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4028A - 코 성형 수술용 가이드 - Google Patents

코 성형 수술용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4028A
KR20200114028A KR1020190035109A KR20190035109A KR20200114028A KR 20200114028 A KR20200114028 A KR 20200114028A KR 1020190035109 A KR1020190035109 A KR 1020190035109A KR 20190035109 A KR20190035109 A KR 20190035109A KR 20200114028 A KR20200114028 A KR 20200114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e
guide
forming
unit
sha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5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1601B1 (ko
Inventor
김돈한
최종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스트코어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스트코어,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스트코어
Priority to KR1020190035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1601B1/ko
Publication of KR20200114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4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use in the oral cavity, larynx, bronchial passages or nose; Tongue scr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20Surgical navigation systems; Devices for tracking or guiding surgical instruments, e.g. for frameless stereot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6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1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for stereotaxic surgery, e.g. frame-based stereotaxis
    • A61B90/11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for stereotaxic surgery, e.g. frame-based stereotaxis with guides for needles or instruments, e.g. arcuate slides or ball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83Splints for the neck or head
    • A61F5/05891Splints for the neck or head for the head, e.g. jaws, 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2017/320052Guides for cutting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1Computer-aided simulation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5Modelling of the patient, e.g. for ligaments or 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8Computer aided selection or customisation of medical implants or cutting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6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67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easuring ang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obotics (AREA)
  • Prosthes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미간에 밀착되는 성형 베이스부; 상기 성형 베이스부의 하부에 연결되며, 성형되는 코의 높이에 대한 성형라인을 형성하는 콧대 성형 가이드부; 및 상기 콧대 성형 가이드부와 탈착되며, 성형되는 코의 폭에 대한 성형라인을 형성하는 코 보형 성형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코 성형 수술용 가이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코 성형 수술용 가이드{GUIDE FOR RHINOPLASTY}
본 발명은 코 성형 수술용 가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요구되는 코 형상으로 코가 성형되도록 코 성형 수술을 가이드하는 코 성형 수술용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천적인 기형의 코를 갖고 있거나, 사고에 의한 골절, 수면 장애, 미용 등의 이유로 코 부위에 변형이 생겼을 때 코 성형 수술을 하게 된다. 특히 최근에는 코의 모양이 사람의 이미지나 인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을 고려하여 미용적인 목적으로 행해지는 코 성형 수술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코 성형 수술은 환자의 상태, 요구, 변형의 종류 등에 따라 수술 방법이 달라진다. 이와 같은 코 성형 수술은 크게 절개 방법에 따라 비개방형 수술과 개방형 수술로 나뉠 수 있다. 비개방형 수술은 코 안의 절개로만 수술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비개방형 수술은 코 안을 비롯하여 코 밖에도 절개가 이루어지는 수술이다.
이와 같은 코 성형 수술 시에는 통상 3개의 점을 기준으로 코의 중심선을 잡은 후 수술을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미간 사이의 중심점, 내안각 사이의 중심점, 입술의 큐피드보우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선을 코의 중심선으로 설정하고 그 위로 레이저를 포인팅하여 좌우대칭되는 중심선을 펜을 이용하여 손으로 긋고, 수술 중에 수시로 대칭을 확인하며 수술을 진행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코 성형 수술은 의사의 감각 및 눈대중에 의해 수술이 이루어지기에 교정이 올바르지 못한 경우가 있다.
즉, 종래의 코 성형 수술장비에는 수술 중에 코의 대칭을 확인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최종적으로 성형된 코의 대칭이 정확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코 성형 수술을 마친 후, 성형된 코의 형상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코 보형 유지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수술 회복 기간 중에 코의 변형이 발생되는 문제도 있다.
선행문헌 1 :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15436호(2005.02.2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요구되는 코 형상으로 코가 성형되도록 코 성형 수술을 가이드하는 코 성형 수술용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미간에 밀착되는 성형 베이스부; 상기 성형 베이스부의 하부에 연결되며, 성형되는 코의 높이에 대한 성형라인을 형성하는 콧대 성형 가이드부; 및 상기 콧대 성형 가이드부와 탈착되며, 성형되는 코의 폭에 대한 성형라인을 형성하는 코 보형 성형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코 성형 수술용 가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콧대 성형 가이드부는, 상기 성형 베이스부의 하부에 연결되며, 성형되는 코뿌리로부터 코기둥까지의 성형라인을 형성하는 성형 바디부; 상기 성형 바디부의 상면에 결합되되, 일단부는 상기 성형 베이스부와 이격되며 삽입 공간부를 형성하고, 타단부는 성형되는 코끝에 부위에 위치되는 체결 돌출부; 상기 성형 바디부의 하부에 연결되며 윗입술 큐피드보우를 덮도록 이루어진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성형 바디부를 회동시키도록 이루어진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일체를 이루는 상기 성형 바디부와 체결 돌출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콧등 가이드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 보형 성형 가이드부는, 일측 콧방울을 덮는 제1 유닛과 상기 제1 유닛과 한 쌍을 이루며 타측 콧방울을 덮는 제2 유닛을 가지되, 상기 제1 유닛과 제2 유닛은 이격되며 상기 체결 돌출부가 삽입되는 체결홀을 형성하는 바디부; 상기 제1 유닛과 제2 유닛의 상부를 연결하며 상기 체결홀을 형성하는 상부 브리지; 상기 제2 유닛과 제2 유닛의 하부를 연결하며 상기 체결홀을 형성하는 하부 브리지; 상기 제1 유닛의 상부로 연장되는 제1 끼움 고정부; 및 상기 제2 유닛의 상부로 연장되는 제2 끼움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콧대 성형 가이드부와 코 보형 성형 가이드부의 결합시, 상기 제1 끼움 고정부와 제2 끼움 고정부는 상기 성형 베이스부의 하면에 형성된 끼움홈에 각각 삽입 고정되고, 상기 상부 브리지는 상기 삽입 공간부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성형 베이스부에는 미간 사이의 중심에 위치되는 미간 중심홀이 형성되고, 상기 코 보형 성형 가이드부에는 양안의 내안각 사이의 중심에 위치되는 내안각 중심홀과 윗입술 큐피드보우의 중심에 위치되는 큐피드보우 중심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 보형 성형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유닛의 측면으로 돌출되며 일측 내안각의 위치를 파악하는 제1 가늠부; 및 상기 제2 유닛의 측면으로 돌출되며 타측 내안각의 위치를 파악하는 제2 가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가늠부 및 제2 가늠부의 상면에는 내안각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눈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성형 베이스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힌지블록; 및 상기 힌지블록의 상부에 결합되는 부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힌지블록의 상부와 하부에 결합된 상기 부착부와 성형 베이스부는 상기 힌지블록으로부터 회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콧대 성형 가이드부와 코 보형 성형 가이드부는 코 성형 수술전의 환자의 고유의 얼굴 데이터를 기반으로 컴퓨터 작업을 통해 최종적으로 요구되는 코 성형 형상에 맞도록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 보형 성형 가이드부는 코 성형 수술이 완료된 후, 성형된 코에 부착되어 성형된 코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코 성형 수술용 가이드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 성형 수술 중에 의사는 코 성형 수술용 가이드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성형되는 환자의 코의 형상에 맞게 코 성형 수술이 제대로 이루어지는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요구되는 코 형상에 맞게 코를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 보형 성형 가이드부는 코 성형 수술이 완료된 후, 환자의 코에 부착시켜 수술 회복 기간중에 성형된 코의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코 보형 성형 가이드부는 코 성형 수술 중에는 성형되는 코의 폭에 대한 성형라인을 형성하는데 이용되고, 코 성형 수술이 완료된 후에는 성형된 코의 변형 방지를 위한 깁스로써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 성형 수술용 가이드는 성형되는 코의 높이에 대한 성형라인과 성형되는 코의 폭에 대한 성형라인을 동시에 가이드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성형되는 코의 높이와 폭에 대해 정확한 코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사람의 얼굴 형상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 성형 수술용 가이드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 성형 수술용 가이드를 상부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 성형 수술용 가이드를 하부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 성형 수술용 가이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부와 하부는 대상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반드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사람의 얼굴 형상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이러한 도 1은 본 발명의 코 성형 수술용 가이드(1000, 도 2)가 얼굴에 밀착되는 부분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코 성형 수술 시에는 3개의 점을 기준으로 코의 중심선(미도시)을 잡는다.
이러한 코의 중심선은 미간(眉間) 사이의 미간 중심점(P1), 양안의 내안각(內眼角) 사이의 중심점(P2) 및 윗입술 큐피드보우의 중심점(P3)의 연결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환자의 코에 그어진 코의 중심선을 기초로 코 성형 수술 작업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서 보여지는 코뿌리(10), 콧등(20), 코끝(30) 및 코기둥(40)은 후술될 코 성형 수술용 가이드(1000)가 배치되는 위치 설명을 위해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 성형 수술용 가이드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 성형 수술용 가이드를 상부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 성형 수술용 가이드를 하부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 성형 수술용 가이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코 성형 수술용 가이드(1000)는 환자로부터 획득된 환자 고유의 얼굴 데이터를 기반으로 3차원 모델을 추출한 후, 이를 기초로 제조하게 된다.
이러한 코 성형 수술용 가이드(1000)의 제조과정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코 성형 수술전의 환자 고유의 얼굴 데이터를 3차원 모델로 추출한다. 이와 같은 3차원 모델은 예를 들어, X선 촬영 데이터, CT 촬영 데이터, MRI 영상 데이터 및 3D 스캔 데이터 등의 다양한 촬영 데이터를 기반으로 추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추출된 환자의 3차원 모듈로부터 최종적으로 요구되는 코 성형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여기서 코 성형 작업은 컴퓨터 작업을 통해 다양한 형상으로 코를 성형해 볼 수 있다. 즉, 컴퓨터를 이용하여 코의 높이, 코의 폭 등을 조정하며 요구하는 코의 형태로 코 성형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최종적으로 코 성형 작업이 이루어진 환자의 성형된 얼굴 데이터를 추출한다.
마지막으로, 환자의 성형된 얼굴 데이터를 기초로 코 성형 수술용 가이드(1000)를 제조한다. 이러한 코 성형 수술용 가이드(1000)는 개인 맞춤형 제작이 간편한 3D 프린팅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코 성형 수술용 가이드(1000)는 최종적으로 성형되어야 하는 환자의 코와 동일한 형상으로 제조되기에, 코 성형 수술 중에 성형되는 코의 성형라인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러한 코 성형 수술용 가이드(1000)는 성형 베이스부(100), 콧대 성형 가이드부(200), 코 보형 성형 가이드부(300), 힌지블록(400) 및 부착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성형 베이스부(100)의 하면은 환자의 미간에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성형 베이스부(100)는 환자의 고유의 얼굴 데이터를 기초로 제조된 것이기에 성형 베이스부(100)의 하면은 환자의 미간 부위의 굴곡과 대응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성형 베이스부(100)의 하면은 환자의 미간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성형 베이스부(100)에는 미간 중심홀(10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미간 중심홀(101)은 코 성형 수술을 위해 환자의 얼굴에 미리 표시한 미간 중심점(P1)에 얼라인되도록 배치시킨 상태에서 코 성형 수술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성형 베이스부(100)에 형성된 미간 중심홀(101)은 최종적인 코를 성형하기 위한 하나의 기준이 된다.
한편, 콧대 성형 가이드부(200)는 성형 베이스부(100)의 하부에 연결형성된다.
이러한 콧대 성형 가이드부(200)는 성형되는 코의 높이에 대한 성형라인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코뿌리(10), 콧등(20), 코끝(30) 및 코기둥(40)으로 이어지는 코의 높이를 가이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콧대 성형 가이드부(200)는 성형 바디부(210), 체결 돌출부(220), 연결부(230) 및 손잡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성형 바디부(210)는 성형 베이스부(100)의 하부에 연결되며, 최종적으로 성형되는 코뿌리(10)로부터 코기둥(40)까지 이어지는 성형라인을 형성하게 된다. 즉, 이와 같은 성형 바디부(210)가 최종적으로 성형되는 코의 높이를 결정하는 구성이 된다.
다시 말해서, 성형 베이스부(100)가 성형이 이루어지지 않는 미간에 밀착된 상태에서 성형 바디부(210)는 성형을 통해 최종적으로 요구되는 코 높이를 가이드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체결 돌출부(220)는 성형 베이스부(100)와 대응되는 폭을 가지며 성형 베이스부(100)의 상면에 일체로 결합된다. 즉, 체결 돌출부(220)는 성형 베이스부(100)의 상면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체결 돌출부(220)의 일단부는 성형 베이스부(100)와 이격되며 체결 돌출부(220)와 성형 베이스부(100) 사이에 삽입 공간부(201)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체결 돌출부(220)의 타단부는 성형되는 코끝(30) 부위에 위치된다. 이에, 체결 돌출부(220)의 타단부와 성형 베이스부(100) 간에는 단턱(202)이 형성된다.
그리고 일체를 이루는 성형 바디부(210)와 체결 돌출부(22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콧등 가이드 슬릿(203)이 형성된다. 이러한 콧등 가이드 슬릿(203)은 코 성형 수술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환자의 얼굴에 미리 표시된 코의 중심선이 콧등 가이드 슬릿(203)에 얼라인되도록 하며 최종적인 코를 성형하기 위한 하나의 기준이 된다.
한편, 연결부(230)는 성형 바디부(210)의 하부에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부(230)는 윗입술 큐피드보우를 덮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연결부(230)는 활 형상을 이루는 윗입술 라인의 중심인 윗입술 큐피드보우의 중심점(P3)을 덮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결부(230)에는 큐피드보우 중심홀(20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큐피드보우 중심홀(205)은 코 성형 수술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환자의 얼굴에 미리 표시한 윗입술 큐피드보우의 중심점(P3)이 큐피드보우 중심홀(205)에 얼라인되도록 하며 최종적인 코를 성형하기 위한 하나의 기준이 된다.
한편, 손잡이부(240)는 연결부(230)의 하부에 연결된다. 이러한 손잡이부(240)에는 코드표(241)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코드표(241)는 환자를 식별하는 코드일 수 있다. 즉, 코드표(241)는 해당 코 성형 수술용 가이드(1000)가 어떤 환자의 코 성형 수술용 가이드(1000) 인지를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부(240)는 콧대 성형 가이드부(200)를 회동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의사는 환자의 이마에 부착된 부착부(500)를 기준으로 손잡이부(240)를 부착부(500)의 상부로 회전시키거나 손잡이부(240)를 부착부(500)의 하부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5의 (b)에서와 같이 손잡이부(240)가 부착부(500)의 상부로 회전된 상태에서는 코 성형 수술용 가이드(1000)가 코 부위와의 걸림이 발생이 되지 않기에, 의사는 정해진 성형 수술 계획에 따라 코를 성형 수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의 (a)에서와 같이 의사는 손잡이부(240)를 부착부(500)의 하부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코 성형 작업이 요구되는 바에 따라 정확히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코 성형 수술용 가이드(1000)에 형성된 미간 중심홀(101)은 미간 중심점(P1)에 얼라인시키고, 내안각 중심홀(204)은 내안각 중심점(P2)에 얼라인시키며, 콧등 가이드 슬릿(203)은 코의 중심선에 얼라인시키고, 큐피드보우 중심홀(205)은 윗입술 큐피드보우의 중심점(P3)에 얼라인시키도록 코를 성형 수술함으로써, 성형되는 코의 위치 및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성형되는 코의 형상은 요구되는 코 형상을 갖도록 성형될 수 있다.
한편, 코 보형 성형 가이드부(300)는 최종적으로 성형되는 코의 폭에 대한 성형라인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코 보형 성형 가이드부(300)는 코의 폭에 대한 성형라인을 가이드하게 된다.
그리고 코 보형 성형 가이드부(300)는 코 성형 수술을 완료한 후, 콧대 성형 가이드부(200)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성형된 코의 변형 방지를 위한 깁스로 이용할 수 있다. 즉, 코 보형 성형 가이드부(300)는 코 성형 수술이 완료된 후, 환자의 코에 부착시켜 수술 회복 기간중에 성형된 코의 변형 발생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코 보형 성형 가이드부(300)는 수술과정에서는 성형되는 코의 폭에 대한 성형라인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고, 수술이 완료된 후에는 성형된 코의 변형 방지를 위한 부재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코 보형 성형 가이드부(300)는 환자의 콧등(20) 부위를 제외한 최종적으로 성형되는 환자의 코를 전체적으로 덮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코 보형 성형 가이드부(300)는 바디부(310), 상부 브리지(320), 하부 브리지(330), 제1 끼움 고정부(340), 제2 끼움 고정부(350), 제1 가늠부(360) 및 제2 가늠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310)는 코 보형 성형 가이드부(300)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는 구성으로, 이러한 바디부(310)는 한 쌍을 이루는 제1 유닛(311)과 제2 유닛(312)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바디부(310)는 콧대 성형 가이드부(200)가 배치되는 코 부위를 제외한 콧등(20)의 주변부라던지 콧방울 부분을 덮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 유닛(311)은 일측 콧방울을 덮도록 이루어지고, 제2 유닛(312)은 타측 콧방울을 덮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1 유닛(311)과 제2 유닛(312)의 하부에는 콧구멍을 개방시키는 콧구멍 개방홀(313)이 형성된다.
이러한 바디부(310)를 이루는 제1 유닛(311)과 제2 유닛(312)은 이격배치되며, 체결 돌출부(220)가 삽입되는 체결홀(301)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부 브리지(320)는 이격된 제1 유닛(311)과 제2 유닛(312)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부 브리지(320)는 제1 유닛(311) 및 제2 유닛(312)과 함께 체결홀(301)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부 브리지(320)는 콧대 성형 가이드부(200)와 코 보형 성형 가이드부(300)가 결합될 시, 삽입 공간부(201)에 삽입 고정된다. 이에, 콧대 성형 가이드부(200)와 코 보형 성형 가이드부(300)는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하부 브리지(330)는 이격된 제1 유닛(311)과 제2 유닛(312)의 하부를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하부 브리지(330)는 제1 유닛(311) 및 제2 유닛(312)과 함께 체결홀(301)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하부 브리지(330)는 콧대 성형 가이드부(200)와 코 보형 성형 가이드부(300)가 결합될 시, 단턱(202)을 형성하는 체결 돌출부(220)의 외면에 밀착 결합된다. 따라서, 콧대 성형 가이드부(200)와 코 보형 성형 가이드부(300)는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콧대 성형 가이드부(200)와 코 보형 성형 가이드부(300)의 결합시, 콧대 성형 가이드부(200)에 구비된 체결 돌출부(220)는 코 보형 성형 가이드부(300)의 제1 유닛(311), 제2 유닛(312), 상부 브리지(320) 및 하부 브리지(330)에 의해 형성된 체결홀(301)에 삽입 결합되기에, 콧대 성형 가이드부(200)와 코 보형 성형 가이드부(300)는 흔들림없는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 끼움 고정부(340)와 제2 끼움 고정부(350)는 한 쌍을 이룬다.
이러한 제1 끼움 고정부(340)는 제1 유닛(311)의 상부로 연장된다. 이때, 제1 끼움 고정부(340)는 제1 유닛(311)의 상부로 연장되되, 제1 끼움 고정부(340)의 두께는 제1 유닛(311)보다 얇게 형성된다. 따라서, 콧대 성형 가이드부(200)와 코 보형 성형 가이드부(300)의 결합시, 제1 끼움 고정부(340)의 상부에는 성형 베이스부(100)의 하면에 형성된 끼움홈(110)이 안착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끼움 고정부(350)는 제2 유닛(312)의 상부로 연장된다. 이러한 제2 끼움 고정부(350)는 제1 끼움 고정부(340)와 같이 콧대 성형 가이드부(200)와 코 보형 성형 가이드부(300)의 결합시, 성형 베이스부(100)의 하면에 형성된 끼움홈(110)이 안착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성형 베이스부(100)의 하부에 형성된 끼움홈(110)은 제1 끼움 고정부(340)와 제2 끼움 고정부(350)가 각각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제1 끼움 고정부(340)와 제2 끼움 고정부(350)가 끼움홈(110)에 각각 삽입 결합될 시, 삽입 공간부(201)를 형성하는 성형 베이스부(100)의 하부 측면은 삽입 공간부(201)에 삽입되는 상부 브리지(320)의 상부 측면을 밀착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콧대 성형 가이드부(200)와 코 보형 성형 가이드부(300)는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 가늠부(360)는 제1 유닛(311)의 측면으로 돌출되되, 일측 내안각의 위치를 파악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내안각은 위아래 눈꺼풀 사이 안쪽의 모퉁이를 말한다.
그리고 제2 가늠부(370)는 제2 유닛(312)의 측면으로 돌출되되, 타측 내안각의 위치를 파악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가늠부(360)와 제2 가늠부(370) 및 콧대 성형 가이드부(200)의 상면에는 내안각의 위치 파악을 위한 눈금(g)이 형성된다. 따라서, 의사는 제1 가늠부(360)와 제2 가늠부(370)를 통해 환자의 내안각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환자의 코 성형을 가이드하는 코 성형 수술용 가이드(1000)에는 미간 중심홀(101), 내안각 중심홀(204), 콧등 가이드 슬릿(203), 큐피드보우 중심홀(205) 및 환자의 내안각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도록 이루어진 제1 가늠부(360)와 제2 가늠부(370)가 구비됨에 따라 의사는 요구되는 코 형상에 맞게 환자의 코를 정확하게 성형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의사는 환자의 코를 성형 수술함에 있어, 환자의 이마에 부착된 부착부(500)를 기준으로 손잡이부(240)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며, 환자의 코가 대칭을 이루며 요구되는 코 형상으로 성형되고 있는지를 수술 중에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성형되는 코 형상은 요구되는 코 형상으로 정확히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의사는 코 성형 수술용 가이드(1000)를 이용하여 코 성형 수술을 완료한 후, 코 보형 성형 가이드부(300)를 콧대 성형 가이드부(200)로부터 분리시킨다. 그 다음, 분리된 코 보형 성형 가이드부(300)를 환자의 성형된 코에 부착시켜 성형된 코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코 보형 성형 가이드부(300)는 코의 변형 방지를 위한 깁스로써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성형 베이스부(100)의 상부에는 힌지블록(400)이 결합된다.
이러한 힌지블록(400)과 성형 베이스부(100)는 힌지핀(410)에 의해 결합된다. 이에, 힌지블록(400)은 성형 베이스부(100)로부터 회동될 수 있다.
그리고 힌지블록(400)의 상부에는 부착부(500)가 결합된다. 이러한 부착부(500)는 환자의 이마에 부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부착부(500)는 환자의 이마에 부착가능하다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힌지블록(400)의 상부와 하부에 결합된 부착부(500)와 성형 베이스부(100)는 힌지블록(400)으로부터 회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성형 베이스부(100), 힌지블록(400) 및 부착부(500)는 회동 가능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의사는 손잡이부(240)를 잡은 상태에서 콧대 성형 가이드부(200) 및 코 보형 성형 가이드부(300)를 선택적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코 성형 수술용 가이드(1000)는 코 성형 수술 중에 얼굴이 보일 수 있도록 투명 재질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 범위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코뿌리
20: 콧등
30: 코끝
40: 코기둥
100: 성형 베이스부
101: 미간 중심홀
110: 끼움홈
200: 콧대 성형 가이드부
201: 삽입 공간부
202: 단턱
203: 콧등 가이드 슬릿
204: 내안각 중심홀
205: 큐피드보우 중심홀
210: 성형 바디부
220: 체결 돌출부
230: 연결부
240: 손잡이부
241: 코드표
300: 코 보형 성형 가이드부
301: 체결홀
310: 바디부
311: 제1 유닛
312: 제2 유닛
313: 콧구멍 개방홀
320: 상부 브리지
330: 하부 브리지
340: 제1 끼움 고정부
350: 제2 끼움 고정부
360: 제1 가늠부
370: 제2 가늠부
400: 힌지블록
410: 힌지핀
500: 부착부
1000: 코 성형 수술용 가이드

Claims (9)

  1. 미간에 밀착되는 성형 베이스부;
    상기 성형 베이스부의 하부에 연결되며, 성형되는 코의 높이에 대한 성형라인을 형성하는 콧대 성형 가이드부; 및
    상기 콧대 성형 가이드부와 탈착되며, 성형되는 코의 폭에 대한 성형라인을 형성하는 코 보형 성형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코 성형 수술용 가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콧대 성형 가이드부는,
    상기 성형 베이스부의 하부에 연결되며, 성형되는 코뿌리로부터 코기둥까지의 성형라인을 형성하는 성형 바디부;
    상기 성형 바디부의 상면에 결합되되, 일단부는 상기 성형 베이스부와 이격되며 삽입 공간부를 형성하고, 타단부는 성형되는 코끝에 부위에 위치되는 체결 돌출부;
    상기 성형 바디부의 하부에 연결되며 윗입술 큐피드보우를 덮도록 이루어진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성형 바디부를 회동시키도록 이루어진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일체를 이루는 상기 성형 바디부와 체결 돌출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콧등 가이드 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코 성형 수술용 가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 보형 성형 가이드부는,
    일측 콧방울을 덮는 제1 유닛과 상기 제1 유닛과 한 쌍을 이루며 타측 콧방울을 덮는 제2 유닛을 가지되, 상기 제1 유닛과 제2 유닛은 이격되며 상기 체결 돌출부가 삽입되는 체결홀을 형성하는 바디부;
    상기 제1 유닛과 제2 유닛의 상부를 연결하며 상기 체결홀을 형성하는 상부 브리지;
    상기 제2 유닛과 제2 유닛의 하부를 연결하며 상기 체결홀을 형성하는 하부 브리지;
    상기 제1 유닛의 상부로 연장되는 제1 끼움 고정부; 및
    상기 제2 유닛의 상부로 연장되는 제2 끼움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코 성형 수술용 가이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콧대 성형 가이드부와 코 보형 성형 가이드부의 결합시, 상기 제1 끼움 고정부와 제2 끼움 고정부는 상기 성형 베이스부의 하면에 형성된 끼움홈에 각각 삽입 고정되고, 상기 상부 브리지는 상기 삽입 공간부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코 성형 수술용 가이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베이스부에는 미간 사이의 중심에 위치되는 미간 중심홀이 형성되고, 상기 코 보형 성형 가이드부에는 양안의 내안각 사이의 중심에 위치되는 내안각 중심홀과 윗입술 큐피드보우의 중심에 위치되는 큐피드보우 중심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코 성형 수술용 가이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 보형 성형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유닛의 측면으로 돌출되며 일측 내안각의 위치를 파악하는 제1 가늠부; 및
    상기 제2 유닛의 측면으로 돌출되며 타측 내안각의 위치를 파악하는 제2 가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가늠부 및 제2 가늠부의 상면에는 내안각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눈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코 성형 수술용 가이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베이스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힌지블록; 및
    상기 힌지블록의 상부에 결합되는 부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힌지블록의 상부와 하부에 결합된 상기 부착부와 성형 베이스부는 상기 힌지블록으로부터 회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코 성형 수술용 가이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콧대 성형 가이드부와 코 보형 성형 가이드부는 코 성형 수술전의 환자의 고유의 얼굴 데이터를 기반으로 컴퓨터 작업을 통해 최종적으로 요구되는 코 성형 형상에 맞도록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코 성형 수술용 가이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 보형 성형 가이드부는 코 성형 수술이 완료된 후, 성형된 코에 부착되어 성형된 코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코 성형 수술용 가이드.
KR1020190035109A 2019-03-27 2019-03-27 코 성형 수술용 가이드 KR102261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109A KR102261601B1 (ko) 2019-03-27 2019-03-27 코 성형 수술용 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109A KR102261601B1 (ko) 2019-03-27 2019-03-27 코 성형 수술용 가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028A true KR20200114028A (ko) 2020-10-07
KR102261601B1 KR102261601B1 (ko) 2021-06-07

Family

ID=72883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5109A KR102261601B1 (ko) 2019-03-27 2019-03-27 코 성형 수술용 가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160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5436A (ko) 2003-08-06 2005-02-21 안태환 코 성형 수술 기구
CN203400175U (zh) * 2013-08-30 2014-01-22 长春中妍美容医院 鼻整形手术辅助装置
JP5655203B2 (ja) * 2010-02-16 2015-01-21 和三 長田 鼻美容整形器具
KR101862833B1 (ko) * 2017-08-21 2018-05-31 주식회사 넥스트코어 코 성형수술용 가이드
KR101895546B1 (ko) * 2018-07-09 2018-09-05 윤영묵 코 성형 인공보형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5436A (ko) 2003-08-06 2005-02-21 안태환 코 성형 수술 기구
JP5655203B2 (ja) * 2010-02-16 2015-01-21 和三 長田 鼻美容整形器具
CN203400175U (zh) * 2013-08-30 2014-01-22 长春中妍美容医院 鼻整形手术辅助装置
KR101862833B1 (ko) * 2017-08-21 2018-05-31 주식회사 넥스트코어 코 성형수술용 가이드
KR101895546B1 (ko) * 2018-07-09 2018-09-05 윤영묵 코 성형 인공보형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1601B1 (ko) 2021-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2046B2 (en) Wearable devices such as eyewear customized to individual wearer parameters
US11559198B2 (en) Medical interfaces and other medical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eye exams
US20170311796A1 (en) Medical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eye exams using displays comprising mems scanning mirrors
US8997757B1 (en) Golden ratio eyebrow shaping method
WO2017190087A1 (en) Medical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eye exams and eye tracking
JP6202456B1 (ja) 眉描き補助マスク
US20170127932A1 (en) Medical interfaces and other medical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eye exams
CN105874378A (zh) 用于确定定制光学设备的几何定义的方法
KR101862833B1 (ko) 코 성형수술용 가이드
WO2017149180A1 (es) Procedimiento de pedido de gafas y procedimientos de fabricación y suministro y dispositivo correspondientes
KR102118099B1 (ko) 안면, 목, 두피, 모발의 피부진단 및 분석 장치
US8591031B2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visual field
US20220007929A1 (en) Holographic Real Space Refractive System
CN108392171A (zh) 一种配镜前用于测量眼镜与眼睛、鼻子、耳朵之间距离的装置
KR20200114028A (ko) 코 성형 수술용 가이드
CN111700616A (zh) 十度媚眼眼整形美学设计测量执行方法
KR101682334B1 (ko) 눈썹 문신 시술을 위한 연습용 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456310A (zh) 一种眼部手术辅助装置
KR20190020600A (ko) 코 성형수술용 가이드
JP3148067U (ja) 眉書定規
JP5420691B2 (ja) 眉を描写するための化粧情報提供システム
US7278735B2 (en) Single focus compound lens and mold
Sadacharan et al. Photogrammetric analysis of eyebrow and eyelid dimensions in Indian American adults
CN109073915A (zh) 用于确定镜片放置和对齐的镜片边缘特征
KR20200114044A (ko) 안면윤곽 수술용 가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