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6752A - 이동식 cctv - Google Patents

이동식 cctv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6752A
KR20200116752A KR1020190038563A KR20190038563A KR20200116752A KR 20200116752 A KR20200116752 A KR 20200116752A KR 1020190038563 A KR1020190038563 A KR 1020190038563A KR 20190038563 A KR20190038563 A KR 20190038563A KR 20200116752 A KR20200116752 A KR 20200116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communication module
wireless communication
cctv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8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9539B1 (ko
Inventor
박도선
신창식
남윤환
류미라
김수영
최덕호
Original Assignee
한국수자원공사
(주)덕성산업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자원공사, (주)덕성산업기계 filed Critical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to KR1020190038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9539B1/ko
Publication of KR20200116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6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시설물이나 건축물을 감시하기 위해 장소를 이동하며 설치할 수 있는 이동식 CCTV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CCTV는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카메라가 설치되는 높이조절대, 상기 높이조절대가 세워진 상태로 바닥에서 지지하는 받침대, 상기 높이조절대 또는 상기 받침대에 설치되어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외부로 무선통신에 의해 전송하며 상기 카메라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해 무게중심을 하부로 가중시키는 제어박스, 및 상기 카메라에 작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높이조절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박스로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전지패널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동식 CCTV를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오지에도 설치가 가능하며, 클라우드서버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시청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식 CCTV{A Removable CCTV}
본 발명은 특정 시설물이나 건축물을 감시하기 위해 장소를 이동하여 촬영할 수 있는 이동식 CCTV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CTV는 특정한 건축물 또는 시설물을 감시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동여부에 따라 이동식 또는 고정식으로 구분된다.
고정식 CCTV는 통상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장소에 설치되지만, 이동식의 경우에는 설치 위치가 자유롭기 때문에 전원을 공급받을 수 없는 장소에도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전원의 공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한국특허공보 제10-1851558호(2018.4.27.공고)의 "이동식 쓰레기 무단투기 계도 및 감시시스템"이 개시된 바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이동식 쓰레기 무단투기 계도 및 감시시스템은
이동식 쓰레기 무단투기 계도 및 감시시스템에 있어서, 외부 환경으로부터 가해질 수 있는 충격, 파손, 도난으로부터 보호되며, 잠금장치를 갖추며, 내부공간이 형성된 본체하우징과, 상기 본체하우징의 상측에 결합되는 카메라하우징과, 상기 본체하우징의 하측에 결합되어, 이동시키기 위한 바퀴부와, 상기 카메라하우징에 적어도 1 개 이상 설치 구성되어 영상을 촬영하며, 촬영된 영상 정보를 유무선으로 블랙박스로 전송하기 위한 카메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의 이동식 쓰레기 무단투기 계도 및 감시시스템은 바퀴에 의해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블랙박스로 전송하여 블랙박스를 통해 저장된 영상을 확인하는 형태로 쓰레기 무단투기의 감시가 가능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이동식 쓰레기 무단투기 계도 및 감시시스템은 이동하여 설치할 장소에 묶어놓을 대상이 없을 경우, 쉽게 전도되어 파손될 뿐만 아니라, 별도의 블랙박스를 통해서면 촬영된 영상을 확인할 수 있어 영상이 확인이 어려우며, 블랙박스를 갖춰야 하는 등의 설치비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변의 영상을 촬영할 뿐, 주변 환경상태의 정보를 제공하거나, 주변에서 근로하는 근로자의 근태를 파악하는 등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장소에서도 감시를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이 간편하며,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카메라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는 이동식 CCTV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촬영된 영상을 인터넷망을 통해 용이하게 접속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확인할 수 있으며, 서버를 구축할 필요가 없어 설비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동식 CCTV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감시하는 목적외에 근로자의 근태를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장의 환경상태에 따라 작업명령을 전달할 수 있는 이동식 CCTV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CCTV는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카메라가 설치되는 높이조절대, 상기 높이조절대가 세워진 상태로 바닥에서 지지하는 받침대, 상기 높이조절대 또는 상기 받침대에 설치되어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외부로 무선통신에 의해 전송하며 상기 카메라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해 무게중심을 하부로 가중시키는 제어박스, 및 상기 카메라에 작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높이조절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박스로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전지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받침대는 상기 카메라를 중심으로 상기 카메라의 양측으로 길이가 연장되어 지지하는 측면아웃트리거부, 및 상기 카메라를 중심으로 상기 카메라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길이가 연장되어 지지하는 전후아웃트리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대는 상기 카메라의 운반시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바퀴, 및 상기 받침대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바퀴를 바닥에서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이격지지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격지지구는 상기 받침대에서 상기 이격지지구를 나사체결에 따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바퀴가 바닥에 닿거나 바닥에서 이격시키는 승하강나사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아웃트리거부는 내부가 빈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면아웃트리거부는 상기 측면아웃트리거부의 내주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길이를 연장시키거나, 축소시키는 측면연장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후아웃트리거부는 내부가 빈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후아웃트리거부는 상기 전후아웃트리거부의 내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길이를 연장시키거나, 축소시키는 전후연장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박스는 상기 태양전지패널에서 발전되는 전기가 충전되고, 충전된 전기를 상기 카메라로 제공하는 배터리팩, 및 상기 배터리팩에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인터넷망을 통해서 클라우드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전송된 영상을 재생하도록 상기 클라우드서버에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하는 관리자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박스는 상기 카메라가 설치된 주변 환경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로 제공하는 IoT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상기 IoT센서에서 측정된 환경상태의 정보를 상기 관리자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근로자단말기와 근거리통신하는 근거리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근거리통신모듈은 상기 근거리통신모듈에 접속된 근로자단말기의 정보를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관리자단말기로 제공하여 근태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측면아웃트리거부와 전후아웃트리거부에 의해 지지되는 면적을 넓혀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바퀴가 설치되어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격지지구에 의해 수평을 맞출 수 있으며, 바닥에서 바퀴를 이격시켜 바닥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팩에 의해 무게중심이 하부로 이동되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클라우드서버에 전송하여 별도의 서버를 구축할 필요없이 인터넷망의 접속이 가능한 지역이라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촬영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근거리통신모듈과 Iot센서에 의해 환경상태를 파악하여 환경상태에 따라 근무지침을 내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근로자단말기의 접속된 정보를 기초로 근로자의 근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CCTV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CCTV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CCTV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CCTV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CCTV를 거치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CCTV를 구성하는 제어박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CCTV를 구성하는 제어박스의 무선통신모듈 및 근거리통신모듈이 통신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CCTV(100)는 카메라(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카메라(110)는 특정 시설물 또는 특정 건축물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110)는 촬영된 영상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메모리 또는 하드디스크와 같은 저장수단에 저장하거나, 영상의 디지털 신호를 실시간으로 하기에 설명될 무선통신모듈(165)로 제공할 수 있다.
케메라(110)는 직사광선이 렌즈에 직접적으로 유입되어 촬영되는 영상의 노이즈발생을 방지하도록 렌즈의 둘레를 감싸는 광차단커버(1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광차단커버(111)는 이물질이 렌즈에 직접적으로 묻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CCTV(100)는 높이조절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높이조절대(120)는 이동식 CCTV(100)가 설치된 장소에서 카메라(11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높이조절대(120)는 막대형상으로 세워져 상단에 카메라(11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카메라(110)는 높이조절대(120)에서 피사체의 촬영하는 위치를 변경하도록 상,하,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높이조절대(120)는 내부가 빈 파이프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높이조절대(120)는 높이연장대(121)를 포함할 수 있다.
높이연장대(121)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높이조절대(120)의 빈 내부에 삽입되어 높이조절대(120)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높이연장대(121)의 끝단에는 카메라(110)가 설치되어 높이조절대(120)에서 높이연장대(121)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형태로 카메라(11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높이연장대(121)와 높이조절대(120)에는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높이조절공이 형성되고, 높이조절대(120)에서 높이연장대(121)의 높낮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상호 겹쳐지는 높이조절공에 높이고정핀(123)을 끼우는 형태로 카메라(110)의 높낮이를 조절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CCTV(100)는 받침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받침대(130)는 높이조절대(120)가 세워져 높이조절대(120)를 바닥에서 지지하는 형태로 카메라(110)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받침대(130)는 바퀴(138)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바퀴(138)는 이동식 CCTV(100)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이동 시 바닥을 구르며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바퀴(138)는 받침대(130)의 바닥에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받침대(130)에는 받침대(130)가 바닥과 수평한 상태를 유지할 때에는 바닥에 닿아 바퀴(138)의 구름을 방지하는 스토퍼부(139)가 받침대(130)의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받침대(130)는 이격지지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이격지지구(140)는 받침대(130)의 둘레에 복수 개가 설치되며 받침대(130)의 상하로 위치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받침대(130)의 하부로 위치된 상태에서는 이격지지구(140)가 바닥에서 받침대(130)를 상부로 들어올리는 형태로 바퀴(138)를 바닥에서 이격시켜 바닥에서 안정적으로 카메라(110)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바닥에 지지된 이격지지구(140)를 받침대(130)의 상부로 이동시킬 경우, 바퀴(138)가 바닥에 닿아 바퀴(138)에 의해 이동식 CCTV(10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격지지구(140)는 승하강나사봉(141)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승하강나사봉(141)은 받침대(130)에 나사체결되어 나사체결됨에 따라 받침대(130)에서 이격지지구(140)를 상부로 이동시켜 바퀴(138)를 바닥에 닿도록 하거나, 하부로 이동시켜 바퀴(138)를 바닥에서 이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승하강나사봉(141)의 하단에는 이격지지구(14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승하강 나사봉의 상단에는 나사봉손잡이(143)가 설치되어 나사봉손잡이(143)의 회전에 따라 승하강나사봉(141)을 받침대(130)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이격지지구(140)는 각 단에 설치된 이격지지구(140)의 높낮이를 달리하여 불균일한 바닥에서도 수평을 조절하여 카메라(110)를 위치시킬 수 있다.
받침대(130)는 측면아웃트리거부(131)와 전후아웃트리거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아웃트리거부(131)는 카메라(110)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길이가 연장되거나 축소되어 길이를 연장시킨 상태에서는 바닥에 지지되는 면적을 넓혀 카메라(110)를 안정적으로 지자할 수 있으며, 길이가 축소된 상태에서는 부피가 작아져 이동식 CCTV(10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측면아웃트리거부(131)는 내부가 빈 파이프의 형상으로 카메라(110)의 양측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측면아웃트리거부(131)는 측면연장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연장대(133)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면아웃트리거부(131)의 내부에서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측면아웃트리거부(131)의 외측으로 측면연장대(133)가 이동하여 지지면적을 넓힐 수 있으며, 측면아웃티러거부의 내측으로 측면연장대(133)가 이동하면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다.
이때, 측면연장대(133)는 측면아웃트리거부(131)의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에 설치되어 측면아웃트리거부(131)의 양측에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지지면적을 넓히거나,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측면아웃트리거부(131)의 양측에 끼워진 각 측면연장대(133)의 외측단에 이격지지구(140)가 설치되어 이격지지구(14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측면아웃트리거부(131)를 상부로 이동시키거나 하부로 이동시켜 바퀴(138)가 바닥에 닿거나 바닥에서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측면아웃트리거부(131)와 측면연장대(133)의 길이방향으로는 측면길이조절공이 복수 개가 형성되고, 측면아웃트리거부(131)에서 측면연장대(133)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겹쳐지는 측면길이조절공에는 측면고정핀을 끼우는 형태로 측면아웃트리거부(131)에서 측면연장대(133)의 위치를 조절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전후아웃트리거부(135)는 측면아웃트리거부(131)에 직교되도록 설치되어 카메라(110)의 전방 또는 후방 둘 모두의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거나, 축소되도록 구성되어 길이를 연장시킬 때에는 지지면적을 넓혀 카메라(110)를 바닥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길이를 축소시킬 때에는 부피를 축소시켜 이동식 CCTV(10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측면아웃트리거부(131)의 양측 후방으로 전후아웃트리거부(135)가 측면아웃트리거부(131)에 직교되도록 형성하였으며, 카메라(110)는 양측 전후방아웃트기러부의 중앙부분에 위치되도록 설치하였다.
그리고, 전후아웃트리거부(135)는 전후연장대(136)를 포함할 수 있다.
전후연장대(136)는 내부가 빈 파이프 형태의 전후아웃트리거부(135)의 끝단에서 전후아웃트리거부(135)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길이가 연장되도록 전후아웃트리거부(135)에서 전후연장대(136)가 인출되어 지지면적을 넓히거나, 길이가 축소되도록 전후아웃트리거부(135)에서 인출된 전방연장대를 내부로 삽입시켜 부피를 축소시킴으로써, 이동식 CCTV(10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각 전후연장대(136)의 외측단에도 측면연장대(133)와 마찬가지로 이격지지구(140)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부로 이동할 경우에는 이격지지구(140)에 의해 바퀴(138)를 바닥에서 이격시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상부로 이동시킬 경우에는 바퀴(138)가 바닥에 닿음으로써,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CCTV(100)는 태양전지패널(1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태양전지패널(150)은 태양광 또는 태양열에 의해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여기서, 태양전지패널(150)의 전기를 생산하는 기술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태양전지패널(150)은 받침대(130) 또는 높이조절대(120)에 설치될 수 있으며, 태양전지패널(150)은 받침대(130) 또는 높이조절대(120)에서 접히거나 펴지도록 받침대(130) 또는 높이조절대(120)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높이조절대(120)에 태양전지패널(150)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높이조절대(120)에 밀착되도록 회전하여 접힌 상태에서는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높이조절대(120)에서 멀어지도록 회전하여 펼친 상태에서는 태양전지패널(150)이 태양을 바라봐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태양전지패널(150)에서 생산되는 전기로는 카메라(110)를 구동하거나, 하기에 설명될 무선통신모듈(165)을 작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태양전지패널(150)은 카메라(110)에 의해 촬영하는 부분을 가리지 않도록 카메라(110)의 후방에 배치되어 카메라(110)의 후방에서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CCTV(100)는 제어박스(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제어박스(160)는 태양전지패널(150)에서 발전된 전기를 제공받아 카메라(110)로 제공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모듈(165)이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제어박스(160)는 개폐도어가 설치되어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팩(161)이나, 무선통신모듈(165)을 수리하거나, 교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박스(160)는 이동식 CCTV(100)의 무게 중심이 하부에 위치되어 쉽게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높이조절대(120)의 하부 또는 받침대(13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어박스(160)는 높이조절대(120)를 중심으로 태양전지패널(150)이 위치되는 반대방향에 위치되어 태양전지패널(150)을 접거나 펼칠 때,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박스(160)는 배터리팩(161), 무선통신모듈(165)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배터리팩(161)은 태양전지패널(150)에서 발생된 전기를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배터리팩(161)은 전기를 충전 및 방전할 수 있는 이차전지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배터리팩(161)은 충방전효율이 높은 리튬이온팩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팩(161)은 저장된 전기를 카메라(110)로 공급될 수 있으며, 배터리팩(161)은 카메라(110) 또는 무선통신모듈(165)이 작동할 수 있는 전압으로 저장된 전기를 변환하도록 전원변환기(163)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변환기(163)는 각 구성들로 전압을 변환하여 제공할 수 있는 아답터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통신모듈(165)은 카메라(110)에서 촬영된 영상을 무선통신하여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무선통신모듈(165)은 통신범위가 상대적으로 넓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외부와 통신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모듈(165)는 LTE라우터 일 수 있으며, 이동통신망은 LTE망일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모듈(165)은 이동통신망에 의해 인터넷망에 접속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모듈(165)은 인터넷망을 통해 클라우드서버(300)에 접속하여 카메라(110)에서 촬영된 영상을 클라우드서버(30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서버(300)는 인터넷망에 의해 접속하여 자료를 저장하기 위한 서버로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서버를 클라우드서버(300)를 이용할 경우, 자체적으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서버를 구축할 필요가 없어 유지,보수의 필요성이 낮으며, 인터넷망에 접속하면 시간과 장소를 구애받지 않고 쉽게 촬영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모듈(165)은 근거리통신모듈(166)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통신모듈(166)은 WI-FI, Z-wave, Zigbee, bluetooth 등의 근거리 통신방법을 통해 무선통신하여 근거리에 위치된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다.
한편, 근거리통신모듈(166)과 통신하는 단말기는 카메라(110)로 촬영하는 특정 건축물 또는 시설물에서 근로하는 근로자가 소지한 근로자단말기(250)일 수 있다.
여기서, 근로자단말기(250)는 근거리통신모듈(166)을 대신하여 무선통신모듈(165)이 그 기능을 대신할 수도 있다.
그리고, 근거리통신모듈(166)과 근로자단말기(250)는 서로 접속한 정보를 통해 근로자의 근태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식 CCTV(100)의 근거리에서 근로자단말기(250)와 근거리 통신에 의해 상호 접속된 경우, 이 접속된 정보를 무선통신모듈(165)을 통해 인터넷망으로 제공하고, 인터넷망에 접속한 정보를 관리자단말기(200)로 제공하는 형태로 원거리에서도 근로자의 근태를 관리할 수 있다.
즉, 근거리통신모듈(166)은 이동식 CCTV(100)가 설치된 근거리에서만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동식 CCTV(100)의 근거리에 근로자단말기(250)가 접속되면, 근로하기 위한 근로현장에 위치된 것으로 판단하고, 접속이 끊어지면, 근로현장에서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여 이 정보들을 관리자단말기(200)로 제공함으로써, 근태를 관리할 수 있다.
제어박스(160)는 IoT센서(2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IoT센서(270)는 근거리통신모듈(166) 또는 무선통신모듈(165)과 무선통신하여 이동식 CCTV(100)가 설치된 장소의 환경상태의 정보를 관리자단말기(200) 또는 근로자단말기(25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IoT센서(270)는 온도, 습도 등의 환경상태를 감지하고, 이 감지된 정보를 근거리통신모듈(166)과 예컨대, Z-wave 통신방식으로 상호 간의 통신하여 감지된 환경상태 정보를 근거리통신에 의해 관리자단말기(200)로 제공하거나, 인터넷망을 통해 관리자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IoT센서(270)를 통해 감지된 환경상태를 제공받은 관리자단말기(200)를 통해 관리자는 이동식 CCTV(100)가 설치된 환경상태에 따라 근로자의 휴식을 권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박스(160)에는 상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시전원 콘센트(167)가 설치되어 상시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태양전지패널(150)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태양전지 전원스위치(168)와 배터리팩(161)에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는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배터리 전원스위치(169)가 더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박스(160)에는 비상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보조배터리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어박스(160)에는 태양전지패널(150) 또는 배터리팩(161) 또는 상시전원 콘센트(167)를 통해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62)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CCTV(100)는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 이동식 CCTV(100)를 이동시킨다.
이때, 이동식 CCTV(100)는 받침대(130)의 측면아웃트리거부(131), 전후아웃트리거부(135), 및 높이조절대(120)의 길이를 축소시킨 상태에서 바퀴(138)가 지면에 닿도록 높이조절대(120)를 기울여 이동시킨다.
그리고, 이동식 CCTV(100)가 설치될 장소로 이동되면, 측면아웃트리거부(131)의 측면연장대(133)를 양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길이를 연장시키고, 전후아웃트리거부(135)의 전후연장대(136)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길이를 연장시킨 상태에서 각 연장대의 끝단에 설치된 이격지지구(140)의 승하강나사봉(141)을 회전시켜 바퀴(138)를 바닥에서 이격시킨다.
그리고, 높이조절대(120)에서 카메라(110)에 의해 촬영할 시공물 또는 건축물에 따라 높이연장대(121)의 위치를 조절하여 고정하고, 높이조절대(120)에 접혀진 태양전지패널(150)이 태양을 바라보도록 펼친다.
이렇게 이동식 CCTV(100)가 설치되면, 측면아웃트리거부(131) 및 전후아웃트리거부(135)에 의해 지지면적이 넓어지며 제어박스(160)에 의해 무게중심이 받침대(130)의 부분으로 위치하기 때문에 카메라(110)가 쉽게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110)를 작동하는 전원은 태양전지패널(150)에서 생산하고, 태양전지패널(150)에서 생성된 전원은 배터리팩(161)에 충전되고, 이 배터리팩(161)에 충전된 전원으로 카메라(110)를 작동시켜 태양전지패널(150)에서 환경에 따라 불균일하게 발생하는 전기를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전원공급을 하지 않아도 자체적으로 전원을 발생하기 때문에 전원공급이 어려운 오지에서도 쉽게 설치하여 감시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110)에서 촬영되는 영상은 무선통신모듈(165)로 제공되고, 무선통신모듈(165)은 인터넷망을 통해 클라우드서버(300)에서 미리 설정된 장소에 저장하고, 클라우드서버(300)에 전송된 영상을 인터넷망을 통해 관리자단말기(200)가 접속하여 인터넷이 가능한 어떠한 지역에서라도 이동식 CCTV(100)가 촬영한 영상을 다운받거나,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식 CCTV(100)에는 근거리통신모듈(166)이 설치되어 이동식 CCTV(100)가 설치된 현장에서 근로하는 근로자가 휴대하는 근로자단말기(250)의 접속정보를 기초로 사용자는 근로를 감독할 수 있다.
또한, 근거리통신모듈(166)은 IoT센서(270)와 통신하여 IoT센서(270)에서 제공되는 환경상태의 정보를 제공받고, 이를 인터넷망을 통해 관리자단말기(200)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관리자단말기(200)를 통해 현지의 환경상태에 따라 근로자의 작업명령을 하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CCTV(100)은 부피를 최소화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설치할 장소에서는 전후아웃트리거부(135), 측면아웃트리거부(131)에 의해 지지면적을 넓힘과 동시에 제어박스(160)의 배터리팩(161)에 의해 무게중심을 낮춰 카메라(1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쉽게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태양전지패널(150)에 의해 전원을 생산하여 전원의 공급이 어려운 장소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하여 감시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10)의 촬영된 영상이 인터넷망을 통해 클라우드서버(300)에 저장되기 때문에 영상을 저장하는 서버를 별도 구축할 필요가 없어 유지보수가 편리하며, 인터넷망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이라면, 언제 어디서든지 용이하게 촬영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근거리통신모듈(166)에 의해 현장에서 작업하는 근로자의 근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IoT센서(270)에 의해 주변 환경상태를 파악하여 원거리에서도 현지 환경상태에 따라 근로자의 작업여부 명령을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이동식 CCTV 110: 카메라
111: 광차단커버 120: 높이조절대,
121: 높이연장대 123: 높이고정핀
130: 받침대 131: 측면아웃트리거부
133: 측면연장대 135: 전후아웃트리거부
136: 전후연장대 138: 바퀴
139: 스토퍼부 140: 이격지지구
141: 승하강나사봉 143: 손잡이
150: 태양전지패널 160: 제어박스
161: 배터리팩 162: 컨트롤러
163: 전원변환기 163: 컨트롤러
165: 무선통신모듈 166: 근거리통신모듈
167: 상시전원 콘센트 168: 태양전지 전원스위치
169: 배터리 전원스위치 200: 관리자단말기
250: 근로자단말기 270: IoT센서
300: 클라우드서버

Claims (10)

  1.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카메라가 설치되는 높이조절대,
    상기 높이조절대가 세워진 상태로 바닥에서 지지하는 받침대,
    상기 높이조절대 또는 상기 받침대에 설치되어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외부로 무선통신에 의해 전송하며 상기 카메라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해 무게중심을 하부로 가중시키는 제어박스, 및
    상기 카메라에 작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높이조절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박스로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전지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CCTV.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카메라를 중심으로 상기 카메라의 양측으로 길이가 연장되어 지지하는 측면아웃트리거부, 및
    상기 카메라를 중심으로 상기 카메라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길이가 연장되어 지지하는 전후아웃트리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CCTV.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카메라운반시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바퀴, 및
    상기 받침대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바퀴를 바닥에서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이격지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CCTV.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지지구는
    상기 받침대에서 상기 이격지지구를 나사체결에 따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바퀴가 바닥에 닿거나 바닥에서 이격시키는 승하강나사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CCTV.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아웃트리거부는 내부가 빈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면아웃트리거부는 상기 측면아웃트리거부의 내주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길이를 연장시키거나, 축소시키는 측면연장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CCTV.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아웃트리거부는 내부가 빈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후아웃트리거부는 상기 전후아웃트리거부의 내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길이를 연장시키거나, 축소시키는 전후연장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CCTV.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박스는
    상기 태양전지패널에서 발전되는 전기가 충전되고, 충전된 전기를 상기 카메라로 제공하는 배터리팩, 및
    상기 배터리팩에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CCTV.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인터넷망을 통해서 클라우드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전송된 영상을 재생하도록 상기 클라우드서버에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하는 관리자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CCTV.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박스는 상기 카메라가 설치된 주변 환경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로 제공하는 IoT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상기 IoT센서에서 측정된 환경상태의 정보를 상기 관리자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CCTV.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근로자단말기와 근거리통신하는 근거리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근거리통신모듈은 상기 근거리통신모듈에 접속된 근로자단말기의 정보를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관리자단말기로 제공하여 근태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CCTV.
KR1020190038563A 2019-04-02 2019-04-02 이동식 cctv KR102189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563A KR102189539B1 (ko) 2019-04-02 2019-04-02 이동식 cctv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563A KR102189539B1 (ko) 2019-04-02 2019-04-02 이동식 cctv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752A true KR20200116752A (ko) 2020-10-13
KR102189539B1 KR102189539B1 (ko) 2020-12-11

Family

ID=72884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8563A KR102189539B1 (ko) 2019-04-02 2019-04-02 이동식 cctv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95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4483B1 (ko) * 2021-06-11 2021-12-03 한국이엠에스(주) 백업 전원 공급이 가능한 이동형 감시 장치
KR102541221B1 (ko) * 2022-11-08 2023-06-13 주식회사 경우시스테크 인공지능 기반 영상인식플랫폼을 포함하는 이동식 지능형 cctv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9408A (ja) * 2002-01-25 2003-07-31 Ecr:Kk 監視システム
KR20150003990A (ko) * 2013-07-02 2015-01-12 주식회사 동양유니텍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통행자 감시 장치 및 방법
KR20180014288A (ko) * 2016-07-28 2018-02-08 주식회사 살핌 이동형 cctv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감시 시스템
KR101937348B1 (ko) * 2018-11-06 2019-01-14 엔에이치네트웍스 주식회사 이동식 신재생 발전 스마트 시스템
KR20190030450A (ko) * 2017-09-14 2019-03-22 주식회사 네모엘텍 이동 설치가 가능한 iot 카메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9408A (ja) * 2002-01-25 2003-07-31 Ecr:Kk 監視システム
KR20150003990A (ko) * 2013-07-02 2015-01-12 주식회사 동양유니텍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통행자 감시 장치 및 방법
KR20180014288A (ko) * 2016-07-28 2018-02-08 주식회사 살핌 이동형 cctv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감시 시스템
KR20190030450A (ko) * 2017-09-14 2019-03-22 주식회사 네모엘텍 이동 설치가 가능한 iot 카메라
KR101937348B1 (ko) * 2018-11-06 2019-01-14 엔에이치네트웍스 주식회사 이동식 신재생 발전 스마트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4483B1 (ko) * 2021-06-11 2021-12-03 한국이엠에스(주) 백업 전원 공급이 가능한 이동형 감시 장치
KR102541221B1 (ko) * 2022-11-08 2023-06-13 주식회사 경우시스테크 인공지능 기반 영상인식플랫폼을 포함하는 이동식 지능형 cctv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9539B1 (ko) 2020-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9539B1 (ko) 이동식 cctv
US20190263281A1 (en) Docking station for motorised vehicles
KR101550104B1 (ko)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
CN106414277A (zh) 具有无线功能的废物管理弃置和压缩站
KR101664340B1 (ko) 에너지저장 컨테이너
CN207397440U (zh) 变电站安全防护栅栏
KR102512765B1 (ko) 드론 충전용 스테이션 장치
KR102160991B1 (ko) 태양광 불법쓰레기 투기 cctv 감시시스템
KR20200012082A (ko) 상부 장착식 배터리 교체구조를 갖는 드론 스테이션
KR20210158150A (ko) 태양광발전패널이 구비된 다기능 셔터
CN205566518U (zh) 便携式电网监测装置
KR101554339B1 (ko) 지주 내장형 상하 이동식 시설물 관제장치
KR101636240B1 (ko) 친환경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충전장치
KR102247320B1 (ko) 태양광 패널이 구비된 촬영장치
KR20170107337A (ko)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은 원격지의 감시 카메라 시스템
JP3225157U (ja) ネットワークカメラと二次電池を搭載した可搬型通信装置
KR20100078594A (ko) 이동식 씨씨티비
KR20150135948A (ko) 가로등 전력을 이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
US20210119192A1 (en) Cylindrical battery pack for energy storage systems
CA2747769A1 (en) Containerized cctv security system
US20240006903A1 (en) A Mobile Solar Power Unit Control System
WO2015052642A1 (en) Surveillance equipment
KR102355543B1 (ko) 장소 이동이 용이한 승강식 영상녹화장치
CN108023301A (zh) 一种伸缩杆式线缆故障巡检设备
KR102214352B1 (ko) 이동식 전원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