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5975A - Elastic electric contact terminal - Google Patents

Elastic electric contact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5975A
KR20200115975A KR1020190037539A KR20190037539A KR20200115975A KR 20200115975 A KR20200115975 A KR 20200115975A KR 1020190037539 A KR1020190037539 A KR 1020190037539A KR 20190037539 A KR20190037539 A KR 20190037539A KR 20200115975 A KR20200115975 A KR 20200115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terminal
electrical contact
base
bridge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75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태만
오세덕
김선기
Original Assignee
조인셋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인셋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인셋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7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5975A/en
Publication of KR20200115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597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Disclosed is an elastic electric contact terminal with an increased operating distance and elastic restoring force. The electric contact terminal includes: a base fixed to one of objects; a contact part which is connected to the base, is movable up and down, and comes in contact with another one of the objects; and a plurality of bridges connecting the base and the contact part. The bridge includes: a first inclined portion extending obliquely upward from the base in a first direction; a bent portion extended from the first inclined portion and bent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inclined portion extended obliquely upward from the bent portion toward the second direction.

Description

탄성 전기접촉단자{Elastic electric contact terminal}Elastic electric contact terminal

본 발명은 탄성 전기접촉단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낮은 높이를 구비하면서 누르는 힘이 크고 탄성력과 탄성 복원력이 좋은 탄성 전기접촉단자에 관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astic electrical contact terminal, and in particular, to an elastic electrical contact terminal having a low height and high pressing force and good elasticity and elastic restoring force.

본 출원인에 의한 국내등록특허 제1644119호의 표면실장형 탄성 전기접촉단자는, 일정 간격으로 권회되는 한 쌍의 브리지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브리지의 높이방향의 폭이 두께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높이가 높아질 수밖에 없다.The surface-mounted elastic electrical contact terminal of the Korean Patent No. 1644119 by the present applicant has a complicated structure because it is supported by a pair of bridges woun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width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bridge is much larger than the thickness. The height is bound to increase.

또한, 등록특허 제1626030호의 탄성 전기접촉단자에 의하면, 제1 및 제2스프링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회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어려우며, 높이방향의 폭이 두께보다 훨씬 큰 상태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회하기 때문에 높이가 높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lastic electrical contact terminal of Patent No. 1626030, since the first and second spring parts are wound in opposite directions,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making it difficult to manufacture, and the width in the height direction is much larger than the thickness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height is high because it is wound with a.

결과적으로, 낮은 높이를 구비하면서 작동거리가 크고 신뢰성 있는 탄성 및 복원력을 가지는 표면실장형 전기접촉단자를 경제성 있게 제공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As a resul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economically provide a surface-mounted electrical contact terminal having a low height, a large operating distance, and a reliable elasticity and resilience.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한 국내등록특허 제1870842호를 보면, 금속 재질의 단일 몸체로 이루어지고, 하나의 대상물에 고정되는 베이스, 일단이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고 나선형(spiral)으로 권회하면서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하여 상하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다수의 브리지, 및 각 브리지의 타단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접촉부로 구성되며, 상기 브리지 각각은 상기 접촉부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연장되고, 상기 브리지의 수평방향의 폭은 상하방향의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제안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looking at Korean Patent No. 1870842 issued by the present applicant, a base made of a single body made of metal and fixed to one object, one end connected to the base and wound in a spiral upwards.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bridges that are obliquely extended to have elasticity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contact portion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the other end of each bridge, each of the bridges extending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contact portion and the base, and the bridge An elastic electrical contact terminal is proposed,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브리지의 폭을 크게 하여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켜 누르는 힘이 크고 탄성 복원력이 좋아지지만, 브리지의 폭은 접촉부의 면적과 브리지 사이의 간극 등에 의해 제한될 수밖에 없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width of the bridge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mechanical strength, thereby increasing the pressing force and improving the elastic restoring force, but the width of the bridge is inevitably limited by the area of the contact portion and the gap between the bridges.

또한, 작동거리를 늘리려면 브리지의 길이를 증가시켜야 하는데, 길이를 증가시키면 베이스의 크기가 제한되어 있어 브리지의 폭을 줄일 수밖에 없으며, 그 결과 누르는 힘이 적게 되고, 탄성 복원력이 나빠진다.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working distance, the length of the bridge must be increased. If the length is increased, the size of the base is limited, so the width of the bridge is inevitably reduced, resulting in less pressing force and poor elastic restoring force.

또한, 각 브리지가 한 방향으로 구부러지면서 접촉부에 연결되기 때문에 대상물이 접촉부를 가압하여 누르는 경우, 브리지가 해당 방향으로 회전하여 접촉부의 마모가 있고 접촉 중심의 변위가 발생한다.In addition, since each bridge is bent in one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contact portion, when the object presses and presses the contact portion, the bridge rotates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resulting in wear of the contact portion and displacement of the contact center.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낮은 높이를 구비하면서 누르는 힘이 크고, 탄성력과 탄성 복원력이 좋은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astic electrical contact terminal having a low height, high pressing force, and good elasticity and elastic restoring for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브리지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 시키고, 탄성 복원력과 작동거리를 증가시킨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astic electrical contact terminal that improves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bridge and increases the elastic restoring force and working distan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촉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시 기계적 회전이 적은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astic electrical contact terminal with little mechanical rotation when the contact portion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정 높이 이하로 눌리지 않거나 전기 온 오프 스위치로 사용할 수 있는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astic electrical contact terminal that is not pressed to a certain height or can be used as an electric on-off switch.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공픽업에 의한 표면실장 및 솔더크림에 의한 리플로우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astic electrical contact terminal capable of surface mounting by vacuum pickup and reflow soldering by solder cream.

상기의 목적은, 대향하는 전기전도성 대상물 사이에 개재되어 전기 통로를 형성하는 금속으로 된 전기접촉단자로서, 상기 대상물 중 하나에 고정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어 상하로 가동하고 상기 대상물 중 다른 하나에 접촉하는 접촉부;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접촉부를 연결하는 다수의 브리지(bridge)를 포함하며, 상기 브리지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제1방향을 향하여 위로 경사지게 연장하는 제1경사부; 상기 제1경사부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제1방향에 반대인 제2방향으로 꺾이는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로부터 상기 제2방향을 향하여 위로 경사지게 연장하는 제2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is a metal electrical contact terminal interposed between opposite electrically conductive objects to form an electrical path, the base fixed to one of the objects; A contact part connected to the base, movable up and down, and contacting another one of the objects; And a plurality of bridges connecting the base and the contact portion, wherein the bridge includes: a first inclined portion extending obliquely upward from the base in a first direction; A bent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inclined portion and bent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inclined portion extending obliquely upward from the bent portion toward the second direction.

바람직하게, 상기 브리지의 폭은 두께보다 크고, 나선형으로 연장한다.Preferably, the width of the bridge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and extends helically.

바람직하게, 상기 절곡부는 수평면을 이루고,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접촉부는 수평면을 이루며, 상기 브리지는 3개로 120도의 회전각으로 이격된다.Preferably, the bent portion forms a horizontal plane, the base and the contact part form a horizontal plane, and three bridges are spaced apart at a rotation angle of 120 degrees.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접촉부의 형상은 사각형, 원형 또는 사각형과 원형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Preferably, the shape of the base and the contact portion is made of a square, a circle, or a combination of a square and a circle.

바람직하게, 상기 접촉부의 상면이나 하면에서 엠보스가 돌출 형성된다.Preferably, an emboss is formed protruding from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전기접촉단자는 상기 접촉부에서 진공 픽업 영역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의 하면은 솔더 크림에 의한 리플로우 솔더링이 된다.Preferably, the electrical contact terminal is provided with a vacuum pickup area at the contact portion,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is reflow soldered by solder cream.

바람직하게, 상기 전기접촉단자는 높이가 0.2㎜ 내지 0.8㎜이다.Preferably, the height of the electrical contact terminal is 0.2 mm to 0.8 mm.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및 제2경사부에 의해 실질적으로 길이가 증가함에도 누르는 힘이 브리지와 베이스의 경계 부분 이외에 절곡부에 분산되기 때문에 지지력이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누르는 힘이 크고, 탄성력과 탄성 복원력이 향상된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lthough the length is substantially increased by the first and second slopes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since the pressing force is distributed to the bent portion other than the boundary between the bridge and the base, the supporting force increases, resulting in a pressing force. The force is large, and the elastic force and elastic restoring force are improved.

또한, 낮은 높이의 탄성을 갖는 전기접촉단자를 제공하기 용이한 구조를 가진다.In addition, it has a structure in which it is easy to provide an electrical contact terminal having low elasticity.

또한, 대상물에 의해 눌릴 때 브리지의 회전이 절곡부에서 서로 상쇄되기 때문에 접촉부 자체가 회전하지 않고 상하방향으로만 움직이므로 접촉부의 회전에 의한 마모를 줄일 수 있고, 접촉부에서의 접촉 중심의 변위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otation of the bridge cancels each other at the bent part when pressed by the object, the contact part itself does not rotate, but moves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reducing abrasion due to rotation of the contact part, and preventing displacement of the contact center at the contact part. can do.

또한, 엠보스가 아래로 향하는 경우에 일정 높이 이상 눌리지 않는다는 이점과 엠보스에 의해 전기 온 오프 스위치를 사용하기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emboss is directed downwar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not pressed more than a certain height and that it is easy to use an electric on-off switch by the embossing.

또한, 진공픽업에 의한 표면실장 및 솔더크림에 의한 리플로우 솔더링이 가능하다.In addition, surface mounting by vacuum pickup and reflow soldering by solder cream are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나타낸다.
도 2는 평면도와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3(a)과 3(b)은 각각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shows an elastic electrical contac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3(a) and 3(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elastic electrical contact terminals according to different embodiments, respectively.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excessively comprehensive.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a human meaning or an excessively reduced meaning. In addition, when a technical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correct technical term that does not accurately express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replaced with a technical term that can be correct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gener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defined in the dictionary or according to the context before and after,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excessively reduced meanin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나타내고, 도 2는 평면도와 측면도를 나타낸다.1 shows an elastic electrical contac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show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탄성 전기접촉단자(100)는 대향하는 전기전도성 대상물, 가령 금속 케이스와 회로기판의 도전패턴 사이에 개재되어 금속 케이스와 도전패턴을 탄성을 가지며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The elastic electrical contact terminal 100 may be interposed between an opposite electrically conductive object, for example, a metal case and a conductive pattern of a circuit board, and may be us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metal case and the conductive pattern with elasticity.

전기접촉단자(100)는 전기전도성 금속으로 구성되는데, 가령 베릴륨 동이나 인청동과 같은 구리 합금이나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이 탄성이 좋고 기계적 강도가 큰 금속으로 구성되며, 일체로 형성되어 단일의 몸체로 이루어진다.The electrical contact terminal 100 is composed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etal, for example, a copper alloy such as beryllium copper or phosphor bronze, or a metal having good elasticity and high mechanical strength such as stainless steel, and is formed integrally to form a single body.

전기접촉단자(10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시트 형상의 고강도, 고탄성의 금속시트가 롤(Roll)로 공급되어 프레스에 의해 프레스 금형에서 타발 및 절곡에 의해 연속하여 제조된다. 가령, 고강도 금속 시트의 두께는 0.05㎜ 내지 0.3㎜일 수 있다.The electrical contact terminal 100 is continuously manufactured by punching and bending in a press mold by pressing a sheet-like high-strength, high-elasticity metal sheet having a certain thickness as a roll.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high-strength metal sheet may be 0.05 mm to 0.3 mm.

전기접촉단자(100)의 높이는 0.2㎜ 내지 0.8㎜일 수 있다.The height of the electrical contact terminal 100 may be 0.2 mm to 0.8 mm.

필요한 경우, 전기접촉단자(100)는 니켈과 금을 연속으로 도금하거나, 주석이나 은을 도금하여 최외각에 도금층을 형성함으로써, 내 환경성이 좋고 솔더 크림에 의한 리플로우 솔더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If necessary, the electrical contact terminal 100 may be plated with nickel and gold continuously, or plated with tin or silver to form a plating layer on the outermost surface, so that environmental resistance is good and reflow soldering with solder cream is possible. .

전기접촉단자(100)는 진공픽업에 의한 표면실장이 가능하도록 접촉부(130)에 진공픽업이 가능한 평면이 제공될 수 있다.The electrical contact terminal 100 may be provided with a flat surface capable of vacuum pickup to the contact portion 130 to enable surface mounting by vacuum pickup.

전기접촉단자(100)는, 하나의 대상물에 고정되는 베이스(110), 베이스(110)에 연결되어 상하로 가동하고 다른 대상물에 접촉하는 접촉부(130), 및 베이스(110)와 접촉부(130)를 연결하는 다수의 브리지(bridge)(120)로 구성된다.The electrical contact terminal 100 includes a base 110 fixed to one object, a contact portion 130 connected to the base 110 and movable up and down and contacting another object, and the base 110 and the contact portion 130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bridges (bridge) 120 to connect.

전기접촉단자(100)는 릴 테이핑되어 접촉부(130)에서 진공 픽업되고, 베이스(110)의 하면이 전기전도성 대상물, 가령 회로기판 위의 도전패턴에 솔더 크림에 의한 리플로우 솔더링 되어 실장될 수 있다. The electrical contact terminal 100 is reel taped and vacuum picked up from the contact portion 13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110 may be mounted by reflow soldering with a solder cream to an electrically conductive object, for example, a conductive pattern on a circuit board. .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베이스(110)에 의해 회로기판에 솔더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접촉부(130)는 대상물의 가압에 의해 눌리면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전기전도성 대상물과 회로기판의 도전패턴을 신뢰성 있게 전기적으로 연결한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ile being fixed to the circuit board by the base 110 by soldering, the contact part 130 reliably electrically connects the electrically conductive object and the conductive pattern of the circuit boar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while being pressed by the pressure of the object. do.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베이스(110)와 접촉부(130)의 형상은 사각형, 원형 또는 사각형과 원형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lthough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shape of the base 110 and the contact part 130 may be formed of a square, a circle, or a combination of a square and a circle.

일 예로, 베이스(110)는 모서리 4곳에 연결부가 모따기 형상으로 형성된 정사각형 형상일 수 있으며, 길이 및 폭의 치수는 2㎜×2㎜ 내지 8㎜×8㎜일 수 있으며 높이는 0.2㎜ 내지 0.8㎜×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base 110 may have a square shape with a chamfered connection at four corners, and the length and width may be 2 mm×2 mm to 8 mm×8 mm, and the height may be 0.2 mm to 0.8 mm× Can be

또한, 전기접촉단자(100)는 단일의 몸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접촉부(130)는 베이스(110)보다 작은 사이즈로 형성될 수밖에 없으며, 따라서 베이스(110)의 가장자리는 접촉부(130)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electrical contact terminal 100 is made of a single body, the contact portion 130 is inevitably formed to have a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base 110, so the edge of the base 110 is outside the edge of the contact portion 130. Will be located in

본 발명에 의하면, 브리지(120)는 길이방향을 따라 3개의 기능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베이스(110)로부터 반시계방향을 향하여 위로 경사지게 연장하는 제1경사부(121), 제1경사부(121)로부터 연장하여 시계방향으로 꺾이는 절곡부(122), 및 절곡부(122)로부터 시계방향을 향하여 위로 경사지게 연장하는 제2경사부(123)로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ridge 120 may be divided into three functional part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inclined portion 121 and a first inclined portion extending obliquely upward from the base 110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It is composed of a bent portion 122 extending from 121 and bent in a clockwise direction, and a second inclined portion 123 extending obliquely upward from the bent portion 122 in a clockwise direction.

브리지(120)의 폭은 두께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고탄성 및 고강도의 금속을 적용함으로써 낮은 높이에서도 누르는 힘이 크고 탄성력과 탄성 복원력을 좋게 할 수 있다.Since the width of the bridge 120 is much larger than the thickness, by applying a metal having high elasticity and high strength, the pressing force is large even at a low height, and the elastic force and the elastic restoring force can be improved.

베이스(110)와 브리지(120)의 제1경사부(121) 사이의 간극(112)과 브리지(120)의 제1 및 제2경사부(121, 123) 사이의 간극(124)은 서로 같고 일정한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The gap 112 between the base 110 and the first inclined portion 121 of the bridge 120 and the gap 124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portions 121 and 123 of the bridge 120 are the same Although certa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1 및 제2경사부(121, 123)가 위로 경사를 이루는 각도는 전기접촉단자(100)의 높이를 결정하며, 같거나 다를 수 있다.The angle at which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portions 121 and 123 are inclined upward determines the height of the electrical contact terminal 100, and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이 실시 예에서, 절곡부(122)는 수평면으로 구성되며, 가장자리(122a)가 반원형을 이룰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bent portion 122 is configured in a horizontal plane, and the edge 122a may form a semicircular shape.

절곡부(122)는, 후술하는 것처럼, 대상물에 의한 가압시 절곡부(122)는 대상물을 지지하는 지지점으로 작용하는데, 특히, 도 2와 같이, 절곡부(122)의 편평한 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즉 절곡부(122)의 길이 D를 크게 함으로써 대상물의 가압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커지도록 할 수 있다.The bent part 122, as will be described later, acts as a support point for supporting the bent part 122 when pressed by the object.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2, by increasing the flat area of the bent part 122, That is, by increasing the length D of the bent portion 122, the support force for supporting the pressing of the object can be increased.

또한,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절곡부(122)의 중심선 L을 기준으로 절곡부(122)가 대칭을 이루도록 하여 각 브리지(120)에서의 지지력이 균일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bent portion 122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L of the bent portion 122 so that the support force in each bridge 120 may be uniform.

이 실시 예에서, 베이스(110)와 접촉부(130)는 수평면을 이루며, 브리지(120)는 3개로 120도의 회전각으로 이격된다.In this embodiment, the base 110 and the contact part 130 form a horizontal plane, and the bridge 120 is spaced apart by a rotation angle of 120 degrees in three.

또한, 각 브리지(120)는 위로 경사지게 연장하는데, 이 실시 예에서 제1경사부(121)는 반시계방향으로 나선형을 이루면서 연장하고 제2경사부(123)는 시계방향으로 나선형을 이루면서 연장하며, 이와 달리 제1 및 제2경사부(121, 123)이 각각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연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each bridge 120 extends inclined upward.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inclined portion 121 extends while forming a spiral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23 extends while forming a spiral in a clockwise direction. Alternatively,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portions 121 and 123 may extend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respectively.

이러한 구성에 의해 탄성 전기접촉단자(100)는 같은 재료를 사용하고 같은 치수의 베이스(110)를 적용하는 경우 종래의 국내등록특허 제1870842호의 제품보다 높이를 용이하게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same material is used and the base 110 of the same size is applied, the elastic electrical contact terminal 100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asily increase the height compared to the product of the conventional Korean Patent No. 1870842.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전기접촉단자(100)의 동작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electrical contact terminal 100 having the abov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전기전도성 대상물이 접촉부(130)에 접촉하여 가압하면, 누르는 힘이 제2경사부(123) - 절곡부(122) - 제1경사부(121) - 베이스(110)로 전달되어 분산된다.When the electrically conductive object contacts and presses the contact portion 130, the press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23-the bent portion 122-the first inclined portion 121-the base 110 and distributed.

이때, 누르는 힘에 의해 접촉부(123)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2경사부(12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회전력과, 제1경사부(12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회전력이 절곡부(122)에서 서로 상쇄되기 때문에 접촉부(123) 자체는 회전하지 않거나 회전이 적게 되어 상하방향으로만 움직인다.At this tim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23 to rotate counterclockwise based on the center of the contact portion 123 by the pressing force 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123 to rotate in the clockwise direction are bent ( Since they cancel each other at 122), the contact part 123 itself does not rotate or rotates less, so that it moves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따라서, 접촉부의 회전에 의한 대상물의 마모를 줄일 수 있고, 접촉부에서의 접촉 중심의 변위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wear of the object due to rotation of the contact portion, and prevent displacement of the contact center at the contact portion.

이와 같이 대상물과 접촉하는 접촉부가 회전하지 않거나 회전이 적어 신뢰성 있는 기계적 탄성 접촉 및 신뢰성 있는 전기적 신호 전달을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object does not rotate or rotates less so that reliable mechanical elastic contact and reliable 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can be performed.

또한, 종래 누르는 힘이 전적으로 브리지와 베이스의 경계 부분에 집중되기 때문에 작동거리를 늘리기 위해 브리지의 길이를 증가하는 경우 기계적 강도가 떨어지면서 누르는 힘이 적고 탄성력 및 탄성복원력이 줄어들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및 제2경사부(121, 123)에 의해 실질적으로 길이가 증가함에도 누르는 힘이 브리지와 베이스의 경계 부분 이외에 절곡부(122)에 분산되기 때문에 지지력이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누르는 힘이 크고, 탄성력 및 탄성 복원력이 향상된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pressing force is entirely concentrated on the boundary between the bridge and the base, when the length of the bridge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working distance, the mechanical strength decreases, the pressing force is small, the elastic force and the elastic restoring force are reduced. Although the length is substantially increased by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portions 121 and 123 exten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pressing force is distributed to the bent portion 122 other than the boundary between the bridge and the base, so that the supporting force increases. The pressing force is large, and the elastic force and elastic restoring force are improved.

도 3(a)과 3(b)은 각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3(a) and 3(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elastic electrical contact terminals according to different embodiments.

도 3(a)을 보면, 접촉부(130)의 상면 중앙에는 위로 엠보스(132)가 돌출되며, 엠보스(132)에 집중되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대향하는 대상물에 보다 확실한 물리적 및 전기적 접촉을 이룰 수 있다. 3(a), the emboss 132 protrudes upward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ct part 130, and a more reliable physical and electrical contact with the opposite object is achiev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concentrated on the emboss 132. I can.

또한, 엠보스(132) 만큼 전기접촉단자의 높이가 높아진다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height of the electrical contact terminal is increased as much as the emboss 132.

도 3(b)을 보면, 접촉부(130)의 하면 중앙에 아래로 엠보스(134)가 돌출된다.3(b), the emboss 134 protrudes downward in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act part 130.

이 경우, 엠보스(132)의 높이 만큼 전기접촉단자(100)가 눌려지지 않아 신뢰성 있는 탄성 복원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electrical contact terminal 100 is not pressed as much as the height of the emboss 132 and thus reliable elasticity can be restored.

또한, 엠보스(132)가 회로기판의 도전패턴에 전기적으로 탄성 접촉할 수 있으므로 전기접촉단자(100)가 높이가 낮은 전기 온 오프 스위치로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mboss 132 can electrically elastically contact the conductive pattern of the circuit boar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lectrical contact terminal 100 can be used as an electric on-off switch having a low height.

여기서는 설명되지 않지만, 도 3(a)과 3(b)을 조합하여 접촉부(130)의 상면에서 위로 그리고 하면에서 아래로 각각 엠보스(132, 134)가 돌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lthough not described herein, the embosses 132 and 134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top and bottom of the contact portion 130 by combining FIGS. 3(a) and 3(b).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contents may be modified and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탄성 전기접촉단자
110: 베이스
112: 간극
120: 브리지(bridge)
121: 제1경사부
122: 절곡부
123: 제2경사부
130: 접촉부
100: elastic electrical contact terminal
110: base
112: gap
120: bridge
121: first slope
122: bend
123: second slope
130: contact

Claims (10)

대향하는 전기전도성 대상물 사이에 개재되어 전기 통로를 형성하는 금속으로 된 전기접촉단자로서,
상기 대상물 중 하나에 고정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어 상하로 가동하고 상기 대상물 중 다른 하나에 접촉하는 접촉부;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접촉부를 연결하는 다수의 브리지(bridge)를 포함하며,
상기 브리지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제1방향을 향하여 위로 경사지게 연장하는 제1경사부;
상기 제1경사부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제1방향에 반대인 제2방향으로 꺾이는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로부터 상기 제2방향을 향하여 위로 경사지게 연장하는 제2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
As an electrical contact terminal made of metal interposed between opposing electrically conductive objects to form an electrical path,
A base fixed to one of the objects;
A contact part connected to the base, movable up and down, and contacting another one of the objects; And
It includes a plurality of bridges (bridge) connecting the base and the contact portion,
The bridge,
A first inclined portion extending obliquely upward from the base in a first direction;
A bent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inclined portion and bent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nd
And a second inclined portion extending obliquely upward from the bent portion toward the second direction.
청구항 1에서,
상기 브리지의 폭은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
In claim 1,
The elastic electrical contact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of the bridge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청구항 1에서,
상기 절곡부는 수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
In claim 1,
An elastic electrical contact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t portion forms a horizontal plane.
청구항 1에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접촉부는 수평면을 이루며, 상기 브리지는 3개로 120도의 회전각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
In claim 1,
The base and the contact part form a horizontal surface, and the bridge is three,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electrical contact terminal is spaced apart at a rotation angle of 120 degrees.
청구항 1에서,
상기 브리지는 나선형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
In claim 1,
The bridge is an elastic electrical contact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extending in a spiral.
청구항 1에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접촉부의 형상은 사각형, 원형 또는 사각형과 원형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
In claim 1,
The elastic electrical contact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of the base and the contact portion is formed of a square, a circle or a combination of a square and a circle.
청구항 1에서,
상기 접촉부의 상면에서 위로 엠보스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
In claim 1,
An elastic electrical contact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emboss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청구항 1에서,
상기 접촉부의 하면에서 아래로 엠보스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
In claim 1,
An elastic electrical contact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emboss is formed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청구항 1에서,
상기 전기접촉단자는 상기 접촉부에서 진공 픽업 영역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의 하면은 솔더 크림에 의한 리플로우 솔더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
In claim 1,
The electrical contact terminal is provided with a vacuum pick-up area at the contact portion, and a lower surface of the base is reflow soldered by solder cream.
청구항 1에서,
상기 전기접촉단자는 높이가 0.2㎜ 내지 0.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
In claim 1,
The electrical contact terminal is an elastic electrical contact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is 0.2mm to 0.8mm.
KR1020190037539A 2019-03-30 2019-03-30 Elastic electric contact terminal KR2020011597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539A KR20200115975A (en) 2019-03-30 2019-03-30 Elastic electric contact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539A KR20200115975A (en) 2019-03-30 2019-03-30 Elastic electric contact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975A true KR20200115975A (en) 2020-10-08

Family

ID=72897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7539A KR20200115975A (en) 2019-03-30 2019-03-30 Elastic electric contact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597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9900B1 (en) Contact in electric part socket
US7285026B1 (en) Compressed contact electrical connector
US8888525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dual arm contact
US6561819B1 (en) Terminals of socket connector
KR101870842B1 (en) Elastic electric contact terminal
CN111262069B (en) Conductive terminal
CN102163772A (en) Contact member for electrical connectors
KR20150056032A (en) Surface-Mount Typed Electric Connecting Terminal
US11381013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415306B1 (en) Smd-typed elastic electric contact terminal
CN105490053A (en) Surface mounting type elastic electrical contact terminal
KR101626030B1 (en) Elastic Electric Connecting Terminal
US9570827B2 (en) Contact member
US7438586B2 (en) Electrical connector
KR20200115975A (en) Elastic electric contact terminal
US20100255733A1 (en) Electrical contact having an upper contact with a thickened base portion
KR102129911B1 (en) Elastic contact terminal
CN210723468U (en) Electrical connector
CN100429833C (en) Electric connector
KR101123423B1 (en) Antanna contact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US9865947B2 (en) SIM connector
KR101740282B1 (en) Electric contact terminal
CN210723469U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344935B1 (en) contact for connector
US20090065334A1 (en)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