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7626A - 접착 테이프 - Google Patents

접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7626A
KR20200117626A KR1020190040000A KR20190040000A KR20200117626A KR 20200117626 A KR20200117626 A KR 20200117626A KR 1020190040000 A KR1020190040000 A KR 1020190040000A KR 20190040000 A KR20190040000 A KR 20190040000A KR 20200117626 A KR20200117626 A KR 20200117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foam
acrylic
weight
adhesive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훈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riority to KR1020190040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7626A/ko
Publication of KR20200117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6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09J5/08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using foamed adhe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1Polyolefin, e.g.rubber
    • C09J7/243Ethylene or propyl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20Presence of organic materials
    • C09J2400/24Presence of a foam
    • C09J2400/243Presence of a foam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 테이프로서, 폴리에틸렌 폼 기재; 및 상기 폴리에틸렌 폼 기재의 양면에 배치된 제1 아크릴 폼 접착층 및 제2 아크릴 폼 접착층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접착 테이프는 접착력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접착 테이프 {ADHESIVE TAPE}
본 발명은 접착 테이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충격성과 접착력이 우수한 접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접착 테이프는 다양한 마킹(marking), 보유(holding), 보호, 밀봉 및 차폐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접착 테이프는 일반적으로 배킹(backing) 또는 기재(substrate), 및 접착제를 포함한다. 접착제의 한 유형인 감압 접착제가 많은 응용에 대해 특히 유용하다.
예를 들어, 자동차, 전기 제품, 건축물 등에 있어서 구조재끼리의 접합 또는 구조재에 대한 부품의 접합시에, 필름 등의 기재 양면에 접착 조성물로 형성된 접착층을 포함하는 양면 접착 테이프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양면 접착 테이프는 가공성 또는 작업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각종 산업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양면 접착 테이프는 접착 대상물 사이에 직접 접촉하는 구성으로서, 접착력뿐만 아니라 우수한 내충격성을 가질 것을 필요로 한다. 특히 유리와 같이, 접착 대상물이 파손되기 쉬운 경우, 접착 테이프의 내충격성이 보다 중요하다.
본 발명은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다 개선된 구조의 접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우수한 내충격성을 가짐과 동시에 우수한 접착력을 가지는 접착 테이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는, 폴리에틸렌 폼 기재; 및 상기 폴리에틸렌 폼 기재의 양면에 배치된 제1 아크릴 폼 접착층 및 제2 아크릴 폼 접착층을 포함한다.
상기 폴리에틸렌 폼 기재의 밀도는 0.5 g/cm3 내지 0.7 g/cm3 일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 폼 접착층 또는 상기 제2 아크릴 폼 접착층의 밀도는 0.5 g/cm3 내지 0.9 g/cm3 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 폼 기재의 두께는 0.1 mm 내지 5 mm 일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 폼 접착층 또는 상기 제2 아크릴 폼 접착층의 두께는 0.025 mm 내지 1 mm 일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 폼 접착층, 상기 제2 아크릴 폼 접착층 및 상기 폴리에틸렌 폼 기재의 두께의 합은 0.15 mm 내지 7 mm 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 폼 기재는 복수의 폼 구조를 가지며, 상기 폼 구조는 발포되어 형성된 셀을 포함하거나, 중공 입자에 의해 형성된 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 폼 접착층 또는 상기 제2 아크릴 폼 접착층은 복수의 폼 구조를 가지며, 상기 폼 구조는 발포되어 형성된 셀을 포함하거나, 중공 입자에 의해 형성된 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 폼 접착층 또는 상기 제2 아크릴 폼 접착층의 폼 구조는, 상기 제1 아크릴 폼 접착층 또는 상기 제2 아크릴 폼 접착층의 중량을 100 중량부로 하여 중공 입자를 0.5 중량부 내지 5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폼 기재; 및 상기 폴리에틸렌 폼 기재의 양면에 배치된 제1 아크릴 폼 접착층 및 제2 아크릴 폼 접착층을 포함하는 접착 테이프를 제공함으로써, 우수한 내충격성 및 접착력을 가지는 접착 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 테이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고 예로서 몇몇 특정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 또는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한 다른 실시 형태가 고려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제한적인 의미로 취해져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과학적 및 기술적 용어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 정의는 본 명세서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일정 용어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며,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미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되는 특징부 크기, 양 및 물리적 특성을 표현하는 모든 수치는 모든 경우 "약"이라는 용어에 의해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반대로 지시되지 않는 한, 전술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수치 파라미터는 당업자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교시 내용을 이용하여 얻고자 하는 원하는 특성에 따라 변할 수 있는 근사치이다.
본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 형태("a", "an" 및 "the")는 그 내용이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지시 대상을 갖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또는"은 일반적으로 그 내용이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그 의미에 "및/또는"을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경우, "하부", "상부", "밑", "아래", "위", 및 "상부에"를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 공간적으로 관련된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른 요소에 대한 요소(들)의 공간적 관계를 기술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러한 공간적으로 관련된 용어는 도면에 나타내어지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한 배향 이외에도, 사용 중이거나 작동 중의 장치의 상이한 배향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물체가 반전되거나 뒤집히면, 다른 요소 아래에 또는 밑에 있는 것으로 이전에 기술된 부분이 그들 다른 요소 위에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상에서,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라는 표현이 사용되지 않는 한,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 "갖는다", "포함한다", "구비한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그들의 개방적 의미로 사용되고, '~만'이라는 표현이 사용되지 않는 한 기술된 사항 이외의 다른 사항이 추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각의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 테이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 테이프는, 폴리에틸렌 폼 기재(200), 및 폴리에틸렌 폼 기재(200)의 양면에 배치된 제1 아크릴 폼 접착층(110) 및 제2 아크릴 폼 접착층(12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아크릴 폼 접착층(110)은 폴리에틸렌 폼 기재(200)의 제1 면 상에 배치되고, 제2 아크릴 폼 접착층(120)은 제1 면의 반대편에 있는 제2 면 상에 배치된다.
접착 테이프의 폴리에틸렌 폼 기재(200)는 내부에 복수의 폼(foam) 구조를 가지는 가지는 기재층이다. 폴리에틸렌 폼 기재(200)의 폼 구조는 발포되어 형성된 셀을 포함하거나, 중공 입자에 의해 형성된 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폴리에틸렌 폼 기재(200)의 폼 구조는 발포되어 형성된 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포되어 형성된 셀은 공기, 질소 또는 불활성 가스로 충전될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폼 기재(200)를 형성하기 위해, 발포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포제는 계면활성제, 화학발포제, 팽창제(blowing agent) 또는 층 내에 가스를 형성할 수 있는 임의의 작용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폴리에틸렌 폼 기재(200)의 폼 구조는 중공 입자에 의해 형성된 셀을 포함할 수 있다. 중공 입자는 미세 구체일 수 있으며, 그 단면은 장란형(oblong), 타원형, 또는 구형일 수 있다. 또한, 중공 입자는 중합체성 입자 또는 비-중합체성 입자일 수 있다.
폼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폼 기재(200)의 밀도는 약 0.50 g/cm3 내지 약 0.70 g/cm3 이고, 바람직하게는 약 0.50 g/cm3 내지 약 0.65 g/cm3 이며,더 바람직하게는 약 0.50 g/cm3 내지 약 0.60 g/cm3 이다. 폼 구조를 가지지 않는 일반적인 폴리에틸렌의 밀도는 약 0.9 g/cm3 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놀랍게도 약 0.60 g/cm3 에서 내충격성이 가장 우수한 것을 발견하였다. 즉, 약 0.60 g/cm3 이하의 밀도를 가지는 폴라에틸렌 폼 기재에서는 밀도가 증가할수록 내충격성이 증가하고, 약 0.60 g/cm3 이상의 밀도를 가지는 폴라에틸렌 폼 기재에서는 밀도가 증가할수록 내충격성이 감소한다.
약 0.50 g/cm3 미만의 밀도를 가지는 폴리에틸렌 폼 기재에서는 원하는 내충격성을 가질 수 없으며, 폼 구조의 형성 및 유지가 어렵거나 내구성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약 0.70 g/cm3 초과하는 경우에도, 원하는 내충격성을 가질 수 없으며, 폼 구조를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폴리에틸렌 폼 기재(200)의 두께는 약 0.1 mm 내지 약 5 mm 이고, 바람직하게는 약 0.1 mm 내지 약 1 mm 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약 0.1 mm 내지 약 0.2 mm 이다.
폴리에틸렌 폼 기재의 두께가 약 0.1 mm 미만인 경우, 원하는 내충격성을 얻기 어렵다. 또한, 폴리에틸렌 폼 기재의 두께가 약 5 mm 를 초과할 경우, 접착력이 감소할 수 있으며, 두께가 제한되어 있는 구조에 적용하기가 어렵다.
제1 아크릴 폼 접착층(110) 및 제2 아크릴 폼 접착층(120)은 아크릴계 접착제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1 아크릴 폼 접착층(110) 및 제2 아크릴 폼 접착층(120)은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2-EHA), 아크릴산(AA), 메틸 아크릴레이트(MA), 2-하이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2-HEA), 메틸 메타 아크릴레이트(MMA), 하이드록실 에틸 메타 아크릴레이트(HEMA), 에틸 아크릴레이트(EA), 부틸 아크릴레이트(BA), 아크릴로니트릴(AN),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아크릴계 접착제로 사용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아크릴 폼 접착층(110) 및 제2 아크릴 폼 접착층(120)은 복수의 폼 구조를 가지는 접착층이다. 제1 아크릴 폼 접착층(110) 또는 제2 아크릴 폼 접착층(120)의 폼 구조는 발포되어 형성된 셀을 포함하거나, 중공 입자에 의해 형성된 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아크릴 폼 접착층(110) 또는 제2 아크릴 폼 접착층(120)의 폼 구조는 발포되어 형성된 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포되어 형성된 셀은 공기, 질소 또는 불활성 가스로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제1 아크릴 폼 접착층(110) 또는 제2 아크릴 폼 접착층(120)을 형성하기 위해, 발포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포제는 계면활성제, 화학발포제, 팽창제 또는 층 내에 가스를 형성할 수 있는 임의의 작용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1 아크릴 폼 접착층(110) 또는 제2 아크릴 폼 접착층(120)의 폼 구조는 중공 입자에 의해 형성된 셀을 포함할 수 있다. 중공 입자는 미세 구체일 수 있으며, 그 단면은 장란형, 타원형, 또는 구형일 수 있다. 또한, 중공 입자는 사실상 중합체성 입자 또는 비-중합체성 입자일 수 있다.
중공 입자는 제1 아크릴 폼 접착층(110) 또는 제2 아크릴 폼 접착층(120)의 중량을 100 중량부로 하여 약 0.5 중량부 내지 약 5 중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약 1 중량부 내지 약 5 중량부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약 1 중량부 내지 약 3 중량부이다.
중공 입자의 함량이 약 0.5 중량부 미만인 경우, 폼 구조의 형성 및 유지가 어려우며, 밀도가 높아져 원하는 내충격성을 얻을 수 없다. 또한, 중공 입자의 함량이 약 5 중량부 초과인 경우, 밀도가 감소하며 원하는 접착력을 얻기 어렵고, 중공 입자의 분산이 어려울 수 있다.
제1 아크릴 폼 접착층(110) 또는 제2 아크릴 폼 접착층(120)의 밀도는 약 0.5 g/cm3 내지 약 0.9 g/cm3 이며, 바람직하게는 약 0.6 g/cm3 내지 약 0.8 g/cm3, 더 바람직하게는 약 0.6 g/cm3 내지 약 0.7 g/cm3 이다. 폼 구조를 가지지 않는 일반적인 아크릴 접착층의 밀도는 약 1.2 g/cm3 이다.
약 0.5 g/cm3 미만의 밀도를 가지는 아크릴 폼 접착층에서는 원하는 접착력을 얻기 어려우며, 폼 구조의 형성 및 유지도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약 0.9 g/cm3 초과하는 경우, 원하는 내충격성을 얻기 어려우며, 폼 구조를 형성하고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제1 아크릴 폼 접착층(110) 또는 제2 아크릴 폼 접착층(120)의 두께는 약 0.025 mm 내지 약 1 mm 이고, 바람직하게는 약 0.025 mm 내지 약 0.5 mm 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약 0.05 mm 내지 약 0.1 mm 이다.
아크릴 폼 접착층의 두께가 약 25 ㎛ 미만인 경우, 원하는 내충격성을 얻기 어렵다. 또한, 아크릴 폼 접착층의 두께가 약 1 mm를 초과할 경우, 두께가 제한되어 있는 구조에서 적용하기가 어렵다.
제1 아크릴 폼 접착층, 제2 아크릴 폼 접착층 및 폴리에틸렌 폼 기재의 두께의 합은 약 0.15 mm 내지 약 7 mm 이고, 바람직하게는 약 0.15 mm 내지 약 2 mm 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약 0.2 mm 내지 0.4 mm이다.
총 두께가 약 0.15mm 미만인 경우, 원하는 내충격성을 얻기 어려우며, 총 두께가 약 7 mm 를 초과하는 경우, 두께가 제한되어 있는 구조에서 적용하기가 어렵다.
또한, 접착 테이프는 추가적으로 라이너(300)을 포함할 수 있다. 라이너(300)는 제1 아크릴 폼 접착층(110)의 폴리에틸렌 폼 기재(200)와 접착된 면의 반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아크릴 폼 접착층(120)의 폴리에틸렌 폼 기재(200)와 접착된 면의 반대면에도 라이너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라이너(300) 제거 후 접착층이 접착될 수 있다.
이하, 실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하기 실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험 실시예로 인하여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비교예 A의 제조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2-EHA), 아크릴산(AA), 메틸 아크릴레이트(MA), 및 2-하이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2-HEA)를 각각 29.5 중량부, 5 중량부, 65 중량부 및 0.5 중량부로 포함하는 아크릴계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이러한 아크릴계 접착제의 밀도는 약 1.2 g/cm3이었다.
상기 아크릴계 접착제를 폴리에틸렌 폼 기재의 양면에 코팅하여 비교예 A의 접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상기 아크릴계 접착제로 형성된 접착층의 두께, 폴리에틸렌 폼 기재의 밀도 및 두께는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다.
실시예 B의 제조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2-EHA), 아크릴산(AA), 메틸 아크릴레이트(MA), 및 2-하이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2-HEA)를 각각 29.5 중량부, 5 중량부, 65 중량부 및 0.5 중량부로 포함하는 아크릴계 수지에 중공 입자(Matsumoto의 MFL-7)를 0.5 중량부로 첨가하고 혼합하여 아크릴계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이러한 아크릴계 접착제의 밀도는 약 0.8 g/cm3이었다.
상기 아크릴계 접착제를 폴리에틸렌 폼 기재의 양면에 코팅하여 비교예 B의 접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상기 아크릴계 접착제로 형성된 접착층의 두께, 폴리에틸렌 폼 기재의 밀도 및 두께는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다.
실시예 C의 제조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2-EHA), 아크릴산(AA), 메틸 아크릴레이트(MA), 및 2-하이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2-HEA)를 각각 29.5 중량부, 5 중량부, 65 중량부 및 0.5 중량부로 포함하는 아크릴계 수지에 중공 입자(Matsumoto의 MFL-7)를 2 중량부로 첨가하고 혼합하여 아크릴계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이러한 아크릴계 접착제의 밀도는 약 0.6 g/cm3이었다.
상기 아크릴계 접착제를 폴리에틸렌 폼 기재의 양면에 코팅하여 비교예 B의 접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상기 아크릴계 접착제로 형성된 접착층의 두께, 폴리에틸렌 폼 기재의 밀도 및 두께는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다.
비교예 D의 제조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2-EHA), 아크릴산(AA), 메틸 아크릴레이트(MA), 및 2-하이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2-HEA)를 각각 29.5 중량부, 5 중량부, 65 중량부 및 0.5 중량부로 포함하는 아크릴계 수지에 중공 입자(Matsumoto의 MFL-7)를 6 중량부 이상으로 첨가하고 혼합하였다. 이러한 혼합물에서 중공 입자가 응집이 발생하였으며, 중공 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되지 않아 접착제로서 적합하지 않았다.
내충격성 시험
폴리카보네이트 기재 (10mm 파이의 중심 구멍을 가지며, 50mm × 50mm × 2mm)와 강화 유리 (20mm × 20mm × 10mm) 사이에 비교예 또는 실시예의 접착 테이프가 배치된 시험편을 3kg 진자로 20 초 동안 눌렀다. 시험편을 내충격 시험 장치에 설치하였다. 100g 진자는 50 mm 부터 500 mm 까지 50 mm 단위로 증가시키면서 떨어뜨렸다. 표본이 잘 붙어있는 경우. 진자의 무게를 50g 증가시키며, 시험편이 부서진 무게와 높이를 측정하였다. 에너지는 길이에 무게를 곱한 값으로 결정되었다.
이와 같이 측정된 내충격성 시험 결과는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다.
초기 접착력 시험
폴리카보네이트 기재와 PET 필름 사이에 비교예 또는 실시예의 접착 테이프가 배치된 시험편을 4kg 롤러를 사용하여 두 번 눌렀다. 이후, 180°박리 시험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UTM으로 수집되었다.
정적 전단 시험
비교예 또는 실시예의 접착 테이프를 SUS와 Al 포일에 붙인 시험편을 4kg 롤러를 사용하여 두 번 눌렀다. 시험편을 85℃에 10,000 분 동안 넣었다. 그런 다음 부착력 및 분리 등의 문제가 있는지 점검했다.
폴리에틸렌 폼 기재 밀도(g/m3) 아크릴 폼 접착층 두께 (㎛) 폴리에틸렌 폼 기재 두께 (㎛) 내충격성
(J)
초기 접착력
(Kgf/inch)
정적 전단
(min)
비교예 A 비교예 A1 0.7 25 100 98 1.5 >10,000
비교예 A2 0.7 50 100 196 3.3 >10,000
비교예 A3 0.7 75 100 294 3.8 >10,000
비교예 A4 0.7 25 150 98 2.3 >10,000
비교예 A5 0.7 50 150 196 2.5 >10,000
비교예 A6 0.6 25 100 441 2.4 >10,000
비교예 A7 0.6 50 100 588 2.6 >10,000
비교예 A8 0.6 75 100 662 3.5 >10,000
비교예 A9 0.6 50 150 588 2.5 >10,000
비교예 A10 0.6 50 200 784 3.0 >10,000
비교예 A11 0.5 50 150 588 2.4 >10,000
비교예 A12 0.5 75 100 392 3.2 >10,000
실시예 B 실시예 B1 0.7 75 100 368 3.1 >10,000
실시예 B2 0.7 75 150 588 2.5 >10,000
실시예 B3 0.6 75 100 735 3.3 >10,000
실시예 B4 0.5 75 100 441 3.3 >10,000
실시예 C 실시예 C1 0.7 50 150 490 2.1 >10,000
실시예 C2 0.7 75 100 441 2.2 >10,000
실시예 C3 0.7 75 200 784 2.3 >10,000
실시예 C4 0.6 75 100 784 2.5 >10,000
실시예 C5 0.6 50 200 882 2.5 >10,000
실시예 C6 0.55 50 200 784 2.0 >10,000
실시예 C7 0.5 75 100 662 2.4 >10,000
표 1을 참조하면, 중공 입자의 함량이 높아져 아크릴 폼 접착층의 밀도가 낮아질수록 내충격성은 개선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폼 기재 밀도가 약 0.5 g/cm3 내지 약 0.7 g/cm3 에서 최적 범위를 가며, 놀랍게도 폴리에틸렌 폼 기재 밀도가 0.6 g/cm3일 때 내충격성이 제일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아크릴 폼 접착층의 두께 또는 폴리에틸렌 폼 기재의 두께가 커질수록 내충격성이 개선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범위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제1 아크릴 폼 접착층; 120: 제2 아크릴 폼 접착층; 200: 폴리에틸렌 폼 기재; 300: 라이너

Claims (9)

  1. 접착 테이프로서,
    폴리에틸렌 폼 기재; 및
    상기 폴리에틸렌 폼 기재의 양면에 배치된 제1 아크릴 폼 접착층 및 제2 아크릴 폼 접착층
    을 포함하는, 접착 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폼 기재의 밀도는 0.5 g/cm3 내지 0.7 g/cm3 인, 접착 테이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크릴 폼 접착층 또는 상기 제2 아크릴 폼 접착층의 밀도는 0.5 g/cm3 내지 0.9 g/cm3 인, 접착 테이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폼 기재의 두께는 0.1 mm 내지 5 mm 인, 접착 테이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크릴 폼 접착층 또는 상기 제2 아크릴 폼 접착층의 두께는 0.025 mm 내지 1 mm 인, 접착 테이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크릴 폼 접착층, 상기 제2 아크릴 폼 접착층 및 상기 폴리에틸렌 폼 기재의 두께의 합은 0.15 mm 내지 7 mm 인, 접착 테이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폼 기재는 복수의 폼 구조를 가지며, 상기 폼 구조는 발포되어 형성된 셀을 포함하거나, 중공 입자에 의해 형성된 셀을 포함하는, 접착 테이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크릴 폼 접착층 또는 상기 제2 아크릴 폼 접착층은 복수의 폼 구조를 가지며, 상기 폼 구조는 발포되어 형성된 셀을 포함하거나, 중공 입자에 의해 형성된 셀을 포함하는, 접착 테이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크릴 폼 접착층 또는 상기 제2 아크릴 폼 접착층의 폼 구조는, 상기 제1 아크릴 폼 접착층 또는 상기 제2 아크릴 폼 접착층의 중량을 100 중량부로 하여 중공 입자를 0.5 중량부 내지 5 중량부로 포함하는, 접착 테이프.
KR1020190040000A 2019-04-05 2019-04-05 접착 테이프 KR202001176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000A KR20200117626A (ko) 2019-04-05 2019-04-05 접착 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000A KR20200117626A (ko) 2019-04-05 2019-04-05 접착 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626A true KR20200117626A (ko) 2020-10-14

Family

ID=72847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000A KR20200117626A (ko) 2019-04-05 2019-04-05 접착 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76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0134A1 (de) * 2021-02-23 2022-09-01 Tesa Se Mehrschichtiges klebeband mit geschäumten nachstrichmassen zur verbesserung der kälteschlagbeständigkei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0134A1 (de) * 2021-02-23 2022-09-01 Tesa Se Mehrschichtiges klebeband mit geschäumten nachstrichmassen zur verbesserung der kälteschlagbeständigke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6792B2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for mobile electronics
JP4761428B2 (ja) 粘着テープ類
TWI582207B (zh) Sided adhesive sheet and portable electronic machine
JP5384005B2 (ja) 粘着剤組成物、粘着剤物品、光学用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方法
EP1753834B1 (en) Adhesive sheet comprising hollow parts
US20170044404A1 (en) Laminate sheet
WO2010122943A1 (ja) 加熱膨張型再剥離性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TW201343869A (zh) 黏著帶
US9902878B2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KR20170125344A (ko) 양면 코팅 테이프
EP1918342A1 (en) Adhesive sheet for glass protection and protective film for automobile glass
JP2017149980A (ja) 両面粘着シート及び携帯電子機器
WO2013085066A1 (ja) 携帯電子機器部材固定用両面粘着シート
EP3467066A1 (e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US11104826B2 (en) Release-liner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KR20130090837A (ko) 아크릴계 점착 테이프
WO2018156631A1 (en) Air and water barrier article including inelastic porous layer
EP2975097B1 (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ssembly comprising thermoplastic filler material
KR101836757B1 (ko) 발포 수지 시트 및 이것을 구비하는 전기ㆍ전자 기기
KR20200117626A (ko) 접착 테이프
KR101658608B1 (ko) 양면 점착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KR102575080B1 (ko) 디스플레이용 내충격 방수테이프
WO2022224643A1 (ja)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アクリル系粘着剤、粘着フィルム、および、フレキシブルデバイス
US20090274904A1 (en) Adhesion means with high impact resistance
US20140066542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