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8356A -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8356A
KR20200118356A KR1020197034503A KR20197034503A KR20200118356A KR 20200118356 A KR20200118356 A KR 20200118356A KR 1020197034503 A KR1020197034503 A KR 1020197034503A KR 20197034503 A KR20197034503 A KR 20197034503A KR 20200118356 A KR20200118356 A KR 20200118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mobility control
control parameter
inactive stat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4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0145B1 (ko
Inventor
하이 탕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18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8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37Determination of triggering parameters for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3Satellite systems for providing telephony service to a mobile station, i.e. mobile satellite service
    • H04B7/18539Arrangements for managing radio, resources, i.e. for establishing or releasing a connection
    • H04B7/18541Arrangements for managing radio, resources, i.e. for establishing or releasing a connection for handover of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16Hand-off preparation specially adapted for end-to-end data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72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resource information of target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6Reselecting a communication resource in the serving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2Multi-user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02Airborne stations
    • H04B7/18504Aircraft used as relay or high altitude atmospheric platfo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04W36/3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by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4Selective release of ongoing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고, 이 방법은 단말 기기가 비활성 상태에서 셀 선택 및 재선택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는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 기기의 이동성 제어에 유리하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에 관한 것이다.
새로운 무선(New Radio, NR)에서는 무선 시그널링을 줄이고 무선 연결을 신속하게 복구하며, 데이터 서비스를 신속하게 복구하기 위해 새로운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상태, 즉 RRC 비활성(RRC_INACTIVE) 상태가 정의되었다. 단말 기기가 RRC 비활성 상태에서 셀 선택 및 재선택을 어떻게 진행할 것인지가 해결되어야 할 문제이다.
이에 비추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 기기의 이동성 제어에 유리한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제 1 양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단말 기기가 비활성 상태에서 셀 선택 및 재선택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이 단말 기기가 비활성 상태에서 셀 선택 및 재선택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이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RRC 전용 시그널링에서 비활성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이 방법은 이 단말 기기가 이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무선 자원 제어(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이 RRC 연결 해제 메시지는 이 단말 기기에 비활성 상태로 진입할 것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이 RRC 연결 해제 메시지는 이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이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RRC 전용 시그널링에서 비활성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이 단말 기기가 이 RRC 연결 해제 메시지에서 이 비활성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이 단말 기기가 비활성 상태에서 무선 자원 제어(RRC) 연결을 복구하는 데 사용되는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이 단말 기기가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 이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이 방법은 이 단말 기기가 이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 비활성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하였을 경우, 이 단말 기기가 비활성 상태에 있을 때 비활성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셀 선택 및 재선택을 실행하는 단계; 또는 이 단말 기기가 이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 비활성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하지 못했을 경우, 이 단말 기기가 비활성 상태에 있을 때 아이들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셀 선택 및 재선택을 실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이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는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의 판정 파라미터,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의 각 파라미터의 스케일링 파라미터 및 주파수 기반의 셀 재선택 우선 순위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이 방법은 이 단말 기기가 비활성 상태로부터 아이들 상태로 복귀하였을 때 이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이 지시 정보는 이 단말 기기가 아이들 상태에 있을 때 사용되는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이 단말 기기가 아이들 상태에 있을 때 사용되는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는 비활성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이거나 아이들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이다.
일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이 지시 정보는 이 단말 기기가 비활성 상태로부터 아이들 상태로 되는 것을 지시하는 변환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 의해 운반된다.
제 2 양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를 위해 비활성 상태에 대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구성하는 단계; 이 네트워크 기기가 이 단말 기기로 이 비활성 상태에 대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이 네트워크 기기가 이 단말 기기로 이 비활성 상태에 대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이 네트워크 기기가 무선 자원 제어 RRC 전용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통해 이 단말 기기로 비활성 상태에 대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이 RRC 전용 시그널링은 RRC 연결 해제 메시지이며, 이 RRC 연결 해제 메시지는 이 단말 기기에 비활성 상태로 진입할 것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일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이 방법은 이 단말 기기가 비활성 상태로부터 아이들 상태로 복귀하였을 때 이 네트워크 기기가 이 단말 기기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이 지시 정보는 이 단말 기기가 아이들 상태에 있을 때 사용되는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이 단말 기기가 아이들 상태에 있을 때 사용되는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는 비활성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이거나 아이들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이다.
일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이 지시 정보는 이 단말 기기가 비활성 상태로부터 아이들 상태로 되는 것을 지시하는 변환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 의해 운반된다.
일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이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는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의 판정 파라미터,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의 각 파라미터의 스케일링 파라미터 및 주파수 기반의 셀 재선택 우선 순위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제 3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임의 가능한 실현 형태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 기기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이 단말 기기는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임의 가능한 실현 형태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유닛을 구비한다.
제 4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임의 가능한 실현 형태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기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이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임의 가능한 실현 형태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유닛을 구비한다.
제 5 양태에 따르면, 단말 기기가 제공되며, 이 단말 기기는 메모리,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여기서, 메모리,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는 버스 시스템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이 메모리는 명령을 기억하는 데 사용되고 이 프로세서는 이 메모리에 기억된 명령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임의 가능한 실현 형태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데 사용된다.
제 6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기기가 제공되며, 이 네트워크 기기는 메모리,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여기서, 메모리,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는 버스 시스템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이 메모리는 명령을 기억하는 데 사용되고 이 프로세서는 이 메모리에 기억된 명령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임의 가능한 실현 형태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데 사용된다.
제 7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임의 가능한 실현 형태에 따른 방법, 또는 상기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임의 가능한 실현 형태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을 기억하기 위한 컴퓨터 기록 매체가 제공되며, 상술한 양태를 실행하기 위해 설계된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제 8 양태에 따르면, 명령을 포함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되며, 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에서 실행되면,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선택 가능한 실현 형태에 따른 방법, 또는 상기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선택 가능한 실현 형태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 또는 다른 양태는 아래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응용 장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EPS 베어러 서비스 아키텍처를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다른 개략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를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를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를 나타내는 다른 개략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를 나타내는 다른 개략 블록도이다.
하기에 본 발명 실시예의 도면과 결합하여 본 발명 실시예의 기술 방안에 대하여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수단은 예를 들어, 글로벌 이동 통신(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 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글로벌 상호 접속 마이크로 웨이브 액세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통신 시스템, 새로운 무선(New Radio, NR) 또는 미래의 5G 시스템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수단은 스파스 코드 다중 접속(Sparse Code Multiple Access, SCMA) 시스템, 저밀도 서명(Low Density Signature, LDS) 시스템 등과 같은 다양한 비 직교 다중 접속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며, 물론 SCMA 시스템 및 LDS 시스템은 통신 분야에서 다른 명칭으로 불리울 수도 있으며,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수단은 비 직교 다중 접속 기술을 채용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필터 뱅크 멀티 캐리어(Filter Bank Multi Carrier, FBMC), 일반적인 주파수 분할 다중화(Generaliz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GFDM), 필터링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Filtered-OFDM, F-OFDM) 시스템 등과 같은 비 직교 다중 접속 기술을 채용한 멀티 캐리어 전송 시스템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는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액세스 단말기, 사용자 유닛, 사용자 국, 이동국, 모바일 스테이션, 원격 국, 원격 단말기, 이동 기기, 사용자 단말기, 단말기, 무선 통신 기기,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를 가리킬 수 있다. 액세스 단말기는 휴대 전화, 무선 전화, 세션 설정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국,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 계산 기기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되는 기타 처리 기기, 차재 기기, 웨어러블 기기, 미래 5G 네트워크에서의 단말 기기 또는 미래 진화의 공중 육상 이동 통신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에서의 단말 기기 등을 가리킬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와 통신하는 데 사용되는 기기일 수 있으며, 이 네트워크 기기는 GSM 또는 CDMA에서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 있으나, WCDMA 시스템에서의 기지국(NodeB, NB)일 수도 있으며, 또한 LTE 시스템에서의 진화형 기지국(Evolutional NodeB, eNB 또는 eNodeB)일 수도 있고,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 시나리오에서의 무선 컨트롤러일 수도 있으며, 또는 이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차재 기기, 웨어러블 기기 및 미래 5G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기기 또는 미래 진화의 PLMN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응용 장면의 모식도이다. 도 1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단말 기기(10) 및 네트워크 기기(20)를 구비할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20)는 단말 기기(10)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되고, 단말 기기(10)는 네트워크 기기(20)에서 송신한 동기 신호, 브로드캐스트 신호 등을 탐색함으로써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고, 이를 통해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진행한다. 도 1에 도시된 화살표는 단말 기기(10)와 네트워크 기기(20) 사이의 셀룰러 링크를 통해 진행되는 업/다운 링크 전송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쉽게하기 위해, 우선 진화형 패킷 시스템(Evolved Packet System, EPS) 베어러 서비스 아키텍처에서의 몇몇 요소를 도 2에 관련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주로 진화형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UTRAN) 및 진화형 패킷 코어(Evolved Packet Core, EPC)를 포함하고, 여기서, EPC는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S-GW) 및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 Gateway, P-GW)를 포함한다. EPS 베어러의 서비스 아키텍처에서, 엔드 투 엔드 서비스는 EPS 베어러와 외부 베어러의 두 부분으로 분해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진화형 무선 액세스 베어러(Evolved Radio Access Bearer, E-RAB)는 UE와 진화형 EPC 사이에서 하나의 EPS 베어러의 패킷을 전송하는 데 사용되고 E-RAB와 EPS 베어러 사이는 1 대 1의 대응 관계를 가진다. 하나의 무선 베어러는 UE와 eNodeB 사이에서 하나의 E-RAB 베어러의 패킷을 전송하는 데 사용되고 무선 베어러와 E-RAB/EPS 베어러 사이는 1 대 1의 대응 관계를 가진다. 하나의 S1 베어러는 eNodeB와 하나의 S-GW 사이에서 하나의 E-RAB 베어러의 패킷을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하나의 S5/S8 베어러는 S-GW와 P-GW 사이에서 하나의 EPS 베어러의 패킷을 전송하는 데 사용되고 외부 베어러는 EPC와 피어 엔티티 사이의 정보를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LTE 시스템에서, UE의 RRC 상태는 주로 RRC 아이들 상태 및 RRC 연결 상태를 포함한다. 여기서, RRC 아이들 상태 : S5/S8 베어러가 존재하고 무선 베어러 및 S1 베어러가 존재하지 않으며, 코어 네트워크 측이 UE 컨텍스트를 유지하고 eNodeB 및 UE가 서로의 컨텍스트를 유지하지 않으며, 단말기가 타이밍 어드밴스(Time advance, TA) 내 고유의 식별자(일반적으로, 임시 이동 가입자 식별자(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 TMSI))를 유지한다. RRC 아이들 상태에 있는 UE는 네트워크와의 데이터 교환, 비 액세스 계층(Non-access stratum, NAS)에 의해 구성된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 프로세스, 시스템 정보 브로드캐스트 및 페이징, 인접 셀 측정, 셀 재선택의 이동성, 측정 보고가 없는 보고 등의 동작이 있어서는 안된다. RRC 연결 상태 : S5/S8 베어러, S1 베어러 및 무선 베어러가 존재하고, 코어 네트워크, eNodeB및 UE가 모두 대응하는 컨텍스트를 유지하며, eNodeB가 액세스 계층(access stratum, AS) 식별자(일반적으로,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C-RNTI))을 할당한다. RRC 연결 상태에 있는 UE는 네트워크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으며, AS 의해 구성된 DRX, 핸드 오버의 이동성, 채널 측정을 네트워크 측에 보고하는 등의 동작이 존재할 수 있다.
5G 시스템에서는 제 3 상태, 즉 RRC 비활성 상태가 도입되었다. RRC 비활성 상태 : S5/S8 베어러, S1 베어러 및 일부 무선 베어러가 존재하고, 코어 네트워크, eNodeB 및 UE가 모두 대응하는 컨텍스트를 유지하며, eNodeB가 액세스 계층(AS) 식별자(일반적으로, 복구(Resume) 식별자(IDentification, ID))를 할당한다. RRC 비활성 상태에 있는 UE는 셀 재선택의 이동성을 가지고 측정 보고가 없으며 작은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진행할 수 있고 AS에 의해 구성된 DRX가 존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100)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100)은 아래 내용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S110 : 단말 기기가 비활성 상태에서 셀 선택 및 재선택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활성 상태가 즉, 상기 RRC 활성 상태인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단말 기기는 예를 들어, RRC 전용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통해 비활성 상태에서 셀 선택 및 재선택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는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의 판정 파라미터,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의 각 파라미터의 스케일링 파라미터 및 주파수 기반의 셀 재선택 우선 순위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는 소정 시간에서의 셀 재선택 횟수로 정의될 수 있으며, 고속 이동 상태, 중속 이동 상태 및 정상 이동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의 판정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단말 기기가 중속 또는 고속 이동 상태 판정에 들어간 것을 지시하기 위한 타임 윈도우 TCRmax, 고속 이동 상태 판정을 지시하기 위한 셀 재선택 횟수 역치 NCR_H, 중속 이동 상태 판정을 지시하기 위한 셀 재선택 횟수 역치 NCR_M, 또는 단말 기기가 중속/고속 이동 상태 판정에서 나온 것을 지시하기 위한 타임 윈도우 TCRmaxHyst일 수 있다. 스케일링 파라미터는 셀 선택 및 재선택 파라미터로 사용되는 일부 2 차적인 파라미터이고 실제로는 하나의 값이며,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의 각 파라미터에 하나의 스케일 인자를 곱한 후에 셀 선택 또는 재선택의 판정에 사용할 수 있고, 이로써 이동 속도가 단말 기기의 이동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킨다. 주파수 기반의 셀 재선택 우선 순위 파라미터는 부동한 주파수 간의 절대적인 우선 순위를 가리키며, 단말 기기가 셀 선택 및 재선택을 진행할 때 고려해야 할 파라미터이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 단말 기기가 비활성 상태에서 셀 선택 및 재선택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이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RRC 전용 시그널링에서 비활성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가 RRC 비활성 상태에 있을 때 셀 선택 및 재선택을 진행하도록 RRC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 기기를 위해 전용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구성할 수 있으며, RRC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 기기를 위한 전용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가 구성됨으로써, 단말 기기의 이동성 제어가 더욱 정확해진다. 네트워크 기기는 RRC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 기기로 이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지시할 수 있다.
나아가, 단말 기기는 이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무선 자원 제어(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이 RRC 연결 해제 메시지는 이 단말 기기에 비활성 상태로 진입할 것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이 RRC 연결 해제 메시지는 이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이 단말 기기는 이 RRC 연결 해제 메시지에서 이 비활성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 기기가 RRC 활성 상태에 있을 때 일시적으로 서비스가 진행되지 않을 경우,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에 비활성 상태로 진입할 것을 지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RRC 연결 해제 메시지에 지시 또는 해제 원인 값을 추가하여 단말 기기에 비활성 상태로 진입할 것을 지시할 수 있다. 동시에 이 RRC 연결 해제 메시지에는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를 위해 구성한 비활성 상태에 대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가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 단말 기기가 비활성 상태에서 무선 자원 제어(RRC) 연결을 복구하는 데 사용되는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이 단말 기기가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 이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말 기기가 RRC 전용 시그널링에서 이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할 수 있을 경우, 단말 기기는 이 RRC 전용 시그널링에서 획득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셀 선택 및 재선택을 실행할 수 있으나, 단말 기기가 RRC 전용 시그널링에서 이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할 수 없을 경우, 단말 기기는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 획득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셀 선택 및 재선택을 실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 방법은 이 단말 기기가 이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 비활성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하였을 경우, 이 단말 기기가 비활성 상태에 있을 때 비활성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셀 선택 및 재선택을 실행하는 단계; 또는 이 단말 기기가 이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 비활성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하지 못했을 경우, 이 단말 기기가 비활성 상태에 있을 때 아이들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셀 선택 및 재선택을 실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시스템 브로드캐스트는 아이들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브로드캐스트하고, 또한 비활성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 방법은 이 단말 기기가 비활성 상태로부터 아이들 상태로 복귀하였을 때 이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이 지시 정보는 이 단말 기기가 아이들 상태에 있을 때 사용되는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이 단말 기기가 아이들 상태에 있을 때 사용되는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는 비활성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이거나 아이들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이다.
단말 기기가 비활성 상태로부터 아이들 상태로 복귀하였을 때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가 비활성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계속 사용하거나 아이들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 지시 정보는 이 단말 기기가 비활성 상태로부터 아이들 상태로 되는 것을 지시하는 변환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 의해 운반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200)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200)은 아래 내용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S210 :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를 위해 비활성 상태에 대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구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 기기의 이동성 제어에 유리하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를 위해 비활성 상태에 대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무선 자원 제어(RRC) 전용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로 비활성 상태에 대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은 RRC 연결 해제 메시지이고, 상기 RRC 연결 해제 메시지는 상기 단말 기기에 비활성 상태로 진입할 것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 상태로부터 아이들 상태로 복귀하였을 때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아이들 상태에 있을 때 사용되는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단말 기기가 아이들 상태에 있을 때 사용되는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는 비활성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이거나 아이들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이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 상태로부터 아이들 상태로 되는 것을 지시하는 변환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 의해 운반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는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의 판정 파라미터,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의 각 파라미터의 스케일링 파라미터 및 주파수 기반의 셀 재선택 우선 순위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또한, 네트워크 기기에 대해 설명된 네트워크 기기와 단말 기기 사이의 상호 작용 및 관련 특성, 기능 등은 단말 기기의 관련 특성, 기능에 대응하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즉,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로 어떠한 메시지를 송신하면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로부터 대응하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흐름의 번호의 크기는 실행하는 전후 순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각 흐름의 실행 순서는 그 기능 및 내부 논리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 흐름에 대해 어떠한 한정도 구성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및/또는"은 연관 객체를 설명하는 연관 관계에 불과하며, 세 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가 단독으로 존재하고 A 및 B가 동시에 존재하며 B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세 가지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부호 "/"는 일반적으로 전후 연관 객체 사이가 "또는"의 관계임을 나타낸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며, 다음은 도 5 내지 도 8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설명하고 방법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다음의 장치의 실시예에 적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300)를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단말 기기(300)는 획득 유닛(310)을 구비한다.
획득 유닛(310)은 비활성 상태에서 셀 선택 및 재선택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는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 기기의 이동성 제어에 유리하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 획득 유닛은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RRC 전용 시그널링에서 비활성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 단말 기기는 이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무선 자원 제어(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제 1 수신 유닛을 더 구비하고, 이 RRC 연결 해제 메시지는 이 단말 기기에 비활성 상태로 진입할 것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이 RRC 연결 해제 메시지는 이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이 획득 유닛은 구체적으로, 이 RRC 연결 해제 메시지에서 이 비활성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 획득 유닛은 구체적으로,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 이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 단말 기기는 이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 비활성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하였을 경우, 이 단말 기기가 비활성 상태에 있을 때 비활성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셀 선택 및 재선택을 실행하거나, 이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 비활성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하지 못했을 경우, 이 단말 기기가 비활성 상태에 있을 때 아이들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셀 선택 및 재선택을 실행하기 위한 처리 유닛을 더 구비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는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의 판정 파라미터,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의 각 파라미터의 스케일링 파라미터 및 주파수 기반의 셀 재선택 우선 순위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 단말 기기는 이 단말 기기가 비활성 상태로부터 아이들 상태로 복귀하였을 때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 2 수신 유닛을 더 구비하고, 이 지시 정보는 이 단말 기기가 아이들 상태에 있을 때 사용되는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이 단말 기기가 아이들 상태에 있을 때 사용되는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는 비활성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이거나 아이들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이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 지시 정보는 이 단말 기기가 비활성 상태로부터 아이들 상태로 되는 것을 지시하는 변환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 의해 운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300)는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에서의 단말 기기에 대응할 수 있으며, 단말 기기(300)의 각 유닛의 상기 및 기타의 동작 및/또는 기능의 각각은 도 3의 방법에서의 단말 기기의 해당 흐름을 실현하는 데 사용되는 것이 이해되어야 하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400)를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네트워크 기기(400)는 구성 유닛(410)을 구비한다.
구성 유닛(410)은 단말 기기를 위해 비활성 상태에 대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구성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는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 기기의 이동성 제어에 유리하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구성 유닛은 구체적으로, 무선 자원 제어(RRC) 전용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로 비활성 상태에 대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은 RRC 연결 해제 메시지이고, 상기 RRC 연결 해제 메시지는 상기 단말 기기에 비활성 상태로 진입할 것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 상태로부터 아이들 상태로 복귀하였을 때 상기 단말 기기로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아이들 상태에 있을 때 사용되는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단말 기기가 아이들 상태에 있을 때 사용되는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는 비활성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이거나 아이들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이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 상태로부터 아이들 상태로 되는 것을 지시하는 변환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 의해 운반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는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의 판정 파라미터,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의 각 파라미터의 스케일링 파라미터 및 주파수 기반의 셀 재선택 우선 순위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400)는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기기에 대응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기기(400)의 각 유닛의 상기 및 기타의 동작 및/또는 기능의 각각은 도 4의 방법에서의 네트워크 기기의 해당 흐름을 실현하는 데 사용되는 것이 이해되어야 하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기기(500)가 더 제공되고, 이 단말 기기(500)는 도 5의 단말 기기(300)일 수 있으며, 도 3의 방법(100)에 대응하는 단말 기기의 내용을 실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 단말 기기(500)는 입력 인터페이스(510), 출력 인터페이스(520), 프로세서(530) 및 메모리(540)를 구비하고, 이 입력 인터페이스(510), 출력 인터페이스(520), 프로세서(530) 및 메모리(540)는 버스 시스템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메모리(540)는 프로그램, 명령 또는 코드를 기억하는 데 사용된다. 이 프로세서(530)는 이 메모리(540) 내의 프로그램, 명령 또는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입력 인터페이스(510)가 신호를 수신하고 출력 인터페이스(520)가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방법의 실시예에서의 동작을 실현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는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 기기의 이동성 제어에 유리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 프로세서(53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으며, 이 프로세서(530)는 또한 기타의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또는 기타의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디바이스, 개별 하드웨어 구성 요소 등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이 프로세서일 수 있으나,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 메모리(540)는 읽기 전용 메모리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530)에 명령 및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540)의 일부는 또한 비 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540)는 또한 기기 타입 정보를 기억할 수 있다.
실현 시에 상기 방법의 다양한 내용은 프로세서(530) 내의 하드웨어의 통합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방법의 내용에 관련하여, 직접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여 실현하거나 또는,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으로 실행하여 실현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의 당 기술 분야에서의 성숙된 기록 매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기록 매체는 메모리(540)에 배치되며, 프로세서(530)는 메모리(540) 내의 정보를 읽고 그 하드웨어와 조합하여 상기 방법의 내용을 실현한다.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일 구체적인 실현 형태에서, 단말 기기(300) 내의 제 1수신 유닛 및 제 2 수신 유닛은 도 7의 입력 인터페이스(510)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단말 기기(300) 내의 획득 유닛 및 처리 유닛은 도 7의 프로세서(530)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기기(600)가 더 제공되고, 이 네트워크 기기(600)는 도 6의 네트워크 기기(400)일 수 있으며, 도 4의 방법(200)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기기의 내용을 실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 네트워크 기기(600)는 입력 인터페이스(610), 출력 인터페이스(620), 프로세서(630) 및 메모리(640)를 구비하고, 이 입력 인터페이스(610), 출력 인터페이스(620), 프로세서(630) 및 메모리(640)는 버스 시스템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메모리(640)는 프로그램, 명령 또는 코드를 기억하는 데 사용된다. 이 프로세서(630)는 이 메모리(640) 내의 프로그램, 명령 또는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입력 인터페이스(610)가 신호를 수신하고 출력 인터페이스(620)가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며, 및 상기 방법의 실시예에서의 동작을 실현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는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 기기의 이동성 제어에 유리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 프로세서(63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으며, 이 프로세서(630)는 또한 기타의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또는 기타의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디바이스, 개별 하드웨어 구성 요소 등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이 프로세서일 수 있으나,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 메모리(640)는 읽기 전용 메모리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630)에 명령 및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640)의 일부는 또한 비 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640)는 또한 기기 타입 정보를 기억할 수 있다.
실현 시에 상기 방법의 다양한 내용은 프로세서(630) 내의 하드웨어의 통합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방법의 내용에 관련하여, 직접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여 실현하거나 또는,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으로 실행하여 실현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의 당 기술 분야에서의 성숙된 기록 매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기록 매체는 메모리(640)에 배치되며, 프로세서(630)는 메모리(640) 내의 정보를 읽고 그 하드웨어와 조합하여 상기 방법의 내용을 실현한다.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일 구체적인 실현 형태에서, 네트워크 기기(400) 내의 구성 유닛은 도 8의 프로세서(630)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400) 내의 송신 유닛은 도 8의 출력 인터페이스(610)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관련하여 설명된 각 예시의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가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실행되는지 소프트웨어로 실행되는지는 기술 방안의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상의 제약 조건에 의존한다. 당업자라면 특정 용도에 따라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여 기재된 기능을 실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실현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아니 된다.
당업자라면 설명의 편의성 및 간결성을 위해, 상기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조작 과정은 전술한 방법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해당 과정을 참조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제공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기타 방식으로도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은 장치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에 불과하며, 예를 들어, 이 유닛의 구분은 단지 논리적인 기능에 따른 구분이며, 실제로 실현할 때는 기타 구분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구성 요소가 조합되거나 또는 다른 시스템에 집적될 수도 있으며, 혹은 일부 특징이 생략되거나 실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나타내거나 설명된 상호간의 결합 또는 직접적인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에 의한 간접적인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일 수도 있으며, 전기적, 기계적 또는 기타 형식일 수도 있다.
이 분리 부재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을 수도 있고,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으며, 유닛으로 표시된 부재는 물리적 유닛일 수도 있고, 물리적 유닛이 아닐 수도 있으며, 동일한 위치에 위치할 수도 있고,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산될 수도 있다. 실제 수요에 따라 일부 또는 전부의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고, 각 유닛이 단독으로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두 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다.
이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실현되고, 또한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 또는 사용되는 경우에는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은 본질적으로 또는 종래 기술에 공헌한 부분 또는 이 기술 방안의 일부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며, 한 대의 컴퓨터 기기(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에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단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실행하기 위한 복수의 명령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기록 매체는 USB 메모리, 모바일 하드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의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 가능한 다양한 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에 제시된 기술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대체를 용이하게 구상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Claims (28)

  1. 단말 기기가 비활성 상태에서 셀 선택 및 재선택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 상태에서 셀 선택 및 재선택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RRC 전용 시그널링에서 비활성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무선 자원 제어(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RRC 연결 해제 메시지는 상기 단말 기기에 비활성 상태로 진입할 것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RRC 연결 해제 메시지는 상기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RRC 전용 시그널링에서 비활성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RRC 연결 해제 메시지에서 상기 비활성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 상태에서 무선 자원 제어(RRC) 연결을 복구하는 데 사용되는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 상기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 비활성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하였을 경우,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 상태에 있을 때 비활성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셀 선택 및 재선택을 실행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 비활성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하지 못했을 경우,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 상태에 있을 때 아이들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셀 선택 및 재선택을 실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는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의 판정 파라미터,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의 각 파라미터의 스케일링 파라미터 및 주파수 기반의 셀 재선택 우선 순위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 상태로부터 아이들 상태로 복귀하였을 때 상기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아이들 상태에 있는 때 사용되는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단말 기기가 아이들 상태에 있을 때 사용되는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는 비활성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이거나 아이들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 상태로부터 아이들 상태로 되는 것을 지시하는 변환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 의해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9.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를 위해 비활성 상태에 대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를 위해 비활성 상태에 대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무선 자원 제어 RRC 전용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로 비활성 상태에 대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은 RRC 연결 해제 메시지이고, 상기 RRC 연결 해제 메시지는 상기 단말 기기에 비활성 상태로 진입할 것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 상태로부터 아이들 상태로 복귀하였을 때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아이들 상태에 있을 때 사용되는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단말 기기가 아이들 상태에 있을 때 사용되는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는 비활성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이거나 아이들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 상태로부터 아이들 상태로 되는 것을 지시하는 변환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 의해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는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의 판정 파라미터,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의 각 파라미터의 스케일링 파라미터 및 주파수 기반의 셀 재선택 우선 순위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5. 비활성 상태에서 셀 선택 및 재선택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유닛은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RRC 전용 시그널링에서 비활성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무선 자원 제어(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제 1 수신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RRC 연결 해제 메시지는 상기 단말 기기에 비활성 상태로 진입할 것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RRC 연결 해제 메시지는 상기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획득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RRC 연결 해제 메시지에서 상기 비활성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유닛은 구체적으로,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 상기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 비활성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하였을 경우,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 상태에 있을 때 비활성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셀 선택 및 재선택을 실행하거나,
    상기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 비활성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하지 못했을 경우,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 상태에 있을 때 아이들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셀 선택 및 재선택을 실행하기 위한 처리 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20.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는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의 판정 파라미터,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의 각 파라미터의 스케일링 파라미터 및 주파수 기반의 셀 재선택 우선 순위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21. 제15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 상태에서 아이들 상태로 복귀하였을 때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 2 수신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아이들 상태에 있을 때 사용되는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단말 기기가 아이들 상태에 있을 때 사용되는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는 비활성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이거나 아이들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 상태로부터 아이들 상태로 되는 것을 지시하는 변환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 의해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23. 단말 기기를 위해 비활성 상태에 대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구성하기 위한 구성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유닛은 구체적으로,
    무선 자원 제어(RRC) 전용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로 비활성 상태에 대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은 RRC 연결 해제 메시지이고, 상기 RRC 연결 해제 메시지는 상기 단말 기기에 비활성 상태로 진입할 것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6. 제2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 상태로부터 아이들 상태로 복귀하였을 때 상기 단말 기기로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아이들 상태에 있을 때 사용되는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단말 기기가 아이들 상태에 있을 때 사용되는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는 비활성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이거나 아이들 상태에 대해 구성된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 상태로부터 아이들 상태로 되는 것을 지시하는 변환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 의해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8. 제23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제어 파라미터는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의 판정 파라미터,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의 각 파라미터의 스케일링 파라미터 및 주파수 기반의 셀 재선택 우선 순위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KR1020197034503A 2018-02-13 2018-02-13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KR1024101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8/076670 WO2019157635A1 (zh) 2018-02-13 2018-02-13 无线通信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8356A true KR20200118356A (ko) 2020-10-15
KR102410145B1 KR102410145B1 (ko) 2022-06-20

Family

ID=67619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4503A KR102410145B1 (ko) 2018-02-13 2018-02-13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2) US11218927B2 (ko)
EP (1) EP3624496B1 (ko)
JP (1) JP6999705B2 (ko)
KR (1) KR102410145B1 (ko)
CN (2) CN110612744B (ko)
AU (1) AU2018408669A1 (ko)
BR (1) BR112019026433A2 (ko)
CA (1) CA3066033C (ko)
IL (1) IL271049A (ko)
PH (1) PH12019502738A1 (ko)
RU (1) RU2756894C1 (ko)
SG (1) SG11201911545VA (ko)
TW (1) TWI785205B (ko)
WO (1) WO2019157635A1 (ko)
ZA (1) ZA20200011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5122A1 (ko) * 2022-08-10 2024-02-15 삼성전자 주식회사 Rrc 비활성 모드에서 mbs sps 수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10955B (zh) * 2020-06-11 2023-02-2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发送或接收过程中的处理方法、装置及通信设备
WO2022027479A1 (en) * 2020-08-06 2022-02-10 Apple Inc. Access control of user equipments for inactive direct transmissions
US11665772B2 (en) * 2020-08-10 2023-05-30 Acer Incorporated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mall data transmission in a radio resource control (RRC) inactive stat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11919B (zh) * 2009-12-24 2014-06-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本地ip网络连接管理方法、装置和系统
EP2594095B1 (en) * 2010-07-13 2014-10-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managing mobility control information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CN107105460A (zh) * 2011-09-12 2017-08-29 诺基亚技术有限公司 用于移动终端连接模式移动性的方法和设备
CN103200599A (zh) * 2012-01-06 2013-07-10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数据的方法及设备
US8594699B1 (en) * 2012-05-01 2013-11-26 Blackberry Limited Determining speed dependent scaling factors
KR101737239B1 (ko) * 2012-08-06 2017-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정보 보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EP2725852B1 (en) * 2012-10-29 2016-07-20 Alcatel Lucent Optimization of network signaling load and/or of user equipment power consumption in a packet mobile system
US9814025B2 (en) * 2012-11-29 2017-11-07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reporting information on UE state performed by U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upporting said method
WO2016104897A1 (ko) * 2014-12-24 2016-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Nbifom에서 isr활성화 상태 상에서의 효율적인 신호 처리 방법
WO2016122377A1 (en) * 2015-01-30 2016-08-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of operating wireless terminals and network nodes using high speed vehicle network indicators and related wireless terminals and network nodes
EP3855805B1 (en) * 2015-02-06 2023-12-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Signaling optimization method and device
CN110691429B (zh) * 2016-05-13 2021-02-12 华为技术有限公司 Rrc状态的控制方法和装置
EP3479614A4 (en) * 2016-07-01 2019-11-27 Nokia Technologies Oy SECURE COMMUNICATIONS
CN108307373B (zh) * 2016-09-23 2019-09-1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信令处理方法及装置
CN106658758A (zh) * 2017-02-10 2017-05-1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状态转换方法、状态保持方法、装置及用户设备
CN109246774B (zh) * 2017-06-16 2021-01-05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及装置
CN113766588B (zh) * 2017-06-16 2023-04-07 华为技术有限公司 小区重选方法及相关设备
CN107249221B (zh) * 2017-08-02 2020-08-25 武汉虹信通信技术有限责任公司 Ue上报信息辅助基站进行ue rrc状态转换的方法及用户终端、基站
CN107645753B (zh) * 2017-09-15 2020-08-07 武汉虹信通信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ue小区重选时的位置上报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711722 (2017.09.29.) *
3GPP R2-1713301 (2017.11.17.)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5122A1 (ko) * 2022-08-10 2024-02-15 삼성전자 주식회사 Rrc 비활성 모드에서 mbs sps 수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32152A (ja) 2020-11-05
CN111163498A (zh) 2020-05-15
AU2018408669A1 (en) 2020-01-02
CA3066033A1 (en) 2019-08-22
CN110612744B (zh) 2024-03-08
KR102410145B1 (ko) 2022-06-20
US20200112895A1 (en) 2020-04-09
TW201935953A (zh) 2019-09-01
RU2756894C1 (ru) 2021-10-06
WO2019157635A1 (zh) 2019-08-22
EP3624496B1 (en) 2021-11-10
US11218927B2 (en) 2022-01-04
TWI785205B (zh) 2022-12-01
JP6999705B2 (ja) 2022-01-19
EP3624496A1 (en) 2020-03-18
US20220086714A1 (en) 2022-03-17
ZA202000117B (en) 2021-08-25
BR112019026433A2 (pt) 2020-07-14
SG11201911545VA (en) 2020-01-30
EP3624496A4 (en) 2020-07-15
CN110612744A (zh) 2019-12-24
PH12019502738A1 (en) 2020-11-09
CN111163498B (zh) 2021-03-05
IL271049A (en) 2020-01-30
CA3066033C (en) 202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0750B2 (en) Method for paging, access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EP3614787B1 (en) Transition method,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KR102410145B1 (ko)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RU2748316C1 (ru) Способ поискового вызова, а также устройство доступа к сети, терминал и основное сет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