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8155A - 통신 방법 및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신 방법 및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8155A
KR20200118155A KR1020207025692A KR20207025692A KR20200118155A KR 20200118155 A KR20200118155 A KR 20200118155A KR 1020207025692 A KR1020207025692 A KR 1020207025692A KR 20207025692 A KR20207025692 A KR 20207025692A KR 20200118155 A KR20200118155 A KR 20200118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host server
voucher
communic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5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8000B1 (ko
Inventor
마르쿠스 푀르스터
Original Assignee
슈바이져리히 분더스바넌 에스비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바이져리히 분더스바넌 에스비비 filed Critical 슈바이져리히 분더스바넌 에스비비
Publication of KR20200118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8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0Rating or billing plans; Tariff determination aspects
    • H04M15/8083Rating or billing plans; Tariff determination aspects involving reduced rates or discounts, e.g. time-of-day reductions or volume discou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09Third party charged commun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46Real-time negotiation between users and providers or ope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51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for resellers, retailers or service provi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0Rating or billing plans; Tariff determination aspects
    • H04M15/8033Rating or billing plans; Tariff determination aspects location-dependent, e.g. business or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이동 통신망 PLMN을 통해 데이터 단말기(data terminal, DT) 또는 음성 단말기(voice terminal, ST)에 데이터 연결 또는 통화 연결을 설정하는데 적합하면서 또한 호스트의 호스트 서버(host server, HS)와 무선 통신에 적합한,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기(mobile terminal, MT)를 위한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이에 따라, a) 무선 통신 링크가 호스트 서버(HS)와 모바일 단말기(MT) 사이에 설정되고,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식별 데이터(identification data, ID)가 모바일 단말기(MT)로부터 호스트 서버(HS)에 전송되고; b) 적어도 식별 데이터(ID)와 기간(tVR)이 등록되고, 바람직하게는 호스트 서버(HS)의 식별자가 등록된, 바우처(voucher, VR)는 호스트 서버(HS)에 의해 생성되고; c) 바우처(VR)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 PLMN의 운영자 또는 모바일 단말기(MT)에 대한 요금 명세서를 준비하는 서비스 제공자(SP)에게 전송되며; 그리고 d) 바우처(VR)를 기준으로 서비스 제공자(SP) 또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 PLMN의 운영자는 바우처(VR)에 표시된 기간(tVR) 동안 등록된 모바일 단말기(MT)의 데이터 연결 또는 통화 연결에 대한 통신 비용을 호스트 서버(HS)의 식별자에 할당된 계정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출한다.

Description

통신 방법 및 통신 시스템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방법 및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신 통신 네트워크는, 가입자 또는 사용자로 하여금 그들의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예를 들어, GSM 표준 또는 이와 관련된 확장 표준에 따라 작동하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어느 위치에서든 그들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 다른 단말기로의 통화 연결 또는 데이터 연결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2015년 6월 Bern의 Federal Office for Communication BAKOM의 자료 표(fact sheet)에 따르면, GSM 시스템은 원래 모바일 음성 전화 서비스용으로 설계되었다. 이후에, GSM 표준은 고속 회로 스위치 데이터(High Speed Circuit Switched Data, HSCSD),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및 GSM 에볼루션을 위한 향상된 데이터 속도(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EDGE) 또는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와 같은 새로운 기능으로 확장되었다.
EP2023674A1은 이동 무선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단말기의 이동성 관리를 위한 절차를 기술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차량으로 운반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핸드오버(handover) 문제가 회피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기는 방해의 위험없이 많은 대수의 차량에서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EP2631152A1은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단말기를 찾는 방법 및 철도 네트워크에서 철도 차량(rolling stock)을 관리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공공 건물이나 장소에서 모바일 단말기는 종종 무선 네트워크(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를 통해 무료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2017년 3월 Bern의 Federal Office for Communication BAKOM의 자료 표 WLAN에서는, WLAN 기술 및 표준을 기술한다. 전형적으로, IEEE 802.11 표준이 사용된다. 짧은 거리를 위해, 그리고 애드혹(ad-hoc) 네트워크 설정을 위해, 블루투스 표준 IEEE 802.15.1이 정기적으로 구현된다.
공공 건물 및 차량에서 방문자, 손님, 및 고객은, 호스트에 의해, 통신 서비스에 종종 무료로 액세스할 수 있다. "호스트"라는 단어는, 예를 들어, 정부 기관, 대중 교통 시스템 운영자, 상업용 건물의 소유자, 레스토랑, 스포츠 시설, 또는 사무실 단지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WLAN 네트워크의 운영은 운영자와 사용자에게 장점과 단점을 가진다. 운영자에게는 낮은 비용의 WLAN 기술과 낮은 비용의 인터넷 액세스가 가능하다. 비밀번호를 받은 후면, 사용자는 무료로 WLAN을 사용할 수 있다.
단점은, 통신 서비스 운영자 또는 제공자는 사용자가 머무는 동안 라운지 전체에서 사용자가 WLAN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대형 방 또는 실내 시설 및 건물 단지, 특히 철도 열차에서, 운영자는 이에 대응하는 복잡한 설치 및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해야만 한다. 사용자의 관점에서 볼 때, 이는 종종 자신의 서비스 공급자로부터 익숙한 연결 품질을 야기하지는 않는다. 데이터 전송 속도가 너무 낮거나 네트워크 커버 범위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데이터 전송 속도는 전형적으로 WLAN에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의 개수에 따라 감소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품질이 아닌 비용 측면에서 최적화되는 운영자 또는 호스트의 해결책에 의존해야 한다. 기술적 문제점의 발생은 양쪽 모두에서 불만족스럽다. 호스트는 서비스의 전체적인 패키지에 영향을 미치는 오류 메시지 및 불만 사항을 받을 것이라고 예상해야만 한다. 통신 서비스가 필요한 사용자는 업무 및 비즈니스 거래를 효율적으로 수행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개선된 통신 방법 및 개선된 통신 시스템을 생성하기 위한 목적에 기초한 것이다.
통신 방법 및 통신 시스템은 호스트가 전술한 단점 없이 모바일 단말기를 사용하는 게스트 또는 사용자에게 무료로 또는 할인하여 통신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할 수 있어야 한다. 사용자는 자신이 익숙한 품질에 대한 제한없이 다른 활성 모바일 단말기의 개수에 관계없이 통신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어야한다. 통신 시스템이 작동하는 동안, 호스트는 기술적 질문 및 오류 메시지에 직면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은 간단한 구조를 가져야하며, 적은 노력으로 구현되어야 한다. 복잡한 설치는 회피되어야 한다. 또한, 공공 통신 시스템 및 그들의 프로토콜의 개정에 유리하게 고려될 수 있는 개선 사항이 제안되어야 한다.
이러한 과제는 제1항 및 제13항에 명시된 특징을 갖는 통신 방법 및 통신 시스템으로 해결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는 추가의 청구범위에 표시된다.
통신 방법은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기에 제공되며, 이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단말기 또는 음성 단말기에 데이터 연결 또는 통화 연결을 설정하는데 적합하며, 또한 호스트의 호스트 서버와 무선 통신하는데 적합한 것이다.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의 사용은, 예시로서 하나의 모바일 단말기를 사용하여 이하에서 기술되지만, 통신 시스템은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임의의 개수의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철도 열차 승객의 모바일 단말기, 식당, 무역 박람회, 사무실 건물, 스포츠 행사 또는 공공 건물 방문자의 모바일 단말기는 제한없이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a) 호스트 서버와 모바일 단말기 사이에 무선 통신 링크가 설정되고, 이를 통해 식별 데이터가 모바일 단말기에서 호스트 서버로 전송되고;
b) 호스트 서버에 의해 바우처가 생성되며, 여기서 적어도 식별 데이터와 기간, 바람직하게는 호스트 서버의 식별자가 등록되며;
c) 바우처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운영자 또는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요금 명세서를 준비하는 서비스 제공자에게 전송되며; 그리고
d) 상기 바우처를 기준으로 서비스 제공자 또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운영자는 바우처에 표시된 기간 동안 등록된 모바일 단말기의 데이터 연결 또는 통화 연결에 대한 통신 비용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호스트 서버의 식별자에 할당된 계정으로 인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은 호스트가 모바일 단말기의 임의의 사용자, 예를 들어, 손님, 특히 승객, 비즈니스 파트너, 고객, 직원 또는 방문자에게 무료로 또는 저렴한 비용으로 통신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통신 비용은 서비스 제공자와 유리한 조건을 협상하는 호스트가 전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부담한다.
사용자는 그들의 제공자의 통신 서비스를 계속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동안 비용은 호스트가 부담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구성에서, 호스트를 위한 하드웨어 비용은 낮다.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서, 무선 네트워크의 설치는 완전히 생략될 수 있다. 대신, 식별자만 전송하고 모바일 단말기와 양방향으로 통신하지 않는 무선 비콘이 설치된다. 따라서, 호스트는 건물, 지역 또는 운송 수단에 최소 비용으로 필요한 개수의 무선 비콘을 설치할 수 있으며, 그 후에는 추가 하드웨어 비용이 필요하지 않다.
사용자는 적은 노력으로 호스트에 로그온할 수 있으며, 이후 평소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통신할 수 있으며, 그 동안 비용이 호스트에게 청구된다. 식별 데이터의 전송으로 로그인하는 것은 사용자에 의해 초기화되거나 바람직하게는 자동으로 초기화되므로, 사용자의 노력이 요구되지 않는다. 어플리케이션 또는 어플리케이션(소프트웨어 앱)을 한 번 설치하기만 하면, 호스트 서버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를 교환한다. 모바일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과 호스트 서버의 어플리케이션 간의 짧은 통신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 WLAN, 또는 공용 이동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호스트의 인터넷 페이지에서 이동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이를 그의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한다. 그런 다음,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호스트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는 첫번째 접촉 시 호스트에 등록하고, IMSI와 같은 자신의 식별 데이터를 호스트로 전송한다. 나중에, 통신 서비스를 사용할 때, 호스트는 제공 혜택을 받는 사용자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사용자가 이미 다른 어플리케이션 또는 호스트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 중이고, 이미 자신의 식별 데이터를 그곳에 이미 입력한 경우에 특히 쉽다.
다양한 유리한 실시예에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은 많은 다른 장점을 갖는다.
모바일 단말기에서 호스트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함으로써 호스트와 사용자 간의 확장된 데이터 교환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바우처의 보안 생성 또는 다른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호스트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현재 제안 및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열차에 탑승한 승객은 예상 지연 또는 제안, 예컨대 식당 차의 제안 또는 목적지에 있는 서비스 제공자의 제안과 같은 현재 여행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백화점에서는 특별한 액션이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될 수 있다. 스포츠 경기장에서는, 현재 스포츠 결과 및 교통 가능성에 대한 배경 정보가 이벤트가 끝난 후에 통신될 수 있다.
호스트와 사용자 간의 상호 작용은 장려되며, 이는 더 강한 고객 충성도를 초래한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은 바우처 할당 또는 기간 계산 시 고려할 수 있는 구매를 등록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동안 모바일 단말기는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운송 네트워크의 운영자는 일반 운송 서비스 사용자에게 확장된 바우처를 할당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바우처 발행에 사용되거나, 사용자에게 추가 혜택을 제공하는 다른 어플리케이션과 유리하게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자적 티켓팅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결합된다. 이는 바우처가 호스트 서버가 승객의 탑승 자격을 확인한 후에만 승객 또는 승객의 모바일 단말기로 발행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승객은 통신 서비스에 무료로 액세스하기 위해 여행 중에 여행 자격을 전자적으로 확인하도록 동기를 부여받는다. 따라서, 전자 티켓의 제시는 더 이상 의무가 아니라 바람직한 프로세스이다. 이는 철도 운영자의 확인 프로세스를 용이하게 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은 이동 무선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설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의 파라미터에 액세스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필요한 연결 품질(QoS)은 호스트에서 지정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호스트는 비용을 한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식별 데이터의 반복적인 질문이 발생하며, 바람직하게는 기간의 시작과 끝에서 발생하고, 그 동안 통신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가 무료로 제공된다. 이러한 질문 또는 확인은 호스트 서버에 할당된 공간에 진입하고 나갈 때 유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철도 열차에 진입하는 경우와 도착지에 도달한 후 철도 열차를 떠날 때 유용할 수 있다. 무선 비콘을 사용하는 경우, 그들의 식별 정보는 주기적으로 호스트로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무선 비콘의 식별은 호스트 서버에 공지된 방식으로 스위치될 수도 있으므로, 각 질문에 대해 상이한 식별이 호스트 서버에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가 통신 서비스에 대한 무료 액세스를 받는 기간 동안 호스트의 서비스를 실제로 사용하고, 및/또는 호스트의 서비스 영역에 있는지 확인한다.
따라서, 통신 서비스에 대한 무료 액세스가 허용되는 기간은 모바일 단말기의 로그인과 모바일 단말기의 로그아웃 사이의 기간, 바람직하게는 호스트 서버에 할당된 방에 진입하는 동안과 바람직하게는 호스트 서버에 할당된 방을 떠나는 동안에 따라 유리하게 정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통신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가 무료로 제공되는 기간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서비스의 기간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기간은 전자 달력 또는 건물 개장 시간에 관한 일련의 규정으로부터 가져올 수 있다. 호텔의 방문자가 며칠 동안 숙박을 예약한 경우, 통신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 기간을 그에 따라 넘겨받을 수 있다. 운송 회사, 버스 회사, 또는 철도 회사의 호스트 서버는 전자 시간표에서 시간을 가져오거나 필요한 경우 지연을 고려하는 시간표 컴퓨터에서 시간을 검색할 수 있다.
기간은 또한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를 위해 저장된 존재 시간을 고려하여 정의될 수 있다. 고용주는 직원의 근무 시간 동안 통신 비용을 부담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은 이동 무선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는 등록된 모바일 단말기 및 호스트 서버를 포함한다. 호스트 서버는 호스트의 모든 요구 사항을 처리할 수 있다. 여러 위치에 있는 대기업이나 차량을 가진 운송 회사는 중앙 호스트 서버와 통신하는 각 위치와 각 차량에서 적어도 하나의 호스트 서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 호스트 서버는 바우처 발행의 조정을 제어, 모니터링, 및 보호할 수 있다. 발행된 바우처 또는 해당하는 보고서는 호스트 서버로부터 직접 또는 중앙 호스트 서버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단말기에는 서로 다른 서비스 제공자가 할당되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호스트는 서비스 제공자와 계약을 체결하고 높은 트래픽 볼륨을 고려하여 유리한 요금을 협상한다.
바람직하게는, 중앙 호스트 서버는 짧은 시간 간격으로 호스트 서버와 서비스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참조 번호 목록을 전송한다. 이러한 목록은 바우처가 발행되는 경우에 바우처에 개별적으로 할당되고, 바우처가 청구되는 경우에 서비스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확인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통신 시스템은 보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 서버가 도난당하면, 새로운 참조 번호가 전송되지 않으며, 또한 할당된 참조 번호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선언된다. 그러나, 서비스 제공자에 도달한 유효하지 않은 참조 번호를 가지는 바우처는 호스트 서버를 훔친 사람을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호스트 서버 또는 필요한 경우에 중앙 호스트 서버는 무선 비콘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무선 비콘이 도난당하면, 식별이 유효하지 않는 것으로 선언된다.
서비스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바우처를 처리하는 것은 비교적 간단한 조치로 수행될 수 있다. 유일한 전제 조건은 서비스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독창적인 프로세스 흐름을 자신의 프로세스 흐름, 특히 청구 프로세스에 통합하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청구지 주소의 교환이 필요하다. 또한, 확인이 수행될 수 있으며, 확인이 전송될 수 있다.
GSM 이동 무선 네트워크의 청구 및 회계는, [4], Michel Mouly, Marie-Bernadette Pautet, 이동 통신을 위한 GSM 시스템, Cell & Sys Verlag, 1992, Chapter 9.1.2의 페이지 572 내지 577에 기술되어 있다. 여기에는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IMSI)가 통신 서비스 요금 청구의 기초라고 기술되어 있다.
청구 정보는 청구 센터에 있는 사용자의 홈 네트워크에서 수집되어 통신 비용을 가입자 또는 사용자에게 청구하는 요금 센터가 있는 서비스 제공자에게 전달된다.
바우처를 전송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는 호스트로부터 청구지 주소를 변경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으므로, 적어도 청구 프로세스에서 식별자, 예를 들어 사용자의 IMSI는 호스트의 식별자 또는 IMSI로 대체된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는 바우처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바우처와 호스트의 확인이 필요하다. 바우처 자체에는 호스트의 확인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호스트가 나중에 바우처를 거부할 수는 없다. 바람직하게는, 바우처는 호스트의 개인 키로 사인되거나, 또는 인코딩되고, 공용 키를 사용하여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디코딩된다. 공용 키 인프라를 사용하면 간단한 방법으로 프로세스가 보안될 수 있다([6], EP1263164B1, 또는 https://de.wikipedia.org/wiki/Public-Key-Infrastruktur 참조).
바우처는 호스트가 직접, 또는 수혜 사용자를 통하거나 그의 모바일 단말기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 호스트 또는 적절하게 보안된 바우처의 확인이 필요하고, 통신 서비스에 대한 무료 액세스 기간은 정해져 있기 때문에, 바우처는 호스트가 서비스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직접 발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 비용은 일반적으로 서비스 제공자가 청구하므로, 바우처의 처리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직접 가장 쉽게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간단한 프로토콜에 따라 호스트와 서비스 제공자 사이에서 처리될 수 있으며, 이는 호스트와 서비스 제공자 간의 통신 유형과 내용을 정의하고, 네트워크 프로토콜과는 독립적이다. 이 목적을 위해 상이한 서비스 제공자가 상이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바우처가 이동 무선 네트워크 내에서 처리되면, 청구 센터 내에 주변 장치 개입이 가장 쉬운 옵션이다. 즉, 호스트가 바우처를 직접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또는 모바일 단말기에 의한 바우처의 전송은 이동 무선 네트워크의 프로토콜 확장에 의해 규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우처의 핸드오버 또는 검증은 이동 무선 네트워크에 모바일 단말기를 등록할 때 수행될 수 있다. [4]에서, 챕터 1.3.1.7, 페이지 71, 보안 기능에서, 이는 미등록 제3자의 액세스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진다고 기술되어 있다. 확장된 인증의 범위 내에서, 바우처는 제시될 수 있으며, 이는 순차적으로 확인될 수 있다. 네트워크 운영자의 관점 내에서, 그는 계약 상 유효하지 않은 바우처에 대한 책임이 배제될 수 있기 때문에 위험없이 수행될 수 있다. 바우처가 수락되면, 청구 및 회계를 위한 네트워크의 프로세스에서 사용자의 식별자 대신 호스트의 식별자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보다 상세히 기술된다. 이에 따라,
도 1은 열차 TH가 모바일 단말기(mobile terminals, MT)를 가지고 있는 승객과 함께 운행하는 지리적 영역을 커버하는 셀룰러 이동 무선 네트워크 PLMN을 갖는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이며, 이들 각각은 철도 운영자의 호스트 서버(host server, HS)에 의해 바우처(voucher, VR)가 제공되고, 통신 비용을 청구할 때 네트워크 운영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가 고려하는 것이다.
도 2a는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도 1에 따르면, 바우처 VR은 호스트 서버 HS로부터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 SP)로 직접 전송되고, 필요하다면 네트워크 운영자의 청구 센터(charging center, CHC)로 전송된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에서 모바일 단말기 MT가 사용하는 통신 서비스를 위한 바우처 VR의 발행 및 통신 비용을 청구하는 절차이다.
도 3a는 건물 HH에 위치된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으로, 그 내부에서 바우처 VR이 호스트 서버 HS로부터 모바일 단말기 MT로, 그리고 거기에서 서비스 제공자 SP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의 청구 센터 CHC로 전송된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에서 모바일 단말기 MT가 사용하는 통신 서비스를 위한 바우처 VR의 발행 및 통신 비용을 청구하는 절차이다.
도 4a는 통신 시스템으로, 예를 들어, 상기 도면들 중 하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무선 비콘 HB이 제공되고, 이에 의해 호스트 서버 HS에 로그온하는 모바일 단말기 MT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에서 모바일 단말기 MT가 사용하는 통신 서비스에 대한 바우처 VR의 발행 및 통신 비용을 청구하는 절차이다.
도 1은 적어도 하나의 셀 LAX-ZY을 각각 갖는 여러 위치 영역(LA1, …, LA8)을 가지고 있는 본 발명의 셀룰러 이동 무선 네트워크 PLMN의 섹션을 도시한다. 도시된 섹션 내에서, 여러 교통 경로, 특히 수많은 승객을 태운 철도 열차 TH가 운행되는 철도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도 1은 또한, 이동 무선 네트워크 PLMN의 개별 유닛, 즉, 모바일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HLR), 방문자 위치 등록기(visitor location register, VLR), 송신 및 수신 스테이션 BTS, 및 연관된 제어 유닛 BSC, 및 청구 센서 CHC를 또한 도시한다.
전달된 통신 서비스에 대한 청구 정보 또는 소위 통행권(toll ticket)은 청구 센터 CHC에서 수집되어, 일반적으로 가입자 또는 사용자에게 통신 비용을 청구하는 요금 센터를 가지는 관련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 SP)에게 청구된다([4], 페이지 575 참고).
도 1은 또한 철도 운영자가 철도 열차 TH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호스트 서버 HS를 사용한다는 것을 도시하며, 이는 승객의 모바일 단말기 MT와 무선으로 통신하면서 또한 모바일 단말기 MT가 통신 서비스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바우처 VR를 제공한다. 이러한 바우처 VR은 호스트 서버 HS로부터 직접적으로 또는 모바일 단말기 MT를 통해 간접적으로 이동 네트워크 PLMN의 인스턴스, 바람직하게는 청구 센터 CHC, 또는 서비스 제공자 SP로 전송된다. 승객 또는 사용자에 대해 등록되고 할당된, 예를 들어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IMSI)에 할당된 비용은 이후에 철도 운영자 또는 호스트에게 청구되고, 바람직하게는 중앙 호스트 서버 HSC에 기록된다.
호스트 서버 HS의 경우, 모바일 단말기 MS의 지역화(localization)가 특히 중요하다. 이러한 지역화는 통신 시스템의 구성에서 자동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호스트 서버가 로컬 네트워트에 통합되어 모바일 단말기 MT와 데이터를 교환하면, 모바일 단말기 MT는 반드시 로컬 네트워크 영역에 있어야 한다. 그러나, 호스트 서버 HS가 이동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 MT와 데이터를 교환하면, 모바일 단말기 MT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조치가 취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4a의 통신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기 MT에 의해 수신된 식별자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면서 또한 호스트 서버 HS가 모바일 단말기 MT의 위치를 각각의 무선 비콘에 할당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비콘을 사용한다. 따라서, 호스트 서버 HS 및 모바일 단말기 MT는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회계 목적으로 사용되는 사용자의 IMSI를 철도 운영자의 식별자로 대체하여 전체 프로세스 체인 내의 다른 위치에서 바우처 VR의 처리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이후에, 발생한 통신 비용은 이러한 식별자를 사용하여 철도 운영자에게 청구된다. 철도 운영자의 식별자는 또한 프로세스 체인 내의 다른 IMSI와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되는 IMSI-H일 수 있다. 따라서, 최소한의 노력으로 통신 시스템에서의 변경 사항이 구현될 수 있다. 바우처의 전송은 상이한 방식과 상이한 매체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바우처의 발급 및 사용 프로세스는 4가지 기본 단계를 포함한다(도 2b, 도 3b, 또는 도 4b 참조):
a) 무선 통신 링크가 호스트 서버 HS와 모바일 단말기 MT 사이에 설정되고, 이를 통해 식별 데이터 ID가 모바일 단말기 MT로부터 호스트 서버 HS에 전송된다.
b) 식별 데이터 ID의 평가 및/또는 검증 후, 호스트 서버 HS는 적어도 모바일 단말기 MT의 식별 데이터 ID 및 바우처 VR의 유효성을 결정하는 기간 tVR이 등록되어 있는 바우처 VR을 생성한다.
c) 생성된 바우처 VR은 이동 통신 네트워크 PLMN의 운영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 SP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전송될 것이며, 이는 모바일 단말기 MT에 대해 요금 명세서를 생성한다.
d) 마지막으로, 이동 통신 네트워크 PLMN의 운영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 SP는 바우처 VR에 표시된 기간 tVR 동안 등록된 모바일 단말기 MT의 데이터 연결 또는 통화 연결에 대한 비용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호스트 서버 HS의 식별자에 할당된 계정에 청구한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상이한 예시를 참조하여 이하에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
도 2a는 도 1의 통신 시스템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며, 여기서 통신 시스템 내의 바우처 VR은 호스트 서버 HS로부터 서비스 제공자 SP로, 가능하다면 네트워크 운영자의 청구 센터로 직접 전송된다.
도 2a는 [5], Bernhard Walke, Mobilfunknetze and ihre Protokolle, Band 1, B.G. Teubner Verlag, Stuttgart 2000, 챕터 3.17, 페이지 339 내지 341에 기술된 EDGE 아키텍쳐를 사용하는 이동 무선 네트워크 PLM을 도시한다. GSM 에볼루션을 위한 향상된 데이터 속도(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EDGE) 아키텍쳐는 주로 GPRS 아키텍쳐에 해당하지만, 다른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더 높은 데이터 속도를 달성한다. GSM 패킷 데이터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는 [5], 페이지 294 내지 321에 기술되어 있다. 네트워크 전환 기능은 이어지는 페이지 322 내지 325에 기술되어 있다. GPRS의 인터페이스 및 기준점은 [5]의 페이지 304에 기술되어 있다. 공지된 GSM 네트워크 아키텍쳐(상술함)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3가지 네트워크 요소로 확장된다.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Gateway GPRS Support Node, GGSN)는 외부 네트워크(IP 네트워크/인터넷)에 대한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서빙 GPRS 지원 노드(Serving GPRS Support Node, SGSN)는 모바일 단말기 TM의 기능적 지원을 위해 사용된다. 모든 GPRS 관련 데이터는 GSM-HLR의 하위 집합인 GPRS 등록기(GPRS register, GR)에 저장된다. 무선 인터페이스 Um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 MT는 이동 무선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다. GPRS의 실제 데이터 트래픽은 SGSN을 통해 처리되며, MSC는 신호 전달에만 사용된다.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은 추가적으로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호스트 서버 HS에서 구현되는 어플리에키션, 호스트 서버 HS에서 구현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어플리케이션 APP-H, 및 모바일 단말기 MT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APP-C 뿐만 아니라 호스트 서버 HS를 포함한다. 바우처 VR을 수신하고 사용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 APP-SP가 서비스 제공자 SP, 바람직하게는 요금 센터에서 구현된다. 네트워크 운영자가 바우처 VR을 수신하여 사용되면, 예를 들어, 청구 센터 CHC에서 사용되면, 어플리케이션 APP-CHC이 그곳에 제공된다.
모바일 단말기 MT는 열차 TH의 승객이나 역의 레스토랑에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라운지는 이동하거나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고정 또는 이동) 호스트 서버 HS는 호스트 또는 철도 운영자의 룸 유닛 HE에 위치된다. 룸 유닛 HE에 위치된 모바일 단말기 MT는 어플리케이션 APP-C 및 APP-H를 통해, 예를 들어, WLAN 또는 블루투스를 통해 호스트 서버 HS와 무선으로 연결되고 통신할 수 있다.
초반에, 이동 무선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단말기를 찾는 방법이 EP2631152A1로부터 공지되어 있다고 언급하였다.
철도 운영자가 이미 시간표를 검색하고 티켓을 구매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 MT용 어플리케이션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 APP-C는 바람직하게는 그러한 공지된 어플리케이션의 추가 모듈이다. 티켓 구매를 위해, 사용자는 이미 철도 운영자에 등록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식별 데이터는 이동 무선 네트워크 PLMN의 홈 위치 등록기 HLR와 철도 운영자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다. 이하의 예시에서, 홈 위치 등록기 HLR에 등록된 식별자, 즉 IMSI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대안으로, 철도 운영자에 등록된 식별자가 사용될 수 있다.
호스트 서버 HS는 중앙형 또는 분산형일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이동식 또는 고정식일 수도 있다. 또한, 여러 호스트 서버가 예를 들어, 건물 또는 철도 열차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절차에 따라 개별적으로 작동한다.
호스트 서버는 통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기차 승무원이 티켓을 확인하는 제어 디바이스에 통합될 수 있다. 티켓을 확인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에서 식별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으며, 바우처가 생성될 수 있다. 티켓 제어를 통해, 통신 서비스의 무료 사용 할당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추가적인 노력없이 철도 운영자와 승객에게 특별한 장점을 제공한다.
호스트 서버 HS와 모바일 단말기 MT 사이의 통신 동안, 유효한 식별자가 검색되고, 이는 바우처 VR에 포함된다. 또한, 바우처 VR이 유효한 기간 tVR이 결정된다. 이 기간 tVR을 결정하는 방법은 상술하였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호스트 서버 HS는 모바일 단말기 MT가 철도 차량 내부에 위치하므로, 무료 통신 서비스를 받을 자격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모바일 단말기 MT의 위치가 분산된 방식으로 위치될 수 있는 호스트 서버에 알려지지 않았으면, 이는 결정되는데, 예를 들어, 이하의 프로세스에 따라 결정된다. 충분히 정확하다면 이동 무선 네트워크 내에서 지역화 또한 가능하다.
생성된 바우처 VR 또는 생성된 바우처 VR의 리스트는 바람직하게는 공용 키 인프라의 개인 키를 사용하여 철도 운영자에 의해 사인된다(도 2b 참조). 개인 키를 사용하여 바우처 VR을 디코딩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자 SP 또는 청구 센터 CHC는 바우처 VR이 유효한지 여부를 후속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에서, 바우처 VR은 이동 무선 네트워크 PLMN의 청구 센터 CHC 또는, 바람직하게 서비스 제공자 SP의 요금 센터로 전송된다. 바우처 VR의 확인 사본이 모바일 단말기 MT로 전송되어 그 곳에 저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tVR 기간 동안 실제로 요금이 청구되지 않았는지 나중에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 SP의 청구 센터 CHC 또는 요금 센터 내에서, 모바일 단말기 MT에 관하여 기간 tVR 내에 등록된, 등록된 통신 비용에 대한 청구 주소지는 호스트 또는 철도 운영자의 계정으로 변경될 것이다.
도 2a는 해당 송장 <billHSC>가 중앙 호스트 서버 HSC로 전송되는 것을 도시한다. 선택적인 중앙 호스트 서버 HSC는 바람직하게는 바우처 VR의 할당, 전송, 및 청구를 관리한다. 호스트 서버 HS에서 발행한 바우처 VR는 중앙 호스트 서버 HSC로 전송될 수 있다. 그 후, 중앙 호스트 서버 HSC는 모든 바우처 VR을 수집하고, 순서대로 서비스 제공자 SP에 전송하는데, 선택적으로 개인 키로 서명한 순서대로 전송하며, 적절한 경우 이동 무선 네트워크 PLMN의 청구 센터 CHC에 전송한다.
전달된 바우처 VR을 검증하기 위해, 중앙 호스트 서버 HSC는 바람직하게는 시퀀스 번호 VRr을 발행하고, 이는 호스트 서버 HS가 바우처 VR에 개별적으로 입력한다. 따라서, 이들 시퀀스 번호 VRr도 전송되는 중앙 호스트 서버 HSC 또는 서비스 제공자 SP는 바우처 VR이 유효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 SP 뿐만 아니라 중앙 호스트 서버 HSC와 호스트 서버 HS 사이의 통신은 임의의 통신 네트워크, 모바일 폰 네트워크 GSM/GSM-R 또는 인터넷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바우처 VR 또는 해당 확인 VR을 수신한 후, 모바일 단말기 MT의 사용자는 통신 네트워크 PLMN의 통신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제3자 DT, ST에 대한 데이터 연결 또는 음성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해당 요금 TT는 스위칭 센터 (G)MSC로부터 청구 센터 CHC로 전송되고, 이는 청구서 <charge SP>와 함께 서비스 공급자 SP로 전송되거나, 중앙 호스트 서버 HSC로 직접 전송된다. 청구 센터 CHC 또는 서비스 제공자 SP에서, 청구 주소지는 상술한 대로 변경된다. 이후에, 서비스 제공자 SP는 중앙 호스트 서버 HSC에 청구서 <bill HSC>를 전송한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에서 모바일 단말기 MT가 사용하는 통신 서비스에 대한 바우처 발급 및 통신 비용 청구 절차를 도시한다.
선택적으로, 중앙 호스트 서버 HSC는 먼저 바우처 VR에 대한 시퀀스 번호 VRr을 호스트 서버 HS에 전송하고, 검증을 위해 서비스 제공자 SP에 전송한다.
이어서, 모바일 단말기 MT는, 호스트 서버 HS에 등록되며, 예를 들어,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라 또는 이동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등록된다. 그 다음, 데이터는 모바일 단말기 MT로부터 호스트 서버 HS로 전송되며, 식별 데이터 ID는, 바람직하게는 IMSI를 포함하는 식별 데이터 ID는, 선택적으로 IMEI 및 사용된 서비스 제공자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또한, 전자 티켓 <eTicket>의 존재와 같은 인증이 쿼리(queried)될 수 있다. 또한, 위치 데이터는 전송되거나 결정될 수 있다.
데이터 및 권한을 확인한 후, 기간 tVR 동안 바우처 VR이 발행되고 서비스 제공자 SP로 전송되며, 바람직하게는 개인 PKI 키로 서명된 것이 전송된다. 기간 tVR은 승객이 취리히에서 제네바로 여행 중임을 보여주는 전자 티켓 <eTicket>에 의해 결정된다. 시간표 또는 시간표 컴퓨터 FPR로부터, 여행 시간이 오후 15:03에서 오후 17:45로 결정된다. 따라서, 승객은 여행 시간 동안 무료로 통신 서비스에 액세스 할 수 있다. 여행 시간은 지연의 경우에 따라 바우처 VR을 조정하기 위해 확인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호스트 서버 HS 또는 중앙 호스트 서버 HSC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이후, 통신 비용은 톨 티켓 <Toll Tickets, TT>에 의해 청구 센터에 보고되며, 이는 순서대로 청구서 <charge SP>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 SP에 통신 비용을 청구하고, 요금과 바우처 VR을 확인하며, 바우처 VR은 바람직하게는 공공 PKI 키에 의해 디코딩되고 청구서 <bill HSC>를 호스트 서버 HS, 선택적으로 중앙 호스트 서버 HSC로 전송한다.
이동 무선 네트워크 PLMN에서 모바일 단말기 MT의 등록 및 연결의 설정과 종료는 이동 무선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에 따라 수행된다.
도 3a는 빌딩 HH에 설치된 도 1의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며, 그 안에서 바우처 VR는 호스트 서버 HS로부터 모바일 단말기 MT로 전송되고, 그 곳에서부터 서비스 제공자 SP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의 청구 센터 CHC로 전송된다. 이러한 전송은 정의된 프로토콜에 따라 차례로 발생한다. 바람직하게는, 바우처 VR은 이동 무선 네트워크 PLMN에 모바일 단말기 MT를 등록하는 동안 또는 연결을 설정하는 동안 교환되는 메시지에 통합된다. 이러한 경우에, 바우처 VR은 네트워크 측 모바일 단말기 MT의 메시지에서 추출되어 사용된다. 이를 위해, 이동 무선 네트워크 PLMN의 아키텍쳐는 바람직하게는 어플리케이션 APP-CHC를 가지며, 이는 청구 센터 CHC에서 청구지 주소의 변경을 초래한다. 대안적으로, 바우처 VR는 모바일 단말기 MT에서 어플리케이션 APP-SP가 구현된 서비스 제공자 SP로 전송된다. 모바일 단말기 MT에서는 각 프로토콜 스택, WLAN의 프로토콜 스택, 및 GSM 프로토콜 스택에 대해 어플리케이션 APP-C 또는 APP-Cn이 제공되며, 이는 해당 통신 네트워크 WLAN, PLMN을 통한 통신을 허용한다.
GPRS 프로토콜 스택은 [5]의 페이지 308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APP-Cn은 모바일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계층에서 구현되고 어플리케이션 APP-C는 SGSN의 추가 어플리케이션 계층에서 구현된다.
바우처 VR는 다른 방식으로 모바일 단말기 MT에서 서비스 제공자 SP 또는 청구 센터 CHC로 전송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메일이나 짧은 메시지를 통해 전송된다.
도 3a는 또한 호스트 유닛 HE이 빌딩 HH, 예를 들어, 사무실 건물, 공공 건물, 또는 공식 건물(official building)에 설치되도록 의도된 것을 도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임의의 이동 또는 고정 호스트 유닛 HE에서 보편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즉, 도 2a, 도 3a, 도 4a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의 실시예는 건물, 교통 수단, 또는 공공 장소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료 WLAN 액세스가 종종 불충분한 품질을 제공하거나, 복잡한 설치를 요구하는 모바일 호스트 유닛 HE에서 사용하기에 특히 유리하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에서 모바일 단말기 MT가 사용하는 통신 서비스에 대한 바우처 VR의 발행 및 통신 비용 청구 절차를 도시한다.
WLAN 또는 이동 무선 네트워크는 모바일 단말기 MT와 호스트 서버 HS 사이에서 데이터를 교환하는데 사용된다. 바우처 VR에 대한 기간 tVR은 호텔 객실 예약 기간에 따라 선택되며, 컴퓨터 RS, 예를 들어, 호텔의 리셉션에서 판독될 수 있다. 식별 데이터 및 권한을 확인한 후, 예를 들어, 호텔 예약 <eReceipt>의 경우, 바우처 VR이 생성되어 모바일 단말기 MT로 전송되고, 그곳에서부터 이동 무선 네트워크 PLMN으로 전송된다. 기간 tVR은 2018년 1월 25일부터 2018년 1월 30일까지 예약에 따라 선택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예약 기간 동안 서비스 제공자 SP의 통신 서비스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해당 비용은 호텔 운영자에게 청구된다.
바우처 VR은 호텔의 개인 PKI 키로 서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사용자가 호텔의 임시 손님이라면, 모바일 단말기 MT의 위치는 도 4a를 참조하여 이하에 기술된 방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3a의 예시는 위치 데이터가 모든 경우에 결정될 필요가 없다는 것을 도시하는데, 예를 들면 호스트 서버 HS가 다른 방식, 예컨대 호텔의 예약에 기초하여 인증을 결정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런 경우, 모바일 단말기 MT의 등록이 유리하므로, 모바일 단말기 MT의 예약 및 등록을 고려하여 바우처 VR가 생성될 수 있다.
도 3a의 통신 시스템의 실시예에서 바우처 VR은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선택적으로는 청구 센터 CHC로 전송될 것이다. 바우처 VR은 APP-CHC 어플리케이션이 구현된 책임 인스턴스 (G) MSC 또는 SSGN에서 추출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청구지 주소는 청구 센터 CHC에서 톨 티켓 <TT>을 생성하는 동안 이미 변경되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IMSI-MT는 호스트의 IMSI-H로 대체된다. 청구지 주소가 변경된 청구서 <charge SP>는 서비스 제공자 SP 또는 호스트 서버 HS로 직접 전송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우처 VR은 서비스 제공자 SP에서도 처리될 수 있다.
바우처 VR은 도 2a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텔의 호스트 서버 HS로부터 서비스 제공자 SP로 직접 전송될 수도 있다. 기간 tVR은 도 4a를 참조하여 기술된 바와 같이 예약 또는 무선 비콘을 사용함으로써 호텔에 있는 사용자가 존재 시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4a는 예를 들어 매우 적은 노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의 특히 유리한 실시예를 도시하며, 예를 들어, 이는 건물 HH, 철도 열차 TH, 또는 공공 토지에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호스트 서버 HS는 이동 무선 네트워크 PLMN을 통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APP-C 및 APP-H의 어플리케이션 계층에 있는 모바일 단말기 MT와 통신한다.
따라서, 호스트 서버 HS는 모든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철도 운영자의 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건물 HH의 방문자 또는 열차 TH의 승객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기술된다. 어플리케이션 APP-C을 설치한 후, 사용자는 호스트 서버 HS에 등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통신 서비스의 무료 사용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은 APP-C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호스트 서버 HS로 전송된다. 다시, 호스트 서버는 사용자가 무료 통신 서비스를 받을 자격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는 권한을 증명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자 티켓 또는 호스트의 서비스 지역, 즉, 건물 HH 또는 철도 열차 TH에서 모바일 단말기 MT의 위치를 증명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만일 모바일 단말기 MT가 전자 티켓 또는 기타 권한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위치의 결정은 생략될 수 있다. 만일 다른 권한이 없는 경우에 모바일 단말기 MT의 위치는 건물 HH 또는 철도 열차 TH에서 결정된다. 이는 GPS 데이터를 결정하여 전송하거나, 모바일 단말기 MT가 등록된 송수신 스테이션 BTSMT를 확인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유리한, 즉, 간단하고 정확하게, 모바일 단말기 MT의 위치는 호스트가 서비스 영역, 예를 들어, 건물 HH 또는 철도 열차 TH에 설치한 무선 비콘 HB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무선 비콘, 예를 들어, 블루투스 또는 WLAN 무선 비콘은 모바일 단말기 MT에 의해 캡쳐되어 호스트 서버 HS로 전송되는 식별 또는 식별자 BID를 연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한다. 예를 들어, 무선 비콘 HB는 배터리로 전원이 공급되며, 유지 보수 없이 오랜 기간 동안 자율적으로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무선 비콘 HB는 천장이나 벽에 장착될 수 있으며, 거의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건물 또는 철도 열차의 개조는 최소한의 노력과 저렴한 비용으로 수행될 수 있다.
호스트 서버 HS는 무선 비콘 HB의 식별 BID가 기록된 레지스터에 액세스한다. 무선 비콘의 식별 BID는 바람직하게는 무선 비콘 HB이 설치된 차량의 차량 번호에 따라 선택된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기 MT는 호스트 서버에 이미 공지되어 있거나, 철도 운영자의 철도 차량의 재고 목록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는 차량 식별을 무선 비콘 식별 ID(beacons-identity, BID)와 함께 전송할 것이다. 호스트 서버는 철도 네트워크의 서버에 접속하며, 예를 들어, 정기적으로 접속하여, 철도 네트워크의 철도 차량을 관리하고 보고된 식별 BID로 무선 비콘의 존재와, 바람직하게는 해당 철도 차량의 위치를 확인한다.
특히, 유리한 점은 GPS 데이터를 통한 위치 파악이다. EP1862593A2로부터, 1m의 정확도로 철도 차량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방법과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철도 네트워크에서 이동하는 경로는 온라인으로 정확하게 결정되거나, 및/또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고 다시 검색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전송된 GPS 데이터는 모바일 단말기 MT가 그러한 경로를 따라 이동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철도 네트워크의 이동 경로의 현재 기록되거나 등록된 GPS 데이터와 관련되어질 수 있다. 현재의 여행 데이터 또는 시간표를 사용하여 모바일 단말기 MT의 변위와 철도 열차 HT 간의 대응 관계도 또한 확인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최소한의 절차적인 노력과 하드웨어 비용없이, 사용자가 호스트의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으며, 무료로 통신 서비스를 사용할 자격이 있는지 여부가 확실하게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 MT는 위성 데이터 또는 GPS 데이터를 호스트 서버 HS에 한 번 또는 바람직하게는 여러번 전송하고, 호스트 서버 HS는 모바일 단말기 MT의 이러한 GPS 데이터를
a) 열차의 현재 결정된 위치 데이터, 및/또는
b) 철도 네트워크의 등록된 위치 데이터
와 비교하여 모바일 단말기 MT의 사용자가 철도 네트워크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철도 열차 HT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 MT가 현재 철도 네트워크에서 운행 중인 철도 열차 HT와 거의 일정한 오프셋으로 로컬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이동하고 있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자신의 어플리케이션 APP-C에 여행 목적지를 입력하고 그에 따라 이를 호스트 서버 HS에 알린다면, 현재 사용 중인 경로에 할당하는 것이 훨씬 더 쉽다. 그 후, GPS 데이터로 시작 지점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시간 뿐 아니라 여행의 시작 및 목적지가 호스트 서버 HS에 알려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가 해당 경로를 여행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경쟁자가 아닌 호스트의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 검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철도 운영자 X, Y가 서로 다른 시간에 A로부터 B까지 운송을 제공하는 경우, A로부터 B까지의 여행이 결정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자 X 또는 Y 또한 여행의 시간 데이터 및 해당 시간표 데이터를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 또는 여행 경로 및/또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사용되는 운송 수단이 결정될 수 있다. 등록 후 백그라운드에서 계속 실행되는 모바일 단말기 MT의 어플리케이션 APP-C는 지정된 방식에 따라 또는 호스트 서버 HS의 요청에 따라 GPS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충분한 GPS 데이터의 결정이 보장된다.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가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 영역에 일정 시간 동안 고정되어 있으면, 이는 GPS 데이터를 통해 정확하게 파악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서비스의 무료 사용은 GPS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하는 이동 또는 고정 위치를 확인하여 해당 권한이 검증된 모바일 단말기 MT에 부여될 수 있다.
GPS 데이터를 사용하면, 무선 비콘의 사용은 피할 수 있다.
도 4b는 체류 기간 동안 도 4a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에서 모바일 단말기 MT가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통신 서비스에 대하여 바우처 VR의 발급 및 통신 비용의 청구 절차를 도시한다.
크로스해칭된 화살표(crosshatched arrows)는 모바일 단말기 MT와 호스트 서버 HS가 이동 무선 네트워크 PLMN을 통해 서로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동 무선 네트워크 PLMN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 MT는 호스트 서버 HS에 등록된다.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IMSI, IMEI, 및 담당 서비스 제공자 SP의 식별자가 전송된다.
건물 HH 또는 호스트의 철도 열차 TH에는 전체 방을 커버하고, 주기적으로 그들의 식별자 BID와 함께 신호를 보내는 수많은 무선 비콘 HB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바일 단말기 MT는 이러한 식별자 BID 또는 대안적으로 GPS 신호를 수신하고, 식별자 BID와 함께 무선 비콘 및/또는 GPS 데이터와 함께 자신의 식별 데이터 ID를 호스트 서버 HS로 전송한다.
호스트 서버 HS는, 무선 비콘 HB의 전송된 식별 BID에 기초하여 또는 GPS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 MT의 위치를 확인하고, 바람직하게는 여러번 확인하며, 그리고 지정된 영역에서의 체류 기간 tVR 동안 바우처 VR을 생성하고, 바우처 VR는 서비스 제공자 SP에 전송되고, 바람직하게는 사본으로 모바일 단말기 MT에 전송된다. 기간 tVR은 상술한 측정들 중 하나에 따라 다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간 tVR은 어떠한 무선 비콘 HB의 식별자 BID도 특정 시간, 예컨대 몇 분 동안 모바일 단말기 MT로부터 전송되지 않은 후에 종료된다. 또한, 사전-실행 및/또는 사후-실행 또는 허용 범위가 제공될 수 있다.
식별자 BID의 전송과 함께 모바일 단말기 MT의 등록은 15:03에 일어나고, 무선 비콘 HB의 식별자 BID의 전송은 17:45에 종료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이 예시에서, 사용자는 도 2a의 예시에 기술된 대로 이 시간에 취리히에서 제네바로 여행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권한은 무선 비콘 HB의 신호를 처리함으로써 열차 TH에 있는 사용자의 존재를 기반으로 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시간표를 고려하거나 또는 취리히로부터 제네바로 가는 여행에 대한 전자 티켓을 확인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배터리가 장착된 무선 비콘 HB의 설치는 특히 쉽다. 대안적으로, 무선 비콘 HB는 바람직하게는 스위치 온 또는 오프될 수 있는 전원 공급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열차가 사이드에 주차되어 사용 중이 아닌 경우에는 무선 비콘 HB는 스위치 오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무선 비콘 HB가 스위치 오프되어 있지 않으면, 호스트 서버 HS는 철도 차량 스케줄로부터 해당 철도 열차 TH가 운행 중이 아니며, 무선 비콘 HB의 BID가 무료 통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권한을 나타내지 않는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무선 비콘 HB은 바람직하게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로그래밍 가능하므로, BID 식별자가 선택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센서가 장착된 지능형 무선 비콘 HB를 사용하는 것도 유리하며, 센서 신호의 존재 여부에 따라 다른 BID 코드를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장시간 동안 광학 또는 음향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무선 비콘이 절전 모드로 전환된다. 광학 또는 음향 신호의 존재 여부는 간격을 두고 확인되며, 무선 비콘은 활성 상태로 재설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에너지를 절약하며 배터리를 절약할 수 있다.
사용자가 취리히에서 제네바로 여행하는 동안 사용했던 통신 서비스에 대해 수집된 톨 티켓 TT은 이후 청구 센터 CHC에서 평가되고, 바우처 VR을 고려하여 서비스 제공자 SP에 청구되며, 이는 차례로 모바일 단말기 MT에 의해 사용된 통신 서비스를 호스트 서버 HS 청구하게 된다.

Claims (15)

  1. 적어도 하나의 이동 통신망 PLMN을 통해 데이터 단말기(DT) 또는 음성 단말기(ST)에 데이터 연결 또는 통화 연결을 설정하기에 적합하면서 또한 호스트의 호스트 서버(HS)와 무선 통신하기에 적합한,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기(MT)를 위한 통신 방법으로서,
    a) 상기 호스트 서버(HS)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MT) 사이에 무선 통신 링크가 설정되고, 상기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식별 데이터(ID)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MT)로부터 상기 호스트 서버(HS)에 전송되는 단계;
    b) 상기 호스트 서버(HS)가, 적어도 식별 데이터(ID)와 기간(tVR)이 등록된 바우처(VR),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스트 서버(HS)의 식별자가 등록된 바우처(VR)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바우처(VR)는,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 PLMN의 운영자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MT)에 대한 요금 명세서를 준비하는 서비스 제공자(SP)에게 전송되는 단계; 및
    d) 상기 바우처(VR)를 기준으로, 상기 서비스 제공자(SP) 또는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 PLMN의 운영자는 상기 바우처(VR)에 표시된 기간(tVR) 동안 등록된 상기 모바일 단말기(MT)의 데이터 연결 또는 통화 연결에 대한 통신 비용을 상기 호스트 서버(HS)의 식별자에 할당된 계정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호스트-어플리케이션(APP-H)이 구현된 고정 또는 이동 호스트 서버(HS)와 클라이언트-어플리케이션(APP-C)이 구현된 모바일 단말기(MT)는 이동 무선 네트워크, WLAN의 어플리케이션 계층 상에서 통신하고, 또는 상기 데이터가 광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는,
    통신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서버(HS)에 전송되는 식별 데이터(ID)는,
    a) 상기 모바일 단말기(MT) 또는 사용자와 연관된 식별자(IMEI, IMSI), 및/또는
    b) 위치 데이터 또는/또는 호스트 식별자, 및/또는
    c) 상기 서비스 제공자(SP)에 할당된 식별자, 및/또는
    d) 타임스탬프를 포함하고,
    누군가의 검증 또는 등록 후에 상기 바우처(VR)가 생성되는,
    통신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MT)에 의해 캡쳐되는 무선 비콘 식별(BID)을 전송하는 무선 비콘(HB)이 제공되고, 및/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MT)가 GPS 신호를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MT)는 상기 무선 비콘 식별(BID) 및/또는 GPS 데이터를 상기 호스트 서버(HS)에 전송하며, 상기 호스트 서버(HS)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MT)의 위치가 상기 호스트의 미리 결정된 서비스 영역 내에 있으면, 상기 무선 비콘 식별(BID) 및/또는 GPS 데이터를 위치 데이터로 사용하면서 또한 바우처(VR)를 생성하는,
    통신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상기 호스트 서버(HS)가 상기 바우처(VR)를 개별적으로 또는 일괄적으로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 PLMN의 운영자 또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SP)에 전송하고, 또는
    b) 상기 바우처(VR)는, 상기 호스트 서버(HS)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기(MT)에, 그리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MT)로부터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 PLMN의 운영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SP)에 전송되는,
    통신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서버(HS)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MT)에 전자적으로 저장된 구매의 전자적 증명과 같은 권한의 존재를 검증한 후, 상기 바우처(VR)를 발행하는,
    통신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서버(HS)는,
    식별 데이터(ID) 및/또는 위치 데이터의 반복적인 질문(interrogation) 이후에 상기 바우처(VR)를 발행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간(tVR)의 시작 또는 끝에서, 및/또는 상기 호스트 서버(HS)에 할당된 서비스 영역이나 방에 진입하는 때 그리고 나가는 때 바우처(VR)를 발행하는,
    통신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서버(HS)는,
    a) 관리 컴퓨터로부터 검색된 기간과 같은, 제공된 서비스와 관련한 기간에 따라, 또는
    b) 상기 모바일 단말기(MT)의 로그인과 상기 모바일 단말기(MT)의 로그오프 사이의 기간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스트 서버(HS)에 할당된 방에 진입하는 때와 상기 호스트 서버(HS)에 할당된 방을 나가는 때 사이의 기간에 따라, 또는
    c) 상기 모바일 단말기(MT)의 사용자에 대해 저장되어 있는 존재 시간을 고려함으로써, 또는
    d) 상기 모바일 단말기(MT)의 위치가 상기 호스트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기간에 따라
    상기 기간(tVR)을 정의하는,
    통신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MT)의 사용자는,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MT) 상에 클라이언트-어플리케이션(APP-C)을 다운로드하고 구현하며, 그리고
    상기 호스트 서버(HS)의 호스트-어플리케이션(APP-H)과 연결을 설정한 후 상기 모바일 단말기(MT)에 할당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에게 할당된 식별자(IMEI, IMSI)와 같은 식별 데이터(ID)를 포워딩하면서 상기 호스트 서버(HS)에 처음 로그인하며,
    상기 호스트 서버(HS)는, 상기 사용자 또는 모바일 단말기(MT)를 등록하고, 등록된 사용자 또는 등록된 모바일 단말기(MT)에 대해서만 바우처(VR)를 발행하는,
    통신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SP) 또는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 PLMN의 운영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MT)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로부터 상기 바우처(VR)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APP-SP; APP-O)을 사용하는,
    통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SP) 또는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 PLMN의 운영자는, 상기 바우처(VR)를 수신한 후, 상기 바우처(VR)에 표시된 기간(tVR) 동안, 등록된 상기 모바일 단말기(MT)의 데이터 연결 또는 통화 연결에 대한 통신 비용에 대한 청구서 수신자의 식별을, 중앙 집중식 호스트 서버(HSC)의 식별자 또는 상기 호스트 서버(HS)의 식별자로 대체하는,
    통신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MT)의 사용자에 할당된 식별자(IMSI MT)는, 상기 바우처(VR)에 표시된 기간(tVR) 동안 상기 중앙 집중식 호스트 서버(HSC)의 식별자(IMSI H) 또는 상기 호스트 서버(HS)의 식별자로 변환되는,
    통신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 방법을 실행하기에 적합한 통신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APP-C)이 구현된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기(MT)로서, 적어도 하나의 이동 통신 네트워크 PLMN을 통해 데이터 단말기(DT) 또는 음성 단말기(ST)에 데이터 연결 또는 통화 연결을 설정하는데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기(MT); 및 호스트 어플리케이션(APP-H)이 구현된 적어도 하나의 로컬 호스트 서버(HS)가 제공되고,
    상기 호스트 어플리케이션(APP-H)을 통해,
    a) 식별 데이터(ID)가 상기 클라이언트-어플리케이션(APP-C)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MT)로부터 상기 호스트 서버(HS)에 전송될 수 있고;
    b) 적어도 식별 데이터(ID) 및 기간(tVR)이 등록된 바우처(VR),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스트 서버(HS)의 식별자가 등록된 바우처(VR)가 발행될 수 있으며;
    c) 발행된 바우처(VR)는,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 PLMN의 운영자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MT)에 대한 요금 명세서를 준비하는 서비스 제공자(SP)에게 전송될 수 있으며; 그리고
    d) 상기 바우처(VR)를 기준으로, 서비스 제공자(SP)의 장비 또는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 PLMN의 운영자의 장비는 상기 바우처(VR)에 표시된 기간(tVR) 동안 등록된 상기 모바일 단말기(MT)의 데이터 연결 또는 통화 연결에 대한 통신 비용을 상기 호스트 서버(HS)의 식별자에 할당된 계정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출하도록 설계되는,
    통신 시스템.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MT)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비콘 식별을 방출하는 WLAN-비콘(HB), 특히 블루투스 비콘이 제공되고, 및/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MT)는 GPS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계되며, 그리고
    상기 비콘 식별 및/또는 GPS 데이터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MT)로부터 상기 호스트 서버(HS)에 전송 가능하며,
    여기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MT)에 대한 위치 데이터는 상기 비콘 식별 및/또는 GPS 데이터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고, 바우처(VR)는 상기 결정된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발행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
KR1020207025692A 2018-02-05 2018-12-04 통신 방법 및 통신 시스템 KR1024980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155030.2A EP3522511A1 (de) 2018-02-05 2018-02-05 Kommunikationsverfahren und kommunikationssystem zur vergebührung
EP18155030.2 2018-02-05
PCT/EP2018/083524 WO2019149407A1 (de) 2018-02-05 2018-12-04 Kommunikationsverfahren und kommunikations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8155A true KR20200118155A (ko) 2020-10-14
KR102498000B1 KR102498000B1 (ko) 2023-02-08

Family

ID=61167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5692A KR102498000B1 (ko) 2018-02-05 2018-12-04 통신 방법 및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11991307B2 (ko)
EP (2) EP3522511A1 (ko)
JP (1) JP7109595B2 (ko)
KR (1) KR102498000B1 (ko)
CN (1) CN111713093B (ko)
AU (1) AU2018406904B2 (ko)
BR (1) BR112020014240A2 (ko)
CA (1) CA3088578A1 (ko)
DK (1) DK3750299T3 (ko)
ES (1) ES2899128T3 (ko)
PL (1) PL3750299T3 (ko)
PT (1) PT3750299T (ko)
SG (1) SG11202006836TA (ko)
WO (1) WO2019149407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7506A (ko) * 2006-12-20 2008-06-25 유중희 음료구매를 통한 무선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
KR20110135472A (ko) * 2010-06-11 2011-12-19 주식회사 씽크풀 무선 서비스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27497A (ko) * 2011-06-21 2014-03-0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보안 클라이언트 인증 및 네트워크 서비스 허가
WO2015041580A1 (en) * 2013-09-23 2015-03-2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pparatus and method for crediting subscriber billing account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4360B1 (ko) 1999-09-17 2001-07-12 허경진 최병무 인터넷 프리 핸드폰 서비스 방법 및 장치
EP1263164B1 (en) 2001-05-23 2006-06-07 Daniel Büttiker Method and token for registering users of a public-key infrastuture and registration system
JP4303130B2 (ja) * 2002-02-28 2009-07-29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シングルサインオンサービスのためのシステム、方法、および装置
US7873347B2 (en) * 2003-06-19 2011-01-18 Redknee Inc. Method for implementing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gateway system
US9137771B2 (en) * 2004-04-02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beacon assisted position determination systems
GB2414367B (en) * 2004-05-20 2009-03-04 Vodafone Plc Data transmission
US8478238B2 (en) * 2005-04-29 2013-07-02 Jasper Wireless, Inc. Global platform for managing subscriber identity modules
JP5175438B2 (ja) 2006-02-07 2013-04-03 日本電気株式会社 課金システム、課金方法、課金プログラム
DE102006026048A1 (de) 2006-06-01 2007-12-20 Gbm Wiebe Gleisbaumaschinen Gmbh GPS gestütztes, kontinuierliches Trassenerkundungssystem mit Multisensorik
EP2023674B1 (de) 2007-08-06 2012-03-28 Schweizerische Bundesbahnen SBB Verfahren für die Mobilitätsverwaltung von Endgeräten in Mobilfunknetzen, Mobilfunknetz und Mobilendgerät
US8620270B2 (en) * 2009-10-06 2013-12-31 Mosaid Technologie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providing interoperability between cellular and other wireless systems
KR101941634B1 (ko) * 2011-01-28 2019-01-2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과금 제어장치 및 방법
EP2631152B1 (de) 2012-02-24 2015-04-08 Schweizerische Bundesbahnen SBB Verfahren und Vorrichtung für die Verwaltung von Ressourcen in einem Schienennetz
US20130262198A1 (en) * 2012-03-29 2013-10-03 Alan L. Chung Systems and methods for an intelligent cardless loyalty system
CA2841685C (en) * 2013-03-15 2021-05-18 Panasonic Avionic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ode wireless data distribu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7506A (ko) * 2006-12-20 2008-06-25 유중희 음료구매를 통한 무선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
KR20110135472A (ko) * 2010-06-11 2011-12-19 주식회사 씽크풀 무선 서비스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27497A (ko) * 2011-06-21 2014-03-0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보안 클라이언트 인증 및 네트워크 서비스 허가
WO2015041580A1 (en) * 2013-09-23 2015-03-2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pparatus and method for crediting subscriber billing accou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8000B1 (ko) 2023-02-08
JP7109595B2 (ja) 2022-07-29
SG11202006836TA (en) 2020-08-28
EP3750299B1 (de) 2021-09-22
ES2899128T3 (es) 2022-03-10
CN111713093A (zh) 2020-09-25
EP3750299A1 (de) 2020-12-16
AU2018406904A1 (en) 2020-08-27
EP3522511A1 (de) 2019-08-07
PL3750299T3 (pl) 2022-02-07
US11991307B2 (en) 2024-05-21
CA3088578A1 (en) 2019-08-08
DK3750299T3 (da) 2021-11-08
AU2018406904B2 (en) 2022-09-22
WO2019149407A1 (de) 2019-08-08
JP2021516023A (ja) 2021-06-24
CN111713093B (zh) 2021-08-31
US20200412882A1 (en) 2020-12-31
PT3750299T (pt) 2021-10-25
BR112020014240A2 (pt) 202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1984B2 (en) Satellite distributed high speed internet access
US9544443B2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tion-dependent billing for services
JP2010527439A (ja) 携帯電話デバイスを身に付けた人物の経路を決定するための方法
US10327217B2 (en) Techniques for device registration and prioritization in a cellular as a service environment
EP3491852A1 (en) Activity-triggered provisioning of portable wireless networks
KR101720854B1 (ko) 카 쉐어링에 의한 기업용 차량의 사용 대여 시스템 및 방법
DK2500869T3 (en) Process for tilrådighedsstillen local data services
KR102498000B1 (ko) 통신 방법 및 통신 시스템
CN108702299B (zh) 卖方装置和买方装置之间发送和接收数据的方法及系统
KR100462063B1 (ko) 무선 중계기를 이용한 지하철에서의 공중 무선랜 서비스제공 장치 및 방법
US11263716B2 (en) Rendering digitized services in a smart environment
JP5272382B2 (ja) 移動通信端末の通信機能制御方法
KR102189651B1 (ko) 서비스 제공자의 고객에게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80110301A (ko) 차량 이동 기반 무선 선주문 제공 방법
KR100462062B1 (ko) 지하철에서의 공중 무선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905581B1 (ko) 특정 존의 진입 판별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