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5791A - 폴더블 표시 장치와 그의 음향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폴더블 표시 장치와 그의 음향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5791A
KR20200115791A KR1020190034407A KR20190034407A KR20200115791A KR 20200115791 A KR20200115791 A KR 20200115791A KR 1020190034407 A KR1020190034407 A KR 1020190034407A KR 20190034407 A KR20190034407 A KR 20190034407A KR 20200115791 A KR20200115791 A KR 20200115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generating device
sound generating
sound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한
손영란
김현정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4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5791A/ko
Priority to US16/830,557 priority patent/US11343600B2/en
Priority to CN202010222447.9A priority patent/CN111754865A/zh
Publication of KR20200115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57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01L51/5203
    • H01L51/52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1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4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 H04R1/40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3/00Transducer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groups H04R9/00 - H04R21/00
    • H04R23/006Transducer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groups H04R9/00 - H04R21/00 using solid state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 H04R31/006Interconnection of transducer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6Plane diaphragm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tions or 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6Plane diaphragm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tions or layers
    • H04R7/10Plane diaphragm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tions or layers comprising superposed layers in conta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6Shielding, e.g. light-blocking means over the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4Arrangements for heating and coo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03Mems transducers or their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Abstract

폴더블 표시 장치와 그의 음향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폴더블 표시 장치는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의 제1 면 상에 배치된 제1 화소 어레이층을 포함하는 제1 표시 패널, 제2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의 제1 면 상에 배치된 제2 화소 어레이층을 포함하는 제2 표시 패널, 및 상기 제1 표시 패널의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과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표시 패널과 상기 제2 표시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진동하여 제1 음향을 출력하는 제1 음향 발생 장치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폴더블 표시 장치와 그의 음향 제공 방법{FOLDA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VIDNG THE SOUND OF THE SAME}
본 발명은 폴더블 표시 장치와 그의 음향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및 스마트 텔레비전과 같이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되고 있다.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와 같은 소형 전자 기기에 적용되는 표시 장치는 휴대성을 높이기 위해 유연성이 있어 접거나 벤딩될 수 있는 플렉시블(flexible) 표시 장치가 적용되고 있다. 플렉시블 표시 장치는 사용자가 접거나 펼쳐서 이용할 수 있으므로, 부피를 크게 줄일 수 있어 휴대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플렉시블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패널과 음향을 제공하기 위한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렉시블 표시 장치는 접거나 펼친 상태로 이용되므로, 음향 발생 장치의 배치 위치에 제약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표시 장치는 사용자가 플렉시블 표시 장치를 접은 상태로 이용하거나 펼친 상태로 이용하는지에 따라 최적의 음향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음향 발생 장치를 이용하여 표시 패널을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함으로써 음향 품질을 높일 수 있는 폴더블 표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음향 발생 장치를 이용하여 표시 패널을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함으로써 음향 품질을 높일 수 있는 폴더블 표시 장치의 음향 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는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의 제1 면 상에 배치된 제1 화소 어레이층을 포함하는 제1 표시 패널, 제2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의 제1 면 상에 배치된 제2 화소 어레이층을 포함하는 제2 표시 패널, 및 상기 제1 표시 패널의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과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표시 패널과 상기 제2 표시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진동하여 제1 음향을 출력하는 제1 음향 발생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는 상기 제1 표시 패널의 제2 면과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제2 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와 상기 제1 표시 패널의 제2 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차광 부재, 및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와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제2 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차광 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와 상기 제1 표시 패널의 제2 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의 일 측에 배치된 제1 보강 부재, 및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와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제2 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의 타 측에 배치된 제2 보강 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 패널은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폴딩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의 제2 화소 어레이층과 상기 제2 영역의 제2 화소 어레이층은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는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1 표시 패널의 제2 면과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제2 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표시 패널의 두께 방향에서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와 중첩하지 않는 제1 패널 하부 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패널 하부 부재는 상기 제1 표시 패널의 제2 면 상에 배치되는 제1 접착 부재,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제2 면 상에 배치되는 제2 접착 부재, 및 상기 제1 접착 부재와 상기 제2 접착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방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패널 하부 부재는 상기 제1 접착 부재와 상기 제1 방열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완충 부재, 및 상기 제2 접착 부재와 상기 제1 방열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완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제2 면 상에 배치되는 제2 패널 하부 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패널 하부 부재의 두께는 상기 제2 패널 하부 부재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상기 제1 패널 하부 부재와 상기 제2 패널 하부 부재 각각은 상기 폴딩 영역과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2 패널 하부 부재는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제2 면 상에 배치되는 제3 접착 부재, 상기 제3 접착 부재 상에 배치되는 제2 방열 부재, 및 상기 제3 접착 부재와 상기 제2 방열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완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1 표시 패널의 제2 면과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제2 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표시 패널과 상기 제2 표시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진동하여 제2 음향을 출력하는 제2 음향 발생 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는 상기 제1 표시 패널의 제2 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음향 발생 장치는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제2 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와 상기 제2 음향 발생 장치는 상기 제1 표시 패널의 두께 방향에서 서로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제2 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표시 패널을 진동하여 제3 음향을 출력하는 제3 음향 발생 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는 인가된 전압에 따라 수축하거나 팽창하는 압전 물질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 패널을 진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음향 발생 장치와 상기 제3 음향 발생 장치 각각은 보이스 코일을 이용하여 자력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표시 패널을 진동시킬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음향 제공 방법은 제2 표시 패널의 폴딩 영역이 폴딩된 경우, 제1 표시 패널의 제1 화소 어레이층의 화소들을 이용하여 제1 영상을 표시하고, 제1 음향 발생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표시 패널을 진동하여 제1 음향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폴딩 영역이 언폴딩되는 경우,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제2 화소 어레이층의 화소들을 이용하여 제2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에 의해 상기 제2 표시 패널을 진동하여 제2 음향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와 그의 음향 제공 방법에 의하면, 접힌 상태와 펼쳐진 상태 모두에서 제1 표시 패널과 제2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음향 발생 장치를 이용하여 제1 표시 패널과 제2 표시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진동함에 의해 제1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과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접힌 구조와 펼쳐진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도 3과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접힌 구조와 펼쳐진 구조를 보여주는 일 측 단면도들이다.
도 5는 도 3과 도 4의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과 도 4의 A 영역의 일 예를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1 음향 발생 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제1 음향 발생 장치의 제1 가지 전극과 제2 가지 전극 사이에 배치된 진동층의 진동 방법을 보여주는 일 예시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7의 제1 음향 발생 장치에 의한 표시 패널의 진동을 보여주는 예시도면들이다.
도 11은 도 6의 제1 음향 발생 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면이다.
도 12와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음향 발생 장치에 의한 표시 패널의 진동을 보여주는 예시도면들이다.
도 14는 도 6의 제1 음향 발생 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면이다.
도 15는 도 3과 도 4의 A 영역의 일 예를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16과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접힌 구조와 펼쳐진 구조를 보여주는 일 측 단면도들이다.
도 18은 도 3과 도 4의 A 영역의 일 예를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19와 도 20은 도 1과 도 2의 폴더블 표시 장치의 접힌 구조와 펼쳐진 구조를 보여주는 일 측 단면도들이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음향 제공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3과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접힌 구조와 펼쳐진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도 25와 도 2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접힌 구조와 펼쳐진 구조를 보여주는 일 측 단면도들이다.
도 27와 도 2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접힌 구조와 펼쳐진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도 29와 도 3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접힌 구조와 펼쳐진 구조를 보여주는 일 측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도 1과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접힌 구조와 펼쳐진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는 제1 표시 영역(DA1)을 갖는 제1 표시 패널(110)과 제2 표시 영역(DA2)을 갖는 제2 표시 패널(120)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 “탑”, “상면”은 제2 표시 패널(120)을 기준으로 제1 표시 패널(110)이 배치되는 방향, 즉 Z축 방향을 가리키고, “하부”, “바텀”, “하면”은 제1 표시 패널(110)을 기준으로 제2 표시 패널(120)이 배치되는 방향, 즉 Z축 방향의 반대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좌”, “우”, “상”, “하”는 제1 표시 패널(110)을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방향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좌”는 X축 방향의 반대 방향, “우”는 X축 방향, “상”은 Y축 방향, “하”는 Y축 방향의 반대 방향을 가리킨다.
제1 표시 패널(110)은 평면 상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표시 패널(110)는 제1 방향(X축 방향)의 제1 변(S1)들과 제2 방향(Y축 방향)의 제2 변(S2)들을 갖는 직사각형의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변(S1)들 각각의 길이는 제2 변(S2)들 각각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제1 변(S1)들 중 어느 하나와 제2 변(S2)들 중 어느 하나가 만나는 모서리는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둥글게 형성되거나 직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표시 패널(110)의 평면 형태는 직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표시 패널(110)은 화소들이 배치되어 화상을 표시하는 제1 표시 영역(DA1)과 화소들이 배치되지 않으며 제1 표시 영역(DA1)의 주변에 배치되는 제1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 패널(110)의 제1 표시 영역(DA1)은 제1 방향(X축 방향)의 제1 변(S1)들과 나란한 제1 표시 변(DS1)들, 및 제2 방향(Y축 방향)의 제2 변(S2)들과 나란한 제2 표시 변(DS2)들을 갖는 직사각형의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표시 변(DS1)들 각각의 길이는 제2 표시 변(DS2)들 각각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제1 표시 변(DS1)들 중 어느 하나와 제2 표시 변(DS2)들 중 어느 하나가 만나는 모서리는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둥글게 형성되거나 직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표시 영역(DA1)의 평면 형태는 직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표시 패널(120)은 폴딩 영역(FA)을 포함하여 도 1과 같이 접히거나 도 2와 같이 펼쳐질 수 있다. 제2 표시 패널(120)은 펼쳐진 상태에서 평면 상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표시 패널(120)는 제1 방향(X축 방향)의 제3 변(S3)들과 제2 방향(Y축 방향)의 제4 변(S4)들을 갖는 직사각형의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3 변(S3)들 각각의 길이는 제4 변(S4)들 각각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제1 방향(X축 방향)보다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긴 화면을 시청할 수 있다. 또는, 제3 변(S3)들 각각의 길이는 제4 변(S4)들 각각의 길이보다 길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제2 방향(Y축 방향)보다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긴 화면을 시청할 수 있다. 또는, 제3 변(S3)들 각각의 길이는 제4 변(S4)들 각각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정사각형의 화면을 시청할 수 있다. 제3 변(S3)들 중 어느 하나와 제4 변(S4)들 중 어느 하나가 만나는 모서리는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둥글게 형성되거나 직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표시 패널(120)의 평면 형태는 직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표시 패널(120)의 제2 표시 영역(DA2)은 펼쳐진 상태에서 제1 방향(X축 방향)의 제3 변(S3)들과 나란한 제3 표시 변(DS3)들, 및 제2 방향(Y축 방향)의 제4 변(S4)들과 나란한 제4 표시 변(DS4)들을 갖는 직사각형의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3 표시 변(DS3)들 각각의 길이는 제4 표시 변(DS4)들 각각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제3 표시 변(DS3)들 각각의 길이는 제4 표시 변(DS4)들 각각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또는, 제3 표시 변(DS3)들 각각의 길이는 제4 표시 변(DS4)들 각각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3 표시 변(DS3)들 중 어느 하나와 제4 표시 변(DS4)들 중 어느 하나가 만나는 모서리는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둥글게 형성되거나 직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1)의 평면 형태는 직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표시 패널(120)은 제1 영역(A1), 제2 영역(A2), 및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 사이에 배치된 폴딩 영역(F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표시 패널(120)의 제2 기판(121)은 벤딩(bending), 폴딩(folding), 롤링(rolling) 등이 가능한 플렉시블(flexible) 기판으로 형성되므로, 제2 표시 패널(120)은 폴딩 영역(FA)에서 쉽게 폴딩될 수 있다. 또한, 폴딩 영역(FA)에서 제2 표시 패널(120)이 구부러지는 것을 돕기 위해, 폴딩 영역(FA)에서 제2 기판(121)의 제2 면에는 힌지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표시 패널(120)이 접힌 상태에서 제1 영역(A1)의 제2 표시 영역(DA2)과 제2 영역(A2)의 제2 표시 영역(DA2)은 서로 마주보도록 인-폴딩(in-folding)될 수 있다. 제2 표시 패널(120)이 접힌 상태에서 폴딩 영역(FA)의 제2 표시 영역(DA2)은 소정의 곡률로 구부러질 수 있다. 제1 표시 패널(110)의 제1 표시 영역(DA1)은 제3 방향(Z축 방향)을 바라보는 반면에, 제2 표시 패널(120)의 제2 표시 영역(DA2)은 펼쳐진 상태에서 제3 방향(Z축 방향)의 반대 방향을 바라볼 수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제2 표시 패널(120)이 접힌 상태에서 제1 표시 패널(110)을 이용하여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제1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2 표시 패널(120)이 펼쳐진 상태에서 제2 표시 패널(120)을 이용하여 제3 방향(Z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제2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표시 패널(110)은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제1 영상을 표시하거나, 어떠한 영상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도 3과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접힌 구조와 펼쳐진 구조를 보여주는 일 측 단면도들이다. 도 3은 도 1의 Ⅰ-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Ⅱ-Ⅱ’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과 도 4의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과 도 4의 A 영역의 일 예를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는 제1 표시 패널(110), 제2 표시 패널(120), 제1 패널 하부 부재(400), 제2 패널 하부 부재(800), 및 제1 음향 발생 장치(5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 패널(110)은 제1 기판(111)과 제1 화소 어레이층(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 패널(110)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하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초소형 발광 다이오드(micro LED)를 이용하는 초소형 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 및 양자점 발광 소자(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양자점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표시 패널(110)이 도 5와 같이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인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1 기판(111)은 리지드(rigid) 기판이거나 벤딩(bending), 폴딩(folding), 롤링(rolling) 등이 가능한 플렉시블(flexible) 기판일 수 있다. 제1 기판(111)은 유리, 석영, 고분자 수지 등의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분자 수지의 절연 물질의 예로는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olyethyleneterepthalate: PET), 폴리페닐렌설파이드 (polyphenylenesulfide: PPS), 폴리알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cellulosetriacetate: CAT),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제1 기판(111)은 금속 재질의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기판(111)의 제1 면 상에는 제1 화소 어레이층(112)이 배치된다. 제1 화소 어레이층(112)은 도 5와 같이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 발광 소자층(EML), 및 봉지층(TFEL)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111)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이 형성된다.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은 박막 트랜지스터(335)들, 게이트 절연막(336), 층간 절연막(337), 보호막(338), 및 평탄화막(339)을 포함한다.
제1 기판(111) 상에는 버퍼막이 형성될 수 있다. 버퍼막은 투습에 취약한 제1 기판(111)을 통해 침투하는 수분으로부터 박막 트랜지스터(335)들과 발광 소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제1 기판(11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버퍼막은 교번하여 적층된 복수의 무기막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퍼막은 실리콘 산화막(SiOx), 실리콘 질화막(SiNx), SiON 중 하나 이상의 무기막이 교번하여 적층된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버퍼막은 생략될 수 있다.
버퍼막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335)들이 형성된다. 박막 트랜지스터(335)들 각각은 액티브층(331), 게이트전극(332), 소스전극(333) 및 드레인전극(334)을 포함한다. 도 5에서는 박막 트랜지스터(335)가 게이트전극(332)이 액티브층(331)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게이트(탑 게이트, top gate) 방식으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주의하여야 한다. 즉, 박막 트랜지스터(335)들은 게이트전극(332)이 액티브층(331)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게이트(보텀 게이트, bottom gate) 방식 또는 게이트전극(332)이 액티브층(331)의 상부와 하부에 모두 위치하는 더블 게이트(double gate)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버퍼막 상에는 액티브층(331)이 형성된다. 액티브층(331)은 실리콘계 반도체 물질 또는 산화물계 반도체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버퍼막과 액티브층(331) 사이에는 액티브층(331)으로 입사되는 외부광을 차단하기 위한 차광층이 형성될 수 있다.
액티브층(331) 상에는 게이트 절연막(336)이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316)은 무기막,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막(SiOx), 실리콘 질화막(SiNx), 또는 이들의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316) 상에는 게이트전극(332)과 게이트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전극(332)과 게이트 라인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전극(332)과 게이트 라인 상에는 층간 절연막(337)이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337)은 무기막,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막(SiOx), 실리콘 질화막(SiNx), 또는 이들의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337) 상에는 소스전극(333), 드레인전극(334), 및 데이터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소스전극(333)과 드레인전극(334) 각각은 게이트 절연막(336)과 층간 절연막(337)을 관통하는 콘택홀을 통해 액티브층(331)에 접속될 수 있다. 소스전극(333), 드레인전극(334), 및 데이터 라인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소스전극(333), 드레인전극(334), 및 데이터 라인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335)를 절연하기 위한 보호막(338)이 형성될 수 있다. 보호막(338)은 무기막,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막(SiOx), 실리콘 질화막(SiNx), 또는 이들의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호막(338)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335)로 인한 단차를 평탄하게 하기 위한 평탄화막(339)이 형성될 수 있다. 평탄화막(339)은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등의 유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 상에는 발광 소자층(EML)이 형성된다. 발광 소자층(EML)은 발광 소자들과 화소 정의막(344)을 포함한다.
발광 소자들과 화소 정의막(344)은 평탄화막(339) 상에 형성된다. 발광 소자는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evice)일 수 있다. 이 경우, 발광 소자는 애노드 전극(341), 발광층(342)들, 및 캐소드 전극(343)을 포함할 수 있다.
애노드 전극(341)은 평탄화막(339)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애노드 전극(341)은 보호막(338)과 평탄화막(339)을 관통하는 콘택홀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335)의 소스전극(333)에 접속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344)은 화소들을 구획하기 위해 평탄화막(339) 상에서 애노드 전극(341)의 가장자리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화소 정의막(344)은 화소들을 정의하는 화소 정의막으로서 역할을 한다. 화소들 각각은 애노드 전극(341), 발광층(342), 및 캐소드 전극(343)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애노드 전극(341)으로부터의 정공과 캐소드 전극(343)으로부터의 전자가 발광층(342)에서 서로 결합되어 발광하는 영역을 나타낸다.
애노드 전극(341)과 화소 정의막(344) 상에는 발광층(342)들이 형성된다. 발광층(342)은 유기 발광층일 수 있다. 발광층(342)은 적색(red) 광, 녹색(green) 광 및 청색(blue) 광 중 하나를 발광할 수 있다. 또는, 발광층(342)은 백색 광을 발광하는 백색 발광층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적색 발광층, 녹색 발광층 및 청색 발광층이 적층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화소들에 공통적으로 형성되는 공통층일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패널(300)은 적색, 녹색 및 청색을 표시하기 위한 별도의 컬러 필터(color filter)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발광층(342)은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발광층(light emitting layer), 및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광층(342)은 2 스택(stack) 이상의 탠덤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스택들 사이에는 전하 생성층이 형성될 수 있다.
캐소드 전극(343)은 발광층(342) 상에 형성된다. 제2 전극(343)은 발광층(342)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343)은 화소들에 공통적으로 형성되는 공통층일 수 있다.
발광 소자층(EML)이 상부 방향으로 발광하는 상부 발광(top emission) 방식으로 형성되는 경우, 애노드 전극(341)은 알루미늄과 티타늄의 적층 구조(Ti/Al/Ti), 알루미늄과 ITO의 적층 구조(ITO/Al/ITO), APC 합금, 및 APC 합금과 ITO의 적층 구조(ITO/APC/ITO)와 같은 반사율이 높은 금속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APC 합금은 은(Ag), 팔라듐(Pd), 및 구리(Cu)의 합금이다. 또한, 캐소드 전극(263)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ITO, IZO와 같은 투명한 금속물질(TCO,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또는 마그네슘(Mg), 은(Ag), 또는 마그네슘(Mg)과 은(Ag)의 합금과 같은 반투과 금속물질(Semi-transmissive Conductive Material)로 형성될 수 있다. 캐소드 전극(343)이 반투과 금속물질로 형성되는 경우, 미세 공진(micro cavity)에 의해 출광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발광 소자층(EML)이 하부 방향으로 발광하는 하부 발광(bottom emission) 방식으로 형성되는 경우, 애노드 전극(341)은 ITO, IZO와 같은 투명한 금속물질(TCO,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또는 마그네슘(Mg), 은(Ag), 또는 마그네슘(Mg)과 은(Ag)의 합금과 같은 반투과 금속물질(Semi-transmissive Conductive Material)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343)은 알루미늄과 티타늄의 적층 구조(Ti/Al/Ti), 알루미늄과 ITO의 적층 구조(ITO/Al/ITO), APC 합금, 및 APC 합금과 ITO의 적층 구조(ITO/APC/ITO)와 같은 반사율이 높은 금속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애노드 전극(341)이 반투과 금속물질로 형성되는 경우, 미세 공진(micro cavity)에 의해 출광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발광 소자층(EML) 상에는 봉지층(TFEL)이 형성된다. 봉지층(TFEL)은 발광층(342)과 캐소드 전극(343)에 산소 또는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봉지층(TFEL)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막은 실리콘 질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지르코늄 질화물, 티타늄 질화물, 하프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또는 티타늄 산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봉지층(TFEL)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기막은 이물들(particles)이 봉지층(305)을 뚫고 발광층(342)과 캐소드 전극(343)에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유기막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또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봉지층(TFEL) 대신에 제2 기판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기판과 발광 소자층(EML) 상에는 충진재 또는 충진 필름이 배치될 수 있다.
봉지층(TFEL) 상에는 터치 센서층이 형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층이 봉지층(TFEL) 상에 바로 배치됨으로써, 터치 센서층을 포함하는 별도의 터치 패널이 봉지층(TFEL)에 부착되는 경우보다 폴더블 표시 장치(10)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터치 센서층은 정전 용량 방식으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전극들과 패드들과 터치 전극들을 연결하는 터치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층은 자기 정전 용량(self-capacitance) 방식 또는 상호 정전 용량(mutual capacitance) 방식으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센서층의 터치 전극들은 제1 표시 영역(DA1)에 중첩하게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센서층의 터치 라인들은 제1 비표시 영역(NDA)에서 배치될 수 있다.
제2 표시 패널(120)은 제2 기판(121)과 제2 화소 어레이층(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표시 패널(120)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하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초소형 발광 다이오드(micro LED)를 이용하는 초소형 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 및 양자점 발광 소자(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양자점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 표시 패널(120)이 도 5와 같이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인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2 기판(112)은 벤딩(bending), 폴딩(folding), 롤링(rolling) 등이 가능한 플렉시블(flexible) 기판일 수 있다. 제2 기판(112)은 고분자 수지의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분자 물질의 예로는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아크릴레이트(PA), 폴리아릴레이트(PAR),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ET),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알릴레이트, 폴리이미드(PI), 폴리카보네이트(PC),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CAT),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AP)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제2 기판(112)은 금속 재질의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기판(112)의 제1 면 상에는 제2 화소 어레이층(122)이 배치된다. 제2 화소 어레이층(122)은 도 5를 결부하여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제2 화소 어레이층(122)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패널 하부 부재(400)는 제2 표시 패널(120)의 제1 영역(A1)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패널 하부 부재(400)는 폴딩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제2 표시 패널(120)의 폴딩 영역(FA)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기판(111)의 제2 면과 제2 기판(112)의 제2 면 사이에는 제1 패널 하부 부재(4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판(111)의 제2 면은 제3 방향(Z축 방향)에서 제1 기판(111)의 제1 면의 반대면에 해당하고, 제2 기판(112)의 제2 면은 제3 방향(Z축 방향)에서 제2 기판(112)의 제1 면의 반대면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패널 하부 부재(400)의 제1 면은 제1 기판(111)의 제2 면에 부착되고, 제1 패널 하부 부재(400)의 제2 면은 제2 기판(112)의 제2 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패널 하부 부재(400)의 제2 면은 제3 방향(Z축 방향)에서 제1 패널 하부 부재(400)의 제1 면의 반대면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패널 하부 부재(400)는 도 6과 같이 제1 접착 부재(410), 제2 접착 부재(420), 제1 완충 부재(430), 제2 완충 부재(440), 및 제1 방열 부재(4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410)는 제1 기판(111)의 제2 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는, 제1 기판(111)의 제2 면에 도 6과 같이 제1 차광 부재(460)가 배치되는 경우, 제1 접착 부재(410)는 제1 차광 부재(460)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기판(111)의 제2 면과 마주보는 제1 접착 부재(410)의 제1 면이 도 6과 같이 엠보싱 가공되는 경우, 제1 접착 부재(410)는 완충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제2 접착 부재(420)는 제2 기판(121)의 제2 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는, 제2 기판(121)의 제2 면에 도 6과 같이 제2 차광 부재(470)가 배치되는 경우, 제2 접착 부재(420)는 제2 차광 부재(470)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기판(121)의 제2 면과 마주보는 제2 접착 부재(420)의 제1 면이 도 6과 같이 엠보싱 가공되는 경우, 제2 접착 부재(420)는 완충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제1 완충 부재(430)는 제1 접착 부재(410)의 제2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완충 부재(430)는 외부 충격을 흡수하여 제1 표시 패널(11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완충 부재(440)는 제2 접착 부재(450)의 제2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완충 부재(440)는 외부 충격을 흡수하여 제2 표시 패널(12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완충 부재(430)와 제2 완충 부재(440) 각각은 단일층 또는 복수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완충 부재(430)와 제2 완충 부재(440) 각각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등과 같은 고분자 수지로 형성되거나, 고무, 우레탄 계열 물질, 또는 아크릴 계열 물질을 발포 성형한 스폰지 등 탄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완충 부재(430)와 제2 완충 부재(440) 각각은 쿠션층일 수 있다.
제1 방열 부재(450)는 제1 완충 부재(430)와 제2 완충 부재(4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방열 부재(450)는 그라파이트나 탄소 나노 튜브 등을 포함하는 제1 방열층과 전자기파를 차폐할 수 있고 열전도성이 우수한 구리, 니켈, 페라이트, 은과 같은 금속 박막으로 형성된 제2 방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차광 부재(460)와 제2 차광 부재(470) 각각은 광의 투과를 저지하여, 제1 기판(111)의 제2 면과 제2 기판(112)의 제2 면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 회로 보드, 제1 음향 발생 장치(510), 지문 인식 센서 등이 제1 표시 패널(110)의 제1 표시 영역(DA1)에서 사용자에게 시인되거나 제2 표시 패널(120)의 제2 표시 영역(DA2)에서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차광 부재(460)와 제2 차광 부재(470) 각각은 블랙 안료나 염료 등과 같은 광 흡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111)의 제2 면과 제2 기판(112)의 제2 면 사이에는 제1 음향 발생 장치(51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음향 발생 장치(510)는 제2 표시 패널(120)의 제1 영역(A1)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패널 하부 부재(400)와 제1 음향 발생 장치(510)는 제1 표시 패널(110)의 두께 방향(Z축 방향)에서 서로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음향 발생 장치(510)는 제1 기판(111)의 제2 면과 제2 기판(112)의 제2 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는, 도 6과 같이 제1 기판(111)의 제2 면에 제1 차광 부재(460)가 배치되고 제2 기판(121)의 제2 면에 제2 차광 부재(470)가 배치되는 경우, 제1 음향 발생 장치(510)는 제1 차광 부재(460)와 제2 차광 부재(470)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2 방향(Y축 방향)의 길이는 제1 패널 하부 부재(400)의 제2 방향(Y축 방향)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음향 발생 장치(510)는 도 7 내지 도 10과 같이 인가된 구동 전압들에 따라 수축하거나 팽창하는 압전 물질을 포함하는 압전 소자(piezoelectric element, 壓電素子) 또는 압전 액츄에이터(piezoelectric actuator)일 수 있다. 또는, 제1 음향 발생 장치(510)는 도 11 내지 도 13과 같이 인가된 구동 전압들에 따라 보이스 코일을 이용하여 자력을 생성하는 여진기(Exciter)일 수 있다. 또는, 제1 음향 발생 장치(510)는 인가된 구동 전압들에 따라 보이스 코일에 자력을 생성하는 진동 모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터는 도 14와 같이 선형 공진 액츄에이터(linear resonant actuator, LRA)일 수 있다.
제1 음향 발생 장치(510)는 제1 표시 패널(110)과 제2 표시 패널(120)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므로, 인가된 구동 전압들에 따라 제1 표시 패널(110)과 제2 표시 패널(120) 중 적어도 하나를 진동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음향 발생 장치(510)에 의해 제1 표시 패널(110)과 제2 표시 패널(120) 중 적어도 하나를 진동판으로 이용함으로써 제1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폴더블 표시 장치(10)는 접힌 상태와 펼쳐진 상태 모두에서 제1 음향 발생 장치(510)에 의해 제1 표시 패널(110)과 제2 표시 패널(120) 중 적어도 하나를 진동함으로써, 제1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패널 하부 부재(400)와 제1 음향 발생 장치(510) 사이에는 갭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패널 하부 부재(400)와 제1 음향 발생 장치(510) 사이에 형성된 갭은 제1 음향 발생 장치(510)에 의해 제1 표시 패널(110)과 제2 표시 패널(120) 중 적어도 하나를 진동하여 제1 음향을 출력할 때, 울림통으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음향 발생 장치(510)는 제1 표시 패널(110)의 중앙 영역과 제2 표시 패널(120)의 제1 영역(A1)의 중앙 영역에 배치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제1 음향 발생 장치(510)의 배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패널 하부 부재(800)는 제2 표시 패널(120)의 제2 영역(A2)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패널 하부 부재(800)는 폴딩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제2 표시 패널(120)의 폴딩 영역(FA)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기판(112)의 제2 면 상에는 제2 패널 하부 부재(8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패널 하부 부재(800)의 제1 면은 제2 기판(112)의 제2 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패널 하부 부재(800)는 제3 접착 부재, 제3 완충 부재, 및 제2 방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패널 하부 부재(800)의 제3 접착 부재, 제3 완충 부재, 및 제2 방열 부재는 도 6을 결부하여 설명한 제1 접착 부재(410)와 제1 완충 부재(430)를 삭제한 제1 패널 하부 부재(4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2 패널 하부 부재(800)는 제1 패널 하부 부재(400)보다 제1 접착 부재(410)와 제1 완충 부재(430)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제2 패널 하부 부재(800)의 두께는 제1 패널 하부 부재(400)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제2 패널 하부 부재(800)의 제3 접착 부재, 제3 완충 부재, 및 제2 방열 부재는 도 6을 결부하여 설명한 제1 패널 하부 부재(400)의 제2 접착 부재(420), 제2 완충 부재(440), 및 제1 방열 부재(4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제2 패널 하부 부재(800)의 제3 접착 부재, 제3 완충 부재, 및 제2 방열 부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표시 패널(110)과 제2 표시 패널(120)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음향 발생 장치(510)를 이용하여 제1 표시 패널(110)과 제2 표시 패널(120)을 진동함에 의해 제1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그러므로, 폴더블 표시 장치(10)는 접힌 상태와 펼쳐진 상태 모두에서 제1 음향 발생 장치(510)에 의해 제1 표시 패널(110)과 제2 표시 패널(120)을 진동함으로써, 제1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제1 음향 발생 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제1 음향 발생 장치의 제1 가지 전극과 제2 가지 전극 사이에 배치된 진동층의 진동 방법을 보여주는 일 예시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7의 제1 음향 발생 장치에 의한 표시 패널의 진동을 보여주는 예시도면들이다.
도 7 내지 도 10를 참조하면, 제1 음향 발생 장치(510)는 인가된 구동 전압들에 따라 수축하거나 팽창하는 압전 물질을 이용하여 제1 표시 패널(110)과 제2 표시 패널(120)을 진동시키는 압전 소자(piezoelectric element, 壓電素子) 또는 압전 액츄에이터(piezoelectric actuator)일 수 있다. 제1 음향 발생 장치(510)는 진동층(511), 제1 전극(512), 및 제2 전극(5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512)은 제1 줄기 전극(5121)과 제1 가지 전극(512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줄기 전극(5121)은 진동층(511)의 일 측면에만 배치되거나 도 7과 같이 진동층(511)의 복수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줄기 전극(5121)은 진동층(511)의 상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가지 전극(5122)들은 제1 줄기 전극(5121)으로부터 분지될 수 있다. 제1 가지 전극(5122)들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513)은 제2 줄기 전극(5131)과 제2 가지 전극(513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줄기 전극(5131)은 진동층(511)의 다른 일 측면에 배치되거나 도 7과 같이 진동층(511)의 복수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도 7과 같이 제2 줄기 전극(5131)이 배치되는 복수의 측면들 중 어느 한 측면에는 제1 줄기 전극(5121)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줄기 전극(5131)은 진동층(51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줄기 전극(5121)과 제2 줄기 전극(5131)은 서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가지 전극(5132)들은 제2 줄기 전극(5131)으로부터 분지될 수 있다. 제2 가지 전극(5132)들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지 전극(5122)들과 제2 가지 전극(5132)들은 수평 방향(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가지 전극(5122)들과 제2 가지 전극(5132)들은 수직 방향(Z축 방향)에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가지 전극(5122)들과 제2 가지 전극(5132)들은 수직 방향(Z축 방향)에서 제1 가지 전극(5122), 제2 가지 전극(5132), 제1 가지 전극(5122), 제2 가지 전극(5132)의 순서로 반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진동층(511)은 제1 전극(512)에 인가된 제1 구동 전압과 제2 전극(513)에 인가되는 제2 구동 전압에 따라 변형되는 압전 소자일 수 있다. 이 경우, 진동층(511)은 PVDF(Poly Vinylidene Fluoride) 필름이나 PZT(Plumbum Ziconate Titanate(티탄산지르콘납)) 등의 압전체, 전기 활성 고분자(Electro Active Polymer)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진동층(511)은 제1 가지 전극(5122)들과 제2 가지 전극(5132)들 사이마다 배치될 수 있다. 진동층(511)의 제조 온도가 높기 때문에, 제1 전극(512)과 제2 전극(513)은 녹는점이 높은 은(Ag) 또는 은(Ag)과 팔라듐(Pd)의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512)과 제2 전극(513)의 녹는점을 높이기 위해, 제1 전극(512)과 제2 전극(513)이 은(Ag)과 팔라듐(Pd)의 합금으로 형성되는 경우, 은(Ag)의 함량이 팔라듐(Pd)의 함량보다 높을 수 있다.
제1 전극(512)과 제2 전극(513)은 음향 회로 보드에 연결되어 음향 회로 보드로부터 구동 전압들을 인가받을 수 있다. 진동층(511)은 제1 전극(512)의 제1 가지 전극(5122)에 인가되는 제1 구동 전압과 제2 전극(513)의 가지 전극(5132)에 인가되는 제2 구동 전압 간의 차이에 따라 수축하거나 팽창한다.
구체적으로, 도 8에서 제1 가지 전극(5122)과 제1 가지 전극(5122)의 하부에 배치된 제2 가지 전극(5132) 사이에 배치된 진동층(511)의 극성 방향은 상부 방향(↑)인 경우, 진동층(511)은 제1 가지 전극(5122)에 인접한 상부 영역에서 정극성을 가지며, 제2 가지 전극(5132)에 인접한 하부 영역에서 부극성을 가진다. 또한, 도 8에서 제2 가지 전극(5132)과 제2 가지 전극(5132)의 하부에 배치된 제1 가지 전극(5122) 사이에 배치된 진동층(511)의 극성 방향은 하부 방향(↓)인 경우, 진동층(511)은 제2 가지 전극(5132)에 인접한 상부 영역에서 부극성을 가지며, 제1 가지 전극(5122)에 인접한 하부 영역에서 정극성을 가진다. 진동층(511)의 극성 방향은 제1 가지 전극(5122)과 제2 가지 전극(5132)을 이용하여 진동층(511)에 전계를 가하는 폴링(poling) 공정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도 8과 같이 제1 가지 전극(5122)과 제1 가지 전극(5122)의 하부에 배치된 제2 가지 전극(5132) 사이에 배치된 진동층(511)의 극성 방향이 상부 방향(↑)인 경우, 제1 가지 전극(5122)에 정극성의 제1 구동 전압이 인가되며, 제2 가지 전극(5132)에 부극성의 제2 구동 전압이 인가되면, 진동층(511)은 제1 힘(F1)에 따라 수축될 수 있다. 제1 힘(F1)은 수축력일 수 있다. 또한, 제1 가지 전극(5122)에 부극성의 제1 구동 전압이 인가되며, 제2 가지 전극(5132)에 정극성의 제2 구동 전압이 인가되면, 진동층(511)은 제2 힘(F2)에 따라 팽창할 수 있다. 제2 힘(F2)은 신장력일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가지 전극(5132)과 제2 가지 전극(5132)의 하부에 배치된 제1 가지 전극(5122) 사이에 배치된 진동층(511)의 극성 방향이 하부 방향(↓)인 경우, 제2 가지 전극(5132)에 정극성의 제1 구동 전압이 인가되며, 제1 가지 전극(5122)에 부극성의 제2 구동 전압이 인가되면, 진동층(511)은 신장력에 따라 팽창할 수 있다. 또한, 제2 가지 전극(5132)에 부극성의 제1 구동 전압이 인가되며, 제1 가지 전극(5122)에 정극성의 제2 구동 전압이 인가되면, 진동층(511)은 수축력에 따라 수축될 수 있다. 제2 힘(F2)은 수축력일 수 있다.
도 8과 같이 제1 전극(512)에 인가되는 제1 구동 전압과 제2 전극(513)에 인가되는 제2 구동 전압이 정극성과 부극성으로 교대로 반복되는 경우, 진동층(511)은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1 음향 발생 장치(510)는 진동하게 된다.
제1 음향 발생 장치(510)가 제1 기판(111)의 제2 면과 제2 기판(112)의 제2 면에 부착되므로, 제1 음향 발생 장치(510)의 진동층(511)이 수축과 팽창하는 경우, 제1 표시 패널(110)과 제2 표시 패널(120)은 도 9 및 도 10과 같이 응력에 의해 하부와 상부로 진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음향 발생 장치(510)에 의해 제1 표시 패널(110)과 제2 표시 패널(120)이 진동할 수 있으므로, 폴더블 표시 장치(10)는 제1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1은 도 6의 제1 음향 발생 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면이다. 도 12와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음향 발생 장치에 의한 표시 패널의 진동을 보여주는 예시도면들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제1 음향 발생 장치(510)는 인가된 구동 전압들에 따라 보이스 코일을 이용함으로써 자력을 생성하여 진동하는 여진기(Exciter)일 수 있다.
제1 음향 발생 장치(510)는 마그넷(magnet, 521), 보빈(522), 보이스 코일(523), 댐퍼(524), 및 하부 플레이트(525)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넷(521)은 영구 자석으로, 바륨 훼라이트(barium ferrite) 등 소결(燒結) 자석을 이용할 수 있다. 마그넷(521)의 재질은 삼산화이철(Fe2O3), 탄산바륨(BaCO3), 네오디뮴 자석, 자력 성분이 개선된 스트론튬 훼라이트(strontium ferrite), 알루미늄(Al), 니켈(Ni), 또는 코발트(Co)의 합금 주조 자석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네오디뮴 자석은 예를 들면 네오디뮴-철-붕소(Nd-Fe-B)일 수 있다.
마그넷(521)은 하부 플레이트(525)에 접착 부재를 통해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마그넷(521)은 플레이트(521a), 플레이트(521a)의 중앙으로부터 돌출된 중앙 돌출부(521b), 및 플레이트(521a)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된 측벽부(521c)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돌출부(521b)와 측벽부(521c)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중앙 돌출부(521b)와 측벽부(521c)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마그넷(521)은 원기둥 형태를 가지며, 구체적으로 원기둥의 어느 한 밑면에는 원 형태의 공간이 형성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마그넷(521)의 중앙 돌출부(521b)는 N극의 자성을 갖고, 플레이트(521a)와 측벽부(521c)는 S극의 자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마그넷(521)의 중앙 돌출부(521b)와 플레이트(521a) 사이와 중앙 돌출부(521b)와 측벽부(521c) 사이에는 외부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보빈(522)은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빈(522)의 내부에는 마그넷(521)의 중앙 돌출부(521b)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보빈(522)은 마그넷(521)의 중앙 돌출부(521b)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보빈(522)의 외부에는 마그넷(521)의 측벽부(521c)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마그넷(521)의 측벽부(521c)는 보빈(522)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빈(522)과 마그넷(521)의 중앙 돌출부(521b) 사이와 보빈(522)과 마그넷(521)의 측벽부(521c)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보빈(522)은 펄프 또는 종이를 가공한 재질,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 또는 그 합금,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등의 합성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polyamide)계 섬유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빈(522)의 일 단은 접착 부재를 이용하여 제1 기판(111)의 제2 면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제1 기판(111)의 제2 면에 도 6과 같이 제1 차광 부재(460)가 배치되는 경우, 보빈(522)의 일 단은 접착 부재를 이용하여 제1 차광 부재(460)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접착 부재는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보이스 코일(523)은 보빈(522)의 외주면에 권취(또는 권선)된다. 보빈(522)의 일 단에 인접한 보이스 코일(523)의 일 단은 제1 구동 전압을 인가받고, 보빈(522)의 타 단에 인접한 보이스 코일(523)의 타 단은 제2 구동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구동 전압과 제2 구동 전압에 따라 보이스 코일(523)에는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보이스 코일(523)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보이스 코일(523) 주위에는 인가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구동 전압이 정극성의 전압이고 제2 구동 전압이 부극성의 전압인 경우와 제1 구동 전압이 부극성의 전압이고 제2 구동 전압이 정극성의 전압인 경우 보이스 코일(523)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반대가 된다. 그러므로, 제1 구동 전압과 제2 구동 전압의 교류 구동에 따라 보이스 코일(523) 주위에 형성되는 인가 자기장의 N극과 S극은 변경되며, 이로 인해 마그넷(521)과 보이스 코일(523)은 인력과 척력이 교대로 작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마그넷(521)과 보이스 코일(523)이 권취된 보빈(522)은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댐퍼(524)는 보빈(522)과 하부 플레이트(525) 사이에 배치된다. 댐퍼(524)는 보빈(522)의 상하 운동에 따라 수축 및 이완하면서 보빈(522)의 상하 진동을 조절한다. 즉, 댐퍼(524)가 보빈(522)과 하부 플레이트(525)에 연결되기 때문에 보빈(522)의 상하 운동은 댐퍼(524)의 복원력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빈(522)이 일정 높이 이상으로 진동하거나 일정 높이 이하로 진동할 경우 댐퍼(524)의 복원력에 의해 보빈(522)은 원위치로 원상 복귀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525)는 마그넷(521)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525)는 마그넷(521)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마그넷(521)과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525)가 마그넷(521)과 별도로 형성되는 경우, 마그넷(521)은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 부재를 통해 하부 플레이트(525)에 접착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525)는 스크루(screw)와 같은 고정 부재(216)를 통해 제2 기판(121)의 제2 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제2 기판(121)의 제2 면에 도 6과 같이 제2 차광 부재(470)가 배치되는 경우, 하부 플레이트(525)는 스크루(screw)와 같은 고정 부재(216)를 통해 제2 차광 부재(47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마그넷(521)은 하부 플레이트(525)와 함께 제2 기판(121)에 고정되고, 보빈(522)은 제1 기판(111)에 고정되므로, 도 12 및 도 13과 같이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제1 음향 발생 장치(510)에 의해 제1 표시 패널(110)과 제2 표시 패널(120)이 진동할 수 있으므로, 폴더블 표시 장치(10)는 제1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4는 도 6의 제1 음향 발생 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면이다. 도 14에는 제1 음향 발생 장치(510)가 선형 공진 액츄에이터(LRA)인 경우의 일 예를 도시하였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 음향 발생 장치(510)는 하부 섀시(611), 연성 회로 보드(612), 보이스 코일(613), 마그넷(614), 스프링(615), 및 상부 섀시(616)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섀시(611)와 상부 섀시(616)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연성 회로 보드(612)는 상부 섀시(616)와 마주보는 하부 섀시(611)의 일면 상에 배치되며, 제1 음향 배선(WL1) 및 제2 음향 배선(WL2)에 접속된다. 보이스 코일(613)은 상부 섀시(616)와 마주보는 연성 회로 보드(612)의 일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보이스 코일(613)의 일 단은 제1 음향 배선(WL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 단은 제2 음향 배선(WL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마그넷(614)은 영구 자석으로, 보이스 코일(613)과 마주보는 일면에는 보이스 코일(613)이 수납되는 보이스 코일 홈(641)이 형성될 수 있다. 마그넷(614)과 상부 섀시(616) 사이에는 스프링(615)이 배치된다.
제1 음향 배선(WL1)에 인가되는 제1 구동 전압과 제2 음향 배선(WL2)에 인가되는 제2 구동 전압에 따라 제1 음향 발생 장치(240)의 보이스 코일(613)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보이스 코일(613)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보이스 코일(613) 주위에는 인가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구동 전압이 정극성의 전압이고 제2 구동 전압이 부극성의 전압인 경우와 제1 구동 전압이 부극성의 전압이고 제2 구동 전압이 정극성의 전압인 경우 보이스 코일(523)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반대가 된다. 제1 구동 전압과 제2 구동 전압의 교류 구동에 따라 마그넷(614)과 보이스 코일(613)은 인력과 척력이 교대로 작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마그넷(614)은 스프링(615)에 의해 보이스 코일(613)과 상부 섀시(616) 사이에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섀시(616) 상에 배치된 제1 표시 패널(110)이 진동함으로써 제1 음향이 출력될 수 있다.
도 14와 같이 제1 음향 발생 장치(510)가 선형 공진 액츄에이터(LRA)인 경우, 제1 음향 발생 장치(510)는 제1 기판(111)의 제2 면에만 부착되고, 제1 음향 발생 장치(510)와 제2 기판(121)의 제2 면 사이에는 갭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 음향 발생 장치(510)는 제2 표시 패널(120)은 진동하지 않고, 제1 표시 패널(110)을 진동하여 제1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5는 도 3과 도 4의 A 영역의 일 예를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1 음향 발생 장치(510)와 제1 기판(111)의 제2 면 사이에 제1 보강 부재(710)가 배치되고, 제1 음향 발생 장치(510)와 제2 기판(121)의 제2 면 사이에 제2 보강 부재(720)가 배치되는 것에서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도 15에서는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점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 보강 부재(710)는 제1 음향 발생 장치(510)와 제1 기판(111)의 제2 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보강 부재(710)는 제1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1 면의 일 측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강 부재(710)는 제1 음향 발생 장치(510)의 상면의 좌측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보강 부재(710)의 제1 방향(X축 방향)의 길이는 제1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1 방향(X축 방향)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제1 보강 부재(710)의 제2 방향(Y축 방향)의 길이는 제1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2 방향(Y축 방향)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제1 보강 부재(710)의 제3 방향(Z축 방향)의 길이는 제1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3 방향(Z축 방향)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제2 보강 부재(720)는 제1 음향 발생 장치(510)와 제2 기판(121)의 제2 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보강 부재(720)는 제1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2 면의 타 측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보강 부재(720)는 제1 음향 발생 장치(510)의 하면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보강 부재(720)의 제1 방향(X축 방향)의 길이는 제1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1 방향(X축 방향)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제2 보강 부재(720)의 제2 방향(Y축 방향)의 길이는 제1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2 방향(Y축 방향)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제2 보강 부재(720)의 제3 방향(Z축 방향)의 길이는 제1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3 방향(Z축 방향)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제1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2 방향(Y축 방향)의 길이, 제1 보강 부재(710)의 제2 방향(Y축 방향)의 길이, 및 제2 보강 부재(720)의 제2 방향(Y축 방향)의 길이는 제1 패널 하부 부재(400)의 제2 방향(Y축 방향)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보강 부재(710)의 제2 방향(Y축 방향)의 길이는 제2 보강 부재(720)의 제2 방향(Y축 방향)의 길이와 상이할 수 있다.
제1 보강 부재(710)와 제2 보강 부재(720)는 소정의 무게를 갖는 금속 물질일 수 있다. 또는, 제1 보강 부재(710)와 제2 보강 부재(720)는 탄성을 갖는 물질일 수 있다.
제1 보강 부재(710)로 인하여, 제1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1 면과 제1 기판(111)의 제2 면 사이에는 제1 음향 발생 장치(510)가 진동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 보강 부재(720)로 인하여, 제1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2 면과 제2 기판(121)과 제2 면 사이에는 제1 음향 발생 장치(510)가 진동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음향 발생 장치(510)의 진동 강도를 높일 수 있으며, 제1 음향 발생 장치(510)에 의해 저주파수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6과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접힌 구조와 펼쳐진 구조를 보여주는 일 측 단면도들이다. 도 16은 도 1의 Ⅰ-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2의 Ⅱ-Ⅱ’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3과 도 4의 A’ 영역의 일 예를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1 음향 발생 장치(510)가 제1 기판(111)의 제2 면에 부착되고, 제2 음향 발생 장치(520)가 제2 기판(121)의 제2 면에 부착되는 것에서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도 16 내지 도 18에서는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제1 기판(111)의 제2 면과 제2 기판(112)의 제2 면 사이에는 제1 음향 발생 장치(501)와 제2 음향 발생 장치(50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음향 발생 장치(501)와 제2 음향 발생 장치(502)는 제2 표시 패널(120)의 제1 영역(A1)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패널 하부 부재(400)와 제1 음향 발생 장치(501)는 제1 표시 패널(110)의 두께 방향(Z축 방향)에서 서로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패널 하부 부재(400)와 제2 음향 발생 장치(502)는 제1 표시 패널(110)의 두께 방향(Z축 방향)에서 서로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음향 발생 장치(501)와 제2 음향 발생 장치(502)는 제1 표시 패널(110)의 두께 방향(Z축 방향)에서 서로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음향 발생 장치(501)는 제1 기판(111)의 제2 면에 부착되고, 제2 음향 발생 장치(502)는 제2 기판(112)의 제2 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는, 도 6과 같이 제1 기판(111)의 제2 면에 제1 차광 부재(460)가 배치되고 제2 기판(121)의 제2 면에 제2 차광 부재(470)가 배치되는 경우, 제1 음향 발생 장치(501)는 제1 차광 부재(460)에 부착되고, 제2 음향 발생 장치(502)는 제2 차광 부재(470)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음향 발생 장치(501)의 제2 방향(Y축 방향)의 길이는 제1 패널 하부 부재(400)의 제2 방향(Y축 방향)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제2 음향 발생 장치(502)의 제2 방향(Y축 방향)의 길이는 제1 패널 하부 부재(400)의 제2 방향(Y축 방향)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제1 음향 발생 장치(501)는 도 7 내지 도 10과 같이 인가된 구동 전압들에 따라 수축하거나 팽창하는 압전 물질을 포함하는 압전 소자(piezoelectric element, 壓電素子) 또는 압전 액츄에이터(piezoelectric actuator)일 수 있다. 이때, 제1 음향 발생 장치(501)는 제2 기판(112)의 제2 면에 부착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2 기판(121)의 제2 면에 제2 차광 부재(470)가 형성되는 경우, 제1 음향 발생 장치(501)는 제2 차광 부재(470)에 부착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음향 발생 장치(501)와 제2 기판(121)의 제2 면 또는 제2 차광 부재(470) 사이에 갭이 존재할 수 있다.
제1 음향 발생 장치(501)는 제1 표시 패널(110)에 고정되므로, 인가된 구동 전압들에 따라 수축하거나 팽창함으로써 제1 표시 패널(110)을 진동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음향 발생 장치(501)에 의해 제1 표시 패널(110)을 진동판으로 이용함으로써 제1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제2 음향 발생 장치(502)는 도 7 내지 도 10과 같이 인가된 구동 전압들에 따라 수축하거나 팽창하는 압전 물질을 포함하는 압전 소자(piezoelectric element, 壓電素子) 또는 압전 액츄에이터(piezoelectric actuator)일 수 있다. 이때, 제2 음향 발생 장치(502)는 제1 기판(111)의 제2 면에 부착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111)의 제2 면에 제1 차광 부재(460)가 형성되는 경우, 제2 음향 발생 장치(502)는 제1 차광 부재(460)에 부착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음향 발생 장치(502)와 제1 기판(111)의 제2 면 또는 제1 차광 부재(460) 사이에 갭이 존재할 수 있다.
제2 음향 발생 장치(502)는 제2 표시 패널(120)에 고정되므로, 인가된 구동 전압들에 따라 수축하거나 팽창함으로써 제2 표시 패널(120)을 진동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 음향 발생 장치(502)에 의해 제2 표시 패널(120)을 진동판으로 이용함으로써 제2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폴더블 표시 장치(10)는 접힌 상태에서 제1 표시 패널(110)에 제1 영상을 표시하며, 제1 음향 발생 장치(501)에 의해 제1 표시 패널(110)을 진동하여 제1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폴더블 표시 장치(10)는 펼쳐진 상태에서 제2 표시 패널(120)에 제2 영상을 표시하며, 제2 음향 발생 장치(502)에 의해 제2 표시 패널(120)을 진동하여 제2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패널 하부 부재(400)와 제1 음향 발생 장치(501) 사이, 제1 패널 하부 부재(400)와 제2 음향 발생 장치(502) 사이, 및 제1 음향 발생 장치(501)와 제2 음향 발생 장치(502) 사이에는 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갭은 제1 음향 발생 장치(501)에 의해 제1 표시 패널(110)을 진동하여 제1 음향을 출력할 때와 제2 음향 발생 장치(502)에 의해 제2 표시 패널(120)을 진동하여 제2 음향을 출력할 때, 울림통으로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표시 패널(110)에 부착되는 제1 음향 발생 장치(501)를 이용하여 제1 표시 패널(110)을 진동함에 의해 제1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2 표시 패널(120)에 부착되는 제2 음향 발생 장치(502)를 이용하여 제2 표시 패널(120)을 진동함에 의해 제2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그러므로, 폴더블 표시 장치(10)는 접힌 상태와 펼쳐진 상태 모두에서 제1 음향 발생 장치(501)에 의해 제1 표시 패널(110)을 진동하여 제1 음향을 출력하고, 제2 음향 발생 장치(502)에 의해 제2 표시 패널(120)을 진동하여 제2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9와 도 20은 도 1과 도 2의 폴더블 표시 장치의 접힌 구조와 펼쳐진 구조를 보여주는 일 측 단면도들이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실시예는 폴더블 표시 장치(10)가 제2 음향 발생 장치(520)와 제3 음향 발생 장치(530)를 더 구비하는 것에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도 19와 도 20에서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도 3과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와 도 20을 참조하면, 제2 음향 발생 장치(520)는 제1 기판(111)의 제2 면과 제2 기판(112)의 제2 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음향 발생 장치(510)는 제2 표시 패널(120)의 제1 영역(A1)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패널 하부 부재(400)와 제2 음향 발생 장치(520)는 제1 표시 패널(110)의 두께 방향(Z축 방향)에서 서로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음향 발생 장치(520)는 제1 기판(111)의 제2 면과 제2 기판(112)의 제2 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는, 도 6과 같이 제1 기판(111)의 제2 면에 제1 차광 부재(460)가 배치되고 제2 기판(121)의 제2 면에 제2 차광 부재(470)가 배치되는 경우, 제2 음향 발생 장치(520)는 제1 차광 부재(460)와 제2 차광 부재(470)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음향 발생 장치(520)의 제2 방향(Y축 방향)의 길이는 제1 패널 하부 부재(400)의 제2 방향(Y축 방향)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3 음향 발생 장치(530)는 제2 기판(112)의 제2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음향 발생 장치(530)는 제2 표시 패널(120)의 제2 영역(A2)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패널 하부 부재(800)와 제3 음향 발생 장치(530)는 제2 표시 패널(120)의 두께 방향(Z축 방향)에서 서로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제3 음향 발생 장치(530)는 제2 기판(112)의 제2 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는, 도 6과 같이 제2 기판(121)의 제2 면에 제2 차광 부재(470)가 배치되는 경우, 제3 음향 발생 장치(530)는 제2 차광 부재(470)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음향 발생 장치(510)는 제1 표시 패널(110)의 좌측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2 음향 발생 장치(520)는 제1 표시 패널(110)의 우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제3 음향 발생 장치(530)는 제2 표시 패널(120)이 접힌 상태에서 제1 표시 패널(110)의 좌측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2 표시 패널(120)이 펼쳐진 상태에서 제2 표시 패널(120)의 우측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음향 발생 장치(510)와 제3 음향 발생 장치(530)는 제2 표시 패널(120)이 접힌 상태에서 제1 표시 패널(110)의 두께 방향(Z축 방향)에서 중첩될 수 있다. 제2 음향 발생 장치(520)는 제2 표시 패널(120)이 펼쳐진 상태에서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제1 음향 발생 장치(510)와 제3 음향 발생 장치(5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발생 장치(520)와 제3 음향 발생 장치(530)는 도 7 내지 도 10과 같이 인가된 구동 전압들에 따라 수축하거나 팽창하는 압전 물질을 포함하는 압전 소자(piezoelectric element, 壓電素子) 또는 압전 액츄에이터(piezoelectric actuator)일 수 있다. 또는, 제2 음향 발생 장치(520)와 제3 음향 발생 장치(530)는 도 11 내지 도 13과 같이 인가된 구동 전압들에 따라 보이스 코일을 이용하여 자력을 생성하는 여진기(Exciter)일 수 있다. 또는, 제2 음향 발생 장치(520)와 제3 음향 발생 장치(530)는 인가된 구동 전압들에 따라 보이스 코일에 자력을 생성하는 진동 모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터는 도 14와 같이 선형 공진 액츄에이터(linear resonant actuator, LRA)일 수 있다.
제3 음향 발생 장치(530)는 제2 기판(112)의 제2 면에만 부착되므로, 도 7 내지 도 10, 및 도 11 내지 도 13에서는 제3 음향 발생 장치(530)는 제1 기판(111)의 제2 면에 부착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111)의 제2 면에 제1 차광 부재(460)가 형성되는 경우, 제3 음향 발생 장치(530)는 제1 차광 부재(460)에 부착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제2 음향 발생 장치(520)는 제1 표시 패널(110)과 제2 표시 패널(120)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므로, 인가된 구동 전압들에 따라 제1 표시 패널(110)과 제2 표시 패널(120) 중 적어도 하나를 진동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 음향 발생 장치(520)에 의해 제1 표시 패널(110)과 제2 표시 패널(120) 중 적어도 하나를 진동판으로 이용함으로써 제2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폴더블 표시 장치(10)는 접힌 상태와 펼쳐진 상태 모두에서 제2 음향 발생 장치(520)에 의해 제1 표시 패널(110)과 제2 표시 패널(120) 중 적어도 하나를 진동함으로써, 제2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제3 음향 발생 장치(530)는 제2 표시 패널(120)에 고정되므로, 인가된 구동 전압들에 따라 수축하거나 팽창함으로써 제2 표시 패널(120)을 진동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3 음향 발생 장치(530)에 의해 제2 표시 패널(120)을 진동판으로 이용함으로써 제3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폴더블 표시 장치(10)는 접힌 상태와 펼쳐진 상태 모두에서 제3 음향 발생 장치(530)에 의해 제2 표시 패널(120)을 진동함으로써, 제3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패널 하부 부재(400)와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사이에는 갭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패널 하부 부재(400)와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사이에 형성된 갭은 제2 음향 발생 장치(520)에 의해 제1 표시 패널(110)과 제2 표시 패널(120) 중 적어도 하나를 진동하여 제2 음향을 출력할 때, 울림통으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패널 하부 부재(800)와 제3 음향 발생 장치(530) 사이에는 갭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패널 하부 부재(800)와 제3 음향 발생 장치(530) 사이에 형성된 갭은 제3 음향 발생 장치(530)에 의해 제2 표시 패널(120)을 진동하여 제3 음향을 출력할 때, 울림통으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표시 패널(120)이 접힌 상태에서, 제1 음향 발생 장치(510)는 제1 스테레오 음향을 출력하고, 제2 음향 발생 장치(520)는 제2 스테레오 음향을 출력하며, 제3 음향 발생 장치(530)는 저음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음향 발생 장치(510)는 좌측 스테레오 음향을 출력하고, 제2 음향 발생 장치(520)는 우측 스테레오 음향을 출력하며, 제3 음향 발생 장치(530)는 저음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2.1 채널의 입체 음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2 표시 패널(120)이 펼쳐진 상태에서, 제1 음향 발생 장치(510)는 제1 스테레오 음향을 출력하고, 제2 음향 발생 장치(520)는 저음을 출력하며, 제3 음향 발생 장치(530)는 제2 스테레오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음향 발생 장치(510)는 좌측 스테레오 음향을 출력하고, 제2 음향 발생 장치(520)는 저음을 출력하며, 제3 음향 발생 장치(530)는 우측 스테레오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2.1 채널의 입체 음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음향 제공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는 제1 표시 패널(110), 제1 데이터 구동부(2320), 제1 스캔 구동부(2330), 제1 타이밍 제어부(2340), 제2 표시 패널(120), 제2 데이터 구동부(2420), 제2 스캔 구동부(2430), 제2 타이밍 제어부(2440), 제1 음향 발생 장치(510),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제3 음향 발생 장치(530), 프로세서(2100), 폴딩 센싱부(2200), 및 음향 구동부(2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 패널(110)은 화소(P)들이 형성되어 화상을 표시하는 제1 표시 영역(DA1)을 포함한다. 제1 표시 패널(110)은 데이터 라인들, 데이터 라인들과 교차되는 스캔 라인들, 및 데이터 라인들과 스캔 라인들에 접속된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들 각각은 도 5와 같이 복수의 서브 화소들(PX1, PX2, PX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화소들(PX1, PX2, PX3) 각각은 데이터 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와 스캔 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에 접속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화소들(PX1, PX2, PX3) 각각은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와 유기 발광 소자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트랜지스터들과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는 제1 전극, 유기 발광층,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제1 데이터 구동부(2320)는 제1 타이밍 제어부(2340)로부터 제1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ATA1)와 제1 소스 제어 신호(DCS1)를 입력 받는다. 제1 데이터 구동부(2320)는 제1 소스 제어 신호(DCS1)에 따라 제1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ATA1)를 제1 아날로그 데이터 전압들(DV1)로 변환하여 제1 표시 패널(110)의 데이터 라인들에 공급한다.
제1 스캔 구동부(2330)는 제1 타이밍 제어부(2340)로부터 제1 스캔 제어 신호(SCS1)를 입력 받는다. 제1 스캔 구동부(2330)는 제1 스캔 제어 신호(SCS1)에 따라 스캔 신호들을 생성하여 제1 표시 패널(110)의 스캔 라인들에 공급한다. 제1 스캔 구동부(2330)는 다수의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여 제1 표시 패널(110)의 비표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1 스캔 구동부(2330)는 집적 회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표시 패널(110)의 하부 기판(111)에 부착되는 게이트 연성 필름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타이밍 제어부(2340)는 프로세서(2100)로부터 제1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ATA1)와 제1 타이밍 신호들(TS1)을 입력 받는다. 제1 타이밍 신호들(TS1)은 수직동기신호(vertical sync sig1nal), 수평동기신호(horizontal sync signal),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ata enable signal), 및 도트 클럭(dot clock)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타이밍 제어부(2340)는 제1 데이터 구동부(2320)와 제1 스캔 구동부(233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 신호들을 생성한다. 타이밍 제어 신호들은 제1 데이터 구동부(232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소스 제어 신호(DCS1)와 제1 스캔 구동부(233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스캔 제어 신호(SCS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표시 패널(120)은 화소(P)들이 형성되어 화상을 표시하는 제2 표시 영역(DA2)을 포함한다. 제2 표시 패널(120)은 데이터 라인들, 데이터 라인들과 교차되는 스캔 라인들, 및 데이터 라인들과 스캔 라인들에 접속된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들 각각은 도 5와 같이 복수의 서브 화소들(PX1, PX2, PX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화소들(PX1, PX2, PX3) 각각은 데이터 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와 스캔 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에 접속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화소들(PX1, PX2, PX3) 각각은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와 유기 발광 소자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트랜지스터들과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는 제1 전극, 유기 발광층,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제2 데이터 구동부(2420)는 제2 타이밍 제어부(2440)로부터 제2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ATA2)와 제2 소스 제어 신호(DCS2)를 입력 받는다. 제2 데이터 구동부(2420)는 제2 소스 제어 신호(DCS2)에 따라 제2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ATA2)를 제2 아날로그 데이터 전압들(DV2)로 변환하여 제2 표시 패널(120)의 데이터 라인들에 공급한다.
제2 스캔 구동부(2430)는 제2 타이밍 제어부(2440)로부터 제2 스캔 제어 신호(SCS2)를 입력 받는다. 제2 스캔 구동부(2430)는 제2 스캔 제어 신호(SCS2)에 따라 스캔 신호들을 생성하여 제2 표시 패널(120)의 스캔 라인들에 공급한다. 제2 스캔 구동부(2430)는 다수의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여 제2 표시 패널(120)의 비표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2 스캔 구동부(2430)는 집적 회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표시 패널(120)의 하부 기판(111)에 부착되는 게이트 연성 필름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제2 타이밍 제어부(2440)는 프로세서(2100)로부터 제2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ATA2)와 제2 타이밍 신호들(TS2)을 입력 받는다. 제2 타이밍 신호들(TS2)은 수직동기신호(vertical sync signal), 수평동기신호(horizontal sync signal),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ata enable signal), 및 도트 클럭(dot clock)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타이밍 제어부(2440)는 제2 데이터 구동부(2420)와 제2 스캔 구동부(243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 신호들을 생성한다. 타이밍 제어 신호들은 제2 데이터 구동부(242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소스 제어 신호(DCS2)와 제2 스캔 구동부(243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스캔 제어 신호(SCS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음향 발생 장치(510),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및 제3 음향 발생 장치(530) 각각은 도 7 내지 도 10과 같이 인가된 구동 전압들에 따라 수축하거나 팽창하는 압전 물질을 포함하는 압전 소자(piezoelectric element, 壓電素子) 또는 압전 액츄에이터(piezoelectric actuator), 도 11 내지 도 13과 같이 인가된 구동 전압들에 따라 보이스 코일을 이용하여 자력을 생성하는 여진기(Exciter), 또는 인가된 구동 전압들에 따라 보이스 코일에 자력을 생성하는 진동 모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터는 도 14와 같이 선형 공진 액츄에이터(linear resonant actuator, LRA)일 수 있다.
제1 음향 발생 장치(510)는 음향 구동부(2500)로부터 제1 음향 신호(SV1)을 입력 받는다. 제1 음향 발생 장치(510)는 제1 음향 신호(SV1)에 따라 제1 표시 패널(110)과 제2 표시 패널(120) 중 적어도 하나를 진동하여 제1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제2 음향 발생 장치(520)는 음향 구동부(2500)로부터 제2 음향 신호(SV2)을 입력 받는다. 제2 음향 발생 장치(520)는 제2 음향 신호(SV2)에 따라 제1 표시 패널(110)과 제2 표시 패널(120) 중 적어도 하나를 진동하여 제2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제3 음향 발생 장치(530)는 음향 구동부(2500)로부터 제3 음향 신호(SV3)을 입력 받는다. 제3 음향 발생 장치(530)는 제3 음향 신호(SV3)에 따라 제2 표시 패널(120)을 진동하여 제3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음향 신호(SV1), 제2 음향 신호(SV2), 및 제3 음향 신호(SV3) 각각은 제1 구동 전압과 제2 구동 전압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구동부(2500)는 프로세서(2100)로부터 제1 음향 데이터(SDATA1)를 입력 받는다. 음향 구동부(2500)는 제1 음향 데이터(SDATA1)에 따라 제1 음향 발생 장치(510)에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인 제1 음향 신호(SV1)를 생성할 수 있다. 음향 구동부(2500)는 제2 음향 데이터(SDATA2)에 따라 제2 음향 발생 장치(520)에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인 제2 음향 신호(SV2)를 생성할 수 있다. 음향 구동부(2500)는 제3 음향 데이터(SDATA3)에 따라 제3 음향 발생 장치(530)에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인 제3 음향 신호(SV3)를 생성할 수 있다.
음향 구동부(2500)는 디지털 신호인 제1 내지 제3 음향 데이터(SDATA1, SDATA2, SDATA3)를 원하는 방향으로 수정하거나 개선할 목적으로 알고리즘에 의해 수치적으로 처리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digital signal processer, DSP), 디지털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제1 내지 제3 음향 데이터(SDATA1, SDATA2, SDATA3)를 아날로그 신호인 제1 내지 제3 음향 신호들(SV1, SV2, SV3)로 변환하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digital analog converter, DAC),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에서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기(amplifier, AM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0)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ATA)를 제1 표시 패널(110)과 제2 표시 패널(120)의 해상도에 맞게 변환하기 위한 스케일러(scal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0)는 화상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ATA)를 변환하기 위한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0)는 제1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ATA1)와 제1 타이밍 신호들(TS1)을 제1 타이밍 제어부(2340)로 출력한다. 프로세서(2100)는 제2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ATA2)와 제2 타이밍 신호들(TS2)을 제2 타이밍 제어부(2440)로 출력한다.
프로세서(2100)는 폴딩 센싱부(2200)의 폴딩 센싱 신호(FSS)에 따라 제2 표시 패널(120)의 폴딩 영역(FA)이 폴딩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0)는 제1 로직 레벨 전압의 폴딩 센싱 신호(FSS)가 입력되는 경우 제2 표시 패널(120)의 폴딩 영역(FA)이 폴딩되었다고 판단하고, 제2 로직 레벨 전압의 폴딩 센싱 신호(FSS)가 입력되는 경우 제2 표시 패널(120)의 폴딩 영역(FA)이 언폴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0)는 제2 표시 패널(120)의 폴딩 영역(FA)이 폴딩된 경우 제1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ATA1)와 제1 타이밍 신호들(TS1)을 제1 타이밍 제어부(2340)로 출력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1 표시 패널(110)의 제1 표시 영역(DA1)에 제1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도 22의 S101 및 S102)
프로세서(2100)는 제2 표시 패널(120)의 폴딩 영역(FA)이 언폴딩된 경우 제2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ATA2)와 제2 타이밍 신호들(TS2)을 제2 타이밍 제어부(2440)로 출력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2 표시 패널(120)의 제2 표시 영역(DA2)에 제2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도 22의 S104 및 S105)
또한, 프로세서(2100)는 폴딩 센싱부(2200)의 폴딩 센싱 신호(FSS)에 따라 제1 음향 데이터(SDATA1), 제2 음향 데이터(SDATA2), 및 제3 음향 데이터(SDATA3)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0)는 제2 표시 패널(120)의 폴딩 영역(FA)이 폴딩된 경우 제1 음향 발생 장치(510)에 의해 제1 스테레오 음향이 출력되고, 제2 음향 발생 장치(520)에 의해 제2 스테레오 음향이 출력되며, 제3 음향 발생 장치(530)에 의해 저음이 출력되도록 제1 음향 데이터(SDATA1), 제2 음향 데이터(SDATA2), 및 제3 음향 데이터(SDATA3)를 출력할 수 있다. (도 22의 S103)
프로세서(2100)는 제2 표시 패널(120)의 폴딩 영역(FA)이 언폴딩된 경우, 제1 음향 발생 장치(510)에 의해 제1 스테레오 음향이 출력되고, 제2 음향 발생 장치(520)에 의해 저음이 출력되며, 제3 음향 발생 장치(530)에 의해 제2 스테레오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1 음향 데이터(SDATA1), 제2 음향 데이터(SDATA2), 및 제3 음향 데이터(SDATA3)를 출력할 수 있다. (도 22의 S106)
폴딩 센싱부(2200)는 제2 표시 패널(120)의 폴딩 영역(FA)의 폴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딩 센싱부(2200)는 폴딩 영역(FA)에 마련된 폴딩 라인에 인가된 전압의 변화에 따라 폴딩 영역(FA)의 폴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폴딩 센싱부(2200)는 제2 표시 패널(120)의 폴딩 영역(FA)이 폴딩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1 로직 레벨 전압의 폴딩 센싱 신호(FSS)를 출력할 수 있다. 폴딩 센싱부(2200)는 제2 표시 패널(120)의 폴딩 영역(FA)이 언폴딩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2 로직 레벨 전압의 폴딩 센싱 신호(FSS)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로직 레벨 전압은 0V와 같이 로우 레벨 전압이고, 제2 로직 레벨 전압은 3.3V와 같이 하이 레벨 전압일 수 있다.
도 23과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접힌 구조와 펼쳐진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도 23과 도 2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는 표시 영역(DA)을 갖는 표시 패널(110’)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110’)은 제1 폴딩 영역(FA1)과 제2 폴딩 영역(FA2)을 포함하여 도 23과 같이 접히거나 도 24와 같이 펼쳐질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펼쳐진 상태에서 평면 상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10’)는 제1 방향(X축 방향)의 제5 변(S5)들과 제2 방향(Y축 방향)의 제6 변(S6)들을 갖는 직사각형의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5 변(S5)들 각각의 길이는 제6 변(S6)들 각각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제1 방향(X축 방향)보다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긴 화면을 시청할 수 있다. 또는, 제5 변(S5)들 각각의 길이는 제6 변(S6)들 각각의 길이보다 길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제2 방향(Y축 방향)보다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긴 화면을 시청할 수 있다. 또는, 제5 변(S5)들 각각의 길이는 제6 변(S6)들 각각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정사각형의 화면을 시청할 수 있다. 제5 변(S5)들 중 어느 하나와 제6 변(S6)들 중 어느 하나가 만나는 모서리는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둥글게 형성되거나 직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의 평면 형태는 직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의 표시 영역(DA)은 펼쳐진 상태에서 제1 방향(X축 방향)의 제5 변(S5)들과 나란한 제5 표시 변(DS5)들, 및 제2 방향(Y축 방향)의 제6 변(S6)들과 나란한 제6 표시 변(DS6)들을 갖는 직사각형의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5 표시 변(DS5)들 각각의 길이는 제6 표시 변(DS6)들 각각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제5 표시 변(DS5)들 각각의 길이는 제6 표시 변(DS6)들 각각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또는, 제5 표시 변(DS5)들 각각의 길이는 제6 표시 변(DS6)들 각각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5 표시 변(DS5)들 중 어느 하나와 제6 표시 변(DS6)들 중 어느 하나가 만나는 모서리는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둥글게 형성되거나 직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의 평면 형태는 직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제1 영역(A1), 제2 영역(A2), 제3 영역(A3),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 사이의 제1 폴딩 영역(FA1), 및 제2 영역(A2)과 제3 영역(A3) 사이의 제2 폴딩 영역(F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표시 패널(120)의 제2 기판(121)은 벤딩(bending), 폴딩(folding), 롤링(rolling) 등이 가능한 플렉시블(flexible) 기판으로 형성되므로, 제2 표시 패널(120)은 제1 폴딩 영역(FA1)과 제2 폴딩 영역(FA2)에서 쉽게 폴딩될 수 있다. 또한, 제1 폴딩 영역(FA1)과 제2 폴딩 영역(FA2)에서 제2 표시 패널(120)이 구부러지는 것을 돕기 위해, 제1 폴딩 영역(FA1)과 제2 폴딩 영역(FA2)에서 제2 기판(121)의 제2 면에는 힌지가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이 접힌 상태에서 제1 폴딩 영역(FA1)은 제1 영역(A1)의 표시 영역(DA)과 제2 영역(A2)의 표시 영역(DA)은 반대 방향을 바라보도록 아웃-폴딩(out-folding)되고, 제2 폴딩 영역(FA2)은 제2 영역(A2)의 표시 영역(DA)과 제3 영역(A3)의 표시 영역(DA)은 서로 마주보도록 인-폴딩(in-folding)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이 접힌 상태에서 제1 폴딩 영역(FA1)과 제2 폴딩 영역(FA2)의 표시 영역(DA)은 소정의 곡률로 구부러질 수 있다.
도 23과 도 24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 패널(110’)이 접힌 상태에서 제1 영역(A1)의 표시 영역(DA)에 제1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10’)이 펼쳐진 상태에서 제1 영역(A1), 제2 영역(A2), 제3 영역(A3), 제1 폴딩 영역(FA1), 및 제2 폴딩 영역(FA2)의 표시 영역(DA)에 제2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5와 도 2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접힌 구조와 펼쳐진 구조를 보여주는 일 측 단면도들이다.
도 25와 도 26을 참조하면, 폴더블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110’), 패널 하부 부재(400’), 및 제1 음향 발생 장치(510’)를 구비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의 기판(111’)과 화소 어레이층(112’)은 도 3과 도 4를 결부하여 설명한 표시 패널(110’)의 제1 기판(111)과 제1 화소 어레이층(112)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표시 패널(110’)의 기판(111’)과 화소 어레이층(112’)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패널 하부 부재(400’)는 기판(111’)의 제2 면에 부착될 수 있다. 패널 하부 부재(400’)는 표시 패널(110’)의 제1 영역(A1), 제2 영역(A2), 및 제3 영역(A3)에 배치될 수 있다. 패널 하부 부재(400’)는 폴딩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표시 패널(110’)의 제1 폴딩 영역(FA1)과 제2 폴딩 영역(FA2)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패널 하부 부재(400’)는 도 6을 결부하여 설명한 제2 접착 부재(420)와 제2 완충 부재(440)를 삭제한 제1 패널 하부 부재(4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패널 하부 부재(400’)는 도 6을 결부하여 설명한 제1 접착 부재(410), 제1 완충 부재(420), 및 제1 방열 부재(450)를 포함하는 제1 패널 하부 부재(4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패널 하부 부재(40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음향 발생 장치(510’)는 제1 기판(111)의 제2 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는, 도 6과 같이 제1 기판(111)의 제2 면에 제1 차광 부재(460)가 배치되는 경우, 제1 음향 발생 장치(510’)는 제1 차광 부재(460)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음향 발생 장치(510’)는 도 7 내지 도 10과 같이 인가된 구동 전압들에 따라 수축하거나 팽창하는 압전 물질을 포함하는 압전 소자(piezoelectric element, 壓電素子) 또는 압전 액츄에이터(piezoelectric actuator)일 수 있다. 또는, 제1 음향 발생 장치(510’)는 도 11 내지 도 13과 같이 인가된 구동 전압들에 따라 보이스 코일을 이용하여 자력을 생성하는 여진기(Exciter)일 수 있다. 또는, 제1 음향 발생 장치(510’)는 인가된 구동 전압들에 따라 보이스 코일에 자력을 생성하는 진동 모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터는 도 14와 같이 선형 공진 액츄에이터(linear resonant actuator, LRA)일 수 있다.
제1 음향 발생 장치(510’)는 표시 패널(110’)에 고정되므로, 인가된 구동 전압들에 따라 표시 패널(110’)을 진동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음향 발생 장치(510’)에 의해 표시 패널(110’)을 진동판으로 이용함으로써 제1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폴더블 표시 장치(10’)는 접힌 상태와 펼쳐진 상태 모두에서 제1 음향 발생 장치(510’)에 의해 표시 패널(110’)을 진동함으로써, 제1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음향 발생 장치(510’)는 표시 패널(110’)의 제1 영역(A1)에 배치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제1 음향 발생 장치(510’)의 배치 위치는 제1 영역(A1)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영역(A2)과 제3 영역(A3)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25와 도 26에서는 하나의 음향 발생 장치만을 예시하였으나, 음향 발생 장치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는 제2 음향 발생 장치와 제3 음향 발생 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음향 발생 장치(510’)는 표시 패널(110’)의 제1 영역(A1)에 배치되고, 제2 음향 발생 장치는 표시 패널(110’)의 제2 영역(A2)에 배치되며, 제3 음향 발생 장치는 표시 패널(110’)의 제3 영역(A3)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패널(110’)이 접힌 상태에서 제1 음향 발생 장치(510’)는 제1 음향을 출력하고, 제2 음향 발생 장치와 제3 음향 발생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저음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10’)이 펼쳐진 상태에서 제1 음향 발생 장치(510’)는 제1 스테레오 음향을 출력하고, 제2 음향 발생 장치는 저음을 출력하며, 제3 음향 발생 장치는 제2 스테레오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폴더블 표시 장치(10’)는 펼쳐진 상태에서 2.1 채널의 입체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7와 도 2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접힌 구조와 펼쳐진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도 27과 도 2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는 표시 영역(DA)을 갖는 표시 패널(110”)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110”)은 제1 폴딩 영역(FA1)과 제2 폴딩 영역(FA2)을 포함하여 도 27과 같이 접히거나 도 28과 같이 펼쳐질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펼쳐진 상태에서 평면 상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10”)는 제1 방향(X축 방향)의 제7 변(S7)들과 제2 방향(Y축 방향)의 제8 변(S8)들을 갖는 직사각형의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7 변(S7)들 각각의 길이는 제8 변(S8)들 각각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제1 방향(X축 방향)보다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긴 화면을 시청할 수 있다. 또는, 제7 변(S7)들 각각의 길이는 제8 변(S8)들 각각의 길이보다 길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제2 방향(Y축 방향)보다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긴 화면을 시청할 수 있다. 또는, 제7 변(S7)들 각각의 길이는 제8 변(S8)들 각각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정사각형의 화면을 시청할 수 있다. 제7 변(S7)들 중 어느 하나와 제8 변(S8)들 중 어느 하나가 만나는 모서리는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둥글게 형성되거나 직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의 평면 형태는 직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의 표시 영역(DA)은 펼쳐진 상태에서 제1 방향(X축 방향)의 제7 변(S5)들과 나란한 제7 표시 변(DS5)들, 및 제2 방향(Y축 방향)의 제8 변(S6)들과 나란한 제8 표시 변(DS6)들을 갖는 직사각형의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7 표시 변(DS7)들 각각의 길이는 제8 표시 변(DS8)들 각각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제7 표시 변(DS7)들 각각의 길이는 제8 표시 변(DS8)들 각각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또는, 제7 표시 변(DS7)들 각각의 길이는 제8 표시 변(DS8)들 각각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7 표시 변(DS7)들 중 어느 하나와 제8 표시 변(DS8)들 중 어느 하나가 만나는 모서리는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둥글게 형성되거나 직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의 평면 형태는 직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제1 영역(A1), 제2 영역(A2), 제3 영역(A3),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 사이의 제1 폴딩 영역(FA1), 및 제1 영역(A1)과 제3 영역(A3) 사이의 제2 폴딩 영역(FA2)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이 접힌 상태에서 제1 폴딩 영역(FA1)은 제1 영역(A1)의 표시 영역(DA)과 제2 영역(A2)의 표시 영역(DA)은 반대 방향을 바라보도록 아웃-폴딩(out-folding)되고, 제2 폴딩 영역(FA2)은 제1 영역(A1)의 표시 영역(DA)과 제3 영역(A3)의 표시 영역(DA)은 반대 방향을 바라보도록 아웃-폴딩(out-folding)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이 접힌 상태에서 제1 폴딩 영역(FA1)과 제2 폴딩 영역(FA2)의 표시 영역(DA)은 소정의 곡률로 구부러질 수 있다. 제1 폴딩 영역(FA1)의 표시 영역(DA)의 곡률은 제2 폴딩 영역(FA2)의 표시 영역(DA)의 곡률보다 클 수 있다.
도 27과 도 28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 패널(110”)이 접힌 상태에서 제1 영역(A1)의 표시 영역(DA)에 제1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10”)이 펼쳐진 상태에서 제1 영역(A1), 제2 영역(A2), 제3 영역(A3), 제1 폴딩 영역(FA1), 및 제2 폴딩 영역(FA2)의 표시 영역(DA)에 제2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9와 도 3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접힌 구조와 펼쳐진 구조를 보여주는 일 측 단면도들이다.
도 29와 도 30을 참조하면, 폴더블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110”), 패널 하부 부재(400”), 및 제1 음향 발생 장치(510”)를 구비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의 기판(111”)과 화소 어레이층(112”)은 도 3과 도 4를 결부하여 설명한 표시 패널(110)의 제1 기판(111)과 제1 화소 어레이층(112)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표시 패널(110”)의 기판(111”)과 화소 어레이층(112”)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패널 하부 부재(400”)는 기판(111”)의 제2 면에 부착될 수 있다. 패널 하부 부재(400”)는 표시 패널(110”)의 제1 영역(A1), 제2 영역(A2), 및 제3 영역(A3)에 배치될 수 있다. 패널 하부 부재(400”)는 폴딩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표시 패널(110”)의 제1 폴딩 영역(FA1)과 제2 폴딩 영역(FA2)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패널 하부 부재(400”)는 도 6을 결부하여 설명한 제2 접착 부재(420)와 제2 완충 부재(440)를 삭제한 제1 패널 하부 부재(4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패널 하부 부재(400”)는 도 6을 결부하여 설명한 제1 접착 부재(410), 제1 완충 부재(420), 및 제1 방열 부재(450)를 포함하는 제1 패널 하부 부재(4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패널 하부 부재(40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음향 발생 장치(510”)는 제1 기판(111)의 제2 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는, 도 6과 같이 제1 기판(111)의 제2 면에 제1 차광 부재(460)가 배치되는 경우, 제1 음향 발생 장치(510”)는 제1 차광 부재(460)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음향 발생 장치(510”)는 도 7 내지 도 10과 같이 인가된 구동 전압들에 따라 수축하거나 팽창하는 압전 물질을 포함하는 압전 소자(piezoelectric element, 壓電素子) 또는 압전 액츄에이터(piezoelectric actuator)일 수 있다. 또는, 제1 음향 발생 장치(510”)는 도 11 내지 도 13과 같이 인가된 구동 전압들에 따라 보이스 코일을 이용하여 자력을 생성하는 여진기(Exciter)일 수 있다. 또는, 제1 음향 발생 장치(510”)는 인가된 구동 전압들에 따라 보이스 코일에 자력을 생성하는 진동 모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터는 도 14와 같이 선형 공진 액츄에이터(linear resonant actuator, LRA)일 수 있다.
제1 음향 발생 장치(510”)는 표시 패널(110”)에 고정되므로, 인가된 구동 전압들에 따라 표시 패널(110”)을 진동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음향 발생 장치(510”)에 의해 표시 패널(110”)을 진동판으로 이용함으로써 제1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폴더블 표시 장치(10”)는 접힌 상태와 펼쳐진 상태 모두에서 제1 음향 발생 장치(510”)에 의해 표시 패널(110”)을 진동함으로써, 제1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음향 발생 장치(510”)는 표시 패널(110”)의 제1 영역(A1)에 배치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제1 음향 발생 장치(510”)의 배치 위치는 제1 영역(A1)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영역(A2)과 제3 영역(A3)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29와 도 30에서는 하나의 음향 발생 장치만을 예시하였으나, 음향 발생 장치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는 제2 음향 발생 장치와 제3 음향 발생 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음향 발생 장치(510”)는 표시 패널(110”)의 제1 영역(A1)에 배치되고, 제2 음향 발생 장치는 표시 패널(110”)의 제2 영역(A2)에 배치되며, 제3 음향 발생 장치는 표시 패널(110”)의 제3 영역(A3)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패널(110”)이 접힌 상태에서 제1 음향 발생 장치(510”)는 제1 음향을 출력하고, 제2 음향 발생 장치와 제3 음향 발생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저음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10”)이 펼쳐진 상태에서 제1 음향 발생 장치(510”)는 저음을 출력하고, 제2 음향 발생 장치는 제1 스테레오 음향을 출력하며, 제3 음향 발생 장치는 제2 스테레오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폴더블 표시 장치(10”)는 펼쳐진 상태에서 2.1 채널의 입체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폴더블 표시 장치 110: 제1 표시 패널
111: 제1 기판 112: 제1 화소 어레이층
120: 제2 표시 패널 121: 제2 기판
122: 제2 화소 어레이층 400: 제1 패널 하부 부재
410: 제1 접착 부재 420: 제2 접착 부재
430: 제1 완충 부재 440: 제2 완충 부재
450: 제1 방열 부재 510: 제1 음향 발생 장치
800: 제2 패널 하부 부재

Claims (20)

  1.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의 제1 면 상에 배치된 제1 화소 어레이층을 포함하는 제1 표시 패널;
    제2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의 제1 면 상에 배치된 제2 화소 어레이층을 포함하는 제2 표시 패널; 및
    상기 제1 표시 패널의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과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표시 패널과 상기 제2 표시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진동하여 제1 음향을 출력하는 제1 음향 발생 장치를 구비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는 상기 제1 표시 패널의 제2 면과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제2 면에 고정되는 폴더블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와 상기 제1 표시 패널의 제2 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차광 부재; 및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와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제2 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차광 부재를 더 구비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와 상기 제1 표시 패널의 제2 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의 일 측에 배치된 제1 보강 부재; 및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와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제2 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의 타 측에 배치된 제2 보강 부재를 더 구비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패널은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폴딩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의 제2 화소 어레이층과 상기 제2 영역의 제2 화소 어레이층은 서로 마주보는 폴더블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는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는 폴더블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1 표시 패널의 제2 면과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제2 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표시 패널의 두께 방향에서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와 중첩하지 않는 제1 패널 하부 부재를 더 구비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 하부 부재는,
    상기 제1 표시 패널의 제2 면 상에 배치되는 제1 접착 부재;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제2 면 상에 배치되는 제2 접착 부재; 및
    상기 제1 접착 부재와 상기 제2 접착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방열 부재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 하부 부재는,
    상기 제1 접착 부재와 상기 제1 방열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완충 부재; 및
    상기 제2 접착 부재와 상기 제1 방열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완충 부재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제2 면 상에 배치되는 제2 패널 하부 부재를 더 구비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 하부 부재의 두께는 상기 제2 패널 하부 부재의 두께보다 두꺼운 폴더블 표시 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 하부 부재와 상기 제2 패널 하부 부재 각각은 상기 폴딩 영역과 중첩하지 않는 폴더블 표시 장치.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널 하부 부재는,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제2 면 상에 배치되는 제3 접착 부재;
    상기 제3 접착 부재 상에 배치되는 제2 방열 부재; 및
    상기 제3 접착 부재와 상기 제2 방열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완충 부재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14.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1 표시 패널의 제2 면과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제2 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표시 패널과 상기 제2 표시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진동하여 제2 음향을 출력하는 제2 음향 발생 장치를 더 구비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는 상기 제1 표시 패널의 제2 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음향 발생 장치는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제2 면에 고정되는 폴더블 표시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와 상기 제2 음향 발생 장치는 상기 제1 표시 패널의 두께 방향에서 서로 중첩하지 않는 폴더블 표시 장치.
  17.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제2 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표시 패널을 진동하여 제3 음향을 출력하는 제3 음향 발생 장치를 더 구비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는 인가된 전압에 따라 수축하거나 팽창하는 압전 물질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 패널을 진동시키는 폴더블 표시 장치.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음향 발생 장치와 상기 제3 음향 발생 장치 각각은 보이스 코일을 이용하여 자력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표시 패널을 진동시키는 폴더블 표시 장치.
  20. 제2 표시 패널의 폴딩 영역이 폴딩된 경우, 제1 표시 패널의 제1 화소 어레이층의 화소들을 이용하여 제1 영상을 표시하고, 제1 음향 발생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표시 패널을 진동하여 제1 음향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폴딩 영역이 언폴딩되는 경우,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제2 화소 어레이층의 화소들을 이용하여 제2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에 의해 상기 제2 표시 패널을 진동하여 제2 음향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의 음향 제공 방법.
KR1020190034407A 2019-03-26 2019-03-26 폴더블 표시 장치와 그의 음향 제공 방법 KR2020011579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407A KR20200115791A (ko) 2019-03-26 2019-03-26 폴더블 표시 장치와 그의 음향 제공 방법
US16/830,557 US11343600B2 (en) 2019-03-26 2020-03-26 Foldable display device and sound providing method thereof
CN202010222447.9A CN111754865A (zh) 2019-03-26 2020-03-26 可折叠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407A KR20200115791A (ko) 2019-03-26 2019-03-26 폴더블 표시 장치와 그의 음향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791A true KR20200115791A (ko) 2020-10-08

Family

ID=72605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407A KR20200115791A (ko) 2019-03-26 2019-03-26 폴더블 표시 장치와 그의 음향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43600B2 (ko)
KR (1) KR20200115791A (ko)
CN (1) CN11175486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54857B2 (en) 2019-06-21 2021-07-06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and sound providing method thereof
US11700716B2 (en) 2021-03-30 2023-07-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17529A (zh) * 2019-05-30 2020-12-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缓冲结构、显示屏模组、其制备方法及终端设备
KR20220017043A (ko) * 2020-08-03 2022-0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3744662A (zh) * 2021-09-29 2021-12-0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折叠显示装置
CN114840057B (zh) * 2022-05-19 2023-11-0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折叠屏及移动终端
CN115767401B (zh) * 2022-10-17 2023-12-08 苏州清听声学科技有限公司 一种可折叠的定向发声装置、显示装置及制备工艺
CN115550818B (zh) * 2022-10-17 2023-12-08 苏州清听声学科技有限公司 一种可折叠的定向发声装置、显示装置及制备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08016A (ja) * 2011-05-24 2013-01-10 Sony Corp 表示装置
EP2960770A4 (en) * 2013-02-21 2017-01-25 Kyocera Corporation Device
WO2015046288A1 (ja) * 2013-09-27 2015-04-0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Av機器
KR102138753B1 (ko) * 2013-11-22 2020-07-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장치
KR20150135038A (ko) * 2014-05-23 2015-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26694B1 (ko) * 2014-09-01 2021-03-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54082B1 (ko) * 2015-12-11 2022-10-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KR20170115124A (ko) * 2016-04-04 2017-10-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 및 그를 포함하는 양면 표시 장치
KR102469566B1 (ko) * 2016-03-31 2022-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70140976A (ko) * 2016-06-14 2017-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KR102367975B1 (ko) * 2017-07-06 2022-02-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하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8495244A (zh) * 2018-05-17 2018-09-04 歌尔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CN109511029B (zh) * 2018-11-15 2022-05-2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设备
CN111163197B (zh) * 2020-01-14 2021-07-13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设备及其屏幕发声的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54857B2 (en) 2019-06-21 2021-07-06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and sound providing method thereof
US11700716B2 (en) 2021-03-30 2023-07-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754865A (zh) 2020-10-09
US20200314513A1 (en) 2020-10-01
US11343600B2 (en) 202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15791A (ko) 폴더블 표시 장치와 그의 음향 제공 방법
KR102526888B1 (ko) 표시 장치와 그의 구동 방법
US11054857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and sound providing method thereof
JP7420540B2 (ja) 表示装置
KR10262848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11381799B (zh) 提供匹配显示图像的声音的方法和使用该方法的显示装置
US11638076B2 (en) Display device
US11039235B2 (en) Display device
CN112019981A (zh) 显示装置
KR20240028380A (ko) 표시 장치와 그의 구동 방법
KR20200096368A (ko) 표시 장치
KR20200140970A (ko) 표시 장치
US11432059B2 (en) Display device and sound providing method
KR20200069602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1294423B2 (en) Display device
US20240080611A1 (en) Apparatus
US20230209233A1 (en) Sound apparatus and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200105617A (ko) 표시 장치와 그의 음향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