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8780A - 스마트폰과의 무선 통신에 의하여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데이터 저장수단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과의 무선 통신에 의하여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데이터 저장수단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8780A
KR20200118780A KR1020200128016A KR20200128016A KR20200118780A KR 20200118780 A KR20200118780 A KR 20200118780A KR 1020200128016 A KR1020200128016 A KR 1020200128016A KR 20200128016 A KR20200128016 A KR 20200128016A KR 20200118780 A KR20200118780 A KR 20200118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torage
storage means
wireless communication
data
smart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8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0090B1 (ko
Inventor
윤동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토리지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1608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318716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토리지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토리지안
Priority to KR1020200128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090B1/ko
Publication of KR20200118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8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78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to assure secure storage of data
    • G06F21/79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to assure secure storage of data in semiconductor storage media, e.g. directly-addressable mem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4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 G06F21/35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communicating wireless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71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to assure secure computing or processing of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5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interconnection devices, e.g. bus-connected or in-lin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폰과의 무선 통신에 의하여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장치 내부에서 호스트 컴퓨터 측으로 연결되는 커넥터와 제어부, 제어부와 데이터 저장수단 또는 데이터 저장수단이 연결된 연결 커넥터 사이의 메인 데이터 버스를 연결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 버스 스위치를 구비하며, 버스 스위치는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장치 내부에 구비된 무선통신부의 온/오프 제어핀과 연결된 구성을 갖는다. 무선통신부는 안테나를 통하여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와 같은 무선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연결된다.
본 발명의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장치는 마치 물을 사용하고자 할 때만 수도꼭지를 틀어 물을 사용하고 물을 사용한 후에는 다시 수도꼭지를 잠그는 것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장치에 연결된 데이터 저장 수단에 대한 데이터 접근이 필요할 때만 내부에 구비된 버스 스위치를 연결하고 데이터 접근이 완료된 경우에는 버스 스위치를 차단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며, 컴퓨터 측에서 데이터 접근 동작이 요구되면 바로 실행되지 않고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 폰을 간단하게는 디스플레이를 터치하는 것과 같은 조작을 하여야만 버스 스위치가 연결되어 데이터 전송이 개시된다.
사용자는 본 발명의 저장장치의 사용과 관련하여 무선 통신부의 활성 여부 설정, 가상장치 설정, 데이터 전송에 따른 전송완료 예정시간 또는 파일 핸들 연동 설정, 다양한 종류의 보안 레벨 설정 및 타이머 설정등 다양한 환경설정과 제어 방법을 통하여 보안이 확보되면서도 편리하게 본 발명의 스마트폰과의 무선통신에 의하여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과의 무선 통신에 의하여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데이터 저장수단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ATA STORAGE MEANS HAVING DATA PROTECTION FUNCTION B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SMART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의 무선 통신에 의하여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데이터 저장수단 제어 장치가 컴퓨터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을 때, 컴퓨터 상에서 본 발명의 데이터 저장수단 제어 장치를 사용하고 있지 않는 동안에는 본 발명의 데이터 저장수단에 구비된 버스 스위치를 차단된 상태로 유지하여 디스크 접근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 저장수단 제어 장치를 사용하기 위한 접근이 발생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폰 상에서 사용자의 접근을 허용하는 별도의 화면 조작이나 사용자의 생체 인식 결과로 인가자 또는 비인가자로 구분된 비트 정보를 본 발명의 데이터 저장수단 제어 장치에 구비된 무선 통신부로 전송하고, 무선 통신부는 이 비트 정보를 버스 스위치 제어용 핀의 출력 신호로 전송하여 버스 스위치를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의 데이터 저장수단 제어장치가 컴퓨터와 메인 데이터 버스로 연결되도록 하여 접근을 허용하거나 또는 연결을 차단하여 접근을 해제 방식으로 동작하는 보안 기능이 내장된 데이터 저장수단 제어장치와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기술야에 관한 것이다.
본원 출원인이 출원한 특허출원 제10-2017-0094492호(출원일 2017.07.26), 특허출원 제10-2018-0025264호(출원일 2018.03.02)는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에스에스디(SSD) 기반의 저장미디어로, 이러한 저장 미디어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하나의 메인 인터페이스용 제 1 커넥터부(11)와 암호 및 상태정보 인터페이스용의 제 2 커넥터부(25)를 구비한 SSD 더블러(1)의 블록 구성도로서, 상기 제 1 커넥터(11)는 통상 데스크톱 PC의 머더보드(미도시)에 구비된 SATA 커넥터(미도시)와 연결된다.
제 2 제어부(21)는 RAID Controller로 구성되며, 이것은 일련의 커넥터부(35, 37, 39)들을 통하여 저장미디어(41, 43)들과 연결된다.
제 2 커넥터부(25)는 데스크톱 PC의 후면부 I/O 패널(미도시)에 구비된 USB 포트(미도시)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USB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PCIe Add-in 카드(미도시)상에 구비된 USB 커넥터(미도시)와 연결된다.
제 2 커넥터부(25)는 신호 변환부(27)를 거쳐 USB 신호를 일반적인 +3.3V와 같은 디지털 신호 레벨로 변환하여 제 1 제어부(29)로 입력한다.
제 1 제어부(29)는 버스 스위치(19)의 온/오프(ON/OFF) 입력핀에 연결되어 데스크톱 PC 내부에 설치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디바이스 드라이버(Device Driver)의 제어에 따라 ON/OFF 동작이 수행되는 방식으로 제 2 제어부(21)를 통하여 연결된 저장미디어(41, 43)들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거나 차단한다.
도 2는 종래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메인 인터페이스용 커넥터부(51, 61, 69)와 암호 및 상태 정보 인터페이스용의 커넥터부(77)를 구비한 SSD 트리플러(50)의 블록 구성도로서, 도 1에서와 달리 별도의 RAID Controller와 같은 제 2 제어부(21)를 구비하지 않는 대신에 외부로 노출되어 각각 컴퓨터 측과 연결되는 일련의 메인 데이터 버스에 대한 인터페이스용 커넥터(51, 61, 69)들이 각각 버스 스위치(55, 63, 71)들을 통하여 각각에 대응되는 커넥터(57, 65, 73)들을 통하여 저장 미디어(59, 67, 75)들에 대응되는 구조로, 버스 스위치(63, 55, 71)들은 제 7 커넥터부(77)를 통하여 입력된 상기 도 1에서와 마찬가지로 제 1 제어부(81)로 입력되고, 제 1 제어부(81)의 상기 버스 스위치(55, 63, 71) 각각에 대한 ON/OFF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버스 스위치(55, 63, 71)들을 각각 제어하는 방식으로 상기 SSD 트리플러(50)가 장착된 컴퓨터 상에 설치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디바이스 드라이버(Device Driver)의 제어에 따라 상기 버스 스위치(55, 63, 71)들이 각각 ON/OFF 동작되는 방식으로 연결된 저장미디어(59, 67, 75)들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도 3은 종래 발명에 따른 SSD 더블러(1)의 사시도 및 정면도로서, 메인 데이터 버스와 전원 케이블(미도시)이 연결되는 제 1 커넥터부(11)와 그 측면에 데스크톱 PC의 후면부 I/O 패널상에 구비된 USB 포트와 연결되거나 또는 데스크 톱 PC의 PCIe 슬롯에 구비되는 USB 인터페이스용 PCIe Add-in 카드(미도시)상에 구비된 USB 커넥터(미도시)와 연결되는 제 2 커넥터부(25)가 구비된다.
제 1 저장미디어(41)와 제 2 저장미디어(43)는 베이 지지대(45-1, 45-2)의 가이드에 따라 슬라이드 방식으로 내측에 구비된 제 4 커넥터부(39) 및 제 5 커넥터부(37)에 각각 결합되어 2단 적층을 구성하며, 물리적으로는 분리되어 있지만 논리적으로는 내부에 구비된 제 2 제어부(21)의 설정된 상태에 따라 RAID0(Strip), RAID1(Mirror), CLONE 등의 기능이 수행된다.
도 4는 종래의 발명에 따른 SSD 트리플러(50)의 사시도 및 정면도로서, 전면부는 메인 데이터 버스와 전원 케이블(미도시)이 연결되는 제 1 커넥터부(51)를 포함하여 다른 메인 데이터 버스를 연결하는 제 2 커넥터부(61) 및 제 3 커넥터부(69)와 컴퓨터 후면부의 I/O 패널(미도시) 상의 USB 포트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PCIe 슬롯에 구비되는 USB 신호 인터페이스용 PCIe Add-in 카드상의 USB 커넥터(미도시)와 연결되는 제 7 커넥터부(77)가 나란히 배치된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커넥터부 내지 제 3 커넥터부(51, 61, 69)와 연결되는 제 1 저장미디어 내지 제 3 저장미디어(59, 67, 75)는 베이 지지대(93-1, 93-2)의 가이드에 따라 내부에 구비된 버스 스위치(55, 63, 71)를 통하여 저장미디어 연결 커넥터(57, 65, 73)에 결합되어 연결된다.
도 5는 종래의 발명에 따른 SSD 기반의 저장미디어와 암호 및 상태 정보 인터페이스를 위한 PCIe to USB 변환 M.2 Card(100)와 PCIe Add-in Card(110)의 구성도로서, 종래 발명에 따른 SSD 기반의 저장미디어(1, 50)를 암호에 의한 인가자/비인가자 구분 방식으로 사용될 때 간편한 설치 환경을 제공하고, 간단히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데스크 톱 PC 내부에 구비된 머더보드상의 M.2 슬롯(미도시)에 PCIe to USB 변환 M.2 Card(100)를 설치한다.
PCIe to USB 변환 M.2 Card(100)상의 제어부(103)는 PCIe Edge-finger 부(101)와 PCIe 버스로 연결되며, PCIe to USB 변환 제어부(103)와 연결된 USB 커넥터(105, 107)들 중 하나는 종래의 발명에 따른 SSD 기반의 저장미디어(1, 50)의 제 2 커넥터부(25) 또는 제 7 커넥터부(77)와 별도의 USB 케이블(미도시)을 사용하여 연결된다.
PCIe Add-in Card(110)는 지문 인식 마우스, 안면 인식 카메라 또는 안면 인식을 위한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저장미디어에 대한 접근 요구 발생시 마다 매번 입력하여야만 했던 암호를 대체하여 보다 편리한 사용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외부 정보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PCIe Add-in Card(110)의 PCIe Bracket 상에 구비된 일련의 USB 커넥터(117-1, 117-2, 117-3)들은 컴퓨터 후면부의 I/O 패널에 구비된 USB 포트와 직접 연결되어 컴퓨터 측으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암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용도의 USB 커넥터(117-1), 외부의 정보기기(120, 150, 170)들 중 하나로 부터 출력되는 인가자/비인가자 신호가 연결되는 용도의 USB 커넥터(117-3), 외부 정보기기로 부터 입력되는 USB 커넥터(117-3)로 부터 분기되어 컴퓨터 측으로 연결되기 위한 용도의 USB 커넥터(117-2) 및 컴퓨터측으로 부터 출력되는 사용자 암호 데이터용 USB 커넥터(117-1)와 정보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인가자/비인가자 데이터용 USB 커넥터(117-3)가 논리 게이트(113)를 거쳐 종래 발명의 제 2 커넥터부(25) 또는 제 7 커넥터부(77)와 연결되기 위한 용도의 USB 커넥터(115)로 구분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PCI Add-in Card(100)와 결합되어 사용되는 외부 정보기기(120, 150, 170)들로서. 지문 인식 마우스(120), 안면 인식 카메라(150) 또는 안면 인식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폰(170)을 적용 사례로 들고 있다.
이들 정보기기(120, 150, 170)들의 인가자와 비인가자를 판별한 출력은 지문인식 마우스(120)의 경우에는 USB 케이블로, 안면 인식 카메라(150)는 지지대(157)측면에 구비된 USB 커넥터(159)에 연결되는 별도의 USB 케이블(미도시)로, 안면 인식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폰(173)은 하단부에 구비된 충전포트 겸용의 USB 커넥터(177)에 연결된 별도의 USB 케이블을 통하여 도 5의 PCIe Add-in 카드(110) 상에 구비된 외부 정보기기 연결용 USB 커넥터(117-3)에 연결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정보기기(120, 150, 170)와 연결되는 USB커넥터(117-3)의 출력은 신호 바이패스(BYPASS)용 USB 커넥터(117-2) 외에 논리 게이트를 거쳐 종래 발명의 SSD 기반 저장장치(1, 50)가 연결되는 USB 커넥터(115)로 출력되므로, 만일 사용자가 자리를 벗어나는 경우, 종래 발명의 SSD 기반 저장장치는 내부에 버스 스위치가 차단되어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한 외부 침입자들로부터 안전하게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06240호(공개일 2017.01.17)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40897호(공개일 2017.04.14)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15719호(공개일 2017.05.12)
종래의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SSD 기반의 저장미디어는 컴퓨터와 연결되는 메인 데이터 버스용 제 1 커넥터를 구비하는 것 외에 상기 메인 데이터 버스가 연결된 버스 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용도로 메인 데이터 버스가 연결된 제 1 커넥터와 인접한 위치에 나란히 배치된 제 2 커넥터를 배치한 구조를 갖는다.
아울러, 간단하게는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서 사전에 부여한 다양한 종류의 암호 체계에 의하여 인가자와 비인가자를 구분하여 종래의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SSD 기반의 저장미디어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인가자와 비인가자를 구분하기 위한 수단으로 외부의 정보기기로 지문 인식 마우스, 안면 인식 카메라 또는 안면 인식 스마트폰에 의하여 인식되고, 판별된 결과 데이터를 상기 컴퓨터상에 구비된 USB 포트를 통하여 컴퓨터 내부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제 2 커넥터로 전송하기 위하여 종래의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SSD 기반의 저장미디어가 설치된 컴퓨터 시스템의 PCI Slot에 설치되는 PCIe Add-in 카드 형태의 USB 인터페이스 카드를 구비하여야만 했다.
상기에 열거한 외부의 정보기기를 사용하지 않는 암호 입력 방식에 의한 간단한 사용 환경에서도 종래의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SSD 기반의 저장미디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의 제 2 커넥터를 컴퓨터의 머더보드로부터 돌출된 외부의 I/O 패널 상에 구비된 USB 포트와 연결하여야 하나, 데스크톱 컴퓨터 내부에 설치되는 종래의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SSD 기반의 저장미디어의 제 2 커넥와의 케이블 연결을 위해서는 USB 포트가 구비된 상기 I/O 패널에서 PCIe Bracket 홀을 통하여 컴퓨터 내부로 케이블을 통과시켜 상기 제 2 커넥터에 연결해야만 하는 불편함과 자연스럽지 못한 케이블 연결 환경이 유발된다.
아울러, 매번 데이터 전송시마다 인가자임을 증빙하기 위한 암호를 입력하는 것이 번거로워 외부의 정보기기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사용중인 컴퓨터에서 자리를 비운 경우에도 데이터 보호를 위하여 상기 제 2 커넥터측으로 외부 정보기기의 사용자 판별 결과 데이터를 전송하여야 하므로, 안면 인식을 위한 안면 인식 카메라나 안면 인식을 위한 스마트폰 뿐만아니라 비교적 간단한 지문 인식 마우스를 사용하더라도 인가자와 비인가자의 판별 결과 데이터가 종래의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SSD 기반의 저장미디어상의 제 2 커넥터측으로 전송되어야 하므로, PCIe 슬롯에 설치되는 PCIe Add-in 카드 타입의 USB 인터페이스 카드를 반드시 필요로 하였다.
그러나, 상기에 열거한 사용 환경상의 문제 뿐만아니라 보안 기능 자체에 있어서도 비록 외부의 정보기기를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사용자가 자리를 비울 경우에는 상기에 열거한 외부의 정보기기들이 비인가자로 판별된 데이터를 상기 제 2 커넥터측으로 전송하여 종래의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SSD 기반의 저장미디어상에 구비된 버스 스위치를 차단하여 완벽한 접근 차단 상태를 유지하지만, 만일 사용자가 컴퓨터 앞에 앉아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컴퓨터와 종래의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SSD 기반의 저장미디어 사이에는 동일한 컴퓨터 사용환경하에서 USB 포트로 상시적으로 하드웨어적인 연결 상태가 유지되므로 해커에 의하여 상기 USB 포트가 해킹될 가능성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SSD 기반의 저장미디어는 상기 제 2 커넥터가 구비된 SSD Doubler와 같은 특별한 장치를 통해서만 2.5인치 SSD에 국한하여 버스 스위치를 차단하는 방식으로 데이터 보호기능이 수행되었으나, 데스크톱 PC 뿐만아니라 노트북 PC 상에서도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3.5인치 HDD, 2.5인치 SSD 및 HDD, M.2 SSD, M.3 SSD 등 다양한 폼팩터의 저장수단에 대하여 별도의 PCIe Add-in 카드 타입의 USB 인터페이스 카드와 이에 따른 케이블의 설치없이도 무선통신모듈과 연동되는 스마트폰상의 제어수단을 통하여 보다 간편한 설치 및 사용 환경을 제공하면서도 컴퓨터와 분리된 스마트폰으로 하여금 데이터의 접근과 차단을 수행하도록 하여, 종래의 단일 컴퓨터 시스템에 의한 데이터 접근 제어 방법보다 향상된 보안 환경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과의 무선 통신에 의하여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데이터 저장수단 제어 장치는, 외부로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연결수단과, 데이터 저장수단을 구비하거나 또는 데이터 저장수단을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연결수단 중에서 컴퓨터와 연결되며 메인 데이터 버스가 연결되는 제 1 커넥터부; 상기 제 1 커넥터부와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 사이에 상기 데이터 버스가 연결되도록 하거나 또는 데이터 버스가 차단되도록 하는 데이터 버스 스위치부;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무선인터페이스로 연결되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접근 허용 또는 차단 신호에 의하여 상기 데이터 버스 스위치부에 대한 온/오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무선통신부; 를 구비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메인 데이터 버스가 연결되거나 또는 차단되는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에 대하여 접근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은 독립된 형태의 M.2 SSD, M.3 SSD, 2.5인치 SSD, 3.5인치 SSD 및 PCIe Add-in 카드형 SSD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은 SSD Controller와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배열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SSD Controller와 상기 제 1 커넥부 또는 상기 SSD Controller 와 배열된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 사이의 메인 데이터 버스를 연결시키거나 차단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커넥터부와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 사이에 RAID 또는 PCI EXPRESS SWITCH 제어를 위한 제어부가 추가적으로 구비된 경우, 상기 제 1 커넥터부와 상기 제어부 사이에 버스 스위치를 추가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버스 스위치는 상기 무선통신부의 출력 신호에 의하여 연결 또는 차단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커넥터부와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 사이에 RAID 제어 또는 PCI EXPRESS 스위치 제어를 위한 제어부가 추가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에 외부에서 제어되는 메인 데이터 버스 활성화(ENABLE) 핀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데이터 버스 활성화 핀이 상기 무선통신부에 연결되어 메인 데이터 버스가 연결되거나 차단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커넥터부와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 사이에 RAID 또는 PCI EXPRESS SWITCH 제어를 위한 제어부가 추가적으로 구비된 경우, 상기 제어부와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 사이에 버스 스위치를 추가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버스 스위치는 상기 무선통신부의 출력 신호에 의하여 연결 또는 차단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무선 인터페이스로서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로 통신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 제어장치가 3.5인치 베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하고, PCIe 슬롯 커넥터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PCIe Bracket 외측에 외장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 제어장치가 3.5인치 베이에 설치되는 SSD 더블러(Doubler) 또는 SSD 트리플러(Tripler)인 경우 상기 무선 통신부 또는 상기 무선 통신부를 구성하는 무선통신모듈이 상기 인쇄회로기판 하단면에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 제어장치의 하단면 외측으로 돌출물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 제어장치의 하단면에 구비되어 돌출된 상기 무선통신부 또는 무선통신모듈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돌출 방지용 덮개를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이다.
다른 일면에 따라, 본 발명의 스마트폰과의 무선 통신에 의하여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데이터 저장수단 제어 방법은, 외부로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연결수단들과, 데이터 저장수단을 구비하거나 또는 데이터 저장수단을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외부로 노출되는 연결수단 중에서 컴퓨터와 연결되며 메인 데이터 버스가 연결되는 제 1 커넥터부; 상기 제 1 커넥터부와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 사이에 상기 데이터 버스가 연결되도록 하거나 또는 데이터 버스가 차단되도록 하는 데이터 버스 스위치부;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무선인터페이스로 연결되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접근 허용 또는 차단 신호에 의하여 상기 데이터 버스 스위치부에 대한 온/오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무선통신부;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상기 컴퓨터, 그리고 상기 무선통신부 및/또는 상기 데이터 버스 스위치부에 대한 설정 또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 소프트웨어; 를 구비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메인 데이터 버스가 연결되거나 또는 차단되는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에 대하여 접근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 소프트웨어는 상기 무선통신부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설정하고, 상기 무선통신부에 대한 비활성화가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버스 스위치부를 구성하는 버스 스위치를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타인의 접근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 소프트웨어는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 제어장치가 연결된 컴퓨터에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 제어장치에 대한 가상의 저장장치를 노출할 것인지 또는 노출하지 않을 것인지를 선택하는 가상의 저장장치 온/오프 설정 신호를 상기 컴퓨터 측으로 전송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상의 저장장치가 노출되지 않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 이를 세부메뉴에서 상기 컴퓨터 상에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노출을 위한 Hot-Key를 지정하도록 하고, 상기 컴퓨터 상에 상기 가상의 저장장치가 노출되도록 하되 상기 가상의 저장장치에 상응하는 탐색기 창만 노출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가상의 저장장치가 더블 클릭되었을 경우 이 상태를 사용자의 상기 스마트폰 화면에 탐색기창 열기 확인 버튼이 팝업(Pop-up)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상기 확인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하여 상기 탐색기 창이 열리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 소프트웨어는 상기 컴퓨터 상에서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 제어장치에 대한 접근 동작이 발생하였을 때 사전에 설정된 동작 개시 보안 설정에 따라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데이터 버스 스위치부가 연결되거나 또는 차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 소프트웨어는 상기 동작 개시 보안 설정으로서 디스플레이 화면의 단순 터치와 손금 인식, 지문 인식, 안면 인식 등과 같은 생체 인식에 의한 인식 수단 가운데 사용자의 보안 설정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인식 수단에 의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 제어 장치에 대한 접근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것인지 또는 수행하지 않도록 할 것인지를 결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 소프트웨어는 상기 동작 개시 보안 설정에 따른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 제어장치에 대한 접근 동작이 진행된 후 사전에 설정된 타이머 값에 의하여 동작이 차단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타이머 값은 상기 컴퓨터 측으로부터 파일 전송 소요 시간 정보에 의하여 생성된 값으로 갱신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 소프트웨어는 상기 동작 개시 보안 설정에 따른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데이터 버스 스위치부를 연결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 제어장치에 대한 접근 동작이 진행되도록 하고, 접근 동작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컴퓨터와 유선으로 연결된 인터페이스 커넥터나 또는 컴퓨터상에 구비된 무선인터페이스 수단를 통하여 전송되는 접근 동작 완료 비트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버스 스위치부를 차단상태로 전환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접근 동작 완료 비트는 상기 컴퓨터 측으로부터 파일 전송 소요시간 정보에 의하여 생성되거나 또는 파일의 전송에 따른 파일 핸들(File Handle)과 연계되어 생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 소프트웨어는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 제어장치가 연결된 상기 컴퓨터에서 상기 컴퓨터 상에 구비된 무선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하여 전송한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 제어장치에 대한 접근 정보를 수신하여 읽기 동작에 대해서만 접근 제어를 할 것인지 또는 쓰기 동작에 대해서만 접근 제어를 할 것인지 또는 읽기 동작과 쓰기 동작 모두에 대하여 접근 제어를 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 소프트웨어는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 제어장치에 대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없는 상태가 근접되면 기 설정된 각종 설정 정보를 임의의 레지스터로 퇴피시킨 후 읽기 동작과 쓰기 동작에 대한 접근 설정값을 모두 접근 차단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 제어장치와의 통신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상태가 되면 퇴피시켰던 상기 임의의 레지스터로부터 설정된 접근 제어 정보를 복원하여 본래의 상태로 전환하는 것이다.
종래의 발명의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SSD 기반의 저장미디어의 경우 단일 컴퓨터 환경하에서 외부의 정보기기를 보안 수단으로 사용함에도 사용자가 자리를 비울 경우에는 SSD 기반의 저장미디어 내부의 버스 스위치가 차단되어 확실한 보안이 보장되는데 비하여, 사용자가 컴퓨터 앞에서 작업을 수행중인 경우에는 컴퓨터와 종래 발명의 SSD 기반의 저장미디어가 USB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컴퓨터의 USB 포트가 해킹될 가능성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과의 무선 통신에 의하여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데이터 저장수단 제어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본 발명의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 장치는 이것이 설치된 컴퓨터와 네트워크 관점에서 완전히 분리된 외부의 정보기기로서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의하여 접근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적인 제어 방법을 제공하여 데이터 저장 수단에 대한 높은 수준의 보안을 제공하며, 종래의 발명에서 필요하였던 별도의 USB 인터페이스 카드나 USB 케이블을 필요하지 않아 제품 설치가 간편하다.
이것은 높은 레벨의 보안 환경에서 동작하는 인터넷 뱅킹의 환경처럼, 사전에 설정한 일정 금액 이상의 고액을 송금하는 경우 컴퓨터상에서 공인인증서나 이체 암호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 네트워크가 분리되어 있는 이종의 정보기기로서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ARS를 통한 숫자 입력이나 SNS를 통한 문자 입력을 통한 부가적인 본인 인증절차를 거쳐 보안성을 높이는 것과 유사한 디스크 보안 레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하나의 메인 인터페이스용 커넥터부와 암호 및 상태정보 인터페이스용의 커넥터부를 구비한 SSD 더블러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종래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메인 인터페이스용 커넥터부와 암호 및 상태정보 인터페이스용의 커넥터부를 구비한 SSD 트리플러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종래 발명에 따른 SSD 더블러의 사시도 및 정면도.
도 4는 종래 발명에 따른 SSD 트리플러의 사시도 및 정면도.
도 5는 종래 발명에 따른 SSD 기반의 저장미디어와 암호 및 상태 정보 인터페이스를 위한 PCI Express to USB 변환 M.2 Card 및 외부 정보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PCIe Add-in Card의 구성도.
도 6은 종래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의 정보기기로서 지문 인식 센서가 내장된 마우스, PC 카메라 및 스마트폰을 생체 인식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을 도식화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부의 구비에 의하여 버스 스위치가 제어되는 하나의 메인 인터페이스용 커넥터부를 구비하는 SSD 더블러의 블록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부를 구비한 PCIe Add-in 카드 타입 저장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SSD 더블러의 사시도와 정면도 및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된 배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부의 구비에 의하여 버스 스위치가 제어되는 PCI Express Add-in 카드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부의 구비에 의하여 버스 스위치가 제어되는 동글(DONGLE)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부의 구비에 의하여 버스 스위치가 제어되는 PCI Express Add-in 카드 타입의 2.5인치 SSD 기반 저장장치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장장치 제어용 소프트웨어를 탑재한 스마트폰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장치 제어용 소프트웨어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스마트폰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과의 무선 통신에 의하여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부의 구비에 의하여 버스 스위치가 제어되는 하나의 메인 데이터 버스용 커넥터부를 구비하는 SSD 더블러의 블록 구성도(200)로서, 버스 스위치(19)를 제어하므로써 제 1 커넥터부(11)와 제어부(21)간의 메인 데이터 버스를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동일하지만, 종래 기술의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제 2 커넥터부(25, 77), 신호 변환부(27, 79), 제 1 제어부(29, 81) 및 암호용 DIP 스위치(31, 83)를 무선통신부(201-1)로 대체한 것이 특징이다.
무선통신부(201-1)는 사용자의 스마트폰(400)과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와이파이(Wifi) 인터페이스 규격에 의하여 연결되며, 사용자의 스마트폰(400)으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무선통신부(201-1)의 임의의 출력핀과 연결된 버스 스위치(19)의 온/오프 제어핀과 연결된다.
만일, 제 1 커넥터부(11)와 제어부(21)가 메인 데이터 버스로 연결된 경우이거나 혹은 제어부(21)와 제 1 저장미디어(41) 및 제 2 저장미디어(43)와의 사이에 버스 스위치(23)를 구비하여 무선통신부(201-1)의 버스 스위치 온/오프 출력신호에 의해 제 1 저장미디어(41) 및 제 2 저장미디어(43)에 대한 접근 제어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별도의 버스 스위치(19, 23)를 사용할 것이 아니라 제어부(21) 자체에 제 1 커넥터부(11)측의 메인 데이터 버스를 온/오프 하거나 또는 제 1 저장미디어(41) 및 제 2 저장미디어(43)측의 메인 데이터 버스를 온/오프하는 용도의 메인 데이터 버스 활성화 핀(미도시)을 구비하여 접근 제어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버스 스위치(19, 23)나 제어부(21)의 메인 데이터 버스 활성화 핀에 의한 메인 데이터 버스 연결 또는 차단 방식 이외에 구성블록별로 구분되어 구비된 전원부(33) 중에서 제 1 저장미디어(41), 제 2 저장미디어(43) 또는 제어부(21)에 인가되는 특정 전원을 온/오프하는 방식으로 메인 데이터 버스가 연결되거나 또는 차단되는 효과를 대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부(201-2)를 구비한 PCIe Add-in 카드 타입 저장장치(350)의 블록 구성도(210)로서, 종래 기술의 도 2에 구비된 SSD 트리플러(50)의 제 7 커넥터부(77), 신호 변환부(79), 제 1 제어부(81) 및 암호용 DIP 스위치(83)를 무선통신부(201-2)로 대체한 것과 유사한 구성이다.
도 8의 구성에 대하여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컴퓨터 측과 연결되는 메인 데이터 버스용 커넥터부(251, 261, 269, 277)는 제 1 저장미디어 내지 제 4 저장미디어(259, 267, 275, 283)와 메인 데이터 버스로 연결됨에 있어 각각의 저장미디어에 대응되는 버스 스위치(255, 263, 271, 279)와, 상기 저장미디어(259, 267, 275, 283)들을 연결하는 제 5 커넥터부 내지 제 8 커넥터부(257, 265, 273, 281)를 통하여 연결되고, 버스 스위치(255, 263, 271, 279)들은 각각 무선통신부(201-2)의 출력핀에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온/오프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제 1 저장미디어 내지 제 4 저장미디어(259, 267, 275, 283)들에 대한 접근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도 8의 무선통신부(201-2)를 구비한 PCIe Add-in 카드 타입 저장장치(210)의 구성은 도 7에서는 제 1 커넥터부(11)가 중간에 제어부(21)를 통하여 저장미디어(41, 43)와 연결되는 구조인데 비하여, 컴퓨터 측과 연결되는 제 1 커넥터부 내지 제 4 커넥터부(251, 261, 269, 277)가 중간에 별도의 제어부를 구비하지 않고 각각 제 1 저장미디어 내지 제 4 저장미디어(259, 267, 275, 283)와 독립된 메인 데이터 버스로 연결될 때 각각 중간에 버스 스위치(255, 263, 271, 279)를 통하여 연결되는 구조이다.
도 8의 무선통신부(201-2)를 구비한 PCIe Add-in 카드 타입 저장장치(210)의 구조에서는 사용자의 스마트폰(400)에 설치된 저장장치 제어용 스마트폰 소프트웨어(500)의 제어에 따라 각각의 버스 스위치(255, 263, 271, 279)에 대한 독립적인 제어에 의하여 제 1 저장미디어 내지 제 4 저장미디어(259, 267, 275, 283)에 대한 접근 제어 동작이 이루어진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부(201-1)를 구비한 SSD 더블러(220)의 사시도와 정면도 및 배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9의 무선통신부(201-1)를 구비한 SSD 더블러(220)는 도 7에 도시된 블럭구성도를 실시예의 저장장치로 구현한 것으로, 전면부에는 전원과 메인 데이터 버스가 연결되는 제 1 커넥터부(11), SATA 7핀 커넥터(203) 대체용 방열 커버(205) 및 방열홀(207)로 구성된다.
도 9의 무선통신부(201-1)를 구비한 SSD 더블러(220)는 전면부의 방열커버(205)는 제 1 커넥터부(11)로 연결되는 메인 데이터 버스의 인터페이스 Lane 폭을 늘리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메인 데이터 버스가 PCIe x4 에서 PCIe x8로 확장되는 경우에는 OCULINK와 같은 커넥터(미도시)로 대체될 수 있다.
제어부(21)가 제거되고 제 1 저장미디어(41)는 제 1 커넥터부(11)에 연결되고, 제 2 저장미디어(43)는 방열 커버(205)를 대체한 SATA 7핀 커넥터(203)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도 4의 축소된 형태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컴퓨터의 USB 커넥터와 연결되어 버스 스위치(19)에 대한 제어 신호가 입력되던 종래 기술의 도 1에 나타난 제 2 커넥터부(25) 또는 도 4에 나타난 제 7 커넥터부(77)는 USB 커넥터가 제거된 상태로 방열홀(207)을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부(201-1)를 구성하는 실시예로 무선통신모듈(202)은 제 1 저장미디어(41)가 인입되는 인쇄회로기판(204)의 하단면에 구비된다.
이 부분은 본 발명의 무선통신부(201-1)를 구비한 SSD Doubler(200)를 구성하는 제어부(21)를 비롯한 주요 핵심 구성블록들이 위치하여 밀집한 전자부품들로 인한 디지털 회로에 의한 노이즈가 상대적으로 많은 방열 커버(44) 하단부로 부터 가장 먼 위치이기도 하고, 컴퓨터 상에 장착되었을 때 무선통신모듈(202)의 배선 타입 안테나(미도시) 또는 칩타입 안테나(202-2)를 비롯한 RF(RADIO FREQUENCY) 구성부가 상기 디지털 회로에 의한 노이즈로부터 가장 영향을 적게 받을 수 있는 먼거리와 주변 노이즈 발생원이 없는 위치라는 특징이 있는 곳 이기도 하다.
일반적인 3.5인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나 2.5인치 SSD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장치(220)도 평평한 바닥면에 설치되어질 수 있어야 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통신모듈 돌출 방지용 덮개(209)를 구비하여 무선통신부(201-1) 또는 이를 구성하는 무선통신모듈(202)이 무선통신모듈 돌출 방지용 덮개(209)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도 9에서와 같이 무선통신모듈 돌출 방지용 덮개(209)는 내부 도시를 위하여 ‘U' 자형 개구홀로 절개된 형태를 띄고 있으나, 바람직스럽게는 외부로 돌출되어야 하는 안테나(202-2) 부분만이 노출되도록 하고, 무선통신 컨트롤러(202-1) 및 그 주변소자들(미도시)은 무선통신모듈 돌출 방지용 덮개(209)를 면다운(Surface-down) 처리를 하여 무선통신 컨트롤러(201-1) 및 그 주변부 소자들로부터 발생되는 방사 노이즈에 대한 차폐 커버(Shield Cover)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무선통신모듈 돌출 방지용 덮개(209)는 무선통신부(201-1) 또는 이를 구성하는 무선통신모듈(202)의 돌출 방지 뿐만아니라 제어부(21) 주변소자로서 인쇄회로기판(204) 하단에 구비되어야 하는 각종 부품들(미도시)과 LED 표시부(7)를 구성하는 LED 모듈(49)의 핀들이 무선통신모듈 돌출 방지용 덮개(209)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함께 한다.
무선통신모듈 돌출 방지용 덮개(209)는 스크류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211)을 통하여 베이지지대(45-1, 45-2) 하단에 구비된 고정홀에 인쇄회로기판(104)을 사이에 두고 단단히 결합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부(201)의 구비에 의하여 버스 스위치(303)가 제어되는 PCI Express Add-in 카드(300)를 나타낸 것으로, 무선통신부(201)는 PCIe 브라켓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된 안테나(301)와 인쇄회로기판의 배선으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스마트폰(400)으로부터 수신되 접근 제어 신호에 따라 버스 스위치(303)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한다.
버스 스위치(303)는 컴퓨터 측과 연결되는 SATA 또는 NVMe(None Volatile Memory Express, 여기서 Express는 PCI Express 인터페이스를 말함)용 Host Computer 측 커넥터(305)와 저장미디어(미도시)를 연결하는 SATA 또는 NVMe 용 저장미디측 커넥터(307) 사이의 메인 데이터 버스에 구비된다.
만일, SATA 또는 NVMe 용 저장미디측 커넥터(307)에 연결되는 저장미디어가 SATA 3.5인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이거나 또는 2.5인치 SSD인 경우에는 SATA 또는 NVMe용 저장미디측 커넥터(307)는 외부 저장미디어에 대응한 SATA 7핀 또는 NVMe 용 커넥터로 구비되며, M.2 SSD 또는 M.3 SSD인 경우에는 M.2 SSD 또는 M.3 SSD에 대응되는 커넥터로 구비되는 방식으로 각각의 저장미디어에 대응되는 커넥터로 구비된다.
M.2 SSD 또는 M.3 SSD가 사용되는 경우 설치된 M.2 SSD 또는 M.3 SSD의 길이에 맞춰 구비된 M.2 SSD 또는 M.3 SSD 메모리 카드 고정홀(311)에 스크류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고정한다.
PCIe Edge-Finger부(309)는 전원부(311)에 메인 전원을 공급하고, 전원부(311)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은 무선통신부(201)와 버스 스위치(303)에 공급된다.
PCIe Edge-Finger부(309)의 PCIe 메인 데이터 버스는 사용되는 저장미디어가 PCIe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저장미디어인 경우 SATA 또는 NVMe용 Host Computer 측 커넥터(305)의 NVMe 인터페이스 핀들에 연결된다.
도 11은 노트북 PC 사용환경에서 3.5인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2.5인치 SSD 또는 기타 SSD Enclosure 제품과 결합되어 데이터 접근 제어 용도로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모듈(323)의 구비에 의하여 버스 스위치(23)가 제어되는 동글(DONGLE)(32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동글(320)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동글(320)은 외형적으로 동글 바디(321)에 동글 커버(322)가 동글 커버 고정볼트(331)로 고정되는 것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아래와 같은 구성 요소들이 전기 회로적인 연결 관계를 갖도록 구성된다.
외부 인터페이스용 NVMe 또는 SATA 인터페이스 포트(325)는 컴퓨터상에 구비된 PCIe 포트에 별도의 NVMe 인터페이스 케이블(미도시)로 연결되며, PCIe 의 메인 데이터 버스는 버스 스위치(333)와 연결된다.
버스 스위치(333)는 타측 메인 데이터 버스는 SFF-3639 커넥터(335)에 구비된 PCIe 인터페이스 핀들에 연결된다.
한편, 버스 스위치(333)는 무선통신모듈(323)의 버스 스위치 온/오프 제어핀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스마트폰(400) 상에 구비된 저장장치 제어용 스마트폰 소프트웨어(500)의 제어신호에 따라 SFF-8639 커넥터(335)에 연결된 NVMe 인터페이스 방식의 저장미디어들(미도시)에 대한 접근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외부 인터페이스용 USB 인터페이스 포트(327)는 USB to SATA 변환 Controller(329)와 연결되고, USB to SATA 변환 Controller(329)를 통하여 변환된 SATA 인터페이스의 메인 데이터 버스는 무선통신모듈(323)의 버스 스위치 제어핀에 의하여 온/오프 제어되는 버스 스위치(334)와 연결되어 SFF-8639 커넥터(335) 하단에 구비된 SATA 인터페이스 핀들과 연결된다.
SFF-8639 커넥터(335)의 하단에 구비된 전원핀들은 USB 인터페이스 포트(327)상에 구비된 전원핀들과 연결되며, 추가적인 전원이 필요한 경우에는 USB 인터페이스 포트(327) 좌측면에 구비된 빈 공간에 별도의 입력전원 커넥터를 구비하여 보완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부(201)의 구비에 의하여 버스 스위치(미도시)가 제어되는 PCIe Add-in 카드 타입의 2.5인치 SSD 기반 저장장치(350)를 나타내며, 주요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무선통신부(201)를 탑재한 PCIe Add-in 카드의 인쇄회로기판(351)과 결합된 PCIe Bracket(354)과 PCIe Bracket(354) 외측으로 돌출된 안테나(352)는 인쇄회로기판(351)상의 배선을 통하여 무선통신부(201)와 회로적으로 연결된다.
PCIe Add-in 카드의 인쇄회로기판(351) 상단에는 네 개의 베이(Bay) 지지대(245-1, 245-2, 245-3, 245-4)가 배치되어 2.5인치 SSD 4개를 수용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인쇄회로기판(351)의 하단부에서 별도의 고정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결합된다.
베이 지지대(251)의 배열에 의하여 형성된 네 개의 2.5인치 베이에 제 1 저장미디어 내지 제 4 저장미디어 (259, 267, 275, 283)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2단 적층되는 구조로 탑재되고, 두 개의 상단 베이에 탑재된 제 2 저장미디어(267)와 제 4 저장미디어(483)는 각각 하단에 구비된 수직연결보드 커넥터(365)와 결합된 수직연결보드(367)와 수직연결보드 상단에 구비된 제 6 커넥터부(265)와 제 8 커넥터부(281)를 통하여 연결된다.
즉, 도 12의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부(201)의 구비에 의하여 버스 스위치(255, 263, 271, 279)가 제어되는 PCIe Add-in 카드 타입의 2.5인치 SSD 기반 저장장치(350)는 도 8의 블록 구성도(210)와 같이 제 1 커넥터부 내지 제 4 커넥터부(251, 261, 269, 277)가 인쇄회로기판(351)상에 구비된 버스 스위치(255, 263, 271, 279)를 통하여 제 1 저장미디어 내지 제 4 저장미디어(259, 267, 275, 283)들이 연결되는 제 5 커넥터부 내지 제 8 커넥터부(257, 265, 273, 281)를 통하여 메인 데이터 버스를 회로적으로 연결하는 구조를 갖는다.
기타 주변부 구성으로, 좌/우측 베이 지지대(245-1, 245-4) 외측에는 탑재된 SSD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LED 표시 수단으로 Activity LED 모듈(353, 359)과 Fault LED 모듈(355, 361)이 구비되어 있다.
저장미디어 탈거 손잡이(357)는 사용중 임의의 저장미디어상에 오류가 발생되었을 때 상기 Fault LED 모듈(355, 361)상에 표시된 적색 LED의 위치에 해당하는 저장미디어에 저장미디어 탈거 손잡이(357)를 이동시켜 용이하게 오류가 발생한 저장미디어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에 기술한 도 12의 구성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독립된 제 1 커넥터부 내지 제 4 커넥터부(251, 261, 269, 277)가 독립된 데이터 버스로 컴퓨터상에 구비된 머더보드(미도시)에 연결되는 구조를 전제로 하고 있으나, 도 7에서와 같이 제어부(21)를 구비한 후 제 1 커넥터부(11)가 제어부(21)와 연결된 것과 같은 구조에 도 12의 구성과 같이 제어부(21)와 연결되는 저장미디어의 수가 네 개로 확장된 것과 같은 형태로의 구성도 가능하다.
이때, 제 1 커넥터부(11)는 PCIe Edge-finger부(369)로 대체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확장된 저장미디어의 수를 감안하여 PCIe Edge-finger부(369)도 제어부(21)의 메인 터이터 버스 레인을 함께 고려하여 보다 확장된 PCIe Edge-finger 부(369)로 구비하는 것이 타당하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장장치 제어용 스마트폰 소프트웨어(500)를 탑재한 스마트폰(400)으로서, 스마트폰 본체(401)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으로 표시되는 각종 세부 메뉴들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405)가 구비되고, 전면부 상단에는 안면 인식을 위한 전면부 카메라(407)가 구비되며, 전면부 하단에는 충전단자 겸용 USB 인터페이스 커넥터(403)가 구비되어 별도의 USB 케이블(미도시)로 컴퓨터와 연결되어 충전과 더불어 컴퓨터와 인터페이스 환경이 형성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장치 제어용 스마트폰 소프트웨어(500)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스마트폰(400)을 나타낸 것으로, 세부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무선통신부 활성화/비활성화 제어 탭(50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과의 무선 통신에 의하여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 장치에 구비된 무선통신부(201)를 인위적으로 활성화시키거나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용도로 사용한다.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장치(200, 210, 300, 320)에 구비된 무선통신부가 Bluetooth 모듈인 경우, 무선통신부 활성화/비활성화 제어 탭(501)을 활성화 상태로 두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장치(200, 210, 300, 320)가 설치된 컴퓨터 앞에서 있는 경우에는 페어링(Pairing) 동작을 수행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장치(200, 210, 300, 320)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하고, 비활성화 상태로 두면 무선통신부(201)가 사용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여 이에 연결된 버스 스위치 또는 버스 스위치들이 오프인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가상의 저장장치 온/오프 제어 탭(503)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장치(200, 210, 300, 320)가 설치된 컴퓨터(미도시)가 부팅되는 과정에서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장치(200, 210, 300, 320)를 검출한 뒤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장치(200, 210, 300, 320)로부터 독취한 디스크 속성정보를 컴퓨터상의 메인메모리(미도시)상의 임의의 영역에 복사한 후 가상의 저장장치를 생성한 후에 버스 스위치를 차단 상태로 유지하는 것에 관한 내용은 종래의 발명에서 이미 기술한 바 있으나, 가상의 저장장치에 대한 탐색기 창을 기동하여 그 내용이 상시적으로 노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상에 가상의 저장장치 온/오프 제어 탭(503)을 구비하여, 가상의 저장장치가 온 상태로 설정된 경우에는, 종래의 발명에서와 마찬가지로 가상의 저장장치를 상시적으로 노출하여 사용자가 이를 마우스로 더블클릭 하는 방식으로 탐색기 창을 기동시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장치(200, 210, 300, 320)의 다양한 Disk 및 내부 파일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허용한다.
가상의 저장장치가 오프 상태로 설정된 경우에는 가상의 저장장치 온/오프 제어 탭(503)의 하부 메뉴 구성의 설정에 따라 가상의 저장장치가 노출되지 않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컴퓨터에 연결된 키보드 상에서 가상의 저장장치를 노출시키는 Hot-Key를 지정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언제든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장치(200, 210, 300, 320)에 대한 접근을 시도할 경우 가상의 저장장치가 Hot-Key를 누르는 것에 의하여 노출되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가상의 저장장치가 오프 상태로 설정된 경우 가상의 저장장치 온/오프 제어 탭(503)의 하부 메뉴 구성에 가상의 저장장치는 D: 또는 E: 와 같이 디스크 명만 노출되도록 하되, 노출된 가상의 저장장치를 마우스로 더블 클릭하여도 탐색기 창이 기동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가상의 저장장치가 더블 클릭된 상태를 감지하면 컴퓨터측으로 부터 스마트폰(400)의 충전단자 겸용 USB 인터페이스 커넥터(403)나 또는 컴퓨터의 후면부 I/O 패널에 구비된 USB 포트상에 설치된 무선인터페이스 동글(DONGLE)(미도시)로 부터 무선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전송되는 상태표시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스마트폰 화면상에는 가상의 저장장치에 대한 탐색기창 열기를 확인하는 Pop-up 창을 띄워 사용자가 확인 버튼을 누르면 탐색기 창이 열리도록 한다.
만일, 사용자가 가상의 저장장치를 더블 클릭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스마트폰 화면상에 탐색기창 열기를 알리는 Pop-up 창이 열렸다면 이것은 제 3자에 의한 접근시도로 간주하여 사용자가 직접 그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장치(200, 210, 300, 320)에 대한 접근 차단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동작개시 보안설정 제어 탭(505)은 사용자가 컴퓨터 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장치(200, 210, 300, 320)로 접근 동작을 시작했을 때, 접근동작 개시 정보가 컴퓨터와 연결된 사용자 스마트폰(400)의 충전단자 겸용 USB 인터페이스 커넥터(403)나 또는 컴퓨터의 후면부 I/O 패널에 구비된 USB 포트상에 설치된 무선인터페이스 동글(DONGLE)(미도시)로 부터 무선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수신되면 본 발명의 저장장치 제어용 스마트폰 소프트웨어(500)는 사전에 설정된 동작개시 보안설정 제어 탭(505)의 설정 상태에 따라 사용자의 인자가/비인가자 여부를 확인하도록 유도한 후, 인가자로 확인된 경우에 한하여 접근 허용 신호를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장치(200, 210, 300, 320)에 구비된 무선통신부로(201)로 전송하고, 무선통신부(201)와 연결된 버스 스위치를 연결 상태로 전환하여 사용자의 접근동작이 허용될 수 있도록 한다.
동작개시 보안설정 제어 탭(505)의 세부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디스플레이 단순 터치에 의한 동작 개시 방법으로, 굳이 내부의 다른 사용자들에 대한 내부자 보안을 필요하지 않고 컴퓨터를 사용자 본인만 사용하는 경우에 주로 사용되는 방식으로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칩입한 해커는 컴퓨터 시스템과 분리된 이종의 정보기기로서 사용자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를 터치할 수 없다는 것에 착안한 가장 빠르면서도 간편한 동작 개시를 위한 사용자 인가 방법이다.
(2) 스마트폰의 잠금 해제 암호에 의한 동작 개시 방법으로, 러버밴드, 지문인식 또는 사용자 암호에 해당하는 문자를 입력하여 인가자 여부를 판별하여 동작개시 수단으로 삼는 방법이다.
(3) 손금 인식에 의한 동작 개시 방법으로, 상기 (1)항의 단순 터치의 빠르고 간편한 사용자 인가 방법에 생체 인식 보안을 적용하여 동작 개시 수단으로 삼는 방법이다.
(4) 스마트폰(400)의 전면부 카메라(407)를 사용한 안면 인식에 의한 동작 개시 방법으로, 스마트폰(400)의 동작 성능에 따라 신속게 사용자의 안면 인식 처리가 된다면 사용자의 스마트폰(400)을 모니터 하단의 적당한 위치에 놓아만 두는 것으로 상기 (1)항, (2)항 또는 상기 (3)항에서와 같은 별도로 디스플레이 터치 동작 없이 자연스럽게 컴퓨터를 사용하는 환경하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장치(200, 210, 300, 320)를 보안 환경하에서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상기에서는 동작 개시 보안 설정 제어 탭(505)의 세부 내용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실제 동작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설정 상태에 따라 단일 항목의 동작 개시 보안 설정으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도 있고, 복수 항목의 동작 개시 보안 설정으로 보다 강화된 보안상태에서 사용할 수도 있고, 복수 항목의 동작 개시 보안 설정으로 보다 강화된 보안 상태에서 사용할 수도 있다.
타이머 설정 제어 탭(507)은 상기 동작 개시 보안 설정 제어 탭(505)에 의하여 동작이 개시되면 사전에 미리 설정한 시간 동안만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장치(200, 210, 300, 320)를 접근이 허용되는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일례로, 사용자가 타이머 설정 제어 탭(507)에 타이머 값을 30초로 설정하였다고 한다면, 동작 개시와 더불어 30초 이내에 전송되는 파일들은 전송이 완료되지만, 그 이후에 전송이 시도되는 파일은 전송이 수행되지 않는다.
타이머 설정 제어 탭(507)의 다른 용도로, 특정 기간을 정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장치(200, 210, 300, 320)를 타이머 설정 제어 탭(507)에 의하여 24시간동안 설정하여 두었다면 컴퓨터를 접속한 사용자들은 설정된 날짜의 해당 24시간 동안만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장치(200, 210, 300, 320)를 접근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타이머 설정 제어 탭(507)은 세부 메뉴 항목의 설정에 따라 상기 동작 개시 보안 설정(505)에 의한 동작 개시와 더불어 파일이 전송되기 전/후로 컴퓨터측으로 부터 스마트폰(400)의 충전단자 겸용 USB 인터페이스 커넥터(403)나 또는 컴퓨터의 후면부 I/O 패널에 구비된 USB 포트상에 설치된 무선인터페이스 동글(DONGLE)(미도시)로 부터 무선인터페이스 방식으로 파일 전송 소요시간 정보를 입력받아 설정된 타이머 값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파일의 전송이 완료됨과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장치(200, 201, 300, 302)에 대한 접근을 차단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전송종료 연동 온/오프 제어 탭(509)은 상기에 기술한 컴퓨터 측으로 부터 파일 전송 소요시간 정보를 전송받는 방법으로 타이머 설정 값을 Update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과 달리 컴퓨터 측에 설치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장치(200, 210, 300, 320)용 Device Driver에서 파일 전송시에 생성되고 전송 완료와 더불어 소멸되는 File handle 을 컴퓨터측으로부터 스마트폰(400)의 충전단자 겸용 USB 인터페이스 커넥터(403)나 또는 컴퓨터의 후면부 I/O 패널에 구비된 USB 포트상에 설치된 무선인터페이스 동글(DONGLE)(미도시)로부터 무선인터페이스 방식으로 File Handle 연계 정보를 입력받아 파일 전송이 완료됨과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장치(200, 210, 300, 320)에 대한 접근을 허용 상태에서 차단 상태로 전환한다.
접근 제어 설정 제어 탭(511)은 세부 설정에 따라 읽기 동작에 대해서만 접근을 허용할 것인지, 쓰기 동작에 대해서만 접근을 허용할 것인지 또는 읽기 동작과 쓰기 동작 모두에 대하여 접근을 허용할 것인지를 사전에 설정하고,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장치(200, 210, 300, 320)에 대해 설정된 접근 정보를 전달하여 접근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만일, 사용자가 컴퓨터 앞에서 일정거리 이상 멀어저 사용자의 스마트폰(400)과 무선통신부(201)가 내장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장치(200, 210, 300, 320) 사이에 통신이 이루어 질 수 없는 상태가 근접되면 기존에 설정된 접근 제어 설정 정보를 본 발명의 저장장치 제어용 스마트폰 소프트웨어(500)의 임의의 레지스터로 퇴피시킨 후에 읽기 동작과 쓰기 동작에 대한 접근 설정 값을 모두 접근 차단 상태로 전환하고, 사용자가 컴퓨터 앞의 사용범위 이내로 다시 위치하게 되면 퇴피시켰던 임의의 레지스터로부터 설정된 접근 제어정보를 복원하여 본래의 상태로 전환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예 및 수정 예를 실시할 수 있다.
1 : 종래 기술의 단일 인터페이스 커넥터와 제어부를 구비한 SSD 기반의 저장미디어의 일종인 SSD 더블러
3 : 동작모드 설정 핀
5 : 동작모드 인식 스위치
7 : LED 표시부
9 : DIP(Dual-INLINE-PACKAGE) 스위치
11 : 제 1 커넥터부
13 : 클록발생부
15 : PROM(PROGRAMMABLE ROM)
17 : 프로그램 포트
19, 23 : 버스 스위치
21 : 제 2 제어부(RAID 제어부 또는 PCI EXPRESS 스위치 제어부)
25 : 제 2 커넥터부
27 : 신호변환부
29 : 제 1 제어부(스위칭 제어부)
31 : 암호용 DIP 스위치 (ROTARTY DIP 스위치)
33 : 전원부
35 : 제 4 커넥터부
28 : 수직 연결보드
37 : 제 5 커넥터부
39 : 제 6 커넥터부
41 : 제 1 저장미디어
43 : 제 2 저장미디어
44 : 방열 커버
45 (45-1, 45-2) : 베이 지지대
46 : 측면부 방열홀
47 (47-1, 47-2, 47-3) : 측면부 고정홀
48 (48-1, 48-2) : 하단부 고정홀
49 : LED 모듈
50 : 종래 기술에 따른 세 개의 인터페이스 포트를 구비한 SSD 트리플러
51, 61, 69 : 제 1 커넥터부, 제 2 커넥터부, 제 3 커넥터부
53 : 전원부
55, 63, 71 : 버스 스위치
57, 65, 73 : 제 4 커넥터부, 제 5 커넥터부, 제 6 커넥터부
59, 67, 75 : 제 1 저장 미디어, 제 2 저장미디어, 제 3 저장미디어
77 : 제 7 커넥터부
79 : 신호 변환부
81 : 제1 제어부
83 (83-1, 83-2, 83-3) : 암호용 DIP 스위치
85 : DIP 스위치부
87 : LED 표시부
89 : PROM
90 : 전면부 커버
93 (93-1, 93-2) : 베이 지지대
95 : LED 모듈
100 : PCIe to USB 변환 M.2 Add-in Card
101, 111 : PCI Express Edge Finger 부
103 : PCIe to USB 변환 제어부
105, 107 : USB 커넥터(수직형)
110 : 외부 정보기기 연결용 PCIe Add-in Card
113 : 논리 게이트
115 : 종래 발명의 SSD 저장장치 연결용 USB 커넥터
117 : 종래 발명의 외부 정보기기 연결용 USB 커넥터
120 : 지문인식 마우스
131 : 지문인식 마우스 본체
133 : 지문인식 센서
135 : 마우스 휠
150 : PC 카메라에 의한 생체인식(안면인식, 홍채인식) 개념도
170 : 스마트폰에 의한 생체인식(안면인식, 홍채인식) 개념도
151 : 사용자 얼굴
153 : PC 카메라 본체
155 : 카메라 렌즈
157 : 카메라 지지대
159, 177 : USB 연결포트
173 : 사용자 스마트폰 본체
175 : 스마트폰 전면 카메라
179 : 스마트폰 LCD
200 : 본 발명의 무선통신부를 구비한 SSD Doubler 의 블록 구성도
201 (201-1, 201-2, 201-3) : 무선통신부
202 : 무선통신 모듈
202-1 : 무선통신 컨트롤러
202-2 : 칩타입 안테나
203 : SATA 7핀 커넥터
204 : 인쇄회로기판
205 : SATA 커넥터 대체용 방열 커버
207 : 방열홀
209 : 무선통신모듈 돌출 방지용 덮개
210 : 본 발명의 무선통신부를 구비한 PCIe Add-in 카드 타입 저장장치의 블록 구성도
211 : 고정 수단
245 (254-1, 245-2, 245-3, 245-4) : 베이 지지대
251, 261, 269, 277 : 제 1 커넥터부 내지 제 4 커넥터부
253 : 전원부
255, 263, 271, 279 : 버스 스위치
257, 265, 273, 281 : 제 5 커넥터부 내지 제 8 커넥터부
259, 267, 275, 283 : 제 1 저장미디어 내지 제4 저장미디어
300 : 무선통신부를 구비한 버스 스위치 제어 카드
301 : 안테나
305 : SATA 또는 NVMe용 Host Computer 측 커넥터
307 : SATA 또는 NVMe 용 저장미디측 커넥터
309 : PCIe Edge-Finger 부
311 : M.2 SSD 또는 M.3 SSD 메모리 카드 고정홀
320 : 본 발명의 무선통신부를 구비한 동글(DONGLE)
321 : 동글 바디
322 : 동글 커버
323 : 무선통신모듈
325 : 외부 인터페이스용 NVMe 또는 SATA 인터페이스 포트
327 : 외부 인터페이스용 USB 인터페이스 포트
329 : USB to SATA 변환 Controller
331 : 동글 커버 고정볼트
333, 334 : 버스 스위치
335 : SFF-8639 커넥터
350 : PCIe Add-in 카드형 저장 장치
351 : 인쇄회로기판
352 : 안테나
353, 359 : Activity LED 모듈
354 : PCIe Bracket
355, 361 : Fault LED 모듈
357 : 저장미디어 탈거 손잡이
363 : 부저
365 : 수직연결보드 커넥터
367 : 수직연결보드
369 : PCIe Edge-Finger 부
400: 사용자 스마트폰
401 : 스마트폰 본체
403 : 충전단자 겸용 USB 인터페이스 커넥터
405 : 디스플레이
407 : 전면부 카메라
500 : 본 발명의 저장장치 제어용 스마트폰 소프트웨어
501 : 무선통신부 활성화/비활성화 제어 탭
503 : 가상 저장장치 온/오프 제어 탭
505 : 동작개시 보안설정 탭
507 : 타이머 설정 탭
509 : 전송완료동작 연동 온/오프 탭
511 : 접근 제어 설정 탭

Claims (21)

  1. 외부로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연결수단과, 데이터 저장수단을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을 연결하는 연결수단이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
    외부로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연결수단 중에서 컴퓨터와 연결되며 메인 데이터 버스가 연결되는 제 1 커넥터부;
    상기 제 1 커넥터부와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 또는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을 연결하는 연결수단 사이에 상기 메인 데이터 버스가 연결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메인 데이터 버스가 차단되도록 온 또는 오프 동작하는 데이터 버스 스위치부;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무선 인터페이스로 연결되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접근 허용 또는 차단 신호에 의하여 상기 데이터 버스 스위치부의 온 또는 오프 동작에 대한 온 또는 오프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은 상기 컴퓨터와 유선 연결 방식으로 연결되는 USB 케이블; 을 구비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메인 데이터 버스가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메인 데이터 버스가 차단되는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에 대하여 접근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스마트폰과의 무선 통신에 의하여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은 독립된 형태의 M.2 SSD, M.3 SSD, 2.5인치 SSD, 3.5인치 SSD, PCIe Add-in 카드형 SSD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의 무선 통신에 의하여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은 에스에스디 컨트롤러(SSD Controller)와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배열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의 무선 통신에 의하여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에스디 컨트롤러(SSD Controller)와 상기 제 1 커넥부 또는 상기 에스에스디 컨트롤러(SSD Controller)와 배열된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 사이의 메인 데이터 버스를 연결되거나 차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의 무선 통신에 의하여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부와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 사이에 RAID 또는 PCI EXPRESS SWITCH 제어를 위한 제어부가 추가적으로 구비된 경우, 상기 제 1 커넥터부와 상기 제어부 사이에 버스 스위치를 추가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버스 스위치는 상기 무선통신부의 출력 신호에 의하여 연결 또는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의 무선 통신에 의하여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부와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 사이에 RAID 제어 또는 PCI EXPRESS 스위치 제어를 위한 제어부가 추가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에 외부에서 제어되는 메인 데이터 버스 활성화(ENABLE) 핀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데이터 버스 활성화 핀이 상기 무선통신부에 연결되어 메인 데이터 버스가 연결되거나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의 무선 통신에 의하여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부와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 사이에 RAID 또는 PCI EXPRESS SWITCH 제어를 위한 제어부가 추가적으로 구비된 경우, 상기 제어부와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 사이에 버스 스위치를 추가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버스 스위치는 상기 무선통신부의 출력 신호에 의하여 연결 또는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의 무선 통신에 의하여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무선인터페이스로서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의 무선 통신에 의하여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장치가 3.5인치 베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하고, PCIe 슬롯 커넥터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PCIe Bracket 외측에 외장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의 무선 통신에 의하여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 장치.
  10. 외부로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연결수단들과, 데이터 저장수단을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을 연결하는 연결수단이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
    외부로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연결수단들 중에서 컴퓨터와 연결되며 메인 데이터 버스가 연결되는 제 1 커넥터부;
    상기 제 1 커넥터부와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 또는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을 연결하는 연결수단 사이에 상기 메인 데이터 버스가 연결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메인 데이터 버스가 차단되도록 온 또는 오프 동작하는 데이터 버스 스위치부;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무선인터페이스로 연결되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접근 허용 또는 차단 신호에 의하여 상기 데이터 버스 스위치부의 온 또는 오프 동작에 대한 온 또는 오프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무선통신부;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상기 컴퓨터 또는 상기 무선통신부 또는 상기 데이터 버스 스위치부에 대한 설정 또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 소프트웨어;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은 상기 컴퓨터와 유선 연결 방식으로 연결되는 USB 케이블; 을 구비하는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 장치에 의하여,
    상기 메인 데이터 버스가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메인 데이터 버스가 차단되는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에 대하여 접근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스마트폰과의 무선 통신에 의하여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소프트웨어는 상기 무선통신부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설정하고, 상기 무선통신부에 대한 비활성화가 설정된 경우 상기 데이터 버스 스위치부를 구성하는 버스 스위치를 차단된 상태로 유지시키면서 타인의 접근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의 무선 통신에 의하여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소프트웨어는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장치가 연결된 컴퓨터에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장치에 대한 가상의 저장장치를 노출할 것인지 또는 노출하지 않을 것인지를 선택하는 가상의 저장장치 온 또는 오프 설정 신호를 상기 컴퓨터 측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의 무선 통신에 의하여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저장장치가 노출되지 않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 이를 세부메뉴에서 상기 컴퓨터 상에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노출을 위한 Hot-Key를 지정하도록 하고, 상기 컴퓨터 상에 상기 가상의 저장장치가 노출되도록 하되 상기 가상의 저장장치에 상응하는 탐색기 창만 노출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가상의 저장장치가 더블 클릭되었을 경우 이 상태를 사용자의 상기 스마트폰 화면에 탐색기창 열기 확인 버튼이 팝업(Pop-up)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상기 확인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하여 상기 탐색기 창이 열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의 무선 통신에 의하여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소프트웨어는 상기 컴퓨터 상에서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장치에 대한 접근 동작이 발생하였을 때 사전에 설정된 동작 개시 보안 설정에 따라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데이터 버스 스위치부가 연결되거나 또는 차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의 무선 통신에 의하여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소프트웨어는 상기 동작 개시 보안 설정으로서 디스플레이 화면의 단순 터치와 손금 인식, 지문 인식, 안면 인식을 포함하는 생체 인식에 의한 인식 수단 가운데 사용자의 보안 설정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인식 수단에 의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장치에 대한 접근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것인지 또는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장치에 대한 접근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할 것인지를 결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의 무선 통신에 의하여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소프트웨어는 상기 동작 개시 보안 설정에 따른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장치에 대한 접근 동작이 진행된 후 사전에 설정된 타이머 값에 의하여 상기 접근 동작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의 무선 통신에 의하여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 값은 상기 컴퓨터 측으로부터 파일 전송 소요시간 정보에 의하여 생성된 값으로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의 무선 통신에 의하여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 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소프트웨어는 상기 동작 개시 보안 설정에 따른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데이터 버스 스위치부를 연결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장치에 대한 접근 동작이 진행되도록 하고, 접근 동작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컴퓨터와 유선으로 연결된 인터페이스 커넥터나 또는 컴퓨터상에 구비된 무선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하여 전송되는 접근 동작 완료 비트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버스 스위치부를 차단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의 무선 통신에 의하여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동작 완료 비트는 상기 컴퓨터 측으로부터 파일 전송 소요시간 정보에 의하여 생성되거나 또는 파일의 전송에 따른 파일 핸들(File Handle)과 연계되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의 무선 통신에 의하여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 방법.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소프트웨어는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장치가 연결된 상기 컴퓨터에서 상기 컴퓨터 상에 구비된 무선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하여 전송한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장치에 대한 접근정보를 수신하여 읽기 동작에 대해서만 접근 제어를 할 것인지, 또는 쓰기 동작에 대해서만 접근 제어를 할 것인지, 또는 읽기 동작과 쓰기 동작 모두에 대하여 접근 제어를 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의 무선 통신에 의하여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 방법.
  2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소프트웨어는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장치에 대한 통신이 이루어 질 수 없는 상태가 근접되면 기 설정된 각종 설정 정보를 임의의 레지스터로 퇴피시킨 후 읽기 동작과 쓰기 동작에 대한 접근 설정 값을 모두 접근 차단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장치와의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상태가 되면 퇴피시켰던 상기 임의의 레지스터로부터 설정된 접근 제어정보를 복원하여 본래의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의 무선 통신에 의하여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 방법.
KR1020200128016A 2018-09-28 2020-10-05 스마트폰과의 무선 통신에 의하여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데이터 저장수단 제어 장치 KR102320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016A KR102320090B1 (ko) 2018-09-28 2020-10-05 스마트폰과의 무선 통신에 의하여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데이터 저장수단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083A KR102318716B1 (ko) 2018-09-28 2018-09-28 스마트폰과의 무선 통신에 의하여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200128016A KR102320090B1 (ko) 2018-09-28 2020-10-05 스마트폰과의 무선 통신에 의하여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데이터 저장수단 제어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083A Division KR102318716B1 (ko) 2018-09-28 2018-09-28 스마트폰과의 무선 통신에 의하여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8780A true KR20200118780A (ko) 2020-10-16
KR102320090B1 KR102320090B1 (ko) 2021-11-02

Family

ID=73035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8016A KR102320090B1 (ko) 2018-09-28 2020-10-05 스마트폰과의 무선 통신에 의하여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데이터 저장수단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09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4987A (ja) * 2007-06-05 2008-12-18 Kddi Corp データ転送装置
KR20140018781A (ko) * 2012-08-02 2014-02-13 트라텍정보통신 주식회사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usb 메모리 장치
JP2015195038A (ja) * 2015-05-29 2015-11-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70006240A (ko) 2015-07-07 2017-01-17 윤동구 에스에스디 더블러
KR20170015719A (ko) 2015-07-30 2017-02-09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무인스마트카 고장 시 자동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40897A (ko) 2015-10-06 2017-04-14 주식회사 스토리지안 멀티 인터페이스 포트를 갖는 에스에스디 더블러 및 이를 위한 멀티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4987A (ja) * 2007-06-05 2008-12-18 Kddi Corp データ転送装置
KR20140018781A (ko) * 2012-08-02 2014-02-13 트라텍정보통신 주식회사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usb 메모리 장치
JP2015195038A (ja) * 2015-05-29 2015-11-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70006240A (ko) 2015-07-07 2017-01-17 윤동구 에스에스디 더블러
KR20170015719A (ko) 2015-07-30 2017-02-09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무인스마트카 고장 시 자동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40897A (ko) 2015-10-06 2017-04-14 주식회사 스토리지안 멀티 인터페이스 포트를 갖는 에스에스디 더블러 및 이를 위한 멀티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0090B1 (ko) 202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8716B1 (ko) 스마트폰과의 무선 통신에 의하여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 장치 및 방법
CA3059245C (en) Point of sale device with switchable internal connection roles
US20180097629A1 (en) Usb security gateway
JP3671196B2 (ja) プレブート・セキュリティ・コントローラ
CN111742315B (zh) 安全红-黑气隙便携式计算机
EP1929422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securing data on a removable memory device
EP315554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uthentication using a managed input/output port
EP1672492B1 (en) Method for overcoming a system administration blockage
CA24968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un-authorized computer data access
CA2799932A1 (en) Computer motherboard having peripheral security functions
US20080163350A1 (en) Portable information security device
CN107562689A (zh) 一种系统级芯片和终端
US10013172B2 (en) Electronic data storage device with multiple configurable data storage mediums
KR102166430B1 (ko)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ssd 기반의 저장미디어
US11422645B2 (en) Wireless input componen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320090B1 (ko) 스마트폰과의 무선 통신에 의하여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데이터 저장수단 제어 장치
US20230214471A1 (en) Storage device, nonvolatile memory system including memory controller,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torage device
WO2007055939A1 (en) A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securing data on a removable memory device
US801843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070150746A1 (en) Portable storage with bio-data protection mechanism & methodology
US20080049739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stricting and managing data transmission
JP2003099147A (ja) 認証機能を有する電子機器および電子鍵装置
KR20240063736A (ko) 디스크 해킹 방지를 위한 보안 디스크 인식 방법 및 장치
JP5423081B2 (ja) サーバシステム、サーバのセキュリティ確保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6155217A (ja) 認証機構を有する外部記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