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0003A - 3D visualization system of space based on geographic data and 3D visualization of space using it - Google Patents
3D visualization system of space based on geographic data and 3D visualization of space using 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20003A KR20200120003A KR1020190042313A KR20190042313A KR20200120003A KR 20200120003 A KR20200120003 A KR 20200120003A KR 1020190042313 A KR1020190042313 A KR 1020190042313A KR 20190042313 A KR20190042313 A KR 20190042313A KR 20200120003 A KR20200120003 A KR 202001200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layer
- spatial
- generation unit
- sty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10—Geometric effec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리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공간을 3차원으로 시각화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공간을 3차원으로 시각화하는 방법과 관련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visualizing a space in three dimensions based on geographic data and a method for visualizing a space in three dimensions using the same.
종래에는 지리적인 공간을 표시하기 위하여 지도와 같은 2차원의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현재에는 3차원의 개념을 도입한 공간의 시각화가 일반화되고 있다. 3차원의 개념을 도입한 공간의 시각화는 공간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고 공간이 가지는 특성을 직관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Conventionally, a two-dimensional method such as a map has been used to display a geographic space. Nowadays, the visualization of a space using the concept of 3D is becoming common. Visualization of a space incorporating a three-dimensional concept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intuitively recognize the space and intuitively displa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지리적인 공간을 3차원으로 시각화하는 방법 중 하나로 위성이나 항공기를 이용한 촬영 등을 통해 데이터를 얻고 이를 시각화하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비용이 많이 들게 되고, 얻어진 데이터를 가공하여 다양한 표현을 하기에는 부적합하다.One of the three-dimensional visualization of geographic space is a method of obtaining data and visualizing it through photographing using satellites or aircraft. However, such a method becomes expensive, and it is not suitable for processing the obtained data to express various expressions.
이에 따라 최근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7212호와 같이 지리데이터를 이용하여 3차원으로 지리적인 공간을 표시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선행기술은 지리데이터를 이용하여 건물을 시각화하는 것에 주된 관점을 가진 것으로서, 전체적인 공간을 시각화하거나 공간을 다양한 형태로 시각화하는 것에 대한 제시가 없다. 또한 지역의 통계정보와 같이 지도와 다른 형태의 지리데이터를 시각화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고려하고 있지 않다.Accordingly, recently, a technology for displaying a geographic space in three dimensions by using geographic data, as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97212, has been proposed. However, the prior art has a main perspective on visualizing buildings using geographic data, and there is no suggestion for visualizing the entire space or visualizing the space in various forms. Also, it does not consider how to visualize maps and other types of geographic data such as regional statistical information.
본 발명은 지리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지리적 정보를 3차원으로 시각화할 수 있도록 하여 지리적 정보를 유효하게 시각화할 수 있도록 하며, 지리적 정보를 다양한 형태로 시각화할 수 있게 하는 지리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공간의 3차원 시각화 시스템을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visualize geographic information in three dimensions based on geographic data to effectively visualize geographic information, and to visualize geographic information in various forms. We present a 3D visualization system.
또한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지리적 정보를 3차원 공간으로 시각화하는 방법을 제시한다.It also presents a method of visualizing geographic information in a three-dimensional space using this system.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In addition, detailed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early understood and understood by experts or researchers in this technical field through specific contents described below.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지리데이터로부터 시각화 대상의 위치 정보와 특성정보를 추출하고 위치 정보와 특성정보를 포함하는 지오데이터를 생성하는 지오데이터생성부, 상기 지오데이터생성부에서 생성된 시각화 대상의 특성정보에 따라 해당 특성에 스타일을 부가하여 표시하는 스타일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타일데이터생성부, 상기 지오데이터생성부에서 생성된 지오데이터와 상기 스타일데이터생성부에서 생성된 스타일데이터를 매칭하고 매칭된 데이터 중 동종의 데이터를 모아 그룹으로 지정한 레이어데이터를 생성하는 레이어데이터생성부, 상기 레이어데이터가 공간에서 표시되는 형태를 규정하기 위한 공간데이터를 생성하는 공간데이터생성부 및 상기 레이어데이터와 상기 공간데이터를 매칭하여 렌더링하고 렌더링된 결과를 웹 브라우저에 표시하는 데이터렌더링부를 포함하는 지리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시각화 시스템을 제시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mbodiment, a geodata generation unit that extracts location information and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a visualization target from geographic data and generates geodata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and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the geodata generation unit A style data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style data to be displayed by adding a style to a corresponding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visualization object generated in, the geodata generated by the geodata generation unit and the style data generated by the style data generation unit A layer data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layer data designated as a group by matching data of the same kind among the matched data, a spatial data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spatial data to define a form in which the layer data is displayed in space, and the layer A 3D visualization system using geographic data including a data rendering unit for matching data and spatial data to render and displaying the rendered result on a web browser is presented.
여기에서, 상기 지오데이터생성부는, 시각화 대상인 물체의 위도, 경도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데이터생성유닛 및 상기 물체의 일반명칭, 크기를 포함하는 특성정보를 생성하는 특성데이터생성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geodata generation unit includes a location data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latitude and longitude of the object to be visualized, and a characteristic data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property information including the general name and size of the object. can do.
한편, 상기 스타일데이터생성부는, 시각화 대상인 물체의 크기에 대한 특성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물체를 표시하기 위한 크기를 산정하는 크기산정유닛, 상기 물체의 일반명칭에 대한 특성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물체를 표시하기 위한 시각효과를 지정하는 효과지정유닛 및 상기 물체의 일반명칭에 대한 특성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물체를 표시하기 위한 색을 지정하는 색지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tyle data generation unit may include a size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a size for displaying the object based on characteristic information about the size of the object to be visualized, and the object based on characteristic information about the general name of the object. And a color designating unit designating a color for displaying the object based on characteristic information on the general name of the object and an effect designating unit designating a visual effect for displaying the object.
또한 상기 레이어데이터생성부는, 생성된 상기 스타일데이터를 상기 스타일데이터가 적용될 시각화 대상의 지오데이터와 매칭하는 매칭유닛 및 상기 지오데이터와 상기 스타일데이터가 매칭된 데이터들 중 지오데이터의 특성정보가 공통되는 시각화 대상들의 매칭된 데이터를 그룹으로 묶는 레이어데이터를 생성하는 레이어데이터생성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ayer data generation unit may include a matching unit that matches the generated style data with the geodata to which the style data is to be applied, and the geodata in which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geodata is common among data matched with the geodata and the style data. It may include a layer data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layer data for grouping matched data of visualization objects.
한편 상기 공간데이터생성부는, 상기 레이어데이터를 공간에 표시하기 위한 기준점을 설정하는 기준점설정유닛, 상기 레이어데이터가 공간에서 표시되는 시점을 지정하는 시점지정유닛 및 상기 레이어데이터가 공간에 표시되는 범위를 지정하는 범위지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patial data generation unit may include a reference point setting unit for setting a reference point for displaying the layer data in space, a view designating unit for designating a point at which the layer data is displayed in space, and a range in which the layer data is displayed in space. It may include a designated range designating unit.
또한 상기 데이터렌더링부는, 상기 공간데이터에서 규정된 형태를 적용하여 좌표 변환이 이루어진 공간객체를 생성하는 공간객체생성유닛, 상기 레이어데이터로부터 상기 공간객체에 맞도록 좌표 변환이 이루어진 레이어객체를 생성하는 레이어객체생성유닛 및 상기 공간객체와 상기 레이어객체를 매칭시켜 웹브라우저에 표시하는 객체매칭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 rendering unit may include a spatial object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a spatial object in which coordinates have been transformed by applying a form specified in the spatial data, and a layer that generates a layer object whose coordinates have been transformed to fit the spatial object from the layer data. It may include an object creation unit and an object matching unit that matches the spatial object and the layer object and displays it in a web browser.
또한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지리데이터로부터 시각화 대상의 위치 정보와 특성정보를 추출하고 위치 정보와 특성정보를 포함하는 지오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생성된 시각화 대상의 특성정보에 따라 해당 특성에 스타일을 부가하여 표시하는 스타일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생성된 지오데이터와 상기 제2단계에서 생성된 스타일데이터를 매칭하고 매칭된 데이터 중 동종의 데이터를 모아 그룹으로 지정한 레이어데이터를 생성하는 제3단계, 상기 레이어데이터가 공간에서 표시되는 형태를 규정하기 위한 공간데이터를 생성하는 제4단계 및 상기 레이어데이터와 상기 공간데이터를 매칭하여 렌더링하고 렌더링된 결과를 웹 브라우저에 표시하는 제5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step of extrac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feature information of the object to be visualized from the geographic data and generating the geo data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feature information, in the first step The second step of generating style data to display by adding a style to the corresponding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generated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visualization target, matching and matching the geodata generated in the first step with the style data generated in the second step A third step of generating layer data designated as a group by collecting data of the same type, a fourth step of generating spatial data for defining a form in which the layer data is displayed in space, and the layer data and the spatial data It may include a fifth step of matching, rendering, and displaying the rendered result in a web browser.
여기에서 상기 지오데이터, 상기 스타일데이터 또는 상기 레이어데이터는 종래 생성한 지오데이터, 스타일데이터 또는 레이어데이터를 사용하거나 새로운 지오데이터, 스타일데이터 또는 레이어데이터를 추가로 생성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Here, as the geo data, the style data, or the layer data, it may be possible to use conventionally generated geo data, style data, or layer data, or to additionally generate and use new geo data, style data, or layer data.
또한 상기 제5단계는, 제1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공간데이터를 로딩하는 단계,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에 로딩된 공간데이터에 대하여 공간의 중심, 시점 및 범위에 따라 좌표 변환을 수행함으로써 공간객체를 생성하는 단계, 제2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레이어데이터를 로딩하는 단계,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에 로딩된 레이어데이터의 그룹으로 묶여 있는 시각화 대상에 대하여 상기 공간객체와 대응되도록 좌표 변환을 수행함으로써 레이어객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공간객체와 상기 레이어객체를 합성하여 웹 브라우저 상에 시각화 대상이 포함된 공간을 렌더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fth step includes the steps of loading the spatial data into a first database, and generating a spatial object by performing coordinate transformation on the spatial data loaded in the first database according to the center, viewpoint, and range of space. , Loading the layer data into a second database, generating a layer object by performing coordinate transformation to correspond to the spatial object with respect to a visualization object grouped into a group of layer data loaded in the second database It may include the step of synthesizing the created spatial object and the layer object to render a space including a visualization object on a web browser.
한편, 상기 3차원 시각화 방법은, 상기 제5단계에 따라 웹 브라우저에 표시된 결과에 상기 지리데이터로부터 추출되고 상기 시각화 대상과 관련된 정보를 2차원으로 추가하여 표시하는 제6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3D visualization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ixth step of extracting from the geographic data and display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visualization object in two dimensions to the result displayed on the web browser according to the fifth step.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준적 또는 규약된 형태의 지리데이터를 통해 다양한 공간을 실시간적으로 렌더링하여 시각화할 수 있고, 같은 공간 내에서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공간 시각화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spaces may be rendered and visualized in real time through geographic data in a standard or prescribed form, and spatial visualization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even within the same space. .
또한 시간의 흐름이나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3차원 공간의 구성 객체들을 추가, 제거, 변형시켜 시각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를 통하여 정적 시각화에 비해 사용성, 시인성, 표현력이 더 높은 동적 3차원 시각화가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visualize by adding, removing, and transforming constituent objects in the 3D space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or the user's request, and through this, dynamic 3D visualization with higher usability, visibility, and expressiveness than static visualization is possible. .
한편 시각화된 3차원 공간을 모든 위치, 방향에서 조망하도록 할 수 있고, 웹브라우저에서 완전한 3차원으로 공간을 시각화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view the visualized 3D space from all positions and directions, and it is possible to visualize the space in full 3D in a web browser.
또한 사용자의 시점을 강조하고 싶은 공간, 개체 등이 시각적으로 두드러지도록 자유롭게 조절하여 시각화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ffect of visualization by freely adjusting the space or object that you want to emphasize the user's viewpoint to visually stand out.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Other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early understood and understood by experts or researchers in this technical field during the process of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or through the detailed contents described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시각화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시각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들의 세부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시각화 시스템에서 각 데이터들을 생성하고 렌더링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시각화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렌더링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시각화 시스템을 이용하여 생성된 각 데이터와 이를 렌더링한 결과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시각화 시스템을 이용하여 시각화된 3차원 공간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시각화 시스템을 이용하여 시각화된 3차원 공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시각화 시스템을 이용하여 시각화된 3차원 공간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시각화 시스템을 이용하여 시각화된 도시 정보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1 is a block diagram of a 3D visualiz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components constituting the 3D visua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3 is a flow chart showing a process of generating and rendering each data in the 3D visua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4 is a flow chart showing a process of rendering data in the 3D visua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FIG. 5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each data generated using a 3D visua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and a result of rendering the same.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3D space visualized using the 3D visua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7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3D space visualized using the 3D visua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3D space visualized using the 3D visua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ity information visualized using the 3D visua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The featur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conne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 will be able to. 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various forms may be applied,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of disclosure,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시각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시각화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Hereinafter, a 3D visualiz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3D visualization method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and similar configurations even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the description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시각화 시스템(100)은, 지오데이터생성부(1), 스타일데이터생성부(2), 레이어데이터생성부(3), 공간데이터생성부(4) 및 데이터렌더링부(5)를 포함한다.The 3D visualiz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지오데이터생성부(1)는 지리데이터로부터 시각화 대상의 위치 정보와 특성정보를 추출하고 위치 정보와 특성정보를 포함하는 지오데이터(Geo Data)를 생성한다. 지리데이터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지리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고, 이 지리데이터에 포함된 정보 중 표시하고자 하는 대상의 위치에 관련된 정보와 건물, 자연물, 인구 수 등 그 대상의 특성에 관련된 정보를 추출하여 지오데이터를 생성한다.The
스타일데이터생성부(2)는 지오데이터생성부(1)에서 생성된 시각화 대상의 특성정보에 따라 해당 특성에 스타일을 부가하여 표시하는 스타일데이터를 생성한다. 스타일데이터로는 색, 크기, 투명도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이러한 스타일을 지오데이터에 부여할 수 있게 한다.The style
레이어데이터생성부(3)는 지오데이터생성부(1)에서 생성된 지오데이터와 스타일데이터생성부(2)에서 생성된 스타일데이터를 매칭하고 매칭된 데이터 중 동종의 데이터를 모아 그룹으로 지정한 레이어데이터를 생성한다. 레이어데이터생성부(3)를 통해 지오데이터에 스타일데이터가 부가된 후 공통점을 가진 데이터들끼리 그룹으로 지정될 수 있다.The layer data generation unit (3) matches the geo data generated by the geo data generation unit (1) and the style data generated by the style data generation unit (2), collects the same type of data among the matched data, and designates the layer data as a group. Create After the style data is added to the geo data through the
공간데이터생성부(4)는 레이어데이터가 공간에서 표시되는 형태를 규정하기 위한 공간데이터를 생성한다. 공간데이터생성부(4)는 중심점, 시점 등을 규정하는 데이터를 생성하여 다양한 형태로 레이어데이터를 변환시켜 표시되도록 한다.The spatial
데이터렌더링부(5)는 레이어데이터와 공간데이터를 매칭하여 렌더링하고 렌더링된 결과를 웹 브라우저에 표시한다. 데이터렌더링부(5)에 의해 레이어데이터는 공간데이터에 의해 규정된 형태로 변환되어 웹 브라우저에 표시된다.The data rendering
이하, 각 부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each un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시각화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시각화 시스템의 각 구성들의 세부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3D visualiz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components of the 3D visua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shown in FIG. 1.
상술한 바와 같이 지오데이터생성부(1)는 지리데이터로부터 시각화 대상의 위치 정보와 특성정보를 추출하고 위치 정보와 특성정보를 포함하는 지오데이터를 생성한다.As described above, the
지리데이터는 일반적으로 지도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3차원 지리적 공간과 관련된 데이터일 수도 있고, 지역의 통계를 나타내는 지역 정보 데이터일 수도 있다. 지리데이터는 지오제이슨(GeoJSON) 등 파일이나 포스트 지아이에스(postGIS) 등과 같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공지된 지리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Geographic data may be data related to a three-dimensional geographic space as generally displayed on a map, or may be regional information data representing statistics of a region. The geographic data may use known geographic data stored in a file such as GeoJSON or a database such as postGIS.
지리적 공간을 지오데이터로 생성하기 위하여 지오데이터생성부(1)는, 위치데이터생성유닛(11)과 특성데이터생성유닛(12)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generate a geographic space as geodata, the
위치데이터생성유닛(11)은, 시각화 대상인 물체의 위도, 경도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지리데이터로부터 추출하여 생성하고, 특성데이터생성유닛(12)은 물체의 일반명칭, 크기를 포함하는 특성정보를 지리데이터로부터 추출하여 생성한다.The location
지리적 공간과 관련하여 공지된 지리데이터는 대상물의 지리적 위치와 함께 대상물의 각종 특징들에 대한 정보들을 포함한다. 이 지리적 데이터로부터 특정 정보들만을 선별적으로 수집하여 지오데이터를 생성한다.Geographic data known in relation to the geographic space includes information on various features of the object together with the geographic location of the object. Only specific information is selectively collected from this geographic data to generate geodata.
지리데이터에는 위도, 경도와 같은 위치데이터를 포함하면서 해당 위치에 존재하는 물체가 도로, 건물, 자연물 등과 같이 어떤 물체에 해당하는지와 그 물체의 특성에 대한 정보로서 큰 도로인지 작은 도로인지 건물은 몇 층인지 등과 같이 특징들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Geographic data includes location data such as latitude and longitude, and how many objects exist at the location, such as roads, buildings, and natural objects, and inform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 It contains data on features such as layer recognition.
여기에서 위치데이터생성유닛(11)은 물체의 위도, 경도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특성데이터생성유닛(12)은 물체의 일반명칭과 크기를 포함하는 특성정보를 추출하여 생성한다. 예를 들어 건물의 경우 (위도, 경도, 건물(일반명칭에 해당), 층수(크기에 해당))와 같은 형태의 지오데이터를 생성하고 도로의 경우 (위도, 경도, 도로(일반명칭에 해당), 대로(크기에 해당))와 같은 형태의 지오데이터를 생성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각종 인공물과 자연물에 대한 지오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Here, the location
한편 특성데이터생성유닛(12)은 물체의 특성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키추출모듈과 밸류추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키'는 찾고자하는 특성을 대표할 수 있는 중심 데이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밸류'는 '키'의 하위 단계의 데이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설정된 '키'와 '밸류'에 의해 지리데이터로부터 특성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참고로 상술한 설명에서 '키'는 건물, 도로가 되고 '밸류'는 층수, 대로가 된다.Meanwhile, the characteristic
한편 지역 정보 데이터와 같은 지리데이이터의 경우에는 행정 구역을 구획하는 데이터를 시각화 대상이 되는 위치 정보로 하고, 행정 구역 내의 통계 데이터(인구 수, 성비 등 각종 통계데이터)를 특성정보로 하여 지오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geographic data such as regional information, the data that divides the administrative area is used a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be visualized, and the statistical data (various statistical data such as the number of population and sex ratio) in the administrative area is used as characteristic information. Can be created.
상술한 바와 같이 스타일데이터생성부(2)는 지오데이터생성부(1)에서 생성된 시각화 대상의 특성정보에 따라 해당 특성에 스타일을 부가하여 표시하는 스타일데이터를 생성한다.As described above, the style
지리적 공간에 대하여 스타일을 부가하여 표시하기 위하여 스타일데이터생성부(2)는, 크기산정유닛(21), 효과지정유닛(22) 및 색지정유닛(23)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yle
크기산정유닛(21)은, 시각화 대상인 물체의 크기에 대한 특성정보를 기초로 하여 물체를 표시하기 위한 크기를 산정한다. 예를 들어 건물 층수의 특성데이터를 3배로 하여 높이를 대략적으로 산출하거나 도로 크기의 특성데이터에 따라 작은 도로의 경우 5로 대로(큰 도로)의 경우 20을 부여하여 도로폭을 대략적으로 산출하는 기능을 한다.The
효과지정유닛(22)은, 물체의 특성정보 중 해당 물체의 일반명칭을 기초로 하여 물체를 표시하기 위한 시각효과를 지정한다. 여기에서 일반명칭이라고 함은 해당 물체를 지칭하는 광의의 개념이며 위 예에서는 건물, 도로가 이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건물인 경우 투명도를 높이고 도로인 경우 투명도를 낮출 수 있고 그 반대도 가능하다.The
색지정유닛(23)은, 물체의 특성정보 중 해당 물체의 일반명칭을 기초로 하여 물체를 표시하기 위한 색을 지정한다. 예를 들어 건물인 경우 푸른색으로 도로인 경우 회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The
이러한 크기 산정, 효과 지정 및 색 지정은 사용자의 지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타일데이터를 생성함에 따라 지오데이터를 희망하는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도 6 내지 도 8 참조). 상세하게는 스타일데이터의 특성 정보를 통해 특정 특성을 가진 레이어 또는 해당 레이어의 객체가 렌더링이 이루어지는 3차원 공간에서 어떤 형태 및 크기를 가져야 할 지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지역 정보 데이터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크기, 효과, 색을 지정하여 특성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도 9 참조).Such size calculation, effect designation, and color designation can be made by user designation. By generating such style data, it is possible to display geodata in a desired form (see FIGS. 6 to 8). In detail, it is possible to define what shape and size a layer having a specific characteristic or an object of a corresponding layer should have in a 3D space in which rendering is performed through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style data. Meanwhile, in the case of area information data, characteristic data can be displayed by designating a size, an effect, and a color similarly (see FIG. 9).
상술한 바와 같이 레이어데이터생성부(3)는, 지오데이터생성부(1)에서 생성된 지오데이터와 스타일데이터생성부(2)에서 생성된 스타일데이터를 매칭하고 매칭된 데이터 중 동종의 데이터를 모아 그룹으로 지정한 레이어데이터를 생성한다. 레이어데이터생성부(3)는, 매칭유닛(31)과 레이어데이터생성유닛(32)을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ayer
매칭유닛(31)은 생성된 스타일데이터를 스타일데이터가 적용될 시각화 대상의 지오데이터와 매칭한다. 지오데이터에 스타일데이터가 부여된 데이터는 다음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로의 경우에는 (위도, 경도, 도로, 대로)-(도로폭 20, 회색, 불투명)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건물의 경우에는 (위도, 경도, 건물, 층수)-(층수×3(높이), 청색, 투명)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matching
레이어데이터생성유닛(32)은 지오데이터와 스타일데이터가 매칭된 데이터들 중 시각화 대상들이 가지는 매칭된 데이터 중 지오데이터의 특성정보가 공통되는 데이터들을 그룹으로 묶어 레이어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대로'의 특성정보를 가진 데이터들을 그룹으로 묶어 레이어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건물'의 특성정보를 가진 데이터들을 그룹으로 묶어 또 다른 레이어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The layer
참고로 도 6 내지 도 8에는 각각 스타일을 달리하는 레이어데이터를 적용한 시가지 모델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레이어는 건물, 도로, 공원 등이 된다. 한편 도 9에는 레이어데이터를 적용하여 표시한 지역 통계 모델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레이어는 동 경계 폴리곤 레이어와 동별 생활 인구 포인트 레이어 등이 있다.For reference, a city area model to which layer data having different styles is applied is shown in FIGS. 6 to 8. Layers here are buildings, roads, parks, etc. Meanwhile, in FIG. 9, a regional statistical model displayed by applying layer data is shown. Here, the layers include the boundary polygon layer and the living population point layer for each building.
상술한 바와 같이 공간데이터생성부(4)는 레이어데이터가 공간에서 표시되는 형태를 규정하기 위한 공간데이터를 생성한다.As described above, the spatial
공간데이터생성부(4)는, 이와 같이 공간 자체의 특성을 설정하기 위하여 공간의 기준점이나 공간을 바라보는 시점, 공간의 범위를 설정하는 데이터를 생성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기준점설정유닛(41), 시점설정유닛 및 범위지정유닛(43)을 포함한다.The spatial
기준점설정유닛(41)을 통해 레이어데이터를 공간에 표시하기 위한 기준점을 설정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구축될 공간의 기준점이 현실의 위치(예를 들어 위도, 경도)에서 어디인지를 설정하게 된다.A reference point for displaying layer data in space is set through the reference
한편 시점설정유닛을 통해 레이어데이터가 공간에서 표시되는 시점을 지정하며, 범위지정유닛(43)을 통해 레이어데이터가 공간에 표시되는 범위를 지정한다. 이를 통하여 기준점과 마찬가지로 구축될 공간의 시점이나 범위가 현실의 위치에서 어디인지 설정되게 된다.Meanwhile, a viewpoint in which the layer data is displayed in space is designated through the viewpoint setting unit, and a range in which the layer data is displayed in space is designated through the
이에 따라 데이터가 렌더링 된 후 표시되는 형태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공간데이터 렌더링부에서 로딩될 레이어 및 객체를 렌더링 공간 상의 좌표로 변환하는 한편, 공간의 형태 및 뷰를 지정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after the data is rendered, the display form can be varied. Accordingly, the spatial data rendering unit to be described later converts a layer and an object to be loaded into coordinates in the rendering space, while designating the shape and view of the space.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렌더링부(5)는, 레이어데이터와 공간데이터를 매칭하여 렌더링하고 렌더링된 결과를 웹 브라우저에 표시한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이를 위하여 공간데이터렌더링부(5)는, 공간객체생성유닛(51), 레이어객체생성유닛(52) 및 객체매칭유닛(53)을 포함한다.To this end, the spatial
공간객체생성유닛(51)은, 공간데이터에서 규정된 형태를 적용하여 좌표 변환이 이루어진 공간객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공간객체생성유닛(51)은 기억소자와 연결되어 구축된 공간데이터를 기억소자에 로딩하고, 로딩된 공간데이터를 기반으로 좌표 변환을 통해 기준점, 시점, 범위 등의 공간을 정의하는 객체들을 재설정하게 된다. The spatial
레이어객체생성유닛(52)은, 레이어데이터로부터 공간객체에 맞도록 좌표 변환이 이루어진 레이어객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레이어객체생성유닛(52)은 기억소자와 연결되어 구축된 레이어데이터를 기억소자에 로딩하고, 로딩된 레이어데이터를 공간객체와 대응될 수 있도록 좌표 변환하여 레이어를 구성하는 건물, 마커, 도로 등의 객체들을 재설정하게 된다.The layer
여기에서 기억소자는 본 시스템이 적용되는 하드웨어에 마련된 기억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Here, the memory device may use a memory device provided in hardware to which the present system is applied.
이와 같이 생성된 공간객체와 레이어객체는 객체매칭유닛(53)을 통해 서로 매칭되게 되고 웹브라우저를 통해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이 표시된 예가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생성된 각 데이터와 이를 렌더링한 결과가 개념적으로 도시되어 있다.The spatial object and the layer object created in this way are match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이하에서는 위 3차원 시각화 시스템을 이용하여 공간을 3차원 시각화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3D visualization of a space using the above 3D visualization syste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시각화 시스템에서 각 데이터들을 생성하고 렌더링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and rendering data in a 3D visualiz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시각화 방법은, 지오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단계(S1), 스타일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단계(S2), 레이어데이터를 생성하는 제3단계(S3), 공간데이터를 생성하는 제4단계(S4) 및 데이터를 렌더링하고 표시하는 제5단계(S5)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1단계 내지 제4단계는 순차적으로 진행하지 않고 각 단계가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A 3D visual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S1) of generating geodata, a second step of generating style data (S2), a third step of generating layer data (S3), and space. It includes a fourth step (S4) of generating data and a fifth step (S5) of rendering and displaying data. Here, the first to fourth steps are not sequentially performed and each step may be performed independently.
제1단계에서는 지리데이터로부터 시각화 대상의 위치 정보와 특성정보를 추출하고 위치 정보와 특성정보를 포함하는 지오데이터를 생성한다.In the first step, location information and feature information of the object to be visualized are extracted from geographic data, and geodata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and feature information is generated.
이와 같은 지오데이터의 생성은 기존에 사용할 수 있는 지오데이터가 생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수행하며, 만약 시각화 대상에 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지오데이터가 구축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존에 존재하는 지오데이터를 읽어와 그대로 사용하거나 적절하게 재구성하여 생성할 수 있다. 지오데이터 중 일부가 구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비어있는 지오데이터만을 새로 생성하여 추가하는 형식도 가능하다. 한편 지오데이터의 생성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지오데이터의 생성은 상술한 지오데이터생성부(1)에서 수행한다.The creation of such geodata is performed when there is no existing geodata, and if geodata that can be used for the visualization target is established, the existing geodata is read and It can be used or created by appropriate reconfiguration. If some of the geodata are not built, it is also possible to create and add only empty geodata. On the other hand, the creation of geodata is also possible by user input. The generation of geodata is performed by the
제2단계에서는 제1단계에서 생성된 시각화 대상의 특성정보에 따라 해당 특성에 스타일을 부가하여 표시하는 스타일데이터를 생성한다.In the second step, style data to be displayed by adding a style to the corresponding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visualization object generated in the first step is generated.
스타일데이터의 경우도 지오데이터와 마찬가지로 기존에 생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할 수 있는 기존 데이터가 없거나 새로운 스타일을 지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스타일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스타일데이터생성부(2)에서 수행한다.In the case of style data, as with geodata, previously created data can be used, and style data can be created when there is no existing data available or when a new style needs to be specified. This is performed by the style
제3단계에서는 제1단계에서 생성된 지오데이터와 제2단계에서 생성된 스타일데이터를 매칭하고, 매칭된 데이터 중 동종의 데이터를 모아 그룹으로 지정한 레이어데이터를 생성한다.In the third step, the geodata generated in the first step and the style data generated in the second step are matched, and the same type of data is collected among the matched data to generate layer data designated as a group.
레이어데이터 역시 기존에 생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기존 데이터가 없거나 새로운 레이어를 지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레이어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레이어데이터는 지오데이터와 스타일데이터를 선택하여 매칭하고 동종 데이터를 그룹으로 지정함으로써 생성하며 이는 상술한 레이어데이터생성부(3)에서 수행한다.Layer data that has already been created can also be used, and layer data can be created when there is no existing data or when it is necessary to designate a new layer. Layer data is generated by selecting and matching geo data and style data and designating the same type data as a group, which is performed by the layer
제4단계에서는 레이어데이터가 공간에서 표시되는 형태를 규정하기 위한 공간데이터를 생성한다. 공간데이터의 경우도 기존에 생성된 공간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In the fourth step, spatial data is generated to define a form in which the layer data is displayed in space. In the case of spatial data, the existing spatial data can be used.
본 단계에서는 공간데이터가 "어떤 레이어"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정의하는 단계와 이 레이어가 공간에 표시되는 형태를 규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공간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준점을 잡는 등 공간을 구성하기 위한 공간 자체와 관련된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그 중에서 해당 공간은 어떤 레이어를 포함하고 있는지를 정의해야 차후 렌더링 과정에서 그 레이어에 해당하는 공간데이터로 빈 공간을 만들고, 그 이후 공간에 포함된 레이어 데이터를 가져와 레이어를 렌더링함으로써 공간이 완전히 구축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This step includes defining “what layer” the spatial data is composed of, and defining a form in which this layer is displayed in space. As described above, the spatial data has data related to the space itself for configuring the space, such as setting a reference poi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fine which layer is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space. In the subsequent rendering process, an empty space is created with the spatial data corresponding to the layer, and the space is completely built by rendering the layer by importing the layer data included in the space. You can perform the process of becoming.
이와 같이 지오데이터, 스타일데이터, 레이어데이터 또는 공간데이터는 종래 생성한 지오데이터, 스타일데이터, 레이어데이터 또는 공간데이터를 사용하거나 새로운 각 데이터들을 추가로 생성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use geodata, style data, layer data, or spatial data that have been previously generated, or to additionally generate and use new data.
한편 각 데이터들은 반드시 제시된 흐름에 따라 생성되어야 할 필요는 없다. 각 데이터들은 편집이 가능하므로 독립적으로 생성되어 추후 완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레이어데이터를 생성하고 추후에 스타일데이터를 생성한 후 레이어데이터에 새로운 스타일데이터를 적용할 수 있으며 다른 데이터들도 마찬가지로 적용이 가능하다.Meanwhile, each data need not necessarily be created according to the presented flow. Since each data can be edited, it can be independently created and completed later. For example, after creating layer data and creating style data later, new style data can be applied to layer data, and other data can be applied as well.
제5단계에서는 레이어데이터와 공간데이터를 매칭하여 렌더링하고 렌더링된 결과를 웹 브라우저에 표시한다.In the fifth step, the layer data and spatial data are matched and rendered, and the rendered result is displayed in a web browser.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시각화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렌더링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rendering data in a 3D visualiz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제5단계는, 공간데이터를 로딩하는 단계(S51), 공간객체를 생성하는 단계(S52), 레이어데이터를 로딩하는 단계(S53), 레이어객체를 생성하는 단계(S54) 및 공간을 렌더링하는 단계(S55)를 포함한다. 이는 상술한 데이터렌더링부(5)에서 수행한다.Specifically, the fifth step includes loading spatial data (S51), creating spatial objects (S52), loading layer data (S53), creating layer objects (S54), and rendering space. It includes a step (S55). This is performed by the
공간데이터를 로딩하는 단계에서는 제1데이터베이스에 제4단계에서 생성된 공간데이터를 로딩한다. 생성된 공간데이터는 제1데이터베이스에 로딩되어 저장된다.In the step of loading the spatial data, the spatial data generated in the fourth step is loaded into the first database. The generated spatial data is loaded and stored in the first database.
공간객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제1데이터베이스에 로딩된 공간데이터에 대하여 공간의 중심, 시점 및 범위에 따라 좌표 변환을 수행함으로써 공간객체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공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간을 정의하는 객체들(예를 들어 씬, 카메라, 공간 렌더링 위치, 공간 중심 등을 정의)을 생성할 수 있다.In the step of creating a spatial object, a spatial object is created by performing coordinate transformation on the spatial data loaded in the first database according to the center, viewpoint, and range of the space. Accordingly, objects that define a space (eg, a scene, a camera, a spatial rendering position, a spatial center, etc.) can be created based on spatial data.
레이어데이터를 로딩하는 단계에서는 제2데이터베이스에 제3단계에서 생성된 레이어데이터를 로딩한다. 생성된 레이어데이터는 제2데이터베이스에 로딩되어 저장된다.In the step of loading the layer data, the layer data created in the third step is loaded into the second database. The generated layer data is loaded and stored in the second database.
레이어객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제2데이터베이스에 로딩된 레이어데이터에서 같은 그룹으로 묶여 있는 시각화 대상에 대하여 상술한 단계에서 생성된 공간객체에 상응하도록 좌표 변환을 수행함으로써 레이어객체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공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레이어를 구성하는 객체들(예를 들어 빌딩, 마커(특정 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객체), 도로 등)을 생성할 수 있다.In the step of creating a layer object, a layer object is generated by performing coordinate trans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visualization objects grouped in the same group in the layer data loaded in the second database so as to correspond to the spatial object created in the above-described step. Accordingly, objects (eg, buildings, markers (objects for designating a specific location), roads, etc.) constituting a layer based on spatial data may be created.
공간을 렌더링하는 단계에서는 생성된 공간객체와 레이어객체를 합하여 시각화하려는 대상이 포함된 공간을 웹 브라우저 상에 렌더링한다. 이에 따라 웹 브라우저 상에서 3차원 공간의 시각화가 가능하다.In the rendering of the space, the space containing the object to be visualized is rendered on the web browser by combining the created spatial object and the layer objec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visualize a three-dimensional space on a web browser.
여기에서 데이터를 로딩한 후 공간객체와 레이어객체를 생성하고, 객체들의 렌더링이 일회성이 아니라 웹 브라우저에 의해 지속적으로 일어나게 함으로써 끊김 없이 신속하게 3차원 공간을 시각화하는 것이 가능하다.Here, after loading data, spatial objects and layer objects are created, and the rendering of objects is continuously performed by the web browser, so that it is possible to visualize the 3D space seamlessly and quickly.
한편, 제5단계에 따라 웹 브라우저에 표시된 결과에 더하여 지리데이터로부터 추출되고 시각화 대상과 관련된 정보를 2차원으로 추가하여 표시하는 제6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는 3차원으로 표시된 인구 외에 지역 정보, 시간 정보, 인구변동, 성비 등이 2차원으로 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fifth step, in addition to the result displayed on the web browser, a sixth step of add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visualization object extracted from geographic data in two dimensions may be further included. In FIG. 8, in addition to the population displayed in 3D, area information, time information, population change, sex ratio, etc. are displayed in 2D.
상기와 같이 3차원 시각화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3차원 시각화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three-dimensional visualization system and the three-dimensional visualization method using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he embodiments are all or part of each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nd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a rang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field.
1 : 지오데이터생성부
11 : 위치데이터생성유닛 12 : 특성데이터생성유닛
2 : 스타일데이터생성부
21 : 크기산정유닛 22 : 효과지정유닛 23 : 색지정유닛
3 : 레이어데이터생성부
31 : 매칭유닛 32 : 레이어데이터생성유닛
4 : 공간데이터생성부
41 : 기준점설정유닛 42 : 시점지정유닛 43 : 범위지정유닛
5 : 데이터렌더링부
51 : 공간객체생성유닛 52 : 레이어객체생성유닛 53 : 객체매칭유닛
100 : 3차원 시각화 시스템1: Geodata generation unit
11: location data generation unit 12: characteristic data generation unit
2: Style data generation unit
21: size calculation unit 22: effect designation unit 23: color designation unit
3: Layer data generation unit
31: matching unit 32: layer data generation unit
4: spatial data generation unit
41: reference point setting unit 42: point designation unit 43: range designation unit
5: Data rendering unit
51: spatial object creation unit 52: layer object creation unit 53: object matching unit
100: 3D visualization system
Claims (10)
상기 지오데이터생성부에서 생성된 시각화 대상의 특성정보에 따라 해당 특성에 스타일을 부가하여 표시하는 스타일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타일데이터생성부,
상기 지오데이터생성부에서 생성된 지오데이터와 상기 스타일데이터생성부에서 생성된 스타일데이터를 매칭하고 매칭된 데이터 중 동종의 데이터를 모아 그룹으로 지정한 레이어데이터를 생성하는 레이어데이터생성부,
상기 레이어데이터가 공간에서 표시되는 형태를 규정하기 위한 공간데이터를 생성하는 공간데이터생성부 및
상기 레이어데이터와 상기 공간데이터를 매칭하여 렌더링하고 렌더링된 결과를 웹 브라우저에 표시하는 데이터렌더링부
를 포함하는 지리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시각화 시스템.A geodata generation unit that extracts location information and feature information of the visualization target from geographic data and generates geo data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and feature information,
A style data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style data to be displayed by adding a style to a corresponding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visualization object generated by the geodata generation unit,
A layer data generation unit that matches the geo data generated by the geo data generation unit with the style data generated by the style data generation unit, collects data of the same type among the matched data, and generates layer data designated as a group,
A spatial data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spatial data for defining a form in which the layer data is displayed in space, and
A data rendering unit that matches and renders the layer data and the spatial data, and displays the rendered result in a web browser
3D visualization system using geographic data including a.
상기 지오데이터생성부는,
시각화 대상인 물체의 위도, 경도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데이터생성유닛 및
상기 물체의 일반명칭, 크기를 포함하는 특성정보를 생성하는 특성데이터생성유닛
을 포함하는 지리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시각화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geodata generation unit,
A location data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latitude and longitude of the object to be visualized, and
A characteristic data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cluding the general name and size of the object
A three-dimensional visualization system using geographic data including a.
상기 스타일데이터생성부는,
시각화 대상인 물체의 크기에 대한 특성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물체를 표시하기 위한 크기를 산정하는 크기산정유닛,
상기 물체의 일반명칭에 대한 특성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물체를 표시하기 위한 시각효과를 지정하는 효과지정유닛 및
상기 물체의 일반명칭에 대한 특성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물체를 표시하기 위한 색을 지정하는 색지정유닛
을 포함하는 지리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시각화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2,
The style data generation unit,
A size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a size for displaying the object based on characteristic information on the size of the object to be visualized,
An effect designating unit that designates a visual effect for displaying the object based on characteristic information on the general name of the object, and
A color designating unit that designates a color for displaying the object based on characteristic information on the general name of the object
A three-dimensional visualization system using geographic data including a.
상기 레이어데이터생성부는,
생성된 상기 스타일데이터를 상기 스타일데이터가 적용될 시각화 대상의 지오데이터와 매칭하는 매칭유닛 및
상기 지오데이터와 상기 스타일데이터가 매칭된 데이터들 중 지오데이터의 특성정보가 공통되는 시각화 대상들의 매칭된 데이터를 그룹으로 묶는 레이어데이터를 생성하는 레이어데이터생성유닛
을 포함하는 지리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시각화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layer data generation unit,
A matching unit that matches the generated style data with geodata to which the style data is to be applied, and
A layer data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layer data for grouping matched data of visualization objects having common geodata characteristic information among the data matched with the geodata and the style data
A three-dimensional visualization system using geographic data including a.
상기 공간데이터생성부는,
상기 레이어데이터를 공간에 표시하기 위한 기준점을 설정하는 기준점설정유닛,
상기 레이어데이터가 공간에서 표시되는 시점을 지정하는 시점지정유닛 및
상기 레이어데이터가 공간에 표시되는 범위를 지정하는 범위지정유닛
을 포함하는 지리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시각화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spatial data generation unit,
A reference point setting unit for setting a reference point for displaying the layer data in space,
A viewpoint designating unit that designates a viewpoint at which the layer data is displayed in space, and
A range designation unit that designates a range in which the layer data is displayed in space
A three-dimensional visualization system using geographic data including a.
상기 데이터렌더링부는,
상기 공간데이터에서 규정된 형태를 적용하여 좌표 변환이 이루어진 공간객체를 생성하는 공간객체생성유닛,
상기 레이어데이터로부터 상기 공간객체에 맞도록 좌표 변환이 이루어진 레이어객체를 생성하는 레이어객체생성유닛 및
상기 공간객체와 상기 레이어객체를 매칭시켜 웹브라우저에 표시하는 객체매칭유닛
을 포함하는 지리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시각화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data rendering unit,
A spatial object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a spatial object with coordinate transformations by applying a form specified in the spatial data,
A layer object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a layer object whose coordinates are transformed to fit the spatial object from the layer data, and
An object matching unit that matches the spatial object and the layer object and displays it in a web browser
A three-dimensional visualization system using geographic data including a.
상기 제1단계에서 생성된 시각화 대상의 특성정보에 따라 해당 특성에 스타일을 부가하여 표시하는 스타일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생성된 지오데이터와 상기 제2단계에서 생성된 스타일데이터를 매칭하고 매칭된 데이터 중 동종의 데이터를 모아 그룹으로 지정한 레이어데이터를 생성하는 제3단계,
상기 레이어데이터가 공간에서 표시되는 형태를 규정하기 위한 공간데이터를 생성하는 제4단계 및
상기 레이어데이터와 상기 공간데이터를 매칭하여 렌더링하고 렌더링된 결과를 웹 브라우저에 표시하는 제5단계
를 포함하는 지리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시각화 방법.The first step of extrac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feature information of the visualization target from geographic data and generating geodata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feature information,
A second step of generating style data for displaying by adding a style to the corresponding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visualization object generated in the first step,
A third step of matching the geo data generated in the first step with the style data generated in the second step, collecting data of the same kind among the matched data, and generating layer data designated as a group,
A fourth step of generating spatial data for defining a form in which the layer data is displayed in space, and
The fifth step of matching the layer data and the spatial data to render and displaying the rendered result in a web browser
A three-dimensional visualization method using geographic data including a.
상기 지오데이터, 상기 스타일데이터 또는 상기 레이어데이터는 종래 생성한 지오데이터, 스타일데이터 또는 레이어데이터를 사용하거나 새로운 지오데이터, 스타일데이터 또는 레이어데이터를 추가로 생성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지리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시각화 방법.The method of claim 7,
The geodata, the style data, or the layer data is three-dimensional using geodata that can be used by using conventionally generated geodata, style data, or layer data, or by additionally creating and using new geodata, style data, or layer data. Visualization method.
상기 제5단계는,
제1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공간데이터를 로딩하는 단계,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에 로딩된 공간데이터에 대하여 공간의 중심, 시점 및 범위에 따라 좌표 변환을 수행함으로써 공간객체를 생성하는 단계,
제2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레이어데이터를 로딩하는 단계,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에 로딩된 레이어데이터의 그룹으로 묶여 있는 시각화 대상에 대하여 상기 공간객체와 대응되도록 좌표 변환을 수행함으로써 레이어객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공간객체와 상기 레이어객체를 합성하여 웹 브라우저 상에 시각화 대상이 포함된 공간을 렌더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지리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시각화 방법.The method of claim 7,
The fifth step,
Loading the spatial data into a first database,
Generating a spatial object by performing coordinate transformation according to the center, viewpoint, and range of the space with respect to the spatial data loaded in the first database,
Loading the layer data into a second database,
Generating a layer object by performing coordinate transforma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spatial object with respect to a visualization object grouped into a group of layer data loaded in the second database; and
Synthesizing the created spatial object and the layer object to render a space including a visualization object on a web browser
A three-dimensional visualization method using geographic data including a.
상기 제5단계에 따라 웹 브라우저에 표시된 결과에 상기 지리데이터로부터 추출되고 상기 시각화 대상과 관련된 정보를 2차원으로 추가하여 표시하는 제6단계를 더 포함하는
지리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시각화 방법.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sixth step of add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visualization object in two dimensions extracted from the geographic data to the result displayed on the web browser according to the fifth step
Three-dimensional visualization method using geographic dat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2313A KR102204031B1 (en) | 2019-04-11 | 2019-04-11 | 3D visualization system of space based on geographic data and 3D visualization of space using 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2313A KR102204031B1 (en) | 2019-04-11 | 2019-04-11 | 3D visualization system of space based on geographic data and 3D visualization of space using i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20003A true KR20200120003A (en) | 2020-10-21 |
KR102204031B1 KR102204031B1 (en) | 2021-01-18 |
Family
ID=73035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42313A KR102204031B1 (en) | 2019-04-11 | 2019-04-11 | 3D visualization system of space based on geographic data and 3D visualization of space using i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0403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30377260A1 (en) * | 2022-05-20 | 2023-11-23 | GeoFusion, Inc. | 3d global geospatial rendering server systems and methods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504393A (en) * | 1991-01-16 | 1994-05-19 | ウォーカー−エステス コーポレイション | Mixed resolution N-dimensional object space |
KR20050037669A (en) * | 2003-10-20 | 2005-04-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displaying three dimensional map |
KR100997212B1 (en) | 2008-07-17 | 2010-11-29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3D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3D geographical information data in 3D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
KR200471699Y1 (en) * | 2013-02-07 | 2014-03-13 |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 A Route Guidance Map for the Mobility Handicapped |
KR101752598B1 (en) * | 2016-06-24 | 2017-06-30 | 한국국토정보공사 | Geocoding and mapping system and method using address and map data |
-
2019
- 2019-04-11 KR KR1020190042313A patent/KR10220403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504393A (en) * | 1991-01-16 | 1994-05-19 | ウォーカー−エステス コーポレイション | Mixed resolution N-dimensional object space |
KR20050037669A (en) * | 2003-10-20 | 2005-04-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displaying three dimensional map |
KR100997212B1 (en) | 2008-07-17 | 2010-11-29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3D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3D geographical information data in 3D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
KR200471699Y1 (en) * | 2013-02-07 | 2014-03-13 |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 A Route Guidance Map for the Mobility Handicapped |
KR101752598B1 (en) * | 2016-06-24 | 2017-06-30 | 한국국토정보공사 | Geocoding and mapping system and method using address and map data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04031B1 (en) | 2021-01-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Lange | The limits of realism: perceptions of virtual landscapes | |
Faust | The virtual reality of GIS | |
US9149309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sketching designs in context | |
KR101465479B1 (en) | Bim data processing system for displaying data of building based on bim | |
KR100738500B1 (en) | Method for bi-layered displacement mapping and protruded displacement mapping | |
JP5299173B2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
JP7475022B2 (en) |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3D maps of indoor spaces | |
CN114663324A (en) | Fusion display method of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model and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nformation and related components | |
US20070296722A1 (en) | Imagery-Based Synthetic Environment for Computer Generated Forces | |
Pierdicca et al. | 3D visualization tools to explore ancient architectures in South America | |
Falcão et al. | A real-time visualization tool for forest ecosystem management decision support | |
Caha | Representing buildings for visibility analyses in urban spaces | |
Lobo et al. |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for Augmented Reality situated geographical visualization | |
KR102204031B1 (en) | 3D visualization system of space based on geographic data and 3D visualization of space using it | |
Virtanen et al. | Browser based 3D for the built environment | |
KR20090092153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 | |
KR100517590B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three dimension data and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for three dimension data processing function | |
Neuville et al. | Towards a normalised 3D Geovisualisation: The viewpoint management | |
Glander et al. | Automated cell based generalization of virtual 3D city models with dynamic landmark highlighting | |
Liu et al. | Game engine-based point cloud visualization and perception for situation awareness of crisis indoor environments | |
Sadek et al. |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a Virtual 3D City Model | |
Bolognesi et al. | Optimization of VR application in texturing cultural heritage | |
Lu et al. | Computer aided design system based on 3D GIS for park design | |
KR20210023283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grating | |
CN114638926A (en) | Three-dimensional scene automatic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