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4506A - 스윙연습용 골프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스윙연습용 골프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4506A
KR20200114506A KR1020190036412A KR20190036412A KR20200114506A KR 20200114506 A KR20200114506 A KR 20200114506A KR 1020190036412 A KR1020190036412 A KR 1020190036412A KR 20190036412 A KR20190036412 A KR 20190036412A KR 20200114506 A KR20200114506 A KR 20200114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shaft
fitting portion
fit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6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8234B1 (ko
Inventor
송덕용
Original Assignee
송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덕용 filed Critical 송덕용
Priority to KR1020190036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234B1/ko
Publication of KR20200114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4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2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포츠 분야 중 하나인 골프와 관련하며, 사용자인 골퍼가 트레이닝을 수행시에 타구의 비거리를 증진하고 타구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사용하는 스윙연습용 골프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그립, 샤프트 및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은 연질의 부재로 제공되고,
상기 샤프트는 전체가 휘는 기능을 갖는 구리 부재로 제공되고,
상기 샤프트의 하단에 절곡된 끼움부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에는 상기 끼움부의 형태에 대응하는 끼움공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로부터 상기 헤드의 외부까지 연장된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의 끼움부가 상기 끼움공에 끼워져 결합되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 연습용 골프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샤프트 하단을 둔각으로 절곡시켜 끼움부의 형태를 만드는 단계와;
헤드에 상기 끼움부에 대응하는 끼움공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공으로부터 구멍을 연장시켜 헤드의 끝 단부까지 배출공을 만드는 단계와;
상기 샤프트의 끼움부에 접착수단을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헤드의 끼움부에 고무를 소프트 하게 만드는 수단을 투입하여 고무 부재의 헤드를 소프트 하게 만드는 단계와;
상기 샤프트의 끼움부를 상기 헤드의 끼임공에 끼우고 동시에, 상기 배출공을 통하여 상기 고무부재의 헤드를 소프트 하게 만드는 수단을 헤드 밖으로 배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고무부재의 헤드를 소프트 하게 만드는 수단이 밖으로 배출된 후에 다시 원래 탄성이 있으면서 단단한 고무의 특성으로 복원시키고, 상기 샤프트에 도포된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샤프트에 상기 헤드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윙연습용 골프채 및 그 제조방법 {GOLF TRAINING MEAN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스포츠 분야의 골프 장비와 관련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골퍼)가 트레이닝을 수행시에 타구의 비거리를 증진하고 타구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사용하는 스윙연습용 골프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하는 종래기술에는 등록특허 제1285956호(2013.07.08.)가 개시되어 있는 바,
내부에 교체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완충부를 포함하는 연질의 그립(grip)과; 일단에 상기 그립이 조립식으로 결합되고, 타단 내부에 교체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완충부와, 내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완충부 사이에 구비되어 이동이 가능한 추를 포함하는 샤프트(shaft); 및 상기 샤프트 타단에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헤드(head);를 포함하며, 상기 그립과 헤드는 상기 샤프트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나사 결합되며, 상기 추와 헤드는 무게별로 구비되어 교체 가능한 연습용 골프채에 관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 1 A를 참조한다.
또한 등록특허 제1337757호(2013.11.29.)가 개시되어 있는 바,
중공체로 이루어져 그 일측이 폐쇄되고 그 타측에 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가 서로 마주보는 헤드부 및 그립부와; 상기 헤드부 내의 공간에 고정된 충격편과; 상기 그립부 내의 공간에 탄성체를 통해 연결되어 탄력적으로 유동 가능한 중량체와; 그 내주면에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와 상기 그립부의 상호 개구를 연결하되,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진 중공의 탄성굴절부로 구성되는 스윙 연습 골프채에 관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 1 B를 참조한다.
골프 경기에서는 낮은 타수로 홀에 골프공을 넣도록 룰이 정해져 있어서, 골퍼는 골프공의 속도, 방향, 타구력 등의 여러 요인을 복합적으로 고려해서 스윙을 해야 한다. 그리고 골프채는 우드(wood), 아이언(iron), 퍼터(putter)로 크게 나누어진다. 우드는 드라이버샷에 사용이 되며, 아이언은 골프공을 그린으로 올리는 경우에 사용이 되고, 퍼터는 그린에서 홀에 골프공을 넣을 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실제 필드에서 이와 같은 속도, 방향, 타구력 등의 여러 요인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특히, 강력한 비거리 타격을 수행할 수 있는 연습용 골프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골퍼가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연습용 골프채를 스윙시에 골프채의 샤프트 몸체 전체가 효율적으로 플렉시블하게 휘어서 마치 회초리의 동작과 같은 특성으로 골퍼의 스윙 테크닉을 향상시키고, 스윙연습용 골프채의 제조에 있어서는 저비용의 효과적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연습용 골프채(100)는,
그립(110), 샤프트(120) 및 헤드(130)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110)은 사용자인 골퍼가 손으로 쥘 수 있는 연질의 부재로 제공되고,
상기 샤프트(120)는 그 몸체 전체가 휘는 기능을 갖는 구리 부재로 제공되고,
상기 샤프트(120)의 하단에 둔각으로 절곡된 끼움부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130)에는 상기 끼움부에 대응하는 둔각을 갖는 끼움공(131)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로부터 상기 헤드(130)의 외부까지 연장된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120)의 끼움부가 상기 끼움공(131)에 끼워져 결합되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 연습용 골프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샤프트(120) 하단을 둔각으로 절곡시켜 끼움부의 형태를 만드는 단계와;
헤드(130)에 상기 끼움부에 대응하는 끼움공(131)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공(131)으로부터 구멍을 연장시켜 헤드(130)의 끝 단부까지 배출공을 만드는 단계와;
상기 샤프트(120)의 끼움부에 접착수단을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헤드(130)의 끼움부에 고무를 소프트 하게 만드는 수단을 투입하여 고무 부재의 헤드(130)를 소프트 하게 만드는 단계와;
상기 샤프트(120)의 끼움부를 상기 헤드(130)의 끼임공에 강제로 끼우고 동시에, 상기 배출공을 통하여 상기 고무부재의 헤드(130)를 소프트 하게 만드는 수단을 헤드(130) 밖으로 배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고무부재의 헤드(130)를 소프트 하게 만드는 수단이 밖으로 배출된 후에 다시 원래 탄성이 있으면서 단단한 고무의 특성으로 복원시키고, 상기 샤프트(120)에 도포된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샤프트(120)에 상기 헤드(130)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윙연습용 골프채를 스윙시에 스윙연습용 골프채의 샤프트 몸체 전체가 플렉시블하게 휘는 기능을 통하여 헤드의 중량에 대한 느낌이 가볍도록 안내하고, 딜레이 기능의 스윙연습이 가능하며, 샤프트의 중량과 관계없이 클럽 전체의 무게를 잘 느끼지 못한 상태로 백스윙탑 임펙트를 반복 연습하여서 실전에서 강력한 비거리 타격을 만들어 내도록 트레이닝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골프채를 양산함에 있어서 비용과 시간에서 효율적으로 제작이 가능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기술을 예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도시이다.
도 2는 목업샘플을 사진으로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전체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어느 부분을 사시도, 정면도 및 단면 투시도로 보인 것이다.
도 5에서 도 5 A는 어느 부분과 다른 부분의 결합을 위한 준비 전 단계의 것을 단면 투시도로 보인 것이다. 도 5 B는 결합을 위하여 준비된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의 예시를 참조하여 본 발명 스윙연습용 골프채의 상세한 설명을 개시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윙연습용 골프채는 예시된 실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중심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연습용 골프채(100)는 그립(110), 샤프트(120) 및 헤드(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그립(110)은 사용자(골퍼)가 손으로 쥘 수 있는 연질로 형성된 손잡이로서 좋은 그립감을 유지하며 상기 샤프트(120)를 사이에 두고 스윙시에 완충작용을 기대할 수 있는 완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에서, 상기 샤프트(120)는 그 몸체 전체가 회초리처럼 탄성력 있게 휘는 기능에 장점을 갖는 금속성 구리(Cu) 부재로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120)의 상단에는 상기 그립(110)이 조립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샤프트(120)의 하단에 자리하는 끼움부(121)는 중간이 상기 헤드(130)의 굽은 형태를 따라 둔각으로 절곡된 형태를 취하는 샤프트 절곡부(121c)가 형성되어 상기 헤드(130)에 끼워진 후에 상기 헤드(130)가 절대 빠져나갈 수 없도록 고정하도록, 이와 대응되는 끼움공(131)를 갖는 상기 헤드(130)의 내부에 강제 끼움되어 접착, 결합된다. 이를 통하여 스윙연습용 골프채의 샤프트(120)인 구리 부재가 나사 내지 볼트와 같은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직접 상기 헤드(130)와 분리되지 않게 단단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탄성력이 있는 고무부재에 상기 나사 내지 볼트 등의 결합부재는 사실상 적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어서 절곡된 형태를 취하게 하여 접착하는 방식을 안출한 것이다.
상기 헤드(130)는 고무 등의 토션이 있고 어느 정도 경도가 있는 부재로 제공되며, 상기 샤프트(120) 하단의 샤프트 절곡부(121c)의 형태에 대응하는 끼움공(131)이 형성되되, 상기 끼움공(131)의 중간 정도에는 상기 헤드의 휜 형태를 따라서 절곡되며 동시에 상기 샤프트 절곡부(121c)에 대응되는 헤드 절곡부(131c)가 형성되어 자리한다. 그리고 상기 끼움공(131)의 헤드 입구(131a)로부터 상기 샤프트(120)의 하단에 배치된 끼움부(121)가 인입, 고정된다. 상기 끼움공(131)의 끝(131b)은, 상기 헤드(130)의 내부 일단부(132b)로부터 상기 헤드(130)의 타단부(132a)로 연장되되, 상기 끼움공(131)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 배출공(132)으로 연결된다. 상술한 바는 하기 설명하는 제조(제작, 양산) 과정과 관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형태로 제공되는 본 발명의 스윙연습용 골프채를 사용함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골프의 백스윙에서 탑(top)을 만들고 그 탑 포지션에서 다운스윙을 시작할 때에 딜레이 스윙을 유도하기 위하여 연습시에 수건을 말아서 그 끝에 매듭지어서 연습하게 된다. 즉, 백스윙 탑에서 잠깐 멈추는 듯 하다가 골프스윙이 스윙궤도로 뿌려져야 하는 것인 바,
본 발명의 스윙연습용 골프채는 구리의 탄성을 활용하여 수건을 매듭지어 마는 등의 별다른 수고없이 딜레이 스윙에 의한 딜레이 히트를 달성하기 용이하도록 연습시키며, 구리로 제공되는 샤프트(120) 전체의 플렉시블한 탄성에 기인하여 무게를 극소로 적게 느끼지만 실제로는 구리라는 금속부재의 무게가 있는 샤프트(120)로 제공되는 스윙연습용 골프채를 동작하여 스윙하므로 스윙에 필요한 강한 근력과 스피드를 단련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 스윙연습용 골프채의 효율적인 양산에 필요한 제작방법을 살펴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윙연습용 골프채의 샤프트(120)는 상기 샤프트(120)의 하단에 끼움부(121)의 형태가 둔각으로 절곡되어 제공되고, 헤드(130)는 상기 샤프트(120) 하단의 절곡된 형태에 대응하는 끼움공(131)이 형성되어 끼움 방법으로 결합된다. 이를 위한 제조방법에 있어서,
샤프트(120) 하단을 둔각으로 절곡시켜서 샤프트 절곡부(121c)를 형성하여 끼움부(121)의 형태를 형성하는 단계와;
헤드(130)의 내부에 상기 끼움부(121)에 대응하는 구멍을 형성시키되, 상기 샤프트 절곡부(121c)에 대응하는 헤드 절곡부(131c)를 형성시킨 끼움공(131)을 만들고, 상기 끼움공(131)으로부터 더 작은 직경의 구멍을 연장시켜 헤드(130)의 끝 단부까지 천공시킨(뚫은) 배출공(132)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샤프트(120)의 끼움부(121)에 접착제, 양면테이프 등으로 제공되는 접착수단(a1)을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헤드(130)의 끼움부에 고무를 순간적으로 부드럽게 만드는 수단(a2)인 솔벤트 등을 투입하여 고무 부재의 헤드(130)를 소프트 하게 만드는 단계와;
상기 샤프트(120)의 끼움부(121)를 상기 헤드(130)의 끼움공(131)이 소프트하게 변형될 수 있는 타이밍에 이를 이용하여, 상기 끼움부(121)의 하단부(12b)로부터 상기 끼움부(121)의 상단부(121a)까지를, 상기 끼움공(131)의 입구(131a)로부터 상기 끼움공(131)의 끝(131b)까지 강제로 인입(끼움)하고 이에 따라 동시에, 상기 배출공을 통하여 상기 솔벤트 등의 고무를 부드럽게 하는 수단(a2)이 헤드(130) 밖으로 배출되게 하는 단계와; 이 단계에서 처음에 솔벤트 등의 고무를 부드럽게 하는 수단(a2)을 충진할 시에는 밖으로 빠져나가지(배출되지) 않도록 마개 역할을 하는 임시캡(b1)으로 막아두고 이후 배출시에 열어둘 수 있다.
상기 솔벤트와 같이 고무를 소프트 하게 만드는 수단(a1)이 배출된 후에 다시 원래 고무의 특성으로 돌아오게 하고, 상기 샤프트(120)에 도포된 상기 접착수단(a1)이 상기 헤드(130)의 끼움부 내에서 접착완료(굳게) 하여, 상기 샤프트(120)와 상기 헤드(130)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립(110);
샤프트(120); 끼움부(121); 샤프트 절곡부(121c);
헤드(130); 끼움공(131); 헤드 절곡부(131c); 배출공(132);

Claims (2)

  1. 연습용 골프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샤프트 하단에 끼움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헤드에 끼움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샤프트의 끼움부를 상기 헤드의 끼임공에 끼우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연습용 골프채의 제조방법.
  2. 그립, 샤프트 및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은 사용자인 골퍼가 손으로 쥘 수 있도록 제공되고,
    상기 샤프트는 휘는 기능을 갖는 부재로 제공되고,
    상기 샤프트의 하단에 끼움부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에는 끼움공이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의 끼움부가 상기 끼움공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연습용 골프채.
KR1020190036412A 2019-03-28 2019-03-28 스윙연습용 골프채 및 그 제조방법 KR102208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412A KR102208234B1 (ko) 2019-03-28 2019-03-28 스윙연습용 골프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412A KR102208234B1 (ko) 2019-03-28 2019-03-28 스윙연습용 골프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506A true KR20200114506A (ko) 2020-10-07
KR102208234B1 KR102208234B1 (ko) 2021-01-26

Family

ID=72883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412A KR102208234B1 (ko) 2019-03-28 2019-03-28 스윙연습용 골프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23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0473A (ko) * 2012-03-02 2013-09-11 조용연 샤프트 길이와 유연성 조절이 용이한 스윙 연습기
KR20160143506A (ko) * 2015-06-05 2016-12-14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골프 클럽 헤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0473A (ko) * 2012-03-02 2013-09-11 조용연 샤프트 길이와 유연성 조절이 용이한 스윙 연습기
KR20160143506A (ko) * 2015-06-05 2016-12-14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골프 클럽 헤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8234B1 (ko) 202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0215Y1 (ko) 스윙연습용 골프채
EP2332619A1 (en) Lightweight golf grip
US4118033A (en) Device for practicing golf swing
US8282500B1 (en) Golf performance aid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for helping a golfer achieve a desirable golf swing
US20130303297A1 (en) T/P weights 5
KR102208234B1 (ko) 스윙연습용 골프채 및 그 제조방법
US7892103B2 (en) Move power system for golf
US7008351B2 (en) Training device
US20230112325A1 (en) Golf training aid and method
US20040116202A1 (en) Golf club structure
US7104897B2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US5842930A (en) Flexi-grip golf club
JP2018524032A (ja) ダウンブロースイング演習装置
JP3065192U (ja) ゴルフ練習用具
KR101288959B1 (ko) 골프 퍼팅 연습장치
US6712720B2 (en) Method for practicing golf shots
KR102299396B1 (ko) 그립 부위에서 스프링 탄성력을 제공하는 골프클럽
US20170189779A1 (en) Grinding plates
KR200310793Y1 (ko) 연습용 골프채
KR100491626B1 (ko) 연습용 골프채
KR200471395Y1 (ko) 손잡이 유닛 및 그를 구비한 골프 클럽
KR20190013090A (ko) 골프스윙 연습장치
US20010002371A1 (en) Method for chipping and club
US11338187B2 (en) Golf club for practicing swings
KR200438865Y1 (ko) 퍼팅용 골프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