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6378A - 복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6378A
KR20200116378A KR1020190038095A KR20190038095A KR20200116378A KR 20200116378 A KR20200116378 A KR 20200116378A KR 1020190038095 A KR1020190038095 A KR 1020190038095A KR 20190038095 A KR20190038095 A KR 20190038095A KR 20200116378 A KR20200116378 A KR 20200116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creen
broadcast channel
split scree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8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9335B1 (ko
Inventor
나강원
신문석
성은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90038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9335B1/ko
Publication of KR20200116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6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09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transcoding between formats or standards, e.g. from MPEG-2 to MPEG-4 or from Quicktime to Real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5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a list of items to be played back in a given order, e.g. play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하나의 화면에 복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일 측면에 따른, 서비스 서버로부터 실시간 방송 채널의 영상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통신 단말은,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방송 채널 리스트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채널 리스트 수신부; 상기 통신 단말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부; 화면을 메인 분할 화면과 적어도 하나의 서브 분할 화면으로 분할하되 상기 감지되는 회전에 따라 화면 분할의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화면 분할 관리부; 상기 화면의 분할 개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서비스 서버로 요청하여 수신하는 영상 관리부; 및 상기 영상 관리부에서 수신되는 복수의 방송 채널 각각의 영상을 상기 메인 분할 화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분할 화면 각각에 표시하는 표시 관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videoes of a plurality of broadcast channels}
본 발명은 실시간 방송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화면에 복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야구, 농구 등의 전통적인 스포츠와 더불어 최근에는 게임 기술과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e-스포츠도 인기를 끌고 있고, 이러한 e-스포츠도 전통적인 스포츠와 마찬가지로 방송을 통해 중계되고 있다. 전통적인 스포츠의 경우 물리적인 카메라를 경기장의 여러 곳에 설치하여 생동감 있는 경기 상황을 시청자에게 전달한다. e-스포츠의 경우 전통적인 스포츠와 마찬가지로 물리적인 카메라로 게임 플레이어의 컴퓨터 화면의 게임 영상을 촬영하여 시청자에게 송출하기도 하고, 또는 게임 플레이어의 컴퓨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카메라를 통해 게임 영상을 실시간 촬영하여 시청자들에게 송출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개인 방송을 통해 e-스포츠의 경기를 실시간 중계하는 서비스도 늘어나고 있다. 전통적인 스포츠 경기 뿐만 아니라 e-스포츠 경기는 TV를 통해 시청하는 것에 머물지 않고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단말이나 컴퓨터를 통해 온라인으로 실시간 중계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그런데 현재까지의 중계 기술은 방송사에서 화면을 편집하여 시청자에게 송출하는 형태로서 방송사가 편집 권한을 모두 갖고 시청자는 수동적으로 중계 방송을 볼 수밖에 없다. 이는 스포츠 중계 방송의 몰입도를 저해하고 시청자의 선택권을 제대로 보장하지 못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하나의 화면에 복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서비스 서버로부터 실시간 방송 채널의 영상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통신 단말은,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방송 채널 리스트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채널 리스트 수신부; 상기 통신 단말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부; 화면을 메인 분할 화면과 적어도 하나의 서브 분할 화면으로 분할하되 상기 감지되는 회전에 따라 화면 분할의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화면 분할 관리부; 상기 화면의 분할 개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서비스 서버로 요청하여 수신하는 영상 관리부; 및 상기 영상 관리부에서 수신되는 복수의 방송 채널 각각의 영상을 상기 메인 분할 화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분할 화면 각각에 표시하는 표시 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 관리부는,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방송 채널의 영상과 그 선택된 방송 채널과 관련된 다른 방송 채널 중에서 현재 시청자 수에 기초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표시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상기 메인 분할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현재 시청자 수에 기초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분할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화면 분할 관리부는,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방송 채널의 수만큼 화면을 분할하고, 상기 영상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표시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메인 분할 화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분할 화면에 상기 복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 관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분할 화면 중 하나의 서브 분할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 수신시, 그 선택된 서브 분할 화면과 상기 메인 분할 화면 간에 방송 채널의 영상을 상호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영상 관리부는, 상기 방송 채널의 영상을 상호 변경하는데 있어서 상기 선택된 서브 분할 화면과 상기 메인 분할 화면 각각의 크기에 따른 화질의 영상을 상기 서비스 서버로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표시 관리부는, 상기 메인 분할 화면에 표시되는 방송 채널의 음성만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실시간 방송 채널의 영상을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장치는, 방송 채널 리스트를 상기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채널 리스트 관리부; 화면을 메인 분할 화면과 적어도 하나의 서브 분할 화면으로 분할한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화면의 분할 개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방송 채널의 영상 요청을 수신하는 영상 요청 수신부; 및 상기 복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상기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영상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 요청은,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방송 채널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전송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방송 채널의 영상과 그 선택된 방송 채널과 관련된 다른 방송 채널 중에서 현재 시청자 수에 기초하여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상기 통신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요청은,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에서 상기 분할 화면의 개수만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방송 채널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전송부는, 상기 선택된 복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상기 통신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방송 채널 각각의 영상을 서로 다른 화질의 복수의 영상으로 트랜스코딩하는 트랜스코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요청은, 각 분할 화면의 크기에 대응하는 화질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전송부는, 상기 화질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상기 통신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통신 단말에서 서비스 서버로부터 실시간 방송 채널의 영상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방법은,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방송 채널 리스트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 화면을 메인 분할 화면과 적어도 하나의 서브 분할 화면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화면의 분할 개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상기 서비스 서버로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수신되는 복수의 방송 채널 각각의 영상을 상기 메인 분할 화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분할 화면 각각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단말의 회전에 따라 화면 분할의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방송 채널의 영상과 그 선택된 방송 채널과 관련된 다른 방송 채널 중에서 현재 시청자 수에 기초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상기 메인 분할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현재 시청자 수에 기초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분할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방송 채널의 수만큼 화면을 분할하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메인 분할 화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분할 화면에 상기 복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분할 화면 중 하나의 서브 분할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 수신시, 그 선택된 서브 분할 화면과 상기 메인 분할 화면 간에 방송 채널의 영상을 상호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호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서브 분할 화면과 상기 메인 분할 화면 각각의 크기에 따른 화질의 영상을 상기 서비스 서버로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서 실시간 방송 채널의 영상을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은, 방송 채널 리스트를 상기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화면을 메인 분할 화면과 적어도 하나의 서브 분할 화면으로 분할한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화면의 분할 개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방송 채널의 영상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상기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 요청은,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방송 채널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방송 채널의 영상과 그 선택된 방송 채널과 관련된 다른 방송 채널 중에서 현재 시청자 수에 기초하여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상기 통신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요청은,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에서 상기 분할 화면의 개수만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방송 채널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복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상기 통신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의 방송 채널 각각의 영상을 서로 다른 화질의 복수의 영상으로 트랜스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요청은, 각 분할 화면의 크기에 대응하는 화질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화질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상기 통신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통신 단말의 화면을 분할하여 복수의 방송 채널의 실시간 영상을 한 화면에서 동시에 시청할 수 있고, 필요시 각 분할 화면 간에 방송 채널을 상호 변경하여 시청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통신 단말의 한 화면에서 다양한 시점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생동감있게 시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단말은 각 분할 화면의 크기에 대응하는 화질의 영상을 수신하여 각 분할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불필요하게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고 데이터 사용량을 최적화하면서 사용자의 시청 만족도를 최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방송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청 프로그램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의 회전에 따라 화면 분할의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채널 리스트의 화면에서 화면 분할로 진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채널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채널의 영상들을 분할 화면에 표시하는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분할 화면과 메인 분할 화면 간에 방송 채널을 변경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화면에 복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방송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방송 서비스 시스템은, 복수의 카메라(110), 서비스 서버(120), 통신 단말(130) 및 이들을 연결하는 통신망(140)을 포함한다.
복수의 카메라(110)는 e-스포츠 경기 등을 실시간 촬영하는 수단이다. 각 카메라(110)는 하나의 실시간 방송 채널을 담당할 수 있고, 또는 둘 이상의 카메라가 하나의 실시간 방송 채널을 담당할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110)가 통신망(140)에 연결되어 서비스 서버(120)로 실시간 방송 영상을 송출한다. 그러나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카메라 측에 카메라(110)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통신망(140)을 통해 서비스 서버(120)로 전송하는 중계 서버가 포함될 수도 있다. 복수의 카메라(110)는 물리적인 카메라 뿐만 아니라, 컴퓨터에 설치되어 컴퓨터의 화면을 실시간 캡쳐하는 소프트웨어 카메라를 포함한다.
서비스 서버(120)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110)에서 촬영되어 전송되는 복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수신하여 통신 단말(130)로 전송한다. 서비스 서버(120)는 복수의 방송 채널의 편성 정보를 저장 관리하고, 통신 단말(130)의 요청에 따라 통신 단말(130)로 방송 채널 리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20)는, 통신 단말(130)의 사용자에 대한 회원 가입 처리를 수행하고, 로그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20)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110)에서 수신되는 복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여러 화질(예를 들어 1080, 760, 460, 240 등)의 영상으로 트랜스코딩하고, 통신 단말(130)에서 요청하는 화질에 대응하는 영상을 통신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20)는 청크(chunk) 기반의 실시간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 단말(130)로 방송 채널의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통신 단말(130)은 서비스 서버(130)에 접속하여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실시간 방송 채널의 영상을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는 장치이다. 통신 단말(130)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 고정형 PC, 노트북, 또는 태블릿 PC 등의 통신망(140)을 통해 서비스 서버(130)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이다. 바람직하게, 통신 단말(130)은 서비스 서버(130)에 접속하여 방송 영상을 수신할 수 있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고, 이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서비스 서버(130)에 접속하여 실시간 방송 영상을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통신 단말(130)은 화면을 분할하고 분할 화면 각각에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방송 채널 각각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을 5분할하고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서로 다른 5개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동시에 수신하여 각각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각 분할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하나의 화면에서 5개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동시에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 단말(130)은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의 회전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회전 감지 센서의 회전 감지에 따라 분할 화면의 레이아웃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통신 단말(130)을 세로로 세워 놓은 경우와 가로로 세워 놓은 경우 각각의 경우에 화면 분할의 레이아웃을 변경하여 통신 단말(130)의 회전 상태에 따라 최적의 화면 분할의 레이아웃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통신 단말(130)은 각 분할 화면의 크기에 대응하는 화질의 영상을 서비스 서버(130)로 요청하여 수신함으로써 데이터 사용량을 최적화한다.
통신망(140)은 복수의 카메라(110), 서비스 서버(120) 및 통신 단말(130)을 연결하는 망으로서, 유선 인터넷, 또는 LTE, 5G 등의 이동통신망,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통신망 등을 포함하고 또한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통신망(140)의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차세대 통신 프로토콜의 네트워크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서버(120) 및 통신 단말(130)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서비스 서버(120)는, 메모리, 메모리 제어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CPU), 주변 인터페이스, 입출력(I/O) 서브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 입력 장치 및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주변 인터페이스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의한 메모리로의 액세스는 메모리 제어기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메모리는 각종 정보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고,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주변 인터페이스는 입출력 주변 장치를 프로세서 및 메모리와 연결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어 세트를 실행하여 시스템을 위한 여러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한다. I/O 서브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 입력 장치와 같은 입출력 주변장치와 주변 인터페이스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통신 회로는 외부 포트를 통한 통신 또는 RF 신호에 의한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 회로는 전기 신호를 RF 신호로 또는 그 반대로 변환하며 이 RF 신호를 통하여 통신 네트워크, 다른 이동형 게이트웨이 장치 및 통신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서버(120)는, 영상 수신부(210), 채널 리스트 관리부(220), 트랜스코딩부(230), 영상 요청 수신부(240), 영상 전송부(250) 및 데이터베이스(260)를 포함한다. 이들 구성요소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되어 실행될 수 있다.
영상 수신부(210)는, 복수의 카메라(110)로부터 실시간 방송 영상을 수신한다. 또는 복수의 카메라(110)에서 촬영되는 실시간 방송 영상을 중계하는 중계 서버로부터 실시간 방송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카메라(110)는 각 방송 채널을 구성할 수 있고, 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카메라(110)가 하나의 방송 채널을 구성할 수 있다.
채널 리스트 관리부(220)는, 방송 채널의 편성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60)에 저장하여 관리하고, 방송 채널 리스트를 통신 단말(130)의 요청에 따라 통신 단말(130)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 채널 리스트 관리부(220)는 각 방송 채널의 요약 정보, 식별정보, 썸네일 영상, 현재 시청자 수 등을 포함하는 방송 채널 리스트를 통신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트랜스코딩부(230)는 상기 영상 수신부(210)에서 수신되는 복수의 방송 채널 각각의 실시간 영상을 다양한 종류의 화질로 트랜스코딩한다. 바람직하게, 트랜스코딩부(230)는 통신 단말(130)로부터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특정 화질의 영상이 요청되면, 그 요청에 따라 해당 방송 채널의 영상을 해당 화질로 트랜스코딩할 수 있고, 또는 복수의 방송 채널 각각의 실시간 영상을 미리 다양한 종류의 화질로 트래스코딩을 하여 데이터베이스(260)에 저장해 놓을 수 있다.
영상 요청 수신부(240)는 통신 단말(130)로부터 영상 요청을 수신한다. 바람직하게, 영상 요청 수신부(240)는 통신 단말(130)로부터 복수의 방송 채널의 영상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요청 수신부(240)는 통신 단말(130)로부터 방송 채널의 개수, 방송 채널의 식별정보 및 화질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채널의 개수는, 통신 단말(130)에서 화면이 분할되었을 때의 분할 화면의 개수일 수 있고, 상기 화질 정보는 각 분할 화면의 크기에 대응하는 화질 정보일 수 있다. 또는 영상 요청 수신부(2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 채널에 대한 화질 변경을 위한 영상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영상 전송부(250)는 상기 영상 요청 수신부(240)에서 수신되는 영상 요청에 따라 통신 단말(130)로 방송 채널의 영상을 전송한다. 영상 전송부(250)는, 상기 영상 요청 수신부(240)에서 통신 단말(130)로부터 방송 채널의 개수, 방송 채널의 식별정보 및 화질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요청을 수신할 경우, 이에 대응하는 방송 채널들의 특정 화질의 영상을 통신 단말(130)로 전송한다. 영상 전송부(250)는, 상기 방송 채널의 식별정보의 개수가 상기 방송 채널의 개수보다 작을 경우, 부족한 수의 방송 채널은,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채널과 관련된 다른 방송 채널 중에서 현재 시청자 수에 기초하여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채널이 배틀그라운드 게임의 특정 방의 중계라면, 동일한 방의 다른 시점의 방송 채널 중(예를 들면, 다른 게임 플레이어들의 화면)에서 현재 시청자 수가 많은 순서로 나머지 방송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전송부(250)는, 상기 영상 요청 수신부(240)에서 통신 단말(130)로부터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화질 변경을 위한 영상 요청이 수신되었을 경우, 해당 특정 방송 채널의 변경된 화질의 영상을 데이터베이스(260)에서 검색하거나 또는 트랜스코딩부(230)에서 수신하여 통신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화질 변경을 위한 영상 요청에는 방송 채널의 식별정보와 화질 정보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130)은, 메모리(310), 메모리 제어기(32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CPU)(322), 주변 인터페이스(323), 입출력(I/O) 서브시스템(330), 디스플레이 장치(341), 입력 장치(342), 통신 회로(352), 센서(26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선을 통하여 통신한다. 도 1에 도시한 여러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전용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여,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310)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31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322)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하는 저장 장치, 예를 들어 통신 회로(152)와, 인터넷, 인트라넷,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SAN(Storage Area Network) 등,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액세스되는 네트워크 부착형(attached) 저장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22) 및 주변 인터페이스(323)와 같은 통신 단말(130)의 다른 구성요소에 의한 메모리(310)로의 액세스는 메모리 제어기(321)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주변 인터페이스(323)는 통신 단말(130)의 입출력 주변 장치를 프로세서(322) 및 메모리(310)와 연결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322)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메모리(310)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어 세트를 실행하여 통신 단말(130)을 위한 여러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주변 인터페이스(323), 프로세서(322) 및 메모리 제어기(321)는 칩(320)과 같은 단일 칩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들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I/O 서브시스템(330)은 디스플레이 장치(341), 입력 장치(342)와 같은 통신 단말(130)의 입출력 주변장치와 주변 인터페이스(323)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장치(341)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기술 또는 LPD(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기술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341)는 용량형, 저항형, 적외선형 등의 터치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는 통신 단말(130)과 사용자 사이에 출력 인터페이스 및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장치(341)는 터치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출력을 표시한다. 시각적 출력은 텍스트, 그래픽, 비디오와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시각적 출력의 일부 또는 전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대상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41)가 터치 스크린인 경우, 입력 수단과 출력 수단을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고, 사용자 입력을 수용하는 터치 감지면을 형성한다. 입력 장치(342)는 키보드, 마우스, 스타일러스 펜 등과 같은 입력수단으로서,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
프로세서(322)는 통신 단말(130)에 연관된 동작을 수행하고 명령어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로서, 예를 들어, 메모리(310)로부터 검색된 명령어들을 이용하여, 통신 단말(130)의 컴포넌트 간의 입력 및 출력 데이터의 수신과 조작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 회로(352)는 유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무선으로 전자파를 송수신한다. 통신 회로(352)는 전기 신호를 전자파로 또는 그 반대로 변환하며 이 전자파를 통하여 통신 네트워크, 다른 이동형 게이트웨이 및 전자 기기와 통신한다. 통신 회로(352)는 예를 들어 안테나 시스템, RF 트랜시버,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오실레이터, 디지털 신호 처리기, CODEC 칩셋,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카드,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주지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360)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하여 통신 단말(130)의 회전을 감지하여, 통신 단말(130)이 가로로 놓여있는지 또는 세로로 놓여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는 운영 체제(311), 그래픽 모듈(명령어 세트)(312) 및 방송 시청 프로그램(313)이 메모리(310)에 설치될 수 있다. 운영 체제(311)는, 예를 들어, 다윈(Darwin), RTXC, LINUX, UNIX, OS X, WINDOWS 또는 VxWorks, 안드로이드 등과 같은 내장 운영체제일 수 있고, 일반적인 시스템 태스크(task)(예를 들어, 메모리 관리, 저장 장치 제어, 전력 관리 등)를 제어 및 관리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장치를 포함하고, 다양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사이의 통신을 촉진시킨다. 그래픽 모듈(312)은 디스플레이 장치(341) 상에 그래픽을 제공하고 표시하기 위한 주지의 여러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그래픽(graphics)"이란 용어는 텍스트, 웹 페이지, 아이콘(예컨대, 소프트 키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대상), 디지털 이미지, 비디오, 애니메이션 등을 제한 없이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는 모든 대상을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청 프로그램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통신 단말(130)의 방송 시청 프로그램(313)은, 채널 리스트 수신부(410), 회전 감지부(420), 화면 분할 관리부(430), 영상 관리부(440) 및 표시 관리부(450)를 포함한다.
채널 리스트 수신부(410)는,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방송 채널 리스트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서 방송 채널 리스트는, 실시간 방송 채널들의 요약 정보, 썸네일 영상, 현재 시청자 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감지부(420)는, 센서(360)에서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통신 단말(130)의 회전을 감지한다.
화면 분할 관리부(430)는, 디스플레이 장치(341)에 표시되는 하나의 화면을 메인 분할 화면과 적어도 하나의 서브 분할 화면으로 분할한다. 여기서 메인 분할 화면은 분할 화면 중 가장 크기가 큰 화면일 수 있고, 또는 가장 상단에 위치한 화면일 수 있다. 화면 분할 관리부(43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화면 분할의 레이아웃을 변경할 수 있다. 화면 분할 관리부(430)는,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하나의 방송 채널을 더블 클릭 등으로 선택하면, 화면을 미리 결정된 개수로 분할한다. 예를 들어 5개의 분할 화면으로 분할한다. 또는, 화면 분할 관리부(430)는, 방송 채널 리스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 채널의 개수만큼 화면을 분할할 수 있다.
화면 분할 관리부(430)는, 상기 회전 감지부(420)에서 감지하는 회전 정보에 따라 현재 표시 중인 화면 분할의 레이아웃을 변경한다. 즉, 화면 분할 관리부(430)는 통신 단말(130)의 자세에 따라 분할 화면의 개수는 유지한 상태에서 분할 화면들의 배치를 변경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130)의 회전에 따라 화면 분할의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는 통신 단말(130)이 세로 자세를 유지할 때의 화면 분할의 레이아웃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분할 화면(510)은 제일 상단에 위치하고 나머지 서브 분할 화면(520)은 하단에 배치된다. 반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단말(130)이 가로 자세를 유지할 때는 메인 분할 화면(510)은 왼쪽에 위치하고 나머지 서브 분할 화면(520)은 오른쪽에 배치된다. 화면 분할 관리부(430)는, 분할 화면의 개수별로 통신 단말(130)의 자세에 따른 레이아웃 정보의 테이블을 구비하고 이 테이블을 참조하여 분할 화면의 레이아웃을 변경할 수 있다.
영상 관리부(440)는, 상기 화면 분할 관리부(430)에서 화면을 분할하는 개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서비스 서버(120)로 요청하여 수신한다. 또한 영상 관리부(440)는, 방송 채널 리스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 채널의 영상을 서비스 서버(120)로 요청하고 수신할 수 있다. 영상 관리부(440)는 분할 화면 개수별 각 분할 화면 크기 및 화질 정보의 매핑 테이블을 구비하고 따라서 서비스 서버(120)로 영상을 요청할 때 각 분할 화면의 크기에 대응하는 화질의 영상을 서비스 서버(120)로 요청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할 화면 개수별 각 분할 화면 크기 및 화질 정보의 테이블은 통신 단말(130)의 자세별로 구비될 수 있다. 영상 관리부(440)는, 사용자에 의해 분할 화면 간에 방송 채널을 변경하는 입력(예를 들어, 서브 분할 화면의 더블 클릭 또는 서브 분할 화면을 메인 분활 화면으로 드래그)이 있을 경우, 변경 후의 화면의 크기에 대응하는 화질의 영상을 서비스 서버(120)로 요청하고 수신할 수 있다.
표시 관리부(450)는, 상기 영상 관리부(440)에서 수신되는 복수의 방송 채널 각각의 영상을 상기 화면 분할 관리부(430)에서 분할한 각 분할 화면에 표시한다. 방송 채널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하나의 방송 채널을 더블 클릭 등으로 선택하면, 화면은 화면 분할 관리부(430)에 의해 미리 결정된 개수(예, 5개)로 분할되고, 표시 관리부(450)는, 메인 분할 화면에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채널의 영상을 표시하고, 나머지 서브 분할 화면에는 상기 메인 분할 화면에 표시되는 방송 채널과 관련된 다른 방송 채널 중에서 현재 시청자 수에 기초하여 선택된 방송 채널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채널이 배틀그라운드 게임의 특정 방의 중계라면, 동일한 방의 다른 시점의 방송 채널 중(예를 들면, 다른 게임 플레이어들의 화면)에서 현재 시청자 수가 많은 순서로 나머지 방송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분할 화면은 분할 화면 중 가장 크기가 큰 화면일 수 있고, 또는 가장 상단에 위치한 화면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채널 리스트의 화면에서 화면 분할로 진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의 (a)는 방송 채널 리스트가 화면에 표시된 예로서, 각 방송 채널의 썸네일 영상과 방송 채널의 이름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화면을 위아래로 스크롤하여 모든 방송 채널의 리스트를 볼 수 있다. 사용자가 도 6의 방송 채널 리스트에서 특정 방송 채널(610)을 터치하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은 5분할되어 상단의 메인 분할 화면(620)에는 상기 사용자가 터치한 방송 채널(610)의 영상이 표시되고, 나머지 4개의 서브 분할 화면(630)에는 현재 시청자 수가 많은 순서대로 선택된 4개의 방송 채널의 영상이 표시된다.
또는, 표시 관리부(450)는, 방송 채널 리스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 채널의 개수만큼 화면이 분할되면, 각 분할 화면에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채널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표시 관리부(450)는, 사용자가 가장 먼저 선택한 방송 채널의 영상을 메인 분할 화면에 표시하고, 다음 선택 순서들의 방송 채널의 영상은 소정의 순서로 나머지 서브 분할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채널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채널의 영상들을 분할 화면에 표시하는 예이다. 도 7의 (a)는 방송 채널 리스트의 예로서, 화면이 분할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멀티 뷰" 메뉴를 선택할 경우에 표시될 수 있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채널 리스트에서 사용자는 5개의 방송 채널을 선택한다. 그러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은 5분할되고 왼쪽의 메인 분할 화면(710)에는 도 7의 (a)에서 사용자가 가장 먼저 선택한 방송 채널의 영상이 표시되고, 오른쪽의 서브 분할 화면(720)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나머지 방송 채널의 영상이 표시된다. 서브 분할 화면(720)에 방송 채널의 영상을 표시할 때 역시 사용자가 선택한 순서에 기초하여 방송 채널이 배치된다. 도 7의 (b)에서 오른쪽 상단부터 하단까지의 순서로 사용자가 선택한 순서의 방송 채널이 표시된다.
표시 관리부(450)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분할 화면 중 하나의 서브 분할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예를 들어 더블 클릭 또는 서브 분할 화면을 메인 분할 화면으로 드래그) 수신시, 그 선택된 서브 분할 화면과 메인 분할 화면 간에 방송 채널의 영상을 상호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분할 화면과 메인 분할 화면 간에 방송 채널을 변경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복수의 서브 분할 화면 중 하나의 서브 분할 화면(820)을 더블 클릭하거나 또는 해당 서브 분할 화면(820)을 메인 분할 화면(810)으로 드래그하면, 해당 서브 분할 화면(820)에 표시 중이던 방송 채널의 영상은 메인 분할 화면(810)에 표시되고, 메인 분할 화면(810)에 표시 중이던 방송 채널의 영상은 서브 분할 화면(820)에 표시된다. 이때, 메인 분할 화면(810)에 표시 중이던 방송 채널의 영상은 낮은 화질로 변경되어 서브 분할 화면(820)에 표시되고, 서브 분할 화면(820)에 표시 중이던 방송 채널의 영상은 높은 화질로 변경되어 메인 분할 화면(810)에 표시된다.
한편, 표시 관리부(450)는, 복수의 분할 화면에 방송 채널의 영상을 표시할 때, 메인 분할 화면에 표시 중인 방송 채널의 음성만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화면에 복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S901에서, 통신 단말(130)은, 서비스 서버(120)에 접속하여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방송 채널 리스트를 수신하고, 단계 S902에서 수신된 방송 채널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한다. 방송 채널 리스트는, 방송 채널들의 썸네일 영상, 방송 채널의 식별정보, 현재 시청자 수 등을 포함한다.
단계 S903에서, 통신 단말(130)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 중 하나의 방송 채널을 선택받는다. 단계 S904에서, 통신 단말(130)은, 그 선택된 방송 채널의 식별정보, 미리 결정된 분할 화면의 개수, 각 분할 화면의 화질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요청을 서비스 서버(120)로 전송한다. 통신 단말(130)은, 분할 화면 개수별 각 분할 화면 크기 및 화질 정보의 매핑 테이블을 구비하고 이에 기초하여 각 분할 화면의 상기 화질 정보를 결정한다.
단계 S905에서, 서비스 서버(120)는, 상기 영상 요청에 포함된 상기 선택된 방송 채널의 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분할 화면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통신 단말(13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분할 화면의 개수가 5개인 경우, 서비스 서버(120)는 상기 선택된 방송 채널의 영상 및 이외 그 선택된 방송 채널과 관련된 다른 방송 채널 중에서 현재 시청자 수가 많은 상위 4개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통신 단말(130)로 전송한다. 이때, 서비스 서버(120)는, 각 방송 채널마다 상기 영상 요청에 포함된 화질 정보에 대응하는 화질의 영상을 통신 단말(130)로 전송한다.
단계 S906에서, 통신 단말(130)은, 화면을 소정 개수로 분할하여 표시하고 이 중에서 메인 분할 화면에는 상기 단계 S905에서 수신된 방송 채널들의 영상 중에서 상기 단계 S903에서 선택된 방송 채널의 영상을 표시하고, 나머지 서브 분할 화면 각각에는 나머지 방송 채널의 영상을 소정의 순서에 따라 표시한다. 통신 단말(130)은 메인 분할 화면에 표시 중인 방송 채널의 음성만을 사용자에게 출력하고 나머지 방송 채널의 음성은 출력을 차단한다.
이와 같이 화면을 소정 개수로 분할하여 복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통신 단말(130)은 사용자로부터 채널 리스트 보기 메뉴를 선택받는다. 단계 S907에서 통신 단말(130)은 방송 채널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한다. 단계 S908에서 통신 단말(130)은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에서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방송 채널을 선택받는다.
단계 S909에서 통신 단말(130)은 상기 선택된 복수의 방송 채널의 식별정보, 상기 선택된 복수의 방송 채널의 개수, 각 방송 채널에 대한 화질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요청을 서비스 서버(120)로 전송한다. 통신 단말(130)은 분할 화면 개수별 각 분할 화면 크기 및 화질 정보의 매핑 테이블을 구비하고 이에 기초하여 각 분할 화면의 상기 화질 정보를 결정한다. 통신 단말(130)은 상기 선택된 복수의 방송 채널의 개수만큼 화면을 분할하고 사용자가 가장 먼저 선택한 방송 채널을 메인 분할 화면에 표시하고 나머지 방송 채널을 나머지 서브 분할 화면들에 표시하므로 이에 기초하여 각 방송 채널의 화질을 결정한다.
단계 S910에서 서비스 서버(120)는 상기 영상 요청에 따라 상기 선택된 복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통신 단말(130)로 전송한다. 단계 S911에서 통신 단말(130)은 상기 선택된 복수의 방송 채널의 개수에 대응하는 화면 분할 레이아웃에 따라 화면을 분할하고, 사용자가 방송 채널을 선택한 순서에 따라 각 분할 화면에 방송 채널의 영상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가장 먼저 선택한 방송 채널의 영상은 메인 분할 화면에 표시하고 나머지 방송 채널의 영상은 소정의 순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한 순서에 따라 나머지 서브 분할 화면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한 순서에 따라 각 방송 채널의 영상을 좌측 서브 분할 화면부터 우측 서브 분할 화면까지 순서대로 표시하거나 또는 상단 서브 분할 화면부터 하단 서브 분할 화면까지 순서대로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912에서 통신 단말(130)은 서브 분할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있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서브 분할 화면 중 어느 한 서브 분할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더블 클릭 또는 서브 분할 화면을 메인 분할 화면으로의 드래그 등이 있는지 확인한다. 특정 서브 분할 화면에 대해 사용자의 선택이 있으면, 통신 단말(130)은 메인 분할 화면에 표시 중인 방송 채널의 영상을 상기 선택된 특정 서브 분할 화면에 표시하고, 또한 상기 선택된 특정 서브 분할 화면에 표시 중인 방송 채널의 영상을 상기 메인 분할 화면에 표시하기 위해, 단계 S913에서 방송 채널의 화질을 변경하기 위한 화질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요청을 서비스 서버(120)로 전송한다.
단계 S914에서 서비스 서버(120)는 상기 메인 분할 화면에 표시 중이던 방송 채널의 영상을 상기 특정 서브 분할 화면의 크기에 대응하는 화질로 변경하고, 상기 특정 서브 분할 화면에 표시 중이던 방송 채널의 영상을 상기 메인 분할 화면의 크기에 대응하는 화질로 변경하여 상기 통신 단말(130)로 전송한다.
단계 S915에서 통신 단말(130)은, 상기 단계 S914에서 수신되는 화질이 변경된 두 방송 채널의 영상을 각각 메인 분할 화면과 상기 특정 서브 분할 화면에 표시한다. 즉, 메인 분할 화면에 표시 중이었던 방송 채널의 영상은 상기 선택된 특정 서브 분할 화면에 표시하고, 또한 상기 선택된 특정 서브 분할 화면에 표시 중이었던 방송 채널의 영상을 상기 메인 분할 화면에 표시한다.
이상의 도 9를 참조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통신 단말(130)을 통해서 복수의 방송 채널의 실시간 영상을 한 화면에서 동시에 시청이 가능하다. 필요시 사용자는 서브 분할 화면에 표시 중인 방송 채널과 메인 분할 화면에 표시 중인 방송 채널을 상호 변경하여 시청함으로써 다양한 시점의 방송 영상을 보다 큰 화면에서 더 좋은 화질로 시청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10 : 카메라
120 : 서비스 서버
130 : 통신 단말
140 : 통신망
210 : 영상 수신부
220 : 채널 리스트 관리부
230 : 트랜스코딩부
240 : 영상 요청 수신부
250 : 영상 전송부
260 : 데이터베이스
410 : 채널 리스트 수신부
420 : 회전 감지부
430 : 화면 분할 관리부
440 : 영상 관리부
450 : 표시 관리부

Claims (19)

  1. 서비스 서버로부터 실시간 방송 채널의 영상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통신 단말로서,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방송 채널 리스트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채널 리스트수신부;
    상기 통신 단말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부;
    화면을 메인 분할 화면과 적어도 하나의 서브 분할 화면으로 분할하되 상기 감지되는 회전에 따라 화면 분할의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화면 분할 관리부;
    상기 화면의 분할 개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서비스 서버로 요청하여 수신하는 영상 관리부; 및
    상기 영상 관리부에서 수신되는 복수의 방송 채널 각각의 영상을 상기 메인 분할 화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분할 화면 각각에 표시하는 표시 관리부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관리부는,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방송 채널의 영상과 그 선택된 방송 채널과 관련된 다른 방송 채널 중에서 현재 시청자 수에 기초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표시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상기 메인 분할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현재 시청자 수에 기초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분할 화면에 표시하는 통신 단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분할 관리부는,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방송 채널의 수만큼 화면을 분할하고,
    상기 영상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표시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메인 분할 화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분할 화면에 상기 복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표시하는 통신 단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관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분할 화면 중 하나의 서브 분할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 수신시, 그 선택된 서브 분할 화면과 상기 메인 분할 화면 간에 방송 채널의 영상을 상호 변경하여 표시하는 통신 단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관리부는,
    상기 방송 채널의 영상을 상호 변경하는데 있어서 상기 선택된 서브 분할 화면과 상기 메인 분할 화면 각각의 크기에 따른 화질의 영상을 상기 서비스 서버로 요청하여 수신하는 통신 단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관리부는,
    상기 메인 분할 화면에 표시되는 방송 채널의 음성만을 외부로 출력하는 통신 단말.
  7. 실시간 방송 채널의 영상을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장치로서,
    방송 채널 리스트를 상기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채널 리스트 관리부;
    화면을 메인 분할 화면과 적어도 하나의 서브 분할 화면으로 분할한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화면의 분할 개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방송 채널의 영상 요청을 수신하는 영상 요청 수신부; 및
    상기 복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상기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영상 전송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요청은,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방송 채널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전송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방송 채널의 영상과 그 선택된 방송 채널과 관련된 다른 방송 채널 중에서 현재 시청자 수에 기초하여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상기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요청은,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에서 상기 분할 화면의 개수만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방송 채널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전송부는, 상기 선택된 복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상기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송 채널 각각의 영상을 서로 다른 화질의 복수의 영상으로 트랜스코딩하는 트랜스코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요청은, 각 분할 화면의 크기에 대응하는 화질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전송부는, 상기 화질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상기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장치.
  11. 통신 단말에서 서비스 서버로부터 실시간 방송 채널의 영상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방송 채널 리스트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
    화면을 메인 분할 화면과 적어도 하나의 서브 분할 화면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화면의 분할 개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상기 서비스 서버로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수신되는 복수의 방송 채널 각각의 영상을 상기 메인 분할 화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분할 화면 각각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단말의 회전에 따라 화면 분할의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방송 채널의 영상과 그 선택된 방송 채널과 관련된 다른 방송 채널 중에서 현재 시청자 수에 기초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상기 메인 분할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현재 시청자 수에 기초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분할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방송 채널의 수만큼 화면을 분할하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메인 분할 화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분할 화면에 상기 복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분할 화면 중 하나의 서브 분할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 수신시, 그 선택된 서브 분할 화면과 상기 메인 분할 화면 간에 방송 채널의 영상을 상호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서브 분할 화면과 상기 메인 분할 화면 각각의 크기에 따른 화질의 영상을 상기 서비스 서버로 요청하여 수신하는 방법.
  16. 서비스 장치에서 실시간 방송 채널의 영상을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방송 채널 리스트를 상기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화면을 메인 분할 화면과 적어도 하나의 서브 분할 화면으로 분할한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화면의 분할 개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방송 채널의 영상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상기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요청은,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방송 채널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방송 채널의 영상과 그 선택된 방송 채널과 관련된 다른 방송 채널 중에서 현재 시청자 수에 기초하여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상기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요청은,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에서 상기 분할 화면의 개수만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방송 채널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복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상기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송 채널 각각의 영상을 서로 다른 화질의 복수의 영상으로 트랜스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요청은, 각 분할 화면의 크기에 대응하는 화질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화질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상기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
KR1020190038095A 2019-04-01 2019-04-01 복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389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095A KR102389335B1 (ko) 2019-04-01 2019-04-01 복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095A KR102389335B1 (ko) 2019-04-01 2019-04-01 복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378A true KR20200116378A (ko) 2020-10-12
KR102389335B1 KR102389335B1 (ko) 2022-04-20

Family

ID=72886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8095A KR102389335B1 (ko) 2019-04-01 2019-04-01 복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93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4988A (ko) * 2021-10-18 2023-04-25 주식회사 투익트 피사체 형상인식 기반의 멀티 소스 영상을 제공하는 인터넷 방송 스튜디오 시스템 및 방법
WO2023121250A1 (en) * 2021-12-22 2023-06-29 Tving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 view servi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007B1 (ko) * 2008-10-07 2010-09-13 닛뽕빅터 가부시키가이샤 방송 프로그램 표시 장치 및 방송 프로그램 표시 방법
JP2012230527A (ja) * 2011-04-26 2012-11-22 Kyocera Corp 電子機器
KR20150111095A (ko) * 2014-03-25 2015-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70024860A (ko) * 2015-08-26 2017-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70058152A (ko) * 2015-11-18 2017-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설정 방법
KR20170121720A (ko) * 2016-04-25 2017-11-02 장부다 Vr 공간에서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007B1 (ko) * 2008-10-07 2010-09-13 닛뽕빅터 가부시키가이샤 방송 프로그램 표시 장치 및 방송 프로그램 표시 방법
JP2012230527A (ja) * 2011-04-26 2012-11-22 Kyocera Corp 電子機器
KR20150111095A (ko) * 2014-03-25 2015-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70024860A (ko) * 2015-08-26 2017-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70058152A (ko) * 2015-11-18 2017-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설정 방법
KR20170121720A (ko) * 2016-04-25 2017-11-02 장부다 Vr 공간에서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4988A (ko) * 2021-10-18 2023-04-25 주식회사 투익트 피사체 형상인식 기반의 멀티 소스 영상을 제공하는 인터넷 방송 스튜디오 시스템 및 방법
WO2023121250A1 (en) * 2021-12-22 2023-06-29 Tving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 view service
KR20230095297A (ko) * 2021-12-22 2023-06-29 주식회사 티빙 멀티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9335B1 (ko) 202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9118B2 (en)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system and headset display
CN110636353B (zh) 一种显示设备
US9197925B2 (en) Populating a user interface display with information
US849549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bookmark setting method, and program
US10708534B2 (en) Terminal executing mirror application of a peripheral device
US20170171274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ynchronously playing multiple-cameras video
CN109643241B (zh) 显示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终端
CN109257611A (zh) 一种视频播放方法、装置、终端设备和服务器
CN105230005A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WO2015031802A1 (en) Video display system
KR20140011857A (ko) 이동 단말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
US10009658B2 (en) Multiview TV template creation and display layout modification
KR101526491B1 (ko)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US11350155B2 (en) Multiview as an application for physical digital media
US10455270B2 (en) Content surfing, preview and selection by sequentially connecting tiled content channels
CN112073798B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设备
KR20160087649A (ko) 사용자 단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13051432A (zh) 显示设备及媒资播放方法
WO2017112520A1 (en) Video display system
WO2023011058A1 (zh) 显示设备、通信终端及投屏画面动态显示方法
CN111176603A (zh) 一种用于显示设备的图像显示方法及显示设备
KR102389335B1 (ko) 복수의 방송 채널의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CN103748586B (zh) 智能电视
US20170269795A1 (en) Multiview display layout and current state memory
KR20150073573A (ko) 미러링 화면에 관련된 콘텐츠 출력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