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7345A - 에코나졸을 함유하는 나노지질담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에코나졸을 함유하는 나노지질담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7345A
KR20200117345A KR1020190039330A KR20190039330A KR20200117345A KR 20200117345 A KR20200117345 A KR 20200117345A KR 1020190039330 A KR1020190039330 A KR 1020190039330A KR 20190039330 A KR20190039330 A KR 20190039330A KR 20200117345 A KR20200117345 A KR 20200117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ming
weight
lip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9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6174B1 (ko
Inventor
조정원
나영국
이홍기
허현욱
김민기
변진주
한민구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39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174B1/ko
Publication of KR20200117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15Drug-containing film-forming compositions, e.g. spray-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641,3-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1Nanocapsules; Nanoparticles
    • A61K9/5107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5123Organic compounds, e.g. fats, sug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nc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코나졸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나노지질담체, 및 필름형성조성물을 포함하는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에코나졸의 피부 투과도를 증진시키며 피부 도포 시 필름을 형성함에 따라 나노지질담체가 피부에 도포된 상태로 존재하여 지속적인 약물 방출로 장시간 항균작용을 나타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에코나졸을 함유하는 나노지질담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Nanostructured lipid carriers comprising econazole and film-forming topic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에코나졸의 향상된 피부 투과도, 지속적인 약물 방출 및 장시간 항균작용을 제공하는 에코나졸 함유 나노지질담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에코나졸(Econazole)은 통상적으로는 ‘1-[2-[(4-클로로페닐)메톡시]-2-(2,4-디클로로페닐)에틸]이미다졸’로 명명되며, 하기 화학식 I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다.
Figure pat00001
에코나졸은 진균류 세포막의 필수 구성 요소인 에르고스테롤(ergosterol)의 합성에 필요한 14-α-디메틸레이즈(14-α-demethylase)와 상호작용하여 에르고스테롤의 합성을 억제한다. 또한, 균의 내인성 호흡을 억제하고 세포막의 인지질과 결합하여 효모가 균사형태로 변형되는 것을 억제한다. 에코나졸은 병원성 피부병의 다양한 종에 의해 유발된 피부감염을 치료하는데 사용되며, 예를 들어 피부사상균(Trichophyton 균, Microsporum 균, Epidermophyton 균)에 의한 무좀, 두부백선, 어루러기, 가려움증 등 및 칸디다균(Candida 균)에 의한 외음부염, 질염 등과 같은 피부감염을 치료하기 위해 연고, 크림제, 액제 또는 겔의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에코나졸을 포함하는 연고, 크림제, 액제 또는 겔은 피부 적용 제제로 개발되었으나 1일 2회 또는 3회를 2~4주간 적용하여야 한다. 상기 제제는 피부에 적용 시 옷 등의 외부 접촉에 의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피부로부터 쉽게 떨어지거나 씻길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반복 투여가 필요하며, 투여를 하지 못하는 경우, 임상 시험으로부터 증명된 효능·효과를 나타내기가 어렵다. 피부사상균의 경우 약물의 지속적인 노출로 균의 증식을 억제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제형의 문제점으로 수개월 적용하여도 완치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에코나졸 제제는 피부 보호막인 각질층(Stratum corneum)에 대한 활성성분의 투과도가 낮아 피부의 표피, 진피 내 존재하는 진균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지 못하여 치료기간이 길어지거나 다시 재발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활성성분의 피부 국소효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하기 위해 활성성분의 피부 투과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키고 피부에 활성성분을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는 약물 전달 시스템이 필요하다.
나노지질담체(Nanostructured lipid carriers)는 피부를 통한 약물 전달 동안 발생하는 낮은 피부 투과도와 제형의 안전성 등의 단점을 보완하여 피부를 통한 약물 전달에 사용될 수 있으며, 약물의 피부 투과도를 향상시키고 약물의 표적 지향 전달이나 약물의 지속적 방출을 위한 제제로서, 다른 나노기술 약물전달시스템에 비해 약물 방출의 조절, 약물전달 효율 및 약물 안정화 효과가 우수하다. 하지만, 나노지질담체 또한 피부 적용을 위해 연고, 크림제, 액제 또는 겔 제형의 형태로 사용되기 때문에 피부에 장시간 존재하기 어려워 지속적인 방출을 이루기 어렵다. 따라서, 나노지질담체를 장시간 피부에 존재시키기 위한 다른 제제기술 적용이 필요하다.
종래 특허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10-2016-0015335에는 에코나졸 등의 제1 활성제를 포함하는 코어, 및 부분적으로 상기 코어를 덮는 지질, 탄수화물, 또는 단백질을 포함하는 제1코팅층을 포함하는 입자와, 입자에 계면활성제를 첨가제로 조합하는 구성의 조성물이 삼푸, 컨디셔너, 크림 등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는 점이 개시되어 있고, 일본공개특허 2010-500340에는 무기원소, 활성제, 및 방출률 조절제를 포함하는 크림, 로션 형태 등의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 조성물들은 국소 적용시 장시간에 걸쳐 활성 약물이 피부에 노출되거나 지속적으로 약효를 발현시키는 데에 여전히 한계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에코나졸을 활성물질로 하는 통상적인 제제들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하였고, 그 결과 보관 및 사용 시에는 통상적인 크림의 형태이지만 피부에 적용하게 되면 필름을 형성하여 진균에 대한 지속적인 활성물질의 노출로 효과적인 항균작용을 나타내고, 현재 시판되고 있는 연고가 1일 2회 또는 1일 3회 적용하는데 반해 본 발명은 1~3일 1회 적용으로 약효를 발휘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한국공개특허 10-2016-0015335 (코팅된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2016. 2. 12. 공개) 일본공개특허 2010-500340 (활성 성분을 송달하기 위한 입자, 그 제조 방법 및 조성물, 2010. 1. 7.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코나졸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피부 투과도 향상, 지속적인 약물 방출 및 장기간 항균작용을 나타내는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관 및 사용 시에는 통상적인 크림 형태이지만 피부에 도포 시 건조됨에 따라 피부 투과도 향상, 지속적인 약물 방출 및 장기간 항균작용을 나타내는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활성물질로서 에코나졸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고체지질, 액체지질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나노지질담체; 및
고분자, 점증제, 가소제 및 휘발성용매로 구성된 필름형성조성물;
을 포함하는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 시 상기 필름형성조성물이 건조됨에 따라 필름이 형성되고, 나노지질담체가 피부에 도포된 상태로 존재하여 지속적으로 활성물질을 방출하여 장시간 항균작용을 나타낸다.
상기 나노지질담체에 있어서, 고체지질은 글리세롤모노스테아레이트이고, 상기 액체지질은 카프릴릭/카프릴산 글리세라이드이며,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피마자유 유도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노지질담체는, 에코나졸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포함하며 고체지질과 액체지질이 혼합된 중심부에, 계면활성제가 외부를 이루는 입자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노지질담체는 나노지질담체 총 중량 기준으로 활성물질 2.4~3.0중량%, 고체지질 57.9~81.4중량%, 액체지질 0.0~23.4중량% 및 계면활성제 16.2~19.7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필름형성조성물에 있어서, 고분자는 에틸아크릴레이트/암모늄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점증제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 공중합체 및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중 1종 이상이고, 가소제는 트리에틸시트레이트이며, 휘발성용매는 에탄올 또는 에탄올과 물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름형성조성물은 필름형성조성물 기준으로 고분자 1~10중량/용적%, 점증제 0.5~1.5중량/용적%, 및 가소제 0.1~1중량/용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나노지질담체와 필름형성조성물이 1:5 내지 1:7.5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피부에 도포 시 건조됨에 따라 필름을 형성하여 장기적 항균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양태에 따르면,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에코나졸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고체지질 및 액체지질을 70 내지 80℃로 가열하여 용해 및 혼합하여 지질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1단계); 계면활성제를 물에 녹인 용액을 상기 지질 혼합물과 동일한 온도로 가열한 후 상기 지질 혼합물을 분산시켜 나노지질담체를 제조하는 단계(2단계); 및 상기 나노지질담체를 고분자, 점증제, 가소제 및 휘발성용매를 포함하는 필름형성조성물에 분산시키는 단계(3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이란 에코나졸 또는 이의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나노지질담체를 필름형성조성물과 혼합한 형태의 조성물로 저장 및 사용 시 크림 형태로 존재하나 피부에 도포 시 건조됨에 따라 필름을 형성하는 조성물을 말한다.
본 발명의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활성 물질의 피부 투과도를 개선하고 지속적인 약물 방출 및 장시간 항균작용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고 활성 물질의 피부 적용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환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에코나졸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고체지질 및 액체지질을 70 내지 80℃로 가열하여 용해 및 혼합하여 지질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1단계); 계면활성제를 물에 녹인 용액을 상기 혼합물과 동일한 온도로 가열한 후 상기 지질 혼합물을 분산시켜 나노지질담체를 제조하는 단계(2단계); 및 상기 나노지질담체를 고분자, 점증제, 가소제 및 휘발성용매를 포함하는 필름형성조성물과 혼합하는 단계(3단계);를 포함해서 제조된다.
본 발명에서 ‘나노지질담체’란 활성성분인 에코나졸을 포함하고 고체지질, 액체지질 및 계면활성제로 구성된 나노입자로서 활성성분의 피부투과도를 향상시키고 지속적인 방출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조성물을 말한다.
상기 나노지질담체는 나노지질담체의 총 중량 기준으로 활성물질 1.7~3.7중량%, 고체지질 27.9~81.4중량%, 액체지질 0.0~32.6중량% 및 계면활성제 16.2~56.0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활성물질 2.4~3.0중량%, 고체지질 57.9~81.4중량%, 액체지질 0.0~23.4중량% 및 계면활성제 16.2~19.7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활성물질 2.4~2.8중량%, 고체지질 65.0~75.0중량%, 액체지질 5.0~15.0중량%, 및 계면활성제 16.2~19.0중량%가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체지질은 녹는점 40℃ 이상인 지질류 또는 왁스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활성성분인 에코나졸에 대한 충분한 용해도를 갖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고체지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체지질은 글리세롤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팔미토스테아레이트(Compritol 888 ATO),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Precirol ATO 5), 폴리에틸렌글리콜-32 글리세릴라우레이트(Gelucire 44/14), 폴리에틸렌글리코-32 글리세릴팔미토스테아레이트(Gelucire 50/13), 스테아린산(Stearic acid), 미리스틱산(Myristic acid), 왁스(Ceresin, Caster wax, Carnauba wax)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롤모노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한다.
상기 고체지질의 함량이 나노지질담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7.9중량% 미만일 경우 에코나졸의 봉입이 어려워 수상에 약물이 유출될 수 있으며, 81.4중량%를 초과할 경우 지질이 수상에 균질하게 분산되지 않아 입자의 크기가 증가하여 침전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체지질은 나노지질담체의 총 중량 기준으로 27.9~81.4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57.9~81.4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액체지질은 용융된 고체지질과 혼합하여 약물을 고체지질 내 포함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활성성분인 에코나졸에 대한 높은 용해도를 갖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액체지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액체지질은 카프릴릭/카프릴산 글리세라이드(Capmul MCM), 프로필렌글리콜 모노카프릴레이트(Capryol 90),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Lauroglycol 90, Lauroglycol FCC), 카프릴릭/카프릭산 트리글리세라이드(Labrafac CC), 중쇄(medium-chain) 트리글리세라이드(Labrafac Lipophile WL 1349), 올레오일 폴리옥실글리세라이드(Labrafil M 1944 CS), 리노레오일 폴리옥실글리세라이드(Labrafil M 2125), 글리세릴 모노올리에이트(Peceol)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카프릴릭/카프릴산 글리세라이드(Capmul MCM)를 사용한다.
상기 액체지질의 함량이 나노지질담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2.6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나노지질담체의 입자크기가 증가하며 수상에 균질한 분산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액체지질은 나노지질담체의 총 중량 기준으로 0.0~32.6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하며, 0.0~23.4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계면활성제는 고체 및 액체지질 혼합물이 수상에 분산될 때 지질상 주변을 계면활성제의 소수성기가 붙어 친수성기가 수상과 접촉함에 따라 수상에 안정한 상태로 분산되도록 한다. 생성된 나노지질담체의 침전을 막고 작고 균질한 입자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계면활성제로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Poloxamer 188, Poloxamer 407), 폴리옥시에틸렌피마자유 유도체(Cremophor RH40),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에스테르(Tween 20, Tween 80),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Myrj 52)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Mryj 52)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나노지질담체의 총 중량기준으로 16.2중량% 미만의 계면활성제 사용은 지질과 수상의 표면장력을 낮추지 못하여 나노지질담체가 안정하게 수상에 분산되지 못하고 응집이 발생하여 침전이 생길 수 있다. 56.0중량% 초과의 계면활성제 사용은 활성성분인 에코나졸의 친수성을 증가시켜 나노지질담체 내 에코나졸이 봉입되지 못하고 외부 수상으로 빠져나가 봉입률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나노지질담체의 총 중량 기준으로 16.2~56.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6.2~19.7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나노지질담체를 장시간 피부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필름형성조성물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필름형성조성물’이란 보관 및 사용 시 연고, 겔, 크림형태이나 피부에 도포 시 건조됨에 따라 피부에 얇은 필름을 형성하여 활성성분이 장시간 피부에 부착되어 있거나 흡수되도록 하는 조성물을 말한다. 필름형성조성물은 필름을 형성하여 옷 등에 묻어날 염려가 없기 때문에 환자가 활동에 불편함이 없이 사용할 수 있고, 형성된 필름 내의 활성성분이 지속적으로 피부에 노출되어 약효 발현을 증가시키고 피부 적용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환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필름형성조성물은 필름형성 고분자, 점증제, 가소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필름형성조성물은 필름형성조성물 기준으로 고분자 1~10중량/용적%(wt/v%), 점증제 0.5~1.5중량/용적%, 및 가소제 0.1~1중량/용적%인 것이 바람직하고, 고분자 1~5중량/용적%, 점증제 0.5~1중량/용적%, 및 가소제 0.2~1중량/용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필름형성조성물에 있어서 고분자, 점증제, 및 가소제는 휘발성용매에 용해된다.
본 발명에서 필름형성 고분자는 휘발성용매에 용해되고 피부에 도포 시 건조됨에 따라 얇은 막을 형성할 수 있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는 에틸아크릴레이트/암모늄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Eudragit RL100, Eudragit RS PO, Eudragit RL PO),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L),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PVP/VA 630), 및 폴리비닐알코올(Kollidon 30)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아크릴레이트/암모늄 메타크릴레이드 공중합체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필름형성조성물 기준으로 1중량/용적% 미만의 필름형성 고분자 사용은 피부에 도포 시 낮은 고분자 농도로 인해 충분한 필름을 형성하지 못하여 피부에 부착되지 못하고 고르게 분포될 수 없다. 10중량/용적% 초과의 필름형성고분자의 사용은 휘발성용매인 에탄올과 정제수의 혼합액에 충분히 용해시키기가 어려우며 침전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름형성 고분자는 필름형성조성물 기준으로 1~10중량/용적%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5중량/용적%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점증제는 휘발성용매에 용해되고 수화된 상태에서 분자구조가 펼쳐져 부피가 팽창하고 물을 함유하여 필름형성조성물의 점도를 증가시켜 피부에 도포 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며 나노지질담체가 균질하게 분산되도록 도와 조성물의 상분리 또는 침전을 지연시켜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 공중합체(POLYOX 303) 및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Natrosol 250H Pharm)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Natrosol 250H Pharm)를 사용한다.
상기 점증제는 필름형성조성물 기준으로 0.5중량/용적% 미만일 경우 점도가 낮아 나노지질담체의 침전이 발생하며 피부에 도포 시 접착되지 않고 흘러내릴 수 있으며, 1.5중량/용적%를 초과할 경우 휘발성용매에 점증제가 모두 용해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점증제는 필름형성조성물 기준으로 0.5~1.5중량/용적%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 0.5~1중량/용적%로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가소제는 휘발성용매에 용해되고 필름형성 고분자가 피부에 필름을 형성할 때 필름이 갈라지지 않고 유연성을 가지는 필름을 형성하도록 도와줄 수 있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가소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디부틸 세바케이트, 트리부틸시트레이트, 및 트리에틸시트레이트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며, 트리에틸시트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는 필름형성조성물 기준으로 0.1중량/용적%미만일 경우 필름이 갈라지고 유연성이 떨어져 바람직하지 않고, 1중량/용적%를 초과할 경우 필름 건조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가소제는 필름형성조성물 기준으로 0.1~1중량/용적%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 0.2~1중량/용적%로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나노지질담체와 필름형성조성물을 혼합하여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나노지질담체와 필름형성조성물이 1:5 내지 1:7.5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나노지질담체와 필름형성조성물이 1:5인 경우에 비해 나노지질담체의 양이 증가하면 나노지질담체가 충분히 분산되지 못하여 함량 불균형을 발생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나노지질담체와 필름형성조성물의 중량비가 1:7.5인 경우에 비해 나노지질담체의 양이 적으면 피부 적용에 필요한 에코나졸 양에 비해 높은 중량과 용량을 지녀 너무 많은 양의 제형을 국소에 투여함에 따라 환자의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국소용 약제학적 제형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존제, 착향제, 기제, 보습제, 안정화제, 소포제, 무통화제, 항산화제, 점착제, 겔화제, 유연제, 수렴제, 불투명화제 등이며 국소용 제형에 대하여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들로써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적용 시 필름 형성을 방해하지 않는 것들이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진균 감염으로 인한 피부 질환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환자의 질환 종류, 질환의 경증, 제형의 종류,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건강 상태, 식이, 국소용 약제학적 치료용 조성물의 투여 시간 및 투여 방법,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횟수는 성인 기준으로 1~7일에 1회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일에 1회이다.
본 발명의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활성물질인 에코나졸 함유 나노지질담체를 포함함으로써 에코나졸의 피부 투과도를 개선하고 지속적인 방출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나노지질담체와 함께 필름형성조성물을 포함함으로써 당해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 보관 및 사용시에는 크림 형태이지만 피부에 도포시 건조됨에 따라 필름을 형성하여 지속적인 활성물질 방출과 장시간에 걸친 항균작용을 가능하게 하고, 외부환경에 의한 영향을 줄일 수 있어 환자에게 1~3일에 1회 투여로도 우수한 항균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다.
도 1은 여러 고체지질 및 액체지질에 대한 에코나졸의 용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요인(Factor)인 고체지질 비율(X1), 액체지질 비율(X2), 총 지질 사용량(X3)에 대한 반응의 상관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계면활성제 사용비율(X4)은 1 w/v%로 고정하였다. (A) 입자크기(Y1), (B) 다분산도(Y2), (C) 봉입률(Y3)
도 3의 (A)는 입자크기(Y1)가 500 nm이하, 봉입률(Y3)가 80%이상의 반응결과를 나타는 인자 조성의 범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의 (B)는 목표하는 반응결과를 나타내는 인자의 조성을 만족도 함수(Desirability function)를 통해 최적의 조성을 제시한 그래프이다.
도 4은 pH 5.0 용출액에서 대조군 에코나졸 원료와 본 발명의 에코나졸 함유 나노지질담체(실시예 7)의 용출 비교 시험 결과이다.
도 5는 에코나졸, 글리세롤모노스테아레이트, Capmul MCM, Mryj 52, 실시예 7의 조성이되 에코나졸 미함유 나노지질담체(Blank-실시예 7), 에코나졸 함유 나노지질담체(실시예 7), 사용 첨가제의 물리적 혼합물의 시차 주사 열량 측정결과 그래프이다.
도 6은 실시예 7의 입자 형성을 확인한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사진이다.
도 7은 에코나졸 원료(Control), 실시예 7의 조성이되 에코나졸 미함유 나노지질담체(Blank-실시예 7), 에코나졸 함유 나노지질담체 (실시예 7)의 농도에 따른 피부각질세포(HacaT cell)에 대한 농도 및 적용 시간에 따른 세포독성 시험 결과이다. (A) 24 시간 적용, (B) 48시간 적용, (C) 72시간 적용
도 8은 에코나졸 원료(Control), 실시예 7의 조성이되 에코나졸 미함유 나노지질담체(Blank-실시예 7), 본 발명의 에코나졸 함유 나노지질담체(실시예 7)의 항균효과를 진균의 일종인 트리코피톤 루브룸(Trichopyton rubrum)에 대해 확인한 결과이다. (A) 육안평가 결과, (B) 흡광도 평가 결과
도 9는 실시예 16의 조성이되 나노지질담체를 포함하지 않는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Blank-실시예 16)과 본 발명의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실시예 16)의 주사전자현미경 관찰 사진이다. (A) Blank-실시예 16(1,000 배율), (B) Blank-실시예 16(5,000 배율), (C) 실시예 16(1,000 배율), (D) 실시예 16(5,000 배율)
도 10은 시판되는 에코나졸 연고(Control), 에코나졸 함유 나노지질담체의 겔 제형(비교예 13), 본 발명의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실시예 16)의 세척횟수에 따른 에코나졸 잔량 측정을 통한 부착력 평가 결과이다.
도 11은 시판되는 에코나졸 연고(Control), 에코나졸 함유 나노지질담체의 겔 제형(비교예 13), 본 발명의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실시예 16)의 피부 투과도 평가 결과이다.
도 12는 시판되는 에코나졸 연고(Control), 에코나졸 함유 나노지질담체의 겔 제형(비교예 13), 본 발명의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실시예 16)의 디스크 확산 시험을 통한 항균효과 평가 결과이다.
도 13은 형광물질인 Coumarin-6를 함유하는 시판되는 에코나졸 연고(Control), 에코나졸 함유 나노지질담체의 겔 제형(비교예 13), 본 발명의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실시예 16)을 랫트에 적용 후 랫트의 피부 조직을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이다.
도 14는 형광물질인 Coumarin-6를 함유하는 시판되는 에코나졸 연고(Control), 본 발명의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실시예 16)의 마우스 적용 후 시간에 따른 피부 분포를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이다.
도 15는 시판되는 에코나졸 연고(Control), 본 발명의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실시예 16)의 마우스 적용 후 시간에 따른 에코나졸의 피부 잔량을 추출하여 트리코피톤 루브룸(Trichophyton rubrum)에 대한 디스크 확산 시험을 통해 균 증식 억제 구역 면적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실시예 16)을 사람 피부에 적용 후 (A) 건조 전과 (B) 건조 후의 성상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 실험예 1. 에코나졸을 함유한 나노지질담체의 제조>
1-1. 용해도 실험
에코나졸에 대한 높은 용해도를 갖는 지질을 선정하기 위해 각 고체지질 및 액체지질에 대한 포화 용해도 실험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고체지질 1 g을 약 녹는점 이상의 온도로 가열한 상태에서 에코나졸을 용융된 고체지질에 가한 뒤 교반한다. 에코나졸이 모두 녹을 경우 약물을 더 추가하고 약물이 석출될 경우 약물의 첨가를 중단하였다. 이에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을 5 mL 첨가하고 투명하게 녹인 후 1 mL을 취해 50v/v% 프로판올로 희석하고 0.45um의 시린지 필터(syringe filter)로 여과한 뒤 여과액을 HPLC로 분석하였다.
액체지질의 경우, 에코나졸 20mg을 각 액체지질 1g에 가한 뒤 상온에서 교반하고 에코나졸이 모두 녹을 경우 약물을 더 첨가한 후 72시간 동안 교반하여 포화시켰다. 이를 원심분리기 15,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취하여 50v/v% 프로판올로 희석하고 0.45um의 시린지 필터(syringe filter)로 여과한 뒤 여과액을 HPLC로 분석하였다.
<HPLC 분석법>
컬럼 : Xterra® RP18 (C18, 5um, 4.6 × 250mm, Waters)
이동상 : 아세토나이트릴 : 50mM 아세트산 암모늄 (pH 8.2, pH는 6M 수산화 암모늄으로 조절) = 60:40 (v/v)
주입량 : 20μL
유속 : 1.0mL/min
검출파장 : 230nm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체지질은 글리세롤모노스테아레이트가 가장 용해도가 높았으며, 액체지질은 Capmul MCM이 가장 높았다. 다음 실험예에서 다양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나노지질담체를 제조하였다.
1-2. 나노지질담체의 제조 및 계면활성제 선정
상기 용해도 실험 결과를 기반으로, 고체지질 글리세롤모노스테아레이트 400 mg 및 액체지질 Capmul MCM 200 mg에 에코나졸 30 mg을 넣은 뒤 75℃로 가열하여 투명한 용액으로 만든다. 각 계면활성제를 1w/v% 농도로 정제수에 녹인 후 75℃로 가열한다. 지질과 약물의 혼합액에 가열된 계면활성제 용액 20 mL을 넣어주면서 5분간 프로브타입 초음파 분쇄기로 균질화하여 나노지질담체를 제조한다. 각각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제조된 나노지질담체의 입도크기와 다분산도를 평가하였다. 입도크기와 다분산도는 electrophoretic laser scattering analyzer (ELS-8000, Otsuka Electronics, Osaka, Japa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계면활성제 입자크기 (nm) 다분산도
실시예 1 Poloxamer 188 336.6 ± 15.4 0.203 ± 0.021
실시예 2 Poloxamer 407 315.8 ± 10.8 0.222 ± 0.031
실시예 3 Cremophor RH40 631.7 ± 42.7 0.192 ± 0.011
실시예 4 Tween 20 272.3 ± 24.7 0.230 ± 0.019
실시예 5 Tween 80 604.4 ± 36.9 0.134 ± 0.024
실시예 6 Myrj 52 83.3 ± 2.6 0.113 ± 0.013
비교예 1 Solutol HS 15 4239.2 ± 153.4 0.386 ± 0.028
상기 표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계면활성제의 종류에 따라 나노지질담체의 특성이 많은 영향을 받았다. 비교예 1에서 Solutol HS 15를 사용할 경우 침전이 발생하여 4239.2 nm의 입자가 얻어졌다. 실시예 1 내지 5에서 Poloxamer 188, Polaxamer 407, Cremophor RH40, Tween 20, Tween 80을 계면활성제로 사용할 경우 272.3~631.7 nm의 입자가 얻어졌으나, 실시예 6에서 Myrj 52를 계면활성제로 사용할 경우 가장 작은 83.3 nm의 입자크기를 갖는 나조지질담체가 형성되었다. 입자크기의 균일성을 나타내는 다분산도 결과는 비교예 1의 Soluto HS 15를 사용하여 제조한 나노지질담체를 제외하고 모든 실시예에서 0.3 이하의 적합한 값이 나타났다.
< 실험예 2. 에코나졸 나조지질입자의 최적화를 위한 실험설계법>
2-1. 실험설계법(DOE)의 인자(Factor) 범위 선정
실험설계는 combined design으로 진행하였다. 고체지질로 글리세롤모노스테아레이트, 액제지질로 Capmul MCM, 계면활성제로서 Myrj 52를 사용하여 실험설계법에 따라 나노지질담체를 최적화하였다. 실험 요인(factor)은 고체지질과 액체지질의 비율(X1, X2), 총 지질 사용량(X3), 계면활성제 사용비율(X4)로 설정하였다. 실험 요인 X1과 X2는 mixture design 방법으로 실험을 설계하였으며, X3와 X4의 경우 response surface design 방법으로 실험을 설계하였다. 실험예 1-1 을 기반으로 고체지질과 액체지질은 66.3:33.4 에서 100:0의 비율로 제조하였다. 총 지질의 사용량 범위는 최소 600 mg에서 최대 1,000 mg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계면활성제 사용비율은 1~4 w/v%의 범위로 설정하였으며 제조된 계면활성제 용액은 20 mL을 사용하였다. 에코나졸 30 mg을 함유하는 나노지질담체는 실험예 1-2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각 조성물의 조건에 따라 나노지질담체를 제조한 후 나타나는 반응(response)으로 입도크기(Y1), 다분산도(Y2), 약물봉입률(Y3)을 평가하였다. 하기 표 2에 요인 범위와 반응을 기재하였다.
약물봉입률(Y3)은 제조된 나노지질담체를 18,000 g로 30분간 원심분리한다. 상층액 1 mL을 취한 뒤 MWCO 100KD 필터 후 50v/v% 프로판올로 희석한 후 18,000 g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HPLC 분석한다. 상층액의 에코나졸 농도와 총 에코나졸 농도를 비교하여 약물봉입률을 계산한다.
Combined design (Mixture + Response surface design)
Mixture design Response surface design
요인 (Factors) 최소 최대 요인 (Factors) 최소 최대
X1: 글리세롤모노스테아레이트 (%) 66.6 100 X3: 총 지질
사용량 (mg)
600 1,000
X2: Capmul MCM (%) 0 33.4 X4: 계면활성제
사용비율 (%, 20 mL)
1 4
반응 (Responses) 목표 허용범위
Y1: 입도크기 (nm) 최소 500 nm 이하
Y2: 다분산도 최소 -
Y3: 약물봉입률 (%) 최대 80% 이상
2-2. 실험설계법(DOE)의 실험 진행
실험 설계법은 Design Expert® 11를 사용하여 Combined design 실험 방법으로 28회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요인은 고체지질과 액체지질의 비율 (X1, X2), 총 지질 사용량 (X3), 계면활성제 사용비율 (X4)이며, 반응은 제조된 나노지질담체의 입도크기 (Y1), 다분산도 (Y2), 약물봉입률 (Y3)로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하기 표 3에 요인 설계 조성과 반응의 결과를 기재하였다.
실험 요인 (Factors) 반응 (Responses)
X1 X2 X3 X4 Y1 Y2 Y3
글리세롤모노스테아레이트 Capmul MCM 총 지질
사용량
계면활성제
사용비율
입도크기 다분산도 봉입률
(%) (%) (mg) (w/v%) (nm) - (%)
1 66.6 33.4 720 4 956.7±44.8 0.234±0.025 2.4±3.8
2 100 0 600 1.915 176.5±4.0 0.280±0.017 13.5±7.9
3 83.39368 16.60632 768 2.665 270±10.7 0.182±0.047 48.7±4.4
4 100 0 1000 4 196.9±0.6 0.293±0.013 6.1±2.8
5 66.6 33.4 1000 4 424.4±50.9 0.273±0.027 8.6±5.8
6 66.6 33.4 600 1 924.8±175.4 0.145±0.054 35.5±3.8
7 100 0 1000 4 234.1±13.2 0.323±0.038 13.4±4.3
8 83.6006 16.3994 868 1 276.9±7.6 0.262±0.031 83.3±0.1
9 66.6 33.4 600 1 813.7±242.9 0.189±0.038 59.4±9.7
10 66.6 33.4 824 2.305 1064.7±82.1 0.140±0.010 56.4±0.8
11 83.27292 16.72708 1000 4 174.4±2.4 0.264±0.019 32.3±0.1
12 74.78744 25.21256 722 1.555 758.12±69.5 0.312±0.015 67.6±2.8
13 100 0 1000 1 314.3±5.3 0.280±0.025 80.9±1.4
14 100 0 1000 1 294.6±4.7 0.257±0.010 80.5±2.5
15 83.60587 16.39413 600 4 197.1±0.5 0.245±0.055 2.5±1.9
16 66.6 33.4 1000 1 630.5±68.8 0.187±0.070 95.2±0.5
17 90.55915 9.440849 962 2.89 226.9±6.0 0.247±0.011 32.0±5.4
18 81.80149 18.19851 608 2.335 339.6±5.6 0.167±0.051 4.7±2.3
19 100 0 600 4 161.5±3.0 0.311±0.005 1.4±1.9
20 73.00817 26.99183 860 3.471292 637.2±73.7 0.307±0.009 29.4±1.2
21 100 0 824 2.703487 222.2±2.5 0.274±0.014 24.8±5.1
22 83.14275 16.85725 600 1 444.9±19.5 0.212±0.018 40.5±3.1
23 66.6 33.4 600 3.1 564.7±24.8 0.219±0.080 10.3±3.2
24 92.318 7.682 780 4 163.2±4.5 0.288±0.017 1.4±3.8
25 100 0 720 1 347.7±3.6 0.256±0.031 79.7±1.4
26 66.6 33.4 1000 1 736.1±87.1 0.182±0.034 95.0±1.4
27 83.33087 16.66913 1000 1.81 244.8±7.8 0.218±0.010 59.3±9.2
28 66.6 33.4 600 3.1 450.5±33.0 0.313±0.022 7.4±7.3
위 표 3의 결과는 최적의 반응을 나타내는 조성을 선정하기 위핸 실험을 진행한 것으로 이 결과를 기반으로 다음 실험예에서 통계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2-3. 에코나졸 함유 나노지질담체의 조성 선정
상기 실험예 2-2의 실험설계법에 따른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통계적 분석을 통해 각 반응의 결과에 적합하도록 선정된 모델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입자크기(Y1) = 233.65X1 + 1080.25X2 - 1350.47X1X2 + 21.46X1X3 - 48.87X1X4 - 65.95X2X3 - 160.64X2X4 - 112.66X1X2X3 + 163.85X1X2X4 + 5.66X1X3X4 + 29.77X2X3X4 - 70.78X1X3 2 + 77.53X1X4 2 - 585.59X2X3 2 + 123.22X2X4 2149.28X1X2X3X4 + 1173.48X1X2X3 2 - 495.71X1X2X4 2
다분산도(Y2) = 0.2796X1 + 0.2135X2
봉입률(Y3) = 41.47 + 14.59X3 - 31.53X4 - 5.97X3X4 - 14.10X3 2 + 8.32X4 2
선정된 모델의 통계적 평가 지표에 대해 표 4에 나타내었다. 입도크기 (Y1)의 경우 mixture design의 요인인 글리세롤모노스테아레이트와 Capmul MCM의 비율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quadratic model을 따른다. 또한, response surface design의 요인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요인들에 대해 quadratic model이 적합한 모델로 선정되었다. 선정된 두 모델에 대해 p-value 0.05 이하, Lack of fit 0.05 이상, R2 0.9 이상, R2과 predicted R2 차이 0.2 이하, adequate precision 4 이상으로 적합한 통계적 모델을 확인하였다.
다분산도 (Y2)의 경우 mixture design은 linear model이 가장 적합하였다. Surface design의 요인에 의한 다분산도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정된 모델에 대해 p-value는 0.05 이하, Lack of fit 0.05 이상이었으나 R2의 값이 0.2568로 낮은 값을 나타냈다. 따라서, 최적화 과정에서는 다분산도 반응을 제외하고 최적화를 진행하였다.
약물봉입률 (Y3)의 경우 mixture design의 요인은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surface design의 요인은 quadratic model을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모델에 대한 p-value 0.05 이하, Lack of fit 0.05 이상, R2 0.9 이상, R2과 predicted R2 차이 0.2 이하, adequate precision 4 이상으로 적합한 통계적 모델을 확인하였다.
반응
(Responses)
Suggested
Mixture model
Suggested
Surface model
Mixture model p-value Process model p-value Lack of fit
p-value
R2 Adjusted R2 Predicted R2 Adeq Precision
Y1: 입도크기(nm) Quadratic Quadratic 0.0001 <0.0001 0.6796 0.9843 0.9577 0.8519 20.9872
Y2: 다분산도 Linear Mean 0.0059 - 0.2284 0.2568 0.2282 0.1442 5.2754
Y3: 봉입률 (%) Mean Quadratic - 0.0251 0.2201 0.9073 0.8862 0.8492 18.5584
도 2에 각 요인의 조성에 따른 반응의 양상을 통계적 예측을 통해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계면활성제 사용비율 (X4)는 1 w/v%로 고정하였다. 도 3A는 반응의 허용 가능 범위를 입도크기(Y1)는 500 nm 이하, 약물봉입률 (Y3)는 80% 이상으로 설정하여 이를 만족하는 요인의 조성을 예측하여 범위로 나타내었다. 허용 가능한 반응 범위를 갖는 조성은 노란부분에 해당하며 이 조성으로 제조 시 목표하는 반응 값을 나타내는 나노지질담체를 제조가능하다. 도 3B는 각 반응의 목표를 반영하여 만족도 상수(Desirability)로 나타난 그래프이며 이에 따라 가장 높은 만족도 상수를 갖는 조성으로 제조된 나노지질담체를 실시예 7라 하고 이에 대한 반응의 예측값과 실측값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측값과 예측값이 차이가 Y1, Y3 모두 5% 이내로 성공적인 최적의 에코나졸 함유 나노지질담체를 제조하였다.
요인 반응 목표 중요도 95% CI
예측 최소값
예측값 95% CI
예측 최대값
실측값 차이
(%)
X1: 89.6%
X2: 10.4%
X3: 979.2 mg
X4: 1 w/v%
Y1: 입도크기(nm) 최소 +++++ 66.8 190.9 315.0 198.7±7.9 4.1
Y2: 다분산도 - - 0.239 0.259 0.280 0.223±0.014 -13.9
Y3: 봉입률 (%) 최대 ++++ 79.0 88.4 97.9 92.5±0.9 4.6
< 실험예 3. 최적화된 에코나졸 나노지질담체 평가>
실험예 2를 통해 최적화된 조건인 고체지질 글리세롤모노스테아레이트 89.6%, 액체지질 Capmul MCM 10.4%, 총 지질 사용량 979.2 mg, 20 mL의 계면활성제 사용비율 1 w/v% 용액을 사용하여 에코나졸 30 mg을 함유하는 실시예 7의 에코나졸 나노지질담체를 제조하였다. 즉, 고체지질 글리세롤모노스테아레이트 877.4 mg 및 액체지질 Capmul MCM 101.8 mg에 에코나졸 30 mg을 넣은 뒤 75℃로 가열하여 투명한 용액으로 만든다. Myrj 52를 1w/v% 농도로 정제수에 녹인 후 75℃로 가열한다. 지질과 약물의 혼합액에 가열된 계면활성제 용액 20 mL을 넣어주면서 5분간 프로브타입 초음파 분쇄기로 균질화하여 나노지질담체를 제조한다. 제조된 나노지질담체를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였다.
다음 실험예에서 이 제제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3-1. 나노지질담체의 에코나졸 용출 평가
상기 실시예 7를 에코나졸 2 mg에 해당하는 양을 정밀히 달아 투석튜브(dialysis bag, 25 kDa MWCO)에 넣고 0.5w/v% sodium lauryl sulfate를 포함한 pH 5.0 완충용액 100 mL에서 100 rpm으로 교반하면서 32±0.5℃를 유지하여 용출을 진행하였다. 각 시점마다 1 mL의 샘플을 취해 에코나졸의 양을 HPLC로 정량분석 하였다. 대조군으로 동량의 에코나졸 원료를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도 4의 실험결과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대조군인 에코나졸 원료는 용출 시작 후 24시간 이내에 90% 이상의 용출이 이루어졌다. 반면에 실시예 7의 에코나졸 용출은 72시간 이후에 약 88% 이상의 용출이 이루어졌다. 이로써 본 발명의 나노지질담체는 약 72시간 동안 서서히 방출이 이루어지며, 피부에 오랜 시간 존재할 경우 약물의 지속적인 방출로 장기간의 항균효과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3-2. 시차 주사 열량측정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
에코나졸 원료, 글리세롤모노스테아레이트, Capmul MCM, Mryj 52, 실시예 7의 조성이되 에코나졸을 미함유한 나노지질담체, 에코나졸 함유 나노지질담체(실시예 7) 및 사용된 모든 원료의 물리적 혼합물의 시차 주사 열량측정을 진행하였다.
도 5의 실험결과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에코나졸 원료는 녹는점에 해당하는 약 166℃에서 흡열피크가 확인되었다. 글리세롤모노스테아레이트와 Myrj 52의 경우 각각의 흡열피크가 관찰되었으나 실시예 7의 나노지질담체에서는 무정형 또는 구조변화에 의해서 흡열피크가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에코나졸의 흡열피크 또한 나노지질담체 제조 후 무정형 형태 또는 다른 부형제와의 결합으로 인해 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용된 원료의 물리적 혼합물의 경우에도 에코나졸의 흡열피크가 사라졌으나, 글리세롤모노스테아레이트와 Myrj 52의 피크는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에코나졸과 부형제는 나노지질담체 제조과정 또는 혼합과정에서 에코나졸의 나노지질담체 내 봉입 또는 각 부형제 간의 결합 및 결정형 변화로 흡열피크가 사라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3-3. 나노지질담체 형성 확인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7의 나노지질담체 형성 확인은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JEM 1010, JEOL Ltd, Tokyo, Japan)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실시예 7의 에코나졸 함유 나노지질담체가 약 180 ~ 200 nm 범위의 구형 입자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3-4. 에코나졸 함유 나노지질담체의 세포독성시험
본 발명에 따른 에코나졸 함유 나노지질담체의 피부각질세포(HacaT cell)에 대한 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세포독성시험을 시행하였다.
<세포 배양>
HacaT 세포는 Dulbecco modified Eagle medium(DMEM)에 10% 소태아혈청과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100 unit/mL 단위)을 넣은 배지에서 온도 37℃, CO2 5% 조건으로 배양한다.
<세포독성시험>
96-웰 플레이트(96-well plate)에 각 웰당 HacaT 세포가 5.0 × 104개/well의 개수가 되는 100μL 배양액을 분주한다. 24시간 세포 배양 후, 기존 배양액을 제거하고 대조군으로 에코나졸 원료와 실시예 7의 조성이되 에코나졸을 미함유한 나노지질담체(Blank-실시예 7) 및 에코나졸 함유 나노지질담체(실시예 7)를 에코나졸 100, 50, 25, 10, 1, 0.1, 0.01 μg/mL의 농도에 해당하는 양을 1% DMSO를 함유하는 DMEM 배지로 희석하여 각 웰에 희석액 100μL를 적용하였다. 검체를 적용하고 24시간, 48시간 및 72시간 후, 각 웰에 30 μL의 MTT solution (5 mg/mL)을 넣고 온도 37℃에서 3시간 배양하였다. 결과는 microplate reader (Sunrise, Tecan, Austria)로 57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다음 식으로 세포 생존률을 계산하였다.
세포 생존률 ( % ) = 100 × 실험군 흡광도 / Blank 흡광도
Blank 흡광도는 1% DMSO를 함유하는 DMEM 배양액의 흡광도를 측정한 것이다.
그 결과, 도면 7의 결과에서 보듯이, 에코나졸 원료(Control)와 에코나졸 미함유 나노지질담체(Blank-실시예 7) 및 에코나졸 함유 나노지질담체(실시예 7)의 피부각질세포에 대한 독성은 24시간 적용 후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적용시간이 길어질수록 에코나졸 함유 나노지질담체(실시예 7)와 에코나졸 미함유 나노지질담체(Blank-실시예 7)의 독성으로부터 피부각질세포가 회복하여 분화한 것으로 보인다. 그에 반해 에코나졸 원료(Control)에 의한 독성은 적용시간이 관계없이 피부각질세포에 대한 독성이 시간에 따른 차이가 없이 유지되었다. 에코나졸 함유 나노지질담체(실시예 7)는 실험예 3-1의 용출결과를 기반으로 에코나졸의 용출이 에코나졸 원료보다 느리게 나타나기 때문에 에코나졸 용액에 비해서 낮은 독성이 나타난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또한, 에코나졸 함유 나노지질담체(실시예 7) 적용 후 초기에 피부각질세포에 대한 독성이 나타나지만 회복하여 피부각질세포가 분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에서 피부각질세포에 대한 독성은 약물 자체에 의해 나타난 결과로 나노지질담체에 사용되는 고체지질, 액체지질 및 계면활성제의 피부에 대한 독성은 회복 가능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3-5. 에코나졸 나노지질담체의 항균효과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에코나졸 함유 나노지질담체의 항균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에코나졸 원료(Control), 실시예 7의 조성이되 에코나졸을 미함유한 나노지질담체(Blank-실시예 7) 및 에코나졸 함유 나노지질담체(실시예 7)를 1% DMSO가 함유된 사브로액체배지로 희석하였다. 에코나졸 농도 12.5 ~ 0.024 ug/mL의 농도 범위로 각 제형을 희석한 뒤 샘플을 96-웰 플레이트(96-well plate)에 각 웰당 100 μL씩 넣는다. 각 웰에 Trichophyton rubrum 균 배양액을 5 μL씩 넣는다. 배양액 내 균의 농도는 사브로액체배지에 배양된 균을 모아 분산시킨 뒤 사브로액체배지로 희석한 후 620 nm 파장에서 흡광도 값을 측정하여 흡광도 1.0 에 맞춘 액을 10 배 희석하여 사용한다. 음성 대조군과 양성 대조군은 각각 항생물질이 없는 배양액과 균을 넣지 않은 배양액으로 한다. 준비된 플레이트를 30℃에서 7일간 배양한 후 육안 관찰과 흡광도 측정을 진행한다.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균 발현을 50% 억제하는 최소 억제 농도(50%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50)를 계산한다.
도 8A에서 육안으로 플레이트를 관찰한 결과 에코나졸 원료(Control)와 실시예 7는 0.195 ug/mL과 0.39 ug/mL 농도 사이에서 MIC50 값이 나타난다. Blank 실시예 7의 경우 항균작용이 나타나지 않는다. 도 8B에서 흡광도 측정을 통해 항균효과를 확인한 결과 에코나졸 원료와 실시예 7의 항균효과가 동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흡광도 결과를 기반으로 MIC50을 계산하면 표 6에 나타난 결과로 에코나졸 원료와 실시예 7의 MIC50 값이 각각 0.275 ug/mL과 0.238 ug/mL로 유사한 값이 얻어졌다. Blank-실시예 7의 경우 항균효과가 없어 모든 농도에서 균이 증식된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실험을 진행한 농도 범위에서 MIC50 값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 결과로 실시예 7는 에코나졸 원료와 동일한 약물 농도에서는 동등한 항균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차후 피부 적용 시에도 약물의 농도에 따른 항균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Samples Control Blank 실시예 7 실시예 7
MIC50 (μg/mL) 0.275 ± 0.024 51.770 ± 37.670 0.238 ± 0.024
< 실험예 4. 에코나졸 나노지질담체를 포함한 필름형성조성물 제조>
4-1. 필름형성조성물의 필름형성 고분자 선정
하기 표 7의 조성으로 70 v/v% 에탄올에 고분자를 넣고 가소제로 트리에틸시트레이트를 고분자 중량에 대해 중량비 0.2에 해당하는 양을 혼합하여 용해 상태를 확인하고 완전히 투명한 액상일 경우 25 cm2 Dish에 적용하여 건조시킨다. 필름형성 여부와 건조시간을 육안으로 확인한다.
실시예 고분자 성분 용해 상태*
(w/v%, 70 v/v% 에탄올 상)
필름형성
여부**
건조시간
실시예 8 Eudragit RL100 10 5 3 1 < 10분
X
실시예 9 Eudragit RS PO 10 5 3 1 < 10분
X
실시예 10 Eudragit RL PO 10 5 3 1 < 10분
X
실시예 11 Kollidon 30 20 15 10 5 > 30분
실시예 12 PVP/VA 630 10 5 3 1 > 30분
실시예 13 HPC-L 10 5 3 1 > 30분
비교예 2 Eudragit S100 10 5 3 1 X -
X
비교예 3 Eudragit L100 10 5 3 1 X -
비교예 4 Ethyl cellulose 10 5 3 1 X -
X X X X
비교예 5 Carboxymethyl
cellulose Na
10 5 3 1 X -
X X X
비교예 6 HPMC 4000 5 3 1 - X -
X X
*용해상태 = X: 미용해상태, △: 일부 용해, 일부 침전상태, ○: 용해상태
**필름형성여부 = X: 필름미형성, ○: 필름형성
그 결과, 표 7에 나타냈듯이, 비교예 2 내지 6의 경우 건조 후 필름형성이 되지 않았다. 이에 반해, 실시예 9 내지 13의 경우 모두 필름이 형성되었고 고분자 농도 5w/v% 이하에서 용해 상태가 모두 적합하였다. 그러나, 실시예 8의 경우 낮은 농도에서도 필름형성이 잘되었으나 5w/v% 농도에서 일부 침전상태가 발생하여 필름 형성 시 표면이 거칠었다. 실시예 11 내지 13의 경우 친수성 고분자로 건조시간이 30분 이상 소요되었다. 실시예 9 및 10의 경우 10분 이내 건조가 완료되었으며 투명한 필름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10의 Eudragit RL PO는 필름형성에 적합하나 실시예 9의 Eudragit RS PO 보다 친수성이기 때문에 세척에 의해 쉽게 제거되는 것을 줄이기 위해 보다 친수성 고분자인 실시예 10의 Eudragit RL PO 보다 피부에 지속적인 부착이 가능한 실시예 10의 Eudragit RS PO를 필름형성 고분자로 선정하였다.
4-2. 필름형성조성물의 점증제 선정
필름형성조성물 실시예 9에 점증제를 첨가하여 점도를 증가시키고 피부 발림성을 높이기 위해 겔화제 선정을 표 8과 같이 진행하였다. 평가는 점도측정을 통해 평가하였다.
실시예 점증제 성분 용해 상태*
(1% w/v,
70 v/v% 에탄올 상)
점도 (cP) 실시예 9와의
혼합상태**
실시예 14 Natrosol 250H
Pharm
2232.0±35.4
실시예 15 POLYOX 303 2100.0±21.2
비교예 7 Carbopol 971 2436.2±43.1 X
비교예 8 Carbopol 71G 1969.2±10.3 X
비교예 9 Carbopol 1342 3096.5±30.3 X
비교예 10 Carbopol 981 2403.8±24.5 X
비교예 11 Carbopol 934 X 1850.2±6.9 X
비교예 12 Benecel K200M X 3690.2±105.8 X
*용해상태 = X: 비용해상태, △: 일부 용해, 일부 침전상태, ○: 용해상태
**실시예 9와의 혼합 상태 = X:침전 형성, △: 일부 용해, 일부 침전상태, ○: 용해상태
그 결과, 표 8에 나타냈듯이, 비교예 7 및 8의 경우 높은 점도를 갖으나 실시예 9의 Eudragit RS PO와 혼합하면 Eudragit과의 이온 결합으로 인해 침전이 발생하였다. 비교예 9 내지 12의 경우 높은 점도를 갖으나 혼합 상태에서 일부 침전이 발생하거나 비용해상태로 존재하였다. 이에 반해, 실시예 14의 경우 양호한 용해 상태와 높은 점도를 나타내었으며 침전도 발생하지 않아 Natrosol 250H Pharm을 적합한 점증제로 선정하였다.
< 실험예 5.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평가>
10 mg의 에코나졸을 함유하는 나노지질담체를 실시예 7의 조성에 따라 292.5 mg 글리세롤모노스테아레이트, 33.9 mg Capmul MCM, 1 w/v% Mryj 52 용액 6.6 mL로 제조한다. 총 402.4 mg의 나노지질담체를 실시예 14의 약 2.6g의 필름형성조성물에 분산시켜 약 3 g의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를 실시예 16이라 한다.
에코나졸 함유 나노지질담체의 겔 제형은 실시예 16에 사용된 10 mg의 에코나졸을 함유하는 나노지질담체를 제조하여 약 2.6 g의 0.75 w/v% Carbopol 971 용액에 분산시켜 약 3 g의 중량으로 제조하였으며, 이를 비교예 13이라 한다.
다음 실험예에서 이 제제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5-1.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성상 확인 및 부착력 시험
본 발명에 따른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실시예 16)의 건조 후 형성된 필름의 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Zeiss MERLIN Field Emisson SEM, Car Zeiss NTS GmbH, Oberkochen, Germany)으로 확인하였다. 건조된 표면은 실시예 16의 조성이되 나노지질담체 미포함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Blank-실시예 16)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도 9A,B에 나타낸 것과 같이 Blank-실시예 16은 매끈한 표면이 관측되었다. 도 9C,D의 실시예 16은 건조 후 표면에 구형의 입자가 박혀있는 성상을 보여주었다. 필름이 형성됨에 따라 나노지질담체가 필름 표면에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실시예 16)의 부착력 시험을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대조군으로 시판되는 에코나졸 연고(Control)를 사용하였다. 실험군으로 에코나졸 함유 나노지질담체의 겔 제형(비교예 13)과 실시예 16을 사용하였다. 동량의 에코나졸을 함유한 제형의 무게를 달아 투명한 원형 플레이트에 적용한 후 10분간 건조하였다. 20 mL의 증류수로 샘플을 3회 세척한 뒤 증류수에 세척된 에코나졸의 농도를 측정하여 남아있는 에코나졸의 농도를 계산하였다.
도 10에서 보듯이, 에코나졸 연고(Control)의 경우 3회 세척으로 20% 미만의 에코나졸이 부착되어 남아있었다. 에코나졸 함유 나노지질담체의 겔 제형(비교예 13)도 3회 세척으로 약 30%의 에코나졸만 부착되어 있었으며, 두 가지 제형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부착력을 유지할 수 없는 특성을 보여주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실시예 16)은 3회 세척 후에 약 85%의 에코나졸이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필름형성조성물의 적용을 통해 향상된 에코나졸 함유 나노지질담체의 부착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5-2.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피부 투과도 평가
대조군으로 시판되는 에코나졸 연고(Control)와 실험군으로 에코나졸 함유 나노지질담체의 겔 제형 (비교예 13) 및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실시예 16)의 에코나졸 피부 투과도를 평가하였다. 피부 투과도는 프란츠 확산 셀(Franz diffusion cell, Labfine, Anyang, Korea)을 사용하여 각 제형의 투과도를 확인하였다. 털을 제거한 랫트의 등 피부를 적출하여 피하지방과 조직을 제거한 뒤 피부의 각질층이 도너(donor) 부분으로 작용하도록 고정한다. 수용체(receptor) 부분은 pH 5.5의 30 v/v% 에탄올 용액이 접촉하도록 하여 투과된 약물이 녹을 수 있도록 한다. 온도는 수용체 부분 용액의 온도를 37℃로 유지하여 도너 부분의 온도가 32℃가 되도록 하였다. 2 mg 에코나졸을 함유하는 각 제형의 무게를 달아 각질층에 분포시킨 후 동일한 시점에 0.5 mL의 용액을 채취하여 에코나졸의 양을 HPLC로 분석한다.
그 결과,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72시간 동안 에코나졸 함유 나노지질담체의 겔 제형 (비교예 13)과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실시예 16)은 유사한 투과도를 나타냈으며, 대조군보다 더 향상된 투과도를 나타냈다. 이는 실시예 16에 포함된 에코나졸 함유 나노지질담체가 각질층을 투과하였음을 의미하고 필름형성조성물 제형을 통해서도 나노지질담체에 의한 투과도 향상능을 유지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를 기반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실시예 16)을 적용하여 에코나졸의 각질층 투과를 향상시키고 각질층 내 진피층의 진균에도 항균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5-3.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항균효과 평가
본 발명에 따른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실시예 16)의 항균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대조군으로 시판되는 에코나졸 연고(Control), 실험군으로 에코나졸 나노지질담체의 겔 제형(비교예 13) 및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실시예 16)을 사용하여 실험을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미리 배양된 트리코피톤 루브룸(Trichophyton rubrum)을 사브로한천배지에 분산시킨 뒤 Petri dish에 넣어 굳힌다. 6 mm 직경의 셀룰로오스 디크스에 에코나졸 연고(Control), 에코나졸 함유 나노지질담체의 겔 제형(비교예 13) 및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실시예 16)을 동일한 농도의 에코나졸에 해당하는 양을 바른다. 이 디스크를 제형을 적용한 면이 배지로 향하게 하여 Petri dish위에 놓고 30℃에서 7일간 배양하여 균의 증식을 관찰하였다.
도 12에서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 같은 양의 에코나졸을 함유하고 있는 대조군과 비교예 13의 균 증식 억제 구역 면적은 유사하였으나, 실시예 16의 균 증식 억제 구역 면적이 에코나졸 연고(Control)와 에코나졸 함유 나노지질담체의 젤 제형(비교예 13)보다 더 넓게 나타났다. 이는 실시예 16에 포함되어 있는 에탄올에 의한 항균작용으로 예상되며 나노지질담체와의 상승작용으로 더 넓은 억제 구역 면적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5-4.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피부 분포 육안 평가
본 발명에 따른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실시예 16)의 적용 후 필름형성을 통한 피부 분포를 평가하기 위해 시험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시험 동물은 Spragure-Dawley 랫트를 사용하였으며, 약 200~250g의 무게의 랫트를 각각 3 마리씩 사용하였다. 대조군으로 시판되는 에코나졸 연고에 형광물질인 Coumarin-6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Control). 실험군으로 에코나졸 함유 나노지질담체의 겔 제형(비교예 13)과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실시예 16)을 Coumarin-6를 넣어 실시예 7의 조성으로 제조한 나노지질담체를 사용하여 준비하였다. 에코나졸 1 mg에 해당하는 제형의 무게를 달아 사전에 털을 제거한 랫트의 등 부위에 제형을 적용 한 후 72 시간 후 랫트를 죽인다. 랫트의 피부를 ?燦爭? 후 Tissue-Tek O.C.T에 넣고 얼린 뒤 CM 1900 cryostat microtome(Leica, Wetzlar, Germany)을 사용하여 4 ㎛ 두께로 조직 절편을 만든다. 이를 슬라이드글라스에 놓고 형광현미경(EVOSTM M5000 fluorescence microscope; ThermoFisher Scientific, Waltham, MA, USA)으로 관찰한다.
그 결과, 도 13과 같이 대조군인 시판되는 에코나졸 연고(Control)는 72시간 후 대부분이 피부에서 씻겨져 형광이 관측되지 않았으며 모공에만 일부 형광물질이 존재하였으며, 형광물질이 각질층 뿐만 아니라 진피층 내로 투과되지 못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에 반해, 비교예 13과 실시예 16은 형광물질이 각질층을 투과하여 진피층에 일부 존재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비교예 13은 형광물질이 각질층을 투과하여 진피층에 일부 존재 하나 피부에서 씻겨 적용 후 72시간 후에는 각질층 외부에는 존재하지 않았다. 실시예 16의 경우 적용 72시간 후에 각질층 외부에도 형광물질이 존재하였으며, 긴 피부 노출 시간으로 투과된 형광물질의 양이 증가하여 진피층에도 존재하였다.
이 결과로 본 발명의 나노지질담체가 대조군보다 개선된 피부 투과도를 보여주며,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이 나노지질담체의 피부 접촉 시간을 늘려 각질층 유지시간을 증가시키고 지속적인 약물의 투과와 항균작용을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로 실시예 16의 항균효과는 에코나졸 연고(Control)와 동등하거나 더 높으며, 필름형성으로 인한 장기적 피부 체류로 에코나졸 연고의 1회 2~3회 적용보다 수일 1회 적용으로 피부 적용 횟수를 낮추고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5-5.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약효 비교 평가
본 발명에 따른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실시예 16)의 항균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시험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시험 동물은 ICR 마우스를 사용하였으며, 약 35~50 g의 무게의 마우스를 시험군당 각각 16마리씩 사용하였다. 대조군은 시판되는 에코나졸 연고에 형광물질인 쿠마린-6(Coumarin-6)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Control). 실험군으로서, 실시예 7의 조성에 Coumarin-6을 넣어 제조한 나노지질담체를 사용하여 실시예 16을 준비하였다. 에코나졸 1 mg을 함유하는 제형의 무게를 달아 미리 면도된 마우스의 등에 2×2 cm2 넓이에 1회 적용하였으며, 마우스는 음식과 물을 자유롭게 허용하였다. 제형 적용 후 0, 4, 8, 12, 24, 48, 72 시간에 각 4마리의 마우스를 죽이고 피부를 적출하였다. 마우스의 피부를 떼어낸 후 Tissue-Tek O.C.T에 넣고 얼린 뒤 CM 1900 cryostat microtome(Leica, Wetzlar, Germany)을 사용하여 4 ㎛의 두께로 조직 절편을 만든다. 이를 슬라이드글라스에 놓고 형광현미경(EVOSTM M5000 fluorescence microscope; ThermoFisher Scientific, Waltham, MA, USA)으로 관찰한다. 또한, 피부에 있는 에코나졸을 1v/v% DMSO로 추출하여 미리 배양된 트리코피톤 루브룸(Trichophyton rubrum)을 사브로한천배지에 넣어 굳힌 Petri dish의 가운데에 6 mm 직경의 셀룰로오스 디크스를 놓고, 이 디스크에 추출한 에코나졸을 20 uL씩 점적하였다. 이 Petri dish를 30℃에서 7일간 배양하여 균 증식 억제 구역 면적을 측정하여 항균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6은 향상된 피부 부착력으로 24 시간까지 각질층에 많은 형광물질이 남아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대조군은 적용 후 4시간까지 형광물질이 피부에서 관측되었으나 그 이후 시간에서는 형광물질이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도 15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6은 적용 후 48시간까지 항균효과를 보였다. 실시예 16의 억제 구역은 적용 후 24시간의 항균효과가 대조군 적용 후 4시간 후의 항균효과와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16는 48시간 후에도 에코나졸의 항균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실시예 16의 제형에 의해 에코나졸이 48시간 후에도 피부에 부착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대조군은 8시간 후 매우 낮은 항균효과를 보여주었으며 24시간 후에는 항균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Claims (9)

  1. 활성물질로서 에코나졸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고체지질, 액체지질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나노지질담체; 및
    고분자, 점증제, 가소제 및 휘발성용매로 구성된 필름형성조성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 시 상기 필름형성조성물이 건조됨에 따라 필름이 형성되고, 나노지질담체가 피부에 도포된 상태로 존재하여 지속적으로 활성물질을 방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지질은 글리세롤모노스테아레이트이고, 상기 액체지질은 카프릴릭/카프릴산 글리세라이드이며,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피마자유 유도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지질담체는 에코나졸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포함하며 고체지질과 액체지질이 혼합된 중심부에, 계면활성제가 외부를 이루는 입자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지질담체는 나노지질담체 총 중량 기준으로 활성 물질 2.4~3.0중량%, 고체지질 57.9~81.4중량%, 액체지질 0.0~23.4중량% 및 계면활성제 16.2~19.7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는 에틸아크릴레이트/암모늄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점증제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 공중합체 및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중 1종 이상이고, 상기 가소제는 트리에틸시트레이트이며, 상기 휘발성용매는 에탄올 또는 에탄올과 물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형성조성물은 필름형성조성물 기준으로 고분자 1~10중량/용적%, 점증제 0.5~1.5중량/용적%, 및 가소제 0.1~1중량/용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지질담체와 필름형성조성물이 1:5 내지 1:7.5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에코나졸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고체지질 및 액체지질을 70 내지 80℃로 가열하여 용해 및 혼합하여 지질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계면활성제를 물에 녹인 용액을 상기 지질 혼합물과 동일한 온도로 가열한 후 상기 지질 혼합물을 분산시켜 나노지질담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나노지질담체를 고분자, 점증제, 가소제, 및 휘발성용매를 포함하는 필름형성조성물에 분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90039330A 2019-04-04 2019-04-04 에코나졸을 함유하는 나노지질담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2236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330A KR102236174B1 (ko) 2019-04-04 2019-04-04 에코나졸을 함유하는 나노지질담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330A KR102236174B1 (ko) 2019-04-04 2019-04-04 에코나졸을 함유하는 나노지질담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345A true KR20200117345A (ko) 2020-10-14
KR102236174B1 KR102236174B1 (ko) 2021-04-02

Family

ID=72847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9330A KR102236174B1 (ko) 2019-04-04 2019-04-04 에코나졸을 함유하는 나노지질담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61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3790A (ko) 2021-11-02 2023-05-0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렘데시비르를 함유하는 나노지질담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20230122484A (ko) 2022-02-14 2023-08-2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고함량의 티카그렐러를 포함하는 고효율 나노지질담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00340A (ja) 2006-08-11 2010-01-07 パナセア バイオテック リミテッド 活性成分を送達するための粒子、その製造方法、および組成物
KR20160015335A (ko) 2013-06-04 2016-02-12 바이옴 바이오사이언스 피브이티. 엘티디. 코팅된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940401B1 (ko) * 2017-06-12 2019-01-2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맛이 차폐된 구강붕해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00340A (ja) 2006-08-11 2010-01-07 パナセア バイオテック リミテッド 活性成分を送達するための粒子、その製造方法、および組成物
KR20160015335A (ko) 2013-06-04 2016-02-12 바이옴 바이오사이언스 피브이티. 엘티디. 코팅된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940401B1 (ko) * 2017-06-12 2019-01-2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맛이 차폐된 구강붕해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uropean Journal of Pharmaceutical and Medical Research, 5(6), 2018, pp.559-56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6174B1 (ko) 2021-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asr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cubosomes containing colchicine for transdermal delivery
Abu Hashim et al. Pivotal role of Acitretin nanovesicular gel for effective treatment of psoriasis: ex vivo–in vivo evaluation study
Gaba et al. Nanostructured lipid carrier system for topical delivery of terbinafine hydrochloride
Hasan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metformin hydrochloride-loaded niosomes as controlled release drug delivery system
Domínguez-Delgado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riclosan nanoparticles intended to be used for the treatment of acne
CN105663027B (zh) 西罗莫司外用制剂、其制备方法及用途
NO20161918A1 (no) Preparater for transdermal oksybutyninterapi
Linares-Alba et al. Preformulation studies of a liposomal formulation containing sirolimus for the treatment of dry eye disease
Wollina et al. Treatment of psoriasis: novel approaches to topical delivery
AU2813801A (en) Controlled delivery system of antifungal and keratolytic agents for local treatment of fungal infections of the nail and surrounding tissues
Patel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microsponge gel for topical delivery of fluconazole for fungal therapy
Baghel et al. Luliconazole‐loaded nanostructured lipid carriers for topical treatment of superficial Tinea infections
Mbah et al. Development of ethosomal vesicular carrier for topical application of griseofulvin: effect of ethanol concentration
KR102236174B1 (ko) 에코나졸을 함유하는 나노지질담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형성 국소용 약제학적 조성물
Agrawal et al. Design and evaluation of microemulsion-based efinaconazole formulations for targeted treatment of onychomycosis through transungual route: Ex vivo and nail clipping studies
Raju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ornidazole topical emulgel
Gupta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brinzolamide encapsulated niosomal in-situ gel for sustained reduction of IOP in rabbits
CN102579437B (zh) 含醇的他克莫司组合物及其制备方法
El-Hashemy Design, formulation and optimization of topical ethosomes using full factorial design: in-vitro and ex-vivo characterization
Sadozai et al. In vitro, ex vivo, and in vivo evaluation of nanoparticle-based topical formulation against Candida albicans infection
CN110448525A (zh) 一种预防脱发和促生发的外用非那雄胺脂质纳米制剂及其制备方法
JPH0565221A (ja) 眼科用微小球
WO2023187116A1 (en) Mirabegron formulation
JP6382215B2 (ja) ゲル組成物
CN113784707A (zh) 人工泪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