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5391A - A planar transformer - Google Patents

A planar transform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5391A
KR20200115391A KR1020200114195A KR20200114195A KR20200115391A KR 20200115391 A KR20200115391 A KR 20200115391A KR 1020200114195 A KR1020200114195 A KR 1020200114195A KR 20200114195 A KR20200114195 A KR 20200114195A KR 20200115391 A KR20200115391 A KR 20200115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mary
coil
coil element
air core
fla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41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00130B1 (en
Inventor
한택수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텀
한택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3747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81276B1/en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텀, 한택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텀
Priority to KR1020200114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130B1/en
Publication of KR20200115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53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1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23Wires
    • H01F27/2828Construction of conductive connections, of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2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out magnetic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3Insulation between winding turns, between wind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46Preventing or reducing leakage f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ar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nar transformer includes: a flat plate-shaped primary upper coil element (110); a plate-shaped primary lower coil element (120) positioned to be in contact with or spaced apart from the primary upper coil element (110); and a plate-shaped secondary coil element (200) in which an induced current is generated by a current applied to the upper primary coil element (110) and the lower primary coil element (120). According to this, the generation of magnetic loss field is reduced, and the efficiency from a primary side to a secondary side is increased.

Description

평판형 변압기{A PLANAR TRANSFORMER}Flat type transformer {A PLANAR TRANSFORMER}

본 발명은 변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충전기나 어댑터에 사용되는 평판형 변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ormer, and in particular, to a flat-panel transformer used in a charger or adapter.

일반적으로, 변압기(transformer)는 1차측 코일(primary coil)과 2차측 코일(secondary coil)를 가지며 일반적으로 1차측 코일은 입력단으로 이용되고 2차 측 코일은 출력단으로 이용된다.In general, a transformer has a primary coil and a secondary coil, and generally, a primary coil is used as an input stage and a secondary coil is used as an output stage.

변압기 중에서 휴대전화 충전기 등에서 이용되는 소형의 변압기와 관련하여서 제안된 기술이 등록특허 제10-1579427호(공고일: 2015년 12월 22일)에 의한 "트랜스포머)가 개시되어 있다.Among the transformers, "transformers" according to Patent No. 10-1579427 (announcement date: December 22, 2015) are disclosed in relation to small transformers used in mobile phone chargers.

위 제10-1579427호에 의한 변압기의 경우에는 변압기용 1차측 코일소자를 절연기판에 도전성 재료를 패턴화하여서 구현되는 소위 "PCB형 1차측 코일소자"로 구성하고 있다.In the case of a transformer according to No. 10-1579427 above, the primary coil element for a transformer is composed of a so-called "PCB-type primary coil element" implemented by patterning a conductive material on an insulating substrate.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PCB형 1차측 코일소자는 절연기판에 동박을 입히고 에칭 등의 방법으로 코일 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제작되고 있다.The PCB type primary coil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manufactured by coating a copper foil on an insulating substrate and forming a coil circuit pattern by etching or the like.

그러나, 위 제10-1579427호에 의한 변압기는 2 개의 2차측 코일소자 사이에 1차측 코일소자를 인서트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어서, 손실 자계의 발생과 1차측에서 2차측으로의 효율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2차측 코일소자가 아래 위로 분리되어 있어서 전체적으로 제품[변압기]의 높이가 높아진다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However, the transformer according to No. 10-1579427 above adopts a structure in which a primary coil element is inserted between two secondary coil elements, so there are problems in the generation of a loss magnetic field and efficiency from the primary side to the secondary side. . In addition, it was pointed out as a problem that the height of the product [transformer] as a whole is increased because the secondary coil element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up.

그리고, 종래 기술에 의한 PCB형 1차측 코일 소자는 PCB기판에 회로 패턴을 형성하므로 기본적으로 제작 기간이 길어서 단납기 제작에는 부적합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PCB형 1차측 코일 소자는 기본적으로 PCB기판에 패턴화하므로 설계 다변화(제품 튜닝)에 대처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PCB type primary coil element forms a circuit pattern on the PCB substrat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period is basically long, and thus it is unsuitable for manufacturing a short delivery perio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ope with design diversification (product tuning) because the PCB type primary coil element is basically patterned on the PCB substrate.

그리고, 회로 패턴의 턴수가 많아지는 경우 층(LAYER)가 많아지고 PCB기판의 두께가 커져서 1차측 코일 소자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가 있었고, PCB기판의 가격이 상승하여서 제품의 코스트가 올라가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number of turns of the circuit pattern increas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olume of the primary coil element increases due to the increase of the layer and the thickness of the PCB substrate, and the cost of the product increases due to the increase in the price of the PCB substrate. .

문헌1: 등록특허공보 10-1579427(공고일: 2015. 12. 22.)Document 1: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10-1579427 (announcement date: 2015. 12. 22.) 문헌2: 공개특허공보 10-2016-0041837(공개일: 2016.04.18.)Document 2: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10-2016-0041837 (Publication date: 2016.04.1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의 목적은,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he object of the flat-panel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첫째, 1차측 코일소자를 1차측 상부 코일소자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로 분리 구성함으로써, 1차측 코일소자(100)가 2차측 코일소자(200)에 밀착되는 면적을 넓혀서 손실(leakage)을 줄일 수 있고 효율을 더 높일 수 있도록 하고,First, by separating the primary coil element into a primary upper coil element and a primary lower coil element, the area in which the primary coil element 1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ary coil element 200 is increased to reduce leakage. And make it more efficient,

둘째, 1차측 코일소자와 2차측 코일소자를 교번적으로(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치함으로써 누설 자계를 현격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하여서 1차측 코일소자에서 2차측 코일소자로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며,Second, by alternately arranging the primary and secondary coil elements (in a zigzag manner), the leakage magnetic field can be remarkably reduced, so that the efficiency from the primary coil element to the secondary coil element can be improved.

셋째, 절연 코팅된 와이어를 권취하여서 1차측 코일소자를 구성함으로써 제품[변압기]의 높이를 낮추고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도록 하며,Third, by winding an insulation-coated wire to form the primary coil element, the height of the product [transformer] can be lowered and the thickness can be reduced.

넷째, 와이어 권취형으로 구성되는 1차측 코일소자를 1차측 단자핀에 결선하는 와이어 결선 작업을 간편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와이어 결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Fourth,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ire connection workability by making the wire connection work of connecting the primary coil element composed of a wire wound type to the primary terminal pin simple and convenient.

다섯째, 절연코팅된 와이어가 서로 접촉하면서 평판형으로 권선되도록 1차측 코일소자를 구현함으로써, 종래의 PCB기판 타입의 1차측 코일소자와는 달리, 저항이 낮아져서 발열이 적고(발열 특성 우수), 또한 2차측 코일 소자로의 전달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며,Fifth, by implementing the coil element on the primary side so that the insulating coated wir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wound in a flat shape, unlike the conventional PCB substrate type primary coil element, the resistance is lowered to reduce heat generation (excellent heat generation characteristics), and It allows the transfer efficiency to the secondary side coil element to be improved,

여섯째, 보빈을 이용하지 않고 공심의 평판형으로 1차측 코일소자를 제작함으로써, 1차측 코일소자 자체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도록 하며,Sixth, by manufacturing the primary coil element in a flat plate shape with an air core without using a bobbi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of the primary coil element itself.

일곱째, 종래의 PCB 기판에 구현되는 변압기용 1차측 코일소자(소위 "PCB형 1차측 코일소자")를 대체 또는 대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의 "PCB형 1차측 코일소자"의 문제점인 제품의 제작 단가가 높다는 점과, 제작 시간이 길고 개발기간이 길다는 점과, 설계 튜닝의 대처가 용이하지 않다는 점과, 코일의 턴수가 많으면 제품의 부피가 커진다는 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며,Seventh, a product that is a problem of the conventional "PCB type primary coil device" as a substitute or substitute for the transformer primary coil device (so-called "PCB type primary coil device") implemented on the conventional PCB board. It is possible to solve the fact that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product is high, the manufacturing time is long and the development period is long, it is not easy to cope with design tuning, and the volume of the product increases when the number of turns of the coil increases.

여덟째, 내측 돌기와 외측 돌기의 사이에 1차측 코일소자를 삽입 구비함으로써 1차측 코일소자의 유동이나 유격을 예방하고 안정된 실장을 할 수 있도록 하며,Eighth, by inserting the primary coil element between the inner protrusion and the outer protrusion, it prevents the flow or clearance of the primary coil element and enables stable mounting.

아홉째, 상하의 2 개의 1차측 상부 코일소자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의 사이에 2차측 코일소자를 삽입 구성함으로써, 손실 자계의 발생이 작아져서 1차측에서 2차측으로의 효율이 높아질 수 있도록 하고,Ninth, by inserting the secondary coil element between the two upper and lower primary coil elements and the lower primary coil element, the generation of a magnetic loss field is reduced, so that the efficiency from the primary to the secondary can be increased.

열번 째, 2 개의 연결부를 내측으로 U자형으로 벤딩 형성함으로써 1차측 코일소자와 2차측 코일소자 간의 거리를 더욱더 좁게 할 수 있도록 하며,Tenth, by bending the two connecting portions inward in a U-shape, the distance between the primary coil element and the secondary coil element can be further narrowed.

열한 번째, 금속재질의 연결핀의 구성에 의해서 1차측 상부 코일소자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를 직렬 연결함으로써, 2 개의 이격된 1차측 코일소자의 연결을 간편하고 쉽게 그리고 신뢰성 있게 할 수 있도록 하며,Eleventh, by connecting the upper coil element on the primary side and the lower coil element on the primary side in series by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ion pin made of metal, it is possible to make the connection of two separated primary coil elements simple, easy and reliable.

열두 번째, 1차측 코일소자를 절연 코팅된 와이어를 권취하여서 구성한 와이어 권취형과 PCB기판에 구현한 PCB 기판형의 혼합형으로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설계 환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며,Twelfth, it is possible to respond to various design environments by configuring the primary coil element into a mixed type of a wire wound type composed by winding an insulation coated wire and a PCB substrate type implemented on a PCB substrate.

열세 번째, 1차측 코일소자를 알파코일로 구성함으로써 결선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코일을 횡단하여서 결선하지 않아도 되어서 제품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평판형 변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Thirteenth, it is to provide a flat-panel transformer suitable for making the wiring work easier by configuring the primary coil element with an alpha coil, and making the product thickness relatively thin since there is no need to cross the coil to wire. .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평판형 변압기는, 평판상의 1차측 상부 코일소자와,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로부터 하방으로 접촉되거나 또는 이격되어서 위치하는 평판상의 1차측 하부 코일소자와,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서 유도전류가 발생되는 평판상의 2차측 코일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lanar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primary upper coil element on a flat plate, a primary lower coil element on a flat plate located downwardly in contact with or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rimary coil element, and th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ate-shaped secondary coil element in which an induced current is generated by a current applied to the upper primary coil element and the lower primary coil element.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평판형 변압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planar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1차측 코일소자를 1차측 상부 코일소자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로 분리 구성함으로써, 1차측 코일소자(100)가 2차측 코일소자(200)에 밀착되는 면적을 넓혀서 손실(leakage)을 줄일 수 있고 효율을 더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by separating the primary coil element into a primary upper coil element and a primary lower coil element, the area in which the primary coil element 1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ary coil element 200 is increased to reduce leakage. 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further increase the efficiency.

둘째, 1차측 코일소자와 2차측 코일소자를 교번적으로(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치함으로써 누설 자계를 현격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하여서 1차측 코일소자에서 2차측 코일소자로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 by alternately arranging the primary and secondary coil elements (in a zigzag manner), the leakage magnetic field can be remarkably reduced, so that the efficiency from the primary coil element to the secondary coil element can be improved. have.

셋째, 절연 코팅된 와이어를 권취하여서 1차측 코일소자를 구성함으로써 제품[변압기]의 높이를 낮추고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rd, there is an effect of lowering the height of the product [transformer] and thinning the thickness by composing the primary coil element by winding the insulation coated wire.

넷째, 와이어 권취형으로 구성되는 1차측 코일소자를 1차측 단자핀에 결선하는 와이어 결선 작업을 간편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와이어 결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Fourth,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wire connection workability by making the wire connection work of connecting the primary side coil element composed of a wire wound type to the primary side terminal pins simple and convenient.

다섯째, 절연코팅된 와이어가 서로 접촉하면서 평판형으로 권선되도록 1차측 코일소자를 구현함으로써, 종래의 PCB기판 타입의 1차측 코일소자와는 달리, 저항이 낮아져서 발열이 적고(발열 특성 우수), 또한 2차측 코일 소자로의 전달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fth, by implementing the coil element on the primary side so that the insulating coated wir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wound in a flat shape, unlike the conventional PCB substrate type primary coil element, the resistance is lowered to reduce heat generation (excellent heat generation characteristics), an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transfer efficiency to the secondary coil element can be improved.

여섯째, 보빈을 이용하지 않고 공심의 평판형으로 1차측 코일소자를 제작함으로써, 1차측 코일소자 자체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xth,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size of the primary coil element itself by manufacturing the primary coil element in a flat plate shape with an air core without using a bobbin.

일곱째, 종래의 PCB 기판에 구현되는 변압기용 1차측 코일소자(소위 "PCB형 1차측 코일소자")를 대체 또는 대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의 "PCB형 1차측 코일소자"의 문제점인 제품의 제작 단가가 높다는 점과, 제작 시간이 길고 개발기간이 길다는 점과, 설계 튜닝의 대처가 용이하지 않다는 점과, 코일의 턴수가 많으면 제품의 부피가 커진다는 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venth, a product that is a problem of the conventional "PCB type primary coil device" as a substitute or substitute for the transformer primary coil device (so-called "PCB type primary coil device") implemented on the conventional PCB board. It has the effect of solving the fact that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product is high, the manufacturing time is long and the development period is long, it is not easy to cope with the design tuning, and the volume of the product increases when the number of turns of the coil increases. .

여덟째, 내측 돌기와 외측 돌기의 사이에 1차측 코일소자를 삽입 구비함으로써 1차측 코일소자의 유동이나 유격을 예방하고 안정된 실장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Eighth, by inserting the primary coil element between the inner protrusion and the outer protrusion,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flow or gap of the primary coil element and enabling stable mounting.

아홉째, 상하의 2 개의 1차측 상부 코일소자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의 사이에 2차측 코일소자를 삽입 구성함으로써, 손실 자계의 발생이 작아져서 1차측에서 2차측으로의 효율이 높아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Ninth, by inserting the secondary coil element between the two upper and lower primary coil elements and the lower primary coil elemen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generation of a loss magnetic field is reduced and the efficiency from the primary side to the secondary side can be increased. .

열 번째, 2 개의 연결부를 내측으로 U자형으로 벤딩 형성함으로써 1차측 코일소자와 2차측 코일소자 간의 거리를 더욱더 좁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enth, there is an effect of further narrowing the distance between the primary coil element and the secondary coil element by bending the two connecting portions inward in a U shape.

열한 번째, 금속재질의 연결핀의 구성에 의해서 1차측 상부 코일소자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를 직렬 연결함으로써, 2 개의 이격된 1차측 코일소자의 연결을 간편하고 쉽게 그리고 신뢰성 있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Eleventh, by connecting the upper coil element on the primary side and the lower coil element on the primary side in series by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ion pin made of metal, there is an effect that makes the connection of two separated primary coil elements simple, easy and reliable. have.

열두 번째, 1차측 코일소자를 절연 코팅된 와이어를 권취하여서 구성한 와이어 권취형과 PCB기판에 구현한 PCB 기판형의 혼합형으로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설계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welfth, there is an effect that can cope with various design environments by configuring the primary coil element into a mixed type of a wire wound type formed by winding an insulating coated wire and a PCB substrate type implemented on a PCB substrate.

열세 번째, 1차측 코일소자를 알파코일로 구성함으로써 결선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코일을 횡단하여서 결선하지 않아도 되어서 제품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rteenth, since the primary coil element is composed of an alpha coil, the wiring work is facilitated an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thickness of the product can be made relatively thin since there is no need to cross the coil to conn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에 있어서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구성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분리 구성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1차측 상하부코일소자(110,120)의 변형된 실시예의 분리 구성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에 있어서, 1차측 코일소자(100)의 다른 변형된 실시예의 분리 구성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상부 덮개(310)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전후방 방향으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의 주요부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에 있어서 2차측 코일소자(200)의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에 있어서, 제1 코일체(210)와 제2 코일체(220)가 펼쳐진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에 있어서, 제1 코일(211)과 제2 코일(221)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에 있어서 2차측 코일소자(200)의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로서, 도 15의 는 평면 사시도이고 도 15의 (b)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에 있어서 2차측 코일소자(200)의 변형된 실시예의 제1 코일체(210)와 제2 코일체(220)가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에 있어서 1차측 코일소자로서 구성될 수 있는 알파코일의 예시 사진이다.
도 18은 도 17에 개시된 알파코일의 요부 횡다면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n upper primary coil element 110 and a lower primary coil element 120 in a flat plate transfor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eparate configuration of the lower primary coil element 120 in FIG. 1.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eparate configuration of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upper and lower coil elements 110 and 120 on the primary side in FIG. 1.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eparate configuration of another modified embodiment of a primary coil element 100 in a flat-panel transfor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nar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upper cover 310 is separated from FIG. 5.
7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planar transform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FIG. 1.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ain part of the flat plat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ary coil element 200 in an unfolded state in the planar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il body 210 and the second coil body 220 are unfolded in the planar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coil 211 and a second coil 221 in the planar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lanar transform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lanar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ary coil element 200 in an unfolded state in the flat-panel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 is a plan perspective view and FIG. 15(b)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ary coil element 200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il body 210 and the second coil body 220 are unfolded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secondary coil element 200 in the planar transfor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n exemplary photograph of an alpha coil that can be configured as a primary coil element in a planar transfor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part of the alpha coil disclosed in FIG. 17.

다음은 본 발명인 평판형 변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follow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ors of the planar transformer.

본 발명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는 충전기나 어댑터의 메인PCB에 실장되어서 충전기나 어댑터용으로 사용되는 변압기이다.The flat-panel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nsformer mounted on a main PCB of a charger or adapter and used for a charger or adap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는, 평판상의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로부터 하방으로 접촉되거나 또는 이격되어서 위치하는 평판상의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와,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서 유도전류가 발생되는 평판상의 2차측 코일소자(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lat-plate transfor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imary-side upper coil element 110 on a flat plate, and a primary-side lower coil on a flat plate located downwardly in contact with or spaced apart from the primary-side upper coil element 110. The element 120 and the primary side upper coil element 110 and the primary side lower coil element 120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ate-shaped secondary coil element 200 in which an induced current is generated. It is characterized.

그리고,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는 직렬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rimary upper coil element 110 and the primary lower coil element 120 are connected in series.

이에 의하면, 1차측 코일이 병렬 연결되는 경우에 비하여, 권선수를 줄여서 제품[변압기]의 높이를 낮출 수 있고 제품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i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height of the product [transformer] can be lowered and the size of the product can be reduced by reducing the number of windings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primary coils are connected in parallel.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에는 예컨대 4 개의 1차측 단자핀(P1)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 1차측 단자핀(P1)이 변압기가 실장되는 완제품[예컨대 충전기 또는 어댑터]의 메인 PCB(미도시)에 결선되어서 전류를 공급하게 된다.The primary-side upper coil element 110 and the primary-side lower coil element 120 are provided with, for example, four primary-side terminal pins (P1), and this primary-side terminal pin (P1) is a finished product on which a transformer is mounted (eg charger Or, it is connected to the main PCB (not shown) of [adapter] to supply curr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에 있어서,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 중의 어느 하나는, 상부 공심(110a)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절연 코팅된 도전성의 와이어를 서로 접촉하여서 평판형으로 권선하여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lanar transfor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one of the upper primary coil element 110 and the lower primary coil element 120 has an upper air core 110a formed in the center, and is insula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ated conductive wires are formed by contacting each other and winding in a flat plate shape.

상기와 같이 1차측 코일소자(110,120)를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로 분리 구성함으로써, 1차측 코일소자(100)가 2차측 코일소자(200)에 밀착되는 면적을 넓혀서 손실(leakage)을 줄일 수 있고 효율을 더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by separating the primary coil elements 110 and 120 into the primary upper coil element 110 and the primary lower coil element 120, the primary coil element 1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ary coil element 200. By increasing the area to be formed, leakage can be reduced and efficiency can be further increased.

특히, 1차측 코일소자(110,120)를 PCB형의 코일소자가 아닌 절연 코팅된 도전성의 와이어로서 형성함으로써, 예컨대 1차측 코일소자가 종래에는 16 레이어의 PCB층으로 구성되던 것을 8 레이어의 2 개의 코일로 구성할 수 있어서, 1차측 코일소자의 제품의 제작 비용을 확실하게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particular, by forming the primary coil elements 110 and 120 as an insulating coated conductive wire instead of a PCB-type coil element, for example, the primary coil element was conventionally composed of a 16 layer PCB layer and two coils of 8 layers. Since it can be composed of,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product of the primary side coil element can be reliably reduced.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 중의 어느 하나는 절연 코팅된 와이어를 평판상으로 권취한 와이어 권취형 코일소자로 구성하고,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 중의 나머지 하나는 금속재질의 도체패턴이 나선상으로 형성된 절연기판(미도시)이 복수로 적층 구비된 PCB형 코일소자[다층 인쇄회로기판(MLB: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y one of the primary upper coil element 110 and the primary lower coil element 120 is composed of a wire wound coil element in which an insulating coated wire is wound in a flat plate shape, and the primary upper coil element 110 And the other one of the lower primary coil element 120 is a PCB type coil element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MLB)) in which a plurality of insulating substrates (not shown) formed in a spiral shape of a metallic conductor pattern are stacked. )].

따라서, 이 실시예의 경우에는 1차측 코일소자가 와이어 권취형 코일소자와 PCB형 코일소자의 혼합(Hybrid)형으로 구성되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primary side coil element is composed of a hybrid type of a wire wound type coil element and a PCB type coil element.

상기 PCB형 코일소자[다층 인쇄회로기판(MLB: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그 자체는 본원발명의 출원 전에 공지된 구성이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The PCB-type coil device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MLB)] itself is a known configuration prior to the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는, 상부 공심(110a)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절연 코팅된 도전성의 와이어를 서로 접촉하여서 평판형으로 권선하여서 형성된다.The primary-side upper coil element 110 has an upper air core 110a formed in the center, and is formed by winding an insulating coated conductive wi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flat plate.

그리고, 상기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는 상기 상부 공심(110a)과 연통하는 하부 공심(120a)이 중앙에 형성되고, 절연 코팅된 도전성 와이어를 서로 접촉하여서 평판형으로 권선하여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imary-side lower coil element 120 is formed by forming a lower air core 120a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air core 110a in the center, and winding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ive wires in a flat plate shape by contacting each other. To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에 있어서,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가 각각 결선되는 연결핀(Pn)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는 상기 연결핀(Pn)에 의해서 직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flat-panel transfor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mary side upper coil element 110 and the primary side lower coil element 120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in (Pn) for each connection is further included, the 1 The upper coil element 110 on the vehicle side and the lower coil element on the primary side 120 are connected in series by the connection pin Pn.

이제 1차측 코일소자(100: 110,120)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Now,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imary coil elements 100 (110, 120) will be describ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는,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직렬 연결되고 제1 공심(121a)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절연 코팅된 도전성의 와이어를 서로 접촉하여서 평판형으로 권선하여 형성된 메인 공심 코일부(121)[주권선]와, 상기 메인 공심 코일부(121)의 위 또는 아래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 공심 코일부(121)의 제1 공심(121a)과 연통하도록 제2 공심(122a)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절연 코팅된 도전성의 와이어를 서로 접촉하여서 평판형으로 권선하여 형성되어서 상기 메인 공심 코일부(121)와 전자기 유도에 의해 유도 전압을 발생시켜서 출력하는 보조 코일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는 상기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메인 공심 코일부(121)와 직렬 연결되는 메인 공심 코일부[주권선]로 구성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2, the primary lower coil element 120 is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primary upper coil element 110, and the first air core 121a is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ive wire The main air core coil unit 121 (main winding) formed by contacting each other and winding in a flat plate shape, and the first air core of the main air core coil unit 121 provided above or below the main air core coil unit 121 The second air core 122a is formed in the center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121a, and is formed by contacting each other with conductive wires coated with insulation and winding it in a flat plate shape, so that the main air core coil unit 121 and the induced voltage are induced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auxiliary coil unit 122 that generates and outputs. At this time, the primary side upper coil element 110 is composed of a main air core coil unit [main winding wire]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main air core coil unit 121 of the primary side lower coil element 120.

그리고, 상기 보조 코일부(122)로부터 출력된 유도 전압은 메인 기판(미도시)에 실장되는 IC 소자 등을 구동(driving)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duced voltage output from the auxiliary coil unit 122 may be used to drive an IC element mounted on a main substrate (not shown).

그리고, 상기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는, 상기 메인 공심 코일부(121)에 접촉 구비되고 상기 제1 공심(121a)과 연통하도록 중앙공(123a,124a)이 형성되어 있으며 평판상으로 형성되어서 EMI를 차폐하는 도전성의 차폐부재(123,124)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imary lower coil element 120 is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main air core coil unit 121 and has central holes 123a and 124a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air core 121a, and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As a result, conductive shielding members 123 and 124 to shield EMI may be further included and configured.

상기 차폐부재(123,124)는, 메인 공심 코일부(121)의 상측에 구비되고, 제1 공심(121a)과 연통하도록 중앙공(123a)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평판상으로 형성되어서 EMI를 차폐하는 도전성의 상부 차폐부재(123)와, 상기 메인 공심 코일부(121)의 하측에 구비되고 제1 공심(121a)과 연통하도록 중앙공(124a)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평판상으로 형성되어서 EMI를 차폐하는 도전성의 하측 차폐부재(124)로 구성된다.The shielding members 123 and 124 ar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air core coil unit 121, and a central hole 123a is formed in the center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air core 121a, and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to shield EMI The conductive upper shielding member 123 is provided under the main air core coil unit 121 and has a central hole 124a formed in the center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air core 121a and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It consists of a conductive lower shielding member 124 shielding.

이때, 상기 보조 코일부(122)는 상기 메인 공심 코일부(121)와 상측 차폐부재의 사이에 접촉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메인 공심 코일부(121)와 하측 차폐부재의 사이에 접촉 구비되어서, 상기 메인 공심 코일부(121)와 전자기 유도에 의해 유도 전압을 발생시켜서 출력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auxiliary coil unit 122 is provided in contact between the main air core coil unit 121 and the upper shield member, or is provided in contact between the main air core coil unit 121 and the lower shield member, so that the main The induced voltage is generated and output by the air core coil unit 121 and electromagnetic induction.

상기 상측 차폐 부재(123)는 상기 메인 공심 코일부(121)의 상측에 구비되고, 제1 공심(121a)과 연통하도록 제1 중앙공(123a)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절연 코팅된 와이어를 서로 접촉하여서 평판형으로 권선하여 형성되는 EMI를 차폐하는 상측 차폐 코일부(123)로 구성될 수 있다.The upper shielding member 123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air core coil unit 121, a first central hole 123a is formed in the center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air core 121a, and an insulation coated wire It may be composed of an upper shielding coil unit 123 that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shields EMI formed by winding in a flat plate shape.

상기 하측 차폐부재(124)는 상기 메인 공심 코일부(121)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 공심(121a)과 연통하도록 제2 중앙공(124a)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절연 코팅된 와이어를 서로 접촉하여서 평판형으로 권선하여 형성되는 EMI를 차폐하는 하측 차폐 코일부(124)로 구성될 수 있다.The lower shielding member 124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air core coil unit 121, a second central hole 124a is formed in the center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air core 121a, and an insulating coated wire is formed. It may be composed of a lower shielding coil unit 124 that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shields EMI formed by winding in a flat plate shape.

한편, 상기 상측 차폐 부재와 하측 차폐 부재는 상기와 같이 절연 코팅된 와이어를 평판으로 권취하여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중앙에 중앙공이 형성되어 있고 EMI를 차폐하는 차폐 동박시트[예컨대, 박형의 동판이나 동테이프[동박테이프)]로 구성되거나, 또는 중앙공이 형성되어 있고 EMI를 차폐하는 차폐 섬유시트(미도시)로 구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shielding member and the lower shielding member may be formed by winding the insulation-coated wire into a flat plate as described above,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 shielding copper foil sheet having a central hole formed in the center and shielding EMI [For example, it may be composed of a thin copper plate or copper tape [copper foil tape]], or may be composed of a shielding fiber sheet (not shown) that has a central hole and shields EMI.

그리고, 상기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는, 상기 메인 공심 코일부(121)와 상측 차폐부재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 공심(121a)과 연통하는 통공이 중앙에 형성되는 상측 절연시트(C1)와, 상기 메인 공심 코일부(121)와 하측 차폐부재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 공심(121a)과 연통하는 통공이 중앙에 형성되는 하측 절연시트(C2)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lower primary coil element 120 is provided between the main air core coil unit 121 and the upper shielding member and has an upper insulating sheet in which a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air core 121a is formed in the center ( C1), and a lower insulating sheet (C2) provided between the main air core coil unit 121 and the lower shield member and having a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air core 121a formed in the center may be further included. have.

이때, 상기 보조 코일부(122)는 상기 상측 절연시트(C1)와 상측 차폐부재의 사이에 접촉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하측 절연시트(C2)와 하측 차폐부재의 사이에 접촉 구비되어서, 상기 메인 공심 코일부(121)와 전자기 유도에 의해 유도 전압을 발생시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auxiliary coil unit 122 is provided in contact between the upper insulating sheet (C1) and the upper shielding member, or provided in contact between the lower insulating sheet (C2) and the lower shielding member, so that the main air core nose It is characterized by generating and outputting an induced voltage by the part 121 and electromagnetic induction.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드를 이용하여 적층 결합하는 경우보다도 절연내압이 더욱더 커져서 코일부(121,122,123,124) 간의 간격을 더욱더 좁힐 수 있고, 제품의 사이즈를 더욱더 소형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insulation breakdown voltage is further increased than in the case of laminating bonding using a bond, so that the spacing between the coil units 121, 122, 123, 124 can be further narrowed, and the size of the product can be further reduced.

그리고, 상기 상하측 절연시트(C1,C2)에는 위아래에 적층되는 코일부(121,122,123,124)들 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점착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하측 절연시트(C1,C2)는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점착층이 형성된 양면 점착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insulating sheets (C1, C2)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dhesive layer is formed to facilitate coupling between the coil units (121, 122, 123, 124) stack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In this case, the upper and lower insulating sheets C1 and C2 may be composed of double-sided adhesive films having adhesive layer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respectively.

그리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측 차폐부재(123)와 보조 코일부(122) 사이에도 절연시트(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depending on the embodiment, an insulating sheet (not shown) may be provided between the upper shield member 123 and the auxiliary coil unit 122.

상기 상하측 절연 시트(C1,C2)는 합성수지재의 절연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insulating sheets C1 and C2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film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도 3에는 1차측 코일소자(100:110,120)의 변형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3 shows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imary-side coil elements 100:110,12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는,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메인 공심 코일부(121)와 직렬 연결되고 제1 공심(111a)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절연 코팅된 도전성의 와이어를 서로 접촉하여서 평판형으로 권선하여 형성된 메인 공심 코일부(111)[1차측 하부 코일소자(110)에 구비된 메인 공심 코일부(121)와는 구별되어야 함]와, 상기 메인 공심 코일부(111)의 위 또는 아래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 공심 코일부(111)의 제1 공심(111a)과 연통하도록 제2 공심(112a)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절연 코팅된 도전성의 와이어를 서로 접촉하여서 평판형으로 권선하여 형성되는 보조 코일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3, the primary upper coil element 110 is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main air core coil unit 121 of the primary lower coil element 120, and the first air core 111a is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main air core coil part 111 formed by winding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ive wires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a flat plate shape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the main air core coil part 121 provided in the lower primary coil element 110), It is provided above or below the main air core coil part 111, and a second air core 112a is formed in the center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air core 111a of the main air core coil part 111, and is coated with insula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ary coil unit 112 formed by winding the wires in a flat plate shape by contacting each other.

이때,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는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의 메인 공심 코일부(112)와 직렬 연결되는 메인 공심 코일부(121)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ower primary coil element 120 may be composed of a main air core coil unit 121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main air core coil unit 112 of the upper primary coil element 110.

실시예에 따라서는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는 제2 공심(112a)과 연통하도록 제1 중앙공(123a)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절연 코팅된 와이어를 서로 접촉하여서 평판형으로 권선하여 형성되는 EMI를 차폐하는 상측 차폐 코일부(11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upper coil element 110 on the primary side has a first central hole 123a formed in the center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air core 112a, and is formed by winding an insulating coated wi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flat plate.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upper shielding coil unit 113 to shield the EMI.

마찬가지로, 실시예에 따라서는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는 메인 공심 코일부(121)에 부가적으로 제1 공심(121a)과 연통하도록 제2 중앙공(124a)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절연 코팅된 와이어를 서로 접촉하여서 평판형으로 권선하여 형성되는 EMI를 차폐하는 하측 차폐 코일부(124)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Likewi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lower primary coil element 120 has a second central hole 124a formed in the center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air core 121a in addition to the main air core coil unit 121 A lower shielding coil unit 124 for shielding EMI formed by contacting the coated wires with each other and winding them in a flat plate shape may be further included.

그리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상하측 절연 시트(C1,C2)가 코일부(111,112,113) 사이에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코일부(121,124) 사이에 부가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upper and lower insulating sheets C1 and C2 may be provided between the coil units 111, 112 and 113, or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between the coil units 121 and 124.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1차측 코일소자(100:110,120)의 변형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4 shows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imary side coil elements 100:110,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는, 제2 공심(112a)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절연 코팅된 도전성의 와이어를 서로 접촉하여서 평판형으로 권선하여 형성되는 보조 코일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는, 제1 공심(121a)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절연 코팅된 도전성의 와이어를 서로 접촉하여서 평판형으로 권선하여 형성된 메인 공심 코일부(12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4, the primary upper coil element 110 has a second air core 112a formed in the center, and is formed by winding an insulating coated conductive wi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flat plate. Consisting of including a coil unit 112, the primary lower coil element 120 has a first air core 121a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ive wir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flat plat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formed main air core coil unit 121.

후술하는 제1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보조 코일부(122)가 2차측 코일소자(200)의 중간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아래위의 2차측 코일소자(210,220) 사이에 배치되는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두께가 보조 코일부(122)의 두께만큼 두꺼워져서 손실(leakage)이 커져서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When the auxiliary coil unit 122 is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secondary coil element 200 as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to be described later, the primary lower coil element 120 disposed between the secondary coil elements 210 and 220 at the lower and upper sides. ) Is thickened by the thickness of the auxiliary coil unit 122, and thus leakage increases, resulting in a problem of lowering efficiency.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보조 코일부(112)를 메인 공심 코일부(121)와 분리하여서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에 구비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auxiliary coil unit 112 is separated from the main air core coil unit 121 to be provided in the primary upper coil element 110.

실시예에 따라서는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는 제2 공심(112a)과 연통하도록 제1 중앙공(123a)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절연 코팅된 와이어를 서로 접촉하여서 평판형으로 권선하여 형성되는 EMI를 차폐하는 상측 차폐 코일부(11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upper coil element 110 on the primary side has a first central hole 123a formed in the center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air core 112a, and is formed by winding an insulating coated wi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flat plate.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upper shielding coil unit 113 to shield the EMI.

실시예에 따라서는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는 메인 공심 코일부(121)에 부가적으로 제1 공심(121a)과 연통하도록 제2 중앙공(124a)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절연 코팅된 와이어를 서로 접촉하여서 평판형으로 권선하여 형성되는 EMI를 차폐하는 하측 차폐 코일부(124)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lower primary coil element 120 has a second central hole 124a formed in the center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air core 121a in addition to the main air core coil unit 121 and is coated with insulation. A lower shielding coil unit 124 for shielding EMI formed by contacting wires with each other and winding in a flat plate shape may be further included.

그리고 상기 상하측 절연 시트(C1,C2)가 코일부(112,113) 사이에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코일부(121,124) 사이에 부가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insulating sheets C1 and C2 may be provided between the coil units 112 and 113, or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between the coil units 121 and 12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에 있어서, 상기 1차측 상하부 코일소자(110,120)는 알파코일(도 17의 사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lanar transfor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coil elements 110 and 120 on the primary side are formed of an alpha coil (photo of FIG. 17).

즉,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는 공심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절연 코팅된 도전성의 와이어를 서로 접촉하여서 평판형으로 권선하되, 절연 코팅된 와이어의 양단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중으로 권취하여서 평판형으로 권선되는 알파코일으로 구성된다.That is, the upper coil element 110 on the primary side has an air core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ive wir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be wound in a flat plate shape, but both ends of the insulating coated wire are double wound in different directions. Thus, it is composed of an alpha coil wound in a flat plate shape.

그리고, 상기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는, 공심이 중앙에 형성되고, 절연 코팅된 도전성 와이어를 서로 접촉하여서 평판형으로 권선하되, 절연 코팅된 와이어의 양단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중으로 권취하여서 평판형으로 권선하는 알파코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wer coil element 120 of the primary side has an air core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ive wir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be wound in a flat plate shape, and both ends of the insulating coated wire are double wound in different directions.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n alpha coil wound in a flat plate shape.

상기와 같이 알파코일은 동수권선을 사용하고 있어서 고르게 정렬될 수 있고, 또한 권선이 고르게 정렬되므로 권선의 두께를 낮출수 있으며 EMI 특성을 훨씬 좋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alpha coil uses the same number of windings, it can be evenly aligned, and since the windings are evenly aligned, the thickness of the winding can be reduced and EMI characteristics can be improved much bet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에 있어서,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 및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와 결선하기 위한 1차측 단자핀(P1)이 구비되고, 이 1차측 단자핀(P1)을 설치하기 위한 1차측 단자블록(240)이 하기의 제1 코일체(210) 또는 제2 코일체(220) 중의 어느 하나에 형성된다.In the flat-panel transfor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imary-side terminal pin (P1) for connecting with the primary-side upper coil element 110 and the primary-side lower coil element 120 is provided, and the primary-side terminal The primary terminal block 240 for installing the pin P1 is formed on one of the following first coil body 210 or second coil body 220.

상기 1차측 단자블록(240)에는 1차측 단자핀(P1)으로 와이어를 결선하기 위해서 와이어를 통과시키기 위한 와이어 통과홈(240a)이 형성되어 있다.The primary-side terminal block 240 has a wire passage groove 240a for passing the wire to connect the wire with the primary-side terminal pin P1.

그리고, 제1 코일체의 제1 단자(211a) 및 제2 코일체의 제2 단자(221a)에 각각 결선되어서 변압기가 실장되는 완제품[예컨대 충전기 또는 어댑터]의 메인 PCB(미도시)에 연결되는 2차측 단자핀(P2)이 구비된다.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terminal (211a) of the first coil body and the second terminal (221a) of the second coil body are connected to the main PCB (not shown) of the finished product (eg, charger or adapter) on which the transformer is mounted. A secondary terminal pin (P2) is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에 있어서, 상기 2차측 코일소자(200)는, 2차측 코일(211,221)을 사출금형(미도시)의 캐비티(미도시)에 인서트한 상태에서 성형 수지를 주입하여서 절연부(212,222)를 형성함과 동시에 2차측 코일(211,221)을 내장하는 인서트 몰딩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flat-plate transfor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ary coil element 200 includes a molding resin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ary coils 211 and 221 are inserted into a cavity (not shown) of an injection mold (not shown). It is preferable that it is formed by insert molding in which the secondary coils 211 and 221 are embedded at the same time as the insulating portions 212 and 222 are formed by injecting.

상기 2차측 코일(211,221)은, 평판의 나선상 패턴으로 형성되는 코일패턴부(211b,221b)와, 상기 코일패턴부(211b,221b)의 일측 종단에서 U자형으로 벤딩되는 연결부(211c,221c)와, 상기 연결부(211c,221c)의 종단에 형성되는 단자(211a,221a)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211c,221c)는 코일패턴부(211b,221b)의 일측 종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후에 다시 후방[단자가 있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U자형으로 벤딩되고, 상기 2차측 코일소자(200)의 상면(212b)과 하면(220c)은 돌출부가 없는 평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ary coils 211 and 221 include coil pattern portions 211b and 221b formed in a flat spiral pattern, and connection portions 211c and 221c that are bent in a U shape at one end of the coil pattern portions 211b and 221b. And, terminals 211a and 221a formed at ends of the connection parts 211c and 221c, and the connection parts 211c and 221c are bent inward from one end of the coil pattern parts 211b and 221b. Later, it is bent in a U-shape that is bent back (the direction in which the terminal is located), and the upper surface 212b and the lower surface 220c of the secondary coil element 200 are formed in a flat shape without protrusions.

상기와 같이 연결부(211c,221c)를 U자형으로 벤딩 형성하고 2차측 코일소자(200)의 상면(212b)과 하면(220c)을 돌출부가 없는 평탄형으로 형성함으로써, 1차측 코일소자(110,120)와 2차측 코일소자(200)가 면접촉됨과 동시에 밀착될 수 있고, 그 결과 1차측 코일소자(110,120)와 2차측 코일소자(200) 간의 거리가 매우 좁아져서 자기 결합력이 우수해지고 또한 제품의 높이가 낮아지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by bending the connection portions 211c and 221c in a U-shape and forming the upper surface 212b and the lower surface 220c of the secondary coil element 200 in a flat shape without protrusions, the primary coil elements 110 and 120 And the secondary coil element 200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contact, and as a result, the distance between the primary coil elements 110 and 120 and the secondary coil element 200 is very narrow, so that the magnetic coupling force is excellent and the height of the product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lowered.

그리고, 절연부(212,222)는 단자(211a,221a)를 제외하고 2차측 코일소자의 코일(211,212)을 내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insulating parts 212 and 222 are formed to contain the coils 211 and 212 of the secondary coil element except for the terminals 211a and 221a.

상기 2차측 코일소자(200)는, 제1 코일체(210)와 상기 제1 코일체(210)로부터 아래로 이격되는 제2 코일체(220)로 구성되는데, 이 제1 코일체(210)와 제2 코일체(22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The secondary coil element 200 is composed of a first coil body 210 and a second coil body 220 spaced downward from the first coil body 210, and the first coil body 210 And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second coil body 220 will be described.

상기 제1 코일체(210)는 평판의 나선상 패턴으로 형성되는 제1 코일패턴부(211b)와, 상기 제1 코일패턴부(211b)의 일측 종단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후에 다시 후방으로 절곡되어서 U자형으로 벤딩되는 제1 연결부(211c)와, 상기 제1 연결부(211c)의 종단에 형성되는 제1 단자(211a)로 구성되는 제1 코일(211)과, 중앙에는 제1 중앙통공(210a)이 형성되도록 제1 단자(211a)를 제외한 상기 제1 코일(211)을 내장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제1 절연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rst coil body 210 is bent downward at one end of the first coil pattern part 211b formed in a flat spiral pattern and the first coil pattern part 211b, and then bent backward. A first coil 211 composed of a first connection part 211c bent in a shape, a first terminal 211a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211c, and a first central through hole 210a in the cent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insulating portion 212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containing the first coil 211 except for the first terminal 211a so as to be formed.

상기 제2 코일체(220)는 평판의 나선상 패턴으로 형성되는 제2 코일패턴부(221b)와, 상기 제2 코일패턴부(221b)의 일측 종단에서 상방으로 절곡된 후에 다시 후방으로 절곡되어서 U자형으로 벤딩되는 제2 연결부(221c)와, 상기 제2 연결부(221c)의 종단에 형성되는 제2 단자(221a)로 구성되는 제2 코일(221)과, 중앙에는 제2 중앙통공(220a)이 형성되도록 제2 단자(221a)를 제외한 상기 제2 코일(221)을 내장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제2 절연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coil body 220 is bent upward at one end of the second coil pattern part 221b formed in a flat spiral pattern and the second coil pattern part 221b, and then bent backward. A second coil 221 composed of a second connection part 221c bent in a shape, a second terminal 221a formed at the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221c, and a second central through hole 220a in the cent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insulating portion 212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containing the second coil 221 excluding the second terminal 221a so as to be formed.

하방으로 U 벤딩되는 제1 연결부(211c)와, 상방으로 U 벤딩되는 제2 연결부(221c)는 서로 겹치지 않도록 U 벤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2차측 코일소자(200)의 두께를 낮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11c that is U-bend downward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21c that is U-bend upward are U-bend so as not to overlap each other.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secondary coil element 200 can be reduced.

제1 연결부(211c)는 하방으로 U 절곡된 후에 사선으로 후방 절곡 형성되고, 제2 연결부(221c)는 후방으로 U 벤딩 형성됨으로써, 제1 연결부(211c)와 제2 연결부(221c)는 서로 겹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connection part 211c is U-bent downward and then rearwardly bent in an oblique line,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221c is formed U-bending backward,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211c and the second connection 221c do not overlap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so as not to.

이에 의하면, 좁은 면적에서도 제1 연결부(211c)와 제2 연결부(221c)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i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11c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21c can be manufactured so that they do not overlap each other even in a small area.

다음은 도 5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 특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as shown in FIGS. 5 to 12,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peculiar to the planar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는 1차측 코일소자와 2차측 코일소자가 지그재그로 배치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As shown in Figs. 5 to 12, the planar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primary coil element and a secondary coil element arranged in a zigzag manner.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는, 상기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는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서 위치하여서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의 사이에 삽입공간(S1)을 형성하고, 상기 2차측 코일소자(200)는, 제1 코일체(210)와, 상기 제1 코일체(210)로부터 이격되어서 위치하는 제2 코일체(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2차측 코일소자(200)의 제1 코일체(210)와 제2 코일체(22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코일체(210,220)가 상기 삽입공간(S1)에 삽입 구비되어서, 상기 1차측 상하부 코일소자(110,120)와 2차측 코일소자(200)가 상하방향[수직방향]에 대해서 교번적으로(지그재그)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flat-panel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mary lower coil element 120 is located downwardly from the primary upper coil element 110 so that it is located between the upper primary coil element 110 and the upper coil element 110 on the primary side. The insertion space (S1) is formed in, and the secondary coil element 200 includes a first coil body 210 and a second coil body 220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il body 210 And any one of the first coil body 210 and the second coil body 220 of the secondary coil element 2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S1, The primary side upper and lower coil elements 110 and 120 and the secondary side coil elements 200 are provided so as to be alternately positioned (zigzag)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상기 "교번적으로 구비"된다는 것은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 중의 하나는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코일체(210)와 제2 코일체(220)의 사이에 구비되고, 나머지 하나는 제1 코일체(210)의 상면 또는 제2 코일체(220)의 하면에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The "alternately provided" means that one of the primary upper coil element 110 and the primary lower coil element 120 is the one of the first coil body 210 and the second coil body 220 facing each other. It is provided between, and the other means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il body 210 or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oil body 220.

예컨대, 위에서 아래로의 방향으로,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 제1 코일체(210),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 및 제2 코일체(220)의 순서로 배치하거나[도 5 내지 도 12 참조], 또는 제1 코일체(210),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 제2 코일체(220) 및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순서로 배치하는 경우이다.For example, in the direction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 primary upper coil element 110, the first coil element 210, the lower primary coil element 120, and the second coil element 220 are arranged in the order (Fig. 5). To FIG. 12], or the first coil body 210, the upper primary coil element 110, the second coil body 220, and the lower primary coil element 120 in that order.

상기와 같이 1차측 상하부 코일소자(110,120)와 2차측 코일소자(200)를 교번적으로 배치하는 구성에 의하면, 손실 자계의 발생이 현격하게 작아져서 1차측에서 2차측으로의 효율이 현격하게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coil elements 110 and 120 on the primary side and the coil elements 200 on the secondary side are alternately arranged as described above, the generation of the loss magnetic field is remarkably reduced and the efficiency from the primary side to the secondary side is remarkably increased. There is an advantage.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2차측 코일소자의 상측과 하측의 사이에 1차측 코일소자를 배치하게 되면, 2차측 코일소자의 2면(2차측 코일소자의 총 4 면 즉, 상측 위와 아래의 2 면과 하측의 위와 아래의 2 면 중에서 상측 아래의 한면과 하측 아래의 한면 총 2면에 접함)에 1차코일이 접하게 되지만, 상기와 같이 1차측 코일소자와 2차측 코일소자를 지그재그로 배치하면 3면에 1차측 코일소자가 접하게 된다.If the primary coil element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econdary coil element as in the prior art, the two sides of the secondary coil element (a total of four sides of the secondary coil element, that is, the upper and lower two sides and The primary coil is in contact with a total of two faces, one of the top and bottom of the bottom and one of the top and bottom of the bottom), but if the primary coil element and the secondary coil element are arranged in zigzag as above, three sides The primary coil element comes into contact with it.

즉, 종래와 같이 2차측 코일의 중간에 2개의 면이 접하고, 2차측 코일의 상측이나 하측의 바깥쪽에 1면이 추가로 접하게 되어서 총 3면이 접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as in the prior art, two surfaces are in contact with the middle of the secondary coil, and one surface is additionally in contact with the outer side of the upper or lower side of the secondary coil, so that a total of three surfaces are in contact.

이와 같이 3면이 접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1차측 코일소자와 2차측 코일소자 간에 접하는 면적이 넓어져서 손실(leakage)을 훨씬 더 줄일 수 있게 되고 효율이 더 좋아지게 되는 것이다.In this way, when the three surfaces are in contact, the area of contact between the primary coil element and the secondary coil element is relatively increased, so that leakage can be further reduced and efficiency is improved.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체(210) 또는 제2 코일체(220)의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서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를 잡아주기 위한 홀딩 부재(231,232,233,234)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lanar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coil body 210 or the second coil body 220 so that the primary upper coil element 110 and the primary low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holding members (231, 232, 233, 234) for holding the coil element 120.

상기 홀딩 부재(231,232,233,234)는, 제1 코일체(210) 및 제2 코일체(220)의 일면(예컨대 상면 또는 하면)에서 외향으로 돌출 형성되어서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를 잡아준다.The holding members 231, 232, 233, and 234 are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one surface (for example,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oil body 210 and the second coil body 220, so that the primary upper coil element 110 and the primary lower Holds the coil element 120.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에 있어서, 상기 홀딩 부재(231,232,233,234)는 상기 제1 코일체(210)의 상면 또는 하면 중에서 일면(도시된 예에서는 상면)에서 수직방향의 일방(예컨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서 이탈이나 유격이 없이 구비되도록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를 잡아주기 위한 제1 홀딩 부재(231,232)와, 상기 제2 코일체(220)의 일면(예컨대 상면)에서 제1 홀딩 부재(231,232)와 동일한 돌출 방향인 수직방향의 일방(예컨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서 이탈이나 유격이 없이 구비되도록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를 잡아주기 위한 제2 홀딩 부재(233,23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flat-panel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ing member 231, 232, 233, 234 is one of the upper or lower surfaces of the first coil body 210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upper surface) in a vertical direction (for example, The first holding members 231 and 232 for holding the upper coil element 110 on the primary side so as to be formed protruding upward) and provided without separation or gap, and a first holding member 231 and 232 for holding the upper coil element 110 on the primary side, 1 A second holding member 233, 234 for holding the lower primary coil element 120 is formed to protrude in one (for example, upward) in a vertical direction that is the same protruding direction as the holding members 231 and 232 so that there is no separation or gap.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한편, 상기 제1 코일체(21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서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를 잡아주기 위한 제1 홀딩 부재(231,232)와, 상기 제2 코일체(22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서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를 잡아주기 위한 하부 홀딩 부재(233,234)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실시예는 도 5 내지 도 12에 개시된 제1,2 코일체(210,220)를 상하로 뒤집는 경우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 경우에도 본원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됨은 물론이다.Meanwhile, the first holding members 231 and 232 for holding the primary upper coil element 110 by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oil body 21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oil body 220 It may be formed of lower holding members 233 and 234 for holding the primary lower coil element 120 by protruding downward. This embodiment includes the first and second coil bodies 210 and 220 disclosed in FIGS. 5 to 12. Since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in the case of upside dow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is case is also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가 상기 제1 코일체(210) 및 제2 코일체(220)의 상측에 위치하여서 교번적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가 상기 제1 코일체(210) 및 제2 코일체(220)의 하측에 위치하여서 교번적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데 어느 경우에나 본원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That is, when the upper primary coil element 110 and the lower primary coil element 120 are positioned above the first coil body 210 and the second coil body 220 and are alternately provided, It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and the primary upper coil element 110 and the primary lower coil element 120 are positioned under the first coil body 210 and the second coil body 220 so that they are alternately provided If it is formed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in any case falls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1 홀딩 부재(231,232)는 상기 제1 코일체(210)의 일면[예컨대 상면(210b)]에서 수직방향의 일방(예컨대 상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의 상부 공심(110a)의 내주면에 접촉하여서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의 상부 공심(110a)의 내주면을 잡아주는 제1 내측 돌기(231)와, 상기 제1 내측 돌기(231)에서 수평방향의 외향으로 이격되어서 상기 제1 코일체(210)의 일면[예컨대 상면(210b)]에서 제1 내측 돌기(231)의 돌출 방향과 동일한 방향인 수직방향의 일방(예컨대 상방)으로 돌출형성되고,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의 외주면(110b)에 접촉하여서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의 외주면(110b)을 잡아주는 제1 외측 돌기(2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rst holding members 231 and 232 are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urface (eg, upper surface 210b) of the first coil body 210 in a vertical direction (eg, upward), and the primary side of the upper coil element 110 A first inner protrusion 231 that contact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air core 110a to hol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air core 110a of the primary upper coil element 110, and the first inner protrusion 231 in a horizontal direction. It is spaced outwardly and protrudes from one surface (eg, upper surface 210b) of the first coil body 210 in a vertical direction (eg, upwar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first inner protrusion 231, 1 It includes a first outer protrusion 232 that contact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10b of the upper coil element 110 on the vehicle side and hold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10b of the upper coil element 110 on the primary side.

상기 제2 홀딩 부재(233,234)는 상기 제2 코일체(220)의 일면[예컨대 상면(222b)]에서 수직방향의 일방(예컨대 상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하부 공심(120a)의 내주면에 접촉하여서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하부 공심(120a)의 내주면을 잡아주는 제2 내측 돌기(233)와, 상기 제2 내측 돌기(233)에서 수평방향의 외향으로 이격되어서 상기 제2 코일체(220)의 일면[예컨대 상면(222b)]에서 제1 내측 돌기(231)의 돌출 방향과 동일한 방향인 수직방향의 일방(예컨대 상방)으로 돌출형성되고,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외주면(120b)에 접촉하여서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외주면(120b)을 잡아주는 제2 외측 돌기(2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cond holding members 233 and 234 are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ide (eg, upper surface 222b) of the second coil body 220 in a vertical direction (eg, upward), and the lower coil element 120 of the primary side A second inner protrusion 233 that contact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air core 120a to hol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air core 120a of the primary lower coil element 120, and the second inner protrusion 233 in a horizontal direction. It is spaced outwardly and protrudes from one surface (eg, upper surface 222b) of the second coil body 220 in a vertical direction (eg, upwar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first inner protrusion 231, 1 It includes a second outer protrusion 234 that contact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20b of the lower coil element 120 on the vehicle side and hold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20b of the lower coil element 120 on the primary side.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는 상기 제1 코일체(210)의 상면(212b)에 재치되고, 상기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는 상기 제2 코일체(220)의 상면(222b)에 재치된다.The primary upper coil element 110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212b of the first coil body 210, and the primary lower coil element 120 is the upper surface 222b of the second coil body 220 To be wit

그리고, 상기 제1 내측 돌기(231)는 상기 제1 절연부(212)의 상면(212b)[즉, 제1 코일체의 상면(212b)]에서 돌출형성되고,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의 상부 공심(110a)의 내주면(110a')에 접촉하여서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의 상부 공심(110a)의 내주면을 잡아주게 된다.In addition, the first inner protrusion 231 is formed to protrude from an upper surface 212b (that is, the upper surface 212b of the first coil body)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212, and the primary upper coil element 110 ) To hol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air core 110a of the primary upper coil element 110 by contact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10a' of the upper air core 110a.

상기 제1 외측 돌기(232)는 제1 내측 돌기(231)에서 외향으로 이격되어서 상기 제1 절연부(212)의 상면에서 돌출형성되고,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외주면(120b)에 접촉하여서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외주면(120b)을 잡아준다.The first outer protrusion 232 is spaced outwardly from the first inner protrusion 231 and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212, and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20b of the lower primary coil element 120. By contact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20b of the lower primary coil element 120 is held.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에 있어서,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와이어를 1차측 단자핀(P1)으로 결선하기 위해서, 제1 코일체(210)의 제1 중앙공(210a) 또는 제2 코일체(220)의 제2 중앙공(220a)으로부터 상기 1차측 단자블록(240)으로 와이어를 안내하기 위한 와이어 삽입채널(251,252)이 요입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flat-panel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onnect the wires of the upper primary coil element 110 and the lower primary coil element 120 to the primary terminal pin (P1), the first nose Wire insertion channels 251 and 252 for guiding a wire from the first central hole 210a of the unit 210 or the second central hole 220a of the second coil body 220 to the primary terminal block 24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dentation is formed.

그리고, 상기 메인 공심 코일부(121)의 내측에서 종단되어서 1차측 단자핀(P1)에 결선하기 위해서 메인 공심 코일부(121)의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삽입채널(251,252)을 따라서 와이어 삽입채널(251,252)에 삽입되어서 상기 1차측 단자핀(P1)에 결선된다.In addition, the wire of the main air core coil unit 121 is terminated from the inner side of the main air core coil unit 121 and is connected to the primary terminal pin P1. ) And connected to the primary terminal pin (P1).

상기 보조 코일부(122)의 내측에서 종단되어서 1차측 단자핀(P1)에 결선하기 위한 보조 코일부(122)의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삽입채널(251,252)을 따라서 와이어 삽입채널(251,252)에 삽입되어서 상기 1차측 단자핀(P1)에 결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ire of the auxiliary coil unit 122, which is terminated from the inside of the auxiliary coil unit 122 and is connected to the primary terminal pin P1, is inserted into the wire insertion channels 251 and 252 along the wire insertion channels 251 and 252.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primary terminal pin (P1).

그리고, 상기 내측 돌기(231)에는 상기 와이어 삽입채널(251,252)과 연통되도록 통과 슬릿(261,26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 공심 코일부(121)의 와이어 및 보조 코일부(122)의 와이어는 상기 통과 슬릿(261,262)에 끼워져서 상기 와이어 삽입채널(251,252)에 삽입되어서 결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ner protrusion 231 has passage slits 261 and 262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wire insertion channels 251 and 252, and the wire of the main air core coil unit 121 and the wire of the auxiliary coil unit 122 are th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slit (261, 262) and inserted into the wire insertion channels (251, 252) to be connected.

상기 통과 슬릿(261,262)은 메인 공심 코일부(121)의 와이어와 보조 코일부(122)의 와이어를 각각 끼우기 위한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through slits 261 and 262 may be formed as a pair for inserting the wires of the main air core coil unit 121 and the wires of the auxiliary coil unit 122, respectively.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에 있어서, 중앙공(310a)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홀딩 부재(231,232)에 의해서 홀딩되어서 상기 제1 코일체(210)의 일면에 안착되는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를 덮도록(커버하도록) 제1 코일체(210)에 결합하는 상부 덮개(310)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flat-plat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entral hole 310a is formed, and is held by the first holding members 231 and 232 to be seat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coil body 210. An upper cover 310 coupled to the first coil body 210 to cover (cover) the upper coil element 110 on the vehicle side is further included and configured.

이에 의하면, 제1 내측 돌기(231)와 제1 외측 돌기(232)와 상부 덮개(310)가 형성하는 공간에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를 장입할 수 있어서 더욱더 안정적으로 실장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ount the primary upper coil element 110 in the space formed by the first inner protrusion 231, the first outer protrusion 232, and the upper cover 310, so that it can be mounted more stably. .

그리고, 상기 제1 코일체(210)의 일면에는 제1 체결돌기(21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덮개(310)에는 상기 제1 체결돌기(215)에 체결되는 제1 체결공(310b)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상부 덮개(310)가 제1 코일체(210)의 일면에 결합된다.In addition, a first fastening protrusion 215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coil body 210, and a first fastening hole 310b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215 in the upper cover 310 In this form, the upper cover 310 is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coil body 210.

상부 덮개(310)를 체결하는 방법으로는 위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접착제에 의한 방법이거나 또는 테이핑에 의한 방법으로도 체결될 수 있을 것이다.The method of fastening the upper cover 31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configuration, and may be fastened by, for example, an adhesive method or a taping method.

다음은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의 구성과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flat plat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13 to 16.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는 1차측 코일소자의 사이에 2차측 코일소자가 삽입 구비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As shown in Figs. 13 to 16, the planar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ain point that a secondary coil element is inserted between the primary coil elements.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는, 상기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는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서 위치하여서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의 사이에 삽입공간(S1)을 형성하고, 상기 2차측 코일소자(200)는,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공간(S1)에 삽입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flat-panel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primary coil element 120 is located downwardly from the upper primary coil element 110, so that it is located between the upper primary coil element 110 and the upper coil element 110 on the primary side. In the insertion space (S1) is formed, and the secondary coil element 2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S1) formed between the upper primary coil element 110 and the lower primary coil element 120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상기와 같이 상하의 2 개의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사이에 2차측 코일소자(200)를 삽입(insert)하는 구성에 의하면, 종래의 기술 즉, 2 개의 2차측 코일소자의 사이에 하나의 1차측 코일소자를 구성하는 기술에 비하여 손실 자계의 발생이 작아져서 1차측에서 2차측으로의 효율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inserting the secondary coil element 200 between the two upper and lower primary coil elements 110 and the lower primary coil element 120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technique, that is, two Compared to the technique of configuring one primary coil element between the secondary coil element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generation of a loss magnetic field is reduced and the efficiency from the primary side to the secondary side is increased.

상기 2차측 코일소자(200)는, 평판형으로 나선상 패턴으로 형성된 도전성 재질의 2차측 코일(211,221)과, 중앙에는 중앙통공(210a,220a)이 형성되도록 상기 2차측 코일(211,221)을 내장하여서 평판형으로 형성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절연부(212,22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2차측 코일소자(200)의 상면(212b)이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에 접촉되고, 상기 2차측 코일소자(200)의 하면(222c)이 상기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에 접촉되어서, 상기 2차측 코일소자(200)가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삽입공간(S1)에 삽입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1차측과 2차측 간의 결합력이 커지는 이점이 있다.The secondary coil element 200 includes secondary coils 211 and 221 of a conductive material formed in a helical pattern in a flat plate shape, and the secondary coils 211 and 221 so that central through holes 210a and 220a are formed in the center. Consisting of including insulating portions 212 and 222 made of synthetic resin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the upper surface 212b of the secondary coil element 200 is in contact with the primary upper coil element 110, and the secondary coil The lower surface 222c of the element 200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primary coil element 120, so that the secondary coil element 200 is the upper primary coil element 110 and the lower primary coil element 120.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S1) of. According to thi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primary side and the secondary side is increased.

2차측 코일소자(200)는 하나의 2차측 코일소자(210)[ 또는 2차측 코일소자(220)]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2 개의 2차측 코일소자(210,220)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는 변압기의 출력에 따른 설계 사양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며, 어느 경우에나 본원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또한, 설계 사양에 따라서는 2차측 코일소자(210,220)가 3 개 이상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도 본원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The secondary coil element 200 may be composed of one secondary coil element 210 (or secondary coil element 220), or may be composed of two secondary coil elements 210 and 220, which It is determined by design specifications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transformer, and in any case falls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depending on the design specification, three or more secondary coil elements 210 and 220 may be configured, and even in this cas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y belong to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변압기에 있어서는 상기 2차측 코일소자(200)이 2개로 구성되는 경우의 예를 들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In the flat-panel transfor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where the secondary coil element 200 is composed of two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는 제1 코일체(210)의 상면(212b)에 재치되고, 상기 제2 코일체(220)의 하면(222c)은 상기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상측이 밀착되도록 접촉된다.The primary upper coil element 110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212b of the first coil body 210, and the lower surface 222c of the second coil body 220 is formed of the lower primary coil element 120. The upper side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상기 2차측 코일소자(200)의 상면(212b) 또는 하면(222c)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어서 상기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를 잡아주기 위한 홀딩 부재(235,236,237,238)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변압기.A holding member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212b or the lower surface 222c of the secondary coil element 200 to hold the upper primary coil element 110 and the lower primary coil element 120 ( 235,236,237,238),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t-panel transformer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홀딩 부재(235,236,237,238)는, 제1 코일체(210)의 상면(212b)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고, 제2 코일체(22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서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를 잡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lding members 235,236,237,238 are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212b of the first coil body 210, and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oil body 220, so that the primary upper coil element ( 110) and the lower coil element 120 on the primary side.

상기 홀딩 부재(235,236,237,238)는, 상기 제1 코일체(21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서 이탈이나 유격이 없이 구비되도록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를 잡아주기 위한 제1 홀딩 부재(235,236)와, 상기 제2 코일체(220)의 하면에서 제1 홀딩 부재(235,236)와 반대의 돌출 방향인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서 이탈이나 유격이 없이 구비되도록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를 잡아주기 위한 제2 홀딩 부재(237,23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lding members 235,236,237,238 are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il body 210 so that there is no separation or gap, and a first holding member (235,236) for holding the primary upper coil element 110 Wow,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oil body 220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in a protruding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holding members 235 and 236 to hold the lower primary coil element 120 so as to be provided without separation or gap.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holding member (237,238).

상기 제1 홀딩 부재(235,236)는, 상기 제1 코일체(21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의 상부 공심(110a)의 내주면에 접촉하여서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의 상부 공심(110a)의 내주면을 잡아주는 제1 내측 돌기(235)와, 상기 제1 내측 돌기(235)에서 수평방향의 외향으로 이격되어서 상기 제1 코일체(21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형성되고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의 외주면(110b)에 접촉하여서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의 외주면(110b)을 잡아주는 제1 외측 돌기(2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rst holding members 235 and 236 are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il body 210 and contac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air core 110a of the upper primary coil element 110 to The first inner protrusion 235 that hold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air core 110a of the coil element 110 and the first inner protrusion 235 are spaced outwar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first coil body 210 Consists of including a first outer protrusion 236 that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and contact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10b of the primary upper coil element 110 to hol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10b of the primary upper coil element 110 do.

반대로, 상기 제2 홀딩 부재(237,238)는 상기 제2 코일체(220)의 타면[예컨대 하면(222c)]에서 수직방향의 타방(예컨대 하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하부 공심(120a)의 내주면에 접촉하여서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하부 공심(120a)의 내주면을 잡아주는 제2 내측 돌기(237)와, 상기 제2 내측 돌기(237)에서 수평방향의 외향으로 이격되어서 상기 제2 코일체(220)의 일면[예컨대 하면(222c)]에서 제2 내측 돌기(237)의 돌출 방향과 동일한 방향인 수직방향의 타방(예컨대 하방)으로 돌출형성되고,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외주면(120b)에 접촉하여서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외주면(120b)을 잡아주는 제2 외측 돌기(23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onversely, the second holding members 237 and 238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coil body 220 (for example, the lower surface 222c) to the other (for example,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ower coil element 120 on the primary side )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air core 120a to hol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air core 120a of the primary lower coil element 120, and the second inner protrusion 237 horizontally. It is spaced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second coil body 220 so as to protrude from one surface (for example, the lower surface 222c) of the second coil body 220 to the other (for example, downwar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second inner protrusion 237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outer protrusion 238 that contact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20b of the lower primary coil element 120 and hold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20b of the lower primary coil element 120.

한편,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변압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211c)를 수용하기 위한 제2 수용홈(227)이 상기 제2 코일체(220)의 상면(222b)에 요입 형성되며, 상기 제2 연결부(221c)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수용홈(217)이 상기 제1 코일체(210)의 하면(212c)에 요입 형성되며, 상기 제1 코일체(210)의 하면(212c)과 상기 제2 코일체(220)의 상면(222b)은 밀착되도록 면접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2차측 코일소자(200)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6, in a transform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receiving groove 227 for accommodating the first connecting part 211c is formed of the second coil body 220. The first receiving groove 217 for accommodating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21c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222b, and the first receiving groove 217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212c of the first coil body 210, and the first nos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urface 212c of the integral 210 and the upper surface 222b of the second coil body 220 may be in surface contact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Accordingly, the thickness of the secondary coil element 200 can be made thin.

그리고, 상기 제1 홀딩 부재(235,236)에 의해서 홀딩되어서 상기 제1 코일체(210)의 일면에 안착되는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를 덮도록(커버하도록) 제1 코일체(210)에 결합하는 상부 덮개(310)가 더 포함됨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다.And, the first coil body 210 to cover (cover) the primary upper coil element 110 that is held by the first holding members 235 and 236 and seat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coil body 210 It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that the upper cover 310 is further included.

그리고, 제2 실시예의 경우에는, 중앙공(320a)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홀딩 부재(237,238)에 의해서 홀딩되어서 상기 제2 코일체(220)의 일면에 안착되는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를 덮도록(커버하도록) 제2 코일체(220)에 결합되는 하부 덮개(320)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a central hole (320a) is formed, the lower primary side coil element 120 that is held by the second holding members 237 and 238 to be seat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coil body 220 ) To cover (to cover) a lower cover 320 coupled to the second coil body 220 is further included.

상기 제2 코일체(220)의 일면에는 제2 체결돌기(22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덮개(320)에는 상기 제2 체결돌기(225)에 체결되는 제2 체결공(320b)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하부 덮개(320)가 제2 코일체(220)의 일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econd fastening protrusion 225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coil body 220, and a second fastening hole 320b fastened to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225 is formed in the lower cover 320 In this way, the lower cover 320 is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coil body 220.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변압기에 있어서,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상기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와이어의 단면은 사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와이어가 밀집되어서 효율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transform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wire of the upper primary coil element 110 and the lower primary coil element 12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quare shape. According to thi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efficiency is increased because the wires are concentrated.

그리고, 제1 코일체(210)와 제2 코일체(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직렬 연결되는 경우에는 브릿지(Br)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first coil body 210 and the second coil body 220 may be connected in series as shown. When connected in series, a bridge (Br) is further included and configured.

한편, 제1 코일패턴부(212)와 제2 코일패턴부(22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브릿지(Br)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 브릿지(Br)에 의해서 제1 코일체(210)와 제2 코일체(220)는 직렬 구성되게 된다.Meanwhile, a bridge (B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coil pattern portion 212 and the second coil pattern portion 222 may be further included, and the first coil body ( 210) and the second coil body 220 are configured in series.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 코일체(210)와 제2 코일체(220)가 브릿지(Br)에 의해서 연결되어서 직렬 구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며, 제1 코일체(210)와 제2 코일체(220)가 연결 없이 병렬적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본원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irst coil body 210 and the second coil body 220 are connected by a bridge (Br) to be serially configur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Even when the integral 210 and the second coil body 220 are configured in parallel without connection, they belong to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로 이해해야만 한다.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examined, and it is common knowledge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t is self-evident to those who have.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1차측 코일소자
110 : 1차측 상부 코일소자 110a : 상부 공심
110a' : 1차측 상부 코일소자의 내주면
110b : 1차 하부 코일소자의 외주면
120 : 1차측 하부 코일소자 120a : 하부 공심
120a' : 1차측 상부 코일소자의 내주면
120b : 1차측 하부 코일소자의 외주면
Pn : 연결핀 S1 : 삽입공간
111,121 : 메인 공심 코일부 111a,121a : 제1 공심
C1 : 상측 절연시트 C2 : 하측 절연시트
112,122 : 보조 코일부 112a,122a : 제2 공심
123 : 상측 차폐 코일부 123a : 제1 중앙공
124 : 하측 차폐 코일부 124a : 제2 중앙공
200 : 2차측 코일소자 210 : 제1 코일체
210 : 제1 코일체 211 : 제1 평판형 코일
211a : 제1 단자 211b : 제1 코일패턴부
211c : 제1 연결부 210a : 제1 중앙공
212 : 제1 절연부 212b : 제1 코일체의 상면
212c : 제1 코일체의 하면 215 : 제1 체결돌기
217 : 제1 수용홈 Br : 브릿지
220 : 제2 코일체 221 : 제2 평판형 코일
221a : 제2 단자 221b : 제2 코일패턴부
221c : 제2 연결부 220a : 제2 중앙공
222 : 제2 절연부 222b : 제2 코일체의 상면
222c : 제2 코일체의 하면 225 : 제2 체결돌기
227 : 제2 수용홈 231 : 제1 내측 돌기
232 : 제1 외측 돌기 233 : 제2 내측 돌기
234 : 제2 외측 돌기 235 : 제1 내측 돌기
236 : 제1 외측 돌기 237 : 제2 내측 돌기
238 : 제2 외측 돌기 P1 : 1차측 단자핀
P2 : 2차측 단자핀 240 : 1차측 단자블록
240a : 와이어 통과홈 251,252 : 와이어 삽입채널
261,262 : 통과 슬릿 310 : 상부 덮개
310a : 중앙공 310b : 제1 체결공
320 : 하부 덮개 320a : 중앙공
320b : 제2 체결공
100: primary coil element
110: primary upper coil element 110a: upper air core
110a':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coil element on the primary side
110b: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primary coil element
120: primary lower coil element 120a: lower air core
120a':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coil element on the primary side
120b: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coil element on the primary side
Pn: Connection pin S1: Insertion space
111,121: main air core coil unit 111a,121a: first air core
C1: upper insulating sheet C2: lower insulating sheet
112,122: auxiliary coil unit 112a,122a: second air core
123: upper shielding coil part 123a: first central hole
124: lower shielding coil part 124a: second central hole
200: secondary coil element 210: first coil body
210: first coil body 211: first flat coil
211a: first terminal 211b: first coil pattern portion
211c: first connection part 210a: first central hole
212: first insulating part 212b: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il body
212c: lower surface of the first coil body 215: first fastening protrusion
217: first receiving groove Br: bridge
220: second coil body 221: second flat coil
221a: second terminal 221b: second coil pattern part
221c: second connection part 220a: second central hole
222: second insulating part 222b: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il body
222c: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oil body 225: second fastening protrusion
227: second receiving groove 231: first inner protrusion
232: first outer protrusion 233: second inner protrusion
234: second outer protrusion 235: first inner protrusion
236: first outer protrusion 237: second inner protrusion
238: second outer protrusion P1: primary terminal pin
P2: secondary terminal pin 240: primary terminal block
240a: wire through groove 251,252: wire insertion channel
261,262: through slit 310: top cover
310a: central hole 310b: first fastening hole
320: lower cover 320a: central hole
320b: second fastening hole

Claims (5)

평판상의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로부터 하방으로 접촉되거나 또는 이격되어서 위치하는 평판상의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와,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서 유도전류가 발생되는 평판상의 2차측 코일소자(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변압기.
A flat plate-shaped primary upper coil element 110,
A flat plate-shaped primary lower coil element 120 positioned to be in contact with or spaced apart from the primary upper coil element 110,
A planar transformer comprising: a plate-shaped secondary coil element 200 in which an induced current is generated by a current applied to the primary upper coil element 110 and the primary lower coil element 120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는,
상부 공심(110a)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절연 코팅된 도전성의 와이어를 서로 접촉하여서 평판형으로 권선하여서 형성되고,
상기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는,
상기 상부 공심(110a)과 연통하는 하부 공심(120a)이 중앙에 형성되고, 절연 코팅된 도전성 와이어를 서로 접촉하여서 평판형으로 권선하여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변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imary upper coil element 110,
The upper air core (110a) is formed in the center, is formed by contacting each other conductive wires coated with insulation and winding in a flat plate shape,
The primary lower coil element 120,
A plate-type transformer, characterized in that a lower air core (120a)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air core (110a) is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ive wir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flat plate shap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는,
상기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직렬 연결되고, 제1 공심(121a)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절연 코팅된 도전성의 와이어를 서로 접촉하여서 평판형으로 권선하여 형성된 메인 공심 코일부(121)와,
상기 메인 공심 코일부(121)의 위 또는 아래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 공심 코일부(121)의 제1 공심(121a)과 연통하도록 제2 공심(122a)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절연 코팅된 도전성의 와이어를 서로 접촉하여서 평판형으로 권선하여 형성되는 보조 코일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변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imary lower coil element 120,
The main air core coil unit 121 is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primary upper coil element 110, the first air core 121a is formed in the center, and is formed by winding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ive wires in a flat plate shape by contacting each other Wow,
It is provided above or below the main air core coil unit 121, a second air core 122a is formed in the center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air core 121a of the main air core coil unit 121, and is coated with insulation. A planar transformer comprising an auxiliary coil unit 122 formed by contacting conductive wires with each other and winding in a planar shap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는,
상기 메인 공심 코일부(121)에 접촉 구비되고 상기 제1 공심(121a)과 연통하도록 중앙공(123a,124a)이 형성되어 있으며 평판상으로 형성되어서 EMI를 차폐하는 도전성의 차폐부재(123,124)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변압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primary lower coil element 120,
It is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main air core coil unit 121 and has central holes 123a and 124a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air core 121a, and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to shield EMI Flat-panel transform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is further included.
청구항 3에 있어서,
1차측 단자핀(P1)이 구비된 1차측 단자블록(240)이 제1 코일체(210) 또는 제2 코일체(220)의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1차측 상부 코일소자(110)와 1차측 하부 코일소자(120)의 와이어를 1차측 단자핀(P1)으로 결선하기 위해서,
제1 코일체(210)의 제1 중앙공(210a) 또는 제2 코일체(220)의 제2 중앙공(220a)으로부터 상기 1차측 단자블록(240)으로 와이어를 안내하기 위한 와이어 삽입채널(251,252)이 요입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변압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primary terminal block 240 provided with the primary terminal pin P1 is formed on either the first coil body 210 or the second coil body 220,
In order to connect the wires of the upper primary coil element 110 and the lower primary coil element 120 with the primary terminal pin (P1),
A wire insertion channel for guiding a wire from the first central hole 210a of the first coil body 210 or the second central hole 220a of the second coil body 220 to the primary terminal block 240 ( 251,252) is a flat plate type transform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ave formed.
KR1020200114195A 2019-03-29 2020-09-07 A planar transformer KR1025001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195A KR102500130B1 (en) 2019-03-29 2020-09-07 A planar transform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470A KR102281276B1 (en) 2019-03-29 2019-03-29 A planar transformer
KR1020200114195A KR102500130B1 (en) 2019-03-29 2020-09-07 A planar transform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7470A Division KR102281276B1 (en) 2019-03-29 2019-03-29 A planar transform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391A true KR20200115391A (en) 2020-10-07
KR102500130B1 KR102500130B1 (en) 2023-02-15

Family

ID=85223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4195A KR102500130B1 (en) 2019-03-29 2020-09-07 A planar transform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0130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7416A (en) * 2001-02-08 2002-08-23 Fuji Electric Co Ltd Power transform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120025377A (en) * 2010-08-11 2012-03-15 삼성전기주식회사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579427B1 (en) 2015-10-28 2015-12-22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씨 Transformer
KR101590132B1 (en) * 2015-07-31 2016-02-01 삼성전기주식회사 Transformer and plate coil shaped parts
KR20160041837A (en) 2015-10-21 2016-04-18 (주)청한이엔엘 protect coil and transformer using the same
KR20170002600U (en) * 2016-01-08 2017-07-18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Planar transformer with multilayer circuit board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7416A (en) * 2001-02-08 2002-08-23 Fuji Electric Co Ltd Power transform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120025377A (en) * 2010-08-11 2012-03-15 삼성전기주식회사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590132B1 (en) * 2015-07-31 2016-02-01 삼성전기주식회사 Transformer and plate coil shaped parts
KR20160041837A (en) 2015-10-21 2016-04-18 (주)청한이엔엘 protect coil and transformer using the same
KR101579427B1 (en) 2015-10-28 2015-12-22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씨 Transformer
KR20170002600U (en) * 2016-01-08 2017-07-18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Planar transformer with multilayer circuit 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0130B1 (en) 2023-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34213B2 (en) Wireless power system and multilayer shim assembly
KR102024849B1 (en) Planary secondary coil assembly for transformer
WO2006054453A1 (en) High-voltage transformer
TWI401707B (en) Magnetic device and bobbin thereof
KR102000249B1 (en) Secondary coil assembly for transformer and transformer using it
KR102281276B1 (en) A planar transformer
KR101958648B1 (en) Manufactruing method of plate secondary coil assembly for transformer
CN105931815A (en) Planar transformer
KR102227360B1 (en) Flat type secondary coil element for transformer
KR102281274B1 (en) planar transformer
KR102159315B1 (en) A planar transformer
KR102500130B1 (en) A planar transformer
CN111083934B (en) Transformer
KR102226375B1 (en) A planar transformer
KR102024851B1 (en) A transformer
KR102644201B1 (en) primary coil device and transformer thereof
US11756721B2 (en) Planar transformer
EP1475811A2 (en) Electric componen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2359291B1 (en) A planar transformer
KR102558498B1 (en) Clip combined transformer
KR102281278B1 (en) Planary secondary coil assembly for transformer
KR102009434B1 (en) Plate secondary coil assembly for transformer
KR101009650B1 (en) Compacted Plannar Transformer
KR102262613B1 (en) Coil assembly and a planar transformer
KR102256547B1 (en) Planary secondary coil assembly for transform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