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7287A - 의료장치 - Google Patents

의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7287A
KR20200117287A KR1020190039200A KR20190039200A KR20200117287A KR 20200117287 A KR20200117287 A KR 20200117287A KR 1020190039200 A KR1020190039200 A KR 1020190039200A KR 20190039200 A KR20190039200 A KR 20190039200A KR 20200117287 A KR20200117287 A KR 20200117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
elastic
electrode member
degrees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9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9846B1 (ko
Inventor
류상현
Original Assignee
류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상현 filed Critical 류상현
Priority to KR1020190039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9846B1/ko
Publication of KR20200117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77Needle-like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8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short, rigid shaft for accessing the inner body transcutaneously, e.g. for neurosurgery or arthrosco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6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059Material properties
    • A61B2018/00071Electrical conductivity
    • A61B2018/00083Electrical conductivity low, i.e. electrically insul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059Material properties
    • A61B2018/00089Thermal conductivity
    • A61B2018/00101Thermal conductivity low, i.e. thermally insul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107Coatings on the energy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34Neural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89Coag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25Needle
    • A61B2018/1432Needle curv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 긴 관형상으로 구비되되, 그 일측에 전기연결부를 구비한 내부도전관부; 상기 손잡이부의 타측에 결합되되 상기 내부도전관부와 연통되도록 결합된 관형상의 관형바늘부; 및 상호 연통된 상기 내부도전관부와 상기 관형바늘부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고, 탄성을 가진 전극부재; 를 포함하는 의료장치로서, 상기 관형바늘부는 상기 손잡이부와 결합된 부분으로부터 연장형성되되, 중간부분에 시계방향으로 구부러진 제1굴곡부와, 상기 제1굴곡부와 이격된 부분에 반시계방향으로 구부러진 제2굴곡부를 구비하도록 연장형성되고, 상기 전극부재는, 그 전체길이가 상기 내부공간의 길이보다 길고, 그 중간부분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구부러진 부분이 구비되고, 그 타측단부에는 절단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료장치 {Medical device}
본 발명은 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열을 이용하여 원하는 부위를 주변 부위 손상을 최소화하면서도 목표신경을 정확히 차단하여 치료하는 것이 가능한 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도한 근육긴장으로 인한 근육통 또는 신경이상으로 인한 통증질환에 대하여 신경차단술은 의학계에서 널리 시술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에 개방수술이 아닌 비침습적인 신경차단술은 신경을 완전히 절단하는 데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어서 원하는 충분한 치료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기술의 의료장치는, 바늘형상의 전기수술기용 전극을 피시술자의 생체조직에 삽입하여, 목표신경에 인접하게 도달시킨 후, 전극에 고주파 전류등을 인가하여 전극에서 고열이 발생되도록 하여, 문제의 신경을 응고하여 차단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하지만, 신경을 응고시키는 방식은 신경을 완전히 절단하는 것과는 달리 불완전할 수밖에 없으며, 시간이 지나면 쉽게 신경이 재생되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었다. 신경을 응고시키는 기존의 장비는 바늘형상 전극의 단부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열을 이용하는데 열 발생 전극으로부터 1mm만 떨어져도 열 에너지가 급격히 감소하므로, 신경에 최대한 인접해서 가열을 하더라도 신경의 일부분만 응고시킬 수 있을 뿐이었다. 거리상의 문제 때문에 두꺼운 신경을 완전히 응고시키지 못할 뿐 아니라, 거리가 조금만 떨어져도 신경차단에 실패하게 된다. 또, 열이 등방성으로 가해지는 구조상의 한계로 대상 신경만이 아닌 주변 조직에도 열이 가해져 불필요하게 손상시킴으로 인해, 조직의 회복이 느리고, 손상된 조직에서 염증이 발생하기 쉬웠다. 결국 이런 종래의 장치로는 완벽한 신경차단에 실패하여 원하는 치료 효과를 얻지 못할 뿐 아니라 많은 부작용도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등록공보 제175713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단해야 할 목표 신경을 주변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며 완전히 절단하여 차단하는 것이 가능한 의료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의료장치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 긴 관형상으로 구비되되, 그 일측에 전기연결부를 구비한 내부도전관부; 상기 손잡이부의 타측에 결합되되 상기 내부도전관부와 연통되도록 결합된 관형상의 관형바늘부; 및 상호 연통된 상기 내부도전관부와 상기 관형바늘부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고, 탄성을 가진 전극부재; 를 포함하는 의료장치로서, 상기 관형바늘부는 상기 손잡이부와 결합된 부분으로부터 연장형성되되, 중간부분에 시계방향으로 구부러진 제1굴곡부와, 상기 제1굴곡부와 이격된 부분에 반시계방향으로 구부러진 제2굴곡부를 구비하도록 연장형성되고, 상기 전극부재는, 그 전체길이가 상기 내부공간의 길이보다 길고, 그 중간부분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구부러진 부분이 구비되고, 그 타측단부에는 절단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전극부재는, 상기 내부공간으로 삽입되기 전 상태에서, 상기 관형바늘부의 제1굴곡부와 제2굴곡부의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탄성굴곡부와 제2탄성굴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탄성굴곡부로부터 이격된 부분에 구부러진 제3탄성굴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탄성굴곡부로부터 이격된 단부까지 연장된 상기 절단부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형바늘부는 상기 손잡이부와 결합된 부분으로부터 제1거리 이격된 제1지점까지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1바늘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1지점에서 시계방향으로 구부러진 상기 제1굴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굴곡부로부터 제2거리 이격된 제2지점까지 연장된 제2바늘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2지점에서 반시계방향으로 구부러진 상기 제2굴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굴곡부로부터 제3거리 이격된 단부까지 연장된 제3바늘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전극부재는, 상기 내부공간으로 삽입되기 전 상태에서, 중간부분에서 타측으로 연장되고 제1전극지점에 시계방향으로 구부러진 상기 제1탄성굴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거리 만큼 이격된 제2전극지점까지 연장된 제2전극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2전극지점에 반시계방향으로 구부러진 상기 제2탄성굴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탄성굴곡부로부터 상기 제3거리 이격된 제3전극부분에 시계방향으로 구부러진 상기 제3탄성굴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탄성굴곡부로부터 제4거리 이격된 단부까지 연장된 상기 절단부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극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3탄성굴곡부는, 시계방향으로 구부러진 제3-1탄성굴곡부와, 이로부터 연장된 후 다시 시계방향으로 구부러진 제3-2탄성굴곡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형바늘부에 있어서, 상기 제1굴곡부의 구부러진 각도는 15도에서 35도 이내이고, 상기 제2굴곡부의 구부러진 각도는 15도에서 35도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극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굴곡부의 구부러진 각도는 75도에서 115도 이내이고, 상기 제2탄성굴곡부의 구부러진 각도는 65도에서 115도 이내이고, 상기 제3-1탄성굴곡부의 구부러진 각도는 25도에서 95도 이내이고, 상기 제3-2탄성굴곡부의 구부러진 각도는 75도에서 115도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극부재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가 구비된 타측단부의 반대편인 일측단부분에는, 상기 절단부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표시된 절단부노출량표시부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극부재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가 구비된 타측단부의 반대편인 일측단부는 반시계방향으로 꺾여 연장된 회전표시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관형바늘부는, 타측 단부의 바늘노출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외측면에 내열절연코팅부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의료장치에 의하면, 회전하면서 신경을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하는 탄성의 전극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목표 신경을 신뢰성 있게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의료장치의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의료장치의 관형바늘부만을 도시한 상세도,
도 3은 도 1의 의료장치의 종방향 개략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의료장치의 전극부재 만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전극부재의 좌측단부만을 도면한 상세도,
도 6은, 도 1의 의료장치에 있어서, 전극부재가 일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전극부재(40a)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의료장치(1)는, 인체에 어떤 통증이 발생되고, 그 통증이 통증과 관련된 어떤 신경을 차단하는 것으로 인해 치료가 가능한 경우, 그 신경을 차단하는 시술에 사용하는 의료장치다.
특히, 본 실시예의 의료장치(1)는 근육통 또는 신경이상 증상을 일으키는 신경을 차단하여 원하는 치료효과를 얻고자 하는 신경차단술에 효과적이다.
상기 의료장치(1)는, 손잡이부(10), 내부도전관부, 관형바늘부(30) 및 전극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부(10)는, 시술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부재이다. 손잡이부(10)는 원통형상이다. 재질은 절연성을 가진다.
상기 내부도전관부는 손잡이부(10)의 내부에 구비된 긴 관형상의 부재이다. 내부도전관부의 일측(도 1을 기준으로 우측)에는 전기연결부(22)가 구비된다. 전기연결부(22)에는 외부에 별도로 구비된 제어부로부터 약한 에너지의 고주파 전류 혹은 강한 에너지의 고주파 전류가 공급된다.
내부도전관부의 타측은 손잡이부(10)의 타측으로 더 연장되어 있다. 내부도전관부의 타측에는 관형바늘부(30)의 일측이 결합된다.
내부도전관부의 내부에는 전극부재(40)가 관통된다. 전기연결부(22)로 공급된 고주파 전류는 내부도전관부의 내부에 위치한 전극부재(40)로 공급된다. 내부도전관부 전체가 도전부재로 만들어져, 내부도전관부에 전극부재(40)가 위치하는 경우, 전극부재(40)와 내부도전관부가 접촉되는 곳을 통해 전극부재(40)로 전류가 공급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의 경우, 전기연결부(22)로 공급된 전류가 전극부재로 공급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이 채택될 수 있다.
상기 관형바늘부(30)는, 손잡이부(10)의 타측(도 1에서 좌측)에 결합된다. 관형바늘부(30)는 내부도전관부와 연통되도록 결합된다. 관형바늘부(30)과 내부도전관부는 서로 통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내부공간은 서로 연결되어 통하며, 연결된 공간은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관형바늘부(30)는 통상의 주사바늘과 유사한 형상으로서, 그 끝부분이 사선으로 날카롭게 형성되어 있어서, 피시술자의 인체로 삽입되기에 적합하다.
관형바늘부(30)는 손잡이부(10)와 결합된 부분으로부터 연장형성된다. 관형바늘부(30)는 그 중간부분에 시계방향으로 완만하게 구부러진 제1굴곡부(32)와, 제1굴곡부(32)와 이격된 부분에 반시계방향으로 완만하게 구부러진 제2굴곡부(34)를 구비한다.
즉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관형바늘부(30)는 조금씩 두번 구부러진 굴곡부를 구비하고 있다. 제1,2굴곡부(32, 34)는 날카로운 각도로 구부러진 것이 아니라, 내부의 공간의 단면이 유지되도록 완만하게 구부러져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관형바늘부(30)는 손잡이부(10)와 결합된 부분으로부터 제1거리(Ll) 이격된 제1지점까지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1바늘부분(31)를 구비하고, 제1지점에서 시계방향으로 구부러진 제1굴곡부(32)를 구비하고, 제1굴곡부(32)로부터 제2거리(L2) 이격된 제2지점까지 연장된 제2바늘부분(33)을 구비하고, 제2지점에서 반시계방향으로 구부러진 제2굴곡부(34)를 구비하고, 제2굴곡부(34)로부터 제3거리 이격된 단부까지 연장된 제3바늘부분(35)을 구비한다.
이때, 관형바늘부(30)에 있어서, 제1굴곡부(32)의 구부러진 각도(θ1)와, 제2굴곡부(34)의 구부러진 각도(θ2)는 대략 서로 동일하며, 25도 정도이다. 다른 실시예의 경우, 제1,2굴곡부(32, 34)의 구부러진 각도(θ1), 각도(θ2)는 15도에서 35도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시술자가 관형바늘부를 인체 조직으로 찔러서 삽입할 때 방향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굴곡부의 존재로 인해 전극부재(40)의 절단부(48)가 관형바늘부(30)의 타측 단부로 노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손잡이부(10)를 시술자가 회전하는 경우, 전극부재가 헛돌지 않고 절단부(48)가 손잡이부(10)를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때에 절단부(48)의 방향은 절단부방향표시부(49)에 의해 표시된다. 이렇게 절단부(48)가 회전할 때에 목표 신경이 절단된다.
또한, 관형바늘부(30)는, 도 2를 참조하면, 타측(좌측) 단부의 바늘노출부(37)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외측면에 내열절연코팅부(38)가 구비되어 있다. 관형바늘부(30)가 인쇄조직 내로 삽입되는 경우, 내열절연코팅부(38)의 존재로 인해, 바늘노출부(37) 부분으로만 전기가 통하게 되는 것이다.
내열절연코팅부(38)는 관형바늘부의 외측면에 접착되어 고착된 상태로 형성되며, 인체에 무해한 절연성 재료로서 내열성이 있는 재료가 바람직하다. 절연성 재료로는 합성수지, 우레탄, 테프론 등과 같이 이 분야에서 인체에 무해하여 사용되고 있는 재료 등이 있다.
상기 전극부재(40)는, 도전성 및 탄성을 가진 재료로 만들어진다. 전극부재(40)는, 그 전체길이가 내부공간, 즉 상호 연통된 내부도전관부와 관형바늘부(30)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의 길이보다 길다. 전극부재(40)는 그 중간부분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구부러진 부분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타측단부에는 절단부(48)가 구비되어 있다.
전극부재(40)는 도 4를 참조하면, 상호 연통된 내부도전관부와 관형바늘부(30)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전극부재(40)는 내부공간에 삽입된 후 필요에 따라 내부공간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3에는, 전극부재(40)의 타측 끝부분이 꺾여져 형성된 절단부(48)가 관형바늘부(30)의 타측단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전극부재(40)가 화살표로 표시된 일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절단부(48)가 바늘노출부(37) 속으로 들어가 있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전극부재(40)는, 내부공간으로 삽입되기 전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부러져 있다. 전극부재(40)는 관형바늘부(30)의 제1굴곡부(32)와 제2굴곡부(34)의 대응하는 각각의 위치에 제1탄성굴곡부(42)와 제2탄성굴곡부(44)를 구비하고 있다. 또는 전극부재(40)는, 제2탄성굴곡부(44)로부터 약간 이격된 부분에 구부러진 제3탄성굴곡부(46)를 구비하고, 제3탄성굴곡부(46)로부터 이격된 단부까지 거의 직선으로 연장된 절단부(48)를 구비한다.
전극부재(40)의 타측의 구부러진 형상은 관형바늘부(30)의 구부러진 형상에 대응한다. 즉, 전극부재(40)는, 내부공간으로 삽입되기 전 상태에서, 중간부분에서 타측으로 연장되고 제1전극지점에 시계방향으로 구부러진 제1탄성굴곡부(42)를 구비하고, 제2거리(L2) 만큼 이격된 제2전극지점까지 연장된 제2전극부분(43)을 구비하고, 제2전극지점에 반시계방향으로 구부러진 제2탄성굴곡부(44)를 구비하고, 제2탄성굴곡부(44)로부터 제3거리(L3) 이격된 제3전극부분에 시계방향으로 구부러진 제3탄성굴곡부(46)를 구비하고, 제3탄성굴곡부(46)로부터 제4거리 이격된 단부까지 연장된 절단부(48)를 구비한다. 제4거리는 절단부의 길이이다.
한편, 본 실시예는 전극부재(40)의 일측의 거의 끝 부분에 절단부노출량표시부(47)를 구비하고 있다. 절단부노출량표시부(47)는, 절단부(48)가 구비된 타측단부의 반대편인 일측단부분에 절단부노출량표시부(47)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표시된 부분이다. 관형바늘부(30)가 인체조직으로 삽입된 후에는, 이를 시술자가 육안으로 볼 수 없는바, 절단부노출량표시부(47)의 구성이 유용하다.
절단부노출량표시부(47)는, 도 6을 참조하면, 관형바늘부(30)가 인체조직으로 삽입되서 목표신경을 성공적으로 탐색한 후, 시술자가 전극부재(40)를 신경조직을 향해 밀어넣을 때, 절단부(48)가 관형바늘부(30)의 바늘노출부(37)로부터 제4거리 만큼 돌출되어 바늘노출부(37)와 대략 직각을 이루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본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3탄성굴곡부(46)는, 시계방향으로 구부러진 제3-1탄성굴곡부(46-1)와, 이로부터 어느 정도 직선형태로 연장된 부분(46-3)과, 그 끝 부분에서 다시 시계방향으로 구부러진 제3-2탄성굴곡부(46-2)를 구비한다.
이때, 도 5를 참조하면, 제1탄성굴곡부(42)의 구부러진 각도(θ3)는 대략 90도 이고 제2탄성굴곡부(44)의 구부러진 각도(θ4)는 대략 80도이고, 제3-1탄성굴곡부(46-1)의 구부러진 각도(θ5)는 대략 35도이고, 제3-2탄성굴곡부(46-2)의 구부러진 각도(θ6)은 대략 90도 이며, 이러한 각도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가장 좋은 결과라 함은, 전극부재(40)가 관형바늘부의 내부에서 적절한 마찰력을 받게 되어 쉽게 빠져나오지 않으며, 적절한 축방향 이동도 이루어지고, 특히 시술자가 신경을 절단하기 위해 손잡이부를 회전시킬 경우에는, 전극부재(40)가 손잡이부와 함께 회전하게 되는데, 만일 뜻하지 않게 절단부(48)에 뼈 등에 걸려서 회전하지 못하는 경우, 손잡이부(10)는 회전하더라도 절단부(48)는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렇게 절단부(48)에 강한 저항을 받을 때에 회전력이 더 이상 가해지지 않고 헛돌게 함으로써 절단부가 구부러지거나 인체조직내에서 파절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손잡이부(10)는 회전하지만, 절단부(48)는 회전하지 않는 상태를 시술자가 알 수 있도록 절단부방향표시부(49)가 구비되어 있다. 절단부방향표시부(49)는 구부러진 방향이 절단부(48)와 동일하기 때문에 조직내에 위치하여 보이지 않는 절단부(48)의 방향을 시술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을 한다. 절단부방향표시부(49)는 시술자에 의해 손잡이부(10)가 회전되면 이와 함께 회전하지만, 절단부(48)가 뻐 등에 걸려 회전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손잡이부(10)와 함께 회전하지 않고 그대로 정지해 있는 것을 보임으로써, 인체 내부에 있는 절단부(48)가 뼈 등에 걸려 회전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시술자로 하여금 알 수 있도록 해준다.
한편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1탄성굴곡부(42)의 구부러진 각도(θ3)는 75도에서 115도 이내, 제2탄성굴곡부(44)의 구부러진 각도(θ4)는 65도에서 115도 이내, 제3-1탄성굴곡부(46-1)의 구부러진 각도(θ5)는 25도에서 95 이내이고, 제3-2탄성굴곡부(46-2)의 구부러진 각도(θ6)는 75도에서 115도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제기한 본 실시예의 각도가 가장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상술한 범위 내에서는 어느 정도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최선을 각도 값이나, 허용할 수 있는 각도 값은, 수 없는 시행착오를 거치며, 여러 각도의 조합을 시도한 끝에 얻어진 것이다.
한편, 도 7에는, 전극부재(40a)의 변형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앞선 실시예의 전극부재(40)와 비교하며, 본 실시예의 전극부재(40a)의 타측부분에 구비된 제3탄성굴곡부(46a)가 반원형으로 보다 부드럽게 구부러진 점이 다소 다르다. 이러한 형상의 전극부재(40a)로부터 얻을 수 있는 작용 효과는 마찰력을 증가시키면서 절단작용시 절단부(48)에 가해지는 비틀림 힘이 제3탄성굴곡부(46)를 걸쳐서 보다 넓게 분산된다는 효과가 있으며, 그 외의 효과에 있어서는 앞선 실시예와 거의 유사하다. 따라서, 앞선 실시예의 전극부재(40)로부터 얻을 수 있는 대부분의 설명이 그대로 혹은 적절하게 변형되어 적용된다.
이하 본 실시예의 의료장치(1)를 사용한 시술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전극부재(40)를 내부도전관부 및 관형바늘부(30) 내부로 삽입한다. 전극부재(40)는 여러 번 구부러진 형상이지만, 탄성을 가진 재료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탄성변형되면서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의료장치(1)와 함께, 별도의 신경탐색 및 고주파열발생 제어장치(미도시)를 준비한다. 제어장치는 의료장치(1)의 전기연결부(22)에 전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때 전기연결부(22)는 손잡이부(10)의 회전을 허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
제어장치는, 전기연결부(22)를 통해, 바늘노출부(37)와 전극부재(40)에 약한 에너지의 신경탐색 전류와 강한 고주파 전류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며, 시술시에 약한 에너지의 신경탐색 전류와 강한 에너지의 고주파 전류를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제어장치는 전기 신호와 고주파열을 사용하는 기능을 가진 다양한 장치를 사용할수 있다. 예시로서 신경을 탐색하기 위하여 공급하는 약한 에너지의 전류는 0-3볼트의 강도, 50-75Hz의 주파수, 유지시간은 0.5- 1 ms(millisecond) 정도가 적절하다. 또한, 제어장치에서 신경을 절단하기 위하여 공급하는 강한 에너지의 고주파 전류는, 4MHz 주파수에 130W 정도의 파워가 적절하다.
소독되어 밀봉된 의료장치(1)를 개봉하고 피시술자에게 관형바늘부(30)를 삽입하기 전, 전기연결부(22)에 전선을 연결한다. 전선을 통해 전류가 관형바늘부(30)에 인가된다. 이때 피시술자에게는 제어장치와 연결된 또 다른 전극을 손에 쥐고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제어장치, 관형바늘부(30) , 전극부재(40) 및 인체는 하나의 전기회로를 구성하게 되어 인체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제어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연결부(22)를 통해 내부도전관부, 관형바늘부(30)에 신경탐색 전류가 인가된다. 관형바늘부(30)는 내열절연코팅부(38)를 구비하고 있어서, 신경탐색 전류는 관형바늘부(30)의 타측단부에 위치한 바늘노출부(37)를 통해서만 인체로 흐르게 된다.
시술전 준비가 완료되면, 시술자는 손잡이부(10)를 잡고, 약간 구부러진 주사바늘 형상의 관형바늘부(30)를 피시술자의 피부 또는 점막을 통해 찔러넣는다. 이때 관형바늘부(30)의 끝에는 전극부재(40)의 절단부(48)가 노출되지 않은 상태이다. 즉 전극부재(40)의 절단부(48)는 관형바늘부(30)의 타측단부 내부에 위치하고 노출되지는 않은 상태이다(도 6에 도시된 상태).
한편, 절단부노출량표시부(47)를 이용하여, 피시술자의 인체속으로 삽입된 후에도, 전극부재(40)의 타측단부가 관형바늘부(30)의 타측단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라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모든 시술과정은 피시술자에 대하여 어떠한 절개도 하지 않고 이루어진다.
시술자는 신경탐색전류를 인가하여 관형바늘부(30)를 피시술자의 목표 신경에 도달시킨다. 이 과정은 피시술자의 인체 내부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술자가 눈으로 보면서 할 수 없으나, 관형바늘부(30)의 바늘노출부(37)가 목표 신경에 접촉하게 되면 손잡이부(10)에 인가된 신경탐색 전류가 신경에 전기적 자극을 주고 이로 인해 해당신경과 연결된 근육이 수축하게 되는 것을 확인하거나, 다른 신경자극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시술자는 바늘노출부(37)가 목표 신경에 접촉되었다는 사실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그 후, 시술자는 강하게 파지가 가능한 도구를 이용하여 전극부재(40)의 일측단부를 잡고, 내부도전관부 내부로 더 집어 넣어, 타측단부의 절단부(48)가 관형바늘부(30)의 타측단부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이때 절단부(48)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바늘부분(35)과 직각을 이루는 정도로 노출되도록, 전극부재(40)를 정확한 길이만큼 밀어넣어야 한다. 밀어넣어야 하는 정확한 길이는, 절단부노출량표시부(47)를 보고 밀어넣으면 실수가 없다.
즉, 관형바늘부(30)의 타측단부가 목표하는 신경에 접촉되면, 전극부재(40)를 더 밀어 넣어 절단부(48)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제어장치를 조작하여, 전극부재(40)에 강한 고주파 전류가 인가되도록 한다. 고주파 전류는 전기연결부(22)를 통해 공급된다.
다음으로, 시술자는 손잡이부(10)를 손잡이부(10)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손잡이부(10)의 회전과 함께 절단부(48)가 함께 회전하면서 목표신경을 자르게 된다. 이때에 절단부(48)에는 신경을 절단하기에 충분한 고주파 열이 발생되어 절단운동을 돕게 된다. 절단부(48)가 마치 칼과 같은 역할을 하여, 목표신경을 절단하는 것이다.
이때 전극부재(40)는, 관형바늘부(30)에 결합고정된 것이 아니지만, 제1 내지 3 탄성굴곡부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굴곡이 형성된 방향이 관형바늘부(30)가 굴곡된 방향과 완전히 일치하기 때문에 전극부재(40)는 관형바늘부(30)와 마치 결합된 것처럼 함께 움직인다. 따라서 손잡이부(10)가 회전하면 전극부재(40)가 회전하면서 절단부(48)도 같이 회전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절단부방향표시부(49)는 바늘방향표시부(11)와 방향이 일치하게 된다.
또한 전극부재(40)가 관형바늘부(30)에 완전히 고정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회전하려는 절단부(48)에 뼈 등이 걸려서 강한 저항을 받을 경우 전극부재(40)가 관형바늘부(30)와의 결합이 분리되면서 헛돌게 되고 손잡이부(10)는 회전하더라도 절단부(48)는 회전하지 않게 됨으로써 과도한 회전력에 의해 절단부가 구부러지거나 파절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되면, 절단부방향표시부(49)가 회전하는 바늘방향표시부(11)와 방향이 일치하지 않고 어긋나게 되는 데, 이런 현상이 나타나면 시술자는 절단부(48)에 강한 저항을 받으면서 전극부재(40)가 회전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기전을 통하여 시술자는 절단부(48)가 인체 내부에 있는 뼈 등에 걸려 회전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되고, 이런 문제에 대해 적절하게 대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인체 내부 신경과 근육 등에 관한 구조에 대해 전문직인 지식을 가지고 있는 자격 있는 의사라면 정확한 신경탐색에 따른 위치와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와 방향으로 조절되는 신경절단과정을 통하여 오류없이 이러한 시술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의료장치(1)에 의하면, 탄성을 가지는 전극부재가 목표신경을 찾는 과정에서는 내부에 위치하다가, 찾은 후에는 간편한 동작으로 정확한 양 만큼 이동되며 절단부가 노출되도록 하고, 목표신경이 존재하는 방향에만 국한하여 회전하며 목표신경을 절단하는 동작이 가능하여 목표신경 만을 완전하게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목표신경 이외의 주변 조직에는 거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는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료장치(1)를 이용한 시술을 통해 목표신경을 완전하게 끊는 것이 가능하다. 목표신경이 운동신경인 경우에는 목표신경과 연결된 근육이 이완되어 근육통이 치료가 되며, 퇴축이 일어나 근육의 크기가 작아지는 되는 효과가 있으며, 목표신경이 감각신경인 경우에는 감각신경을 마비시킴으로써 신경통증을 치료할 수 있고, 목표신경이 자율신경인 경우에는 자율신경의 작용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관련분야의 기존의 신경탐색침은 모두 일자로 형성되어 있어서 신경을 탐색할 때에 신경과 인접하였다는 것은 신호를 통해 알 수 있지만, 바늘의 어떤 방향에 신경이 위치하는 지는 알 수 없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의료장치(1)의 관형바늘부(30)의 두 번의 굽어진 부분을 가지는 모양은 신경이 위치하는 방향까지 알려줄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기존의 신경탐색침과 동일하게 바늘이 운동 신경에 접근을 하면 근육이 수축하는 것을 보고 접근된 거리를 알 수 있다. 일단 최대한 가깝게 접근을 시킨 후에 손잡이를 잡고 바늘을 회전시키면 바늘 끝은 단순히 축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한쪽 편에 압력을 발생시키면서 회전(도 6에 표시된 화살표 참조)을 하게 된다. 그리고 압력이 강하게 발생하는 방향은 회전하는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이때에 목표 신경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바늘과 신경과의 거리가 더 가까워지고 바늘 옆면이 신경을 누르는 신호까지 발생하기 때문에 근육이 더 강하게 수축을 하게 되며, 대조적으로 반대방향 쪽으로 압력을 받게 되면 오히려 신경 쪽은 압력이 줄어들게 되므로 바늘과 신경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근육 수축력이 약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바늘이 회전할 때에 압력을 받는 방향은 바늘방향표시부(11)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바늘이 조직속에 삽입되어 보이지 않더라도 바늘방향표시부(11)를 보면 현재의 바늘이 어느 쪽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신경이 바늘에 비하여 어느 쪽에 위치하는 지도 확인할 수 있게 된다는 특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확인된 신경의 위치에 관한 방향 정보는 정확한 신경차단 시술을 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의료장치 10: 손잡이부
22: 전기연결부 30: 관형바늘부
37: 바늘노출부 38: 내열절연코팅부
40: 전극부재 47: 절단부 노출표시부
48: 절단부 49: 절단부방향표시부

Claims (9)

  1.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 긴 관형상으로 구비되되, 그 일측에 전기연결부를 구비한 내부도전관부;
    상기 손잡이부의 타측에 결합되되 상기 내부도전관부와 연통되도록 결합된 관형상의 관형바늘부; 및
    상호 연통된 상기 내부도전관부와 상기 관형바늘부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고, 탄성을 가진 전극부재; 를 포함하는 의료장치로서,
    상기 관형바늘부는 상기 손잡이부와 결합된 부분으로부터 연장형성되되, 중간부분에 시계방향으로 구부러진 제1굴곡부와, 상기 제1굴곡부와 이격된 부분에 반시계방향으로 구부러진 제2굴곡부를 구비하도록 연장형성되고,
    상기 전극부재는, 그 전체길이가 상기 내부공간의 길이보다 길고, 그 중간부분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구부러진 부분이 구비되고, 그 타측단부에는 절단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재는, 상기 내부공간으로 삽입되기 전 상태에서, 상기 관형바늘부의 제1굴곡부와 제2굴곡부의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탄성굴곡부와 제2탄성굴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탄성굴곡부로부터 이격된 부분에 구부러진 제3탄성굴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탄성굴곡부로부터 이격된 단부까지 연장된 상기 절단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바늘부는 상기 손잡이부와 결합된 부분으로부터 제1거리 이격된 제1지점까지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1바늘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1지점에서 시계방향으로 구부러진 상기 제1굴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굴곡부로부터 제2거리 이격된 제2지점까지 연장된 제2바늘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2지점에서 반시계방향으로 구부러진 상기 제2굴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굴곡부로부터 제3거리 이격된 단부까지 연장된 제3바늘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전극부재는, 상기 내부공간으로 삽입되기 전 상태에서, 중간부분에서 타측으로 연장되고 제1전극지점에 시계방향으로 구부러진 상기 제1탄성굴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거리 만큼 이격된 제2전극지점까지 연장된 제2전극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2전극지점에 반시계방향으로 구부러진 상기 제2탄성굴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탄성굴곡부로부터 상기 제3거리 이격된 제3전극부분에 시계방향으로 구부러진 상기 제3탄성굴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탄성굴곡부로부터 제4거리 이격된 단부까지 연장된 상기 절단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3탄성굴곡부는, 시계방향으로 구부러진 제3-1탄성굴곡부와, 이로부터 연장된 후 다시 시계방향으로 구부러진 제3-2탄성굴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바늘부에 있어서, 상기 제1굴곡부의 구부러진 각도는 15도에서 35도 이내이고, 상기 제2굴곡부의 구부러진 각도는 15도에서 35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굴곡부의 구부러진 각도는 75도에서 115도 이내이고,
    상기 제2탄성굴곡부의 구부러진 각도는 65도에서 115도 이내이고, 상기 제3-1탄성굴곡부의 구부러진 각도는 25도에서 95도 이내이고, 상기 제3-2탄성굴곡부의 구부러진 각도는 75도에서 115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재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가 구비된 타측단부의 반대편인 일측단부분에는, 상기 절단부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표시된 절단부노출량표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재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가 구비된 타측단부의 반대편인 일측단부는 반시계방향으로 꺾여 연장된 회전표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바늘부는, 타측 단부의 바늘노출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외측면에 내열절연코팅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장치.
KR1020190039200A 2019-04-03 2019-04-03 의료장치 KR102579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200A KR102579846B1 (ko) 2019-04-03 2019-04-03 의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200A KR102579846B1 (ko) 2019-04-03 2019-04-03 의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287A true KR20200117287A (ko) 2020-10-14
KR102579846B1 KR102579846B1 (ko) 2023-09-19

Family

ID=72847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9200A KR102579846B1 (ko) 2019-04-03 2019-04-03 의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984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29599A1 (en) * 2000-11-29 2006-10-12 Rassoll Rashidi Electrophysiology/ablation catheter having lariat configuration of variable radius
US20070010809A1 (en) * 2000-09-28 2007-01-11 Arthrocare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eating back pain
JP2013525016A (ja) * 2010-04-26 2013-06-20 メドトロニック アーディアン ルクセンブルク ソシエテ ア レスポンサビリテ リミテ 腎神経調節のためのカテーテル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40194718A1 (en) * 2010-07-30 2014-07-10 St. Jude Medical, Cardiology Division, Inc. Catheter with a mechanism for omni-directional deflection of catheter shaft
KR101757131B1 (ko) 2016-12-30 2017-07-12 변광 의료 장치
US20180064485A1 (en) * 2016-09-07 2018-03-08 Chang Wook Jeong Systems and methods for renal denervatio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10809A1 (en) * 2000-09-28 2007-01-11 Arthrocare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eating back pain
US20060229599A1 (en) * 2000-11-29 2006-10-12 Rassoll Rashidi Electrophysiology/ablation catheter having lariat configuration of variable radius
JP2013525016A (ja) * 2010-04-26 2013-06-20 メドトロニック アーディアン ルクセンブルク ソシエテ ア レスポンサビリテ リミテ 腎神経調節のためのカテーテル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40194718A1 (en) * 2010-07-30 2014-07-10 St. Jude Medical, Cardiology Division, Inc. Catheter with a mechanism for omni-directional deflection of catheter shaft
US20180064485A1 (en) * 2016-09-07 2018-03-08 Chang Wook Jeong Systems and methods for renal denervation
KR101757131B1 (ko) 2016-12-30 2017-07-12 변광 의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9846B1 (ko) 202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74759B2 (en) Methods of navigation and treatment within a vertebral body
US8939969B2 (en) Electrosurgical device with offset conductive element
CA2785207C (en) Systems and methods for navigating an instrument through bone
US7593778B2 (en) Electrosurgical device with improved visibility
US20100191235A1 (en) Therapeutic energy delivery device with rotational mechanism
AU201333768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curved paths through bone and modulating nerves within the bone
US20100185082A1 (en) Device and method for electrosurgery
JP7451557B2 (ja) 後方鼻神経アブレーション用針器具
WO2022269496A1 (en) Nasal nerve denervation instrument with denervation confirmation
KR102579846B1 (ko) 의료장치
KR102254266B1 (ko) 전기수술용 펜슬
WO2019130694A1 (ja) エネルギ処置具
EP4358882A1 (en) Nasal nerve denervation instrument with denervation confirmation
CN114886547A (zh) 消融导管
JP2021061870A (ja) エネルギ処置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