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7005A -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방법 및 노드 기기 - Google Patents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방법 및 노드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7005A
KR20200117005A KR1020207025703A KR20207025703A KR20200117005A KR 20200117005 A KR20200117005 A KR 20200117005A KR 1020207025703 A KR1020207025703 A KR 1020207025703A KR 20207025703 A KR20207025703 A KR 20207025703A KR 20200117005 A KR20200117005 A KR 20200117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bearer
pdcp
notification message
up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5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9742B1 (ko
Inventor
아이주안 리우
징 리앙
지아민 리우
Original Assignee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KR20200117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1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2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5Access point devices with remote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공개는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방법과 노드 기기에 관한 것이다. 그중,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방법은, 제2 노드가, 제1 노드가 베어러를 위해 PDCP 중복 메커니즘을 설정할 때 송신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노드가, 상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를 변경 또는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방법 및 노드 기기
본 출원은 2018년 2월 9일 중국에 제출한 특허출원 No.201810133812.1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본 공개는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방법과 노드 기기에 관한 것이다.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에서, E-UTRAN(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은 다수의 eNodeB(Evolution Node B)로 설정되며, eNodeB와 EPC(Evolved Packet Core network)은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연결되며, eNodeB들 사이는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5G 시스템에서, 집중적인 제어와 스케줄링을 진행하도록 하나의 중심 노드(Central Unit, CU)를 도입할 것을 고려한다.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의 기능과 일부 층 2 또는/및 층 1의 기능은 당해 중심 노드 CU에 있으며, 기지국의 기타 기능은 분산 노드(Distribute Unit, DU)에 배치된다.
기지국과 코어망의 인터페이스(NG)는 CU에서 중지되며, 기지국들 사이의 인터페이스(Xn)도 CU에서 중지된다.
무선 접속망(Radio Access Network, RAN)측의 CU와 DU는 분리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RAN측의 CU/DU의 분리 방식은 상위층 분리와 하위층 분리로 구분된다. 그중, 상위층 분리 솔루션으로서, 무선 자원 제어 프로토콜(Radio Resource Control, RRC),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은 CU에 있고; 무선 링크층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미디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및 물리층과 RF는 DU에 있다.
제어 면 시그널링에 대하여, CU에서 RRC 메시지를 PDCP층에서 대응되는 PDCP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DU)으로 맵핑한 후, 당해 PDCP PDU 데이터 스트림을 컨테이너(container) 형태로 CU/DU의 인터페이스 AP 메시지에 포함시키고, 제어 면을 통해 전달한다. DU는 당해 데이터 스트림을 상응하는 층 2의 개체에 송신한 후, 계속하여 당해 데이터를 처리하여 UE에 송신한다. 제어 면이 스트림 제어 전송 프로토콜(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 SCTP)의 프로토콜 스택을 이용하므로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이 확보된다.
사용자 면의 데이터에 대하여, CU와 DU 사이는 데이터 베어러(DRB) 각각에 대해 모두 전문적인 사용자 면 터널(tunnel)을 구축하고, CU는 DRB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DCP에 의해 처리한 후, 대응되는 tunnel을 통해 DU에 전달한다.
2)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CA)에 기반한 PDCP의 중복 메커니즘(duplication)
데이터의 확실한 전송을 지원하기 위해, NR에는 CA과 이중 연결(Double Connection, DC)에 기반한 PDCP의 duplication이 도입된다.
도 2와 같이, CA 기반의 PDCP duplication은 하나의 PDCP 데이터 패킷을 동일 노드에 위치한 2개의 무선 링크층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개체에 송신하는 것이다.
PDCP와 RLC가 동일 노드에 위치한 시나리오에서, PDCP층과 RLC층 사이의 데이터 전달은 내부에서 구현된다.
그러나, CU/DU 분리 시나리오에서는, DRB와 시그널링 베어러(SRB)의 대응되는 PDCP PDU는 CU와 DU 사이에서 전달된다.
베어러의 PDCP의 duplication을 설정할 때 어떻게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UL PDCP duplication)을 활성화할 것인지는 표준에 의한 지원이 필요하다.
3) 이중 연결(DC)에 기반한 PDCP의 duplication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DC 기반의 PDCP duplication은 하나의 PDCP 데이터 패킷을 2개의 노드에 위치하는 2개의 RLC 개체에 송신하는 것이다. DC 기반의 PDCP duplication의 경우, MAC는 어느 하나의 베어러의 UL PDCP duplication을 활성화 할 수 있으며, 베어러의 PDCP duplication을 최초로 설정할 때 어떻게 UL PDCP duplication을 활성화할 것인지는 표준에 의한 지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현재, CU/DU 분리 시나리오에서, CA 기반의 duplication을 지원하도록 베어러를 설정함과 동시에 어떻게 UL duplication을 활성화할 것인지에 대해 아직 완벽한 솔루션이 없다.
또한, MR-DC 시나리오에서, DC 기반의 duplication을 지원하도록 베어러를 설정함과 동시에 어떻게 UL duplication을 활성화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아직 완벽한 솔루션이 없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방법과 노드 기기를 제공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베어러를 위해 PDCP 중복 메커니즘을 설정함과 동시에, 당해 베어러의 UL의 중복 메커니즘이 활성화 상태인지 비활성화 상태인지를 지시하기 위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공개의 실시예는 아래와 같은 기술적 수단을 제공한다.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방법에 있어서,
제2 노드가, 제1 노드가 베어러를 위해 PDCP 중복 메커니즘을 설정할 때 송신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노드가, 상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를 변경 또는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중, 상기 알림 메시지에는, 상기 베어러에 PDCP 중복 메커니즘이 설정되고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비활성화 함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휴대되어 있다.
그중, 상기 제2 노드가 상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노드가 상기 알림 메시지에 휴대되어 있는,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비활성화 함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중, 상기 제2 노드가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노드가 미디어 액세스 제어 제어 장치 MAC CE의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중, 상기 제2 노드가 상기 알림 메시지에 휴대되어 있는,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 함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또는 상기 제2 노드가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비활성화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변경한 후,
상기 제2 노드가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활성화 상태에 따라, 상기 베어러를 위해 상응하는 우선순위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중, 상기 알림 메시지에는 상기 베어러에 PDCP 중복 메커니즘이 설정되었음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휴대되어 있다.
그중, 상기 제2 노드가 상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노드가 상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 함을 확정한 경우, 상기 제1 노드에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되, 상기 응답 메시지에는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 함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휴대되어 있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중, 반송파 집성CA 기반의 PDCP 중복 메커니즘에서는, 중심 노드 CU/분산 노드 DU의 분리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1 노드가 중심 노드이면, 상기 제2 노드는 분산 노드이며; 또는
이중 연결 DC 기반의 PDCP 중복 메커니즘에서는, 상기 제1 노드가 주 노드 MN이면, 상기 제2 노드는 부 노드 SN이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방법을 더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제1 노드가 베어러를 위해 PDCP 중복 메커니즘을 설정할 때 제2 노드에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제2 노드로 하여금, 상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를 변경 또는 확정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중, 상기 제1 노드는 상기 제2 노드가 리포트한 보조 정보를 토대로, 베어러를 위해 PDCP 중복 메커니즘을 설정한다.
그중, 상기 보조 정보는, 제2 노드가 반송파 집성CA 시나리오를 지원하는지, 고신뢰-저 지연 통신 URLLC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및 상기 제2 노드가 현재 지원하는 터널의 상황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그중, 상기 알림 메시지에는, 상기 베어러에 PDCP 중복 메커니즘이 설정되고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비활성화 함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휴대되어 있다.
그중, 상기 알림 메시지에는 상기 베어러에 PDCP 중복 메커니즘이 설정되었음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휴대되어 있다.
그중, 제1 노드가 제2 노드에 알림 메시지를 송신한 후,
상기 제1 노드가, 상기 제2 노드가 상기 알림 메시지에 따라,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 함을 확정한 경우에 송신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되, 상기 응답 메시지에는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 함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휴대되어 있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중, 반송파 집성CA 기반의 PDCP 중복 메커니즘에서는, 중심 노드 CU/ 분산 노드 DU의 분리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1 노드가 중심 노드이면, 상기 제2 노드는 분산 노드이며; 또는
이중 연결 DC 기반의 PDCP 중복 메커니즘에서는, 상기 제1 노드가 주 노드 MN이면, 상기 제2 노드는 부 노드 SN이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노드 기기를 더 제공한다. 상기 노드 기기는,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작동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그중,
상기 송수신기는, 제1 노드가 베어러를 위해 PDCP 중복 메커니즘을 설정할 때 송신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를 변경 또는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중, 상기 알림 메시지에는, 상기 베어러에 PDCP 중복 메커니즘이 설정되고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비활성화 함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휴대되어 있다.
그중,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수신기가 상기 알림 메시지에 휴대되어 있는,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비활성화 함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것이다.
그중, 상기 송수신기는 또한, 미디어 액세스 제어 제어 장치 MAC CE의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것이다.
그중,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활성화 상태에 따라, 상기 베어러를 위해 상응하는 우선순위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중, 상기 알림 메시지에는 상기 베어러에 PDCP 중복 메커니즘이 설정되었음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휴대되어 있다.
그중,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 함을 확정한 경우, 상기 제1 노드에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응답 메시지에는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 함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휴대되어 있다.
그중, 반송파 집성CA 기반의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PDCP 중복 메커니즘에서는, 중심 노드 CU/ 분산 노드 DU의 분리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1 노드가 중심 노드이면, 상기 제2 노드는 분산 노드이며; 또는
이중 연결 DC 기반의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PDCP 중복 메커니즘에서는, 상기 제1 노드가 주 노드 MN이면, 상기 제2 노드는 부 노드 SN이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노드 기기를 더 제공한다. 상기 노드 기기는,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작동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그중,
상기 송수신기는, 베어러를 위해 PDCP 중복 메커니즘을 설정할 때 제2 노드에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제2 노드로 하여금, 상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를 변경 또는 확정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중,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제2 노드가 리포트한 보조 정보를 토대로, 베어러를 위해 PDCP 중복 메커니즘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중, 상기 보조 정보는, 제2 노드가 반송파 집성CA 시나리오를 지원하는지, 고신뢰-저 지연 통신 URLLC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및 상기 제2 노드가 현재 지원하는 터널의 상황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그중, 상기 알림 메시지에는, 상기 베어러에 PDCP 중복 메커니즘이 설정되고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비활성화 함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휴대되어 있다.
그중, 상기 알림 메시지에는 상기 베어러에 PDCP 중복 메커니즘이 설정되었음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휴대되어 있다.
그중, 상기 송수신기는 또한, 상기 제2 노드가 상기 알림 메시지에 따라,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 함을 확정한 경우에 송신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응답 메시지에는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 함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휴대되어 있다.
그중, 반송파 집성CA 기반의 PDCP 중복 메커니즘에서는, 중심 노드 CU/ 분산 노드 DU의 분리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1 노드가 중심 노드이면, 상기 제2 노드는 분산 노드이며; 또는
이중 연결 DC 기반의 PDCP 중복 메커니즘에서는, 상기 제1 노드가 주 노드 MN이면, 상기 제2 노드는 부 노드 SN이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장치를 더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송수신 모듈과 처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 모듈은, 제1 노드가 베어러를 위해 PDCP 중복 메커니즘을 설정할 때 송신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를 변경 또는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장치를 더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송수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 모듈은, 베어러를 위해 PDCP 중복 메커니즘을 설정할 때 제2 노드에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제2 노드로 하여금, 상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를 변경 또는 확정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저장 매체는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명령이 컴퓨터에서 작동하는 경우, 컴퓨터는 상기와 같은 방법을 수행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의 유익한 효과는 아래와 같다.
본 공개의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노드가 베어러를 위해 PDCP 중복 메커니즘을 설정할 때 송신한 알림 메시지를 제2 노드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제2 노드는 상기 알림 메시지를 토대로,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 하며; CA 기반의 PDCP 중복 메커니즘에서는, CU/DU의 분리 시나리오에서 제1 노드가 CU이면, 제2 노드는 DU이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어떻게 CA 기반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을 설정함과 동시에 현재 베어러의 UL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의 상태(즉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및 후속되는 DU의 행위를 지시할 것인지를 제시한다. 또한, MR-DC의 시나리오에서 제1 노드가 MN이면, 제2 노드는 SN이며, 본 공개의 실시예는 어떻게 DC 기반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을 설정함과 동시에 당해 베어러의 UL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의 상태, 즉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 및 후속되는 SN의 행위를 지시할 것인지를 제시한다.
본 공개 실시예의 기술적 수단을 더 명료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 본 공개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사용하게 될 도면을 간략하게 소개한다. 분명한 바, 이하 설명 중의 도면은 본 공개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고도 이들 도면을 토대로 다른 도면을 얻을 수도 있다.
도 1은 CU/DU 분리 아키텍처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는 CA 기반 및 DC 기반의 PDCP의 중복 메커니즘을 나타낸다.
도 3은 DC 기반의 PDCP의 중복 메커니즘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노드 기기의 구성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노드 기기의 모듈 블록도를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공개의 예시적 실시예를 더 상세히 설명한다. 비록 도면에 본 공개의 예시적 실시예를 나타냈으나, 여기서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본 공개를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를 제공하는 것은 본 공개를 더 투철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본 공개의 범위를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해서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베어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을 설정할 때 당해 베어러의 UL의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설정함으로써, 베어러의 UL의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비활성화 설정 방안을 제공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공개의 실시예는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1: 제2 노드가, 제1 노드가 베어러를 위해 PDCP 중복 메커니즘을 설정할 때 송신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다.
단계 12: 상기 제2 노드가, 상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를 변경 또는 확정한다.
이 실시예에서, CA 기반의 PDCP 중복 메커니즘에서는, CU/DU 분리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1 노드가 중심 노드(CU)이면, 상기 제2 노드는 분산 노드(DU)이며;
DC 기반의 PDCP 중복 메커니즘에서는, 상기 제1 노드가 MN이면, 상기 제2 노드는 SN이다.
이 실시예에서, 제2 노드는 제1 노드가 베어러를 위해 PDCP 중복 메커니즘을 설정할 때 송신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노드는 상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를 변경 또는 확정한다. 이로써, 베어러에 PDCP 중복 메커니즘을 설정한 경우, 당해 베어러의 상향링크(UL)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진행함으로써, 관련 기술의 공백을 메꿀 수 있다.
당해 도 4에 나타낸 실시예의 첫 번째 구현 방법:
단계 111: 제2 노드는, 제1 노드가 베어러를 위해 PDCP 중복 메커니즘을 설정할 때 송신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되; 상기 알림 메시지에는 상기 베어러에 PDCP 중복 메커니즘이 설정되고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비활성화 함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휴대되어 있다.
단계 121: 상기 제2 노드가 상기 알림 메시지에 휴대되어 있는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비활성화 함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변경한다.
그중, 상기 제2 노드가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노드가 미디어 액세스 제어 제어 장치(MAC CE)의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제2 노드가 상기 알림 메시지에 휴대되어 있는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 함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또는 상기 제2 노드가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비활성화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변경한 후, 아래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계 131: 상기 제2 노드는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활성화 상태에 따라, 상기 베어러를 위해 상응하는 우선순위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CA 기반의 PDCP 중복 메커니즘에 대하여, CU/ DU 분리 시나리오에서는, CU는 DU가 리포트한 보조 정보를 토대로, 어느 하나의 베어러를 위해 PDCP 중복 메커니즘을 설정할 때 당해 베어러의 UL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동시에 DU에 통지한다. DU는 CU가 베어러를 위해 PDCP 중복 메커니즘을 설정하고 또한 베어러의 UL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에 관한 통지를 받은 후, 후속 절차에서 DU는 MAC 시그널링, 구체적으로 MAC CE 시그널링을 통해, 당해 베어러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변경하고, 활성화 상태에 따라 상응하는 우선순위의 서비스를 당해 베어러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인 구현 시, 연결 상태의 UE는 CU/DU 분리 아키텍처의 하나의 gNB에 접속하며, 당해 UE는 고 신뢰-저 지연 통신(URLLC) 서비스의 개시를 요청한다. 코어망의 지시에 따라, DU의 보조 정보를 토대로 CU는 UE의 컨텍스트 수정 요청(UE context modification request) 메시지를 통해 DU에 URLLC 서비스를 지원하는 베어러에 관한 컨텍스트를 구축한다. 당해 컨텍스트에는, 당해 베어러가 PDCP 중복 메커니즘을 지원한다는 지시와, 당해 베어러의 UL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에 대한 지시가 휴대되어 있다. 당해 방법은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 코어망이 URLLC 서비스에 대응하는 베어러를 구축할 것을 무선 접속망(Radio Acess Network, RAN)에 요청한다.
단계 2: DU가 이전에 제공한 보조 정보, 예를 들어 DU가 CA를 지원하는지, URLLC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및 현재 터널 상황 등의 보조 정보를 토대로, CU는 DU에 UE context modification request 메시지를 송신한다. 당해 메시지는 PDCP 중복 메커니즘을 지원하는 베어러를 구축할 것을 DU에 통지한다. 동시에, CU는 UL 중복 메커니즘이 이미 활성화 되었음을 DU에 통지한다. 나아가, 당해 베어러가 PDCP 중복 메커니즘을 지원하고 또한 당해 베어러의 UL 중복 메커니즘이 이미 활성화/비활성화되었다는 상태 정보도 CU로부터 바로 UE에 송신될 수 있다.
단계 3: DU는 메시지를 수신한 후, 당해 베어러가 PDCP 중복 메커니즘을 지원하고 또한 UL 중복 메커니즘이 이미 활성화 되었음을 파악하게 되며, 당해 UE에 대해 고 우선순위 처리를 진행할 필요가 있음을 고려한다. 이어서, DU는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UL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진행할지를 결정할 수 있으며, DU는 UE 컨텍스트 수정 응답(UE Context modification response) 메시지를 통해 CU의 요청에 응답할 수 있다. 나아가, DU는 베어러의 UL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변경한 후, 변경된 후의 베어러의 UL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도 UE에 통지할 수 있다.
단계 4: CU는 UE에 RRC 연결 재설정(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RRC는 무선 자원 제어) 프로세스를 개시한다.
한편 DC 기반의 PDCP 중복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주 노드(MN)는 부 노드(SN)가 리포트한 보조 정보를 토대로, 어느 하나의 베어러를 위해 중복 메커니즘을 설정함을 SN에 통지할 때, 당해 베어러의 UL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도 동시에 SN에 통지한다. 그후 SN은 MAC 시그널링을 통해 당해 베어러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변경하고, 활성화 상태에 따라 상응하는 우선순위의 서비스를 당해 베어러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인 구현 시, UE는 LTE와 NR에 동시에 접속하며, 당해 UE는 하나의 URLLC 서비스의 개시를 요청한다. 코어망의 지시에 따라, SN의 보조 정보를 토대로, SgNB 수정 요청(SgNB modification request) 메시지를 통해 SN에 URLLC 서비스를 지원하는 split 베어러에 관한 컨텍스트를 구축한다. 당해 컨텍스트에는 당해 베어러가 PDCP 중복 메커니즘을 지원한다는 지시와, 당해 베어러의 UL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가 휴대되어 있다. 당해 방법은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 코어망이 URLLC 서비스에 대응하는 베어러를 구축할 것을 RAN에 요청한다.
단계 2: SN의 보조 정보, 예를 들어 URLLC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및 현재 터널 상황 등의 보조 정보를 토대로, MN은 SN에 SgNB 수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당해 메시지는 중복 메커니즘을 지원하는 Split 베어러를 구축할 것을 SN에 통지한다. 동시에, MN은 UL 중복 메커니즘이 이미 활성화 되었음을 SN에 통지한다. 나아가, 당해 베어러가 PDCP 중복 메커니즘을 지원한다는 정보와 당해 베어러의 UL 중복 메커니즘이 이미 활성화/비활성화 되었다는 상태 정보도, MN으로부터 바로 UE에 송신될 수 있다.
단계 3: SN은 메시지를 수신한 후, 당해 베어러가 중복 메커니즘을 지원하고 또한 UL 중복 메커니즘이 이미 활성화 되었음을 파악하게 되며, 당해 UE에 대해 고 우선순위 처리를 진행할 필요가 있음을 고려한다. 이어서, SN은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UL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진행할지를 결정할 수 있으며, SN은 SgNB modification response메시지를 통해 MN의 요청에 응답할 수 있다. 나아가, SN은 베어러의 UL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변경한 후, 변경된 후의 베어러의 UL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도 UE에 통지할 수 있다.
단계 4: MN은 UE에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프로세스를 개시한다.
당해 도 4에 나타낸 실시예의 두 번째 구현 방법:
단계 112: 제2 노드가, 제1 노드가 베어러를 위해 PDCP 중복 메커니즘을 설정할 때 송신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되, 상기 알림 메시지에는 상기 베어러에 PDCP 중복 메커니즘이 설정되었음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휴대되어 있다.
단계 122: 상기 제2 노드가 상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 함을 확정한 경우, 상기 제1 노드에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되, 상기 응답 메시지에는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 함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휴대되어 있다.
CA 기반의 PDCP 중복 메커니즘에서는, CU/DU의 분리 시나리오에서, CU는 어느 하나의 베어러에 중복 메커니즘이 설정되었음만을 DU에 통지하며, DU는 당해 베어러의 현재 수요를 판단하여, UL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 한다. CU에 송신하는 응답 메시지에는 UL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 함을 지시하는 지시가 휴대되어 있으며, CU는 어느 하나의 bearer (베어러)에 중복 메커니즘이 설정되었고 또한 UL의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 함을 RRC 메시지를 통해 UE에 통지한다.
구체적인 구현 시, 연결 상태의 UE는 CU/DU 분리 아키텍처의 하나의 gNB에 접속하며, 당해 UE는 하나의 URLLC 서비스의 개시를 요청한다. 코어망의 지시에 따라, CU는 UE context modification request 메시지를 통해 DU에 URLLC 서비스를 지원하는 베어러에 관한 컨텍스트를 구축한다. DU는 당해 베어러가 현재 UL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를 필요로 함을 판단하고, UE context modification response에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포함시킨다. 당해 방법은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 코어망이 URLLC 서비스에 대응하는 베어러를 구축할 것을 RAN에 요청한다.
단계 2: CU는 DU에 UE context modification request 메시지를 송신한다. 당해 메시지는 중복 메커니즘을 지원하는 베어러를 구축함을 DU에 통지한다.
단계 3: DU는 메시지를 수신한 후, 당해 베어러가 중복 메커니즘을 지원함을 파악하게 되며, DU는 현재 무선 상황에 따라, 당해 베어러의 UL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 해야 함을 결정한다. DU는 UE Context modification response 메시지에서 CU가 UL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 함을 지시한다. 나아가, DU는 베어러의 UL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확정한 후, 베어러의 UL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도 UE에 통지할 수 있다.
단계 4: CU는 수신한 UE Context modification response 메시지 내의 정보를 토대로, UE에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프로세스를 개시한다.
한편 DC 기반의 PDCP 중복 메커니즘에서는, MN은 어느 하나의 베어러에 duplication을 설정하였다는 것만을 SN에 통지한다. SN은 당해 베어러가 현재 UL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가 필요함을 판단하고, MN에 송신하는 응답 메시지에 UL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에 대한 지시를 포함시킨다. MN은 어느 하나의 bearer(베어러)에 중복 메커니즘을 설정하였고 또한 UL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 하였음을 RRC 메시지를 통해 UE에 통지한다.
구체적인 구현 시, UE는 LTE와 NR에 동시에 접속하며, 당해 UE는 하나의 URLLC 서비스를 개시할 것을 요청한다. 코어망의 지시에 따라, MN은 SgNB modification request 메시지를 통해 SN에 URLLC 서비스를 지원하는 split 베어러에 관한 컨텍스트를 구축한다. 당해 컨텍스트에는 당해 베어러가 PDCP 중복 메커니즘을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가 휴대되어 있다. SN은 당해 베어러가 UL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가 필요함을 인지하고, SgNB modification response에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포함시킨다. 당해 방법은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 코어망이 URLLC 서비스에 대응하는 베어러를 구축할 것을 RAN에 요청한다.
단계 2: MN이 SN에 SgNB modification request 메시지를 송신한다. 당해 메시지는 중복 메커니즘을 지원하는 SPLIT 베어러의 구축을 SN에 통지한다.
단계 3: SN은 메시지를 수신한 후, 당해 베어러가 중복 메커니즘을 지원함을 파악하게 되며, 현재 무선 상황에 따라, UL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가 필요함을 판단한다. SN은 UL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 할 것을 SgNB modification response 메시지를 통해 MN에 지시한다. 나아가, SN은 베어러의 UL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확정한 후, 베어러의 UL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도 UE에 통지할 수 있다.
단계 4: MN은 수신한 SgNB modification response 메시지 내의 정보를 토대로, UE에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프로세스를 개시한다.
본 공개의 상기 실시예는 CA 기반의 PDCP 중복 메커니즘에 대하여, CU/DU 분리 시나리오에서, 베어러의 중복 메커니즘을 설정할 때 UL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비활성화 하는 두 가지 방법을 제시했다.
방법1: DU가 리포트한 보조 정보를 토대로, CU는 어느 하나의 베어러를 위해 중복 메커니즘을 설정할 때 당해 베어러의 UL 중복 메커니즘이 활성화/비활성화된 상태임을 동시에 DU에 통지한다. 그후 DU는 MAC 시그널링을 통해 당해 베어러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변경하고 활성화 상태에 따라 상응하는 우선순위의 서비스를 당해 베어러에 제공할 수 있다.
방법2: CU는 어느 하나의 베어러에 중복 메커니즘이 설정되었다는 것만을 DU에 통지하고, DU는 당해 베어러가 현재 UL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가 필요함을 판단하고, CU에 대한 응답 메시지에 UL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에 관한 지시를 포함시킨다. CU는 어느 하나의 베어러(bearer)에 중복 메커니즘을 설정하였고 또한 UL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 함을 RRC 메시지를 통해 UE에 통지한다.
본 공개는 CU/DU 분리 시나리오에서 어떻게 CA 기반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을 설정함과 동시에 현재 PDCP 중복 메커니즘의 상태(즉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및 후속되는 DU의 행위를 지시할 것인지를 공개하였다. 이와 동시에, 상술한 방법 1 및 방법 2와 유사한 방법을 통해서도, MR-DC의 시나리오에서 어떻게 DC 기반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을 설정함과 동시에 현재 PDCP 중복 메커니즘의 상태, 즉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 및 후속되는 SN의 행위를 지시할 것인지를 공개하였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공개의 실시예는 노드 기기(50)를 더 제공한다. 상기 노드 기기(50)는 송수신기(51)와 프로세스(52)를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기(51)는, 제1 노드가 베어러를 위해 PDCP 중복 메커니즘을 설정할 때 송신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52)는, 상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를 변경 또는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송수신기와 프로세서는 버스 또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 연결될 수 있으며, 당해 노드 기기는 상기 송수신기 또는 프로세서의 데이터 처리 시의 상응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53)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당해 메모리는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와 모두 버스 인터페이스 또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 연결된다.
본 공개의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반송파 집성CA 기반의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PDCP 중복 메커니즘에서는, 중심 노드 CU/ 분산 노드 DU가 분리된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1 노드가 중심 노드이면, 상기 제2 노드는 분산 노드이며; 상기 알림 메시지에는, 상기 베어러에 PDCP 중복 메커니즘이 설정되고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비활성화 함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휴대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수신기가 상기 알림 메시지에 휴대되어 있는,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비활성화 함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상기 송수신기는 또한, 미디어 액세스 제어 제어 장치 MAC CE의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활성화 상태에 따라, 상기 베어러를 위해 상응하는 우선순위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공개의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이중 연결 DC 기반의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PDCP 중복 메커니즘에서는, 상기 제1 노드가 주 노드 MN이면, 상기 제2 노드는 부 노드 SN이며; 상기 알림 메시지에는 상기 베어러에 PDCP 중복 메커니즘이 설정되었음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휴대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 함을 확정한 경우, 상기 제1 노드에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되, 상기 응답 메시지에는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 함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휴대되어 있다. 당해 실시예는 상기 제2 노드측의 방법에 대응하는 제2 노드의 기기이며, 상기 제2 노드측 방법의 모든 구현 형태는 모두 이 실시예에 적용되며, 이 역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노드 기기를 더 제공한다. 당해 노드 기기는 송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기는, 베어러를 위해 PDCP 중복 메커니즘을 설정할 때 제2 노드에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제2 노드로 하여금, 상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를 변경 또는 확정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노드 기기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모두 버스 또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수신기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본 공개의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반송파 집성CA 기반의 PDCP 중복 메커니즘에서는, 중심 노드 CU/ 분산 노드 DU의 분리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1 노드가 중심 노드이면, 상기 제2 노드는 분산 노드이며;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제2 노드가 리포트한 보조 정보를 토대로, 베어러를 위해 PDCP 중복 메커니즘을 설정한다. 상기 보조 정보는, 제2 노드가 반송파 집성CA 시나리오를 지원하는지, 고신뢰-저 지연 통신 URLLC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및 상기 제2 노드가 현재 지원하는 터널의 상황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알림 메시지에는, 상기 베어러에 PDCP 중복 메커니즘이 설정되고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비활성화 함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휴대되어 있다.
본 공개의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이중 연결 DC 기반의 PDCP 중복 메커니즘에서는, 상기 제1 노드가 주 노드 MN이면, 상기 제2 노드는 부 노드 SN이다. 상기 알림 메시지에는 상기 베어러에 PDCP 중복 메커니즘이 설정되었음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휴대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송수신기는 또한, 상기 제2 노드가 상기 알림 메시지에 따라,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 함을 확정한 경우에 송신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응답 메시지에는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 함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휴대되어 있다.
당해 실시예는 상기 제1 노드측의 방법에 대응하는 제1 노드의 기기이며, 상기 제1 노드측 방법의 모든 구현 형태는 모두 이 실시예에 적용되며, 이 역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공개의 실시예는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장치(60)를 더 제공한다. 당해 장치는 제2 노드에 적용되고, 송수신 모듈(61)과 처리 모듈(62)을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 모듈(61)은, 제1 노드가 베어러를 위해 PDCP 중복 메커니즘을 설정할 때 송신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처리 모듈(62)은, 상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를 변경 또는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당해 실시예는 상기 제2 노드측의 방법에 대응하는 제2 노드의 기기이며, 상기 제2 노드측 방법의 모든 구현 형태는 모두 이 실시예에 적용되고, 이 역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장치를 더 제공한다. 당해 장치는 제1 노드에 적용되고, 송수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 모듈은, 베어러를 위해 PDCP 중복 메커니즘을 설정할 때 제2 노드에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제2 노드로 하여금, 상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를 변경 또는 확정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당해 실시예는 상기 제1 노드측의 방법에 대응하는 제1 노드의 기기이며, 상기 제1 노드측 방법의 모든 구현 형태는 모두 이 실시예에 적용되며, 이 역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통신 기기를 더 제공한다. 당해 통신 기기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제1 노드가 베어러를 위해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PDCP 중복 메커니즘을 설정할 때 송신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를 변경 또는 확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통신 기기를 더 제공한다. 당해 통신 기기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베어러를 위해 PDCP 중복 메커니즘을 설정할 때 제2 노드에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제2 노드로 하여금, 상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를 변경 또는 확정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저장 매체는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명령이 컴퓨터에서 작동하는 경우, 컴퓨터는 상기와 같은 제1 노드 또는 제2 노드측의 방법을 구현한다.
본 공개의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노드가 베어러를 위해 PDCP 중복 메커니즘을 설정할 때 송신한 알림 메시지를 제2 노드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제2 노드는, 상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를 변경 또는 확정한다. CA 기반의 PDCP 중복 메커니즘에서는, CU/DU 분리 시나리오에서, 제1 노드는 CU이고, 제2 노드는 DU이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어떻게 CA 기반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을 설정함과 동시에 현재 베어러의 UL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의 상태(즉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및 후속되는 DU의 행위를 지시할 것인지를 제시하였다. 이와 동시에, MR-DC의 시나리오에서 제1 노드는 MN이고, 제2 노드는 SN이며, 본 공개의 실시예에서는 어떻게 DC 기반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을 설정함과 동시에 당해 베어러의 UL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의 상태, 즉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 및 후속되는 SN의 행위를 지시할 것인지를 제시하였다.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와 결합되어 설명된 각 예시의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가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들 기능이 하드웨어 형태로 실행되는지 소프트웨어 형태로 실행되는지는 기술적 수단의 특정 어플리케이션과 설계 제약 조건에 따라 결정된다. 전문 기술자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각각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은 본 공개의 범위를 넘어선 것으로 보아서는 안된다.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설명의 편의 및 간결성을 위해, 전술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작동 프로세스에 대해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참고할 수 있음을 명백히 이해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겠다.
본 공개에 따른 실시예에서, 개시된 장치와 방법이 그밖의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전술한 장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다.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로직 기능 상의 구분일 뿐이며, 실제 구현 시에는 또 다른 구분 형태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유닛 또는 어셈블리를 서로 결합하거나, 또는 또 다른 시스템에 집적하거나, 또는 일부 특징을 무시하거나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되거나 논의된 상호간의 커플링 또는 직접적인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을 통한 간접적인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으며,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태일 수 있다.
개별 부재로서 설명된 상기 유닛들은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고 분리되지 않을 수도 있다. 유닛으로서 지시된 부재들은 물리적 유닛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으며, 한 곳에 위치하거나 또는 다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도 있다. 유닛의 일부 또는 전체는 실제 필요에 따라 선택되어 본 실시예의 기술적 수단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공개의 각 실시예 중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집적될 수 있으며, 각 유닛이 단독으로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2개 또는 그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들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서 판매되거나 사용되는 경우, 이들은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초하여, 본 공개의 기술적 수단은 본질적으로 또는 관련 기술에 대한 기여의 일부 또는 당해 기술적 수단의 일부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당해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하나의 컴퓨터 기기(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로 하여금 본 공개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전체 또는 일부 단계를 수행하게 하는 일부 명령을 포함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USB, 이동 디스크, ROM,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와 같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지적해야 할 것은, 본 공개에 따른 장치와 방법에서, 각 부재 또는 각 단계는 분해 및/또는 재조합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이들 분해 및/또는 재조합은 본 공개의 등가 솔루션으로 보아야 한다. 또한, 상술한 일련의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설명된 순서대로 자연히 시간 순서로 수행할 수 있지만, 반드시 시간 순서로 수행할 필요는 없으며, 일부 단계는 병렬 또는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공개에 따른 방법 및 장치의 모든 단계 또는 임의의 단계 또는 부재가 임의의 컴퓨팅 장치(프로세서, 저장 매체 등을 포함) 또는 컴퓨팅 장치의 네트워크에서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으며, 이들은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본 공개의 설명을 읽은 상황에서 그들의 기본 프로그래밍 기술 능력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공개의 목적은 임의의 컴퓨팅 장치에서 하나의 프로그램 또는 하나의 프로그램 그룹을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팅 장치는 공지된 범용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본 공개의 목적은 또한 상기 방법 또는 장치를 구현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제품만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이러한 프로그램 제품도 본 공개를 설정하고, 이러한 프로그램 제품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 매체도 본 공개를 설정한다. 상기 저장 매체는 임의의 공지된 저장 매체 또는 장차 개발될 임의의 저장 매체일 수 있음이 분명하다. 더 지적할 필요가 있는 것은, 본 공개에 따른 장치 및 방법에서, 각 부재 또는 각 단계는 분명히 분해 및/또는 재조합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들 분해 및/또는 재조합은 본 공개의 등가 솔루션으로 보야한 한다. 또한, 상술한 일련의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설명된 순서대로 자연히 시간 순서로 수행될 수 있지만, 반드시 시간 순서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일부 특정 단계들은 병렬 또는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는 본 공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이다. 본 기술 분야에 익숙한 통상의 기술자는 본 공개에서 설명한 원리를 전제로, 일부 개량과 윤색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개량과 윤색도 본 공개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Claims (25)

  1. 제2 노드가, 제1 노드가 베어러를 위해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중복 메커니즘을 설정할 때 송신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노드가 상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를 변경 또는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메시지에는, 상기 베어러에 PDCP 중복 메커니즘이 설정되고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비활성화 함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휴대되어 있는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드가 상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노드가 상기 알림 메시지에 휴대되어 있는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비활성화 함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드가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노드가 MAC(medium access control) CE(control unit)의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드가 상기 알림 메시지에 휴대되어 있는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 함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또는 상기 제2 노드가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비활성화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변경한 후,
    상기 제2 노드가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활성화 상태에 따라, 상기 베어러를 위해 상응하는 우선순위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메시지에는 상기 베어러에 PDCP 중복 메커니즘이 설정되었음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휴대되어 있으며;
    그중, 상기 제2 노드가 상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노드가 상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 함을 확정한 경우, 상기 제1 노드에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되, 상기 응답 메시지에는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 함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휴대되어 있는 단계를 포함하는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A(carrier aggregation) 기반의 PDCP 중복 메커니즘에서는, CU(central unit)/DU(distribute unit)의 분리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1 노드가 중심 노드이면, 상기 제2 노드는 분산 노드이며; 또는
    DC(double connection) 기반의 PDCP 중복 메커니즘에서는, 상기 제1 노드가 MN(master node)이면, 상기 제2 노드는 SN(secondary node)인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방법.
  8. 제1 노드가 베어러를 위해 PDCP 중복 메커니즘을 설정할 때 제2 노드에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제2 노드로 하여금, 상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를 변경 또는 확정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는 상기 제2 노드가 리포트한 보조 정보를 토대로, 베어러를 위해 PDCP 중복 메커니즘을 설정하며;
    그중, 상기 보조 정보는, 제2 노드가 CA 시나리오를 지원하는지, URLLC(ultra-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및 상기 제2 노드가 현재 지원하는 터널의 상황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메시지에는, 상기 베어러에 PDCP 중복 메커니즘이 설정되고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비활성화 함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휴대되어 있는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메시지에는 상기 베어러에 PDCP 중복 메커니즘이 설정되었음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휴대되어 있으며;
    그중, 제1 노드가 제2 노드에 알림 메시지를 송신한 후,
    상기 제1 노드는, 상기 제2 노드가 상기 알림 메시지에 따라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 함을 확정한 경우에 송신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되, 상기 응답 메시지에는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 함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휴대되어 있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방법.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A 기반의 PDCP 중복 메커니즘에서는, CU/DU의 분리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1 노드가 중심 노드이면, 상기 제2 노드는 분산 노드이며; 또는
    DC 기반의 PDCP 중복 메커니즘에서는, 상기 제1 노드가 MN이면, 상기 제2 노드는 SN인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방법.
  13.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작동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그중,
    상기 송수신기는, 제1 노드가 베어러를 위해 PDCP 중복 메커니즘을 설정할 때 송신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를 변경 또는 확정하기 위한 것인 노드 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메시지에는, 상기 베어러에 PDCP 중복 메커니즘이 설정되고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비활성화 함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휴대되어 있으며;
    그중,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수신기가 상기 알림 메시지에 휴대되어 있는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비활성화 함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변경하며;
    그중, 상기 송수신기는 또한, MAC CE의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것이며;
    그중,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활성화 상태에 따라, 상기 베어러를 위해 상응하는 우선순위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인 노드 기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메시지에는 상기 베어러에 PDCP 중복 메커니즘이 설정되었음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휴대되어 있으며;
    그중,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 함을 확정한 경우, 상기 제1 노드에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되, 상기 응답 메시지에는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 함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휴대되어 있는 노드 기기.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A 기반의 PDCP 중복 메커니즘에서는, CU/DU의 분리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1 노드가 중심 노드이면, 상기 제2 노드는 분산 노드이며; 또는
    DC 기반의 PDCP 중복 메커니즘에서는, 상기 제1 노드가 MN이면, 상기 제2 노드는 SN인 노드 기기.
  17.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작동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그중,
    상기 송수신기는, 베어러를 위해 PDCP 중복 메커니즘을 설정할 때 제2 노드에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제2 노드로 하여금, 상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를 변경 또는 확정하도록 하기 위한 것인 노드 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제2 노드가 리포트한 보조 정보를 토대로, 베어러를 위해 PDCP 중복 메커니즘을 설정하는 노드 기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정보는, 제2 노드가 CA 시나리오를 지원하는지, URLLC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및 상기 제2 노드가 현재 지원하는 터널의 상황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노드 기기.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메시지에는, 상기 베어러에 PDCP 중복 메커니즘이 설정되고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비활성화 함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휴대되어 있는 노드 기기.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메시지에는 상기 베어러에 PDCP 중복 메커니즘이 설정되었음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휴대되어 있으며;
    그중, 상기 송수신기는 또한, 상기 제2 노드가 상기 알림 메시지에 따라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 함을 확정한 경우에 송신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응답 메시지에는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을 활성화 함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휴대되어 있는 노드 기기.
  22. 제17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A 기반의 PDCP 중복 메커니즘에서는, CU/DU의 분리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1 노드가 중심 노드이면, 상기 제2 노드는 분산 노드이며; 또는
    DC 기반의 PDCP 중복 메커니즘에서는, 상기 제1 노드가 MN이면, 상기 제2 노드는 SN인 노드 기기.
  23. 송수신 모듈과 처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 모듈은, 제1 노드가 베어러를 위해 PDCP 중복 메커니즘을 설정할 때 송신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를 변경 또는 확정하기 위한 것인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장치.
  24. 송수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 모듈은, 베어러를 위해 PDCP 중복 메커니즘을 설정할 때 제2 노드에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제2 노드로 하여금, 상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베어러의 상향링크의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를 변경 또는 확정하도록 하기 위한 것인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장치.
  25. 컴퓨터 저장 매체에 있어서,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명령이 컴퓨터에서 작동하는 경우,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거나, 또는 컴퓨터로 하여금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
KR1020207025703A 2018-02-09 2019-02-01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방법 및 노드 기기 KR1023897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133812.1A CN110139397B (zh) 2018-02-09 2018-02-09 一种分组数据汇聚协议pdcp重复机制的激活方法及节点设备
CN201810133812.1 2018-02-09
PCT/CN2019/074403 WO2019154317A1 (zh) 2018-02-09 2019-02-01 分组数据汇聚协议pdcp重复机制的激活方法及节点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005A true KR20200117005A (ko) 2020-10-13
KR102389742B1 KR102389742B1 (ko) 2022-04-21

Family

ID=67547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5703A KR102389742B1 (ko) 2018-02-09 2019-02-01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방법 및 노드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729846B2 (ko)
EP (1) EP3751955A4 (ko)
KR (1) KR102389742B1 (ko)
CN (1) CN110139397B (ko)
WO (1) WO20191543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12695B2 (en) * 2018-02-15 2021-12-28 Qualcomm Incorporated Configuration, activation and deactivation of packet duplication
KR20190143789A (ko) * 2018-06-21 2019-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노드 간 패킷 복제 동작 동기화 방법 및 장치
WO2019245339A1 (ko) * 2018-06-21 2019-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노드 간 패킷 복제 동작 동기화 방법 및 장치
CN110971351B (zh) * 2018-09-28 2021-12-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协调重复传输的方法
US20220264447A1 (en) * 2019-07-01 2022-08-1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aving energy for a distributed uni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2583530B (zh) * 2019-09-27 2022-04-15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及设备
CN110519307A (zh) * 2019-10-10 2019-11-29 重庆邮电大学 一种基于分组数据汇聚协议复制的数据发送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04496T3 (es) * 2003-07-31 2008-10-16 Nokia Siemens Networks Gmbh Procedimiento de gestion de recursos de radio comun en una red telefonica celular multi-rat.
CN103796287B (zh) * 2012-11-02 2019-09-10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异构网络下的数据传输方法及系统
US10039086B2 (en) * 2013-11-11 2018-07-3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network environment where terminal may have dual connectivity to multiple base stations
EP3554166B1 (en) * 2017-01-13 2022-09-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devices for transmitting data packe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7241164B (zh) * 2017-05-05 2021-10-22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无线承载重复传输的处理方法及装置
US10805836B2 (en) * 2017-05-05 2020-10-13 Qualcomm Incorporated Packet duplication at a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entity
CN107342851B (zh) * 2017-06-15 2020-05-26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重复传输的配置及重复传输方法及装置
KR102340554B1 (ko) * 2017-08-21 2021-12-16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US10687248B2 (en) * 2017-09-25 2020-06-16 Ofinno, Llc Packet duplication activation and deactivation
EP3536021B1 (en) 2017-09-28 2020-08-05 Ofinno, LLC Packet duplication activation signaling
US20200382240A1 (en) * 2018-01-09 2020-12-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DCP Duplication Configuration Over E1
US10772008B2 (en) 2018-01-11 2020-09-08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ell configuration for packet duplication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3-173593* *
3GPP R3-17440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51955A1 (en) 2020-12-16
US11729846B2 (en) 2023-08-15
EP3751955A4 (en) 2021-03-17
CN110139397B (zh) 2021-04-06
KR102389742B1 (ko) 2022-04-21
CN110139397A (zh) 2019-08-16
US20210227606A1 (en) 2021-07-22
WO2019154317A1 (zh) 2019-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9742B1 (ko) Pdcp 중복 메커니즘의 활성화 방법 및 노드 기기
CA3066516C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CN108306708B (zh) 一种数据包处理方法及装置
RU2679417C1 (ru) Способ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контекста ключа безопасности, объект управления мобильностью и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TWI770549B (zh) 減少行動中斷之方法和使用者設備
CN109076383A (zh) 用于由终端配置双连接的方法及其装置
EP3764693B1 (en) Handover method and apparatus
CN106465435A (zh) 双连接重建
CN108616909B (zh) 数据传输方法及装置
US11172491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network element, storage medium and processor
CN111149419A (zh) 用于rrc恢复/暂停时的nr pdcp保留的方法和设备
JP2020519203A (ja) ハンドオーバ方法、端末デバイス及び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
CN107889172A (zh) 小区切换的方法、装置及系统
CN111757348B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JP2018500802A (ja) セカンダリ基地局ベアラの変更
CN114365531A (zh) 主节点、辅节点及其方法
CN110381557A (zh) 一种通信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US20210377779A1 (en) Radio station, radio communication metho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2016527828A5 (ko)
CN104429109B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WO2017219959A1 (zh) 一种语音调度方法及装置
KR20230107216A (ko) 뉴 라디오에서 통합 액세스 백홀 네트워크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CN102387565B (zh) 下行数据发送方法和基站
US20170012822A1 (en) Configuration Method, Network Device, and User Equipment
US11265730B2 (en) Data processing method adapted to access network architecture, access network architecture system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