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4520A - 청강 확인기능을 갖는 인터넷 강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청강 확인기능을 갖는 인터넷 강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4520A
KR20200114520A KR1020190036438A KR20190036438A KR20200114520A KR 20200114520 A KR20200114520 A KR 20200114520A KR 1020190036438 A KR1020190036438 A KR 1020190036438A KR 20190036438 A KR20190036438 A KR 20190036438A KR 20200114520 A KR20200114520 A KR 20200114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cture
answer
pop
attendance
audi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6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화
Original Assignee
이정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화 filed Critical 이정화
Priority to KR1020190036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4520A/ko
Publication of KR20200114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45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청강 확인기능을 갖는 인터넷 강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인터넷을 통하여 강의 청강에 있어 실제 청강여부를 명확히 검증하여 청강자의 학습능력이 학습진도에 알맞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인터넷 강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청강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강의창에 아이디와 비밀번호 입력을 통하여 사용자 인증 접속을 하는 인증접속과정과 상기 인증접속과정 후 청강대상 강의를 선택하여 플레이어 하는 강의플레이과정, 상기 강의 플레이과정을 통하여 플레이되는 강의의 플레이 과정 계측을 통하여 강의 청강시간을 체크하는 타임체크과정, 상기 타임체크과정을 통하여 강의 청강시간이 일정시간 이상이 이루어지게 되면 강의와 연관된 문제를 팝업 디스플레이하는 랜덤문제팝업과정, 상기 랜덤문제팝업과정을 통하여 문제의 팝업을 오프하는 문제팝업오프과정, 상기 문제팝업오프과정 후 답지를 팝업디스플레이하는 답지디스플레이과정, 상기 답지디스플레이과정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된 답지의 선택을 위하여 청강자가 강의를 일시정지 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답입력청강자일시정지판단과정, 상기 답입력청강자일시정지판단과정을 통하여 청강자가 답 입력을 위하여 강의 일시정지가 확인되면 답입력창이 팝업되는 답입력창팝업과정, 상기 답입력창팝업과정을 통하여 팝업된 답입력창에 답을 입력하는 답입력과정, 상기 답입력청강자일시정지판단과정에 있어 답지가 팝업된 후 일정시간 내에 청강자에 의한 일시정지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일정시간을 계측하여 답지디스플레이과정이 다시 이루어지게 하는 추가답지디스플레이과정, 청강자가 강의를 모두 청강한 후 청강종료를 확인체크할 수 있게 청강종료창이 일시적으로 팝업되게 하는 청강종료확인과정, 상기 청강종료확인과정 후 강의 관리자가 답입력과정과 청강종료확인과정을 통하여 답의 입력여부와 청강종료확인 여부를 통하여 출석을 인정하는 출석검증과정 및 상기 출석검증과정을 통하여 출석인정을 청강자에게 소셜네크워크를 통하여 고지하는 출석인정고지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하여 강의 청강에 있어 실제 청강여부를 명확히 검증하여 청강자의 학습능력이 학습진도에 알맞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청강 확인기능을 갖는 인터넷 강의 제어방법{Internet Lecture Control Method with Audit Check Function}
본 발명은 청강 확인기능을 갖는 인터넷 강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터넷 강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강의 플레이 과정을 통하여 플레이되는 강의의 플레이 과정 계측을 통하여 강의 청강시간을 체크하는 타임체크과정, 상기 타임체크과정을 통하여 강의 청강시간이 일정시간 이상이 이루어지게 되면 강의와 연관된 문제를 팝업 디스플레이하는 랜덤문제팝업과정, 상기 랜덤문제팝업과정을 통하여 문제의 팝업을 오프하는 문제팝업오프과정, 상기 문제팝업오프과정 후 답지를 팝업디스프레이하는 답지디스플레이과정, 상기 답지디스플레이과정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된 답지의 선택을 위하여 청강자가 강의를 일시정지 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답입력청강자일시정지판단과정, 상기 답입력청강자일시정지판단과정을 통하여 청강자가 답 입력을 위하여 강의 일시정지가 확인되면 답입력창이 팝업되는 답입력창팝업과정, 상기 답입력창팝업과정을 통하여 팝업된 답입력창에 답을 입력하는 답입력과정으로 이루어져, 인터넷을 통하여 강의 청강에 있어 실제 청강여부를 명확히 검증하여 청강자의 학습능력이 학습진도에 알맞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강의는 원거리에 있거나 직장을 다니면서 학업을 하는 자에게 학업을 성취할 수 있게 인터넷을 통하여 강의를 듣고 이를 통하여 학업취득을 인정받을 수 있도록 하는 강의 방법인 것이다.
이상과 같은 인터넷강의는 청강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강의창에 아이디와 비밀번호 입력을 통하여 사용자 인증 접속을 하는 인증접속과정과 상기 인증접속과정 후 청강대상 강의를 선택하여 플레이어 하는 강의플레이과정 및 상기 강의플레이과정을 통하여 플레이되는 강의의 종료를 확인하여 청강자의 강의 청강을 인정하는 청강인정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인터넷강의는 청강자가 인증접속과정을 통하여 청강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강의창에 아이디와 비밀번호 입력을 통하여 사용자 인증 접속한 후 강의플레이과정을 통하여 청강대상 강의를 선택하고 플레이하여 청강을 하게 되면, 청강인정과정을 통하여 플레이되는 강의의 종료를 확인하여 청강자의 강의 청강 인정이 완료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인터넷강의는 강의 청강여부가 강의플레이과정을 통한 강의 플레이 완료 여부의 확인을 통하여서만 청강의 확인이 이루어져 강의를 청강하지 않고 강의만의 플레이를 통하여도 강의 청강이 완료되어 부실한 청강 검증이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05-0095229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인터넷강의는 강의 청강여부가 강의플레이과정을 통한 강의 플레이의 완료 여부의 확인을 통하여서만 청강의 확인이 이루어져 강의를 청강하지 않고 강의만의 플레이를 통하여도 강의 청강이 완료되어 부실한 청강 검증이 이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터넷 강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청강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강의창에 아이디와 비밀번호 입력을 통하여 사용자 인증 접속을 하는 인증접속과정과 상기 인증접속과정 후 청강대상 강의를 선택하여 플레이어 하는 강의플레이과정, 상기 강의 플레이과정을 통하여 플레이되는 강의의 플레이 과정 계측을 통하여 강의 청강시간을 체크하는 타임체크과정, 상기 타임체크과정을 통하여 강의 청강시간이 일정시간 이상이 이루어지게 되면 강의와 연관된 문제를 팝업 디스플레이하는 랜덤문제팝업과정, 상기 랜덤문제팝업과정을 통하여 문제의 팝업을 오프하는 문제팝업오프과정, 상기 문제팝업오프과정 후 답지를 팝업디스플레이하는 답지디스플레이과정, 상기 답지디스플레이과정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된 답지의 선택을 위하여 청강자가 강의를 일시정지 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답입력청강자일시정지판단과정, 상기 답입력청강자일시정지판단과정을 통하여 청강자가 답 입력을 위하여 강의 일시정지가 확인되면 답입력창이 팝업되는 답입력창팝업과정, 상기 답입력창팝업과정을 통하여 팝업된 답입력창에 답을 입력하는 답입력과정, 상기 답입력청강자일시정지판단과정에 있어 답지가 팝업된 후 일정시간 내에 청강자에 의한 일시정지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일정시간을 계측하여 답지디스플레이과정이 다시 이루어지게 하는 추가답지디스플레이과정, 청강자가 강의를 모두 청강한 후 청강종료를 확인체크할 수 있게 청강종료창이 일시적으로 팝업되게 하는 청강종료확인과정, 상기 청강종료확인과정 후 강의 관리자가 답입력과정과 청강종료확인과정을 통하여 답의 입력여부와 청강종료확인 여부를 통하여 출석을 인정하는 출석검증과정 및 상기 출석검증과정을 통하여 출석인정을 청강자에게 소셜네크워크를 통하여 고지하는 출석인정고지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출석검증과정을 통하여 출석인정이 되지 않은 청강자가 인터넷 강의를 보고 강의중에 제출문제를 체크하여 제출문제의 답을 기재하여 추가출석인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추가출석인정고지과정, 상기 추가출석인정고지과정을 통한 고지 후 일정시간 이내에 제출문제의 전달이 완료되면 추가출석인정하는 추가출석인정과정이 추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출석인정고지과정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제출문제의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재청강을 요구하는 재청강요구과정, 상기 재청강요구과정을 통하여 청강자가 일정 시간 내에 재청강 여부를 검증하여 최종 청강여부를 판단하는 청강판단과정이 추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강의 플레이과정을 통하여 플레이되는 강의의 플레이 과정 계측을 통하여 강의 청강시간을 체크하는 타임체크과정, 상기 타임체크과정을 통하여 강의 청강시간이 일정시간 이상이 이루어지게 되면 강의와 연관된 문제를 팝업 디스플레이하는 랜덤문제팝업과정, 상기 랜덤문제팝업과정을 통하여 문제의 팝업을 오프하는 문제팝업오프과정, 상기 문제팝업오프과정 후 답지를 팝업디스플레이하는 답지디스플레이과정, 상기 답지디스플레이과정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된 답지의 선택을 위하여 청강자가 강의를 일시정지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답입력청강자일시정지판단과정, 상기 답입력청강자일시정지판단과정을 통하여 청강자가 답 입력을 위하여 강의 일시정지가 확인되면 답입력창이 팝업되는 답입력창팝업과정, 상기 답입력창팝업과정을 통하여 팝업된 답입력창에 답을 입력하는 답입력과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인터넷을 통하여 강의 청강에 있어 실제 청강여부를 명확히 검증하여 청강자의 학습능력이 학습진도에 알맞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실시예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하여 강의 청강에 있어 실제 청강여부를 명확히 검증하여 청강자의 학습능력이 학습진도에 알맞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인터넷 강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인증접속과정(110)과 강의플레이과정(120), 타임체크과정(130), 랜덤문제팝업과정(140), 문제팝업오프과정(150), 답지디스플레이과정(160), 답입력청강자일시정지판단과정(170), 답입력창팝업과정(180), 답입력과정(190), 추가답지디스플레이과정(160), 청강종료확인과정(210), 출석검증과정(220) 및 출석인정고지과정(2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인증접속과정(110)은 청강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강의창에 아이디와 비밀번호 입력을 통하여 사용자 인증 접속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강의플레이과정(120)은 인증접속과정(110)과 상기 인증접속과정(110) 후 청강대상 강의를 선택하여 플레이어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타임체크과정(130)은 강의 플레이과정을 통하여 플레이되는 강의의 플레이 과정 계측을 통하여 강의 청강시간을 체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랜덤문제팝업과정(140)은 타임체크과정(130)을 통하여 강의 청강시간이 일정시간 이상이 이루어지게 되면 강의와 연관된 문제를 팝업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문제팝업오프과정(150)은 랜덤문제팝업과정(140)을 통하여 문제의 팝업을 오프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답지디스플레이과정(160)은 문제팝업오프과정(150) 후 답지를 팝업디스프레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답입력청강자일시정지판단과정(170)은 답지디스플레이과정(16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된 답지의 선택을 위하여 청강자가 강의를 일시정지 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답입력창팝업과정(180)은 답입력청강자일시정지판단과정(170)을 통하여 청강자가 답 입력을 위하여 강의 일시정지가 확인되면 답입력창이 팝업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답입력과정(190)은 답입력창팝업과정(180)을 통하여 팝업된 답입력창에 답을 입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추가답지디스플레이과정(160)은 답입력청강장일시정지판단과정에 있어 답지가 팝업된 후 일정시간내에 청강자에 의한 일시정지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일정시간을 계측하여 답지디스플레이과정(160)이 다시 이루어지게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청강종료확인과정(210)은 청강자가 강의를 모두 청강한 후 청강종료를 확인체크할 수 있게 청강종료창이 일시적으로 팝업되게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출석검증과정(220)은 청강종료확인과정(210) 후 강의 관리자가 답입력과정(190)과 청강종료확인과정(210)을 통하여 답의 입력여부와 청강종료확인 여부를 통하여 출석을 인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출석검증과정(220)은 인터넷강의를 처음부터 끝까지 청강했는지를 확인하는 것으로 인터넷 강의 도중에 시간을 랜덤하게 문제를 내고 답을 작성할 수 있게 하는데 인터넷강의 도중에 강사가 먼저 말로하고 10초 미만의 짧은 시간 동안에만 디스플레이되어 문자로 질문 1과 같이 문제를 보이고 사라지고 인터넷강의를 일시정지해 놓고 보고 답지에 답을 적을 시는 일시중지하고 답을 적게한다.
다만 학생이 답을 기재하는 답지에는 문제의 내용이 보이지 않고 단순히 문제1, 문제2, 문제3 등으로만 기재하고 있어 인터넷강의를 청강하면서만 인터넷강하면서 출제하는 문제를 답을 할 수 있게 하였다.
이와 같이 인터넷강의 도중에 랜덤한 시간에 랜덤한 문제를 출제하는 것과 문제는 짧은 시간에 보이고 사라지는 것과, 학생이 답을 작성하는 답지는 단순히 문제1, 문제2, 문제3 등과 같이 번호만 보이고 문제의 내용이 보이지 않은 것은 인테넷강의를 듣지 않고 학생이 질문 부분만을 찾아 클릭하는 것보다 인터넷강의를 처음부터 끝까지 듣고 답하는 것이 질문 부분만을 확인하여 답을 기재하는 시간과 노력이 적게 소요되도록하여 학생이 인터넷강의를 듣지 않고 답지에서 문제만을 찾아 답하는 것을 방지하여 인터넷강의를 시청하지 않고서는 출석으로 인정되지 않는 인터넷강의를 처음부터 끝까지 시청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출석인정고지과정(230)은 출석검증과정(220)을 통하여 출석인정을 청강자에게 소셜네크워크를 통하여 고지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출석인정고지과정(230)은 출석인정과정을 확인하는 교수가 인터넷강의 수강 현항을 누르면 색이 나타나고 문제의 내용과 답도 볼 수 있게 구성되어 있어 교수는 간단하게 출석여부와 강의를 들었는가를 표로 확인하고 답을 비교 확인가능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에서 교수가 수강한 것을 표시된 주차(週差)를 클릭하면 질문과 학생이 답변한 내용을 모두 확인해 학생이 답을 기재하였는데 질문에 대한 답의 내용이 전혀 상이하여 인터넷강의를 엉터리로 수강하였다면 인터넷강의 출석을 인정할 수 없다는 내용과 함께 인터넷강의를 수강하라고 지시하고 표시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는 출석검증과정(220)을 통하여 출석인정이 되지 않은 청강자가 인터넷 강의를 보고 강의중에 제출문제를 체크하여 제출문제의 답을 기재하여 추가출석인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추가출석인정고지과정(240), 상기 추가출석인정고지과정(240)을 통한 고지 후 일정시간 이내에 제출문제의 전달이 완료되면 추가출석인정하는 추가출석인정과정(250)이 추가로 이루어지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 예로는 추가출석인정고지과정(240)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제출문제의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재청강을 요구하는 재청강요구과정(260) 및 상기 재청강요구과정(260)을 통하여 청강자가 일정 시간 내에 재청강 여부를 검증하여 최종 청강여부를 판단하는 청강판단과정(270)이 추가로 이루어지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적용실시에 따른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인터넷 강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청강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강의창에 아이디와 비밀번호 입력을 통하여 사용자 인증 접속을 하는 인증접속과정(110)과 상기 인증접속과정(110) 후 청강대상 강의를 선택하여 플레이어하는 강의플레이과정(120), 상기 강의 플레이과정을 통하여 플레이되는 강의의 플레이 과정 계측을 통하여 강의 청강시간을 체크하는 타임체크과정(130), 상기 타임체크과정(130)을 통하여 강의 청강시간이 일정시간 이상이 이루어지게 되면 강의와 연관된 문제를 팝업 디스플레이하는 랜덤문제팝업과정(140), 상기 랜덤문제팝업과정(140)을 통하여 문제의 팝업을 오프하는 문제팝업오프과정(150), 상기 문제팝업오프과정(150) 후 답지를 팝업디스프레이하는 답지디스플레이과정(160), 상기 답지디스플레이과정(16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된 답지의 선택을 위하여 청강자가 강의를 일시정지 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답입력청강자일시정지판단과정(170), 상기 답입력청강자일시정지판단과정(170)을 통하여 청강자가 답 입력을 위하여 강의 일시정지가 확인되면 답입력창이 팝업되는 답입력창팝업과정(180), 상기 답입력창팝업과정(180)을 통하여 팝업된 답입력창에 답을 입력하는 답입력과정(190), 상기 답입력청강장일시정지판단과정에 있어 답지가 팝업된 후 일정시간 내에 청강자에 의한 일시정지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일정시간을 계측하여 답지디스플레이과정(160)이 다시 이루어지게 하는 추가답지디스플레이과정(160), 청강자가 강의를 모두 청강한 후 청강종료를 확인체크할 수 있게 청강종료창이 일시적으로 팝업되게 하는 청강종료확인과정(210), 상기 청강종료확인과정(210) 후 강의 관리자가 답입력과정(190)과 청강종료확인과정(210)을 통하여 답의 입력여부와 청강종료확인 여부를 통하여 출석을 인정하는 출석검증과정(220) 및 상기 출석검증과정(220)을 통하여 출석인정을 청강자에게 소셜네크워크를 통하여 고지하는 출석인정고지과정(230)으로 이루어지게 실시하게 되면, 인터넷을 통하여 강의 청강에 있어 실제 청강여부를 명확히 검증하여 청강자의 학습능력이 학습진도에 알맞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와 같이 출석검증과정(220)을 통하여 출석인정이 되지 않은 청강자가 인터넷 강의를 보고 강의중에 제출문제를 체크하여 제출문제의 답을 기재하여 추가출석인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추가출석인정고지과정(240), 상기 추가출석인정고지과정(240)을 통한 고지 후 일정시간 이내에 제출문제의 전달이 완료되면 추가출석인정하는 추가출석인정과정(250)이 추가로 실시하게 되면, 청강자가 청강과정에 실수로 답을 입력하지 못하였을 때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같이 추가출석인정고지과정(240)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제출문제의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재청강을 요구하는 재청강요구과정(260), 상기 재청강요구과정(260)을 통하여 청강자가 일정 시간 내에 재청강 여부를 검증하여 최종 청강여부를 판단하는 청강판단과정(270)이 추가로 이루어지게 실시하게 되면, 청강의 검증이 명확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110 : 인증접속과정 120 : 강의플레이과정
130 : 타임체크과정 140 : 랜덤문제팝업과정
150 : 문제팝업오프과정 160 : 답지디스플레이과정
170 : 답입력청강자일시정지판단과정 180 : 답입력창팝업과정
190 : 답입력과정 200 : 추가답지디스플레이과정
210 : 청강종료확인과정 220 : 출석검증과정
230 : 출석인정고지과정 240 : 추가출석인정고지과정
250 : 추가출석인정과정 260 : 재청강요구과정
270 : 청강판단과정

Claims (3)

  1. 인터넷 강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청강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강의창에 아이디와 비밀번호 입력을 통하여 사용자 인증 접속을 하는 인증접속과정(110)과 상기 인증접속과정(110) 후 청강대상 강의를 선택하여 플레이어 하는 강의플레이과정(120), 상기 강의 플레이과정을 통하여 플레이되는 강의의 플레이 과정 계측을 통하여 강의 청강시간을 체크하는 타임체크과정(130), 상기 타임체크과정(130)을 통하여 강의 청강시간이 일정시간 이상이 이루어지게 되면 강의와 연관된 문제를 팝업 디스플레이하는 랜덤문제팝업과정(140), 상기 랜덤문제팝업과정(140)을 통하여 문제의 팝업을 오프하는 문제팝업오프과정(150), 상기 문제팝업오프과정(150) 후 답지를 팝업디스플레이하는 답지디스플레이과정(160), 상기 답지디스플레이과정(16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된 답지의 선택을 위하여 청강자가 강의를 일시정지 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답입력청강자일시정지판단과정(170), 상기 답입력청강자일시정지판단과정(170)을 통하여 청강자가 답 입력을 위하여 강의 일시정지가 확인되면 답입력창이 팝업되는 답입력창팝업과정(180), 상기 답입력창팝업과정(180)을 통하여 팝업된 답입력창에 답을 입력하는 답입력과정(190), 상기 답입력청강장일시정지판단과정에 있어 답지가 팝업된 후 일정시간 내에 청강자에 의한 일시정지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일정시간을 계측하여 답지디스플레이과정(160)이 다시 이루어지게 하는 추가답지디스플레이과정(160), 청강자가 강의를 모두 청강한 후 청강종료를 확인체크할 수 있게 청강종료창이 일시적으로 팝업되게 하는 청강종료확인과정(210), 상기 청강종료확인과정(210) 후 강의 관리자가 답입력과정(190)과 청강종료확인과정(210)을 통하여 답의 입력여부와 청강종료확인 여부를 통하여 출석을 인정하는 출석검증과정(220) 및 상기 출석검증과정(220)을 통하여 출석인정을 청강자에게 소셜네크워크를 통하여 고지하는 출석인정고지과정(2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강 확인기능을 갖는 인터넷 강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출석검증과정(220)을 통하여 출석인정이 되지 않은 청강자가 인터넷 강의를 보고 강의 중에 제출문제를 체크하여 제출문제의 답을 기재하여 추가출석인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추가출석인정고지과정(240), 상기 추가출석인정고지과정(240)을 통한 고지 후 일정시간 이내에 제출문제의 전달이 완료되면 추가출석인정하는 추가출석인정과정(250)이 추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강 확인기능을 갖는 인터넷 강의 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추가출석인정고지과정(240)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제출문제의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재청강을 요구하는 재청강요구과정(260), 상기 재청강요구과정(260)을 통하여 청강자가 일정 시간내에 재청강 여부를 검증하여 최종 청강여부를 판단하는 청강판단과정(270)이 추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강 확인기능을 갖는 인터넷 강의 제어방법.
KR1020190036438A 2019-03-29 2019-03-29 청강 확인기능을 갖는 인터넷 강의 제어방법 KR202001145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438A KR20200114520A (ko) 2019-03-29 2019-03-29 청강 확인기능을 갖는 인터넷 강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438A KR20200114520A (ko) 2019-03-29 2019-03-29 청강 확인기능을 갖는 인터넷 강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520A true KR20200114520A (ko) 2020-10-07

Family

ID=72884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438A KR20200114520A (ko) 2019-03-29 2019-03-29 청강 확인기능을 갖는 인터넷 강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45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1286A (ko) 2021-10-28 2023-05-08 (주)파트프라임 컨텐츠 적응 기반 수강 체크 기능이 구비된 동영상 강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5229A (ko) 2004-03-25 2005-09-29 이종헌 인터넷 강의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강의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5229A (ko) 2004-03-25 2005-09-29 이종헌 인터넷 강의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강의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1286A (ko) 2021-10-28 2023-05-08 (주)파트프라임 컨텐츠 적응 기반 수강 체크 기능이 구비된 동영상 강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517098A (ja) コンピュータ化された対話型技術訓練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20244508A1 (en) Method for remotely proctoring tests taken by computer over the internet
Barsom et a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for high school students using an immersive 360‐degree virtual reality environment
CN107230173A (zh) 一种基于移动端的口语练习系统及方法
US20230260065A1 (en) Enhanced teaching method and security protocol in testing students
Van Zyl Right Action and the Non‐Virtuous Agent
US201503251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and interactive legal education
KR102048866B1 (ko) 멀티 디바이스를 이용한 양방향 온라인 동영상 교육 방법 및 시스템
Howard et al. Pre‐training interventions to counteract seductive details in virtual reality training programs
KR20090131716A (ko) 인터넷을 이용한 수준별 다자간 그룹 외국어 회화 학습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00114520A (ko) 청강 확인기능을 갖는 인터넷 강의 제어방법
Khalilian et al. On the effect of employing the online Kahoot game-based app on Iranian EFL learners’ structural ability and their motivation
Bartram The internationalization of testing and new models of test delivery on the Internet
Shakhmalova et al. Techniques for increasing educational motivation and the need to assess students’ knowledg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digital games in learning English grammatical material
Feng The Detrimental Effects of Mobile Game Addiction on Chinese Primary School Students and Possible Interventions.
US20140274386A1 (en) Peer-scored communication in online environments
Thornton et al. Analysis of player behavior and EEG readings in a cybersecurity game
KR101420395B1 (ko) 교체 훈련 방식의 외국어 학습을 위한 게임 방법
KR101903910B1 (ko) 학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Hawkins Games for vocabulary enrichment: teaching multilingual writers at the college level
Staubitz et al. An experiment in automated proctoring
Cui et al. Interacting with virtual instructors: The effect of gender and years of study on the perception of in‐game instructors
Azizt et al. Digital Game-Based Learning in Arabic Language Learning and Its Effects on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Wiklund et al. Biometric belt and braces for authentication in distance education
Dunkle Using Social Deduction Board Games to Assess and Strengthen Interactional Competence in ESL Lear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