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0428A - 접이식 독서대 - Google Patents

접이식 독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0428A
KR20200120428A KR1020190043351A KR20190043351A KR20200120428A KR 20200120428 A KR20200120428 A KR 20200120428A KR 1020190043351 A KR1020190043351 A KR 1020190043351A KR 20190043351 A KR20190043351 A KR 20190043351A KR 20200120428 A KR20200120428 A KR 20200120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book
base
guide protrusion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용주
Original Assignee
지용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용주 filed Critical 지용주
Priority to KR1020190043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0428A/ko
Publication of KR20200120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4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9/00Bookmarkers; Spot indicators; Devices for holding books open; Leaf turner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독서대는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이 힌지를 매개로 연결되어, 폭 방향으로 접철되는 베이스부; 전면에 길이 방향으로 전방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가 이격 배치되고, 베이스부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하부에 폭 방향으로 일측이 개구된 제1 삽입홈이 형성되며, 제1 삽입홈이 서로 대향하도록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 타면이 각각 끼움 결합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및 양측에 각각 결합홈이 형성되어,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 한 쌍의 결합 돌기가 각각 삽입 고정되어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과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거치부;를 포함합니다.

Description

접이식 독서대{A FOLDABLE BOOKHOLDER}
본 발명은 접이식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단순하고, 사용 여부에 따라 펼침 및 접힘이 가능하여 보관과 휴대를 용이하게 하며, 책의 크기에 따라 그 폭이 가변 가능한 접이식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인쇄기술이 발전하면서 책이 대중화 됨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교양 또는 지식을 쌓기 위한 목적, 취미 등을 이유로 독서를 할 수 있게 되면서, 책갈피, 독서대, 전등 등 다양한 독서용 소품이 함께 개발되었다.
특히, 독서대는 편안한 자세로 독서를 즐기고 싶은 사람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그 편의성이 알려지면서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독서대는 그 부피가 크고 무거워 휴대 및 보관시 불편함이 많아,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독서대를 정해진 공간에서 활용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접이식 등으로 그 크기를 감소시키거나, 가벼운 소재를 사용하여 독서대의 휴대성 및 보관성을 향상시킨 다양한 종류의 독서대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접이식 독서대는 그 무게와 크기를 감소시켜 휴대성과 보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는 있으나, 다양한 종류의 책을 거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매년 다양한 크기 및 종류의 출간되고 있으며, 동일한 책이라 하더라도 다양한 크기로 발행되는 반면에, 종래 독서대의 크기는 고정되어 있어 다양한 크기의 책을 거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그 구조가 복잡하여, 사용 또는 수납을 위한 전개 또는 폴딩시 접힘을 위한 구성들 간 끼임 등 고장을 자주 유발할 뿐만 아니라 고장 부위 교체 등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1450465 B1 2014.10.0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휴대 및 수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분해 및 조립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접이식 독서대를 제공한다.
또한, 책의 크기에 따라 그 폭의 길이를 가변할 수 있는 접이식 독서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독서대는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이 힌지를 매개로 연결되어, 폭 방향으로 접철되는 베이스부; 전면에 길이 방향으로 전방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가 이격 배치되고, 베이스부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하부에 폭 방향으로 일측이 개구된 제1 삽입홈이 형성되며, 제1 삽입홈이 서로 대향하도록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 타면이 각각 끼움 결합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및 양측에 각각 결합홈이 형성되어,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 한 쌍의 결합 돌기가 각각 삽입 고정되어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과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거치부;를 포함합니다.
베이스부는, 양 측면에 사이드 프레임과 상호 끼움 결합되는 제1 삽입홈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제2 삽입홈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되어, 거치하고자 하는 책의 두께에 따라 사이드 프레임의 결합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베이스부는, 전면에 펼침 상태의 책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각각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걸림턱; 및 일단이 책의 펼쳐진 면을 가압하여 파지하도록, 절곡부가 형성되어 타단이 걸림턱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지편과 파지편의 일단을 감싸 결합된 고무 재질의 파지캡을 포함하는 한 쌍의 파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거치하고자 하는 책의 폭에 따라 그 폭이 가변될 수 있도록, 각각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 또는 내측에 폭 방향으로 설치된 한 쌍의 제1 레일; 및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 내부로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일측이 각각의 제1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한 쌍의 제1 슬라이딩 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슬라이딩 바는 접철 가능하도록 그 타측이 힌지를 매개로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거치부는, 베이스부의 폭에 대응하여 그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한 쌍의 거치바디; 각각의 거치바디의 내부에 설치된 한 쌍의 제2 레일; 및 양 단이 각각 제2 레일을 따라 거치바디 내부로 삽입 또는 인출되는 제2 슬라이딩 바;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제1 슬라이딩 바는 일측 단부에서 폭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제1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제1 가이드 돌기가 이동하도록 제1 가이드 돌기와 인접하여 1 슬라이딩 바의 일측 단부에서 타측 방향으로 슬릿(slit) 형상의 제1 이동홈이 형성되며,제1 레일에는 제1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제1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제2 슬라이딩 바는 양 단부에서 각각 폭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제2 가이드 돌기와 제2 가이드 돌기가 폭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2 가이드 돌기와 인접하여 제2 슬라이딩 바의 단부에서 중심방향으로 슬릿(slit) 형상의 제2 이동홈이 형성되며, 제2 레일에는 제2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제2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삽입홈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두께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되되, 저면에 대하여 45~75°의 경사를 갖도록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삽입홈은, 그 높이가 베이스 플레이트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되, 베이스부와 결합시 사이드 프레임이 지면과 45~75°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지면과의 마찰력이 향상되도록, 베이스부는 각각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면을 감싸는 고무 재질의 한 쌍의 제1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사이드 프레임은 그 저면을 감싸는 고무 재질의 제2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드 방식으로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하여, 책의 크기에 따라 그 폭이 가변될 수 있어, 읽고자하는 책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충분한 공간과 안전성을 확보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 및 독서대의 활용성 및 실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이식 구조를 통해 접철되도록 하고, 슬라이딩 구조를 통해 독서대의 부피를 획기적으로 감소시켜 휴대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조가 단순하고,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여 유지 및 보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독서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독서대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의 길이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프레임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독서시 조립하여 사용하는 독서대로서, 구조가 단순하여 조립 및 분해를 원활히 하여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고, 접철 가능하게 마련되어 휴대성 및 수납성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독서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독서대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독서대는 책의 저면을 지지하는 베이스부(100)와 베이스부(100)의 양 측 전방에 베이스부(100)와 교차하여 결합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00) 및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00)을 연결하여 책의 배면을 지지하는 거치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100)는 독서시 책의 저면을 지지하는 것으로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힌지(120)를 매개로 연결되어 마련되어 폭 방향으로 접철 가능하게 함으로써, 휴대성 및 수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사용시에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전개하여 책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하고, 이동시에는 가방 등에 수납이 용이하도록 힌지(120)를 중심으로 접어 그 면적을 감소시키게 된다.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00)은 전면에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210)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 일측면이 힌지(120)를 매개로 결합된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타측면이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삽입홈(201)이 형성되어 전개된 베이스부(100)의 양측이 제1 삽입홈(201)에 삽입되어 교차하여 결합된다.
이때, 거치부(300)는 독서하고자 하는 책의 배면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양 측에 각각 형성된 결합홈(301)에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00)에서 서로 대향하게 전면에서 돌출된 한 쌍의 결합 돌기(210)가 각각 삽입 고정됨으로써, 하부가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고정된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00)을 일체로 결합하여 조립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의 구조 및 작동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100)는 일측면이 힌지(120)를 매개로 결합된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타측면에 제1 삽입홈(201)에 대응되는 제2 삽입홈(101)이 형성된다.
이에,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사이드 프레임(200)이 상호 끼움결합되어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결합을 보다 견고히 하고, 독서시 책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삽입홈(101)은 복수 개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부연하면, 제2 삽입홈(101)이 책의 저면이 안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전방에서 후방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 되어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독서하고자 하는 책의 두께가 두꺼워 질수록 사이드 프레임(200)이 후방에 형성된 제2 삽입홈(101)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책의 저면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책의 두께가 증가될수록 책의 저면을 지지하는 면적이 증가되도록 함으로써, 책을 독서대에 거치시 책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고 독서 중 책이 베이스부(100) 밖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독서 안정감과 편안함을 제공할 수있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전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걸림턱(130)과, 걸림턱(13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펼쳐진 책의 전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파지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파지부(140)는 일단이 책의 펼쳐진 전면을 가압하도록 절곡부가 형성되어 타단이 걸림턱(130)의 전면에 볼트 등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얇은 막대 형상의 파지편(141)과 파지편(141)의 일단을 감싸는 파지캡(142)을 포함한다.
이때, 파지캡(142)은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책의 펼쳐진 면을 가압하여 고정시 펼쳐진 책과의 마찰력을 높여 안정적으로 고정하면서 책의 찢어짐 등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파지부(140) 조작시 찔림 또는 베임 등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은 거치하고자하는 책의 폭에 따라 그 폭이 가변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100)는 그 폭이 가변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저면 또는 내측에 폭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한 쌍의 제1 레일(150)과 일측이 제1 레일(150)을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110)로 삽입 또는 인출되고 타측은 힌지(120)를 매개로 일체로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슬라이딩 바(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독서하고자 하는 책의 폭이 증가되면 제1 슬라이딩 바(160)가 베이스 플레이트(110)에서 인출함으로써 책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슬라이딩 바(160)는 제1 레일(150)을 따라 이동되는 일측 단부에 폭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제1 가이드 돌기(161)가 형성되고, 제1 레일(150)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복수 개의 제1 가이드 홈(15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한 쌍으로 마련되는 제1 슬라이딩 바(160)의 인출 정도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어 양 측의 베이스 플레이트(110)에서 인출되는 정도를 동일하게 조절함으로써, 책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슬라이딩 바(160)는 제1 가이드 돌기(161)의 폭 방향 이동이 원활하도록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 방향으로 슬릿(slit) 형상의 제1 이동홈(16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제1 가이드 홈(151)에 제1 가이드 돌기(161)가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된 제1 슬라이딩 바(160)의 인출 또는 삽입시, 제1 가이드 돌기(161)가 제1 가이드 홈(151)에서 이탈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제1 가이드 돌기(161)와 제1 가이드 홈(151)의 마모 및 변형 등 손상을 최소화하고, 베이스부(100)의 폭 조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거치부(300)는 베이스부(100)의 폭에 대응하여 그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의 길이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300)는 양단이 각각 사이드 프레임(200)에 결합되어 책의 배면을 지지하는 것으로, 바 형상으로 마련되는 한 쌍의 거치바디(310)와 거치바디(310) 내부에 설치된 한 쌍의 제2 레일(320) 및 제2 레일(320)을 따라 거치바디 내부로 삽입 또는 인출되는 제2 슬라이딩 바(330)를 포함한다.
이에, 거치하고자 하는 책의 폭이 증가함에 따라, 베이스부(100)의 증가된 폭에 대응하여 제2 슬라이딩 바(330)를 한 쌍의 거치바디(310)에서 인출시켜 길이를 조절 함으로써, 독서하고자 하는 책의 배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제2 슬라이딩 바(330)의 양단부에는 각각 폭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제2 가이드 돌기(331)가 형성되고, 각각의 제2 레일(320)에는 제2 가이드 돌기(331)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복수 개의 제2 가이드 홈(321)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베이스부(100)의 폭에 따라, 거치부(300)의 길이 조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제1 슬라이딩 바(160)가 모두 각각의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가이드 돌기(161)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내측 방향으로 첫번째 제1 가이드 홈(151)에 고정되도록 제1 슬라이딩 바(160)를 인출하여 베이스부(100)의 폭을 증가시키면, 거치부(300)도 그에 대응하여 제2 슬라이딩 바(330)의 단부에 형성된 제2 가이드 돌기(331)가 거치바디의 내측 방향으로 첫번째 위치하는 제2 가이드 홈(321)에 삽입되도록 제2 가이드 홈(321)에 삽입되도록 제2 슬라이딩 바(330)를 인출하여 그 길이를 조절한다.
이에, 이후 조립시 거치부(300)의 양 측에 형성된 한 쌍의 결합홈(301)이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양측에 결합되는 사이드 프레임(200)의 전면에 서로 대향하게 돌출된 한 쌍의 결합 돌기(210)의 위치에 각각 위치되도록 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립 및 독서 과정에서 충격으로 인하여 베이스부(100)와 거치부(300)의 폭이 가변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조립을 원활히 하고 안정적인 독서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제2 슬라이딩 바(330)는 제2 가이드 돌기(331)의 폭 방향 이동이 원활하도록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 방향으로 슬릿(slit) 형상의 제2 이동홈(3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2 가이드 돌기(331)가 제2 가이드 홈(321)에서 이탈을 원활히 함으로써 거치부(330)의 길이 조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프레임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프레임(200)은 전면에 결합홈(301)을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전방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210)가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고, 그 하부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측면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홈(201)이 형성된다.
이때, 제1 삽입홈(201)은 사이드 프레임(200)의 저면과 이루는 각도 즉, 제1 삽입홈의 경사각(θ1)이 45~75°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제1 삽입홈(201)에 삽입하여 조립된 접이식 독서대에서, 제1 삽입홈의 경사각(θ1)이 45°미만인 경우 사이드 프레임(200) 및 거치부(300)에 의하여 배면이 지지되는 책이 지면과 이루는 경사가 과도하게 완만해지면서 독서를 위해 머리를 과도하게 숙이게 되어 거북목, 목디스크 등 질병을 유발할 수 있고, 책이 지면과 이루는 경사가 과도하게 증가됨에 따라 75°를 초과하는 경우 독서를 어렵게하고 올바른 자세 유지를 불가능하게 하여 독서를 어렵게 하고 독서 자세에 따른 질병을 유발할 수 있어 상기 범위로 제한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1 삽입홈(201)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사이드 프레임(200)이 지면과 형성하는 경사, 즉 사이드 프레임(200)의 경사각(θ2)을 조절할 수 있는데, 이 때, 사이드 프레임(200)의 경사각(θ2)은 45~75°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이유는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여 생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100)는 각각의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후면을 감싸 지면과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제1 패드(170)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사이드 프레임(200)은 지면에 대한 마찰력이 증가되도록 그 저면을 감싸는 제2 패드(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2패드(170, 220)는 지면에 대한 접지력이 우수한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독서시 책상의 경사 또는 충격 등으로 인해, 책이 거치된 접이식 독서대가 일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적인 독서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베이스부 101: 제2 삽입홈
110: 베이스 플레이트 120: 힌지
130: 걸림턱 140: 파지부
141: 파지편 142: 파지캡
150: 제1 레일 151: 제1 가이드홈
160: 제1 슬라이딩 바 161: 제1 가이드 돌기
162: 제1 이동홈 170: 제1 패드
200: 사이드 프레임 201: 제1 삽입홈
210: 결합 돌기 220: 제2 패드
300: 거치부 301: 결합홈
310: 거치바디 320: 제2 레일
321: 제2 가이드 홈 330: 제2 슬라이딩 바
331: 제2 가이드 돌기 332: 제2 이동홈

Claims (9)

  1.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이 힌지를 매개로 연결되어, 폭 방향으로 접철되는 베이스부;
    전면에 길이 방향으로 전방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가 이격 배치되고, 베이스부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하부에 폭 방향으로 일측이 개구된 제1 삽입홈이 형성되며, 제1 삽입홈이 서로 대향하도록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 타면이 각각 끼움 결합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및
    양측에 각각 결합홈이 형성되어,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 한 쌍의 결합 돌기가 각각 삽입 고정되어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과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거치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독서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부는,
    양 측면에 사이드 프레임과 상호 끼움 결합되는 제1 삽입홈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제2 삽입홈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되어, 거치하고자 하는 책의 두께에 따라 사이드 프레임의 결합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독서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부는,
    전면에 펼침 상태의 책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각각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걸림턱; 및
    일단이 책의 펼쳐진 면을 가압하여 파지하도록, 절곡부가 형성되어 타단이 걸림턱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지편과 파지편의 일단을 감싸 결합된 고무 재질의 파지캡을 포함하는 한 쌍의 파지부;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독서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거치하고자 하는 책의 폭에 따라 그 폭이 가변될 수 있도록,
    각각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 또는 내측에 폭 방향으로 설치된 한 쌍의 제1 레일; 및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 내부로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일측이 각각의 제1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한 쌍의 제1 슬라이딩 바;를 더 포함하고,
    한 쌍의 슬라이딩 바는 접철 가능하도록 그 타측이 힌지를 매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독서대.
  5. 청구항 4에 있어서,
    거치부는,
    베이스부의 폭에 대응하여 그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한 쌍의 거치바디;
    각각의 거치바디의 내부에 설치된 한 쌍의 제2 레일; 및
    양 단이 각각 제2 레일을 따라 거치바디 내부로 삽입 또는 인출되는 제2 슬라이딩 바;를 포함하는, 접이식 독서대.
  6. 청구항 5에 있어서,
    각각의 제1 슬라이딩 바는 일측 단부에서 폭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제1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제1 가이드 돌기가 이동하도록 제1 가이드 돌기와 인접하여 1 슬라이딩 바의 일측 단부에서 타측 방향으로 슬릿(slit) 형상의 제1 이동홈이 형성되며,제1 레일에는 제1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제1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제2 슬라이딩 바는 양 단부에서 각각 폭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제2 가이드 돌기와 제2 가이드 돌기가 폭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2 가이드 돌기와 인접하여 제2 슬라이딩 바의 단부에서 중심방향으로 슬릿(slit) 형상의 제2 이동홈이 형성되며, 제2 레일에는 제2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제2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독서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삽입홈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두께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되되, 저면에 대하여 45~75°의 경사를 갖도록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독서대.
  8.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삽입홈은,
    그 높이가 베이스 플레이트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되, 베이스부와 결합시 사이드 프레임이 지면과 45~75°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독서대.
  9. 청구항 1에 있어서,
    지면과의 마찰력이 향상되도록,
    베이스부는 각각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면을 감싸는 고무 재질의 한 쌍의 제1 패드;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사이드 프레임은 그 저면을 감싸는 고무 재질의 제2 패드;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독서대.
KR1020190043351A 2019-04-12 2019-04-12 접이식 독서대 KR202001204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351A KR20200120428A (ko) 2019-04-12 2019-04-12 접이식 독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351A KR20200120428A (ko) 2019-04-12 2019-04-12 접이식 독서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428A true KR20200120428A (ko) 2020-10-21

Family

ID=73034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351A KR20200120428A (ko) 2019-04-12 2019-04-12 접이식 독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042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465B1 (ko) 2013-07-31 2014-10-23 박재현 크기조절가능한 접이식 독서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465B1 (ko) 2013-07-31 2014-10-23 박재현 크기조절가능한 접이식 독서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9333Y1 (ko) 학습용 멀티 거치대
US20210112967A1 (en) Folding stool or folding table
US6727961B2 (en) Liquid crystal displayer assembly and foldable support frame therefor
US4295624A (en) Reading stand
US5950979A (en) Portable and foldable easel
CN113892754A (zh) 伸缩折叠桌
GB2374022A (en) Roller skate with folding wheels
US6865985B2 (en) Foldable panel supporter
KR20200120428A (ko) 접이식 독서대
US20140252196A1 (en) Music Stand and Rack, Pedestal and Hinge Therefor
CN211021404U (zh) 一种可折叠的金属桌子
KR101486288B1 (ko) 책상 위에 설치하는 보조책상
KR20090091877A (ko) 접이식 독서대
JP3133866U (ja) 折り畳み式デスク
GB2340390A (en) Folding book support
KR200378394Y1 (ko) 책꽂이
KR102635241B1 (ko) 접이식 독서대
CN100542455C (zh) 书夹
WO2003047391A1 (en) Book holder
KR200327376Y1 (ko) 탈,부착이 가능한 절첩식 독서대
KR200298085Y1 (ko) 서류열람용 캐비넷
GB2034176A (en) Foldable desk
KR950002776Y1 (ko) 독서대
KR101695785B1 (ko) 접이식 보면대
JP2579943Y2 (ja) 読書用スタ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