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4422A - 칫솔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칫솔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4422A
KR20200114422A KR1020190036173A KR20190036173A KR20200114422A KR 20200114422 A KR20200114422 A KR 20200114422A KR 1020190036173 A KR1020190036173 A KR 1020190036173A KR 20190036173 A KR20190036173 A KR 20190036173A KR 20200114422 A KR20200114422 A KR 20200114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magnet
attachment
housing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6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벤처스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벤처스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벤처스랩
Priority to KR1020190036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4422A/ko
Publication of KR20200114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44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2Devices for holding brushes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1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 A46B15/002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with a magne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칫솔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칫솔 거치장치는 하우징본체(21)와 상기 하우징본체(21)의 전면에 결합되는 부착커버(30)가 부착구(20)의 외관을 구성한다. 상기 부착구(20)에는 칫솔(10)이 자력에 의해 부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부착구(20)의 내부에는 하우징자석(50)이 설치되고, 상기 칫솔(10)의 목부(14) 내부에도 자석(18)이 설치된다. 상기 부착커버(30)의 전면에는 부착면(32)이 형성되어 상기 칫솔(10)의 목부(14)가 부착된다.

Description

칫솔 거치장치{Toothbrush attac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칫솔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칫솔을 자석의 자력을 사용하여 벽면에 부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칫솔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칫솔은 구강건강을 위해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것이다. 칫솔의 칫솔모에 치약을 바른 다음에 구강내로 넣어서 양치질을 하여 구강내 또는 치아에 있는 이물질 등을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칫솔의 칫솔모는 사용자의 구강 내에 들어가므로 위생적으로 보관되고 관리되어야 한다. 대부분의 경우 칫솔모에 남아 있는 수분 때문에 세균이 번식하기 좋은 환경이 되어 문제가 된다.
따라서, 양치질을 한 후에 칫솔모에 남아 있는 수분을 없애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별도의 칫솔소독기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칫솔모가 대기중에 노출되어 있도록 하기만 하여도 수분제거가 충분하다. 이를 위해 칫솔 거치장치에서는 칫솔모가 대기중에 노출되어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358534 호에서도 칫솔모가 대기중으로 충분히 노출되도록 파지부를 형성하고 있다. 하지만, 여기서 헤드를 잡아주는 파지부가 있음으로 해서 치솔모가 심겨져 있는 헤드 부분은 대기에 제대로 노출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여기서는 칫솔의 헤드부분에 자석이 있어서 헤드부분이 거치장치의 일면에 밀착되면서 해당 부분에서는 수분이 제대로 제거되지 않고 남아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칫솔의 헤드부분에 자석을 둠에 의해 칫솔모를 포함하는 헤드부분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칫솔모가 심어지기 위해 필요한 헤드의 두께에 자석이 설치됨에 의해 두꺼워지는 두께가 더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는 거치장치에서 파지부가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파지부가 돌출되어 있게 되면 칫솔이 거치되고 있지 않을 동안에 사용자 또는 근처의 물건이 거치장치에 충돌하게 되어 거치장치가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358534 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칫솔모를 포함하는 칫솔의 헤드부분 전체가 대기중에 잘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석을 사용하여 칫솔을 보관함에 있어서 칫솔을 부착면의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에 부착되며 전면에 부착면이 있는 부착커버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본체와 부착커버가 형성하는 내부의 공간에 위치되는 하우징자석과, 상기 하우징자석과 상기 부착커버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자석에서 나오는 자기력선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여 상기 부착면에 형성되는 자력의 세기를 일정하게 만드는 자로형성판과, 상기 하우징자석에 의해 형성되는 자력의 영향이 미치는 상기 부착면에 칫솔이 부착될 수 있도록 칫솔의 목부 내부에 설치되는 자성체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자석은 상기 부착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판모양으로 된다.
상기 하우징자석에서 상기 칫솔의 자성체가 부착되는 상기 부착면에 대응되는 면의 면적은 상기 칫솔의 자성체에서 상기 부착면과 마주보는 면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칫솔의 자성체로는 네오디움재질의 자석이 사용되는데, 상기 원판자석보다는 자력이 크다.
상기 칫솔의 목부는 칫솔모가 있는 헤드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자성체는 상기 칫솔모가 있는 부분을 벗어난 목부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본체와 부착커버는 원판상의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있는 측벽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바닥판과 측벽이 연결되는 부분은 곡면으로 된다.
상기 하우징본체의 배면에는 접착편홈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접착편홈에는 하우징본체를 벽면에 부착시키는 접착편이 설치된다.
상기 접착편은 접착제로 만들어지거나 진공흡착판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의한 칫솔 거치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칫솔의 목부 내부에 자석이 위치되어 부착구의 부착면에 칫솔의 목부가 부착된다. 특히 상기 칫솔 목부가 부착구의 부착면에 부착됨에 의해 칫솔의 헤드는 거의 대부분이 부착면을 벗어난 위치에 있게 되어 헤드와 이 헤드에 있는 칫솔모는 대기중에 노출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헤드와 칫솔모가 대기중에 노출됨에 의해 보관시에 공기로 수분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게 되어 헤드와 칫솔모에서 세균이 번식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칫솔에 있는 자석의 부착면의 면적보다 부착구에 있는 자석의 부착면의 면적이 넓게 되어 있는데, 부착구에 있는 자석과 하우징의 부착면의 후면 사이에 자로형성편을 두어 부착구에 있는 자석의 전체 부착면에서의 자력의 편차가 최소화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칫솔에 있는 자석이 부착구에 있는 자석의 부착면중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부착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칫솔이 부착되는 부착구는 모서리가 곡면으로 되는 원판형상으로 되고, 전면이 부착면은 평면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부착구의 외면에 돌출되어 있는 구성이 없어서 전체적으로 매우 심플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특성상 부착구에 불의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가 거의 없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칫솔 거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부착구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의 중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의 자로형성판이 없는 경우에 칫솔이 부착구에 부착되는 형태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의 칫솔 거치장치가 다수개 나란히 배치되어 사용되는 것을 보인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칫솔(10)의 손잡이(12) 일단부에는 목부(14)가 있고, 상기 목부(14)에서 연장되어 헤드(16)가 있다. 상기 목부(14)는 상기 손잡이(12)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이나 두께가 작게 된다. 상기 헤드(16)의 일면에는 칫솔모(17)가 있다. 상기 칫솔모(17)는 상기 헤드(16)의 전면에 다수개가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다.
상기 목부(14)의 내부에는 자석(18)이 설치된다. 상기 자석(18)은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자석(18)에서 길이가 긴 방향이 상기 목부(14)의 연장방향으로 놓여진다. 상기 자석(18)은 상기 칫솔(10)의 목부(14)가 형성될 때 인서트사출에 의해 일체로 되는 것이다. 상기 목부(14)에 상기 자석(18)이 인서트 사출되더라도 상기 자석(18)의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게 된다. 이는 금형 내에서 자석(18)을 지지하여 고정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목부(14)에서 자석(18)의 일면이 노출된 것을 차폐하기 위해 마감부(19)가 있다. 상기 마감부(19)는 추가의 인서트사출에 의해 형성되어 목부(14)와 일체가 된다. 즉, 상기 목부(14)의 내부에 자석(18)이 인서트된 상태에서 다시 인서트사출을 통해 상기 마감부(19)를 형성한다.
상기 목부(14)의 내부에 설치된 자석(18)의 일단부는 상기 칫솔모(17)가 있는 헤드(16) 부분을 벗어난 위치에 있다. 상기 목부(14)의 배면에 인접한 위치에 상기 자석(18)의 일측 표면이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자석(18)의 일측 표면은 상기 마감부(19)에 의해 덮혀있다. 이와 같이 상기 자석(18)을 배치함에 의해 칫솔(10)의 목부(14)가 아래에서 설명될 부착구(20)의 부착면(32)에 밀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벽면에 부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칫솔(10)이 부착되는 부착구(20)가 있다. 상기 부착구(20)는 본 실시례에서는 대략 원판형상이고 모서리가 없이 둥글둥글하게 되어 있다. 상기 부착구(20)의 외관을 하우징(21)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21)은 하우징본체(22)와 부착커버(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본체(22)와 부착커버(30)는 형상이 거의 동일하고, 상기 하우징본체(22)가 하우징(21)의 배면을 구성하고, 상기 부착커버(30)가 하우징(21)의 전면을 구성한다.
상기 하우징본체(22)는 대략 원판상의 바닥판(24)과 상기 바닥판(24)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되는 측벽(25)으로 구성된다. 상기 바닥판(24)의 내면과 측벽(25)의 내면에 의해 구획되게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바닥판(24)과 측벽(25)이 만나는 부분은 곡면으로 되어 있다. 상기 측벽(25)의 끝부분을 따라서는 결합안착단(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안착단(25')은 상기 측벽(25)의 내측에 소정의 폭만큼 단턱이 형성됨에 의해 만들어진다. 즉, 상기 결합안착단(25')이 형성되는 부분에서부터 상기 측벽(25)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게 된다.
상기 하우징본체(22)의 바닥판(24)의 중앙에는 지지대(26)가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지지대(26)가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지지대(26)는 아래에서 설명될 하우징자석(50)의 중심을 지지할 수 있다면 어떤 형상이라도 상관없다.
상기 하우징본체(22)의 배면에는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접착편홈(2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착편홈(28)은 상기 바닥판(24)의 외면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접착편홈(2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접착편(40)이 위치된다.
상기 하우징본체(22)의 전면에 결합되도록 부착커버(30)가 있다. 상기 부착커버(30)의 외관 형상은 상기 하우징본체(22)와 거의 같도록 만들어진다. 상기 부착커버(30)의 전면은 부착면(32)이 된다. 상기 부착면(32)에 상기 칫솔(10)의 목부(14)가 밀착된다.
상기 부착커버(30)는 대략 원판상의 바닥판(34)과 상기 바닥판(34)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되는 측벽(35)으로 구성된다. 상기 바닥판(34)의 내면과 측벽(35)의 내면에 의해 구획되게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바닥판(34)과 측벽(35)이 만나는 부분도 곡면으로 되어 있다. 상기 측벽(35)의 끌부분을 따라서는 결합돌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돌부(35')는 상기 하우징본체(22)의 결합안착단(25')에 선단이 안착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돌부(35')는 상기 측벽(35)의 선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측벽(35)보다는 두께가 얇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부(35')가 상기 결합안착단(25')에 안착된 상태로 초음파융착 등에 의해 상기 하우징본체(22)와 부착커버(3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본체(22)의 배면에 형성된 접착편홈(28)에는 접착편(40)이 설치된다. 상기 접착편(40)으로는 예를 들면 진공흡착판이 사용되거나 접착제가 접착편(40)으로서 위치될 수 있다. 진공흡착판을 접착편(40)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벽면에 부착구(20)를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접착제가 접착편(40)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사용된 접착편(40)을 제거하고 새로운 접착편(40)을 설치하여 부착구(20)를 다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하우징자석(50)이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자석(50)은 본 실시례에서는 원판형상이고, 상기 칫솔(10)의 목부(14)에 있는 자석(18)에 비해 표면적이 훨씬 넓다. 특히, 상기 자석(18)에서 상기 하우징자석(50)쪽과 마주보는 면의 면적은 하우징자석(50)에서 상기 자석(18)을 마주보는 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다. 상기 하우징자석(50)은 반드시 원판형상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사각판, 오각판, 육각판 등 다각판형상으로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자석(50)을 하우징(21) 내부에 설치하는 것은 부착구(20)의 두께가 얇아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하우징자석(50)과 상기 부착커버(30)의 사이, 즉 상기 부착커버(30)의 부착면(32) 반대쪽 내면과 상기 하우징자석(50)과의 사이에는 자로형성판(60)이 설치된다. 상기 자로형성판(69)은 상기 하우징자석(50)에서 나온 자기력선이 지나가는 자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자로형성판(60)도 상기 하우징자석(50)의 형상과 대응되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판이다. 이와 같이 하우징자석(50)의 전면에 자로형성판(60)을 두게 되면 상기 하우징자석(50)의 전방에 자로가 상기 자로형성판(60)을 따라 형성되면서 상기 하우징자석(50)의 전방에 형성되는 자기력의 세기가 평준화된다. 상기 자로형성판(60)은 자성체인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참고로, 상기 자로형성판(60)을 두지 않고 상기 하우징자석(50)만을 두게 되면, 상기 하우징자석(50)의 가장자리부분의 자력이 하우징자석(50)의 전면 중앙부분의 자력에 비해 크므로 상기 칫솔(10)의 자석(18)이 상기 부착면(32)의 가장자리 쪽에 부착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부착면(32)의 중앙쪽에 칫솔(10)의 목부(14)를 위치시키더라도 도 5의 (a),(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구(20)의 부착면(32) 가장자리 쪽에 칫솔(10)이 이동되어 부착된다. 이와 같이 되면 칫솔(10)의 부착위치가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또는 부착구(20)의 부착면(32) 중심이 되지 않게 된다. 하지만, 상기 자로형성판(60)을 두게 되면 상기 하우징자석(50)에 의해 상기 부착면(32) 주변에 형성되는 자력의 세기가 상기 부착면(32) 전체적으로 거의 일정하게 되어 사용자가 칫솔(10)의 목부(14)를 접촉시킨 위치에 칫솔(10)의 목부(14)가 부착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구(20)의 부착면(32) 중앙에 정확하게 부착될 수 있다.
사용자가 부착면(32)의 원하는 위치에 칫솔(10)을 부착할 수 있다면, 부착구(20)가 다수개 좌우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각각의 부착구(20)에 칫솔(10)을 가지런하게 배치할 수 있어 미관상으로 매우 좋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로,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칫솔(10)의 목부(14)에는 자석(18)이 설치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상기 자석(18) 대신에 일반적인 자석뿐만 아니라 자성을 가질 수 있는 자성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원판자석(50)과 자석(18)은 네오디움 재질의 자석을 사용하는데, 상기 자석(18)의 자력이 원판자석(50)의 자력보다는 큰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칫솔(10)의 목부(14)에 설치되는 자석(18)은 내열강도를 가져서 고온 환경에 놓여지더라도 자성의 영향이 없는 것이 좋다.
10: 칫솔 12: 손잡이
14: 목부 16: 헤드
17: 칫솔모 18: 자석
19: 마감부 20: 부착구
21: 하우징 22: 하우징본체
24: 바닥판 25: 측벽
25': 결합안착단 26: 지지대
30: 부착커버 32: 부착면
34: 바닥판 35: 측벽
35': 결합돌부 40: 접착편
50: 하우징자석 60: 자로형성판

Claims (8)

  1.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에 부착되며 전면에 부착면이 있는 부착커버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본체와 부착커버가 형성하는 내부의 공간에 위치되는 하우징자석과,
    상기 하우징자석과 상기 부착커버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자석에서 나오는 자기력선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여 상기 부착면에 형성되는 자력의 세기를 일정하게 만드는 자로형성판과,
    상기 하우징자석에 의해 형성되는 자력의 영향이 미치는 상기 부착면에 칫솔이 부착될 수 있도록 칫솔의 목부 내부에 설치되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칫솔 거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자석은 상기 부착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판모양으로 되는 칫솔 거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자석에서 상기 칫솔의 자성체가 부착되는 상기 부착면에 대응되는 면의 면적은 상기 칫솔의 자성체에서 상기 부착면과 마주보는 면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칫솔 거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의 자성체로는 네오디움재질의 자석이 사용되는데, 상기 원판자석보다는 자력이 큰 칫솔 거치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의 목부는 칫솔모가 있는 헤드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자성체는 상기 칫솔모가 있는 부분을 벗어난 목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칫솔 거치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본체와 부착커버는 원판상의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있는 측벽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바닥판과 측벽이 연결되는 부분은 곡면으로 되는 칫솔 거치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본체의 배면에는 접착편홈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접착편홈에는 하우징본체를 벽면에 부착시키는 접착편이 설치되는 칫솔 거치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편은 접착제로 만들어지거나 진공흡착판이 사용되는 칫솔 거치장치.
KR1020190036173A 2019-03-28 2019-03-28 칫솔 거치장치 KR202001144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173A KR20200114422A (ko) 2019-03-28 2019-03-28 칫솔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173A KR20200114422A (ko) 2019-03-28 2019-03-28 칫솔 거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422A true KR20200114422A (ko) 2020-10-07

Family

ID=72883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173A KR20200114422A (ko) 2019-03-28 2019-03-28 칫솔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442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410B1 (ko) * 2021-04-10 2022-03-23 주식회사 플레인하우스 전동칫솔 크래들
KR20230009568A (ko) * 2021-07-09 2023-01-17 주식회사 브라스코퍼레이션 칫솔 살균 장치
WO2023128718A1 (ko) * 2021-12-31 2023-07-06 차희찬 전동 칫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534Y1 (ko) 2004-05-03 2004-08-11 이동욱 칫솔 및 칫솔 거치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534Y1 (ko) 2004-05-03 2004-08-11 이동욱 칫솔 및 칫솔 거치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410B1 (ko) * 2021-04-10 2022-03-23 주식회사 플레인하우스 전동칫솔 크래들
KR20230009568A (ko) * 2021-07-09 2023-01-17 주식회사 브라스코퍼레이션 칫솔 살균 장치
WO2023128718A1 (ko) * 2021-12-31 2023-07-06 차희찬 전동 칫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14422A (ko) 칫솔 거치장치
USD880165S1 (en) Toothbrush having short inner bristles
USD880166S1 (en) Toothbrush with bristles having different lengths
USD926476S1 (en) Exfoliating body brush
ES2834337T3 (es) Sistema de almacenamiento para instrumentos médicos
USD916496S1 (en) Circular magnet for tooth brush holder
EP1596696A1 (en) Toothbrush and toothpaste holder
USD930183S1 (en) Combined dental sterilizer and recharging holder
US6758446B2 (en) Toothbrush holder/stand
JP3200687U (ja) 歯ブラシヘッド
KR20200116269A (ko) 칫솔 거치장치
US20150136624A1 (en) Dental apparatus containment system with cleaning tool and method of use
US20140346067A1 (en) Toothbrush holder cover
US11213117B2 (en) Nested brush
KR20150062368A (ko) Uv led가 구비된 화장용 브러쉬
USD889131S1 (en) Hand and nail brush
KR102643668B1 (ko) 칫솔 살균 장치
KR101923978B1 (ko) 치간칫솔 결합형 칫솔
KR101724871B1 (ko) 치간칫솔 보관이 가능한 칫솔걸이.
JPWO2018164215A1 (ja) 綿棒取り出し具
KR20170044492A (ko) 전동 칫솔용 칫솔 헤드
KR200490941Y1 (ko) 컵을 구비한 양치세트 보관함
KR101780470B1 (ko) 교정자용 칫솔
KR200358534Y1 (ko) 칫솔 및 칫솔 거치대
KR200497454Y1 (ko) 구강세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