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7435A - 동시재생지원장치 및 동시재생지원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동시재생지원장치 및 동시재생지원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7435A
KR20200117435A KR1020190039544A KR20190039544A KR20200117435A KR 20200117435 A KR20200117435 A KR 20200117435A KR 1020190039544 A KR1020190039544 A KR 1020190039544A KR 20190039544 A KR20190039544 A KR 20190039544A KR 20200117435 A KR20200117435 A KR 20200117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erminal
terminals
playback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9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0236B1 (ko
Inventor
이동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9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0236B1/ko
Publication of KR20200117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5Synchronising client clock from received content stream, e.g. locking decoder clock with encoder clock, extraction of the PCR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04N21/2402Monitoring of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bandwidth avai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2Synchronization processes, e.g. processing of PCR [Program Clock Refer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 및 서버 간 통신 구조를 기반으로 각기 독립된 복수의 단말에서 동일 컨텐츠를 동시에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방식의 동시 재생 기법을 실현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동시재생지원장치 및 동시재생지원장치의 동작 방법{SIMULTANEOUS PLAY SERVIC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복수의 단말에서 동일한 컨텐츠를 동시에 재생하기 위한 동시 재생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 및 서버 간 통신 구조를 기반으로 각기 독립된 복수의 단말에서 동일 컨텐츠를 동시에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Tablet 단말, Laptop 단말, 5G 단말 등 다양한 종류의 단말들에 대한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통신망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개방된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 방송 컨텐츠, 영화 등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OTT(Over-The-Top) 서비스가 활발하게 사용되면서, 단말들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N-screen 형태의 서비스가 진화하고 있다.
한편, 가정이나 회사 등 개인적인 장소에 있는 구성원(예: 가족, 팀원 등)이 각기 자신의 단말을 소지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하나의 대형 디스플레이장치(예: TV) 앞에 모여 함께 컨텐츠를 감상하는 기존 환경에서, 장소 제한 없이 각기 자신이 소지한 단말을 이용해 컨텐츠를 감상하는 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처럼 각기 자신이 소지한 단말을 이용해 컨텐츠를 감상하는 형태로 변화한 환경에서도, 구성원(예: 가족)이 함께 동일한 컨텐츠를 감상하고자 하는 요구가 여전히 존재한다.
예를 들면, 가족이 대형 디스플레이장치(예: TV) 앞에 모여 함께 컨텐츠를 감상하다가, 한 명은 부엌으로 가서 집안일을 하면서 컨텐츠 감상을 가족과 함께 하고 싶고 한 명은 자신의 방으로 가서 누워서 컨텐츠 감상을 가족과 함께 하고 싶을 수 있다.
기존의 N-screen 형태의 서비스에서는 단말 간 통신 구조를 전제로 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 N-screen 형태의 서비스에 따르면, 대형 디스플레이장치(예: TV)로부터 이동하는 사람의 단말에서, 단말 및 디스플레이장치(예: TV) 간 통신을 기반으로 동일한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거리 제한이 존재할 수 밖에 없으며 단말이 단말 간 통신 기능을 탑재해야만 하는 한계를 갖는다.
따라서, 구성원(예: 가족)이 함께 동일한 컨텐츠를 감상하고자 하는 경우, 기존 N-screen 형태의 서비스에서 벗어나, 단말 및 서버 간 통신 구조를 기반으로 각기 독립된 구성원들의 단말(복수의 단말)에서 동일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식이 필요하다.
헌데, 구성원들의 단말(복수의 단말)에서 동일 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 단말 간에 컨텐츠를 재생하는 시점이 조금씩 어긋나거나 일치하지 않게 되면, 함께 감상하는 만족도가 떨어질 뿐 아니라 사운드가 울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서비스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므로, 단말 간 동시 재생을 위한 동기화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현재 단말 및 서버 간 통신 구조를 기반으로 각기 독립된 구성원들의 단말(복수의 단말)에서 동일 컨텐츠를 동시에 재생하기 위해서는, 단말의 각 사용자가 동일 컨텐츠 재생을 준비한 상태에서 동시에 “PLAY” 버튼을 누르는 방법 뿐이다.
즉, 현재까지는 단말 및 서버 간 통신 구조를 기반으로 각기 독립된 구성원들의 단말(복수의 단말)에서 동일 컨텐츠를 "동시에 재생"하기 위한 기술(기법)이 없는 상황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단말 및 서버 간 통신 구조를 기반으로 각기 독립된 복수의 단말에서 동일 컨텐츠를 동시에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방식의 동시 재생 기법을 실현하는 방안(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단말 및 서버 간 통신 구조를 기반으로 각기 독립된 복수의 단말에서 동일 컨텐츠를 동시에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방식의 동시 재생 기법을 실현하는 방안(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동시재생지원장치는, 컨텐츠 재생을 공유하기 위한 복수의 단말을 확인하는 단말확인부;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및 상기 복수의 단말 간 지연정보를 이용하여 설정되는 컨텐츠 재생 기준을 확인하는 기준확인부; 및 상기 컨텐츠 재생 기준에 따라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에서 상기 컨텐츠가 동시에 재생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단말 별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점, 상기 제공 받은 컨텐츠에 대한 재생 지연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텐츠 재생 기준은, 상기 복수의 단말 별로, 상기 서버 및 단말 사이의 지연정보, 상기 서버 및 단말 사이의 통신방식, 상기 서버 및 단말 사이의 컨텐츠 제공 시 대역폭, 단말의 사양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텐츠 재생 기준은, 상기 복수의 단말 별로, 상기 서버가 상기 복수의 단말에 컨텐츠를 동시에 제공하는 경우 컨텐츠가 늦게 스트리밍(Streaming) 및 재생 시작되는 단말일수록 높게 설정되는 제공 순위와, 컨텐츠가 가장 늦게 스트리밍 및 재생 시작되는 특정 단말을 기준으로 설정되는 스트리밍 시간 차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재생 기준 내 상기 복수의 단말에 대한 제공 순위 및 스트리밍 시간 차이에 따라, 상기 서버에서 제공하는 상기 컨텐츠가 상기 복수의 단말에서 스트리밍된 후 동시에 재생 시작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단말 별로 컨텐츠 제공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재생 기준 내 상기 복수의 단말에 대한 제공 순위 및 스트리밍 시간 차이에 따라, 상기 서버에서 동시에 제공하는 상기 컨텐츠가 상기 복수의 단말에서 스트리밍된 후 동시에 재생 시작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단말 별로 재생 지연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확인부는,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거나 상기 컨텐츠 재생을 시도하는 메인 단말에서 공유 단말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메인 단말 및 상기 공유 단말 정보에 따른 서브 단말을 상기 복수의 단말로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확인부는,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거나 상기 컨텐츠 재생을 시도하는 메인 단말과 관련하여, 상기 메인 단말과의 컨텐츠 재생 공유가 허용된 서브 단말로부터 상기 메인 단말과의 컨텐츠 공유가 요청되면, 상기 메인 단말 및 상기 서브 단말을 상기 복수의 단말로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로 컨텐츠를 스트리밍 제공하는 컨텐츠제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제공부는, 상기 메인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상태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으로 상기 복수의 단말 별로 결정한 컨텐츠 제공 시점에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재생상태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으로 동시에 상기 컨텐츠와 상기 복수의 단말 별로 결정한 재생 지연 시간 및 상기 재생상태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동시재생지원장치의 동작 방법은, 컨텐츠 재생을 공유하기 위한 복수의 단말을 확인하는 단말확인단계;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및 상기 복수의 단말 간 지연정보를 이용하여 설정되는 컨텐츠 재생 기준을 확인하는 기준확인단계; 및 상기 컨텐츠 재생 기준에 따라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에서 상기 컨텐츠가 동시에 재생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단말 별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점, 상기 제공 받은 컨텐츠에 대한 재생 지연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결정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텐츠 재생 기준은, 상기 복수의 단말 별로, 상기 서버가 상기 복수의 단말에 컨텐츠를 동시에 제공하는 경우 컨텐츠가 늦게 스트리밍(Streaming) 및 재생 시작되는 단말일수록 높게 설정되는 제공 순위와, 컨텐츠가 가장 늦게 스트리밍 및 재생 시작되는 특정 단말을 기준으로 설정되는 스트리밍 시간 차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컨텐츠 재생 기준 내 상기 복수의 단말에 대한 제공 순위 및 스트리밍 시간 차이에 따라, 상기 서버에서 제공하는 상기 컨텐츠가 상기 복수의 단말에서 스트리밍된 후 동시에 재생 시작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단말 별로 컨텐츠 제공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컨텐츠 재생 기준 내 상기 복수의 단말에 대한 제공 순위 및 스트리밍 시간 차이에 따라, 상기 서버에서 동시에 제공하는 상기 컨텐츠가 상기 복수의 단말에서 스트리밍된 후 동시에 재생 시작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단말 별로 재생 지연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확인단계는,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거나 상기 컨텐츠 재생을 시도하는 메인 단말에서 공유 단말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메인 단말 및 상기 공유 단말 정보에 따른 서브 단말을 상기 복수의 단말로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상태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으로 상기 복수의 단말 별로 결정한 컨텐츠 제공 시점에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재생상태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으로 동시에 상기 컨텐츠와 상기 복수의 단말 별로 결정한 재생 지연 시간 및 상기 재생상태정보를 제공하는 컨텐츠제공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동시재생지원장치 및 동시재생지원장치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단말 및 서버 간 통신 구조를 기반으로 각기 독립된 복수의 단말에서 동일 컨텐츠를 동시에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방식의 동시 재생 기법을 실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 간 거리 제약 없이, 각기 독립된 복수의 단말에서 동일 컨텐츠 동시 재생을 위한 동기화를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컨텐츠 감상 만족도 뿐 아니라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시재생지원장치가 적용되는 컨텐츠 감상 환경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시재생지원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시재생지원장치에 의해 동시 재생이 실현되는 실시예들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시재생지원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최근, Tablet 단말, Laptop 단말, 5G 단말 등 다양한 종류의 단말들에 대한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통신망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개방된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 방송 컨텐츠, 영화 등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OTT(Over-The-Top) 서비스가 활발하게 사용되면서, 단말들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N-screen 형태의 서비스가 진화하고 있다.
한편, 가정이나 회사 등 개인적인 장소에 있는 구성원(예: 가족, 팀원 등)이 각기 자신의 단말을 소지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하나의 대형 디스플레이장치(예: TV) 앞에 모여 함께 컨텐츠를 감상하는 기존 환경에서, 장소 제한 없이 각기 자신이 소지한 단말을 이용해 컨텐츠를 감상하는 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처럼 각기 자신이 소지한 단말을 이용해 컨텐츠를 감상하는 형태로 변화한 환경에서도, 구성원(예: 가족)이 함께 동일한 컨텐츠를 감상하고자 하는 요구가 여전히 존재한다.
예를 들면, 가족이 대형 디스플레이장치(예: TV) 앞에 모여 함께 컨텐츠를 감상하다가, 한 명은 부엌으로 가서 집안일을 하면서 컨텐츠 감상을 가족과 함께 하고 싶고 한 명은 자신의 방으로 가서 누워서 컨텐츠 감상을 가족과 함께 하고 싶을 수 있다.
기존의 N-screen 형태의 서비스에서는 단말 간 통신 구조를 전제로 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 N-screen 형태의 서비스에 따르면, 대형 디스플레이장치(예: TV)로부터 이동하는 사람의 단말에서, 단말 및 디스플레이장치(예: TV) 간 통신을 기반으로 동일한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거리 제한이 존재할 수 밖에 없으며 단말이 단말 간 통신 기능을 탑재해야만 하는 한계를 갖는다.
따라서, 구성원(예: 가족)이 함께 동일한 컨텐츠를 감상하고자 하는 경우, 기존 N-screen 형태의 서비스에서 벗어나, 단말 및 서버 간 통신 구조를 기반으로 각기 독립된 구성원들의 단말(복수의 단말)에서 동일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식이 필요하다.
헌데, 구성원들의 단말(복수의 단말)에서 동일 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 단말 간에 컨텐츠를 재생하는 시점이 조금씩 어긋나거나 일치하지 않게 되면, 함께 감상하는 만족도가 떨어질 뿐 아니라 사운드가 울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서비스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므로, 단말 간 동시 재생을 위한 동기화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현재 단말 및 서버 간 통신 구조를 기반으로 각기 독립된 구성원들의 단말(복수의 단말)에서 동일 컨텐츠를 동시에 재생하기 위해서는, 단말의 각 사용자가 동일 컨텐츠 재생을 준비한 상태에서 동시에 “PLAY” 버튼을 누르는 방법 뿐이다.
즉, 현재까지는 단말 및 서버 간 통신 구조를 기반으로 각기 독립된 구성원들의 단말(복수의 단말)에서 동일 컨텐츠를 "동시에 재생"하기 위한 기술(기법)이 없는 상황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단말 및 서버 간 통신 구조를 기반으로 각기 독립된 복수의 단말에서 동일 컨텐츠를 동시에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방식의 동시 재생 기법을 실현하는 방안(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새로운 방식의 동시 재생 기법을, 이하에서 설명한 동시재생장치를 통해 실현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시재생지원장치가 적용되는 컨텐츠 감상 환경을 보여주고 있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가정이나 회사 등 개인적인 장소에 있는 구성원(예: 가족, 팀원 등)이 각기 자신의 단말을 소지하고 있으며, 이처럼 각 구성원이 소지한 단말들(복수의 단말(1,2,3...))이 각기 통신망(10)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여 컨텐츠서버(200)로부터 컨텐츠를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수신하여 재생하는 환경을 전제로 한다.
이때, 컨텐츠서버(200)로부터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수신/제공되는 컨텐츠는, 영화 등 VoD(Video On Demand) 타입의 미디어 컨텐츠일 수도 있고, 실시간으로 방송되는 방송 컨텐츠일 수도 있다.
따라서, 컨텐츠서버(200)는, 실시간 방송 컨텐츠, VoD 타입의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OTT(Over-The-Top) 서비스의 OTT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컨텐츠서버(200)는, 하나의 목적지 주소(예: IP 주소) 아 아닌, 다수의 IP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서버(200)는 CDN(Content Distribution Network) 서버 성격으로 LTE 기지국, 5G 기지국 및 WiFi AP 내 설치가 될 수 있다.
즉,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하나의 컨텐츠서버(200)를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동시재생지원장치가 적용되는 컨텐츠 감상 환경에서는 컨텐츠를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서비스하는 컨텐츠서버가 다수 개일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단말(1,2,3...) 각각은, LTE 방식 또는 5G 방식 또는 WiFi 방식 등 다양한 통신방식의 통신망(10)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여 컨텐츠서버(200)로부터 컨텐츠를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는 단말을 의미한다.
또한, 복수의 단말(1,2,3...) 각각은, 컨텐츠를 받기 위해 다수의 컨텐츠서버 주소로 접속하여 스트리밍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단말(1,2,3...)은, Tablet 단말, Laptop 단말, 5G 단말 등 다양한 종류의 단말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동시 재생 기법을 실현하는 동시재생장치는, 컨텐츠서버(200)에 구현될 수도 있고, 단말에 어플리케이션(App)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컨텐츠서버(200) 및 단말에 동시재생장치의 각 기능이 분산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시재생장치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시재생지원장치(100)는, 단말확인부(110), 기준확인부(120), 제어부(1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시재생지원장치(100)는, 동시재생지원장치(100)가 컨텐츠서버(200)에 구현될 경우 컨텐츠제공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시재생지원장치(100)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동시재생지원장치(100)가 컨텐츠서버(200)에 구현될 경우 각 단말(예: 1,2,3,...)과의 실질적 통신 기능을 담당하거나, 동시재생지원장치(100)가 단말에 구현될 경우 컨텐츠서버(200)와의 실질적 통신 기능을 담당하는 통신부(150)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50)는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는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동시재생지원장치(10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예컨대, 동시재생지원장치(100) 내에서 연산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동시재생지원장치(100) 내 메모리에 탑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시재생지원장치(100)는 전술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새로운 방식의 동시 재생 기법을 실현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동시재생지원장치(100) 내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단말확인부(110)는, 컨텐츠 재생을 공유하기 위한 복수의 단말을 확인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구체적으로, 단말확인부(110)는, 동일한 컨텐츠를 동시에 재생하여 컨텐츠 재생을 공유하기 위한 메인 단말 및 서브 단말을, 복수의 단말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단말은 컨텐츠 재생을 공유를 주도하고 컨텐츠 재생과 관련된 기능 예컨대, 재생 속도/재생구간 스킵/이전 재생구간 선택 및 재생 등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단말이며, 서브 단말은 메인 단말과 동일한 컨텐츠를 동시에 재생하는 단말을 의미한다.
컨텐츠 재생을 공유하기 위한 복수의 단말을 확인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일 예에 따르면, 단말확인부(110)는,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거나 컨텐츠 재생을 시도하는 메인 단말에서 공유 단말 정보가 수신되면, 메인 단말 및 공유 단말 정보에 따른 서브 단말을 복수의 단말로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도 1의 단말1을 메인 단말로 설명하겠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말1은 컨텐츠서버(200)로부터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중일 수 있다.
또는, 단말1은 컨텐츠서버(200)에 접속하여 원하는 컨텐츠 선택 및 재생을 시도하고 있을 수 있다.
이처럼 컨텐츠를 재생 중이거나 컨텐츠 재생을 시도하는 단말1로부터 컨텐츠 재생 공유가 요청되면, 컨텐츠서버(200)는, 단말1을 메인 단말로 식별하고, 단말1에 대하여 기 등록된 가입자 및 서비스 정보를 근거로 단말1과 컨텐츠 재생 공유가 가능한 단말리스트를 전달할 수 있다.
컨텐츠서버(200)는, 수시로 또는 주기적으로 또는 기 정의된 이벤트 시, 자신으로부터 컨텐츠를 스트리밍 수신하여 재생하는 각 단말에 대해 지연정보(Latency)를 측정 및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지연정보는, 단말과 컨텐츠서버 간의 상향(uplink) 지연, 또는 하향(downlink) 지연, 또는 양방향(RTT, round-trip time) 지연을 측정한 정보일 수 있고, 또한 지연 값에 대한 변동폭(variation) 즉 jitter일 수 있다.
또한, 지연정보의 기준은, 단일 unit이 아닌, 분포도 기준의 값(min, max, avg, std, quartile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지연정보를 측정하는 측정 기준은 단말과 컨텐츠서버 간 데이터 IP 패킷 송/수신을 기준, 또는 다수의 데이터 IP 패킷들의 묶음(즉 데이터 Chunk) 단위, 또는 데이터 Chunk들의 묶음(즉, 재생가능한 컨텐츠 Chunk) 일 수 있다.
이 밖에도, 컨텐츠서버(200)는, 수시로 또는 주기적으로 또는 기 정의된 이벤트 시, 자신으로부터 컨텐츠를 스트리밍 수신하여 재생하는 각 단말에 대해 자신과 통신하는 통신방식(예: LTE 방식 또는 5G 방식 또는 WiFi 방식 등), 컨텐츠 제공 시 단말이 이용하는 대역폭(Band Width), 단말의 사양정보(예: 메모리 스펙, 칩셋, 성능 등) 등 다양한 정보를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다.
이에, 컨텐츠서버(200)에서는, 각 단말 별로, 단말에 대한 지연정보, 통신방식, 대역폭, 사양정보 등의 상태정보를 관리하고 있을 수 있다.
이에, 컨텐츠서버(200)는, 메인 단말로 식별한 단말1로 컨텐츠 재생 공유가 가능한 단말리스트를 전달할 때, 단말리스트에 속해 있는 각 단말에 대한 상태정보(예: 지연정보, 통신방식, 대역폭, 사양정보 등)을 함께 전달할 수도 있다.
단말1에서는, 컨텐츠서버(200)로부터 수신한 단말리스트에서 사용자 조작 또는 단말리스트에 속한 각 단말의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기 정의된 자동 선택방식에 따라, 컨텐츠 재생을 공유할 단말이 선택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동시재생지원장치(100)가 단말(예: 단말1)에 구현될 경우, 단말확인부(110)는, 메인 단말1에서 컨텐츠 재생을 공유할 단말이 선택 및 공유 단말 정보가 생성/수신되면, 메인 단말1 및 공유 단말 정보에 따른 서브 단말을 복수의 단말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단말1에서는, 단말리스트에 속한 각 단말의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기 정의된 제외방식에 따라, 단말1과의 컨텐츠 재생 공유를 위한 사양이 만족되지 않는 단말을 단말리스트에서 제외시킬 수도 있다.
한편, 단말1에서는, 단말1에서는, 단말리스트에 속한 각 단말의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단말1과의 컨텐츠 재생 공유를 위한 사양이 만족되지 않는 단말에 대한 상태정보 재 측정을 컨텐츠서버(200)에 요청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단말1은 컨텐츠 재생을 공유할 단말이 선택되면, 선택된 단말에 대한 정보 즉 공유 단말 정보를 컨텐츠서버(2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동시재생지원장치(100)가 컨텐츠서버(200)에 구현될 경우, 단말확인부(110)는,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거나 컨텐츠 재생을 시도하는 메인 단말1로부터 공유 단말 정보가 전달/수신되면, 메인 단말1 및 공유 단말 정보에 따른 서브 단말을 복수의 단말로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메인 단말1에서의 공유 단말 정보에 단말2,3,5가 포함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복수의 단말로서 단말1,2,3,5이 확인되는 경우로 설명하겠다.
한편 다른 예에 따르면, 단말확인부(110)는,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거나 컨텐츠 재생을 시도하는 메인 단말, 예컨대 단말1과 관련하여 메인 단말1과의 컨텐츠 재생 공유가 허용된 서브 단말로부터 메인 단말1과의 컨텐츠 공유가 요청되면, 메인 단말1 및 서브 단말을 복수의 단말로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컨텐츠서버(200)는, 자신으로부터 컨텐츠를 스트리밍 수신하여 재생하는 각 단말 별로, 해당 단말이 메인 단말로서 서브 단말과 컨텐츠 재생을 공유한 이력을 저장/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텐츠서버(200)에는, 단말1에 대하여, 단말1이 메인 단말로서 서브 단말2,3,4와 컨텐츠 재생을 공유한 이력이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동시재생지원장치(100)가 컨텐츠서버(200)에 구현될 경우, 단말확인부(110)는, 메인 단말 예컨대 단말1과 관련하여 단말2로부터 단말1과의 컨텐츠 공유가 요청되면, 메인 단말1에 대한 이력을 기반으로 단말2가 메인 단말1과의 컨텐츠 재생 공유 이력이 있는 허용된 서브 단말인 것을 확인하여, 메인 단말1 및 서브 단말2을 복수의 단말로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이 시점에 메인 단말1이 다른 서브 단말(예: 단말3,5)과 컨텐츠 재생 공유를 위한 복수의 단말로 기 확인된 상태라면, 단말확인부(110)는, 서브 단말2를 추가하여 메인 단말1 및 서브 단말2,3,5를 복수의 단말로 확인할 수 있다.
기준확인부(120)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즉 컨텐츠서버(200) 및 복수의 단말 간 지연정보를 이용하여 설정되는 컨텐츠 재생 기준을 확인한다.
즉, 전술의 예시에 따르면, 기준확인부(120)는, 컨텐츠서버(200) 및 복수의 단말1,2,3,5 간 지연정보를 이용하여 설정되는 컨텐츠 재생 기준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컨텐츠 재생 기준은, 복수의 단말1,2,3,5 별로, 컨텐츠서버(200) 및 단말 사이의 지연정보 예컨대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Latency, 컨텐츠서버(200) 및 단말 사이의 통신방식(예: LTE 방식 또는 5G 방식 또는 WiFi 방식 등), 컨텐츠서버(200) 및 단말 사이의 컨텐츠 제공 시 대역폭(Band Width), 단말의 사양정보(예: 메모리 스펙, 칩셋, 성능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재생 기준은, 컨텐츠서버(200)로부터 전달 받은 각 서브 단말의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메인 단말1에서 설정될 수 있고, 또는 컨텐츠서버(200)에서 설정될 수도 있다.
이때, 설정되는 컨텐츠 재생 기준은, 복수의 단말1,2,3,5 별로, 컨텐츠서버(200)가 복수의 단말에 컨텐츠를 동시에 제공하는 경우 컨텐츠가 늦게 스트리밍(Streaming) 및 재생 시작되는 단말일수록 높게 설정되는 제공 순위와, 컨텐츠가 가장 늦게 스트리밍 및 재생 시작되는 특정 단말을 기준으로 설정되는 스트리밍 시간 차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컨텐츠 재생 기준을 설정하는 주체(메인 단말1 또는 컨텐츠서버(200))는, 복수의 단말 별로, 단말의 상태정보(예: 지연정보, 통신방식, 대역폭, 사양정보 등)를 알고 있다.
한편, 컨텐츠서버(200)에서 제공하는 동일 컨텐츠를 각기 다른 단말이 스트리밍 수신하여 재생하는 경우, 컨텐츠서버(200) 및 각 단말 간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Latency가 다를 수 있고, 컨텐츠서버(200) 및 각 단말 간 통신방식이 다를 수 있고, 컨텐츠서버(200) 및 각 단말 간 컨텐츠 스트리밍 시 이용하는 대역폭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컨텐츠서버(200)에서 컨텐츠를 동시에 제공하더라도 각 단말에 스트리밍 수신되는 시점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서버(200)에서 제공하는 동일 컨텐츠를 각기 다른 단말이 스트리밍 수신한 후 재생하는 경우, 각 단말의 사양(Spec) 예컨대 메모리 스펙, 칩셋, 성능 등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동일 컨텐츠가 각 단말에 스트리밍 수신되는 시점이 동일하더라도 재생 시작 시점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컨텐츠 재생 기준을 설정하는 주체(메인 단말1 또는 컨텐츠서버(200))는, 복수의 단말1,2,3,5 별로, 단말의 상태정보(예: 지연정보, 통신방식, 대역폭, 사양정보 등)를 이용하여, 컨텐츠서버(200)에서 제공하는 동일 컨텐츠를 복수의 단말1,2,3,5 각각에서 동시에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 재생 기준(제공 순위, 스트리밍 시간 차이)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재생 기준 내 제공 순위는, 복수의 단말1,2,3,5 별로, 컨텐츠서버(200)가 컨텐츠를 동시에 제공하는 경우 컨텐츠가 늦게 스트리밍(Streaming) 및 재생 시작되는 단말일수록 높게 설정된다.
그리고, 컨텐츠 재생 기준 내 스트리밍 시간 차이는, 복수의 단말1,2,3,5 별로, 컨텐츠서버(200)가 컨텐츠를 동시에 제공하는 경우 컨텐츠가 가장 늦게 스트리밍 및 재생 시작되는 특정 단말을 기준으로 설정된다.
본 발명의 동시재생지원장치(100)가 단말(예: 단말1)에 구현될 경우, 기준확인부(120)는, 복수의 단말1,2,3,5 별로, 단말의 상태정보(예: 지연정보, 통신방식, 대역폭, 사양정보 등)를 알고 있으므로, 이들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재생 기준을 설정/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동시재생지원장치(100)가 컨텐츠서버(200)에 구현될 경우, 기준확인부(120)는, 메인 단말1로부터 설정된 컨텐츠 재생 기준을 수신/확인할 수 있고, 또는 복수의 단말1,2,3,5 별로, 단말의 상태정보(예: 지연정보, 통신방식, 대역폭, 사양정보 등)를 알고 있으므로, 이들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재생 기준을 설정/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컨텐츠 재생 기준에 따라 복수의 단말1,2,3,5 각각에서 컨텐츠가 동시에 재생될 수 있도록, 복수의 단말1,2,3,5 별로 컨텐츠서버(200)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점, 제공 받은 컨텐츠에 대한 재생 지연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앞서 설명한 바 있듯이 메인 단말은, 컨텐츠 재생을 공유를 주도하고 컨텐츠 재생과 관련된 기능 예컨대, 재생 속도/재생구간 스킵/이전 재생구간 선택 및 재생 등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단말을 의미한다.
이에, 메인 단말1은, 전달 시점에는 제약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기준확인부(120)에서 컨텐츠 재생 기준이 확인되는 시점 직전 또는 직후일 수 있고, 서브 단말과 재생 공유할 컨텐츠와 관련된 재생상태정보를 컨텐츠서버(200)로 전달/제공할 수 있다.
물론, 메인 단말1이 컨텐츠 재생 기준을 설정하는 경우라면, 메인 단말1이 컨텐츠 재생 기준을 컨텐츠서버(200)로 제공할 때 함께 컨텐츠와 관련된 재생상태정보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컨텐츠와 관련된 재생상태정보는, 재생 공유할 컨텐츠에 대한 Content Position(Absolute 시간(예: Content 시작의 0.000초 시점을 기준으로 +10.20초), Relative 시간(예: Content 의 Reference 시점을 기준으로 + 4.2초))과, GOP(Group of Picture)정보(예: Content 내 검출 및 식별되는 GOP)와, Absolute 특정 자막/Subtitle 정보(예: 특정 Subtitle의 단어 및 문구)와, Relative 특정 자막/Subtitle 정보와, 특정 Intro 및 Outro(Credit) 정보와, 컨텐츠 이름과, 컨텐츠 주소정보(예: URL / URI 정보 및 IP/Port 주소)와, 컨텐츠 상태(예: paused, started, FFWD / x0.8배 재생, x1.2 배 재생, x1.5배 재생 등)와, 재생 리스트(예: 영화_part1, 영화_part2, … 영화_partN)와, 컨텐츠 용량/사이즈, 재생기간(duration)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에서는, 컨텐츠 제공 시점 또는 재생 지연 시간을 결정하는 방식을 설명하겠다.
일 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컨텐츠 재생 기준 내 복수의 단말1,2,3,5 각각에 대한 제공 순위 및 스트리밍 시간 차이에 따라, 컨텐츠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컨텐츠가 복수의 단말1,2,3,5 각각에 스트리밍 후 동시에 재생 시작될 수 있도록, 복수의 단말1,2,3,5 별로 컨텐츠 제공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텐츠 재생 기준 내 제공 순위는, 복수의 단말1,2,3,5 별로, 컨텐츠서버(200)가 컨텐츠를 동시에 제공하는 경우 컨텐츠가 늦게 스트리밍 및 재생 시작되는 단말일수록 높게 설정되는 순위이다.
예를 들어, 단말1,2,3,5 중 컨텐츠가 가장 늦게 스트리밍 및 재생 시작되는 단말이 단말5(예: ts + 95ms 시점), 그 다음 늦게 스트리밍 및 재생 시작되는 단말이 단말3(예: ts + 25ms 시점), 그 다음 스트리밍 및 재생 시작되는 단말이 단말1(예: ts + 5ms 시점), 가장 먼저 스트리밍 및 재생 시작되는 단말이 단말2(예: ts 시점)라고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 재생 기준 내 제공 순위는, 단말1-제공 순위3, 단말2-제공 순위4, 단말3-제공 순위2, 단말5-제공 순위1일 것이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텐츠 재생 기준 내 스트리밍 시간 차이는, 복수의 단말1,2,3,5 별로, 컨텐츠서버(200)가 컨텐츠를 동시에 제공하는 경우 컨텐츠가 가장 늦게 스트리밍 및 재생 시작되는 특정 단말을 기준으로 설정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전술의 가정에 따르면, 컨텐츠 재생 기준 내 스트리밍 시간 차이는, 컨텐츠가 가장 늦게 스트리밍 및 재생 시작되는 특정 단말 즉 단말 5(0ms)를 기준으로, 단말1- 스트리밍 시간 차이 90ms, 단말2- 스트리밍 시간 차이 95ms, 단말3- 스트리밍 시간 차이 60ms, 단말5-스트리밍 시간 차이 0ms일 것이다.
이에, 제어부(130)는, 컨텐츠 재생 기준 내 복수의 단말1,2,3,5 각각에 대한 제공 순위 및 스트리밍 시간 차이, 즉 단말1- 제공 순위3/ 스트리밍 시간 차이 90ms, 단말2- 제공 순위4/ 스트리밍 시간 차이 95ms, 단말3- 제공 순위2/ 스트리밍 시간 차이 60ms, 단말5- 제공 순위1/스트리밍 시간 차이 0ms에 따라, 컨텐츠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컨텐츠가 복수의 단말1,2,3,5 각각에 스트리밍 후 동시에 재생 시작될 수 있도록, 복수의 단말1,2,3,5 별로 컨텐츠 제공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30)는, 복수의 단말1,2,3,5 중 제공 순위가 가장 높은 단말5의 스트리밍 시간 차이 0ms를 기준으로, 제공 순위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단말5의 스트리밍 시간 차이 0ms에서 해당 단말의 스트리밍 시간 차이를 더한 시점을 컨텐츠 제공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복수의 단말1,2,3,5 중 제공 순위가 가장 높은 제공 순위1인 단말5의 컨텐츠 제공 시점은 t시각, 제공 순위 2인 단말3의 컨텐츠 제공 시점은 t+60ms 시각, 제공 순위 3인 단말1의 컨텐츠 제공 시점은 t+90ms 시각, 제공 순위 4인 단말2의 컨텐츠 제공 시점은 t+95ms 시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컨텐츠 재생 기준 내 복수의 단말1,2,3,5에 대한 제공 순위 및 스트리밍 시간 차이에 따라, 컨텐츠서버(200)에서 동시에 제공하는 컨텐츠가 복수의 단말1,2,3,5 각각에서 스트리밍된 후 동시에 재생 시작될 수 있도록, 복수의 단말1,2,3,5 별로 재생 지연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전술의 가정을 따를 경우, 제어부(130)는, 컨텐츠 재생 기준 내 복수의 단말1,2,3,5 각각에 대한 제공 순위 및 스트리밍 시간 차이, 즉 단말1- 제공 순위3/ 스트리밍 시간 차이 90ms, 단말2- 제공 순위4/ 스트리밍 시간 차이 95ms, 단말3- 제공 순위2/ 스트리밍 시간 차이 60ms, 단말5- 제공 순위1/스트리밍 시간 차이 0ms에 따라, 컨텐츠서버(200)에서 동시에 제공하는 컨텐츠가 복수의 단말1,2,3,5 각각에서 스트리밍된 후 동시에 재생 시작될 수 있도록, 복수의 단말1,2,3,5 별로 재생 지연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30)는, 복수의 단말1,2,3,5 중 제공 순위가 가장 높은 단말5의 스트리밍 시간 차이 0ms를 기준으로, 제공 순위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단말5의 스트리밍 시간 차이 0ms에서 해당 단말의 스트리밍 시간 차이를 더한 시시간을 재생 지연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복수의 단말1,2,3,5 중 제공 순위가 가장 높은 제공 순위1인단말5의 재생 지연 시간은 0ms, 제공 순위 2인 단말3의 재생 지연 시간은 60ms, 제공 순위 3인 단말1의 재생 지연 시간은 90ms, 제공 순위 4인 단말2의 재생 지연 시간은 95ms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동시재생지원장치(100)가 단말(예: 단말1)에 구현될 경우, 제어부(130)는, 전술과 같이 복수의 단말1,2,3,5 별로 결정한 컨텐츠 제공 시점 또는 재생 지연 시간을, 컨텐츠서버(200)로 전달/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동시재생지원장치(100)가 컨텐츠서버(200)에 구현될 경우, 제어부(130)는, 전술과 같이 복수의 단말1,2,3,5 별로 컨텐츠 제공 시점 또는 재생 지연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컨텐츠서버(200)에서 컨텐츠제공부(140)는, 단말로 컨텐츠를 스트리밍 제공하는 기능부이다.
이러한 컨텐츠제공부(140)는, 메인 단말1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재생상태정보가 수신되면, 복수의 단말1,2,3,5 별로 컨텐츠서버(200, 동시재생지원장치(100) 동일)에서 결정한 또는 메인 단말1(동시재생지원장치(100) 동일)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제공 시점에, 복수의 단말1,2,3,5 각각으로 컨텐츠 및 재생상태정보를 스트리밍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시재생지원장치에 의해 동시 재생이 실현되는 일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3에서는, 메인 단말1로부터 복수의 단말1,2,3,5에 대하여 설정한 컨텐츠 재생 기준 및 재생 공유할 컨텐츠에 대한 재생상태정보가 컨텐츠서버(200)로 제공되는 경우를 가정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서버(200)는, 복수의 단말1,2,3,5 별로 결정된 컨텐츠 제공 시점에 각기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단말5로는 컨텐츠 제공 시점 t시각에 제공하고, 단말3으로는 컨텐츠 제공 시점 t+60ms 시각에 제공하고, 단말1로는 컨텐츠 제공 시점 t+90ms 시각에 제공하고, 단말2로는 컨텐츠 제공 시점 t+95ms 시각에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컨텐츠서버(200)는, 복수의 단말1,2,3,5 별로 컨텐츠를 제공하면서, 메인 단말1로부터 기 수신한 재생상태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단말 간 컨텐츠 공유 재생에 필요한 전체 또는 일부 정보(이하, 재생상태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각 단말1,2,3,5에서는 컨텐츠서버(200)로부터 스트리밍 수신되는 하나의 컨텐츠를 자신에 수신되는 즉시 재생을 시작하며, 재생상태정보에 따른 정보들을 기반으로 동일하게 재생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제공부(140)는, 메인 단말1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재생상태정보가 수신되면, 복수의 단말1,2,3,5 각각으로 동시에 컨텐츠와 복수의 단말1,2,3,5 별로 결정한 재생 지연 시간 및 재생상태정보를 스트리밍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시재생지원장치에 의해 동시 재생이 실현되는 일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4에서는, 메인 단말1로부터 재생 공유할 컨텐츠에 대한 재생상태정보가 컨텐츠서버(200)로 제공되며, 컨텐츠서버(200)에서 복수의 단말1,2,3,5에 대한 컨텐츠 재생 기준을 설정하는 경우로 가정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서버(200)는, 복수의 단말1,2,3,5 별로 동시에 각기 컨텐츠를 제공하되 각 단말에 대해 결정한 재생 지연 시간을 제공함으로써, 단말5로는 컨텐츠 및 재생 지연 시간 0ms를 제공하고, 단말3으로는 컨텐츠 및 재생 지연 시간 60ms를 제공하고, 단말1로는 컨텐츠 및 재생 지연 시간 90ms를 제공하고, 단말2로는 컨텐츠 및 재생 지연 시간 95ms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컨텐츠서버(200)는, 복수의 단말1,2,3,5 별로 컨텐츠를 제공하면서, 메인 단말1로부터 기 수신한 재생상태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단말 간 컨텐츠 공유 재생에 필요한 전체 또는 일부 정보(이하, 재생상태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각 단말1,2,3,5에서는 컨텐츠서버(200)로부터 스트리밍 수신되는 하나의 컨텐츠를 자신에 수신된 재생 지연 시간 만큼 지연한 후 재생을 시작하며, 재생상태정보에 따른 정보들을 기반으로 동일하게 재생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동시재생지원장치에 의하면, 단말 및 서버 간 통신 구조를 기반으로 각기 독립된 복수의 단말에서 동일 컨텐츠를 동시에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방식의 동시 재생 기법을 실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 간 거리 제약 없이, 각기 독립된 복수의 단말에서 동일 컨텐츠 동시 재생을 위한 동기화를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컨텐츠 감상 만족도 뿐 아니라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시재생지원장치의 동작 방법 즉 본 발명의 동시 재생 기법을 설명하겠다.
설명의 편의 상, 이하에서는 동시재생지원장치(100)의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며, 동시재생지원장치(100)가 컨텐츠서버(200) 측에 구현되는 실시예로서 설명하겠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동시 재생 기법에 따르면 동시재생지원장치(100)는, 컨텐츠서버(200)에 접속하여 스트리밍 수신되는 컨텐츠를 재생 중이거나 컨텐츠 재생을 시도하는 특정 단말(이하, 단말1)로부터 컨텐츠 재생 공유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100).
본 발명의 동시 재생 기법에 따르면 동시재생지원장치(100)는, 단말1로부터 컨텐츠 재생 공유가 요청되면, 단말1을 메인 단말로 식별하고, 단말1에 대하여 기 등록된 가입자 및 서비스 정보를 근거로 단말1과 컨텐츠 재생 공유가 가능한 단말리스트를 전달할 수 있다(S110).
이때, 본 발명의 동시 재생 기법에 따르면 동시재생지원장치(100)는, 메인 단말로 식별한 단말1로 컨텐츠 재생 공유가 가능한 단말리스트를 전달할 때, 단말리스트에 속해 있는 각 단말에 대한 상태정보(예: 지연정보, 통신방식, 대역폭, 사양정보 등)을 함께 전달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단말1에서는, 컨텐츠서버(200, 동시재생지원장치(100))로부터 수신한 단말리스트에서 사용자 조작 또는 단말리스트에 속한 각 단말의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기 정의된 자동 선택방식에 따라, 컨텐츠 재생을 공유할 단말이 선택될 수 있다(S120).
그리고, 단말1은 컨텐츠 재생을 공유할 단말이 선택되면, 선택된 단말에 대한 정보 즉 공유 단말 정보를 컨텐츠서버(200, 동시재생지원장치(1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단말1에서는, 자신 및 컨텐츠 재생 공유할 단말로 선택한 서브 단말 각각에 대한 상태정보(예: 지연정보, 통신방식, 대역폭, 사양정보 등)를 이용하여, 컨텐츠 재생 기준(제공 순위, 스트리밍 시간 차이)를 설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동시 재생 기법에 따르면 동시재생지원장치(100)는, 메인 단말1로부터 공유 단말 정보가 전달/수신되면(S130), 메인 단말1 및 공유 단말 정보에 따른 서브 단말을 복수의 단말로 확인할 수 있다(S140).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메인 단말1에서의 공유 단말 정보에 단말2,3,5가 포함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복수의 단말로서 단말1,2,3,5이 확인되는 경우로 설명하겠다.
한편, 본 발명의 동시 재생 기법에 따르면 동시재생지원장치(100)는, 메인 단말1로부터 서브 단말과 재생 공유할 컨텐츠와 관련된 재생상태정보를 수신한다(S150).
이때, 동시재생지원장치(100)는, 메인 단말1로부터 설정된 컨텐츠 재생 기준(제공 순위, 스트리밍 시간 차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동시 재생 기법에 따르면 동시재생지원장치(100)는, 복수의 단말1,2,3,5에 대한 컨텐츠 재생 기준을 확인한다(S160).
동시재생지원장치(100)는, S150단계에서 메인 단말1로부터 컨텐츠 재생 기준을 수신/확인할 수도 있고, 복수의 단말1,2,3,5 별로, 단말의 상태정보(예: 지연정보, 통신방식, 대역폭, 사양정보 등)를 이용하여, 컨텐츠서버(200)에서 제공하는 동일 컨텐츠를 복수의 단말1,2,3,5 각각에서 동시에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 재생 기준(제공 순위, 스트리밍 시간 차이)를 직접 설정/확인할 수도 있다(S160).
이때, 컨텐츠 재생 기준 내 제공 순위는, 복수의 단말1,2,3,5 별로, 컨텐츠서버(200)가 컨텐츠를 동시에 제공하는 경우 컨텐츠가 늦게 스트리밍(Streaming) 및 재생 시작되는 단말일수록 높게 설정된다.
그리고, 컨텐츠 재생 기준 내 스트리밍 시간 차이는, 복수의 단말1,2,3,5 별로, 컨텐츠서버(200)가 컨텐츠를 동시에 제공하는 경우 컨텐츠가 가장 늦게 스트리밍 및 재생 시작되는 특정 단말을 기준으로 설정된다.
다음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동시 재생 기법에 따르면 동시재생지원장치(100)는, 컨텐츠 재생 기준에 따라 복수의 단말1,2,3,5 각각에서 컨텐츠가 동시에 재생될 수 있도록, 복수의 단말1,2,3,5 별로 컨텐츠서버(200)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점, 제공 받은 컨텐츠에 대한 재생 지연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S161).
일 예에 따르면, 동시재생지원장치(100)는, 컨텐츠 재생 기준 내 복수의 단말1,2,3,5 각각에 대한 제공 순위 및 스트리밍 시간 차이에 따라, 컨텐츠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컨텐츠가 복수의 단말1,2,3,5 각각에 스트리밍 후 동시에 재생 시작될 수 있도록, 복수의 단말1,2,3,5 별로 컨텐츠 제공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S161).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텐츠 재생 기준 내 제공 순위는, 복수의 단말1,2,3,5 별로, 컨텐츠서버(200)가 컨텐츠를 동시에 제공하는 경우 컨텐츠가 늦게 스트리밍 및 재생 시작되는 단말일수록 높게 설정되는 순위이다.
예를 들어, 단말1,2,3,5 중 컨텐츠가 가장 늦게 스트리밍 및 재생 시작되는 단말이 단말5(예: ts + 95ms 시점), 그 다음 늦게 스트리밍 및 재생 시작되는 단말이 단말3(예: ts + 25ms 시점), 그 다음 스트리밍 및 재생 시작되는 단말이 단말1(예: ts + 5ms 시점), 가장 먼저 스트리밍 및 재생 시작되는 단말이 단말2(예: ts 시점)라고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 재생 기준 내 제공 순위는, 단말1-제공 순위3, 단말2-제공 순위4, 단말3-제공 순위2, 단말5-제공 순위1일 것이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텐츠 재생 기준 내 스트리밍 시간 차이는, 복수의 단말1,2,3,5 별로, 컨텐츠서버(200)가 컨텐츠를 동시에 제공하는 경우 컨텐츠가 가장 늦게 스트리밍 및 재생 시작되는 특정 단말을 기준으로 설정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전술의 가정에 따르면, 컨텐츠 재생 기준 내 스트리밍 시간 차이는, 컨텐츠가 가장 늦게 스트리밍 및 재생 시작되는 특정 단말 즉 단말 5(0ms)를 기준으로, 단말1- 스트리밍 시간 차이 90ms, 단말2- 스트리밍 시간 차이 95ms, 단말3- 스트리밍 시간 차이 60ms, 단말5-스트리밍 시간 차이 0ms일 것이다.
이에, 동시재생지원장치(100)는, 컨텐츠 재생 기준 내 복수의 단말1,2,3,5 각각에 대한 제공 순위 및 스트리밍 시간 차이, 즉 단말1- 제공 순위3/ 스트리밍 시간 차이 90ms, 단말2- 제공 순위4/ 스트리밍 시간 차이 95ms, 단말3- 제공 순위2/ 스트리밍 시간 차이 60ms, 단말5- 제공 순위1/스트리밍 시간 차이 0ms에 따라, 컨텐츠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컨텐츠가 복수의 단말1,2,3,5 각각에 스트리밍 후 동시에 재생 시작될 수 있도록, 복수의 단말1,2,3,5 별로 컨텐츠 제공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시재생지원장치(100)는, 복수의 단말1,2,3,5 중 제공 순위가 가장 높은 단말5의 스트리밍 시간 차이 0ms를 기준으로, 제공 순위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단말5의 스트리밍 시간 차이 0ms에서 해당 단말의 스트리밍 시간 차이를 더한 시점을 컨텐츠 제공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복수의 단말1,2,3,5 중 제공 순위가 가장 높은 제공 순위1인 단말5의 컨텐츠 제공 시점은 t시각, 제공 순위 2인 단말3의 컨텐츠 제공 시점은 t+60ms 시각, 제공 순위 3인 단말1의 컨텐츠 제공 시점은 t+90ms 시각, 제공 순위 4인 단말2의 컨텐츠 제공 시점은 t+95ms 시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동시재생지원장치(100)는, 컨텐츠 재생 기준 내 복수의 단말1,2,3,5에 대한 제공 순위 및 스트리밍 시간 차이에 따라, 컨텐츠서버(200)에서 동시에 제공하는 컨텐츠가 복수의 단말1,2,3,5 각각에서 스트리밍된 후 동시에 재생 시작될 수 있도록, 복수의 단말1,2,3,5 별로 재생 지연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S161).
즉, 전술의 가정을 따를 경우, 동시재생지원장치(100)는, 컨텐츠 재생 기준 내 복수의 단말1,2,3,5 각각에 대한 제공 순위 및 스트리밍 시간 차이, 즉 단말1- 제공 순위3/ 스트리밍 시간 차이 90ms, 단말2- 제공 순위4/ 스트리밍 시간 차이 95ms, 단말3- 제공 순위2/ 스트리밍 시간 차이 60ms, 단말5- 제공 순위1/스트리밍 시간 차이 0ms에 따라, 컨텐츠서버(200)에서 동시에 제공하는 컨텐츠가 복수의 단말1,2,3,5 각각에서 스트리밍된 후 동시에 재생 시작될 수 있도록, 복수의 단말1,2,3,5 별로 재생 지연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시재생지원장치(100)는, 복수의 단말1,2,3,5 중 제공 순위가 가장 높은 단말5의 스트리밍 시간 차이 0ms를 기준으로, 제공 순위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단말5의 스트리밍 시간 차이 0ms에서 해당 단말의 스트리밍 시간 차이를 더한 시시간을 재생 지연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복수의 단말1,2,3,5 중 제공 순위가 가장 높은 제공 순위1인단말5의 재생 지연 시간은 0ms, 제공 순위 2인 단말3의 재생 지연 시간은 60ms, 제공 순위 3인 단말1의 재생 지연 시간은 90ms, 제공 순위 4인 단말2의 재생 지연 시간은 95ms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동시 재생 기법에 따르면 동시재생지원장치(100, 컨텐츠서버(200))는, 전술과 같이 복수의 단말1,2,3,5 별로 결정한 컨텐츠 제공 시점 또는 재생 지연 시간을 이용하여, 복수의 단말1,2,3,5 각각으로 동일한 컨텐츠를 제공한다(S162).
일 예에 따르면, 동시재생지원장치(100, 컨텐츠서버(200))는, 복수의 단말1,2,3,5 별로 결정한 컨텐츠 제공 시점에, 복수의 단말1,2,3,5 각각으로 컨텐츠 및 재생상태정보를 스트리밍 제공할 수 있다(S16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시재생지원장치(100, 컨텐츠서버(200))는, 복수의 단말1,2,3,5 별로 결정된 컨텐츠 제공 시점에 각기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단말5로는 컨텐츠 제공 시점 t시각에 제공하고, 단말3으로는 컨텐츠 제공 시점 t+60ms 시각에 제공하고, 단말1로는 컨텐츠 제공 시점 t+90ms 시각에 제공하고, 단말2로는 컨텐츠 제공 시점 t+95ms 시각에 제공할 수 있다.
물론, 동시재생지원장치(100, 컨텐츠서버(200))는, 복수의 단말1,2,3,5 별로 컨텐츠를 제공하면서, 메인 단말1로부터 기 수신한 재생상태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단말 간 컨텐츠 공유 재생에 필요한 전체 또는 일부 정보(이하, 재생상태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각 단말1,2,3,5에서는 컨텐츠서버(200)로부터 스트리밍 수신되는 하나의 컨텐츠를 자신에 수신되는 즉시 재생을 시작하며, 재생상태정보에 따른 정보들을 기반으로 동일하게 재생할 수 있다(S163).
한편, 다른 예에 따르면, 동시재생지원장치(100, 컨텐츠서버(200))는, 복수의 단말1,2,3,5 각각으로 동시에 컨텐츠와 복수의 단말1,2,3,5 별로 결정한 재생 지연 시간 및 재생상태정보를 스트리밍 제공할 수 있다(S162).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시재생지원장치(100, 컨텐츠서버(200))는, 복수의 단말1,2,3,5 별로 동시에 각기 컨텐츠를 제공하되 각 단말에 대해 결정한 재생 지연 시간을 제공함으로써, 단말5로는 컨텐츠 및 재생 지연 시간 0ms를 제공하고, 단말3으로는 컨텐츠 및 재생 지연 시간 60ms를 제공하고, 단말1로는 컨텐츠 및 재생 지연 시간 90ms를 제공하고, 단말2로는 컨텐츠 및 재생 지연 시간 95ms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동시재생지원장치(100, 컨텐츠서버(200))는, 복수의 단말1,2,3,5 별로 컨텐츠를 제공하면서, 메인 단말1로부터 기 수신한 재생상태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단말 간 컨텐츠 공유 재생에 필요한 전체 또는 일부 정보(이하, 재생상태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각 단말1,2,3,5에서는 컨텐츠서버(200)로부터 스트리밍 수신되는 하나의 컨텐츠를 자신에 수신된 재생 지연 시간 만큼 지연한 후 재생을 시작하며, 재생상태정보에 따른 정보들을 기반으로 동일하게 재생할 수 있다(S163).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 및 서버 간 통신 구조를 기반으로 각기 독립된 복수의 단말에서 동일 컨텐츠를 동시에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방식의 동시 재생 기법을 실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 간 거리 제약 없이, 각기 독립된 복수의 단말에서 동일 컨텐츠 동시 재생을 위한 동기화를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컨텐츠 감상 만족도 뿐 아니라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
위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시재생지원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동시재생지원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단말 및 서버 간 통신 구조를 기반으로 각기 독립된 복수의 단말에서 동일 컨텐츠를 동시에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방식의 동시 재생 기법을 실현할 수 있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2,3 : 단말
100 : 동시재생지원장치
110 : 단말확인부 120 : 기준확인부
130 : 제어부 140 : 컨텐츠제공부
150 : 통신부
200 : 컨텐츠서버

Claims (14)

  1. 컨텐츠 재생을 공유하기 위한 복수의 단말을 확인하는 단말확인부;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및 상기 복수의 단말 간 지연정보를 이용하여 설정되는 컨텐츠 재생 기준을 확인하는 기준확인부; 및
    상기 컨텐츠 재생 기준에 따라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에서 상기 컨텐츠가 동시에 재생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단말 별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점, 상기 제공 받은 컨텐츠에 대한 재생 지연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재생지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재생 기준은,
    상기 복수의 단말 별로, 상기 서버 및 단말 사이의 지연정보, 상기 서버 및 단말 사이의 통신방식, 상기 서버 및 단말 사이의 컨텐츠 제공 시 대역폭, 단말의 사양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재생지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재생 기준은,
    상기 복수의 단말 별로, 상기 서버가 상기 복수의 단말에 컨텐츠를 동시에 제공하는 경우 컨텐츠가 늦게 스트리밍(Streaming) 및 재생 시작되는 단말일수록 높게 설정되는 제공 순위와, 컨텐츠가 가장 늦게 스트리밍 및 재생 시작되는 특정 단말을 기준으로 설정되는 스트리밍 시간 차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재생지원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재생 기준 내 상기 복수의 단말에 대한 제공 순위 및 스트리밍 시간 차이에 따라, 상기 서버에서 제공하는 상기 컨텐츠가 상기 복수의 단말에서 스트리밍된 후 동시에 재생 시작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단말 별로 컨텐츠 제공 시점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재생지원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재생 기준 내 상기 복수의 단말에 대한 제공 순위 및 스트리밍 시간 차이에 따라, 상기 서버에서 동시에 제공하는 상기 컨텐츠가 상기 복수의 단말에서 스트리밍된 후 동시에 재생 시작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단말 별로 재생 지연 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재생지원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확인부는,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거나 상기 컨텐츠 재생을 시도하는 메인 단말에서 공유 단말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메인 단말 및 상기 공유 단말 정보에 따른 서브 단말을 상기 복수의 단말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재생지원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확인부는,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거나 상기 컨텐츠 재생을 시도하는 메인 단말과 관련하여, 상기 메인 단말과의 컨텐츠 재생 공유가 허용된 서브 단말로부터 상기 메인 단말과의 컨텐츠 공유가 요청되면, 상기 메인 단말 및 상기 서브 단말을 상기 복수의 단말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재생지원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단말로 컨텐츠를 스트리밍 제공하는 컨텐츠제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제공부는,
    상기 메인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상태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으로 상기 복수의 단말 별로 결정한 컨텐츠 제공 시점에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재생상태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으로 동시에 상기 컨텐츠와 상기 복수의 단말 별로 결정한 재생 지연 시간 및 상기 재생상태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재생지원장치.
  9. 컨텐츠 재생을 공유하기 위한 복수의 단말을 확인하는 단말확인단계;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및 상기 복수의 단말 간 지연정보를 이용하여 설정되는 컨텐츠 재생 기준을 확인하는 기준확인단계; 및
    상기 컨텐츠 재생 기준에 따라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에서 상기 컨텐츠가 동시에 재생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단말 별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점, 상기 제공 받은 컨텐츠에 대한 재생 지연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결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재생지원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재생 기준은,
    상기 복수의 단말 별로, 상기 서버가 상기 복수의 단말에 컨텐츠를 동시에 제공하는 경우 컨텐츠가 늦게 스트리밍(Streaming) 및 재생 시작되는 단말일수록 높게 설정되는 제공 순위와, 컨텐츠가 가장 늦게 스트리밍 및 재생 시작되는 특정 단말을 기준으로 설정되는 스트리밍 시간 차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재생지원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컨텐츠 재생 기준 내 상기 복수의 단말에 대한 제공 순위 및 스트리밍 시간 차이에 따라, 상기 서버에서 제공하는 상기 컨텐츠가 상기 복수의 단말에서 스트리밍된 후 동시에 재생 시작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단말 별로 컨텐츠 제공 시점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재생지원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컨텐츠 재생 기준 내 상기 복수의 단말에 대한 제공 순위 및 스트리밍 시간 차이에 따라, 상기 서버에서 동시에 제공하는 상기 컨텐츠가 상기 복수의 단말에서 스트리밍된 후 동시에 재생 시작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단말 별로 재생 지연 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재생지원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확인단계는,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거나 상기 컨텐츠 재생을 시도하는 메인 단말에서 공유 단말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메인 단말 및 상기 공유 단말 정보에 따른 서브 단말을 상기 복수의 단말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재생지원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상태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으로 상기 복수의 단말 별로 결정한 컨텐츠 제공 시점에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재생상태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으로 동시에 상기 컨텐츠와 상기 복수의 단말 별로 결정한 재생 지연 시간 및 상기 재생상태정보를 제공하는 컨텐츠제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재생지원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90039544A 2019-04-04 2019-04-04 동시재생지원장치 및 동시재생지원장치의 동작 방법 KR102220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544A KR102220236B1 (ko) 2019-04-04 2019-04-04 동시재생지원장치 및 동시재생지원장치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544A KR102220236B1 (ko) 2019-04-04 2019-04-04 동시재생지원장치 및 동시재생지원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435A true KR20200117435A (ko) 2020-10-14
KR102220236B1 KR102220236B1 (ko) 2021-02-25

Family

ID=72847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9544A KR102220236B1 (ko) 2019-04-04 2019-04-04 동시재생지원장치 및 동시재생지원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02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3663B1 (ko) * 2022-01-25 2023-05-17 모성환 실시간으로 영상 콘텐츠의 재생 시간을 동기화시키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23224284A1 (ko) * 2022-05-16 2023-11-23 주식회사 컬러버스 복수 서버를 이용한 3차원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624659B1 (ko) * 2023-06-01 2024-01-15 주식회사 스크리나 개인방송 환경 정보를 참조로 하여 컨텐츠의 싱크를 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037B1 (ko) * 2011-05-25 2012-12-06 엠앤서비스 주식회사 콘텐츠 동시 재생 단말, 그 시스템 및 동시 재생 방법
KR20130020383A (ko) * 2011-08-19 2013-02-27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콘텐츠 리스트에 대한 그룹 감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단말기, 서버 및 기록매체
KR20130029950A (ko) * 2011-09-16 2013-03-26 주식회사 케이티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공유 서버 및 방법
JP2013229858A (ja) * 2012-03-29 2013-11-07 Ntt Docomo Inc 携帯端末、情報再生システムおよび情報再生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037B1 (ko) * 2011-05-25 2012-12-06 엠앤서비스 주식회사 콘텐츠 동시 재생 단말, 그 시스템 및 동시 재생 방법
KR20130020383A (ko) * 2011-08-19 2013-02-27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콘텐츠 리스트에 대한 그룹 감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단말기, 서버 및 기록매체
KR20130029950A (ko) * 2011-09-16 2013-03-26 주식회사 케이티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공유 서버 및 방법
JP2013229858A (ja) * 2012-03-29 2013-11-07 Ntt Docomo Inc 携帯端末、情報再生システムおよび情報再生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3663B1 (ko) * 2022-01-25 2023-05-17 모성환 실시간으로 영상 콘텐츠의 재생 시간을 동기화시키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30114738A (ko) * 2022-01-25 2023-08-01 모성환 실시간으로 영상 콘텐츠의 재생 시간을 동기화시키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23224284A1 (ko) * 2022-05-16 2023-11-23 주식회사 컬러버스 복수 서버를 이용한 3차원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624659B1 (ko) * 2023-06-01 2024-01-15 주식회사 스크리나 개인방송 환경 정보를 참조로 하여 컨텐츠의 싱크를 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0236B1 (ko) 202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1186B1 (ko)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 방법 및 디바이스
US201001155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distributing media content
KR101317436B1 (ko) 인스턴트 리플레이와 타임 쉬프트 재생 기능을 기초로 하는네트워크
US7707246B1 (en) Creating a social network around recorded media
KR102220236B1 (ko) 동시재생지원장치 및 동시재생지원장치의 동작 방법
US10368118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managing video content recordings
KR100765368B1 (ko) 컨텐츠 연속 서비스를 위한 스트리밍 방법 및 이를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기록매체
US20050183120A1 (en) Multi-user personalized digital multimedia distribution methods and systems
EP3398314A1 (en)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ed media delivery
US8176192B2 (en) Networked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for stream data
US9918036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distributing media content
US2012025995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using a network condition-based adaptive data streaming service
JP2012249275A (ja) コンテンツ同時再生端末、コンテンツ同時再生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同時再生方法
US20140344854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Speech to Text Converted Audio with Streaming Video Content Data
US859578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media content requests
KR20130005873A (ko) 방송 시스템에서 컨텐츠 수신 방법 및 장치
US982628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erting advertisement in a broadcasting system
US8595779B2 (en) Base server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distribu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system
CA303373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lient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9538234B2 (en) Time-shifting of a live media stream
JPWO2017047434A1 (ja) 送信装置、受信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
WO2010057391A1 (zh) 一种流媒体播放控制方法、设备及系统
US924704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communication identifiers
JP2023519293A (ja) プログラム再生方法及び装置
WO2017047433A1 (ja) 送信装置、受信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