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0428A - A foldable bookholder - Google Patents

A foldable bookhol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0428A
KR20200120428A KR1020190043351A KR20190043351A KR20200120428A KR 20200120428 A KR20200120428 A KR 20200120428A KR 1020190043351 A KR1020190043351 A KR 1020190043351A KR 20190043351 A KR20190043351 A KR 20190043351A KR 20200120428 A KR20200120428 A KR 20200120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book
base
guide protrusion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3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지용주
Original Assignee
지용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용주 filed Critical 지용주
Priority to KR1020190043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0428A/en
Publication of KR20200120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42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9/00Bookmarkers; Spot indicators; Devices for holding books open; Leaf turner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oldable bookholder comprises: a base unit to which one surface of each pair of base plates are connected by a hinge to be folded in a widthwise direction; a pair of side frames wherein one or more engagement bumps are placed on a front surface to protrude forward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by being apart from each other, first insertion grooves are formed, of which one lower side is opened, in a widthwise direction on a lower side to be attachable and detachable to/from a side surface of the base unit, and the other surfaces of the pair of base plates are respectively inserted and engaged so that the first insertion grooves face each other; and one or more holding units which have engagement grooves formed respectively on both sides such that a pair of engagement bumps facing each other are inserted and fixed to the engagement grooves to be engaged with the pair of side frames. The foldable bookholder is able to easily store books and be easily assembled/disassembled.

Description

접이식 독서대{A FOLDABLE BOOKHOLDER}Foldable reading stand{A FOLDABLE BOOKHOLDER}

본 발명은 접이식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단순하고, 사용 여부에 따라 펼침 및 접힘이 가능하여 보관과 휴대를 용이하게 하며, 책의 크기에 따라 그 폭이 가변 가능한 접이식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reading stand,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ldable reading stand that has a simple structure, can be opened and folde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used, to facilitate storage and portability, and its width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ook. will be.

인쇄기술이 발전하면서 책이 대중화 됨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교양 또는 지식을 쌓기 위한 목적, 취미 등을 이유로 독서를 할 수 있게 되면서, 책갈피, 독서대, 전등 등 다양한 독서용 소품이 함께 개발되었다.With the advancement of printing technology and the popularization of books, many people can read for reasons such as liberal arts or knowledge-building purpose, hobbies, etc., and various reading props such as bookmarks, reading tables, and lamps have been developed together.

특히, 독서대는 편안한 자세로 독서를 즐기고 싶은 사람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그 편의성이 알려지면서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In particular, the reading table was created to satisfy the needs of people who want to enjoy reading in a comfortable position, and as its convenience is known, it is widely distributed and used regardless of gender.

그러나 종래 독서대는 그 부피가 크고 무거워 휴대 및 보관시 불편함이 많아,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독서대를 정해진 공간에서 활용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reading table is bulky and heavy, and thus has a lot of inconvenience when carrying and storing, and in fact, many people use the reading table in a predetermined space.

종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접이식 등으로 그 크기를 감소시키거나, 가벼운 소재를 사용하여 독서대의 휴대성 및 보관성을 향상시킨 다양한 종류의 독서대가 개발되었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various types of reading tables have been developed in which the size of the reading table is reduced by folding or the like, or the portability and storage of the reading table are improved by using a light material.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접이식 독서대는 그 무게와 크기를 감소시켜 휴대성과 보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는 있으나, 다양한 종류의 책을 거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folding reading table as described above has an effect of improving portability and storage by reducing its weight and size,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mpossible to mount various types of books.

보다 구체적으로, 매년 다양한 크기 및 종류의 출간되고 있으며, 동일한 책이라 하더라도 다양한 크기로 발행되는 반면에, 종래 독서대의 크기는 고정되어 있어 다양한 크기의 책을 거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More specifically, various sizes and types of publications are published every year, and even the same book is published in various sizes, whereas the size of a conventional reading stand is fixed, so it is difficult to place books of various sizes.

또한, 그 구조가 복잡하여, 사용 또는 수납을 위한 전개 또는 폴딩시 접힘을 위한 구성들 간 끼임 등 고장을 자주 유발할 뿐만 아니라 고장 부위 교체 등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structure is complex, it often causes failures such as jamming between components for folding during deployment or folding for use or storage, and it has a problem that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replace a faulty part.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The matters described as the above-described background art are only for enhancing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taken as acknowledging that they correspond to the prior art already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KR 10-1450465 B1 2014.10.06.)KR 10-1450465 B1 2014.10.0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휴대 및 수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분해 및 조립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접이식 독서대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folding reading stand that can be easily carried and stored, and can be easily disassembled and assembled.

또한, 책의 크기에 따라 그 폭의 길이를 가변할 수 있는 접이식 독서대를 제공한다.In addition, it provides a folding reading stand that can vary the length of the width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ook.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독서대는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이 힌지를 매개로 연결되어, 폭 방향으로 접철되는 베이스부; 전면에 길이 방향으로 전방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가 이격 배치되고, 베이스부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하부에 폭 방향으로 일측이 개구된 제1 삽입홈이 형성되며, 제1 삽입홈이 서로 대향하도록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 타면이 각각 끼움 결합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및 양측에 각각 결합홈이 형성되어,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 한 쌍의 결합 돌기가 각각 삽입 고정되어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과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거치부;를 포함합니다.A folding reading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ortion in which one surface of a pair of base plates is connected via a hinge and is folded in a width direction; One or more coupling protrusions protruding for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spaced apart on the front side, and a first insertion groove with one side open in the width direction is formed on the lower side so that the side of the base portion is detachable, and the first insertion grooves face each other. A pair of side frames to which the other surfaces of the pair of base plates are respectively fitted; And one or more mounting portions, each of which is formed with coupling grooves on both sides, and a pair of coupling protrusions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is inserted and fixed, respectively, and coupled to a pair of side frames.

베이스부는, 양 측면에 사이드 프레임과 상호 끼움 결합되는 제1 삽입홈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제2 삽입홈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되어, 거치하고자 하는 책의 두께에 따라 사이드 프레임의 결합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base portion, a plurality of second insertion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sertion grooves that are mutually fitted with the side frames are formed spaced apart along the length direction, so that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side frames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book to be mounted. It can be characterized by being.

베이스부는, 전면에 펼침 상태의 책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각각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걸림턱; 및 일단이 책의 펼쳐진 면을 가압하여 파지하도록, 절곡부가 형성되어 타단이 걸림턱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지편과 파지편의 일단을 감싸 결합된 고무 재질의 파지캡을 포함하는 한 쌍의 파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unit includes a locking jaw protruding upward from the front of each base plate so that the book in the open state can be stably mounted on the front side; And a pair of gripping pieces including a gripping piece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of the locking jaw and a gripping cap made of rubber material that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gripping piece so that one end presses and grips the open side of the book. It may further include a grip portion.

상기 베이스부는, 거치하고자 하는 책의 폭에 따라 그 폭이 가변될 수 있도록, 각각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 또는 내측에 폭 방향으로 설치된 한 쌍의 제1 레일; 및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 내부로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일측이 각각의 제1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한 쌍의 제1 슬라이딩 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unit may include a pair of first rails installed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bottom or inside of each base plate so that the width thereof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book to be mounted; And a pair of first sliding bars with one side moving along each of the first rails so as to be inserted or withdrawn into the pair of base plates.

이때, 한 쌍의 슬라이딩 바는 접철 가능하도록 그 타측이 힌지를 매개로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other side of the pair of sliding bars is connected via a hinge so as to be foldable.

거치부는, 베이스부의 폭에 대응하여 그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한 쌍의 거치바디; 각각의 거치바디의 내부에 설치된 한 쌍의 제2 레일; 및 양 단이 각각 제2 레일을 따라 거치바디 내부로 삽입 또는 인출되는 제2 슬라이딩 바;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unting portion, a pair of mounting bodies so that the length can be vari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width of the base portion; A pair of second rails installed inside each mounting body; And a second sliding bar whose both ends are respectively inserted or drawn out of the mounting body along the second rail.

각각의 제1 슬라이딩 바는 일측 단부에서 폭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제1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제1 가이드 돌기가 이동하도록 제1 가이드 돌기와 인접하여 1 슬라이딩 바의 일측 단부에서 타측 방향으로 슬릿(slit) 형상의 제1 이동홈이 형성되며,제1 레일에는 제1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제1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제2 슬라이딩 바는 양 단부에서 각각 폭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제2 가이드 돌기와 제2 가이드 돌기가 폭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2 가이드 돌기와 인접하여 제2 슬라이딩 바의 단부에서 중심방향으로 슬릿(slit) 형상의 제2 이동홈이 형성되며, 제2 레일에는 제2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제2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sliding bars has one or more first guide protrusions protru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one end thereof, and is adjacent to the first guide protrusion so that the first guide protrusion moves, and a slit from one end of the sliding bar to the other direction ( slit)-shaped first moving groove is formed, a plurality of first guide grooves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in the first rail so that the first guide protrusion can be inserted and fixed, and the second sliding bar has both ends A second movement of a slit shape from the end of the second sliding bar to the center direction adjacent to the second guide protrusion so that at least one second guide protrusion and the second guide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width direction can be moved in the width direction. A groove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second guide grooves spaced apart in a length direction may be formed in the second rail so that the second guide protrusion is inserted and fix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삽입홈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두께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되되, 저면에 대하여 45~75°의 경사를 갖도록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irst insertion gro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have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base plate, and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from the front to the rear so as to have a slope of 45 to 75°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hav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삽입홈은, 그 높이가 베이스 플레이트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되, 베이스부와 결합시 사이드 프레임이 지면과 45~75°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irst insertion groo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have a height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base plate, and when combined with the base portion, the side frame is formed to have an inclination of 45 to 75° with the ground. have.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지면과의 마찰력이 향상되도록, 베이스부는 각각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면을 감싸는 고무 재질의 한 쌍의 제1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사이드 프레임은 그 저면을 감싸는 고무 재질의 제2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in the present invention, so as to improve friction with the ground, the base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first pads made of rubber material surrounding the rear surface of each base plate, and each side frame has its bottom surface. A second pad made of a rubber material to be wrapped; may further inclu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드 방식으로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하여, 책의 크기에 따라 그 폭이 가변될 수 있어, 읽고자하는 책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충분한 공간과 안전성을 확보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 및 독서대의 활용성 및 실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xpand and contract in a slide manner, and the width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ook, so that the convenience of use by securing sufficient space and safety to stably support the book to be read. And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usability and practicality of the reading desk.

또한, 접이식 구조를 통해 접철되도록 하고, 슬라이딩 구조를 통해 독서대의 부피를 획기적으로 감소시켜 휴대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facilitating portability and storage by being folded through a foldable structure and drastically reducing the volume of the reading table through a sliding structure.

또한, 구조가 단순하고,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여 유지 및 보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tructure is simple and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so that maintenance and repair can be easily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독서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독서대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의 길이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프레임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ing reading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ssembly of the folding reading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bas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length adjustment of the mount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side fram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ngle formed by a side frame and the gr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For reference, in the present description, the same numbers refer to substantially the same elements, and under these rules, contents described in other drawings may be cited, and contents that are deemed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r repeated may be omitted.

본 발명은 독서시 조립하여 사용하는 독서대로서, 구조가 단순하여 조립 및 분해를 원활히 하여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고, 접철 가능하게 마련되어 휴대성 및 수납성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reading stand that is assembled and used during reading, and has a simple structure to facilitate assembly and disassembly to facilitate maintenance, and is provided in a foldable manner to improve portability and stora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독서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독서대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ing reading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ssembly of the folding reading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독서대는 책의 저면을 지지하는 베이스부(100)와 베이스부(100)의 양 측 전방에 베이스부(100)와 교차하여 결합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00) 및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00)을 연결하여 책의 배면을 지지하는 거치부(300);를 포함한다.1 and 2, the folding reading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ortion 100 in front of both sides of the base portion 100 and the base portion 100 for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book. It includes; a mounting portion 300 for supporting the rear surface of the book by connecting the pair of side frames 200 and the pair of side frames 200 are intersected and coupl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100)는 독서시 책의 저면을 지지하는 것으로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힌지(120)를 매개로 연결되어 마련되어 폭 방향으로 접철 가능하게 함으로써, 휴대성 및 수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base portion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bottom of the book during reading, and a pair of base plates 110 are provided connected via a hinge 120 to be folded in the width direction, Portability and storage can be improved.

이에, 사용시에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전개하여 책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하고, 이동시에는 가방 등에 수납이 용이하도록 힌지(120)를 중심으로 접어 그 면적을 감소시키게 된다.Accordingly, when in use, a pair of base plates 110 are deployed to support the bottom of the book, and when moving, the area is reduced by folding around the hinge 120 to facilitate storage in a bag or the like.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00)은 전면에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210)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 일측면이 힌지(120)를 매개로 결합된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타측면이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삽입홈(201)이 형성되어 전개된 베이스부(100)의 양측이 제1 삽입홈(201)에 삽입되어 교차하여 결합된다.The pair of side frames 200 may have one or more coupling protrusions 210 formed on the front side thereof, and the other side of the base plate 110 coupled to the lower side thereof through a hinge 120 may be inserted, respectively. The first insertion groove 201 is formed so that both sides of the unfolded base portion 100 are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201 and are cross-coupled.

이때, 거치부(300)는 독서하고자 하는 책의 배면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양 측에 각각 형성된 결합홈(301)에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00)에서 서로 대향하게 전면에서 돌출된 한 쌍의 결합 돌기(210)가 각각 삽입 고정됨으로써, 하부가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고정된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00)을 일체로 결합하여 조립된다.At this time, the mounting portion 300 is for supporting the rear surface of the book to be read, and a pair of side frames 200 protruding from the front facing each other in the coupling groove 301 formed on each side. As the coupling protrusions 210 are respectively inserted and fixed, a pair of side frames 200 having a lower portion fixed to the base plate 110 are integrally coupled and assembl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의 구조 및 작동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bas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100)는 일측면이 힌지(120)를 매개로 결합된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타측면에 제1 삽입홈(201)에 대응되는 제2 삽입홈(101)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ure 3, the base portion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insertion groove 201 on the other side of the base plate 110, one side is coupled via a hinge 120 A second insertion groove 101 corresponding to is formed.

이에,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사이드 프레임(200)이 상호 끼움결합되어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결합을 보다 견고히 하고, 독서시 책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by allowing the base plate 110 and the side frame 200 to be fitted and assembled with each other, the coupling is more solid and the book is more stably supported during reading.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삽입홈(101)은 복수 개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부연하면, 제2 삽입홈(101)이 책의 저면이 안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전방에서 후방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 되어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a plurality of second insertion grooves 1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base plate 110. In addition, a plurality of second insertion grooves 101 may be provided by being spac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base plate 110 on which the bottom of the book is seated.

이에, 독서하고자 하는 책의 두께가 두꺼워 질수록 사이드 프레임(200)이 후방에 형성된 제2 삽입홈(101)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책의 저면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as the thickness of the book to be read increases, the side frame 200 is coupled 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101 formed at the rear, thereby more stably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book.

즉, 책의 두께가 증가될수록 책의 저면을 지지하는 면적이 증가되도록 함으로써, 책을 독서대에 거치시 책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고 독서 중 책이 베이스부(100) 밖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독서 안정감과 편안함을 제공할 수있는 것이다.That is, as the thickness of the book increases, the area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book increases, so that a separate configuration for fixing the book is not required when the book is placed on the reading table, and the book is separated from the base unit 100 during reading. It is to be able to provide a sense of stability and comfort in reading.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전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걸림턱(130)과, 걸림턱(13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펼쳐진 책의 전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파지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ase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cking protrusion 130 protruding upward from the front of the base plate 110, and a book opened by being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of the locking protrusion 130 It may further include a gripping portion 140 for pressing and fixing the front surface of the.

보다 구체적으로, 파지부(140)는 일단이 책의 펼쳐진 전면을 가압하도록 절곡부가 형성되어 타단이 걸림턱(130)의 전면에 볼트 등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얇은 막대 형상의 파지편(141)과 파지편(141)의 일단을 감싸는 파지캡(142)을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gripping part 140 has a bent part formed so as to press the unfolded front side of the book,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of the locking projection 130 via a bolt, etc. It includes a gripping cap 142 surrounding one end of the gripping piece 141 and 141.

이때, 파지캡(142)은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책의 펼쳐진 면을 가압하여 고정시 펼쳐진 책과의 마찰력을 높여 안정적으로 고정하면서 책의 찢어짐 등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파지부(140) 조작시 찔림 또는 베임 등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gripping cap 142 is formed of a rubber material, because when fixing the book by pressing the spread surface of the book, it increases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opened book to stably fix it and prevent damage such as tearing of the book.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prevent accidents such as stabbing or cutting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gripping unit 140.

또한, 본 발명은 거치하고자하는 책의 폭에 따라 그 폭이 가변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formed such that the width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book to be mounted.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100)는 그 폭이 가변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저면 또는 내측에 폭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한 쌍의 제1 레일(150)과 일측이 제1 레일(150)을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110)로 삽입 또는 인출되고 타측은 힌지(120)를 매개로 일체로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슬라이딩 바(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base portion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air of first rails 150 and one side installed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bottom or inside of the base plate 110 so that the width thereof is variable. 1 It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first sliding bars 160 that are inserted or withdrawn from the base plate 110 along the rail 150 and integrally coupled to the other side through the hinge 120.

이에, 독서하고자 하는 책의 폭이 증가되면 제1 슬라이딩 바(160)가 베이스 플레이트(110)에서 인출함으로써 책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when the width of the book to be read is increased, the first sliding bar 160 is pulled out from the base plate 110, thereby more stably supporting the book.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슬라이딩 바(160)는 제1 레일(150)을 따라 이동되는 일측 단부에 폭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제1 가이드 돌기(161)가 형성되고, 제1 레일(150)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복수 개의 제1 가이드 홈(151)이 형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in the first sliding bar 1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first guide protrusion 161 protruding in the width direction is formed at one end portion that is moved along the first rail 150 , A plurality of first guide grooves 15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length direction may be formed in the first rail 150.

이에, 한 쌍으로 마련되는 제1 슬라이딩 바(160)의 인출 정도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어 양 측의 베이스 플레이트(110)에서 인출되는 정도를 동일하게 조절함으로써, 책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rmine the degree of withdrawal of the first sliding bar 160 provided as a pair, and by equally controlling the degree of withdrawal from the base plate 110 on both sides, the book can be supported more stably. There is an effect.

또한, 제1 슬라이딩 바(160)는 제1 가이드 돌기(161)의 폭 방향 이동이 원활하도록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 방향으로 슬릿(slit) 형상의 제1 이동홈(16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sliding bar 160 has a slit-shaped first moving groove 162 formed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so as to smoothly move the first guide protrusion 161 in the width direction. .

이에, 제1 가이드 홈(151)에 제1 가이드 돌기(161)가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된 제1 슬라이딩 바(160)의 인출 또는 삽입시, 제1 가이드 돌기(161)가 제1 가이드 홈(151)에서 이탈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제1 가이드 돌기(161)와 제1 가이드 홈(151)의 마모 및 변형 등 손상을 최소화하고, 베이스부(100)의 폭 조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when the first guide protrusion 161 is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groove 151 and the first sliding bar 160 having a fixed position is pulled out or inserted, the first guide protrusion 161 is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groove ( By facilitating the separation from 151), damage such as abrasion and deformation of the first guide protrusion 161 and the first guide groove 151 can be minimized, and the width of the base portion 100 can be easily adjusted. have.

이때, 거치부(300)는 베이스부(100)의 폭에 대응하여 그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mounting portion 300 is provided so that the length thereof is variable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base portion 10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의 길이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length adjustment of the mount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300)는 양단이 각각 사이드 프레임(200)에 결합되어 책의 배면을 지지하는 것으로, 바 형상으로 마련되는 한 쌍의 거치바디(310)와 거치바디(310) 내부에 설치된 한 쌍의 제2 레일(320) 및 제2 레일(320)을 따라 거치바디 내부로 삽입 또는 인출되는 제2 슬라이딩 바(3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4, the mounting portion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ort the back of the book by being coupled to the side frame 200, respectively, a pair of mounting in a bar shape It includes a body 310 and a pair of second rails 320 installed inside the mounting body 310 and a second sliding bar 330 inserted or withdrawn into the mounting body along the second rail 320.

이에, 거치하고자 하는 책의 폭이 증가함에 따라, 베이스부(100)의 증가된 폭에 대응하여 제2 슬라이딩 바(330)를 한 쌍의 거치바디(310)에서 인출시켜 길이를 조절 함으로써, 독서하고자 하는 책의 배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as the width of the book to be mounted increases, the second sliding bar 330 is pulled out from the pair of mounting bodies 310 in response to the increased width of the base unit 100 to adjust the length, thereby reading It has the effect of stably supporting the back of the book you want to do.

이때, 제2 슬라이딩 바(330)의 양단부에는 각각 폭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제2 가이드 돌기(331)가 형성되고, 각각의 제2 레일(320)에는 제2 가이드 돌기(331)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복수 개의 제2 가이드 홈(321)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one or more second guide protrusions 331 protruding in the width direction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sliding bar 330, and second guide protrusions 331 are inserted into each of the second rails 320. A plurality of fixed second guide grooves 321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length direction.

이에, 베이스부(100)의 폭에 따라, 거치부(300)의 길이 조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base portion 100, there is an effect that the length of the mounting portion 300 can be easily adjusted.

예를 들어, 한 쌍의 제1 슬라이딩 바(160)가 모두 각각의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가이드 돌기(161)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내측 방향으로 첫번째 제1 가이드 홈(151)에 고정되도록 제1 슬라이딩 바(160)를 인출하여 베이스부(100)의 폭을 증가시키면, 거치부(300)도 그에 대응하여 제2 슬라이딩 바(330)의 단부에 형성된 제2 가이드 돌기(331)가 거치바디의 내측 방향으로 첫번째 위치하는 제2 가이드 홈(321)에 삽입되도록 제2 가이드 홈(321)에 삽입되도록 제2 슬라이딩 바(330)를 인출하여 그 길이를 조절한다.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pair of first sliding bars 160 are all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each base plate 110, the first guide protrusion 161 is the first guide protrusion 161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base plate 110. 1 When the first sliding bar 160 is pulled out to be fixed to the guide groove 151 to increase the width of the base portion 100, the mounting portion 300 is also formed at the end of the second sliding bar 330 in response thereto. The second sliding bar 330 is pulled out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guide groove 321 so that the second guide protrusion 331 is inserted into the second guide groove 321 first locat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mounting body. Adjust.

이에, 이후 조립시 거치부(300)의 양 측에 형성된 한 쌍의 결합홈(301)이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양측에 결합되는 사이드 프레임(200)의 전면에 서로 대향하게 돌출된 한 쌍의 결합 돌기(210)의 위치에 각각 위치되도록 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Thus, after assembling, a pair of coupling grooves 301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ounting portion 300 are projected to face each other on the front side of the side frame 200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base plate 110 By being positioned at each position of the coupling protrusion 210, there is an effect of facilitating assembly.

또한, 조립 및 독서 과정에서 충격으로 인하여 베이스부(100)와 거치부(300)의 폭이 가변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조립을 원활히 하고 안정적인 독서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preventing the width of the base portion 100 and the mounting portion 300 from varying due to impact during the assembly and reading process, there is an effect of facilitating assembly and providing a stable reading environment.

보다 바람직하게, 제2 슬라이딩 바(330)는 제2 가이드 돌기(331)의 폭 방향 이동이 원활하도록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 방향으로 슬릿(slit) 형상의 제2 이동홈(332)이 형성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second sliding bar 330 may have a second movable groove 332 having a slit shape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so as to smoothly move the second guide protrusion 331 in the width direction. have.

이에, 제2 가이드 돌기(331)가 제2 가이드 홈(321)에서 이탈을 원활히 함으로써 거치부(330)의 길이 조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second guide protrusion 331 is smoothly separated from the second guide groove 321,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length of the mounting portion 330.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프레임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 side fram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ngle formed by a side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ground.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프레임(200)은 전면에 결합홈(301)을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전방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210)가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고, 그 하부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측면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홈(201)이 형성된다.5 and 6, the side fram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ength of at least one coupling protrusion 210 protruding forward so as to be coupled through the coupling groove 301 on the front side. It is spaced apart along the direction, and a first insertion groove 201 into which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plate 110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thereof.

이때, 제1 삽입홈(201)은 사이드 프레임(200)의 저면과 이루는 각도 즉, 제1 삽입홈의 경사각(θ1)이 45~75°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insertion groove 201 is formed so that the angle formed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ide frame 200, that is, the inclination angle θ 1 of the first insertion groove, is 45 to 75°.

왜냐하면,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제1 삽입홈(201)에 삽입하여 조립된 접이식 독서대에서, 제1 삽입홈의 경사각(θ1)이 45°미만인 경우 사이드 프레임(200) 및 거치부(300)에 의하여 배면이 지지되는 책이 지면과 이루는 경사가 과도하게 완만해지면서 독서를 위해 머리를 과도하게 숙이게 되어 거북목, 목디스크 등 질병을 유발할 수 있고, 책이 지면과 이루는 경사가 과도하게 증가됨에 따라 75°를 초과하는 경우 독서를 어렵게하고 올바른 자세 유지를 불가능하게 하여 독서를 어렵게 하고 독서 자세에 따른 질병을 유발할 수 있어 상기 범위로 제한한다.Because, in the folding reading table assembled by inserting the base plate 110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201, the side frame 200 and the mounting portion 300 when the inclination angle θ 1 of the first insertion groove is less than 45° As the slope of the book supported by the back side becomes excessively gentle, the head is excessively bowed for reading, which can cause diseases such as turtle neck and neck disc, and the slope made by the book with the ground is excessively increased. Accordingly, if it exceeds 75°, reading is difficult and it is impossible to maintain a correct posture, which makes reading difficult and may cause diseases according to the reading posture, so it is limited to the above range.

또한, 본 발명에서 제1 삽입홈(201)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사이드 프레임(200)이 지면과 형성하는 경사, 즉 사이드 프레임(200)의 경사각(θ2)을 조절할 수 있는데, 이 때, 사이드 프레임(200)의 경사각(θ2)은 45~75°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이유는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여 생략한다.In addition, by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first insertion groove 201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lope formed by the side frame 200 with the ground, that is, the inclination angle θ 2 of the side frame 200 can be adjusted, at this time, The inclination angle θ 2 of the side frame 200 is preferably maintained at 45 to 75°, and the reason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nd thus will be omitted.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100)는 각각의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후면을 감싸 지면과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제1 패드(170)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사이드 프레임(200)은 지면에 대한 마찰력이 증가되도록 그 저면을 감싸는 제2 패드(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base portion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irst pad 170 surrounding the rear surface of each base plate 110 to increase frictional force with the ground, and each side The frame 2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ad 220 surrounding the bottom surface so that frictional force with respect to the ground is increased.

이때, 제1, 2패드(170, 220)는 지면에 대한 접지력이 우수한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nd second pads 170 and 220 are formed of a rubber material having excellent grip with respect to the ground.

이에, 독서시 책상의 경사 또는 충격 등으로 인해, 책이 거치된 접이식 독서대가 일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적인 독서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stable reading environment by preventing the folding reading table on which the book is mounted from being moved in one direction due to the inclination or impact of the desk during readin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do it.

100: 베이스부 101: 제2 삽입홈
110: 베이스 플레이트 120: 힌지
130: 걸림턱 140: 파지부
141: 파지편 142: 파지캡
150: 제1 레일 151: 제1 가이드홈
160: 제1 슬라이딩 바 161: 제1 가이드 돌기
162: 제1 이동홈 170: 제1 패드
200: 사이드 프레임 201: 제1 삽입홈
210: 결합 돌기 220: 제2 패드
300: 거치부 301: 결합홈
310: 거치바디 320: 제2 레일
321: 제2 가이드 홈 330: 제2 슬라이딩 바
331: 제2 가이드 돌기 332: 제2 이동홈
100: base portion 101: second insertion groove
110: base plate 120: hinge
130: locking jaw 140: gripping portion
141: gripping piece 142: gripping cap
150: first rail 151: first guide groove
160: first sliding bar 161: first guide protrusion
162: first moving groove 170: first pad
200: side frame 201: first insertion groove
210: coupling protrusion 220: second pad
300: mounting portion 301: coupling groove
310: mounting body 320: second rail
321: second guide groove 330: second sliding bar
331: second guide protrusion 332: second moving groove

Claims (9)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이 힌지를 매개로 연결되어, 폭 방향으로 접철되는 베이스부;
전면에 길이 방향으로 전방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가 이격 배치되고, 베이스부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하부에 폭 방향으로 일측이 개구된 제1 삽입홈이 형성되며, 제1 삽입홈이 서로 대향하도록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 타면이 각각 끼움 결합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및
양측에 각각 결합홈이 형성되어,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 한 쌍의 결합 돌기가 각각 삽입 고정되어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과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거치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독서대.
A base portion having one surface of the pair of base plates connected via a hinge and folded in the width direction;
One or more coupling protrusions protruding for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spaced apart on the front side, and a first insertion groove with one side open in the width direction is formed on the lower side so that the side of the base portion is detachable, and the first insertion grooves face each other. A pair of side frames to which the other surfaces of the pair of base plates are respectively fitted; And
Containing, a folding reading table comprising; coupling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s, respectively, a pair of coupling protrusions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is inserted and fixed to each other and coupled to the pair of side frames.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부는,
양 측면에 사이드 프레임과 상호 끼움 결합되는 제1 삽입홈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제2 삽입홈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되어, 거치하고자 하는 책의 두께에 따라 사이드 프레임의 결합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독서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part,
A plurality of second insertion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sertion grooves that are interfitted with the side frames on both sides are formed apart along the length direction, so that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side frames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book to be mounted. With a folding reading table.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부는,
전면에 펼침 상태의 책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각각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걸림턱; 및
일단이 책의 펼쳐진 면을 가압하여 파지하도록, 절곡부가 형성되어 타단이 걸림턱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지편과 파지편의 일단을 감싸 결합된 고무 재질의 파지캡을 포함하는 한 쌍의 파지부;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독서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part,
A locking jaw protruding upward from the front of each base plate so that the book in the open state can be stably mounted on the front; And
A pair of grippers including a gripping piece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of the locking jaw and a gripping cap made of a rubber material wrapped around one end of the gripping piece by forming a bent portion so that one end presses and grips the open side of the book. Branch; further comprising a folding reading stan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거치하고자 하는 책의 폭에 따라 그 폭이 가변될 수 있도록,
각각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 또는 내측에 폭 방향으로 설치된 한 쌍의 제1 레일; 및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 내부로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일측이 각각의 제1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한 쌍의 제1 슬라이딩 바;를 더 포함하고,
한 쌍의 슬라이딩 바는 접철 가능하도록 그 타측이 힌지를 매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독서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portion,
So that the width of the book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book to be mounted,
A pair of first rails installed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bottom or inside of each base plate; And
It further includes a pair of first sliding bars, one side of which moves along each of the first rails so as to be inserted or withdrawn into the pair of base plates,
A pair of sliding bars,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side is connected via a hinge so as to be foldable, folding reading stand.
청구항 4에 있어서,
거치부는,
베이스부의 폭에 대응하여 그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한 쌍의 거치바디;
각각의 거치바디의 내부에 설치된 한 쌍의 제2 레일; 및
양 단이 각각 제2 레일을 따라 거치바디 내부로 삽입 또는 인출되는 제2 슬라이딩 바;를 포함하는, 접이식 독서대.
The method of claim 4,
The deferred part,
So that the length can be vari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width of the base part,
A pair of mounting bodies;
A pair of second rails installed inside each mounting body; And
Containing, a foldable reading stand at both ends of a second sliding bar that is inserted or withdrawn into the mounting body along the second rail, respectively.
청구항 5에 있어서,
각각의 제1 슬라이딩 바는 일측 단부에서 폭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제1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제1 가이드 돌기가 이동하도록 제1 가이드 돌기와 인접하여 1 슬라이딩 바의 일측 단부에서 타측 방향으로 슬릿(slit) 형상의 제1 이동홈이 형성되며,제1 레일에는 제1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제1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제2 슬라이딩 바는 양 단부에서 각각 폭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제2 가이드 돌기와 제2 가이드 돌기가 폭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2 가이드 돌기와 인접하여 제2 슬라이딩 바의 단부에서 중심방향으로 슬릿(slit) 형상의 제2 이동홈이 형성되며, 제2 레일에는 제2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제2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독서대.
The method of claim 5,
Each of the first sliding bars has one or more first guide protrusions protru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one end thereof, and is adjacent to the first guide protrusion so that the first guide protrusion moves, and a slit from one end of the sliding bar to the other direction ( slit) shape first moving groove is formed, a plurality of first guide grooves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in the first rail so that the first guide protrusion can be inserted and fixed,
The second sliding bar is adjacent to the second guide protrusion so that the at least one second guide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both ends and the second guide protrusion may move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slit from the end of the second sliding bar toward the center ( A second movable groove having a slit) shape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second guide grooves spaced apart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in the second rail so that the second guide protrusion is inserted and fixed.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삽입홈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두께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되되, 저면에 대하여 45~75°의 경사를 갖도록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독서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insertion groove,
Doedoe formed to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base plat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from the front to the rear so as to have a slope of 45 ~ 75 ° with respect to the bottom, folding reading table.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삽입홈은,
그 높이가 베이스 플레이트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되, 베이스부와 결합시 사이드 프레임이 지면과 45~75°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독서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insertion groove,
The height is formed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base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frame is formed to have a slope of 45 ~ 75 ° to the ground when combined with the base portion, folding reading stand.
청구항 1에 있어서,
지면과의 마찰력이 향상되도록,
베이스부는 각각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면을 감싸는 고무 재질의 한 쌍의 제1 패드;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사이드 프레임은 그 저면을 감싸는 고무 재질의 제2 패드;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독서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So that the friction with the ground is improved,
The base portion further includes a pair of first pads of rubber material surrounding the rear surface of each base plate,
Each side frame is a second pad of rubber material surrounding the bottom surface; further comprising a folding reading stand.
KR1020190043351A 2019-04-12 2019-04-12 A foldable bookholder KR2020012042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351A KR20200120428A (en) 2019-04-12 2019-04-12 A foldable book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351A KR20200120428A (en) 2019-04-12 2019-04-12 A foldable bookhol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428A true KR20200120428A (en) 2020-10-21

Family

ID=73034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351A KR20200120428A (en) 2019-04-12 2019-04-12 A foldable bookhol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0428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465B1 (en) 2013-07-31 2014-10-23 박재현 Size adjustable folding reading des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465B1 (en) 2013-07-31 2014-10-23 박재현 Size adjustable folding reading des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0735B2 (en) Folding stool or folding table
KR200479333Y1 (en) Multi cradle for learning
US6727961B2 (en) Liquid crystal displayer assembly and foldable support frame therefor
US4295624A (en) Reading stand
US5950979A (en) Portable and foldable easel
KR200393407Y1 (en) A pupil's desk having assist table
GB2374022A (en) Roller skate with folding wheels
CN113892754A (en) Telescopic folding table
US6865985B2 (en) Foldable panel supporter
KR20200120428A (en) A foldable bookholder
US20140252196A1 (en) Music Stand and Rack, Pedestal and Hinge Therefor
TW459093B (en) Folding stage
CN211021404U (en) Foldable metal table
KR20090091877A (en) Collapsible reading desk
JP3133866U (en) Folding desk
KR200284749Y1 (en) Portable Bookstand
KR200378394Y1 (en) Bookrack
KR102635241B1 (en) Foldable book stand
KR101695785B1 (en) Foldable Music Stand
WO2003047391A1 (en) Book holder
KR200327376Y1 (en) Book Holder
KR950002776Y1 (en) Reading-rack
KR102061098B1 (en) Apparatus for folding type table
JP2579943Y2 (en) Reading stand
CN216723618U (en) Telescopic folding t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