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9015A - 진공 인터럽터의 전극 조립체 - Google Patents

진공 인터럽터의 전극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9015A
KR20200119015A KR1020190041300A KR20190041300A KR20200119015A KR 20200119015 A KR20200119015 A KR 20200119015A KR 1020190041300 A KR1020190041300 A KR 1020190041300A KR 20190041300 A KR20190041300 A KR 20190041300A KR 20200119015 A KR20200119015 A KR 20200119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late
pinhole
insertion protrusion
vacuum interrupter
electrod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훈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190041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9015A/ko
Publication of KR20200119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90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4Contacts; Arc-extinguishing means, e.g. arc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06Terminal arrangements

Landscapes

  • High-Tension Arc-Extinguishing Switches Without Spray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촉 전극판과, 접촉 전극판의 축방향 일측에 위치하는 지지 전극판과, 접촉 전극판 및 지지 전극판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코일 도체와, 접촉 전극판 및 코일 도체 사이와 지지 전극판 및 코일 도체 사이에 각각 구비되며, 연결판 및 연결판의 축방향 양측에서 각각 돌출된 삽입돌기를 포함하고, 삽입돌기에 적어도 하나의 분리홈이 형성되는 복수의 도체 연결핀을 포함하고, 접촉 전극판, 지지 전극판 및 코일 도체의 축방향 일측에 삽입돌기와 대응하여 핀홀이 각각 형성되며, 핀홀은 하부가 상부 보다 더 큰 폭을 갖는 진공 인터럽터의 전극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진공 인터럽터의 전극 조립체{CONTACT ASSEMBLY OF VACUUM INTERRUPTER}
본 발명은 진공 인터럽터의 전극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품 간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진공 인터럽터의 전극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인터럽터는 전력 계통에서 부하 전류 또는 사고 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진공 회로 차단기 및 진공 개폐기 및 진공 컨텍터 등에 사용되는 핵심 소호 장치이다.
여기서, 진공 회로 차단기는 차단 용량이 크고 신뢰성 및 안전성이 높으며, 작은 설치 공간에도 거치할 수 있는 등의 많은 장점이 있어 중간 전압에서 고전압까지 그 적용범위가 확대되어 가는 추세이다. 또한, 산업 설비의 대형화에 따라 차단기의 차단 용량도 이에 비례하여 대용량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진공 회로 차단기의 진공 인터럽터는 사고 전류 차단 시 그 내부의 전극 구조를 통해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자계를 이용하여 동작 한다. 이 자계를 발생시키는 방식에 따라 진공 인터럽터는 크게 축자계 방식(Axial Magnetic Field: AMF)과 횡자계 방식(Radial Magnetic Field: RMF)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축자계 방식의 차단 성능이 횡자계 방식보다 상대적으로 우수하기 때문에 횡자계 방식은 배전 계통에 주로 사용되며 축자계 방식은 초고압 분야에서 주로 사용된다.
축자계 방식은 차단 성능이 우수하고 내전압 성능 또한 횡자계 방식에 비해 우수하지만 접점을 구성하는 부품의 수가 많고 형상이 복잡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고, 축자계를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코일 도체가 필요하며 제조 공정 역시 횡자계 방식에 비해 복잡하다.
또한, 접점 제작시 다수의 부품이 요구 되므로 각 부품을 브레이징하기 위해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브레이징 시 다수 부품들간의 공차와 외부 환경(진공로, 운전 온도 분포 및 진동 등)으로 인하여 부품간의 들뜸 현상이 발생할 여지가 있다.
특히, 종래의 진공 인터럽트의 전극 조립체는 도체 연결핀을 통해 조립되는데, 이 도체 연결핀은 일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전극에 삽입되는 구조로서 각 전극의 가공 단차로 인해 조립 시 수평을 유지하기 어렵고 작업성이 떨어지며 전극 간 들뜸 현상이 쉽게 발생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부품간의 들뜸이 발생하면 통전 저항이 상승하게 되어 차단 시 차단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고 감소된 에너지로 인해 아크 확산을 위한 충분한 자기장을 발생하지 못하여 사고 전류를 차단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접점의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고, 조립 시 별도의 지그가 필요 없으며 조립 후 안정성과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진공 인터럽터의 전극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슬릿이 형성되는 접촉 전극판과, 접촉 전극판의 축방향 일측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슬릿이 형성되는 지지 전극판과, 접촉 전극판 및 지지 전극판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코일 도체와, 접촉 전극판 및 코일 도체 사이와 지지 전극판 및 코일 도체 사이에 각각 구비되며, 연결판 및 연결판의 축방향 양측에서 각각 돌출된 삽입돌기를 포함하고, 삽입돌기에 적어도 하나의 분리홈이 형성되는 복수의 도체 연결핀을 포함하고, 접촉 전극판, 지지 전극판 및 코일 도체의 축방향 일측에 삽입돌기와 대응하여 핀홀이 각각 형성되며, 핀홀은 하부가 상부 보다 더 큰 폭을 갖는 진공 인터럽터의 전극 조립체를 제공한다.
여기서, 삽입돌기의 단부 내측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돌기는 핀홀의 깊이 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분리홈은 축방향으로 일정 길이까지 상기 삽입돌기의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핀홀의 깊이는 삽입돌기의 미분리부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핀홀 하부는 삽입돌기의 분리부의 길이만큼 핀홀 상부 보다 더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진공 인터럽터의 전극 조립체는 도체 연결핀 및 핀홀 사이에 구비되는 브레이징 필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판 및 연결판의 축방향 양측에서 각각 돌출된 삽입돌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도체 연결핀을 형성하는 단계와, 삽입돌기에 적어도 하나의 분리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접촉 전극판, 지지 전극판 및 코일 도체의 축방향 일측에 삽입돌기와 대응하여 핀홀을 형성하되, 핀홀 하부가 상부 보다 더 큰 폭을 갖도록 형성하는 단계와, 접촉 전극판 및 지지 전극판 사이에 복수의 코일 도체를 배치하고, 도체 연결핀을 접촉 전극판 및 코일 도체 사이와 지지 전극판 및 코일 도체 사이에 각각 배치하는 단계와, 삽입돌기가 핀홀에 고정되도록 접촉 전극판 또는 지지 전극판을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공 인터럽터의 전극 조립체의 조립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진공 인터럽터의 전극 조립체의 조립 방법은 삽입돌기의 단부 내측에 경사면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체 연결핀을 형성하는 단계는 삽입돌기를 핀홀의 깊이 보다 더 긴 길이로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분리홈을 형성하는 단계는 분리홈을 축방향으로 일정 길이까지 삽입돌기의 일부에만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핀홀을 형성하는 단계는 핀홀의 깊이를 삽입돌기의 미분리부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하고, 핀홀 하부를 삽입돌기의 분리부의 길이만큼 핀홀 상부 보다 더 큰 폭을 갖도록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체 연결핀을 핀홀에 가조립한 후 도체 연결핀을 핀홀에 압입하여 고정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접점의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고, 조립 시 별도의 지그가 필요 없으며 조립 후 안정성과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인터럽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인터럽터의 전극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체 연결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홀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인터럽터의 전극 구조체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인터럽터는 축자계 전극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축자계 전극 구조는 고정 전극과 가동 전극 사이에서 전극의 원주 방향으로 전류를 회전시켜 축방향으로 자속을 발생시키는 구조이다. 이러한 축방향 자속이 고정 전극과 가동 전극 사이에 발생된 아크를 전극 접촉면 표면 전체로 확산시킴으로써 아크의 집중에 의한 전극 표면의 손상을 방지하고 전류의 차단을 용이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인터럽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인터럽터는, 절연 용기(110), 고정측 플랜지(120), 가동측 플랜지(130), 고정 전극 조립체(140), 가동 전극 조립체(150), 내부 실드(160), 벨로우즈 실드(170) 및 벨로우즈(1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절연 용기(110)는 진공 인터럽터의 외형을 이루며, 세라믹 등과 같은 절연 재료로 이루어져, 내부에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절연 용기(11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형성된 개구부는 고정측 플랜지(120)와 가동측 플랜지(130)에 의하여 밀폐되어, 절연 용기(101)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한다.
고정 전극 조립체(140) 및 가동 전극 조립체(150)는 접촉 가능하도록 대향되어 절연 용기(110) 내부에 고정된 내부 실드(160)에 수용된다.
고정 전극 조립체(140)의 고정축(140a)은 고정측 플랜지(120)에 고정 결합되어 외부와 연결되고, 가동 전극 조립체(150)의 가동축(150a)은 가동측 플랜지(130)에 미끄러지게 결합되어 외부와 연결된다.
가동 전극 조립체(150)의 가동축(150a)은 벨로우즈 실드(170)가 고정 결합되고, 벨로우즈(180)는 벨로우즈 실드(170)와 가동측 플랜지(130)의 사이에 구비되어 가동 전극 조립체(150)와 가동축(150a)이 절연 용기(110)의 내부에서 밀봉된 상태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고정 전극 조립체(140)와 가동 전극 조립체(150)는 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위치하여 사고 전류 발생시 가동 전극 조립체(150)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고정 전극 조립체(4)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사고 전류를 해소시킨다.
여기서, 고정 전극 조립체(140)와 가동 전극 조립체(150)는 서로 대칭되도록 동일한 구성 및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이하에서는 이들을 전극 조립체(100)라고 통칭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인터럽터의 전극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체 연결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홀의 측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인터럽터의 전극 조립체(100)는 접촉 전극판(101), 지지 전극판(102), 코일 도체(103) 및 도체 연결핀(10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접촉 전극판(101)은 원판 모양으로 형성되고, 와전류를 방지하기 휘해 방사상으로 적어도 하나의 슬릿이 원주 방향을 따라 90도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전극판(102)은 접촉 전극판(101)과 일정 간격을 두고 접촉 전극판(101)의 축방향 일측에 위치하며, 원판 모양으로 형성되고 와전류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방사상으로 적어도 하나의 슬릿이 원주 방향을 따라 90도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접촉 전극판(101)에 형성되는 슬릿과 지지 전극판(102)에 형성되는 슬릿은 축방향으로 자속을 생성하기 위해 서로 어긋나게 형성된다.
복수의 코일 도체(103)는 좌우 한 쌍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 될 수 있으며, 접촉 전극판(101) 및 지지 전극판(102) 사이에 위치한다.
복수의 도체 연결핀(104)은 접촉 전극판(101) 및 코일 도체(103) 사이와 지지 전극판(102) 및 코일 도체(103)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접촉 전극판(101), 코일 도체(103) 및 지지 전극판(102)을 결합 지지하며, 전류의 통전 경로를 형성한다. 여기서, 복수의 도체 연결핀(104)은 자기장의 크기가 최대화되도록 원주 방향으로 180도 간격을 두고 대향하게 배치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체 연결핀(104)은 연결판(104a) 및 연결판(104a)의 축방향 양측에서 각각 돌출된 삽입돌기(104b)를 포함하고, 삽입돌기(104b)에 적어도 하나의 분리홈(104c)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체 연결핀(104)의 분리홈(104c)은 축방향으로 그 단부에서 일정 길이까지 삽입돌기(104b)의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돌기(104b)는 분리홈(104c)이 형성된 분리부와 분리홈(104c)이 형성되지 않은 미분리부로 구분할 수 있다.
도체 연결핀(104)은 핀홀(105)에 자연 결합된 상태에서 핀홀(105)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압력에 가해지면 분리부가 외측으로 갈라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 전극판(101), 지지 전극판(102) 및 코일 도체(103)의 축방향 일측에는 도체 연결핀(104)의 삽입돌기(104b)와 대응하여 핀홀(105)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핀홀(105)은 하부가 상부 보다 더 큰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핀홀(105)은, 도체 연결핀(104)의 삽입돌기(104b)가 핀홀(105)에 자연 결합된 상태에서 수직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삽입돌기(104b)의 분리부가 핀홀(105)의 하부 외측으로 인입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핀홀(105)은 일정 폭을 갖는 공간을 형성한 후 안가공을 통해 하부에 추가적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체 연결핀(104)의 삽입돌기(104b)가 핀홀(105)에 자연 결합된 상태에서 접촉 전극판(101) 또는 지지 전극판(102)을 가압하면, 핀홀(105)의 분리부는 분리되어 핀홀(105)의 하부로 인입됨으로써 접촉 전극판(101), 코일 도체(103) 및 지지 전극판(102)이 견고히 고정되게 된다.
도체 연결핀(104)의 삽입돌기(104b)는 그 끝단과 핀홀(105)의 바닥면의 접촉 면적이 최소가 되도록 그 단부 내측에 경사면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비교적 작은 압력으로도 도체 연결핀(104)의 분리부를 용이하게 분리시켜 핀홀(105) 하부로 인입시킬 수 있다.
도체 연결핀(104)에 압력을 가하면 도체 연결핀(104)의 분리부는 분리되어 핀홀(105) 하부로 인입되기 때문에, 도체 연결핀(104)은 핀홀(105)의 깊이 보다 더 긴 길이로 형성되고, 삽입돌기(104b) 상부의 일부는 도체 연결핀(104)이 핀홀(105)에 자연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핀홀(105)의 깊이는 삽입돌기(104b)의 미분리부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며, 핀홀(105) 하부는 삽입돌기(104b)의 분리부의 길이만큼 핀홀(105) 상부 보다 더 큰 폭을 갖는다. 이에 따라, 도체 연결핀(104)에 압력을 가하면 삽입돌기(104b)의 분리부는 핀홀(105)에 완전히 인입되고, 미분리부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인터럽터의 전극 조립체는 도체 연결핀(104)을 핀홀(105)에 가조립한 후 도체 연결핀(104)을 핀홀(105)에 압입하여 고정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접점의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고, 조립 시 별도의 지그가 필요 없으며 조립 후 안정성과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인터럽터의 전극 조립체(100)는 도체 연결핀(104) 및 핀홀(105) 사이에 구비되는 브레이징 필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브레이징 필러를 이용해 브레이징함으로써, 핀홀(105)에 연결핀(104)을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핀홀(105)은 하부가 상부 보다 더 큰 폭을 갖기 때문에 브레이징 시 브레이징 필러의 일부가 핀홀(105) 내부로 흘러 그 하부에 수용되게 함으로써, 브레이징 필러 일부가 다른 부품으로 흘러 발생하는 전기적 특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인터럽터의 전극 구조체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인터럽터의 전극 구조체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되,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인터럽터의 전극 구조체와 동일한 내용은 생략하겠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연결판(104a) 및 연결판(104a)의 축방향 양측에서 각각 돌출된 삽입돌기(104b)를 포함하는 복수의 도체 연결핀(104)을 형성한다. 그리고, 삽입돌기(104b)에 적어도 하나의 분리홈(104c)을 형성한다.
여기서, 삽입돌기(104b)는 핀홀(105)의 깊이 보다 더 긴 길이로 형성되고, 삽입돌기(104b)의 단부 내측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분리홈(104c)은 축방향으로 일정 길이까지 삽입돌기(104b)의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돌기(104b)는 분리홈(104c)이 형성된 분리부와 분리홈(104c)이 형성되지 않은 미분리부로 구분할 수 있다.
다음, 접촉 전극판(101), 지지 전극판(102) 및 코일 도체(103)의 축방향 일측에 삽입돌기(104b)와 대응하여 핀홀(105)을 형성하되, 핀홀(105) 하부가 상부 보다 더 큰 폭을 갖도록 형성한다.
여기서, 핀홀(105)의 깊이는 삽입돌기(104b)의 미분리부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고, 핀홀(105) 하부는 삽입돌기(104b)의 분리부의 길이만큼 핀홀 상부 보다 더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다음, 접촉 전극판(101) 및 지지 전극판(102) 사이에 복수의 코일 도체(103)를 배치하고, 도체 연결핀(104)을 접촉 전극판(101) 및 코일 도체(103) 사이와 지지 전극판(102) 및 코일 도체(103) 사이에 각각 배치한다. 이 때, 도체 연결핀(104)은 핀홀(105)에 자연 결합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가압되지 않은 상태 즉, 도체 연결핀(104)이 핀홀(105)에 자연 결합된 상태에서는 도체 연결핀(104)의 삽입돌기(104b)의 길이가 핀홀(105)의 깊이 보다 길기 때문에 삽입돌기(104b)의 상측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다음, 도체 연결핀(104)의 삽입돌기(104b)가 핀홀(105)에 고정되도록 접촉 전극판(101) 또는 지지 전극판(102)을 가압한다. 이 때, 핀홀(105)의 분리부는 분리되어 핀홀(105)의 하부로 인입됨으로써 접촉 전극판(101), 코일 도체(103) 및 지지 전극판(102)이 견고히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접촉 전극판(101) 또는 지지 전극판(102)을 가압하게 되면 핀홀(105)의 하부가 상부보다 더 큰 폭을 갖기 때문에 삽입돌기(104b)의 분리부는 핀홀(105)의 하부 외측으로 인입되고, 외부로 노출되었던 삽입돌기(104b)의 상측 일부는 핀홀(105) 상부로 삽입된다.
또한, 도체 연결핀(104)의 삽입돌기(104b)는 그 끝단과 핀홀(105)의 바닥면의 접촉 면적이 최소가 되도록 그 단부 내측에 경사면이 형성되기 때문에, 가압 시 삽입돌기(104b)의 하부가 쉽게 분리되어 핀홀(105)의 하부로 인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인터럽터의 전극 조립체의 조립 방법은 도체 연결핀(104)을 핀홀(105)에 가조립한 후 도체 연결핀(104)을 핀홀(105)에 압입하여 고정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접점의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고, 조립 시 별도의 지그가 필요 없으며 조립 후 안정성과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과 같은 다른 발명을 이용하는데 당업계에 알려진 다른 상태로의 실시, 그리고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 접촉 전극판
102: 지지 전극판
103: 코일 도체
104: 도체 연결핀
105: 핀홀

Claims (8)

  1. 접촉 전극판;
    상기 접촉 전극판의 축방향 일측에 위치하는 지지 전극판;
    상기 접촉 전극판 및 지지 전극판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코일 도체; 및
    상기 접촉 전극판 및 코일 도체 사이와 상기 지지 전극판 및 코일 도체 사이에 각각 구비되며, 연결판 및 상기 연결판의 축방향 양측에서 각각 돌출된 삽입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돌기에 적어도 하나의 분리홈이 형성되는 복수의 도체 연결핀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전극판, 지지 전극판 및 코일 도체의 축방향 일측에 상기 삽입돌기와 대응하여 핀홀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핀홀은 하부가 상부 보다 더 큰 폭을 갖는
    진공 인터럽터의 전극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기의 단부 내측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진공 인터럽터의 전극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핀홀의 깊이 보다 더 긴 길이를 갖는
    진공 인터럽터의 전극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홈은 축방향으로 일정 길이까지 상기 삽입돌기의 일부에만 형성되는
    진공 인터럽터의 전극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핀홀의 깊이는 상기 삽입돌기의 미분리부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진공 인터럽터의 전극 조립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핀홀 하부는
    상기 삽입돌기의 분리부의 길이만큼 상기 핀홀 상부 보다 더 큰 폭을 갖는
    진공 인터럽터의 전극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연결핀 및 핀홀 사이에 구비되는 브레이징 필러
    를 더 포함하는 진공 인터럽터의 전극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접촉 전극판 또는 상기 지지 전극판이 가압되면 상기 분리홈에 의해 분리되어 상기 핀홀 하부 외측으로 인입되는
    진공 인터럽터의 전극 조립체.






KR1020190041300A 2019-04-09 2019-04-09 진공 인터럽터의 전극 조립체 KR202001190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300A KR20200119015A (ko) 2019-04-09 2019-04-09 진공 인터럽터의 전극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300A KR20200119015A (ko) 2019-04-09 2019-04-09 진공 인터럽터의 전극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015A true KR20200119015A (ko) 2020-10-19

Family

ID=73042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300A KR20200119015A (ko) 2019-04-09 2019-04-09 진공 인터럽터의 전극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90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5168A (ko) 2020-11-13 2022-05-20 주식회사 비츠로이엠 진공 인터럽터의 전계 완화용 전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5168A (ko) 2020-11-13 2022-05-20 주식회사 비츠로이엠 진공 인터럽터의 전계 완화용 전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6845B1 (ko) 종자계 방식 진공인터럽터용 전극구조
US6163002A (en) Vacuum circuit interrupter with contact structure including support pins
US8263894B2 (en) Electrode for vacuum interrupter
US4473731A (en) Vacuum circuit interrupter
US9040862B2 (en) Electrode assembly for vacuum interrupter
JP2012164653A (ja) 真空回路遮断器の真空インタラプタ
KR20200119015A (ko) 진공 인터럽터의 전극 조립체
KR900002011B1 (ko) 진공차단기의 전극구조
JPH038050B2 (ko)
KR101707967B1 (ko) 진공 인터럽터의 전극 조립체
KR101480845B1 (ko) 진공 인터럽터
CN109964297B (zh) 真空开关设备及其电触头
CA1319730C (en) Vacuum-type circuit interrupter
US9552941B1 (en) Vacuum switching apparatus and electrical contact therefor
US3575564A (en) Vacuum-type electric circuit interrupter
CN219716744U (zh) 一种具有纵向磁场的真空灭弧室触头结构
CN215815424U (zh) 用于气体绝缘系统的间隔组件以及气体绝缘系统
CN217933605U (zh) 一种均压绝缘台
KR101238642B1 (ko) 진공 인터럽터의 전극 조립체
US4053857A (en) Resettable electro-mechanical vacuum fuse
US3667871A (en) Contact structures for vacuum-type circuit interrupters having radially outwardly-extending spokes
KR20230130429A (ko) 진공 인터럽터
JP4684914B2 (ja) 真空遮断器
JPH05282969A (ja) ガス遮断器
KR20140061889A (ko) 축자계 방식 진공인터럽터의 전극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