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6992A - Dock for handheld products - Google Patents

Dock for handheld produc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6992A
KR20200116992A KR1020207025601A KR20207025601A KR20200116992A KR 20200116992 A KR20200116992 A KR 20200116992A KR 1020207025601 A KR1020207025601 A KR 1020207025601A KR 20207025601 A KR20207025601 A KR 20207025601A KR 20200116992 A KR20200116992 A KR 20200116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k
handheld
docking unit
produc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56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알렉산더 존 캐닝
마이클 로렌스 카민 라피카노
네이든 제프리 돕스
카를루스 미겔 케이루스
Original Assignee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16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699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63External storing devices; Stands, casings or the like for the storage of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84Details of arrangements of batteries or their instal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91Mounting or coupling means for cyclonic chamber or dus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도킹 유닛과 베이스를 포함하는 핸드헬드 제품용 도크에서, 도킹 유닛과 베이스는 분리 가능하며, 제 1 구성에서 도킹 유닛은 베이스 유닛에 직접 연결되고, 제 2 구성에서 도킹 유닛은 본체에 연결되고 본체는 베이스에 연결된다.In a dock for handheld products that includes a docking unit and a base, the docking unit and the base are detachable, and in the first configuration, the docking uni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base unit, and in the second configuration, the docking unit is connected to the body and the body is It is connected to the base.

Description

핸드헬드 제품용 도크Dock for handheld products

본 발명은 핸드헬드 제품용 도크, 특히 핸드헬드 제품용 모듈형 도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ck for a handheld product, in particular a modular dock for a handheld product.

진공 청소기와 같은 핸드헬드 제품에는 종종 보관 도크가 제공된다. 배터리 구동을 사용하는 핸드헬드 제품의 경우 특히 그러한데, 제품을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보관 도크가 제품의 배터리 팩을 충전하는 충전 도크로도 사용될 수 있다.Handheld products such as vacuum cleaners are often provided with a storage dock. This is especially the case for handheld products that use battery power, while the storage dock can also be used as a charging dock to charge the product's battery pack while the product is not in use.

보관 도크의 일반적인 형식은 Dyson V8™ 무선 진공 청소기와 함께 제공되는 도크와 같은 벽 장착형 도크이다. 벽 장착형 도크는 벽에 구멍을 뚫은 다음 나사와 벽면 플러그를 사용하여 도크를 벽에 장착해서 벽에 고정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도크를 장착하기 위해 집 벽에 구멍을 뚫는 것은 종종 편리하지 않거나 불가능하다.A common form of storage dock is a wall-mounted dock, such as the dock provided with the Dyson V8™ cordless vacuum cleaner. Wall-mounted docks are fixed to the wall by drilling holes in the wall and then mounting the dock to the wall using screws and wall plugs. However, it is often not convenient or impossible for users to drill holes in the walls of their homes to mount the dock.

JP2016039860A에 기재된 도크와 같은 독립형 도크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런 도크는 이상적으로는 비교적 크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영역에 위치해야 하므로, 집에서 도크가 위치할 수 있는 위치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탄력성을 많이 제공하지 못한다.Standalone docks are known, such as those described in JP2016039860A. However, since such a dock should ideally be located in a relatively large and easily accessible area, it does not provide a lot of flexibility to the user in a location where the dock can be located at home.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도킹 유닛 및 베이스를 포함하는 핸드헬드 제품용 도크로서, 도킹 유닛과 베이스가 분리 가능하고, 도킹 유닛은 제 1 구성에서 베이스 유닛에 직접 연결되고, 제 2 구성에서는 도킹 유닛이 본체에 연결되고, 그리고 본체가 베이스에 연결되는 핸드헬드 제품용 도크를 제공한다.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ock for a handheld product including a docking unit and a base, the docking unit and the base are detachable, the docking uni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base unit in the first configuration, and the docking unit in the second configuration. It provides a dock for handheld products that is connected to the body and the body is connected to the base.

그러므로, 도크는 제 1 구성 또는 제 2 구성으로 조립될 수 있고, 여기서 제 1 구성은 제 2 구성보다 실질적으로 작아서 도크가 배치될 수 있는 위치에 더 큰 탄력성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도크는 제 1 구성으로 조립되면 테이블이나 카운터 톱에 배치될 수 있고, 반면 제 2 구성으로 조립되었을 때는 도크를 플로어 스탠딩으로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Hence, the dock can be assembled in either the first configuration or the second configuration, where the first configuration is substantially smaller than the second configuration, allowing greater resilience in the position where the dock can be placed. For example, the dock can be placed on a table or counter top when assembled in a first configuration, whereas when assembled in a second configuration, the dock can be more conveniently used as a floor standing.

본체는 도킹되는 제품을 위한 액세서리들을 보관하기 위한 탈착식 케이스를 포함 할 수 있다. 그 결과, 본체를 포함하는 제 2 구성에서 도크에 더해지는 추가적인 공간은 핸드헬드 제품을 위한 툴과 액세서리들의 보관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효율적이고 유리한 사용이 가능하다.The body may include a removable case for storing accessories for the product being docked. As a result, the additional space added to the dock in the second configuration including the body can be used efficiently and advantageously to the user by providing storage of tools and accessories for handheld products.

도킹 유닛은 도킹된 핸드헬드 제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를 포함 할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는 도킹된 핸드헬드 제품의 배터리 팩을 충전할 수 있다. 따라서 도크는 핸드헬드 제품을 사용하지 않고 도크에 보관하는 동안 핸드헬드 제품의 배터리 팩을 편리하게 충전하는 충전 도크로서도 역할을 할 수 있다.The docking unit may include an electrical connector for supplying power to the docked handheld product. The power supply can charge the docked handheld product's battery pack. Therefore, the dock can also function as a charging dock that conveniently charges the battery pack of the handheld product while storing it in the dock without using the handheld product.

도킹 유닛 및 본체 중 적어도 하나는 도킹되는 핸드헬드 제품용 액세서리들이 부착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도킹되는 제품을 위한 액세서리들을 더욱 더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고 쉽게 접근이 가능하다.At least one of the docking unit and the body may include a connector to which accessories for a handheld product to be docked may be attached. This makes it much more convenient to store and easily access accessories for the product being docked.

도크는 스틱형 진공 청소기용일 수 있고, 스틱형 진공 청소기는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 봉 그리고 청소기 헤드를 포함하고, 도킹 유닛은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가 봉과 청소기 헤드로부터 분리되면 이를 수용할 수 있다. 진공 청소기를 도킹하기 전에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에서 봉과 청소기 헤드를 제거하도록 하는 것은 도크의 전체 크기를 최소화하는 데 도움이된다. 도크의 높이를 낮게 유지하여 도크를 더 안정적으로 만들고 실수로 넘어질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The dock may be for a stick-type vacuum cleaner, and the stick-type vacuum cleaner includes a handheld vacuum cleaner, a rod, and a cleaner head, and the docking unit may accommodate the handheld vacuum cleaner when it is separated from the rod and the cleaner head. Having the wand and cleaner head removed from the handheld vacuum cleaner before docking the vacuum cleaner helps to minimize the overall size of the dock. By keeping the height of the dock low, you can make the dock more stable and reduce the likelihood of accidental fall.

도크는 봉을 고정하기 위한 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핸드헬드 부품이 도킹되어 있는 동안 진공 청소기의 봉을 위한 편리한 보관 위치를 제공한다.The dock may include a clip for securing the rod. This provides a convenient storage location for the vacuum cleaner's rod while the handheld part is docked.

베이스 및 도킹 유닛 중 하나는 캐치를 포함할 수 있고, 베이스 및 도킹 유닛 중 다른 하나는 캐치-결합 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크가 제 1 구성으로 조립될 때 캐치는 캐치-결합 형성부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하여 베이스와 도킹 유닛의 분리를 방지한다. 그 결과, 사용자는 원하는 경우 도크를 빠르고 쉽게 분해하고 다른 구성으로 재조립할 수 있다.One of the base and docking units may include a catch, and the other of the base and docking units may include a catch-engagement formation, and when the dock is assembled in a first configuration, the catch releases with the catch-engagement formation. Combining possible prevents separation of the base and docking unit. As a result, the user can quickly and easily disassemble the dock and reassemble it into a different configuration if desired.

본체는 도크가 제 2 구성으로 조립될 때 본체의 각 단부에 베이스 및 도킹 유닛 모두가 해제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일 단부에는 캐치 그리고 타 단부에는 캐치-결합 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도킹 유닛을 베이스에 장착하는 동일한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도킹 유닛을 본체에 장착하고 본체를 베이스에 장착할 수 있다.The body may include a catch at one end and a catch-engagement formation at the other end so that both the base and the docking unit can be releasably mounted at each end of the body when the dock is assembled in the second configuration.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mount the docking unit to the body and mount the body to the base using the same mechanism for mounting the docking unit to the base.

베이스 및 도킹 유닛 중 하나는 립(lip)이 있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고, 베이스와 도킹 유닛 중 다른 하나는 쇼울더(shoulder)가 있는 슬롯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 구성에서 베이스를 도킹 유닛에 장착하는 것은 플랜지형 돌출부를 상기 슬롯에 삽입하고, 상기 립이 쇼울더와 결합할 때까지 베이스를 도킹 유닛에 대해 이동시켜서 베이스와 도킹 유닛의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도크를 빠르고 쉽게 분해하여 다른 구성으로 재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대체 또는 추가 메커니즘이 제공될 수 있다.One of the base and the docking unit may include a protrusion with a lip, and the other of the base and the docking unit may include a slot with a shoulder, and in a first configuration, the base is attached to the docking unit. Mounting may include inserting a flange-like protrusion into the slot, and moving the base relative to the docking unit until the lip engages the shoulder so that the base and the docking unit are not separated. As a result, an alternative or additional mechanism may be provided that allows the user to quickly and easily disassemble the dock and reassemble it into a different configuration if desired.

본체는 일 단부에 립이 있는 돌출부와 타 단부에 쇼울더가 있는 슬롯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도크가 제 2 구성으로 조립될 때 베이스와 도킹 유닛이 본체의 각 단부에 해제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 결과, 도킹 유닛을 베이스에 장착하는 것과 동일한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도킹 유닛을 본체에 장착하고 본체를 베이스에 장착할 수 있다.Since the main body may include a protrusion having a lip at one end and a slot having a shoulder at the other end, the base and the docking unit may be releasably mounted to each end of the main body when the dock is assembled in the second configuration.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mount the docking unit to the body and mount the body to the base using the same mechanism as that of mounting the docking unit to the base.

도킹 유닛은 핸드헬드 제품이 슬라이딩식으로 수용될 수 있는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핸드헬드 제품을 도킹 유닛에 빠르고 쉽게 도킹될 수 있다.The docking unit may include a slot into which the handheld product can be slidably received. As a result, the handheld product can be quickly and easily docked to the docking unit.

도킹 유닛은 제품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품 클램프는 도킹되는 핸드헬드 제품이 도크에 고정되는 래치 위치(latched position)와 도킹된 핸드헬드 제품이 도크에서 제거될 수 있는 래치 해제 위치(unlatched position)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다. 그 결과, 핸드헬드 제품은 도킹된 상태에서 도크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올바른 도킹 위치가 보장될 수 있다.The docking unit may include a product clamp, the product clamp being a latched position in which the docked handheld product is secured to the dock and an unlatched position in which the docked handheld product can be removed from the dock. It is possible to slide between. As a result, the handheld product can be firmly fixed to the dock in the docked state and the correct docking position can be ensured.

제품 클램프는 래치 해제 위치로 편향될 수 있다. 그 결과, 제품 클램프를 도킹된 제품에서 더 쉽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도킹 해제 절차가 더 쉬워진다. 또한, 핸드헬드 제품을 클램프 고정시키는 올바른 위치로 보다 쉽게 이동될 수 있으며, 이동을 위해서 한 손만 있으면 된다.The product clamp can be deflected to the unlatched position. As a result, the undock procedure is easier as the product clamp can be more easily removed from the docked product. In addition, it can more easily be moved to the correct position to clamp the handheld product, and requires only one hand to move.

제품 클램프의 상단면을 아래로 눌렀다가 풀면 제품 클램프가 래치 위치에서 해제될 수 있고, 제품 클램프의 상단면을 아래로 눌러서 래치 위치로 슬라이딩시키면 제품 클램프는 래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푸시-푸시 클램프 메커니즘을 통해 쉽게 도킹 및 도킹 해제 절차를 수행 할 수 있다.When the top surface of the product clamp is pressed down and released, the product clamp can be released from the latch position, and when the top surface of the product clamp is pressed down to slide to the latch position, the product clamp can be moved to the latch position. Therefore, the docking and undocking procedure can be easily performed through the push-push clamp mechanism.

본 발명을 보다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다음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로서 설명한다.
도 1은 진공 청소기용 도크의 분리 가능한 부분들을 도시하고;
도 2는 제 1 구성의 진공 청소기용 도크를 도시하고;
도 3은 제 2 구성의 진공 청소기용 도크를 도시하고;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도크의 베이스의 저면도를 도시하고;
도 5는 탈착식 액세서리 케이스가 있는 도크를 도시하고;
도 6a 및 6b는 도 3의 도크에 진공 청소기를 도킹하기 위한 도킹 절차를 도시하고;
도 6c는 도 3의 도크에 도킹된 진공 청소기를 도시하고;
도 6d는 도 2의 도크에 도킹된 진공 청소기를 도시하고;
도 7a는 도크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진공 청소기를 도킹하기 위한 도킹 절차를 도시하고;
도 7b는 제 1 구성의 도크에 도킹된 진공 청소기를 도시하고; 그리고
도 7c는 제 2 구성의 도크에 도킹된 진공 청소기를 도시한다.
In order to more easi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shows the detachable parts of a dock for a vacuum cleaner;
Fig. 2 shows a dock for a vacuum cleaner in a first configuration;
Fig. 3 shows a dock for a vacuum cleaner in a second configuration;
Fig. 4 shows a bottom view of the base of the dock shown in Figs. 1 to 3;
5 shows a dock with a removable accessory case;
6A and 6B illustrate a docking procedure for docking the vacuum cleaner to the dock of FIG. 3;
Fig. 6c shows a vacuum cleaner docked to the dock of Fig. 3;
Figure 6d shows a vacuum cleaner docked to the dock of Figure 2;
7A shows a docking procedure for docking a vacuum cleaner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dock;
Fig. 7B shows a vacuum cleaner docked to the dock of the first configuration; And
7C shows a vacuum cleaner docked to the dock of the second configuration.

도 1은 분리 가능한 부분들로 있는 도크(1)를 도시한다. 도크(1)는 도킹 유닛(2), 본체(3) 그리고 베이스(4)를 포함한다. 도크(1)를 제 1 구성(1A)으로 조립하기 위해서, 도킹 유닛(1)은 A로 표시된 실선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4)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제 1 구성(1A)으로 조립된 도크(1)는 도 2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크(1)가 예를 들어 탁상 또는 카운터 톱에 위치할 때 적합할 수 있다. 또한, 제 2 구성(1B)의 도크(1)를 조립하기 위해서, 점선 또는 파선 화살표(B 및 C)로 표시된 바와 같이, 도킹 유닛(2)이 본체(3)에 부착되고, 본체(3)가 베이스(4)에 부착 될 수 있다. 제 2 구성(1B)으로 조립된 도크(1)는 도 3에 도시되어 있고, 도크(1)가 플로어 스탠딩으로 있을 때 적합할 수 있다. 도킹 유닛은 제 2 구성(1B)에서 더 높게 위치되며, 따라서 도크(1)가 플로어 레벨에 위치할 때, 사용자가 제품을 도킹 및 도킹 해제를 하기 위해 더 편안하게 접근할 수 있다.1 shows a dock 1 in separable parts. The dock 1 comprises a docking unit 2, a main body 3 and a base 4. In order to assemble the dock 1 into the first configuration 1A, the docking unit 1 can be attached directly to the base 4 as indicated by the solid arrow indicated by A. The dock 1 assembled in the first configuration 1A is shown in FIG. 2 and may be suitable when the dock 1 is positioned on a desk or counter top, for example. Further, in order to assemble the dock 1 of the second configuration 1B, the docking unit 2 is attached to the main body 3, as indicated by dotted or broken arrows B and C, and the main body 3 Can be attached to the base (4). The dock 1 assembled in the second configuration 1B is shown in FIG. 3 and may be suitable when the dock 1 is in a floor standing position. The docking unit is located higher in the second configuration 1B, so that when the dock 1 is located on the floor level, the user can more comfortably access to dock and undock the product.

도킹 유닛(2)은 지지대(21), 기둥(23) 그리고 제품 클램프(25)를 포함한다. 지지대(21)는 제품이 도킹 유닛(2)에 도킹될 때 제품을 지지할 수 있는 표면을 제공한다. 기둥(23)은 도킹된 제품을 제자리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제품 클램프(25)를 지지한다. 도크(1)에 제품을 도킹하는 절차는 후술한다. 다수의 부착 커넥터(27)가 기둥(23)의 측면에 부착된 상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부착 커넥터(27)는 도크(1) 자체에 정해진 도킹 제품의 액세서리들의 편리한 저장을 허용한다. 전기 커넥터(29)가 제품 클램프(25) 안에 구비된다. 따라서 전기 커넥터(29)는 도킹된 제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와 같은 배터리 구동 제품의 경우, 도크가 충전 도크 역할을 하므로 제품이 도크(1)에 도킹되어 있는 동안 배터리 팩이 충전될 수 있다.The docking unit 2 includes a support 21, a column 23 and a product clamp 25. The support 21 provides a surface capable of supporting the product when it is docked to the docking unit 2. The pillar 23 supports the product clamp 25, which serves to fix the docked product in place. The procedure for docking the product to the dock 1 will be described later. A plurality of attachment connectors 27 are provided in a state attached to the side of the column 23. This attachment connector 27 allows convenient storage of the accessories of the docking product, which are defined on the dock 1 itself. An electrical connector 29 is provided in the product clamp 25. Therefore, the electrical connector 29 can supply power to the docked product. In the case of a battery-powered product such as a handheld vacuum cleaner, since the dock serves as a charging dock, the battery pack can be charged while the product is docked to the dock 1.

본체(3)는 탈착식 케이스(33)를 수용하는 외부 케이싱(31)을 포함한다. 탈착식 케이스(33)는 도크(1) 자체 내에 도킹되는 제품을 위한 다른 툴과 액세서리들을 편리하게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공 청소기의 경우, 탈착식 케이스(33)는 어댑터, 틈새 도구, 매트리스 청소 도구 및 호스 커넥터와 같은 툴들을 담을 수 있다. 본체에는 또한 부착 커넥터(35)가 제공된다. 부착 커넥터(35)는 도킹 유닛(2) 상의 부착 커넥터(27)와 동일할 수 있지만, 도시 된 실시예에서 부착 커넥터(35)는 청소기 헤드와 같은 더 큰 부착물이 도크(1)에 저장될 수 있도록 약간 상이하다. 본체(3)에는 또한 진공 청소기 봉을 고정하기 위한 클립(37)이 제공된다.The body 3 includes an outer casing 31 that accommodates a detachable case 33. The removable case 33 can conveniently store other tools and accessories for products that are docked within the dock 1 itself.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vacuum cleaner, the detachable case 33 may contain tools such as an adapter, a crevice tool, a mattress cleaning tool, and a hose connector. The body is also provided with an attachment connector 35. The attachment connector 35 may be the same as the attachment connector 27 on the docking unit 2, but the attachment connector 35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llows a larger attachment, such as a cleaner head, to be stored in the dock 1. So it is a little different. The body 3 is also provided with a clip 37 for fixing the vacuum cleaner rod.

Dyson V8™ 무선(cord-free) 진공 청소기와 같은 스틱형 진공 청소기는 종종 청소기 헤드와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에 부착된 봉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유형의 진공 청소기를 도크(1)에 도킹할 때에는 핸드헬드 부분을 봉과 청소기 헤드에서 분리하여 도킹 유닛(2)에 도킹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봉과 청소기 헤드는 클립(37)에 봉을 고정함으로써 도크에 보관할 수도 있다.Stick vacuum cleaners, such as the Dyson V8™ cord-free vacuum cleaner, often consist of a vacuum cleaner head and a rod attached to the handheld vacuum cleaner. Therefore, when docking this type of vacuum cleaner to the dock 1, the handheld part can be separated from the rod and the cleaner head and docked to the docking unit 2. Then, the rod and the cleaner head may be stored in the dock by fixing the rod to the clip 37.

베이스(4)는 본체(3) 및/또는 도킹 유닛(2)이 베이스(4)에 장착될 때 안정성을 제공한다.The base 4 provides stability when the body 3 and/or the docking unit 2 is mounted to the base 4.

도크(1)의 분리 가능한 부분들을 함께 부착할 수 있는 수단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베이스(4)의 상부 표면 및 본체(3)의 외부 케이싱(31)의 상단은 모두 쇼울더(54)를 각각 갖는 다수의 슬롯(52)을 포함한다. 도킹 유닛(2)의 밑면과 몸체(3)의 바닥 단부에는 각각 립(56)을 포함하는 대응하는 돌출부들이 있다. 도크(1)의 조립 중에, 도킹 유닛(2)과 베이스(4)가 합쳐지거나 또는 도킹 유닛(2)과 본체(3)가 합쳐지고 본체(3)와 베이스(4)가 합쳐질 때, 돌출부들은 대응하는 슬롯(52) 안으로 삽입된다. 그 다음 분리 가능한 부분들을 서로 슬라이딩시켜서 립(56)이 대응하는 쇼울더(54)와 맞물릴 때까지 돌출부를 슬롯(52) 내에서 슬라이딩하게 한다. 이것은 립(56)이 쇼울더(54)와 더 이상 맞물리지 않을 때까지 그 반대 방향으로 다시 슬라이딩할 때까지는 두 부분이 분리되지 않게 한다.The means by which the detachable parts of the dock 1 can be attached together is shown in FIG. 1.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4 and the upper end of the outer casing 31 of the body 3 both comprise a plurality of slots 52 each having a shoulder 54. At the bottom of the docking unit 2 and at the bottom end of the body 3 there are corresponding protrusions each comprising a lip 56. During the assembly of the dock 1, when the docking unit 2 and the base 4 are joined, or the docking unit 2 and the body 3 are joined and the body 3 and the base 4 are joined, the protrusions are It is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slot 52. The separable parts are then slid together so that the protrusions slide within the slot 52 until the lip 56 engages the corresponding shoulder 54. This prevents the two parts from separating until the lip 56 slides back in the opposite direction until it no longer engages the shoulder 54.

베이스(4)의 상부 표면과 본체(3)의 외부 케이싱(31)의 상단은 모두 캐치(50)를 포함한다. 이 캐치(50)는 상기 분리 가능한 부분들이 결합될 때 도킹 유닛(2)의 밑면과 본체(3)의 바닥 단부 상의 형성물 (미도시)과 결합하여 립(56)을 쇼울더(54)로부터 분리시키는 상대적인 이동을 방지한다. 상기 형성물에서 캐치(50)를 분리하면 캐치(50)가 해제되어 분리 가능한 부분들이 다시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캐치(50)의 해제는 캐치(50)의 밑면에 있는 캐치 버튼을 눌러 수행된다. 본체(3) 상의 버튼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탈착식 케이스(33)가 제거된 경우 외부 케이싱(31)의 내부에서 찾을 수 있다. 도 4는 베이스(4)의 밑면을 도시하고 있으며, 베이스(4)의 캐치 버튼(41)을 볼 수 있다.Both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4 and the upper end of the outer casing 31 of the body 3 contain a catch 50. This catch 50 separates the lip 56 from the shoulder 54 by combining the formation (not shown) on the bottom of the docking unit 2 and the bottom end of the main body 3 when the detachable parts are combined. To prevent relative movement. When the catch 50 is separated from the formation, the catch 50 is released so that the separable portions can move relative to each other again. The release of the catch 50 is performed by pressing the catch button on the bottom of the catch 50. The button on the body 3 is not shown in the drawing, but can be found inside the outer casing 31 when the removable case 33 is removed. 4 shows the underside of the base 4, and the catch button 41 of the base 4 can be seen.

도 5는 탈착식 케이스(33)가 제거되어 있는, 제 2 구성(1B)의 도크(1)를 도시한다. 탈착식 케이스(33)는 화살표(D)로 표시된 바와 같이 외부 케이스(31) 내부에 형성된 공동(39)으로 슬라이딩시켜서 본체(3)에 삽입된다. 탈착식 케이스(33)는 케이스 본체(331) 및 케이스 본체(331)에 힌지식으로 부착 된 케이스 덮개(333)를 포함한다. 탈착식 케이스(33) 내부의 삽입물은 진공 청소기용 툴과 액세서리가 들어갈 수 있는 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구멍(335)을 포함한다. 그러한 형상을 갖는 구멍(335)들은 본체(3)의 공동(39) 내에 툴들이 삽입되어 보관되었을 때 탈착식 케이스(33)가 뒤집혀도 툴들을 정돈된 상태로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케이스 뚜껑(333)은 사용자가 어떤 툴이나 액세서리가 그 안에 보관되어 있는지 더 쉽게 식별할 수 있게 투명할 수 있다.5 shows the dock 1 of the second configuration 1B with the detachable case 33 removed. The removable case 33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3 by sliding into the cavity 39 formed inside the outer case 31 as indicated by the arrow D. The detachable case 33 includes a case body 331 and a case cover 333 that is hingedly attached to the case body 331. The insert inside the detachable case 33 includes a plurality of holes 335 having a shape into which tools and accessories for a vacuum cleaner can be inserted. The holes 335 having such a shape help to keep the tools in an orderly state even if the removable case 33 is turned over when the tools are inserted and stored in the cavity 39 of the body 3. The case lid 333 may be transparent to allow a user to more easily identify which tools or accessories are stored therein.

도 6a 및 6b는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60)를 도크(1)에 도킹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먼저, 사용자는 화살표(E)로 표시된 대로 제품 클램프(25)의 상단을 눌러야 한다. 이는 기둥(23) 내부의 캐치 메커니즘을 해제시킨다. 그러면 제품 클램프(25)가 기둥에 대해 자유롭게 활주하고, 지지대(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편향된다. 따라서 제품 클램프(25)는 화살표(F) 방향으로 위로 이동한다. 그러면 화살표(G)로 표시된 바와 같이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60)가 지지대(21) 상에 위치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생성된다. 진공 청소기(60)가 지지대(21)에 위치되면, 사용자는 제품 클램프의 상단을 다시 한번 아래로 눌러 화살표(H) 방향으로 아래로 밀고, 기둥 내부의 캐치 메커니즘이 다시 한번 제품 클램프(25)와 맞물려 제품 클램프(25)를 제자리에 고정할 때까지 바이어스 힘에 대항하여 민다. 그러면 진공 청소기(60)는 제품 클램프(25)와 지지대(21) 사이에 고정된다. 전기 커넥터(29)는 진공 청소기의 핸들에 있는 소켓과 결합되어 진공 청소기의 배터리 팩이 충전되도록 한다. 도크가 제 1 구성, 즉 탁상형 구성인 경우에도 정확히 동일한 절차가 수행된다.6A and 6B show a procedure for docking the handheld vacuum cleaner 60 to the dock 1. First, the user must press the top of the product clamp 25 as indicated by the arrow E. This releases the catch mechanism inside the column 23. Then, the product clamp 25 slides freely with respect to the column and is deflect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upport 21. Therefore, the product clamp 25 moves upwar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F. Then, as indicated by the arrow G, a sufficient space is created for the handheld vacuum cleaner 60 to be positioned on the support 21. When the vacuum cleaner 60 is positioned on the support 21, the user pushes the upper end of the product clamp down again and pushes it down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H, and the catch mechanism inside the column is once again with the product clamp 25 Push against the bias force until it engages and locks the product clamp (25) in place. Then, the vacuum cleaner 60 is fixed between the product clamp 25 and the support 21. The electrical connector 29 is coupled to a socket on the handle of the vacuum cleaner to charge the battery pack of the vacuum cleaner. Exactly the same procedure is performed even when the dock is of the first configuration, that is, a table-top configuration.

도 6c는 제 2 구성(1B), 즉 플로어 스탠딩 구성에 있을 때, 도크(1)에 도킹된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60)를 도시한다. 도 6d는 제 1 구성인 탁상형 구성에있을 때 도크(1)에 도킹된 진공 청소기(60)를 도시한다.6C shows the handheld vacuum cleaner 60 docked to the dock 1 when in the second configuration 1B, that is, the floor standing configuration. 6D shows the vacuum cleaner 60 docked to the dock 1 when in the first configuration, which is a tabletop configuration.

도크(70)의 대안적인 실시예가도 7a, 7b 및 7c에 도시되어있다. 도크는 이전에 설명한 것과 동일한 모듈식 개념을 가지며, 본체(3)와 베이스(4)는 이전 실시예에서 이전에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그리고 도크(70)의 분리 가능한 부분들은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립된다. 그러나, 도킹 유닛(72)은 전술한 도킹 유닛(2)과 다르다. 제품 클램프가 없지만, 그 대신 도킹 유닛(72)은 기둥(73)의 상단에 형성된 도킹 슬롯(74)이 있다. 다수의 부착 커넥터(77)가 기둥(73)의 측면에 부착되어 제공된다. 이러한 부착 커넥터(77)는 도크(70) 자체에 정해진 도킹 제품에 대한 액세서리들의 편리한 저장을 허용한다. 도킹 슬롯(74)의 일단에는 전기 커넥터(79)가 제공된다. 따라서 전기 커넥터(79)는 도킹된 제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와 같은 배터리 구동 제품의 경우 도크는 충전 도크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품이 도크(70)에 도킹된 상태에서 제품의 배터리 팩을 충전할 수 있다.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dock 70 is shown in Figures 7a, 7b and 7c. The dock has the same modular concept as previously described, and the body 3 and base 4 are the same as previously described in the previous embodiment. Further, the detachable parts of the dock 70 are assembl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However, the docking unit 72 is different from the docking unit 2 described above. There is no product clamp, but instead the docking unit 72 has a docking slot 74 formed at the top of the post 73. A plurality of attachment connectors 77 are provided attached to the side of the pillar 73. This attachment connector 77 allows convenient storage of accessories for the docking product specified in the dock 70 itself. An electrical connector 79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docking slot 74. Accordingly, the electrical connector 79 can supply power to the docked product. In the case of a battery-powered product such as a handheld vacuum cleaner, the dock may serve as a charging dock, and may charge the battery pack of the product while the product is docked to the dock 70.

도 7a는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80)를 도크(70)에 도킹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진공 청소기(80)는 배터리 팩(82)이 도킹 슬롯(74)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화살표(J) 방향으로 도크(70) 상에 위치되어 하강된다. 진공 청소기(80)의 단부는 지지대(71)에 의해 지지될 수 있거나, 도킹 슬롯(74)의 벽이 진공 청소기(80)의 무게를 견딜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강하다면 지지대 위에 매달린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배터리 팩(82)이 도킹 슬롯(74)에 완전히 결합했을 때, 전기 커넥터(79)가 배터리 팩(82)의 단부 상의 소켓과 결합하여 진공 청소기의 배터리 팩이 충전되게 한다.7A shows a procedure for docking the handheld vacuum cleaner 80 to the dock 70. The vacuum cleaner 80 is positioned on the dock 70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J so that the battery pack 82 is slidably engaged in the docking slot 74 and descends. The end of the vacuum cleaner 80 may be supported by the support 71, or if the wall of the docking slot 74 is strong enough to withstand the weight of the vacuum cleaner 80, it may be held suspended on the support. have. When the battery pack 82 is fully engaged with the docking slot 74, the electrical connector 79 engages the socket on the end of the battery pack 82 to allow the battery pack of the vacuum cleaner to be charged.

도 7b는 제 1 구성(70A), 즉 "탁상형 구성"에 있을 때 도크(70)에 도킹된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80)를 도시한다. 도 7c는 제 2 구성(70B), 즉 "플로어 스탠팅 구성"에 있을 때 도크(70)에 도킹된 진공 청소기(80)를 도시한다.Fig. 7B shows the handheld vacuum cleaner 80 docked to the dock 70 when in the first configuration 70A, ie the "tabletop configuration". 7C shows the vacuum cleaner 80 docked to the dock 70 when in the second configuration 70B, ie the "floor standing configuration".

지금까지 특정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While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so far,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claims.

예를 들어, 여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진공 청소기용 도크를 나타낸다. 그러나, 도크는 다른 핸드헬드 제품을 위한 것일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체의 외부 케이싱의 베이스와 상단은 쇼울더가 있는 슬롯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하였고, 반면 도킹 유닛의 하면과 본체의 하단은 립이 있는 대응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하였다 . 그러나 이러한 특징들은 본체의 외부 케이싱의 베이스와 상단이 립을 가진 돌출부를 가지고, 그리고 도킹 유닛의 하면과 본체의 하단에 쇼울더가 있는 슬롯이 있게 전환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실제로 상기 분리 가능한 부분들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다른 메커니즘이 사용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embodiment described herein represents a dock for a vacuum cleaner. However,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dock may be for other handheld products. In addition, the base and top of the outer casing of the main body are described as including slots with shoulders, while the bottom and the bottom of the main body of the docking unit are described as including corresponding protrusions with ribs. However,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se features may be converted to have protrusions with ribs at the base and top of the outer casing of the body, and slots with shoulders at the bottom and bottom of the docking unit. Or, in practice, other mechanisms may be used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separable parts.

Claims (15)

도킹 유닛과 베이스를 포함하는 핸드헬드 제품용 도크로서, 도킹 유닛과 베이스는 분리 가능하며, 제 1 구성에서 도킹 유닛은 베이스에 직접 연결되고, 제 2 구성에서는 도킹 유닛이 본체에 연결되고 본체가 베이스에 연결되는, 핸드헬드 제품용 도크.As a dock for handheld products that includes a docking unit and a base, the docking unit and the base are detachable, and in the first configuration, the docking uni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base, and in the second configuration, the docking unit is connected to the body, and the body is a base. Dock for handheld products that connects to. 제 1 항에 있어서, 본체는 도킹되는 제품의 액세서리들을 고정하기 위한 탈착식 케이스를 포함하는, 핸드헬드 제품용 도크.2. The dock of claim 1, wherein the body comprises a removable case for securing accessories of the product to be docked.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도킹 유닛은 도킹된 핸드헬드 제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는, 핸드헬드 제품용 도크.3. The dock of claim 1 or 2, wherein the docking unit comprises an electrical connector for supplying power to the docked handheld product. 제 3 항에 있어서, 전원 공급 장치는 도킹된 핸드헬드 제품의 배터리 팩을 충전하는, 핸드헬드 제품용 도크.4. The dock of claim 3, wherein the power supply charges a battery pack of the docked handheld product.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킹 유닛 및 본체 중 적어도 하나는 도킹되는 핸드헬드 제품의 액세서리가 부착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핸드헬드 제품용 도크.The dock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at least one of the docking unit and the body comprises a connector to which an accessory of the handheld product to be docked can be attached.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크는 스틱형 진공 청소기용이며, 스틱형 진공 청소기는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 봉 그리고 청소기 헤드를 포함하고, 도킹 유닛은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가 봉과 청소기 헤드에서 분리되면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를 수용하는, 핸드헬드 제품용 도크.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dock is for a stick-type vacuum cleaner, the stick-type vacuum cleaner comprises a handheld vacuum cleaner, a rod, and a cleaner head, and the docking unit comprises a handheld vacuum cleaner and a rod. A dock for handheld products that holds a handheld vacuum cleaner when removed from the cleaner head. 제 6 항에 있어서, 도크는 봉을 고정하기 위한 클립을 포함하는, 핸드헬드 제품용 도크.7. The dock of claim 6, wherein the dock includes a clip for securing the rod.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 및 도킹 유닛 중 하나는 캐치를 포함하고, 베이스 및 도킹 유닛 중 다른 하나는 캐치-결합 형성부를 포함하고, 도크가 제 1 구성으로 조립될 때, 캐치가 캐치-결합 형성부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하여 베이스와 도킹 유닛의 분리를 방지하는, 핸드헬드 제품용 도크.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erein one of the base and docking unit comprises a catch, and the other of the base and docking unit comprises a catch-engaging formation, and the dock is to be assembled in a first configuration. When the catch is releasably coupled with the catch-engagement forming portion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base and the docking unit, a dock for a handheld product. 제 8 항에 있어서, 본체는 일단에 캐치를 포함하고, 타단에 캐치-결합 형성부를 포함하여, 도크가 제 2 구성으로 조립될 때, 베이스와 도킹 유닛 양자가 본체의 각 단부에 해제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한, 핸드헬드 제품용 도크.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main body includes a catch at one end and a catch-engaging portion at the other end, so that when the dock is assembled in the second configuration, both the base and the docking unit are releasably mounted on each end of the main body. The dock for handheld products, so that it can be done.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와 도킹 유닛 중 하나는 립을 갖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베이스와 도킹 유닛 중 다른 하나는 쇼울더가 있는 슬롯을 포함하고, 제 1 구성에서 베이스를 도킹 유닛에 결합하는 것은 돌출부를 슬롯에 삽입하고 립이 쇼울더와 맞물릴 때까지 도킹 유닛에 대해 베이스를 이동시켜서 베이스와 도킹 유닛의 분리가 일어나지 않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핸드헬드 제품용 도크.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wherein one of the base and the docking unit comprises a protrusion having a lip, the other of the base and the docking unit comprises a slot with a shoulder, and the base in a first configuration The dock for a handheld product, comprising inserting the protrusion into the slot and moving the base relative to the docking unit until the lip engages the shoulder so that separation of the base and the docking unit does not occur. 제 10 항에 있어서, 본체는 일단에 립이 있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타단에 쇼울더가 있는 슬롯을 포함하여, 도크가 제 2 구성으로 조립될 때, 베이스와 도킹 유닛 양자가 본체의 각 단부에 해제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핸드헬드 제품용 도크.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main body includes a protrusion having a lip at one end and a slot with a shoulder at the other end, so that when the dock is assembled in the second configuration, both the base and the docking unit are released at each end of the main body. Dock for handheld products that can be mounted possibly.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킹 유닛은 핸드헬드 제품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는 슬롯을 포함하는, 핸드헬드 제품용 도크.12. The dock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docking unit comprises a slot into which the handheld product can be slidably received.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킹 유닛은 제품 클램프를 포함하고, 제품 클램프는 도킹되는 핸드헬드 제품이 도크에 고정되는 래치 위치와 도킹된 핸드헬드 제품이 도크에서 분리될 수 있는 래치 해제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핸드헬드 제품용 도크.The docked handheld product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docking unit comprises a product clamp, wherein the product clamp is a latch position at which the docked handheld product is secured to the dock and the docked handheld product can be separated from the dock. Dock for handheld products, slidable between available latch release positions. 제 13 항에 있어서, 제품 클램프는 래치 해제 위치로 편향되는, 핸드헬드 제품용 도크.14. The dock of claim 13, wherein the product clamp is biased to an unlatched position.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제품 클램프의 상면을 아래로 눌러서 해제함으로써 제품 클램프가 래치 위치에서 해제되고, 제품 클램프의 상면을 아래로 눌러서 래치 위치로 슬라이딩시켜서 제품 클램프가 래치 위치로 이동되는, 핸드헬드 제품용 도크.The product clamp according to claim 12 or 13, wherein the product clamp is released from the latch position by pressing dow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duct clamp, and the product clamp is moved to the latch position by pressing dow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duct clamp and sliding it into the latch position. , Dock for handheld products.
KR1020207025601A 2018-03-02 2019-01-17 Dock for handheld products KR20200116992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803455.3A GB2571581B (en) 2018-03-02 2018-03-02 A dock or storage stand for a vacuum cleaner
GB1803455.3 2018-03-02
PCT/GB2019/050130 WO2019166763A1 (en) 2018-03-02 2019-01-17 A dock for a handheld produc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992A true KR20200116992A (en) 2020-10-13

Family

ID=61903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5601A KR20200116992A (en) 2018-03-02 2019-01-17 Dock for handheld products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000313A1 (en)
EP (1) EP3758570A1 (en)
JP (1) JP2021514766A (en)
KR (1) KR20200116992A (en)
CN (1) CN111787837A (en)
GB (1) GB2571581B (en)
WO (1) WO2019166763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87958A (en) 2018-04-27 2019-10-31 三菱電機株式会社 Cleaner and support device
CN110025257A (en) * 2019-05-24 2019-07-19 苏州市伟克斯电器有限公司 Dust catcher accepting rack and dust suction device assembly
KR20210000397A (en) * 2019-06-25 2021-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Robot cleaner, station and cleaning system
EP3841940A1 (en) * 2019-12-23 2021-06-30 Koninklijke Philips N.V. Determining a start-up operation mode of a wetting system of a cleaning device
WO2021143864A1 (en) * 2020-01-16 2021-07-22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Storage station of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device assembly
KR20210093006A (en) * 2020-01-17 2021-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Cleaning apparatus
JP7030349B2 (en) * 2020-06-16 2022-03-07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Vacuum cleaner extension pipe and vacuum cleaner unit
KR20220041327A (en) * 2020-09-25 2022-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Station for cleaner
KR20220170572A (en) * 2021-06-23 2022-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Cleaner statio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0363U (en) * 1988-09-13 1990-03-19
US6843380B1 (en) * 1999-12-14 2005-01-18 Glenn A. Fickett Portable modular storage support device
KR100397200B1 (en) * 2001-05-28 2003-09-13 에이스전자(주) Supporter for portable wireless vacuum cleaner
US20080040883A1 (en) * 2006-04-10 2008-02-21 Jonas Beskow Air Flow Losses in a Vacuum Cleaners
SE531125C2 (en) * 2007-01-19 2008-12-23 Electrolux Ab Improvements in air flow losses in a vacuum cleaner
GB2441962B (en) * 2006-09-20 2011-03-02 Dyson Technology Ltd A support device
JP2015009030A (en) * 2013-07-01 2015-01-19 株式会社千石 Mop cleaner
CA2833555C (en) * 2013-11-18 2020-03-10 Canplas Industries Ltd. Handheld vacuum cleaner and docking assembly for connecting to a central vacuum system
JP6538302B2 (en) * 2013-12-24 2019-07-03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Electric cleaning device
CA2952254A1 (en) * 2014-07-18 2016-01-18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Port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JPWO2016114046A1 (en) * 2015-01-14 2017-04-27 三菱電機株式会社 Electric vacuum cleaner
JP2016131793A (en) * 2015-01-21 2016-07-25 株式会社東芝 Vacuum cleaner
JP6321560B2 (en) * 2015-01-28 2018-05-09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Charging stand
US10080471B2 (en) * 2015-12-21 2018-09-25 Electrolux Home Care Products, Inc. Versatile vacuum cleaners
WO2017196005A1 (en) * 2016-05-09 2017-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st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00313A1 (en) 2021-01-07
EP3758570A1 (en) 2021-01-06
WO2019166763A1 (en) 2019-09-06
CN111787837A (en) 2020-10-16
GB2571581B (en) 2020-09-23
JP2021514766A (en) 2021-06-17
GB2571581A (en) 2019-09-04
GB2571581A8 (en) 2019-09-25
GB201803455D0 (en) 2018-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16992A (en) Dock for handheld products
AU2019100057A4 (en) Cleaner holder
US10342404B2 (en) Cleaner holder
US9155431B2 (en) Vacuum cleaner arrangement
US10610075B2 (en) Cleaner holder
JP2020108820A (en) Cleaner holder
EP2953514B1 (en) Charging stand for a handheld vacuum cleaner
JP6297833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101815820B1 (en) Cordless cleaner holder
WO2021003732A1 (en) Handheld dust collector
WO2020136366A1 (en) Storage dock for a battery-powered vacuum cleaner
WO2018036147A1 (en) Placement bracket and hand-held push rod dust collection device
JP4692858B1 (en) Storage method for vacuum cleaner and storage device for vacuum cleaner
CN110754994A (en) Rod type dust collector and dust collector storage seat
WO2016094967A1 (en) A chair
AU2011225870B2 (en) A vacuum cleaner arrangement
CN115399670A (en) Dust collector storage device
JP2003153832A (en)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