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6356A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of Coffee Beans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of Coffee Bea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6356A
KR20200116356A KR1020190038046A KR20190038046A KR20200116356A KR 20200116356 A KR20200116356 A KR 20200116356A KR 1020190038046 A KR1020190038046 A KR 1020190038046A KR 20190038046 A KR20190038046 A KR 20190038046A KR 20200116356 A KR20200116356 A KR 20200116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additive
coffee bean
coffe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80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03382B1 (en
Inventor
김언정
Original Assignee
김언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언정 filed Critical 김언정
Priority to KR1020190038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382B1/en
Publication of KR20200116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63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3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46Coffee flavour; Coffee oil; Flavouring of coffee or coffee extract
    • A23F5/465Flavouring with flavours other than natural coffee flavour or coffee oi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02Treating green coffee;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10Treating roasted coffee;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5/14Treating roasted coffee;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using additives, e.g. milk, sugar; Coating, e.g. for preserv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cessing coffee beans, and an apparatus thereof.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processing coffee beans comprises: a first supply step of supplying coffee beans into a first chamber; a second supply step of supplying additives to be spread into the coffee beans into a second chamber; a first decompression step of depressurizing the first chamber such that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irst chamber is less tha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second chamber; a transfer step of opening a transfer control valve coupled to a flow path communicating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amber with each other so as to transfer at least a part of the additives in the second chamber to the first chamber through the flow path; and an impregnation step in which in the first chamber, the transferred at least a part of the additives is spread into pores of the coffee beans. Accordingly, the coffee beans have flavor that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distribution period.

Description

커피 콩 가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of Coffee Bean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of Coffee Bean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of Coffee Beans}

본 발명은 커피 콩 가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피 콩 가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ffee bean processing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ffee bea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커피는 전세계에 걸쳐 소비되고 있는 대중적인 기호 식품으로서, 이를 가공한 음료 시장은 서구 선진국을 중심으로 발달되어 있으며 개발 도상국에서도 확장 추세에 있다. 최근에는 커피 전문점 시장도 그 기세가 크게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Coffee is a popular favorite food consumed all over the world, and the processed beverage market is developing mainly in western developed countries and expanding trend in developing countries as well. In recent years, the momentum of the coffee specialty store market is also expanding significantly.

커피는 에티오피아 고원에서 발견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아라비아 지역에서 마시는 음료로 발전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커피의 주 생산지는 아프리카, 중남미 및 동남아시아 등지이다. 커피 콩을 일체 가공하지 않은 형태인 커피 생두는 비린내로 인하여 그대로 음용하기에는 부적합하므로, 주로 생두를 로스팅하고, 로스팅되어 얻어진 커피 콩을 분쇄하여 뜨거운 물에 침지하여 우려내거나, 고압의 물을 통과시켜 추출하여 음용하여 왔다. 커피 콩을 로스팅함으로써 생두에 있는 비린 맛이나 떫은 맛이 제거되고, 콩을 볶을 때 발생하는 특유의 탄맛이 생성되면서 풍미가 증가된다.Coffee is known to have been found in the Ethiopian Plateau, and it is said to have developed into a drink in Arabia. Currently, the main coffee producers are in Africa, Latin America and Southeast Asia. Since green coffee beans, in which no coffee beans are processed, are not suitable for drinking as they are due to their fishy smell, they are mainly roasted and the coffee beans obtained by roasting are pulverized and immersed in hot water to brew or extracted by passing high pressure water. And have been drinking. By roasting coffee beans, the fishy taste or astringent taste of green beans is removed, and the flavor is increased as the characteristic burnt taste that occurs when the beans are roasted is generated.

커피를 다양하게 즐길 수 있도록 가공하는 방법은 단순히 로스팅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다양하게 발전되어 왔다. 예를 들면, 커피에 독자적인 맛과 향을 가지는 재료를 함유시켜 커피를 마실 때 독특한 맛 또는 풍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베리에이션도 각광받는 커피 개질 방법 중 하나이다. The method of processing coffee so that it can be enjoyed in various ways has been developed in various ways, not just roasting. For example, a variation in which a coffee contains ingredients having its own taste and aroma so that a unique taste or flavor can be felt when drinking coffee is one of the popular coffee reforming methods.

종래의 커피 개질 방법은 로스팅된 커피 콩을 그라인딩한 뒤, 커피를 내려 만들어진 액상 커피에 첨가물을 직접 투입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상기 액상 커피에 첨가물을 직접 투입하는 방법은 첨가물을 액상에 단순 혼합하는 것에 불과하므로 음용 시에 액상 전체에서 균질한 맛과 풍미를 얻기 어렵다. 또한, 커피에 대한 불용성의 첨가물인 경우에는 액상 내 뭉침 현상이 있거나 찌꺼기가 남아 커피 풍미 전체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생긴다.In the conventional coffee reforming method, after grinding roasted coffee beans, the coffee is brewed and an additive is directly added to the liquid coffee. Since the method of directly adding the additive to the liquid coffee is simply mixing the additive into the liquid phase, it is difficult to obtain a homogeneous taste and flavor throughout the liquid when drinking. In addition, in the case of an insoluble additive to coffe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quality of the entire coffee flavor is deteriorated due to agglomeration phenomenon in the liquid phase or residue remaining.

다른 커피 개질 방법으로서, 수요자가 그라인딩 한 뒤 액상 커피에 직접 상기 첨가물을 수작업으로 투입하는 방식은 베리에이션을 즐기기 위해 사용자가 상기 첨가물을 직접 추가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사용자가 아닌 생산자가 그라인딩 한 뒤 첨가물을 투입하는 경우에는 수요자에게 전달되기 전에 유통 기간 동안 커피 콩이 변질되거나 첨가물과 커피 콩의 일체화된 풍미가 얻어지기 어렵다.As another coffee reforming method, the method of manually injecting the additives directly into liquid coffee after grinding by the consumer is cumbersome in that the user must directly add the additives to enjoy the variation, and after the producer, not the user, grinds When an additive is added, it is difficult to deteriorate the coffee beans during the distribution period before being delivered to the consumer, or to obtain an integrated flavor of the additive and coffee bean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커피 콩 자체를 개질함으로써 커피의 맛 또는 향을 저하시키지 않고서, 오랜 유통 기간 동안 풍미가 유지되고, 수요자가 추가 처리 없이도 커피의 베리에이션을 즐기고 상기 첨가물의 독특한 맛과 향을 커피 콩에 일체화시키고 최대화하는 커피 콩 가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taste or aroma of coffee is not degraded by modifying the coffee bean itself, and the flavor is maintained for a long distribution period, and the consumer enjoys the variation of coffee without further processing, and the unique taste of the additive and It is to provide a coffee bean processing method that integrates and maximizes aroma in the coffee bean.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커피 콩 가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ffee bean processing apparatus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콩 가공 방법은, 제 1 챔버 내에 커피 콩을 투입하는 제 1 공급 단계; 상기 커피 콩에 함침될 첨가물을 상기 제 2 챔버 내에 투입하는 제 2 공급 단계; 상기 제 1 챔버의 내부 압력을 상기 제 2 챔버의 내부 압력보다 작도록 상기 제 1 챔버를 감압시키는 제 1 감압 단계; 상기 제 1 챔버와 상기 제 2 챔버를 연통시키는 전달 조절 유로에 결합된 전달 조절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전달 조절 유로를 통하여 상기 제 2 챔버 내의 상기 첨가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제 1 챔버로 전달하는 전달 단계; 및 상기 제 1 챔버 내에서, 상기 전달된 적어도 일부의 첨가물이 상기 커피 콩의 기공 내에 함침되는 함침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coffee bean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includes: a first supply step of introducing coffee beans into a first chamber; A second supply step of introducing an additive to be impregnated into the coffee beans into the second chamber; A first decompression step of depressurizing the first chamber such that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irst chamber is less tha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second chamber; Opening a transfer control valve coupled to a transfer control flow path that communicates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to transfer all or part of the additive in the second chamber to the first chamber through the transfer control flow path. Delivery step; And an impregnation step in which at least some of the delivered additives are impregnated into the pores of the coffee beans in the first chamber.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콩 가공 방법은, 제 1 챔버 내에 커피 콩을 투입하는 제 1 공급 단계; 상기 커피 콩에 함침될 첨가물과 고체 상태의 승화성 물질을 상기 제 2 챔버 내에 투입하는 제 2 공급 단계; 상기 제 2 챔버에서 상기 승화성 물질이 기체 상태로 승화하면서, 상기 첨가물이 에어로졸화하는 에어로졸화 단계; 상기 제 1 챔버의 내부 압력을 상기 제 2 챔버의 내부 압력보다 작도록 상기 제 1 챔버를 감압시키는 제 1 감압 단계; 상기 제 1 챔버와 상기 제 2 챔버를 연통시키는 전달 조절 유로에 결합된 전달 조절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전달 조절 유로를 통하여 상기 제 2 챔버 내의 상기 에어로졸화된 첨가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제 1 챔버로 전달하는 전달 단계; 및 상기 제 1 챔버 내에서, 상기 적어도 일부의 에어로졸화한 첨가물이 상기 커피 콩의 기공 내에 함침되는 함침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coffee bean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includes: a first supply step of injecting coffee beans into a first chamber; A second supply step of introducing an additive to be impregnated into the coffee beans and a sublimable material in a solid state into the second chamber; An aerosolization step of sublimating the sublimable material into a gaseous state in the second chamber and causing the additive to aerosolize; A first decompression step of depressurizing the first chamber such that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irst chamber is less tha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second chamber; By opening a delivery control valve coupled to a delivery control flow path that communicates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all or part of the aerosolized additive in the second chamber is transferred to the first chamber through the delivery control flow path. A delivery step of delivering to; And an impregnation step in which the at least part of the aerosolized additive is impregnated into the pores of the coffee bean in the first cham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피 콩은 생두 또는 로스팅된 커피 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달 조절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제 1 챔버 내의 상기 함침 후 잔류하는 상기 첨가물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전달 조절 유로를 통하여 상기 제 2 챔버로 회수하는 회수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수 단계는, 상기 제 2 챔버의 내부 압력을 상기 제 1 챔버의 내부 압력보다 작도록 상기 제 2 챔버를 감압시키는 제 2 감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감압 단계는, 상기 커피 콩 내부에, 상기 제 1 챔버의 내부 압력에 의해 상기 커피 콩의 표면에서 개구를 갖는 개방된 기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승화성 물질은 드라이 아이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첨가물의 일부 또는 전부는 나노 파우더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달 단계는 상기 첨가물이 제 1 챔버로 이동하는 것을 촉진하기 위한 건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함침 단계는 상기 커피 콩의 상기 기공 내로 상기 첨가물이 함침되는 것을 촉진하기 위한 가열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어로졸화 단계에서 상기 제 2 챔버는 비가열되거나 단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첨가물은, 향신료, 건강 보조 식품 또는 강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ffee beans may be green beans or roasted coffee b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opening the transfer control valve, a recovery step of recovering at least a part of the additive remaining after the impregnation in the first chamber to the second chamber through the transfer control flow path is further performed. And, the recovery step may include a second decompression step of depressurizing the second chamber so that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second chamber is less tha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irst cha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epressurization step includes forming an open pore having an opening in the surface of the coffee bean by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irst chamber in the coffee bean. I c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limable material may be dry 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 or all of the additives may be in the form of nano powd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ferring step may include a drying step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additive to the first cha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regnation step may include a heating step for promoting impregnation of the additive into the pores of the coffee be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erosolization step, the second chamber may be unheated or insul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ditive may include a spice, a health supplement or a fortifying agent.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스팅된 커피 콩 가공 장치는, 가공될 커피 콩을 수용하는 제 1 챔버; 상기 커피 콩에 함침될 첨가물을 수용하는 제 2 챔버; 상기 제 1 챔버와 상기 제 2 챔버를 연통시키는 유로에 결합된 전달 조절 밸브; 및 상기 제 1 챔버 및 상기 제 2 챔버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연통되며, 상기 제 1 챔버 및 상기 제 2 챔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감압시키는 압력 조절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전달 조절 밸브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압력 조절 펌프에 의해, 상기 제 1 챔버의 압력을 상기 제 2 챔버의 압력보다 감압하고, 상기 전달 조절 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제 2 챔버로부터 상기 제 1 챔버로 상기 첨가물을 유입시켜 상기 커피 콩에 상기 첨가물을 함침하고, 상기 함침이 완료된 후, 상기 전달 조절 밸브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압력 조절 펌프에 의해, 상기 제 2 챔버의 압력을 상기 제 1 챔버의 압력보다 감압하고, 상기 전달 조절 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제 1 챔버로부터 상기 제 2 챔버로 잔류하는 첨가물을 회수할 수 있다. A roasted coffee bea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includes: a first chamber for accommodating coffee beans to be processed; A second chamber for accommodating an additive to be impregnated into the coffee beans; A delivery control valve coupled to a flow path communicating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And a pressure regulating pump communicating with one or more of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and depressurizing any one or more of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wherein the transfer control valve is closed. , By reducing the pressure of the first chamber by the pressure control pump than the pressure of the second chamber, opening the transfer control valve to introduce the additive from the second chamber to the first chamber, the coffee bean The additive is impregnated into the material, and after the impregnation is completed, in a state in which the transfer control valve is closed, the pressure of the second chamber is reduced by the pressure control pump than the pressure of the first chamber, and the transfer control By opening the valve, additives remaining from the first chamber to the second chamber may be recove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첨가물은 액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첨가물은 승화성 물질과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력 조절 펌프는 상기 제 1 챔버 및 상기 제 2 챔버와 서로 다른 상기 압력 조절 밸브로 각각 연통되고, 각각의 상기 압력 조절 밸브의 개방이 독립적으로 일어남으로써 상기 제 1 챔버 또는 상기 제 2 챔버의 감압이 독립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첨가물은, 향신료, 건강 보조 식품 또는 강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달 조절 밸브 또는 상기 압력 조절 밸브는 게이트(Gate) 밸브, 글로브(Globe) 밸브, 앵글(Angle) 밸브, 니들(Needle) 밸브, 볼(Ball) 밸브, 버터플라이(Butterfly) 밸브. 다이아프램(Diaphragm) 밸브, 전동식(Electric motor) 밸브, 공기식(Pneumatic) 밸브, 유압식(Hydraulic) 밸브, 또는 자기식(Solenoid) 밸브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첨가물의 함침이 완료된 후, 상기 전달 조절 밸브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압력 조절 펌프에 의해, 상기 제 2 챔버의 압력을 상기 제 1 챔버의 압력보다 감압하고, 상기 전달 조절 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제 1 챔버로부터 상기 제 2 챔버로 잔류하는 첨가물을 회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ditive may be liqu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ditive may be provided together with a sublimable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 regulating pump communicates with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through different pressure regulating valves, respectively, and opening of each of the pressure regulating valves independently occurs. Decompression of the first chamber or the second chamber may occur independent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ditive may include a spice, a health supplement or a fortifying ag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fer control valve or the pressure control valve is a gate valve, a globe valve, an angle valve, a needle valve, a ball valve, and a butter. Butterfly valve. It may be one of a diaphragm valve, an electric motor valve, a pneumatic valve, a hydraulic valve, or a magnetic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impregnation of the additive is completed, in a state in which the delivery control valve is closed, the pressure of the second chamber is reduced by the pressure control pump than the pressure of the first chamber, , By opening the delivery control valve, the additive remaining from the first chamber to the second chamber may be recover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커피 콩을 수용하는 제 1 챔버의 압력을 첨가물을 수용하는 제 2 챔버의 압력보다 감압하여 제 2 챔버로부터 제 1 챔버로 첨가물을 유입시켜 커피 콩에 첨가물을 함침함으로써 커피의 원래의 맛과 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수요자가 추가 단계 없이 편의성 있게 커피의 베리에이션을 즐기거나, 수요자에게 전달까지 풍미의 보존력을 높이고 커피 콩과 첨가물의 일체성을 향상시켜 고품질의 베리에이션을 제공할 수 있는 커피 콩 가공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reducing the pressure of the first chamber accommodating the coffee beans to the pressure of the second chamber accommodating the additive, the additive is introduced from the second chamber to the first chamber, and the additive is impregnated with the coffee bean. Provides a high-quality variation by enhancing the preservation power of flavor and improving the integrity of coffee beans and additives until consumers enjoy convenient coffee variations without any additional steps without deteriorating the original taste and aroma of coffee. A coffee bean processing method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커피 콩을 수용하는 제 1 챔버의 압력을 첨가물과 승화성 물질을 수용하는 제 2 챔버의 압력보다 감압하여 제 2 챔버로부터 제 1 챔버로 에어로졸화된 첨가물을 유입시켜 커피 콩에 첨가물을 함침함으로써 커피의 원래의 맛과 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수요자가 추가 단계 없이 편의성 있게 커피의 베리에이션을 즐기거나, 생산자가 질변없이 커피의 베리에이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첨가물에 기인한 독특한 맛과 향을 최대화하는 커피 콩 가공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erosolized additive from the second chamber to the first chamber is reduced by reducing the pressure of the first chamber containing the coffee beans than the pressure of the second chamber containing the additive and the sublimable material. By impregnating coffee beans with additives by inflow, it is caused by additives so that consumers can conveniently enjoy a variation of coffee without any additional steps, without deteriorating the original taste and aroma of coffee, or so that producers can provide a variation of coffee without quality change. A coffee bean processing method can be provided that maximizes a unique taste and aroma.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커피 콩을 수용하는 제 1 챔버의 압력을 첨가물을 수용하는 제 2 챔버의 압력보다 감압하여 제 2 챔버로부터 제 1 챔버로 첨가물을 유입시켜 커피 콩에 첨가물을 함침함으로써 커피의 원래의 맛과 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수요자가 추가 단계 없이 편의성 있게 커피의 베리에이션을 즐기거나, 생산자가 질변없이 커피의 베리에이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첨가물에 기인한 독특한 맛과 향을 최대화하는 커피 콩 가공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 of the first chamber accommodating the coffee beans is reduced to the pressure of the second chamber accommodating the additive, and the additive is introduced from the second chamber to the first chamber to impregnate the coffee bean. This maximizes the unique taste and aroma caused by additives so that the consumer can conveniently enjoy the variation of coffee without any additional steps without deteriorating the original taste and aroma of the coffee, or the producer can provide a coffee variation without quality change. A coffee bean processing device can be provided.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콩 가공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콩 가공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콩 가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콩 가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1A to 1D are schematic diagrams of a coffee bea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ffee bea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 chart of a coffee bean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 chart of a coffee bean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 following examples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It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to make the present disclosure more faithful and complete, and to complete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thickness or size of each layer in the drawings is exagge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descrip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As used herein, the term "and/or" includes any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corresponding listed ite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 may include the plural form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another case. Further, as used herein, "comprise" and/or "comprising" specifies the presence of the mentioned shapes, numbers, steps, actions, members, elements and/or groups thereof. And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shapes, numbers, actions, members, elements, and/or groups.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면들에 있어서, 도면에 나타난 부재들의 크기와 형상은 설명의 편의와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 구현 시, 도시된 형상은 변형될 수 있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chematically showing ide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the size and shape of member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description, and in actual implementation, the illustrated shape may be modified.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도시된 부재 또는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Accordingl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specific shape of the member or region shown herein.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콩 가공 장치(10)의 개략도이다. 1A to 1D are schematic diagrams of a coffee bean process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면, 커피 콩 가공 장치(10)는 제 1 챔버(200) 및 제 2 챔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챔버(200)는 투입된 커피 콩(100)에 첨가물(105)이 함침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제 2 챔버(300)는 커피 콩(100)에 함침될 첨가물(105)이 준비 또는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제 2 챔버(300)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복수 개인 경우, 제 2 챔버들은 서로 다른 첨가물을 각각 준비 또는 저장할 수 있다. 1A to 1D, the coffee bean processing apparatus 10 may include a first chamber 200 and a second chamber 300. The first chamber 200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added coffee beans 100 are impregnated with the additives 105. The second chamber 300 provides a space in which an additive 105 to be impregnated in the coffee bean 100 is prepared or stored. There may be one or a plurality of second chambers 300, and if there are multiple, the second chambers may prepare or store different additives, respectively.

상기 첨가물은 커피 콩에 풍미를 향상시키거나 베리에이션을 제공할 수 있는 여하의 향신료, 오일, 왁스, 지방, 초콜릿, 유기산, 시럽, 과일산, 술, 음료일 수 있다. 상기 첨가물은, 액상, 또는 파우더 형태의 고상일 수 있으며, 상기 고상의 경우에는, 증류수와 같은 용매에 파우더를 분산시켜 제 2 챔버(300)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동시 또는 이시에 두 종류 이상의 첨가물(105)이 본 발명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동시에 첨가되는 경우 첨가물(105)은 복수 종류의 물질이 포함된 혼합물일 수 있다. 첨가물(105)의 용도가 커피 콩에 맛 또는 향을 첨가하거나 커피 콩의 맛 또는 향을 증진시키기 위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첨가물(105)은 건강증진을 위한 건강 보조 식품 또는 강화제일 수 있다. 상기의 건강 보조 식품 또는 강화제는 비타민, 미네랄, 또는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additive may be any spices, oils, waxes, fats, chocolates, organic acids, syrups, fruit acids, alcoholic beverages, and beverages capable of improving flavor or providing variations to coffee beans. The additive may be in a liquid state or a solid state in the form of a powder, and in the case of the solid state, the powder may be dispersed in a solvent such as distilled water to be provided in the second chamber 300. At the same time or at the same time, two or more kinds of additives 105 may be provided for the present invention. When added at the same time, the additive 105 may be a mixture containing a plurality of types of substances. The use of the additive 105 is not limited to adding taste or aroma to coffee beans or to enhance the taste or aroma of coffee beans. For example, the additive 105 may be a health supplement or a strengthening agent for health promotion. The health supplement or fortifier may include vitamins, minerals, or probiotics.

맛 또는 향을 지닌 향신료로서, 첨가물(105)은 찻잎, 꿀, 과일, 향기 에센스, 허브 등일 수 있다. 허브는 식물 또는 식물의 부분으로부터 유래하는 물질 및 상기 물질의 엑기스를 가리키며,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허브는 민트, 알로에 베라, 바질, 우엉, 고추, 박하, 치커리, 라슬리, 질경이, 로즈마리, 스피어민트, 야생 참마 또는 샤프란으로부터 유래한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As a spice having a taste or aroma, the additive 105 may be tea leaves, honey, fruit, fragrance essence, herbs, and the like. Herb refers to a substance derived from a plant or plant part and an extract of the substance, and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rb refers to mint, aloe vera, basil, burdock, red pepper, mint, chicory, lasley, plantain, rosemary, spearmint, Substances derived from wild yam or saffron may be included.

제 1 챔버(200)와 제 2 챔버(300) 사이에는 제 1 챔버(200)와 제 2 챔버(300)를 연통시키는 전달 조절 유로(106_1)가 제공될 수 있다. 전달 조절 유로(106_1)를 통해서 첨가물(105)이 제 2 챔버(300)로부터 제 1 챔버(200)로 전달되거나, 제 1 챔버(200)로 전달된 첨가물의 적어도 일부가 제 1 챔버(200)로부터 제 2 챔버(300)로 반환될 수 있다. 전달 조절 유로(106_1)가 제 2 챔버(300)에 연결되는 위치는 제 1 챔버(200)로 이동하는 첨가물(105)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 1 챔버(200)로 이동하는 첨가물(105)이 액상인 경우에는 도 1a 및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조절 유로(106_1)가 제 2 챔버(300)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고, 제 1 챔버(200)로 이동하는 첨가물(105)이 에어로졸 상태인 경우에는 도 1c 및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조절 유로(106_1)가 제 2 챔버(300)의 상측에 연결될 수 있다.Between the first chamber 200 and the second chamber 300, a transfer control passage 106_1 for communicating the first chamber 200 and the second chamber 300 may be provided. The additive 105 is transferred from the second chamber 300 to the first chamber 200 through the transfer control passage 106_1, or at least a part of the additive transferred to the first chamber 200 is the first chamber 200 It may be returned to the second chamber 300 from. The position at which the delivery control passage 106_1 is connected to the second chamber 300 may vary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additive 105 moving to the first chamber 200. When the additive 105 moving to the first chamber 200 is in a liquid state, the transfer control passage 106_1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chamber 300 as shown in FIGS. 1A and 1B, and the first chamber When the additive 105 moving to 200 is in an aerosol state, the delivery control passage 106_1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chamber 300 as shown in FIGS. 1C and 1D.

제 1 챔버(200)의 내측 또는 외측에는 제 1 온도조절장치(201)가 결합될 수 있다. 제 1 온도조절장치(201)는 히터(미도시), 제 1 챔버(200) 내부의 온도 측정을 위한 온도 센서(미도시) 및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를 상기 히터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온도조절장치(201)을 통해 커피 콩(100)의 로스팅 단계에서 반응부(102) 또는 로스팅 드럼(102_1)을 가열함으로써, 원두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로스팅 단계에서, 압력 조절 펌프(401)에 의해 제 1 챔버(200) 내부를 진공화함으로써, 상기 원두의 기공률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기공률은 후술하는 첨가물(105)의 함침 정도를 조절하기 위해 제어된다. 예를 들면, 상기 로스팅 단계에서 상기 히터에 의해 제 1 챔버(200) 내부가 120 ℃ 가열되고, 진공화됨으로써 로스팅된 원두 내부의 수분이 방출되면서 기공을 갖는 로스팅된 원두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열과 진공화 단계는 적어도 1회 이상 반복될 수 있으며, 상기 가열의 온도 및/또는 상기 로스팅 단계의 반복 회수가 증가되면 상기 원두의 기공률이 증가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원두 내 첨가물의 함침 정도가 증가될 수 있다.A first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1 may be coupled inside or outside the first chamber 200.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1 includes a heater (not shown), a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for measuring a temperature inside the first chamber 200, and a temperature measur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It may include a controller (not shown). By heating the reaction unit 102 or the roasting drum 102_1 in the roasting step of the coffee beans 100 through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1, coffee beans may be formed. In the roasting step, by vacuumizing the inside of the first chamber 200 by the pressure regulating pump 401, the porosity of the coffee beans may be controlled. The porosity is controlled to adjust the degree of impregnation of the additive 105 to be described later. For example, in the roasting step, the inside of the first chamber 200 is heated at 120° C. by the heater, and the inside of the roasted beans is vacuumed to release moisture inside the roasted beans, thereby providing roasted beans having pores. The heating and vacuuming steps may be repeated at least once or more, and when the heating temperature and/or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the roasting step is increased, the porosity of the beans may increase, and as a result, impregnation of additives in the beans The degree can be increased.

일 실시예에서, 반응부(102)는 첨가물의 함침 전에 커피 콩(100)이 담겼다가 함침 후에는 첨가물(105) 회수 시에 첨가물의 이동과 함께 커피 콩(100)이 제 1 챔버(200)를 탈출하지 못하게 한다. 반응부(102)의 형상은 보울(bowl), 통(barrel) 또는 드럼(drum) 형상일 수 있다. 반응부(102)의 표면에는 반응부(102) 내부로 첨가물(105)이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반응부(102)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복수의 개구부(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개구부의 직경이 함침 후 커피 콩(100)의 직경보다 작아야 함침 반응 이후 첨가물이 회수될 때 커피 콩(100)이 개구부를 거쳐 반응부(102)의 밖으로 탈출하지 않는다.In one embodiment, the reaction unit 102 contains the coffee beans 100 before impregnation of the additive, and after the impregnation, the coffee beans 100 move together with the movement of the additive when the additive 105 is recovered. Do not let them escape. The shape of the reaction unit 102 may be a bowl, a barrel, or a drum shape. A plurality of openings (not shown) communicat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reaction section 102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reaction section 102 so that the additive 105 can be easily transferred into the inside of the reaction section 102. have. When the diameter of the opening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ffee bean 100 after impregnation, when the additive is recovered after the impregnation reaction, the coffee bean 100 does not escape from the reaction unit 102 through the opening.

일 실시예에서, 제 1 챔버(200)의 일면에는 제 1 챔버 내 공간을 건조시키는 건조 장치(206)가 더 제공될 수 있다. 건조 장치는 첨가물(105)이 제 1 챔버(200)로 이동하는 것을 촉진하고 가공 공정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서 구비된다. 커피 콩(100) 또는 첨가물(105)이 내포하고 있던 습기가 빠져나옴으로써 제 1 챔버(200) 내의 압력이 상승할 수 있으며, 제 1 챔버(200)와 제 2 챔버(300)와의 압력 차가 감소할 수 있다. 이는 두 챔버의 압력 차에 의해 발생하는 첨가물의 이동 속도 및 커피 콩 가공 공정 속도를 저해하고 경제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건조 장치(206)에 의해 제 1 챔버의 습기가 제거됨으로써 첨가물의 이동 속도 및 커피 콩 가공 공정 속도가 촉진되고 반응의 경제성이 확보될 수 있다. 제 1 챔버(200)는 커피 콩(100)의 가공 사이클 시작 시에 자동으로 커피 콩을 제 1 챔버(200) 내로 주입하는 커피 콩 공급 장치(2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drying device 206 for drying the space in the first chamber may be further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chamber 200. A drying device is provided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additive 105 to the first chamber 200 and to shorten the processing time. The pressure in the first chamber 200 may increase as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coffee beans 100 or the additive 105 escapes, and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chamber 200 and the second chamber 300 decreases. can do. This may hinder the moving speed of the additives and the coffee bean processing process speed caus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hambers, and reduce economic efficiency. Moisture in the first chamber is removed by the drying device 206, so that the moving speed of the additive and the coffee bean processing process speed are accelerated, and the economy of the reaction may be secured. The first chamber 200 may further include a coffee bean supply device 207 for automatically injecting coffee beans into the first chamber 200 at the start of the processing cycle of the coffee beans 100.

제 2 챔버(200)의 내측 또는 외측에는 제 2 온도조절장치(301)가 포함될 수 있다. 제 2 온도조절장치(301)은 첨가물(105)의 온도를 상승시켜, 첨가물(105)의 액화, 기화, 또는 승화와 같은 상태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제 2 챔버(300)는 전달 조절 밸브(106)가 개방되기 전, 첨가물(105) 또는 상세히 후술될 첨가물(105)의 제 1 챔버(200)로의 전달을 위한 승화성 물질(103)을 자동으로 제 2 챔버(300) 내로 주입하는 물질 공급 장치(2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second temperature control device 301 may be included inside or outside the second chamber 200.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device 301 may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additive 105 to induce a state change such as liquefaction, vaporization, or sublimation of the additive 105. The second chamber 300 automatically transfers the sublimable material 103 for the transfer of the additive 105 or the additive 105 to be described later to the first chamber 200 before the delivery control valve 106 is opened. A material supply device 208 for injecting into the second chamber 300 may be further included.

전달 조절 유로(106_1)를 통해 제 1 챔버(200)와 제 2 챔버(300) 상호 간 물질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물질은 첨가물(105) 또는 승화성 물질(103)일 수 있다. 전달 조절 유로(106_1)의 단면에는 전달 조절 밸브(106)가 제공될 수 있다. 전달 조절 밸브(106)는 밸브의 개폐 작용에 의해 전달 조절 유로(106_1) 내부의 물질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전달 조절 밸브(106)는 수동 밸브 또는 자동 밸브일 수 있다. 수동 밸브는 게이트(Gate) 밸브, 글로브(Globe) 밸브, 앵글(Angle) 밸브, 니들(Needle) 밸브, 볼(Ball) 밸브, 버터플라이(Butterfly) 밸브 또는 다이아프램(Diaphragm) 밸브 중 하나일 수 있다. 자동 밸브는 전동식(Electric motor) 밸브, 공기식(Pneumatic) 밸브, 유압식(Hydraulic) 밸브, 또는 자기식(Solenoid) 밸브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전술한 밸브의 실시예는 예시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Materials may be transferred between the first chamber 200 and the second chamber 300 through the transfer control passage 106_1. The material may be an additive 105 or a sublimable material 103. A transfer control valve 106 may be provided at a cross section of the transfer control flow path 106_1. The transfer control valve 106 may control the movement of substances in the transfer control flow path 106_1 by the opening and closing action of the valve. The delivery control valve 106 may be a manual valve or an automatic valve. Manual valves can be one of a gate valve, globe valve, angle valve, needle valve, ball valve, butterfly valve, or diaphragm valve. have. The automatic valve may be any one of an electric motor valve, a pneumatic valve, a hydraulic valve, or a solenoid valve. The embodiments of the valve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커피 콩 가공 장치(10)는 제 1 챔버(200) 또는 제 2 챔버(300) 내 압력을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키는 압력 조절 펌프(401)가 제공될 수 있다. 압력 조절 펌프(401)는 제 1 챔버(200)또는 제 2 챔버(300)와 연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조절 펌프(401)는 제 1 챔버(200) 또는 제 2 챔버(300)와 압력 조절 유로(401_1)로 연통되고, 압력 조절 유로(401_1)에 구비된 압력 조절 밸브(401_3)를 개방함으로써 제 1 챔버(200) 또는 제 2 챔버(300)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압력 조절 펌프(401)의 압력 조절 작용이 제 1 챔버(200) 및 제 2 챔버(300)에 각각 독립적으로 발생하는 구동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라면 배치의 방식은 상기의 실시예 또는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하지 않는다. 압력 조절 밸브(401_3)는 수동 밸브 또는 자동 밸브일 수 있으며, 이에 관하여는, 전술한 전달 조절 밸브(106)에 관한 예를 참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ffee bean processing apparatus 10 may be provided with a pressure regulating pump 401 that decreases or increases the pressure in the first chamber 200 or the second chamber 300. The pressure regulating pump 401 may communicate with the first chamber 200 or the second chamb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essure control pump 401 communicates with the first chamber 200 or the second chamber 300 and the pressure control flow path 401_1, and is provided in the pressure control flow path 401_1. By opening the 401_3), the pressure of the first chamber 200 or the second chamber 300 may be adjusted. If the pressure regulating action of the pressure regulating pump 401 satisfies the driving conditions independently occurring in the first chamber 200 and the second chamber 300, the arrangement method is as shown in the above embodiment or the drawings. Not limited to that. The pressure control valve 401_3 may be a manual valve or an automatic valve, and for this, reference may be made to the example of the transfer control valve 106,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조절 펌프(401)는 제 1 챔버(200) 및 제 2 챔버(300)와 서로 다른 압력 조절 밸브(401_3)에 의해 제 1 챔버(200)와 제 2 챔버(300)의 압력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압력 조절 밸브(401_3)의 개방이 독립적으로 일어남으로써 제 1 챔버(200) 또는 제 2 챔버(300)의 감압이 독립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조절 펌프(401)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제 1 챔버(200)와 제 2 챔버(300)는 서로 다른 압력 조절 펌프(401)와 연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essure regulating pump 401 is provided with the first chamber 200 and the second chamber 300 by a pressure regulating valve 401_3 different from the first chamber 200 and the second chamber 300. Pressure can be adjusted independently. For example, since each of the pressure control valves 401_3 is opened independently, depressurization of the first chamber 200 or the second chamber 300 may occur independent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re may be a plurality of pressure regulating pumps 401, and the first chamber 200 and the second chamber 300 may communicate with different pressure regulating pumps 401.

커피 콩 가공 장치(10)는 제 1 챔버(200) 또는 제 2 챔버(300) 내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가압 유로(402_1, 402_2)가 제공될 수 있다. 가압 유로(402_1, 402_2)는 각각 제 1 챔버(200)와 제 2 챔버(30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켜, 별도의 동력원 없이도 챔버 내부의 압력이 외부의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챔버 내부의 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가압 유로(402_1, 402_2)에는 조절 밸브(403_1)가 구비될 수 있다. 조절 밸브(403_1)는 압력 조절 밸브(401_3)와 같이 상기 수동 밸브 또는 상기 자동 밸브일 수 있다. The coffee bean processing apparatus 10 may be provided with pressurization flow paths 402_1 and 402_2 for increasing the pressure in the first chamber 200 or the second chamber 300. The pressurization flow paths 402_1 and 402_2 communicate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irst chamber 200 and the second chamber 300, respectively, so that the pressure inside the chamber reaches the outside pressure without a separate power source. The pressure may be increased. A control valve 403_1 may be provided in the pressure passages 402_1 and 402_2. The control valve 403_1 may be the manual valve or the automatic valve like the pressure control valve 401_3.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콩 가공 장치(10)의 개략도이다.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ffee bean process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제 1 챔버(200)의 내부에는 커피 콩(100)의 로스팅 공정이나 함침을 위한 내부 장치, 예를 들면, 로스팅 드럼(102_1)이 제공될 수 있다. 로스팅 드럼(102_1)은 드럼(102)의 내외부를 연통하는 한 개 이상의 개구부(미도시)를 가지고 있어 첨가물이 드럼 내부로 유입 또는 유출되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로스팅 드럼(102_1)은 로스팅 드럼(102_1)의 중심을 관통하는 축과 결합한 회전 모터(102_3)가 더 제공될 수 있다. 회전 모터(102_3)는 드럼 내부의 로스팅 과정에서 열이 커피 콩의 표면에 균등히 가해지도록 드럼 내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가해주는 역할을 한다. Referring to FIG. 2, an internal device for the roasting process or impregnation of coffee beans 100, for example, a roasting drum 102_1, may be provided inside the first chamber 200. The roasting drum 102_1 has one or more openings (not shown) communicating inside and outside the drum 102, and thus may serve as a passage through which additives flow into or out of the drum. The roasting drum 102_1 may further be provided with a rotation motor 102_3 coupled with an axis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roasting drum 102_1. The rotation motor 102_3 serves to apply a rotational force to rotate the inside of the drum so that heat is evenly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coffee beans during the roasting process inside the drum.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커피 콩 가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콩 가공 방법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부 단계들이 생략하여 실시될 수 있다.3 and 4 are flow charts of a coffee bean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ffee bean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later, and some steps may be omitted in other embodiments.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콩 가공 방법은,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챔버(200) 내에 커피 콩을 투입하는 제 1 공급 단계(S101), 상기 커피 콩(100)에 함침될 첨가물(105)을 제 2 챔버(300) 내에 투입하는 제 2 공급 단계(S102), 상기 제 1 챔버(200)의 내부 압력을 상기 제 2 챔버(300)의 내부 압력 보다 작도록 상기 제 1 챔버(200)를 감압시키는 제 1 감압 단계(S103), 상기 제 1 챔버(200)와 상기 제 2 챔버를 연통시키는 전달 조절 유로(106_1)에 결합된 전달 조절 밸브(도 1a의 106)를 개방하여, 도 1b에 도시된 것과 상기 전달 조절 유로(106_1)를 통하여 상기 제 2 챔버(300) 내의 상기 첨가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제 1 챔버(200)로 전달하는 전달 단계(S104), 상기 전달 조절 밸브를 폐쇄하는 전달 차단 단계(S105), 상기 제 1 챔버(200) 내에서, 전달된 상기 첨가물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커피 콩(100)의 기공 내에 함침되는 함침 단계(S106), 및 상기 전달 조절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제 1 챔버(200) 내의 상기 함침 후 잔류하는 상기 첨가물을 상기 제 2 챔버로 회수하는 회수 단계(S107)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달 차단 단계(S105) 및 상기 회수 단계(S107)를 생략하여 실시할 수 있다.3, a coffee bean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pply step (S101) of injecting coffee beans into the first chamber 200, as shown in FIG. 1A, and the coffee The second supply step (S102) of introducing the additive 105 to be impregnated into the beans 100 into the second chamber 300 (S102),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irst chamber 200 i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second chamber 300 A first decompression step (S103) of depressurizing the first chamber 200 to be smaller than that, a transfer control valve coupled to a transfer control flow path 106_1 communicating the first chamber 200 and the second chamber (Fig. A delivery step of opening 106 of 1a to transfer all or part of the additive in the second chamber 300 to the first chamber 200 through the delivery control flow path 106_1 as shown in FIG. 1B (S104), a delivery blocking step of closing the delivery control valve (S105), an impregnation step in which all or part of the delivered additive is impregnated in the pores of the coffee bean 100 in the first chamber 200 (S106), and a recovery step (S107) of opening the transfer control valve to recover the additive remaining after the impregnation in the first chamber 200 to the second chamber. In another embodiment, the delivery blocking step (S105) and the collection step (S107) may be omitted.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콩 가공 방법은, 도 1c와 함께 참조하면, 제 1 챔버(200) 내에 커피 콩(100)을 투입하는 제 1 공급 단계(S201), 상기 커피 콩(100)에 함침될 첨가물(105), 바람직하게는 액상의 첨가물과 함께 고체 상태의 승화성 물질(103)을 제 2 챔버(300) 내에 투입하는 제 2 공급 단계(S202), 상기 제 2 챔버(300)에서 상기 승화성 물질(103)이 기체 상태로 승화하면서 상기 첨가물(105)이 에어로졸화하는 에어로졸화 단계(S203), 상기 제 1 챔버(200)의 내부 압력을 상기 제 2 챔버(300)의 내부 압력보다 작도록 상기 제 1 챔버(200)를 감압시키는 제 1 감압 단계(S204), 상기 제 1 챔버(200)와 상기 제 2 챔버(300)를 연통시키는 전달 조절 유로(106_1)에 결합된 전달 조절 밸브(106)를 개방하여, 도 1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전달 조절 유로(106_1)를 통하여 상기 제 2 챔버(300) 내의 상기 에어로졸화된 첨가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제 1 챔버(200)로 전달하는 전달 단계(S205), 상기 전달 조절 밸브(106)를 폐쇄하는 전달 차단 단계(S206), 상기 제 1 챔버(200) 내에서, 전달된 상기 에어로졸화된 첨가물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커피 콩의 기공 내에 함침되는 함침 단계(S207)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태로 제 1 챔버(200)로 전달된 첨가물은 그 양이 적기 때문에 재활용을 위해 회수될 필요가 적다. 그렇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전달 조절 밸브(106)를 개방하여, 상기 제 1 챔버(200) 내의 상기 함침 후 잔류 에어로졸화된 첨가물을 상기 제 2 챔버(300)로 회수하는 회수 단계(S208)가 수행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달 차단 단계(S206)를 생략하여 실시할 수 있다.4, a coffee bean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C, a first supply step (S201) of injecting the coffee beans 100 into the first chamber 200, A second supply step (S202) of injecting a solid sublimable material 103 together with an additive 105 to be impregnated into the coffee bean 100, preferably a liquid additive, into the second chamber 300, the An aerosolization step (S203) in which the additive 105 is aerosolized while the sublimable material 103 sublimates to a gaseous state in the second chamber 300, and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irst chamber 200 A first decompression step (S204) of depressurizing the first chamber 200 so as to be less tha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hamber 300, and a transfer control passage communicating the first chamber 200 and the second chamber 300 ( By opening the delivery control valve 106 coupled to 106_1), as shown in FIG. 1D, all or part of the aerosolized additive in the second chamber 300 through the delivery control flow path 106_1 A delivery step (S205) of transferring to the first chamber 200, a delivery blocking step (S206) of closing the delivery control valve 106, the aerosolized additive delivered in the first chamber 200 It may include an impregnation step (S207) in which all or a part of is impregnated into the pores of the coffee bean. Since the amount of the additive delivered to the first chamber 200 in the form of an aerosol is small, it is less necessary to be recovered for recycling. 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a recovery step of opening the delivery control valve 106 to recover the residual aerosolized additive in the first chamber 200 after the impregnation into the second chamber 300 (S208) May be performed. In another embodiment, the transfer blocking step (S206) may be omitted.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기의 제 1 공급 단계(S101, S202)는 제 2 공급 단계(S102, S202)에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제 2 공급 단계(S102, S202)와 동시에 수행되거나, 또는 제 2 공급 단계(S102, S202)에 이어 후행될 수도 있다. 제 1 공급 단계(S101, S201) 및 제 2 공급 단계(S102, S202)는 전달 조절 밸브(도 1의 106)를 폐쇄하여 챔버 간 물질 이동을 차단한 상태에서 진행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the first supply step (S101, S202) does not necessarily precede the second supply step (S102, S202), and the second supply step (S102, It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S202), or may be followed by the second supplying steps S102 and S202. The first supplying steps S101 and S201 and the second supplying steps S102 and S202 may be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transfer control valve 106 of FIG. 1 is closed to block material movement between chambers.

커피 콩(100)은 커피 생두일 수도 있고, 1차 이상의 로스팅이 진행된 커피 콩일 수 있다. 함침 및 첨가물의 회수를 포함하는 일련의 커피 콩 가공 단계가 완료된 후 추가적으로 로스팅이 진행될 수 있으며, 특히 커피 콩 가공 장치(10)의 제 1 챔버 내에 로스팅 드럼(도 1d의 102_1)이 배치된 경우, 제 1 공급 단계(S101, S201)는 커피 콩을 제 1 챔버(200)내에 투입한 뒤 로스팅 드럼(102_1)에서 로스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ffee beans 100 may be green coffee beans or coffee beans that have been roasted more than once. After a series of coffee bean processing steps including impregnation and recovery of additives are completed, additional roasting may be performed, and in particular, when a roasting drum (102_1 in FIG. 1D) is disposed in the first chamber of the coffee bean processing apparatus 10, The first supplying steps S101 and S201 may include inserting coffee beans into the first chamber 200 and then roasting them in the roasting drum 102_1.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입 시 첨가물(105)의 물리적 상태는 기체, 액체, 고체 또는 이 중 적어도 둘 이상이 포함된 혼합상일 수 있다. 고체의 첨가물(105)은 챔버 내 또는 챔버 간 이동이 용이한 나노 파우더 형상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hysical state of the additive 105 upon injection may be a gas, a liquid, a solid, or a mixed phase including at least two or more of them. The solid additive 105 may have a nano-powder shape that facilitates movement within or between chambers.

첨가물(105)의 상태 변환을 위해서 고체 상태의 승화성 물질(도 1c의 103)이 투입될 수 있다. 승화성 물질(103)은 도 4에 도시된 에어로졸화 단계(S203)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된다. 승화성 물질(103)은 삼중점의 압력 조건이 1기압(760 Torr)보다 높아서 1기압 이하의 조건에서 고체에서 기체로 상태 변환되는 물질을 말한다. 특히 승화성 물질(103)로서 드라이 아이스가 이용될 수 있다. 드라이 아이스의 경우 물질의 화학적 안정성이 높아 첨가물 및 커피 콩과 반응하지 않아 반응 과정에서 예측하기 어려운 변질 현상을 막을 수 있으며, 이산화탄소는 식품에 잔존하더라도 무방한 물질인 동시에 함침 공정 이후 기체 상태로 남아 제거가 어렵지 않으므로 함침 공정에 사용되기 적합하다.In order to change the state of the additive 105, a sublimable material in a solid state (103 in FIG. 1C) may be added. The sublimable material 103 is required to perform the aerosolization step S203 shown in FIG. 4. The sublimable material 103 refers to a material that converts a state from solid to gas under a condition of 1 atmosphere or less because the pressure condition of the triple point is higher than 1 atmosphere (760 Torr). In particular, dry ice may be used as the sublimable material 103. In the case of dry ice, since it does not react with additives and coffee beans due to its high chemical stability, it can prevent deterioration that is difficult to predict during the reaction process, and carbon dioxide remains in a gaseous state after the impregnation process. Is not difficult, so it is suitable for use in the impregnation process.

에어로졸화 단계(S203)에서는 도 1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승화성 물질(103)이 승화열을 흡수하여 기체 상태로 승화하면서, 첨가물(105)로부터 열을 빼앗아 급속 냉각함으로써 첨가물(105)이 에어로졸화된다. 에어로졸은 기체 속에서 고체 또는 액체의 작은 방울이 분산된 연무질의 계를 말한다.In the aerosolization step (S203), the sublimable material 103 absorbs the heat of sublimation and sublimates it into a gaseous state as shown in FIG. 1C, while taking heat from the additive 105 and rapidly cooling the additive 105 to aerosolize the additive 105. . Aerosol refers to an aerosol system in which small droplets of solid or liquid are dispersed in a gas.

상기 에어로졸화 단계에서 상기 제 2 챔버(300)는 비가열 상태 또는 단열 상태에서 반응이 진행될 수 있다. 에어로졸화한 첨가물(105_1)은 제 1 챔버(200)로 용이하게 전달가능한 상태로 변화하기 위해 열이 첨가되는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므로, 비가열 상태 또는 단열 상태에서 에어로졸화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챔버(300) 내의 첨가물이 고온에 노출됨으로써 본래의 물질 구조 또는 기능이 변질되거나 특유의 맛 또는 향을 잃을 가능성이 낮아지거나 소멸될 수 있다.In the aerosolization step, the second chamber 300 may react in an unheated state or an adiabatic state. Since the aerosolized additive 105_1 does not need to undergo a process of adding heat to change to a state that can be easily transferred to the first chamber 200, it may be aerosolized in an unheated state or an adiabatic state. In this case, as the additives in the second chamber 300 are exposed to high temperatures, the possibility of deteriorating the original material structure or function or losing a characteristic taste or aroma may decrease or disappear.

승화성 물질(103)이 드라이 아이스인 경우, CO2의 증기압 곡선에 따를 때, 제 2 챔버(300)의 상온의 대기압 조건에서 영하 40 ℃의 드라이 아이스가 승화하여 기체 상태인 이산화탄소가 대량으로 발생한다. 드라이 아이스가 이산화탄소로 승화하는 과정에서 주위에서 얻는 승화열 및 이산화탄소와 첨가물(105)과의 온도차로 인해, 제 2 챔버(300) 내 첨가물(105)은 기체 상태의 이산화탄소 버블 및 상기 버블의 폭발에 의해 에어로졸화될 수 있다.When the sublimable material 103 is dry ice, when the vapor pressure curve of CO 2 is followed, dry ice at -40° C. sublimates under atmospheric pressure conditions at room temperature in the second chamber 300 to generate a large amount of gaseous carbon dioxide. do. Due to the heat of sublimation obtained from the surroundings during the sublimation of dry ice to carbon dioxide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carbon dioxide and the additive 105, the additive 105 in the second chamber 300 is caused by gaseous carbon dioxide bubbles and explosions of the bubbles. Can be aerosolized.

제 1 감압 단계(S103, S204)에서는 제 1 챔버(200)를 대기압 이하의 저압 상태로 변환하는 감압 과정을 통해 커피 콩(100)의 기공을 개방한다. 압력 조절 밸브(401_3)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 1 챔버(200)과 연통된 압력 조절 유로(401_1)를 통해 압력 조절 펌프(401)의 감압 구동이 수행됨으로써 제 1 챔버(200)의 감압이 이루어진다. 상기의 제 1 감압 단계(S202)는 에어로졸화 단계(S203)에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에어로졸화 단계(S203)와 동시에 수행되거나, 또는 에어로졸화 단계(S203)에 이어 후행될 수도 있다.In the first decompression step (S103, S204), the pores of the coffee bean 100 are opened through a decompression process of converting the first chamber 200 into a low pressure state below atmospheric pressure. When the pressure control valve 401_3 is open, the pressure control pump 401 is depressurized through the pressure control flow path 401_1 communicated with the first chamber 200, thereby reducing the pressure reduction of the first chamber 200. Done. The first decompression step (S202) is not necessarily preceded by the aerosolization step (S203), and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aerosolization step (S203), or may be followed by the aerosolization step (S203).

대기압 환경에서 커피 콩(100_2)은 내부 기공이 닫혀 있는 상태이다. 저압 상태로 변환될 경우, 커피 콩(100) 내부의 닫힌 기공 내 잔존하던 물질의 일부가 기화 또는 승화하여 저압 환경으로 빠져나오는 과정에서 커피 콩(100)의 표면에서 개구를 갖는 개방된 기공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를 때, 1 Torr 내지 760 Torr 범위의 저진공에서 1 Torr 이하의 중진공 또는 고진공까지 저압의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커피 콩(100) 표면 내외부의 압력차에 따라 기공이 열리는 정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공이 열리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함침되는 첨가물(105)의 함침 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 1 감압 단계(S103, S204)의 저압 환경은 1 Torr 내지 760 Torr 범위의 저진공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저진공 상태를 조성하는 것은 중진공 또는 고진공 상태를 조성하는 것에 비해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고 비용이 저렴하다.In the atmospheric pressure environment, the coffee bean 100_2 is in a state in which the internal pores are closed. When converted to a low pressure state, open pores having an opening in the surface of the coffee bean 100 are formed in the process of evaporating or sublimating a part of the material remaining in the closed pores inside the coffee bean 100 to escape to the low pressure environment. do. According to an embodiment, by adjusting the degree of low pressure from a low vacuum in the range of 1 Torr to 760 Torr to a medium vacuum or high vacuum of 1 Torr or less,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pores according to the pressure difference inside and outside the surface of the coffee bean 100 is controlled. It is possible. By controlling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pores, the amount of impregnation of the impregnated additive 105 can be controlled. In particular, the low pressure environment in the first decompression steps S103 and S204 may be in a low vacuum state in the range of 1 Torr to 760 Torr. The formation of the low vacuum state can be implemented more easily and the cost is low compared to the formation of the medium vacuum or high vacuum state.

전달 단계(S104, S205)에서는 제 1 챔버(200)와 제 2 챔버(300) 사이를 연결하는 전달 조절 밸브(도 1의 106)를 개방하여, 제 1 챔버(200)와 제 2 챔버(300)를 연통하는 전달 조절 유로(도 1의 106_1)를 통해 첨가물(105)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 1 챔버(200)로 전달한다.In the delivery steps (S104, S205), a delivery control valve (106 in FIG. 1)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chamber 200 and the second chamber 300 is opened, and the first chamber 200 and the second chamber 300 are opened. All or part of the additive 105 is delivered to the first chamber 200 through a delivery control flow path (106_1 in FIG. 1)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감압 단계(S103, S204)에서 제 1 챔버(200)가 저압 상태로 변환되었으며 제 2 챔버는 대기압과 동일한 1기압(760 Torr) 상태거나, 승화성 물질이 투입된 경우에는, 승화로 발생한 기체에 의한 증기압이 더해져 1기압(760 Torr) 이상의 기압을 가지는 상태이다. 상기 기압차로 인해 제 1 챔버와 제 2 챔버를 연결하는 통로에 위치한 전달 조절 밸브(106)를 개방하면 상대적으로 고압 상태인 제 2 챔버(300)에서 상대적으로 저압 상태인 제 1 챔버(200)를 향해 기체가 유입된다. 이 때, 첨가물의 상태는 기체, 액체, 또는 입자가 가는 분말 상태일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에어로졸화 단계(S203)를 거치지 않은 액체 상태의 첨가물은 제 2 챔버 및 제 1 챔버 간 수면 높이 차이로 인한 자체 압력에 더해, 제 1 챔버를 향하는 기체 흐름의 영향을 받아 제 1 챔버로 전달되며, 도 1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에어로졸화 단계(S203)를 거친 첨가물은 기체 상태의 승화성 물질과 함께 에어로졸화 상태로 유입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chamber 200 is converted to a low pressure state in the first decompression step (S103, S204), and the second chamber is in a state of 1 atmosphere (760 Torr) equal to atmospheric pressure, or a sublimable material is introduced, Vapor pressure due to the gas generated by sublimation is added to the state to have an atmospheric pressure of 1 atmosphere (760 Torr) or more. When the delivery control valve 106 located in the passage connecting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is opened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the first chamber 200 in a relatively low pressure state is opened from the second chamber 300 in a relatively high pressure state. Gas flows into it. In this case, the state of the additive may be a gas, a liquid, or a fine powder state. As shown in FIG. 1B, the liquid additive without the aerosolization step (S203) has an influence of the gas flow toward the first chamber in addition to its own pressure due to the difference in water level between the second chamber and the first chamber. It is received and transferred to the first chamber, and as shown in FIG. 1D, the additiv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aerosolization step (S203) is introduced into an aerosolized state together with a gaseous sublimable material.

전달 단계(S104, S205)는 제 1 챔버(200)에 결합된 건조 장치(206)에 의해 수행되는, 제 1 챔버(200) 내부의 습기를 제거함으로써 제 1 챔버와 제 2 챔버의 압력 차 감소를 방지하여 첨가물(105)이 제 1 챔버로 이동하는 것을 촉진하기 위한 건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livery steps (S104, S205) are performed by the drying device 206 coupled to the first chamber 200, thereby reduc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by removing moisture inside the first chamber 200. And a drying step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additive 105 to the first chamber.

전달 차단 단계(S105, S206)에서는 제 2 챔버(300)로의 첨가물(105) 유입이 끝난 다음, 전달 조절 밸브(도 1a의 106)를 폐쇄하여 제 1 챔버(200)에서 다시 제 2 챔버(300)로 승화성 물질 및 첨가물(105_1)이 확산되지 못하도록 흐름을 차단한다. 제 1 챔버(200)내 첨가물의 농도가 저하되어 함침의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In the delivery blocking steps (S105, S206), after the inflow of the additive 105 into the second chamber 300 is finished, the delivery control valve (106 in FIG. 1A) is closed, and the second chamber 300 is again in the first chamber 200. Block the flow to prevent diffusion of the sublimable material and additive 105_1 to ). This is to prevent impregnation efficiency from decreasing due to a de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the additive in the first chamber 200.

함침 단계(S106, S207)에서는 상기 제 1 챔버(200)로 전달된 첨가물(105)이 커피 콩(100)의 개방된 기공으로 함침된다. 첨가물(105)은 제 1 챔버(200)내에 위치한 커피 콩의 개방된 기공 내로 이동한다. 첨가물(105)이 액체인 경우, 모세관압에 의해 기공 내로 이동하며, 첨가물(105)이 기체 또는 분말인 경우, 확산에 의해 기공 내로 이동한다. 기공 내부로 이동한 다음 첨가물(105)의 일부는 기공 벽에 흡착되며 흡착되지 않은 나머지는 다시 기공 밖으로 유출된다. 함침 단계(S106, S207)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수록 기공 내로 첨가물(105)의 침투 횟수 및 흡착 횟수가 증가한다. 상기 승화성 물질(103)을 이용하여 첨가물(105)을 에어로졸화하여 제 1 챔버(200)로 전달하는 경우, 커피 콩(100)의 기공 내로 에어로졸화된 첨가물의 함침은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액상의 첨가물만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첨가물의 소모량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회수 단계를 생략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In the impregnation steps S106 and S207, the additive 105 delivered to the first chamber 200 is impregnated into the open pores of the coffee bean 100. The additive 105 moves into the open pores of the coffee beans located in the first chamber 200. When the additive 105 is a liquid, it moves into the pores by capillary pressure, and when the additive 105 is a gas or powder, it moves into the pores by diffusion. After moving into the pores, some of the additives 105 are adsorbed to the pore walls, and the remaining unadsorbed flows out of the pores again. As the time required for the impregnation steps S106 and S207 increases, the number of times of penetration and adsorption of the additive 105 into the pores increases. When the additive 105 is aerosolized using the sublimable material 103 and transferred to the first chamber 200, impregnation of the aerosolized additive into the pores of the coffee bean 100 may be more easily performed. In addition, compared to the case of using only the liquid additive, the consumption amount of the additive can be reduced, and there is also an advantage in that the recovery step can be omitted.

함침 단계(S106, S207)는 제 1 챔버(200)에 결합된 제 1 온도 조절 장치(도 1의 201) 에 의해 수행되는, 제 1 챔버(200) 내의 기공 내 첨가물(105)의 흡착 및 건조를 촉진하는 가열단계 및 상기 흡착이 완료된 후 초기 온도 상태로 복원하는 냉각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impregnation step (S106, S207) is performed by a first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1 in FIG. 1) coupled to the first chamber 200, and adsorption and drying of the additive 105 in the pores in the first chamber 200 It may include a heating step that promotes and a cooling step of restoring to an initial temperature state after the adsorption is completed.

회수 단계(S107, S208)에서는 전달 조절 밸브(106)를 개방하여, 상기 제 1 챔버 내 일어난 상기 함침 후 잔류하는 상기 첨가물을 전달 조절 유로(106_1)를 통해 상기 제 2 챔버로 회수한다. 회수된 첨가물은 일련의 가공 단계들을 포함하는 하나의 공정 사이클이 완료된 후, 반복되는 다음 공정 사이클에서 재사용될 수 있다. 승화성 물질(104)을 사용하여 에어로졸화 단계(S203)를 거친 경우에는, 제 1 챔버에 잔존하는 첨가물(105_1) 및 이산화탄소는 제 1 챔버(300) 밖으로 용이하게 제거가 가능하며, 챔버의 내벽에 쉽게 부착되지 않으므로 별도의 세척이 필요하지 않다.In the recovery steps S107 and S208, the transfer control valve 106 is opened to recover the additive remaining after the impregnation occurring in the first chamber to the second chamber through the transfer control flow path 106_1. The recovered additive can be reused in the next repeated process cycle after the completion of one process cycle comprising a series of processing steps. When the aerosolization step (S203) is performed using the sublimable material 104, the additive 105_1 and carbon dioxide remaining in the first chamber can be easily removed outside the first chamber 300, and the inner wall of the chamber It is not easily attached to the product, so separate cleaning is not required.

회수 단계(S107, S208)은 압력 조절 펌프(401)의 감압 작용을 이용하여 제 2 챔버(300)을 저압 상태로 변환하는 제 2 감압 단계(S107_1, S208_1)를 포함할 수 있다. 저압 상태는 제 1 챔버(200)보다 낮은 기압 상태를 말한다. 제 2 챔버(300)를 저압 상태로 하여 제 1 챔버(200) 내에 미처 함침되지 못하고 잔존하는 첨가물이 반환 가능하게 된다. 제 2 진공 상태(304)는 1 Torr 내지 760 Torr 범위의 저진공 상태일 수 있다. 제 2 감압 단계(S107_1, S208_1)의 감압 작용은 제 1 감압 단계(S103, S204)의 감압 작용과 서로 독립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The recovery steps S107 and S208 may include a second decompression step S107_1 and S208_1 of converting the second chamber 300 into a low pressure state by using the decompression action of the pressure regulating pump 401. The low pressure state refers to an atmospheric pressure state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chamber 200. By setting the second chamber 300 to a low pressure state, the additives remaining without being impregnated in the first chamber 200 can be returned. The second vacuum state 304 may be a low vacuum state in the range of 1 Torr to 760 Torr. The decompression action of the second decompression steps S107_1 and S208_1 may occur independently from the decompression action of the first decompression steps S103 and S204.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obvious to those who have knowledge.

10: 커피 콩 가공 장치
100: 커피 콩
102: 반응부
102_1: 로스팅 드럼
102_3: 회전 모터
103: 승화성 물질
105: 첨가물
105_1: 에어로졸화한 첨가물
106: 전달 조절 밸브
106_1: 전달 조절 유로
200: 제 1 챔버
201: 제 1 온도 조절 장치
206: 건조 장치
207: 커피 콩 공급 장치
208: 물질 공급 장치
300: 제 2 챔버
301: 제 2 온도 조절 장치
401: 압력 조절 펌프
401_1: 압력 조절 유로
401_3: 압력 조절 밸브
402: 가압 유로
402_1: 제 1 가압 유로
402_2: 제 2 가압 유로
403_1: 가압 밸브
10: coffee bean processing device
100: coffee beans
102: reaction part
102_1: roasting drum
102_3: rotary motor
103: sublimable material
105: additive
105_1: aerosolized additive
106: transmission control valve
106_1: Transmission control flow path
200: first chamber
201: first thermostat
206: drying device
207: coffee bean supply device
208: material supply device
300: second chamber
301: second temperature control device
401: pressure regulating pump
401_1: Pressure regulating flow path
401_3: pressure regulating valve
402: pressure flow path
402_1: first pressurization flow path
402_2: second pressurization flow path
403_1: pressure valve

Claims (18)

제 1 챔버 내에 커피 콩을 투입하는 제 1 공급 단계;
상기 커피 콩에 함침될 첨가물을 상기 제 2 챔버 내에 투입하는 제 2 공급 단계;
상기 제 1 챔버의 내부 압력을 상기 제 2 챔버의 내부 압력보다 작도록 상기 제 1 챔버를 감압시키는 제 1 감압 단계;
상기 제 1 챔버와 상기 제 2 챔버를 연통시키는 전달 조절 유로에 결합된 전달 조절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전달 조절 유로를 통하여 상기 제 2 챔버 내의 상기 첨가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제 1 챔버로 전달하는 전달 단계; 및
상기 제 1 챔버 내에서, 상기 전달된 적어도 일부의 첨가물이 상기 커피 콩의 기공 내에 함침되는 함침 단계를 포함하는 커피 콩 가공 방법.
A first supply step of injecting coffee beans into the first chamber;
A second supply step of introducing an additive to be impregnated into the coffee beans into the second chamber;
A first decompression step of depressurizing the first chamber such that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irst chamber is less tha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second chamber;
Opening a transfer control valve coupled to a transfer control flow path that communicates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to transfer all or part of the additive in the second chamber to the first chamber through the transfer control flow path. Delivery step; And
In the first chamber, a coffee bean processing method comprising an impregnation step in which the delivered at least part of the additive is impregnated into the pores of the coffee bean.
제 1 챔버 내에 커피 콩을 투입하는 제 1 공급 단계;
상기 커피 콩에 함침될 첨가물과 고체 상태의 승화성 물질을 상기 제 2 챔버 내에 투입하는 제 2 공급 단계;
상기 제 2 챔버에서 상기 승화성 물질이 기체 상태로 승화하면서, 상기 첨가물이 에어로졸화하는 에어로졸화 단계;
상기 제 1 챔버의 내부 압력을 상기 제 2 챔버의 내부 압력보다 작도록 상기 제 1 챔버를 감압시키는 제 1 감압 단계;
상기 제 1 챔버와 상기 제 2 챔버를 연통시키는 전달 조절 유로에 결합된 전달 조절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전달 조절 유로를 통하여 상기 제 2 챔버 내의 상기 에어로졸화된 첨가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제 1 챔버로 전달하는 전달 단계; 및
상기 제 1 챔버 내에서, 상기 적어도 일부의 에어로졸화한 첨가물이 상기 커피 콩의 기공 내에 함침되는 함침 단계를 포함하는 커피 콩 가공 방법.
A first supply step of injecting coffee beans into the first chamber;
A second supply step of introducing an additive to be impregnated into the coffee beans and a sublimable material in a solid state into the second chamber;
An aerosolization step of sublimating the sublimable material into a gaseous state in the second chamber and causing the additive to aerosolize;
A first decompression step of depressurizing the first chamber such that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irst chamber is less tha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second chamber;
By opening a delivery control valve coupled to a delivery control flow path that communicates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all or part of the aerosolized additive in the second chamber is transferred to the first chamber through the delivery control flow path. A delivery step of delivering to; And
In the first chamber, a coffee bean processing method comprising an impregnation step in which the at least a portion of the aerosolized additive is impregnated into the pores of the coffee bea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 콩은 생두 또는 로스팅된 커피 콩인 커피 콩 가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offee beans are green or roasted coffee bean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조절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제 1 챔버 내의 상기 함침 후 잔류하는 상기 첨가물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전달 조절 유로를 통하여 상기 제 2 챔버로 회수하는 회수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수 단계는, 상기 제 2 챔버의 내부 압력을 상기 제 1 챔버의 내부 압력보다 작도록 상기 제 2 챔버를 감압시키는 제 2 감압 단계를 포함하는 커피 콩 가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recovery step of opening the transfer control valve to recover at least a part of the additive remaining after the impregnation in the first chamber to the second chamber through the transfer control flow path,
The recovery step includes a second decompression step of depressurizing the second chamber so that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second chamber is less tha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irst chamb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감압 단계는, 상기 커피 콩 내부에, 상기 제 1 챔버의 내부 압력에 의해 상기 커피 콩의 표면에서 개구를 갖는 개방된 기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피 콩 가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irst depressurization step includes forming an open pore having an opening in the surface of the coffee bean by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irst chamber in the coffee bea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화성 물질은 드라이 아이스인 커피 콩 가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sublimable material is dry ice coffee bean processing method.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물의 일부 또는 전부는 나노파우더 형태인 커피 콩 가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Some or all of the additives are in the form of nano-powder coffee beans processing method.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단계는 상기 첨가물이 제 1 챔버로 이동하는 것을 촉진하기 위한 건조 단계를 포함하는 커피 콩 가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transferring step comprises a drying step to facilitate the transfer of the additive to the first chamb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 단계는 상기 커피 콩의 상기 기공 내로 상기 첨가물이 함침되는 것을 촉진하기 위한 가열 단계를 포함하는 커피 콩 가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impregnation step includes a heating step for promoting impregnation of the additive into the pores of the coffee bea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화 단계에서 상기 제 2 챔버는 비가열되거나 단열되는 커피 콩 가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aerosolization step, the second chamber is unheated or insulated coffee bean processing method.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물은, 향신료, 건강 보조 식품 또는 강화제를 포함하는 커피 콩 가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additive is a coffee bean processing method comprising a spice, a dietary supplement or a fortifying agent.
가공될 커피 콩을 수용하는 제 1 챔버;
상기 커피 콩에 함침될 첨가물을 수용하는 제 2 챔버;
상기 제 1 챔버와 상기 제 2 챔버를 연통시키는 전달 조절 유로에 결합된 전달 조절 밸브; 및
상기 제 1 챔버 및 상기 제 2 챔버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연통되며, 상기 제 1 챔버 및 상기 제 2 챔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압시키는 압력 조절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전달 조절 밸브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압력 조절 펌프에 의해, 상기 제 1 챔버의 압력을 상기 제 2 챔버의 압력보다 감압하고, 상기 전달 조절 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제 2 챔버로부터 상기 제 1 챔버로 상기 첨가물을 유입시켜 상기 커피 콩에 상기 첨가물을 함침하는 커피 콩 가공 장치.
A first chamber for receiving coffee beans to be processed;
A second chamber for accommodating an additive to be impregnated into the coffee beans;
A transfer control valve coupled to a transfer control flow path communicating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And
A pressure regulating pump communicating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and depressuriz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In a state in which the transfer control valve is closed, the pressure control pump reduces the pressure in the first chamber than the pressure in the second chamber, and opens the transfer control valve to open the first chamber from the second chamber. A coffee bean processing device for impregnating the coffee bean with the additive by introducing the additive into the furnac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물은 액상인 커피 콩 가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additive is a liquid coffee bean processing devic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물은 승화성 물질과 함께 제공되는 커피 콩 가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The coffee bean process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additive is a sublimable material.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챔버 내에 상기 커피 콩을 로스팅하기 위한 로스팅 드럼을 더 포함하는 커피 콩 가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Coffee bean process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roasting drum for roasting the coffee beans in the first chamber.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절 펌프는 상기 제 1 챔버 및 상기 제 2 챔버와 서로 다른 상기 압력 조절 밸브로 각각 연통되고, 각각의 상기 압력 조절 밸브의 개방이 독립적으로 일어남으로써 상기 제 1 챔버 또는 상기 제 2 챔버의 감압이 독립적으로 발생하는 커피 콩 가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pressure control pump communicates with each of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to different pressure control valves, and the pressure control valve is independently opened, thereby depressurizing the first chamber or the second chamber. This independently occurs coffee bean processing devic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물은, 향신료, 건강 보조 식품 또는 강화제를 포함하는 커피 콩 가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additive is a coffee bean processing apparatus containing a spice, a dietary supplement or a strengthening agent.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조절 밸브 또는 상기 압력 조절 밸브는 게이트(Gate) 밸브, 글로브(Globe) 밸브, 앵글(Angle) 밸브, 니들(Needle) 밸브, 볼(Ball) 밸브, 버터플라이(Butterfly) 밸브. 다이아프램(Diaphragm) 밸브, 전동식(Electric motor) 밸브, 공기식(Pneumatic) 밸브, 유압식(Hydraulic) 밸브, 또는 자기식(Solenoid) 밸브 중 하나인 커피 콩 가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transfer control valve or the pressure control valve may be a gate valve, a globe valve, an angle valve, a needle valve, a ball valve, a butterfly valve. A coffee bean processing device that is one of a diaphragm valve, an electric motor valve, a pneumatic valve, a hydraulic valve, or a solenoid valve.
KR1020190038046A 2019-04-01 2019-04-01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of Coffee Beans KR1022033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046A KR102203382B1 (en) 2019-04-01 2019-04-01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of Coffee Bea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046A KR102203382B1 (en) 2019-04-01 2019-04-01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of Coffee Bea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356A true KR20200116356A (en) 2020-10-12
KR102203382B1 KR102203382B1 (en) 2021-01-14

Family

ID=72886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8046A KR102203382B1 (en) 2019-04-01 2019-04-01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of Coffee Bea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382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035B1 (en) * 2021-02-22 2021-09-10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에스아이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coffee bean for flavor enhancement
WO2022080796A1 (en) * 2020-10-13 2022-04-21 주식회사 애드스윗 Food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njecting additives into food using vacuum
WO2022103389A1 (en) * 2020-11-11 2022-05-19 Yadegar Bijan B Method for refreshing roasted coffee
CN114600998A (en) * 2022-04-01 2022-06-10 德宏芸茶屋咖啡有限公司 Coffee primary processing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0892A (en) * 2006-05-15 2007-11-22 Miura Co Ltd Flavoring device
KR20110015954A (en) * 2009-08-10 2011-02-17 김춘자 Coffee bean containing hovenia dulcis extra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functional coffe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functional coffee using the same
KR20150006190A (en) * 2013-07-08 2015-01-16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manufacturing rice containing functional nutrien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0892A (en) * 2006-05-15 2007-11-22 Miura Co Ltd Flavoring device
KR20110015954A (en) * 2009-08-10 2011-02-17 김춘자 Coffee bean containing hovenia dulcis extra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functional coffe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functional coffee using the same
KR20150006190A (en) * 2013-07-08 2015-01-16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manufacturing rice containing functional nutrient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0796A1 (en) * 2020-10-13 2022-04-21 주식회사 애드스윗 Food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njecting additives into food using vacuum
WO2022103389A1 (en) * 2020-11-11 2022-05-19 Yadegar Bijan B Method for refreshing roasted coffee
KR102301035B1 (en) * 2021-02-22 2021-09-10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에스아이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coffee bean for flavor enhancement
CN114600998A (en) * 2022-04-01 2022-06-10 德宏芸茶屋咖啡有限公司 Coffee primary process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3382B1 (en) 202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338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of Coffee Beans
TWI660677B (en) Beverages with enhanced flavors and aromas and method of making same
EP2575488B1 (en) A process of preparation of tea
JP2013542740A (en) Products with improved foaming properties
KR20190006632A (en) Coffee roasting method and roasted coffee thereby
US2097591A (en) Method of treating green coffee berries
RU2362312C1 (en) Preparation method of flavoured coffee
RU2364184C1 (en) Flavoured coffee production method
RU2363226C1 (en) Flavoured fried coffee production method
JPS5886043A (en) Production of gaseous aromatic component frost of coffee grinder
RU2363225C1 (en) Flavoured fried coffee production method
KR20230075740A (en) How to roast coffee to enhance the flavor of coffee
RU2366256C1 (en) Flavoured ground coffee production method
RU2363227C1 (en) Flavoured ground coffee production method
RU2364187C1 (en) Flavoured ground coffee production method
RU2362520C1 (en) Production method of flavoured roasted coffee
RU2363224C1 (en) Flavoured ground coffee production method
RU2364174C1 (en) Flavoured fried coffee production method
RU2365191C1 (en) Flavoured fried coffee production method
RU2364180C1 (en) Flavoured ground coffee production method
Ohtani et al. Spray-drying instant coffee product at low temperature
RU2364186C1 (en) Flavoured fried coffee production method
RU2364185C1 (en) Flavoured ground coffee production method
RU2365192C1 (en) Flavoured fried coffee production method
RU2362311C1 (en) Production method of flavoured roasted coffe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