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7215A - 정보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7215A
KR20200117215A KR1020190039011A KR20190039011A KR20200117215A KR 20200117215 A KR20200117215 A KR 20200117215A KR 1020190039011 A KR1020190039011 A KR 1020190039011A KR 20190039011 A KR20190039011 A KR 20190039011A KR 20200117215 A KR20200117215 A KR 20200117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eceiving device
transmission device
sound
information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9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발트루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발트루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발트루스트
Priority to KR1020190039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7215A/ko
Publication of KR20200117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2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1/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sonic, ultrasonic or infrasonic wa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8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ptional reception of entertainment or informative matter
    • H04M11/085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ptional reception of entertainment or informative matter using a television receiver, e.g. viewdata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3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mobile advert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사운드를 이용한 정보 수신 장치에 있어서, 정보 송신 장치와 상기 정보 송신 장치가 통신이 가능하다고 설정된 임계 값을 매핑하여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제1 정보 송신 장치에서 출력된 제1사운드 데이터와 상기 제1 정보 송신 장치와 통신이 가능하다고 설정된 임계 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1정보 송신 장치가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보 수신 장치 {Information receiving device}
복수개의 장치가 저장한 정보를 상기 복수개의 장치 간에 전달하거나 수신받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운드를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이다.
기기간에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으로는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 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등이 사용된다. 통신 중개 매체를 거치지 않고 바로 기기간에 정보를 전달하는 기술들은 서로 접촉하지 않은 채 정보를 전달하는 기술로 최근 무선 홈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종래 손을 쓰지 않고 전화 통화를 하거나 정보기기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등 기능이 제한적이었으나 관련 기술이 발달하면서 비접촉식 결제 분야로 쓰임새가 넓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4-0072643호(공개일: 2014년 06월 13일)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8-0104435호(공개일: 2008년 12월 03일)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수신 장치는 사운드를 이용한 정보 수신 장치로서, 상기 정보 수신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정보 송신 장치와 통신이 가능하다고 설정된 임계 값을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송신 장치 중 하나인 제1정보 송신 장치에서 출력된 제1사운드 데이터와 상기 임계 값을 비교하여, 상기 정보 송신 장치가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수신 장치에서 상기 설정된 임계 값은 임계 거리의 상기 정보 송신 장치로부터 상기 정보 수신 장치에 수신되는 사운드 크기이고, 상기 제1사운드 데이터는 상기 정보 수신 장치에서 측정된 사운드 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판별부는 상기 제1사운드 데이터의 크기가 상기 임계 사운드 크기보다 크다고 인식된 경우, 상기 제1정보 송신 장치가 통신 가능하다고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저장부는 상기 임계 값을 상기 정보 송신 장치의 모델 정보와 매핑시켜 저장하고, 상기 제1사운드 데이터는 상기 제1정보 송신 장치의 모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부는 상기 임계 값을 상기 정보 송신 장치의 모델 정보 및 볼륨 크기와 매핑시켜 저장하고, 상기 제1사운드 데이터는 상기 제1정보 송신 장치의 볼륨 크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수신 장치는 상기 제1사운드 데이터가 상기 제1정보 송신 장치의 모델 정보 및 볼륨 크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정보 송신 장치의 모델 정보 및 볼륨 크기에 따른 상기 임계 값을 계산하는 계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별부가 통신 가능하다고 판별한 경우, 상기 제1사운드 데이터에 상응하는 제2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가 통신할 수 없다고 판별한 경우, 상기 출력부는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부에 상기 제1정보 송신 장치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출력부는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정보 송신 장치에 대응되는 임계 값이 없는 경우, 상기 제1정보 송신 장치에 대응되는 임계 값을 수집하여 상기 정보 저장부에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제1 사운드 데이터와 함께 상기 정보 송신 장치와 관련된 제1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1정보에 대응되는 제2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정보 및 제2정보는 결제 정보에 관한 것이거나, 광고 정보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수신 장치는 사운드를 이용한 정보 수신 장치로서, 정보 송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제1사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 송신 장치와의 거리를 계산하는 계산부, 상기 정보 송신 장치와의 거리와 미리 설정된 임계 거리를 비교하여, 상기 정보 송신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사운드 데이터는 상기 정보 수신 장치에서 측정된 사운드 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별부는 상기 정보 송신 장치와의 거리가 상기 임계 거리보다 가까운 경우, 상기 정보 송신 장치가 통신 가능하다고 판별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부는 상기 임계 거리에서 상기 정보 송신 장치 자체의 볼륨 크기에 대응되는 임계 사운드 크기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상기 제1사운드 데이터가 상기 정보 송신 장치의 모델 정보 및 볼륨 크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계산부가 상기 정보 송신 장치의 모델 정보 및 볼륨 크기에 따른 사운드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정보 송신 장치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송신 장치의 모델 정보 및 볼륨 크기에 따른 사운드 특성을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수신 방법은 임의의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정보 송신 장치와 통신이 가능하다고 설정된 임계 값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송신 장치 중 하나인 제1 정보 송신 장치에서 출력된 제1사운드 데이터와 상기 임계 값을 비교하여, 상기 정보 송신 장치가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실행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수신 방법은 임의의 프로세서가 정보 송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제1사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 송신 장치와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정보 송신 장치와의 거리와 미리 설정된 임계 거리를 비교하여, 상기 정보 송신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실행할 수 있다.
도1은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수신 장치의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2는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수신 장치의 동작 모습을 나타낸다.
도3은 일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정보 송신 장치의 거리에 따른 소리 크기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4는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송신 장치 자체의 볼륨 크기에 따라 정보 수신 장치에서 측정되는 소리 크기를 매핑한 것을 나타낸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수신 장치의 동작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수신 장치가 결제 정보 및 광고 정보를 송수신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1은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수신 장치의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수신 장치는 사운드를 이용하여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로서, 상기 정보 수신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정보 송신 장치와 통신이 가능하다고 설정된 임계 값을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110), 및 제1 정보 송신 장치에서 출력된 제1사운드 데이터와 제1 정보 송신 장치와 통신 가능하다고 설정된 임계 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1정보 송신 장치가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정보 송신 장치는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개의 정보 송신 장치 중 하나일 수 있다.
정보 수신 장치에 대응되는 정보 송신 장치는 중앙처리장치(CPU)를 포함한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스마트 가전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은 스마트 폰 등의 단말 장치에서 출력되는 사운드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지 판별하고, 통신할 수 있다고 판별되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사운드 데이터는 상기 정보 송신 장치에서 출력되는 제1사운드와 관련된 데이터, 및 제1 사운드가 포함하고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게, 제1사운드 데이터는 정보 수신 장치에서 측정된 사운드 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사운드 데이터는 정보 송신 장치의 모델 정보, 볼륨 크기, 및 상기 정보 송신 장치의 중앙처리장치를 통해 처리될 수 있는 결제 정보일 수 있다.
정보 저장부(110)는 정보 수신 장치가 정보 송신 장치와 통신 가능하다고 설정된 임계 값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정보 송신 장치는 복수 개일 수 있고, 각각의 정보 송신 장치에 대응되는 임계 값을 저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정보 저장부는 서로 다른 모델의 스마트 폰이 정보 수신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한 임계 값을 임계 거리에서 각각의 스마트 폰이 출력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임계 값은 통신할 수 있는 임계 거리일 수도 있고, 임계 거리에서 출력되어 정보 수신 장치에서 수신되는 사운드 크기일 수 있다.
판별부(130)은 정보 송신 장치 중 하나인 제1 정보 송신 장치가 출력하는 제1사운드 데이터와 상기 제1정보 송신 장치에 대응되어 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된 임계 값을 비교하여, 통신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스마트폰이 출력하는 사운드 크기와 통신 가능하다고 설정된 임계 거리에서의 상기 제1스마트폰의 사운드 크기를 비교하여 통신 가능한지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운드 데이터는 제1 스마트폰이 출력하여 정보 수신 장치에 수신된 사운드 크기일 수 있으며, 상기 소리 크기로부터 계산된 거리일 수 있다.
정보 수신 장치는 제1 정보 송신 장치의 모델 정보 및 볼륨 크기에 따른 임계값을 계산하는 계산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계산부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정보 수신 장치의 판별부(130)가 통신 가능하다고 판별한 경우, 상기 제1 사운드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2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사운드 데이터는 통신 가능하다는 알림음 또는 안내멘트일 수 있고, 상기 제2사운드 데이터로 정보 송신 장치와 정보 수신 장치가 연결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제2사운드 데이터는 모델명 'AAA'인 스마트 폰의 마이크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되는 사운드일 수 있다. 제2사운드 데이터의 크기, 종류 등은 정보 송신 장치의 종류, 모델명 등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에 상기 제1정보 송신 장치에 대응되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1정보 송신 장치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정보 저장부에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수신 장치는 정보 송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제1사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보 송신 장치와의 거리를 계산하는 계산부(120), 상기 정보 송신 장치와의 거리와 미리 설정된 임계 거리를 비교하여, 정보 송신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정보 수신 장치는 정보 송신 장치와의 거리를 계산하고, 기 설정된 임계 거리와 비교하여 상기 정보 수신 장치 및 상기 정보 송신 장치가 통신할 수 있는지 판별할 수 있다.
도2는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수신 장치의 동작 모습을 나타낸다.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송신 장치(210)는 스마트폰 단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와 프로세서를 구비한 장치일 수 있다. 정보 수신 장치(200)는 예시적으로, 직육면체의 형태이나, 도2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정보 송신 장치(210)의 사운드를 수신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일 수 있다.
정보 송신 장치(210)가 정보 수신 장치(200)와 연결하기 위해 제1사운드(230)를 출력하면 정보 수신 장치가 제1사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 송신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상태인지 판단한다. 정보 수신 장치가 정보 송신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상태에 있음을 확인한다면, 제2 사운드(220)를 출력하여 통신할 수 있는 상태라는 것을 알려줄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사운드(230) 및 제2사운드(220)를 통해 정보 송신 장치(210) 및 정보 수신 장치(200)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 후, 상기 장치들은 서로 간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제1사운드 및 제2사운드와 함께 정보를 송수신 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출력부가 출력하는 제2 사운드 데이터(220)의 출력 크기는 제1 사운드 데이터(230)의 크기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정보 수신 장치는 제1정보 송신 장치가 출력하는 제1사운드의 크기를 측정하고, 상기 제1정보 송신 장치와 정보 수신 장치간의 거리를 계산하여, 계산된 거리에 따라 정보 수신 장치가 출력하는 제2 사운드 데이터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가 정보 수신 장치와 가까운 경우, 제2 사운드 데이터의 크기를 작게 함으로써, 주변에 연결하면 안되는 정보 송신 장치와의 연결을 방지할 수 있다.
기존 근거리 정보 전달 방법 중 NFC 기술의 경우, 사용자가 기기 및 정보 전달 매체를 접촉할 정도로 가져가야 연결될 수 있으며,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는 장치 검색 및 연결에 상대적으로 긴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연결 후 정보를 송수신해야 한다는 점도 존재한다. 이에 반해, 사운드를 이용한 정보 수신 장치는 NFC보다 상대적으로 먼 거리에서도 연결 가능하며, 연결과 함께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도3은 일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정보 송신 장치의 거리에 따른 소리 크기 그래프를 나타낸다.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임계 값은 임계 거리(310)의 정보 송신 장치로부터 정보 수신 장치에 수신되는 사운드 크기(311,312,313)일 수 있다. 판별부는 상기 제1사운드 데이터의 크기가 상기 임계 값(311,312,313)보다 크다고 인식된 경우, 상기 제1정보 송신 장치가 통신 가능하다고 판별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정보 송신 장치(301, 302, 303)마다 거리에 따른 사운드 크기 특성값은 다르나, 도3과 같이 정보 송신 장치의 스피커는 거리가 가까울수록 소리의 크기가 커진다는 것은 공통점이 있다. 따라서 임계 거리내(310보다 작은 부분)에서 통신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정보 수신 장치가 수신하는 사운드 크기가 정보 송신 장치마다 정해진 임계 사운드 크기보다 큰 경우(311,312,313보다 큰 부분) 통신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같다.
도4는 일실시예에서 정보 송신 장치 자체의 볼륨 크기에 따라 정보 수신 장치에서 측정되는 소리 크기를 정보 저장부에 매핑하여 저장한 것을 나타낸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저장부는 임계 값을 정보 송신 장치의 모델 정보(400)와 매핑시켜 저장할 수 있고, 정보 수신 장치가 수신받는 제1사운드 데이터는 제1정보 송신 장치의 모델 정보를 더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판별부는 수신된 정보 송신 장치의 모델 정보에 대응되는 임계 값을 정보 저장부에서 선별하여 제1사운드 데이터의 사운드 크기와 비교하여 통신이 가능한지 판별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송신 장치로부터 사운드 데이터를 수신할 때, 모델 정보(400) 및 상기 정보 송신 장치 자체의 볼륨 크기(410)를 수신할 수 있다.
정보 수신 장치의 정보 저장부(110)는 정보 송신 장치의 모델 정보 및 볼륨 크기(410)에 대응되는 임계 값을 매핑시켜 저장하고, 판별부에서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임계 값과 제1사운드 데이터를 비교하여 통신 가능한지 판별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정보 저장부(110)는 정보 송신 장치의 모델 정보 및 최대 볼륨 크기에 대응되는 임계 값을 저장하고, 계산부(120)를 통해 정보 송신 장치의 볼륨 크기에 따른 임계 값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볼륨 크기(410)는 정보 송신 장치에서 출력되는 볼륨 크기로서, 최대 볼륨 크기 대비 현재 출력되는 볼륨 크기로 나타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4에서 서로 다른 정보 송신 장치(400) 중 하나인 모델명 'AAA'(401)은 임계 거리에서 볼륨 크기가 100%일 때 수신되는 사운드 크기는88dB, 80% 일 때 63dB, 20%일 때 13dB이다. 정보 송신 장치에서 볼륨 크기는 항상 일정할 수 없으므로, 정보 수신 장치는 상기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가 사용 중이었던 볼륨 크기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지 판별할 수 있다.
계산부를 통해 임계 값을 계산하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모델명 'AAA'(401)인 정보 송신 장치가 최대 볼륨 크기 대비 80%로 제1사운드를 출력한다면,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최대 볼륨 크기인 88dB의 80%를 임계 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정보 저장부는 서로 다른 정보 송신 장치가 거리에 따라 수신하는 사운드 크기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도4에서 정보 수신 장치는 정보 송신 장치 자체의 볼륨 크기(410)에 따른 사운드 크기 대신 거리에 따른 사운드 크기를 측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가 유동적으로 임계 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임계 거리를 가깝게 설정하여 임계 값이 커지면, 잡음에 노출될 확률이 적어지는 반면 사용자가 가까이 이동하여 정보를 송수신하여야 한다. 임계 거리를 멀게 설정하면 잡음에 노출될 확률이 커지지만 사용자가 멀리서도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정보 송신 장치와의 거리를 계산하여 임계 거리와 비교하는 실시예에서, 정보 수신 장치는 정보 송신 장치의 모델 정보 및 불륨 크기를 수신받을 수 있고, 계산부(120)는 정보 송신 장치의 모델 정보 및 볼륨 크기에 따른 사운드 특성을 이용하여 정보 송신 장치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저장부(110)는 상기 정보 송신 장치의 모델 정보 및 볼륨 크기에 따른 사운드 특성을 저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정보 수신 장치가 정보 송신 장치 중 하나인 제1정보 송신 장치의 모델 정보인 'AAA' 및 볼륨 크기 60%가 포함된 제1사운드 데이터를 수신 받는 경우,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AAA'의 모델 사운드 특성으로 정보 송신 장치가 출력한 사운드 크기와 정보 수신 장치가 측정한 사운드 크기의 차이를 계산하여 상기 'AAA'와 정보 수신 장치 간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수신 장치의 동작 순서도를 나타낸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정보 송신 장치에 정보 요청을 위한 입력을 주면 정보 송신 장치는 제1사운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정보 수신 장치는 상기 제1사운드 데이터를 수신하여(500), 정보 저장부 및 판별부를 통해 임계 값과 상기 제1사운드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510). 정보 수신 장치의 판별부를 통해 임계 값과 비교한 후, 통신할 수 있다고 판별되면 출력부는 제2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520).
다만, 일실시예에 따르면, 판별부가 통신할 수 없다고 판별한 경우, 출력부는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530). 예시적으로, 정보 송수신 장치간의 거리가 멀어 통신할 수 없다고 판별된 경우, "기기를 연결할 수 없습니다. 가까이 이동해주십시오."와 같은 안내 멘트를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정보 송신 장치에 대응되는 정보가 정보 저장부에 없는 경우, 출력부는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530). 도1에서 선술하였듯이, 제1정보 송신 장치에 대응되는 정보가 정보 저장부에 없는 경우, 수집된 정보를 정보 저장부에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경고음은 "기기를 확인해주십시오. 연결할 수 없는 기기입니다."와 같은 안내 멘트일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수신 장치가 결제 정보 및 광고 정보를 송수신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정보 수신 장치는 제1 사운드 데이터와 함께 상기 정보 송신 장치와 관련된 제1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1정보에 대응되는 제2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정보 및 제2정보는 결제 정보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정보 수신 장치(200)는 결제가 필요한 가게, 매장등에 설치되어 결제 요청 정보(220)을 송신하고, 정보 송신 장치(210)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디스플레이(601)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사용자가 결제 관련 인터페이스를 클릭 또는 터치하여 정보 송신 장치(210)는 미리 저장된 결제 정보(230)를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정보 및 제2정보는 광고 정보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정보 송신 장치(210)가 광고 요청 정보(230)를 제1정보로 송신하고, 정보 수신 장치(200)가 상기 정보 송신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고 판별하면 광고 정보(220)을 제2 정보로 송신할 수 있다. 정보 송신 장치는 광고 정보를 디스플레이(611)에 표시하여 광고 내용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Claims (20)

  1. 사운드를 이용한 정보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신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정보 송신 장치와 통신이 가능하다고 설정된 임계 값을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송신 장치 중 하나인 제1정보 송신 장치에서 출력된 제1사운드 데이터와 상기 임계 값을 비교하여, 상기 정보 송신 장치가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
    를 포함하는 정보 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임계 값은 임계 거리의 상기 정보 송신 장치로부터 상기 정보 수신 장치에 수신되는 사운드 크기이고,
    상기 제1사운드 데이터는 상기 정보 수신 장치에서 측정된 사운드 크기를 포함하는 정보 수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정보 수신 장치에서 측정된 사운드 크기가 상기 임계 값보다 크다고 인식된 경우, 상기 정보 송신 장치가 통신 가능하다고 판별하는 정보 수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부는 상기 임계 값을 상기 정보 송신 장치의 모델 정보와 매핑시켜 저장하고,
    상기 제1사운드 데이터는 상기 제1정보 송신 장치의 모델 정보를 더 포함하는 정보 수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부는 상기 임계 값을 상기 정보 송신 장치의 모델 정보 및 볼륨 크기와 매핑시켜 저장하고,
    상기 제1사운드 데이터는 상기 제1정보 송신 장치의 볼륨 크기를 더 포함하는 정보 수신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운드 데이터는 상기 제1정보 송신 장치의 모델 정보 및 볼륨 크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정보 송신 장치의 모델 정보 및 볼륨 크기에 따른 상기 임계 값을 계산하는 계산부
    를 더 포함하는 정보 수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가 통신 가능하다고 판별한 경우, 상기 제1사운드 데이터에 상응하는 제2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더 포함하는 정보 수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가 통신할 수 없다고 판별한 경우, 상기 출력부는 경고음을 출력하는 정보 수신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부에 상기 제1정보 송신 장치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출력부는 경고음을 출력하는 정보 수신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부에 상기 제1정보 송신 장치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1정보 송신 장치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여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부
    를 더 포함하는 정보 수신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제1 사운드 데이터는 상기 정보 송신 장치와 관련된 제1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1정보에 대응되는 제2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수신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보 및 제2정보는 결제 정보에 관한 것인 정보 수신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보 및 제2정보는 광고 정보에 관한 것인 정보 수신 장치.
  14. 사운드를 이용한 정보 수신 장치에 있어서,
    정보 송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제1사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 송신 장치와의 거리를 계산하는 계산부; 및
    상기 정보 송신 장치와의 거리와 미리 설정된 임계 거리를 비교하여, 상기 정보 송신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
    를 포함하는 정보 수신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운드 데이터는 상기 정보 수신 장치에서 측정된 사운드 크기를 포함하는 정보 수신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정보 송신 장치와의 거리가 상기 임계 거리보다 가까운 경우, 상기 정보 송신 장치가 통신 가능하다고 판별하는 정보 수신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운드 데이터는 상기 정보 송신 장치의 모델 정보 및 볼륨 크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계산부는 상기 정보 송신 장치의 모델 정보 및 볼륨 크기에 따른 사운드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정보 송신 장치와의 거리를 계산하는 정보 수신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송신 장치의 모델 정보 및 볼륨 크기에 따른 사운드 특성을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정보 수신 장치.
  19. 정보 수신 장치가 정보 송신 장치를 식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정보 수신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정보 송신 장치와 통신이 가능하다고 설정된 임계 값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정보 수신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송신 장치 중 하나인 제1 정보 송신 장치에서 출력된 제1사운드 데이터와 상기 임계 값을 비교하여, 상기 정보 송신 장치가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0. 정보 수신 장치가 정보 송신 장치를 식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정보 수신 장치가 상기 정보 송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제1사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 송신 장치와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정보 수신 장치가 상기 정보 송신 장치와의 거리와 미리 설정된 임계 거리를 비교하여, 상기 정보 송신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90039011A 2019-04-03 2019-04-03 정보 수신 장치 KR202001172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011A KR20200117215A (ko) 2019-04-03 2019-04-03 정보 수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011A KR20200117215A (ko) 2019-04-03 2019-04-03 정보 수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215A true KR20200117215A (ko) 2020-10-14

Family

ID=72847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9011A KR20200117215A (ko) 2019-04-03 2019-04-03 정보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721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4435A (ko) 2007-05-28 2008-12-03 아바드(주) 유선단말과 무선단말의 근거리통신을 이용한 멀티미디어데이터 전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72643A (ko) 2012-12-05 2014-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스마트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매칭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것을 포함한 유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4435A (ko) 2007-05-28 2008-12-03 아바드(주) 유선단말과 무선단말의 근거리통신을 이용한 멀티미디어데이터 전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72643A (ko) 2012-12-05 2014-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스마트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매칭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것을 포함한 유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307379B2 (en) Method for managing beacon, terminal device, server and storage medium
US11031011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electronic device to perform speech recognition
US9526120B2 (en) Techniques for context-based application invocation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actions
EP3588343A1 (en) Mobile computing device and wearable computing device having automatic access mode control
JP201602421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10034270A (ko) LoS 경로를 확인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N107766747B (zh) 校验应用程序安装包完整性的方法、移动终端及服务器
US20200320509A1 (en) Electronic transaction method and terminal
KR102230583B1 (ko)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전자 장치, 서버 및 저장 매체
CN107924514B (zh) 使用动态mst配置执行支付交易的装置和方法
US10397702B2 (en) Method of detecting external devices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same
KR102204995B1 (ko) 사용자의 조건 정보에 매칭되는 부동산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20160004712A (ko) 비인가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통신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장치
KR102329770B1 (ko) 푸시 알림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00117215A (ko) 정보 수신 장치
US20230056827A1 (en) Method and device for nft-based software
US20220326964A1 (en) Processor for initializing model file of appl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10065210A1 (en) Method for receiving merchant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KR20190100786A (ko) 결제 정보에 기반한 지오펜싱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20118785A (ko) 지오펜스를 설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US11802951B2 (e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KR20190105730A (ko) 오디오 모듈을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16168989A1 (zh) 一种非接触前端的配置方法及终端
KR102280272B1 (ko) 릴레이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669446B1 (ko) 억세스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및 그 작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