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0219A - Hook Apparatus for Roller Luge - Google Patents

Hook Apparatus for Roller Lu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0219A
KR20200120219A KR1020190042819A KR20190042819A KR20200120219A KR 20200120219 A KR20200120219 A KR 20200120219A KR 1020190042819 A KR1020190042819 A KR 1020190042819A KR 20190042819 A KR20190042819 A KR 20190042819A KR 20200120219 A KR20200120219 A KR 20200120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locking
roller sled
weight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8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69241B1 (en
Inventor
이준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케이레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케이레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케이레저
Priority to KR1020190042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9241B1/en
Publication of KR20200120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2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2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1/00Ski lift, sleigh lift or like trackless systems with guided towing cables only
    • B61B11/004Means connecting load and cable
    • B61B11/008Means connecting load and cable the load being a sleig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02Cabins; Ski-lift se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ok apparatus for a roller sled, which includes: a fixing part fixed to a lift for transporting the roller sled; a hook part coupled to the fixing part to be rotatable so as to be rotated between a hook position onto which the roller sled is hooked and a separation position for separating the roller sled; a locking part coupled to the hook part to be rotatable so as to be rotated in accordance with a rotation angle of the hook part; and a weight part coupled to the locking part so as to remove support with respect to the roller sled hooked onto the hook part when the hook part reaches a separation angle while the roller sled hooked onto the hook part is supported when the hook part is rotated within a hook angle smaller than the separation angle reaching the separation position.

Description

롤러썰매용 후크장치{Hook Apparatus for Roller Luge}Hook Apparatus for Roller Luge}

본 발명은 롤러의 회전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롤러썰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ller sled running using the rotation of the roller.

일반적으로 현대인의 여가생활이 보다 중요해지면서 놀이문화의 중요성도 그 만큼 증대되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고, 그 놀이문화 중 타는 도구를 매개체로 하여 속도감 및 스릴 등의 유희를 만끽하면서 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이 널리 보급된 상태이다. 그 도구로서 롤러썰매 등이 이용될 수 있다.In general, as the leisure life of modern people becomes more important, the importance of the play culture is increasing accordingly, and it is possible to exercise while enjoying the sense of speed and the thrill through the ride tools among the play cultures. It is widely spread. As the tool, a roller sled or the like can be used.

롤러썰매는 평탄한 도로, 경사로, 트랙(Track) 등에서 탑승자가 탑승한 상태로 주행하기 위해 롤러가 설치된 탈 것이다. 이러한 롤러썰매는 고지가 높은 곳에서 탑승자가 탑승하여 고지가 낮은 쪽으로 경사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일반 썰매와는 달리 롤러썰매에는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는 조향수단 등이 설치될 수도 있기 때문에 롤러썰매는 사람들에게 인기있는 스포츠로 정착되고 있다. A roller sled is a vehicle equipped with rollers for driving on flat roads, slopes, and tracks with the occupants on board. Such a roller sled allows the occupant to ride from a high altitude place and move along a slope toward a low altitude. Unlike general sledding, roller sledding has become a popular sport for people because roller sleds may be equipped with steering means that can change direction.

탑승자가 롤러썰매에 탑승하여 경사로를 따라 내려오기 위해서는 롤러썰매를 고지가 높은 곳으로 이동시키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종래에는 리프트 등과 같은 운송수단을 이용하여 롤러썰매를 고지가 높은 곳으로 이동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In order for the occupant to board the roller sled and descend along the slope, the work of moving the roller sled to a high altitude must be preceded. Conventionally, a work of moving a roller sled to a high altitude place using a transportation means such as a lift is performed.

하지만, 종래에는 롤러썰매를 고지가 높은 곳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운송수단이 롤러썰매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낮게 구현되므로, 진동, 흔들림 등이 발생하면 롤러썰매가 상기 운송수단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어 안전사고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since the transport means has a low supporting force to support the roller sled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roller sled to a high altitude place, the roller sled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transport means when vibration or shaking occurs.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it.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롤러썰매를 고지가 높은 곳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롤러썰매용 후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relates to a hook device for a roller sled capable of reducing the possibility of a safety accident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roller sled to a high altitude place.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는 롤러썰매를 운반하기 위한 리프트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롤러썰매가 걸리는 걸림위치와 상기 롤러썰매를 이탈시키기 위한 이탈위치 간에 회전하도록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후크부, 상기 후크부의 회전각도에 따라 회전하도록 상기 후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잠금부, 및 상기 후크부가 상기 이탈위치에 도달하는 이탈각도에 비해 작은 걸림각도 내에서 회전하면 상기 후크부에 걸린 롤러썰매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후크부가 상기 이탈각도에 도달하면 상기 후크부에 걸린 롤러썰매에 대한 지지를 해제하도록 상기 잠금부에 결합된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ok device for a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e to the fixing part so as to rotate between a fixing part fixed to a lift for transporting a roller sleigh, a locking position where the roller sledge is caught and a disengaging position for disengaging the roller sledge When the hook portion is coupled, the locking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hook portion so as to rotate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hook portion, and the hook portion rotates within a smaller locking angle than the departure angle at which the hook portion reaches the release position. A weight part coupled to the locking part may be included to support the roller sled caught in the hook and release the support for the roller sled caught in the hook part when the hook part reaches the departure angle.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achieved.

본 발명은 롤러썰매가 후크부에 걸림상태를 유지하는 지지력을 확보하도록 구현됨으로써, 롤러썰매가 이탈됨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o secure a support force to keep the roller sled in a hooked state, so that the possibility of a safety accident due to the separation of the roller sled can be reduced.

본 발명은 후크부를 회전시키는 작업만으로도 롤러썰매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지지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o support the roller sled only by rotating the hook portion, thereby improving the ease of support operation.

본 발명은 후크부를 회전시키는 작업만으로도 롤러썰매에 대한 지지가 해제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지지해제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so that the support for the roller sled is released only by rotating the hook portion, thereby improving the ease of the support release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가 리프트에 결합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가 리프트에 결합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의 동작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에 있어서 걸림위치와 이탈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의 고정부, 및 후크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의 잠금부, 중량부, 제한부, 및 복원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에 있어서 후크부가 걸림위치에서 이탈위치로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8은 도 7의 A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에 있어서 후크부가 이탈위치에서 걸림위치로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10은 도 9의 B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에 있어서 회전유도부가 회전함에 따라 후크부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1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hook device for a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lift
Figure 2 is a schematic rear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hook device for a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lift
Figure 3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operation of the hook device for a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locking position and the release position in the hook device for a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the fixing portion, and the hook portion of the hook device for a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locking part, a weight part, a limiting part, and a restoration part of the hook device for a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ok portion is rotated from a hooked position to a disengaged position in the hook device for a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A in FIG. 7
9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ok portion is rotated from the disengaged position to the locking position in the hook device for a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enlarged B of FIG. 9
1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hook part rotates together as the rotation guide part rotates in the hook device for a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hook device for a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1)는 롤러썰매(200)를 고지가 높은 곳으로 옮기는 작업에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1)는 리프트(300)(Lift), 곤돌라(Gondola) 등과 같은 운송수단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롤러썰매(200)는 평탄한 도로, 경사로, 트랙(Track) 등에서 탑승자가 탑승한 상태로 주행하기 위해 롤러가 설치된 탈 것이다.1 to 3, the hook device 1 for a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move the roller sled 200 to a high place. The hook device 1 for a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a transport means such as a lift 300, a gondola, and the like. The roller sled 200 is a vehicle equipped with rollers for driving while the occupant is on board on a flat road, slope, or track.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1)는 상기 롤러썰매(200)를 운반하기 위한 상기 리프트(300)에 고정되는 고정부(2), 상기 롤러썰매(200)가 걸리는 걸림위치(HP)와 상기 롤러썰매(200)를 이탈시키기 위한 이탈위치(BP) 간에 회전하도록 상기 고정부(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후크부(3), 상기 후크부(3)의 회전각도에 따라 회전하도록 상기 후크부(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잠금부(4), 및 상기 후크부(3)가 상기 이탈위치(BP)에 도달하는 이탈각도(BA)에 비해 작은 걸림각도(HA) 내에서 회전하면 상기 후크부(3)에 걸린 롤러썰매(200)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후크부(3)가 상기 이탈각도(BA)에 도달하면 상기 후크부(3)에 걸린 롤러썰매(200)에 대한 지지를 해제하도록 상기 잠금부(4)에 결합된 중량부(5)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The hook device 1 for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part 2 fixed to the lift 300 for transporting the roller sled 200, and a locking position (HP) where the roller sled 200 is caught. And the hook part 3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part 2 so as to rotate between the release position BP for disengaging the roller sled 200, and to rotate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hook part 3 The locking part 4 rotatably coupled to the hook part 3, and the hook part 3 within the locking angle HA, which is smaller than the release angle BA at which the hook part 3 reaches the release position BP. When rotated, it supports the roller sled 200 caught in the hook part 3, and when the hook part 3 reaches the departure angle BA, the roller sled 200 caught in the hook part 3 It includes a weight portion 5 coupled to the locking portion 4 to release the support for it. Accordingly, the hook device 1 for a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1)는 상기 걸림각도(HA) 내에서 상기 잠금부(4)가 상기 롤러썰매(200)의 걸림상태를 유지하는 지지력을 확보함으로써, 상기 롤러썰매(200)가 상기 후크부(3)로부터 이탈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1)는 상기 롤러썰매(200)가 상기 후크부(3)로부터 이탈됨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First, the roller sled hook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cures a support force for maintaining the locking state of the roller sled 200 within the locking angle HA, the roller sl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ikelihood that 200 may be separated from the hook part 3. Accordingly, the roller sled hook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possibility of a safety accident as the roller sled 200 is separated from the hook portion 3.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1)는 상기 후크부(3)를 상기 걸림각도(HA) 내로 회전시키는 작업만으로도 상기 중량부(5)를 통해 상기 잠금부(4)가 상기 롤러썰매(200)를 지지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1)는 상기 잠금부(4)를 직접 회전시키지 않더라도 상기 롤러썰매(2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지지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Second, the hook device 1 for a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locking part 4 to pass through the weight part 5 only by rotating the hook part 3 into the locking angle HA. It is implemented to support the sled 200. Accordingly, the hook device 1 for a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o support the roller sled 200 even if the locking part 4 is not directly rotated, thereby improving the ease of support work. .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1)는 상기 후크부(3)를 상기 이탈각도(BA)로 회전시키는 작업만으로도 상기 중량부(5)를 통해 상기 잠금부(4)가 상기 롤러썰매(200)에 대한 지지가 해제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1)는 상기 잠금부(4)를 직접 회전시키지 않더라도 상기 롤러썰매(200)에 대한 지지가 해제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지지해제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ird, the hook device 1 for a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locking part 4 to pass through the weight part 5 only by rotating the hook part 3 at the departure angle BA. It is implemented so that the support for the sled 200 is released. Therefore, the hook device 1 for a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so that the support for the roller sled 200 is released even if the locking part 4 is not directly rotated, thereby improving the ease of the support release operation. have.

이하에서는 상기 고정부(2), 상기 후크부(3), 상기 잠금부(4), 상기 중량부(5)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ixing part 2, the hook part 3, the locking part 4, and the weight part 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고정부(2)는 상기 롤러썰매(200)를 운반하기 위한 상기 리프트(300)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2)는 상기 리프트(300)와 상기 후크부(3)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에 의해 상기 후크부(3)는 상기 리프트(30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고정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리프트(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2)는 전체적으로 판(Plate)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리프트(300)에 고정될 수 있는 한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1 to 5, the fixing part 2 is fixed to the lift 300 for carrying the roller sled 200. The fixing part 2 may be coupled to each of the lift 300 and the hook part 3. The hook part 3 may be supported by the lift 300 by the fixing part 2. The fixing part may be coupled to the lift 300 so as to be rotatable about a fixed rotation axis. The fixing part 2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as a who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another shape as long as it can be fixed to the lift 300.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1)는 복수개의 고정부(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부(2)들은 상기 후크부(3)의 양쪽에 각각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The hook device 1 for a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xing parts 2. In this case, the fixing parts 2 may be disposed one on each side of the hook part 3.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고정부(2)는 고정본체(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fixing part 2 may include a fixing body 20.

상기 고정본체(20)는 상기 고정부(2)의 본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고정본체(20)는 상기 고정부(2)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룰 수 있다. 상기 고정본체(20)는 상기 리프트(300)와 상기 후크부(3)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xed body 20 may function as a main body of the fixing part 2. The fixing body 20 may form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fixing part 2. The fixed body 20 may be coupled to each of the lift 300 and the hook part 3.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고정부(2)는 지지돌기(21)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fixing part 2 may include a support protrusion 21.

상기 지지돌기(21)는 상기 후크부(3)가 상기 리프트(300) 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돌기(21)는 상기 후크부(3)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21)는 상기 고정본체(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21)는 상기 고정본체(2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돌기(21)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후크부(3) 쪽으로 돌출될 수 있는 한 직방체 등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support protrusion 21 restricts rotation of the hook portion 3 toward the lift 300. The support protrusion 21 may protrude toward the hook part 3. The support protrusion 21 may be coupled to the fixed body 20. The support protrusion 21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xed body 20. The support protrusion 21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another shape such 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capable of protruding toward the hook portion 3.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후크부(3)는 상기 걸림위치(HP)와 상기 이탈위치(BP) 간에 회전하는 것이다. 상기 후크부(3)는 상기 걸림위치(HP)와 상기 이탈위치(BP) 간에 회전하도록 상기 고정부(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3)는 볼트(Bolt) 등과 같은 체결부(미도시)를 통해 상기 고정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크부(3)와 상기 고정부(2)에는 상기 체결부(미도시)가 삽입되기 위한 제1삽입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1 to 5 For reference, the hook portion 3 rotates between the locking position HP and the release position BP. The hook part 3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part 2 so as to rotate between the locking position HP and the release position BP. The hook part 3 may be coupled to the fixing part 2 through a fastening part (not shown) such as a bolt. In this case, a first insertion hole (not shown) for inserting the fastening portion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hook portion 3 and the fixing portion 2.

상기 후크부(3)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각도(HA) 내에서 상기 롤러썰매(200)가 상기 후크부(3)에 걸려있는 상기 걸림위치(HP)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걸림각도(HA)는 상기 롤러썰매(200)가 상기 후크부(3)에 걸려있기 위해 상기 걸림위치(HP)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후크부(3)의 회전각도일 수 있다. 즉, 상기 걸림각도(HA)는 상기 걸림위치(HP)와 상기 이탈위치(DP) 사이의 각도일 수 있다.The hook part 3 is positioned at the locking position HP where the roller sled 200 is hung on the hook part 3 within the locking angle HA as shown in FIGS. 3 and 4. I can. The hooking angle HA may be a rotation angle of the hook part 3 based on the hooking position HP so that the roller sled 200 is hooked on the hook part 3. That is, the locking angle HA may be an angle between the locking position HP and the release position DP.

상기 후크부(3)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각도(BA)에서 상기 롤러썰매(200)가 상기 후크부(3)로부터 이탈되는 이탈위치(BP)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이탈각도(BA)는 상기 롤러썰매(200)가 상기 후크부(3)로부터 이탈되기 위해 상기 걸림위치(HP)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후크부(3)의 회전각도일 수 있다. 상기 이탈각도(BA)는 상기 걸림각도(HA)에 비해 더 큰 각도일 수 있다. 상기 롤러썰매(200)는 상기 이탈위치(BP)에서 컨베이어벨트(Conveyor Belt)(미도시)를 통해 이동함으로써, 상기 후크부(3)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벨트(미도시)는 상기 리프트(300)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hook part 3 may be located at a release position BP at which the roller sled 200 is separated from the hook part 3 at the departure angle BA. . The departure angle BA may be a rotation angle of the hook portion 3 based on the locking position HP so that the roller sled 200 is separated from the hook portion 3. The departure angle BA may be a larger angle than the locking angle HA. The roller sled 20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hook part 3 by moving through a conveyor belt (not shown) in the departure position BP. The conveyor belt (not shown) may be disposed on a moving path of the lift 300.

상기 후크부(3)는 후크회전축(RCH)을 중심으로 상기 걸림위치(HP)와 상기 이탈위치(BP) 간에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후크회전축(RCH)은 상기 후크부(3)의 회전 중심축으로서, 상기 후크부(3)가 상기 걸림위치(HP) 쪽으로 회전하는 회전방향 및 상기 후크부(3)가 상기 이탈위치(BP) 쪽으로 회전하는 회전방향 각각에 대해 수직한 축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3)는 상기 후크회전축(RCH)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3)는 전체적으로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3)는 상기 고정부(2)와 함께 상기 고정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The hook part 3 may rotate between the locking position HP and the release position BP around the hook rotation shaft RCH. The hook rotation shaft (RCH) is a rotational center axis of the hook part (3), the rotation direction in which the hook part (3) rotates toward the locking position (HP) and the hook part (3) is the release position (BP) ) May be formed along an axi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of the rotational directions that rotate toward it. The hook part 3 may be coupled to the fixing part 2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hook rotation shaft RCH. The hook portion 3 may be entirely formed in a plate shape. The hook part 3 may rotate about the fixed rotation axis together with the fixing part 2.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후크부(3)는 후크부재(31), 및 후크홈(32)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hook part 3 may include a hook member 31 and a hook groove 32.

상기 후크부재(31)는 상기 걸림위치(HP)와 상기 이탈위치(BP) 간에 회전하는 것이다. 상기 후크부재(31)는 상기 고정부(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재(31)는 상기 체결부(미도시)를 통해 상기 고정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재(31)는 상기 후크부(3)의 본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재(31)는 상기 고정본체(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재(31)는 전체적으로 갈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hook member 31 is rotated between the locking position HP and the release position BP. The hook member 31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part 2. The hook member 31 may be coupled to the fixing part 2 through the fastening part (not shown). The hook member 31 may function as a main body of the hook part 3. The hook member 31 may be coupled to the fixed body 20. The hook member 31 may have a hook shape as a whole.

상기 후크홈(32)은 상기 롤러썰매(200)가 삽입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후크홈(32)에는 상기 롤러썰매(20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롤러썰매(200)는 상기 걸림위치(HP)에서 상기 후크홈(32)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후크부(3)에 걸릴 수 있다. 상기 롤러썰매(200)는 상기 이탈위치(BP)에서 상기 후크홈(32)에 삽입 해제됨에 따라 상기 후크부(3)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상기 후크홈(32)은 상기 후크부재(3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홈(32)은 상기 후크부재(31)에서 일정 깊이 홈을 가공하는 작업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hook groove 32 is for inserting the roller sled 200. A part of the roller sled 200 may be inserted into the hook groove 32. The roller sled 200 may be caught by the hook portion 3 as it is inserted into the hook groove 32 at the locking position HP. The roller sled 200 may be separated from the hook part 3 as it is inserted and released into the hook groove 32 at the release position BP. The hook groove 32 may be formed in the hook member 31. The hook groove 32 may be formed by processing a groove with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hook member 31.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후크부(3)는 지지부재(33)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hook part 3 may include a support member 33.

상기 지지부재(33)는 상기 후크부재(31)의 외측으로 돌출된 것이다. 상기 지지부재(33)는 상기 걸림위치(HP)에서 상기 후크부(3)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지지돌기(21)에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1)는 상기 후크부(3)가 상기 걸림위치(HP)에서 상기 리프트(300) 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후크부(3)가 상기 리프트(300)에 충돌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1)는 충돌에 따른 상기 후크부(3)의 손상 내지 파손 가능성을 감소시켜 상기 후크부(3)의 가동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33 protrudes outward from the hook member 31. The support member 33 may be supported by the support protrusion 21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hook part 3 at the locking position HP. Accordingly, the hook device 1 for a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o prevent the hook part 3 from rotating toward the lift 300 at the locking position HP, so that the hook part 3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colliding with the lift 300. Accordingly, the hook device 1 for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operating life of the hook part 3 b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damage or breakage of the hook part 3 due to a collision.

상기 지지부재(33)는 상기 걸림위치(HP)에서 상기 지지돌기(21)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3)는 상기 후크부재(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3)는 상기 후크부재(3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3)는 상기 후크부재(31)의 외측으로 돌출될수록 뾰족한 첨단(尖端)을 이룰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33 may contact the support protrusion 21 at the locking position HP. The support member 33 may be coupled to the hook member 31. The support member 33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ok member 31. The support member 33 may form a sharp tip as it protrudes outward from the hook member 31.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후크부(3)는 제한돌기(3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hook part 3 may include a limiting protrusion 34.

상기 제한돌기(34)는 상기 후크부재(31)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제한돌기(34)는 상기 잠금부(4)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한돌기(34)는 상기 후크부재(3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한돌기(34)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잠금부(4) 쪽으로 돌출될 수 있는한 직방체 등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limiting protrusion 34 is coupled to the hook member 31. The limiting protrusion 34 may protrude toward the locking part 4. The limiting protrusion 34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hook member 31. The limiting protrusion 34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but may be formed in other shapes such 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s long as it can protrude toward the locking part 4.

도 6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잠금부(4)는 상기 후크부(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이다. 상기 잠금부(4)는 상기 후크부(3)의 회전 각도에 따라 회전하도록 상기 후크부(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4)는 상기 후크부(3)가 상기 걸림각도(HA) 내에서 회전하면 상기 후크부(3)에 걸린 상기 롤러썰매(200)를 지지하는 폐쇄위치(CP)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롤러썰매(200)가 상기 후크부(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잠금부(4)는 상기 후크홈(32)을 폐쇄시킬 수 있다. 상기 잠금부(4)는 상기 후크부(3)가 상기 이탈각도(BA)에 도달하면 상기 후크부(3)에 걸린 상기 롤러썰매(200)에 대한 지지를 해제하는 개방위치(OP)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롤러썰매(200)를 상기 후크부(3)로부터 이탈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잠금부(4)는 상기 후크홈(32)을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잠금부(4)는 상기 체결부(미도시)를 통해 상기 후크부(3)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잠금부(4)와 상기 후크부(3)에는 상기 체결부가 삽입되기 위한 제2삽입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6 to 10, the locking part 4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ook part 3. The locking part 4 may be coupled to the hook part 3 to rotate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hook part 3. The locking part 4 is located in a closed position CP that supports the roller sled 200 caught by the hook part 3 when the hook part 3 rotates within the locking angle HA,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oller sled 2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hook part 3. In this case, the locking part 4 may close the hook groove 32. The locking part 4 is located in an open position OP to release the support for the roller sled 200 caught by the hook part 3 when the hook part 3 reaches the departure angle BA By doing so, the roller sled 200 may be separated from the hook part 3. In this case, the locking part 4 may open the hook groove 32. The locking part 4 may be coupled to the hook part 3 through the fastening part (not shown). In this case, a second insertion hole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locking part 4 and the hook part 3 to insert the fastening part.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잠금부(4)는 상기 잠금회전축(RCL)을 중심으로 상기 폐쇄위치(CP)와 상기 개방위치(OP) 간에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잠금회전축(RCL)은 상기 잠금부(4)의 회전 중심축으로서, 상기 잠금부(4)의 회전방향인 상기 개방방향(OD) 및 상기 폐쇄방향(CD) 각각에 대해 수직한 축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4)는 상기 잠금회전축(RCL)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후크부(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4)는 전체적으로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후크부(3)의 회전 각도에 따라 회전하도록 상기 후크부(3)에 결합될 수 있으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locking part 4 may rotate between the closed position CP and the open position OP around the locking rotation shaft RCL. The locking rotation shaft (RCL) is a rotational central axis of the locking part 4, and has an axi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of the opening direction (OD) and the closing direction (CD), which i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locking part 4 It can be formed according to. The locking part 4 may be coupled to the hook part 3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locking rotation shaft RCL. The locking part 4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as a who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a different shape as long as it can be coupled to the hook part 3 to rotate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hook part 3. have.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잠금부(4)는 잠금본체(40), 및 잠금부재(41)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locking part 4 may include a locking body 40 and a locking member 41.

상기 잠금본체(40)는 상기 후크부(3)의 회전 각도에 따라 회전하는 것이다. 상기 잠금본체(40)는 상기 잠금부(4)의 본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잠금본체(40)는 상기 체결부(미도시)를 통해 상기 후크본체에 결합될 수 있다.The locking body 40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hook portion 3. The locking body 40 may function as a main body of the locking part 4. The locking body 40 may be coupled to the hook body through the fastening part (not shown).

상기 잠금부재(41)는 상기 롤러썰매(200)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롤러썰매(200)에 대한 지지를 해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잠금부재(41)는 상기 후크부(3)가 상기 걸림각도(HA) 내에서 회전하면, 상기 후크홈(32)을 폐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잠금부재(41)는 상기 롤러썰매(200)가 상기 후크부(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재(41)는 상기 후크부(3)가 상기 이탈각도(BA)에 도달하면, 상기 후크홈(32)을 개방시킬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잠금부재(41)는 상기 롤러썰매(200)에 대한 지지를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재(41)는 상기 잠금본체(4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재(41)는 상기 잠금본체(4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locking member 41 is for supporting the roller sled 200 and releasing the support for the roller sled 200. The locking member 41 may close the hook groove 32 when the hook portion 3 rotates within the locking angle HA. Accordingly, the locking member 41 may prevent the roller sled 2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hook part 3. The locking member 41 may open the hook groove 32 when the hook portion 3 reaches the departure angle BA. Accordingly, the locking member 41 may release support for the roller sled 200. The locking member 41 may be coupled to the locking body 40. The locking member 41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cking body 40.

도 6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중량부(5)는 상기 잠금부(4)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중량부(5)는 상기 후크부(3)가 상기 걸림각도(HA) 내에서 회전하면 상기 후크부(3)에 걸린 롤러썰매(200)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후크부(3)가 상기 이탈각도(BA)에 도달하면 상기 후크부(3)에 걸린 롤러썰매(200)에 대한 지지를 해제하도록 상기 잠금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6 to 10, the weight part 5 is coupled to the locking part 4. The weight part 5 supports the roller sled 200 caught in the hook part 3 when the hook part 3 rotates within the locking angle HA, and the hook part 3 When reaching the departure angle BA, it may be coupled to the locking part 4 to release the support for the roller sled 200 caught on the hook part 3. Accordingly, the hook device for a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1)는 상기 후크부(3)를 상기 걸림각도(HA) 내로 회전시키는 작업만으로도 상기 중량부(5)를 통해 상기 잠금부(4)가 상기 롤러썰매(200)를 지지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1)는 상기 잠금부(4)를 직접 회전시키지 않더라도 상기 롤러썰매(2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지지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irst, in the hook device 1 for a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part 4 is connected to the roller through the weight part 5 by only rotating the hook part 3 within the locking angle HA. It is implemented to support the sled 200. Accordingly, the hook device 1 for a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o support the roller sled 200 even if the locking part 4 is not directly rotated, thereby improving the ease of support work. .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1)는 상기 후크부(3)를 상기 이탈각도(BA)로 회전시키는 작업만으로도 상기 중량부(5)를 통해 상기 잠금부(4)가 상기 롤러썰매(200)에 대한 지지가 해제되도록 구현된다. 상기 잠금부(4)가 상기 롤러썰매(200)에 대한 지지를 해제하면, 상기 롤러썰매(200)는 상기 후크부(3)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1)는 상기 잠금부(4)를 직접 회전시키지 않더라도 상기 롤러썰매(200)에 대한 지지가 해제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지지해제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Second, the hook device 1 for a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locking part 4 to pass through the weight part 5 only by rotating the hook part 3 at the departure angle BA. It is implemented so that the support for the sled 200 is released. When the locking part 4 releases the support for the roller sled 200, the roller sled 200 may be separated from the hook part 3. Therefore, the hook device 1 for a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so that the support for the roller sled 200 is released even if the locking part 4 is not directly rotated, thereby improving the ease of the support release operation. have.

상기 중량부(5)는 상기 잠금부(4)에 비해 큰 중량(重量)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1)는 상기 중량부(5)가 상기 잠금부(4)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력이 확보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중량부(5)는 상기 잠금부(4)에 비해 더 큰 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중량부(5)는 상기 잠금회전축(RCL)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잠금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중량부(5)는 상기 잠금부(4)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중량부(5)는 전체적으로 곡면을 갖는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weight portion 5 may be formed to have a greater weight than the locking portion 4. Accordingly, the hook device 1 for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such that the weight part 5 secures a rotational force capable of rotating the locking part 4. The weight part 5 may be formed to have a larger volume than the locking part 4. The weight part 5 may be coupled to the locking part 4 so as to rotate around the locking rotation shaft RCL. The weight part 5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cking part 4. The weight part 5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curved surface as a whole.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중량부(5)는 중량본체(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weight part 5 may include a weight body 50.

상기 중량본체(50)는 상기 잠금본체(4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중량본체(50)는 상기 중량부(5)의 본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중량본체(50)는 상기 중량부(5)의 중간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The weight body 50 may be coupled to the locking body 40. The weight body 50 may function as a body of the weight portion 5. The weight body 50 may be formed at an intermediate point of the weight portion 5.

도 6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중량부(5)는 제1중량부재(51), 및 제2중량부재(52)를 포함할 수 있다.6 to 10, the weight part 5 may include a first weight member 51 and a second weight member 52.

상기 제1중량부재(51)는 상기 후크부(3)가 상기 이탈각도(BA)에 도달하면 상기 잠금부(4)가 상기 개방위치(OP)에 위치하도록 상기 잠금부(4)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1중량부재(51)는 상기 후크부(3)가 상기 이탈각도(BA)에 도달하면 상기 잠금부(4)를 상기 개방방향(OD)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잠금부(4)를 상기 개방위치(OP)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후크부(3)가 상기 이탈각도(BA)에 도달하면 상기 중량부(5)의 무게중심(Center of gravity)은 상기 제1중량부재(51) 쪽에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1)는 상기 후크부(3)를 상기 이탈각도(BA)로 회전시키는 작업만으로도 상기 제1중량부재(51)가 상기 잠금부(4)를 상기 개방방향(OD)으로 회전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1)는 상기 잠금부(4)를 상기 개방방향(OD)으로 회전시키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개방방향(OD)은 도 6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잠금회전축(RCL)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일 수 있다.The first weight member 51 rotates the locking part 4 so that the locking part 4 is located in the open position OP when the hook part 3 reaches the departure angle BA. will be. The first weight member 51 rotates the locking part 4 in the opening direction OD when the hook part 3 reaches the departure angle BA, thereby rotating the locking part 4 It can be located in the open position (OP). This is because when the hook portion 3 reaches the departure angle BA,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weight portion 5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first weight member 51. Accordingly, the hook device 1 for a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first weight member 51 to lock the locking part 4 simply by rotating the hook part 3 at the departure angle BA. It may be implemented to rotate in the open direction (OD). Accordingly, the hook device 1 for a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ease of operation of rotating the locking part 4 in the opening direction OD. The opening direction OD may be in a clockwise direction around the lock rotation axis RCL with reference to FIG. 6.

상기 제1중량부재(51)는 상기 잠금부(4)에 비해 더 큰 중량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1)는 상기 잠금부(4)를 상기 개방위치(OP)로 회전시키는 회전력이 확보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1)는 상기 제1중량부재(51)를 통해 상기 잠금부(4)를 상기 개방위치(OP)로 회전시키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first weight member 51 may be formed to have a greater weight compared to the locking part 4. Accordingly, the hook device 1 for a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to secure a rotational force that rotates the locking part 4 to the open position OP. Accordingly, the hook device 1 for a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ease of operation of rotating the locking part 4 to the open position OP through the first weight member 51. .

상기 제1중량부재(51)는 상기 중량본체(5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중량부재(51)는 전체적으로 상기 걸림위치(HP) 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중량부재(51)는 상기 제2중량부재(52)에 대해 상기 걸림위치(HP)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중량부재(51)는 상기 중량본체(5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first weight member 51 may be coupled to the weight body 50. The first weight member 51 may be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locking position HP as a whole. The first weight member 51 may be disposed at the locking position HP with respect to the second weight member 52. The first weight member 51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weight body 50.

상기 제2중량부재(52)는 상기 후크부(3)가 상기 걸림각도(HA) 내에서 회전하면 상기 잠금부(4)가 상기 폐쇄위치(CP)에 위치하도록 상기 잠금부(4)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2중량부재(52)는 상기 후크부(3)가 상기 걸림각도(HA) 내에서 회전하면 상기 잠금부(4)를 폐쇄방향(CD)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잠금부(4)를 상기 폐쇄위치(CP)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후크부(3)가 상기 걸림각도(HA) 내에서 회전하면 상기 중량부(5)의 무게중심은 상기 제2중량부재(52) 쪽에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1)는 상기 후크부(3)를 상기 걸림각도(HA)로 회전시키는 작업만으로도 상기 제2중량부재(52)가 상기 잠금부(4)를 상기 폐쇄방향(CD)으로 회전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1)는 상기 잠금부(4)를 상기 폐쇄방향(CD)으로 회전시키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폐쇄방향(CD)은 도 6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잠금회전축(RCL)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일 수 있다. 상기 폐쇄방향(CD)은 상기 개방방향(OD)과 반대 방향일 수 있다.The second weight member 52 rotates the locking part 4 so that the locking part 4 is located in the closed position CP when the hook part 3 rotates within the locking angle HA. It is to let. The second weight member 52 rotates the locking part 4 in the closing direction (CD) when the hook part 3 rotates within the locking angle HA, thereby rotating the locking part 4 It can be placed in the closed position (CP). This is because when the hook portion 3 rotates within the engaging angle HA,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weight portion 5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second weight member 52. Accordingly, the hook device 1 for a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second weight member 52 to lock the locking part 4 only by rotating the hook part 3 at the locking angle HA. It may be implemented to rotate in the closed direction (CD). Therefore, the hook device 1 for a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ease of operation of rotating the locking part 4 in the closing direction (CD). The closing direction CD may be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bout the locking rotation shaft RCL with reference to FIG. 6. The closing direction CD may be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pening direction OD.

상기 제2중량부재(52)는 상기 잠금부(4)에 비해 더 큰 중량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1)는 상기 잠금부(4)를 상기 폐쇄위치(CP)로 회전시키는 회전력이 확보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1)는 상기 제2중량부재(52)를 통해 상기 잠금부(4)를 상기 폐쇄위치(CP)로 회전시키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second weight member 52 may be formed to have a greater weight than the locking part 4. Accordingly, the hook device 1 for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to secure a rotational force that rotates the locking part 4 to the closed position CP. Therefore, the hook device 1 for a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ease of operation of rotating the locking part 4 to the closed position CP through the second weight member 52. .

상기 제2중량부재(52)는 상기 걸림위치(HP)에서 상기 잠금부(4)가 상기 폐쇄위치(CP)에 위치하는 것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1중량부재(51)에 비해 더 큰 중량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1)는 상기 걸림위치(HP)에서 상기 중량부(5)의 무게중심이 상기 제2중량부재(52) 쪽에 형성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1)는 상기 걸림위치(HP)에서 상기 잠금부(4)가 상기 제1중량부재(51)에 의해 상기 개방방향(OD)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잠금부(4)가 상기 롤러썰매(200)를 지지하는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중량부재(52)는 상기 제1중량부재(51)에 비해 더 큰 체적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걸림위치(HP)에서 상기 잠금부(4)가 상기 폐쇄위치(CP)에 위치하는 것을 유지시킬 수도 있다.The second weight member 52 has a greater weight than the first weight member 51 to keep the locking part 4 positioned at the closed position CP at the locking position HP. Can be formed. Accordingly, the hook device 1 for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such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weight part 5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second weight member 52 at the locking position HP. Therefore, the hook device 1 for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locking part 4 from rotating in the opening direction OD by the first weight member 51 at the locking position HP. By being implemented so as to be implemente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upporting force of the locking part 4 to support the roller sled 200. The second weight member 52 is formed to have a larger volume than the first weight member 51, so that the locking part 4 is located in the closed position CP at the locking position HP. You can also keep it.

도 6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중량부(5)는 가이드홈(53)을 포함할 수 있다.6 to 10, the weight part 5 may include a guide groove 53.

상기 가이드홈(53)은 상기 후크부(3)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잠금부(4)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홈(53)에는 상기 제한돌기(34)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잠금부(4)는 진동, 흔들림 등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제한돌기(34)가 상기 가이드홈(53)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1)는 상기 잠금부(4)를 회전시키는 작업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guide groove 53 guides the rotation of the locking part 4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hook part 3. The limiting protrusion 34 may b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53. Accordingly, the locking part 4 may be implemented to rotate while the limiting protrusion 34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53 even if vibration or shaking occurs. Accordingly, the hook device 1 for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operation of rotating the locking part 4.

상기 가이드홈(53)은 상기 잠금부(4)의 회전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53)은 상기 중량본체(5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53)의 일측과 타측은 상기 중량본체(50)의 중간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잠금회전축(RCL) 쪽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53)의 일측과 타측에는 상기 제1중량부재(51)와 상기 제2중량부재(52)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53)은 전체적으로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53)은 상기 중량본체(50)의 상면(上面)으로부터 소정 깊이 홈을 가공하는 작업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guide groove 53 may be formed to extend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locking part 4. The guide groove 53 may be formed in the weight body 50.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guide groove 53 may be formed to be bent toward the locking rotation shaft RCL based on an intermediate point of the weight body 50. The first weight member 51 and the second weight member 52 may be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guide groove 53, respectively. The guide groove 53 may be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as a whole. The guide groove 53 may be formed by processing a groove with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weight body 50.

도 6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1)는 제한부(6)를 포함할 수 있다.6 to 10, the hook device 1 for a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imiting part 6.

상기 제한부(6)는 상기 잠금부(4)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한부(6)는 상기 잠금부(4)가 상기 개방방향(OD)으로 회전하는 회전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한부(6)는 상기 잠금부(4)가 상기 폐쇄방향(CD)으로 회전하는 회전각도를 제한할 수도 있다. 상기 제한부(6)는 상기 중량부(5)에 형성될 수 있다.The limiting part 6 is for limi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locking part 4. The limiting part 6 may limit a rotation angle at which the locking part 4 rotates in the opening direction OD. The limiting part 6 may limit the rotation angle at which the locking part 4 rotates in the closing direction CD. The limiting part 6 may be formed on the weight part 5.

도 6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제한부(6)는 제1제한면(61), 및 상기 제2제한면(62)을 포함할 수 있다.6 to 10, the limiting part 6 may include a first limiting surface 61 and the second limiting surface 62.

상기 제1제한면(61)은 상기 제1중량부재(51)가 상기 잠금부(4)를 회전시키는 각도가 제한되도록 상기 개방위치(OP)에 위치한 상기 잠금부(4)를 지지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1)는 상기 이탈위치(BP)에서 상기 후크부(3)의 회전 각도가 증가되더라도 상기 제1제한면(61)이 상기 잠금부(4)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잠금부(4)가 상기 개방방향(OD)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1)는 상기 후크부(3)가 상기 이탈위치(BP)에서 상기 걸림위치(HP)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잠금부(4)가 상기 폐쇄위치(CP)로 용이하게 회전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limiting surface 61 supports the locking part 4 located in the open position OP so that the angle at which the first weight member 51 rotates the locking part 4 is limited. Accordingly, in the hook device 1 for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rotation angle of the hook part 3 is increased at the release position BP, the first limiting surface 61 is the locking part 4 By supporting, it can be implemented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locking portion 4 in the opening direction (OD). Therefore, the hook device 1 for a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ook portion 3 rotates from the release position (BP) to the locking position (HP), the locking portion 4 is the closed position It can be implemented to be easily rotated with (CP).

상기 제1제한면(61)은 상기 제한돌기(34)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개방위치(OP)에 위치한 잠금부(4)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제한면(61)은 상기 제한돌기(34)에 지지되도록 상기 제한돌기(34)의 외면의 일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제한면(61)은 전체적으로 상기 제2중량부재(52) 쪽으로 휘어진 곡면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제한면(61)은 상기 가이드홈(53)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limiting surface 61 is supported by the limiting protrusion 34 to support the locking part 4 located in the open position OP. The first limiting surface 61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limiting protrusion 34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limiting protrusion 34. The first limiting surface 61 may be generally implemented as a curved surface curved toward the second weight member 52. The first limiting surface 61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guide groove 53.

상기 제1제한면(61)은 상기 제한돌기(34)에 지지됨에 따라 상기 후크홈(32)의 개방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1)는 상기 이탈위치(BP)에서 상기 후크부(3)의 회전 각도가 증가하더라도 상기 롤러썰매(200)가 상기 후크홈(32)으로부터 삽입해제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As the first limiting surface 61 is supported by the limiting protrusion 34, the hook groove 32 may be kept open. Accordingly, the roller sled hook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from the hook groove 32 even if the rotation angle of the hook portion 3 increases at the departure position (BP) It may be implemented to facilitate release.

상기 제2제한면(62)은 상기 제2중량부재(52)가 상기 잠금부(4)를 회전시키는 각도가 제한되도록 상기 폐쇄위치(CP)에 위치한 상기 잠금부(4)를 지지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1)는 상기 걸림위치(HP)에서 상기 잠금부(4)가 상기 폐쇄방향(CD)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1)는 상기 후크부(3)가 상기 걸림위치(HP)에서 상기 이탈위치(BP)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잠금부(4)가 상기 개방위치(OP)로 용이하게 회전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second limiting surface 62 supports the locking part 4 located in the closed position CP so that the angle at which the second weight member 52 rotates the locking part 4 is limited. Accordingly, the hook device 1 for a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to limit rotation of the locking part 4 in the closing direction CD at the locking position HP. Therefore, the hook device 1 for a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ook part 3 rotates from the locking position HP to the release position BP, the locking part 4 is the open position It can be implemented to be easily rotated to (OP).

상기 제2제한면(62)은 상기 제한돌기(34)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폐쇄위치(CP)에 위치한 잠금부(4)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제한면(62)은 상기 제한돌기(34)에 지지되도록 상기 제한돌기(34)의 외면의 일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제한면(62)은 전체적으로 상기 제1중량부재(51) 쪽으로 휘어진 곡면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제한면(62)은 상기 가이드홈(53)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limiting surface 62 may be supported by the limiting protrusion 34 to support the locking part 4 located in the closed position CP. The second limiting surface 62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limiting protrusion 34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limiting protrusion 34. The second limiting surface 62 may be generally implemented as a curved surface curved toward the first weight member 51. The second limiting surface 62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guide groove 53.

상기 제2제한면(62)은 상기 제한돌기(34)에 지지됨에 따라 상기 후크홈(32)의 폐쇄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1)는 상기 걸림위치(HP)에서 상기 후크부(3)의 회전 각도가 변경되더라도 상기 롤러썰매(200)가 상기 후크홈(32)으로부터 삽입된 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잠금부(4)가 상기 롤러썰매(200)를 지지하는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제한면(62)은 상기 가이드홈(53)을 중심으로 상기 제1제한면(61)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As the second limiting surface 62 is supported by the limiting protrusion 34, the hook groove 32 may be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Accordingly, in the hook device 1 for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ller sled 200 is inserted from the hook groove 32 even if the rotation angle of the hook part 3 is changed at the locking position HP. By maintaining the stat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upport force of the locking part 4 to support the roller sled 200. The second limiting surface 62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imiting surface 61 around the guide groove 53.

도 6 및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1)는 복원부(7)를 포함할 수 있다.6 and 9, the hook device 1 for a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storation unit 7.

상기 복원부(7)는 상기 후크부(3)가 상기 이탈위치(BP)에서 상기 걸림위치(HP) 쪽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잠금부(4)가 상기 개방위치(OP)에서 상기 폐쇄위치(CP)로 복원하도록 상기 잠금부(4)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1)는 상기 잠금부(4)가 상기 폐쇄방향(CD)으로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잠금부(4)를 상기 폐쇄위치(CP)로 이동시키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When the hook part 3 rotates from the release position BP to the locking position HP, the restoring part 7 moves the locking part 4 at the open position OP to the closed position (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the locking part 4 to restore it to CP). Accordingly, the hook device 1 for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so that the locking part 4 is easily rotated in the closing direction (CD), so that the locking part 4 is in the closed position ( CP) can improve the ease of movement.

상기 복원부(7)는 상기 잠금회전축(RCL)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원부(7)는 상기 잠금회전축(RCL)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잠금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복원부(7)는 상기 잠금회전축(RCL)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복원부(7)는 상기 잠금부(4)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복원부(7)는 상기 잠금부(4)에 비해 더 큰 중량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원부(7)는 상기 잠금회전축(RCL)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중량부(5)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restoration part 7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locking rotation shaft RCL. The restoration part 7 may be coupled to the locking part 4 so as to be disposed under the locking rotation shaft RCL. The restoration part 7 may rotate around the locking rotation shaft RCL. The restoration part 7 may protrude outside the locking part 4. The restoring part 7 may be formed to have a greater weight than the locking part 4. The restoration part 7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weight part 5 based on the locking rotation shaft RCL.

도 2 및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1)는 회전유도부(8)를 포함할 수 있다.2 and 11, the hook device 1 for a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otation guide part 8.

상기 회전유도부(8)는 상기 후크부(3)가 상기 이탈위치(BP)로 회전하는 것을 유도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유도부(8)는 상기 후크부(3)가 회전하는 것을 유도하도록 상기 리프트(3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크부(3)는 상기 회전유도부(8)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유도부(8)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1)는 상기 회전유도부(8)를 회전시키는 작업만으로도 상기 후크부(3)가 회전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후크부(3)에 대한 회전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후크부(3)는 상기 고정부(2)를 통해 상기 회전유도부(8)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유도부(8)는 상기 리프트(300)의 이동경로 상에 설치된 레일(Rail)(미도시)을 통해 상기 후크부(3)의 회전을 유도할 수 있다.The rotation induction part 8 induces the hook part 3 to rotate to the release position BP. The rotation induction part 8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lift 300 to induce rotation of the hook part 3. In this case, the hook part 3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on guide part 8 so as to rotate together as the rotation guide part 8 rotates. Accordingly, the hook device 1 for a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so that the hook part 3 rotates only by rotating the rotation guide part 8, so that the rotation work for the hook part 3 Ease of use can be improved. The hook part 3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on guide part 8 through the fixing part 2. The rotation induction part 8 may induce rotation of the hook part 3 through a rail (not shown) installed on a movement path of the lift 300.

상기 회전유도부(8)는 상기 후크부(3)가 상기 이탈각도(BA)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후크부(3)가 상기 이탈위치(BP)에 위치하는 것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1)는 상기 회전유도부(8)를 통해 상기 후크부(3)가 상기 이탈위치(BP)에서 상기 걸림위치(HP)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롤러썰매(200)가 상기 이탈위치(BP)에서 상기 후크부(3)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는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롤러썰매용 후크장치(1)는 상기 롤러썰매(200)에 대한 이탈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유도부(8)는 상기 레일(미도시)을 통해 상기 후크부(3)가 상기 이탈위치(BP)에 유지하기 위한 지지력을 상기 후크부(3)에 제공할 수 있다.The rotation induction part 8 may keep the hook part 3 positioned at the release position BP when the hook part 3 reaches the departure angle BA. Accordingly, the hook device 1 for a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hook part 3 from rotating from the release position BP to the locking position HP through the rotation guide unit 8. By implementing,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te in which the roller sled 200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hook portion 3 at the separation position BP. Therefore, the hook device 1 for a roller s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ease of separation operation for the roller sled 200. The rotation induction part 8 may provide a support force to the hook part 3 to hold the hook part 3 in the release position BP through the rail (not shown).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회전유도부(8)는 유도부재(81), 연결부재(82), 및 축부재(83)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rotation induction part 8 may include an induction member 81, a connection member 82, and a shaft member 83.

상기 유도부재(81)는 상기 후크부(3)가 상기 이탈위치(BP)로 회전하는 것을 유도하는 것이다. 상기 유도부재(81)는 상기 레일에 의해 가이드됨에 따라 상기 후크부(3)의 회전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유도부재(81)는 상기 후크부(3)가 상기 이탈위치(BP)에 위치하는 것을 유지시킬 수도 있다. 상기 유도부재(81)는 상기 연결부재(8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유도부재(81)는 상기 축부재(83)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유도부재(81)는 상기 후크부(3)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도부재(81)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태인 롤러(Roller)로 구현될 수 있다.The guide member 81 is to induce the hook portion 3 to rotate to the release position BP. As the guide member 81 is guided by the rail, it may induce rotation of the hook part 3. The guide member 81 may keep the hook part 3 positioned at the release position BP. The guide member 81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member 82. The guide member 81 may rotate around the shaft member 83. The guide member 81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hook part 3. The guide member 81 may be implemented as a roller having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상기 연결부재(82)는 상기 유도부재(81)와 상기 축부재(83)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부재(82)는 상기 유도부재(81)와 상기 축부재(83)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82)는 상기 유도부재(81)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상기 축부재(83)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82 connects the guide member 81 and the shaft member 83. The connecting member 82 may be coupled to each of the guide member 81 and the shaft member 83. The connecting member 82 may rotate around the shaft member 83 together as the guide member 81 rotates.

상기 축부재(83)는 상기 유도부재(81)가 회전하기 위한 축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축부재(83)는 상기 리프트(300)와 상기 연결부재(82)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축부재(83)를 통해 상기 유도부재(81)와 상기 후크부(3)는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축부재(83)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shaft member 83 may function as a shaft through which the guide member 81 rotates. The shaft member 83 may be coupled to each of the lift 300 and the connection member 82. The guide member 81 and the hook part 3 may rotate together through the shaft member 83. The shaft member 83 may be entirel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obvious to those who have the knowledge of.

1 : 롤러썰매용 후크장치 2 : 고정부
3 : 후크부 4 : 잠금부
5 : 중량부 6 : 제한부
7 : 복원부 8 : 회전유도부
20 : 고정본체 21 : 지지돌기
31 : 후크부재 32 : 후크홈
33 : 지지부재 34 : 제한돌기
40 : 잠금본체 41 : 잠금부재
50 : 중량본체 51 : 제1중량부재
52 : 제2중량부재 53 : 가이드홈
61 : 제1제한면 62 : 제2제한면
81 : 유도부재 82 : 연결부재
83 : 축부재 RCH : 후크회전축
HP : 걸림위치 BP : 이탈위치
HA : 걸림각도 BA : 이탈각도
RCL : 잠금회전축 CP : 폐쇄위치
OP : 개방위치 OD : 개방방향
CD : 폐쇄방향 200 : 롤러썰매
300 : 리프트
1: hook device for roller sled 2: fixing part
3: hook part 4: locking part
5: weight part 6: limiting part
7: restoration unit 8: rotation induction unit
20: fixed body 21: support protrusion
31: hook member 32: hook groove
33: support member 34: limiting protrusion
40: locking body 41: locking member
50: weight body 51: first weight member
52: second weight member 53: guide groove
61: first limit surface 62: second limit surface
81: guide member 82: connecting member
83: shaft member RCH: hook rotation shaft
HP: Jam location BP: Departure location
HA: Engagement angle BA: Departure angle
RCL: Locked rotating shaft CP: Closed position
OP: Open position OD: Open direction
CD: Closed direction 200: Roller sled
300: lift

Claims (12)

롤러썰매를 운반하기 위한 리프트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롤러썰매가 걸리는 걸림위치와 상기 롤러썰매를 이탈시키기 위한 이탈위치 간에 회전하도록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후크부;
상기 후크부의 회전각도에 따라 회전하도록 상기 후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잠금부; 및
상기 후크부가 상기 이탈위치에 도달하는 이탈각도에 비해 작은 걸림각도 내에서 회전하면 상기 후크부에 걸린 롤러썰매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후크부가 상기 이탈각도에 도달하면 상기 후크부에 걸린 롤러썰매에 대한 지지를 해제하도록 상기 잠금부에 결합된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썰매용 후크장치.
Fixing part fixed to the lift for transporting the roller sled;
A hook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so as to rotate between a locking position in which the roller sled is caught and a release position for separating the roller sled;
A locking part rotatably coupled to the hook part to rotate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hook part; And
When the hook portion rotates within a small engagement angle compared to the departure angle reaching the departure position, it supports the roller sled caught in the hook portion, and when the hook portion reaches the departure angle, the roller sled caught in the hook portion Hook device for roller sled comprising a weight portion coupled to the locking portion to release the sup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제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량부는 상기 후크부가 상기 이탈각도에 도달하면 상기 잠금부가 상기 후크부에 걸린 롤러썰매에 대한 지지를 해제하는 개방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잠금부를 회전시키는 제1중량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한부는 상기 제1중량부재가 상기 잠금부를 회전시키는 각도가 제한되도록 상기 개방위치에 위치한 잠금부를 지지하는 제1제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썰매용 후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imiting portion for limi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locking portion,
The weight portion includes a first weight member that rotates the locking portion so that when the hook portion reaches the departure angle, the locking portion is positioned in an open position to release support for the roller sled caught on the hook portion,
The limiting portion includes a first limiting surface for supporting the locking portion located in the open position so that the angle at which the first weight member rotates the locking portion is limi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걸림위치와 상기 이탈위치 간에 회전하는 후크부재, 상기 롤러썰매가 삽입되기 위한 후크홈, 및 상기 후크부재에 결합된 제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제한면은 상기 제한돌기에 지지됨에 따라 상기 후크홈의 개방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썰매용 후크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hook portion includes a hook member rotating between the locking position and the release position, a hook groove into which the roller sled is inserted, and a limiting protrusion coupled to the hook member,
The hook device for a roller sled,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limiting surface maintains the open state of the hook groove as it is supported by the limiting protru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는 상기 후크부가 상기 이탈각도에 도달하면 상기 잠금부가 상기 후크부에 걸린 롤러썰매에 대한 지지를 해제하는 개방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잠금부를 회전시키는 제1중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중량부재는 상기 잠금부를 상기 개방위치로 회전시키는 회전력이 확보되도록 상기 잠금부에 비해 더 큰 중량(重量)을 갖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썰매용 후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weight portion includes a first weight member that rotates the locking portion so that when the hook portion reaches the departure angle, the locking portion is located in an open position to release support for the roller sled caught on the hook portion,
The first weight member is a hook device for roller sled,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have a greater weight than the locking portion so as to secure a rotational force for rotating the locking portion to the open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부는 상기 후크부가 상기 걸림각도 내에서 회전하면 상기 잠금부가 상기 후크부에 걸린 롤러썰매를 지지하는 폐쇄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잠금부를 회전시키는 제2중량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한부는 상기 제2중량부재가 상기 잠금부를 회전시키는 각도가 제한되도록 상기 폐쇄위치에 위치한 잠금부를 지지하는 제2제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썰매용 후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t includes a limiting portion for limi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locking portion,
The weight portion includes a second weight member that rotates the locking portion so that when the hook portion rotates within the locking angle, the locking portion is positioned in a closed position supporting the roller sled caught in the hook portion,
The limiting portion includes a second limiting surface for supporting the locking portion located in the closed position so that the angle at which the second weight member rotates the locking portion is limit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걸림위치와 상기 이탈위치 간에 회전하는 후크부재, 상기 롤러썰매가 삽입되기 위한 후크홈, 및 상기 후크부재에 결합된 제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제한면은 상기 제한돌기에 지지됨에 따라 상기 후크홈의 폐쇄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썰매용 후크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hook portion includes a hook member rotating between the locking position and the release position, a hook groove into which the roller sled is inserted, and a limiting protrusion coupled to the hook member,
The second limiting surface is supported by the limiting protrusion, thereby maintaining the closed state of the hook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는 상기 후크부가 상기 걸림각도 내에서 회전하면 상기 잠금부가 상기 후크부에 걸린 롤러썰매를 지지하는 폐쇄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잠금부를 회전시키는 제2중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중량부재는 상기 잠금부를 상기 폐쇄위치로 회전시키는 회전력이 확보되도록 상기 잠금부에 비해 더 큰 중량(重量)을 갖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썰매용 후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weight portion includes a second weight member that rotates the locking portion so that when the hook portion rotates within the locking angle, the locking portion is positioned at a closed position supporting the roller sled caught in the hook portion,
The second weight member is a hook device for a roller sled,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have a greater weight than the locking portion so as to secure a rotational force for rotating the locking portion to the closed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는
상기 후크부가 상기 이탈각도에 도달하면 상기 잠금부가 상기 후크부에 걸린 롤러썰매에 대한 지지를 해제하는 개방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잠금부를 회전시키는 제1중량부재; 및
상기 후크부가 상기 걸림각도 내에서 회전하면 상기 잠금부가 상기 후크부에 걸린 롤러썰매를 지지하는 폐쇄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잠금부를 회전시키는 제2중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중량부재는 상기 걸림위치에서 상기 잠금부가 상기 폐쇄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1중량부재에 비해 더 큰 중량(重量)을 갖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썰매용 후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weight part
A first weight member for rotating the locking unit so that when the hook portion reaches the departure angle, the locking portion is positioned in an open position to release support for the roller sled caught in the hook portion; And
When the hook portion rotates within the locking angle, the locking portion includes a second weight member that rotates the locking portion so that the locking portion is positioned in a closed position supporting the roller sled caught in the hook portion,
The second weight member is a hook device for a roller sled,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have a greater weight than the first weight member so as to maintain the locking part in the closed position in the locking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후크부가 상기 리프트 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지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크부재, 및 상기 후크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된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걸림위치에서 상기 후크부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지지돌기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썰매용 후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portion includes a support protrusion that restricts rotation of the hook portion toward the lift,
The hook portion includes a hook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and a support member protruding outward of the hook member,
The support member is a hook device for roller sled, characterized in that supported by the support protrusion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hook portion at the locking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걸림위치와 상기 이탈위치 간에 회전하는 후크부재, 및 상기 후크부재에 결합된 제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부는 상기 후크부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잠금부의 회전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제한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잠금부의 회전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썰매용 후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ook portion includes a hook member rotating between the locking position and the release position, and a limiting protrusion coupled to the hook member,
The weight portion includes a guide groove into which the limiting protrusion is inserted to guide the rotation of the locking por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hook portion,
The guide groove is a hook device for a roller sled,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extend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lock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가 상기 이탈위치에서 상기 걸림위치 쪽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잠금부가 상기 후크부에 걸린 롤러썰매에 대한 지지를 해제하는 개방위치에서 상기 후크부에 걸린 롤러썰매를 지지하는 폐쇄위치로 복원하도록 상기 잠금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원부는 상기 잠금부의 회전중심인 잠금회전축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잠금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썰매용 후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hook portion is rotated from the disengagement position toward the locking position, the locking portion is restored to a closed position supporting the roller sled caught in the hook portion from an open position to release support for the roller sled caught in the hook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restoration unit providing a restoration force to the locking unit,
The restoring part is a hook device for roller sled,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locking part so as to be disposed under the locking shaft which is the rotation center of the lock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가 상기 이탈위치로 회전하는 것을 유도하도록 상기 리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유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회전유도부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유도부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유도부는 상기 후크부가 상기 이탈각도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이탈위치에 위치하도록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썰매용 후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otation guide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lift to induce the hook portion to rotate to the release position,
The hook part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guide part so as to rotate together as the rotation guide part rotates,
The rotation induction part, the hook device for a roller sled,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hook portion reaches the departure angle to be positioned to be located at the departure position.
KR1020190042819A 2019-04-12 2019-04-12 Hook Apparatus for Roller Luge KR1021692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819A KR102169241B1 (en) 2019-04-12 2019-04-12 Hook Apparatus for Roller Lu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819A KR102169241B1 (en) 2019-04-12 2019-04-12 Hook Apparatus for Roller Lu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219A true KR20200120219A (en) 2020-10-21
KR102169241B1 KR102169241B1 (en) 2020-10-23

Family

ID=73034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819A KR102169241B1 (en) 2019-04-12 2019-04-12 Hook Apparatus for Roller Lu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924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0288A (en) * 2021-10-27 2023-05-04 삼척루지 주식회사 Management system for passenger and luges transport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6640B1 (en) * 1998-05-13 2003-02-19 삼성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detecting defect of paper and method of processing the defected paper
JP2006015962A (en) * 2004-07-05 2006-01-19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Simple conveying cableway device and system
KR101301629B1 (en) * 2012-01-04 2013-08-29 바다중공업 주식회사 A auto release hook device for ship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6640B1 (en) * 1998-05-13 2003-02-19 삼성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detecting defect of paper and method of processing the defected paper
JP2006015962A (en) * 2004-07-05 2006-01-19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Simple conveying cableway device and system
KR101301629B1 (en) * 2012-01-04 2013-08-29 바다중공업 주식회사 A auto release hook device for shi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0288A (en) * 2021-10-27 2023-05-04 삼척루지 주식회사 Management system for passenger and luges transpor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9241B1 (en) 2020-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9241B1 (en) Hook Apparatus for Roller Luge
KR101635940B1 (en) The apparatus for a leisure downhill sports
US9675893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magnetic spin control for track-mounted vehicles
CN104203778A (en) High efficiency sorting conveyor with improved friction drive motor assembly
TW201215557A (en) Carrier cart and carrying system
EP3560567B1 (en) Pivot coaster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JP2019508318A (en) Carrier fixing device for vehicle
JPH0928924A (en) Reverse-preventing device
EP3560806B1 (en) Transport device
US803465A (en) Amusement device.
JP4066945B2 (en) Object support device
US20170066488A1 (en) Overturn prevention device for trailers
US20090013895A1 (en) Ride
JP2014097784A (en) Coupling device of unmanned carrier
CN104129412B (en) A kind of orthogonal omnidirectional's wheel assembly
JPH09249303A (en) Vibration preventing equipment of stacker crane
JP6566469B2 (en) Cable carrier for motorcycles
JP4271983B2 (en) Article conveying device
JP2022544097A (en) Vehicles for transporting cargo
JP6770730B2 (en) Safety bar lock device for chair lift carrier
JP2012508680A (en) Intermediate hook for a belt conveyor in a device for conveying suspended articles
KR102043724B1 (en) Rail carrying device
JP2000095163A (en) Motorcycle storing method for motorcycle parking device and storing mechanism of motorcycle parking device
JPH05116728A (en) Pallet device, anti-rocking device and pallet moving device for vertical carrier chain conveyor, and vertical carrier chain conveyor using the devices
WO2017209234A1 (en) Carrying b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