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6201A -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 - Google Patents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6201A
KR20200116201A KR1020190037608A KR20190037608A KR20200116201A KR 20200116201 A KR20200116201 A KR 20200116201A KR 1020190037608 A KR1020190037608 A KR 1020190037608A KR 20190037608 A KR20190037608 A KR 20190037608A KR 20200116201 A KR20200116201 A KR 20200116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ntrol box
connection terminal
cable
cabl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7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3196B1 (ko
Inventor
정연재
황성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7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3196B1/ko
Publication of KR20200116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6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3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3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05K5/001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having an electronic 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69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connector relating features for connecting the connector pins with the PCB or for mounting the connector body with the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5/00Three po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개시된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는, 외부 장치와 연결할 수 있는 별도의 접속 단자를 마련함으로써, 케이스를 파손시키지 않으면서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개시된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는, 측면에 케이블 삽입 홈이 형성되고, 후면에 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개구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와 결합하고,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캡; 및 상기 개구를 통해 외부 장치의 커넥터와 연결되는 접속 단자 및 상기 외부 장치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IN-CABLE CONTROL BOX}
개시된 발명은 전기 자동차의 충전에 사용되는 충전 케이블에 포함되는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휘발유, 경유와 같은 석유연료를 연소시켜 기계적인 동력을 발생시키고 이 기계적인 동력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내연기관 차량(일반 엔진 차량)과, 연비 및 유해 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전기를 동력으로 하여 주행하는 친환경 차량을 포함한다.
친환경 차량은 충전 가능한 전원부인 배터리와 모터를 포함하고 배터리에 축적된 전기로 모터를 회전시키고 모터의 회전을 이용하여 차륜을 구동시키는 전기 차량과, 엔진, 배터리 및 모터를 포함하고 엔진의 기계적인 동력과 모터의 전기적인 동력을 제어하여 주행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을 포함한다. 하이브리드 차량은 외부의 전기와 연결될 수 있는 플러그가 마련되고 외부의 전기와 연결 시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는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 차량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친환경 차량은, 충전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상용 전원을 공급받고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한다.
상용 전원의 콘센트에 충전 케이블의 플러그가 연결되고, 차량의 충전구에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가 연결되면, 차량은 충전 케이블을 통해 상용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러한 충전 케이블에는 상용 전원 공급 및 차단을 위한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IN-CABLE CONTROL BOX, ICCB)가 마련되어 있으며,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의 케이스는 볼트 체결 구조 또는 접합 방식의 융착 구조로 형성된다. 그런데,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의 케이스가 볼트 체결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 케이스의 사이즈, 원가 및 중량이 증가하고, 방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케이스가 융착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 케이스를 쉽게 분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융착 구조의 케이스는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 하고자 할 때 케이스를 파손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케이스를 파손하지 않기 위해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별도의 무선 통신 모듈을 장착하게 되면,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개시된 인-케이스 컨트롤 박스는, 케이스의 파손 없이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수행하기 위해, 외부 장치와 연결 가능한 별도의 접속 단자를 제공한다.
또한, 개시된 인-케이스 컨트롤 박스는, 접속 단자와 외부 장치의 커넥터 간 용이한 연결을 위해 케이스의 후면에 개구 및 캡을 제공하고, 인-케이스 컨트롤 박스의 손상 및 안전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캡의 닫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는, 측면에 케이블 삽입 홈이 형성되고, 후면에 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개구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와 결합하고,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캡; 및 상기 개구를 통해 외부 장치의 커넥터와 연결되는 접속 단자 및 상기 외부 장치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은 일 면에 마련되고, 상기 케이스와의 결합을 고정하는 복수의 락킹 부재; 및 상기 일 면의 모서리를 따라 설치되는 실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접속 단자와 상기 제어부 사이에 마련되고, 데이터 송신 또는 데이터 수신을 스위칭 하는 송수신 스위치; 및 상기 접속 단자와 상기 제어부 사이에 마련되는 회로 보호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 단자는 송신 핀, 수신 핀 및 접지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은 일 면에 마련되는 제1 버스 바;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내벽을 따라 상기 회로 기판까지 설치되고, 상기 캡이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면 상기 회로 기판 및 상기 제1 버스 바를 연결하는 제2 버스 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버스 바 및 상기 제2 버스 바의 연결 여부에 따라 상기 캡의 결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캡이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면 상기 제어부에 일정 전압을 인가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를 통해 인가된 상기 일정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캡의 결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마련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캡의 결합 상태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캡이 상기 케이스에 완전 결합되지 않은 경우, 충전 모드로의 진입을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후면을 덮고, 분리 가능한 방수 라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는, 측면에 케이블 삽입 홈이 형성되고, 후면에 외부 장치의 커넥터와 연결되는 접속 단자가 마련되는 케이스; 및 상기 접속 단자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 단자는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 인서트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후면과 상기 접속 단자를 덮고, 분리 가능한 방수 라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 단자는 송신 핀, 수신 핀 및 접지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접속 단자와 상기 제어부 사이에 마련되고, 데이터 송신 또는 데이터 수신을 스위칭 하는 송수신 스위치; 및 상기 접속 단자와 상기 제어부 사이에 마련되는 회로 보호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는,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마련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장치의 커넥터와 상기 접속 단자의 연결 상태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개시된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는, 외부 장치와 연결할 수 있는 별도의 접속 단자를 마련함으로써, 케이스를 파손시키지 않으면서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할 때 케이스를 파손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케이스 내부의 각종 부품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케이스 파손에 의한 비용 지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인-케이스 컨트롤 박스는, 케이스의 후면에 개구 및 캡을 제공하여 접속 단자와 외부 장치의 커넥터 간 용이한 연결이 가능하고, 캡의 닫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하여 인-케이스 컨트롤 박스의 손상 및 안전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케이블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의 후면을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의 후면에 마련되는 캡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의 케이스와 캡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의 단면과 내부 구조를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와 외부 장치의 커넥터를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 내에 마련되는 회로 기판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8 및 도9는 캡의 닫힘 여부를 검출하는 회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 및 도 11은 캡의 닫힘 여부를 검출하는 회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과정을 설명한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의 접속 단자를 도시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전기 회로(Electrical Circuit)을 의미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도 있다.
각 단계들에 붙여지는 부호는 각 단계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들 부호는 각 단계들 상호 간의 순서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에 관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케이블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충전 케이블(1)은 단상 AC의 전력을 전송하는 케이블로, 라이브 핀(L1), 뉴트럴 핀(L2/N), 접지 핀(GND), 근접 감지핀(Proximity Detection, PD), 제어 확인 핀인 컨트롤 파일롯 핀(Control Pilot, CP)이 배치된 커넥터(20)와, AC 상용 전원의 콘센트에 연결되는 플러그(10)를 포함한다. 충전 케이블(1)은 커넥터(20)의 라이브 핀(L1), 뉴트럴 핀(L2/N), 접지 핀(GND)을 통해 수신되는 전력을 차량에 전달한다. 충전 케이블(1)의 커넥터(20)가 7핀을 포함하는 경우, 커넥터(20)는 3상 AC의 커넥터로, L2, L3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케이블(1)은 차량과 상용 전원 사이에서 충전이 수행되도록 하는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In Cable Control Box: ICCB)(100)을 포함한다.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100)는 컨트롤 파일롯 핀(CP)의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즉,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100)는 충전 중 차량 배터리의 충전 정보를 수신한다.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1)와, 케이스(101)의 전면에 마련되어 충전 준비, 충전 실패, 충전 중, 충전 완료 등의 충전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10)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패널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100)는 충전 시작, 충전 정지 등의 충전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는 터치 패널로 형성되어 표시부(110)에 마련될 수 있고, 커넥터(20)에 마련될 수도 있다.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부(11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350)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고,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100)의 케이스(101) 내부에는 충전, 데이터 및/또는 신호의 송수신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 기판(300)이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350)는 회로 기판(30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케이스(101)는 내부 공간을 밀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조립형 또는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케이블 부재(31, 32)는 커넥터(20) 및 플러그(10)와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100)를 연결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의 후면을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100)의 케이스(101) 후면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개구에 삽입되어 케이스(101)와 결합하는 캡(200)이 마련될 수 있다.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100)의 케이스(101) 측면에는 케이블(31, 32)이 삽입되는 케이블 삽입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100)는 케이스(101)의 후면을 덮고, 분리 가능한 방수 라벨(120)을 포함할 수 있다. 방수 라벨(120)은 케이스(101) 후면의 개구에 캡(2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캡(200)을 포함한 케이스(101)의 후면 전체를 덮도록 부착될 수 있다. 캡(200)의 전면은 평평하게 마련될 수 있고, 캡(200)이 결합된 케이스(101)의 후면은 전체적으로 평평한 면을 가질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의 후면에 마련되는 캡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의 케이스와 캡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캡(200)은 일 면(후면)에 케이스(101)와의 결합을 고정하는 복수의 락킹 부재(210a, 210b, 210c, 210d)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락킹 부재(210a, 210b, 210c, 210d)는 캡(200)이 케이스(101) 후면의 개구에 삽입되면 캡(200)이 개구에서 쉽게 떨어지지 않도록 캡(20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복수의 락킹 부재(210a, 210b, 210c, 210d)는 캡(200)의 일 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복수의 락킹 부재(210a, 210b, 210c, 210d)는 일정한 탄력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캡(200)과 케이스(101)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된다. 복수의 락킹 부재(210a, 210b, 210c, 210d)의 개수가 4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캡(200)의 일 면(후면)에는 모서리를 따라 오목하게 들어간 홈(220)이 형성되고, 실링 부재(230)가 홈(220)에 설치될 수 있다. 실링 부재(230)는 방수 부재로서 외부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물과 오염 물질 등을 차단할 수 있다. 캡(200)이 케이스(101)와 결합되면, 실링 부재(230)는 케이스(101)의 외면과 접촉하여 캡(200)의 일 면(후면)과 케이스(101)의 외면 사이에 들뜬 공간을 채울 수 있다.
또한, 실링 부재(230)는 복수의 돌기(231, 232)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1)의 외면은 실링 부재(230)의 돌기(231, 232)가 안착되는 안착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실링 부재(230)는 복수의 돌기(231, 232)를 포함하여 이중 차단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락킹 부재(210a, 210b, 210c, 210d)는 개구를 형성하는 케이스(101)의 절단 면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락킹 부재(210a, 210b, 210c, 210d)는 끝 부분이 케이스(101)의 내면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한다.
한편, 캡(200)이 결합되는 케이스(101)의 개구 부분의 외면은 단차(130)를 갖도록 형성된다. 캡(200)이 케이스(101)의 개구에 삽입되면, 캡(200)은 단차(130)가 형성된 케이스(101)의 개구 부분에 안착하게 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의 단면과 내부 구조를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와 외부 장치의 커넥터를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 내에 마련되는 회로 기판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100)는 복수의 회로 소자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300)을 포함한다. 회로 기판(300)은 케이스(101)의 내부에 마련된다. 즉, 회로 기판(300)은 케이스(101)의 내면에 안착될 수 있다. 회로 기판은 PCB(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회로 기판(300)은 개구를 통해 외부 장치(400)의 커넥터(410)와 연결되는 접속 단자(310)를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외부 장치(400)의 커넥터(410)는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100)의 회로 기판(300)에 설치된 접속 단자(310)와 암수 결합될 수 있다. 접속 단자(310)는 송신 핀(Tx pin), 수신 핀(Rx pin) 및 접지 핀(GND pin)을 포함한다. 접속 단자(310)는 케이스(100)의 개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접속 단자(310)는 케이스(100)의 개구 바로 아래에 위치하도록 회로 기판(30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회로 기판(300)은 외부 장치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어부(350)를 포함한다. 접속 단자(310)에 외부 장치(400)의 커넥터(410)가 연결되면, 제어부(350)는 외부 장치(40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어부(350)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100)의 작동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51) 및 프로그램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3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50)에 포함되는 메모리(352)와 프로세서(351)는 하나의 칩에 집적되는 것도 가능하고,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것도 가능하다.
메모리(352)는 각종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회로 기판(300)은 접속 단자(310)와 제어부(350) 사이에 마련되고, 데이터 송신 또는 데이터 수신을 스위칭 하는 송수신 스위치(330)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 기판(300)은 접속 단자(310)와 제어부(250) 사이에 마련되는 회로 보호 소자(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로 보호 소자(320)는 바리스터(varistor)를 포함할 수 있다. 바리스터(varistor)는 전원이 on/off 될 때 순간적으로 높은 전압(서지, surge)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회로 기판(300)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340)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 기판(300)에 자체적으로 전원 장치(340)를 마련함으로써 외부 장치(400)로부터 유입되는 과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100)는 접속 단자(310)에 전원 핀을 포함시키지 않으므로, 외부 장치(400)와 연결 시 발생할 수 있는 회로 기판(3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 및 도9는 캡의 닫힘 여부를 검출하는 회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캡(200) 일 면(후면)에 마련되는 제1 버스 바(240)를 포함하고, 케이스(101)는 회로 기판(300) 및 제1 버스 바(240)를 연결하는 제2 버스 바(250)를 포함한다. 제2 버스 바(250)는 케이스(101)의 개구로부터 케이스(101)의 내벽을 따라 회로 기판(300)까지 이어진다. 캡(200)이 케이스(101)에 결합되면, 제2 버스 바(250)는 회로 기판(300) 및 제1 버스 바(240)를 연결된다.
제어부(350)는 제1 버스 바(240) 및 제2 버스 바(250)의 연결 여부에 따라 캡(200)의 결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캡(200)이 케이스(101)에 결합되면, 제1 버스 바(240) 및 제2 버스 바(250)를 통해 제어부(350)에 일정 전압(예를 들면, 5V)이 인가될 수 있다. 제어부(350)는 인가된 일정 전압에 기초하여 캡(200)의 결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캡의 닫힘 여부를 검출하는 회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회로 기판(300)은 캡(200)이 케이스(101)에 결합되면 제어부(350)에 일정 전압(예를 들면, 5V)을 인가하는 스위치(2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스위치(260)를 통해 인가된 일정 전압에 기초하여 캡(200)의 결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50)는 캡(200)의 결합 상태를 표시하도록 케이스(101)의 전면에 마련된 표시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50)는 캡(200)이 케이스(101)에 완전 결합되지 않은 경우, 충전 모드로의 진입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350)는 충전 케이블(1)이 차량과 콘센트에 연결되어 있더라도, 캡(200)이 케이스(101)에 완전 결합되지 않은 경우에는 차량의 충전을 시작하지 않도록 충전 모드로의 진입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100)의 접속 단자(310)와 외부 장치(400)의 커넥터(410)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가정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외부 장치(400)는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100)의 제어부(350)에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요청(501)을 전송한다(501). 제어부(350)는 업데이트 요청에 응답하는 신호를 전송한다(502). 이후, 제어부(350)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준비를 수행한다(503). 제어부(350)는 업데이트 준비 완료 신호를 외부 장치(400)에 전송하고(504), 업데이트 데이터를 요청한다(505). 외부 장치(400)는 업데이트 데이터를 제어부(350)에 전송한다(506). 제어부(350)는 전송 받은 업데이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수행한다(507). 이후, 제어부(350)는 업데이트 완료 신호를 외부 장치(400)에 전송하고(508),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100)의 시스템을 재부팅한다(509).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의 접속 단자를 도시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100)의 케이스(101) 후면에는 외부 장치(400)의 커넥터(410)와 연결되는 접속 단자(600)가 마련될 수 있다. 접속 단자(600) 케이스(101)의 후면에 인서트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1) 후면에는 케이스(101)의 후면과 접속 단자(600)를 덮고, 분리 가능한 방수 라벨(120)이 부착될 수 있다. 접속 단자(600)는 송신 핀, 수신 핀 및 접지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시된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100)는, 외부 장치(400)와 연결할 수 있는 별도의 접속 단자(310, 600)를 마련함으로써, 케이스(101)를 파손시키지 않으면서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100)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100)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할 때 케이스(101)를 파손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케이스 내부의 각종 부품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케이스 파손에 의한 비용 지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인-케이스 컨트롤 박스(100)는, 케이스(101)의 후면에 개구 및 캡(200)을 제공하여 접속 단자(310)와 외부 장치의 커넥터(410) 간 용이한 연결이 가능하고, 캡(200)의 닫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하여 인-케이스 컨트롤 박스(100)의 손상 및 안전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에 관한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및/또는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충전 케이블
10: 플러그
20: 커넥터
100: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
101: 케이스
110: 표시부
120: 방수 라벨
200: 캡
230: 실링 부재
300: 회로 기판
310: 접속 단자

Claims (19)

  1. 측면에 케이블 삽입 홈이 형성되고, 후면에 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개구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와 결합하고,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캡; 및
    상기 개구를 통해 외부 장치의 커넥터와 연결되는 접속 단자 및 상기 외부 장치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일 면에 마련되고, 상기 케이스와의 결합을 고정하는 복수의 락킹 부재; 및
    상기 일 면의 모서리를 따라 설치되는 실링 부재;를 포함하는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를 더 포함하는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접속 단자와 상기 제어부 사이에 마련되고, 데이터 송신 또는 데이터 수신을 스위칭 하는 송수신 스위치; 및
    상기 접속 단자와 상기 제어부 사이에 마련되는 회로 보호 소자;를 더 포함하는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자는
    송신 핀, 수신 핀 및 접지 핀;을 포함하는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일 면에 마련되는 제1 버스 바;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내벽을 따라 상기 회로 기판까지 설치되고, 상기 캡이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면 상기 회로 기판 및 상기 제1 버스 바를 연결하는 제2 버스 바;를 더 포함하는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버스 바 및 상기 제2 버스 바의 연결 여부에 따라 상기 캡의 결합 상태를 판단하는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캡이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면 상기 제어부에 일정 전압을 인가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를 통해 인가된 상기 일정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캡의 결합 상태를 판단하는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
  10. 제7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마련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캡의 결합 상태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
  11. 제7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캡이 상기 케이스에 완전 결합되지 않은 경우, 충전 모드로의 진입을 차단하는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후면을 덮고, 분리 가능한 방수 라벨;을 더 포함하는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
  13. 측면에 케이블 삽입 홈이 형성되고, 후면에 외부 장치의 커넥터와 연결되는 접속 단자가 마련되는 케이스; 및
    상기 접속 단자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자는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 인서트 사출 성형되는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후면과 상기 접속 단자를 덮고, 분리 가능한 방수 라벨;을 더 포함하는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자는
    송신 핀, 수신 핀 및 접지 핀;을 포함하는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접속 단자와 상기 제어부 사이에 마련되고, 데이터 송신 또는 데이터 수신을 스위칭 하는 송수신 스위치; 및
    상기 접속 단자와 상기 제어부 사이에 마련되는 회로 보호 소자;를 더 포함하는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를 더 포함하는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마련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장치의 커넥터와 상기 접속 단자의 연결 상태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
KR1020190037608A 2019-04-01 2019-04-01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 KR102613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608A KR102613196B1 (ko) 2019-04-01 2019-04-01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608A KR102613196B1 (ko) 2019-04-01 2019-04-01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201A true KR20200116201A (ko) 2020-10-12
KR102613196B1 KR102613196B1 (ko) 2023-12-14

Family

ID=72886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7608A KR102613196B1 (ko) 2019-04-01 2019-04-01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319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8104A (ko) * 2009-06-24 2010-12-31 (주)아이시티비즈 디스크 연결장치가 구비된 컴퓨터 케이스
KR20120130432A (ko) * 2011-05-23 2012-12-03 한국전기연구원 주위 전기 자동차를 이용해 방전된 전기 자동차에게 충전서비스를 제공하는 과금 가능 휴대형 장치
JP2014165942A (ja) * 2013-02-21 2014-09-08 Nissan Motor Co Ltd 充電装置
KR20150108140A (ko) * 2014-03-17 2015-09-2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125848A (ko) * 2015-04-22 2016-11-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차 충전기의 컨트롤박스
KR20170062732A (ko) * 2015-11-30 2017-06-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8104A (ko) * 2009-06-24 2010-12-31 (주)아이시티비즈 디스크 연결장치가 구비된 컴퓨터 케이스
KR20120130432A (ko) * 2011-05-23 2012-12-03 한국전기연구원 주위 전기 자동차를 이용해 방전된 전기 자동차에게 충전서비스를 제공하는 과금 가능 휴대형 장치
JP2014165942A (ja) * 2013-02-21 2014-09-08 Nissan Motor Co Ltd 充電装置
KR20150108140A (ko) * 2014-03-17 2015-09-2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125848A (ko) * 2015-04-22 2016-11-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차 충전기의 컨트롤박스
KR20170062732A (ko) * 2015-11-30 2017-06-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3196B1 (ko) 2023-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6586B2 (en) High-voltage terminal assembly with integral high-voltage interlock
US9000718B2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including switch
US10576832B2 (en)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and charging cable for an electric vehicle
US20140035527A1 (en) Electric vehicle docking connector with embedded evse controller
EP2679438A2 (en) Charger for electric vehicle
KR20200080405A (ko) 충전 케이블, 그와 통신하는 통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40131B1 (ko) 충전 장치 및 복수의 충전 인터페이스를 가진 차량
JP2015115979A (ja) 車両用補助給電装置
CN104052103A (zh) 供交通工具的电池充电系统使用的可置换适配器
JPH05328619A (ja) 充電装置
US20150171403A1 (en) Bus bar module
US9815422B2 (en) Power connection box for hybrid vehicle
US10840490B2 (en) Manual service disconnect for battery system
KR20200116201A (ko)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
KR101956025B1 (ko) 고전압 커넥터 인터락 장치
CN108879813B (zh) 接近检测装置及方法
US11890999B2 (en) Vehicle, power feeding system, and power feeding method
US202001894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starting electrified vehicle charging without unplugging
JP2018029418A (ja) 装置
US11527897B1 (en) Battery charger and engine jump start system with automatic operating mode via a single output receptacle
JPH05328532A (ja) 懸垂式充電機
JP2010260695A (ja) コネクタ構造
CN211908405U (zh) 充电装置
KR20170006754A (ko) 전기 차량들 간의 배터리 전원 공급을 위한 충전용 케이블
KR20160019699A (ko) 전기자동차용 고전압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