송을 요청할 수 있으며, 이 때에도 수신되는 데이터 또는 사용된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데이터의 길이, 데이터의 형태, 데이터에서 특정 위치의 값 등을 분석하여 해당 데이터의 타입을 구분할 수 있다(S320).
이후, 트래픽 조절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및/또는 기 저장된 데이터가 전송 조건을 판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330). 만일,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및/또는 기 저장된 데이터가 현재 전송 주기에서의 전송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트래픽 조절 장치는 데이터 전송 세트를 기초로 해당 데이터를 해당하는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S340). 그러나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및/또는 기 저장된 데이터가 전송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면, 트래픽 조절 장치는 해당 단말에 대해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로 갱신하거나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S350). 여기서 데이터의 갱신 여부는 옵셔널(optional)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데이터의 활용 목적이 최신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경우라면, 트래픽 조절 장치는 해당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데이터의 활용 목적이 평균, 분산 등을 위한 경우라면, 트래픽 조절 장치는 해당 단말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트래픽 조절 장치는 단말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더라도,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지정된 시간마다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트래픽 조절 장치는 단말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저장된 데이터가 존재하더라도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단말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에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트래픽 조절 장치는 외부(서버, 기지국 등)로부터 데이터를 요청받는 경우, 트래픽 제어와 무관하게 해당 데이터를 즉시 전송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110, 120: 단말
200: 트래픽 조절 장치
300: 기지국

Claims (18)

  1. 단말 측에 구비되는 트래픽 조절 장치에 있어서,
    유선 통신 및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서 수신되는 데이터의 타입을 구분하고, 상기 데이터의 타입과 상기 데이터의 타입 별로 미리 설정된 전송 조건을 기반으로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서 전송되는 상기 데이터의 트래픽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트래픽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통신 모듈 및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제2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조절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클라이언트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조절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상기 제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게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조절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데이터의 길이, 데이터의 형태, 데이터에서 특정 위치의 값, 데이터의 요청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의 타입을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조절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의 전송 주기, 타입, 전송 형태 및 전송 제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조절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전송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에 대해 기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조절 장치.
  8. 단말 측에 구비되는 트래픽 조절 장치에 의한 트래픽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데이터의 타입을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의 타입과 상기 데이터의 타입 별로 미리 설정된 전송 조건을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트래픽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과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제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클라이언트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상기 제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게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제어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의 길이, 상기 데이터의 형태, 상기 데이터에서 특정 위치의 값, 상기 데이터의 요청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의 타입을 구분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제어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각 데이터의 전송 주기, 타입, 전송 형태 및 전송 제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제어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전송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에 대해 기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로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제어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타입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데이터의 수신에 사용된 프로토콜 또는 상기 단말에 데이터를 요청할 때 사용되는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조절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타입 별로 미리 설정된 전송 조건은, 상기 데이터의 타입 별로 미리 설정된 데이터의 전송 주기 또는 상기 데이터를 즉시 전송하기 위한 이벤트 발생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조절 장치.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타입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데이터의 수신에 사용된 프로토콜 또는 상기 단말에 데이터를 요청할 때 사용되는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제어 방법.
  1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타입 별로 미리 설정된 전송 조건은, 상기 데이터의 타입 별로 미리 설정된 데이터의 전송 주기 또는 상기 데이터를 즉시 전송하기 위한 이벤트 발생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제어 방법.
KR1020200098604A 2019-04-15 2020-08-06 클라이언트 기반 트래픽 조절 장치 및 방법 KR1023886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625 2019-04-15
KR20190043625 2019-04-15
KR1020190110386 2019-09-05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0386 Division 2019-04-15 2019-09-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256A true KR20200121256A (ko) 2020-10-23
KR102388617B1 KR102388617B1 (ko) 2022-04-21

Family

ID=73039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604A KR102388617B1 (ko) 2019-04-15 2020-08-06 클라이언트 기반 트래픽 조절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861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1347A (ko) * 1999-11-01 2001-11-14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정보전송방법 및 정보전송장치
KR20140038808A (ko) * 2012-09-21 2014-03-3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타입 정보를 이용한 트래픽 제어 방법과 그를 위한 단말기
KR101742997B1 (ko) * 2016-02-23 2017-06-1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70140157A (ko) * 2015-01-26 2017-12-20 리스태트 리미티드 안전한 동적 통신망 및 프로토콜
KR20190004325A (ko) * 2016-05-06 2019-01-11 콘비다 와이어리스, 엘엘씨 서비스 레이어에서의 트래픽 스티어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1347A (ko) * 1999-11-01 2001-11-14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정보전송방법 및 정보전송장치
KR20140038808A (ko) * 2012-09-21 2014-03-3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타입 정보를 이용한 트래픽 제어 방법과 그를 위한 단말기
KR20170140157A (ko) * 2015-01-26 2017-12-20 리스태트 리미티드 안전한 동적 통신망 및 프로토콜
KR101742997B1 (ko) * 2016-02-23 2017-06-1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90004325A (ko) * 2016-05-06 2019-01-11 콘비다 와이어리스, 엘엘씨 서비스 레이어에서의 트래픽 스티어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8617B1 (ko) 2022-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1069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transmitting occupancy data from sensors to a remote server
BRPI0711864A2 (pt) método para retransmitir dados originados de um dispositivo isolado da rede em um dispositivo de comunicação móvel, dispositivos de comunicação móvel, método para transferir dados através de um dispositivo isolado da rede, e, dispositivo isolado da rede
CN105188022B (zh) 无线路由设备和通信方法
CN109981668A (zh) 基于mqtt泛化协议的通用设备物联网通信方法
US9503380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CN106657364B (zh) 物联网装置及网关装置
KR20180112972A (ko) 가축 건강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CN111064788B (zh) 信号传输方法、机器人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3240218B1 (en) Network admission control
US10243373B2 (en) Power control system, power control device, server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control system
EP3560152B1 (en) Determining the bandwidth of a communication link
CN105100000B (zh) 一种接口转换装置和网络系统
KR20200121256A (ko) 클라이언트 기반 트래픽 조절 장치 및 방법
CN105704210B (zh) 充电桩信息更新方法和系统
CN106658388A (zh) 蓝牙网关
CN105955902A (zh) 串口转无线通信器
CN109729154B (zh) 一种基于控制器的简单消息订阅发布服务方法
KR101697289B1 (ko) Sdn 기반의 다중 무선 네트워크 통합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190317B2 (en) Transmitting terminal, transmitt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09983734A (zh) 具有中继设备的远程计算设备的子组
CN106603655A (zh) 一种物联网现场网络管理系统
KR102000199B1 (ko) 사물 인터넷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장치
CN109756384B (zh) 数据源状态判定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010432B1 (ko) IoT 기기 관리 방법 및 IoT 게이트웨이
CN106878447B (zh) 一种基于ZigBee通信的数据采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